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8772A - 처마형불판 - Google Patents

처마형불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8772A
KR20100098772A KR1020090017426A KR20090017426A KR20100098772A KR 20100098772 A KR20100098772 A KR 20100098772A KR 1020090017426 A KR1020090017426 A KR 1020090017426A KR 20090017426 A KR20090017426 A KR 20090017426A KR 20100098772 A KR20100098772 A KR 20100098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asting
meat
oil discharge
g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철
Original Assignee
김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철 filed Critical 김민철
Priority to KR1020090017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8772A/ko
Publication of KR20100098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7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이대상물(이하 굽는 요리에 주로 사용되는 육류나 어류 등의 음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을 열원(이하 음식물을 굽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열원으로 가스불, 숯불, 연탄불, 전열기 등의 열기구를 통틀어 이르는 말)을 이용하여 굽는 요리를 할 때 주로 사용하는 조리기구인 석쇠나 불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원의 화기가 구이대상물에 직접 닿는 형태인 직화구이의 특징을 나타내는 석쇠의 장점을 갖는 동시에 구이대상물에서 나오는 구이부산물(이하 구이대상물을 굽는 과정에서 나오는 기름이나 육즙 또는 양념이나 고기조각 등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열원으로 떨어져 타면서 발생하는 악취와 연기를 줄일 수 있는 특징을 나타내는 불판의 장점도 함께 이룰 수 있는 개선된 불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폭이 좁고 길이가 긴 막대기 형태의 판 구조로써 구이대상물이 직접 올려지는 구이판부를 형성하고, 상기 구이판부의 한쪽 또는 양쪽 가장자리부분을 하향 경사지게 내리면서 그 끝 부분은 위로 올려 오목한 홈('U'나 'V'자 모양) 형태로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구이대상물의 구이부산물이 열원으로 바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기름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한 구이판부와 기름배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구이살이라 하고, 이러한 구이살 몇 개를 넓게 포개어서 처마형불판을 만드는데, 이리하면 오목한 홈 모양의 기름배출부에 의해 열원의 화기가 구이대상물에 직접 닿는 석쇠의 직화구이 장점을 갖는 동시에 구이대상물에서 굽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구이부산물이 열원에 바로 떨어져 타는 것을 방지하는 불판의 장점도 함께 누릴 수 있는 효과를 갖는 처마형불판에 관한 것이다.
석쇠, 불판, 구이대상물, 열원, 구이부산물, 구이살, 구이판부, 기름배출부, 기름받이부

Description

처마형불판{Safe Grill}
본 발명은 음식물을 굽을 때 주로 사용되는 석쇠나 불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이대상물이 직접 올려지게 되는 구이판부를 길이가 길고 폭은 좁은 막대 판의 형태를 갖도록 만드는 동시에, 그 구이판부의 길이 방향의 한쪽 또는 양쪽 가장자리를 하향 경사지면서 그 끝을 위로 올려 오목한 홈('U'자나 'V'자 형태) 형태의 구조가 되도록 연장해서 기름배출부를 만들어 구이살을 완성하고, 상기한 구이살들을 갈비뼈 모양처럼 길게 늘어뜨려 배치하되 각각의 구이살이 일부 겹쳐지도록 배치함으로써 열원의 화기가 직접 구이대상물에 닿으면서도 구이부산물이 열원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제가 성장하고 먹을거리가 풍요해짐에 따라 밥과 채소를 위주로 하던 과거의 식생활이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과 같은 육류나 생선 오징어 등과 같은 어류를 많이 자주 섭취하는 쪽으로 급속하게 변화되고 있는데, 그러한 음식물(식재료)들을 일반 가정에서나 식당이나 야외 등에서 구워 먹기 위해 주로 석쇠나 불판 등의 조리기구가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석쇠는 가는 철사나 구리 등의 금속성 선재(선 형태의 재료)를 가로 세로로 그물을 짜듯이 '#' 구조로 역어 구멍이 많이 존재하는 망사형태로 만들어서 그 일측에 손잡이를 달아 사용하는데, 구멍이 많은 망사형 구조의 특성상 열원의 화기가 구멍을 통해 소고기 돼지고기 등의 구이대상물에 직접 닿는 직화구이 방식이므로 구이대상물이 빨리 구워지고, 육즙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 고기가 딱딱해지지 않으며, 숯불의 경우에는 숯불 향이 구이대상물에 배는 훈연에 의한 훈제효과가 있어 그 맛이 배가되는 장점이 있으나, 굽는 과정에서 석쇠의 구멍(빈공간)을 통해 살 조각이나 양념 또는 기름(지방) 등의 구이부산물이 열원으로 떨어져 타면서 많은 연기와 악취가 발생하는 이유로 사용자의 눈을 따갑게 하거나 의류에 냄새가 배는 단점이 있고, 고기의 기름(지방) 등이 열원에 닿아 타거나 불완전연소되는 과정에서 인체에 극히 해로운 발암물질이 만들어지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고, 선재의 석쇠살이 서로 겹쳐지는 부분에 붙은 이물질은 일반적인 세척 과정으로는 잘 없어지지 않아 세척시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등의 환경오염 문제와 석쇠에서 떨어진 구이부산물들로 인해 숯불의 화력이 약해지거나 주변환경을 더럽히는 등의 단 점이 있었다.
상기한 석쇠의 단점들을 보완하고자 지금까지 여러 가지의 아이디어들이 출원되어 있으나, 대부분 이중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것들이라서, 생산단가가 상승하고, 이중불판을 사용함에 따른 불편함과 그 기대효과도 높지 않다.
이러한 석쇠의 단점들을 줄일 목적으로 원형 또는 사각형 또는 솥뚜껑 형태의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간접가열 방식의 불판이 사용되고 있으나, 불판은 판의 형태로 그 특성상 일부분에 구멍이 형성된 것도 있으나 주로 면의 대부분이 막혀 있기 때문에 열원의 화기가 구이대상물에 직접 닿지 않고 불판의 복사열로 익혀지기게 되므로 굽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걸리고, 열원이 숯불인 경우 훈연의 효과를 보기 어렵고, 구이대상물과의 접촉 면적이 넓은 이유로 잘 눌어붙는 단점도 있고, 기름(지방)의 배출이 어려워 고기가 눅눅해지고, 굽는 과정에서 육즙이 빠져나가 고기가 딱딱해지는 등의 단점도 많은데, 이러한 불판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이중구조의 불판이 선출원 된 것이 있으나 이중구조의 석쇠처럼 단점 또한 역시 많다.
이에 본 발명은 구이대상물의 맛은 높이고 굽는 시간도 줄일 수 있는 직화구이 방식의 석쇠의 장점을 갖는 동시에 구이대상물의 구이부산물이 열원으로 떨어져 타는 것 때문에 발생하는 연기와 악취와 발암물질 등의 발생을 줄을 수 있는 일반적인 불판의 장점도 함께 이룰 수 있는 구이용 불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불판을 원형이나 사각형 모양의 하나로 된 판 형태로 만들지 않고, 길이가 길고 폭이 좁은 막대기 형태의 구이대상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굽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이판부을 만드는 동시에, 상기한 구이판부의 길이방향으로 한쪽 또는 양쪽 가장자리부분을 하향 경사지게 연장하면서, 그 끝을 위로 올려 오목하게 홈('U'자나 'V'자 형태) 모양이 되도록 각도를 주어 만들어서 배출로의 역할을 하도록 하는 처마형태(중절모의 모자챙 형태, 고랑 기능)로 된 기름배출부를 형성하면 구이대상물에서 빠져나온 구이부산물들이 열원으로 떨어지는 것을 막는 기능을 하는데, 이처럼 상기한 구이판부와 기름배출부로 만들어진 구이살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구조의 구이살들을 갈비뼈 형태로 넓게 펼쳐 놓아 하나의 기본 처마형불판이 만들어지는데, 이때 주의해야할 점은 갈비뼈 형태의 처마형불판을 위에서 봤을 때 인접하는 구이살들은 서로 조금씩 겹쳐지게 하여 구이판부에서 나오는 구이부산물들이 바닥이나 열원으로 떨어지지 않고 기름배출부로 모이도록 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통상의 불판을 구이판부와 기름배출부의 구조로 만들어진 구이살들을 갈비뼈 모양으로 여러 개 넓게 늘어놓아 처마형불판으로 개선함에 따라 석쇠를 사용할 때처럼 직화구이의 장점인 굽는 시간의 단축과 숯불에 의한 훈연의 효과와 고기가 딱딱해지는 것을 막아 육질을 좋게 하는 효과와 구이대상물이 불판에 닿는 면적을 줄여 눌어붙는 정도를 개선하는 효과와 불판을 자주 갈아야 하는 불편함도 줄일 수 있는 등의 장점과 함께 일반적인 불판을 사용할 때처럼 구이 대상물에서 만들어지는 구이부산물이 열원으로 떨어지는 것을 기름배출부가 막는 이유로 연기와 발암물질의 발생을 크게 줄이고, 세척도 간편하게 하고, 숯불의 사용시간도 늘리고, 열원의 고열에 의해 기름이 튀는 것을 막아 주변환경을 청결히 할 수 있고, 옷에 냄새가 배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처마형불판의 구이살(CC)을 설명하기 위해 여러 가지 형태의 구이살(CC)들을 간단히 나타낸 단면도로서, 처마형불판의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가 되는 구이살(CC)의 기본 구조와 여러 가지 형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우선 구이살(CC)에서 구이대상물이 직접 올려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이판부(AA)는 그 폭이 좁고 길이는 긴 막대기 형태의 판으로 형성하고, 동시에 상기한 구이판부(AA)에서 길이방향의 한쪽 테두리 가장자리를 하향 경사지면서 그 끝은 위로 올라가도록 연장 형성하여, 그 단면의 형태가 홈('U'자나 'V'자 형태) 모양을 갖는 긴 수로처럼 만들게 됨으로써 구이대상물을 굽는 과정에서 나오는 구이부산물이 구이살(CC)과 구이살(CC) 사이로 떨어지지 않고, 상기한 홈을 타고 흐르게 하는 기름배출부(BB)로 이루어진 것이 기본 구조가 된다.
여기에서 'AA-1'의 경우는 구이살(CC)의 구이판부(AA)가 평평한 단면(본 발명에서는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이 되는 면을 기준으로 함)을 갖는 구조를 예로 설명하는데, 구이판부(AA)의 상면이 평평하게 되면 제조의 편리함은 있으나 구이대상물과의 접촉면적이 다른 구조의 구이판부(AA)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어져 구이부산물의 배출이 쉽지 않고 잘 눌어붙으며 화기가 잘 닿지 않는 등의 단점이 있을 수 있어, 그 위에 튀어나온 돌기('n'자 형태)를 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여러 개의 구이살(CC)들이 모여 하나의 처마형불판이 만들어지므로 그중에 제일 바깥쪽에 위치하는 구이살(CC)은 폭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하여 구이부산물이 다른 곳으로 떨어지지 않고 기름배출부(BB)로 떨어지게 하고, 아니면 바깥쪽의 구이살(CC)은 '도 2'에서 설명할 기름배출부(BB)가 양쪽으로 형성된 구조의 구이살(CC)을 사용하여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으며, 바깥쪽의 구이살(CC)에서 기름배출부(BB)가 없는 반대쪽 구이판부(AA)의 가장자리 부분이나 기름배출부(BB)의 끝부분을 위로 올려 벽을 형성하는 등의 방법도 이용가능한데, 상기한 방법들은 다른 경우의 구이살(CC)에도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AA-2'의 구이판부는 상면의 가운데가 아래로 오목한 형태('U'자 형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A-1'에 비해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는 장점과 함께 구이대상물의 구이부산물이 기름배출부(BB)를 통해서만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이판부('AA-2')의 오목한 공간을 통해서도 배출되는 장점도 있다.
'AA-3'의 구이판부는 상면의 가운데가 위로 볼록한 형태('n'자 형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구이대상물과의 접촉면적이 줄어들기도 하지만, 볼록한 경사면으로 인해 구이부산물이 기름배출부(BB)로 더 빨리 배출되는 장점이 있다.
'AA-4'의 구이판부는 상면이 뾰족한 산 형태('^'자 형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구이대상물과의 접촉면적은 최대한 적게 하면서도 열원의 화기가 다른 형태들에 비해 가장 많이 구이대상물에 닿는 구조로 훈연의 효과가 제일 크고, 경사도가 제일 크기 때문에 기름배출도 가장 빠른 장점이 있으며, 또한 도시한 것처럼 단순히 하나의 산 모양으로 하지않고 'M'자처럼 몇 개를 붙이고 그 한쪽에 기름배출부(BB)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기본적인 원리를 구현(실현)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구이판부(AA)나 기름배출부(BB)의 구조는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며, 따라서 구이살(CC) 역시 그 형태가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고, 하나의 구이살(CC)에 'AA-1' 'AA-2' 'AA-3' 'AA-4' 등의 구조를 일부분씩 섞어 구이살(CC)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구이살(CC)은 필요에 따라 경사지게 배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처마형불판의 구이살(CC)에서 기름배출부(BB)가 구이판부(AA)의 양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도시한 것처럼 기름배출부(BB)가 없이 구이판부(AA)만 형성된 구이판과 '도 1'에서와는 달리 구이판부(AA)의 양쪽 가장자리 모두에 기름배출부(BB)가 형성된 구이살(CC)을 교대로 적당히 배치해 본 발명에 의한 처마형불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예를 설명하는 단면도인데, 처마형불판의 여러 가지 형태에 따라 기름배출부(BB)가 한쪽에만 형성된 것과 양쪽에 모두 형성된 것을 적당히 섞어 사용하는 방법이 더욱 효과적이며, 본 도면에서는 '도 1'의 'AA-1' 형태의 구이판부(AA)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여러 가지 형태의 구이판부(AA)도 물론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처마형불판의 기본 구조에 따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처마형불판을 위에서 봤을 때 '도 1'과 '도 2'에서 설명한 일정수의 구이살(CC)들을 기름배출부(BB)가 없는 쪽의 구이판부(AA)와 인접하는 다른 구이살(CC)의 기름배출부(BB)가 서로 일부 겹쳐지도록 배치하면, 구이판부(AA)나 구이판에서 기름배출부(BB)가 없는 쪽으로 배출되는 구이부산물(EE)은 겹치도록 아래에 배치된 다른 구이살(CC)의 기름배출부(BB)로 떨어지게 되어 구이부산물(EE)이 열원으로 직접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원리이고, 또한 열원의 화기(FF)는 서로서로 겹쳐지지만 연결은 되지 않는 구조의 구이살(CC)과 구이살(CC)의 빈 곳을 통해 구이대상물에 직접 닿게 되는 원리이다.
그 중에서도 '도 3'의 '가'는 기름배출부(BB)가 한쪽에만 형성된 구조의 구이살(CC)을 이용해 만들어진 처마형불판의 원리를 설명하는데, 열원의 화기(FF)가 구이살(CC)과 구이살(CC)의 빈 곳으로 상승해서 구이대상물에 직접 닿게 되고, 구이대상물의 구이부산물(EE)은 겹쳐지도록 배치된 구이살(CC)의 기름배출부(BB) 위로 떨어지거나 흐르게 되는 원리로 열원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의 '나'는 기름배출부(BB)가 양쪽에 형성된 구조의 구이살(CC)과 기름배출부(BB)가 없는 구이판을 이용해 만들어진 처마형불판의 원리를 설명하는데, 기본 원리는 '가'와 같으나 기름배출부(BB)가 양쪽에 형성된 구이살(CC)을 이용했다는 것이 다른데, 역시나 화기는 서로서로 겹쳐지지만 연결되지 않는 구이살(CC)과 구이판의 빈 곳을 통해 구이대상물에 직접 닿게 되고, 구이부산물(EE)은 양쪽의 기름배출부(BB) 위로 떨어지거나 흘러내려 배출이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처마형불판에서 사각형 형태의 처마형불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몇 개(도면에서는 8개)의 구이살(CC)을 일렬로 배치해 사각형의 형태가 되도록 처마형불판을 만든 것인데, 도시된 것처럼 전체 또는 일부 구이살(CC)들의 중간부분(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했을 경우)이 위로 볼록하도록 만곡이 되게 함으로써 구이부산물(EE)의 배출을 더욱 쉽게 하고, 아래로 처진 구이살(CC)들의 양끝에는 구이판부(AA)나 기름배출부(BB)를 통해 배출된 구이부산물(EE)이 모이도록 하는 기름받이부(ZZ)를 형성하였는데, 상기한 기름받이부(ZZ)에는 사용시에 물을 담아 두어 처마형불판의 세척이 더욱 쉬워지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구이살(CC)의 중간부분을 아래로 오목하게 만곡이 되게 하였을 경우에는 기름받이부(ZZ)가 구이살(CC)의 양끝이 아닌 구이부산물이 모이는 중간 부분의 바닥 아래에 형성되어야 하고, 동시에 오목한 구이살(CC)의 기름배출부(BB)에 모인 구이부산물(EE)이 기름받이부(ZZ)로 배출되도록 하는 통로나 통공(구멍)을 만들어야 하고, 또는 평평한 형태의 구이살(CC)들로 구성된 처마형불판이 수평으로 놓이지 않고 한쪽 끝이 올라가는 형태로 경사지게 놓이도록 하는 다리나 기름받이부(ZZ)를 형성하면 구이부산물의 배출을 쉽게 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기름받이부(ZZ)가 낮은쪽에 한쪽에만 있어도 되며, 기름받이부(ZZ)에 모인 구이부산물이 그때그때 배출되도록 통로가 되는 구멍을 형성하여 다른 용기에 따로 받을 수도 있으나 기름받이부(ZZ)의 용적을 크게 하여 사용이 끝날 때까지 모아두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한 방법들은 사각형뿐만 아니라 원형 등에도 응용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처마형불판에서 원형 형태의 처마형불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사각형 형태의 처마형불판의 경우와 거의 비슷하나, 원형의 특성상 일렬로 배치된 구이살(CC)들의 양끝 부분은 둥글게 처리하고, 바깥쪽에 위치하는 구이살(CC)은 폭이 좁아지는 이유로 구이살(CC)을 사용하지 않고 부채꼴 모양의 판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는 다 구워진 구이대상물을 올려놓고 타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또는 구이살(CC)의 한쪽 가장자리를 원형에 맞게 부채 모양으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등 처마형불판의 형태에 따라 구이살(CC)도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처마형불판에서 사각 형태의 처마형불판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일정수의 'AA-3' 형태의 구리로 된 구이살(CC)을 중간 부분이 위로 볼록하도록 만곡이 되게 하고 구이살(CC)들의 양끝부분에는 기름받이부(ZZ)가 형성되고 구이살(CC)의 바닥에는 평평하게 놓이도록 둥근 형태의 다리가 부착된 경우로서, 기름받이부(ZZ)와 구이살(CC)을 용접해서 고정한 것인데, 다리는 몇 개의 판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기름받이부(ZZ)에 물을 담아 사용한 뒤 뒤집어 청소하면 되고, 적재가 쉽도록 기름받이부(ZZ)의 아래를 좁게 형성한 것이다.
처마형불판에서 기름받이부(ZZ)는 분리가 될 수 있게 이중으로 하거나 없이도 만들 수가 있는데, 이는 식당에서나 야외용 그릴처럼 바깥 프레임이 불판과 함께 구성되는 경우에는 기름받이부(ZZ)가 굳이 필요치 않고 바깥 프레임이 기름받이부(ZZ)의 기능을 대신할 수도 있기 때문이고, 그러한 경우에는 기름받이부(ZZ)로 구이살(CC)들을 결합하는 것이 어려워지므로 구이살(CC)들의 위나 아래에 살대(금속판이나 금속관 형태)를 대어 용접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살대와 함께 볼트와 너트 등을 이용해 결합하는 방법 등을 응용해서 전체적인 형태를 만들거나, 또는 처마형불판의 지지대로 사용할 수 있는 다리를 이용해 구이살(CC)들이 모두 결합하도록 하여 하나의 모양을 잡을 수도 있는데,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처마형불판 을 열원 위에 놓는데 필요한 지지대인 다리는 일반적인 불판의 다리 형태를 사용하면 될 것이고, 다리의 높이를 조절해 처마형불판이 경사지게 놓이도록 할 수도 있고, 높이가 다른 다리를 적절히 섞어 사용하면 처마형불판을 놓는 각도에 따라 구이살(CC)들을 평평하게 하거나 또는 경사지게 하는 등 선택적으로 놓을 수도 있고, 기름받이부(ZZ)나 하나로 연결된 구이살(CC)들의 일측에 휴대하기 편하도록 손잡이를 형성하여 편리성을 더하고, 기름받이부(ZZ)에 기름배출용 구멍을 형성할 경우에는 탈착이 가능하도록 마개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고, 눌어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처마형불판에는 마블코팅이나 세라믹코딩 등과 같은 방법을 적용할 수 있고, 구이살(CC)의 아래나 위에 전기로 열을 내는 발열부을 구성하면 전기프라이팬처럼 자체 열원으로도 사용 가능한 처마형불판을 만들 수 있고, 처마형불판에 맞는 뚜껑을 함께 구성할 경우에는 기름배출부(BB)에 물을 채우는 방법 등을 이용하면 굽는 것과 함께 찌는 것이 동시에 가능한 찜 기구나 오븐 등의 역할도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여러 가지 구이살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기름배출부가 양쪽에 있는 구이살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처마형불판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사각형 처마형불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원형 처마형불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사각형 처마형불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A : 구이판부 BB : 기름배출부 CC : 구이살
EE : 구이부산물 FF : 화기 ZZ : 기름받이부

Claims (3)

  1. 육류나 어류 등의 음식물을 굽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석쇠나 불판 등의 조리기구에 있어서, 음식물을 올릴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길이가 길고 폭이 좁은 판 형태의 구이판부(AA);
    상기한 구이판부(AA)의 한쪽이나 양쪽의 가장자리를 하향 경사지게 내려오면서 끝 부분은 위로 올려 오목한 모양의 홈 형태가 되도록 형성하여 구이대상물에서 나오는 구이부산물이 열원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름배출부(BB);
    상기한 구이판부(AA)와 기름배출부(BB)로 구성된 구이살(CC)을 갖는 것에 특징이 있는 처마형불판.
  2. 제 1항에 있어서, 일정수의 구이살(CC)들을 기름받이부(BB)가 인접한 다른 구이살(CC)의 구이판부(AA)나 구이판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게 일부 겹쳐지도록 펼쳐 놓아서 전체적으로는 사각형이나 원형의 형태가 되도록 구성하여 만들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처마형불판.
  3. 제 1항에 있어서, 구이살(CC)의 일정 부분에는 구이판부(AA)나 기름배출부(BB)를 통해 배출된 구이부산물(EE)을 모을 수 있도록 오목한 용기 형태의 기름받이부(ZZ)를 갖는 것에 특징이 있는 처마형불판.
KR1020090017426A 2009-03-02 2009-03-02 처마형불판 KR201000987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426A KR20100098772A (ko) 2009-03-02 2009-03-02 처마형불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426A KR20100098772A (ko) 2009-03-02 2009-03-02 처마형불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772A true KR20100098772A (ko) 2010-09-10

Family

ID=43005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426A KR20100098772A (ko) 2009-03-02 2009-03-02 처마형불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877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536Y1 (ko) * 2012-10-24 2014-07-11 이환희 숯불구이용 석쇠
KR200482346Y1 (ko) * 2015-11-10 2017-01-12 주식회사 쓰리엘 고기구이 불판
KR102050304B1 (ko) * 2018-07-18 2020-01-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옻가네 구이용 불판
USD973433S1 (en) 2018-02-02 2022-12-27 Nomad Grills, LLC Portable grill cambered grat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536Y1 (ko) * 2012-10-24 2014-07-11 이환희 숯불구이용 석쇠
KR200482346Y1 (ko) * 2015-11-10 2017-01-12 주식회사 쓰리엘 고기구이 불판
USD973433S1 (en) 2018-02-02 2022-12-27 Nomad Grills, LLC Portable grill cambered grate
US11812894B2 (en) 2018-02-02 2023-11-14 Nomad Grills, LLC Portable grill having low-temperature exterior casing
KR102050304B1 (ko) * 2018-07-18 2020-01-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옻가네 구이용 불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5922B2 (en) Grill pan
KR20100098772A (ko) 처마형불판
KR200444353Y1 (ko) 만능 구이판
KR101060025B1 (ko) 고기구이 불판
KR101562498B1 (ko) 구이용 화덕
KR101218026B1 (ko) 구이전골판 및 이를 사용하는 구이전골기
KR101187145B1 (ko) 구이판
KR200477707Y1 (ko) 구이용 불판
KR102059184B1 (ko) 직화구이용 불판
KR20160086624A (ko) 가정용 석쇠형 불판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20090086679A (ko) 직화구이 석쇠 및 이를 이용한 직화구이기
KR200447619Y1 (ko) 조리기구
KR101775149B1 (ko) 고기구이판
KR101909536B1 (ko) 로스터용 볼록 석쇠
KR200436062Y1 (ko) 연기방지용 석쇠
KR200412758Y1 (ko) 상판과 하판으로 이루어진 불판
KR200385600Y1 (ko) 이중석쇠
KR20090006431U (ko) 육류조리용 불판
KR20110053591A (ko) 직화 오븐기
KR20110139468A (ko) 주름판식 구이판
KR101252943B1 (ko) 고기 구이판
KR102644351B1 (ko) 구이 팬
KR200288574Y1 (ko) 기름배출 구조를 갖는 석쇠
KR200348104Y1 (ko) 고기구이용 석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