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155B1 - 이중 기름 유출방지 불판 - Google Patents

이중 기름 유출방지 불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155B1
KR102166155B1 KR1020190097768A KR20190097768A KR102166155B1 KR 102166155 B1 KR102166155 B1 KR 102166155B1 KR 1020190097768 A KR1020190097768 A KR 1020190097768A KR 20190097768 A KR20190097768 A KR 20190097768A KR 102166155 B1 KR102166155 B1 KR 102166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late
lower oil
present
oil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만
Original Assignee
조성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만 filed Critical 조성만
Priority to KR1020190097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를 굽는 불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대상인 고기가 익을 때 고기에서 생성되는 기름이 열원으로 직접 낙하되지 아니하도록 한 이중 기름 유출방지 불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상부구이대를 포함하는 상부구이판과,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하부기름받이대과,
상기 상부구이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기름받이판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구이대와 상기 하부기름받이대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 기름 유출방지 불판{.}
본 발명은 고기를 굽는 불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대상인 고기가 익을 때 고기에서 생성되는 기름이 열원으로 직접 낙하되지 아니하도록 한 이중 기름 유출방지 불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판은, 하부에 열원을 위치하고 상부에 고기 등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게 이루어진 도구이다.
이런 불판을 사용할 때 불판 상부에서 육류와 같은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면 다량의 기름이 발생되는 것을 어렵지 않게 목격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사람들이 불편을 겪는 점은, 기름이 음식물을 가열하는 열원으로 낙하하면서 불의 세기가 걷잡을 수 없이 강력해지거나 조리대 외로 갑작스럽게 이동되어 인체에 위해를 가해질수 있으며, 불균일한 열로 인하여 정상적인 조리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음식이 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또한, 불판이 열원과 음식 사이가 평평한 판으로 이루어져 있어, 전도되는 열만으로 음식을 조리하는 불판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불판 역시 사용하게 되면, 기름이 가열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조리되는 음식과 닿는 면적이 불판에 비하여 비교적 넓기 때문에 겉면만 타고 속은 익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고, 기름구멍으로만 기름 배출을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미처 배출되지 못하고 일부에 고인 기름에 음식물이 튀겨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나아가, 불판 중에서도 기름이 배출로를 따로 형성하여 정해진 경로로 배출하는 불판도 쉽게 찾아볼 수 있으나 이 역시 한 공간에 축적된 기름의 양이 상당하여 자주 폐기해야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6210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원으로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음식물에서 생성하는 기름이 튀어 열원에 직접 낙화되어 열원의 세기가 불균형적으로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름 낙하방지 및 열원의 균일화로 식감있는 조리를 하는 이중 고기구이용 불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도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상부구이대를 포함하는 상부구이판과,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하부기름받이대과,
상기 상부구이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기름받이판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구이대와 상기 하부기름받이대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구이대는, 오메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조리대상이 접촉되어 가열을 받아 조리되는 역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의 조리부와,
조리부를 중심으로 좌우에는 조리대상에서 생성된 기름을 받는 상부기름받이홈이 배치되고, 상부기름받이홈 각 선단에는 기름배출홈과 상기 기름을 하부로 내려 보내는 낙하유도부를 포함하여 단면이 오메가 형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구이대는, 역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의 조리부 저면으로 상승되는 열원을 붙잡아 두는 열보유홈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기름받이대는, 상부기름받이홈에서 이탈되는 기름이 열원으로 직접 낙하되지 않도록 하부기름받이홈을 구비하되 단면이 'U'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구이판 및 하부기름받이판은 상부구이판 아래로 일정간격으로 하부기름받이판이 단차를 가지며 설치되되, 기름배출부가 수평이하의 위치로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기름받이판은 상부구이대 좌우측에 배치된 상부기름받이홈에서 수용되지 못하는 기름이 수직으로 열원으로 직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구이대와 상부구이대사이의 간격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기름받이판의 일단에 불판의 최저점 위치에 상부구이판 및 하부기름받이판에서 모아진 기름을 외부에 배출하는 기름배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기를 구울 때 고기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열원에 해당하는 불꽃에 직접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기름연소에 의한 연기나 불꽃이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고기를 태우지 않고 용이하게 친환경적으로 구울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기름이 열원에 낙하됨으로 화염의 확산을 촉발하여 인체에 위해됨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가열된 열원이 상부의 조리부 저면에 위치하여 열원을 붙잡아 두는 열보유홈을 두어 열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부의 조리부가 균일하게 가열되게 하여 불균일한 열원으로 인한 덜익은 면을 익히기 위하여 익은 면을 더 가열하는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구이판과 하부기름받이판이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구이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구이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구이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구이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기름받이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기름받이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기름받이판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기름받이판의 기름배출부 배치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구이대와 하부기름받이대 결합된 상태의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이중 기름 유출방지 불판으로서, 당해 기술 분야에서 알려져 있는 통상의 불판을 변형, 이용한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구이판과 하부기름받이판이 결합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구이판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구이판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구이대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구이대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기름받이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기름받이대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기름받이판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기름받이판의 기름배출부 배치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구이대와 하부기름받이대 결합된 상태의 단면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불판과 차별성을 둔 것으로 손잡이가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기름받이판(20)의 상부로 상부구이판(10)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부구이판(10)은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상부구이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구이대(11)의 외주연으로 기름배출홈(14)이 형성되어 있다.
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부구이대(11)는 조리대상이 올려져 직접 접촉하게 되는 조리부(12)와, 조리부(12)의 좌우로 조리대상에서 발생하는 기름을 받는 상부기름받이홈(13)과, 기름을 하부로 낙하시키기 위한 낙하유도부(16)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도 6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듯이, 상부구이대(11)는 단면의 형상이 오메가(Ω)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리부(12)의 내측으로는 열보유홈(15)을 형성하게 된다.
즉, 열원은 열보유홈(15)을 통해 조리부(12)를 가열 및 가열된 열을 붙잡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조리부(12)의 상부에 얻혀진 조리대상은 간접열을 받아 조리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부기름받이홈(13)의 일측은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형상은 배출되는 기름이 상부기름받이홈(13)이 형성하는 유로로만 기름이 흐르도록 하고,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각각의 상부기름받이홈(13) 사이로는 개방되어 있으며, 기름의 일부는 상부기름받이홈(13)을 따라 흘러 낙하유도부(16)를 통해 낙하 되지만, 나머지 기름은 개방된 곳으로 낙하하게 된다.
계속하여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부구이판(10)의 하부로는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하부기름받이판(20)이 설치된다.
도 11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었듯이, 상부구이판(10)과 하부기름받이판(20)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즉, 엇갈리게 배치된 구조는 상부구이판(10)에서 개방된 곳으로 낙하하는 기름은 하부기름받이판(20)으로 낙하하여 열원으로 기름이 낙하하지 못하도록 하며, 상부구이판(10)과 하부기름받이판(20)은 경사지게 설치되어 기름의 자연스런 낙하 및 흐름을 유도하게 된다.
하부기름받이판(20)은 상기 낙하하는 기름을 수용하고, 외부로 기름이 이탈되지 않도록 단면이 "U"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름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부기름받이대(21)와 기름의 흐름을 유도하는 하부기름받이홈(22) 및 하부기름받이대(21) 외주연으로 형성된 기름배출홈(24) 및 외부로 기름을 최종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기름배출부(2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다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된 하부기름받이대(21)는 상부구이판(10)의 상부기름받이홈(13) 사이의 개방된 폭(a)보다 넓은 폭(b)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름이 열원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기름배출부(25)는 하부기름받이판(20)의 일단에 불판의 최저점 위치에 상부구이판(10) 및 하부기름받이홈(22) 등에서 모아진 기름을 외부로 최종적으로 배출하게 된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10 : 상부구이판 11 : 상부구이대
12 : 조리부 13 : 상부기름받이홈
14 : 기름배출홈 15 : 낙하유도부
15 : 열보유홈 20 : 하부기름받이판
21 : 하부기름받이대 22 : 하부기름받이홈
25 : 기름배출부

Claims (7)

  1.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상부구이대를 포함하는 상부구이판과,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하부기름받이대과, 상기 상부구이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기름받이판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구이대와 상기 하부기름받이대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되, 상기 상부구이대는, 오메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조리대상이 접촉되어 가열을 받아 조리되는 역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의 조리부와, 조리부 저면으로 상승되는 열원을 붙잡아 두는 열보유홈을 포함하며, 조리부를 중심으로 좌우에는 조리대상에서 생성된 기름을 받는 상부기름받이홈이 배치되고, 상부기름받이홈 각 선단에는 기름배출홈과 상기 기름을 하부로 내려 보내는 낙하유도부를 포함하여 단면이 오메가 형상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구이판 및 하부기름받이판은 상부구이판 아래로 일정간격으로 하부기름받이판이 단차를 가지며 설치되되, 기름배출부가 수평이하의 위치로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기름받이판은 상부구이대 좌우측에 배치된 상부기름받이홈에서 수용되지 못하는 기름이 수직으로 열원으로 직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구이대와 상부구이대사이의 간격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되되, 낙하하는 기름을 수용하고, 외부로 기름이 이탈되지 않도록 단면이 "U"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름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부기름받이대와 기름의 흐름을 유도하는 하부기름받이홈 및 하부기름받이대 외주연으로 형성된 기름배출홈 및 외부로 기름을 최종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기름배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기름 유출방지 불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097768A 2019-08-09 2019-08-09 이중 기름 유출방지 불판 KR102166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768A KR102166155B1 (ko) 2019-08-09 2019-08-09 이중 기름 유출방지 불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768A KR102166155B1 (ko) 2019-08-09 2019-08-09 이중 기름 유출방지 불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6155B1 true KR102166155B1 (ko) 2020-10-15

Family

ID=72883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768A KR102166155B1 (ko) 2019-08-09 2019-08-09 이중 기름 유출방지 불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15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479Y1 (ko) * 2006-09-30 2006-12-11 신명철 직화 구이 석쇠
KR20090129567A (ko) * 2008-06-13 2009-12-17 주식회사 골드푸드시스템 석쇠
KR200466340Y1 (ko) * 2009-11-20 2013-04-12 박용일 구이용 석쇠
KR20140139860A (ko) * 2013-05-28 2014-12-08 김용선 기름이 분리 배출되는 이중팬
US20170105576A1 (en) * 2015-10-18 2017-04-20 Santiago Vitagliano Auxiliary barbecue device
KR20180062106A (ko) 2016-11-30 2018-06-08 김보상 기름 낙하방지 이중그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그릴 키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479Y1 (ko) * 2006-09-30 2006-12-11 신명철 직화 구이 석쇠
KR20090129567A (ko) * 2008-06-13 2009-12-17 주식회사 골드푸드시스템 석쇠
KR200466340Y1 (ko) * 2009-11-20 2013-04-12 박용일 구이용 석쇠
KR20140139860A (ko) * 2013-05-28 2014-12-08 김용선 기름이 분리 배출되는 이중팬
US20170105576A1 (en) * 2015-10-18 2017-04-20 Santiago Vitagliano Auxiliary barbecue device
KR20180062106A (ko) 2016-11-30 2018-06-08 김보상 기름 낙하방지 이중그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그릴 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8281A (en) Cooking grill
KR100658587B1 (ko) 요리용 석쇠 용도의 깔판 및 요리용 석쇠를 까는 방법
KR100813904B1 (ko) 장어로스구이 조리장치
US806475A (en) Grill.
KR20100108874A (ko) 화염이 직접 고기에 닿지 않는 이중 직화식 구이판
KR102166155B1 (ko) 이중 기름 유출방지 불판
KR102059184B1 (ko) 직화구이용 불판
KR101187145B1 (ko) 구이판
KR20160086624A (ko) 가정용 석쇠형 불판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101217508B1 (ko) 고기 구이판
KR101321525B1 (ko) 구이용 불판
KR200436062Y1 (ko) 연기방지용 석쇠
KR200359428Y1 (ko) 바비큐 구이기
WO2018116959A1 (ja) 炭火焼用の焼き網
KR20130138432A (ko) 구이부가 길게 칸칸이 돌설된 양변면에 가열공이 천공된 구이판
KR830002999Y1 (ko) 소숙기
KR100817530B1 (ko) 기름배출구조를 갖는 돌 구이판
KR101858909B1 (ko) 튀김통 또는 조리기구의 바닥에 쌓인 튀김 부유물의 탄화를 방지하는 버너구조
KR200412758Y1 (ko) 상판과 하판으로 이루어진 불판
KR101644064B1 (ko) 장작 철판구이용 불판 구조체
KR20090051589A (ko) 다층 조리기
KR20180057137A (ko) 직화구이용 그릴
KR20090006431U (ko) 육류조리용 불판
KR100815543B1 (ko) 고기구이 불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