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287Y1 - 구이용 불판 - Google Patents

구이용 불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287Y1
KR200397287Y1 KR20-2005-0020251U KR20050020251U KR200397287Y1 KR 200397287 Y1 KR200397287 Y1 KR 200397287Y1 KR 20050020251 U KR20050020251 U KR 20050020251U KR 200397287 Y1 KR200397287 Y1 KR 2003972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urved surface
meat
grill
cook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2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주호
Original Assignee
신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주호 filed Critical 신주호
Priority to KR20-2005-0020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2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2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2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5Vessels with non-stick features, e.g.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Abstract

본 고안은 불판부의 외주에 기름을 수집하는 조리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조리공간부로 수집된 기름을 이용하여 다른 음식조리로 가능함에 따른 섭취자의 섭취욕 증폭과 함께 고기류에서 발생된 기름의 재생처리에 따른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중앙에서 하방으로 기울어진 만곡면(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만곡면(110)의 외주연에 경계단턱(120)이 일정 높이 상승되어 있으며, 상기 경계단턱(120)에는 상기 만곡면(110)에서 타고 흐르는 기름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다수의 기름유출공(130)이 형성되어 있는 불판부(100), 및 상기 경계단턱(120)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내측벽(210)과, 상기 내측벽(210)의 하단을 폐쇄하고 일정 넓이를 가지는 바닥면(220)과, 상기 바닥면(220)의 외주연에서 일정 높이 상승되는 외측벽(230)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 외측벽(210)(230) 및 바닥면(220)에 의해 내부에 수집공간(240)이 마련되어, 상기 경계단턱(120)의 기름유출공(130)을 통해 유출되는 기름이 상기 수집공간(240)에 수집됨에 따라 상기 수집된 기름을 이용하여 음식조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조리공간부(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이용 불판{The meat the petal which it roasts}
본 고안은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불판부의 외주에 기름을 수집하는 조리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조리공간부로 수집된 기름을 이용하여 다른 음식조리로 가능함에 따른 섭취자의 섭취욕 증폭과 함께 고기류에서 발생된 기름의 재생처리에 따른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류를 구워 조리하기 위한 불판은 대개 숯불이나 가스불을 열원으로 하는 화덕에 얹혀지는 후라이팬 형태의 단순한 것부터 중앙에 볼록한 만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만곡면에 다수의 화공이 천공된 원판형태의 불판 및 숱뚜겅형태 또는 거북형상등의 다양한 불판이 제공되고 있다.
아울러, 재질에 따라 스테인레스, 황동과 같은 구리합금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에서 부터 맥반석등의 원석을 이용한 불판등 다양한 형태의 구이용 불판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불판은 화덕과 같은 열원에 얹혀진 상태에서 고기류를 상기 불판에 얹혀, 상기 열원에 의해 가열된 불판을 통해 고기류가 익혀지게 되고, 상기 익혀지는 고기류에 함유된 기름이 액화되어 외부로 방출되고, 이렇게 방출되는 기름은 상기 불판의 외주에 마련된 기름유출공을 통해 수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불판에는 고기류와 함께 섭취자의 기호에 맞게 묵은 김치등을 더 얹혀 구워먹을 수 있게 하여, 섭취욕을 증폭하게 되고, 고기류의 섭취가 완료되면, 불판에 남아있는 기름을 이용하여 밥을 볶아먹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용기에 된장찌개등의 음식이 별도로 제공되어 상기 고기류를 섭취함에 있어 느끼함을 제거하여 섭취감을 증폭되도록 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불판을 통해 익혀지는 고기류에서 발생된 기름은 한 곳에 수집된 후 이를 처리하기 매우 곤란점이 있었다.
즉, 상기 고기류에서 발생된 기름은 열에 의해 액화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열이 제거된 후 저온 상태에서는 고체상태의 고화되는 특징에 의해 상기 액화의 기름을 하수구등에 방출시 상기 액화의 기름 중 일부는 하수구를 따라 방출되고 일부는 상기 하수구의 특정 위치등에 남게되고, 이렇게 남게되는 액화의 기름은 고화되어 상기 하수구를 막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하수구로 방출된 액화의 기름은 하수구의 물이 모아지는 하천등에 수질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의해 가정등에서는 상기 액화된 기름에 밀가루와 함께 반죽하여 이 밀가루 반죽된 것을 쓰레기 처리하게 되는 이중의 기름 처리 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불판에 섭취자의 기호에 따라 묵은 김치등을 고기류와 함께 얹혀 구울 경우, 상기 김치등에 포함된 양념들이 고기류에 엉겨붙어 상기 고기류가 불판에 눌러붙게 하는 접착제 역할 및 상기 양념은 고기류보다 쉽게 가열됨에 따라 검게 타게되어 고기류의 섭취욕을 상실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상기 검게 테워진 부분에서는 인체에 유해한 발암물질등이 함유되어 있다는 것은 일반적인 상식으로 고기류의 섭취욕을 더욱 상실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불판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새로운 불판으로 교체해야 되고, 이로인해 상기 불판의 세척량의 증가와 새로운 불판이 화덕에 안착된 후 가열되는 시간 동안 고기류의 섭취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영업장인 식당등에서 고기류의 섭취욕을 증폭하기 위해 서비스로 제공되는 된장찌개등은 별도의 용기에 담겨져 제공되지만, 한정된 테이블 면적에 의해 상기 용기를 안착시키기가 용이하지 못하고, 특히 상기 용기에 담겨진 된장찌개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식게되어 상기 용기를 데우기 위해 화덕에 얹혀진 불판을 제거 후 데우거나 또는 주방등에서 재가열 후 재제공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고기류가 얹혀지는 불판부의 외주변에 상기 고기류에서 발생된 기름을 수집할 수 있는 수집공간이 형성된 조리공간부를 마련하여, 상기 조리공간부로 수집된 기름에 의해 김치의 볶음과 된장찌개등의 데워짐이 가능함에 따른 조리공간의 공간 효율성과, 불판부가 고기류나 야채등에 의해 검게 타지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고기류에서 발생된 기름의 재생처리에 따른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이용 불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앙에서 하방으로 기울어진 만곡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만곡면의 외주연에 경계단턱이 일정 높이 상승되어 있으며, 상기 경계단턱에는 상기 만곡면에서 발생되는 기름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다수의 기름유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불판부, 및 상기 경계단턱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내측벽과, 상기 내측벽의 하단을 폐쇄하고 일정 넓이를 가지는 바닥면과, 이 바닥면의 외주연에서 일정 높이 상승되는 외측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 외측벽 및 바닥면에 의해 내부에 수집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경계단턱의 기름유출공을 통해 유출되는 기름이 상기 수집공간에 수집됨에 따라 상기 수집된 기름을 이용하여 음식조리가 가능하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조리공간부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불판부 및 조리공간부의 표면에는 고기류가 불판부에 눌러 붙거나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고기류의 익혀지는 속도 및 상기 고기류의 유해 독성이 제거되도록 하는 코팅층이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조리공간부의 외주연에는 익혀진 고기류 또는 마늘등과 같은 야채등을 보관할 수 있는 보조 수납부가 더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본 고안에 있어서, 조리공간부에는 내, 외측벽 및 바닥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구획벽이 구성되어, 상기 구획벽에 의해 상기 조리공간부내에 적어도 둘 이상의 수납공간이 구획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잇어서, 불판부의 만곡면에는 다수의 화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화공은 상호 길이가 다르도록 방사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불판부의 만곡면에는 상기 만곡면보다 함몰된 깊이를 가지고, 경계단턱에 형성된 기름유출공으로 원활하게 기름이 유도되도록 다수의 기름유출통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코팅층은 파인세라믹 또는 게르마늄 및 맥반석 중 이들의 혼합 또는 어느 하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조리공간부의 바닥면 저면에는 열원의 상면에 안착이 용이하도록 복수의 받침대가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구이용 불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구이용 불판의 평면도이며, 도 3은 구이용 불판의 횡단면도이고, 도 4는 구이용 불판의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V-V선 단면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구이용 불판은 고기류가 얹혀지는 불판부(100)와 상기 불판부(100)의 외주연에 형성되고, 상기 불판부(100)에서 유출되는 기름이 저장되는 수납공간(240)이 형성되어 있는 조리공간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불판부(100)는 중앙에서 하방으로 만곡되게 기울어진 만곡면(110)이 형성되고, 상기 만곡면(110)의 끝단 외주연에서 일정 높이 상승되는 경계단턱(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경계단턱(120)에는 만곡면(110)에 얹혀진 고기류에서 발생된 기름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기름유출공(130)이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불판부(100)의 만곡면(110)에는 열원 즉, 가스렌지 또는 숯불등에서 발생된 열원이 만곡면(110)을 통과하여 고기류의 익힘 속도가 가속되도록 하는 다수의 화공(14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화공(140)은 경계단턱(120)에서 중앙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며, 방사형으로 다수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공(140)은 방사형으로 형성되되, 상호 길이가 다르도록 즉, 어느 하나는 경계단턱(120)에서 중앙까지 길이의 절반 길이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경계단턱(120)에서 중앙까지 길이의 절반의 반 길이로 형성되며, 이들이 한쌍으로 등간격에 방사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판부(100)의 만곡면(110)에는 일정 깊이의 함몰부가 형성되어, 상기 함몰된 깊이를 통해 상기 만곡면(110)에 얹혀진 고기류에서 발생된 기름이 경계단턱(120)에 형성된 기름유출공(130)을 통해 유출이 용이하도록 기름을 유도하는 기름유출통로(150)가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기름유출공(150)은 만곡면(110)에 방사형으로 관통된 화공(120) 중 절반 크기를 가진 화공(150)의 일정 폭을 제외한 주변부위가 함몰되게 형성되고, 절반의 반 크기로 형성된 화공(150)의 일정 폭으로 중앙으로 연장되고, 상기 중앙으로 연장된 주변 부위가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함몰부위로 고기류에서 발생된 기름이 유도됨에 따라 경계단턱(120)에 형성된 기름유출공(130)을 통해 기름이 유출되는 것이다.
상기 조리공간부(200)는 상기 불판부(100)의 경계단턱(12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내측벽(210)과, 상기 내측벽(210)의 하단을 마감하고 일정 폭을 가진 바닥면(220)과, 상기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 상승된 외측벽(230)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 외측벽(210)(230) 및 바닥면(220)에 의해 내부에 수납공간(240)이 형성되는 것이고, 이 경우 상기 조리공간부(200)와 불판부(100)는 일체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조리공간부(200)의 외주연에는 외부로 돌출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보조수납부(400)가 더 구성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익혀진 고기류 또는 마늘과 같은 야채류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리공간부(200)의 외주연에 복수로 대칭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보조수납부(400)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측으로 연장된 손잡이가 더 구성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 외측벽(210)(230)은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도록 상호 기울기를 가지고, 특히 내, 외측벽(210)(230)의 하단에 마련된 바닥면(220)에는 상기 내, 외측벽(210)(230)이 만나는 모서리부분에 라운딩 처리되어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리공간부(200)에는 구획판(250)이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구획판s(250)에 의해 상기 조리공간부(200)의 수납공간(240)이 복수로 적어도 둘 이상으로 양분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내, 외측벽(210)(230) 및 바닥면(220)에 고정되는 구획판(240)이 복수로 조리공간부(200)의 수납공간(240)에 마련되어, 상기 구획판(250)에 의해 구획된 수납공간(240)에 각각의 다른 음식 조리가 가능하도록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리공간부(200)의 저면 즉, 바닥면(220)의 저면에는 열원에 안착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받침대(260)가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불판부(100)와, 조리공간부(200)로 구성된 구이용 불판은 금속재 즉, 알루미늄, 스테인레스와 구리합금 및 무쇠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주조성 및 경량인 알루미늄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이용불판의 표면에는 코팅층(300)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코팅층(300)은 불판부(100)의 만곡면(110)에 얹혀지는 고기류등이 열원에 의해 익혀질 때, 만곡면(110)에 눌러 붙힘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항균작용등에 의해 상기 고리류에 포함된 독성의 제거 및 냄새등이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코팅층(300)은 테프론 코팅층과 상기 테프론코팅층을 보호하기 위한 마블코팅층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코팅층(300)의 테프론코팅층은 주방용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프라이마층, 미드층, 탑층으로 형성된 3중의 테프론코팅층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마블코팅층은 상기 테프론코팅층이 열원 또는 세척작업 및 기타 금속재에 의해 벗겨짐이 방지되도록 경도가 강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구이용 불판의 사용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스렌지 또는 숯불등과 같은 열원의 상면에 구이용 불판을 안착하는 것으로, 상기 구이용 불판의 조리공간부(200) 저면 즉, 바닥면(220)이 상기 열원의 상면에 안착된다.
즉, 열원의 상면에 조리공간부(200)의 저면이 안착되고, 상기 조리공간부(200)의 중앙 상방으로 돌출된 불판부(100)의 만곡면(110) 저면이 상기 열원에 직접적인 열원을 전달받아 가열된다.
아울러, 상기 만곡면(110)에는 섭취하고자 하는 고기류가 얹혀지게 되고, 상기 열원이 상기 만곡면(110)을 가열하는 동시에 상기 만곡면(110)에 형성된 화공(140)을 통해 직접적인 열원이 고기류에 전달되어, 상기 만곡면(110)에 얹혀진 고기류는 만곡면(110)의 가열 및 화공(140)의 직접적인 열에 의해 익힘 된다.
더불어, 상기 열원에 의해 익힘되는 고기류에서는 상기 고기류가 함유하고 있는 기름이 액화되어 외부로 배출되고, 이때 발생된 기름은 상기 만곡면(110)에 형성된 일정 깊이를 가진 기름유출통로(150)를 따라 하방으로 유출된다.
더욱이, 상기 기름유출통로(150)를 따라 유출되는 기름은 상기 경계단턱(120)에 형성된 기름유출공(130)을 통해 조리공간부(200)의 수집공간(240)에 수집된다.
또한, 만곡면(110)에 얹혀진 고기류는 상기 구이용 불판의 표면에 테프론 및마블 코팅된 코팅층(300)에 의해 상기 만곡면(110)에 눌러 붙지않게 된다.
특히, 상기 고기류는 열원에 의해 발생된 기름에 의해 상기 만곡면(110)의 기울어진 경사를 따라 하방으로 미끄러지게 되지만, 상기 만곡면(110)의 끝단 외주연에 일정 높이 세워진 경계단턱(120)에 걸림된다.
더불어, 익힘된 고기류 또는 마늘과 같은 야채류등은 조리공간부(200)의 외주에 형성된 보조수납부(400)의 공간에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불판부(100)의 열전도에 의해 상기 보조수납부(400)는 일정 온도를 유지하게 되어, 수납된 음식물을 일정 온도 유지하는 보온작용을 하게된다.
한편, 상기 수집공간(240)에는 섭취자의 취향에 맞게 묵은 김치 또는 된장찌개등과 같은 음식류를 담고 있어, 고기류의 익힘에 따라 발생된 기름이 상기 수집공간(240)으로 수집됨과 아울러, 상기 수집공간(240)에 담겨진 묵은김치 또는 된장찌개와 함께 어우러져 즉석 음식조리로 인해 고기류와는 별개의 음식 조리가 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불판에서 구이용 고기류의 섭취 및 섭취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음식조리가 가능함에 따른 섭취욕을 증폭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고기류가 얹혀지는 불판부의 외주변에 상기 고기류에서 발생된 기름을 수집할 수 있는 수집공간이 형성된 조리공간부를 마련하여, 상기 조리공간부로 수집된 기름에 의해 김치의 볶음과 된장찌개등의 데워짐이 가능함에 따른 조리공간의 공간 효율성과, 불판부가 고기류나 야채등에 의해 검게 타지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고기류에서 발생된 기름의 재생처리에 따른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구이용 불판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이용 불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구이용 불판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이용 불판의 횡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구이용 불판의 종 단면도.
도 5는 도 2의 V - V 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불판부 110 : 만곡면
120 : 경계단턱 130 : 기름유출공
200 : 조리공간부 210 : 내측벽
220 : 바닥면 230 : 외측벽
240 : 수집공간 400 : 보조수납부

Claims (8)

  1. 중앙에서 하방으로 기울어진 만곡면(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만곡면(110)의 외주연에 경계단턱(120)이 일정 높이 상승되어 있으며, 상기 경계단턱(120)에는 상기 만곡면(110)에서 타고 흐르는 기름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다수의 기름유출공(130)이 형성되어 있는 불판부(100); 및
    상기 경계단턱(120)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내측벽(210)과, 상기 내측벽(210)의 하단을 폐쇄하고 일정 넓이를 가지는 바닥면(220)과, 상기 바닥면(220)의 외주연에서 일정 높이 상승되는 외측벽(230)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 외측벽(210)(230) 및 바닥면(220)에 의해 내부에 수집공간(240)이 마련되어, 상기 경계단턱(120)의 기름유출공(130)을 통해 유출되는 기름이 상기 수집공간(240)에 수집됨에 따라 상기 수집된 기름을 이용하여 음식조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조리공간부(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판부(100) 및 조리공간부(200)의 표면에는 코팅층(300)이 더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공간부(200)의 외주연에는 익혀진 고기류 또는 마늘등과 같은 야채등을 보관할 수 있는 보조 수납부(400)가 더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공간부(200)에는 내, 외측벽(210)(230) 및 바닥면(220)에 고정되는 복수의 구획벽(250)이 구성되어, 상기 구획벽(250)에 의해 상기 조리공간부(200)내에 적어도 둘 이상의 수납공간(240)이 구획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불판부(100)의 만곡면(110)에는 다수의 화공(1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화공(140)은 상호 길이가 다르도록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불판부(100)의 만곡면(110)에는 상기 만곡면(110)보다 함몰된 깊이를 가지고, 경계단턱(120)에 형성된 기름유출공(130)으로 원활하게 기름이 유도되도록 다수의 기름유출통로(15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300)은 테프론코팅과, 상기 테프론코팅을 보호하기 위한 마블코팅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공간부(200)의 바닥면(220) 저면에는 열원의 상면에 안착이 용이하도록 복수의 받침대(260)가 더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KR20-2005-0020251U 2005-07-12 2005-07-12 구이용 불판 KR2003972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251U KR200397287Y1 (ko) 2005-07-12 2005-07-12 구이용 불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251U KR200397287Y1 (ko) 2005-07-12 2005-07-12 구이용 불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287Y1 true KR200397287Y1 (ko) 2005-09-29

Family

ID=43698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251U KR200397287Y1 (ko) 2005-07-12 2005-07-12 구이용 불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287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619Y1 (ko) * 2009-07-10 2010-02-11 이계수 조리기구
KR101057136B1 (ko) * 2011-04-13 2011-08-17 주식회사 썬하우스 구이용 이중불판
KR101163871B1 (ko) 2010-04-29 2012-07-09 장정근 숯불 구이 장치
KR20160002584U (ko) * 2016-01-12 2016-07-25 이진희 적외선 가열조리기
KR20180014944A (ko) 2016-08-02 2018-02-12 김경중 무쇠팬 조리 기구
KR20210000971U (ko) * 2019-10-29 2021-05-10 주식회사 초송 야외용 난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619Y1 (ko) * 2009-07-10 2010-02-11 이계수 조리기구
KR101163871B1 (ko) 2010-04-29 2012-07-09 장정근 숯불 구이 장치
KR101057136B1 (ko) * 2011-04-13 2011-08-17 주식회사 썬하우스 구이용 이중불판
KR20160002584U (ko) * 2016-01-12 2016-07-25 이진희 적외선 가열조리기
KR200481675Y1 (ko) 2016-01-12 2016-10-28 이진희 적외선 가열조리기
KR20180014944A (ko) 2016-08-02 2018-02-12 김경중 무쇠팬 조리 기구
KR20210000971U (ko) * 2019-10-29 2021-05-10 주식회사 초송 야외용 난로
KR200494770Y1 (ko) * 2019-10-29 2021-12-23 주식회사 초송 야외용 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7287Y1 (ko) 구이용 불판
KR200448883Y1 (ko) 이중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
US8137723B1 (en) Healthy cookware
KR20070099729A (ko) 구이와 부(附)요리의 복합 요리가 가능한 구이판
KR200409516Y1 (ko) 직화푸라이팬
KR100677712B1 (ko) 음식물이 타지 않는 불판
JP2588141B2 (ja) 組合せ調理鍋
KR20110006479U (ko) 직화열 유도식 오븐기
KR200318145Y1 (ko) 전골요리 겸용 돌 구이판
KR200355889Y1 (ko) 고기 구이용 불판
KR200266752Y1 (ko) 뚜껑이 분리되는 솥뚜껑형 구이판
KR200182318Y1 (ko) 다용도 음식물 조리기구
KR200272449Y1 (ko) 한지 황토구이판
KR200369953Y1 (ko) 음식물의 조리용기
KR200330926Y1 (ko) 유로가 형성된 구이판
KR100679537B1 (ko) 구이기
KR200297015Y1 (ko) 닭갈비 구이판
KR200302068Y1 (ko) 탄소판을 이용한 다용도 구이 장치
KR200412787Y1 (ko) 음식물이 타지 않는 불판
KR200245632Y1 (ko) 불판 겸용 냄비
KR200316877Y1 (ko) 일회용 기름비산 방지 덮개
KR100344180B1 (ko) 고기 조리판
KR20040012226A (ko) 솥뚜껑 구이 장치
KR200381981Y1 (ko) 구이기
KR200366225Y1 (ko) 다용도 조리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