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978Y1 - 조리와 구이가 가능한 다기능 불판 - Google Patents
조리와 구이가 가능한 다기능 불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5978Y1 KR200475978Y1 KR2020140004800U KR20140004800U KR200475978Y1 KR 200475978 Y1 KR200475978 Y1 KR 200475978Y1 KR 2020140004800 U KR2020140004800 U KR 2020140004800U KR 20140004800 U KR20140004800 U KR 20140004800U KR 200475978 Y1 KR200475978 Y1 KR 20047597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oking
- meat
- cooked
- soup
- outer periphe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외주연이 상향 돌출되고 중앙으로 올수록 깊어지는 만곡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만곡면에 돌출턱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기름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구이부와, 상기 구이부의 외주연으로 반원 또는 다각형으로 조리 음식물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조리 음식 수용공간을 복수개의 조리공간으로 나누는 격벽이 구비된 조리부와, 상기 배출구로 배출된 기름을 외부로 유도하여 이송하는 이송로와, 상기 구이부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로 부터 이격시키는 받침부로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고안은 불판의 외주연에 조리가 가능한 조리부를 구성하고 조리부 내부에 격벽을 형성하여 고기는 중앙에서 구워먹고 조리부를 이용해 다양한 음식을 조리하여 먹을수 있어 김치, 콩나물, 양파, 마늘을 동시에 구워도 불판이 더러워지지 않고, 고기와 각종 야채, 김치, 콩나물, 양파 마늘 등의 부수재료를 하나의 불판에서 따로 조리할 수 있어 고기와 부수재료가 섞이지 않아 취향에 따라 고기의 맛을 다르게 즐길수 있으며 고기를 먹는 동안 찜 요리나 국물류의 탕, 찌개, 국 등을 하나의 불판에서 조리하여 먹을 수 있다.
뿐만아니라 상기와 같이 하나의 불판에서 찜류와 국물류를 동시에 조리하므로 뚝배기가 차지하던 공간을 줄일 수 있고 익은 고기를 보관할 수 있는 조리부의 보관부에 고기를 보관하면 타지않고 온기를 유지하며 먹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고안은 불판의 외주연에 조리가 가능한 조리부를 구성하고 조리부 내부에 격벽을 형성하여 고기는 중앙에서 구워먹고 조리부를 이용해 다양한 음식을 조리하여 먹을수 있어 김치, 콩나물, 양파, 마늘을 동시에 구워도 불판이 더러워지지 않고, 고기와 각종 야채, 김치, 콩나물, 양파 마늘 등의 부수재료를 하나의 불판에서 따로 조리할 수 있어 고기와 부수재료가 섞이지 않아 취향에 따라 고기의 맛을 다르게 즐길수 있으며 고기를 먹는 동안 찜 요리나 국물류의 탕, 찌개, 국 등을 하나의 불판에서 조리하여 먹을 수 있다.
뿐만아니라 상기와 같이 하나의 불판에서 찜류와 국물류를 동시에 조리하므로 뚝배기가 차지하던 공간을 줄일 수 있고 익은 고기를 보관할 수 있는 조리부의 보관부에 고기를 보관하면 타지않고 온기를 유지하며 먹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불판의 외주연에 조리가 가능한 조리부를 구성하고 조리부 내부에 격벽을 형성하여 고기는 중앙에서 구워먹고 조리부를 이용해 다양한 음식을 조리하여 먹을 수 있어 김치, 콩나물, 양파, 마늘을 동시에 구워도 불판이 더러워지지 않고, 고기와 각종 야채, 김치, 콩나물, 양파 마늘 등의 부수재료를 하나의 불판에서 따로 조리할 수 있어 고기와 부수재료가 섞이지 않아 취향에 따라 고기의 맛을 다르게 즐길 수 있으며 고기를 먹는 동안 찜 요리나 국물류의 탕, 찌개, 국 등을 하나의 불판에서 조리하여 먹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하나의 불판에서 찜류와 국물류를 동시에 조리하므로 뚝배기가 차지하던 공간을 줄일 수 있고 익은 고기를 보관할 수 있는 조리부의 보관부에 고기를 보관하면 타지않고 온기를 유지하며 먹을 수 있는 조리와 구이가 가능한 다기능 불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판은 고기를 구워 먹기 위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미 발명되거나 고안된 불판이 시중에 많이 유통되고 있다. 종래의 불판으로는 숯불과 같은 열원 위에 석쇠나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불판을 거치해 두어 그 위에 고기를 구워 먹는 직접 가열 방식과, 열원 위에 통공이 없는 금속 재질이나 석재 재질로 이루어진 불판을 두어 열원으로 부터 열을 받아 불판 전체를 달구어 고기를 구워 먹는 간접 가열 방식으로 나눌 수가 있다.
그중 간접 가열방식 불판은 원판이나 다각형의 형상으로 제조되어 하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불판 상부에 고기류를 올려놓고 구울 시 김치, 콩나물 또는 양파나 마늘 등의 각종 야채를 같이 올려서 고기와 함께 구워 섭취하여 고기의 맛과 향을 높여주고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불판은 하나의 불판 상부에 고기와 김치, 콩나물, 양파, 마늘을 동시에 굽다 보니 불판이 쉽게 더러워져서 불판을 자주 갈아주거나, 스크리퍼로 청소를 해줘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기류와 김치 등을 하나의 불판에서 동시에 구우면 김치의 양념이나 야채의 고유 향과 맛에 의해서 고기류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기류 고유의 맛을 보기 위해서는 불판을 다시 교체하여 고기류만 구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또한 주재료인 고기류만 먹고자 하는 사용자와 주재료인 고기류와 각종 야채나 김치 등을 동시에 구워서 먹고자 하는 사용자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없어서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등 다수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기를 먹는 동안 찜 요리나 국물류의 탕, 찌개, 국 등을 먹으려면 뚝배기에 조리된 음식을 식탁 위에 올려놓게 되는데 많은 공간을 차지할 뿐 아니라 식사도중 식어버려 다시 데워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익은 고기를 불판에 두면 고기가 타버리거나 불판에서 빼면 식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불판의 외주연에 조리가 가능한 조리부를 구성하고 조리부 내부에 격벽을 형성하여 고기는 중앙에서 구워먹고 조리부를 이용해 야채, 김치 등과 같은 부수음식과 찜, 국과 같은 뚝배기 음식을 고기를 구우며 동시에 조리하고 다 익은 고기를 열전도가 낮은 조리부에 보관하여 타지않고 따뜻함을 유지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와 구이가 가능한 다기능 불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외주연이 상향 돌출되고 중앙으로 올수록 깊어지는 만곡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만곡면에 돌출턱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기름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구이부와, 상기 구이부의 외주연으로 반원 또는 다각형으로 조리 음식물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조리 음식 수용공간을 복수개의 조리공간으로 나누는 격벽이 구비된 조리부와, 상기 배출구로 배출된 기름을 외부로 유도하여 이송하는 이송로와, 상기 구이부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로 부터 이격시키는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리부는 상기 복수개의 조리공간의 바닥면 높이를 각각 다르게 형성하는데 그 높이에 따라 국물조리부, 찜조리부, 야채조리부 및 보관부로 구성되며, 상기 조리부는 사용 목적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조리공간을 2개 내지 4개로 제작하고 외주연에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조리와 구이가 가능한 다기능 불판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불판의 외주연에 조리가 가능한 조리부를 구성하고 조리부 내부에 격벽을 형성하여 고기는 중앙에서 구워먹고 조리부를 이용해 다양한 음식을 조리하여 먹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효과에 의해 하나의 불판에 고기와 김치, 콩나물, 양파, 마늘을 동시에 구워도 불판이 더러워지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고기와 각종 야채, 김치, 콩나물, 양파 마늘 등의 부수음식을 하나의 불판에서 따로 조리할 수 있어 고기와 부수재료가 섞이지 않아 취향에 따라 고기의 맛을 다르게 즐길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고기를 먹는 동안 찜 요리나 국물류의 탕, 찌개, 국 등을 하나의 불판에서 조리하여 먹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하나의 불판에서 찜류와 국물류를 동시에 조리하므로 뚝배기가 차지하던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익은 고기를 보관할 수 있는 조리부의 보관부에 고기를 보관하면 타지않고 온기를 유지하며 먹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조리공간이 4개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측면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조리공간이 2개인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하부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각 조리공간의 모습을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2는 측면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조리공간이 2개인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하부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각 조리공간의 모습을 나타낸 분해 단면도
본 고안은 불판의 외주연에 조리가 가능한 조리부를 구성하고 조리부 내부에 격벽이 형성되며 격벽에 의해 구분된 각각의 조리공간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고기는 중앙에서 구워먹고 각각의 조리공간에는 찜, 국물, 야채 등 다양한 음식을 조리하며 식사가 가능하고 고기를 따뜻하게 보관할 수 있는 조리와 구이가 가능한 다기능 불판에 관한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조리공간이 4개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측면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조리공간이 2개인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하부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각 조리공간의 모습을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외주연이 상향 돌출되고 중앙으로 올수록 깊어지는 만곡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만곡면에 돌출턱(1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기름이 배출되는 배출구(12)가 형성된 구이부(10)와, 상기 구이부(10)의 외주연으로 반원 또는 다각형으로 조리 음식물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조리 음식 수용공간을 복수개의 조리공간(23)으로 나누는 격벽(21)이 구비된 조리부(20)와, 상기 배출구(12)로 배출된 기름을 외부로 유도하여 이송하는 이송로(30)와, 상기 구이부(10)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로 부터 이격하는 받침부(40)를 포함하며,
상기 조리부(20)는 상기 복수개의 조리공간(23)의 바닥면 높이를 각각 다르게 형성하는데 그 높이에 따라 국물조리부(23a), 찜조리부(23b), 야채조리부(23c) 및 보관부(23d)로 구성되며, 상기 조리부(20)는 사용 목적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조리공간(23)을 2개 내지 4개로 제작하고 외주연에 손잡이(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요 구성요소에서 구이부(10)는 외주연이 상향 돌출되고 중앙으로 올수록 깊어지는 만곡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만곡면에 돌출턱(1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기름이 배출되는 배출구(12)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구이부(10)는 원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각형 형태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돌출턱(11)은 고기가 구이부(10)에 달라 붙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배출구(12)는 상기 구이부(10)에서 고기류를 조리하며 생성되는 기름을 이송로(30)로 보내준다.
상기 주요 구성요소에서 조리부(20)는 상기 격벽(21)에 의해 복수개의 조리공간(23)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복수개의 조리공간의 바닥면 높이를 각각 다르게 형성하여 국물조리부(23a), 찜조리부(23b), 야채조리부(23c), 보관부(23d)로 구성되고 사용 목적에 따라 조리공간을 2개 내지 4개로 제작하고 외주연에 손잡이(24)가 형성된다.
상기 조리부(20)는 상기 구이부(10)의 형태에 따라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제작되며 내부의 형태는 반원형이나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국물조리부(23a)는 내부의 깊이가 가장 깊으며 하단부와 불길이 가장 근접하게 영향을 주어 열전도가 높아 국물류의 조리에 적합하다.
상기 찜조리부(23b)는 불길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하단부와의 거리가 짧고 조리공간의 깊이가 국물조리부(23a) 보다는 얕아 찜요리에 적합하다.
상기 야채조리부(23c)는 불길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는 않고 하단부와의 거리가 길며 내부의 깊이가 찜조리부(23b) 보다는 얕아 야채, 마늘, 김치 등 짧은 시간에 조리가 되는 음식을 조리하는데 적합하다.
상기 보관부(23d)는 불길과 집접적인 영향은 받지 않고 내부공간의 깊이가 가장 얕아 온기가 유지되지만 음식을 조리하기에는 부적합하므로 구이부(10)에서 다익은 고기를 보관해 두는데 적합하다.
또한, 상기 격벽(21)은 상기 각각의 조리공간의 바닥면 높이에 맞게 형성되며 조리부를 구분하여 조리공간의 개수를 정해준다.
또한, 손잡이(24)는 조리부의 외주연에 형성되며 모양과 형태는 불판을 들고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만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주요 구성요소에서 이송로(30)는 상기 배출구(12)의 하부에 형성되며 내부가 관통되어 있으며 관통부의 하단부는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배출구로 유입된 기름이 경사면을 따라 외부로 유도되어 구이부(10)에 고기를 구우며 생성되는 기름을 제거해준다.
상기 주요 구성요소에서 받침부(40)는 상기 구이부(10)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로 부터 이격될수 있도록 구이부(10)의 하단에 복수개로 형성되며 가열장치의 상단부에 올려진다.
또한, 받침부(40)는 중앙으로 올수록 길이가 짧아져 가열장치에 올려놓았을 때 불판이 움직이는 유동성을 억제한다.
상기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 예를 통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구이부 11 : 돌출턱
12 : 배출구 20 : 조리부
21 : 격벽 23 : 조리공간
23a : 국물조리부 23b : 찜조리부
23c : 야채조리부 23d : 보관부
24 : 손잡이 30 : 이송로
40 : 받침부
12 : 배출구 20 : 조리부
21 : 격벽 23 : 조리공간
23a : 국물조리부 23b : 찜조리부
23c : 야채조리부 23d : 보관부
24 : 손잡이 30 : 이송로
40 : 받침부
Claims (4)
- 외주연이 상향 돌출되고 중앙으로 올수록 깊어지는 만곡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만곡면에 돌출턱(1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고기가 달라 붙는 것을 방지하고, 중앙에 기름이 배출되는 배출구(12)가 형성된 구이부(10)와;
상기 구이부(10)의 외주연으로 반원 또는 다각형으로 조리 음식물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조리 음식 수용공간을 복수개의 조리공간(23)으로 나누는 격벽(21)이 구비된 조리부(20)와;
상기 배출구(12)로 배출된 기름을 외부로 유도하여 이송하는 이송로(30)와;
상기 구이부(10)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로부터 이격시키는 받침부(40)를 포함하며,
상기 조리부(20)는 상기 복수개의 조리공간(23)의 바닥면 높이를 각각 다르게 형성하고, 사용 목적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조리공간(23)을 2개 내지 4개로 제작하며, 외주연에 손잡이(24)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조리공간(23)은,
바닥면 높이에 따라 내부의 깊이가 가장 깊으며 하단부에 불길이 가장 근접하게 영향을 주어 열전도가 높아 국물류의 조리에 적합한 국물조리부(23a),
불길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하단부와의 거리가 짧고 조리공간의 깊이가 상기 국물조리부(23a)보다는 얕아 찜요리에 적합한 찜조리부(23b),
불길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는 않고 하단부와의 거리가 길며 내부의 깊이가 상기 찜조리부(23b)보다는 얕아 야채, 마늘, 김치와 같은 짧은 시간에 조리가 되는 음식을 조리하는데 적합한 야채조리부(23c) 및
불길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은 받지 않고 내부공간의 깊이가 가장 얕아 온기가 유지되지만 음식을 조리하기에는 부적합하므로 상기 구이부(10)에서 다익은 고기를 보관해 두는데 적합한 보관부(23d)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와 구이가 가능한 다기능 불판.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4800U KR200475978Y1 (ko) | 2014-06-25 | 2014-06-25 | 조리와 구이가 가능한 다기능 불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4800U KR200475978Y1 (ko) | 2014-06-25 | 2014-06-25 | 조리와 구이가 가능한 다기능 불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5978Y1 true KR200475978Y1 (ko) | 2015-01-16 |
Family
ID=52591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4800U KR200475978Y1 (ko) | 2014-06-25 | 2014-06-25 | 조리와 구이가 가능한 다기능 불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5978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21977A (ko) | 2019-04-17 | 2020-10-27 | 주식회사 모닝커머스 | 구이용 불판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5796Y1 (ko) | 2000-12-19 | 2001-06-01 | 남상채 | 육류 구이판 |
KR100679537B1 (ko) | 2005-01-24 | 2007-02-07 | 오화신 | 구이기 |
KR20130108753A (ko) * | 2012-03-26 | 2013-10-07 | 주식회사 이바돔 | 다용도 및 다기능 불판 |
-
2014
- 2014-06-25 KR KR2020140004800U patent/KR200475978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5796Y1 (ko) | 2000-12-19 | 2001-06-01 | 남상채 | 육류 구이판 |
KR100679537B1 (ko) | 2005-01-24 | 2007-02-07 | 오화신 | 구이기 |
KR20130108753A (ko) * | 2012-03-26 | 2013-10-07 | 주식회사 이바돔 | 다용도 및 다기능 불판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21977A (ko) | 2019-04-17 | 2020-10-27 | 주식회사 모닝커머스 | 구이용 불판 |
KR102177414B1 (ko) * | 2019-04-17 | 2020-11-11 | 주식회사 모닝커머스 | 구이용 불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D1027537S1 (en) | Cooking appliance | |
KR100813904B1 (ko) | 장어로스구이 조리장치 | |
US20100294138A1 (en) | Versatile cooking device | |
KR200475978Y1 (ko) | 조리와 구이가 가능한 다기능 불판 | |
KR20070099729A (ko) | 구이와 부(附)요리의 복합 요리가 가능한 구이판 | |
US11547241B1 (en) | Skewer holder | |
KR101713432B1 (ko) | 다기능 불판 | |
KR200447619Y1 (ko) | 조리기구 | |
TWM463098U (zh) | 鍋具結構 | |
KR200424658Y1 (ko) | 신선로 겸용 취사기 | |
KR101841579B1 (ko) | 다용도 양면 냄비 | |
KR200297015Y1 (ko) | 닭갈비 구이판 | |
KR200245632Y1 (ko) | 불판 겸용 냄비 | |
WO2015024661A1 (en) | Cooking device | |
KR200355889Y1 (ko) | 고기 구이용 불판 | |
KR20110000010U (ko) | 기름 배출구조를 갖는 구이판 | |
KR200466077Y1 (ko) | 고기 구이판 | |
JP3247948U (ja) | 焼き鍋セット | |
CN214128223U (zh) | 一种多功能组合式烧烤炉 | |
KR102050908B1 (ko) | 구이팬 | |
KR200412787Y1 (ko) | 음식물이 타지 않는 불판 | |
KR100633472B1 (ko) | 삼겹살 조리방법 및 그 조리기구 | |
KR20100008334U (ko) | 육류 구이판 | |
KR20090012688U (ko) | 황토 옹기를 이용한 구이기구 | |
KR200324770Y1 (ko) | 숯불철판구이용 조리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