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7643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7643A
KR20020077643A KR1020020010808A KR20020010808A KR20020077643A KR 20020077643 A KR20020077643 A KR 20020077643A KR 1020020010808 A KR1020020010808 A KR 1020020010808A KR 20020010808 A KR20020010808 A KR 20020010808A KR 20020077643 A KR20020077643 A KR 20020077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shes
washing
temperature
wash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0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7032B1 (ko
Inventor
하라다테쓰오
마쓰노토모히코
후쿠이야스히사
지쓰다켄이치
무라카미토시유키
나이토마사히로
오쿠순이치로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7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7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0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34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5Water-heat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1Water supply, e.g. opening or closure of the water inlet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2Water discharge, e.g. opening or closure of discharge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6Water hea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4Steam gen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04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말라 굳어진 밥알이 식기에 달라붙어 있는 경우라도, 충분히 식기로부터 밥알을 씻어 낼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세정탱크(5) 내부의 물의 온도를 80℃까지 상승시키는 것으로 세정탱크(5) 내부에는 80℃ 또는 그것에 가까운 온도의 증기가 충만하게 되고, 이 증기에 의해 식기가 쪄진다. 또한, 전방 노즐암(15) 및 후방 노즐암(17)으로부터 80℃의 물이 뿜어지는 것에 의해서도 식기가 쪄진다. 쌀에 가한 물의 온도가 75℃ 이상이면 쌀의 전분의 호화가 진행하기 때문에, 이 경우, 식기에 부착된 밥알은 충분히 풀린다. 풀린 밥알은, 전방 노즐암(15) 및 후방 노즐암(17)으로부터 물이 뿜어지는 것에 의해 씻어 버려진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에서는, 세정조 내부에 모인 세정수(세제가 녹은 물)를 히터에 의해 가열하는 동시에, 이 가열된 세정수를 펌프에 의해 노즐로 보내고, 노즐에 의해 식기에 세정수를 뿜어 식기를 씻도록 하고 있다.
종래, 식기의 세척에 있어서 사용되는 세정수의 가열온도는 60℃ 정도이었다. 이 때문에, 말라 굳어진 밥알이 식기에 달라붙어 있는 경우, 이와 같은 밥알을 충분히 풀리게 할 수(호화(糊化)할 수) 없어, 밥알이 완전히 떨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해,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싱크대에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식기세척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식기세척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식기세척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면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식기세척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 횡단면도이다.
도 6은 식기세척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정면 종단면도이다.
도 7은 히터커버, 흡기실 및 건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식기바구니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식기바구니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상부 바구니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 식기바구니의 주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문의 이면의 구성을 나타낸 문을 연 상태의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식기바구니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식기세척기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의 식기세척기의 전기계통 구성도이다.
도 14는 증기 코스에서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세정탱크(세정조)
10: 세정 겸용 배수펌프(물 분사수단)
15: 전방 노즐암(물 분사수단)
17: 후방 노즐암(물 분사수단)
23: 히터(가열수단)62: 제어부(제어수단)
68: 급수밸브(급수수단)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식기세척기는, 세정조 저부에 모인 물을 세정조에 수용된 식기에 뿜는 것에 의해 식기의 세척, 헹굼을 행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식기를 씻는 세척행정에서, 상기 세정조 저부에 존재하며 쌀의 전분의 호화가 진행되는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물로부터 나오는 증기에 의해 식기를 찌고, 찐 식기(4)에 물을 뿜어 식기를 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식기세척기는, 식기를 수용하는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의 저부에 모인 물을 식기에 뿜는 물 분사수단과, 상기 세정조의 저부에 모인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물 분사수단 및 가열수단의 동작을 제어하여, 식기를 씻는 세척행정, 식기를 헹구는 헹굼행정을 순차적으로 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서, 세척행정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의 동작에 의해 상기 세정조 내부에 모인 물을, 쌀의 전분의 호화가 진행되는 약 75℃ 이상의 찜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 온도의 물로부터 나온 증기에 의해 식기를 찌며, 상기물 분사수단의 동작에 의해 찐 식기에 물을 뿜어 식기를 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한 식기세척기는, 식기를 수용하는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의 저부에 모인 물을 식기에 뿜는 물 분사수단과, 상기 세정조 내부로 급수하는 급수수단과, 상기 세정조의 저부에 모인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물 분사수단 및 가열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며, 식기를 씻는 세척행정, 식기를 헹구는 헹굼행정을 순차적으로 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서, 상기 세척행정에 있어서,
상기 급수수단의 동작에 의해 단백질의 응고온도보다도 낮은 온도의 물을 공급하여 상기 세정조의 저부에 모아, 모인 물을, 상기 가열수단의 동작에 의해 쌀의 전분의 호화가 진행되는 약 75℃ 이상의 찜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 온도의 물로부터 나온 증기에 의해 식기를 쪄, 상기 물 분사수단의 동작에 의해 찐 식기에 물을 뿜어, 식기를 씻는 동시에,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상기 세정조 저부의 물이 상기 찜 온도까지 가열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세정조 저부의 물이 단백질의 응고온도에 이를 때까지의 단계에서, 상기 물 분사수단의 동작에 의해 단백질의 응고온도보다도 낮은 온도의 물을 식기에 뿜어 식기를 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쌀의 전분은 물과 열을 가하는 것에 의해 호화될 수 있는데, 73℃∼75℃에서 호화가 진행하여, 걸쭉하게 풀리는 것이 판명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서는, 세정조 내부에 모인 물을 찜 온도, 예를 들면80℃까지 가열한다. 이 찜 온도는, 쌀에 가한 물의 온도가 75℃ 이상이면, 쌀의 전분의 호화가 진행되는 것을 고려하여, 75℃ 이상의 온도로 설정한 온도이다. 이와 같이 하여, 찜 온도가 된 물로부터 나온 증기를 세정조 내부에 충만시켜 식기를 찐다. 이때의 증기의 온도는 찜 온도 또는 그것에 가까운 온도로 되고 있기 때문에, 식기에 달라붙은 밥알이 충분히 풀린다. 이와 같이 하여, 풀린 밥알은, 식기에 뿜어진 물에 의해 씻어내어진다.
따라서, 말라 굳어진 밥알이 식기에 달라붙어 있는 것과 같은 경우라도, 충분히 식기로부터 밥알을 씻어 낼 수 있다.
그런데, 식기에는 단백질의 오물도 부착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단백질의 응고온도는 약 60℃로서, 식기에 단백질 오물이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한 것과 같은 고온의 증기를 닿게 하면, 단백질이 응고하여 버릴 우려가 있다. 이렇게 되면, 이번에는 식기에 단백질 오물이 남아 버릴 우려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한 식기세척기에서는, 찜 온도까지 가열하는 과정에 있어서, 가열된 물이 단백질의 응고온도가 될 때까지의 단계에서 식기에 물을 뿜어 식기를 씻어, 단백질 오물을 떨어뜨리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고온의 증기로 찜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단백질 오물이 남아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일 실시예에 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설명한다. 이때, 좌우의 표현은 식기세척기의 정면을 보았을 때에 의한 것으로 한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식기세척기(1)는, 소위 탁상형으로, 싱크대(100)의 싱크(101)의 옆의 공간 A(벽과 싱크의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식기세척기(1)의 전방면, 즉 문(2)이, 싱크대(100)의 정면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식기세척기(1)에의 식기의 출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식기세척기(1)는, 외형치수가 종래의 탁상형 식기세척기와 다르게, 가로폭의 치수가 안길이의 치수에 비해 상당히 작아, 가로폭: 안길이= 1:1.5 이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로폭 W가 약 335mm, 안길이 D가 약 520mm, 높이 H가 약 520mm이다(도 1 내지 도 3을 참조).
캐비넷(3)의 저면에는 전후 좌우에 4개의 다리(4)가 설치되어 있다. 좌우의 다리(4)의 폭 X는 약 190mm이다. 또한, 캐비넷(3)의 일측면과 이 일측면에서 먼 쪽의 다리(4)의 저면의 가장 바깥쪽의 치수 Y(이하, 측면-다리 치수라 한다)는 약 280mm이다.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싱크대에 있어서는, 싱크 옆의 공간 A에서 가장 좁은 것은 150mm이다. 식기세척기에서는 270mm의 큰접시를 세정할 수 있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 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실현은 매우 어렵다. 싱크 옆의 공간 A에서 다음으로 좁은 것은 300mm이다. 따라서, 한 쪽이 벽이 되는 300mm의 공간에 설치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측면-다리 치수를 300mm 이하로 할필요가 있다.
가로폭 W를 크게 하면, 측면-다리 치수와의 관계에서 좌우의 다리(4)의 폭 X가 줄어들어, 식기세척기(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안정된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 가로폭 W는 350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구나, 270mm의 큰접시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설계상, 가로폭 W는 300mm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탁상형 식기세척기(1)에서는, 가로폭 W는 300mm 이상 350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것과 같은 치수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싱크(101)의 옆의 공간 A가 충분히 없는 싱크대(100)에 있어서도, 문(2)이 싱크대(100)의 정면을 향한(같은 방향을 향한) 상태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캐비넷(3) 내부에는 세정탱크(5)가 배치되어 있다. 이 세정탱크(5)는, 전방면에 식기투입구(6)가 형성된 수지탱크(7)와, 수지탱크(7)의 상부 내벽을 덮도록 부착된 내부식성의 금속,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제의 패널(8)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지탱크(7)는, 전방면 및 하면이 개방하는 상부탱크(7a)와 상면이 개방하는 하부탱크(7b)를 결합하여 만들어져 있다. 상기 패널(8)은, 상부면 및 이 상부면의 후방 가장자리에서 수직 하강한 후면 및 상부면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수직 하강한 측면을 갖고 있다. 패널(8)의 하단(8a)은 상부탱크(7a)와 하부탱크(7b)의 이음매부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한다. 즉, 이음매부는 패널(8)에 의해 덮어져 있어, 세정시에 이음매부로부터 물이 새기 어렵도록 하고 있다. 상기 세정탱크(5)는, 캐비넷(3)의 외형에 맞추어, 역시 안길이의 치수에 비해 가로폭의 치수가 작게 되어있다. 구체적으로는, 가로폭이 약 290mm, 안길이가 약 450mm, 높이 약 460mm이다.
상기 세정탱크(5)의 저면에는, 일부의 밑바닥을 깊게 하여 저수조(9)를 형성하고 있다. 이 저수조(9)는 저면 전방부의 좌측 근처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저수조(9)는, 세정 겸용 배수펌프(10)(이하, 세정펌프로 약칭한다)에 연결되어 있다. 이 저수조(9)의 상부에는 식기에서 나온 찌꺼기를 회수하는 찌꺼기필터(11)가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찌꺼기필터(11)의 앞쪽에는 손잡이(11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정탱크(5)의 저면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9)의 후방부분, 즉 우측의 중앙에서 후방에 걸친 부분은, 좌측의 부분에 비해 높게 융기시켜, 융기부(12)를 형성하고 있다. 이 융기부(12)에는, 길이가 긴 노즐베이스(13)를 길이방향(전후 방향)으로 배치하고 있다. 노즐베이스(13)는, 유로를 구성하기 위해 중공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세정펌프(10)의 토출측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세정펌프(10)는 세정탱크(5)의 외부 저면에서 융기부(12)의 이면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노즐베이스(13)의 선단부의 상부면에는 전방 노즐축(14)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전방 노즐축(14)에는 전방 노즐암(15)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노즐베이스(13)의 중앙 약간 뒤쪽의 상부면에는 후방 노즐축(16)이 형성되어 있고, 이 후방 노즐축(16)에는 후방 노즐암(17)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방 노즐암(15)은, 주로 상기 세정탱크(5) 내부의 전방측에 수용된 식기를 세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면에는 분사구를 구비한 노즐(15a)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후방 노즐암(17)은, 주로 세정탱크(5) 내부의 후방측에 수용된 식기를 세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면에는 분사구를 구비한 노즐(17a)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세정시에, 세정펌프(10)가 세정동작을 행하면, 세정탱크(5) 저부에 모인 물은, 세정펌프(10)에 의해, 노즐베이스(13)로 보내지고, 노즐베이스(13)를 통해 전방 노즐암(15) 및 후방 노즐암(17)으로 보내진다. 이것에 의해, 노즐암(15, 17)은 회전하면서 위쪽을 향해 물을 분사하고, 식기바구니(후술한다)에 수용된 식기에 물이 끼얹어져, 식기가 세정된다.
또한, 배수시에, 세정펌프(10)가 배수동작을 행하면, 세정탱크(5) 저부의 물이 배수호스(18)를 통해 기기 밖으로 배출된다. 탁상형의 식기세척기의 경우에는, 배수호스(18)의 끝은 싱크(101) 내부로 들어가기 때문에, 싱크(101) 내부로 배수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노즐베이스(13)의 선단부(13a)는 약간 중앙측으로 구부러져 있고, 후방 노즐축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13b)는 약간 중앙측으로 튀어나와 있다. 이것에 의해, 전방 노즐암(15)의 중심(전방 노즐축(14)) 및 후방 노즐암(17)의 중심(후방 노즐축(16))을 상기 세정탱크(5) 내부의 좌우방향에서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노즐베이스(13)의 선단부(13a)는, 찌꺼기필터(11)의 위쪽으로 튀어나와 있다. 또한, 찌꺼기필터(11)와 노즐베이스(13) 사이에는, 찌꺼기필터(11)를 분리하기 위한 공간 B를 만들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융기부(12)에 노즐베이스(13)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공간 B가 확보되고 있다.
종길이로 가로폭이 좁은 세정탱크(5)의 경우, 가로폭으로 규제되기 때문에 노즐암(15, 17)은 너무 길게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전방 노즐암(15)을 충분히 앞에 배치하지 않으면 전방측의 식기를 충분히 세정할 수 없다. 또한, 찌꺼기필터(11)의 탈착의 용이함을 고려하면, 저수조(9)는 세정탱크(5)의 전방부에 배치하지 않으면 안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노즐베이스(13)를, 찌꺼기필터(11)의 분리 공간 B를 확보하기 위해, 찌꺼기필터(11), 즉 저수조(9)의 위쪽까지 튀어나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전방 노즐축(14)을, 즉 전방 노즐암(15)을 충분히 앞쪽에 배치시킬 수 있어, 앞쪽의 식기를 충분히 세정할 수 있다. 더구나, 찌꺼기필터(11)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상기 융기부(12)에 있어서, 상기 노즐베이스(13)의 후단부의 좌측 옆에는 급수노즐(19)이 설치되어 있다. 이 급수노즐(19)은, 상기 세정탱크(5)와 일체로 성형된 급수구(20)와, 급수구(20)를 덮는 급수커버(21)로 이루어진다. 이 급수노즐(19)은, 급수호스(22)에 접속되어 있고, 급수호스(22)로부터 보내져 온 물은 이 급수노즐(19)로부터 세정탱크(5) 내부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세정탱크(5) 내부에 물이 모인다.
상기 세정탱크(5)의 저부에 있어서의, 우측의 부분(노즐베이스(13)의 우측 옆의 위치)에는, 후방부에서 중앙 약간 전방부에 걸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히터(시즈히터(Sheath Heater))(23)가 배치되어 있다. 이 히터(23)는, 세정시에는 상기 세정탱크(5)의 저부에 모인 물을 따뜻하게 한다. 또한, 건조시에는 세정탱크(5) 내부, 및 송풍장치(후술한다)에 의해 세정탱크(5) 내부에 보내져 온 바람을 따뜻하게 한다. 이 히터(23)는, 가열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 외부 루프(23a)와 내부 루프(23b)로 이루어진 2중 루프 형상을 하고, 후단부(23c)는 오른쪽으로 구부려져 있으며, 단자부(23d)는 세정탱크(5)의 측벽 후방에서 탱크 밖으로 나가도록 하고 있다. 가로폭이 좁은 세정탱크(5)에서는, 후방 벽측에 비해 측벽측 쪽이 공간에 여유가 있고, 여유가 있는 측벽측에 단자부(23d)를 내고 있기 때문에, 단자부(23d)가 다른 구성부재의 방해가 되기 어렵다.
상기 히터(23)의 후방에 있어서 상기 세정탱크(5)의 후방벽 하부 근방에는, 흡기실(24)이 설치되어 있다. 이 흡기실(24)의 전방면 하부에는, 세정탱크(5) 내부로의 흡기구(24a)가 설치되어 있다. 세정탱크(5)의 외부 저면에 있어서 우측 후방부의 위치(세정펌프의 옆)에는, 송풍팬(25a)을 구비한 송풍장치(25)가 설치되어 있다. 송풍장치(25)의 동작에 의해 외기가 받아들여져 흡기실(24)로 보내지고, 건조풍으로서 흡기구(24a)에서 세정탱크(5) 내부로 송출된다. 흡기실(24)의 내부 상부면(24b)은 구면 형태를 이루어,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흡기실(24) 내부로 토출된 바람이 스무스하게 흡기구(24a)로 보내진다(도 7 참조). 또한, 외부 상부면(24c)도 구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정후에 이 외부 상부면(24c) 위에 물이 남기 어렵다. 이때, 상기 히터(23)의 단자부(23d)는, 전술한 것과 같이, 세정탱크(5)의 측벽으로부터 탱크 밖으로 나와 있기 때문에, 히터(23)의 후방에 흡기실(24)이 있더라도 방해로 되지 않는다.
상기 히터(23)의 위쪽 및 전방은 히터커버(26)로 덮어져 있다. 이 히터커버(26)의 재질은, 내부식성의 금속,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로 한다. 히터커버(26)의 후단은, 상기 흡기구(24a)에 접속되어 있다. 히터커버(26)의 상부면(26a)에는, 하측으로 튀어나온 루버(27)가 2열로 되어 다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히터커버(26)의 전방면(26b)에는 작은 원형 구멍(28)이 다수 열려 있다. 종래, 히터커버(26)의 상부면(26a)에는, 전방면(26b)과 동일한 작은 원형 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있었지만, 젓가락의 선단 부분 등이 원형 구멍으로부터 히터커버(26) 내부로 들어와 버려 히터(23)와 접촉하여 버릴 우려가 있었다. 여기서는, 루버(27)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젓가락의 선단 부분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건조시에는, 송풍장치(25) 및 히터(23)가 동작한다. 송풍장치(25)의 동작에 의해, 세정탱크(5) 내부로 보내진 바람은, 히터(23)를 거쳐 따뜻해져 상승하고, 위쪽에 있는 식기에 맞닿아, 식기로부터 수분을 빼앗은 후, 문(2)에 설치된 배기구(후술한다)에서 기기 밖으로 배출된다.
상기한 루버(27)의 개구 방향은, 흡기구(24a)로부터의 바람의 흐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하고 있다. 즉, 루버(27)의 개구가 바람의 흐름 방향을 향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루버(27)의 개구 방향이 바람의 흐름 방향을 향하고 있으면, 루버(27)를 따라 바람이 흐르고, 바람의 전방으로의 기세가 증가하여, 따뜻한 바람이 세정탱크(5) 내부의 식기에 맞닿지 않고 전방면의 배기구(후술한다)에서 배기되어 버린다. 이러한 점에서, 루버(27)의 개구가 바람의 흐름 방향을 향하지 않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것과 같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세정탱크(5)의 전방측에 있어서, 우측 벽면의 외측에는 수위검지실(29)이 설치된다. 이 수위검지실(29)은, 접속호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상기 저수조(9)에 연결되어 있다. 이 수위검지실(29) 내부에는, 플로트(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어, 세정탱크(5) 내부의 수위상승에 따른 플로트의 수위 상승을 검지하는 것에 의해, 세정탱크(5) 내부의 수위가 검지된다. 가로폭이 좁은 세정탱크(5)의 경우에는, 후방 벽측에 비해 측벽측 쪽이 공간에 여유가 있어, 여유가 있는 측벽측에 수위검지실(29)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수위검지실(29)이 다른 구성부재의 방해가 되기 어렵다. 또한, 이 수위검지실(29)은, 저수조(9)에서 먼 쪽의 벽면의 외측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세정탱크(5) 내부에서 발생한 거품이 수위검지실(29)에 침입하고 어려워, 거품의 영향에 의한 수위검지 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세정탱크(5) 내부에 수용된 식기는 식기바구니(30)에 지지된다. 이 식기바구니(30)는, 복수의 선재로 바구니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식기바구니(30)는, 주로 접시나 주발을 지지하는 하부 바구니(31)와, 하부 바구니(31)의 후방부의 위쪽에 설치하여, 주로 컵, 찻잔 등을 지지하는 상부 바구니(32)(선반형으로 되어 있다)로 구성된다. 이 식기바구니(30)는, 세정탱크(5)의 외형에 맞추어 슬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안길이의 치수에 비해 가로폭의 치수가 상당히 작아져 있다.
본 실시예의 식기세척기(1)와 같이, 안길이에 대해 상당히 가로폭이 좁은 슬림형의 식기세척기의 경우, 상부 바구니(32)를 하부 바구니(31)의 후방부 위쪽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식기바구니(30)는, 후방부의 일부를 캐비넷(3) 내부에 남긴 상태에서 대부분이 문(2)의 이면으로 인출되지만, 식기바구니(30)가 종길이인 경우에는, 뒤쪽까지 식기를 넣기 쉽게 하기 위해 인출 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식기의 무게로 식기세척기(1) 본체가 앞으로 뒤집어지기 쉬워진다. 여기서는,상부 바구니(32)를 후방부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식기가 수용된 상태의 식기바구니(30)의 중심을 보다 후방으로 할 수 있어, 식기를 수용한 상태에서 식기바구니(30)를 인출하였을 때의 식기세척기(1) 본체의 뒤집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바구니(32)를 설치한 상태 그대로라도, 하부 바구니(31)에 식기를 넣기 쉽다.
하부 바구니(31)에는, 식기의 종류에 대응하여 각종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전방부 중앙에는 큰접시 지지부(33)가 설치되어 있다. 큰접시 지지부(33)는, 상부가 역 八자로 넓어진 한쌍의 핀(34)을 전후 방향으로 복수개 나란히 세운 것으로, 인접하는 한쌍의 핀(34) 사이에 접시를 끼우는 것에 의해, 접시를 세워 설치하여 지지한다. 큰접시 지지부(33)의 후방 우측 근처에는 밥공기 지지부(35)가 설치되어 있다. 밥공기 지지부는, 중앙부를 밥공기 형태로 본뜬 게이트(36)를 전후 방향으로 복수개 나란히 세운 것으로, 인접하는 게이트(36) 사이에 밥공기를 끼워 세워 설치하여 지지한다. 이 밥공기 지지부(35)는, 통상적으로는 밥공기를 지지하지만, 사발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큰접시 지지부(33)의 후방 좌측 근처에는 국공기 지지부(37)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국공기 지지부(37)는, 약간 후방으로 경사진 사각형의 게이트(38)를 전후 방향으로 복수개 나란히 세운 것으로, 인접하는 게이트(38) 사이에 국공기를 끼워 세워 설치하여 지지한다. 큰접시 지지부(33)의 전방 및 측방, 즉 하부 바구니에 있어서 전방부 주연부는, 작은접시 지지부(39)로 되어 있다. 작은접시 지지부(39)에는, 바구니의 외부 프레임과의 사이에 작은 접시를 지지하는 게이트(40)가 구비되어 있다.
큰접시 지지부(33)와 국공기 지지부(37) 사이에는, 젓가락이나 숫가락 등을 수용하는 수지제의 스탠드(41)가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스탠드(41)의 좌측면은, 하부 바구니(31)의 좌측의 외부 프레임에 근접하고 있고, 이 외부 프레임에는, 스탠드(41)에 대응하여 스탠드(41)보다도 키가 크고, 스탠드(41)의 안길이보다도 약간 폭이 넓은 게이트(42)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게이트(42)에 의해, 스탠드(41)에 수용된 젓가락 등이 하부 바구니(31)의 밖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하부 바구니(31)의 후방부에는, 상부 바구니(32)의 후방부를 둘러싸도록 프레임체(43)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체(43)는 우측 프레임(43a), 좌측 프레임(43b) 및 후방 프레임(43c)으로 이루어진다. 상부 바구니(32)는, 상부 바구니(32)의 전방부를 구성하는 전방 바구니(44)와 후방부를 구성하는 후방 바구니(45)로 이루어진다. 후방 바구니(45)는, 후방 프레임(43c)으로 형성된 지지부재(46)에 의해, 설치상태에서는 뒤쪽이 낮아지도록 약간 경사진 상태로 지지된다. 또한, 지지부재(46)를 지지점으로 하여 설치상태로부터 위쪽으로 회동가능하다. 전방 바구니(44)는, 후방 바구니(45)의 전방 단부에 설치된 지지부(47)에 의해 지지되고, 설치상태에서는 후방 바구니(45)와 마찬가지로 뒤쪽이 낮아지도록 약간 경사진 상태로 된다. 또한, 지지부(47)를 지지점로 하여 위쪽으로 회동가능하다.
상기 상부 바구니(32)의 아래쪽에 큰 식기를 넣을 때에는, 상부 바구니(32)가 방해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상부 바구니(32)를 닫을 수 있다. 즉, 우선, 전방 바구니(44)를 회동시켜 후방 바구니(45) 위에 포갠다. 다음에, 전방 바구니(44)가 겹쳐진 상태에서 후방 바구니(45)를 회동시켜 후방 프레임(43c)에 기대게 한다. 이와 같이, 상부 바구니(32)를 둘로 접어 포갠 후, 후방 프레임(43c)에 기대게 하여 세워 설치하여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 바구니(32)의 우측 단부과 우측의 외부 프레임(우측 프레임(43a)) 사이에는, 간극 C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간극 C는, 하부 바구니(31)의 우측 단부에 도마를 세운 상태에서 수용하였을 때, 도마의 상부를 놓기 위한 것이다.
상부 바구니(31) 중에서, 후방 바구니(45)에는, 컵이 2열로 하여 나란하게 놓이고, 1열에 4개의 표준적인 컵이 나란히 놓인다. 후방 바구니(45)에는 합계 8개의 표준적인 컵을 수용할 수 있다. 각 열의 제일 우측 단부의 컵은, 컵의 일부가 간극 C로 튀어나온 상태로 되지만, 컵의 측면부를 우측 프레임(43a)으로 지탱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때, 간극 C에 도마가 수용된 경우에는, 제일 우측 단부의 컵은 놓을 수가 없어, 수용가능한 컵은 6개가 된다.
한편, 전방 바구니(44)의 좌우에는 프레임체(43)가 없기 때문에, 전방 바구니(44)의 양측단에 프레임부(48)를 설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전방 바구니(44)에서는, 도마가 수용되고 있지 않더라도 간극 C를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후방 바구니(45)와 마찬가지로 컵을 4개 놓을 수 없다. 여기서는, 전방 바구니(44)의 우측 단부를 앞쪽으로 약간 튀어나도록 연장시켜, 돌출부(49)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가장 우측의 컵을 좌측 옆의 컵보다도 약간 앞으로 치우치게 하여 수용가능하도록 하고 있다(도 4 참조). 이와 같이 하여, 간극 C 부분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컵을 4개 나란히 놓아지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식기세척기(1)에서는, 상기 문(2)을 연 상태에서, 문(2)의 이면측으로 상기 식기바구니(30)를 인출시키는 구조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 바구니(31)의 저부의 네 귀퉁이에는 로울러(5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세정탱크(5)의 양 측벽 하부에는, 식기바구니(30)를 세정탱크(5) 내부에 지지하는 동시에, 로울러(50)가 굴러가는 레일부(51)가 설치되어 있다. 문(2) 측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런데, 하부 바구니(31)에 있어서, 국공기 지지부(37)에는, 식기가 비교적 빽빽한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이것은, 국공기 지지부(37)에서는, 밑바닥이 깊은 국공기가 간격이 적게 나란히 놓이기 때문이다. 한편, 밥공기 지지부(35)에는 식기가 비교적 드문 형태로 수용되어 있다. 이것은, 국공기에 비해 밑바닥이 얕은 밥공기가 어느 정도 여유(간극)를 가진 상태로 나란하게 놓여져 있기 때문이다. 밥공기 지지부(35)에서는, 사발을 수용하는 것을 고려하여, 여유를 갖게 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부 바구니(32)에 있어서, 밥공기 지지부(35)의 위쪽, 즉 우측에 수용된 컵에는, 후방 노즐암(17)에서 분사된 물이 충분히 닿지만, 국공기 지지부(37)의 위쪽, 즉 좌측에 수용된 컵에는 물이 충분히 닿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실시예의 식기세척기(1)에서는, 상부 바구니(32)의 좌측에 수용된 컵을 세정하기 위해, 세정탱크(5)의 좌측벽의 내면 하부에 보조 노즐체(52)를 설치하고 있다. 이 보조 노즐체(52)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가 긴 형상을 갖고, 전방면에는 분사구를 갖는 4개의 노즐(52a)이 설치된다. 이들 노즐(52a)은 상부바구니(32)의 좌측에 수용된 컵을 향해 물을 분사한다. 이 보조 노즐체(52)의 후단부에는 접속구멍(53)이 설치되어 있어, 송수관(54)의 일단이 접속된다. 이 송수관(54)의 타단은 상기 노즐베이스(13)의 후단 상부면에 접속되어 있다. 이 송수관(54)은, 노즐베이스(13)와의 접속구멍(73)으로부터 세정탱크(5)의 후방 벽내면을 따라 일단 위쪽으로 연장된 후, 좌측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고, 세정탱크(5)의 좌측 후방 코너 부분에서 보조 노즐체(52)의 접속구멍(53)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하부 바구니(31)의 식기의 수납 상태가 빽빽하여, 이 영역의 위쪽인 한쪽에 후방 노즐암(17)으로부터의 물이 닿기 어려운 상부 바구니(32)의 영역(좌측의 영역)에 보조 노즐체(52)에 의해 물을 분사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 배치된 컵을 충분히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송수관(54)은, 세정탱크(5) 내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만일, 보조 노즐체(52)나 노즐베이스(13)의 접속이나 밀폐가 불충분하여, 이 부분에서 물이 새어 나갔다고 하더라도, 세정탱크(5) 내부로 샐 뿐이므로, 기기 밖으로 새는 일은 없다. 더구나, 세정탱크(5)의 측벽에 있는 보조 노즐체(52)에 대해, 송수관(54)을 세정탱크(5)의 후방벽으로부터 돌려넣도록 하여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송수관(54)이 상기 레일부(51)를 가로지르는 것과 같은 일이 없어, 송수관(54)에 의해 식기바구니(30)의 인출이나 수납 동작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이때, 송수관(54)의 노즐베이스(13)와의 접속위치는, 상기 급수노즐의 근방이 되도록 하는 동시에, 송수관(54)과 상기 급수커버(21)를 함께 수지제로서 일체성형하고 있다.
캐비넷(3)의 전방면, 즉 상기 식기투입구(6)를 덮는 상기 문(2)은, 하단이 개폐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 하단을 축으로 전방으로 열린다. 이 문(2)의 전방면의 상부 중앙에는 손잡이(55)가 설치되고 있고, 손잡이(55)의 양측에는, 배기구(5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문(2)의 이면에 있어서 양단 부분에는, 문(2)의 개방시에 상기 식기바구니(30)를 문(2)의 이면으로 인출하였을 때, 상기 로울러(51)를 받는 로울러 받침(57)이 설치되어 있다. 이 로울러 받침(57)은, 문(2)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로울러 받침(57)은 문(2)의 단부의 이면을 중앙부보다도 뒤쪽을 융기시켜 형성하고 있다.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식기바구니(30)를 완전히 인출한 상태에서는, 식기바구니(30) 앞의 로울러(50)가 로울러 받침(57)에 얹혀 있고, 후방의 로울러(50)는 레일부(51) 위에 얹혀 있다.
상기 문(2)의 이면 상부에는, 문(2)의 이면과 배기커버(58)에 의해 상기 배기구(56)에의 배기풍로(59)를 형성하고 있다. 이 배기풍로(59)는, 양쪽의 배기구(56)를 연결하는 대략 U자형을 이루고, 중앙 하부면에는 세정탱크(5)로부터의 바람의 배출구(60)가 설치되어 있다. 세정탱크(5) 내부로부터의 배기는, 이 배출구(60)로부터 배기풍로(59) 내부로 들어와, 배기풍로(59) 내부를 통해 양쪽의 배기구(56)로부터 기기 밖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배기구(56)로부터는, 건조시에 고온의 증기가 배출되기 때문에, 안전성의 면에서 배기구(56)와 손잡이(55)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거리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를 위해, 가로폭이 좁은 본 실시예의 식기세척기(1)의 경우, 문(2)의 가로폭이 좁기 때문에, 배기구(56)가 아무리 해도 문(2)의 단부에 근접해 버린다. 이렇게 되면,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문(2)의 이면에서는, 배기커버(58)의 양단부(58a)는 로울러 받침(57)의 부분으로 튀어나와 버린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기커버(58)의 표면과 로울러 받침의 표면이 대략 동일면이 되도록 하여, 배기커버(58)의 양단부(58a)가 로울러 받침(57)을 겸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식기바구니(30)의 문(2)의 이면으로의 인출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상기 세정탱크(5)의 우측벽 하부의 외면에 있어서 상기 수위검지실(29)의 후방의 위치에는, 온도센서(61)가 배치되어 있다(도 5 참조). 이 온도센서(61)는, 예를 들면, 서미스터이며, 세척이나 헹굴 때에 세정탱크(5)의 저부에 모인 물의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건조시에 세정탱크(5) 내부의 분위기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도 13은 본 실시예의 식기세척기의 전기계통 구성도이다. 제어부(62)는, CPU, ROM, RAM 등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ROM에는 후술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이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CPU가 각종 연산이나 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후술하는 기능이 달성된다.
제어부(62)에는 각종 조작 스위치(63)로부터의 조작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문(2)의 개폐를 검지하는 개폐 검지스위치(64), 상기 온도센서(61) 등으로 구성되는 온도검지부(65), 세정탱크(5) 내부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 스위치(66) 등으로부터 검지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제어부(62)는, 이들 조작신호 및 검지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세정펌프의 펌프모터(67), 급수밸브(68), 상기 송풍팬(25a)의 팬 모터(69), 히터(23), 설정된 세정 코스나 행정의 진행을 나타내는 표시부(70), 이상이나 운전종료 등을 통지하는 버저(71)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식기세척기(1)는, 세정 코스의 한가지로서 증기 코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증기 코스는, 세척행정에 있어서 고온의 증기로 식기를 쪄, 식기에 달라붙은 밥알을 충분히 풀리게 하는 것에 의해, 노즐암으로부터 분사된 물에 의해 충분히 밥알을 씻어 버릴 수 있도록 한 세정 코스이다. 이하의 이 증기 코스에서의 동작을, 도 14의 흐름도에 따라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해 증기 코스가 선택된 후, 스타트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늘러지면, 증기 코스가 개시된다.
최초에 세척행정을 실행한다. 제어부(62)는, 우선, 급수밸브(68)를 동작하여 소정의 세정수위까지 세정탱크(5) 내부로 급수한다(스텝 S1). 이때, 공급되는 물은, 통상, 단백질의 응고온도(약 60℃)보다도 낮은 온도이다. 세정탱크(5) 내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세제가 투입되어 있어, 공급된 물에 세제가 풀어 넣어져 세제를 포함한 물(세정수)로 된다.
다음에, 급수가 완료하면, 제어부(62)는, 히터(23)를 동작시키는 동시에, 세정펌프(10)를 동작시킨다(스텝 S2, S3). 세정탱크(5) 내부의 물이 가열되는 동시에, 전방 노즐암(15) 및 후방 노즐암(17)으로부터 물이 식기에 뿌려져, 식기가 씻어진다. 제어부(62)는, 온도센서(61)에 의해 세정탱크(5) 내부의 물의 온도를 검지하고 있어, 수온이 60℃에 도달한 것을 검지하면, 히터(23) 및 세정펌프(10)를 정지한다(스텝 S4∼S6).
식기에 부착된 단백질 오물은, 수온이 60℃에 도달할 때까지의 세척(초기 세척)에 의해 충분히 떨어져 버린다. 그러나, 이 초기세척에서는, 말라 굳어져 식기에 달라붙어 있는 밥알을 떨어뜨려 없애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이후에 찜 세정을 행한다.
먼저, 5분간(예비 찜 시간), 히터(23) 및 세정펌프(10)를 정지한 상태로 하여, 세정탱크(5) 내부에 모인 60℃로부터 나온 증기를 세정탱크(5) 내부에 충만시켜 식기의 예비 찜을 행한다.
다음에, 본 찜 세정에 들어간다. 정지 상태로부터 5분 후, 히터(23) 및 세정펌프(10)를 다시 동작시켜, 히터(23)에 의해 다시 세정탱크(5) 내부의 물을 가열하면서, 전방 노즐암(15) 및 후방 노즐암(17)으로부터 식기에 물을 분사한다(스텝 S7∼S9). 이와 같이 하여, 세정탱크(5) 내부의 물의 온도가 80℃(찜 온도)에 도달하면, 히터(23)를 정지한다(스텝 S10, S11). 세정펌프(10)는 계속해서 동작시켜, 그후 5분간(찜 시간)이 경과하면, 세정펌프(10)를 정지한다(스텝 S12, S13).
세정탱크(5) 내부의 물의 온도를 80℃까지 상승시키는 것으로 세정탱크(5) 내부에는 80℃ 또는 그것에 가까운 온도의 증기가 충만하게 되고, 이 증기에 의해 식기가 쪄진다. 또한, 전방 노즐암(15) 및 후방 노즐암(17)으로부터 80℃의 물이 뿜어지는 것에 의해서도 식기가 쪄진다. 쌀에 가한 물의 온도가 75℃ 이상이면 쌀의 전분의 호화가 진행하기 때문에, 이 경우, 식기에 부착된 밥알은 충분히 풀린다. 풀린 밥알은, 전방 노즐암(15) 및 후방 노즐암(17)으로부터 물이 뿜어지는 것에 의해 씻어 버려진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한 것과 같은 찜 세정이 행해지는 것에 의해 식기에 달라붙은 밥알이 깨끗이 떨어뜨려진다. 이때, 80℃의 물로의 세척에 의해, 식기에 달라붙은 기름때도 잘 풀려 잘 떨어진다.
이렇게 해서, 제어부(62)는, 찜 세정을 끝내면 세척행정을 종료하고, 헹굼행정으로 이행한다. 이 헹굼 행정에서는, 히터(23)에 의해 가열하지 않은 물을 식기에 뿜는 헹굼을 2회 행한 후, 히터(23)로 70℃까지 물을 가열하여 이 가열수를 식기에 뿜는 가열 헹굼을 행한다.
그리고, 헹굼행정이 종료하면, 건조행정으로 이행한다. 건조행정에서는, 히터(23) 및 송풍장치(25)를 동작시켜, 히터(23)에 의해 따뜻해진 바람을 식기에 닿게 하여 식기를 건조시킨다. 이 건조행정이 종료하면, 증기 코스의 세정운전을 종료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식기세척기(1)의 구성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찜 온도는 적어도 75℃ 이상이면 된다. 또한, 세정펌프(10)를 정지한 상태로 찜 온도가 된 물로부터 나온 증기에 의해 어느 정도의 시간만큼 식기를 찐 후에, 세정펌프(10)를 동작시켜 식기에 물을 뿜도록 하여도 된다. 그 이외도,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말라 굳어진 밥알이 식기에 달라붙어 있는 것과 같은 경우라도, 충분히 식기로부터 밥알을 씻어 낼 수 있으며, 고온의 증기로 찜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식기에 단백질 오물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세정조 저부에 모인 물을 세정조에 수용된 식기에 뿜는 것에 의해 식기의 세척, 헹굼을 행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식기를 씻는 세척행정에서, 상기 세정조 저부에 존재하며 쌀의 전분의 호화가 진행되는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물로부터 나오는 증기에 의해 식기를 찌고, 찐 식기(4)에 물을 뿜어 식기를 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 식기를 수용하는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의 저부에 모인 물을 식기에 뿜는 물 분사수단과, 상기 세정조의 저부에 모인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물 분사수단 및 가열수단의 동작을 제어하여, 식기를 씻는 세척행정, 식기를 헹구는 헹굼행정을 순차적으로 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서, 세척행정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의 동작에 의해 상기 세정조 내부에 모인 물을, 쌀의 전분의 호화가 진행되는 약 75℃ 이상의 찜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 온도의 물로부터 나온 증기에 의해 식기를 찌며, 상기 물 분사수단의 동작에 의해 찐 식기에 물을 뿜어 식기를 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 식기를 수용하는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의 저부에 모인 물을 식기에 뿜는 물 분사수단과, 상기 세정조 내부로 급수하는 급수수단과, 상기 세정조의 저부에 모인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물 분사수단 및 가열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며, 식기를 씻는 세척행정, 식기를 헹구는 헹굼행정을 순차적으로 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서, 상기 세척행정에 있어서,
    상기 급수수단의 동작에 의해 단백질의 응고온도보다도 낮은 온도의 물을 공급하여 상기 세정조의 저부에 모아, 모인 물을, 상기 가열수단의 동작에 의해 쌀의 전분의 호화가 진행되는 약 75℃ 이상의 찜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 온도의 물로부터 나온 증기에 의해 식기를 쪄, 상기 물 분사수단의 동작에 의해 찐 식기에 물을 뿜어, 식기를 씻는 동시에,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상기 세정조 저부의 물이 상기 찜 온도까지 가열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세정조 저부의 물이 단백질의 응고온도에 이를 때까지의 단계에서, 상기 물 분사수단의 동작에 의해 단백질의 응고온도보다도 낮은 온도의 물을 식기에 뿜어 식기를 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10-2002-0010808A 2001-04-06 2002-02-28 식기세척기 KR1004570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08067 2001-04-06
JP2001108067A JP3545356B2 (ja) 2001-04-06 2001-04-06 食器洗い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643A true KR20020077643A (ko) 2002-10-12
KR100457032B1 KR100457032B1 (ko) 2004-11-16

Family

ID=18960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0808A KR100457032B1 (ko) 2001-04-06 2002-02-28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545356B2 (ko)
KR (1) KR100457032B1 (ko)
CN (1) CN1174712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47220A2 (en) 2004-10-18 2006-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washer and method for detecting failure of pump thereof
WO2008047981A1 (en) * 2006-10-17 2008-04-2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ntrolling dishwash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R200607358T1 (tr) * 2004-07-07 2007-02-21 Arçeli̇k Anoni̇m Şi̇rketi̇ Bir bulaşık makinası ve üzerinde ağır kir kalan bulaşıklar için yıkama yöntemi
JP4542981B2 (ja) * 2005-11-09 2010-09-15 株式会社東芝 食器洗浄機
KR100682655B1 (ko) * 2005-11-28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스팀 발생 장치
KR20100023175A (ko) * 2008-08-21 2010-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US7909936B2 (en) 2008-12-19 2011-03-22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final steam rinse method
US9272314B2 (en) 2008-12-19 2016-03-01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steam purge method
CN102284440A (zh) * 2011-06-14 2011-12-21 无锡帝凡精工机械有限公司 小型零件的清洗装置
JP6442704B2 (ja) * 2014-02-28 2018-12-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器洗い機
DE102016217011A1 (de) * 2016-09-07 2018-03-08 BSH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und Verfahren zum Anpassen eines Spülprogramms
CN109124513B (zh) * 2018-07-18 2020-07-28 浙江欧琳生活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洗碗机水槽蒸汽预处理的方法
CN109567701B (zh) * 2018-12-07 2021-04-02 东莞优乐家智能家电有限公司 一种洗碗机快速洗碗的方法及洗碗机
JP7168467B2 (ja) * 2019-01-25 2022-11-09 リンナイ株式会社 食器洗浄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756B2 (ja) * 1988-09-29 1995-04-12 三菱電機株式会社 食器洗い機
KR0133353Y1 (ko) * 1992-09-03 1999-03-30 이준식 자동판매기의 지지다리구조
JPH10262893A (ja) * 1997-03-27 1998-10-06 Aiwa Co Ltd 食器洗浄機
KR19990001225A (ko) * 1997-06-13 1999-01-15 김승학 식기 세척기
JP2001054497A (ja) * 1999-08-18 2001-02-27 Toshio Taniguchi 食器類洗浄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47220A2 (en) 2004-10-18 2006-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washer and method for detecting failure of pump thereof
WO2008047981A1 (en) * 2006-10-17 2008-04-2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ntrolling dishwasher
CN101534696B (zh) * 2006-10-17 2012-05-30 Lg电子株式会社 控制洗碗机的方法
US8518188B2 (en) 2006-10-17 2013-08-2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ntrolling dishwas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80037A (zh) 2002-11-20
JP3545356B2 (ja) 2004-07-21
KR100457032B1 (ko) 2004-11-16
JP2002300995A (ja) 2002-10-15
CN1174712C (zh) 2004-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7032B1 (ko) 식기세척기
KR100816906B1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JP6868768B2 (ja) 食器洗い機
KR20060124268A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스팀공급구조
KR100567509B1 (ko) 식기 세척기
JP4030274B2 (ja) 食器洗い機
JP6913855B2 (ja) 食器洗い機
JP3948910B2 (ja) 食器洗い機
KR100433798B1 (ko) 식기세척기
JP2001231737A (ja) 食器洗浄機等の食器かご
JP3786022B2 (ja) 食器洗い機
JP6906142B2 (ja) 食器洗い機
JP2006288923A (ja) 食器洗い機
JP3281862B2 (ja) 食器洗浄機
JP2007236800A (ja) 食器洗い機
JP3773639B2 (ja) 食器洗浄機
JPH0852103A (ja) 食器洗浄機
JPH09103398A (ja) 食器洗浄機
KR20060124270A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스팀공급구조
JPH06197857A (ja) 洗浄装置
JP4204164B2 (ja) 食器洗浄機
JP3635958B2 (ja) 食器洗浄装置
JP2023069070A (ja) 洗浄機
JP3545381B2 (ja) 食器洗浄機
JP2022103926A (ja) 洗浄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