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136B1 - 구이용 이중불판 - Google Patents

구이용 이중불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136B1
KR101057136B1 KR1020110034437A KR20110034437A KR101057136B1 KR 101057136 B1 KR101057136 B1 KR 101057136B1 KR 1020110034437 A KR1020110034437 A KR 1020110034437A KR 20110034437 A KR20110034437 A KR 20110034437A KR 101057136 B1 KR101057136 B1 KR 101057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late
main
grill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해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썬하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썬하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썬하우스
Priority to KR1020110034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1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에 위치한 하나의 열원을 이용하여 상부에서 주재료인 고기뿐만 아니라 기타의 부재료도 동시에 섞이지 않게 굽거나 데울 수 있도록 한 구이용 이중불판(1)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이용 이중불판(1)은 주재료를 구울 수 있도록 가운데가 불룩하고 가장자리에 일측으로 기름이송로(4)가 개방되는 상향 돌출된 환형의 기름받이(22)를 구비한 주불판(2)과, 주불판(2)이 가운데에 안치되도록 내측에 받침턱(31)이 형성되며 절단면이 "U"자 형태인 수납부(32)가 구성된 환형의 보조불판(3)과, 보조불판(3)의 받침턱(31) 일측으로 하향 개방되게 구성된 기름배출구(5), 및 기름배출구(5)의 대향되는 위치에 주불판(2)의 기름이송로(4)로 배출되는 기름이 보조불판(3)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된 기름유입로(6)로 이루어지는 바, 본 발명에 의하면 주재료와 부재료를 섞이지 않도록 각각 분리하여 하나의 열원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주불판(2)이나 보조불판(3)이 쉽게 더러워지지 않아서 잦은 불판의 교체가 필요치 않으며, 고기류 고유의 맛을 득하거나 고기류의 기름을 보조불판(3)으로 이송시켜 풍미를 더 하도록 한 2가지 방법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 및 실용성과 더불어 경제성도 제고시킬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이용 이중불판{double grill for roast}
본 발명은 고기나 야채 등 각종 식재료를 구워서 먹을 수 있도록 한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상부에서 주재료인 고기류뿐만 아니라 기타의 부재료도 동시에 굽거나 데울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과 실용성 및 경제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도록 한 구이용 이중불판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이용 불판은 원판이나 사각판 형상으로 제조되어 하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불판 상부에 주재료인 고기류를 올려놓고 구울 시 부재료인 김치, 콩나물 또는 양파나 마늘 등의 각종 야채를 같이 올려서 고기에서 배어 나온 기름이 부재료와 혼합되어 눌어붙거나 급격하게 타는 것을 방지하면서 적당하게 구워서 주재료와 함께 섭취하여 풍미를 높이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상기한 종래 단독으로 사용되는 구이용 불판은 하나의 불판 상부에 주재료인 고기류와 부재료인 김치나 각종 야채를 동시에 굽다보니 불판이 쉽게 더러워져서 불판을 자주 갈아주거나 스크레이퍼로 청소를 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한 불편함이 가중되었으며, 고기류와 김치 등을 하나의 불판에서 동시에 구우면 김치의 양념이나 야채의 고유 향과 맛에 의해서 고기류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고기류 고유의 맛을 보기 위해서는 불판을 다시 교체하여 고기류만 구워야 하며, 또한 주재료인 고기류만 먹고자 하는 사용자와 주재료인 고기류와 각종 야채나 김치 등의 부재료를 동시에 구워서 먹고자 하는 사용자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없어서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등 다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구이용 불판을 가운데에 주재료를 구울 수 있는 주불판과 가장자리에 부재료를 굽거나 데울 수 있는 보조불판의 이중불판으로 구성하여 주재료인 고기류와 부재료인 김치나 각종 야채를 하나의 열원에 의해서 동시에 굽거나 데우더라도 주재료와 부재료가 섞이지 않도록 하고, 이와 함께 주재료인 고기류를 주불판에서 구울 시 배출되는 고기의 기름을 하부로 보다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거나 부재료인 김치나 각종 야채를 굽는 보조불판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을 취사선택하도록 하여 고기류 고유의 맛을 느끼고자 하는 사용자와 고기류를 김치나 각종 야채 등을 구워서 동시에 섭취코자 하는 사용자 모두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과 실용성을 동시에 득할 수 있으며, 경제적으로 유리하도록 한 구이용 이중불판을 제공함에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열원에 의해서 개별적으로 올려놓은 주재료와 부재료를 동시에 가열하여 굽거나 데울 수 있도록 한 구이용 이중불판을 구성하되, 상기 구이용 이중불판은 중앙이 가장자리에 비해 상향으로 불룩하게 형성된 주불판과, 상기 주불판의 가장자리에 기름을 받칠 수 있도록 상향 돌출된 환형의 기름받이와, 상기 주불판의 가장자리 일측에 기름받이가 트여 개방토록 구성된 기름이송로와, 상기 주불판이 안치되도록 내측에 내향 돌출된 받침턱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도록 절단면이 하부로 호형의 형태인 개략 "U"자 형태의 수납부가 구성된 환형의 보조불판과, 상기 보조불판의 내측으로 내향 돌출된 받침턱의 일측이 하향 개방되게 형성된 기름배출구와, 상기 기름배출구의 대향되는 위치에 주불판의 기름이송로로 배출되는 기름이 보조불판의 수납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된 기름유입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더불어 상기 받침턱상에 기름유입로 양측으로 중앙 내측 하부로 경사지게 구성된 유량조절홈이 각각 형성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이용 이중불판은 주재료를 구울 수 있는 주불판와 부재료를 굽거나 데울 수 있는 보조불판이 별도로 제작되어 보조불판의 가운데에 주불판이 안치되도록 구성되므로 주재료와 부재료를 섞이지 않도록 각각 분리하여 하나의 열원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주재료와 부재료가 섞임으로 인해 주불판이나 보조불판이 쉽게 더러워지지 않아서 잦은 불판의 교체가 필요치 않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편의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
그리고 주불판의 기름이송로와 보조불판의 기름배출구를 일치시켜 주재료인 고기류를 주불판에서 별도로 구울 시 고기의 기름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고기류 고유의 맛을 득할 수 있고, 상기 주불판의 기름이송로와 보조불판의 기름유입로를 일치시켜 주불판에서 구워지는 고기류의 기름을 보조불판으로 이송시키므로 풍미를 더 할 수 있으며, 상기 2가지 방법을 하나의 구이용 이중불판에서 취사선택토록 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므로 실용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주재료와 부재료를 하나의 열원으로 섞이지 않고 따로 구울 수 있도록 하여 열원의 사용을 줄일 수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불판의 잦은 교체를 방지하여 인건비 및 많은 불판의 세척 시 사용되는 세제 등의 사용량을 현저하게 줄여서 상기 편의성 및 실용성과 더불어 경제성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받침턱에 유량조절홈을 구성한 것을 보인 평면도 및 요부 확대 단면도
상기한 도면들과 함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구이용 이중불판(1)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분리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구이용 이중불판(1)은 하나의 열원으로 고기류 등의 주재료를 구울 수 있도록 가운데 위치하는 주불판(2)과, 김치나 콩나물 또는 각종 야채 등의 부재료를 굽거나 데울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 돌아가며 위치하는 보조불판(3)으로 분할되게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주불판(2)은 고기류를 구울 시 고기류에서 배어 나오는 기름을 가장자리로 흘러내리도록 중앙이 가장자리에 비해 상향으로 불룩하게 형성되고, 기름의 배출 및 열원의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수개의 관통공(21)이 상하로 관통되게 구성되며, 상기 주불판(2)의 가장자리에는 기름을 받칠 수 있도록 환형의 기름받이(22)가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주불판(2)의 가장자리 일측에는 기름받이(22)에 의해서 받쳐진 기름이 주불판(2)에서 배출되도록 상향 돌출된 기름받이(22)가 트이도록 하여 개방되게 형성된 기름이송로(4)가 구성된다.
상기 보조불판(3)은 주불판(2)이 가운데에 안치되도록 내측에 내향 돌출된 받침턱(31)이 형성된 환형으로 구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절단면이 하부로 호형의 형태를 갖는 개략 "U"자 형태의 수납부(32)가 구성된다.
상기 보조불판(3)의 내측으로 내향 돌출되게 형성된 받침턱(31)의 일측에는 하향으로 개방되는 기름배출구(5)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불판(3)의 기름배출구(5)가 형성된 위치의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주불판(2)의 기름이송로(4)로 배출되는 기름이 보조불판(3)의 수납부(32)로 유입되도록 기름유입로(6)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구이용 이중불판(1)의 주불판(2)과 보조불판(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도 2 내지 3의 평면도와 단면도에서와 같이 분할 구성되어 주불판(2)을 선택적으로 회전시켜서 주불판(2)의 기름이송로(4)와 보조불판(3)의 기름배출구(5)가 일치하도록 하면, 주불판(2)에서 주재료인 고기류를 구울 시 배어 나오는 기름이 주불판(2)의 가장자리로 흘러내리면서 일부는 관통공(21)을 통해 하부로 떨어지게 되고, 나머지 기름은 주불판(2)의 기름이송로(4)를 거쳐서 보조불판(3)의 기름배출구(5)를 통해서 하부로 보다 원활하게 배출이 이루어져서 고기류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주불판(2)과 보조불판(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도 4 내지 5의 평면도와 단면도에서와 같이 주불판(2)을 상기 제1실시예와는 반대로 회전시켜서 주불판(2)의 기름이송로(4)와 보조불판(3)의 기름유입로(6)가 일치하도록 하면, 주불판(2)에서 주재료인 고기류를 구울 시 배어 나오는 기름이 주불판(2)의 가장자리로 흘러내리면서 일부는 관통공(21)을 통해 하부로 떨어지게 되고, 나머지 기름은 주불판(2)의 기름이송로(4)를 거쳐서 보조불판(3)의 기름유입로(6)를 통해서 보조불판(3)의 수납부(32)로 흘러들어서 보조불판(3)에서 굽거나 데우는 김치, 콩나물 및 각종 야채 등의 부재료에 스며들면서 부재료의 풍미를 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보조불판(3)에는 상기 김치, 콩나물 및 각종 야채 외에도 국물, 계란탕 등의 여러 가지 종류의 국이나 탕 및 치즈 등을 수납부(32)에 안치 후 가열시켜서 먹을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주불판(2)의 회전에 의해서 고기류의 기름을 보조불판(3)의 수납부(32)로 유입시키거나 유입시키지 않고 굽거나 데울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의 평면도 및 확대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불판(2)이 안치되는 보조불판(3)의 받침턱(31)상에서 기름유입로(6)의 양측에 보조불판(3)의 중앙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유량조절홈(7)이 각각 형성되게 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주불판(2)의 기름이송로(4)와 보조불판(3)의 기름유입로(6)를 일치시킬 때 주불판(2)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약간 틀게 되면, 주불판(2)의 기름이송로(4) 일부만 보조불판(3)의 기름유입로(6)와 연계되게 배치되며, 보조불판(3)의 기름유입로(6)에서 벗어난 주불판(2)의 기름이송로(4)로 배출되는 기름은 유량조절홈(7)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게 구성한 것으로서, 상기한 받침턱(31)에서의 유량조절홈(7) 구성은 주불판(2)의 기름이송로(4)에서 보조불판(3)의 기름유입로(6)를 통해서 수납부(32)로 유입되는 기름의 양을 주불판(2)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구이용 이중불판 2:주불판
21:관통공 22:기름받이
3:보조불판 31:받침턱
32:수납부 4:기름이송로
5:기름배출구 6:기름유입로
7:유량조절홈

Claims (2)

  1. 중앙이 가장자리에 비해 불룩하게 형성되어 가장자리에 기름을 받칠 수 있도록 상향 돌출된 환형의 기름받이(22)가 형성된 주불판(2)과,
    상기 주불판(2)이 가운데에 안치되도록 내측에 내향 돌출된 받침턱(31)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도록 절단면이 “U"자 형태로 이루어진 수납부(32)가 구성된 환형의 보조불판(3)과,
    상기 주불판(2)의 일측에 기름받이(22)가 개방토록 구성된 기름이송로(4)와,
    상기 보조불판(3)의 받침턱(31) 일측으로 하향 개방되게 구성된 기름배출구(5)와,
    상기 기름배출구(5)의 대향되는 위치에 주불판(2)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보조불판(3)의 수납부(32)로 유입되도록 구성된 기름유입로(6)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불판(2)은 보조불판(3)의 받침턱(31)에 안치 시 일측 형성된 기름이송로(4)가 보조불판(3)에 대향되게 위치하는 기름배출구(5)와 기름유입로(6)에 각각 대응되게 선택 조절하여 안치시킬 수 있도록 보조불판(3)과 분할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이중불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불판(3)의 받침턱(31)상에서 기름유입로(6)의 양측에 기름이송로(4)에서 기름유입로(6)를 통해서 수납부(32)로 유입되는 기름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보조불판(3)의 중앙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유량조절홈(7)이 각각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이중불판.
KR1020110034437A 2011-04-13 2011-04-13 구이용 이중불판 KR101057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437A KR101057136B1 (ko) 2011-04-13 2011-04-13 구이용 이중불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437A KR101057136B1 (ko) 2011-04-13 2011-04-13 구이용 이중불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7136B1 true KR101057136B1 (ko) 2011-08-17

Family

ID=44933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437A KR101057136B1 (ko) 2011-04-13 2011-04-13 구이용 이중불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13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989Y1 (ko) 2012-03-13 2012-06-20 김민규 경사진 기름 흐름통로부에 의한 이중 기름받이 구조의 구이용 불판
KR101174869B1 (ko) * 2012-03-30 2012-08-17 주식회사 썬하우스 기름배출 조정을 위한 이중불판
KR101312917B1 (ko) * 2013-01-08 2013-10-01 서동일 착탈식 보조용기가 구비된 구이용 불판
KR20150035849A (ko) 2015-02-16 2015-04-07 김민우 수랭식 다기능 불판
KR20190107349A (ko) 2018-03-12 2019-09-20 정영순 불판
KR20230072748A (ko) 2021-11-18 2023-05-25 최영민 바비큐 그릴
KR102595700B1 (ko) 2023-03-09 2023-10-27 장경남 직화량 조절구조를 갖는 이중불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287Y1 (ko) * 2005-07-12 2005-09-29 신주호 구이용 불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287Y1 (ko) * 2005-07-12 2005-09-29 신주호 구이용 불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989Y1 (ko) 2012-03-13 2012-06-20 김민규 경사진 기름 흐름통로부에 의한 이중 기름받이 구조의 구이용 불판
KR101174869B1 (ko) * 2012-03-30 2012-08-17 주식회사 썬하우스 기름배출 조정을 위한 이중불판
KR101312917B1 (ko) * 2013-01-08 2013-10-01 서동일 착탈식 보조용기가 구비된 구이용 불판
KR20150035849A (ko) 2015-02-16 2015-04-07 김민우 수랭식 다기능 불판
KR20190107349A (ko) 2018-03-12 2019-09-20 정영순 불판
KR20230072748A (ko) 2021-11-18 2023-05-25 최영민 바비큐 그릴
KR102595700B1 (ko) 2023-03-09 2023-10-27 장경남 직화량 조절구조를 갖는 이중불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7136B1 (ko) 구이용 이중불판
US3693534A (en) Cooking device
US9119500B2 (en) Griddle plate for a gas grill
KR200399822Y1 (ko) 구이용 불판
US20030197001A1 (en) Electric grill with food divider
KR100813904B1 (ko) 장어로스구이 조리장치
KR20140000916A (ko) 중간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화로
KR20070099729A (ko) 구이와 부(附)요리의 복합 요리가 가능한 구이판
US6386092B1 (en) Electric grill-grillpan with adjustable cooking surfaces
KR101174869B1 (ko) 기름배출 조정을 위한 이중불판
KR20130090854A (ko) 높이 조절 부가 구성된 조리용 불판
KR102227717B1 (ko) 나열식 테이블 스팀찜기
KR20170027039A (ko) 다기능 불판
KR200332199Y1 (ko) 3단 구이판
US20180224126A1 (en) Stove Top BBQ
CN209899076U (zh) 一种涮烤一体组合锅
KR200475978Y1 (ko) 조리와 구이가 가능한 다기능 불판
CN218128142U (zh) 一种便携式多功能室内外双层无油烟烹饪锅具
KR200355889Y1 (ko) 고기 구이용 불판
JP3230143U (ja) ポケット付き鍋
KR20120041387A (ko) 고기구이판
KR200314595Y1 (ko) 고기 구이용 불판
CN213524877U (zh) 一种用于煤气卡式炉的烧烤器具
CN208228852U (zh) 一种烧烤炉
US1383213A (en) kauf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