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340Y1 - 구이용 석쇠 - Google Patents
구이용 석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6340Y1 KR200466340Y1 KR2020090015080U KR20090015080U KR200466340Y1 KR 200466340 Y1 KR200466340 Y1 KR 200466340Y1 KR 2020090015080 U KR2020090015080 U KR 2020090015080U KR 20090015080 U KR20090015080 U KR 20090015080U KR 200466340 Y1 KR200466340 Y1 KR 20046634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ill
- support
- food material
- heat source
-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구이중인 식재료로부터 떨어지는 기름, 육즙이 열원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이용 석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구이용 석쇠는, 둘레를 형성하는 테두리부재와, 식재료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상기 테두리부재의 내부에 서로 평행하거나 격자형태로 배열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석쇠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0)(20')는, 식재료(F)의 저면과 접촉하는 부분이 위로 볼록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지지부(21)(21')와, 상기 지지부(21)(21')의 하단에서 상기 지지부(21)(21')의 외측으로 연장되게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식재료(F)로부터 흘러내린 액체를 수용하는 유도홈(23)(23')이 형성되도록 하는 안내부(22)(22')와, 상기 지지부(21)(21')의 하부에 형성되고 열원에 접촉되고 열원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부재(20)(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흡열홈(25)(25')이 형성되는 흡열부(24)(24')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구이, 석쇠, 단면, 표면장력, 식재료
Description
본 고안은 구이용 석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구이중인 식재료로부터 떨어지는 기름, 육즙이 열원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이용 석쇠에 관한 것이다.
음식을 조리하는 여러 가지 방법중의 하나로서, 열원의 상부에 석쇠를 배치하여, 육류, 어류와 같은 식재료를 구워 취식하는 구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이에 사용되는 구이용 석쇠는 통상 금속 선재(線材)를 가공하여 가공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이나 다각형의 형태로 테두리(110)를 만들고, 그 내부에 일자형 또는 격자형으로 지지대(120)가 배열되는 형태를 갖는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구이용 석쇠(100)에 따르면, 석쇠를 구성하는 금속선재가 단순한 형태, 즉 단면이 대부분 원형의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식재료(F)를 굽는 동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료(F)로부터 기름이나 육즙과 같 은 액체가 직접 열원으로 떨어지거나, 상기 지지대의 둘레를 흐른 후 열원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열원으로 떨어진 기름이나 육즙은 그을음을 유발하게 되고, 발생한 그을음을 석쇠의 표면에 달라 붙어서, 벤조피렌(benzopyrene)을 비롯한 각종 발암물질을 생성할 뿐만 아니라, 식재료 특유의 풍미를 저해하게 된다.
또한, 구이용 석쇠에 들러붙은 그을음과, 그을음에 의해 발생된 물질은 석쇠의 세척을 매우 어렵게하여 각종 화학물질을 사용하여 석쇠를 세척해야 하는 문제점을 유발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식재료의 저면에서 발생한 기름이나 육즙 등이 열원으로 떨어지지 않고 표면장력에 의해서 석쇠의 표면으로 유도된 후 일측으로 흘러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이용 석쇠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구이용 석쇠는, 둘레를 형성하는 테두리부재와, 식재료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상기 테두리부재의 내부에 서로 평행하거나 격자형태로 배열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석쇠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식재료의 저면과 접촉하는 부분이 위로 볼록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서 상기 지지부의 외측으로 연장되게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식재료로부터 흘러내린 액체를 수용하는 유도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안내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열원에 접촉되고, 열원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흡열홈이 형성되는 흡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하부로 갈수록 내측을 향하여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는 폭이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구이용 석쇠에 따르면, 육류와 같은 식재료를 굽는 동안 식재료로부터 발생되는 육즙이나 기름이 직접 열원으로 떨어지지 않고 일측으로 유도되어 배출되므로, 식재료로부터 떨어진 액체로 인하여 발생하는 그을음 또는 그을음에 의해 발생하는 각종 발암물질의 생성을 방지한다.
아울러, 지지부재의 저면의 흡열면적을 넓힘으로써, 열원에서 발생한 열을 지지부재를 통하여 더 많은 열을 식재료로 공급되도록 하여 신속하게 식재료가 익혀지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구이용 석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이용 석쇠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구이용 석쇠에서 지지부재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구이용 석쇠는, 둘레를 형성하는 테두리부재와, 식재료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상기 테두리부재의 내부에 서로 평행하거나 격자형태로 배열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석쇠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0)는, 식재료(F)의 저 면과 접촉하는 부분이 위로 볼록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지지부(21)와, 상기 지지부(21)의 하단에서 상기 지지부(21)의 외측으로 연장되게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식재료(F)로부터 흘러내린 액체를 수용하는 유도홈(23)이 형성되도록 하는 안내부(22)와, 상기 지지부(21)의 하부에 형성되어 열원에 접촉되고 열원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부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흡열홈(25)이 형성되는 흡열부(24)로 형성된다.
구이용 석쇠(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쇠(1)의 둘레를 형성하는 테두리부재(10)와, 상기 테두리부재(10)의 내부에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거나 격자형으로 배열되는 지지부재(20)로 이루어진다.
테두리부재(10)는 석쇠(1)의 둘레를 형성하도록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형태로 형성되고, 둘레에는 필요에 따라 구이중인 식재료로부터 발생하는 기름, 육즙과 같은 액체를 구이용 석쇠(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홈(11)이 형성된다.
지지부재(20)는 상기 테두리부재(10)의 둘레에 양단이 걸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지지부재(20)는 테두리부재(10)내에 서로 평행하도록 배열되거나, 격자형태로 배열되어 구이중인 식재료(F)를 지지하여 석쇠(1) 하부의 열원에 식재료(F)가 노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20)는 단면의 형태가 단순히 원형,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가 되도록 한다.
지지부재(20)는 식재료의 저면에 접촉되는 지지부(21)와, 식재료에서 배출된 액체를 배출하는 안내부(22)와 열원의 열에너지를 흡수하는 흡열부(24)를 포함한다.
지지부(21)는 식재료의 저면에 접촉되어 식재료를 지지한다. 식재료(F)와 접촉되는 지지부(21)의 상단은 위로 볼록한 곡면을 갖도록 단면이 원호형태의 곡선으로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21)의 상단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지지부(21)에 식재료(F)가 놓여 졌을 때, 지지부(21) 상단의 양측과 식재료(F)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식재료(F)에서 나온 액체가 모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안내부(22)는 상기 지지부(21)의 하부 측방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21)가 접촉되어 구이중인 식재료로부터 발생하는 기름, 육즙과 같은 액체를 상기 배출홈(11)으로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하는 안내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부(22)는 지지부(21)의 하부 측방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되 선단이 상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22)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21)의 하부외측과 안내부(22)의 내측사이에 식재료로부터 흘러내린 액체를 지지부재(20)의 길이방향으로 흘러 지지부재(20)의 단부로 모이도록 한다.
흡열부(24)는 지지부재(20)의 저면을 형성하고, 열원에서 발생한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상기 지지부(21)측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간격을 두고 배열된 지지부재(20) 사이의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으므로, 열원에서 발생한 열에너지의 일부가 지지부재(20) 사이를 통과하여 직접 식재료의 저면을 가열하여 구이요리가 되도록 한다. 식재료의 저면이 직접 열원에 노출된 상태로 열원의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상부의 지지부(21)로 전달되도록 한다.
아울러, 흡열부(24)의 저면에는 지지부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흡열홈(2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열홈(25)에 의해서 흡열부(24)의 표면적을 넓힘으로써, 열원으로부터 더 많은 열을 흡수하여 지지부재(20)를 통하여 식재료의 저면에 전달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흡열부(2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열부(24)의 일부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흡열부(24)의 일부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서, 열열으로부터 지지부재(20)가 흡수한 열을 신속하게 상부의 지지부(21)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구이용 석쇠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이용 석쇠(1)는 숯불과 같은 열원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20)에 육류, 어류 등과 같은 식재료를 올려서 굽게된다.
지지부재(20)의 지지부(21)에 의해서 식재료의 저면이 지지된 상태에서, 열원에 의해서 가열되면서 식재료(F)는 구이로 조리된다.
조리중에는 식재료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 지지부재(20) 사이를 통과하여 열원으로부터 복사되거나, 가열된 지지부재(20)에 의해서 의해서 전도되는 열에너지에 의해서 가열, 조리된다.
가열된 식재료(F)는 식재료에 포함된 기름, 육즙 등과 같은 액체가 식재료(F)의 외부로 베어 나온다. 식재료(F)에서 나온 액체는 종래기술에 의하면 열원으로 직접 떨어지거나 석쇠의 둘레를 흘러서 떨어져 그을음을 유발하지만, 본 고안에 따르면 우선 액체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지지부재(20)로 끌어 당겨진다.
일단 지지부(21)의 상부에서는 지지부(21)와 접촉되어 있는 식재료 부분에서 흘러나온 액체는 식재료(F)와 지지부(21)의 사이의 틈새에 모세관 현상에 의해서 일차적으로 모인다. 계속해서 식재료(F)와 지지부(21) 사이의 틈새로 모인 액체는 점점 커지고 표면장력보다 중력에 의한 힘이 커지므로 지지부(21)의 측면을 흘러서, 유도홈(23)으로 유입된다. 유도홈(23)으로 유도된 액체에는 지지부재(20)를 흘러 테두리부재(10)측에 구비된 배출홈(11)에 모인 후 구이용 석쇠(1)의 둘레에 있는 배출홈(11)을 통하여 배출된다.
한편, 지지부(21)와 접촉되지 않은 식재료의 저면에서 발생하는 액체는 표면장력에 의해서 지지부(21)로 유인된 후, 지지부(21)를 타고 유도홈(23)으로 흘러 내린다. 지지부(21)는 식재료의 저면과 직접 접촉되어 액체가 고여 있는 상태이므로, 지지부(21)와 직접 접촉되지 않고 인접한 부분에서 발생한 액체는 지지부(21)와 접촉된 부분의 액체로 합쳐진 상태로 지지부(21)의 측면으로 흘러 내리게 된다. 액체에는 표면면적을 작게하려는 표면장력이 작용하므로, 지지부(21)와 인접한 부분에 발생된 액체는 지지부(21)와 접촉된 부분으로 이동하게 된다. 식재료(F)가 지지부(21)와 접촉된 부분에서는 식재료(F)의 저면과 지지부(21)의 측면에 의해 덮히 게 되나, 지지부(21)와 인접된 부분에서는 단지 식재료(F)의 저면에 의해서 덮히게 되므로, 식재료(F)로부터 발생한 액체는 지지부(21)와 식재료(F)가 접촉된 부분으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테두리부재(10)의 내부에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거나 격자형태로 지지부재(20)를 배열함으로써, 식재료(F)의 저면에서 발생한 액체는 직접 열원으로 떨어지지 않고 대부분 지지부(21)로 이동되며 지지부(21)의 측면을 통하여 유도홈(23)을 통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열원으로 떨어지는 액체의 양을 최소화함으로써, 숯불과 같은 열원에 식재료(F)에서 나온 기름, 육즙과 같은 액체로 인한 그을음, 발암물질의 생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7를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따른 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석쇠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석쇠는 마찬가지로 테두리부재와 지지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재(20')의 형태가 변형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부재(20')는 식재료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21')와, 상기 지지부(21')의 하부 측방으로 연장되어 식재료로부터 흘러내린 액체를 수용하는 유도홈(23')을 형성하도록 하는 안내부(22')와, 상기 지지부(21')의 하부에 형성되어 열원으로부터 열에너지를 흡수하는 흘엽부(2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21')의 단면을 살펴보면, 상단은 위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약간 넓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21')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안내부(22')가 형성되어 유도홈(23')이 형성한다. 상기 지지부(21')의 폭이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됨으로써, 가공시 몰드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지지부(21')의 저면에는 지지부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흡열홈(25')이 형성함으로써, 열에너지를 흡수하는 면적을 넓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흡열부(24')의 일부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구이용 석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구이용 석쇠를 이용하여 식재료를 조리하는 과정에서 식재료로부터 액체가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석쇠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구이용 석쇠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구이용 석쇠를 이용하여 식재료를 조리하는 과정에서 식재료로부터 액체가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3의 구이용 석쇠에서 지지부재의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석쇠에서 지지부재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구이용 석쇠에서 지지부재의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 : 석쇠 10 : 테두리부재
11 : 배출홈 20, 20' : 지지부재
21, 21' : 지지부 22, 22' : 안내부
23, 23' : 유도홈 24, 24' : 흡열부
25, 25' : 흡열홈 100 : 석쇠
110 : 테두리 120 : 지지대
F : 식재료
Claims (4)
- 둘레를 형성하는 테두리부재(10)와, 식재료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상기 테두리부재(10)의 내측에 서로 평행하거나 격자형태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20')를 포함하는 구이용 석쇠에 있어서,상기 각 지지부재(20')는,식재료(F)의 저면과 접촉하는 부분이 위로 볼록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지지부(21')와,상기 지지부(21')의 하단 양쪽 가장자리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게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식재료(F)로부터 흘러내린 액체를 수용하는 유도홈(23')을 형성하는 한 쌍의 안내부(22')를 포함하고,상기 지지부재(20')의 안내부(22')의 양쪽 선단과 연통되도록 상기 테두리부재(10)의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20')에 얹혀진 식재료(F)에서 배출되어 상기 안내부(22')를 통하여 안내되는 액체를 수용하여 배출 유도하는 배출홈(11)을 구비하고,상기 지지부(21')는 폭이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석쇠.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부(21')의 하부에 형성되어 열원에 접촉되고, 열원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부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흡열홈(25')이 형성되는 흡열부(24')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석쇠.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5080U KR200466340Y1 (ko) | 2009-11-20 | 2009-11-20 | 구이용 석쇠 |
PCT/KR2010/002979 WO2010134714A2 (ko) | 2009-05-16 | 2010-05-11 | 직화 구이용 그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5080U KR200466340Y1 (ko) | 2009-11-20 | 2009-11-20 | 구이용 석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5261U KR20110005261U (ko) | 2011-05-26 |
KR200466340Y1 true KR200466340Y1 (ko) | 2013-04-12 |
Family
ID=49294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15080U KR200466340Y1 (ko) | 2009-05-16 | 2009-11-20 | 구이용 석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6340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6155B1 (ko) * | 2019-08-09 | 2020-10-15 | 조성만 | 이중 기름 유출방지 불판 |
KR20200136556A (ko) * | 2019-05-28 | 2020-12-08 | 조운석 | 숯불구이용 불판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61671A (ja) * | 1999-08-25 | 2001-03-13 | Tiger Vacuum Bottle Co Ltd | ホットプレート |
KR200297015Y1 (ko) * | 2002-08-31 | 2002-12-02 | 최정윤 | 닭갈비 구이판 |
-
2009
- 2009-11-20 KR KR2020090015080U patent/KR200466340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61671A (ja) * | 1999-08-25 | 2001-03-13 | Tiger Vacuum Bottle Co Ltd | ホットプレート |
KR200297015Y1 (ko) * | 2002-08-31 | 2002-12-02 | 최정윤 | 닭갈비 구이판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36556A (ko) * | 2019-05-28 | 2020-12-08 | 조운석 | 숯불구이용 불판 |
KR102224962B1 (ko) | 2019-05-28 | 2021-03-05 | 조운석 | 숯불구이용 불판 |
KR102166155B1 (ko) * | 2019-08-09 | 2020-10-15 | 조성만 | 이중 기름 유출방지 불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5261U (ko) | 2011-05-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87717B2 (en) | Flameless barbecue grill | |
KR20060131915A (ko) | 그릴 팬 | |
KR100866157B1 (ko) | 직화식 구이판 | |
KR200433479Y1 (ko) | 직화 구이 석쇠 | |
US8813637B2 (en) | Heating rack | |
KR200466340Y1 (ko) | 구이용 석쇠 | |
KR101187145B1 (ko) | 구이판 | |
KR100642665B1 (ko) | 석쇠 구이장치 | |
KR200461125Y1 (ko) | 구이용 석쇠 | |
KR20140002590U (ko) | 숯불구이용 석쇠 | |
KR101479097B1 (ko) | 기름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장치 | |
US7506579B2 (en) | Heating rack | |
KR20100098772A (ko) | 처마형불판 | |
KR100763832B1 (ko) | 고기구이 불판 | |
KR200414163Y1 (ko) |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 |
KR102100597B1 (ko) | 다중경사진 석쇠용 철선 | |
KR200471899Y1 (ko) | 구이판 | |
CN209770100U (zh) | 炙子 | |
JP7545732B2 (ja) | 調理プレート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調理器 | |
KR200348104Y1 (ko) | 고기구이용 석쇠 | |
GB2569095A (en) | Heatproof carrier for food preparation and method | |
KR200339452Y1 (ko) | 대나무 불판 | |
KR102023761B1 (ko) | 대나무 석쇠 | |
KR200482419Y1 (ko) | 기름 낙하 방지 구조의 양면 석쇠 | |
KR20160001757U (ko) | 구이용 석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