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6503A - α-아미라제 활성저해제 - Google Patents

α-아미라제 활성저해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6503A
KR20020086503A KR1020027010183A KR20027010183A KR20020086503A KR 20020086503 A KR20020086503 A KR 20020086503A KR 1020027010183 A KR1020027010183 A KR 1020027010183A KR 20027010183 A KR20027010183 A KR 20027010183A KR 20020086503 A KR20020086503 A KR 20020086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polyphenols
ppm
signals
m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0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키노타카시
아이야마리츠오
데구치요리코
와타누키마사아키
나카자와마사코
미주코시하루미
나가오카마사토
하라다카츠히사
오사다쿠니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야쿠루트 혼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야쿠루트 혼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야쿠루트 혼샤
Publication of KR20020086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650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99Enzyme inactivation by chem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Diabet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besit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바의 잎 및/또는 과실을 물 및 친수성 용매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의 용매로 추출하고, 한외여과법을 이용하여 분자량 5000미만의 물질을 제거한 후, 부틸기를 담지한 충전제를 고정상으로 하는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유속 1㎖/min으로, 0.02mo1/ℓ의 인산2수소나트륨 수용액과 0.02mol/ℓ의 인산3나트륨 수용액에 의한 단계적 농도 구배를 주면서 용출하고, 260㎚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경우에, 3번째의 단일 피크로서 확인되는 획분을 회수하여 얻어지는 폴리페놀류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α-아미라제 활성 저해제 및 특정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갖는 폴리페놀류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α-아미라제 활성 저해제 및 이를 함유하는 음식품 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α-아미라제 활성저해제 {α-AMYLASE ACTIVITY INHIBITORS}
근년, 섭취 칼로리의 과다가 생활 습관병의 원인이 되고 있으므로 섭취 칼로리의 제한이 요구되고 있으나, 섭취한 음식이 생체내에서 에너지로 변환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물질이 있으면, 식사량을 줄이지 않고 다이어트할 수 있다. 특히, 전분을 비롯한 탄수화물의 소화를 억제하는 것은 비만의 예방·치료에 유효한 것이라고 생각되어 전분의 소화효소인 α-아미라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이 근년 주목되고 있다.
중앙아메리카 원산의 관목인 과바는 그 과실, 뿌리 및 잎이 민간에서 생약으로서 당뇨병이나 설사 방지에 이용되고 있으나, 최근, 그 잎을 물 또는 친수성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엑기스에 α-아미라제 활성저해 작용이 있는 것이 발견되어 건강음료(일본국 특공소 60-36746호)나 다이어트 음식품(일본국 특개평 7-59539호)으로서 사용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당해 과바 추출 엑기스에는 세스퀴테르펜이나 탄닌 등 여러 가지 성분이 포함되어 그의 α-아미라제 저해활성은 충분한 것이 아니고, 우수한 다이어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과바 추출액중에서 특히 우수한 α-아미라제 저 해활성을 가지며, 보다 유효한 다이어트 효과를 발휘하는 성분 및 이것을 함유하는 음식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과바(Psidium guajavaLinn.) 유래의 폴리페놀류(이하, 「과바 폴리페놀류」라고도 한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α-아미라제 활성저해제 및 이를 함유하는 음식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과바 폴리페놀류의 적외선 흡수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과바 폴리페놀류의 CP-MAS의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정제 과바 폴리페놀류의 용출 곡선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과바 폴리페놀류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실정을 감안하여, 과바 추출물중의 고분자 성분에 대해서 예의 연구한 결과, 과바 잎 또는 과실의 수성 추출물을 한외 여과하여 얻어지는 분자량 5000이상의 획분을 특정의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획하여 얻어지는 폴리페놀류에 높은 α-아미라제 저해활성이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과바의 잎 및/또는 과실을 물 및 친수성 용매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의 용매로 추출하고, 이 추출액으로부터 한외여과법을 이용하여 분자량 5000 미만의 물질을 제거한 후, 부틸기를 담지한 충전제를 고정상으로 하는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고, 유속 l㎖/min에서 0.02mol/ℓ의 인산2수소나트륨 수용액과 0.02mo1/ℓ의 인산3나트륨 수용액에 의한 농도구배를 주면서 용출하고, 260㎚에서 흡광도를 측정했을 경우에, 3번째의 단일피크로서 확인되는 획분을 회수하여 얻어지는 폴리페놀류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α-아미라제 활성저해제 및 다음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가지는 폴리페놀류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α-아미라제 활성 저해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a) 구성 원소로서 탄소를 49.6%, 수소를 4.6%, 및 질소를 0.6% 함유한다.
(b) 분자량이 5,000∼100,000이다.
(c) 적외선 흡수스펙트럼: 3428㎝-1부근, 1705㎝-1부근, 1615㎝-1부근 및 1220㎝-1부근에 강한 적외선 흡수를 나타낸다.
(d) 고체 탄소 핵자기공명 스펙트럼: 당의 시그널(76ppm 부근), 방향족 시그널(115.0ppm 부근), 페놀 시그널( 144 및 156ppm 부근) 및 에스테르카르보닐 시그널(168ppm 부근)에 상당하는 공명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e) 이하의 조건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 분석에 의해, 10분 부근에서 단일피크를 나타낸다.
컬럼: 부틸기를 화학 결합한 경질 합성 폴리머계 역상 분배형 겔을 충전한 컬럼[모델: Shodex Asahipak C4P-50 4D(Showa Denko제), 내경 4.6㎜, 길이 150㎜, 또는 이와 유사한 컬럼]
유속: 1.5㎖/분
컬럼 온도: 40℃부근의 일정 온도
검출기: 자외 흡광 광도계(측정 파장: 260 ㎚)
이동상:
A액: 0.02mo1/ℓ의 NaH2PO4를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물 혼액 (15:85(v/v))에 의한 용액(pH 4.6)
B액: 0.02mo1/ℓ의 Na3PO4를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물 혼액 (15:85(v/v))에 의한 용액(pH 11.4)
분석법: 다음 표에 의해 스텝 그라디언트 분석을 행한다.
[표 1]
또한, 본 발명은 상기 α-아미라제 활성 저해제를 함유하는 음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이어트 음식품 제조를 위한 상기 폴리페놀류의 사용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음식품을 섭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폴리페놀류는 이하에 나타내는 공정 1∼3에 의해 얻을 수 있다.
1) 공정-1
과바의 잎 및/또는 과실을 물 및 친수성 용매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과바 추출액을 얻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과바는 프시디움 과자바 린(Psidium guajava Linn.)이고, 그 산지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남미, 북미 등의 열대, 아열대 지역에서 널리 자생 또는 재배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당해 과바의 잎 또는 과실이 이용되며, 이들은 생, 반건조 또는 건조품의 어느 것이라도 좋으나, 특히 건조한 잎이 바람직하다. 또한, 과실을 이용하는 경우는 익지 않은 과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들의 원료는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잎의 경우는 3∼5㎜정도의 크기로 절단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풍미를 개선하기 위해서 건조후 볶은 것을 이용해도 괜찮다.
추출 용매에는 물 및 친수성 용매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의 용매가 이용되며,이러한 친수성 용매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n-프로필알코올, 아세톤, 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2종이상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고, 또한 물과 임의의 비율로 혼합한 함수용매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조작성 및 안전성을 고려하면 가장 바람직한 용매는 물이다.
용매의 사용량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과바 잎을 이용하는 경우, 잎과 추출용매의 비율은 1:20(중량), 과실(익지 않은 과실)을 사용하는 경우는 과실 1에 대해 약 10중량배의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바 잎을 사용한 추출은 사용하는 용매에 따라 다르나, 물의 경우에는 50∼100℃, 바람직하게는 80∼100℃의 온도에서 5∼60분, 바람직하기로는 5∼25분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과실(익지 않은 과실)을 이용하는 경우는 60∼100℃의 온도에서 10∼60분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에 있어서, 추출 용매에 중조 등의 알칼리를 가하여 pH를 올려 추출하여도 좋고, 묽은 광산(예를 들면, 묽은 염산) 또는 유기산(예를 들면, 숙신산, 시트르산, 젖산, 말산, 타르타르산)을 가하여 약산성으로 하고, 추출하여도 좋다.
추출공정 종료후, 추출액을 냉각하고, 원심분리 등에 의해 불순물을 분리,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과바 추출액을 적당한 농도로 농축 또는 희석하여도 좋다.
2) 공정-2
공정-1에서 얻어진 과바 추출액으로부터 한외여과법을 이용하여 분자량 5000미만의 저분자 물질을 제거한다.
이용되는 한외여과법은 가압식 여과장치를 사용하는 방법, 투석법, 원심법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들을 조합하여 행하여도 좋다.
투석법에 의한 경우, 과바 추출액을 분자량 5000미만의 물질을 투과시키는 셀루로오즈에스테르나 셀로판 등의 반투막의 투석 튜브내에 봉입하고, 물 또는 묽은 완충액으로 된 투석외액 중에서, 가끔 투석외액을 교환하면서 또는 흐르는 물 중에서 1∼7일간, 바람직하기로는 2∼3일간 투석함으로서 저분자 물질을 투석외액중에 확산시켜 제거한다.
3) 공정-3
공정-2에서 얻어진 분자량 5000이상의 획분을 부틸기를 담지한 충전제를 고정상으로 하는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유속 1㎖/min에서, 0.02mol/ℓ의 인산2수소나트륨 수용액과 0.02mol/ℓ의 인산3나트륨 수용액에 의한 농도구배를 주면서 용출한다.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의 고정상에 이용되는 충전제는 관능기로서 부틸기가 담지되어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고 있으면, 특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 카르복실화 폴리스티렌,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셀루로오즈 유도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동층에는 0.02mol/ℓ의 인산2수소나트륨 수용액과 0.02mo1/ℓ의 인산3 나트륨 수용액이 이용되며, 농도구배를 주어 용출한다.
유속 1㎖/min로 용출하였을 때의 분리 패턴을, 260㎚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검출하고, 3번째에 단일피크로서 확인되는 획분을 회수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감압건조 또는 동결 건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폴리페놀류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수용성 획분의 물리화학적 성질은 이하와 같다.
(원소 분석)
원소 분석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행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
원소분석 결과
이 획분은 질소함량이 적고, 단백질의 함유는 없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분자량)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각도 광산란 검출기를 이용한 GPC-HPLC 분석에 의한 분자량 측정을 행한 결과, 이 획분의 분자량은 5,000∼100,000, 평균 분자량은 70,000이었다.
(구성 성분의 분석)
당 함유량은 시료를 4mo1/ℓ-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중에서 100℃, 2시간 가열 분해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알도닉 니트릴르아세테이트(aldonic nitrileacetate) 유도체로 하고,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분석에 의해 산출했다. 그 결과, 글루코오즈(2.1%), 아라비노오즈(2.0%), 갈락토오즈(1.3%), 만노오즈(0.4%), 람노오즈 (0.3%) 및 크실로오즈(0.3%)가 검출되었다.
(갈릭산, 엘라직산 및 프로안토시아니딘 함유량)
갈릭산 및 엘라직산 함유량은 시료를 황산철(III)암모늄을 함유하는 부탄올-염산 혼액(95:5 v/v) 중에서, 100℃, 24시간 가열 분해한 후, HPLC 분석하여 구했다. 갈릭산은 0.6%, 엘라직산은 5.2%였다. 프로안토시아니딘 함유량은 시료를 동일 시약을 사용하여 95℃, 40분간 가열 분해하여 얻어진 분해액의 흡광도로부터 산출했다. 프로안토시아니딘은 시아니딘 환산으로 6.8%이었다.
(적외선 흡수스펙트럼)
측정은 시료를 BaF2결정에 끼워 압연하고, 투과법으로 행했다. 얻어진 적외선 흡수스펙트럼에 의하면, 이 획분은 파수 3428㎝-1부근, 1705㎝-1부근, 1615㎝­1부근 및 1220㎝-1부근에서 강한 흡수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적외선 흡수스펙트럼을 도 1에 나타낸다.
(고체 탄소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고체13C­NMR)
측정은 통상의 방법인 교차 분극 매직 앵글 스피닝법(CP-MAS)으로 행했다. 얻어진 CP­MAS의 스펙트럼에서는 당, 방향족, 페놀, 에스테르카르보닐 등의 시그널이 관찰되었으며, 이 획분은 에라지탄닌(ellagitannin)의 집합체를 주체로 하는폴리페놀류인 것이 확인되었다. CP­MAS의 스펙트럼을 도 2에 나타낸다.
상기 과바 폴리페놀류는 후기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수한 α-아미라제 저해작용을 가짐과 동시에, α-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도 함께 갖는다. 따라서, 당해 폴리페놀류를 식품에 배합하면, 전분으로부터 덱스트린이나 말토오즈로의 분해가 강하게 억제되고, 더욱이 2당류(말토오즈, 이소말토오즈, 슈크로오즈)로부터 글루코오즈로의 분해도 억제되는 것으로부터, 혈당치의 상승억제 및 항비만 작용을 가지는 음식품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식품의 형태로서는 고형 식품, 반유동식품, 겔상 식품, 음료 등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정제, 캅셀, 과립 등의 형태, 쿠키, 젤리, 스낵류 등의 과자 형태, 과립상의 뿌림가루, 빵, 우동 등의 형태; 청량 음료, 쥬스, 유산균 음료 등의 드링크제의 형태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음식품에는 본 발명의 폴리페놀류에, 또한 식품으로서 통상 이용되고 있는 각종 소재를 병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포도당, 자당, 과당, 소르비톨, 크실리톨, 에리쓰리톨, 락티톨, 팔라티니트 등의 당알코올, 자당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레시틴 등의 유화제, 펙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수용성 대두 다당류, 제란 검, 아라비아 검, 크산탄 검, 카라기난, 구아 검 등의 안정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도, 비타민 A, 비타민 B류, 비타민 C, 비타민 E 등의 각종 비타민류나 젖산칼슘, 글루콘산칼슘, 판토텐산칼슘이나 각종 마그네슘, 아연 화합물 등의 미네랄종류, 허브 엑기스 등을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폴리페놀류를 음식품에 함유시키는 경우의 폴리페놀류의 함유량은그의 제형에 따라 다르나, 0.005∼0.5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음식품의 1일당 섭취량은 이 폴리페놀류로서 5∼500㎎, 특히10∼1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과바 추출 엑기스의 제조
(1) 과바잎(중국, 꽝시성산)을 건조하고, 121℃에서 15분 볶은 후, 5㎜ 정도로 잘랐다. 이 차잎 100㎏를 80℃의 열수 2000㎏에 넣고, 25분간 추출했다. 추출액을 30℃이하로 냉각하고, 15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맑은 용액으로 하여 과바 잎 추출액을 얻었다.
(2) 덜 익은 과수 추출액은 과수 1에 대해 약 10중량배의 용매를 사용하고, 90℃에서 25분간 추출함으로서 얻어진다.
(3) 얻어진 과바잎 추출액에 과수 추출액을 약 0.1∼0.2%의 비율로 배합하여 과바 추출 엑기스를 얻었다.
실시예 2 과바 폴리페노르류의 제조
분획 분자량 5000의 한외여과막을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과바 추출 엑기스로부터 분자량 5000이상의 획분을 얻었다. 다음에 이 획분으로부터 분획 분자량 6000∼8000의 투석막을 이용하여 얻어진 투석내액을 동결건조하여 정제 폴리페놀류를 얻었다. 얻어진 조(粗) 정제 폴리페놀류를 0.02mol/ℓ의 인산2수소나트륨 수용액에 용해하고, 충전제에 부틸기를 결합한 마크로프렙 컬럼(macro-prep column)을 이용하여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했다. 컬럼의 2배 용량의 0.02mol/ℓ의 인산2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컬럼의 2배량의 0.02mo1/ℓ의 인산2수소나트륨 수용액과 0.02mo1/ℓ의 인산3나트륨 수용액의 직선 구배에 의해 용출하고, 이어서 0.02mo1/ℓ의 인산3나트륨 수용액으로 용출했다. 260㎚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용출 곡선을 작성함과 동시에 아미라제 저해활성을 측정했다(도 3). 이 용출 곡선으로부터, 마지막에 용출하는 단일피크에 저해활성이 확인되었다. 얻어진 단일피크에 상당하는 획분을 전기 투석한 후, 동결 건조하여 정제 과바 폴리페노르류로 했다.
얻어진 정제 과바 폴리페놀류를 상기 (e)에 나타내는 조건에서 측정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이 조건에 의한 측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정제 폴리페놀류는 단일 피크로서 관찰되었다.
실시예 3 α-아미라제 저해활성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얻어진 과바 추출 엑기스 및 정제 과바 폴리페놀류가 α-아미라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했다.
α-아미라제 저해활성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즉, α-아미라제는 돼지 췌장액 유래의 것을 이용하여 0.02M 인산나트륨 완충액(pH 6.5)으로 조제했다. 기질 용액은 8% 가용성 전분과 0.08M 인산나트륨 완충액 (pH 6.5)로 조제했다. 반응은 효소, 기질 용액, 시험 용액 또는 대조로서 물을 혼합하고, 37℃에서 7분간 행했다. 100℃에서 반응을 정지한 후, 아라비노오즈를 내부 표준물질로서 생성된 말토오즈를 HPLC로 측정했다. 저해활성은 하기 식에 의해 산출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저해활성(%)={1-시료중의 생성 말토오즈량/대조중의 생성 말토오즈량}×100
[표 3]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제 과바 폴리페놀류는 과바 추출 엑기스에 비해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냈다( 약 30%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 4 α-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얻어진 과바 추출 엑기스 및 정제 과바 폴리페놀류가α-글루코시다제의 하나인 말타아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했다. 말타아제 저해활성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즉, 말타아제는 랫트 장관 아세톤 분말(SIGMA사 제)을 9배량의 56mM 말레인산 완충액(pH 6.0)으로 호모게나이즈하고,그의 원심 상청을 조(粗) 효소액으로 하였다. 기질용액은 말토오즈의 최종 농도가 1%가 되도록 224mM 말레인산 완충액(pH 6.0)으로 조제했다. 반응은 효소, 기질용액, 시험용액 또는 대조로서 물을 혼합하고, 37℃에서 5분간 행했다. 100℃에서 반응을 정지한 후, 아라비노오즈를 내부 표준 물질로서, 생성된 글루코오즈 량을 HPLC로 측정했다. 저해활성은 하기 식에 의해 산출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저해활성(%)=(1-시료중의 생성 글루코오즈 량/대조중의 생성 글루코오즈양)×100
[표 4]
실시예 5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정제 과바 폴리페놀을 이용하여 이하에 나타낸 배합으 로 빵을 만들었다.
이 제품은 특징적인 허브 풍미가 있으며, 맛도 양호하고, 통상의 빵에 비해 손색이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α-아미라제 활성 저해제는 과바 추출 엑기스에 비해 극히 우수한 α-아미라제 저해활성을 가짐과 동시에 α-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아울러 가지며, 이것을 음식품에 함유시키면 혈당치 억제작용 및 항비만작용을 가지는 음식품이 얻어진다. 즉, 뿌림 가루나 우동, 빵, 쿠키 등 전분을 많이 함유하는 식품에 이것을 혼합함으로써 혈당치가 높은 사람, 또는 고지혈증의 사람에게 적합한 다이어트 음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과바의 잎 및/또는 과실을 물 및 친수성 용매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의 용매로 추출하고, 이 추출액으로부터 한외여과법을 이용하여 분자량 5000미만의 물질을 제거한 후, 부틸기를 담지한 충전제를 고정상으로 하는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유속 1㎖/min에서, 0.02mo1/ℓ의 인산2수소나트륨 수용액과 0.02mol/ℓ의 인산3나트륨 수용액에 의한 농도 구배를 주면서 용출하고, 260㎚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경우에, 3번째의 단일 피크로서 확인되는 획분을 회수하여 얻어지는 폴리페놀류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α-아미라제 활성 저해제.
  2. 제 1항에 있어서, 폴리페놀류가 다음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아미라1제 활성 저해제.
    (a) 구성 원소로서 탄소를 49.6%, 수소를 4.6% 및 질소를 0.6% 함유한다.
    (b) 분자량이 5,000∼100,000이다.
    (c) 적외선 흡수스펙트럼: 3428㎝-1부근, 1705㎝-1부근, 1615㎝-1부근 및 1220㎝-1부근에 강한 적외선 흡수를 나타낸다.
    (d) 고체 탄소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당의 시그널(76ppm 부근), 방향족 시그널(115.0ppm 부근), 페놀 시그널(144 및 156ppm 부근) 및 에스테르카르보닐 시그널(168ppm 부근)에 상당하는 공명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e) 이하의 조건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 분석에 의해, 10분 부근에 단일피크를 나타낸다.
    컬럼: 부틸기를 화학 결합한 경질 합성 폴리머계 역상 분배형 겔을 충전한 컬럼(모델: Shodex Asahipak C4P-50 4D, (Showa Denko 제), 내경 4.6㎜, 길이 150 ㎜, 또는 이것과 동등품)
    유속: 1.5㎖/분
    컬럼 온도: 40℃부근의 일정 온도
    검출기: 자외 흡광 광도계(측정파장: 260㎚)
    이동상:
    A액: 0.02mol/ℓ의 NaH2PO4를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물 혼액(15:85(v/v))에 의한 용액(pH 4.6)
    B액: 0.02mol/ℓ의 Na3PO4를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물 혼액(15:85(v/v))에 의한 용액(pH 11.4)
    분석법: 다음의 표에 의해 스텝 그라디언트 분석을 행한다.
    [표 1]
  3. 다음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가지는 폴리페놀류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α-아미라제 활성 저해제.
    (a) 구성 원소로서 탄소를 49.6%, 수소를 4.6% 및 질소를 0.6% 함유한다.
    (b) 분자량이 5,000∼100,000이다.
    (c) 적외선 흡수스펙트럼: 3428㎝-1부근, 1705㎝-1부근, 1615㎝-1부근 및 1220㎝-1부근에 강한 적외선 흡수를 나타낸다.
    (d) 고체 탄소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당의 시그널(76ppm 부근), 방향족 시그널(115.0ppm 부근), 페놀 시그널(144 및 156ppm 부근) 및 에스테르카르보닐 시그널(168ppm 부근)에 상당하는 공명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e) 이하의 조건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 분석에 의해, 10분 부근에 단일피크를 나타낸다.
    컬럼: 부틸기를 화학 결합한 경질 합성 폴리머계 역상 분배형 겔을 충전한 컬럼(모델: Shodex Asahipak C4P-50 4D, (Showa Denko 제), 내경 4.6㎜, 길이 150 ㎜, 또는 이것과 동등품)
    유속: 1.5㎖/분
    컬럼 온도: 40℃부근의 일정 온도
    검출기: 자외 흡광 광도계(측정파장: 260㎚)
    이동상:
    A액: 0.02mol/ℓ의 NaH2PO4를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물 혼액(15:85(v/v))에 의한 용액(pH 4.6)
    B액: 0.02mol/ℓ의 Na3PO4를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물 혼액(15:85(v/v))에 의한 용액(pH 11.4)
    분석법: 다음의 표에 의해 스텝 그라디언트 분석을 행한다.
    [표 1]
  4. 제 1∼3항의 어느 1항에 있어서, 다시 α-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아미라제 활성 저해제.
  5. 제 1∼4항의 어느 1항 기재의 α-아미라제 활성 저해제를 함유하는 식품.
  6. 다이어트 음식품 제조를 위한 제 1∼3항의 어느 1항 기재의 폴리페놀류의 사용.
  7. 제 5항 기재의 음식품을 섭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 방법.
KR1020027010183A 2000-03-10 2001-03-09 α-아미라제 활성저해제 KR200200865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66896 2000-03-10
JP2000066896 2000-03-10
PCT/JP2001/001857 WO2001066714A1 (fr) 2000-03-10 2001-03-09 INHIBITEURS DE L'ACTIVITE DE L'AMYLASE-$g(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503A true KR20020086503A (ko) 2002-11-18

Family

ID=18586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0183A KR20020086503A (ko) 2000-03-10 2001-03-09 α-아미라제 활성저해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037536B2 (ko)
EP (1) EP1262543B1 (ko)
JP (1) JP5354833B2 (ko)
KR (1) KR20020086503A (ko)
CN (1) CN1264978C (ko)
AR (2) AR027636A1 (ko)
AU (2) AU4107801A (ko)
BR (1) BRPI0108957B1 (ko)
CA (1) CA2402893C (ko)
ES (1) ES2393667T3 (ko)
MX (1) MXPA02008819A (ko)
TW (1) TWI261497B (ko)
WO (1) WO20010667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6149B2 (ja) * 2003-03-28 2011-09-21 クラシエフーズ株式会社 糖質吸収抑制剤および食品
CA2568775C (en) 2004-06-04 2012-09-11 David Kannar Natural sweetener
JP2005350375A (ja) * 2004-06-09 2005-12-22 Kikkoman Corp 血中尿酸値低下剤
JP2006056793A (ja) * 2004-08-18 2006-03-02 Bizen Chemical Co Ltd ポリフェノール含有生成物の製造方法、ポリフェノール含有生成物、α−アミラーゼ阻害剤、抗酸化剤および食用組成物
JP2006056850A (ja) * 2004-08-23 2006-03-02 Suntory Ltd リパーゼ阻害剤
JP2006104181A (ja) * 2004-09-13 2006-04-20 Takahiro Tsujita ブナ科植物由来の糖質分解酵素阻害物質、及びその用途
JP4658560B2 (ja) * 2004-10-06 2011-03-23 備前化成株式会社 更年期障害の改善・治療剤および前立腺ガンおよび乳ガンの予防・治療剤
CN1309826C (zh) * 2004-10-27 2007-04-11 北京北大维信生物科技有限公司 纳豆激酶纯化工艺
CA2608865C (en) * 2005-06-03 2015-08-25 Horizon Science Pty Ltd Molasses extract having body mass redistribution properties
EP1902722B1 (en) * 2005-07-12 2020-12-16 Kabushiki Kaisha Yakult Honsha Agent for elevating adiponectin concentration
US20090004270A1 (en) * 2006-01-06 2009-01-01 Amerilab Technologies, Inc. Method of using guava extract
US7611739B2 (en) * 2006-01-06 2009-11-03 Amerilab Technologies, Inc. Method of using guava extract and composition including guava extract
TWI386168B (zh) 2006-05-18 2013-02-21 Yakult Honsha Kk 番石榴葉萃取物粉末及其製造方法
JP2006298937A (ja) * 2006-07-14 2006-11-02 Kinji Ishida 肥満防止改善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飲食品
US9364016B2 (en) * 2006-09-19 2016-06-14 The Product Makers (Australia) Pty Ltd Extracts derived from sugar cane and a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GB0719542D0 (en) * 2007-10-08 2007-11-14 Barry Callebaut Ag Use of cocoa extract
GB0719544D0 (en) * 2007-10-08 2007-11-14 Barry Callebaut Ag Cocoa extract and use thereof
GB0719545D0 (en) * 2007-10-08 2007-11-14 Barry Callebaut Ag Novel use of cocoa extract
US20080293644A1 (en) * 2007-04-27 2008-11-27 Thomas Eidenberger Guava extract
CN102127508B (zh) * 2010-12-25 2013-01-16 浙江工业大学 α-淀粉酶抑制剂产生菌及其筛选方法
EP2672832B1 (en) 2011-02-08 2020-03-25 The Product Makers (Australia) Pty Ltd Sugar extracts
WO2013133685A1 (en) 2012-03-09 2013-09-12 Biotropics Malaysia Berhad Extract formulations of rhodamnia cinerea and uses thereof
CN104780987B (zh) 2012-08-28 2018-10-30 产品制造商(澳大利亚)有限公司 提取方法
WO2015021512A1 (en) 2013-08-16 2015-02-19 Horizon Science Pty Ltd Sugar cane derived extracts and methods of treatment
CN107213203B (zh) * 2017-06-14 2021-01-05 广东番石榴健康产业有限公司 一种从番石榴叶中提取总多酚的方法
CN107807102A (zh) * 2017-11-02 2018-03-16 威海百合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α‑淀粉酶抑制剂活性的检测方法
CN111504997B (zh) * 2020-05-15 2022-10-18 吉林鑫水科技开发有限公司 玉蜀黍须和秸秆成分提取及各成分体外降糖活性检验方法
CN111568969B (zh) * 2020-06-08 2023-05-09 广西壮族自治区中国科学院广西植物研究所 以多聚体多酚为主的荔枝皮提取物在制备α-淀粉酶抑制剂中的应用
CN113884605B (zh) * 2021-10-14 2023-06-16 安徽科技学院 一种土壤酚类物质用分级式高效分离纯化方法
CN114209057A (zh) * 2021-11-30 2022-03-22 瀚科(浙江)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刺梨天然纳米颗粒及其提取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9599B2 (ko) * 1974-12-28 1979-09-25
JPS6036746B2 (ja) * 1983-09-06 1985-08-22 備前化成株式会社 グアバ葉エキスからなる健康飲料
JP3018013B2 (ja) * 1989-10-19 2000-03-13 三井農林株式会社 α―アミラーゼ活性阻害剤
JP2670742B2 (ja) 1993-08-21 1997-10-29 備前化成株式会社 α−アミラーゼ阻害物質
US5554645A (en) * 1994-10-03 1996-09-10 Mars, Incorporated Antineoplastic cocoa extract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IT1275905B1 (it) * 1995-03-14 1997-10-24 Indena Spa Frazioni polifenoliche di te', loro uso e formulazioni che le contengono
JPH092969A (ja) * 1995-06-20 1997-01-07 O S Kogyo Kk アレルギー疾患治療剤
JP2974946B2 (ja) * 1995-09-26 1999-11-10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グアバ茶飲料
KR19980702533A (ko) * 1995-12-26 1998-07-15 도리이 신이찌로 프로시아니딘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비만제
JP4109731B2 (ja) * 1997-01-23 2008-07-02 備前化成株式会社 改良グアバ葉エキス抽出法
US5912363A (en) * 1997-08-29 1999-06-15 Interhealth Nutraceuticals Method for extraction of proanthocyanidins from plant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68851A2 (es) 2009-12-09
US7037536B2 (en) 2006-05-02
EP1262543B1 (en) 2012-10-24
AU2001241078B2 (en) 2006-02-09
JP5354833B2 (ja) 2013-11-27
ES2393667T3 (es) 2012-12-27
BRPI0108957B1 (pt) 2016-05-17
BR0108957A (pt) 2002-12-24
MXPA02008819A (es) 2003-02-12
CA2402893C (en) 2011-01-18
US20030124208A1 (en) 2003-07-03
AR027636A1 (es) 2003-04-02
TWI261497B (en) 2006-09-11
EP1262543A1 (en) 2002-12-04
CN1264978C (zh) 2006-07-19
CA2402893A1 (en) 2002-09-10
AU4107801A (en) 2001-09-17
WO2001066714A1 (fr) 2001-09-13
EP1262543A4 (en) 2008-12-31
CN1416464A (zh) 200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86503A (ko) α-아미라제 활성저해제
White et al. Proximate and polyphenolic characterization of cranberry pomace
Goulas et al. Dynamic changes in targeted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potency of carob fruit (Ceratonia siliqua L.) products during in vitro digestion
Orqueda et al. Chem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skin, pulp and seed powder from the Argentine native fruit mistol (Ziziphus mistol). Effects of phenolic fractions on key enzymes involved in metabolic syndrome and oxidative stress
Orhan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chemical profile, antioxidant, in-vitro and in-vivo antidiabetic activities of Juniperus foetidissima Willd. and Juniperus sabina L.
Khacheba et al.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s of eighteen plant traditionally used in Algeria for diabetes
Bristy et al. Evaluation of total phenolic content, HPLC analysis,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three local varieties of mushroom: A comparative study
Ighodaro et al. FT-IR analysis of Sapium ellipticum (Hochst) pax ethanol leaf extract and its inhibitory effects on pancreatic α-amylase and intestinal α-glucosidase activities in vitro
Asam Raza et al. Radical scavenging, proteases activities, and phenolics composition of bark extracts from 21 medicinal plants
KR20190059536A (ko) 활성형 진노세사이드 함유 아로니아 음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67492B1 (ko) 폴리페놀산화효소를 이용한 갈산 반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 또는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 조성물
KR20150009164A (ko) 쑥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JP3819413B1 (ja) 苦味または渋味を有する食品原料を含有する食品
Hashim et al. Antioxidant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constituents from Hornstedtia species of Malaysia
US10293013B2 (en) Water soluble Psidium guajava leaf extract having standardized phytochemicals
Kukavica et al. Comparative polyphenolic profiling of five ethnomedicinal plants and their applicative potential in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Ramadas et al. Anti-glyca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Abutilon indicum plant leaves
Yue et al. Biflavonoids and oligomeric flavonoids from food
Nikolova et al. Alpha-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different extracts from Lycium barbarum L.
조영제 Characterization of α-and β-glucosidase inhibitors from jujube leaf and their applications to foods
Onuh et al. Introduction to Food Bioactive Phytochemicals
KR20100063673A (ko) 올리브잎, 연꽃씨, 연잎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기능성 식품 조성물
Hasbullah et al.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ctivity of mace from Myristica Fragrans houtt
KR20070104723A (ko) 생리활성을 가지는 당유자 유래 네오헤스페리딘을 포함하는플라보노이드 분획조성물
Bristy et al. Research Article Evaluation of Total Phenolic Content, HPLC Analysis,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Three Local Varieties of Mushroom: A Comparative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