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7509B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7509B1
KR100567509B1 KR1020040016559A KR20040016559A KR100567509B1 KR 100567509 B1 KR100567509 B1 KR 100567509B1 KR 1020040016559 A KR1020040016559 A KR 1020040016559A KR 20040016559 A KR20040016559 A KR 20040016559A KR 100567509 B1 KR100567509 B1 KR 100567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shing water
nozzle
clean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0381A (ko
Inventor
가도야가츠히고
우에사키마사요시
다나카아츠히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0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0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1/00Means for collecting, retaining, or draining-off lubricant in or on machines or apparatus
    • F16N31/002Drain pans
    • F16N31/004Drain pans combined with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3/00Special adaptations of 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1/00Means for collecting, retaining, or draining-off lubricant in or on machines or apparatus
    • F16N31/02Oil catchers; Oil wi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세정조(2)의 하방에 제 1 및 제 2 회전 세정 노즐(3, 4)을 배치하는 동시에, 세정조(2)의 측면에 대략 십(十)자 형상으로 형성한 고정 세정 노즐(5)을 배치한다. 각 세정 노즐에는 세정 펌프(8)로부터 분수 수단(13)을 통해 순차적으로 세정수를 공급하여 피세정물(10)의 세정이 이루어진다. 고정 세정 노즐(5)의 수평부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는 상단 식기 바스켓(7)에 수용된 피세정물(10)을 향해 세정수가 분사되고, 수직부의 세정조(2) 상방이 되는 위치에 설치한 세정수 분사구(20a)로부터 대략 수평 방향으로 부채 형상으로 분사되는 세정수는 피세정물(10)의 상면을 세정하기 때문에, 바닥 림이 있는 식기에 남기 쉬운 작은 음식물 찌꺼기가 세정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 WASHER}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설치된 복수의 세정 노즐의 배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분수 수단의 구성예를 그 동작 순서대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6a 및 도 6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의 세정 노즐의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세정조 3 : 제 1 세정 노즐
4 : 제 2 세정 노즐 5 : 고정 세정 노즐
7 :식기 바스켓 8 : 세정 펌프
10 : 피세정물 13 : 분수 수단
본 발명은 세정조내에 수용한 식기에 세정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정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는 세정조내에 배치한 식기 바스켓에 정렬된 식기 등의 피세정물에 세정수를 분사하여 세정한다. 이 때, 식기 바스켓에 정렬된 다수의 피세정물에 균등하게 세정수가 분사되기 위해서는,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 노즐의 배치가 중요한 요소가 된다. 특히, 다수의 피세정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세정조내에 복수단의 식기 바스켓을 설치한 경우에는, 각 단의 피세정물에 대하여 세정수가 균등하게 분사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하방으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한 경우에는, 하단에 정렬된 피세정물이 장해가 되기 때문에, 상단에 배치된 식기 바스켓에 수용된 피세정물에는 충분히 세정수가 골고루 미치지 않아, 상단에 수용된 피세정물에 대한 세정 능력이 저하된다.
일반적으로 세정 노즐은 세정조의 하방에 배치되어,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세정수를 분사하기 때문에, 피세정물은 오염의 부착량이 많은 내측이 하향으로 되도록 식기 바스켓에 수용된다. 이 때, 찻잔이나 국그릇 등의 바닥 림이 있는 식기에는, 바닥 림내에 음식물 찌꺼기가 퇴적되기 쉬워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세정조내의 여러 방향으로부터 피세정물에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복수의 세정 노즐을 배치한 식기 세척기가 알려져 있 다. 그러나, 복수의 세정 노즐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는 이하의 문제가 있다. ① 세정조에 모이는 급수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② 세정수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시간이 길어져, 운전 시간이나 소비 전력이 증가한다. ③ 사용수량이 증가하여 세정 펌프를 대형화할 필요가 발생하기 때문에 비용 상승으로 이어진다. ④ 다량의 세정수의 사용에 수반되는 소음, 진동의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1-218721 호 공보에는, 복수의 세정 노즐을 설치하여 세정 능력을 향상시키더라도 급수량이 증가하지 않고,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 식기 세척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식기 세척기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조(22)내의 하방, 상방, 배면, 측면에 각각 회전하는 세정 노즐(29, 30, 31, 32)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각 세정 노즐(29 내지 32)에는, 세정 펌프(33)에서 가압된 세정수가 분수 장치(35)로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세정수는 각 세정 노즐(29 내지 32)로 동시에 공급되지 않고, 각 세정 노즐(29 내지 32)로 순차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급수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세정수는 다수의 피세정물에 복수 방향으로부터 분사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이 세정조내에 복수의 회전하는 세정 노즐을 배치하면, 세정조내의 피세정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적은, 복수의 회전하는 세정 노즐을 배치하기 위해서 필요한 공간에 의해 삭감된다. 따라서, 동일한 피세정물 수용량을 갖는 식기 세척기와 비교하면 장치가 대형화된다. 가정용의 탁상형 식기 세척기에서는 한정된 공간에 설치하기 때문에, 대형화에 의해 설치 장소가 한정된다 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에는, 회전하는 세정 노즐을 복수 배치하는 것에 의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방에 회전하는 세정 노즐(52, 54)을 배치하고, 배면측에 막대 형상 노즐(53) 또는 배면에 고정 노즐(55)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피세정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세정 노즐의 배치에 의해 삭감되는 것은 해소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부터 세정수가 분사되지 않기 때문에, 주로 하방으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에 의해 세정하기 위해서 하향으로 수용된 피세정물의 바닥면에 세정수가 분사되는 상태는 적어지고, 바닥 림이 있는 식기류에 남기 쉬운 작은 음식물 찌꺼기를 씻어낼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세정조내에 배치된 식기 바스켓에 수용된 피세정물에, 복수의 세정수 분사구를 구비한 복수의 세정 노즐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하여 세정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세정 노즐은 세정조의 사방에 배치된 회전 세정 노즐과, 세정조의 측벽에 배치된 고정 세정 노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세정 노즐은 대략 수평 방향으로 세정수 분사구를 배열한 수평부와, 적어도 하나의 세정수 분사구를 측벽의 상방으로 개구시킨 수직부를 설치하여 대략 십(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세정조내의 피세정물 수용 공간을 감소시키지 않고, 복수 방향으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복수의 세정 노즐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하여 세정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복수의 세정 노즐이 세정조의 하방에 배치된 회전 세정 노즐과, 세정조의 측벽에 배치된 고정 세정 노즐을 포함한다. 또한 고정 세정 노즐이 대략 수평 방향으로 세정수 분사구를 배열한 수평부와, 적어도 하나의 세정수 분사구를 측벽의 상방으로 개구시킨 수직부를 설치하여 대략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식기 바스켓에 수용된 피세정물에 대하여 세정조의 하방에 배치된 회전 세정 노즐과 측벽에 배치된 고정 세정 노즐로부터 세정수가 분사된다. 복수 방향으로부터의 세정수가 피세정물을 향해 분사됨으로써 효율적으로 세정이 이루어진다.
통상, 식기 바스켓을 2단으로 배치한 경우에는, 하방의 회전 세정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는 하단에 수용된 피세정물이 장해가 되어 충분한 세정수의 분사를 얻을 수 없는 상태로 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고정 세정 노즐의 수평부에 설치된 복수의 세정수 분사구로부터 상단에 수용된 피세정물에 세정수가 분사되기 때문에, 상단의 식기 바스켓에 수용된 피세정물에 대한 세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향으로 수용된 피세정물의 상부에는 수평부의 세정수 분사구로부터의 세정수가 닿기 어렵지만,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고정 세정 노즐의 상방에 설치된 세정수 분사구를 이용하여, 피세정물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종래의 식기 세척기로는 세정이 어려운 바닥 림이 있는 찻잔과 같은 식기를 세정하는 경우에, 식기의 바닥 림 부분에 남은 작은 음식물 찌꺼기를 효과적으로 씻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세정조내에 식기 바스켓이 하단과 상단에 배치되어 있을 때에는, 고정 세정 노즐은 상단의 식기 바스켓에 수용된 피세정물의 하면을 향해 세정수를 분사하기 위한 세정수 분사구를 설치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하방의 회전 세정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가 하단의 식기 바스켓에 수용된 피세정물이 장해가 되어 상단의 식기 바스켓에 수용된 피세정물에 분사되기 어려운 상태에서도, 고정 세정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에 의해 피세정물을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세정 노즐에 설치된 상방의 세정수 분사구는, 대략 수평 방향을 향해 부채 형상으로 세정수를 분사하는 개구 형상을 갖는다. 그로써, 광범위하게 상방으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어, 피세정물의 상면에 세정수가 빈틈없이 닿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세정 노즐의 수직부의 양측에 설치된 수평부는 식기 바스켓의 높이 위치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단의 식기 바스켓이 현격한 차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그것에 대응하여 세정수 분사구의 높이를 변경함으로써, 상단의 식기 바스켓에 수용된 피세정물에 대한 세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대략 십자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 세정 노즐은 좌우에서 높이가 다른 경우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복수의 세정 노즐에 대하여 세정수를 순차적 으로 급수하는 분수 수단을 갖고 있다. 이로써, 사용하는 수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복수 방향으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의 세정조(2)내에 피세정물(10)을 수용한 상태를 정면 및 측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다. 세정조(2)의 하방에는 제 1 회전 세정 노즐(3) 및 제 2 회전 세정 노즐(4)이 배치되고, 세정조(2)의 배면에는 대략 십자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 세정 노즐(5)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세정조(2)내에는, 피세정물(10)을 수용하는 하단 식기 바스켓(6) 및 상단 식기 바스켓(7)이 각각 전후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세정조(2)내에 수용된 피세정물(10)에 대하여 상기 제 1 회전 세정 노즐(3), 제 2 회전 세정 노즐(4) 및 고정 세정 노즐(5)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함으로써, 피세정물(10)이 세정된다.
세정조(2)의 바닥부에는 세정 펌프(8)의 흡입측에 연통된 배수구(9)가 설치되고, 배수구(9)에는 음식물 찌꺼기를 수집하는 음식물 찌꺼기 필터(11)와, 세정수를 가열하는 히터(12)가 배치되어 있다. 음식물 찌꺼기 필터(11)를 투과한 세정수 는 세정 펌프(8)에 흡입되어 가압된 후, 분수 수단(13)에 의해 제 1 및 제 2 회전 세정 노즐(3, 4) 및 고정 세정 노즐(5)로 세정수의 공급이 순차적으로 전환됨으로써, 제 1 및 제 2 회전 세정 노즐(3, 4) 및 고정 세정 노즐(5)로부터 세정수가 분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1)의 동작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어(15)를 개방하여 하단 식기 바스켓(6) 및 상단 식기 바스켓(7)에 피세정물(10)을 수용한다. 하단 식기 바스켓(6) 및 상단 식기 바스켓(7)이 세정조(2)내에 수납되어, 세제가 투입된 후, 도어(15)가 폐쇄되면 운전을 개시하여, 세정 공정, 헹굼 공정, 건조 공정의 순으로 실행한다.
(세정 공정)
우선, 급수 밸브가 동작하여 소정량의 세정수가 세정조(2)내에 급수된다. 급수된 세정수는 히터(12)에 의해 가열되고, 세정 펌프(8)에 의해 가압되며, 분수 수단(13)에 의해 제 1, 제 2 회전 세정 노즐(3, 4) 및 고정 세정 노즐(5)에 선택적으로 세정수가 공급된다. 여기서는, 분수 수단(13)은 ① 제 1 회전 세정 노즐(3), ② 제 1 회전 세정 노즐(3) 및 제 2 회전 세정 노즐(4), ③ 제 2 회전 세정 노즐(4), ④ 고정 세정 노즐(5)의 순으로 소정 시간마다 세정수의 공급을 전환하도록 동작한다. 제 1 및 제 2 회전 세정 노즐(3, 4)은 공급된 세정수가 분사구로부터 분출하는 분류에 의해 회전하고, 회전 이동하는 세정수를 분사하여 주로 하단 식기 바스켓(6)에 수용된 피세정물(10)을 세정한다. 또한, 고정 세정 노즐(5)은 상단 식기 바스켓(7)의 밑에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분사구로부터 세정수를 상단 식 기 바스켓(7) 방향으로 분사하여 하향으로 수용된 피세정물(10)의 내면을 세정하는 동시에, 상부로 개구되는 세정수 분사구(20a)로부터 대략 수평 방향으로 부채 형상으로 세정수를 분사함으로써 피세정물(10)의 외면을 세정한다.
제 1 및 제 2 회전 세정 노즐(3, 4) 및 고정 세정 노즐(5)로부터 분사된 세정수는 피세정물(10)을 세정한 후, 세정조(2)의 하부로 흘러내린다. 흘러내린 세정수는 배수구(9)에 모여 히터(12)에 의해 다시 가열되고, 음식물 찌꺼기 필터(11)를 투과하여 다시 세정 펌프(8)로부터 분수 수단(13)을 거쳐 제 1 및 제 2 회전 세정 노즐(3, 4) 및 고정 세정 노즐(5)로 공급된다. 세정수가 분사되어 피세정물(10)로부터 떨어져 나온 음식물 찌꺼기는 음식물 찌꺼기 필터(11)에 포집된다. 또한, 세정수의 온도는 온도 센서(14)에 의해 검출되고, 소정 온도를 넘으면 히터(12)로의 통전이 정지되기 때문에, 세정에 적합한 온도가 유지된다.
(헹굼 공정)
소정 시간의 세정 공정이 종료하면, 오염을 포함하는 세정수는 배수 펌프(16)로부터 기기 외부로 배출되고, 세정조(2)내에 새롭게 세정수가 급수된다. 급수된 세정수는 세정 펌프(8)의 운전에 의해 제 1 및 제 2 회전 세정 노즐(3, 4) 및 고정 세정 노즐(5)로부터 분사되고, 피세정물(10)에 부착된 세제나 음식물 찌꺼기 등을 씻어내는 헹굼 공정이 실행된다. 종래는, 하단 식기 바스켓(6) 및 상단 식기 바스켓(7)에 하향으로 수용되어 있는 피세정물(10)의 외면, 특히 찻잔이나 국그릇 등의 바닥 림에 남아 있는 작은 음식물 찌꺼기 등은, 헹굼 공정에 의해 씻어내기 어려웠다. 본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는 고정 세정 노즐(5)의 상부에 설치된 세정수 분사구(20a)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기 때문에, 바닥 림에도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기 때문에, 작은 음식물 찌꺼기 등이라도 씻어낼 수 있다. 소정 시간의 운전 후, 헹굼에 의해 세제나 음식물 찌꺼기를 선별한 세정수는 배수 펌프(16)로부터 기기 외부로 배출된다. 그 후, 세정조(2)내에는 새로운 세정수가 급수되고, 다시 헹굼 동작을 실행한다.
즉, 헹굼 공정은, ① 새로운 세정수의 급수, ② 헹굼 동작, ③ 세정 후의 세정수의 배출이라는 일련의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련의 동작을 3회 실행하고, 세정수를 기기 외부로 배출하여 헹굼 공정을 종료한다.
(건조 공정)
헹굼 공정에 계속하여 건조 공정이 실행된다. 도시하지 않은 송풍기로부터 세정조(2)내로 공급되는 외기가 히터(12)에 의해 가열되고, 송풍과 가온(加溫)의 양쪽 효과에 의해 피세정물(10)에 부착된 물방울의 증발이 촉진된다.
이 건조 공정이 소정 시간 실시된 후, 운전이 정지되어 식기 세정의 모든 공정이 종료한다.
상기 각 공정에서의 세정조(2)내로의 세정수의 급수 제어, 세정 펌프(8) 및 배수 펌프(16)의 구동 제어, 온도 센서(4)에 의한 온도 검출에 기초한 히터(12)로의 통전 제어, 건조 공정에서의 송풍기의 구동 제어 등은, 식기 세척기 본체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된다.
도 3은, 세정조(2)내로부터 하단 식기 바스켓(6) 및 상단 식기 바스켓(7)이 외부로 나와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고정 세정 노즐(5)의 형태를 알기 쉽게 나타내고 있다. 고정 세정 노즐(5)은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된 수직부(5a) 및 수평부(5b)에 의해 대략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직부(5a)의 하단은 분수 수단(13)에 접속되어 있다. 수평부(5b)는, 상단 식기 바스켓(7)이 좌우에서 높이가 다른 단차를 설치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는 것에 대응시켜서, 수직부(5a)의 좌우에서 다른 높이 위치가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수평부(5b)에는, 상단 식기 바스켓(7)에 수용된 피세정물(10)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분사구(20b)가 복수로 개구되고, 상단 식기 바스켓(7)에 하향으로 수용된 피세정물(10)의 내면을 향해 상방으로 세정수를 분사한다. 또한, 수직부(5a)의 상방에는 세정수 분사구(20a)가 개구되어, 대략 수평 방향의 부채 형상으로 세정수를 분사한다. 또한, 수평부(5b)에 설치된 복수의 세정수 분사구(20b) 각각은 반드시 상향으로 세정수를 분사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젓가락이나 숟가락 등의 수용 장소에 가까운 세정수 분출구(20b)는, 옆으로 세정수를 분사하여 오물을 제거하기 어려운 젓가락이나 숟가락 등에 중점적으로 세정수를 분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좌우에 단차가 없는 상단 식기 바스켓(7)의 경우에는, 좌우로 같은 높이 위치의 수평부(5b)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수평부(5b)는, 우측의 제 1 수평부(51b)와, 좌측의 제 2 수평부(52b)로 이루어지고, 양자는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1 수평부(51b)와, 제 2 수평부(52b)가 수직부(5a)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각각 개별적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고정 세정 노즐(5)의 수직부(5a)와 수평부(5b)는, 그것들이 교차하는 부분에서 통형상 내부가 연통하고 있어, 수직부(5a)의 하방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가 수직부(5a) 및 수평부(5b)에 공급되고, 각 세정수 분사구(20a, 20b)로부터 분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고정 세정 노즐(5)은 편평한 통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세정조(2)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피세정물(10)의 수용 공간을 삭감하지 않는다. 또한, 수직부(5a)에 설치된 세정수 분사구(20a)는 대략 수평 방향의 부채 형상으로 세정수를 분사하기 때문에, 세정조(2)내에 수용된 피세정물(10)의 상방으로부터 세정수가 닿을 수 있다. 통상, 세정수 분사의 주체로 되어 있는 하방으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로는 피세정물(10)의 상면 부분을 세정하기 어렵지만, 세정수 분사구(20a)를 이용함으로써 피세정물(10)의 상면 부분을 세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찻잔(10a)과 같이 바닥 림이 있는 식기는, 바닥 림내에 작은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있기 쉽지만, 이것에 상방으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함으로써, 작은 음식물 찌꺼기가 바닥 림으로부터 씻겨져, 피세정물의 모든 면을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는 제 1 및 제 2 회전 세정 노즐(3, 4) 및 고정 세정 노즐(5)을 가지며, 세정 펌프(8)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를 분수 수단(13)에 의해 각 세정 노즐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즉, ① 제 1 회전 세정 노즐(3)에만 세정수가 공급되는 상태, ② 제 1 회전 세정 노즐(3)과 제 2 회전 세정 노즐(4)에 세정수가 공급되는 상태, ③ 제 2 회전 세정 노즐(4)에만 세정수가 공급되는 상태, 및 ④ 고정 세정 노즐(5)에만 세정수가 공급되는 상태의 4개의 세정 상태로 분수 제어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세정 노즐에 선택적으로 세 정수를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세정 노즐 모두에 세정수를 동시에 공급한 경우에 세정조(2)내에 모이는 급수량이 많아져, 사용수량의 증가 및 온도 상승 시간의 증가에 따른 소비 전력량의 증가, 대형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복수의 세정 노즐에 선택적으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분수 수단(13)은, 종래예에 있어서 복잡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구성과 같이 3개소의 세정 노즐에 선택적으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하는 간단한 구조로 분수 수단(13)을 구성할 수 있다. 분수 수단은 원통 형상의 분수 밸브(40)와, 분수 밸브를 수용하는 수용부(45)와, 구동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분수 밸브(40)는 소정의 위치에 1 이상의 송수 개구부(제 1 개구부)(41a, 41b)를 갖고, 수용부(45)는 소정의 위치에 복수의 수용부 개구부(제 2 개구부)(45a, 45b, 45c)를 갖는다. 수용부 개구부(45a, 45b, 45c)는 각각 송수 배관(42, 43, 44)에 연결된다.
세정 펌프(8)로부터 세정수가 공급되는 원통 형상의 분수 밸브(40)는 중심부에 구비된다. 분수 밸브(40)의 주위면상에는, 90° 방향으로 2개소의 송수 개구부(41a, 41b)를 설치한다. 도 5 중에서 수용부(45)의 상부를 기준점으로 하여 0°의 방향이라 가정한다. 시계 방향 90° 방향의 개구부(45a)에는, 제 1 회전 세정 노즐(3)에 배관된 송수 배관(42)을 설치한다. 180° 방향의 개구부(45b)에는 제 2 회전 세정 노즐(4)로 배관된 송수 배관(43)을 설치한다. 315° 방향의 개구부(45c)에는 고정 세정 노즐(5)에 배관된 송수 배관(44)을 설치한다.
분수 밸브(40)를 도시하지 않은 구동 수단에 의해 45°의 회동 각도로 회동시킨다. 도 4a에 도시하는 각도 위치로 회동시키면, 송수 개구부(41a)가 개구부(45a)와 정합하여 송수 배관(42)의 방향으로 개구되기 때문에, 세정 펌프(8)로부터 분수 밸브(40)내로 공급된 세정수는 제 1 회전 세정 노즐(3)로 공급된다. 또한, 도 4b에 도시하는 각도 위치로 회동시키면, 송수 개구부(41a)가 개구부(45b)와 정합하여 송수 배관(43)의 방향으로 개구되고, 한편 송수 개구부(41b)가 개구부(45a)와 정합하여 송수 배관(42)의 방향으로 개구하기 때문에, 세정 펌프(8)로부터 분수 밸브(40)내로 공급된 세정수는 제 1 회전 세정 노즐(3)과 제 2 회전 세정 노즐(4)로 공급된다. 또한, 도 4c에 도시하는 각도 위치로 회동시키면, 송수 개구부(41b)가 개구부(45b)와 정합하여, 송수 배관(43)의 방향으로 개구하기 때문에, 제 2 회전 세정 노즐(4)로 세정수가 공급된다. 또한, 도 4d에 도시하는 각도 위치로 분수 밸브(40)를 회동시키면, 송수 개구부(41a)가 개구부(45c)와 정합하여 송수 배관(44)의 방향으로 개구되기 때문에, 고정 세정 노즐(5)로 세정수가 공급된다.
분수 수단(13)을 본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① 제 1 회전 세정 노즐(3)에만 세정수를 공급하여 피세정물(10)을 세정하는 상태, ② 제 1 및 제 2 회전 세정 노즐(3, 4)에 세정수를 공급하여 피세정물(10)을 세정하는 상태, ③ 제 2 회전 세정 노즐(4)에만 세정수를 공급하여 피세정물(10)을 세정하는 상태, ④ 고정 세정 노즐(5)에만 세정수를 공급하여 피세정물(10)을 세정하는 상태로 순차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세정물의 수용 공간을 널리 확보할 수 있어, 각종 형태의 피세정물의 전면을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하는 물이나 세제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0)

  1. 세정조 내에 마련된 식기 바스켓에 수용된 피세정물에, 복수의 세정수 분사구를 구비한 복수의 세정 노즐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하여 세정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식기 바스켓은 세정조 내의 상단과 하단에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세정 노즐은 세정조의 하방(下方)에 마련된 회전 세정 노즐과, 세정조의 측벽에 마련된 고정 세정 노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 세정 노즐은 수평 방향으로 세정수 분사구를 배열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 세정수를 유도하는 수직부를 마련하고, 상기 수평부가 수직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가 구비한 상기 세정수 분사구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단의 식기 바스켓보다 아래쪽에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 세정 노즐의 수직부와 수평부는 십(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수직부는 적어도 하나의 세정수 분사구를 측벽의 상방에 개구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세정조 내에 식기 바스켓이 하단과 상단에 마련되고, 고정 세정 노즐의 수평부에 마련된 세정수 분사구는 상단의 식기 바스켓에 수용된 피세정물에 대해, 그 하면(下面)을 향해 세정수를 분사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식기 세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 세정 노즐에 마련된 상방의 세정수 분사구는 수평 방향을 향하여 부채 형상으로 세정수를 분사하는 개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식기 세척기.
  6.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 세정 노즐의 수직부의 양측에 마련된 수평부는 식기 바스켓의 높이 위치에 따라 각각의 형성 높이 위치가 상이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식기 세척기.
  7.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 세정 노즐의 수평부는 수직부의 좌우에서 높이 위치가 상이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식기 세척기.
  8.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 세정 노즐의 수직부와 수평부는 그들이 교차하는 부분에서 통 형상 내부가 연통하고, 수직부의 하방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가 수직부 및 수평부에 제공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식기 세척기.
  9.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세정 노즐에 대해서 세정수를 순차적으로 급수하는 분수 수단이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식기 세척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세정 노즐에 대해 세정수를 선택적으로 급수하는 분수 수단이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식기 세척기.
KR1020040016559A 2003-03-12 2004-03-11 식기 세척기 KR1005675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66069 2003-03-12
JP2003066069A JP4339618B2 (ja) 2003-03-12 2003-03-12 食器洗い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381A KR20040080381A (ko) 2004-09-18
KR100567509B1 true KR100567509B1 (ko) 2006-04-03

Family

ID=33126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559A KR100567509B1 (ko) 2003-03-12 2004-03-11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339618B2 (ko)
KR (1) KR100567509B1 (ko)
CN (2) CN2730313Y (ko)
TW (1) TWI25462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344B1 (ko) 2008-10-01 2012-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2447B2 (ja) * 2005-01-28 2010-03-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4692037B2 (ja) * 2005-03-22 2011-06-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4483670B2 (ja) * 2005-04-14 2010-06-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TWI421799B (zh) * 2010-06-01 2014-01-01 Panasonic Corp Tableware cleaning machine
CN105877665B (zh) * 2016-06-29 2020-08-25 苏州喜多多机械科技有限公司 洗碗机
CN108836220A (zh) * 2018-07-18 2018-11-20 浙江欧琳生活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可收纳母婴产品清洗的洗碗机
CN111053507A (zh) * 2018-10-16 2020-04-24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极速洗碗方法以及具有极速洗功能的洗碗机
CN109820463B (zh) * 2019-03-28 2021-07-06 佛山市百斯特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进水控制方法及洗碗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344B1 (ko) 2008-10-01 2012-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267661A (ja) 2004-09-30
TW200425871A (en) 2004-12-01
CN1253124C (zh) 2006-04-26
TWI254624B (en) 2006-05-11
KR20040080381A (ko) 2004-09-18
CN2730313Y (zh) 2005-10-05
CN1530065A (zh) 2004-09-22
JP4339618B2 (ja) 200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421B1 (ko) 식기세척기
JP2006075635A (ja) 食器洗い乾燥機
KR100567509B1 (ko) 식기 세척기
JP4483670B2 (ja) 食器洗い機
JP3832175B2 (ja) 食器洗い乾燥機
KR100767891B1 (ko) 식기 세척기
JP4770564B2 (ja) 食器洗い機
KR101868369B1 (ko)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JP4144115B2 (ja) 食器洗い機
JP3835393B2 (ja) 食器洗い機
JP3849418B2 (ja) 食器洗い乾燥機
JP3829777B2 (ja) 食器洗い機
JP2008229224A (ja) 食器洗い機
CN109717809B (zh) 餐具清洗机
JP4725400B2 (ja) 食器洗い機
JP5104779B2 (ja) 食器洗い機
JP4110921B2 (ja) 食器洗浄機
JP2004141460A (ja) 食器洗浄機
JP2679297B2 (ja) 食器洗浄機
JP2701468B2 (ja) 食器洗浄機
JP2022103926A (ja) 洗浄システム
JP2003220006A (ja) 食器洗い機
JP4400556B2 (ja) 食器洗い乾燥機
JP3046206U (ja) 食器洗い乾燥機
JP2734721B2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