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9700A -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9700A
KR20230059700A KR1020220059604A KR20220059604A KR20230059700A KR 20230059700 A KR20230059700 A KR 20230059700A KR 1020220059604 A KR1020220059604 A KR 1020220059604A KR 20220059604 A KR20220059604 A KR 20220059604A KR 20230059700 A KR20230059700 A KR 20230059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ove
skewer
cooking
sm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덕희
Original Assignee
한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덕희 filed Critical 한덕희
Publication of KR20230059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97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18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2/00Device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로 개구된 개구부를 포함하며 연료를 수용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개구된 상부에 안착되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복수 개의 걸이홀을 포함하는 조리부, 및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덮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STOVE-TYPE COOKING EQUIPMENT FOR SMOKING}
개시된 내용은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육류에 함유된 지방질은 고기 맛을 느끼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각종의 성인병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최근에는 육류로부터 지방을 제거할 수 있는 조리법들이 각광을 받고 있다. 아주 오래전부터 사용되고 있는 장작불에 의한 바베큐구이나 숯불구이 등은 지방을 제거할 수 있는 대표적인 조리법들로서, 이 조리법들은 대상 구이물로부터 기름기를 제거할 수 있고 누린내를 없애는 탈취효과도 있어 닭고기나 돼지고기 등과 같이 지방 함유량이 많고 누린내가 나는 육류를 조리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바베큐구이기나 숯불구이기는 구이물을 긴 꼬치에 끼워 가열실에 다단으로 배열한 후 꼬치들을 전동모터로 가열실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공전시키면서 전기 또는 장작불이나 숯불로 열을 가함으로써, 구이물들로부터 기름이 아래로 흘러내려 제거되게 하면서 구워 조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통구이나 바베큐구이 같은 경우에는 크고 넓은 형태의 생고기 또는 생닭 전체를 구워 섭취하게 되는데 이들은 크고 넓은 내부 가열공간을 갖는 구이장치를 구비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구이장치는 구이물이 화염으로부터 직접 노출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구이물의 표면이 지나치게 타게 되어 구이물 표면을 제거한 후 섭취하여야 하므로 불필요한 낭비가 이루어지고, 열기의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많은 양의 목재나 숯 또는 가스를 사용하므로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전기 또는 장작불 바베큐구이기 및 숯불구이기는 구이물을 유효하게 굽지 못하는 문제가 있는데, 이는 상당한 부피의 중량을 갖는 구이물을 꼬치에 끼우거나 구이물 수납망에 넣어 굽더라도 내부까지 완전히 익기 전에 외부가 타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완전히 익히는데 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상당히 길어 소비되는 에너지량이 많고, 바베큐 영업장에서는 손님이 음식을 주문한 후 너무 긴 시간 동안 기다리게 하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8857호(2012.1.31.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음식물이 결합된 걸이부를 조리부에 걸고 덮개유닛으로 몸체부를 밀폐함으로써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는 상부로 개구된 개구부를 포함하며 연료를 수용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개구된 상부에 안착되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복수 개의 걸이홀을 포함하는 조리부, 및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덮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부는 중앙에 중공을 포함하며 복수 개가 서로 다른 크기를 갖고 적층되어 상기 덮개유닛을 지지하거나, 최상층의 상기 조리부에 놓이는 음식조리기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조리부는 상기 걸이홀에 인접하여 중앙으로 개구되는 제1 걸이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유닛은, 밀폐된 상기 몸체부 내부의 온도와 압력을 측정하는 온도압력부, 내부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홀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홀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배출조절부, 및 그립할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압력부는 외부에서 볼 수 있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는 조리하려는 음식물과 결합되며 상기 걸이홀에 걸 수 있는 걸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부는 중앙의 중공으로부터 연장되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복수 개의 제2 걸이홈을 더 포함하고, 조리하려는 음식물과 결합되며 상기 제2 걸이홈에 걸 수 있는 꼬치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걸이홈은 “ㄴ”자 형태로 절곡되거나 “ㅜ”자 형태로 절곡되며, 상기 꼬치유닛은, 몸체를 이루는 직선 형태의 꼬치몸체부, 및 상기 꼬치몸체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걸이홈에 걸리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걸이홈은 상기 걸이홀과 교차되어 배치되며, 상기 꼬치유닛은 상기 꼬치몸체부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결합되며 상기 꼬치몸체부에 결합된 음식물을 지지하는 꼬치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는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배치되며 개폐 가능한 도어부, 및 일측이 상기 몸체부의 상측 측면에 결합되어 연기를 배출하는 배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는 상기 배기부에 결합되며 상기 배기부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배기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는 일측이 상기 조리부와 결합되며 “ㄴ”자로 절곡되는 지지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유닛은 복수 개가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상기 조리부와 결합되어 음식조리기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 측면이나 상기 조리부와 결합되며 물을 수용하는 챔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리부에 걸이홀이나 제2 걸이홈이 형성되고 걸이홀이나 제2 걸이홈에 걸린 걸이부나 꼬치유닛에 음식물이 결합되어 몸체부 내부에 걸이부나 꼬치유닛과 음식물이 위치되고 덮개유닛으로 밀폐되어 밀폐 효과가 뛰어나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음식물 속까지 전체적으로 훈제되는 효과가 있다.
걸이부는 걸이홀에 삽입되고 조리부에 접촉하는 부분이 제1 걸이홈에 접촉되어 불안정하게 움직이지 않고 안착될 수 있다.
꼬치지지부는 꼬치몸체부와 분리가능하고 꼬치몸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여 결합된 음식물의 양에 따라 꼬치몸체부와 삽입결합되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어 결합된 음식물에 따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챔버부는 조리되는 음식물에 수분을 공급하여 양념 등이 타는 것을 방지하거나 음식물을 좀 더 촉촉하게 하여 음식물이 더욱 부드럽게 훈연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표시부는 편리하게 외부에서 몸체부 내부의 온도와 압력을 알 수 있어 몸체부 내부의 온도와 압력을 적당히 조절하여 요리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배기조절부는 배기부의 배출 통로를 차단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배출되는 유체의 양과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의 제1, 제2 걸이홈이 생성된 조리부 사시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 덮개유닛의 작동도.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 꼬치유닛의 사시도.
도 6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 챔버부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 안착유닛이 삽입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8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 안착유닛이 돌출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9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20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20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2000)의 제1, 제2 걸이홈(211, 250)이 생성된 조리부(200) 사시도이고, 도 9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2000)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2000)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서 숯 등이 연소되는 몸체부(100) 내부에 조리하려는 음식물(10)이 결합된 걸이부(400)나 꼬치유닛(500)을 조리부(200)의 걸이홀(210)이나 제2 걸이홈(250)에 걸고 몸체부(100)를 덮개유닛(300)으로 밀폐함으로써 음식물(10)을 신속하게 전체적으로 훈연되게 하여 효과적으로 훈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2000)는 몸체부(100), 조리부(200), 덮개유닛(300), 걸이부(400), 꼬치유닛(500), 도어부(600), 배기부(700), 배기조절부(800), 지지유닛(900), 챔버부(1000), 지지부(1100), 및 안착유닛(12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2000)는 상부로 개구된 개구부(110)를 포함하며 연료를 수용하는 몸체부(100), 몸체부(100)의 개구된 상부에 안착되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복수 개의 걸이홀(210)을 포함하는 조리부(200), 및 개구부(110)를 밀폐하는 덮개유닛(300)을 포함하며, 조리부(200)는 중앙에 중공을 포함하며 복수 개가 서로 다른 크기를 갖고 적층되어 덮개유닛(300)을 지지하거나, 최상층의 조리부(200)에 놓이는 음식조리기를 지지할 수 있으며, 조리부(200)는 걸이홀(210)에 인접하여 중앙으로 개구되는 제1 걸이홈(2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몸체부(100)는 내부에 숯 등의 연료를 수용하는 것으로, 상부로 개구된 개구부(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10)에 열을 가하여 조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개구부(110)는 원형이거나 다각형태 일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조리부(200)는 몸체부(100)의 개구된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걸이홀(210), 제1 걸이홈(211), 및 제2 걸이홈(250) 등을 포함하여 후술하는 걸이부(400)나 꼬치유닛(500)이 결합되어 조리하려는 음식물(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조리부(200)는 중공을 포함하는 원반형태이거나 중공을 포함하는 다각형태일 수 있다. 일례로, 조리부(200)는 몸체부(100)의 개구부(110)의 형태에 상응한 형태로 구성되어 몸체부(100)의 개구된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리부(200)는 중앙에 중공을 포함하여 복수 개가 서로 다른 크기를 갖고 적층되어 덮개유닛(300)을 지지하거나, 최상층의 조리부(200)에 놓이는 음식조리기를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조리부(200)에 놓이는 음식조리기의 크기에 맞추어 복수 개의 조리부(200)를 적층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걸이홀(21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홀이 조리부(200)에 형성된 것으로, 후술하는 걸이부(400)가 조리부(200)에 걸리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걸이홈(211)은 걸이홀(210)에 인접하여 중앙으로 개구되는 홈으로, 걸이홀(210)에 걸리는 후술하는 걸이부(400)가 안착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9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후술하는 걸이부(400)는 걸이홀(210)에 삽입되고 조리부(200)에 접촉하는 부분이 제1 걸이홈(211)에 접촉되어 불안정하게 움직이지 않고 안착될 수 있다.
조리부(200)에 걸이홀(210)과 제1 걸이홈(211)이 형성되고 걸이홀(210)에 걸리고 제1 걸이홈(211)에 안착된 걸이부(400)에 음식물(10)이 결합되게 되어 몸체부(100) 내부에 걸이부(400)와 음식물(10)이 위치되고 후술하는 덮개유닛(300)으로 밀폐되어 밀폐 효과가 뛰어나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음식물(10) 속까지 전체적으로 훈제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2000) 덮개유닛(300)의 작동도이다.
덮개유닛(300)은, 밀폐된 몸체부(100) 내부의 온도와 압력을 측정하는 온도압력부(310), 내부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홀(320)을 포함하며, 배출홀(320)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배출조절부(330), 및 그립할 수 있는 손잡이부(340)를 포함하며, 온도압력부(310)는 외부에서 볼 수 있는 표시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유닛(300)은 몸체부(100) 상부와 결합되어 몸체부(100)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온도압력부(310), 배출홀(320), 배출조절부(330), 및 손잡이부(3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온도압력부(310)는 밀폐된 몸체부(100) 내부의 온도와 압력을 측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표시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표시부(311)는 덮개유닛(300)의 표면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몸체부(100) 내부의 온도와 압력을 알고 몸체부(100) 내부의 온도와 압력을 적당히 조절하여 요리시간을 조절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배출홀(320)은 덮개유닛(300)에 형성되어 몸체부(100)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배출홀(320)은 복수 개 일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배출조절부(330)는 배출홀(320)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배출조절부(330)는 배출홀(320)의 크기를 조절하여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340)는 덮개유닛(300)의 표면에 결합되어 덮개유닛(300)의 온도가 높아도 사용자가 덮개유닛(300)을 용이하게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2000) 꼬치유닛(500)의 사시이다.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2000)는 조리하려는 음식물(10)과 결합되며 걸이홀(210)에 걸 수 있는 걸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조리부(200)는 중앙의 중공으로부터 연장되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복수 개의 제2 걸이홈(250)을 더 포함하고, 조리하려는 음식물(10)과 결합되며 제2 걸이홈(250)에 걸 수 있는 꼬치유닛(5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걸이홈(250)은 “ㄴ”자 형태로 절곡되거나 “ㅜ”자 형태로 절곡되며, 꼬치유닛(500)은, 몸체를 이루는 직선 형태의 꼬치몸체부(510), 및 꼬치몸체부(5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2 걸이홈(250)에 걸리는 돌출부(5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걸이홈(250)은 걸이홀(210)과 교차되어 배치되며, 꼬치유닛(500)은 꼬치몸체부(510)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결합되며 꼬치몸체부(510)에 결합된 음식물(10)을 지지하는 꼬치지지부(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이부(400)는 조리하려는 음식물(10)과 결합된 후 걸이홀(210)에 걸리고 제1 걸이홈(211)에 안착함으로써 음식물(10)을 조리부(200)에 결합시켜 널리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9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걸이부(400)는 위 아래가 굽은 “S” 자 형태일 수 있으며, 일측이 날카롭게 되어 있어 고기 등 음식물(10)이 걸이부(400)에 잘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걸이홈(250)은 조리부(200)의 중공으로부터 연장되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꼬치유닛(500)이 삽입되어 지지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2 걸이홈(250)은 “ㄴ”자 형태로 절곡되거나 “ㅜ”자 형태로 절곡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걸이홀(210)과 교차로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걸이홀(210)과 제2 걸이홈(250)이 한편에 몰아서 배치될 수도 있으며, 제2 걸이홈(250)에 걸이부(400)가 결합될 수도 있다.
꼬치유닛(500)은 조리하려는 음식물(10)과 결합된 후 제2 걸이홈(250)에 걸려 안착함으로써 음식물(10)을 조리부(200)에 결합시켜 널리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꼬치몸체부(510), 돌출부(520), 및 꼬치지지부(5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또는 도 9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꼬치몸체부(510)는 꼬치유닛(500)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 직선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측이 날카롭게 되어 있어 고기 등 음식물(10)이 잘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돌출부(520)는 꼬치몸체부(5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2 걸이홈(250)에 걸려 조리부(200)에 안착되는 것으로, 꼬치몸체부(510)와 이에 결합된 음식물(10)을 조리부(20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꼬치지지부(530)는 꼬치몸체부(510)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것으로, 꼬치몸체부(510)에 결합된 음식물(10)을 하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꼬치지지부(530)는 꼬치몸체부(510)와 분리가능하고 꼬치몸체부(510)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여 결합된 음식물(10)의 양에 따라 꼬치몸체부(510)와 삽입결합되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조리부(200)의 제2 걸이홈(250)에 안착된 꼬치유닛(500)에 음식물(10)이 결합되게 되어 몸체부(100) 내부에 꼬치유닛(500)과 음식물(10)이 위치되고 덮개유닛(300)으로 밀폐되어 밀폐 효과가 뛰어나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음식물(10) 속까지 전체적으로 훈제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2000) 챔버부(1000)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2000)는 몸체부(100)의 측면에 배치되며 개폐 가능한 도어부(600), 일측이 몸체부(100)의 상측 측면에 결합되어 연기를 배출하는 배기부(700), 배기부(700)에 결합되며 배기부(700)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배기조절부(800), 및 일측이 조리부(200)와 결합되며 “ㄴ”자로 절곡되는 지지유닛(900)을 더 포함하며, 지지유닛(900)은 복수 개가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조리부(200)와 결합되어 음식조리기를 지지할 수 있으며, 몸체부(100)의 내부 측면이나 조리부(200)와 결합되며 물을 수용하는 챔버부(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도어부(600)는 몸체부(100)의 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도어부(600)는 도어부(600)를 열지 않아도 몸체부(100) 내부가 보이는 투명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부(700)는 일측이 몸체부(100)의 상측 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몸체부(100) 내부의 연기 등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배기부(700)의 타측은 개구된 부분을 통해 비 등이 떨어지는 것을 막는 커버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조절부(800)는 배기부(700)에 결합되어 배기부(700)의 걔폐 정도를 조절하여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배기조절부(800)는 배기부(700)의 배출 통로를 차단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배출되는 유체의 양과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지지유닛(900)은 일측이 조리부(200)와 결합되며 “ㄴ”자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복수 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음식조리기가 안착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6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지지유닛(900)은 4 개가 사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3 개 혹은 5 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일례로, 지지유닛(900)은 조리부(200)에 형성된 끼움홀에 억지끼움결합으로 결합되거나 조리부(200)와 결합되는 부분이 끼움홀을 통과하여 조리부(200)의 상면으로 절곡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지지유닛(900)이 배치된 곳에는 전술한 조리부(200)의 걸이홀(210)이나 제2 걸이홈(250)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지지유닛(900)이 배치된 곳에는 음식물(10)을 걸 수 없기 때문에 지지유닛(900)과 걸이홀(210) 및 제2 걸이홈(250)의 위치를 적절히 안배할 수 있다.
도 6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챔버부(1000)는 몸체부(100)나 조리부(200)에 결합되는 것으로, 물(20)을 수용하여 조리되는 음식물(10)에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챔버부(1000)는 조리되는 음식물(10)에 수분을 공급하여 양념 등이 타는 것을 방지하거나 음식물(10)을 좀 더 촉촉하게 하여 음식물(10)이 더욱 부드럽게 훈연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일례로, 조리부(200)에 형성된 걸이홀(210)이나 제2 걸이홈(250)에 걸이부(400)나 꼬치유닛(5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챔버부(1000)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복수 개의 조리부(200)가 적층되는 경우 가장 아래 배치되는 조리부(200)에 챔버부(100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2000) 안착유닛(1200)이 삽입된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8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2000) 안착유닛(1200)이 돌출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2000)는 일측이 조리부(200)와 결합되며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부(1100), 및 지지부(1100)의 타측과 결합되며 지지부(110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몸체부(100)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안착유닛(1200)을 더 포함하며, 안착유닛(1200)은, 내부에 중공(1211)을 포함하며 상측에 장홀(1212)을 포함하는 본체부(1210), 본체부(1210)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본체부(1210)의 중공(1211)에 삽입결합되는 조절부(1220), 및 본체부(1210)의 장홀(1212)을 관통하여 조절부(1220)와 결합되며 조절부(1220)를 본체부(1210)와 결합시키는 결합부(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00)는 일측이 조리부(200)와 결합되며 하방으로 연장된 것으로 후술하는 안착유닛(12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7 또는 도 8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지지부(1100)는 조리부(200)와 수직으로 결합되어 연직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7 또는 도 8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착유닛(1200)은 일측이 지지부(1100)의 타측과 결합되며 지지부(110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몸체부(100)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것으로, 복수 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음식조리기가 안착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본체부(1210), 조절부(1220), 및 결합부(1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또는 도 8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지지부(1100) 및 안착유닛(1200)은 4 개가 사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3 개 혹은 5 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본체부(1210)는 내부에 중공(1211)을 포함하며 상부에 장홀(1212)을 포함하여 후술하는 조절부(1220)와 결합부(1230)가 삽입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도 7 또는 도 8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본체부(1210)는 지지부(1100)와 직교로 결합될 수 있다.
조절부(1220)는 본체부(1210)의 중공(1211)에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본체부(1210)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여 본체부(1210) 내부에 삽입되거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일례로, 조절부(1220)는 안착유닛(1200)에 안착되는 음식조리기의 크기나 형상에 맞추어 본체부(1210)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이 조절될 수 있다.
결합부(1230)는 본체부(1210)의 장홀(1212)을 관통하여 조절부(1220)와 결합되는 것으로 조절부(1220)를 본체부(1210) 내부에서 이동시키거나 본체부(1210)와 조절부(122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2000)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서 숯 등이 연소되는 몸체부(100) 내부에 조리하려는 음식물(10)이 결합된 걸이부(400)나 꼬치유닛(500)을 조리부(200)의 걸이홀(210)이나 제2 걸이홈(250)에 걸고 몸체부(100)를 덮개유닛(300)으로 밀폐하여 신속하게 전체적으로 훈연가능하고, 조절부(1220)를 두어 다양한 음식조리기의 사용이 가능하고 챔버부(1000)를 두어 음식물(10)에 수분을 공급하거나 양념 등이 타는 것을 방지하여 효과적으로 음식물(10)을 훈제할 수 있다.
조리부(200)에 걸이홀(210)이나 제2 걸이홈(250)이 형성되고 걸이홀(210)이나 제2 걸이홈(250)에 걸린 걸이부(400)나 꼬치유닛(500)에 음식물(10)이 결합되어 몸체부(100) 내부에 걸이부(400)나 꼬치유닛(500)과 음식물(10)이 위치되고 덮개유닛(300)으로 밀폐되어 밀폐 효과가 뛰어나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음식물(10) 속까지 전체적으로 훈제되는 효과가 있다. 걸이부(400)는 걸이홀(210)에 삽입되고 조리부(200)에 접촉하는 부분이 제1 걸이홈(211)에 접촉되어 불안정하게 움직이지 않고 안착될 수 있다. 꼬치지지부(530)는 꼬치몸체부(510)와 분리가능하고 꼬치몸체부(510)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여 결합된 음식물(10)의 양에 따라 꼬치몸체부(510)와 삽입결합되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어 결합된 음식물(10)에 따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챔버부(1000)는 조리되는 음식물(10)에 수분을 공급하여 양념 등이 타는 것을 방지하거나 음식물(10)을 좀 더 촉촉하게 하여 음식물(10)이 더욱 부드럽게 훈연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표시부(311)는 편리하게 외부에서 몸체부(100) 내부의 온도와 압력을 알 수 있어 몸체부(100) 내부의 온도와 압력을 적당히 조절하여 요리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배기조절부(800)는 배기부(700)의 배출 통로를 차단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배출되는 유체의 양과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음식물
20 : 물
100 : 몸체부
110 : 개구부
200 : 조리부
210 : 걸이홀
211 : 제1 걸이홈
250 : 제2 걸이홈
300 : 덮개유닛
310 : 온도압력부
311 : 표시부
320 : 배출홀
330 : 배출조절부
340 : 손잡이부
400 : 걸이부
500 : 꼬치유닛
510 : 꼬치몸체부
520 : 돌출부
530 : 꼬치지지부
600 : 도어부
700 : 배기부
710 : 커버부
800 : 배기조절부
900 : 지지유닛
1000 : 챔버부
1100 : 지지부
1200 : 안착유닛
1210 : 본체부
1220 : 조절부
1230 : 결합부
2000 :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

Claims (12)

  1. 상부로 개구된 개구부를 포함하며 연료를 수용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개구된 상부에 안착되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복수 개의 걸이홀을 포함하는 조리부; 및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덮개유닛;을 포함하는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는 중앙에 중공을 포함하며 복수 개가 서로 다른 크기를 갖고 적층되어 상기 덮개유닛을 지지하거나, 최상층의 상기 조리부에 놓이는 음식조리기를 지지하는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는 상기 걸이홀에 인접하여 중앙으로 개구되는 제1 걸이홈을 포함하는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유닛은,
    밀폐된 상기 몸체부 내부의 온도와 압력을 측정하는 온도압력부;
    내부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홀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홀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배출조절부; 및
    그립할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압력부는 외부에서 볼 수 있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조리하려는 음식물과 결합되며 상기 걸이홀에 걸 수 있는 걸이부;를 더 포함하는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는 중앙의 중공으로부터 연장되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복수 개의 제2 걸이홈을 더 포함하고,
    조리하려는 음식물과 결합되며 상기 제2 걸이홈에 걸 수 있는 꼬치유닛;을 더 포함하는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걸이홈은 “ㄴ”자 형태로 절곡되거나 “ㅜ”자 형태로 절곡되며,
    상기 꼬치유닛은,
    몸체를 이루는 직선 형태의 꼬치몸체부; 및
    상기 꼬치몸체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걸이홈에 걸리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걸이홈은 상기 걸이홀과 교차되어 배치되며,
    상기 꼬치유닛은 상기 꼬치몸체부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결합되며 상기 꼬치몸체부에 결합된 음식물을 지지하는 꼬치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배치되며 개폐 가능한 도어부; 및
    일측이 상기 몸체부의 상측 측면에 결합되어 연기를 배출하는 배기부;를 더 포함하는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에 결합되며 상기 배기부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배기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조리부와 결합되며 “ㄴ”자로 절곡되는 지지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유닛은 복수 개가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상기 조리부와 결합되어 음식조리기를 지지하는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 측면이나 상기 조리부와 결합되며 물을 수용하는 챔버부;를 더 포함하는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
KR1020220059604A 2021-10-26 2022-05-16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 KR202300597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43932 2021-10-26
KR1020210143932 2021-10-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700A true KR20230059700A (ko) 2023-05-03

Family

ID=86380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604A KR20230059700A (ko) 2021-10-26 2022-05-16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970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857B1 (ko) 2009-04-27 2012-01-31 서상엽 바베큐 기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857B1 (ko) 2009-04-27 2012-01-31 서상엽 바베큐 기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1037A (en) Smoker apparatus for an outdoor barbecue grill
US20050039612A1 (en) Multiple bottom outdoor grill accessory
US61873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king foods in a barbeque grill
US20130312732A1 (en) Gas and ceramic grill combination
AU2015255207B2 (en) Smoker oven with improved air flow
US20040200359A1 (en) Outdoor cooker oven
WO2010063992A1 (en) Outdoor barbecues
US8365717B1 (en) Barbecue accessory and method of use
KR101006018B1 (ko) 다목적 숯불 구이기
US20120276260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low temperature smoking on a grill
US20060196492A1 (en) Indirect heat cooking apparatus
US9839224B2 (en) Food smoker adapter
KR20210106820A (ko)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
KR101562498B1 (ko) 구이용 화덕
KR20120030741A (ko) 숯불구이기
KR200485954Y1 (ko) 숯불구이조리장치 및 숯불구이조리장치용 숯통
KR102352014B1 (ko) 숯불 바베큐 구이기
US7540233B1 (en) Multi-use cooker
KR20230059700A (ko) 훈제용 난로형 조리장치
US20090308264A1 (en) Ultimate combo smoker
KR101073882B1 (ko) 훈제식 고기 구이기
KR101185789B1 (ko) 요리용 화덕
KR200359428Y1 (ko) 바비큐 구이기
KR100717073B1 (ko) 바비큐 장치
KR20080006045U (ko) 훈제 바베큐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