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3933A -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방법 및 조정지그 - Google Patents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방법 및 조정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3933A
KR20020083933A KR1020020022784A KR20020022784A KR20020083933A KR 20020083933 A KR20020083933 A KR 20020083933A KR 1020020022784 A KR1020020022784 A KR 1020020022784A KR 20020022784 A KR20020022784 A KR 20020022784A KR 20020083933 A KR20020083933 A KR 20020083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ushion
type
adjusting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2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4829B1 (ko
Inventor
오카다도모유키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3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8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 A41H37/04Setting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 A41H37/10Setting butt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764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with testing or indicating
    • Y10T29/49771Quantitative measuring or gauging
    • Y10T29/49776Pressure, force, or weight determ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764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with testing or indicating
    • Y10T29/49778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with testing or indicating with aligning, guiding, or instruction
    • Y10T29/4978Assisting assembly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33Punching, piercing or reaming part by surface of second part
    • Y10T29/49835Punching, piercing or reaming part by surface of second part with sha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95Associating parts by use of aligning means [e.g., use of a drift pin or a "fix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95Associating parts by use of aligning means [e.g., use of a drift pin or a "fixture"]
    • Y10T29/49897Registering mating opposed tool parts [e.g., registering a punch and a cooperating di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039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control means energized in response to activator stimulated by condition sensor
    • Y10T29/53061Responsive to work or work-related machine element
    • Y10T29/53065Responsive to work or work-related machine element with means to fasten by deformation
    • Y10T29/5307Self-piercing work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43Means to drive self-piercing work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909Means comprising hand manipulatable tool
    • Y10T29/53913Aligner or cen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Abstract

버튼 부착장치의 상부 및 하부홀더(21, 31)에 각각 상하의 형(型)을 대신하여 지그(52 내지 57)를 세팅한다. 우선, 상하의 스프링(211, 317)을 무효화한 상태에서 상부 및 하부홀더(21, 31)의 상대위치를 조정하고, 이어서 상부스프링(211)을 무효환 상태로 가압력이 강한 하부스프링(317)을 유효화하여 당해 스프링의 조정을 실행한 후, 상부스프링(211)을 유효하게 하여 당해 스프링의 조정을 실행한다.

Description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방법 및 조정지그{ADJUSTING METHOD AND ADJUSTING JIG OF BUTTON ATTAC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옷감에 버튼을 부착하는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장법 및 이에 사용되는 조정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본 실용공개 평3-1447호에는 직물 등의 옷감에 스냅과 같은 버튼류를 부착하기 위한 조작을 자동화한 버튼 부착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버튼 부착장치에서는 옷감을 협지하기 위해 배치되는 한쌍의 금형(제1금형과 제2금형)에 각각 한쌍의 버튼부품(버튼부재 및 정지부재)의 한쪽 및 다른쪽을 장착하고, 이들 금형을 압접하므로써 상기 버튼부재 및 정지부재가 옷감을 협지하여 코오킹가공되어 서로 결합되고, 이에 의해 옷감에 대한 버튼부착이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버튼 부착장치에서는 각각의 금형을 착탈가능한 한쌍의 버튼을 설치하고, 부착을 실행하는 버튼에 대응하여 금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각 홀더의 한쪽 또는 양쪽에는 구동기구를 설치하고, 금형의 한쪽 또는 양쪽을 서로 근접이격시키는 방향(진퇴축선)을 따라 진퇴시키고, 이에 의해 각각의 금형을 압접 또는 이격시켜 코오킹가공에 의한 버튼부착을 실행하고 있다.
여기서, 홀더 또는 구동기구의 일부에는 스프링 등을 이용한 쿠션구조가 설치되고, 어느 정도의 범위내에서 옷감의 두께변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옷감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도 예를 들어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금형이 압입되기 때문에, 양 금형사이에 과대한 압접력이 발생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쿠션기구는 금형의 어느 한쪽에 설치되는 경우가 있지만, 양쪽에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한쪽 경우에는 진퇴구동되는 홀더 또는 고정홀더내에 조립설치되는 경우, 홀더를 구동기구에 대해 쿠션지지되는 경우, 또는 구동기구의 일부에 쿠션기구를 배치하는 경우 등등 여러가지 형태가 적절히 채용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홀더 부착장치에 장착되는 버튼류로서는 돌기형 부분을 코오킹하는 경우 등등, 금형의 압접력은 비교적 작아도 된다. 그러나, 리벳바아식 이나 아일렛 방식을 코오킹하는 경우에는 비교적 큰 압접력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강한 코오킹력 및 약한 코오킹력에 폭넓게 대응하기 위해 한쪽 금형의 지지에 약한 스프링을 이용하고, 다른쪽 금형의 지지에 강한 스프링을 이용해도 된다.
도4에는 이와 같은 강약 2종의 스프링을 이용한 버튼 부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버튼 부착장치(10)는 금속제의 거의 상자형 프레임(11)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11)은 정면에 오목형의 가공부분(1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가공부분(12)의 상측에는 상형(20)(제1형)을 지지하는 상부홀더(21)(제1홀더)가 배치되고, 하측에는 하형(20)(제2형)을 지지하는 하부홀더(31)(제2홀더)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하부홀더(31)는 프레임(11)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부홀더(21)는 프레임(11)에 내장된 구동기구(40)에 의해 상하로 소정의 스트로크만큼 진퇴구동된다. 구동기구(40)는 모터(41)를 구동원으로 하고, 아암(42), 로드(43), 크랭크(44) 및 로드(45)를 거쳐 링크기구(46)를 요동시키고, 이러한 요동에 의해 상부홀더(21)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버튼 부착장치(10)에 있어서, 상부홀더(21)와 하부홀더(31)는 구동기구(40)의 작동에 의해 서로 근접이격되고, 이들 각각이 지지하는 상형(20) 및 하형(30)의 근접이격에 의해 각각 지지된 버튼부재 및 정지부재를 코오킹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버튼 부착장치(10)에 있어서는 상부홀더(21) 및 이를 진퇴시키는 구동기구(40)가 제1측부분으로 되고, 프레임(11)에 고정가능하게 설치된 하부홀더(31)가 제2측부분으로 된다. 여기서, 제1측부분에 포함되는 상부홀더(21)에는 상부쿠션기구(22)(제1쿠션 및 제1쿠션조정기)가 설치되고, 제2측부분인 하부홀더에는 하부쿠션기구(32)(제2쿠션 및 제2쿠션조정기)가 설치된다.
도5에는 상부홀더(21)가 도시되어 있다.
홀더(21)는 통형상의 케이스(210)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210)의 도면 중간하단측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되는 공동내에는 접시스프링(211)(제1쿠션)이 수용되고, 상기 접시스프링(211)의 자유단측에는 단부부재(212)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210)의 공동의 개구부분 근방에는 슬리브(213)가 수용되고, 이러한 슬리브(213)에는 상형(20)이 장착되어 정지스프링(214)으로 정지가 이루어진다. 슬리브(213)는 조정볼트(215)를 거쳐 단부부재(212)에 당접되고, 접시스프링(211)에 의해 도면의 중간하방으로 가압력을 받는다. 슬리브(213)는 케이스(210)의 측면 개구(216)로 돌출되는 계지부재(217)에 의해 일정위치에서 도면의 중간하방을 향한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슬리브(213)는 도면에서 중간하방을 향하는 힘을 받은 때에는 접시스프링(211)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정볼트(215)를 회전시켜 슬리브(213)로부터의 돌출량을 변화시키므로써 접시스프링(211)의 초기하중을 증감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접시스프링(211)으로부터 슬리브(213)로의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제1쿠션조정기).
도6에는 하부홀더(31)가 도시되어 있다.
하부홀더(31)는 통 형상의 케이스(310)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310)는 외주에 형성된 암나사에 너트(313)를 나선결합시키므로써 프레임(11)의 일부와 그 이면측을 따라 기판(312)을 일체로 체결하여 고정하고 있다. 상기 기판(312)에는 복수의 타이로드(314)가 연결되고, 그 다른쪽 단부에는 수납판(315)이 삽입되는 동시에, 조정너트(316)가 나선결합되어 있다. 수납판(315)과 케이스(310)의 사이에는 케이스(310)와 동축으로 코일스프링(317)(제2쿠션)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에는 동축으로 이중 지지로드(310) 및 슬리브(302)가 배치된다. 슬리브(302)의 중간에는 플랜지부(303)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303)는 코일스프링(317)의 도면중앙에서 상향의 가압력에 의해 너트(313)에 가압되는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슬리브(302)는 도면중앙 하단이 수납판(315)의 중앙개구내까지 연장된다. 슬리브(302)의 선단에는 내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숫나사에는 조정볼트(305)가 나선결합된다. 조정볼트(305)에는 선회정지용의 로크너트(304)가 나선결합되어 있다. 조정볼트(305)의 도면중앙 상단은 지지로드(301)의 도면중앙 하단에 당접되어 있다. 케이스(310)의 도면중앙 상단에는 하형(30)이 장착된다. 상기 하형(30)은 케이스(310)의 측면으로부터 나선결합된 매립나사(311)로 선회정지되어 있지만, 케이스(310)에 대해 도면중앙 상하로 이동가능하다. 하형(30)의 단부는 지지로드(301)에 당접하여 하중을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로크너트(304)를 완화시켜, 슬리브(302)에 대해 조정볼트(305)를 회전시키므로써, 지지로드(301)가 슬리브(302) 내지 프레임(11)에 대해 승강하고,하형(30)을 상형(20)에 대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형위치 조정기).
상기 하형(30)으로부터 도면하방의 힘이 가해진 경우, 이러한 하중은 지지로드(301), 조정볼트(305), 너트(304)를 거쳐 슬리브(302)에 전달되고, 코일스프링(317)을 압축하고, 하중이 소정값 이상이면 하형(30) 내지 슬리브(302)가 도면중앙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조정너트(316)를 회전시켜 수납판(315)의 위치를 조정하므로써, 코일스프링(317)의 초기하중을 증감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코일스프링(317)으로부터 슬리브(302)에 적용되는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제2쿠션조정기).
또한, 하형(30)의 주위에는 약한 코일스프링(309)을 이용한 안내부(308)가 장착되고, 옷감에 접촉될 때까지의 사이에 버튼부재 등이 탈락하는 것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버튼 부착장치(10)에서는 통상적으로는 상측의 접시스프링(211)으로서 가압력이 비교적 약한 것을 이용하고, 하측의 코일스프링(317)으로서 가압력이 비교적 강한 것을 이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측의 접시스프링(211)의 약한 가압력은 약한 코오킹력으로 충분한 버튼에 대응시켜두고, 하측의 코일스프링(317)의 강한 가압력은 강한 코오킹역이 필요한 버튼에 대응시킨다. 이에 의해 동일한 버튼 부착장치(10)를 이용하여 강한 코오킹력이 필요한 경우에도, 약한 코오킹력으로 충분한 경우에도, 함께 적절한 옷감마다의 두께의 상이함에 대응하여 접시스프링(211) 또는 코일스프링(317)이 변위되고, 각각의 옷감에 대응한 적절한 버튼부착이 실현된다.
예를 들어, 약한 코오킹력으로 충분한 버튼부착을 실행하는 경우, 상형(20) 및 하형(30)에 각각 버튼부재 등을 지지시킨 후, 상형(20) 및 하형(30)을 근접시켜 도중에 배치된 옷감을 협지한다. 이때, 하부홀더(31)에 대해서는 코오킹력이 약하기 때문에 가압력이 강하게 설정된 코일스프링(317)은 압축되지 않는다. 한편, 상부홀더(21)에서는 가압력을 약하게 설정된 접시스프링(211)이 적절히 압축되고, 옷감에 대응한 변위를 실행하여 적절한 버튼부착이 실행된다.
또한 약한 코오킹력이 필요한 버튼 부착을 실행하는 경우, 상형(20) 및 하형(30)에 각각 버튼부재 등을 지지한 후, 상형(20) 및 하형(30)을 근접시켜 도중에 배치된 옷감을 협지한다. 이때, 상부홀더(21)에서는 상형(20)으로서 직경이 큰 것을 이용하므로써(도5의 쇄선), 외주(20A)가 슬리브(213)가 아닌 케이스(210)에 당접하게 되고, 가압력이 약한 코일스프링(317)에 압축이 미치지 않도록 하여 강한 코오킹력을 허용하고 있다. 이에 의해, 하부홀더(31)에서는 가압력이 강하게 설정된 코일스프링(317)이 적절히 압축되고, 옷감에 대응한 변위를 실행하여 적절한 버튼부착이 실행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버튼 부착장치(10)에서 적절한 버튼부착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상부홀더(21) 및 하부홀더(31)에서 접시 스프링(211) 및 코일 스프링(317)의 가압력을 적절한 값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술의 쿠션기구에 의해 옷감의 두께변동에는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것과, 적절한 코오킹력은 버튼부재 및 정지부재를 소성변형시키기 위한 하중이나 프레임 등의 강성에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버튼의 종류에 의해서는 스냅버튼등 코오킹력이 약 1000 내지 8000N에 미치기 때문에, 버튼부착시에 스프링의 굴곡만이 아니라 프레임 등의 굴곡까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버튼 부착장치에서는 적어도 설치단계 등의 초기에 있어서, 버튼 부착장치 마다 또한 가공하는 버튼부재 마다 설정을 조정해야만 한다.
현재, 적절한 버튼을 위해서는 1)상형 및 하형의 최근접상태의 상대위치(진퇴구동되는 크랭크기구의 하사점 위치 등)의 조정, 2)옷감 대응의 쿠션기구의 조정[조정볼트(215)에 의한 접시 스프링(211)의 초기 하중조정, 조정너트(316)에 의한 코일 스프링(317)의 초기 하중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종래, 이러한 조정은 실제로 버튼부재 및 정지부재를 형(型)에 장착한 상태로 반복하여 버튼 부착동작을 실행하고, 마무리상태를 검사하면서 실행된다.
그러나, 상술한 형 위치의 조정 및 각각의 초기 하중조정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조정에 관하여 설정 내지 마무리상태의 검사를 반복할 필요가 있다. 특히, 각각의 검사에는 버튼부재 및 정지부재를 형에 장착하여 버튼부착을 실제로 실행하기 때문에 전체로서 규모가 큰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쿠션기구의 조정에는 옷감의 표준두께만을 양호한 정밀도로 관리할 필요가 있었으며, 취급이 번잡했었다. 또한, 쿠션기구의 스프링정수 및 프레임 등의 기계부분의 강성 등에도 차이가 크기 때문에, 표준값 등을 설정하기가 어려우며, 조정에는 시간이 걸리며, 또한 숙련을 요하는 것 이외에, 적절한 조정을 확실하게 얻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버튼 부착장치에 필요한 조정을 용이하고 신속하게실행할 수 있는 조정방법 및 조정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한쌍의 버튼부품의 한쪽을 장착할 수 있으며 소정의 진퇴축선상에 배치되는 제1형과, 상기 한쌍의 버튼부품의 다른 쪽을 장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형에 대향하여 상기 진퇴축선상에 배치되는 제2형과, 상기 제1형을 착탈가능하게 그리고 상기 진퇴축선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홀더를 포함하는 제1측부분과, 상기 제2형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홀더를 포함하는 제2측부분과, 상기 제1측부분 또는 제2측부분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제1홀더 및 제2홀더를 소정의 진퇴축선을 따라 서로 근접이격시키는 구동기구와, 상기 제1측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1형을 제2형을 향하여 가압하는 제1쿠션과, 상기 제1쿠션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제1쿠션조정기를 포함하는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에 힘게이지가 장착된 제1조정지그와 제2조정지그를 포함하며, 조정시 먼저 상기 제1홀더 및 제2홀더에는 상기 제1형 및 제2형을 대신하여 상기 제1조정지그 및 제2조정지그를 세팅하는 작업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1쿠션을 무효화한 상태에서 제1홀더 및 제2홀더를 최근접시켜 상기 제1조정지그 및 제2조정지그를 서로 압접하고, 그후 상기 게이지에 의해 측정된 힘이 조정값으로 되도록 상기 제1홀더 및 제2홀더의 상대위치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쿠션을 유효화한 상태에서 상기 제1홀더 및 제2홀더를 최근접시켜 상기 제1조정지그 및 제2조정지그를 서로 압접하고, 그후 상기 게이지에 의해 측정된 힘이 소정값으로 되도록 상기 제1쿠션조정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쌍의 버튼부품의 한쪽을 장착할 수 있으며 소정의 진퇴축선상에 배치되는 제1형과, 상기 한쌍의 버튼부품의 다른 쪽을 장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형에 대향하여 상기 진퇴축선상에 배치되는 제2형과, 상기 제1형을 착탈가능하게 그리고 상기 진퇴축선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홀더를 포함하는 제1측부분과, 상기 제2형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홀더를 포함하는 제2측부분과, 상기 제1측부분 또는 제2측부분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제1홀더 및 제2홀더를 소정의 진퇴축선을 따라 서로 근접이격시키는 구동기구와, 상기 제1측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1형을 제2형을 향하여 가압하는 제1쿠션과, 상기 제1쿠션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제1쿠션조정기와, 상기 제1쿠션에 의해 강하게 또한 상기 제2측분에 설치되어 제2형을 제1형을 향해 가압하는 제2쿠션과, 상기 제2쿠션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제2쿠션조정기를 포함하는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에 힘게이지가 장착된 제1조정지그와 제2조정지그를 포함하며, 조정시 먼저 상기 제1홀더 및 제2홀더에는 제1형 및 제2형을 대신하여 상기 제1조정지그 및 제2조정지그를 세팅하는 단계와,
상기 제1쿠션 및 제2쿠션을 함께 무효화한 상태에서 제1홀더 및 제2홀더를 최근접시켜 제1조정지그 및 제2조정지그를 서로 압접시키고, 그후 상기 힘게이지에 의해 측정된 힘이 소정값으로 되도록 상기 제1홀더 및 제2홀더의 상대위치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쿠션을 유효화하고 그리고 제1쿠션을 무효화한 상태에서 상기 제1홀더 및 제2홀더를 최근접시켜 상기 제1조정지그 및 제2조정지그를 서로 압접시키고, 그후 상기 게이지에 의해 측정된 힘이 소정값으로 되도록 상기 제2쿠션조정기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쿠션 및 제2쿠션을 함께 유효화한 상태에서 상기 제1홀더 및 제2홀더를 최근접시켜 상기 제1조정지그 및 제2조정지그를 서로 압접시키고, 그후 상기 게이지에 의해 측정된 힘이 소정값으로 되도록 상기 제1쿠션조정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홀더 및 제2홀더 사이에 작용하는 힘의 측정에 의해 상기 제1홀더 및 제2홀더의 상대위치의 조정, 제1쿠션의 조정, 제2쿠션의 조정까지를 실행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반복실행에 기초하여 조정을 실행한 경우에 비해 확실성 및 신속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제1쿠션 및 제2쿠션이 있는 경우, 종래는 번잡성이 현저히 증가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게이지를 사용하고, 동일한 조작으로 조정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정방법에 있어서, 진퇴축선은 상술한 종래예와 같은 상하방향에 한정되지 않으며, 좌우 등의 수평방향 이어도 무방하다. 구동기구는 제1형 및 제2형을 최근접시킬 수 있다면 좋고, 상술한 종래예와 같은 제1형 및 제2형의 어느쪽을 구동하는 등, 제1형 및 제2형의 양쪽을 구동해도 좋다. 제1측부분의 제1홀더는 상기 구동기구로 구동되어도 좋고, 프레임에 고정가능하게 설치되어도 좋다. 제2측부분의 제2홀더는 상기 구동기구로 구동되는 것이어도 좋고, 프레임에고정가능하게 설치되어도 좋다.
제1쿠션은 제1측부분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측부분의 제1홀더내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며, 제1홀더가 진퇴구동되는 경우에는 구동기구내에 설치되어도 좋고, 제1홀더가 진퇴구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1홀더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제2쿠션은 제2측부분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2홀더내에 설치되어도 좋고, 제2홀더가 진퇴구동되는 경우에는 구동기구내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며, 제2홀더가 진퇴구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2홀더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쿠션 및 제2쿠션 모두를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한쪽에만 쿠션을 갖는 것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힘게이지에 의한 힘의 측정은 기존의 신호처리회로 등을 이용하여 적절히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쿠션 또는 제2쿠션을 무효화시키면, 이들 제1쿠션 또는 제1쿠션의 가압력(탄성적인 반발력)이 발생되지 않는 상태로 되고, 구체적으로는 제1쿠션 또는 제2쿠션으로 결합된 부분끼리를 고정화하여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볼트 등을 모두 체결하는 등의 조작에 의해 제1쿠션 또는 제2쿠션을 압축한계까지 변형시키면, 더 이상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고 고정화되며, 이에 의해 쿠션의 무효화가 실현된다. 또는 별도로 연결부재 등을 설치하고 제1쿠션 또는 제2쿠션으로 결합된 부분끼리를 연결하므로써, 제1쿠션 또는 제2쿠션의 고정화에 의한 무효화를 실행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조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쿠션 또는 제2쿠션의 가압력을 무효화하기 위해 상기 제1조정지그로서 제1홀더와 당접하여 상기 진퇴축선 방향으로 이동규제되는 조정지그 또는 상기 제2조정지그로서 제2홀더와 당접하여 상기 진퇴축선 방향으로 이동규제되는 조정지를 이용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제1형 또는 제2형에 의해 대직경의 조정지그를 이용하여 제1홀더 또는 제2홀더의 케이스 등의 고정적인 부분과 당접하도록 구성하면, 진퇴축선 방향으로 이동규제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용 지그가 필요하지만, 한계까지의 스프링 체결조작 등이 필요없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로 신속한 조작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정지그 또는 제2조정지그의 어느 쪽이라도, 일부에 얇은 부분을 가지며 또한 이러한 얇은 부분에 스트레인 게이지 또는 압전게이지가 부착된 조정지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얇은 부분에 의해, 제1홀더 및 제2홀더 사이에 발생되는 힘에 의한 왜곡을 현저화시키고, 스트레인 게이지 또는 압전 게이지 등의 센서로 확실하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및 제2쿠션으로서는 코일스프링이나 접시스프링, 판스프링 등의 기계식 스프링이 이용되는 동시에, 에어실린더, 유압실린더, 에어댐퍼, 유압댐퍼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단, 구조의 간략화나 조정의 용이성, 내구성 등을 고려하면 기계식 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한쌍의 버튼부품의 한쪽을 장착가능하고 소정의 진퇴축선상에 배치되는 제1형과, 상기 한쌍의 버튼부품의 다른 쪽을 장착가능하고 상기 제1형에 대향하여 상기 진퇴가능축선상에 배치되는 제2형과, 상기 제1형의 착탈가능하고 상기 진퇴축선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홀더를 포함하는 제1측부분과, 상기 제2형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홀더를 포함하는 제2측부분과, 상기 제1측부분 또는 제2측부분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제1홀더 및 제2홀더를 소정의 진퇴축선을 따라 서로 근접이격시키는 구동기구와, 상기 제1측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1형을 제2형을 향해 가압하는 제1쿠션과, 상기 제1쿠션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제1쿠션조정기를 포함하는 버튼 부착장치를 조정할 때 사용되는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지그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와 제2홀더와의 상대위치를 조정하는데 필요한 위치조정 두께(TO)와, 상기 제1쿠션의 가압력 조정에 필요한 제1조정두께(T1)가 선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한쌍의 버튼부품의 한쪽을 장착가능하고 소정의 진퇴축선상에 배치되는 제1형과, 상기 한쌍의 버튼부품의 다른 쪽을 장착가능하고 상기 제1형에 대향하여 상기 진퇴축선상에 배치되는 제2형과, 상기 제1형을 착탈가능하고 상기 진퇴축선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홀더를 포함하는 제1측부분과, 상기 제2형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홀더를 포함하는 제2측부분과, 상기 제1측부분 또는 제2측부분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제1홀더 및 제2홀더를 소정의 진퇴축선을 따라 서로 근접이격시키는 구동기구와, 상기 제1측부분에 설치되어 제1형을 제2형을 향해 가압하는 제1쿠션과, 상기 제1쿠션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제1쿠션조정기와, 상기 제1쿠션에 의해 강하게 그리고 상기 제2측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2형을 제1형을 향해 가압하는 제2쿠션과, 상기 제2쿠션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제2쿠션조정기를 포함하는 버튼 부착장치를 조정할 때 사용되는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지그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와 제2홀더의 상대위치를 조정하는데 필요한 위치조정두께(T0)와, 상기 제1쿠션의 가압력조정에 필요한 제1조정두께(T1)와, 상기 제2쿠션의 가압력 조정에 필요한 제2조정두께(T2)가 선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지그로서는 각각의 소정두께의 블럭을 갖는 복수의 지그로서 서로 교환하여 장착해도 좋고, 복수의 블럭을 적층하여 각각의 소정두께를 실현하는 듯한 조립식 지그 등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지그를 이용하므로써, 제1홀더와 제2홀더의 위치조정 및 제1쿠션의 조정 또는 제2쿠션의 조정을 포함한 상술의 조정방법을 확실하고 신속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정지그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 또는 제2홀더에 장착가능한 축부분과 상기 축부분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기본부재와, 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축부분을 삽입가능하게 또한 상기 플랜지부와 적층가능한 추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에만 또는 상기 플랜지부와 임의의 추가부재를 적층하므로써 상기 위치조정두께(T0) 및 제1조정두께(T1)를 형성가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정지그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 또는 제2홀더에 장착가능한 축부분과 이러한 축부분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갖는 기본부재와, 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축부분을 삽입가능하게 또한 상기 플랜지부와 적층가능한 추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에만 또는 상기 플랜지부와 임의의 추가부재를 적층하므로써 상기 위치조정두께(T0), 제1조정두께(T1) 및 제2조정두께(T2)를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링형의 추가부재와의 조립식 지그로 하므로써 착탈의 용이성 및 조립시의 안정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실용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정지그에 있어서, 상기 추가부재중 어느 한쪽 추가부재라도 상기 제1쿠션 또는 제2쿠션을 무효화하기 위해 상기 제1홀더 또는 제2홀더와 당접하여 상기 진퇴가능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으며, 추가부재의 다른 추가부재는 상기 제1쿠션 또는 제2쿠션의 가압력을 유효화하기 위하여 상기 제1홀더 또는 제2홀더와 간섭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정지그의 교환가능한 추가부재를 이용하여, 상술의 조정방법에 대한 어떠한 쿠션이라도 무효화를 실현할 수 있으며, 상술의 조정방법의 조작을 더욱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정지그를 도시한 사시도.
도2a 및 도2b는 상기 실시예의 핀치다이를 도시한 측면도.
도3a 내지 도3c는 조정작업의 각각의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버튼 부착장치의 구동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버튼 부착장치의 상부홀더 주변을 도시한 단면도.
도6은 버튼 부착장치의 하부홀더 주변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버튼 부착장치50: 조정지그
51: 다이세트52: 핀치다이
53: 데이터로거55: A와셔
56: B와셔57: C와셔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조정방법 및 조정지그를 이용하여 상술한 버튼 부착장치(10)(도4, 도5, 도6)의 초기조정을 실행하고 있다.
여기서, 버튼 부착장치(10)에 관해서는 앞서 설명하였기 때문에 중복설명은생략하기로 하며, 하기에는 본 발명의 조정지그 및 이를 이용한 본 발명의 조정방법의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1에는 조정지그(5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조정지그(50)는 제1조정지그로서 이용되는 상부 다이세트(51)와, 제2조정지그로서 이용되는 핀치다이(52)와, 상기 핀치다이(52)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는 데이터로거(data logger)(53)를 포함하고 있다.
도1에 있어서, 상부 다이세트(51)는 기본부재인 1개의 상부다이(54)와, 추가부재인 3개의 와셔[A와셔(55), B와셔(56), C와셔(57)]로 구성되어 있다.
도3a 내지 도3c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다이(54)는 원주형의 축부분(541)과 그 일단에 형성된 원반형의 플랜지부(542)를 포함한다. 상기 축부분(541)은 상형(20)의 피지지부분과 함께 형성되고, 상부홀더(21)로 지지될 수 있다. 플랜지부(542)는 두께(TS)로 외경(DA)의 원반형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외경(DA)은 상부홀더(21)의 슬리브(213)의 외경(DR) 보다 크다.
A와셔(55)는 링형으로 형성되고 두께(TA)를 가지며, 또한 상부다이(54)와 거의 동일한 외경(DA)를 갖는다. 이러한 A와셔(55)는 상부다이(54)의 축부분(541)에 삽입되므로써 플랜지부(542)와 적층되고, 외경(DA)으로 두께(T0)(TO = TS + TA)의 원주형 블럭을 형성할 수 있다.
B와셔(56)는 링형으로 형성되고 두께(TB)(TB > TA)를 가지며, 또한 상부다이(54)와 거의 동일한 외경(DA)을 갖는다. 상기 B와셔(56)는 상부다이(54)의 축부분(541)에 삽입되므로써 플랜지부(542)와 적층되고, 외경(DA)으로 두께(T1)(T1 =TS + TB)의 원주형 블럭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A와셔(55)와 B와셔(56)의 두께의 편차는 S1 = T1 - T0 = TB -TA 이다. 또한, TB > TA 의 설정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형 위치조정시에 제2쿠션인 코일스프링(317)을 한계점 근처까지 체결하여 무효화한 후에 코일스프링(317)을 유효화하여 그 조절을 실행한다. 유효화한 후의 코일스프링(317)은 무효화 상태 보다 길게 된다. 조정에 있어서는 길게 된 코일스프링(317)을 어느 정도 압축하기 때문에, A와셔(55)의 두께(TA) 보다 두꺼운 두께(TB)의 B와셔(56)를 이용한다. 따라서, B와셔(56)를 A와셔(55) 보다 두껍게 하는 정도[S1(=TB - TA)]는 코일스프링(317)의 특성(무부하 길이, 스프링정수 등)에 대응하여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와셔(57)는 링형으로 형성되고 전체 두께(TC)(TC > TA)를 가지며, 상부다이(54)와 거의 동일한 외경(DA)을 갖는다. 여기서, C와셔(57)는 한쪽에 단차(段 差)가 형성되고, 그 외측의 플랜지부(571)와 내측의 코어부(572)에 직경방향으로 구획되어 있다. 플랜지부(571)는 두께(TC')를 가지며, 코어부(572)는 두께(TC)를 갖는다. 따라서, 코어부(572)는 플랜지부(571)로부터 단차분(S2 = TC - TC') 만큼 돌출되어 있다. 상기 C와셔(57)는 상부다이(54)의 축부분(541)에 삽입되므로써, 플랜지부(542)와 적층되고, 외경(DA)으로 두께(T2)(T2 = TS + TC)의 원주형 블럭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C와셔(57)의 외경(DA, DC)을 상부홀더(21)의 슬리브(213)의 외경(DR)과 비교하면, 플랜지부(571)의 외경 DA > 슬리브(213)의 외경(DR) >코어부(572)의 외경(DC)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C와셔(57)가 상부다이(54)와 함께 상부홀더(21)에 세팅된 경우, 코어부(572)는 슬리브(213)에만 당접하고, 그 외측의 케이스(210)와 당접하지 않는다. 한편, 플랜지부(571)는 케이스(210)와 당접한다. 따라서, C와셔(57)는 케이스(210)에 대해 슬리브(213)를 단차부(S2)까지 압입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다이(54) 및 각각의 와셔(55 내지 57)는 그 어떠한 와셔라도 강(鋼) 등이 금속재료의 절삭가공에 의해 적절히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정에 이용되는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얻을 수 있다면, 합성수지 재료로 제조해도 무방하다.
도1에 있어서, 핀치다이(52)는 원주형의 축부분(521)과 그 일단에 형성된 원반형의 플랜지부(522)를 가지며, 이러한 플랜지부(522)의 축부분(521)과 반대측에는 원통형의 커버(523)로 덮인 블럭부(524)가 형성되어 있다.
도3a 내지 도3c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부분(521)은 하형(30)의 피지지부분과 함께 형성되며, 하부홀더(31)로 지지될 수 있다. 플랜지부(522)는 소정두께의 원반형으로 구성되고, 예를 들어 상술의 상부다이(54)와 동일한 외경(DA)을 갖는다.
도2a 내지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부(524)는 플랜지부(522)에 연속한 기부블럭(525)과, 상기 플랜지부(522)와 반대측의 선단블럭(526)과, 이들 사이에 형성된 중간 블럭(527)으로 구획되어 있다. 기부블럭(525)은 플랜지부(522) 보다 약간 소직경의 원반형으로 형성되고, 선단블럭(526) 또한 거의 동일한 형상을 취하고 있다. 한편, 중간블럭(527)은 얇은 박판형(얇은 부분)에 형성되고, 당해 부분의 두께는 예를 들어 축부분(521)의 외경 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도2b참조).
중간블럭(527)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는 힘게이지(527)가 설치되어 있다. 힘게이지(528)로서는 기존의 스트레인 게이지나 압전게이지 기타 물체표면의 왜곡에 따라 당해부분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하중에 대응한 저항치나 전기신호 등의 물리량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블럭부(524) 및 힘게이지(528)에 의해, 기부블럭(525)과 선단블럭(526) 사이에 예를 들어 압축하중이 인가된 경우, 단면적을 작게 한 중간블럭(527)의 표면에는 하중에 따라 왜곡이 현저하게 나타나고, 이러한 왜곡을 힘게이지(528)로 확실하게 계측할 수 있다.
힘게이지(528)의 출력신호는 도1에 도시된 케이블(520)로 외부로 인출되고, 선단의 커넥터 등으로 데이터로거(53)에 접속된다.
이러한 힘게이지(528) 및 케이블(520)의 접속부분은 블럭부(524)의 외주를 덮는 원통형의 커버(523)내에 수납되어 파손 등으로부터 보호된다. 커버(523)는 블럭부(524)의 외주면에만 형성되고, 선단블럭(526)의 표면은 노출되며, 조정작업시에는 상부다이(54)와 직접 압접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블럭부(524)를 형성하는 이러한 각각의 블럭(527 내지 527)은 예를 들어 연속한 강 등의 금속재료로 형성된다. 제조에 있어서, 금속재료로 블럭부(524)에 대응한 원주형상을 절삭하고, 그 중간부를 양측으로부터 절삭하여 중간 블럭(527)을 형성하는 단계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블럭부(524)로부터 플랜지부(522) 및 축부분(521) 까지를 연속한 재료로 절삭해도 좋다. 본 발명의조정에 이용되는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얻을 수 있고, 또한 힘게이지에 의해 하중 계측이 가능하다면, 합성수지 재료 등을 이용하여 제조해도 좋다. 커버(523)는 경량이고 적절한 강도를 얻을 수 있으면 좋고, 통상적으로는 합성수지 시트제 등이면 충분하다.
도1에 있어서, 데이터로거(53)는 핀치다이(52)의 힘게이지(528)의 출력신호를 처리하고, 핀치다이(52)에 인가된 하중을 표시하며, 기록 내지 적절한 데이터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데이터로거(53)는 금속 또는 수지제의 직사각형 형상의 케이스(531)를 가지며, 그 한쪽 측면에 핀치다이(52)로부터의 케이블(520)이 접속되는 커넥터(도시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531)의 표면에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부(532)와, 방진성이 높은 멤브레인 스위치 등을 이용한 조작버튼(533)이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531)의 내부에는 입력된 신호를 적절히 처리하여 표시부(532)에 대응한 적절한 하중치의 연산이 가능하면 좋지만, 표시단위 등의 선택기능, 교정기능, 자기진단기능, 전원관리기능 등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정방법에 대응한 단계의 안내, 도중에서 주의해야 할 사항의 메시지 등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해도 좋다. 이와 같은 메시지 기능도 기존의 컴퓨터 기술에 기초하여 적절히 조립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조정지그(50)를 이용한 조정의 구체적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상부홀더(21)와 하부홀더(31)의 상대위치의 조정(형 위치조정)을 실행한다.
이러한 조정에 있어서, 버튼 부착장치(10)의 상부홀더 및 하부홀더(21, 31)를 이격시키고, 상부홀더(21)로부터 상형(20)을 제외하고 그 대신에 A와셔(55)를 조합한 상부다이(54)를 장착한다. 여기서, A와셔(55)는 상부홀더(21)의 케이스(210)에 당접하고, 슬리브(213)를 압입하지 않기 때문에, 상부홀더(21)의 접시스프링(211)은 무효화된다.
또한, 하부홀더(31)로부터 하형(30)을 제외하고, 그 대신에 핀치다이(52)를 장착한다. 핀치다이(52)의 케이블(520)은 데이타로거(53)에 접속해 둔다.
또한, 하부홀더(31)의 다이로드(314)에 나선결합되는 조정너트(316)를 체결하므로써, 수납판(315)을 이동시키고 코일스프링(317)이 변형한계까지 압축된다. 이에 의해, 핀치다이(52)에 상부다이(54)로부터 하중이 인가되어도 코일스프링(317)이 이러한 하중에 대응한 변형을 실행하지 않으며 즉, 코일스프링(317)이 무효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준비된 후에, 버튼 부착장치(10)에 충격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수조작 등으로 상부 및 하부홀더(21, 31)를 서서히 근접시켜, 상부다이(54)의 하면과 핀치다이(52)의 상면을 압접시킨다(도3a의 상태).
이 상태에서는 버튼 부착장치(10)에 의한 버튼 부착용의 하중이 서로 압접되는 상부다이(54)와 핀치다이(52) 사이에 작용한다. 이러한 하중은 데이터로거(53)의 표시로부터 판독할 수 있다.
그리고, 버튼 부착장치(10)의 작동상태를 상부홀더(21)와 하부홀더(31)가 최근접하는 상태[구동기구(40)의 하사점위치]로 하중값을 선택하고, 다시 이격시켜 통상의 정지상태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하중치가 소정값에 가깝게 되도록 구동기구(40)의 링크 조정 또는 조정볼트(3050에 의한 하형(20)의 높이 조정 등을 실행한다. 이러한 측정 및 조정을 몇차례 반복하고, 측정되는 하중이 소정값으로 되면, 상부홀더(21)와 하부홀더(31)의 상태위치가 적절히 설정되게 된다.
다음에 하부홀더(31)의 코일스프링(317)의 조정(제2쿠션조정)을 실행한다.
이러한 조정에 있어서, 버튼 부착장치(10)의 상부 및 하부홀더(21, 31)를 일단 이격시켜 상부홀더(21)로부터 A와셔(55)를 조합한 상부다이(54)를 제외하여 A와셔(55)를 B와셔(56)로 교환하고, 다시 상부홀더(21)에 장착한다. 여기서 B와셔(56) 또한 상부홀더(21)의 케이스(210)에 당접하고, 슬리브(213)를 압압하지 않기 때문에, 상부홀더(21)의 접시스프링(211)은 무효화된 상태로 있게 된다.
한편, 하부홀더(31)의 다이로드(314)에 나선결합되는 조정너트(316)를 이완시켜 코일스프링(317)을 해제하고, 핀치다이(52)에 상부다이(54)로부터 하중이 인가된 때에는 코일스프링(317)이 상기 하중에 대응한 변형을 실행하도록 유효화된다.
이러한 준비가 완료되었다면, 버튼 부착장치(10)의 상부 및 하부홀더(21, 31)를 근접시키고, 상부다이(54)의 하면과 핀치다이(52)의 상면을 압접시킨다(도3b의 상태).
이 상태에서는 버튼 부착장치(10)에 의한 버튼 부착용의 하중이 서로 압접하는 상부다이(54)와 핀치다이(52)의 사이에 작용한다. 이때, 코일스프링(317)은 유효화되기 때문에, 코일스프링(317)은 하부홀더(31)에 장착된 핀치다이(52)의 하중에 대응하여 변화된다. 이 상태에서의 하중값은 데이터로거(53)의 표시로부터 판독할 수 있다.
그리고, 버튼 부착장치(10)의 작동상태를 상부홀더(21)와 하부홀더(31)가 최근접하는 상태[구동기구(40)의 하사점위치]로 하중값을 선택하고, 다시 이격시켜 통상의 정지상태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하중치가 소정값에 가깝게 되도록 하부홀더(31)의 쿠션조정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정너트(316)를 회전시키고 수납판(315)을 상승시켜서 코일스프링(317)의 길이를 조정한다. 이러한 측정 및 조정을 몇차례 반복하고, 측정된 하중이 소정값으로 되면, 하부홀더(31)의 코일스프링(317)이 적절한 스프링힘으로 설정되게 된다.
이어서, 상부홀더(21)의 접시스프링(211)의 조정(제1쿠션조정)을 실행한다.
이러한 조정에 있어서는 버튼 부착장치(10)의 상부 및 하부홀더(21, 31)를 일단 이격시키고, 상부홀더(21)로부터 B와셔(56)를 조합한 상부다이(54)를 제외하여 B와셔(56)를 C와셔(57)로 교환하고, 다시 상부홀더(21)에 장착한다. 여기서, C와셔는 코어부(572)가 케이스(210)에 당접하지 않고 슬리브(213)를 압입하므로써, 상부홀더(572)의 접시스프링(211)이 유효화로 된다.
하부홀더(31)의 코일스프링(317)은 해제된 상태(유효화된 상태)로 된다. 이것은 상부홀더(21)의 접시스프링(211)에 대해 하부홀더(31)의 코일스프링(317)이 충분히 강하기 때문에, 접시스프링(211)의 조정에 필요한 정도의 약한 하중범위에 있으면 코일스프링(317)이 유효한 상태로 있어도 영향이 없다는 관점에 기초하고있다.
이러한 준비가 완료되었을 때, 버튼 부착장치(10)를 수조작 등으로 서서히 작동시켜 상부 및 하부홀더(21, 31)를 근접시키고, 상부다이(54)의 하면과 핀치다이(52)의 상면을 압접시킨다(도3c의 상태).
이 상태에서는 버튼 부착장치(10)에 의한 버튼 부착용의 하중이 서로 압접되는 상부다이(54)와 핀치다이(52) 사이에 작용한다. 이때, 접시스프링(211) 및 코일스프링(317)은 함께 유효화로 되어 있지만, 접시스프링(211)은 코일스프링(317)에 비해 약하기 때문에, 코오킹용의 하중이 있어도 코일스프링(317)은 수축되지 않고 한결같이 접시스프링(211)이 하중에 대응하여 변위된다. 이 상태에서의 하중값은 데이터로거(53)의 표시로부터 판독할 수 있다.
그리고 버튼 부착장치(10)의 작동상태를 상부홀더(21)와 하부홀더(31)가 최근접하는 상태[구동기구(40)의 하사점위치]에서 하중값을 채택하고, 다시 이격시켜 통상의 정지상태로 복귀한다. 그리고, 하중치가 소정값에 가깝게 되도록 상부홀더(21)의 쿠션조정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접시스프링(211)[단부부재(212)]와 슬리브(213) 사이의 조정볼트(215)를 조작하여 접시스프링(211)의 길이를 조정한다. 이러한 측정 및 조정을 몇차례 반복하고, 측정되는 하중이 소정값으로 되면, 상부홀더(21)의 접시스프링(211)이 적절한 스프링힘으로 설정된다.
이러한 조정이 완료되었다면, 버튼 부착장치(10)의 상부 및 하부홀더(21, 31)를 이격시켜 상부 및 하부홀더(21, 31)로부터 상부다이(54) 및 핀치다이(52)를제외하고, 다시 상형(20) 및 하형(30)을 장착한다. 이에 의해 적절히 조정된 버튼 부착장치(10)를 얻을 수 있으며, 버튼 부착작업이 공용화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조정방법에 기초하여, 데이터로거(53)에 표시되는 하중치를 보면서, 구동기구(40) 또는 상하 조정볼트(215, 305)를 조작하므로써, 상부 및 하부홀더(21, 31)의 상대위치 조정 내지 상하의 스프링힘 조정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설정하면 시험타격 등을 실행하는 등의 번잡함이 해소되는 동시에, 조정작업의 정확성 및 신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표시되는 하중이 소정값으로 되도록 조정하면 좋기 때문에, 숙련된 작업자에 한정되지 않고 누구라도 간단히 조정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조정시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정지그(50)를 이용하므로써, 상대위치 및 상하의 스프링힘 이라는 각각의 조정절환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특히, 기본부재인 1개의 상부다이(54)와, 추가부재인 3개의 와셔[A와셔(55), B와셔(56), C와셔(57)]로 구성되는 상부 다이세트(51)를 이용하므로써, 각각의 조정에 필요한 지그를 재빨리 절환할 수 있는 동시에, 상부다이(54)를 공용화할 수 있고, 재료의 삭감, 취급의 용이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A와셔(55), B와셔(56), C와셔(57)에서는 외경의 설정에 의해 상부홀더(21)의 접시스프링(211)의 무효, 유효의 절환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으며, 조작의 간략화에 효과가 있다.
한편, 핀치다이(520에 대해서는 얇은 부분으로서 박판의 중간블럭(527)을 형성하고 여기에 힘게이지(528)를 설치했기 때문에, 하중의 영향을 왜곡으로 하여 현저화할 수 있고, 핀치다이(52)에 인가된 하중을 확실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기와 같은 변형예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부 다이세트(51)는 기본부재인 상부다이(54)와 추가부재인 각각의 와셔(55 내지 57)를 조합한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의 상부다이(54)와 A와셔(55)를 조합한 상태[두께(T0)]의 기본다이로 하고, 이러한 기본다이에 추가와셔[두께(T1 -T2)]를 조합한 상기 실시예의 상부다이(54)와 B와셔(56)를 조합한 상태[두께(T1)]가 되도록 해도 좋다. 단, 상기 실시예와 같이 하므로써, 각 와셔의 두께를 어느 정도 크게 하고, 부품으로서의 강도를 확보하기에 적합하게 된다. 즉, 추가와셔가 너무 두껍게 되면 파손 등의 위험이 발생되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부 다이세트(51)로서는 조합식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한 두께를 갖는 복수의 다이를 준비해도 좋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의 상부다이(54)와 A와셔(55)를 조합한 상태의 A다이(두께 T0), 상부다이(54)와 B와셔(56)를 조합한 상태의 B다이(두께 T1), 상부다이(54)와 C와셔(57)를 조합한 상태의 C다이(두께 T2)의 3종류를 세트로 하여 순차적으로 바꾸어 이용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홀더(31)의 코일스프링(317)의 무효화에는 코일스프링(317)을 변형한계까지 압축하는 방식을 채용하였지만, 예를 들어 측방으로부터 정지나사를 체결하여 케이스(310)에 대해 지지로드(301) 또는 핀치다이(52)의 축부분(521)을 고정하는 방식도 좋고, 또는 핀치다이(52)에 B와셔(56) 등을 조립하여 축부분(521)과 지지로드(301)의 압접을 피하고, 이에 의해 코일스프링(317)을 무효화해도 좋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부홀더(21)의 접시스프링(211)의 무효화에 있어서도, 다른 방식을 채택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 조정대상인 버튼 부착장치는 상형측이 진퇴가능하게 구동되는 것이지만, 하형측이 진퇴가능한 것과, 또는 상하 모두 진퇴가능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부 및 하부홀더의 쿠션기구도 접시스프링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종류의 스프링 또는 기타 탄성부재를 이용한 쿠션 등이어도 무방하며; 또한 기계식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고, 공압 또는 유압을 이용한 실린더이어도 좋다. 또한 각각의 쿠션조정기의 구조 등도 임의로 할 수 있으며, 조정대상이 되는 쿠션의 형식 등에 대응하여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하 모두 쿠션기구이고, 상부 및 하부홀더의 상대위치 조정과, 하부쿠션 기구의 조정과, 상부 쿠션기구의 조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였지만, 상대위치 조정후에 상부쿠션 기구의 조정을 실행하고, 그후 하부 쿠션기구의 조정을 실행해도 좋다.
쿠션기구[접시스프링(211)]의 조정은 하부 쿠션기구[코일스프링(317)]이 유화화된 상태 또는 무효화된 상태 어느쪽이라도 스프링힘의 조정값에 거의 영향이 없다.
또한, 버튼 부착장치가 상부 쿠션기구 또는 하부 쿠션기구만 갖는 경우 등등상부 및 하부홀더의 상대위치 조정에 이어서 상부 쿠션기구 또는 하부 쿠션기구의 조정만 실행해도 좋다. 이와 같은 경우, 상부 및 하부홀더의 상대위치 조정시에 쿠션기구(상하 어느쪽)을 무효화하고, 상기 쿠션기구의 가압력 조정시 다시 유효화하면 좋다. 이러한 쿠션기구의 무효화, 유효화는 상기 실시예에 포함된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형(20)과 하형(30), 상부홀더(21)와 하부홀더(31)가 상하로 배치된 버튼 부착장치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좌우 또는 경사방향의 진퇴축선을 갖는 버튼 부착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힘게이지(528)를 중간블럭(527)의 한쪽 면에만 설치하였지만, 양면에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양쪽 출력을 합성해도 좋고, 따로따로 계측하여 평균치를 산출해도 무방하며, 중간블럭(527)의 경사나 쓰러짐의 영향에 의한 오차를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Claims (16)

  1. 한쌍의 버튼부품의 한쪽을 장착할 수 있으며 소정의 진퇴축선상에 배치되는 제1형과, 상기 한쌍의 버튼부품의 다른 쪽을 장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형에 대향하여 상기 진퇴축선상에 배치되는 제2형과, 상기 제1형을 착탈가능하게 그리고 상기 진퇴축선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홀더를 포함하는 제1측부분과, 상기 제2형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홀더를 포함하는 제2측부분과, 상기 제1측부분 또는 제2측부분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제1홀더 및 제2홀더를 소정의 진퇴축선을 따라 서로 근접이격시키는 구동기구와, 상기 제1측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1형을 제2형을 향하여 가압하는 제1쿠션과, 상기 제1쿠션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제1쿠션조정기를 포함하는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에 힘게이지가 장착된 제1조정지그와 제2조정지그를 포함하며, 조정시 먼저 상기 제1홀더 및 제2홀더에는 상기 제1형 및 제2형을 대신하여 상기 제1조정지그 및 제2조정지그를 세팅하는 작업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1쿠션을 무효화한 상태에서 제1홀더 및 제2홀더를 최근접시켜 상기 제1조정지그 및 제2조정지그를 서로 압접하고, 그후 상기 게이지에 의해 측정된 힘이 조정값으로 되도록 상기 제1홀더 및 제2홀더의 상대위치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쿠션을 유효화한 상태에서 상기 제1홀더 및 제2홀더를 최근접시켜 상기 제1조정지그 및 제2조정지그를 서로 압접하고, 그후 상기 게이지에 의해 측정된 힘이 소정값으로 되도록 상기 제1쿠션조정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방법.
  2. 한쌍의 버튼부품의 한쪽을 장착할 수 있으며 소정의 진퇴축선상에 배치되는 제1형과, 상기 한쌍의 버튼부품의 다른 쪽을 장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형에 대향하여 상기 진퇴축선상에 배치되는 제2형과, 상기 제1형을 착탈가능하게 그리고 상기 진퇴축선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홀더를 포함하는 제1측부분과, 상기 제2형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홀더를 포함하는 제2측부분과, 상기 제1측부분 또는 제2측부분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제1홀더 및 제2홀더를 소정의 진퇴축선을 따라 서로 근접이격시키는 구동기구와, 상기 제1측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1형을 제2형을 향하여 가압하는 제1쿠션과, 상기 제1쿠션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제1쿠션조정기와, 상기 제1쿠션에 의해 강하게 또한 상기 제2측부분에 설치되어 제2형을 제1형을 향해 가압하는 제2쿠션과, 상기 제2쿠션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제2쿠션조정기를 포함하는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에 힘게이지가 장착된 제1조정지그와 제2조정지그를 포함하며, 조정시 먼저 상기 제1홀더 및 제2홀더에는 제1형 및 제2형을 대신하여 상기 제1조정지그 및 제2조정지그를 세팅하는 단계와,
    상기 제1쿠션 및 제2쿠션을 함께 무효화한 상태에서 제1홀더 및 제2홀더를 최근접시켜 제1조정지그 및 제2조정지그를 서로 압접시키고, 그후 상기 힘게이지에 의해 측정된 힘이 소정값으로 되도록 상기 제1홀더 및 제2홀더의 상대위치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쿠션을 유효화하고 그리고 제1쿠션을 무효화한 상태에서 상기 제1홀더 및 제2홀더를 최근접시켜 상기 제1조정지그 및 제2조정지그를 서로 압접시키고, 그후 상기 게이지에 의해 측정된 힘이 소정값으로 되도록 상기 제2쿠션조정기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쿠션 및 제2쿠션을 함께 유효화한 상태에서 상기 제1홀더 및 제2홀더를 최근접시켜 상기 제1조정지그 및 제2조정지그를 서로 압접시키고, 그후 상기 게이지에 의해 측정된 힘이 소정값으로 되도록 상기 제1쿠션조정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쿠션의 가압력을 무효화하기 위해, 상기 제2조정지그로서 제2홀더와 당접하여 상기 진퇴축선 방향으로 이동규제되는 조정지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쿠션은 기계식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쿠션의 가압력을 무효화하기 위해, 상기 제1조정지그로서 제1홀더와 당접하여 상기 진퇴축선 방향으로 이동규제되는 조정지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쿠션의 가압력을 무효화하기 위해, 상기 제1조정지그로서 제1홀더와 당접하여 상기 진퇴축선 방향으로 이동규제되는 조정지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쿠션은 기계식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쿠션은 기계식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정지그 또는 제2조정지그의 어느 한쪽으로서, 일부에 얇은 부분을 가지며 이러한 얇은 부분에 스트레인 게이지나 압전 게이지가 부착된 조정지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정지그 또는 제2조정지그의 어느 한쪽으로서, 일부에 얇은 부분을 가지며 이러한 얇은 부분에 스트레인 게이지나 압전 게이지가 부착된 조정지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방법.
  11. 한쌍의 버튼부품의 한쪽을 장착할 수 있으며 소정의 진퇴축선상에 배치되는제1형과, 상기 한쌍의 버튼부품의 다른 쪽을 장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형에 대향하여 상기 진퇴축선상에 배치되는 제2형과, 상기 제1형을 착탈가능하게 그리고 상기 진퇴축선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홀더를 포함하는 제1측부분과, 상기 제2형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홀더를 포함하는 제2측부분과, 상기 제1측부분 또는 제2측부분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제1홀더 및 제2홀더를 소정의 진퇴축선을 따라 서로 근접이격시키는 구동기구와, 상기 제1측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1형을 제2형을 향하여 가압하는 제1쿠션과, 상기 제1쿠션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제1쿠션조정기를 포함하는 버튼 부착장치를 조정할 때 사용되는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지그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와 제2홀더의 상대위치를 조정하는데 필요한 위치조정두께(T0)와, 상기 제1쿠션의 가압력 조정에 필요한 제1조정두께(T1)가 선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지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 또는 제2홀더에 장착가능한 축부분과 이러한 축부분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갖는 기본부재와, 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축부분을 삽입할 수 있고 상기 플랜지부와 적층가능한 추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에만 또는 상기 플랜지부와 임의의 추가부재를 적층하므로써 상기 위치조정두께(T0) 및 제1조정두께(T1)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지그.
  13. 한쌍의 버튼부품의 한쪽을 장착할 수 있으며 소정의 진퇴축선상에 배치되는 제1형과, 상기 한쌍의 버튼부품의 다른 쪽을 장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형에 대향하여 상기 진퇴축선상에 배치되는 제2형과, 상기 제1형을 착탈가능하게 그리고 상기 진퇴축선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홀더를 포함하는 제1측부분과, 상기 제2형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홀더를 포함하는 제2측부분과, 상기 제1측부분 또는 제2측부분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제1홀더 및 제2홀더를 소정의 진퇴축선을 따라 서로 근접이격시키는 구동기구와, 상기 제1측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1형을 제2형을 향하여 가압하는 제1쿠션과, 상기 제1쿠션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제1쿠션조정기와, 상기 제1쿠션에 의해 강하게 또한 상기 제2측부분에 설치되어 제2형을 제1형을 향해 가압하는 제2쿠션과, 상기 제2쿠션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제2쿠션조정기와, 상기 제1쿠션 보다 강하게 그리고 상기 제2측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2형을 제1형을 향해 가압하는 제2쿠션과, 상기 제2쿠션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제2쿠션조정기를 포함하는 버튼 부착장치를 조정할 때 이용되는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지그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와 제2홀더의 상대위치를 조정하는데 필요한 위치조정두께(T0)와, 상기 제1쿠션의 가압력 조정에 필요한 제1조정두께(T1)와, 상기 제2쿠션의 가압력 조정에 필요한 제2조정두께(T2)가 선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지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나 제2홀더에 장착가능한 축부분과 이러한 축부분의 한쪽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갖는 기본부재와, 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축부분을 삽입할 수 있고 상기 플랜지부와 적층가능한 추가부재를 가지며, 상기 플랜지부에만 상기 플랜지부와 임의의 추가부재를 적층하므로써 상기 위치조정두께(T0), 제1조정두께(T1) 및 제2조정두께(T2)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지그.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부재의 어느 한쪽은 제1쿠션이나 제2쿠션의 가압력을 무효화하기 위해 상기 제1홀더나 제2홀더와 당접하여 상기 진퇴가능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며; 상기 추가부재의 다른 쪽은 상기 제1쿠션이나 제2쿠션의 가압력을 유효화하기 위해 상기 제1홀더나 제2홀더와 간섭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지그.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부재의 어느 한쪽은 제1쿠션이나 제2쿠션의 가압력을 무효화하기 위해 상기 제1홀더나 제2홀더와 당접하여 상기 진퇴가능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며; 상기 추가부재의 다른 쪽은 상기 제1쿠션이나 제2쿠션의 가압력을 유효화하기 위해 상기 제1홀더나 제2홀더와 간섭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지그.
KR1020020022784A 2001-04-26 2002-04-25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방법 KR1006648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29094 2001-04-26
JP2001129094A JP3971124B2 (ja) 2001-04-26 2001-04-26 ボタンの取付力設定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2485A Division KR100682175B1 (ko) 2001-04-26 2006-08-01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933A true KR20020083933A (ko) 2002-11-04
KR100664829B1 KR100664829B1 (ko) 2007-01-04

Family

ID=189776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2784A KR100664829B1 (ko) 2001-04-26 2002-04-25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방법
KR1020060072485A KR100682175B1 (ko) 2001-04-26 2006-08-01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지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2485A KR100682175B1 (ko) 2001-04-26 2006-08-01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지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6766569B2 (ko)
JP (1) JP3971124B2 (ko)
KR (2) KR100664829B1 (ko)
CN (1) CN1208005C (ko)
DE (1) DE10218480A1 (ko)
HK (1) HK1047683B (ko)
IT (1) ITTO20020357A1 (ko)
TW (1) TW53787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528B1 (ko) * 2013-08-16 2015-07-02 치 시앙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버튼홀 가공머신의 버튼홀 절단기구용 해머 위치 조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8323A1 (fr) * 2005-04-14 2006-10-19 Wing Sun Metal Products Limited Pince a boutons et son dispositif de matelassage
US7578586B2 (en) * 2005-11-08 2009-08-25 Xerox Corporation Transfix roller load controlled by force feedback
US7766628B2 (en) * 2006-04-13 2010-08-03 Scroll Technologies Sealed compressor with structure on lower housing shell to assist weld placement
JP5275476B2 (ja) * 2009-12-25 2013-08-28 Ykk株式会社 ボタン取付用上金型
EP3001172B1 (en) * 2010-08-06 2019-10-09 YKK Corporation Cloth evaluation apparatus
CN102411156B (zh) * 2011-08-18 2014-07-02 德耀五金钮扣有限公司 打钮机出爪检测方法及应用该方法的专用设备
DE102018008941A1 (de) * 2018-11-13 2020-05-14 Ykk Stocko Fasteners Gmbh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Gegenstands an einem Träger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Gegenstands an einem Träger
US11445614B2 (en) * 2019-04-24 2022-09-13 JLK Technology Pte Ltd System for fastening multiple stacked planar objects with adaptive compensatory mechanism
CN114618952A (zh) * 2020-12-10 2022-06-14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打扣装置
CN117182553A (zh) * 2022-04-12 2023-12-08 深圳市联星服装辅料有限公司 一种翻转装置及对应的弹弓钮扣加工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9224U (ja) * 1983-11-22 1985-06-19 日本ノーシヨン工業株式会社 安全機構を設けた釦加工装置
CA1257076A (en) * 1983-12-29 1989-07-11 Yukio Taga Apparatus for assembling a pair of fastener elements
DE3508018A1 (de) * 1985-03-07 1986-09-11 William Prym-Werke GmbH & Co KG, 5190 Stolberg Automatische presse zum anbringen von druckknopfteilen an traegern, wie kleidungsstuecken
US4928478A (en) 1985-07-22 1990-05-29 General Electric Company Water and steam injection in cogeneration system
US4741466A (en) * 1986-07-08 1988-05-03 Scovill Apparel Fasteners Inc. Machine for attaching rivets, snap fasteners or similar
JPS6342908A (ja) * 1986-08-06 1988-02-24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部品自動取付機
US4907481A (en) * 1987-09-02 1990-03-13 Jim Dvorak Powered press with manual punch and die alignment capability
US5071717A (en) 1988-09-08 1991-12-10 International Fuel Cells Corporation Coated cathode substrate
JPH0714336Y2 (ja) * 1989-02-03 1995-04-05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投光器のストローク調整装置
JPH0524242A (ja) 1991-07-22 1993-02-02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形成方法
JPH0555603A (ja) 1991-08-28 1993-03-05 Seiko Instr Inc 半導体不揮発性メモリの製造方法
US5319848A (en) * 1993-06-30 1994-06-14 Volker Schmidt Apparatus for attaching fasteners to material
DE4408691C1 (de) * 1994-03-15 1995-08-17 Stocko Metallwarenfab Henkels Maschine zum Ansetzen von Nieten, Druckknöpfen und dergleichen
US5463807A (en) * 1994-09-08 1995-11-07 Scovill Fasteners Inc. Attaching machine for attaching fasteners
US5781989A (en) * 1996-11-27 1998-07-21 Eastlex Machine Corporation Fastener attaching apparatus
JP4066004B2 (ja) * 1997-10-13 2008-03-26 忠弘 大見 上段部材取付けの基準となる孔を有する複数の下段部材の固定方法および固定用治具
EP0962873A1 (en) * 1998-06-02 1999-12-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cessing of textual information and automated apprehension of inform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528B1 (ko) * 2013-08-16 2015-07-02 치 시앙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버튼홀 가공머신의 버튼홀 절단기구용 해머 위치 조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2175B1 (ko) 2007-02-12
HK1047683A1 (en) 2003-03-07
CN1382405A (zh) 2002-12-04
US20040103528A1 (en) 2004-06-03
TW537870B (en) 2003-06-21
US6766569B2 (en) 2004-07-27
US6851182B2 (en) 2005-02-08
CN1208005C (zh) 2005-06-29
HK1047683B (zh) 2005-09-23
JP3971124B2 (ja) 2007-09-05
ITTO20020357A1 (it) 2003-10-24
DE10218480A1 (de) 2003-01-02
US20020157230A1 (en) 2002-10-31
ITTO20020357A0 (it) 2002-04-24
KR20060090793A (ko) 2006-08-16
KR100664829B1 (ko) 2007-01-04
JP2002327328A (ja) 200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2175B1 (ko)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지그
CN100534704C (zh) 轴承压入装置及其使用方法
JPH01162520A (ja) 物品の曲げ加工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7190640A (ja) シャフト圧入装置
JP2007240489A (ja) オーバーピン径計測装置
CN203024948U (zh) 弹性检测装置
CN113477806B (zh) 一种嵌入式自适应智能调节集成模具
JP2001113399A (ja) プレス機械の診断方法及びその装置
CN112802776A (zh) 伺服半导体封装压机智能化压力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20120025558A (ko) 위치보정기능 부착 작업기계
JPH08201259A (ja) 弾性体用硬度計
JP3179019B2 (ja) 精密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JP4325142B2 (ja) プレス機械の試験方法、試験システム、試験用プログラム、および試験用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4682405B2 (ja) 電動プレス
CN211042013U (zh) 一种偏摆量检测装置
JP3120168U (ja) 材料試験機
CN219581652U (zh) 一种自动压模机
CN218994587U (zh) 扭矩测量装置和扭矩夹持测量系统
CN111579141B (zh) 一种压电执行器部件封装预紧力检测装置
JPH10332497A (ja) パワーウインド装置の挾み込み荷重測定用治具
CN217957308U (zh) 压力打点装置
CN217276254U (zh) 一种传感器校正工作台
CN219946038U (zh) 装配治具及具有其的装配设备
CN210452056U (zh) 一种电主轴位移检测装置及其应用的数控机床
JP2631521B2 (ja) 射出成形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