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320B1 -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320B1
KR101142320B1 KR1020110113316A KR20110113316A KR101142320B1 KR 101142320 B1 KR101142320 B1 KR 101142320B1 KR 1020110113316 A KR1020110113316 A KR 1020110113316A KR 20110113316 A KR20110113316 A KR 20110113316A KR 101142320 B1 KR101142320 B1 KR 101142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container
hole
cooking
clea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근옥
Original Assignee
송근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근옥 filed Critical 송근옥
Priority to KR1020110113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Abstract

본 발명은 캡(30)에 의해 통관(20)의 상단이 씌워짐으로써 음식물의 찌꺼기나 국물 등의 낙하를 미연에 차단함과 동시에 용기(10) 속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여 통관(20) 내부가 오염되거나 통관(20) 속으로 낙하되는 국물의 연소에 의한 냄새 및 연기의 발생을 방지하고, 국물 낙하 등의 차단과 더불어 증기배출공(30a)을 통한 증기의 배출을 유도하여 화력에 의한 증기의 연소를 더욱 철저히 보장할 수 있는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리용기{COOKING CONTAINER}
본 발명은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소화된 부품으로 생산성 및 조립성을 보장하면서 더욱 편리하게 냄새 및 증기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냄비나 팬 등과 같은 조리용기는 음식물을 끓이거나 익히는 과정에서 증기를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증기는 용기와 뚜껑 사이의 틈새나 뚜껑 자체에 뚫려진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곤 한다.
그런데, 용기와 뚜껑 사이의 틈새나 배출공을 통해 증기가 곧바로 배출될 경우 증기 속에 함유된 음식물의 냄새미립자가 주변으로 확산되어 냄새를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겨울철 주변의 습도를 높여 불편함을 초래한다.
선행문헌(대한민국 특허 제0974799호; 배기장치가 구비되는 조리용 팬) 선행문헌의 조리용 팬은 요리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냄새나 연기를 효율적으로 줄여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리용 팬을 달구게 되는 고온의 화기를 이용하여 배기관을 통해 조리용 팬 내부의 공기를 흡입시켜서 연기와 냄새를 연소시키는 원리에 기초한다. 즉, 뚜껑을 닫은 채 요리를 하는 조리용 팬의 내부는 가스불에 의해 열팽창되어 내부 압력이 높아지게 되며, 반대로 조리용 팬의 바닥부는 화기와 열기가 상승되면서 압력이 낮아진 상태가 되므로 조리용 팬의 외측 바닥부 중심부에 연결되는 배기관을 통해서 조리용 팬 내부의 공기가 자연스럽게 빨려나가게 되면서 팬 내부에 발생된 냄새와 연기의 배출이 이루어지고 고온의 가스불은 대략 1000~1400℃에 달하므로 배출되는 냄새와 연기는 상당량 연소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선행문헌에 따른 조리용 팬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선행문헌에 따른 조리용 팬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선행문헌에 따른 조리용 팬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며, 도 4는 선행문헌에 따른 조리용 팬을 저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선행문헌의 배기장치가 구비되는 조리용 팬(100)은 뚜껑(101)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요리를 하는 경우 뚜껑(101)을 닫은 상태에서 가열하게 된다. 특히, 선행문헌에서의 조리용 팬(100)은 주로 가스렌지와 같은 화기를 이용한 조리용 팬(100) 하부면을 가열시키도록 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조리용 팬(100)의 바닥부(110) 하부면 중앙에 이격거리를 두고 분산판(120)이 설치되며, 분산판(120)이 조리용 팬 바닥부(110) 하부면에 결합됨으로써, 배기공간부(130)가 마련된다. 그리고, 조리용 팬(100)의 내부와 배기공간부(130)를 연결시키는 배기관(140)이 마련되는데, 선행문헌의 실시예의 경우 바닥부(110) 중앙에 형성된 배기공(111)에 연결되게 바닥부 상부면에 돌출 형성시키도록 하고, 배기관(140)이 조리용 팬(100) 내부에 형성되어 바닥부 하부면과 바닥부 상부면인 조리용 팬 내부가 연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조리용 팬(100)의 바닥부(110) 하부면 중앙부에 분산판(120)이 하부면과 소정의 이격거리를 형성하면서 결합되어 배기공간부(130)를 제공하게 되는데, 조리용 팬(100) 바닥부(110) 하부면에 분산판(120)이 배기공간부(130)를 형성하면서 결합되게 하기 위해 선행문헌의 실시예에서는 바닥부(110) 하부면에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너트(112)를 구비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10) 중심부에 배기관(140)과 연결되게 천공된 배기공(111)이 구비되며 배기공(111) 둘레로 3개의 돌기너트(112)가 돌출된다. 돌기너트(112)라 함은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볼트(b)와 결합이 되는 것을 의미하는데, 분산판(120)은 볼트(b)를 이용해서 돌기너트(112)에 볼트(b)를 체결하는 것으로 조리용 팬(100) 바닥부 하부면에 설치된다. 돌기너트(112)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분산판(120)이 결합되면 배기공간부(130)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분산판(120)은 상면 중앙부에 원추형으로 돌출되는 배기분산부(121)가 구비되고, 분산판(120)의 하면은 볼록하게 굽은 형태의 화기분산부(122)를 두도록 설계된다. 분산판(120) 상면에 돌출되는 배기분산부(121)는 배기공(111)의 중심과 일치되는 위치에 있게 되는데, 배기분산부(121)는 배기관(140) 및 배기공(111)을 통해서 배출되는 조리용 팬 내부의 냄새나 연기가 골고루 퍼지면서 배기공간부(130)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분산판(120)의 하면에 볼록하게 형성되는 화기분산부(122)는 분산판(120)에 닿게 되는 화기가 외측으로 분산되면서 상승되는 형태의 흐름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즉, 화기분산부(122)로 인해 화기가 외향으로 빠르게 흐를 수 있도록 하여 화기의 흐름을 좋게 하고 압력 차이를 크게 형성시켜서 조리용 팬 내부에 형성된 연기와 냄새가 보다 더 잘 빨려 나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분산판(120)의 존재로 인해 가스렌지에서 발생되는 화기는 분산판(120)에 닿은 후 외향으로 분산되면서 상승되려는 경향을 나타내기 때문에 조리용 팬(100) 내부의 배기관(140)에서부터 배기공간부(130)로 공기의 흐름이 생기게 되어 조리용 팬 내부의 냄새와 연기는 가스렌지의 화기에 의해 연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선행문헌에 따른 조리용 팬은 구성이 복잡하여 생산성 및 조립성 나아가 사용 편리성이 크게 떨어지고, 특히 뚜껑(101)을 열고 배기관(140) 속으로 음식물의 찌꺼기나 국물이 떨어질 경우 오히려 냄새 또는 연기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이렇게 음식물의 찌꺼기나 국물이 떨어질 경우를 대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세척관(170)을 구비하여야만 하는 단점을 추가로 안고 있다. 본원 출원인은 선행문헌을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생산성 및 조립성뿐만 아니라 냄새를 비롯한 증기의 소멸 및 연소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개발하여 본 발명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냄새 및 연기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화력에 의한 증기의 연소를 철저히 보장할 수 있는 조리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증기가 증기배출공을 경유한 후 증기체류통에 머물면서 연소될 수 있도록 하여[증기의 연소 간격(시간)을 좀 더 길게 하여] 증기 연소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며[화력이 증기체류통을 감싸면서 분출되므로 증기의 연소효율은 더욱 극대화됨], 다시 증기분산공을 통해 빠져나가면서 화력에 의해 재연소될 수 있도록 하여 연소시간의 연장 및 증기의 분산을 통한 연소효율의 극대화로서 냄새 및 증기의 발생을 극소화시킴과 동시에 화력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조리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력에 의한 캡의 들썩거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조리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관의 상단으로부터 통공에 이르기까지 상협하광(上狹下廣)의 직경을 이루도록 하여 가스레인지로부터의 화력을 통관 속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수용시켜 증기의 연소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조리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관 내부에서의 증기의 분산으로 연소효율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는 조리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소화된 부품으로 생산성 및 조립성을 보장하면서 보다 편리하게 냄새 및 증기의 발생을 극소화시킬 수 있는 조리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에 씌워지는 뚜껑을 포함하는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바닥에 뚫려진 통공과, 상기 통공으로부터 일체 연장 상승되는 통관을 구비하고,
상기 통관의 상단을 씌우면서 증기배출공을 지닌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캡으로 통관의 상단을 씌워 음식물의 찌꺼기나 국물 등의 낙하를 미연에 차단함과 동시에 용기 속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여 냄새 및 연기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화력에 의한 증기의 연소를 더욱 철저히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증기가 증기배출공을 경유한 후 증기체류통에 머물면서 연소될 수 있도록 하여[증기의 연소 간격(시간)을 좀 더 길게 하여] 증기 연소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화력이 증기체류통을 감싸면서 분출되므로 증기의 연소효율은 더욱 극대화됨], 다시 증기분산공을 통해 빠져나가면서 화력에 의해 재연소될 수 있도록 하여 연소시간의 연장 및 증기의 분산을 통한 연소효율의 극대화로서 냄새 및 증기의 발생을 극소화시킴과 동시에 화력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캡이 통관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어 세척시 용기의 손잡이를 파지하든 캡을 파지하든 자유롭게 용기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면서도, 화력에 의한 캡의 들썩거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통관의 상단으로부터 통공에 이르기까지 상협하광(上狹下廣)의 직경을 이루도록 하여 가스레인지로부터의 화력을 통관 속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수용시켜 증기의 연소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통관 내부에서의 증기의 분산으로 연소효율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간소화된 부품으로 생산성 및 조립성을 보장하면서 보다 편리하게 냄새 및 증기의 발생을 극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문헌에 따른 조리용 팬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선행문헌에 따른 조리용 팬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선행문헌에 따른 조리용 팬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4는 선행문헌에 따른 조리용 팬을 저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에 적용된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에 적용된 캡 및 증기체류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에 적용된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에 적용된 캡 및 증기체류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10)와, 이 용기(10)에 씌워지는 뚜껑(40)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용기(10)는 음식물을 수용하고, 뚜껑(40)은 음식물이 보다 빠르게 끓거나 익혀질 수 있도록 용기(10)에 씌워져 열압력이 채워지도록 한다.
이때, 용기(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뚫려진 통공(11)과, 통공(11)으로부터 일체 연장 상승되는 통관(20)을 구비한다.
뚜껑(40)이 씌워진 상태에서 음식물이 끓기 시작하면서 발생되는 증기는 통관(20)을 통해 하향되면서 가스레인지나 버너의 화력에 의해 연소되어 소멸되는 원리가 적용된다.
이때, 뚜껑(40)을 열고 수저나 젓가락으로 음식물을 덜어낼 때 그 찌꺼기나 국물 등이 통관(20) 속으로 낙하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관(20)의 상단을 씌울 수 있도록 캡(30)을 구비시키고, 이 캡(30)에는 증기배출공(30a)을 지니도록 하여 증기의 배출을 유지토록 한다.
캡(30)에 의해 통관(20)의 상단이 씌워짐으로써 음식물의 찌꺼기나 국물 등의 낙하를 미연에 차단함과 동시에 용기(10) 속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여 선행문헌의 문제점인 통관(20) 내부가 오염되거나 통관(20) 속으로 낙하되는 국물의 연소에 의한 냄새 및 연기의 발생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국물 낙하 등의 차단과 더불어 증기배출공(30a)을 통한 증기의 배출을 유도하여 화력에 의한 증기의 연소를 더욱 철저히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캡(30)은 통관(20) 속으로 끼워짐과 동시에 증기분산공(31a)을 지닌 증기체류통(31)을 구비한다.
음식물이 끓으면서 증기가 증기배출공(30a) 및 통관(20)을 통해 곧바로 배출될 경우 가스레인지 등의 화력에 오히려 악영향을 미칠 수 있고, 나아가 증기의 연소효율이 떨어질 수 있음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증기가 증기배출공(30a)을 경유한 후 증기체류통(31)에 머물면서 연소될 수 있도록 하여[증기의 연소 간격(시간)을 좀 더 길게 하여] 증기 연소효율의 극대화를 도모코자 하는 것이고[화력이 증기체류통(31)을 감싸면서 분출되므로 증기의 연소효율은 더욱 극대화됨], 다시 증기분산공(31a)을 통해 빠져나가면서 화력에 의해 재연소될 수 있도록 하여 연소시간의 연장 및 증기의 분산을 통한 연소효율의 극대화로서 냄새 및 증기의 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화력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캡(30)은 통관(20)의 상단에 나사(N) 결합되어 세척시 용기(10)의 손잡이를 파지하든 캡(30)을 파지하든 자유롭게 용기(10)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면서도, 화력에 의한 캡(30)의 들썩거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관(20)에 캡(30)을 씌운 만큼의 증기 배출량의 줄어듦을 보완하기 위하여 통관(20)의 상단에 증기배출통로(20a)를 더 뚫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통관(20)은 그 상단으로부터 통공(11)에 이르기까지 상협하광(上狹下廣)의 직경을 이루어 가스레인지로부터의 화력을 통관(20) 속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수용하여 증기의 연소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캡(30)은 통관(20) 속으로 끼워짐과 동시에 증기분산공(31a)을 지닌 증기체류통(31)을 구비하고, 통관(20)은 증기분산공(31a)에 수평방향으로 일치되도록 상단에 뚫려진 증기배출통로(20a)를 더 구비하여, 증기가 증기배출통로(20a)를 경유하면서 일부는 증기분산공(31a)을 통해 증기체류통(31)을 경유토록 하고 다른 일부는 증기체류통(31) 및 통관(20) 사이의 틈새로 하향되도록 하여 통관(20) 내부에서의 증기의 분산으로 연소효율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는 더욱 간소화된 부품으로 생산성 및 조립성을 보장하면서 보다 편리하게 냄새 및 증기의 발생을 극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을 익히거나 끓이기 위한 주방용기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10 : 용기 11 : 통공
20 : 통관 20a : 증기배출통로
30 : 캡 30a : 증기배출공
31 : 증기체류통 31a : 증기분산공
N : 나사 40 : 뚜껑

Claims (6)

  1.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에 씌워지는 뚜껑(40)을 포함하는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10)는 바닥에 뚫려진 통공(11)과, 상기 통공(11)으로부터 일체 연장 상승되는 통관(20)을 구비하고,
    상기 통관(20)의 상단을 씌우면서 증기배출공(30a)을 지닌 캡(30)을 포함하고,
    상기 캡(30)은 상기 통관(20) 속으로 끼워짐과 동시에 증기분산공(31a)을 지닌 증기체류통(31)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30)은 상기 통관(20)의 상단에 나사(N)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관(20)의 상단에 뚫려진 증기배출통로(20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관(20)은 그 상단으로부터 상기 통공(11)에 이르기까지 상협하광(上狹下廣)의 직경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관(20)은 상기 증기분산공(31a)에 수평방향으로 일치되도록 상단에 뚫려진 증기배출통로(20a)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6. 삭제
KR1020110113316A 2011-11-02 2011-11-02 조리용기 KR101142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316A KR101142320B1 (ko) 2011-11-02 2011-11-02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316A KR101142320B1 (ko) 2011-11-02 2011-11-02 조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2320B1 true KR101142320B1 (ko) 2012-05-17

Family

ID=46271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316A KR101142320B1 (ko) 2011-11-02 2011-11-02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3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44233B1 (en) * 2020-06-23 2024-04-02 Anna Marie Licata Steamer inser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395Y1 (ko) * 1989-06-17 1994-01-24 최태운 신선로 겸용 팬
KR100974799B1 (ko) 2009-05-15 2010-08-06 (주)펠리테크 배기장치가 구비되는 조리용 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395Y1 (ko) * 1989-06-17 1994-01-24 최태운 신선로 겸용 팬
KR100974799B1 (ko) 2009-05-15 2010-08-06 (주)펠리테크 배기장치가 구비되는 조리용 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44233B1 (en) * 2020-06-23 2024-04-02 Anna Marie Licata Steamer inse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2888B2 (en) Cooking apparatus
WO2011060403A1 (en) Combustion chamber for charcoal stove
CN105612387B (zh) 气体燃烧器和燃烧器盖
BR112018011721B1 (pt) Charbroiler a carvão portátil livre de fumaça
US201900990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Applying Heat
WO2017078762A1 (en) Biomass stove with combustion chamber, vent door, and ash drawer
KR101142320B1 (ko) 조리용기
KR100928141B1 (ko) 가압식 고온 가열 조리기구
KR200471265Y1 (ko) 펠릿난로
WO2020149635A1 (ko)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장치
KR101035696B1 (ko) 고효율 가스 버너
KR101482500B1 (ko) 열기 및 스팀 가열 방식의 구이용 불판
KR20170011040A (ko) 간접열 오리 구이기
KR20120114854A (ko) 냄새 제거용 조리용기
CN210276932U (zh) 一种便携式燃气烤炉
KR101140260B1 (ko) 열기 유도형 주방용기
KR101655298B1 (ko)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
KR100690401B1 (ko)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
KR200298125Y1 (ko) 버너용 조리용기 받침대
KR102378663B1 (ko) 고온 증기를 이용한 숯불화로의 발화 불꽃 소화 장치
KR101688177B1 (ko) 휴대용 가스렌지
KR20130001752A (ko) 외통과 솥에 뚜껑이 결합된 다기능 만능솥
JP3059741U (ja) 野外用料理・焚き火道具
RU164645U1 (ru) Самовар
JP3094725U (ja) 煮炊き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