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843B1 - 휴대용 숯불구이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숯불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843B1
KR101387843B1 KR1020120069048A KR20120069048A KR101387843B1 KR 101387843 B1 KR101387843 B1 KR 101387843B1 KR 1020120069048 A KR1020120069048 A KR 1020120069048A KR 20120069048 A KR20120069048 A KR 20120069048A KR 101387843 B1 KR101387843 B1 KR 101387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meat
main body
water
g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0979A (ko
Inventor
박준용
Original Assignee
박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용 filed Critical 박준용
Priority to KR1020120069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843B1/ko
Publication of KR20140000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를 구울 때에 고기가 마르지 않도록 하고 숯 향이 배인 고기의 맛을 낼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직육면체로 상면이 개방되고 측면에 복수의 통풍구(11)가 구비되며 내측면에 복수의 지지구(13)가 돌출 구성되고 측면 하부에 삽입공(14)이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 내측에 삽입되고 지지구(13)에 의하여 지지되며 숯이 놓이는 숯 받침대(20); 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본체(10) 상단에 결합되는 걸림홈(31)이 상부 외주연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일정량의 물이 저수되는 저수공간을 형성시키는 저수판(32)이 형성된 제1수조(30);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삽입공(14)에 삽입되고 일정량의 물이 저수되는 제2수조(40); 및 상기 제1수조(30) 위에 놓이는 석쇠(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숯불구이기 본체 내주연 및 바닥에 물을 채워 구이기 내부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숯불의 열기에 의하여 발생된 증기가 고기에 가해져 고기가 쉽게 타거나 마르지 않도록 하고, 고기에서 떨어진 기름이 쉽게 발화되지 않아 그을음 발생을 억제하며, 숯불에 떨어진 기름에 의해 발생된 연기로 고기에 숯 향이 많이 배이도록 하고, 휴대가 가능한 구성 및 구조로 야외에서 사용이 간편하며, 숯불구이기의 사용 후에 세척이 용이하다.

Description

휴대용 숯불구이기{Charcoal Fire Roaster of Portable Type}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한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기를 구울 때에 고기가 마르지 않도록 하고 숯 향이 배인 고기의 맛을 낼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숯불구이기는 발화된 숯의 화기로 직화 또는 별도의 구이판을 가열하여 육류나 생선 등의 고기를 구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기술 1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62938호의 할로겐 램프에 의해 참숯을 가열하는 로스터 및 가열방법은 통상의 바이오 세락믹이 코팅된 할로겐 램프를 열원으로 하는 로스타에 있어서, 상기 로스터는 외통과 내통 구조로 마련하되, 하부 일측면에 삽입부가 형성되어 기름받이물통이 끼움 결합되는 외통과; 상기 외통 내측에는 공간부를 갖도록 이격되어 상면이 개방된 상방하협 형상으로 테이퍼진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통공부가 형성된 내통과; 상기 내통 상측에는 뚜껑을 거치하는 각각 형성된 거치돌기와; 상기 거치돌기 하단에는 박스형상으로 불판에서 떨어지는 기름이 흘러내리도록 상면은 경사각을 갖으며 끝단은 수직으로 만곡지게 연장되어 길이방향으로 전면이 개방되어 내통 양측으로 대응하게 각각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L자형상으로 만곡지게 경사져 하우징의 배면과 사이를 두고 불판과 숯통에 할로겐 램프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과 열기를 반사하는 반사판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부착된 소켓에 체결되는 바이오 세라믹이 코팅된 공지의 할로겐 램프와; 상기 할로겐 램프의 표면이 이물질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충격에서 보호할 수 있도록 양측이 통공되어 할로겐 외주면에 끼워지는 관형상의 석영유리관과; 상기 개방된 내통에 긴밀하게 포개지도록 상방하협의 동일형상에 상면은 개방되어 양측에 거치홈이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통공부를 형성하는 기름받이대와; 상기 기름받이대 상면에 사각형상으로 내부에 참숯이 담아 양측에 거치턱이 형성되어 거치홈에 거치하는 숯통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 경사각에 안착되는 불판과; 상기 외통과 내통사이에 불판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가 부착되어 플러그형태로 로스터 본체와 착탈 결합된 컨트롤박스로 구성된 것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 2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2245호의 숯불 로스터는 숯불 로스터에 있어서, 직사각함체의 형태로 제작된 외부 케이스(110)의 내부로 내부 케이스(120)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부 외측으로는 거치판(140)이 형성되고, 상부 내측 전 ㅇ 후면으로는 단차부(141)가 형성되며, 내부 케이스(120)의 전 ㅇ 후면 하측으로는 경사홈(122)이 형성된 본체부(100)와, 상기 내부 케이스(120)의 경사홈(122)에 설치되어 상 ㅇ 하로 승강하도록 구성된 격자형태의 화력 조절구(200)와, 상기 화력 조절구(200)의 상측으로는 숯불 용기(310)와 물통(320)이 설치되도록 구성된 내부 용기(300)와, 단차부(141)의 상측으로 재치되어 고기를 올려 놓고 구울 수 있도록 구성된 구이판(400)으로 구성되어, 고기가 타거나 마르지 않고, 화력조절이 용이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 1은 전기가 공급되는 곳에서만 사용할 수 있고 직화로는 고기를 구울 수 없고 구이판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고, 종래기술 2도 숯불의 직화로는 고기를 구울 수 없고 구이판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고기를 구울 때에 고기에서 떨어지는 기름을 받아내기 위하여 상하 2개의 구이판을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62938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2245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숯불의 직화로 고기를 구울 수 있도록 하고, 고기에서 떨어진 기름이 숯불에 의하여 쉽게 발화되지 않아 그을음의 억제와 더불어 숯불에 떨어진 기름에 의해 연기가 많이 발생되도록 하여 고기에 숯 향이 많이 배이도록 하며, 수조에서 발생된 증기가 숯불의 온도를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막고, 수조에 저수된 물이 숯불에 가열된 후에 발생된 증기가 고기에 가해져 고기가 쉽게 타거나 마르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직육면체로 상면이 개방되고 측면에 복수의 통풍구가 구비되며 내측면에 복수의 지지구이 돌출 구성되고 측면 하부에 삽입공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측에 삽입되고 지지구에 의하여 지지되며 숯이 놓이는 숯 받침대; 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본체 상단에 결합되는 걸림홈이 상부 외주연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일정량의 물이 저수되는 저수공간을 형성시키는 저수판이 형성된 제1수조; 상기 본체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고 일정량의 물이 저수되는 제2수조; 및 상기 제1수조 위에 놓이는 석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휴대용 숯불구이기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저수판 상단에 복수의 유동방지구이 상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숯 받침대은 일정 간격의 빗살무늬 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숯불구이기 본체 내주연 및 바닥에 물을 채워 구이기 내부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숯불의 열기에 의하여 발생된 증기가 고기에 가해져 고기가 쉽게 타거나 마르지 않도록 하고, 고기에서 떨어진 기름이 쉽게 발화되지 않아 그을음 발생을 억제하며, 숯불에 떨어진 기름에 의해 발생된 연기로 고기에 숯 향이 많이 배이도록 하고, 휴대가 가능한 구성 및 구조로 야외에서 사용이 간편하며, 숯불구이기의 사용 후에 세척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휴대용 숯불구이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숯불구이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숯불구이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숯불구이기에 관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서, 숯불구이기(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휴대가 용이한 구조이고, 실내 또는 야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숯불구이기(1)는 본체(10), 숯 받침대(20), 제1수조(30), 제2수조(40) 및 석쇠(50)로 나누어진다.
도 2에서, 본체(10)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4측면에 각각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풍구(1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어느 한 측면 하부에는 삽입공(14)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10) 내측면 중앙부에는 복수의 지지구(13)가 돌출 구성되어 있다. 지지구(13)는 고정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본체(10) 외측면 상부에는 본체(10)를 들 수 있는 손잡이(12)가 복수로 장착되어 있다.
숯 받침대(20)는 본체(10) 상부로부터 내측에 삽입되어 복수의 지지구(13)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이다. 숯 받침대(20)에는 숯이 놓인다. 숯 받침대(20)는 일정 간격의 빗살무늬 망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숯 받침대(20)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4각형 프레임에 복수의 봉이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된 것으로, 봉 사이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제1수조(30)는 대략 직육면체로 내부가 관통 형성된 것이다. 제1수조(30) 상부 가장자리에는 절곡된 걸림홈(31)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홈(31)에 본체(10) 상단부가 삽입되는 구조로 제1수조(30)가 본체(10) 위에 적재된다. 제1수조(30) 하부 내측으로 말아 오르도록 절곡된 저수판(32)이 형성된다. 저수판(32)에 의하여 제1수조(30)에는 일정량의 물이 저수되는 저수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수조(30) 내측 하부에는 일정량의 물을 채울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제2수조(40)는 직육면체로 상면이 개방된 그릇 형상으로, 일정량의 물을 채울 수 있다. 제2수조(40)는 본체(10)에 형성된 삽입공(14)에 삽입 또는 분리된다. 제2수조(40)에는 손잡이(41)가 구성되어 제2수조(40)를 삽입공(14)으로 밀어 넣거나 빼낼 수 있다.
석쇠(50)는 제1수조(30) 위에 놓이는 것으로, 일정 크기의 눈목을 가진 격자망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석쇠(50)는 고기를 올려 고기를 구울 수 있다. 석쇠(50) 일측에는 손잡이(5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수조(30)의 저수판(32) 상단에 복수의 유동방지구(33)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유동방지구(33)는 봉 형상으로 제1수조(30) 상단에 석쇠(50)를 올려놓았을 때에 석쇠(50)가 미끄러지거나 제1수조(3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즉 석쇠(50)를 제1수조(30) 위에 놓으면 유동방지구(33)가 석쇠(50)의 망 사이에 돌출되어 석쇠(50)가 수평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휴대용 숯불구이기의 작용을 도 3의 단면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체(10) 내부 바닥 위에는 삽입공(14)을 통해 물이 채워진 제2수조(40)가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0) 내부로 숯(2)을 올린 숯 받침대(20)가 지지구(13)에 의해 지지되도록 삽입된다. 또한, 본체(10) 상부로 물이 채워진 제1수조(30)가 삽입되어 있다. 즉 본체(10) 상단면이 제2수조(40)의 걸림홈(31)에 삽입되어 제2수조(40)가 본체(10)에 고정된다. 제2수조(40) 위에는 고기를 올려 구울 수 있도록 하는 석쇠(50)가 위치된다. 이때, 석쇠(50)는 제2수조(40) 내측에 복수로 돌출 형성된 유동방지구(33)가 석쇠(50)의 격자망 사이에 위치되므로 석쇠(50)는 유동방지구(33)에 의하여 좌우로 유동되지 않는다.
한편, 숯(2)에 불을 붙이면 숯(2)은 발화되고, 숯(2)에서 발생된 열은 석쇠(50)에 올린 고기(3)를 가열하므로 고기(3)는 구워진다. 이때, 숯(2)에서 발생된 열은 제2수조(40)에 저수된 물을 가열시켜 수증기가 발생되도록 한다. 수증기는 석쇠(50) 위에 올린 고기(3)에 가해져 고기(3)가 쉽게 마르지 않도록 한다. 또한, 숯(2)에서 발생된 열을 제1수조(30)에 저수된 물도 가열시켜 수증기가 발생되도록 한다. 더욱이 제1수조(30)에 저수된 물에 의하여 본체(10) 저면에 열이 전도되지 않아 본체(10) 아래에 별도의 받침부재나 방열부재를 놓지 않아도 된다.
숯(2)이 발화되면 본체(10) 측면에 형성된 통풍구(11)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숯(2)의 발열을 도와준다. 그러나 제2수조(40)에서 발생된 수증기는 숯(2)의 발열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석쇠(50)에서 구워지는 고기로부터 떨어지는 기름은 숯 받침대(20)를 거쳐 제1수조(30) 또는 제2수조(40)로 떨어지게 되어 별도의 기름을 받치기 위한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고기로부터 떨어지는 기름에 의하여 숯불구이기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욱이 고기(3)로부터 떨어지는 기름이 숯(2)에 의하여 쉽게 발화되지 않으므로 그을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숯불에 떨어진 기름에 의해 발생된 연기로 고기에 숯 향이 배이도록 하여 고기의 맛과 향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숯불구이기는 본체 내부의 숯에서 발생된 열이 본체 외부, 특히 바닥에 전도되지 않아 숯불구이기를 어떤 위치에서도 사용이 용이하고, 고기로부터 떨어진 기름에 의하여 숯이 발화되지 않아 고기를 무단으로 태우지 않을 수 있어 고기 맛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기로부터 떨어진 기름에 의하여 숯불구이기의 오염을 최소화시켜 세척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숯불구이기 10: 본체 11: 통풍구 12, 41, 51: 손잡이 13: 지지구 14: 삽입공 20: 숯 받침대 30: 제1수조 31: 걸림홈 32: 저수판 33: 유동방지구 40: 제2수조 50: 석쇠

Claims (3)

  1. 직육면체로 상면이 개방되고 측면에 복수의 통풍구(11)가 구비되며 내측면에 복수의 지지구(13)가 돌출 구성되고 측면 하부에 삽입공(14)이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 내측에 삽입되고 지지구(13)에 의하여 지지되며 숯이 놓이는 숯 받침대(20);
    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본체(10) 상단에 결합되는 걸림홈(31)이 상부 외주연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일정량의 물이 저수되는 저수공간을 형성시키는 저수판(32)이 형성된 제1수조(30);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삽입공(14)에 삽입되고 일정량의 물이 저수되는 제2수조(40), 및
    상기 제1수조(30) 위에 놓이는 석쇠(50)를 포함하고,
    상기 저수판(32) 상단에 복수의 유동방지구(33)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숯 받침대(20)는 일정 간격의 빗살무늬 망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제1수조(30) 및 제2수조(40)에서 발생된 증기가 숯불의 온도를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막고, 제1수조(30) 및 제2수조(40)에 저수된 물이 숯불에 가열된 후에 발생된 증기가 고기에 가해져 고기가 쉽게 타거나 마르지 않도록 하는 휴대용 숯불구이기.
  2. 삭제
  3. 삭제
KR1020120069048A 2012-06-27 2012-06-27 휴대용 숯불구이기 KR101387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048A KR101387843B1 (ko) 2012-06-27 2012-06-27 휴대용 숯불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048A KR101387843B1 (ko) 2012-06-27 2012-06-27 휴대용 숯불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979A KR20140000979A (ko) 2014-01-06
KR101387843B1 true KR101387843B1 (ko) 2014-04-22

Family

ID=50138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048A KR101387843B1 (ko) 2012-06-27 2012-06-27 휴대용 숯불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8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755B1 (ko) * 2015-11-07 2017-01-23 노민현 바베큐 장치
CN105962795A (zh) * 2016-07-13 2016-09-28 张显奇 无烟环保全热能炭烤炉
CN108078405B (zh) * 2018-01-05 2020-01-31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烤箱及其烹饪方法
KR102176927B1 (ko) * 2019-06-27 2020-11-10 유승진 숯불 화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7123U (ko) * 1996-09-21 1998-07-06 김병두 육류 구이용 숯불 로스터
KR200315601Y1 (ko) 2003-02-28 2003-06-09 탁용원 숯불구이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7123U (ko) * 1996-09-21 1998-07-06 김병두 육류 구이용 숯불 로스터
KR200315601Y1 (ko) 2003-02-28 2003-06-09 탁용원 숯불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979A (ko) 2014-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6211B2 (ja) 加熱調理容器
US20140345594A1 (en) Barbeque Apparatus
KR101387843B1 (ko) 휴대용 숯불구이기
JP2015139709A (ja) 調理装置
KR102236131B1 (ko) 휴대용 바비큐 조리기구
KR101269786B1 (ko) 숯불구이기
KR101722562B1 (ko)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KR20100001028U (ko) 직화구이기
KR200466341Y1 (ko) 가스렌지-숯불 겸용 직화 구이기
KR101731702B1 (ko) 직화 훈제 겸용 조리기구
JP3189881U (ja) 調理器具
KR200486112Y1 (ko) 바비큐 그릴
KR20120058944A (ko) 숯불향 구이돌판 받침대
KR101182111B1 (ko) 직화구이기
KR20120113483A (ko) 바비큐 장치
CN105307546A (zh) 烹饪设备
KR101494082B1 (ko) 황토 원적외선 구이기
KR101321525B1 (ko) 구이용 불판
KR20010003242A (ko) 양측면 가열식 고기구이기
KR101281088B1 (ko) 이중 구이판
KR100845099B1 (ko) 물 순환이 이루어지는 구이기
KR200443515Y1 (ko) 양면조리를 할 수 있는 가스기기의 그릴용 생선 구이판
KR20100012797U (ko) 훈제요리가 가능한 열기순환식 고기구이장치
KR200412774Y1 (ko) 전기 구이기
KR200467530Y1 (ko) 숯불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