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967A - 직화구이 팬 - Google Patents

직화구이 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2967A
KR20230132967A KR1020220029902A KR20220029902A KR20230132967A KR 20230132967 A KR20230132967 A KR 20230132967A KR 1020220029902 A KR1020220029902 A KR 1020220029902A KR 20220029902 A KR20220029902 A KR 20220029902A KR 20230132967 A KR20230132967 A KR 20230132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member
direct fire
base
cooking
base g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메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메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메탈
Priority to KR1020220029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2967A/ko
Publication of KR20230132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9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064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non-integrated lid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frying-p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8Accessories, e.g. inserts, plates to hold food down during fry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화 열(화염)이 생선이나 육류 등의 요리물에 전체적으로 확실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요리물을 뒤집을 필요없이 골고루 익힐 수 있어 뒤집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뿐만 아니라, 골고른 직화 맛이 나는 요리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요리물에서 발생되는 기름에 의해 타는 것을 최소화하여 담백하고 맛있는 요리물을 제공할 수 있는 직화구이 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개방되고, 화염이 통과되게 형성되는 베이스 그릴 부재;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에 수용되며, 요리물이 놓이는 상부 개방의 조리 그릴 부재;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의 상부를 커버하는 뚜껑 부재; 및 상기 뚜껑 부재가 베이스 그릴 부재를 커버한 상태에서 내부가 외부와 연통되게 상기 뚜껑 부재 및 베이스 그릴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외부 연통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 팬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직화구이 팬 {DIRECT-FIRED ROAST GRILL PAN FOR FISH}
본 발명은 직화구이 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화 열(화염)이 생선이나 육류 등의 요리물에 전체적으로 확실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요리물을 뒤집을 필요없이 골고루 익힐 수 있어 뒤집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뿐만 아니라, 골고른 직화 맛이 나는 요리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요리물에서 발생되는 기름에 의해 타는 것을 최소화하여 담백하고 맛있는 요리물을 제공할 수 있는 직화구이 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나 생선 등의 음식물을 굽는 방식으로서 가스레인지 또는 숯불과 같은 가열수단의 불이 음식물에 직접 닿도록 하여 음식물을 굽는 직화 방식과 가열수단의 불에 의해 가열된 구이판을 통해 음식물을 간접 가열하여 굽는 간접가열방식이 있다.
직화 방식이 구워진 육류의 맛과 향이 좋고 바베큐의 맛을 낼 수 있어서 선호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가정에서도 직화 방식으로 육류 등을 구워 먹을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이 그런데, 직화 구이용 조리기에는 가스레인지 또는 숯불과 같은 가열수단의 불이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멍들을사용된다.
종래 직화방식에 이용되는 직화구이용 조리기의 일예는 특허등록번호 10-2214329호의 등록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직화구이용 조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직화구이용 조리기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직화구이용 조리기의 단면도이다.
특허등록번호 10-2214329의 등록공보에 기재된 직화구이용 조리기(100)는 도 1, 도 2 및 도 3과 같이 윗쪽으로 향해 만곡된 형태로 연장된 측벽(101)과, 상기 측벽으로 둘러싸인 조리기 본체의 저면(104)을 구비한다. 상기 조리기 본체의 저면(104)은, 내부에 상기 측벽(101)의 하단을 따라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 기름 수집부(10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기름 수집부(102)에 의해 포위되고, 상부면에는 각각 상기 기름 수집부로 연결되는 제1 기름통로(112c: 하부 기름통로)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하부 리브(112)와; 각각 상기 하부 리브(112) 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기름 수집부(102)에 의해 포위되고, 상부면에는 각각 상기 기름 수집부로 연결되는 제2 기름통로(114c:상부 기름통로)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평면상에서 한쪽 모서리(114a)는 하나의 상기 하부 리브(112) 내부에, 다른 쪽 모서리(114b)는 인접한 또 다른 하나 상기 하부 리브(112) 내부에 각각 겹쳐지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상부 리브(114)를 구비한다.
각각의 상기 상부 리브(114)의 하부와 각각의 상기 하부 리브의 상부 사이에는 열기가 유출되는 슬롯(116: 열기 유출구)이 형성되어, 육류로부터 나오는 기름이 상기 제1 기름통로(112c:하부 기름통로)와 상기 제2 기름통로(112c: 상부 기름통로)를 통해 상기 기름 수집부(102)로 흘러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기름통로(112c:하부 기름통로)와 상기 제2 기름통로(114c:상부 기름통로)는 각각 길이 방향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기름 수집부(102)를 향해 점차 낮아지는 기울기로 형성되어 상기 기름 수집부로 흘러가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직화구이용 조리기(100)는 각각의 하부 리브(112)와 상부 리브(114) 사이에 형성된 슬롯(116)을 통하여 올라오는 열기가 상부 리브(114)의 상면에 놓인 육류에 직접 닿게 되므로, 직화방식으로 구워지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상부 리브(114)와 다수의 하부 리브(112)는 상하 이중 구조로 단부가 서로 중첩하여 배치되고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므로 슬롯(116)을 통하여 하부 리브(112)쪽으로 떨어지는 육류의 기름을 안전하게 받아 기름수집부(102)로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직화구이용 조리기(100)는 요리물을 빈번히 뒤집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뚜껑이 없어 요리물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외부로 쉽게 퍼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종래 다른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04681에는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냄비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을 참조로 하면, 내부본체와 외부본체로 구성되어서 그 사이로 화기가 제공되고, 제공된 화기는 화기홀을 통해 조리공간으로 유입되어져 조리물의 상하측을 동시에 조리하도록 하여 균일하면서도 빠르게 조리를 가능토록 한 냄비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이중냄비에 따르면 균일한 조리와 신속한 조리를 기대할 수 있으나, 조리과정에서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현상이 발생되면 화기홀을 통해 화염쪽으로 배출되어져 화기가 꺼지거나 주변을 오염시키는 현상이 빈번하게 연출되었으며, 동시에 뚜껑이 고압에 의해 열리면서 그 틈새로 음식물이 유출되어 주변 오염과 더불어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그대로 외부로 유출됨에 따른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2214329(2021.02.08.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04681호(2005.12.27.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354408(2022.01.21.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964559(2019.04.01.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50016(2015.09.07.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화 열이 요리물의 상부 측으로 확실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요리물을 뒤집을 필요없이 골고루 익힐 수 있어 뒤집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는 직화구이 팬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요리물 전체적으로 골고루 직화 맛이 나고, 요리물에서 발생되는 기름에 의해 타는 것을 최소화하여 담백하고 맛있는 요리물을 제공할 수 있는 직화구이 팬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상부 개방되고, 화염이 통과되게 형성되는 베이스 그릴 부재;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에 수용되며, 요리물이 놓이는 상부 개방의 조리 그릴 부재;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의 상부를 커버하는 뚜껑 부재; 및 상기 뚜껑 부재가 베이스 그릴 부재를 커버한 상태에서 내부가 외부와 연통되게 상기 뚜껑 부재 및 베이스 그릴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외부 연통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 팬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는 측벽 4면을 형성하는 측벽부와, 바닥면에 요철부가 종방향 또는 횡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화염이 통과하는 직화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되어 손잡이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재 착탈 슬롯부를 포함하고, 상기 직화부는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 간격을 갖고 슬롯(slot) 형태로 절개되어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조리 그릴 부재는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에 형성된 요철부의 요부의 형성 방향과 동일한 방향과 간격으로 형성된 요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리 그릴 부재가 베이스 그릴 부재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조리 그릴 부재의 요철부는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의 요철부와 공간을 갖고 놓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뚜껑 부재는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의 상부를 커버하되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를 통과하는 가열수단의 불이 조리 그릴 부재의 상부 측에서 순환 흐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뚜껑 부재는 일측과 타측이 길이방향의 중심라인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되, 상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단면을 갖는 뚜껑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연통 수단은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의 플랜지부에 하나 이상 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 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생선이나 육류 등의 요리물을 직화 조리 시 뒤집을 필요없이 조리할 수 있어 사용자가 일일이 뒤집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직화 맛이 골고루 나는 요리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요리물의 상부 측으로 화염을 확실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직화구이기로서의 기능을 신뢰성 있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요리물에서 발생되는 기름에 의해 타는 것을 최소화하여 담백하고 맛있는 요리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직화구이용 조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직화구이용 조리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직화구이용 조리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 팬을 상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 팬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 팬의 종방향 단면도로서,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 팬의 횡방향 단면도로서, 도 4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 팬에 포함되는 베이스 그릴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 팬에 포함되는 베이스 그릴 부재에 포함되는 바닥 화염 통과부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 팬에 포함되는 조리 그릴 부재에 포함되는 바닥 화염 통과부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직화구이 팬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 팬을 상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 팬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 팬의 종방향 단면도로서,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 팬의 횡방향 단면도로서, 도 4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 팬에 포함되는 베이스 그릴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 팬에 포함되는 베이스 그릴 부재에 포함되는 바닥 화염 통과부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 팬에 포함되는 조리 그릴 부재에 포함되는 바닥 화염 통과부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에서 "A"는 바닥 화염 통과부의 바람직한 형성 위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 팬은, 도 4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베이스 그릴 부재(100)와, 조리 그릴 부재(200)와, 뚜껑 부재(300), 및 외부 연통 수단(400)을 포함하며, 이에 더하여 손잡이 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 팬은, 도 4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스레인지 또는 숯불과 같은 가열수단에 놓이며, 가열수단의 불이 통과하여 가열수단의 불이 요리물에 직접 닿도록 구성되는 상부 개방된 함체형의 베이스 그릴 부재(100);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100) 내에 수용되며, 요리물이 놓이는 상부 개방된 함체형의 조리 그릴 부재(200);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100)의 상부를 커버하는 뚜껑 부재(300); 및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100)와 뚜껑 부재(300) 간에 형성되어 상기 뚜껑 부재(300)가 베이스 그릴 부재(100)를 커버한 상태에서 외부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외부 연통 수단(40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100)는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가스레인지 또는 숯불과 같은 가열수단의 화구에 놓이며, 가열수단의 불이 통과하여 가열수단의 불이 요리물에 직접 닿도록 구성되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100)는 전후좌우 4개의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부(110)와, 바닥면에 요철부(121a, 121b)가 종방향 또는 횡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바닥부(120)와, 상기 바닥부(1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가열수단의 불(화염)이 통과하는 직화부(130), 및 상기 측벽부(110)의 상단에 절곡 형성되는 플랜지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120)의 요철부(121a, 121b)에서 철부(돌출부)(121b)는 그 상단이 판상 형태를 갖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부(120)는 요철부(121a, 121b)의 요부(홈부)(121a)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되 상면이 판상 형태를 갖는 돌출부(122)가 그 요부(121a)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복수(도면에서는 2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바닥부(120)의 요부(121a)와 돌출부(122)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조리 그릴 부재(200)에 형성되는 요철부가 선 접촉하면서 지지되게 형성되어, 그 베이스 그릴 부재(100) 상에 조리 그릴 부재(200)가 놓인 상태에서 조리 그릴 부재(200)의 하면은 베이스 그릴 부재(100)의 바닥부(120)에서 떨어져 있게 되고, 그 공간 사이로 최대한 많은 양의 열을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직화부(130)는 상기 바닥부(1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가열수단의 불(화염)이 통과되어 요리물이 불(화염)이 직접 닿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직화부(130)는 바닥부(120)의 가장자리에 간격을 갖고 슬롯(slot) 형태로 절개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직화부(130)가 형성되는 측의 측벽부(110)의 하단부는 내측으로 라운드(round)지게 형성(바람직하게는 바닥에서 유선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직화부(130)가 형성되는 측의 측벽부(110)의 단면 형상은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부(110)가 상기와 같이 형성됨에 따라 가열수단의 불은 그 측벽부(110)의 내벽면의 형상을 따라 내측으로 가이드되어 조리 그릴 부재(200)에 놓이는 요리물의 상부 측을 보다 직접적으로 조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랜지부(140)는 측벽부(11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수평 플랜지부), 그 연장단에서 상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수직 플랜지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플랜지부(140)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외부 연통 수단(400)이 형성되며, 또한 아래에서 설명될 손잡이 부재(5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재 착탈 슬롯부(5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100)에는 가열수단이 불이 바닥부에서 통과할 수 있게 바닥 화염 통과부(15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 화염 통과부(150)는 상기 바닥부(120)의 요철부의 요부(121a)와 철부(121b) 중 적어도 하나에서 돌출되는 단면 원추대 돌기(151), 및 상기 단면 원추대 돌기부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는 원형 또는 장공(슬롯)의 화염 통과공(152)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그릴 부재(100)에 형성되는 바닥 화염 통과부는 아래에서 설명될 조리 그릴 부재(200)의 바닥 화염 통과부의 형성 위치에 상응한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 그릴 부재(100)와 조리 그릴 부재(200)에 형성되는 바닥 화염 통과부는 베이스 그릴 부재(100)의 가장자리에서 유입되는 가열수단의 불과 함께 바닥부에서도 제공하게 되어 요리물의 직화 맛을 한층 더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조리 그릴 부재(200)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100) 내에 수용되어 요리물이 놓이는 구성부이다.
상기 조리 그릴 부재(200)는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100)에 형성된 요철부(121a, 121b)의 형성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요철부(211, 212)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조리 그릴 부재(200)의 요철부(211, 21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조리 그릴 부재(200)가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100)에 놓일 때, 베이스 그릴 부재(100)의 바닥부(120)의 요철부(121a, 121b)에 대하여 선 접촉하면서 지지되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조리 그릴 부재(200)에서 베이스 그릴 부재(100)를 향하는 측의 돌출부의 바닥 폭은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100)의 요부의 바닥 폭보다 크고, 베이스 그릴 부재(100)의 요부의 상단 폭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조리 그릴 부재(200)의 돌출부의 양측 하단은 베이스 그릴 부재(100)의 요부의 중간이나 중간 상부 측에 걸리는 형태가 된다. 또한, 상기 조리 그릴 부재(200)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하부 측(도 6에서 상부 측으로 돌출된 부분)과 베이스 그릴 부재(100)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상부 측에서 상기한 형태로 구성하여 공간을 형성시킨다.
이에 따라 베이스 그릴 부재(100)에 조리 그릴 부재(200)가 놓인 상태에서 조리 그릴 부재(200)의 하면은 선 접촉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베이스 그릴 부재(100)의 바닥부(120)에서 떨어져 있게 되고, 그 공간 사이로 최대한 많은 양의 열을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리 그릴 부재(200)에는 가열수단이 불이 바닥부에서 통과할 수 있게 조리 그릴 부재(200)의 요부에 형성된 바닥 화염 통과부(22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바닥 화염 통과부(220)는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100)에 형성되는 바닥 화염 통과부의 형성 위치에 상응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바닥 화염 통과부(220)는 상기 조리 그릴 부재(200)의 요부에서 돌출되는 단면 원추대 돌기(221), 및 상기 단면 원추대 돌기(221)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는 원형 또는 장공(슬롯)의 화염 통과공(222)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 그릴 부재(200)는 상기 단면 원추대 돌기(221)의 근위부(proximal end portion)의 둘레부(즉, 단면 원추대 돌기의 바닥 둘레부)에 기름 배출공(22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리 그릴 부재(200)의 상단에는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부(230)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3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손잡이 부재(5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재 착탈 슬롯부(510)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230)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뚜껑 부재(300)는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100)의 상부를 커버하되 베이스 그릴 부재(100)를 통과하는 가열수단의 불(화염)이 조리 그릴 부재(200)의 상부 측에서 순환 흐름을 갖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 부재(30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과 타측이 길이방향의 중심라인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되, 상측으로 오목한 형상(또는 돔 형상)의 단면을 갖는 뚜껑 바디(310)와, 상기 뚜껑 바디(310)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노브(320)를 포함한다.
상기 뚜껑 바디(310)는 베이스 그릴 부재(100)의 상부 개방부를 커버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갖고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 연통 수단(400)은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100)와 뚜껑 부재(300) 간에 형성되어 상기 뚜껑 부재(300)가 베이스 그릴 부재(100)를 커버한 상태에서 외부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구성부이다.
상기 외부 연통 수단(400)은 일 실시 형태로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100)의 플랜지부(140)(구체적으로는, 플랜지부(140)의 수평 플랜지부)에 하나 이상 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연통 수단(400)은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뚜껑 부재(300)의 가장자리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 또는 뚜껑 부재(300)의 가장자리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절개 형성되는 절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연통 수단(400)은 상기한 일 실시 형태와 다른 실시 형태가 함께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연통 수단(400)은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100)의 플랜지부(140)(구체적으로는, 플랜지부(140)의 수평 플랜지부) 및 상기 뚜껑 부재(300)의 가장자리의 하단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 및 상기 뚜껑 부재(300)의 가장자리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절개 형성되는 절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 팬은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100) 및/또는 조리 그릴 부재(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 부재(500)를 더 포함한다.
물론, 상기 손잡이 부재(500)는 베이스 그릴 부재(100)와 조리 그릴 부재(200) 각각에 일체형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부재(500)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상기 손잡이 부재(50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부가 절곡되고 그 절곡된 단부에서 걸림턱이 돌출된 판상 막대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100)의 플랜지부(140)(수평 플랜지부)에 손잡이 부재(5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재 착탈 슬롯부(510)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조리 그릴 부재(200)의 상단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부(230)에 손잡이 부재(5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재 착탈 슬롯부(510)가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 팬에 의하면, 생선이나 육류 등의 요리물을 직화 조리 시 뒤집을 필요없이 조리할 수 있어 사용자가 일일이 뒤집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직화 맛이 골고루 나는 요리물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요리물의 상부 측으로 화염을 확실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직화구이기로서의 기능을 신뢰성 있게 확보할 수 있으며, 요리물에서 발생되는 기름에 의해 타는 것을 최소화하여 담백하고 맛있는 요리물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베이스 그릴 부재
110: 측벽부
120: 바닥부
121a, 121b: 요철부
122: 돌출부
130: 직화부
140: 플랜지부
150, 220: 바닥 화염 통과부
151, 221: 단면 원추대 돌기
152, 222: 화염 통과공
223: 기름 배출공
200: 조리 그릴 부재
211, 212: 요철부
300: 뚜껑 부재
310: 뚜껑 바디
320: 노브
400: 외부 연통 수단
500: 손잡이 부재
510: 손잡이부재 착탈 슬롯부

Claims (10)

  1. 상부 개방되고, 화염이 통과되게 형성되는 베이스 그릴 부재;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에 수용되며, 요리물이 놓이는 상부 개방의 조리 그릴 부재;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의 상부를 커버하는 뚜껑 부재; 및
    상기 뚜껑 부재가 베이스 그릴 부재를 커버한 상태에서 내부가 외부와 연통되게 상기 뚜껑 부재 및 베이스 그릴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외부 연통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 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는,
    측벽 4면을 형성하는 측벽부;
    바닥면에 요철부가 종방향 또는 횡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바닥부;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플랜지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화염이 통과하는 직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 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는,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되어 손잡이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슬롯(slot) 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재 착탈 슬롯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 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화부는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 간격을 갖고 슬롯(slot) 형태로 절개되어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조리 그릴 부재는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에 형성된 요철부의 요부의 형성 방향과 동일한 방향과 간격으로 형성된 요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 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그릴 부재가 베이스 그릴 부재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조리 그릴 부재의 요철부는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의 요철부와 공간을 갖고 놓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 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부재는,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의 상부를 커버하되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를 통과하는 가열수단의 불이 조리 그릴 부재의 상부 측에서 순환 흐름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 팬.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부재는 일측과 타측이 길이방향의 중심라인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되, 상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단면을 갖는 뚜껑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 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연통 수단은,
    상기 베이스 그릴 부재의 플랜지부에 하나 이상 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 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그릴 부재의 상단에는 외부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 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 형성되어 손잡이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슬롯(slot) 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재 착탈 슬롯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 팬.
KR1020220029902A 2022-03-10 2022-03-10 직화구이 팬 KR202301329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902A KR20230132967A (ko) 2022-03-10 2022-03-10 직화구이 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902A KR20230132967A (ko) 2022-03-10 2022-03-10 직화구이 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967A true KR20230132967A (ko) 2023-09-19

Family

ID=88196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902A KR20230132967A (ko) 2022-03-10 2022-03-10 직화구이 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2967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681Y1 (ko) 2005-10-04 2005-12-27 이신근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냄비
KR101550016B1 (ko) 2015-04-01 2015-09-07 (주)창보 직화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964559B1 (ko) 2018-08-14 2019-04-01 서경찬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KR102214329B1 (ko) 2018-03-16 2021-02-08 김정욱 직화 구이용 조리기
KR102354408B1 (ko) 2021-07-14 2022-01-21 김정욱 직화구이용 조리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681Y1 (ko) 2005-10-04 2005-12-27 이신근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냄비
KR101550016B1 (ko) 2015-04-01 2015-09-07 (주)창보 직화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214329B1 (ko) 2018-03-16 2021-02-08 김정욱 직화 구이용 조리기
KR101964559B1 (ko) 2018-08-14 2019-04-01 서경찬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KR102354408B1 (ko) 2021-07-14 2022-01-21 김정욱 직화구이용 조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6211B2 (ja) 加熱調理容器
KR100869185B1 (ko) 간편 조리기
EP0780078A1 (en) Food steamer
KR102263362B1 (ko) 전골 및 구이용 팬이 마련된 가정용 불판
KR200433024Y1 (ko) 기름 배출 수단이 구비된 숯불구이판
KR200460018Y1 (ko) 다목적 조리기
KR20120121497A (ko) 찜 구이용 조리기
KR20230132967A (ko) 직화구이 팬
KR200421281Y1 (ko) 분리형 숯불구이 불판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US20200297162A1 (en) Apparatus for cooking food
KR101813854B1 (ko) 직화구이기
KR200401810Y1 (ko) 구이판
KR200455177Y1 (ko) 개량 신선로
KR200459604Y1 (ko) 찜통형 직화 조리기구
KR100520912B1 (ko) 솥뚜껑 구이 장치
KR102447387B1 (ko) 구이판
KR20090051589A (ko) 다층 조리기
KR200371930Y1 (ko) 직열 투입 조리용기
CN215016282U (zh) 烹饪器具
CN211299581U (zh) 多功能锅及餐桌
JP3185556U (ja) ミニ焼き板
EP1444934B1 (en) Grill unit and cooking apparatus with the same
KR200332180Y1 (ko) 훈증기능의 배기부를 가지는 불판
KR20170133676A (ko) 직화구이 프라이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