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718Y1 - 솥뚜껑 구이판 - Google Patents

솥뚜껑 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718Y1
KR200196718Y1 KR2020000008761U KR20000008761U KR200196718Y1 KR 200196718 Y1 KR200196718 Y1 KR 200196718Y1 KR 2020000008761 U KR2020000008761 U KR 2020000008761U KR 20000008761 U KR20000008761 U KR 20000008761U KR 200196718 Y1 KR200196718 Y1 KR 2001967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ing
meat
plate
pot li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87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구
Original Assignee
강승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승구 filed Critical 강승구
Priority to KR20200000087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7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7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7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기 등을 구울 수 있는 솥뚜껑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구이판에서 고기 등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솥뚜껑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원형의 형태로 중앙 부위에는 손잡이부(2)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외측으로 갈수록 구이부(10)가 하향 경사지는 솥뚜껑 구이판에 있어서,
상기 구이부(10)의 하측으로 가열부(20)가 중공부(30)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일체화되고 상기 손잡이부(2)에는 주입구(46)가 형성되어 축핀(42)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커버(40)에 의해 덮여지며 상기 구이부(10) 상부에는 측벽(16)이 돌설되어 주구이부(12)와 부재료 구이부(1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솥뚜껑 구이판을 제공하여,
간접적인 열에 의해 고기가 구워져 삽겹살과 같은 고기와 마늘과 같은 부재료를 태우지 않고 구울 수 있고 별도로 분리하여 구울 수 있어 부재료가 가지고 있는 맛이나 향을 그대로 살릴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솥뚜껑 구이판 {COVER OF KETTLE TYPE ROAST PLATE}
본 고안은 고기 등을 구울 수 있는 솥뚜껑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구이판에서 고기 등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솥뚜껑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석점이나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사각형상이나 원형으로 이루어진 불판 등을 사용하여 오고 있고, 최근에 일반음식점에서 불판용으로 무쇠솥의 뚜껑을 구이판으로 사용하여 오고 있다.
이 솥뚜껑은 둥근 원형의 형태로 중앙부위에는 돌출되어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외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인 방사상으로 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삼겹살과 같은 고기 등을 구울 때에 완전히 익혀 기름을 뺀 후에 먹거나 마늘과 같은 채소류를 같이 올려 놓고 구워 먹는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솥뚜껑 구이판은 열전달 효율이 높은 금속재로 만들기 때문에 삼겹살 등을 구울 때에 삽겹살을 완전히 익혀 기름을 뺀 후에 시식하기 때문에 굽는 고기가 쉽게 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임시방편으로 사용자는 상기 구이판 등에 가열되는 불을 미세하게 조절하여 고기를 굽기도 하여 타는 것을 방지하기도 하는 데, 상기 고기를 굽기 위해 오랫동안 달구어진 불판의 열은 쉽게 식혀지지 않기 때문에 고기가 타는 경우가 발생되어 탄 고기는 버리거나 먹게 된다.
탄 고기를 먹는 경우에는 성인병과 같은 건강에서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고 또한 태워진 고기는 버려지게 되므로 쓸데 없이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마늘과 같이 열에 약한 채소류 등의 부재료는 쉽게 타고 또 고기와 함께 부재료를 구울 경우 고기에 배출되는 기름에 의해 본래 부재료가 가지고 있는 맛이나 향을 잃어 버려 맛이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중공부를 사이에 두고 솥뚜껑을 하부의 가열부와 상부의 구이부로 분리하여 일체로 형성하되 손잡이부에 형성된 통공으로 물을 부어 중공부에 물을 채워 넣은 상태에서 고기와 부재료를 구움으로써, 간접적인 열에 의해 고기가 구워져 삽겹살과 같은 고기와 마늘과 같은 부재료를 타지 않고 구울 수 있고 별도로 분리하여 구울 수 있어 부재료가 가지고 있는 맛이나 향을 그대로 살릴 수 있는 솥뚜껑 구이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원형의 형태로 중앙 부위에는 손잡이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외측으로 갈수록 구이부가 하향 경사지는 솥뚜껑 구이판에 있어서,
상기 구이부의 하측으로 가열부가 중공부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일체화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주입구가 형성되어 축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커버에 의해 덮여지며 상기 구이부 상부에는 측벽이 돌설되어 주구이부와 부재료 구이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솥뚜껑 구이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의 단면도,
도 3은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솥뚜껑, 2: 손잡이부, 3: 고기, 4: 부재료, 10: 구이부, 12: 주구이부, 14: 부재료 구이부, 16: 측벽, 20; 가열부, 30: 중공부, 40: 커버, 42: 축핀, 44: 휘슬공, 46: 주입구, 48: 배출공, 50: 물.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의 단면도이며, 도 3은 사용 상태도이다.
원형의 형태로 중앙 부위에는 손잡이부(2)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외측으로 갈수록 구이부(10)가 하향 경사지는 솥뚜껑 구이판에 있어서,
상기 구이부(10)의 하측으로 가열부(20)가 중공부(30)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일체화되고 상기 손잡이부(2)에는 주입구(46)가 형성되어 축핀(42)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커버(40)에 의해 덮여지며 상기 구이부(10) 상부에는 측벽(16)이 돌설되어 주구이부(12)와 부재료 구이부(1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손잡이부(2)가 원형의 중앙에서 돌설되고 외측으로 갈수록 구이부(10)는 하향 경사진다.
구이부(10)의 하측으로는 중공부(30)를 사이에 두고 가열부(20)가 형성되어 구이부(10)와 가열부(20)가 일체화되고, 구이부(10) 상부에는 측벽(16)이 형성되어 측벽(16)에 의해 구이부(10)가 고기(3)를 굽는 주구이부(12)와 마늘과 같은 부재료(4)를 굽는 부재료 구이부(14)로 나뉘어 진다.
손잡이부(2)에는 주입구(46)가 형성되어 중공부(30)와 연통되고 주입구(30) 상부는 축핀(42)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커버(40)에 의해 덮여지되, 커버(40)에는 휘슬공(44)이 형성되어 중공부(30)에 채워진 물(50)이 어느 정도 뜨거워지면 증발하는 수증기가 휘슬공(44)을 통과하면서 휘슬이 올리게 된다.
한편, 주구이부(12)의 외측으로는 다수의 배출공(48)이 형성되어 고기(3)에서 나오는 물이나 기름이 배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손잡이부(2)의 주입구(46)를 통해 물(50)을 부어 중공부(30)를 채운 상태에서 솥뚜껑(1) 구이판을 놓고 가열하되 고기를 주구이부(12)에 올려 놓고 구울 경우 하부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열부(20)에 열이 가해져 일차적으로 가열된다.
가열부(20)의 열이 상부로 전달되어 중공부(30)에 있는 물(50)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상부의 구이부(10)도 가열된다.
주구이부(12)의 가열에 의해 고기(3)가 구워지되 간접적인 열에 의해 고기(3)가 구워져 태우지 않고 고기(3)를 구울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마늘이나 버섯과 같이 열에 약한 부재료(4)는 부재료 구이부(12)에 올려 놓고 구우면 역시 간접적인 열에 의해 구워져 태우지 않으면서도 변하지 않은 원래의 맛을 느낄 수 있으며 고기(3)와 같이 곁들어 먹을 수 있어 태우지 않고 맛좋은 질의 고기(3)를 구워 먹을 수 있다.
중공부(30)의 물(50)이 충분히 가열되면 발생하는 수증기에 의해 주입구(46) 상부의 커버(40)에서 휘슬이 올리게 되고 이에 의해 고기가 충분이 익혀 졌음을 알 수 있는 것이고 또 가열부(20)를 계속 가열시키지 않고도 물(50)의 잔열에 의해 구이부(10)를 계속 가열시킬 수 있어 고기(3)와 부재료(4)를 구울 수 있는 것이며, 배출공(48)이 형성되어 고기(3)에서 발생되는 기름이 별도의 기름받이통에 흘러 내려 기름등이 고여서 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측벽(16)에 의해 고기(3)와 부재료(4)를 각각 분리하여 구움으로써 고기(3)와 부재료(4)가 원래 갖고 있던 맛이나 향을 간직한 채 구워지므로 맛 좋게 시식할 수 있는 것이고 타지 않은 고기(3)를 먹을 수 있어 건강에도 좋은 것이며 태운 고기(3)를 버리는 것이 없어 낭비를 막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중공부를 사이에 두고 솥뚜껑을 하부의 가열부와 상부의 구이부로 분리하여 일체로 형성하되 손잡이부에 형성된 통공으로 물을 부어 중공부에 물을 채워 넣은 상태에서 고기와 부재료를 구움으로써, 간 접적인 열에 의해 고기가 구워져 삽겹살과 같은 고기와 마늘과 같은 부재료를 타지 않고 구울 수 있고 별도로 분리하여 구울 수 있어 부재료가 가지고 있는 맛이나 향을 그대로 살릴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원형의 형태로 중앙 부위에는 손잡이부(2)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외측으로 갈수록 구이부(10)가 하향 경사지는 솥뚜껑 구이판에 있어서,
    상기 구이부(10)의 하측으로 가열부(20)가 중공부(30)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일체화되고 상기 손잡이부(2)에는 주입구(46)가 형성되어 축핀(42)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커버(40)에 의해 덮여지며 상기 구이부(10) 상부에는 측벽(16)이 돌설되어 주구이부(12)와 부재료 구이부(1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솥뚜껑 구이판.
KR2020000008761U 2000-03-28 2000-03-28 솥뚜껑 구이판 KR2001967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761U KR200196718Y1 (ko) 2000-03-28 2000-03-28 솥뚜껑 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761U KR200196718Y1 (ko) 2000-03-28 2000-03-28 솥뚜껑 구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718Y1 true KR200196718Y1 (ko) 2000-09-15

Family

ID=19649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761U KR200196718Y1 (ko) 2000-03-28 2000-03-28 솥뚜껑 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71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7331A (en) Cooking food in a food preparation kit in a microwave and in a thermal oven
KR200397287Y1 (ko) 구이용 불판
US6525299B2 (en) Electric garlic cooker
KR20070099729A (ko) 구이와 부(附)요리의 복합 요리가 가능한 구이판
KR200196718Y1 (ko) 솥뚜껑 구이판
CN108814327A (zh) 一种砂石烤肉方法及其烧烤炊具
JP2588141B2 (ja) 組合せ調理鍋
KR100761864B1 (ko) 육류 구이용 소금판
KR200355889Y1 (ko) 고기 구이용 불판
KR200401034Y1 (ko) 내열도기재로된 다기능성 고기구이판
KR200297015Y1 (ko) 닭갈비 구이판
KR100520912B1 (ko) 솥뚜껑 구이 장치
KR200166317Y1 (ko) 구이기능을갖는남비
KR200318145Y1 (ko) 전골요리 겸용 돌 구이판
KR200245632Y1 (ko) 불판 겸용 냄비
KR19990036668U (ko) 훈제 구이기
KR102317772B1 (ko) 간접 가열식 일인용 구이기
KR200288000Y1 (ko) 온도 조절이 가능한 마늘 구이 용기가 구비된 고기 구이판
KR200252788Y1 (ko) 만능구이기
JPH03176006A (ja) 調理器具
KR200305088Y1 (ko) 고기구이판
KR200256894Y1 (ko) 고기구이판
KR200266708Y1 (ko) 고기구이판
KR200172244Y1 (ko) 축열제를 이용한 고기구이판
JPH054084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