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5871A -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 - Google Patents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5871A
KR20240045871A KR1020220125738A KR20220125738A KR20240045871A KR 20240045871 A KR20240045871 A KR 20240045871A KR 1020220125738 A KR1020220125738 A KR 1020220125738A KR 20220125738 A KR20220125738 A KR 20220125738A KR 20240045871 A KR20240045871 A KR 20240045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jar
roasting
heat energy
charco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5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환
김도성
Original Assignee
신정환
김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환, 김도성 filed Critical 신정환
Priority to KR1020220125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5871A/ko
Publication of KR20240045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587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18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Abstract

본 발명은,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1)에 있어서,
상부는 개방, 내부가 일정 공간으로 형성되고, 내부 하단부에는 열에너지조절물부(400)가 일정량 충진, 저장되고, 내부 상단에는 거치고리(C)를 이용하여 육류를 거치, 내부에 삽입, 위치된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로부터 생성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내부 온도가 상승하면서 거치된 육류가 조리(調理)되도록 하는 육류구이항아리부(100);와, 내부에 숯이 위치되도록 일정 공간으로 형성되고, 점화기(F)를 통해 내부에 위치된 숯을 점화, 착화(着火)된 숯으로부터 열에너지가 발생되도록 하고, 발생된 열에너지에 의한 상기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내부 온도 상승으로,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 상단에 거치고리(C)를 이용하여 거치된 육류가 조리(調理)되도록 하는,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에 삽입,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 위치되는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와, 상기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로부터 발생되는 열에너지의 손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황에 따라 열에너지로 인한 육류 조리(調理) 후,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여,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에 생성된 열에너지가 제거되도록 하는 육류구이항아리덮개부(300); 및 상기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 바닥면에 일정량 충진되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위치, 유지되고,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로부터 발생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상승되는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여, 육류의 조리(調理)를 도모함과 동시에,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로부터 발생된 열에너지에 의해 일정량 증발되어, 조리(調理) 중인 육류에 수분이 공급되도록 함은 물론, 조리(調理) 중인 육류로부터 낙하(落下)되는 점성을 가진 액체의 순간 착화(着火)를 방지,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의 내구성을 유지시켜주는 열에너지조절물부(400);로 구성되어,
상기 육류구이항아리부(100),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 육류구이항아리덮개부(300) 및 열에너지조절물부(400)의 유기적인 결합으로, 육류를 조리(調理)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내구성을 확보,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장기적(長期的) 사용을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항아리를 활용하되, 항아리의 내구성 유지로 인한 수명 연장은 물론, 최상의 육질을 확보한 조리(調理)된 육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Jar for charcoal grilled meat}
본 발명은,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육류를 조리(調理)함에 있어, 항아리를 활용하여, 풍미와 영양소를 보존, 최상의 육질(肉質)이 확보된 조리(調理)된 육류를 제공함과 동시에, 고온 및 조리(調理) 중인 육류로부터 낙하(落下)되는 기름이 착화(着火)되어 발생되는 불꽃에 의해 항아리의 내부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항아리의 내부를 보호, 항아리의 수명이 유지, 연장되도록 하는,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나 생선 등의 음식물을 굽기 위한 종래의 구이 수단은 대부분 가열 수단, 즉, LPG, 부탄가스, 숯, 전기 등을 열원으로 사용하여, 그 열원 위에 석쇠, 불판 등과 같은 구이기를 이용하여 육류나 생선이 구워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이 방식은, 육류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만 가능한 방식으로서, 육류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속까지 고르게 구워지기가 불가능하였다.
또한, 육류나 생선에 직접 열이 가해지므로 겉이 먼저 익고 속은 서서히 익어, 겉은 타고 속은 덜 익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방식으로, 질흙을 초고온에서 구워 만든 숨쉬는 천연 옹기로 알려진 단지를 활용한 구이 수단을 사용하게 되었지만, 육류를 조리(調理)함에 있어 단지 내부가 고온에 자주 노출되고, 조리(調理) 중, 육류에서 떨어지는 기름이 숯 및 단지 내부의 고온 현상에 의해 순간적으로 착화(着火)되어 불꽃을 생성, 불꽃이 생성되면서 단지 내부를 가격(加擊)하여, 균열을 발생시켜, 단지의 내구성이 급격히 저하되도록 함으로서, 쉽게 파손되거나 하는 등, 사용 주기를 단축시킨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조리(調理) 중, 육류에서 떨어지는 기름이 순간적으로 착화(着火)되면서 유해물질이 발생, 최적의 육류의 조리(調理) 환경을 조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지(항아리)를 활용한 구이 방식의 장점은 그대로 살리고, 단지(항아리) 내부 온도가 일정 온도 유지되게 하고, 조리(調理) 중 육류로부터 낙하(落下)되는 기름이 순간적으로 착화(着火)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고온 및 기름 착화(着火)로 인해 발생하는 불꽃으로부터 단지(항아리) 내부를 보호, 균열을 방지하여, 육류의 품질은 극대화시키고, 단지(항아리)의 수명은 연장시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을 제공함으로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이에,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28873호의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는,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와, 볼록하게 형성된 측벽부와, 이 측벽부의 하단을 막는 바닥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점토로 구워 열처리되며, 상기 측벽부의 하측 또는 바닥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된 항아리용기, 상기 항아리용기의 내부에 구비되며, 항아리용기의 개구부를 통과할 수 있는 사이즈의 반원 또는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측단에는 절단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단위석쇠가 절첩되거나 또는 분할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항아리용기의 중간부에 원형으로 펼쳐지는 석쇠, 내부에 숯이 수용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망체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석쇠의 단위석쇠들의 내측단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공에 끼워지며, 상단에는 석쇠의 통공 둘레부에 걸려지는 걸림턱이 확장된 숯통 및 상기 항아리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며, 일측에는 항아리용기 내부의 숯불의 열기에 의해 발생된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배출공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숯불의 열기를 상기 석쇠로 반사하는 열반사판이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는,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5840호의 "단지를 이용한 육류 구이장치"(이하, '선행기술 2'라 함.)는,
질흙을 초고온에 구워서 만들어 숨쉬는 천연 용기로 잘 알려진 일정한 크기의 전통 단지(독, 옹기, 항아리 등을 모두 포함)가 구성되고, 단지의 내부 밑바닥에는 숯불을 피울 때 발생하는 열기 및 화력으로 고기를 구울 수 있도록 하는 숯이 담긴 숯불화덕이 설치되고, 상기 준비된 단지의 외면에는 내부와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석쇠투입구를 천공한 다음, 그 석쇠투입구의 내부에는 석쇠의 상, 하부를 안전하게 안내하여 석쇠의 용이한 슬라이드 투입 및 취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드 안내용 프레임이 설치되어,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전통 단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고기를 투입할 때 아주 간편하고 안전할 뿐 아니라 숯불화덕의 로딩 및 언로딩시의 편의성 또한 보다 극대화된 새로운 단지를 이용한 육류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는 본 발명과 유사, 동일한 기술분야로서,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요소에 있어 유사, 동일한 기술적 개념이 존재하지만,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수단 및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이를 통한 발명의 효과에 차이가 있다.
즉, 선행기술 1은,
항아리를 그대로 사용항 그 내부에서 간편하게 숯불구이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선행기술 2는,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전통 단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육류를 구워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과 대비,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고, 그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한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수단(구성요소)에 있어 기술적 특징에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를 포함한 종래의 육류 구이용 항아리에 대한 기술과는 다른, 본 발명만의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발명의 목적),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구성요소) 및 이를 해결함으로서 발휘되는 효과를 기반으로, 그 기술적 특징을 꾀하고자 한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28873호 (2021.11.16. 등록)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5840호 (2016.12.06.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항아리를 활용하여, 육류를 조리(調理)할 수 있도록 하는,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항아리를 활용하되, 조리(調理) 중, 육류에 일정량의 수분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서, 육류의 풍미와 영양소가 풍부한, 최상의 육질(肉質)이 확보된 조리(調理)된 육류를 제공, 음미(吟味)할 수 있도록 하는,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육류를 조리(調理)함에 있어, 항아리 내부가 고온 및 육류로부터 낙하(落下)되는 기름으로 인해 발생되는 불꽃에 노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항아리의 내부를 보호, 항아리의 수명이 유지, 연장되도록 하는,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에 있어서,
상부는 개방, 내부가 일정 공간으로 형성되고, 내부 하단부에는 열에너지조절물부가 일정량 충진, 저장되고, 내부 상단에는 거치고리를 이용하여 육류를 거치, 내부에 삽입, 위치된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로부터 생성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내부 온도가 상승하면서 거치된 육류가 조리(調理)되도록 하는 육류구이항아리부;
내부에 숯이 위치되도록 일정 공간으로 형성되고, 점화기를 통해 내부에 위치된 숯을 점화, 착화(着火)된 숯으로부터 열에너지가 발생되도록 하고, 발생된 열에너지에 의한 상기 육류구이항아리부의 내부 온도 상승으로, 육류구이항아리부 내부 상단에 거치고리를 이용하여 거치된 육류가 조리(調理)되도록 하는, 육류구이항아리부 내부에 삽입, 육류구이항아리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 위치되는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
상기 육류구이항아리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로부터 발생되는 열에너지의 손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황에 따라 열에너지로 인한 육류 조리(調理) 후, 육류구이항아리부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여,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에 생성된 열에너지가 제거되도록 하는 육류구이항아리덮개부;
상기 육류구이항아리부 내부 바닥면에 일정량 충진되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위치, 유지되고,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로부터 발생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상승되는 육류구이항아리부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여, 육류의 조리(調理)를 도모함과 동시에,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로부터 발생된 열에너지에 의해 일정량 증발되어, 조리(調理) 중인 육류에 수분이 공급되도록 함은 물론, 조리(調理) 중인 육류로부터 낙하(落下)되는 점성을 가진 액체의 순간 착화(着火)를 방지,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의 내구성을 유지시켜주는 열에너지조절물부;로 구성되어,
상기 육류구이항아리부,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 육류구이항아리덮개부 및 열에너지조절물부의 유기적인 결합으로, 육류를 조리(調理)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육류구이항아리부의 내구성을 확보, 육류구이항아리부의 장기적(長期的) 사용을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육류구이항아리부는,
일정 공간으로 형성되어, 내부 바닥면에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가 삽입, 위치되도록 하고, 상부에는 거치고리를 이용하여 육류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
상기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의 하부 외주연면 일측에 하나 이상 일정 크기로 관통, 형성되어,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 차단되도록 하는, 개폐(開閉) 가능한 외부공기통풍개폐모듈;
상기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의 하부 외주연면 일측으로부터 연장, 돌출, 형성되고,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 내부와 연결되도록 관통되어, 외부에서 열에너지조절물부를 직통(直通)으로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 내부 바닥면에 충진할 수 있도록 하는, 웅덩이 형상의 물충진수위확인립돌출모듈;
상기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의 하부 외주연면 일측에 일정 크기로 관통, 형성되어,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 내부에 위치한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를 점화시키는 점화기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개폐(開閉) 가능한 점화기삽입개폐모듈;로 구성되어,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 내부에는 거치고리를 이용하여 육류가 거치되도록 하고, 조리(調理) 중, 외부공기통풍개폐모듈을 개방(開放)하여 외부 공기가 항아리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서,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의 연소(燃燒)를 도모하고, 점화기삽입개폐모듈을 개방(開放)하여 점화기의 일부가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여,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를 점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물충진수위확인립돌출모듈을 통해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 내부로 열에너지조절물부를 충진,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열에너지조절물부의 수위(水位)를 조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은,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로부터 발생되는 열에너지가 대류(對流)하고, 대류(對流)하는 열에너지에 의해 육류가 조리(調理)되도록 하는 육류조리열에너지발생공간요소;
상기 육류조리열에너지발생공간요소의 하부에 위치, 형성되고, 물충진수위확인립돌출모듈을 통해 충진되는 열에너지조절물부가 저장되도록 하는 열에너지안정도모물저장공간요소;로 구성되어,
육류가 조리(調理)되는 공간과, 열에너지조절물부가 저장되는 공간이 구분되도록 함으로서, 육류조리열에너지발생공간요소에서는 대류(對流)에 의해 열에너지가 보존되도록 하고, 열에너지안정도모물저장공간요소에서는 기화(氣化)에 의해 열에너지가 흡수되도록 하여,
열에너지안정도모물저장공간요소에 의해 육류조리열에너지발생공간요소의 온도가 일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1. 육류를 조리(調理)함에 있어 항아리를 활용하되, 항아리의 내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2. 또한, 육류를 조리(調理)함에 있어, 육류에 일정량의 수분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3. 항아리 내부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과, 조리(調理) 중 육류로부터 발생되는 기름이 착화(着火)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온 및 기름이 착화(着火)되어 생성되는 불꽃으로 인한 항아리의 내부 균열을 미연에 방지한다.
4. 고온 및 기름이 착화(着火)되어 생성되는 불꽃으로부터 항아리의 내부를 보호하여, 항아리의 내구성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서, 항아리의 수명을 확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5. 또한, 항아리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육류의 조리(調理)될 양(量)당 균일한 조리(調理) 시간 및 그에 따른 맛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육류의 조리(調理) 환경에 대한 다양한 정보(예를 들어, 열에너지조절물부(400)의 충진량, 열에너지조절물부(400)의 충진량에 따른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내부 온도, 조리(調理)할 육류의 양(量), 조리(調理) 시간 등)를 수집할 수 있어, 최적의 조리(調理) 시간 및 그에 따른 최상의 맛을 탐구,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6. 고온으로부터 항아리의 내부를 보호함과 동시에, 항아리의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은 물론, 항아리 내부에서 육류로부터 낙하(落下)되는 기름이 착화(着火)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리(調理)되는 육류에 수분이 공급되도록 하는 열에너지조절물부(400)를 항아리 내부에 용이하게 충진할 수 있다.
즉, 육류가 조리(調理)되는 중에도, 육류 및 항아리 내부, 그리고 일정 온도로 유지되고 있는 항아리 내부 온도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외부에서 용이하게 항아리 내부로 열에너지조절물부(400, 예를 들어 물)를 충진할 수 있도록 한다.
7. 또한, 조리(調理) 중, 항아리 내부에 충진된 열에너지조절물부(400)의 수위(水位) 정보를 외부에서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외부에서 용이하게 항아리 내부의 열에너지조절물부(400)의 수위(水位)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항아리 내부 바닥면에 잔여된 열에너지조절물부(400)의 양(量)을 외부에서 가시적으로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항아리 내부의 열에너지조절물부(400)의 수위(水位)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육류를 조리(調理)함에 있어, 항아리를 활용하되,
항아리의 내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조리(調理) 중, 육류에 수분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서, 풍미와 영양소가 풍부한, 최상의 육질(肉質)이 확보된 조리(調理)된 육류를 제공, 이를 음미(吟味)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육류를 조리(調理)함에 있어, 항아리 내부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거나, 육류로부터 낙하(落下)되는 기름이 착화(着火)되면서 생성되는 불꽃의 발생을 방지하여, 항아리 내부가 고온 및 불꽃에 노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 고온 및 불꽃으로부터 항아리의 내부를 보호하여, 항아리의 수명이 유지, 연장되도록 하는 매우 효과적인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인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에 대한 실시 예를 상태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에 대한 실시 예를 분리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의 구성요소 중, 육류구이항아리부에 대한 실시 예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의 구성요소 중,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에 대한 실시 예를 상태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a)는, 상태 사시도, (b)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의 구성요소 중, 숯열에너지전달공간통모듈에 대한 실시 예를 평면도 및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a)는, 평면도, (b)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에 대한 실시 예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에 대한 선행기술의 대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1)에 대한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은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에 대한 개념도를, 도 3은, 본 발명인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에 대한 실시 예를 상태 사시도로, 도 4는, 본 발명인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에 대한 실시 예를 분리 사시도로, 도 5는, 본 발명인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의 구성요소 중, 육류구이항아리부에 대한 실시 예를 단면도로, 도 6은, 본 발명인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의 구성요소 중,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에 대한 실시 예를 상태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로, 도 7은, 본 발명인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의 구성요소 중, 숯열에너지전달공간통모듈에 대한 실시 예를 평면도 및 단면도로, 도 8은, 본 발명인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에 대한 실시 예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1)에 있어서,
상부는 개방, 내부가 일정 공간으로 형성되고, 내부 하단부에는 열에너지조절물부(400)가 일정량 충진, 저장되고, 내부 상단에는 거치고리(C)를 이용하여 육류를 거치, 내부에 삽입, 위치된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로부터 생성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내부 온도가 상승하면서 거치된 육류가 조리(調理)되도록 하는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에 숯이 위치되도록 일정 공간으로 형성되고, 점화기(F)를 통해 내부에 위치된 숯을 점화, 착화(着火)된 숯으로부터 열에너지가 발생되도록 하고, 발생된 열에너지에 의한 상기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내부 온도 상승으로,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 상단에 거치고리(C)를 이용하여 거치된 육류가 조리(調理)되도록 하는,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에 삽입,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 위치되는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
상기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로부터 발생되는 열에너지의 손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황에 따라 열에너지로 인한 육류 조리(調理) 후,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여,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에 생성된 열에너지가 제거되도록 하는 육류구이항아리덮개부(300);
상기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 바닥면에 일정량 충진되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위치, 유지되고,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로부터 발생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상승되는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여, 육류의 조리(調理)를 도모함과 동시에,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로부터 발생된 열에너지에 의해 일정량 증발되어, 조리(調理) 중인 육류에 수분이 공급되도록 함은 물론, 조리(調理) 중인 육류로부터 낙하(落下)되는 점성을 가진 액체의 순간 착화(着火)를 방지,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의 내구성을 유지시켜주는 열에너지조절물부(400);로 구성되어,
상기 육류구이항아리부(100),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 육류구이항아리덮개부(300) 및 열에너지조절물부(400)의 유기적인 결합으로, 육류를 조리(調理)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내구성을 확보,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장기적(長期的) 사용을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 상단에 거치고리(C)를 이용하여 육류를 거치하고, 거치된 육류가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로부터 발생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조리(調理)되도록 하되,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 하단부에 일정 높이로 충진되는 열에너지조절물부(400)를 통해,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로부터 발생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상승되는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내부 온도가 일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조리(調理) 중인 육류로부터 낙하(落下)되는 기름이 착화(着火), 기름의 착화(着火)로 인해 불꽃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열에너지에 의해 일정량 증발되는 열에너지조절물부(400)로 인해 내부에 거치된 육류에 수분이 공급되어, 육류의 육즙(肉汁)을 보존, 최상의 육질(肉質)이 확보되도록 함으로서, 풍미와 영양소가 풍부한 조리(調理)된 육류가 제공되도록 함은 물론,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내부 온도가 일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서, 과도한 열에너지 및 기름의 착화(着火)로 인해 생성되는 불꽃에 의해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에 발생되는 균열을 미연에 방지,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내구성이 유지되도록 하여, 수명을 연장,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도모하는,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1)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육류구이항아리부(100)는,
일정 공간으로 형성되어, 내부 바닥면에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가 삽입, 위치되도록 하고, 상부에는 거치고리(C)를 이용하여 육류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
상기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의 하부 외주연면 일측에 하나 이상 일정 크기로 관통, 형성되어,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 차단되도록 하는, 개폐(開閉) 가능한 외부공기통풍개폐모듈(120);
상기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의 하부 외주연면 일측으로부터 연장, 돌출, 형성되고,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 내부와 연결되도록 관통되어, 외부에서 열에너지조절물부(400)를 직통(直通)으로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 내부 바닥면에 충진할 수 있도록 하는, 웅덩이 형상의 물충진수위확인립돌출모듈(130);
상기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의 하부 외주연면 일측에 일정 크기로 관통, 형성되어,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 내부에 위치한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를 점화시키는 점화기(F)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개폐(開閉) 가능한 점화기삽입개폐모듈(140);로 구성되어,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 내부에는 거치고리(C)를 이용하여 육류가 거치되도록 하고, 조리(調理) 중, 외부공기통풍개폐모듈(120)을 개방(開放)하여 외부 공기가 항아리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서,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의 연소(燃燒)를 도모하고, 점화기삽입개폐모듈(140)을 개방(開放)하여 점화기(F)의 일부가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여,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를 점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물충진수위확인립돌출모듈(130)을 통해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 내부로 열에너지조절물부(400)를 충진,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열에너지조절물부(400)의 수위(水位)를 조절,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은,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로부터 발생되는 열에너지가 대류(對流)하고, 대류(對流)하는 열에너지에 의해 육류가 조리(調理)되도록 하는 육류조리열에너지발생공간요소(111);
상기 육류조리열에너지발생공간요소(111)의 하부에 위치, 형성되고, 물충진수위확인립돌출모듈(130)을 통해 충진되는 열에너지조절물부(400)가 저장되도록 하는 열에너지안정도모물저장공간요소(112);로 구성되어,
육상기 육류조리열에너지발생공간요소(111)의 하부에 위치, 형성되고, 물충진수위확인립돌출모듈(130)을 통해 충진되는 열에너지조절물부(400)가 저장되도록 하는 열에너지안정도모물저장공간요소(112);로 구성되어,
육류가 조리(調理)되는 공간과, 열에너지조절물부(400)가 저장되는 공간이 구분되도록 함으로서, 육류조리열에너지발생공간요소(111)에서는 대류(對流)에 의해 열에너지가 보존되도록 하고, 열에너지안정도모물저장공간요소(112)에서는 기화(氣化)에 의해 열에너지가 흡수되도록 하여,
열에너지안정도모물저장공간요소(112)에 의해 육류조리열에너지발생공간요소(111)의 온도가 일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도모한다.
상기 외부공기통풍개폐모듈(120)은,
육류 조리(調理) 중에는 개방(開放)하여, 외부 공기가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 하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서,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 위치한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의 연소(燃燒)를 도모하는 조리중외부공기유입모드(M1);
육류 조리(調理) 후, 폐쇄(閉鎖)하여,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 하부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차단함으로서,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 위치한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의 소화(消火)를 도모하는 조리후외부공기차단모드(M2);로 구성되어,
상황에 맞게 외부공기통풍개폐모듈(120)을 개방(開放), 폐쇄(閉鎖)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물충진수위확인립돌출모듈(130)은,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의 하부 외주연면 일측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 내부로 열에너지조절물부(400)를 안정적으로 충진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 내부에 충진된 열에너지조절물부(400)의 수위(水位)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웅덩이 형상으로 형성된 물충진립돌출웅덩이요소(131);
상기 물충진립돌출웅덩이요소(131)가 형성된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의 외주연면 일측에 일정 크기로 관통, 형성되어, 물충진립돌출웅덩이요소(131)로 공급되는 열에너지조절물부(400)가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 내부로 유입, 충진되도록 하는 물충진관통홀요소(132);로 구성되어,
외부에서 열에너지조절물부(400)를 직통(直通)으로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 내부 바닥면에 충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의 내부 바닥면에 열에너지조절물부(400)가 충진되도록 하되,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 내부에 위치한 육류,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 및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의 내벽(내주연면)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외부에서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의 내부로 직접 열에너지조절물부(400)를 충진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 내부에 충진된 열에너지조절물부(400)의 수위(水位)를 외부에서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점화기삽입개폐모듈(140)은,
개폐(開閉) 구조로 형성되어,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기(F)가 외부에서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의 내부, 숯이 저장된 위치까지 직통(直通)으로 삽입,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더하여서, 육류구이항아리부(100)에는,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의 외주연면 일측 또는, 물충진수위확인립돌출모듈(130)의 외주연면 또는 내주연면 일측에 형성되어,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 내부에 충진된 열에너지조절물부(400)의 수위(水位)를 수치적(數値的)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열에너지조절물증발량확인모듈(150);이 더 포함, 구성되어,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 내부에 충진된 열에너지조절물부(400)의 수위(水位)를 보다 객관적으로 확인, 정확한 열에너지조절물부(400)의 양(量)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는,
발열체인 숯이 저장되는 일정 공간으로 형성된 일정 크기의 숯채움공간통모듈(210);
상기 숯채움공간통모듈(210)의 내부에 삽입, 바닥면에 위치되고, 점화기(F)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삽입된 점화기(F)를 통해 숯채움공간통모듈(210)에 채워진 숯에 열을 가하여, 숯이 점화되도록 하는 숯열에너지전달공간통모듈(220);
상기 숯채움공간통모듈(210)의 하면 일측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숯채움공간통모듈(210)이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숯통부지지다리모듈(230);로 구성되어,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에 열에너지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서, 내부에 거치된 육류가 조리(調理)되도록 한다.
이때, 숯채움공간통모듈(210)은,
발열체인 숯이 일정량 삽입, 저장되는 숯채움통요소(211);
상기 숯채움통요소(211)의 외주연면에 홀(hole) 형상으로 일정 패턴 형성되어, 숯의 연소(燃燒)를 도모하는 관통된 발열도모공기통공요소(212);
상기 숯채움통요소(211)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어, 숯채움통요소(211)를 이동, 운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숯채움통이동손잡이요소(213);
상기 숯채움통요소(211)의 하부 외주연면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점화기(F)의 일부가 숯열에너지전달공간통모듈(220)로 삽입되도록 하는 제 1점화기통과홀요소(214);로 구성되어,
내부에 숯열에너지전달공간통모듈(220)이 삽입되도록 하고, 발열체인 숯이 일정량 삽입, 저장되도록 하여, 점화기(F)에 의해 숯이 점화, 연소(燃燒)되도록 한다.
또한, 숯열에너지전달공간통모듈(220)은,
상기 숯채움통요소(211) 내부로 삽입, 바닥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숯채움통요소(211)의 하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일정 부피로 형성되고, 외주연면 일측으로 점화기(F)의 일부가 삽입되어 숯채움통요소(211)에 저장된 숯에 열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상부가 개방된 숯점화통요소(221);
상기 숯점화통요소(221)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 형성되고, 상부를 덮어, 숯채움통요소(211)에 삽입, 저장되는 숯이 상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숯의 저장 공간과, 점화기(F)가 삽입되는 공간이 각각 구분되도록 하는 숯채움점화공간구획플레이트요소(222);
상기 숯점화통요소(221) 내부 일측에 특정 패턴으로 위치, 형성되고, 점화기(F)로부터 분출되는 화염(火焰)이 숯점화통요소(221) 내부에서 특정 방향으로 퍼지도록 하여, 숯채움점화공간구획플레이트요소(222)의 상면에 위치된 숯에 대한 화염(火焰)의 접촉 면적을 상승시켜, 숯이 고르게 점화되도록 함은 물론, 점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영역점화블레이드요소(223);
상기 숯점화통요소(221)의 외주연면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숯 점화 시, 점화기(F)의 일부가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고, 점화 완료 후에는, 점화기(F)를 숯점화통요소(221)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제 2점화기통과홀요소(224);로 구성되어,
외부에서 점화기(F)를 통해 숯채움통요소(211)에 저장된 숯을 용이하게 점화시킬 수 있도록 하되,
점화기(F)가 숯채움통요소(211)에 저장된 숯의 위치가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숯을 건드리지 않고, 숯을 점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숯점화통요소(221)는,
점화기(F)로부터 분출되는 화염(火焰)이 상기 영역점화블레이드요소(223)에 의해 특정 위치로 상승하는 제 1점화구역(221a);
상기 제 1점화구역(221a)을 제외하고 점화기(F)로부터 분출되는 화염(火焰)이 상기 영역점화블레이드요소(223)에 의해 특정 위치로 상승하는 제 2점화구역(221b);
상기 제 1점화구역(221a)과, 제 2점화구역(221b)을 제외하고 점화기(F)로부터 분출되는 화염(火焰)이 특정 위치로 상승하는 제 3점화구역(221c);으로 형성되어,
점화기(F)로부터 분출되는 화염(火焰)이 상승, 숯채움점화공간구획플레이트요소(222)의 상면에 위치, 저장된 숯에 열이 고루 가해지도록 하고,
상기 숯채움점화공간구획플레이트요소(222)에는,
홀(hole) 형상으로 일정 패턴 관통, 형성되어, 점화기(F)에 의해 숯점화통요소(221) 내부에 분출된 화염(火焰)이 상승하여, 상면에 저장, 위치된 숯이 점화되도록 함과 동시에,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통과하여 숯의 연소(燃燒)를 도모하도록 하는 화염분출공급공객체(222a);가 구성되고,
상기 영역점화블레이드요소(223)는,
숯점화통요소(221) 내부 일측에 상기 제 2점화기통과홀요소(224)와 근접한 위치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 대칭으로 형성되고, 점화기(F)로부터 분출되는 화염(火焰)이 최초로 충돌하여, 화염(火焰)의 일부가 제 1점화구역(221a)으로 상승되도록 하는, 일정 기울기를 가진 제 1영역점화블레이드객체(223a);
숯점화통요소(221) 내부 일측, 상기 제 1영역점화블레이드객체(223a)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위치, 대칭으로 형성되고, 점화기(F)로부터 분출되어 제 1영역점화블레이드객체(223a) 사이를 통과한 화염(火焰)이 충돌하여, 화염(火焰)의 일부가 제 2점화구역(221b)으로 상승되도록 하는, 일정 기울기를 가진 제 2영역점화블레이드객체(223b);로 구성되어,
점화기(F)로부터 분출되는 직진성을 가진 화염(火焰)이, 제 1영역점화블레이드객체(223a) 및 제 2영역점화블레이드객체(223b)에 의해 분기(分岐)되어, 숯에 대한 영역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육류구이항아리덮개부(300)는,
상부가 개방된 육류구이항아리부(100)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에 발생된 열에너지의 손실을 방지하여,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황에 따라서는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에 위치한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에 저장된 숯이 소화(消火)되도록 도모하는 항아리덮개모듈(310);
상기 항아리덮개모듈(310)의 외주연면 일측에 위치, 형성되고, 사용자가 파지(把持)하여, 항아리덮개모듈(310)을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개방된 상부에 덮거나, 상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항아리덮개손잡이모듈(320);
상기 항아리덮개모듈(310)의 외주연면 일측에 위치, 형성되어,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내부 온도 정보가 출력,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항아리내부온도정보출력모듈(330);
상기 항아리덮개모듈(310)의 외주연면 일측에 위치, 형성되어,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내부 압력 정보가 출력,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항아리내부압력정보출력모듈(340);
상기 항아리덮개모듈(310)의 외주연면 일측에 일정 크기로 관통, 형성되어,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 차단되도록 함은 물론,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에 생성된 연기(煙氣)가 배출되도록 하는 개폐(開閉) 가능한 연기배출개폐모듈(350);로 구성되어,
육류구이항아리부(100)와 유기적인 결합으로,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내부 온도 및 압력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내부 온도를 유지하거나, 상황에 따라서는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에 위치한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20)가 소화(消火)되도록 유도한다.
이때, 연기배출개폐모듈(350)은,
육류 조리(調理) 중에는 개방(開放)하여, 외부 공기가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로 유입되어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의 연소(燃燒)를 도모하거나,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에 생성된 연기(煙氣)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연기배출모드(M3);
육류 조리(調理) 중, 폐쇄(閉鎖)하여,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내부 온도가 일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도모하거나, 육류 조리(調理) 후,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차단하여,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의 소화(消火)를 유도하는 온도유지소화도모모드(M4);로 구성되어,
상황에 맞게 연기배출개폐모듈(350)을 개방(開放), 폐쇄(閉鎖)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연기배출개폐모듈(350)은,
육류를 조리(調理)함에 있어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에 생성되는 연기(煙氣)를 외부로 배출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 열에너지의 손실을 방지하거나, 열에너지를 손실시키거나, 열에너지를 제거하거나 등, 상기 외부공기통풍개폐모듈(120)과 일부 동일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공기통풍개폐모듈(120)과 함께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 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연기배출개폐모듈(350)과, 외부공기통풍개폐모듈(120)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내부 온도를 조절, 유지하거나,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의 연소(燃燒) 및 소화(消火)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조리중외부공기유입모드(M1)와, 연기배출모드(M3)를 활성화하면,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 공간에 생성된 연기(煙氣)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내부 온도의 유지 및 급격한 상승이 방지되도록 도모하고,
조리중외부공기유입모드(M1)와, 온도유지소화도모모드(M4)를 활성화하면,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내부 온도가 유지되도록 도모하고,
조리후외부공기차단모드(M2)와, 연기배출모드(M3)를 활성화하면,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내부 공간에 생성된 연기(煙氣)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내부 온도가 유지되도록 도모하고,
조리후외부공기차단모드(M2)와, 온도유지소화도모모드(M4)를 활성화하면,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에 위치된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로부터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제거, 소화(消火)되도록 도모한다.
이때, 연기배출개폐모듈(350)을 통하여 열에너지를 손실시키는 경우는,
예를 들어,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내부 온도 및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할 때, 개방(開放)하여, 급격한 내부 온도 및 압력의 상승을 억제하는 경우를 말한다.
열에너지조절물부(400)는,
실시 예로, 물(水)로써,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로 물충진수위확인립돌출모듈(130)을 통해 충진되되,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에 위치한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의 숯통부지지다리모듈(230)이 모두 잠기지 않도록 충진되어야 한다.
즉, 물충진수위확인립돌출모듈(130)을 통해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충진되어,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로부터 발생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일정량 증발되면서,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내부 온도가 일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조리(調理) 중, 육류로부터 낙하(落下)되는 기름을 수용, 낙하(落下)된 기름이 순간적으로 착화(着火)되어 불꽃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량 증발(기화)되면서 육류에 수분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육류로부터 낙하(落下)되는 기름이 착화(着火)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유는,
육류로부터 낙하(落下)되어 기름이 순간적으로 착화(着火)되면서 불꽃이 생성되는데, 이 불꽃은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의 내부를 가격(加擊)하여, 균열이 발생되도록 함과 동시에, 유해물질을 생성, 최적의 조리(調理) 공간을 구성하는 데에 방해 요소가 된다.
그러므로, 열에너지조절물부(400)를 통해, 육류로부터 낙하(落下)되는 기름의 순간 착화(着火)를 방지한다.
한편,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1)에는,
외부에서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하부 일측을 통과하여,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로 직접 점화기(F)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점화기숯점화직결통로부(R);가 생성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점화기(F)의 일부를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에 위치한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로 직접 삽입하여, 숯을 점화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세하게는,
육류구이항아리부(100)에 형성된 점화기삽입개폐모듈(140)과,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의 숯채움공간통모듈(210)에 형성된 제 1점화기통과홀요소(214)와,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의 숯열에너지전달공간통모듈(220)에 형성된 제 2점화기통과홀요소(224)가 일적선상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점화기(F)의 일부가 점화기삽입개폐모듈(140)을 시작으로, 제 1점화기통과홀요소(214)를 지나, 제 2점화기통과홀요소(224)를 통과하여, 숯점화통요소(221) 내부로, 직통(直通)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의 유기적인 결합으로 인해,
항아리를 활용하여, 육류를 조리(調理)할 수 있도록 하되,
항아리의 내부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 일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여, 일정 온도가 유지되는 공간에서 육류가 조리(調理)되도록 함으로서, 육류의 품질 상승을 도모함은 물론, 항아리 내부가 고온 및 육류로부터 낙하(落下)되는 기름에 의한 불꽃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고온 및 불꽃으로 인한 내부 균열을 미연에 방지, 항아리의 내구성이 확보되도록 함으로서, 항아리의 수명을 연장,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조리(調理)되는 육류에 기화(氣化)로 인한 수분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서, 풍미와 영양소가 보존되고, 풍부한 조리(調理)된 육류가 음미(吟味)할 수 있도록 하는,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1)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제작하는 제작업 및 판매업, 특히, 육류를 취급하는 요식업은 물론, 캠핑장 등, 육류의 조리(調理)와 관련된 모든 산업분야 증진에 기여하는 데에 적용할 수 있다.
1: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
100: 육류구이항아리부 110: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
111: 육류조리열에너지발생공간요소 112: 열에너지안정도모물저장공간요소
120: 외부공기통풍개폐모듈 130: 물충진수위확인립돌출모듈
131: 물충진립돌출웅덩이요소 132: 물충진관통홀요소
140: 점화기삽입개폐모듈 150: 열에너지조절물증발량확인모듈
200: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 210: 숯채움공간통모듈
211: 숯채움통요소 212: 별열도모공기통공요소
213: 숯채움통이동손잡이요소 214: 제 1점화기통과홀요소
220: 숯열에너지전달공간통모듈 221: 숯점화통요소
221a: 제 1점화구역 221b: 제 2점화구역
221c: 제 3점화구역 222: 숯채움점화공간구획플레이트요소
222a: 화염분출공급공객체 223: 영역점화블레이드요소
223a: 제 1영역점화블레이드객체 223b: 제 2영역점화블레이드객체
224: 제 2점화기통과홀요소 230: 숯통부지지다리모듈
300: 육류구이항아리덮개부 310: 항아리덮개모듈
320: 항아리덮개손잡이모듈 330: 항아리내부온도정보출력모듈
340: 항아리내부압력정보출력모듈 350: 연기배출개폐모듈
400: 열에너지조절물부
C: 거치고리 F: 점화기
R: 점화기숯점화직결통로부
M1: 조리중외부공기유입모드 M2: 조리후외부공기차단모드
M3: 연기배출모드 M4: 온도유지소화도모모드

Claims (2)

  1.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1)에 있어서,
    상부는 개방, 내부가 일정 공간으로 형성되고, 내부 하단부에는 열에너지조절물부(400)가 일정량 충진, 저장되고, 내부 상단에는 거치고리(C)를 이용하여 육류를 거치, 내부에 삽입, 위치된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로부터 생성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내부 온도가 상승하면서 거치된 육류가 조리(調理)되도록 하는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에 숯이 위치되도록 일정 공간으로 형성되고, 점화기(F)를 통해 내부에 위치된 숯을 점화, 착화(着火)된 숯으로부터 열에너지가 발생되도록 하고, 발생된 열에너지에 의한 상기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내부 온도 상승으로,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 상단에 거치고리(C)를 이용하여 거치된 육류가 조리(調理)되도록 하는,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에 삽입,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 위치되는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
    상기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로부터 발생되는 열에너지의 손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황에 따라 열에너지로 인한 육류 조리(調理) 후,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여,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에 생성된 열에너지가 제거되도록 하는 육류구이항아리덮개부(300);
    상기 육류구이항아리부(100) 내부 바닥면에 일정량 충진되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위치, 유지되고,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로부터 발생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상승되는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여, 육류의 조리(調理)를 도모함과 동시에,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로부터 발생된 열에너지에 의해 일정량 증발되어, 조리(調理) 중인 육류에 수분이 공급되도록 함은 물론, 조리(調理) 중인 육류로부터 낙하(落下)되는 점성을 가진 액체의 순간 착화(着火)를 방지,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의 내구성을 유지시켜주는 열에너지조절물부(400);로 구성되어,
    상기 육류구이항아리부(100),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 육류구이항아리덮개부(300) 및 열에너지조절물부(400)의 유기적인 결합으로, 육류를 조리(調理)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내구성을 확보, 육류구이항아리부(100)의 장기적(長期的) 사용을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
  2. 제 1항에 있어서,
    육류구이항아리부(100)는,
    일정 공간으로 형성되어, 내부 바닥면에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가 삽입, 위치되도록 하고, 상부에는 거치고리(C)를 이용하여 육류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
    상기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의 하부 외주연면 일측에 하나 이상 일정 크기로 관통, 형성되어,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 차단되도록 하는, 개폐(開閉) 가능한 외부공기통풍개폐모듈(120);
    상기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의 하부 외주연면 일측으로부터 연장, 돌출, 형성되고,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 내부와 연결되도록 관통되어, 외부에서 열에너지조절물부(400)를 직통(直通)으로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 내부 바닥면에 충진할 수 있도록 하는, 웅덩이 형상의 물충진수위확인립돌출모듈(130);
    상기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의 하부 외주연면 일측에 일정 크기로 관통, 형성되어,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 내부에 위치한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를 점화시키는 점화기(F)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개폐(開閉) 가능한 점화기삽입개폐모듈(140);로 구성되어,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 내부에는 거치고리(C)를 이용하여 육류가 거치되도록 하고, 조리(調理) 중, 외부공기통풍개폐모듈(120)을 개방(開放)하여 외부 공기가 항아리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서,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의 연소(燃燒)를 도모하고, 점화기삽입개폐모듈(140)을 개방(開放)하여 점화기(F)의 일부가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여,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를 점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물충진수위확인립돌출모듈(130)을 통해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 내부로 열에너지조절물부(400)를 충진,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열에너지조절물부(400)의 수위(水位)를 조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육류거치구이항아리모듈(110)은,
    육류구이항아리숯통부(200)로부터 발생되는 열에너지가 대류(對流)하고, 대류(對流)하는 열에너지에 의해 육류가 조리(調理)되도록 하는 육류조리열에너지발생공간요소(111);
    상기 육류조리열에너지발생공간요소(111)의 하부에 위치, 형성되고, 물충진수위확인립돌출모듈(130)을 통해 충진되는 열에너지조절물부(400)가 저장되도록 하는 열에너지안정도모물저장공간요소(112);로 구성되어,
    육류가 조리(調理)되는 공간과, 열에너지조절물부(400)가 저장되는 공간이 구분되도록 함으로서, 육류조리열에너지발생공간요소(111)에서는 대류(對流)에 의해 열에너지가 보존되도록 하고, 열에너지안정도모물저장공간요소(112)에서는 기화(氣化)에 의해 열에너지가 흡수되도록 하여,
    열에너지안정도모물저장공간요소(112)에 의해 육류조리열에너지발생공간요소(111)의 온도가 일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
KR1020220125738A 2022-09-30 2022-09-30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 KR202400458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738A KR20240045871A (ko) 2022-09-30 2022-09-30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738A KR20240045871A (ko) 2022-09-30 2022-09-30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5871A true KR20240045871A (ko) 2024-04-08

Family

ID=90715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5738A KR20240045871A (ko) 2022-09-30 2022-09-30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587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840B1 (ko) 2015-09-11 2016-12-21 김성동 단지를 이용한 육류 구이장치
KR102328873B1 (ko) 2020-02-21 2021-11-18 이태경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840B1 (ko) 2015-09-11 2016-12-21 김성동 단지를 이용한 육류 구이장치
KR102328873B1 (ko) 2020-02-21 2021-11-18 이태경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0389A (en) Grill
US3386432A (en) Barbeque grill
KR100931277B1 (ko) 직화 오븐기
US20110219958A1 (en) Multi-functional food preparation devices
KR101776683B1 (ko) 연도를 이용한 구이기
US3812840A (en) Portable grill
NO338045B1 (no) Røkgenererende anordning for en utegrill
US9603372B2 (en) Wood chip smoker for outdoor grills
US4638787A (en) Grill means
KR101132309B1 (ko) 구이용 로스터
KR20120007530U (ko) 숯불을 이용한 훈제기
US20160037969A1 (en) Flare-up Preventing Grill
US20160235079A1 (en) Disposable Wood Smoker and Moisturizer for Residential Outdoor Cooking Grills
KR20240045871A (ko) 육류 구이용 항아리 수단
KR20110060131A (ko) 세라콜이 설치된 가스 및 숯불겸용 로스터
KR200455169Y1 (ko) 훈제구이장치
KR20240050096A (ko) 육류 구이용 숯통부
KR20100004646A (ko) 구이기
KR20190094590A (ko) 휴대용 고기구이기
KR101964559B1 (ko)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KR20120113483A (ko) 바비큐 장치
TW201701810A (zh) 可攜式焙燒裝置及使用該焙燒裝置的焙燒方法
KR101098057B1 (ko) 훈제식 숯불구이기
US20080233526A1 (en) Heating Apparatus
KR20190113168A (ko) 구이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