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9799A - 현금 지급기 - Google Patents

현금 지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9799A
KR20020079799A KR1020027009461A KR20027009461A KR20020079799A KR 20020079799 A KR20020079799 A KR 20020079799A KR 1020027009461 A KR1020027009461 A KR 1020027009461A KR 20027009461 A KR20027009461 A KR 20027009461A KR 20020079799 A KR20020079799 A KR 20020079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atm
drive
belt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9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1602B1 (ko
Inventor
브렉셀더크
카로찌안드레아
보스한스-군터
홀란트-레츠군터
Original Assignee
빈코르 닉스도르프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빈코르 닉스도르프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빈코르 닉스도르프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20079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6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006Winding articles into rol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05Portable strong boxes, e.g. which may be fixed to a wall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14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with means for masking or destroying the valuables, e.g. in case of thef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25Secure contain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6Servicing, repairing or coping with irregularities, e.g. power failure or vandalis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40Device architecture, e.g. modular constru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9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 B65H2301/4191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for handling articles of limited length, e.g. AO format,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 B65H2301/41912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for handling articles of limited length, e.g. AO format,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between two belt lik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Noodle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Preparing Plates And Mask In Photomechanical Proces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지폐 저장 유닛(62)용 수용 공간을 가진 하우징, 상기 저장 유닛(62)에 배치되어 각각의 지폐들을 저장 유닛(62)과 지폐용 이송 장치(72)로부터 인출하도록 사용되는 인출 장치(7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 장치는 저장 유닛(62)과 현금 지급기의 제어 패널 사이에서 지폐를 이송하도록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현금 지급기는 전류 공급 유닛과, 현금 지급기의 기능을 제어하기위한 제어 장치(94)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지폐용 저장 유닛(62), 인출 장치(70)를 용기 벽의 관통 슬롯(74)으로 연결하는 제 1지폐 운반 장치(72), 인출 장치(70)와 상기 제 1 지폐 운반 장치(72)를 위한 구동 장치, 보안 장치(85)와 용기에 내장된 기능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제어 유닛(92)은 개폐 가능하고 잠궈질 수 있는 박스 형상의 용기(30)에 장착된다. 상기 보안 장치는 상기 용기가 승인없이 조작될 때 상기 용기(30)에 놓여 있는 지폐를 쓸모없게 만들 수 있다. 현금 지급기의 하우징(10)의 수용 공간(14)은 용기(30)를 수용하도록 제공된다. 하우징(10)은 용기(30)의 관통 슬롯(74)을 제어 패널(22)로 연결하기 위한 제 2 지폐 운반 장치(96)와, 하우징과 연결된 기능 유닛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제어 유닛(94)를 포함한다. 용기(30)는 상기 구동 장치와 상기 용기의 제 1 제어 유닛(92)과 연결되어 용기를 제 2 제어 유닛(94)으로 접속하도록 사용되는 접점부를 가진다.

Description

현금 지급기{CASH DISPENSER}
지금까지는 거래 및 예치 상태의 현금을 유통하는 동안 바람직하지 않은 접근으로부터 확실하게 현금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이 존재하지 않았다. 보안 문제는 예를 들면, 현금이 안전 시스템으로부터 인출되어야 하거나 현금 지급기에 다시 채워져야 할 때 발생한다.
통상적으로 현금 지급/예탁 기계에 있어서, 채워지거나 비워져야하는 지폐 용기 또는 통은 중앙 저장소 또는 충전소로 사용된다. 현금 취급 장소 또는 현금 지급기에서 현금을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내측에 지폐 용기가 배치된 금고가 사용된다. 지폐 용기의 수송은 대부분 귀중품 수송 서비스 업자를 이용하여 실행된다. 독일에서는 최근 법률에 의해 전문 협회가 3명의 고용인과 함께 무장 수송 차량을 보유하도록 요구되고 있다. 다른 나라의 사정은 이와 유사하다. 통상적으로1명의 고용인은 다른 2명이 현장에서 지폐 통을 교환하거나 현금을 보충할 동안 무장 수송 차량을 지켜야 한다. 이러한 인적 물질적인 높은 낭비는 습격을 방어하거나 현금 수송자 자신들에 의한 편취 행위를 방지("4개의 눈 주범 (the four-eye principal)")하는데 필요하다. 이러한 형태의 현금 보안은 매우 높은 비용과 연결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지폐 저장 유닛을 위한 수용 공간을 가진 하우징, 저장 유닛으로부터 각각의 지폐를 인출하도록 저장 유닛과 결합된 지급 장치, 저장 유닛과 현금지급기의 제어 패널 사이에서 지폐를 이송하기 위한 지폐 이송 장치, 전원 공급 유닛과 현금 지급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현금 지급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지폐 용기가 인출 상태인 본 발명에 따른 현금 지급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지폐 용기가 조립 상태인 본 발명의 현금 지급기의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
도 3은 감김 스토어를 가진 저장 유닛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4는 배열된 지폐 다발을 현금 지급소를 향한 방향으로 이송 절차에서
지폐 다발 이송 직진부를 형성하는 이송 유닛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도 5는 역 이송 방향으로 지폐 다발의 이송기로 지폐 다발을 산개하는 동작으로 도 4에 대응한 도면.
도 6은 제 1 구동 열을 설명하기 위해 도 4의 Ⅵ-Ⅵ 선을 따라서 도시된 이송 유닛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7은 다른 구동 열을 설명하기 위해 도5에 도시된 Ⅶ-Ⅶ 선을 따라 도시된 개략적인 단면도.
본 발명은 그 목적으로써 낮은 인적 물질적 비용으로 현금 지급기와 관련 은행 사이의 현금 유통의 빈틈없는 보안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언급된 종류의 현금지급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지폐 저장 유닛, 인출 장치를 용기 벽의 관통 슬롯과 연결하는 제 1 지폐 운반 장치, 상기 인출 장치 및 상기 제 1 지폐 운반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 용기에 내장된 기능 유닛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제어 유닛, 용기의 조작이 승인되지 않을 경우 그 안에 포함된 지폐를 쓸모없게 만드는 보안 장치를 포함하며, 하우징이 용기의 관통 슬롯을 제어패널과 연결하기 위한 제 2 지폐 운반 장치와, 하우징과 연결된 기능 유닛들을 제어 하기 위한 제 2 제어 유닛을 포함하도록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현금 지급기의 하우징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용기가 제 2 제어 유닛에 제 1 제어 유닛을 접속하도록 구동 장치와, 용기의 제 1 제어 유닛과 접속된 접점부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 가능하며 잠궈질 수 있는 박스 형상의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 수단에 있어서, 용기는 그 안에 포함된 보안 장치때문에 이전에 필요했던 금고, 이송 보안 트렁크 및 무장 수송 차량을 대신하며, 빈틈없는 보안과 현금 지급기의 구성에 있어서 새로운 개념을 가능하게 한다. 용기는 캡슐로 보호된, 밀폐된 유닛으로써 현금 지급기의 고정부에 신속하며 안전하게 연결될 수 있는 이동 금고를 형성한다. 용기는 그 안에 포함된 보안 장치때문에 무장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한 사람에 의해 취급될 수 있다. 게다가, 무장 수송 차량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지출과 관련 비용을 과감하게 줄인다.
유럽 특허 제 EP 0 652 599 B1 호는 도킹부에 장착되거나 이탈될 수 있는 용기를 포함하는 보안 시스템을 가진, 수표, 지폐 등과 같은 물품의 안전 이송용 시스템을 공지한다. 그러나, 상기의 경우, 도킹부는 자기 파괴 동작의 구동없이 오직 용기의 개방과 잠금 기능을 가진다. 용기를 개방하지 않고 용기로부터 지폐를 이동하는 것은 기재되지 않으며, 또한 현급 지급기의 용기의 사용이 가능하기에 적합한 수단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금고 벽의 하나의 개구부가 지폐용 관통 슬롯이라는 사실은 이동 금고로서의 용기의 분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이다. 인출 지폐를 관통 슬롯을 통해 밀어내는데 필요한 모든 기능 유닛들은 용기의 내측에 장착된다. 접점부를 용기 내측의 상기 기능 유닛들과 연결하는 도선은 관통 슬롯을 따라 오직 개구부들을 통하도록 요구된다. 그러므로, 용기에 포함된 기능 유닛들을 현금 지급기의 전원 공급 유닛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점부는 제어 도선과 전원 공급 도선이 용기벽을 통해 안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용기의 나머지 부분은 완전하게 밀폐된다. 지폐 운반 장치와 구동 요소(예를 들면, 동력 이송 축)는 용기 외측으로부터 용기로 삽입되어야 한다. 이것은 조작에 대하여 충분하게 보호될 수 없는 용기의 상부 표면에 추가적인 개구부를 포함한다. 용기의 제 1 제어 유닛과 현금 지급기의 고정부의 제 2 제어 유닛사이의 통신이 암호화되면, 제어 도선을 통해 승인되지 않은 사람이 기능 유닛들을 제어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이에 의하여, 용기가 오직 관련된 현금 지급기에 의해서만 비워질 수 있는 것은 보증된다. 용기가 도난된 경우, 강제적으로 열지 않고, 현금 지급기를 재구성하는 것에 의해 용기를 비울 가능성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현금 지급기의 개념은 한 사람이 운반할 수 있도록, 한편으로는 용기를 튼튼하며 소형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가볍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용기의 이송 중 용기가 운반 내내 운반자에 의해 운반되는 것이 필요하지 않도록 용기에 바퀴들이 장착되면 유리하다. 유리하게는, 용기는 차대에 장착되어 하부 이송 위치와, 상기 용기를 현금 지급기의 수용 공간으로 삽입 가능한 들어올려진 위치 사이에서 차대에 대해 조정 가능하다. 차대는 용기가 위치 조정가능하게 안내되는 짐 수레와 어느 정도 유사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용기를 더욱 용이하게 들어 올리도록, 차대는 예를 들면, 래치가 풀리면 차대의 용기를 들어 올리거나 적어도 그러한 상승 동작을 도울 수 있는 가스 스프링 또는 이와 유사한 상승 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용기 또는 차대의 보조 부재들과 맞물리도록 안내 부재들은 현금 지급기의 수용 공간에 유리하게 제공되어 현금 지급기이 대응 접속부에 대하여 용기의 정확한 위치결정, 특히 접점부의 정확한 위치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용기에 손잡이가 제공될 수도 있다는 점에 있어서, 손잡이는 수용공간을 닫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용기에 선회 가능하거나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용기의 저장 유닛 또는 저장 유닛들로/로부터 지폐를 각각 공급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용기는 본질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용기 몸체부와 상기 용기 몸체부에 관하여 동작 가능하고 잠금 장치에 의해 상기 용기 몸체부에 대해 잠금 가능한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장치는 잠금 장치의 허용된 작동과 기계적인 조작 시도를 식별하도록 자유로이 작동 가능하게 접촉된다.
용기 몸체부와 덮개는 예를 들면 공지된 바와 같이 현금 트렁크일 경우 매우 가느다란 철망이 삽입된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철망에 대한 손상은 예를 들면 채색 물질이 용기내로 분사되는 수단에 의해 보안 장치 예를 들면, 폭발 장치를 격발한다.
용기가 다른 형태의 지폐를 수용하기 위해 몇 개의 저장 유닛들을 포함하면, 각각의 저장 유닛이 각각의 인출 장치와 연동하는 것이 유리하다.
보안 장치는 접촉에 의해 자유로이 작동 및 작동 중지 가능하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원격 제어에 의해 격발가능하다. 후자의 경우 지폐 용기가 통째로 의도되지 않은 사람의 수중으로 들어가면, 누군가 용기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그 내용물로의 접근 방법을 취득하는 기회를 진정으로 갖기 전에 그 내용물을 쓸모없게 하려는 데 중요하다. 이러한 용기와 관련하여, 본질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예를 들면 위성 위치 파악 시스템에 의해 찾을 수 있고/또는 원하는대로 제어될 수 있도록 위치 발송기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보안 장치가 지폐 충전소에 채워진 후 작동되어 지속적으로 작동된 상태로 있고 작동 중지되지 않으며 현금 지급기로 이송 및 이동중, 또한 지폐 충전소로 역방향 이송중, 오직 지폐 충전소에서만 작동 중지될 수 있을 경우, 용기의 보안은 증대된다.
또한, 이에 대안적으로, 안전 장치의 작동과 작동 중지는 현금 지급기의 데이타 처리 장치에 안전하게 순차적으로 저장된 일정한 절차가 사용될 수 있도록 관련된 현금지급기의 제어 유닛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기와 현금 지급기 양쪽에 배치된 지폐 운반장치들의 구동은 각각의 지폐들의 지급과 수용을 위해 설계된 용기의 저장 유닛에 역방향으로 전환 가능하다. 저장 유닛이 지폐를 상기 저장 유닛으로 순차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장치와 추가적으로 관련되면, 본 발명의 현금 지급기는 지폐의 지급과 예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용기는 열리지 않고 도킹부에 자동적으로 장착되고 탈착될 수 있다. 이것은 은행의 부정직한 고용인에 대한 안전을 증가시킨다.
저장 유닛은 본질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인출 및 낱개화 장치로써 형성된 인출 장치가 구비되어 지폐 더미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저장 유닛은 관통 개구부에 근접하여 장착된 전향 롤 위의 공급 롤로부터 감김 코어로 감기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 벨트, 감김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 가능한 공급롤과 감김 코어를 가지며 감김 코어로부터 감김 가능한 대응부재를 가지는 감김 스토어로 형성된다. 감김 스토어는 지폐가 감김 스토어의 벨트 층들 사이에 제각기 놓여 있기 때문에 낱개화 장치가 지폐의 인출 및 낱개화를 위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을 가진다. 동시에, 지폐를 복수개 지급하는 위험이 회피되므로 복수개 인출을 검사하기 위한 대응 제어 장치가 제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감김 스토어의 사용은 과도한 비용없이 지폐를 저장 유닛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고 저장 유닛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감김 스토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감김 코어는 2개의 스풀을 가지며, 상기 스풀들은 서로 이격되어 평행한 축에 장착되며 적어도 하나가 감김 구동 장치에 결합되며 저장 벨트가 서로 떨어져 대면한 그 외주면에서 공통으로 양쪽 스풀들을 감아 돈다. 그러므로, 감김 코어는 원통형상이 아니며 상기 감김 코어에 의해 형성된 감김 스토어가 지폐 더미를 수용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하우징을 최적으로 채울 수 있도록 납작하게 눌려진 타원체 형상을 가진다. 이것은 다른 형태로 구성된 저장 유닛을 가진 감김 스토어의 결합과 용기내에 점유 공간 절약 수용을 간단하게 한다.
상기된 감김 스토어는 통상적인 감김 스토어와 비교하여 감김 스토어에 저장된 지폐들이 항구적으로 굽혀지지 않고 2개의 스풀들 사이에 곧은 단면으로 저장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지폐가 스풀들 중 하나에 장시간 동안 감겨지면, 현금 지급기에서의 취급을 손상시키는 지속적인 곡률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감김 스토어에 있어서는 상기 곡률을 피하도록 감김 스토어는 지폐를 감김 스토어의 곡선부로부터 직진부로 또한, 그 반대로 움직이기 위하여 이에 의해 저장된 지폐의 항구적인 곡률을 회피하기 위해 예를 들면,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몇몇 축받이를 지속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저장 벨트의 일단부가 2개의 스풀 중 하나에 고정되는 것은 지폐의 전달이 시작되기 이전에 상기 벨트가 감김 코어를 적어도 한 차례 감아 도는 것으로 충분하다. 그러나, 감김 코어는 2개의 스풀이 상기 감김 코어의 외주 표피를 형성하는 하나의 순환 벨트에 의해 감싸이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 벨트는 순환 벨트에 감김 가능하다. 이것은 저장 벨트가 오직 1 겹으로 이루어지면 적어도 유리하다. 그러나, 저장 벨트는 공급 롤로부터 2 겹으로 감겨지지 않으며 격리된 통로에 의해 저장 유닛의 인출구로 안내되는 2개의 별도의 박편을 포함하며, 이에 의하여 지폐 입력/출력 틈을 형성한 후에 저장 벨트들은 다시 전향 롤에 의해 2겹으로 서로 안내되어 감김 코어에 감겨진다. 이러한 해결책에 있어서, 지폐는 감김 코어와 상기 감김 코어를 감아 도는 저장 벨트 사이에 저장되지 않지만 저장 벨트의 2개의 별도의 박편들 사이에 저장된다.
용기는 지폐의 지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지폐 저장 유닛에 더하여 반송되는 지폐를 위한 수집구를 포함한다. 하나의 상기 수집구 또는 반송구는 고객에게 제공되어야 했지만 고객에 의해 제거되지 않았거나, 지폐가 지급을 위해 준비됐을지 모르지만 상호작용에 있어서 교란 또는 몇몇 결점때문에 고객에게 지급되지 않은 지폐를 수용하는데 사용된다. 이들 지폐들은 부기 문제때문에 통상적으로 지급되어야 할 지폐용 저장 유닛에 다시 놓여지지 않지만, 그 대신에 상기 수집구에 보관된다.
종래의 현금 지급기에 있어서는 지급되어야 할 지폐와 수집구는 통상적으로 보안 용기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 있어서는, 보안 용기는 더이상 필요하지 않다. 저장 유닛 및/또는 수집구는 단지 누름 장치와 구동 장치가 구비된 저장 유닛으로써 용기 안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간단한 서랍으로 형성된다.
지폐 용기와 낱개화 유닛 사이의 깔끔한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해 요구되는 다수의 종래 용기 기능 요소들, 예를 들면, 용기 개구부 폐쇄용 플랩, 후방 당김 손잡이, 반복 인출 방지 장치, 제어 링크 장치, 잠금 장치 따위와 같은 요소들은 본 발명의 경우에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성은 지폐 저장 유닛에 의한 물질적 재정적 낭비가 본질적으로 줄어든다. 서랍들은 서랍용 안내 장치가 용기벽에 직접적으로 고정될 필요가 없도록 예를들면, 용기에 의해 둘러싸인 프레임의 레일들에 의해 안내된다. 서랍들은 인출 장치의 정확한 위치 결정을 위해 제동 장치를 가짐으로써 폭 차이를 가진 지폐를 수용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위치 조정된다.
모든 저장 유닛의 지폐가 채색 또는 파괴 장치의 작동 범위 안에 있도록, 보안 장치의 작동에 대한 사각 지대가 존재하지 않도록 보안장치는 지폐 채색 또는 파괴 장치가 각각의 서랍들 위에 장착된다.
대부분의 종래 현금 지급기에 있어서, 지폐 용기로부터 인출된 각각의 지폐들은 제어 패널의 인출구에서 고객에게 제공되는 다발로 연속적으로 모여진다. 각각의 지폐들이 다발로 모여지는 집합 장치는 이송 경로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된다. 기본적으로, 이러한 집합소가 용기에 위치할 가능성은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관통 슬롯은 그 관통 슬롯을 통한 지폐 다발의 통행을 허용한다. 그러나, 보안이 증대되도록 상기 관통 슬롯은 가능한 한 작게 만들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집합소는 제 2 지폐 운반 장치의 경로에 즉, 현금지급기의 고정부에 배치된다. 지폐가 다시 회수되어야하거나 수집소로 이송되어야 할 경우를 위해, 각각의 지폐가 용기의 관통 슬롯을 통해 수집소로 역으로 이송될수 있도록 다발로 된 지폐는 다시 낱개화되거나 다발이 통째로 수집소로 이송된다. 이러한 경우, 당연히 지폐 다발의 인출구가 가지는 동일한 문제가 똑같이 발생하며 즉, 다발의 통행을 허용하도록 관통슬롯이 상기 다발의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되어야 한다. 게다가, 비교적 뻣뻣한 지폐 다발이 비교적 작은 반경으로 전향기에 의해 수집소 측으로 방향이 전환되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회수되어야 할 지폐 다발을 낱개화하기 위한 낱개화 장치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관통 슬롯은 가능한 한 작아야하고 지폐 다발은 작은 반경으로 굽힘 가능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는 제 2 지폐 운반 장치가 2개의 벨트 구동 장치를 가진 제 1 이송 직진부와, 각각의 구동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를 가지며, 상기 2개의 벨트 구동 장치의 순환 벨트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 롤에 의해 구동되며 지폐 다발이 상기 벨트들 사이에 파지되어 이송되며, 벨트 구동 장치들이 적어도 제어 패널로부터 수집소의 방향으로 상이한 속도로 구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방식에 의해, 지폐 다발의 이송을 위해 협력하는 2개의 벨트 구동장치는 지폐 다발이 펼쳐지도록 상이한 속도로 구동된다. 지폐가 제어 패널의 인출구로 이송되는 동안, 2개의 벨트 구동 장치는 가지런히 정렬된 가장자리를 갖는 지폐를 고객에게 인출구에서 다발로 제공하도록 정확하게 동일한 속도로 작동되고, 지폐가 후측으로 이송되는 동안, 상기 다발은 산개된다. 이에 의해, 지폐다발은 보다 얇게 본질적으로 더욱 굽힘 가능하게 되고 비교적 작은 반경에 대해 문제 없이 굽혀지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산개 동작은 다발의 전방 동작과 후방 동작을 복수로 실행하는 것에 의해 주어진 길이보다 길게 원하는 대로 증가될 수 있다 .
2개의 벨트 구동 장치의 상이한 구동 속도는 각각의 벨트 구동을 위한 구동 장치가 적어도 하나가 속도 제어 가능한 각각의 구동모터를 가짐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장치는 2개의 벨트 구동 장치들 중 1개가 구비된 1개의 모터에 의해, 제 2 구동 열이 제 1 구동 열과 비교하여 상이한 구동 비를 가지면서 제 1구동 구동열을 통해 모터와 연동 가능한 일 이송 방향으로, 제 2 구동 열을 통해 모터와 연동 가능한 다른 이송 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해결수단의 실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벨트 구동 장치의 구동 롤과 상기 구동 롤과 평행한 중간 축은 모터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결합되고, 제 2 벨트 구동 장치의 구동 롤은 제 1 일방향 커플링을 통해 제 1 구동 롤과, 그 유효 회전 방향이 제 1 일방향 커플링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일방향 커플링을 통해 중간축과 회전 운동 전달하게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일방향 커플링들은 상이한 방식으로 구비된다. 예를 들면, 일방 향 커플링 중 하나는 래치 없이 동작하는 커플링이거나 클램프 몸체부가 없는 커플링이고, 다른 하나의 일방향 커플링은 일방향으로는 회전 운동 전달이 가능하며, 다른 방향으로는 상이한 회전 속도를 가진 2개의 구동 요소가 서로 만나면 구동의 잠금을 피하는 슬립 커플링이다.
그러나, 슬립 커플링에 의한 속도 차이의 흡수는 당연히 구동 모터에 부하를 준다. 이것이 바람직하지 않으면, 일방향 커플링은 서로에 대해 반대 유효 방향을 갖도록 만들어진 랩 스프링 커플링(wrap spring coupling)일 수 있다. 랩 스프링 커플링은 축에 고정되어 관련된 회전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회전 운동 전달을 종료하도록 그 자체를 축에서 푼다. 랩 스플링 커플리의 제어는 대개 저회전 운동하는 미끄럼 커플링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 1 이송 직진부는 이송 직진부를 포함하는 일련의 2개의 벨트 구동 장치와, 제 1구동 롤에 대해 안내되는 제 1 벨트 구동장치의 각각의 순환 벨트 및 중간 축에 배치된 제 1구동 롤에 대해 안내되는 제 2 벨트 구동 장치의 순환 벨트와 간단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구동롤과 중간 축은 항상 동일한 속도로 구동되기 때문에, 제 2 이송 직진부의 2개의 벨트 구동 장치 또한 동일한 회전 속도로 움직임으로써, 제 2 이송 직진부의 지폐 다발이 지폐가, 제 2 이송 직진부에 도달하는 방식으로, 즉 일정하게 정렬된 가장자리를 가진 지폐 또는, 산개된 형태의 지폐로 항상 이송된다. ㅈ 2 이송 직진부는 제 1 이송 직진부를 집합소 또는 관통 슬롯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상세한 구성과 장점은 예시된 실시 예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는 다음 명세서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현금 지급기는 이동 금고(16)를 위한 수용 공간(14)을 형성하며 도어(18)에 의해 개폐 가능한 박스 형태의 하부(12)를 가진 하우징(10)을 포함한다.
지폐을 지급하고 예탁하기 위한 현금 지급기의 필수 고정 기능 유닛들은 하우징 하부(12) 위쪽의 하우징 상부(20)에 수용되며, 그 유닛들은 필요하면 이하에서 서술될 것이다. 개략적으로 지시된 여러가지의 제어 요소(24), 화면 표시창(26)과 인출구(28)를 가진 제어 패널(22)은 상부(20)의 전면부에 있다. 제어 패널(22)은 당연히 예를 들면, 지폐 입금부, 신분 증명 카드 삽입용 슬롯과 같은 추가적인 요소들을 더 가질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하여 이러한 요소들은 역할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이동 금고(16)는 용기 몸체부(32)와 축(36)을 중심으로 선회 동작하기 위해 상기 용기 몸체부(32)에 연결되며 잠금 장치(38)에 의해 잠궈질 수 있는 경첩판(flap, 34)을 가진 박스 형태의 용기(30)를 포함한다.(도 2 참조)
용기(30)는 앞바퀴(44)와 뒷바퀴(46)를 가진 수평 프레임(42)과 그 뒷 바퀴(46)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수직 프레임(48)을 가진 차대(undercarriage, 40)에 장착되고, 그 용기가 수평 프레임(42)에 하강된 도시되지 않은 첫 번째 위치와 도 1에 도시된 상부 위치 사이에서 조정 가능하도록 용기(30)는 상방 및 하방 조정을 위해 화살표(A) 방향으로 안내된다. 용기(30)의 상방 이동은 일측이 수평 프레임(42)에 연결되고 타측이 용기(30)의 외측에 연결된 가스 스프링(50)에 의해 도움받을 수 있다. 굽혀진 손잡이(52)는 수직 프레임(48)의 상단부에 있고 도어(16)의 닫힘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이동 금고(16)를 수용 공간(14)에 삽입한 후 아래쪽으로 접히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선회축으로 또는 분리 가능하게 수직 프레임(48)에 장착된다. 차대(40)의 용기(30)는 사람에 의해 짐 수레처럼 운송될 수있다. 계단를 넘어서는 운송 중에 또는 선적 판 벽을 넘어서는 하강 중 프레임이 손상되지 않도록 강화판(54)이 뒷 바퀴들(46) 사이의 수직 프레임(49) 하부에 장착된다.
가이드 레일(56)은 차대(40)을 안내하기 위해 하우징 하부(12)의 바닥에서 수용 공간(14)내에 장착된다. 또한, 가이드 레일(58)은 수용 공간(14) 내로 삽입 중 하우징(10) 내측의 지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도달하여 그 위치에서 도시되지 않은 걸쇠 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용기(30)를 안내하도록 하우징 하부(12)의 덮개 면에 제공되어 용기(30)에 제공된 스트립(59)이 그 내측에 수용된다.
전류 공급과 제어 신호 전송과 수용공간(14)에 제공된 도시되지 않은 보조 커넥터와 접촉하기 위한 단자들을 가지는 커넥터(60)는 용기(30)의 외측에 장착된다. 커넥터(60)는 전력과 제어 도선에 의해 용기(30) 내측의 기능유닛과 연결되어 이들 기능 유닛들을 수용 공간(14)의 보조 커넥터를 통해 현금 지급기의 고정부의 기능 유닛과 연결한다.
도시된 실시예의 용기(30)는 지급되어야 할 지폐용 2개의 저장 유닛(62)과, 지급 절차를 위해 준비되었지만 어떤 이유로 고객에게 인도되지 않은 지폐용 수집 용기(64)를 포함한다. 저장 유닛(62)과 통상적으로 반송 용기로 일컬어지는 수집 용기(64)는 서랍으로 형성되어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 레일(66)로 안내됨으로써, 용기 몸체부(32)로부터 빼낼 수 있다. 각각의 2개 저장 유닛(62)은 더미(68)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되고, 완전하게 삽입된 서랍의 용기 안의 지폐 더미 전단부는 통상적인 것으로 알려진, 각각의 지폐가 더미(68)로부터 인출될 수 있는 방식에 의해 인출 및 낱개화 장치(70)에 인접한다. 낱개화 장치(70)는 상기 낱개화 장치와 용기(30) 덮개 면의 관통 슬롯(74)을 연결하는 수직 이송 기구(72)와 이어져 위치한다. 수직 이송기(72)는 그 이송 방향이 역전환 가능하며 관통 슬롯을 통해 용기(30)로 삽입된 지폐가 반송 용기(64)로 전달될 수 있는 수단으로써 전향기(78, deflector)를 포함한다.
지폐 더미(68)을 인출 및 낱개화 장치(70)를 향한 방향으로 누르는 압력 슬라이드(80)는 각각의 저장 유닛(62)의 서랍에 장착된다. 압력 슬라이드(80)의 동작은 슬라이드에 장착되어 그 구동 피니언 기어가 서랍에 고정된 랙 기어(84)와 맞물리는 모터(82)에 의해 이루어진다.
각각의 저장 유닛(62) 상부와 반송 용기(64) 상부에는 잉크 또는 잉크가 폭발 유닛(88)에 의해 용기의 전체 면에 분사될 수 있는 채색 물질 용기(86)를 가진 지폐 채색 유닛(85)가 가이드 레일들(66) 중 하나에 그러나, 용기(30)의 내측의 도시되지 않은 다른 프레임에 장착되어 내장된다.
폭발 유닛(88)은 격발 유닛(90)에 의해 격발된다. 격발 유닛(90)은 용기(30)에 대한 기계적, 그리고 전기적인 조작 시도에 대해 작동 및 작동 중지되어 그 활성 상태에 응답한다. 이것과 관련하여, 용기(30)의 모든 외측 벽들은 보안 장치에 내장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사항은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져 그 안에 미세 철망이 삽입된 용기 벽을 가지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철망은 철망에 대한 어떠한 손상이라도 채색 유닛을 격발하도록 격발 유닛(90)과 연결된다.
또한, 인출 및 낱개화 장치(70)와 수직 이송기(72), 아울러 전향기(78)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는 제 1 제어 유닛(92)은 용기(30) 내에 위치된다. 상기 제어 유닛(92)은 커넥터(60)를 통해 현금 지급기의 하우징 상부(20)에 장착된 제 2 제어 유닛(94)과 연결된다.(도 2 참조)
또한, 하우징 상부(20)에는 용기(30)의 관통 슬롯(74)을 현금 지급기의 제어 패널(24)의 인출구(28)와 연결하는 지폐 운반 장치(96)가 창착된다. 지폐 운반 장치(96)는 저장 유닛(72)으로부터 인출된 각각의 지폐를 다발(102)로 쌓은 다음, 인출 이송기(103)를 통해 인출구(28)에서 고객에게 지급되도록 적층 바퀴(100)를 가진 수집소(98)를 포함한다. 또한, 지폐 운반 장치(96)는 추가적인 이송 직선부(104)를 가질 수 있으며, 그것을 통해 고객에 의해 인출구(28)로부터 제거되지 않은 지폐가 설정 시간 이후에 역 방향으로 이송되고 반송 용기(64)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반환된 지폐 다발은 낱개화 장치(106)에 의해 낱개화됨으로써, 상기 지폐다발은 상기 다발을 전향기(78)로써 반송 용기(64)로 전달하는 수직 이송기(72)측으로 용기(30)의 관통 슬롯(74)를 관통하여 하나하나 이송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중요하게는, 고객의 예탁 지폐는 정해진 형태, 즉 쌓여진 형태로 저장되도록 차례차례 저장 유닛(62)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돤 것은 지폐를 저장 유닛(62)으로 안내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적합한 장치 또는 낱개화 요소의 이송 방향의 역전환에 의한 낱개화 장치의 적합한 구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삽입된 지폐는, 공지된 방식으로, 삽입된 지폐의 진위 여부와 와관 상태를 점검하는 비파괴 검사 장치를 통과해야한다. 이러한 검사를 통과하지 않은 지폐는 고객에게 반환되거나 반송 용기(64)에 저장된다.
도 3은 필요한 입력 장치 또는 특별한 낱개화 장치를 갖지 않고 지폐를 순차 저장뿐만 아니라 지급하기에도 적합한, 지폐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유닛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저장 유닛은 그 외측이 손잡이(11)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서랍(108) 또는 박스 형상의 하우징을 포함한다. 서랍(108)의 내측에는 공급 롤(118)로부터 감김 코어(114)에 또는 감김 코어(114)로부터 공급 롤(118)에 감겨질 수 있는, 감김 코어(114)를 가진 감김 스토어(winding store, 112)와 2겹의 저장 벨트(116)가 있다.
감김 코어(114)는 감김 코어(114)로 움직이는 저장 벨트가 편평한 타원체 형상의 단면을 가진 권선을 형성하도록, 서로 평행하며 서로 이격되어 떨어져 있는 축들에 장착된 2개의 스풀(spool, 120)에 장착된다. 유리하게는, 순환 벨트(122)는 양쪽 스풀(120)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순환 벨트가 서로 떨어져 대면하는 스풀(120)의 외주부를 지나며 저장 벨트(116)가 감겨진 곳에 감김 코어(114)의 밀폐된 외주면을 형성한다.
저장 벨트(116)는 감김 코어(114)로 전향 롤(128, 130)에 의해 안내되는 단일 벨트(124)와 전향 롤(132, 134)에 의해 안내되는 단일 벨트(126)로 된 2개의 단일 벨트(124, 126)으로 이루어진다. 단일 벨트들(124, 126)이 감긴 전향 롤들(130 ,134) 사이의 롤 이격 틈(136)은 그 이격틈을 통해 지폐(138)가 단일 벨트(124, 126) 사이에 삽입될 수 있으며, 또한 그 이격틈으로부터 지폐(138)가 감김스토어(112)에서 인출될 수도 있다.
공급 롤(118)과 적어도 하나의 스풀(120)은 서랍(108) 내에 장착되거나 용기(30)의 서랍 외측에 장착된 역전환 구동 장치와 연결되거나 커플링 결합되며, 역전환 구동 장치가 서랍 외측에 장착된 경우, 서랍 외측의 대응 커플링(coupling)은 공급 롤(118)의 축과 관련 스풀(120)의 축을 구동 장치 또는 구동 장치들과 결합하도록 제공되어야 한다.
지폐(138)를 저장하기 위하여, 공급 롤(118)이 무부하 상태로 움직이면서 경우에 따라서는 소정 감속 상태로 스풀을 따라 움직이면서 스풀들(120) 중 하나 또는 양쪽 스풀(120)이 구동 중인 경우에, 지폐들이 공급 롤(118)로부터 감김 코어(114)를 향해 화살표(C) 방향으로 움직이면, 지폐들은 롤러 이격 틈(136)에 삽입되어 2개의 단일 벨트(124, 126)에 의해 파지되고 상기 단일 벨트들 내에 고정된다. 지폐(138)의 출력을 위해 단일 벨트들(124, 126) 사이에 저장된 지폐들이 롤러 이격 틈(136)으로부터 하나하나 이동되도록 단일 벨트들(124, 126)은 감김 코어(114)로부터 공급 롤(118)을 향해 화살표(D)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러한 경우에는, 스풀들(120)이 공급 롤을 따라 자유롭게 또는 소정 감속 상태로 움직이면서 공급 롤(118)은 구동된다. 스풀들(120)과 공급 롤(118)이 공통으로 동시적으로 일정하게 구동되면, 저장 벨트(116)의 기계적인 요건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실용적이다.
상기 서술된 저장 유닛은 비교적 납작하게 만들어짐으로써, 상기 서술된 용기의 다른 저장 유닛과 협력하여 점유 공간을 줄이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있을 수있다. 지폐를 더미 형태로 정렬시켜 저장하는 것은 특별한 기술적 수단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종래의 더미 상자에 있어서는 지폐의 저장이 불균형하여 더욱 복잡한 반면에, 상기 서술된 저장 유닛의 특별한 장점은 특별한 수단없이 지폐를 지급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연장된 감김 코어를 가진 상기된 감김 스토어의 추가적인 장점은 스풀들(120) 사이에 있는 감김 코어(114)의 단면과 지폐가 편평하게 놓인다는 점이다. 반면에, 종래의 감김 스토의의 경우에는 지폐는 항상 굽혀진다. 지폐가 오랫동안 굽혀진 감김 스토어에 있으면, 지폐는 저장 유닛으로부터 이탈된 후에도 이러한 굽혀진 상태를 지속하게 된다. 어쨌든, 굽혀진 지폐는 현금 지급기의 자동 이송 장치에서 또는 다발들로 변형하는데 있어서 다루기 힘들다.
인출 이송기(103)의 실시 예는 도 4 내지 7에 의해 도시되며, 상기 이송기는 지폐가 다발로써 관통 슬롯(74)를 통해 반송 용기로 이송되도록 지폐 다발의 두께와 강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낱개화 장치(106)는 생략될 수 있다.
인출 이송기(103)는 서로 평행한 2개의 벽들(144, 146)을 가진 지지 프레임(142)를 가진다. 상부 벨트 구동 장치(148)와 하부 벨트 구동 장치(150)는 프레임 벽들(144, 146) 사이에 장착된다. 상부 벨트 구동 장치(148)는 각각이 프레임 벽들(144, 146)에 지지된 구동 축(156)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롤(154)과 프레임 벽(144, 146)에 지지된 축(130)에 무부하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롤(158) 위를 움직이는 2개의 순환 벨트(152)를 포함한다. 하부 벨트 구동 장치(150)는 각각이 프레임 벽들(144, 146)에 지지된 구동 축(166)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롤(164)과프레임 벽들(144, 146)에 지지된 축(160)에 무부하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롤(168) 위를 움직이는 2개의 순환 벨트(162)를 포함한다. 상부 벨트 구동 장치(148)의 순환 벨트들(152)의 하부 노선은 지폐 다발을 이송하도록 하부 벨트 구동 장치(140)의 순환 벨트들(162)의 상부 노선과 협력하며, 상기된 바와 같은 것은 도 6과 7로부터 이해될 수 있다. 추가적인 2개의 롤(172)은 롤러들(172)과 순환 벨트(174)가 각각에 걸쳐 움직이는 롤러들(164)과 동축(同軸)으로 구동 축(166)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로 장착된다. 2개의 순환 벨트(174)는 지폐 이송 직선부(104)의 벨트 구동 장치를 형성하며 추가적인 벨트 구동 장치, 즉, 각각이 프레임 벽들9144, 146)에 의해 지지된 중간 축(16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지지된 상부 전향 롤(178)에 걸쳐 움직이는 추가적인 2개의 순환 벨트(176)과 협력한다. 한편에서는 도 4와 5의 비교로부터 다른 한편으로는 도 6과 7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순환 벨트들(174, 176)사이에 안내된 지폐는 벨트 구동 장치(148, 150)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은 역방향으로도 일어날 수 있다.
수평 인출 이송기의 순환 벨트(152, 162)의 처짐을 피하도록, 하부 벨트 구동 장치(150)의 순환 벨트들(162)은 지지 롤 또는 지지 롤들(182)에 걸쳐져 움직이며, 또한, 도 6과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벽들(144, 146)에 의해 지지된 축(164)에 의해 회전된다.
인출 이송기(103)와 이송 직선부(104)의 벨트 구동 장치들의 구동은 프레임 벽(146)의 내측에 장착된 모터(186)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모터의 구동륜(188)은 프레임 벽(144)의 외측면에 있어 구동 벨트(190)에 의해 구동 축(166)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구동륜(192)을 구동한다. 프레임 벽(146)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며 구동 륜(192)의 반대편에 있는 구동 축(166)의 단부는 제 1 치차(194, 齒車)를 가진다. 상기 제 1 치차는 프레임 벽(146)에 지지된 제 1 중간 치차(196)와 맞물려서 프레임 벽(146)에 지지된 제 2 중간 치차(198)를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제 2 중간 치차(198)는 중간 축(180)과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연결된 제 2 치차(200)와, 반대 편에서는 제 1 일방향 커플링(202)으로써 무부하 운동하는 걸쇠 형상으로 구동 축(156)과 커플 결합할 수 있는 제 3 치차(202)와 순차적으로 맞물린다.
구동축(156)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 4 치차(206)는 프레임 벽(144)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구동 축(156)의 일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치차(206)는 미끄럼 커플링(slip coupling)으로 만들어진 제 2 일방향 커플링(212)에 의해 중간 축(180)과 커플 결합할 수 있는 제 5 치차(210)를 프레임 벽(144)에 지지된 제 3 중간 치차(202)를 통해 구동한다. 미끄럼 커플링은 중간 축(18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동 판(21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치차(210)에 대향하여 제동 층(216)을 가진 치차(210)가 나선형의 압력 스프링(218)에 의해 눌려진다.
상기된 바와 같이, 하부 벨트 구동 장치(150)와 중간 축(180)이 모터 회전 속도와 구동 비에 의해 결정된 회전 속도와 동일하게 양쪽 회전 방향으로 구동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부 벨트 구동 장치(148)의 구동 축(156)은 걸림 커플링(204)이 연동하는 일방향으로 구동되므로, 상기 구동축(156)은 제 1치차(194), 중기 치차들(196, 198), 제 3 치차(202) 및 구동 열을 포함하는 일방향 커플링(204)을 통해 제 3 치차(202)로부터 구동 축(156)으로 회전 운동을 전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중간 축(18)의 회전 속도와 구동축(156)에 장착된 치차(206)로부터 중간 치차(208)를 통해 구동된 치차(210)의 회전 속도사이에 속도 차이가 발생하면, 그러한 속도 차이는 미끄럼 커플링(212)에 의해 흡수된다.
일 방향 커플링(204)이 연동하지 않아 치차(202)로부터 구동 축(156)으로 회전 운동을 전달하지 않는 역회전 방향에 있어서는, 구동축(156)의 구동은 치차(194), 중가 치차들(196, 198), 치차(200), 중간 축(180), 미끄럼 커플링(212), 치차(210), 중간 치차(208) 및 치차(206)으로 형성된 안내 열을 통해실행된다.
도 4와 6에 도시된 상기 이송기를 위하여, 균일하게 정렬된 가장자리를 가진 지폐 다발은 하우징(10)의 인출구(328)를 향하여 화살표(E) 방향으로 이송되어야 하고, 상부 벨트 구동 장치(148)의 순환 벨트(152)와 하부 벨트 구동 장치(150)의 순환 벨트(162)는 정확하게 동일한 속도로 움직여야 한다. 반면에, 지폐 다발이 인출구(28)로부터 도 5와 7에 따른 반송 용기(64)를 향한 방향으로 이송되면, 본 발명에 의해 지폐 다발은 상부 벨트 구동 장치(148)의 순환 벨트(152)가 하부 벨트 구동 장치(160)의 순환 벨트(162)보다 빠른 속도로 화살표(F)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인출구로부터 제거되어야 한다.
제 2 구동 열에서의 구동 비는 상부 벨트 구동 장치(148)의 구동 축(156)이 하부 벨트 구동 장치(150)의 구동 축(166)보다 빠른 속도로 움직이도록 선택된다. 반면에, 제 1구동열에 있어서의 구동 비는 구동 축들(156, 166)이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선택된다. 일방향 커플링(204)은 일방향 커플링(204)의 무부하 회전 상태가 지폐 다발의 뒷 방향 운동, 즉, 화살표(F)로 지시된 운동 방향으로 유효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부 벨트 구동 장치(148)의 구동 축(156)이 제 2 구동열의 설정된 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된다. 반면에, 화살표(E)에 의해 지시된 앞 방향으로는 일방향 커플링(204)이 실질적으로 유효하며, 구동륜(202)과 구동 축(156) 사이의 연결을 전달하는 회전 운동을 제공한다.
제 1구동 열을 통해 실행된 구동축(156)의 회전 속도는 제 2 구동열을 통해 실행된 회전 속도보다 느리기때문에, 구동축(156)은 앞 방향 운동 중 일방향 커플링(204)에 의해 제동된다. 2개의 구동 열 사이의 회전 속도 차이는 미끄럼 커플링(212)에 의해 흡수된다. 상이한 속도에서 구동 중인 벨트 구동 장치들(148, 150)에 의해, 지폐 다발의 각각의 지폐들은 운동 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밀쳐지며 즉, 지폐 다발들은 산개된다. 따라서, 다발은 전체적으로 더욱 얇아지고 더욱 유연하게 됨으로써, 용기(30)의 관통 틈(74)을 통해 삽입될 수 있고 더욱 용이하게 편향시킬 수 있다. 구동 방향을 수 회 변경시키는 것에 의해, 이러한 산개 동작은 지폐 다발이 벨트 구동 장치(148, 150) 사이에 한정된 이송 직선부 내에 완전히 없어지지 않는 한 증가될 수 있다.

Claims (36)

  1. 적어도 1개의 지폐 저장 유닛(62)용 수용 공간(14), 상기 저장 유닛(62)로부터 개개의 지폐들을 인출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 유닛(62)에 결합된 인출 장치(70), 상기 저장 유닛(62)과 현금 지급기의 제어 패널(22) 사이의 지폐 이송을 위한 지폐 이송 기구(72), 전원 공급 유닛 및 현금 지급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94)를 포함하며,
    개폐 가능하고 잠궈질 수 있는 박스 형상의 용기(30)는 그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지폐 저장 유닛(62), 인출 장치(70)를 용기 벽의 관통 슬롯(74)과 연결하는 제 1 지폐 운반 장치, 상기 인출 장치(70) 및 제 1 지폐 운반 장치(7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 용기(30)에 내장된 기능 유닛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제어 유닛(92), 및 용기(30)의 조작이 승인되지 않을 경우 용기에 수용된 지폐를 쓸모없게 만드는 보안 장치(85)가 장착되며, 현금 지급기의 하우징(10)의 수용 공간(14)은 용기(30)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은 용기(30)의 관통 슬롯(74)을 제어 패널(22)에 연결하기 위한 제 2 지폐 운반 장치(96)와 하우징(10)에 접속된 상기 유닛들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제어 유닛(94)를 가지며, 상기 용기는 제 2 제어 유닛(94)에 제 1 제어 유닛(92)을 접속하기 위하여 용기(30)의 제 1 제어 유닛(92)과 접속된 접점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2. 제 1항에 있어서, 접점부(60)가 용기(30)에 내장된 상기 기능 유닛들을 현금지급기의 전원 공급 유닛으로 접속하기 위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30)는 바퀴들(44, 46)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30)는 차대(40)에 장착되어 하부 이송 위치와, 상기 용기를 수용 공간(14)내에 삽입 가능한 들어 올린 위치 사이에서 차대에 안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5. 제 4항에 있어서, 용기(30)를 들어 올리기 위한 승강 장치(50)가 차대(40)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6. 제 5항에 있어서, 승강 장치는 가스 스프링(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7. 제 1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 부재들(56, 58)이 용기(30) 및/또는 차대(40)의 보조 부재들(59)과 서로 협력하도록 수용공간(14)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지급기.
  8. 제 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30)는 용기 몸체부(32)와 상기 용기 몸체부에 관하여 동작 가능한 플랩(24, flap)을 가지며 상기 플랩은 접촉에 의해 자유롭게 잠금 가능한 잠금 장치(38)에 의해 용기 몸체부(32)에 잠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9. 제 1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장치(86, 88, 90)는 원격 조종에 의해 격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10. 제 1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장치(86, 88, 90)가 접촉에 의해 자유롭게 작동 및 작동 중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보안 장치(86, 88, 90)는 지폐 저장소의 지폐 저장 유닛(72)을 충전한 후에 작동되어 계속적으로 작동된 상태로 있으며, 용기(32)를 현금 지급기로 이송 중에 작동 중지되지 않고, 현금 지급기로 용기를 이송하는 동안 작용범위 안으로 및 밖으로 움직이는 동안 작동 중지되지 않으며, 또한, 지폐 저장소로 역 이송 중 그것의 동작이 작동 중지되지 않고, 오직 지폐 저장소에서 작동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12. 제 1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장치(86, 88, 90)는 용기(30)와 관련한 현금 지급기의 제어 유닛(94)에 의해 작동 및 작동 중지 가능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지급기.
  13. 제 1항 내지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안 장치(86, 88, 90)는 위치 발송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14. 제 1항 내지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폐 운반 장치(92, 72)의 구동은 역전환 가능하며 저장 유닛(62)은 각각의 지폐들을 지급 및 수용하도록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지급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저장 유닛(62)은 상기 저장 유닛 내로 지폐를 정렬하여 입력하기 위한 장치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16. 제 1항 내지 15항에 있어서, 저장 유닛(62)은 인출 및 낱개화 장치(70)로 구성된 인출 기구를 가지면서 지폐의 더미(68)를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17. 제 1항 내지 1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유닛은 감김 코어(114)와 감김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 가능한 공급 롤(118)에 의해 상기 공급 롤(118)로부터 감김 코어(144)와 그 대응물에 감겨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 벨트(116)를 가지는 감김 스토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감김 코어(114)는 서로 평행하며 이격된 축인 2개의 스풀(120)을 가지며, 상기 스풀은 적어도 하나가 감기 구동 장치와 결합가능하며, 저장 벨트(116)가 서로 대면하여 이격된 스풀들의 외주면 상에서 양쪽 스풀들(120)을 공통으로 감아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2개의 스풀들(120)은 감김 코어(114)의 외곽을 형성하는 순환 벨트(122)에 의해 감싸여지고, 저장 벨트(116)가 상기 순환 벨트에 감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20. 제 18항 또는 19항에 있어서, 저장 벨트(116)는 공급 롤(118)에 복층으로 감겨지며 감김 스토어의 인출 개구부로 독립된 경로에 의해 안내되는 2개의 각각의 벨트(124, 126)를 가지며, 상기 2개의 각각의 벨트들은 지폐 입력/출력 틈(136)을 감김 스토어에 형성하며, 전향 롤(130, 134)에 의해 서로 다시 안내되어 감김 코어(114)에 복층으로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21. 제 1항 내지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급되어야 할 지폐용 적어도 하나의 지폐 저장 유닛(62)에 보조적으로 반송되어야 할 지폐용 수집소(74)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22. 제 21항에 있어서, 저장 유닛(62) 및/또는 수집소(64)는 용기(30) 내로 삽입 가능한 서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은 용기의 벽들로 둘러싸인 프레임의 레일들(66)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24. 제 22항 또는 23항에 있어서, 지폐 수용 서랍은 상이한 지폐의 폭에 대해 폭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25. 제 22항 내지 24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폐 채색 또는 파괴 유닛(85)이 각각의 서랍 위쪽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26. 제 1항 내지 25항들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저장 유닛(62)으로부터 이동된 낱개의 지폐들을 지폐 다발(102)로 만들기 위한 수집소(98)가 제 2 지폐 운반 장치(96)의 운반 경로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27. 제 1항 내지 26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지폐 운반 장치(96)는 2개의 벨트 구동 장치(148, 150)를 가진 제 1 이송 직진부(103)를 가지며 지폐 다발이 상기 벨트 구동 장치들의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순환 벨트들(152, 162) 사이에 파지되어 이송되며, 각각의 벨트들은 각각의 구동 롤(156, 166)에 의해 다른 하나의 벨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순환되며, 벨트 구동 장치들(148, 150)은 적어도 인출구(28)로부터 수집소(74)의 방향으로 상이한 속도로 구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28. 제 27항에 있어서, 각각의 벨트 구동 장치(148, 150)를 위한 구동 장치는 적어도 하나가 모터 속도에 대하여 제어 가능한 각각에 관련된 모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29. 제 27항에 있어서, 2개의 벨트 구동 장치(148, 150)는 동일한 모터(186)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2개의 벨트 구동 장치(148, 150)는 제 1 구동 열(194, 196, 198, 204, 202)에 의해 하나의 이송 방향으로 구동되고, 제 2 구동 열(194, 196, 198, 200, 180, 212, 210,208, 206)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30. 제 28항에 있어서, 제 1 벨트 구동 장치(150)의 구동 롤(166)과 상기 구동 롤과 평행한 중간 축(180)은 모터(186)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결합되고, 제 2 벨트 구동 장치(148)의 구동 롤(156)은 제 1 일방향 커플링(204)을 통해 제 1 구동 롤(166)과, 그 유효 회전 방향이 제 1 일방향 커플링(204)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일방향 커플링을 통해 중간축(180)과 회전 운동 전달하게 연결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일방향 커플링은 래치(latch) 없이 동작하는 커플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32.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일방향 커플링은 클램프(clamp) 없이 동작하는 커플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33. 제 31항 또는 32항에 있어서, 제 2 일방향 커플링은 슬립 커플링(2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34.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일방향 커플링은 마찰 커플링에 의해 저회전 운동으로 제어되는 루프 스프링 커플링(loop spring coupl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35. 제 27항 내지 34항에 있어서, 제 1 이송 직선부(103)는 2개의 벨트 구동 장치(174, 176)를 가지는 제 2 이송 장치와 결합되며, 상기 2개의 벨트 구동 장치 중 제 1 벨트 구동 장치의 순환 벨트(174)는 제 1 구동 롤(166)에 안내되며 제 2 벨트 구동 장치의 순환 벨트(176)는 중간 축(180)에 위치된 구동 롤(178)에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36. 제 35항에 있어서, 제 2 이송 직선부는 전향기(178)에 의해 제 1 이송 직선부(103)를 수집소(64)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지급기.
KR1020027009461A 2000-01-24 2001-01-24 현금 지급기 KR1007516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02841 2000-01-24
DE10002841.1 2000-01-24
DE10037465 2000-08-01
DE10037465.4 2000-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799A true KR20020079799A (ko) 2002-10-19
KR100751602B1 KR100751602B1 (ko) 2007-08-22

Family

ID=26003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9461A KR100751602B1 (ko) 2000-01-24 2001-01-24 현금 지급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824046B2 (ko)
EP (1) EP1250683B1 (ko)
JP (1) JP2003521051A (ko)
KR (1) KR100751602B1 (ko)
CN (1) CN1185605C (ko)
AT (1) ATE281678T1 (ko)
AU (1) AU3922901A (ko)
BR (1) BR0107800A (ko)
DE (1) DE50104384D1 (ko)
ES (1) ES2231456T3 (ko)
WO (1) WO2001054078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230B1 (ko) * 2005-03-29 2006-07-11 (주)아침정보기술 이동식 현금 입출금장치
KR100673040B1 (ko) * 2005-09-16 2007-01-24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 가이드장치
KR101120867B1 (ko) * 2009-11-24 2012-02-2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CN107730713A (zh) * 2017-11-22 2018-02-23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介质传输存储装置及介质鉴别终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18515D1 (de) * 2001-10-17 2007-04-12 Gary Malcolm Keyser Sicherheitsvorrichtung
WO2003046841A1 (en) * 2001-11-23 2003-06-05 De La Rue International Limited Ve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DE10210687A1 (de) * 2002-03-12 2003-10-09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zur Bearbeitung von Banknoten
ITMI20020188U1 (it) * 2002-04-05 2003-10-06 Maggi Coniature S R L Dispositivo per il supporto scorrevole e girevole di apparecchi distributori
GB2392667B (en) * 2002-09-07 2004-11-03 Nigel Francis Gamble Pusher apparatus for merchandise
ITMI20030039A1 (it) * 2003-01-14 2004-07-15 Cht S R L Dispositivo e metodo per l'immagazzinamento e/o
US8146914B2 (en) * 2003-04-01 2012-04-03 Mei, Inc. Currency cassette pressure plate assembly
JP4012853B2 (ja) * 2003-04-23 2007-11-21 アルゼ株式会社 貨幣取扱装置
NL1023517C2 (nl) * 2003-05-23 2004-12-10 Sonesto B V Kast met kluisjes.
AU2004202316A1 (en) * 2003-05-28 2004-12-16 Aruze Corp. Connecting/holding machine of cash container and connecting/holding unit of cash container
SE527111C2 (sv) * 2003-10-09 2005-12-27 Cashguard Ab Självinnesluten automatisk sedelhanteringsutrustning anpassad för kassasystem
KR100527169B1 (ko) * 2003-12-31 2005-11-09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카세트 개폐장치
DE102004017415A1 (de) * 2004-04-08 2005-10-27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rutschkupplung
JP4448398B2 (ja) * 2004-07-20 2010-04-07 富士通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SE531325C2 (sv) * 2004-09-08 2009-02-24 Gunnebo Cash Automation Ab Sedelhanteringssystem för detaljhandeln innefattande kassett
GB0426137D0 (en) * 2004-11-26 2004-12-29 Money Controls Ltd A device for processing sheet objects such as banknotes
KR101016245B1 (ko) * 2005-04-27 2011-05-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DE102005037343A1 (de) * 2005-08-04 2007-02-15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System zur Eingabe und Ausgabe von Wertscheinen
CN101025839B (zh) * 2006-02-16 2010-05-12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现金出纳机
DE102006040780A1 (de) * 2006-08-31 2008-03-06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zur Bearbeitung von Banknoten
CN101743177B (zh) * 2007-06-12 2012-06-20 西玛·迪·拉扎博尼股份及两合公司 用于有价物品的一次性容器及用于填充和封闭所述容器的机器
WO2009040946A1 (ja) * 2007-09-28 2009-04-02 Glory Ltd. 紙葉類処理機
DE102007060803A1 (de) 2007-12-18 2009-06-25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peichern von Banknoten
KR101009109B1 (ko) * 2007-12-31 2011-01-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US20110011778A1 (en) * 2008-03-31 2011-01-20 Norishige Inoue Banknote storing cassette and banknote handling machine
IT1391242B1 (it) * 2008-08-08 2011-12-01 Razzaboni Cima Spa Magazzino per banconote
DE102008038801A1 (de) 2008-08-13 2010-02-18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Rollenspeicheranordnung
DE102008045607A1 (de) * 2008-09-03 2010-03-04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Anordnung und Verfahren zur Aufbewahrung von mindestens einem Wertschein
DE102008051758A1 (de) 2008-10-15 2010-04-22 Giesecke & Devrient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arbeiten von Wertdokumenten
CN102365660B (zh) * 2009-02-02 2014-05-07 日本金钱机械株式会社 纸张类处理装置
DE102009026253A1 (de) * 2009-07-27 2011-02-03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Rollenspeicher
ES2625117T3 (es) * 2009-09-22 2017-07-18 Crane Payment Innovations, Inc. Conjunto de almacenamiento de documentos
CN102044107B (zh) * 2009-10-20 2012-02-29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可换向的纸币传输通道装置
DE102009057068A1 (de) * 2009-12-04 2011-06-09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Wertscheinen
TWI425448B (zh) * 2010-02-02 2014-02-01 Nippon Kinsen Kikai Kk 紙張類處理裝置
DE102010016808A1 (de) * 2010-05-05 2011-11-10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zum Transport und/oder zur Aufbewahrung von Wertscheinen
WO2014022868A1 (en) 2012-08-02 2014-02-06 Robson Michael Donald Bank note protection
CN103148177B (zh) * 2013-03-13 2016-02-24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单向输出的齿轮传动机构及具有该机构的纸币传输装置
USD801734S1 (en) 2014-12-01 2017-11-07 Retail Space Solutions Llc Shelf management parts
US10154739B2 (en) 2013-12-02 2018-12-18 Retail Space Solutions Llc Universal merchandiser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EP3484163A1 (en) * 2014-08-11 2019-05-15 OpenTV, Inc. Method and system to create interactivity between a main reception device and at least one secondary device
CN104637156B (zh) * 2015-03-06 2017-05-24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纸币转出控制方法、装置以及纸币存储设备
CN105584870A (zh) * 2015-07-08 2016-05-18 常州永盛新材料装备股份有限公司 有纸张展平输送和开卷提升纠偏的卷材加工设备及方法
CN106652172A (zh) * 2015-07-16 2017-05-10 固安聚龙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出钞保险柜
US9790001B2 (en) * 2015-12-11 2017-10-17 Amazon Technologies, Inc. Storage totes
DE102015122370A1 (de) * 2015-12-21 2017-06-22 Keba Ag Geldautomat
JP6584630B2 (ja) * 2016-02-25 2019-10-02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US9969583B2 (en) * 2016-06-30 2018-05-15 Ncr Corporation Ejecting damaged/deformed media
IT201600083998A1 (it) * 2016-08-09 2018-02-09 Cima Macchina per il riempimento di contenitori porta-valori e dispositivo di accoglimento e movimentazione di un contenitore porta-valori per tale macchina.
US10959540B2 (en) 2016-12-05 2021-03-30 Retail Space Solutions Llc Shelf management system, components thereof, and related methods
CA3058797A1 (en) 2017-04-27 2018-11-01 Retail Space Solutions Llc Shelf-mounted tray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DE102017109518A1 (de) * 2017-05-04 2018-11-08 Apotheke Schug e.K. Rezeptsammelstelle
CN107264120A (zh) * 2017-07-28 2017-10-20 江苏万佳科技开发股份有限公司 具有多票仓的票据箱
EP3761275A4 (en) * 2018-02-27 2021-10-13 Fujitsu Frontech Limited CASH HANDLING DEVICE
US10825308B2 (en) * 2018-04-20 2020-11-03 Crane Payment Innovations, Inc. Cashier assist automated payment system
JP6615263B2 (ja) * 2018-05-28 2019-12-04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貨幣処理装置
JP7158322B2 (ja) * 2019-03-19 2022-10-21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収納装置及び紙葉類収納方法
WO2022018604A1 (en) * 2020-07-20 2022-01-27 Emsn Initiative & Resolutions 2013 Ltd. Atm enclosure and cash loading access mechanism therefor
CN111927275A (zh) * 2020-10-13 2020-11-13 恒银金融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机芯钞箱门
CN112089212A (zh) * 2020-11-02 2020-12-18 重庆花想容信息科技有限公司 用于工程建筑的重要资料保存装置
EP4116947A1 (en) * 2021-07-09 2023-01-11 Azkoyen, S.A. Automatic collection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7193A (ko) * 1974-12-27 1976-07-03 Mitsubishi Electric Corp
US4337864A (en) * 1980-02-22 1982-07-06 Docutel Corporation Currency note dispensing system
JPS5939651A (ja) * 1982-08-28 1984-03-05 Fuji Xerox Co Ltd 用紙両面供給装置
JPS5964448A (ja) * 1982-09-30 1984-04-12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紙幣類払出装置
US4603847A (en) 1983-05-26 1986-08-05 Glory Kogyo Kabushiki Kaisha Bank note processing machine equipped with a cassette for accommodating bank notes
JPS6462243A (en) * 1987-09-01 1989-03-08 Sanwa Metal Ind Arm with joint ball and its production
JPH0498387A (ja) * 1990-08-10 1992-03-31 Laurel Bank Mach Co Ltd キャッシユボックス
AU2341692A (en) * 1991-07-19 1993-02-23 Transalarm Limited Document invalidation apparatus and trigger for operation thereof
JPH06179546A (ja) * 1992-12-15 1994-06-28 Ace Denken:Kk 紙片幅寄せ機構及び紙片搬送装置
ZA944849B (en) * 1993-04-05 1995-03-20 First National Bank Of Souther A system for the secure transportation of articles
GB9309183D0 (en) * 1993-05-05 1993-06-16 Ici Plc Device for bank note containers
DE19536481A1 (de) 1995-09-29 1997-04-03 Siemens Nixdorf Inf Syst Geldannahme- und -ausgabeautomat
JP3295289B2 (ja) * 1995-11-22 2002-06-24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KR100328629B1 (ko) * 1995-12-29 2002-08-08 엘지전자주식회사 보안 원격 부팅 시스템
GB9812837D0 (en) * 1998-06-16 1998-08-12 Ncr Int Inc Sheet dispensing mechanism
GB2353067B (en) 1999-07-19 2001-07-18 Spinnaker Int Ltd Security cabinet,combined security unit and ATM pick unit,and ATM including such an arrangement
KR20190000980U (ko) * 2017-10-18 2019-04-26 조현제 복합 기능을 가진 목걸이용 부력패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230B1 (ko) * 2005-03-29 2006-07-11 (주)아침정보기술 이동식 현금 입출금장치
KR100673040B1 (ko) * 2005-09-16 2007-01-24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 가이드장치
KR101120867B1 (ko) * 2009-11-24 2012-02-2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CN107730713A (zh) * 2017-11-22 2018-02-23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介质传输存储装置及介质鉴别终端
CN107730713B (zh) * 2017-11-22 2024-02-06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介质传输存储装置及介质鉴别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922901A (en) 2001-07-31
CN1395715A (zh) 2003-02-05
WO2001054078A3 (de) 2002-03-14
ATE281678T1 (de) 2004-11-15
BR0107800A (pt) 2002-10-22
WO2001054078A2 (de) 2001-07-26
ES2231456T3 (es) 2005-05-16
EP1250683A2 (de) 2002-10-23
EP1250683B1 (de) 2004-11-03
JP2003521051A (ja) 2003-07-08
US6824046B2 (en) 2004-11-30
DE50104384D1 (de) 2004-12-09
KR100751602B1 (ko) 2007-08-22
US20030000957A1 (en) 2003-01-02
CN1185605C (zh) 2005-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1602B1 (ko) 현금 지급기
KR100351172B1 (ko) 지폐입출금기
JP3815651B2 (ja) 紙幣入出金機
JP4559697B2 (ja) 循環式紙幣入出金機
CA2577835C (en) Cash-handling system
JP4325886B2 (ja) 紙幣入出金機
JP3451988B2 (ja) 紙幣カセット
JP3600762B2 (ja) 循環式貨幣処理装置
JP2003151001A (ja) 循環式貨幣処理装置
JP2006127131A5 (ko)
GB2134493A (en) Currency note storing and despensing system
JP3685895B2 (ja) 紙幣入出金機
JP4212857B2 (ja) 紙幣処理装置
JP5498516B2 (ja) 紙幣入出金機
JP5498549B2 (ja) 紙幣入出金機
JP2576652Y2 (ja) 紙幣自動支払装置
JPH0363786B2 (ko)
KR100372586B1 (ko) 지폐 입출금기
KR100603522B1 (ko) 지폐자동지급기의 고객취납장치
JP3724836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3029401B2 (ja) 自動取引装置
JP2597591Y2 (ja) 紙幣自動支払装置
JPH0670812B2 (ja) 取引装置
JPH0323954B2 (ko)
CN107481403A (zh) 存款纸币和或取款纸币的纸币存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