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3483A - 바비큐 장치 - Google Patents

바비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3483A
KR20120113483A KR1020110031214A KR20110031214A KR20120113483A KR 20120113483 A KR20120113483 A KR 20120113483A KR 1020110031214 A KR1020110031214 A KR 1020110031214A KR 20110031214 A KR20110031214 A KR 20110031214A KR 20120113483 A KR20120113483 A KR 20120113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steam
generating member
body memb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철
Original Assignee
최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철 filed Critical 최진철
Priority to KR1020110031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3483A/ko
Publication of KR20120113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4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열이 음식물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된 바비큐 장치가 개시된다. 이를 위한 바비큐 장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공간의 하측에 배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재와, 상기 발열부재로부터 상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발열부재로부터 발생된 열을 받아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공간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증기발생부재로부터 상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음식물이 위치될 수 있게 한 음식물 거치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발열부재에서 발생된 열이 음식물에 복사되지 않고 증기발생부재로 전달되고, 증기발생부재로부터 특정 온도 이상의 증기가 발생되며, 이러한 증기에 의해 음식물이 익혀진다. 즉, 본 발명의 바비큐 장치는 열이 음식물을 직접 가열하지 않음으로써, 음식물에 포함된 기름은 제거하면서 음식물의 표면이 열에 타거나, 연기에 그을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비큐 장치{Apparatus for barbecue}
본 발명은 바비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에 포함된 기름을 제거된 상태로 익혀질 수 있게 한 바비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비큐란 돼지나 소 등의 음식물을 통째로 불에 구운 요리를 뜻한다. 종래의 바비큐 장치는 돼지고기, 소고기 및 닭고기 등의 음식물을 통째로 또는 적어도 일부분에 직접적인 열을 가하여 음식물의 기름이 빠지면서 구워지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종래의 바비큐 장치는 숯불 또는 버너 등으로 음식물에 직접 열을 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므로, 숯불 또는 버너로부터 발생되는 연기에 의하여 음식물의 표면이 그을리게 되거나 열에 의해 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열이 음식물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된 바비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비큐 장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공간의 하측에 배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재와, 상기 발열부재로부터 상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발열부재로부터 발생된 열을 받아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공간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증기발생부재로부터 상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음식물이 위치될 수 있게 한 음식물 거치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비큐 장치는 발열부재에서 발생된 열이 음식물에 복사되지 않고 증기발생부재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증기발생부재로부터 특정 온도 이상의 증기가 발생되고, 이러한 증기에 의해 음식물이 익혀진다. 즉, 본 발명의 바비큐 장치는 열이 음식물을 직접 가열하지 않음으로써, 음식물에 포함된 기름은 제거하면서 음식물의 표면이 열에 타거나 연기에 그을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은, 도 1에 도시된 바비큐 장치의 A-A’단면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바비큐 장치에서 증기발생부재와 증기제어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장치(100)는 몸체부재(110)와, 발열부재(120)와, 증기발생부재(130)와, 음식물 거치부재(140)를 포함한다.
몸체부재(110)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몸체부재(110)의 형상의 일예로 특정 높이의 사각기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재(110)의 일측면에는 도어(115)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115)를 통하여 후술할 음식물 거치부재(140)에 음식물을 거치할 수 있다.
발열부재(120)는 상기 몸체부재(110)의 내부공간의 하측에 배치되어 열을 발생시킨다. 발열부재(120)의 일측에는 공기공급구(122)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공급구(122)는 연소시 필요한 산소가 발열부재(120) 내부로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게 한다. 발열부재(120)의 내부면에서 공기공급구(122)와 마주하는 면에는 배출용 연통(123)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출용 연통(123)은 몸체부재(110)를 관통하여 공기공급구(122)에 연결된다. 연소시 발생된 연기는 배출용 연통(123)을 통하여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배출용 연통(123)의 자유단에는 포집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포집부(124)는 연기에 포함된 재를 포집한다.
발열부재(120)의 구조의 일예로 내부에 가스버너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나무를 태워 열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몸체부재(110)에서 발열부재(120)의 하측에는 재받이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재받이부(111)는 연소된 나무로부터 발생된 재가 수거된다. 재받이부(111)는 상면이 개구된 육면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발열부재(120)의 상면에는 복수의 돌출부(12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21)는 특정높이로 형성되어 증기발생부재(130)와 발열부재(120)가 직접 접촉되지 않게 하여 증기발생부재(130)가 과도하게 뜨거워 지는 것을 방지한다.
증기발생부재(130)는 상기 발열부재(120)로부터 상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발열부재(120)로부터 발생된 열을 받아 증기를 발생시킨다. 증기발생부재(130)의 상세한 구조를 후술하기로 한다.
음식물 거치부재(140)는 상기 몸체부재(110)의 내부공간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증기발생부재(130)로부터 상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음식물이 위치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바비큐 장치(100)는 발열부재(120)에서 발생된 열이 음식물에 복사되지 않고 증기발생부재(130)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증기발생부재(130)로부터 특정 온도 이상의 증기가 발생되고, 이러한 증기에 의해 음식물이 익혀진다. 즉, 본 발명의 바비큐 장치(100)는 열이 음식물을 직접 가열하지 않음으로써, 음식물에 포함된 기름은 제거하면서 음식물의 표면이 열에 타거나, 연기에 그을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음식물 거치부재(140)의 일예로 석쇠일 수 있다. 석쇠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메쉬(Mesh)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석쇠상에 고기 등의 음식물(10)을 올려놓고 익힐 수 있다. 이러한 석쇠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적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3개의 석쇠가 지지대에 의해 일정 간격마다 적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음식물 거치부재(140)는 한번에 다량의 음식물(10)을 익힐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음식물 거치부재(240)의 다른 일예로 갈고리 형상의 걸림부재(240)일 수 있다.
걸림부재(240)의 일측은 몸체부재(110)의 내부공간의 상측에 걸리도록 형성되고, 타측에는 음식물(10)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몸체부재(110)는 지지부재(114)를 더 포함한다. 지지부재(114)는 봉(棒)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몸체부재(110)의 내부공간의 상측에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즉, 걸림부재(240)는 지지부재(114)에 걸쳐지고, 음식물(10)이 몸체부재(110) 내부공간에서 증기발생부재(130)로부터 상방으로 특정 높이에 위치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걸림부재(240)는 여러 개로 이루어져서 다량의 음식물(10)은 한번에 익힐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증기발생부재(130)의 형상의 일예로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물이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수조일 수 있다. 이러한 수조 내부의 물은 발열부재(120)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 가열되고, 물이 기화되어 음식물 거치부재(140)로 상승하게 되고, 음식물 거치부재(140)의 음식물을 가열하게 된다. 음식물이 고기류인 경우, 고기 내부의 기름은 물로 떨어지게 된다.
여기서, 몸체부재(110)의 일측면에는 물공급관(116)과 물배출관(117)이 형성될 수 있다. 물공급관(116)의 일단은 몸체부재(110)의 외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수조 상에 위치한다. 물배출관(117)의 일단은 수조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타단은 몸체부재(110)의 외부에 배치되며 밸브가 형성된다. 이러한 물공급관(116)과 물배출관(117)에 의해 사용자는 수조에 채워진 기름이 포함된 물을 깨끗한 물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증기발생부재(130)는 증기제어부(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증기제어부(131)는 상기 수조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수조의 상측에 안착된다. 증기제어부(131)는 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은 대략 90°각도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수조의 모서리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증기제어부(131)는 다양한 넓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음식물이 빨리 익혀지기를 원하는 경우, 수조의 바닥면의 전체 넓이의 50% 이하로 대응되는 넓이로 이루어진 증기제어부(131)를 수조 상에 안착시킨다. 이와 다르게 음식물이 천천히 익혀지기를 원하는 경우, 수조의 바닥면의 전체 넓이의 50% 이상 대응되는 넓이로 이루어진 증기제어부(131)를 수조 상에 안착시킨다.
한편, 도 1로 되돌아가서, 본 발명의 바비큐 장치(100)는 온도측정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측정부(112)는 상기 몸체부재(11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재(1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한다. 사용자는 온도측정부(112)로 몸체부재(110) 내부의 온도를 확인하면서 음식물을 익힐 수 있다. 이러한 온도측정부(112)에 의해 음식물이 과도하게 익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재(110)의 일측면에는 투명창(113)이 형성될 수 있다. 투명창(113)은 몸체부재(110) 내부에서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을 외부에서 볼 수 있게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바비큐 장치 110: 몸체부재
111: 재받이부 112: 온도측정부
113: 투명창 114: 지지부재
115: 도어 116: 물공급관
117: 물배출관 120: 발열부재
121: 돌출부 122: 공기공급구
123: 배출용 연통 124: 포집부
130: 증기발생부재 131: 증기제어부
140,240: 음식물 거치부재

Claims (5)

  1. 내부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공간의 하측에 배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재;
    상기 발열부재로부터 상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발열부재로부터 발생된 열을 받아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부재; 및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공간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증기발생부재로부터 상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음식물이 위치될 수 있게 한 음식물 거치부재;
    를 포함하는 바비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거치부재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적층되도록 배치된 석쇠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는,
    봉(棒)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공간의 상측에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식물 거치부재는 일측이 상기 지지부재에 걸리도록 형성되고, 타측에는 음식물이 관통되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부재는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물이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수조이고,
    상기 증기발생부재는 상기 수조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수조의 상측에 안착된 증기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재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장치.
KR1020110031214A 2011-04-05 2011-04-05 바비큐 장치 KR201201134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214A KR20120113483A (ko) 2011-04-05 2011-04-05 바비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214A KR20120113483A (ko) 2011-04-05 2011-04-05 바비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483A true KR20120113483A (ko) 2012-10-15

Family

ID=47283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214A KR20120113483A (ko) 2011-04-05 2011-04-05 바비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348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021B1 (ko) * 2013-07-02 2014-10-14 김인철 육류 구이방법 및 그 장치
KR20180137374A (ko) * 2017-06-17 2018-12-27 오동원 불가마용 증기발생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하는 불가마
CN112274662A (zh) * 2020-10-16 2021-01-29 杭州上裕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防烫伤的蒸汽消毒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021B1 (ko) * 2013-07-02 2014-10-14 김인철 육류 구이방법 및 그 장치
KR20180137374A (ko) * 2017-06-17 2018-12-27 오동원 불가마용 증기발생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하는 불가마
CN112274662A (zh) * 2020-10-16 2021-01-29 杭州上裕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防烫伤的蒸汽消毒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363645T3 (en) Oven with radiant tube
US3474724A (en) Capsule for use in a stove
JP6559963B2 (ja) 調理装置
US11160418B1 (en) Barbecue grill accessory and method for preparing food
KR101607990B1 (ko) 측면직화구이장치
KR101269786B1 (ko) 숯불구이기
KR20120113483A (ko) 바비큐 장치
KR101647724B1 (ko) 직화 구이장치
KR101387843B1 (ko) 휴대용 숯불구이기
KR101731702B1 (ko) 직화 훈제 겸용 조리기구
KR20110021541A (ko) 다용도 조리용기
JP3189881U (ja) 調理器具
KR20120000415U (ko) 석쇠 및 이를 이용한 수직형 구이기
KR101185789B1 (ko) 요리용 화덕
KR200441569Y1 (ko) 전기식 로스터
KR101698888B1 (ko) 구이용 숯불 직화 그릴 버너
KR101741353B1 (ko) 고기 구이장치
JP2006087854A (ja) オーブン機能を備えた引き出し付きバーベキュウ用コンロ
RU96218U1 (ru) Перено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р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EP2149323B1 (en) Barbecue
JP2009072346A (ja) ロースター
KR200428742Y1 (ko) 가열실이 형성된 구이판
KR20230059700A (ko)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
KR200428758Y1 (ko) 무연구이기능과 끓이는기능을 겸용한 석쇠
KR101315131B1 (ko) 육류 기름의 연소가 방지되어 유해물질의 발생이 차단되는 건강 직화 구이용 불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