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062Y1 - 연기방지용 석쇠 - Google Patents

연기방지용 석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062Y1
KR200436062Y1 KR2020060028364U KR20060028364U KR200436062Y1 KR 200436062 Y1 KR200436062 Y1 KR 200436062Y1 KR 2020060028364 U KR2020060028364 U KR 2020060028364U KR 20060028364 U KR20060028364 U KR 20060028364U KR 200436062 Y1 KR200436062 Y1 KR 2004360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roaster
charcoal
roasting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83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0058U (ko
Inventor
전상신
Original Assignee
전상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신 filed Critical 전상신
Priority to KR20200600283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062Y1/ko
Publication of KR200600000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00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0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0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로스터용 석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로스터를 이용한 육류나 어류 등의 구이조리시 구이대상물에서 발생한 기름이 직접 숯불에 떨어지지 않아 연기의 발생을 줄이고 용이하게 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연기방지용 석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연기방지용 석쇠는, 로스터의 상부 양측으로 로스터의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면서 하부 양측에 위치한 숯통의 수직 상부에 위치되며 단일 판형상을 가지는 제1, 제2 구이평판과, 제1 구이평판과 제2 구이평판 사이에 하부방향으로 중심부가 절곡되게 구부러진 절곡부를 가지는 석쇠살이 간격을 가지고 일체형으로 형성된 그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별도의 장치가 필요없이 로스터의 숯통속에 떨어지는 기름을 차단함으로써 제작이 손쉬우며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기름이 열원(숯)에 의해 연소되는 것을 방지해 연기발생을 억제하고 구이대상물을 조리하는 조리자의 불쾌감을 없앨 수 있다.
구이, 석쇠, 불판, 불고기, 고기, 로스터.

Description

연기방지용 석쇠{Gridiron without smok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기방지용 석쇠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기방지용 석쇠를 사용한 사용상태도.
도 3(a)(b)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기방지용 석쇠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연기방지용 석쇠 2 : 구이대상물
10a, 10b : 제1, 2 구이평판 20 : 그릴부
21 : 석쇠살 50 : 로스터
51 : 숯통 52 : 숯(열원)
본 고안은 로스터용 석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로스터를 이용한 육류나 어류 등의 구이조리시 구이대상물에서 발생한 기름이 직접 숯불에 떨어지지 않아 연기의 발생을 줄이고 용이하게 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연기 방지용 석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쇠는 육류나 어류 등의 구이조리를 수행할 때 가스나 참숯 등의 열원 상측에 얹혀져 그 상면에서 대상물(육류, 어류)이 구워질 수 있도록 하는 도구이다.
그리고, 육류나 어류 등의 대상물은 직화에 의해 구워질 때 대상물 본연의 맛으로 조리될 수 있다고 알려져 왔으며, 이에 따라 석쇠는 대상물이 직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망사형태의 그릴을 형성하고, 그릴의 망사형(또는 제작방식에 의해 망사형이 아닌 "ㅡ"의 형태)로 배열된 공간으로 대상물이 열원의 화기에 직접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현재는 이에 발전하여 대부분의 실내 음식점에서는 덕트 등의 공기흡입장치를 천장에 설치하고, 조리되는 지점의 상측까지 연장하여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식 및, 더 발전된 기술로 로스터 등 연기를 장치의 하부 외측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을 적용한 장치에 의해 구이조리를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로스터는 일반적으로 양측 하부에 열원인 참숯이 들어있는 숯통이 위치하고 상부에 상기 석쇠가 위치하여 대상물을 굽게 되는데, 구이 대상물이 상측에 얹혀진 상태에서 화기에 의해 구워질 때, 직화를 위한 공간으로 대상물에서 배출된 기름이 낙하하고, 이로인해 기름이 열원에 의해 연소되면서 다량의 연기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연기는 조리자 측으로 비산되어 의류나 신체에 구이향이 스며들게 되며, 이와 같이 스며든 향은 장시간 지속되어 본인 또는 타인의 후각에 의한 불쾌 감을 제공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로스터의 양측 하부에 형성된 숯통으로 구이 대상물의 기름이 떨어지지 않도록 구성하고 상기 구이 대상물에서 발생한 기름은 그릴부를 따라 중간에 모여져 로스터의 하부로 떨어지도록 구성한 로스터 연기방지용 석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연기방지용 석쇠는, 로스터의 열원인 숯통의 수직 상부측에 위치하는 구이평판과, 상기 구이평판과 일체형으로 다수개의 석쇠살로 구성된 그릴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로스터는 하부 양측에 상부가 개구되고 참숯이 들어있는 숯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이평판은 로스터의 상부 양측으로 로스터의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면서 상기 숯통의 수직 상부에 위치되며, 단일 판형상을 가지며 제1 구이평판과 제2 구이평판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그릴부는 상기 제1 구이평판과 제2 구이평판 사이에 하부방향으로 중심부가 절곡되게 구부러진 절곡부를 가지는 석쇠살이 간격을 가지고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석쇠는 구이대상물이 적절하게 구워질 수 있도록, 상기 구이평판의 두께는 3㎜이고, 상기 석쇠살의 지름은 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석쇠살은 구이평판과 일체화되는 양끝단의 접합부와 절곡부의 높이차가 2㎝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연기방지용 석쇠에서 구이평판은, 로스터의 상부 양측으로 숯통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고, 로스터의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위치되며, 접혀진 겹판형상을 가지는 제1, 제2 구이평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그릴부는 상기 제1, 제2 구이평판의 접혀진 겹판 내부에 위치하여 스폿용접된 양측 삽입부와, 상기 양측 삽입부가 연장되어 하부방향으로 절곡되게 구부러진 절곡부로 구성된 석쇠살이 간격을 가지고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2 구이평판은 볼록한 볼록부와 오목한 오목부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굴곡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연기방지용 석쇠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기방지용 석쇠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기방지용 석쇠를 사용한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기방지용 석쇠(1)는 로스터(50)의 상부에 얹혀져 그 상부에 육류 등의 구이대상물(2)을 굽는 것으로, 상기 로스터(50)의 양측 상부에 각각 위치되는 제1, 2 구이 평판(10a, 10b)과, 상기 제1 구이 평판(10a)과 제2 구이 평판(10b) 사이에 일체형으로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는 석쇠살(21)로 구성되는 그릴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연기방지용 석쇠(1)의 제1, 2 구이평판(10a, 10b)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단일판 형상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이평판(10a, 10b)의 두께는 상부에서 구워지는 구이대상물(2)이 적절하게 조리될 수 있도록 3㎜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데, 이는 상기 구이대상물(2)이 너무 빨리 타지 않고 적당하게 구워질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2 구이평판(10a, 10b)은 로스터(50)의 상부에 얹혀지는데, 상기 로스터(50)에 포함된 숯통(51)의 수직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숯통(51)에 들어있는 숯(52)에서 발생한 불과 열기가 상기 구이평판(10a, 10b)에 닿을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구이평판(10a, 10b)의 길이는 상기 로스터(50)의 상부에 얹혀질 수 있도록 대응되는 길이를 가진다.
또한, 상기 그릴부(20)는 상기 제1 구이평판(10a)과 제2 구이평판(10b) 사이에 다수개의 석쇠살(21)이 일체형으로 간격을 가지고 배열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석쇠살(21)과 이웃하는 석쇠살(21)이 놓여지는 간격은 전부 동일한 간격을 가지거나 구워지는 대상물의 크기에 맞게 상기 구이대상물이 로스터(50) 안쪽으로 빠지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가지며, 바람직하게 상기 석쇠살(21)은 중심부가 하측으로 절곡된 절곡부(22)를 형성하는데, 상기 절곡부(22)는 완만한 곡면(a)을 가진다.
또한, 상기 석쇠살(21)은 상기 제1 구이평판(10a)과 제2 구이평판(10b)의 모서리면에 용접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석쇠살(21)의 절곡부(22)의 하단부와 상기 구이평판(10a, 10b)에 접합되는 접합부(23)와의 높이(b)는 바람직하게 2㎝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 구이평판(10a, 10b)에 구워지는 구이대상물(2)의 기름이 상기 그릴부(20)의 석쇠살(21)을 타고 절곡부(22)에서 하부로 떨어지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석쇠살(21)이 급경한 경사각을 가지며 하부로 구부러지면 상기 구이대상물(2)에서 발생한 기름(3)이 석쇠살을 거치지 않고 바로 아래로 떨어지게 되고, 상기 석쇠살(21)이 아주 완만하게 절곡되어 거의 구이평판(10a, 10b)과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게 되면 구이대상물(2)에서 발생한 기름(3)이 제대로 모이지 않고 석쇠살(21)의 중간에서 하부로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석쇠살(21)은 적당한 각도로 구부러지게 되는데, 상기 석쇠살(21)의 구이평판 접합부(23)와 절곡부(22)의 하단부까지의 높이가 2㎝정도의 길이를 가질때, 상기 구이평판(10a, 10b)에서 구워진 구이대상물(2)의 기름(3)은 상기 석쇠살(21)을 타고 절곡부(22)로 이동하여 모이고 상기 절곡부(22)에서 하부로 떨어지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상기 로스터(50)는 양측 하부에 열원으로 숯(52)이 들어있는 숯통(5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숯통(51)은 상부가 개구된 것으로 숯통속의 숯불이 상부에 열과 불 그리고 숯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연기방지용 석쇠(1)의 제1, 제2 구이평판(10a, 10b)은 상기 로스터의 숯통(51)의 수직 상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구이평판(10a, 10b)은 로스터(50)의 상부 양측에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안착부(54)에 얹혀져 필요에 따라 즉시 제거가 가능하도록 위치된 다.
따라서, 제1 구이평판(10a)은 로스터(50)의 일측 숯통(51)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고, 제2 구이평판(10b)은 로스터(50)의 타측 숯통(51)의 수직 상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 2 구이평판(10a, 10b) 사이에 형성된 그릴부(20)는 석쇠살(21)이 하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중심부에 절곡부(22)를 형성한다.
이때, 로스터(50)에는 상기 석쇠(1)의 절곡부(22) 하부에 필요에 따라 물이 담긴 물받이통(5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곡부(22)에서 하부로 떨어진 기름(3)은 상기 물받이통(53)에 떨어져 모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받이통(53)속에 담긴 물은 열원인 숯(52)에 의해 증발되는 수증기가 석쇠(1)의 중앙과 테두리 주위를 통과하게 됨으로 고기의 표면이 건조해지지 않도록 수분을 제공하며, 부드럽고 연한 육질의 고기로 구워주는 작용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별도의 기름받이통을 제작하여 상기 구이대상물(2)의 기름(3)을 모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재차, 도 2를 참조하여 구이대상물(2)이 본 고안에 따른 연기방지용 석쇠(1)에서 구워지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구이대상물(2)은 1차적으로 평평한 구이평판(10a, 10b)의 상면에 놓여 구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구이대상물(2)에서 발생되는 기름(3)은 구이평판을 타고 그릴부(20)로 이동하고, 상기 그릴부(20)의 석쇠살(21)을 타고 중심의 절곡부(22)로 모이게 된다.
그리고, 중력에 따라 상기 절곡부(22)에서 모인 기름(3)은 하부로 떨어져 로 스터(50)에 형성된 물받이통이나 기름받이통과 같은 별도의 통안으로 모이게 된다.
또한, 상기 구이평판(10a, 10b)에서 구워진 구이대상물(2)은 숯(52)에서 올라오는 향을 직접적으로 얻기 위해 그릴부(20)에 놓여져 2차적으로 구워지게 된다.
그리고, 이때 발생하는 기름(3)은 직접 하부로 떨어지는데, 중심에는 숯통(51)이 없기 때문에 기름이 타서 연기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열원인 숯통(51)이 위치한 상부에만 평판이 있어 구이대상물(2)에서 발생한 기름(3)이 직접적으로 숯통(51)에 들어있는 숯불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조리자는 연기발생을 차단할 수 있으며 보다 용이하고 맛있는 구이조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a)(b)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기방지용 석쇠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기방지용 석쇠(1)는 로스터의 양측 하부에 위치한 숯통의 수직 상부에 위치되는 제1, 2 구이평판(10a, 10b)과, 상기 제1, 2 구이평판(10a, 10b) 사이에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는 그릴부(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2 구이평판(10a, 10b)은 로스터의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로스터의 상부 양측에 얹혀지는데, 바람직하게는 접혀서 겹쳐진 겹판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그릴부(20)는 다수개의 석쇠살(21)이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어 상부에 놓여지는 구이대상물이 하부로 빠지지 않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석쇠살(21)은 상기 제1, 2 구이평판(10a, 10b)의 겹판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양측 삽입부 (24)와, 상기 양측 삽입부(24)가 연장되어 중심부가 하부방향으로 절곡되게 구부러진 절곡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석쇠살(21)의 양측 삽입부(24)는 상기 제1, 2 구이평판(10a, 10b)의 겹판 사이에 스폿용접되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석쇠살(21)의 양측 일부가 상기 제1, 2 구이평판(10a, 10b)의 겹판 사이에 삽입되어 삽입부(24)를 형성한 다음, 상기 구이평판(10a, 10b)의 겹판을 상·하에서 압착하게 된다. 이때, 스폿용접이 이루어지고 상기 석쇠살(21)은 구이평판(10a, 10b)과 일체화가 된다.
그리고, 상기 구이평판(10a, 10b)의 겹판에 삽입되어 위치된 석쇠살(21)의 형상에 따라 상기 구이평판(10a, 10b)은 볼록부(11)와 오목부(12)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구이평판(10a, 10b)의 일면이 수평의 면이 아니라 볼록부(11)와 오목부(12)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굴곡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구이평판(10a, 10b)에서 구워지는 구이대상물(2)에서 발생한 기름이 용이하게 평판에 형성된 오목부(12)를 따라 흘러 석쇠살(21)을 타고 하부로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구이대상물(2)에는 기름이 쉽게 제거되기 때문에 보다 담백하고 맛있는 구이조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겹판 형상의 구이평판(10a, 10b)과 석쇠살(21)이 스폿용접될 때, 기름이나 때가 낄 수 있는 틈이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석쇠살(21)은 상기 구이평판(10a, 10b)과 꽉물리게 일체화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석쇠살(21)는 원형이나 타원형의 단면을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기방지용 석쇠에 의하면, 로스터의 양측 하부에 형성된 참숯 등의 열원의 수직 상부에 위치된 구이평판부에 의해 구워지는 대상물의 기름이 직접 열원에 떨어지지 않아 연기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삭제
  2. 하부 양측에 상부가 개구되고 참숯이 들어있는 숯통을 포함한 로스터에 얹혀져 구이 대상물을 구워 조리하는 석쇠에 있어서,
    상기 로스터의 상부 양측으로 로스터의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면서 상기 숯통의 수직 상부에 위치되며, 단일 판형상의 제1, 제2 구이평판과;
    상기 제1 구이평판과 제2 구이평판 사이에 하부방향으로 중심부가 절곡되게 구부러진 절곡부를 가지는 석쇠살이 간격을 가지고 일체형으로 형성된 그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구이평판의 두께는 3㎜이고, 상기 석쇠살의 지름은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방지용 석쇠.
  3. 하부 양측에 상부가 개구되고 참숯이 들어있는 숯통을 포함한 로스터에 얹혀져 구이 대상물을 구워 조리하는 석쇠에 있어서,
    상기 로스터의 상부 양측으로 로스터의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면서 상기 숯통의 수직 상부에 위치되며, 단일 판형상의 제1, 제2 구이평판과;
    상기 제1 구이평판과 제2 구이평판 사이에 하부방향으로 중심부가 절곡되게 구부러진 절곡부를 가지는 석쇠살이 간격을 가지고 일체형으로 형성된 그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석쇠살은 구이평판과 일체화되는 양끝단의 접합부와 절곡부의 높이차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방지용 석쇠.
  4. 삭제
  5. 하부 양측에 상부가 개구되고 참숯이 들어있는 숯통을 포함한 로스터에 얹혀져 구이 대상물을 구워 조리하는 석쇠에 있어서,
    상기 로스터의 상부 양측으로 상기 숯통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고, 로스터의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위치되며, 접혀진 겹판형상의 제1, 제2 구이평판과;
    상기 제1, 제2 구이평판의 접혀진 겹판 내부에 위치하여 스폿용접된 양측 삽입부와, 상기 양측 삽입부가 연장되어 하부방향으로 절곡되게 구부러진 절곡부로 구성된 석쇠살이 간격을 가지고 일체형으로 형성된 그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 2 구이평판은 볼록한 볼록부와 오목한 오목부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굴곡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방지용 석쇠.
KR2020060028364U 2006-10-24 2006-10-24 연기방지용 석쇠 KR2004360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364U KR200436062Y1 (ko) 2006-10-24 2006-10-24 연기방지용 석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364U KR200436062Y1 (ko) 2006-10-24 2006-10-24 연기방지용 석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058U KR20060000058U (ko) 2006-11-27
KR200436062Y1 true KR200436062Y1 (ko) 2007-05-04

Family

ID=41635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8364U KR200436062Y1 (ko) 2006-10-24 2006-10-24 연기방지용 석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0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233B1 (ko) 2007-07-04 2008-01-14 전상신 직화구이기
KR20210094995A (ko) * 2020-01-22 2021-07-30 민삼봉 구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233B1 (ko) 2007-07-04 2008-01-14 전상신 직화구이기
KR20210094995A (ko) * 2020-01-22 2021-07-30 민삼봉 구이장치
KR102401646B1 (ko) 2020-01-22 2022-05-25 민삼봉 구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058U (ko) 2006-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5922B2 (en) Grill pan
KR102214329B1 (ko) 직화 구이용 조리기
KR20210056750A (ko) 기름 배출과 열전달이 용이한 직화구이용 구이판 및 그 구이판이 구성된 구이판 어셈블리
KR200436062Y1 (ko) 연기방지용 석쇠
KR200431912Y1 (ko) 고기 구이판
KR200482346Y1 (ko) 고기구이 불판
KR102059184B1 (ko) 직화구이용 불판
KR20100098772A (ko) 처마형불판
KR20090086679A (ko) 직화구이 석쇠 및 이를 이용한 직화구이기
KR20120006289A (ko) 구이판
KR100763832B1 (ko) 고기구이 불판
JP2006029622A (ja) 加熱調理用受け皿セット及び加熱調理器
KR101909536B1 (ko) 로스터용 볼록 석쇠
KR102447673B1 (ko) 고기 불판
KR20090006431U (ko) 육류조리용 불판
KR102166155B1 (ko) 이중 기름 유출방지 불판
KR102551931B1 (ko) 직화 구이용 불판
KR102224962B1 (ko) 숯불구이용 불판
CN211673847U (zh) 烤肉装置
KR20240003873A (ko) 육류의 유수분 분리장치
KR100815543B1 (ko) 고기구이 불판
KR100730093B1 (ko) 고기구이 불판
KR20070064935A (ko) 석쇠 구이장치
KR200395745Y1 (ko) 구이판
KR200214948Y1 (ko)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