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559B1 -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559B1
KR101964559B1 KR1020180095004A KR20180095004A KR101964559B1 KR 101964559 B1 KR101964559 B1 KR 101964559B1 KR 1020180095004 A KR1020180095004 A KR 1020180095004A KR 20180095004 A KR20180095004 A KR 20180095004A KR 101964559 B1 KR101964559 B1 KR 101964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lid
double
hole
inflow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찬
Original Assignee
서경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찬 filed Critical 서경찬
Priority to KR1020180095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5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적 개선을 통해 가열기의 화기를 조리공간 내부로 직접 유입시켜 조리물을 균일하게 조리함과 더불어, 특히 넘침을 방지하여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 발생 물질을 화염에 의해 연소되도록 함으로써 냄새 발생을 크게 줄이도록 한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본체를 이중벽 구조로 구성하는 구조적 재선을 통해 하면은 물론이고 측면과 상측으로도 화기를 유입시켜 음식물을 조리함에 따라 신속하면서도 균일하게 조리할 수 있으며, 특히 뚜껑에 패킹을 구비하여 조리공간을 밀폐함으로써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의 외부 누출을 차단하여 유입공 측에서 연소시킴에 따라 냄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나아가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현상 또한 방지할 수 있는 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A DOUBLE COOK-POT}
본 발명은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적 개선을 통해 가열기의 화기를 조리공간 내부로 직접 유입시켜 조리물을 균일하게 조리함과 더불어, 특히 넘침을 방지하여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 발생 물질을 화염에 의해 연소되도록 함으로써 냄새 발생을 크게 줄이도록 한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냄비와 같은 조리용기는 내부에 음식물을 담는 조리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조리공간 하면을 직화로 가열하여 조리하게 된다. 이렇게 냄비 하면을 직화로 가열하는 방식은 열원의 일부가 외부로 분산되어 열효율이 떨어지게 되어 조리시간이 길어지며, 열원을 낭비하게 되는 단점이 있어, 근래에는 이중구조를 가지는 조리용기들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04681호(2005.12.27. 공고)의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냄비가 그 대표적이다.
이 공보를 참조로 하면, 내부본체와 외부본체로 구성되어서 그 사이로 화기가 제공되고, 제공된 화기는 화기홀을 통해 조리공간으로 유입되어져 조리물의 상하측을 동시에 조리하도록 하여 균일하면서도 빠르게 조리를 가능토록 한 냄비를 제공하고 있다. 물론, 이의 이중냄비에 따라면 균일한 조리와 신속한 조리를 기대할 수 있으나, 조리과정에서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현상이 발생되면 화기홀을 통해 화염쪽으로 배출되어져 화기가 꺼지거나 주변을 오염시키는 현상이 빈번하게 연출되었으며, 동시에 뚜껑이 고압에 의해 열리면서 그 틈새로 음식물이 유출되어 주변 오염과 더불어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그대로 외부로 유출됨에 따른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적 개선을 통해 가열기의 화기를 조리공간 내부로 직접 유입시켜 조리물을 균일하게 조리함과 더불어, 특히 넘침을 방지하여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 발생 물질을 화염에 의해 연소되도록 함으로써 냄새 발생을 크게 줄이도록 한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면은 화염이 진입되는 진입공이 형성된 외부본체와, 상기 외부본체 내측에 구비되어 이중벽 구조를 가지되, 상기 진입공을 통해 진입된 화염 및 열기를 상측으로 유도하는 유도로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부로 개방된 조리공간을 형성하고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유도로를 따라 유도된 열기가 조리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내부본체로 이루어진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 상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내부본체에 형성된 조리공간을 밀폐하도록 가장자리에 패킹이 구비된 뚜껑;을 포함하여, 상기 뚜껑의 밀폐로 인해 상기 진입공을 통해 진입된 화염 및 열기가 상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되, 상기 내부본체의 유입공 상부로 상향 돌출된 중공의 돌기봉을 구비하여 넘치는 음식물이 유입공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패킹의 하면에는 하향 연장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어져 조리시 발생되는 수증기나 수분이 뚜껑 하면에 맺혀 가장자리로 이동될 때 상기 유입공으로 낙하되지 않고 내부본체의 조리공간으로 낙하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용기본체의 하면에는 바닥면을 수평되게 하는 하판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하판은 화염이 소통될 수 있도록 다수의 소통공을 형성하고, 자성체로 구성되어져 간접 가열방식의 가열기구로도 조리를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본체는 외부본체에 일체형 혹은 분리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유입공의 외측으로는 조리시 물을 저장시키거나 끓일 때 넘치는 음식물을 저장하기 위한 오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뚜껑의 하면에는 돌출테가 형성되어져 조리시 발생되는 수증기나 수분이 뚜껑 하면에 맺혀 가장자리로 이동될 때 상기 유입공으로 낙하되지 않고 내부본체의 조리공간으로 낙하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용기본체의 상측에는 적어도 한 군데 이상 절개공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에는 배출공이 적어도 한 군데 이상 형성되어, 상기 뚜껑을 회전시켜 배출공과 절개공을 일치시키면 상기 조리공간이 외부와 소통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조리 대상물에 따라 밀폐를 선택적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본체를 이중벽 구조로 구성하는 구조적 재선을 통해 하면은 물론이고 측면과 상측으로도 화기를 유입시켜 음식물을 조리함에 따라 신속하면서도 균일하게 조리할 수 있으며, 특히 뚜껑에 패킹을 구비하여 조리공간을 밀폐함으로써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의 외부 누출을 차단하여 유입공 측에서 연소시킴에 따라 냄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나아가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현상 또한 방지할 수 있는 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뚜껑을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 및 뚜껑의 결합관계를 보인 종단면도.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나"는 제2실시예에 따른 뚜껑을 보인 종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의 결합관계를 보인 결합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뚜껑을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 및 뚜껑의 결합관계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나"는 제2실시예에 따른 뚜껑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10)는 크게 용기본체(100) 및 뚜껑(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용기본체(100)는 하면은 화염이 진입되는 진입공(112)이 형성된 외부본체(110) 및 상기 외부본체(110) 내측에 구비되어 이중벽 구조를 가지되, 상기 진입공(112)을 통해 진입된 화염 및 열기를 상측으로 유도하는 유도로(122)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부로 개방된 조리공간(124)을 형성하고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유도로(122)를 따라 유도된 열기가 조리공간(124)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공(126)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내부본체(120)로 이루어진다.
즉, 이중벽 구조를 가진 상기 외/내부본체(110,120) 사이에는 유도로(122)가 형성되어, 외부본체(110) 하면에 형성된 진입공(112)을 통해 유입된 화염이나 열기를 상부로 유도하고, 상부로 유도된 열기는 내부본체(120)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유입공(126)을 통해 조리공간(124)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100)의 하면에는 바닥면을 수평되게 하는 하판(130)이 더 구비되어지되, 상기 하판(130)은 화염이 소통될 수 있도록 다수의 소통공(132)을 형성하고, 적어도 일부에는 자성체로 구성되어져 인덕션, 하이라이트와 같은 간접 가열방식의 가열기구로도 조리를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판(130)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하판(130)의 중앙에는 관통공(134)을 형성하여 최근에 제공되는 가스레인지에 구비되는 가열 방지 안전핀이 하판(130)에 닿지 않고 내부본체(120) 하면에 직접 닿도록 구성하여 가열로 인해 화염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본체(120)의 상면에 형성된 유입공(126)의 외측으로는 조리시 물을 저장시키거나 끓일 때 넘치는 음식물을 저장하기 위한 오목부(128)가 더 형성되는 것이 좋고, 도 2의 일부 확대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내부본체(120)의 유입공(126) 상부로 상향 돌출된 중공의 돌기봉(127)을 구비하여 넘치는 음식물이 유입공(126)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뚜껑(200)은 상기 용기본체(110) 즉, 외부본체(110) 상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내부본체(120)에 형성된 조리공간(124)을 밀폐하도록 가장자리에 패킹(210)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패킹(210)의 내측에는 하향 연장 형성된 돌출부(212)가 형성되어진다. 이 돌출부(212)가 형성되는 것은 조리과정에서 발생되어 뚜껑(200) 하면에 맺히는 물방울이 뚜껑의 형상을 따라 가장자리 부분으로 이동될 때 내부본체(120)에 형성된 유입공(126)으로 낙하되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이 작동관계는 하기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용기본체(100) 및 뚜껑(200)은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된다.
상기 뚜껑(200)을 용기본체(100) 즉, 외부본체(110) 상면에 안착시키게 되면 패킹(210)을 매개로 상기 내부본체(120)의 조리공간(124)을 상부에서 밀폐하게 된다. 물론, 상기 조리공간(124)을 뚜껑(200)을 매개로 상부에서 밀폐하더라도 유입공(126) 및 유도로(122)를 매개로 외부와 소통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조리공간(124)은 오로지 상기 유입공(126) 및 유도로(122)를 매개로 외부와 소통되는 구성인 것이다. 이때, 상기 뚜껑(200)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패킹(210)은 내부본체(120)에는 닿지 않고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어 상기 유입공(126)을 막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의 "가"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100')를 도시하고 있는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내/외부본체(110,120)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음이 차이점이다. 이런 경우에는 내부본체(120)에 유입공(126)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본체(110) 내벽 상측에 파선으로 도시된 간격돌기(114)를 형성하여 내부본체(120) 결합시 외부본체(110)와 사이에 유입공(126)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듯 상기 내/외부본체(110,120)는 일체형 혹은 분리형 모두 가능한 구성임을 인지해야 된다.
"나"를 참조로 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뚜껑(200')이 도시되어 있는데, 뚜껑(200) 하면 가장자리 내측에 돌출테(214)를 형성하고 있다. 이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뚜껑(200) 패킹(210)에 형성되는 돌출부(212)를 대신하여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뚜껑(200') 자체에 돌출테(214)를 형성하게 되면 패킹(210)에는 돌출부(212)를 형성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리용기의 사용상태 및 작동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로 하면, 내부본체(120)의 조리공간(124) 내에 조리할 음식물을 넣어 두게 되는데 음식물 종류 특히, 기름기가 많은 고기류를 조리할 때에는 조리공간(124) 내에 채반(300)을 넣어 기름기가 빠질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준비가 완료되면 뚜껑(200)을 외부본체(110) 상면에 안착시켜 조리공간(124)을 밀폐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하측에 구비된 가열기구(400)로부터 화염을 제공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는데, 용기본체(100)의 하면에는 자성체로 된 하판(130)이 구비되어 인덕션 및 하이라이트와 같은 간접 가열방식의 가열기구로도 조리가 가능함은 당연하다.
계속해서, 화염이 제공되면 내부본체(120)의 바닥을 가열함은 당연하고, 진입공(112)으로 진입된 화염 및 열기는 유도로(122)를 따라 내부본체(120)의 측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측면 또한 가열하게 되며, 내부본체(120)의 상면에 형성된 유입공(126)을 통해 조리공간(124) 내부로 유입되어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음식물의 상하 및 측면에서 입체적으로 열기를 제공하여 조리함에 따라 뒤집을 필요 없으며, 신속한 조리를 가능하게 하는 큰 장점이 있다.
한편, 조리공간(124)은 뚜껑(200)의 패킹(210)으로 인해 밀폐되어 있어 화기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 발생 물질이 상부로 누출되지 않을 것이고, 다만 외부와 소통되는 통로인 유입공(126) 및 유도로(122)를 통해 누출될 것이나, 유도로(122) 및 유입공(126)으로는 화염이 공급되고 있어 누출 과정에서 화염에 연소됨에 따라 냄새 발생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밥을 하거나 국을 끓일 경우 많은 거품이 발생될 것인데, 이때 발생된 거품은 조리공간(124) 상부는 뚜껑(200)으로 인해 밀폐되어 있어 넘치지 못하고, 외부와 소통되는 유입공(126) 측으로 유입될 수 있으나, 역시 이 유입공(126)으로는 외부에서 고온의 열기가 유입됨에 따라 발생된 거품이 넘치지 못하고 소강상태로 접어들게 되어 있어 음식물이 넘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예상치 못한 효과도 있다. 일부 넘치는 음식물은 내부본체(120)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오목부(128)에 저장될 것이다.
계속해서, 도 7을 참조로 하면, 조리과정에서 수분이 증발됨에 따라 뚜껑(200) 하면에 맺히게 되는데, 뚜껑(200)은 통상적으로 반구형의 오목한 형상을 가지므로 맺히는 수분 및 수증기는 가장자리 측으로 이동되는데 패킹(210)의 돌출부(212)에 걸려 더 이상 가장자리로 이동되지 못하고 내부본체(120)의 조리공간(124) 내부로 낙하될 것이다. 이렇듯 수분 증발을 최소화시켜 음식물이 촉촉한 상태로 조리될 수 있게 됨은 당연하다.
한편, 여기서는 미도시 하고 있으나 제2실시예에서 도시하는 뚜껑(200')의 돌출테(214) 또한 패킹(210)의 돌출부(212)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결국, 용기본체(100)의 하면은 물론이고 측면과 상측으로도 화기를 유입시켜 음식물을 조리함에 따라 신속하면서도 균일하게 조리할 수 있으며, 뚜껑(200)에 패킹(210)을 구비하여 조리공간(124)을 밀폐함으로써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의 외부 누출을 차단하여 유입공(126) 측에서 연소시킴에 따라 냄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나아가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현상 또한 방지할 수 있는 큰 장점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조리용기는 도면을 통해 원통형 형태로 도시하고 있으나, 타원형, 사각형 등 그 형상을 달리 구현할 수 있으며, 본원에서는 그 형상에 대해서 한정하지 않음을 명백히 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의 결합관계를 보인 결합 종단면도이다.
도 8 및 9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10')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이중 조리용기(10)와 마찬가지로 용기본체(100) 및 뚜껑(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여기서는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제2실시예에서는 용기본체(100) 즉, 외부본체(110)의 상측에 절개공(116)을 적어도 한 군데 이상 형성하고, 뚜껑(200)의 가장자리에 장착된 패킹(210)의 외측면에 배출공(216)을 적어도 한 군데 이상 형성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렇게 구성된 상태에서 뚜껑(200)을 닫을 때 패킹(210)에 형성된 배출공(216)과 외부본체(110)에 형성된 절개공(116)을 도 9와 같이 일치시키게 되면 조리공간(124)과 외부를 직접 소통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뚜껑(200)을 회전시켜 패킹(210)에 형성된 배출공(216)과 절개공(116)을 어긋나게 하면 조리공간(124)이 외부와 직접 소통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조리공간(124)이 선택에 의해 외부와 직접 소통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은 조리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조리공간(124) 내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서서히 조리할 필요성이 있을 경우 사용자에 의해 뚜껑(200)의 밀폐를 해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다양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폭 넓은 조리용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10' :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100 : 용기본체
110 : 외부본체 112 : 진입공
114 : 간격돌기 116 : 절개공
120 : 내부본체 122 : 유도로
124 : 조리공간 126 : 유입공
127 : 돌기봉 128 : 오목부
130 : 하판 132 : 소통공
134 : 관통공 200 : 뚜껑
210 : 패킹 212 : 돌출부
214 : 돌출테 216 : 배출공
300 : 채반 400 : 가열기구

Claims (8)

  1. 하면은 화염이 진입되는 진입공이 형성된 외부본체와, 상기 외부본체 내측에 구비되어 이중벽 구조를 가지되, 상기 진입공을 통해 진입된 화염 및 열기를 상측으로 유도하는 유도로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부로 개방된 조리공간을 형성하고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유도로를 따라 유도된 열기가 조리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내부본체로 이루어진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 상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내부본체에 형성된 조리공간을 밀폐하도록 가장자리에 패킹이 구비된 뚜껑;을 포함하여,
    상기 뚜껑의 밀폐로 인해 상기 진입공을 통해 진입된 화염 및 열기가 상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되,
    상기 내부본체의 유입공 상부로 상향 돌출된 중공의 돌기봉을 구비하여 넘치는 음식물이 유입공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패킹의 하면에는 하향 연장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어져 조리시 발생되는 수증기나 수분이 뚜껑 하면에 맺혀 가장자리로 이동될 때 상기 유입공으로 낙하되지 않고 내부본체의 조리공간으로 낙하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하면에는 바닥면을 수평되게 하는 하판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하판은 화염이 소통될 수 있도록 다수의 소통공을 형성하고, 자성체로 구성되어져 간접 가열방식의 가열기구로도 조리를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본체는 외부본체에 일체형 혹은 분리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유입공의 외측으로는 조리시 물을 저장시키거나 끓일 때 넘치는 음식물을 저장하기 위한 오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하면에는 돌출테가 형성되어져 조리시 발생되는 수증기나 수분이 뚜껑 하면에 맺혀 가장자리로 이동될 때 상기 유입공으로 낙하되지 않고 내부본체의 조리공간으로 낙하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측에는 적어도 한 군데 이상 절개공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에는 배출공이 적어도 한 군데 이상 형성되어, 상기 뚜껑을 회전시켜 배출공과 절개공을 일치시키면 상기 조리공간이 외부와 소통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조리 대상물에 따라 밀폐를 선택적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KR1020180095004A 2018-08-14 2018-08-14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KR101964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004A KR101964559B1 (ko) 2018-08-14 2018-08-14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004A KR101964559B1 (ko) 2018-08-14 2018-08-14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4559B1 true KR101964559B1 (ko) 2019-04-01

Family

ID=66104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004A KR101964559B1 (ko) 2018-08-14 2018-08-14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5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2967A (ko) 2022-03-10 2023-09-19 주식회사 지에스메탈 직화구이 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959U (ko) * 1996-11-27 1998-08-17 정재만 음식물 넘침방지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KR200356403Y1 (ko) * 2004-04-24 2004-07-15 주식회사 해피콜 직화 조리기
KR200422327Y1 (ko) * 2006-05-04 2006-07-25 비전아트주식회사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냄비
KR101430345B1 (ko) * 2013-02-13 2014-08-13 류은영 냄새 저감형 이중 조리용기
JP3194385U (ja) * 2014-09-08 2014-11-20 ヤマト化工株式会社 食器蓋の内面構造
KR20180067206A (ko) * 2016-12-12 2018-06-20 송상민 인덕션 렌지용 부침개 조리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959U (ko) * 1996-11-27 1998-08-17 정재만 음식물 넘침방지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KR200356403Y1 (ko) * 2004-04-24 2004-07-15 주식회사 해피콜 직화 조리기
KR200422327Y1 (ko) * 2006-05-04 2006-07-25 비전아트주식회사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냄비
KR101430345B1 (ko) * 2013-02-13 2014-08-13 류은영 냄새 저감형 이중 조리용기
JP3194385U (ja) * 2014-09-08 2014-11-20 ヤマト化工株式会社 食器蓋の内面構造
KR20180067206A (ko) * 2016-12-12 2018-06-20 송상민 인덕션 렌지용 부침개 조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2967A (ko) 2022-03-10 2023-09-19 주식회사 지에스메탈 직화구이 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0510B2 (en) Lightweight, portable cooking stove
BR0204819B1 (pt) forno a álcool.
KR101964559B1 (ko)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KR100928141B1 (ko) 가압식 고온 가열 조리기구
US4238996A (en) Two-staged pressure cooker
KR200471265Y1 (ko) 펠릿난로
KR20120084058A (ko) 중탕기
US9820602B2 (en) Steam heating boiler
KR101286836B1 (ko) 업소용 대형국솥
TW201628541A (zh) 蒸汽鍋具
KR102130609B1 (ko)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KR20130001752A (ko) 외통과 솥에 뚜껑이 결합된 다기능 만능솥
KR101142320B1 (ko) 조리용기
KR200331607Y1 (ko) 차단막이 있는 가열용기
KR100433315B1 (ko) 조리기
US20080233526A1 (en) Heating Apparatus
KR102182330B1 (ko) 가열조리기
KR200471850Y1 (ko) 냄새 저감형 조리용기
KR20190064952A (ko) 조리용 용기
JP3184300U (ja) 携帯調理器
JP2012125542A (ja) 直火加熱用調理器具
KR20240045871A (ko)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
RU2694083C2 (ru) Способ экономии тепловой энергии при варке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их хранения после варк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240050096A (ko) 육류 구이용 숯통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