KR101550016B1 - 직화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직화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016B1
KR101550016B1 KR1020150046190A KR20150046190A KR101550016B1 KR 101550016 B1 KR101550016 B1 KR 101550016B1 KR 1020150046190 A KR1020150046190 A KR 1020150046190A KR 20150046190 A KR20150046190 A KR 20150046190A KR 101550016 B1 KR101550016 B1 KR 101550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surface
metal plate
width
mold
suppo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석
김정욱
Original Assignee
(주)창보
김태석
김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창보, 김태석, 김정욱 filed Critical (주)창보
Priority to KR1020150046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0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016B1/ko
Priority to EP16153920.0A priority patent/EP3075293B1/en
Priority to JP2016019206A priority patent/JP6006444B1/ja
Priority to US15/048,667 priority patent/US20160287015A1/en
Priority to CN201610195790.2A priority patent/CN106037503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이중 구조의 바닥판을 가진 직화 구이판과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직화 구이판은, 다수의 상부받침대와, 다수의 하부받침대와,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바닥판 및 바닥판의 둘레에 형성된 측벽을 구비한다. 상기 다수의 상부받침대는 서로 제1 수평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 다수의 하부받침대는 서로 제2 수평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제1 수평간격의 직하부에 위치하도록 다수의 상부 받침대와 수직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제1 수평간격보다 넓은 폭을 가지고, 상면에 제1 수평간격을 통해 아래로 떨어지는 기름을 받아주는 오목한 기름받이홈이 형성된다. 상기 가장자리부는 다수의 상부받침대의 양단부 및 다수의 하부받침대의 양단부를 연결하면서 다수의 상부받침대와 다수의 하부받침대를 둘러싸는 것으로, 상면에 기름받이홈과 연결되는 오목한 기름수용홈이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과 측벽은 하나의 금속판재를 사용하여 일체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직화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Direct fired roast pa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직화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육류나 생선 등의 음식물을 직화 방식으로 굽는데 사용하는 직화 구이판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나 생선 등의 음식물을 굽는 방식으로서 가스레인지 또는 숯불과 같은 가열수단의 불이 음식물에 직접 닿도록 하여 음식물을 굽는 직화 방식과 가열수단의 불에 의해 가열된 구이판을 통해 음식물을 간접 가열하여 굽는 간접가열방식이 있다.
직화 방식이 구워진 육류의 맛과 향이 좋고 바베큐의 맛을 낼 수 있어서 선호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가정에서도 직화 방식으로 육류 등을 구워 먹을 수 있도록 다양한 직화 구이판이 판매되고 있다.
그런데, 직화 구이판에는 가스레인지 또는 숯불과 같은 가열수단의 불이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멍들을 통해 육류에서 발생된 기름이 아래로 떨어져 가스레인지를 오염시키거나 불에 직접 접촉되어 연소되면서 연기와 그을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게 위해, 구이판의 아래에 별도의 기름받이용 판을 배치하여 육류에서 발생된 기름이 가열수단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이중 구조를 가진 직화 구이판이 제안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1810호에는 이중 구조를 가진 직화 구이판의 일 예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중 구조의 직화 구이판은 두 개의 금속판재를 각각 가공하여 구이판과 기름받이용 판을 제조한 뒤, 이들을 상,하로 결합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므로, 제조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과 두 개의 판을 결합하기 위한 부분이 필요하여 구성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이중 구조의 직화 구이판은 서로 분리된 두 개의 판이 상,하로 배치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열전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열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이중 구조의 직화 구이판은 두 개의 판의 결합 부위에 기름이나 음식물이 끼어 세척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두 개의 판을 다시 분리하여 세척해야 하므로 세척 작업이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181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금속판재를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이중 구조의 바닥판을 가진 직화 구이판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판은,
서로 제1 수평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상부받침대와,
서로 제2 수평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상기 제1 수평간격의 직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다수의 상부 받침대와 수직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제1 수평간격보다 넓은 폭을 가지고, 상면에 상기 제1 수평간격을 통해 아래로 떨어지는 기름을 받아주는 오목한 기름받이홈이 형성된 다수의 하부받침대와,
상기 다수의 상부받침대의 양단부 및 상기 다수의 하부받침대의 양단부를 연결하면서 상기 다수의 상부받침대와 상기 다수의 하부받침대를 둘러싸는 것으로, 상면에 상기 기름받이홈과 연결되는 오목한 기름수용홈이 형성된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둘레에 형성된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바닥판과 측벽은 하나의 금속판재를 사용하여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상부받침대는 상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받침대의 폭은 상기 제1 수평간격보다 넓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름받이홈의 폭은 상기 제1 수평간격과 같거나 상기 제1 수평간격보다 넓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상부받침대와 상기 다수의 하부받침대는 길이 방향의 중심부로부터 양단부 쪽으로 가면서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름수용홈의 바닥면은 상기 기름받이홈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은 원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의 상단부에는 손잡이부가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측벽의 외측면에 손잡이가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판의 제조방법은,
금속판재의 가장자리부분을 제외한 중심부분에 슬롯 형태의 다수의 구멍을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구멍을 사이에 두고 다수의 제1부분과 다수의 제2부분을 하나씩 교대로 형성하는 단계;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하부금형과 상부금형 사이에 상기 금속판재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하부금형을 상승시키거나 상기 상부금형을 하강시켜, 상기 금속판재를 가압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바닥판과 상기 측벽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단계에서,
상기 금속판재의 다수의 제1부분은 상기 제2부분에 비해 높은 위치에서 가압되어 폭이 넓어짐으로써, 상기 바닥판의 다수의 상부받침대를 형성하고,
상기 금속판재의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에 비해 낮은 위치에서 가압되어 폭이 상기 제1 수평간격보다 넓어지면서 상면이 오목하게 변형됨으로써, 상기 바닥판의 다수의 하부받침대와 상기 기름받이홈을 형성하며,
상기 금속판재의 가장자리부분은 가압되어 오목하게 변형됨으로써,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기름수용홈과 상기 측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속판재는 원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금속판재의 제1부분의 폭과 제2부분의 폭은 상기 구멍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하부금형의 상면에는 다수의 제1하부가압면과 오목한 다수의 제2하부가압면이 하나씩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제1하부가압면과 다수의 제2하부가압면의 둘레에 오목한 제3하부가압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금형의 저면에는 상기 다수의 제1하부가압면과 대응되는 다수의 제1상부가압면과 상기 다수의 제2하부가압면과 대응되는 볼록한 다수의 제2상부가압면이 하나씩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제1상부가압면과 다수의 제2상부가압면의 둘레에 상기 제3하부가압면과 대응되는 볼록한 제3상부가압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금형과 상부금형 사이에 상기 금속판재를 배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금속판재의 제1부분의 중심이 상기 제1하부가압면과 제1상부가압면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고, 상기 금속판재의 제2부분의 중심이 상기 제2하부가압면과 제2상부가압면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금속판재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하부가압면은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상부가압면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상부받침대는 상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하부가압면의 폭은 상기 하부받침대의 폭과 동일하고, 상기 제1하부가압면의 폭은 상기 제2 수평간격과 동일하며, 상기 제1상부가압면의 폭은 상기 상부받침대의 폭과 동일하고, 상기 제2상부가압면의 폭은 상기 제1 수평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하부가압면의 중심과 상기 제2하부가압면의 중심에는 볼록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기는 상기 제1하부가압면과 상기 제2하부가압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상기 금속판재의 두께의 반보다 작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판은, 육류나 생선과 같은 음식물을 직화 방식으로 구워서 기름을 줄일 수 있으므로, 맛과 향이 좋은 저칼로리의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판은, 바닥판이 다수의 상부받침대와 다수의 하부받침대가 상하로 배치된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되, 하나의 금속판재를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두 개의 판을 결합하기 위한 부분이 필요 없어서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 비용이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판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금속판재로 이루어지므로 열전도가 원활하게 일어나서 열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판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하부받침대의 상면에 형성된 기름받이홈이 다수의 상부받침대 사이의 제1 수평간격을 통해 노출되어 있으므로, 세척 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화 구이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A'선을 따른 직화 구이판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표시된 B-B'선을 따른 직화 구이판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화 구이판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표시된 C-C'선을 따른 직화 구이판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표시된 D-D'선을 따른 직화 구이판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직화 구이판을 제조하기 위한 금속판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직화 구이판을 제조하기 위한 금속판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직화 구이판을 성형하기 위한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금속판재가 도 9에 도시된 하부금형과 상부금형 사이에서 가압 변형되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직화 구이판이 성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금속판재의 제1부분과 제2부분으로부터 바닥판의 상부받침대와 하부받침대가 성형되는 중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판과 그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화 구이판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A'선을 따른 직화 구이판의 수직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표시된 B-B'선을 따른 직화 구이판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화 구이판(100)은, 육류나 생선 등의 음식물을 직화 방식으로 굽는데 사용하는 조리용기로서, 하나의 금속판재를 사용하여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바닥판(110)과, 상기 바닥판(110)의 둘레에 형성된 측벽(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판(110)은, 다수의 상부받침대(111)와, 상기 다수의 상부 받침대(111)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다수의 하부받침대(112)와, 상기 다수의 상부받침대(111)와 다수의 하부받침대(112)를 둘러싸는 가장자리부(113)를 포함하며, 이들은 하나의 금속판재, 예컨대 알루미늄판재를 사용하여 일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수의 상부받침대(111)는 음식물을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상면에 음식물이 놓이게 된다. 상기 다수의 상부받침대(111)는 제1 수평간격(Dh1)을 두고 배치되는데, 그 폭(W1)에 비해 길이가 긴 막대 형상을 가지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받침대(111)의 폭(W1)은 상기 제1 수평간격(Dh1)보다 넓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받침대(111)의 상면은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음식물에서 발생된 기름이 자연스럽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하부받침대(112)는 상기 다수의 상부받침대(111) 사이의 제1 수평간격(Dh1)을 통해 아래로 떨어지는 기름을 받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상면에 오목한 기름받이홈(112a)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하부받침대(112)는 제2 수평간격(Dh2)을 두고 배치되는데, 그 폭(W2)에 비해 길이가 긴 막대 형상을 가지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하부받침대(112)는 다수의 상부받침대(111)의 아래에 상부받침대(111)와 소정의 수직간격(Dv)을 두고 배치된다. 특히, 상기 다수의 하부받침대(112)는 상기 다수의 상부받침대(111) 사이의 제1 수평간격(Dh1)의 직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다수의 상부받침대(111)와 다수의 하부받침대(112)는 상하 이중 구조로 배치되되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하부받침대(112)의 폭(W2)은 상기 제1 수평간격(Dh1)을 통해 아래로 떨어지는 기름을 모두 받아줄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평간격(Dh1)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하부받침대(112)의 상면에 형성되는 기름받이홈(112a)의 폭(W3)은 상기 제1 수평간격(Dh1)과 같거나 상기 제1 수평간격(Dh1)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바닥판(110)에 있어서, 가스레인지 또는 숯불과 같은 가열수단의 불은, 상기 다수의 하부받침대(112) 사이의 제2 수평간격(Dh2), 다수의 하부받침대(112)와 다수의 상부받침대(111) 사이의 수직간격(Dv) 및 다수의 상부받침대(111) 사이의 제1 수평간격(Dh1)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부받침대(111)의 상면에 놓인 음식물에 직접 닿게 되므로, 음식물이 직화 방식으로 구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상부받침대(111) 사이의 제1 수평간격(Dh1)을 통해 아래로 떨어지는 기름을 제1 수평간격(Dh1)의 직하부에 설치된 다수의 하부받침대(112)의 상면에 형성된 기름받이홈(112a)이 받아 주게 되므로, 기름이 아래로 떨어져 가스레인지를 오염시키거나 불에 직접 접촉되어 연소되면서 연기와 그을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가장자리부(113)는, 상기 다수의 상부받침대(111)와 다수의 하부받침대(112)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상부받침대(111)의 양단부와 다수의 하부받침대(112)의 양단부는 상기 가장자리부(113)에 연결된다. 상기 바닥판(110)은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가장자리부(113)도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장자리부(113)의 상면에는 오목한 기름수용홈(113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하부받침대(112) 상면에 형성된 기름받이홈(112a)의 양단부는 상기 기름수용홈(113a)에 연결된다. 상기 기름수용홈(113a)은 상기 가장자리부(113) 전체에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가장자리부(113)의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상부 받침대(111)와 다수의 하부받침대(112)는 길이 방향의 중심부로부터 양단부 쪽으로 가면서, 즉 상기 기름수용홈(113a) 쪽으로 가면서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름수용홈(113a)의 바닥면은 상기 다수의 하부받침대(112) 상면에 형성된 기름받이홈(112a)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기름받이홈(112a)으로 떨어진 기름이 상기 기름수용홈(113a)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바닥판(110)은 다수의 상부받침대(111)와 다수의 하부받침대(112)가 상하 이중 구조로 배치된 구성을 가지지만, 하나의 금속판재를 사용하여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판(100)의 제조방법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측벽(120)은 상기한 구성을 가진 바닥판(110)의 둘레에 소정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110)과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측벽(120)도 하나의 금속판재를 사용하여 상기 바닥판(110)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측벽(120)의 높이는 다양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도면들에는 상기 측벽(120)이 상당한 높이를 가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기름수용홈(113a) 내의 기름이 흘러 넘치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120)의 외측면에는 상기 직화 구이판(100)을 핸들링하기 위한 손잡이(130)가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130) 대신에 후술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측벽(120)의 상단부에 손잡이부(도 4의 230)가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화 구이판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화 구이판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표시된 C-C'선을 따른 직화 구이판의 수직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표시된 D-D'선을 따른 직화 구이판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화 구이판(200)도, 하나의 금속판재를 사용하여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바닥판(210)과, 상기 바닥판(210)의 둘레에 형성된 측벽(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판(210)은, 다수의 상부받침대(211)와, 상기 다수의 상부 받침대(211)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다수의 하부받침대(212)와, 상기 다수의 상부받침대(211)와 다수의 하부받침대(212)를 둘러싸는 가장자리부(213)를 포함하며, 이들은 하나의 금속판재, 예컨대 알루미늄판재를 사용하여 일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직화 구이판(20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화 구이판(100)의 구성과 거의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직화 구이판(200)은, 상기 바닥판(210)이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직화 구이판(100)과 차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직화 구이판(200)의 바닥판(210)은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상기 가장자리부(213)도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장자리부(213)에는 오목한 기름수용홈(213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하부받침대(212) 상면에 형성된 기름받이홈(212a)의 양단부는 상기 기름수용홈(213a)에 연결된다. 상기 기름수용홈(213a)은 상기 가장자리부(213)의 일부에,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상부받침대(211)의 양단부와 다수의 하부받침대(212)의 양단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220)의 상단부에는 상기 직화 구이판(200)을 핸들링하기 위한 손잡이부(230)가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230) 대신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측벽(220)의 외측면에 손잡이(도 1의 130)가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직화 구이판(100, 200)은, 육류나 생선과 같은 음식물을 직화 방식으로 구워서 기름을 줄일 수 있으므로, 맛과 향이 좋은 저칼로리의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판(100, 200)은 그 바닥판(110, 210)이 다수의 상부받침대(111, 211)와 다수의 하부받침대(112, 212)가 상하로 배치된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되, 하나의 금속판재를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두 개의 판을 결합하기 위한 부분이 필요 없어서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 비용이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판(100, 2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금속판재로 이루어지므로 열전도가 원활하게 일어나서 열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판(100, 2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하부받침대(112, 212)의 상면에 형성된 기름받이홈(112a)이 다수의 상부받침대(111, 211) 사이의 제1 수평간격(Dh1)을 통해 노출되어 있으므로, 세척 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직화 구이판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직화 구이판을 제조하기 위한 금속판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직화 구이판을 제조하기 위한 금속판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과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직화 구이판(100)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그 기본 소재로서 도 7의 금속판재(10)를 준비하고,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직화 구이판(200)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그 기본 소재로서 도 8의 금속판재(20)를 준비한다. 도 7의 금속판재(10)로서 원형의 알루미늄판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도 8의 금속판재(20)로서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의 알루미늄판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판재(10, 20)의 두께는 예를 들어 대략 3mm일 수 있다.
준비된 금속판재(10, 20)의 가장자리부분(14, 24)을 제외한 중심부분에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슬롯 형태의 다수의 구멍(13, 23)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구멍(13, 23)의 폭은 예를 들어 대략 3mm일 수 있으며,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금속판재(10, 20)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13, 23)을 사이에 두고 폭이 좁고 길이가 긴 막대 형상의 다수의 제1부분(11, 21)과 다수의 제2부분(12, 22)이 하나씩 교대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부분(11, 21)의 폭과 상기 제2부분(12, 22)의 폭은 상기 구멍(13, 23)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부분(11, 21)의 폭은 예를 들어 대략 6mm일 수 있으며, 상기 제2부분(12, 22)의 폭은 예를 들어 대략 5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제1부분(11, 21)의 폭과 제2부분(12, 22)의 폭은 직화 구이판(100, 200)의 전체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를 수도 있고 서로 같을 수도 있다.
위와 같이 형성된 금속판재(10, 20)의 다수의 제1부분(11, 21)은 후술하는 단계들을 통해 상기 직화 구이판(100, 200)의 바닥판(110, 210)의 다수의 상부받침대(111, 211)를 형성하게 되고, 다수의 제2부분(12, 22)은 바닥판(110, 210)의 다수의 하부받침대(112, 212)를 형성하게 되며, 가장자리부분(14, 24)은 바닥판(110, 210)의 가장자리부(113, 213)와 측벽(120, 220)을 형성하게 된다.
이 후의 단계들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직화 구이판(100)의 제조방법을 기준으로 설명되며,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직화 구이판(200)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된다.
도 9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직화 구이판을 성형하기 위한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은 좌우가 대칭이므로 도 9에는 좌측 부분만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직화 구이판(100)을 성형하기 위한 하부금형(310)과 상부금형(320)을 준비한다.
상기 하부금형(310)의 상면 중심부에는 다수의 제1하부가압면(311)과 다수의 제2하부가압면(312)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제1하부가압면(311)과 다수의 제2하부가압면(312)의 둘레에는 제3하부가압면(313)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제1하부가압면(311)과 다수의 제2하부가압면(312)은 하나씩 교대로 형성되며,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하부가압면(311)은 금속판재(10)의 제1부분(1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하부가압면(312)은 금속판재(10)의 제2부분(12)과 대응되는 위치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하부가압면(311)은 예를 들어 대략 5mm의 폭(Wa1)을 가지면서 제2하부가압면(312)보다 높은 위치로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하부가압면(312)은 예를 들어 대략 12mm의 폭(Wa2)을 가지면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하부가압면(312)의 폭(Wa2)은 도 2에 도시된 바닥판(110)의 하부받침대(112)의 폭(W2)과 동일하고, 상기 제1하부가압면(311)의 폭(Wa1)은 도 2에 도시된 하부받침대들(112) 사이의 제2 수평간격(Dh2)와 동일하다.
상기 제3하부가압면(313)은 상기 다수의 제1하부가압면(311)과 다수의 제2하부가압면(312)의 둘레에 형성된다. 상기 제3하부가압면(313)은 상기 금속판재(10)의 가장자리부분(14)과 대응되는 위치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금형(320)의 저면 중심부에는 다수의 제1상부가압면(321)과 다수의 제2상부가압면(322)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제1상부가압면(321)과 다수의 제2상부가압면(322)의 둘레에는 제3상부가압면(323)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제1상부가압면(321)과 다수의 제2상부가압면(322)은 하나씩 교대로 형성되며,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상부가압면(321)은 상기 금속판재(10)의 제1부분(1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상부가압면(322)은 상기 금속판재(10)의 제2부분(12)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오목한 다수의 제1상부가압면(321)과 볼록한 다수의 제1하부가압면(311)이 서로 대응되고, 볼록한 다수의 제2상부가압면(322)과 오목한 다수의 제2하부가압면(312)이 서로 대응된다. 상기 제1상부가압면(321)은 예를 들어 대략 13mm의 폭(Wb1)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상부가압면(322)은 예를 들어 대략 4mm의 폭(Wb2)을 가지면서 제1상부가압면(321)보다 낮은 위치로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상부가압면(321)의 폭(Wb1)은 도 2에 도시된 바닥판(110)의 상부받침대(111)의 폭(W1)과 동일하며, 상기 제2상부가압면(322)의 폭(Wb2)은 도 2에 도시된 상부받침대들(111) 사이의 제1 수평간격(Dh1)과 동일하다.
상기 제3상부가압면(323)은 상기 다수의 제1상부가압면(321)과 다수의 제2상부가압면(322)의 둘레에 형성된다. 상기 제3상부가압면(323)은 상기 금속판재(10)의 가장자리부분(14)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볼록한 제3상부가압면(323)과 오목한 제3하부가압면(313)이 서로 대응된다.
상기 다수의 제1하부가압면(311)과 다수의 제1상부가압면(321)은 상기 금속판재(10)의 제1부분(11)을 가압하여 상기 직화 구이판(100)의 바닥판(110)의 다수의 상부받침대(111)를 성형하는 부분이고, 상기 다수의 제2하부가압면(312)과 다수의 제2상부가압면(322)은 상기 금속판재(10)의 제2부분(12)을 가압하여 상기 바닥판(110)의 다수의 하부받침대(112)를 성형하는 부분이며, 상기 제3하부가압면(313)과 제3상부가압면(323)은 상기 금속판재(10)의 가장자리부분(14)을 가압하여 상기 바닥판(110)의 가장자리부(113)와 측벽(120)을 성형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310)에 형성된 다수의 제1하부가압면(311)과 다수의 제2하부가압면(312) 각각의 폭방향 중심에는 볼록한 돌기(311a, 31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311a, 312a)는 상기 제1하부가압면(311)과 제2하부가압면(3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그 높이는 상기 금속판재(10)의 두께의 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311a, 312a)는, 상기 제1 및 제2하부가압면(311, 312)과 제1 및 제2상부가압면(321, 322) 사이에서 상기 금속판재(10)의 제1부분(11)과 제2부분(12)을 가압 성형할 때, 제1부분(11)과 제2부분(12)이 미끄러져서 제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하부금형(310)과 상부금형(320) 사이에 상기 금속판재(10)를 배치한다. 이때, 상기 금속판재(10)의 제1부분(11)의 폭방향 중심이 제1하부가압면(311)의 폭방향 중심과 제1상부가압면(321)의 폭방향 중심을 잇는 중심선 상에 위치하고, 제2부분(12)의 폭방향 중심이 제2하부가압면(312)의 폭방향 중심과 제2상부가압면(322)의 폭방향 중심을 잇는 중심선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금속판재(10)를 배치한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금속판재가 도 9에 도시된 하부금형과 상부금형 사이에서 가압 변형되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직화 구이판이 성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금속판재의 제1부분과 제2부분으로부터 바닥판의 상부받침대와 하부받침대가 성형되는 중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금형(310)을 상승시키거나 상부금형(320)이 하강시켜, 상기 금속판재(10)를 하부금형(310)의 제1, 제2 및 제3하부가압면(311, 312, 313)과 상부 금형(320)의 제1, 제2 및 제3상부가압면(321, 322, 323) 사이에서 가압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바닥판(110)과 측벽(120)을 일체로 성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판재(10)의 제1부분(11)은 제1하부가압면(311)과 제1상부가압면(321) 사이에서 가압되어 폭이 넓어져서 상기 바닥판(110)의 상부받침대(111)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하부가압면(311)이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상부가압면(321)이 오목하게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금속판재(10)의 제1부분(11)은 상면이 볼록하게 가압 변형되므로, 볼록한 상면을 가진 상부받침대(111)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금속판재(10)의 제2부분(12)은 제2하부가압면(312)과 제2상부가압면(322) 사이에서 폭이 넓어지면서 상면이 오목하게 가압 변형되어 바닥판(110)의 하부받침대(112)와 기름받이홈(112a)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금속판재(10)의 가장자리부분(14)은 제3하부가압면(313)과 제3상부가압면(323) 사이에서 상면이 오목하게 가압 변형되어 바닥판(110)의 가장자리부(113)와 기름수용홈(113a) 및 측벽(12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110)과 측벽(120)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측벽(120)의 상단부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손잡이부(230)를 형성하거나, 성형이 완료된 측벽(120)의 외측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손잡이(130)를 부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금속판재(10)의 제1부분(11)과 제2부분(12)으로부터 바닥판(100)의 상부받침대(111)와 하부받침대(112)가 성형되는 중간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하부금형(310)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 금속판재(10)의 제1부분(11)은 하부금형(310)의 제1하부가압면(311)에 의해 제2부분(12)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로 밀어 올려져 하부금형(310)의 제1하부가압면(311)과 상부금형(320)의 제1상부가압면(321) 사이에 놓이게 되고, 제2부분(12)은 제1부분(11)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서 하부금형(310)의 제2하부가압면(312)과 상부금형(320)의 제2상부가압면(322) 사이에 놓이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하부금형(310)이 계속 상승하게 되면, 상기 금속판재(10)의 제1부분(11)은 하부금형(310)의 제1하부가압면(311)과 상부금형(320)의 제1상부가압면(321) 사이에서 가압되면서 폭이 넓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부분(11)의 폭은 대략 6mm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부가압면(321)의 폭(Wb1)과 동일한 13mm로 넓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부분(11)은 폭이 넓어지면서 오목한 제1상부가압면(321)을 따라 상면이 볼록한 형태로 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금속판재(10)의 제1부분(11)이 폭이 넓어지면서 상면이 볼록하게 가압 변형됨으로써 대략 13mm의 폭(도 2의 W1)을 가진 상부받침대(111)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1부분(11)이 폭이 넓어지면서 인접한 제1부분들(11) 사이의 간격은 대략 4mm 정도로 좁아지게 되는데, 이와 같이 좁아진 간격이 상기 상부받침대들(111) 사이의 제1 수평간격(도 2의 Dh1)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금속판재(10)의 제2부분(12)은 하부금형(310)의 제2하부가압면(312)과 상부금형(320)의 제2상부가압면(322) 사이에서 가압되면서 폭이 넓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부분(12)의 폭은 대략 5mm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하부가압면(312)의 폭(Wa2)과 동일한 12mm로 넓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부분(12)은 폭이 넓어지면서 오목한 제2하부가압면(312)을 따라 상면이 오목한 형태로 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금속판재(10)의 제2부분(12)이 폭이 넓어지면서 상면이 오목하게 가압 변형됨으로써 대략 12mm의 폭(도 2의 W2)을 가진 하부받침대(112)와 하부받침대(112) 상면의 기름받이홈(112a)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2부분(12)이 폭이 넓어지면서 인접한 제2부분들(12) 사이의 간격은 대략 5mm 정도로 좁아지게 되는데, 이와 같이 좁아진 간격이 상기 하부받침대들(112) 사이의 제2 수평간격(도 2의 Dh2)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진 하부금형(310)과 상부금형(320)을 사용하여 하나의 금속판재(10)를 성형 가공함으로써, 다수의 상부받침대(111, 211)와 다수의 하부받침대(112, 212)가 상하로 배치된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바닥판(110, 210)을 가진 직화 구이판(100, 200)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200...직화 구이판 110,210...바닥판
111,211...상부받침대 112,212...하부받침대
112a,212a...기름받이홈 113,213...가장자리부
113a,213a...기름수용홈 120,220...측벽
130...손잡이 230...손잡이부
310...하부금형 311...제1하부가압면
312...제2하부가압면 313...제3하부가압면
320...상부금형 321...제1상부가압면
322...제2상부가압면 323...제3상부가압면

Claims (15)

  1. 서로 제1 수평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상부받침대와,
    서로 제2 수평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상기 제1 수평간격의 직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다수의 상부 받침대와 수직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제1 수평간격보다 넓은 폭을 가지고, 상면에 상기 제1 수평간격을 통해 아래로 떨어지는 기름을 받아주는 오목한 기름받이홈이 형성된 다수의 하부받침대와,
    상기 다수의 상부받침대의 양단부 및 상기 다수의 하부받침대의 양단부를 연결하면서 상기 다수의 상부받침대와 상기 다수의 하부받침대를 둘러싸는 것으로, 상면에 상기 기름받이홈과 연결되는 오목한 기름수용홈이 형성된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둘레에 형성된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바닥판과 측벽은 하나의 금속판재를 사용하여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구이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상부받침대는 상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받침대의 폭은 상기 제1 수평간격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구이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받이홈의 폭은 상기 제1 수평간격과 같거나 상기 제1 수평간격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구이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상부받침대와 상기 다수의 하부받침대는 길이 방향의 중심부로부터 양단부 쪽으로 가면서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구이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수용홈의 바닥면은 상기 기름받이홈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구이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원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구이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상단부에는 손잡이부가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측벽의 외측면에 손잡이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구이판.
  8. 제 1항의 직화 구이판을 제조하는 직화 구이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금속판재의 가장자리부분을 제외한 중심부분에 슬롯 형태의 다수의 구멍을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구멍을 사이에 두고 다수의 제1부분과 다수의 제2부분을 하나씩 교대로 형성하는 단계;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하부금형과 상부금형 사이에 상기 금속판재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하부금형을 상승시키거나 상기 상부금형을 하강시켜, 상기 금속판재를 가압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바닥판과 상기 측벽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단계에서,
    상기 금속판재의 다수의 제1부분은 상기 제2부분에 비해 높은 위치에서 가압되어 폭이 넓어짐으로써, 상기 바닥판의 다수의 상부받침대를 형성하고,
    상기 금속판재의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에 비해 낮은 위치에서 가압되어 폭이 상기 제1 수평간격보다 넓어지면서 상면이 오목하게 변형됨으로써, 상기 바닥판의 다수의 하부받침대와 상기 기름받이홈을 형성하며,
    상기 금속판재의 가장자리부분은 가압되어 오목하게 변형됨으로써,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기름수용홈과 상기 측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구이판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재는 원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판재의 제1부분의 폭과 제2부분의 폭은 상기 구멍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구이판의 제조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하부금형의 상면에는 다수의 제1하부가압면과 오목한 다수의 제2하부가압면이 하나씩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제1하부가압면과 다수의 제2하부가압면의 둘레에 오목한 제3하부가압면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금형의 저면에는 상기 다수의 제1하부가압면과 대응되는 다수의 제1상부가압면과 상기 다수의 제2하부가압면과 대응되는 볼록한 다수의 제2상부가압면이 하나씩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제1상부가압면과 다수의 제2상부가압면의 둘레에 상기 제3하부가압면과 대응되는 볼록한 제3상부가압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구이판의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과 상부금형 사이에 상기 금속판재를 배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금속판재의 제1부분의 중심이 상기 제1하부가압면과 제1상부가압면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고, 상기 금속판재의 제2부분의 중심이 상기 제2하부가압면과 제2상부가압면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금속판재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구이판의 제조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부가압면은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상부가압면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상부받침대는 상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구이판의 제조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부가압면의 폭은 상기 하부받침대의 폭과 동일하고, 상기 제1하부가압면의 폭은 상기 제2 수평간격과 동일하며, 상기 제1상부가압면의 폭은 상기 상부받침대의 폭과 동일하고, 상기 제2상부가압면의 폭은 상기 제1 수평간격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구이판의 제조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부가압면의 중심과 상기 제2하부가압면의 중심에는 볼록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구이판의 제조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제1하부가압면과 상기 제2하부가압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상기 금속판재의 두께의 반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구이판의 제조방법.
KR1020150046190A 2015-04-01 2015-04-01 직화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550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190A KR101550016B1 (ko) 2015-04-01 2015-04-01 직화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EP16153920.0A EP3075293B1 (en) 2015-04-01 2016-02-02 Direct-heat grilling pa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6019206A JP6006444B1 (ja) 2015-04-01 2016-02-03 直火グリルパン及びその製造方法
US15/048,667 US20160287015A1 (en) 2015-04-01 2016-02-19 Direct-heat grilling pa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1610195790.2A CN106037503B (zh) 2015-04-01 2016-03-31 直热式烧烤盘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190A KR101550016B1 (ko) 2015-04-01 2015-04-01 직화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0016B1 true KR101550016B1 (ko) 2015-09-07

Family

ID=54247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190A KR101550016B1 (ko) 2015-04-01 2015-04-01 직화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287015A1 (ko)
EP (1) EP3075293B1 (ko)
JP (1) JP6006444B1 (ko)
KR (1) KR101550016B1 (ko)
CN (1) CN106037503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058A (ko) * 2018-03-16 2019-09-25 김정욱 직화 구이용 조리기
KR102404280B1 (ko) * 2021-05-11 2022-05-31 류욱현 직화불꽃을 이용한 조립식 불판
KR20230132967A (ko) 2022-03-10 2023-09-19 주식회사 지에스메탈 직화구이 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536B1 (ko) * 2016-10-31 2018-10-1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로스터용 볼록 석쇠
CN110840278A (zh) * 2019-11-13 2020-02-28 广东岭南厨具有限公司 一种金属烤盘的制作方法及金属烤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229Y1 (ko) 2004-07-24 2004-10-15 서남순 고기구이장치
KR200433024Y1 (ko) 2006-09-25 2006-12-07 임상훈 기름 배출 수단이 구비된 숯불구이판
KR100866157B1 (ko) 2008-03-13 2008-10-30 (주)창해엔지니어링 직화식 구이판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7852A (en) * 1967-10-16 1969-07-29 Emily T Y Kwoh Reversible multiple cooking oven,steamer,grill and griddle
JPS5965634U (ja) * 1982-10-22 1984-05-01 木和 一平 焼肉鍋
JP3038028B2 (ja) * 1991-03-06 2000-05-08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透明タッチパネル
JPH0631619U (ja) * 1992-10-06 1994-04-26 正平 田中 煮焼同時調理器
JP3159585B2 (ja) * 1993-12-07 2001-04-23 三菱電機株式会社 クロック抽出回路
CN2346362Y (zh) * 1998-04-20 1999-11-03 灿坤公司 烧烤器
KR19990007621A (ko) * 1998-10-13 1999-01-25 김선회 이물질 받이를 구비한 숯불 구이판
JP2003144331A (ja) * 2001-11-16 2003-05-20 Hideo Nishina 調理網及びそれを備えた調理鍋
KR100436281B1 (ko) * 2002-03-05 2004-06-16 이명곤 음식 조리용 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1810Y1 (ko) 2005-09-07 2005-11-22 이해규 구이판
JP2011000190A (ja) * 2009-06-16 2011-01-06 News Chef株式会社 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
JP4891431B1 (ja) * 2010-10-18 2012-03-07 裕子 酒井 調理用容器
CA2814761C (en) * 2010-12-17 2017-02-28 W.C. Bradley Co. Cooking grate and cooking apparatus
JP5896951B2 (ja) * 2013-04-09 2016-03-30 リンナイ株式会社 加熱調理容器
JP5906213B2 (ja) * 2013-04-11 2016-04-20 リンナイ株式会社 加熱調理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229Y1 (ko) 2004-07-24 2004-10-15 서남순 고기구이장치
KR200433024Y1 (ko) 2006-09-25 2006-12-07 임상훈 기름 배출 수단이 구비된 숯불구이판
KR100866157B1 (ko) 2008-03-13 2008-10-30 (주)창해엔지니어링 직화식 구이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058A (ko) * 2018-03-16 2019-09-25 김정욱 직화 구이용 조리기
KR102214329B1 (ko) * 2018-03-16 2021-02-08 김정욱 직화 구이용 조리기
KR102404280B1 (ko) * 2021-05-11 2022-05-31 류욱현 직화불꽃을 이용한 조립식 불판
KR20230132967A (ko) 2022-03-10 2023-09-19 주식회사 지에스메탈 직화구이 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87015A1 (en) 2016-10-06
JP2016193176A (ja) 2016-11-17
EP3075293B1 (en) 2017-08-16
EP3075293A1 (en) 2016-10-05
CN106037503A (zh) 2016-10-26
JP6006444B1 (ja) 2016-10-12
CN106037503B (zh) 201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016B1 (ko) 직화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214329B1 (ko) 직화 구이용 조리기
KR101321440B1 (ko) 이중가열 방식의 조리기구
US20190350406A1 (en) Multi-function griddle pan
KR101078690B1 (ko) 화염이 직접 고기에 닿지 않는 이중 직화식 구이판
KR102059184B1 (ko) 직화구이용 불판
KR102177414B1 (ko) 구이용 불판
CN211748985U (zh) 空气炸锅和烤箱用双面盘烤架
KR101598457B1 (ko) 요리시 기름이 튀지 않고 배출되며 연기가 나지 않는 양면을 활용하는 그릴팬
KR200489264Y1 (ko) 구이용 보조불판 및 이 보조불판이 구비된 구이판 세트
KR20100038622A (ko) 열 균등 확산판을 갖는 무연 불판
JP3507188B2 (ja) 加熱調理器
KR200447619Y1 (ko) 조리기구
KR200348791Y1 (ko) 구이용 석쇠
CN218009389U (zh) 烤盘组件和烤箱
KR200305099Y1 (ko) 고기 구이판
KR200493540Y1 (ko) 구이판
JP3733532B2 (ja) 加熱調理器
KR102585935B1 (ko) 기름 배출과 열전달이 용이한 직화구이용 원형구이판
KR200476370Y1 (ko) 업소용 양면불판기구
CN213605913U (zh) 一种烤炉及其烤网
KR102077290B1 (ko) 업소용 가스레인지 석쇠
KR102023761B1 (ko) 대나무 석쇠
KR200405666Y1 (ko) 이중석쇠살을 구비한 석쇠
KR101591189B1 (ko)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