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3798B1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798B1
KR100433798B1 KR10-2002-0010807A KR20020010807A KR100433798B1 KR 100433798 B1 KR100433798 B1 KR 100433798B1 KR 20020010807 A KR20020010807 A KR 20020010807A KR 100433798 B1 KR100433798 B1 KR 100433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shing
basket
water
dish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0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4072A (ko
Inventor
후쿠이야스히사
마쓰노토모히코
지쓰다켄이치
하라다테쓰오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4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4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7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9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small size, e.g. portable mini dishwashers for small kitchens, office kitchens, boats, recreational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rigidly-mounted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4Water-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8Connections of the tub with the ambient air,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5Inserts, e.g. for holding baby bottles, stemware or cu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7Arrangements for extracting racks, e.g. roller suppor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싱크 옆에 충분한 공간이 없는 타입의 싱크대에도 설치가능하며, 또한, 식기의 출입이 쉬운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1)는, 싱크대(100) 위에 설치되는 탁상형의 식기세척기로서, 전방면에 식기투입구를 구비하는 동시에 이 식기투입구를 덮는 문(2)을 구비하고, 안길이 치수에 대해 가로폭 치수를 상당히 작게 하여 슬림하게 하는 동시에, 싱크대(100)의 싱크(101)의 옆에 상기 문(2)이 싱크대(100)의 정면을 향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탁상형의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탁상형의 식기세척기는, 통상적으로, 싱크대의 싱크의 옆, 벽과의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종래에, 이 탁상형의 식기세척기로서는, 다음과 같은 2가지 타입이 있었다. 한가지는, 안길이에 대해 가로폭이 같거나 약간 작은, 큐빅(cubic)형의 것이다. 이 타입의 식기세척기는, 통상, 문이 싱크대의 정면을 향하도록 설치한다. 이 때문에, 식기세척기에 대해 식기의 출입이 용이하다.
그러나, 이 식기세척기는, 가로폭 치수가 400mm 이상이기 때문에, 싱크의 옆에 충분한 공간이 없는 타입의 싱크대에는 설치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일반가정에 설치가능한 비율이 충분하지 않아, 이것은 식기세척기의 보급율이 크게 신장하지 않은 요인이기도 하였다.
이것에 대해, 최근에, 가로폭에 비해 안길이가 상당히 작은, 박형의 것이 나왔다. 이 두번째 타입의 식기세척기는, 문이 싱크대의 정면과는 직각, 즉 싱크쪽을 향하도록 설치한다. 이 식기세척기는, 안길이 치수가 330mm 정도로서, 싱크의 옆에 충분한 공간이 없는 타입의 싱크대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이 타입의 식기세척기의 등장에 의해, 식기세척기의 보급율이 크게 신장하여 왔다.
이 박형의 식기세척기에서는, 예를 들면 그 내부의 저면에, 세정시에 회전하면서 물을 분사하는 회전 노즐암과, 회전 노즐암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노즐베이스가 배치되어 있다. 세정시에는, 노즐베이스에서 회전 노즐암으로 물이 공급되는 것에 의해, 회전 노즐암이 회전하면서 위쪽을 향해 물을 분사하고, 식기세척기 내부에 수용된 식기에 물이 끼얹어져, 식기가 세정된다.
박형의 식기세척기에서는, 싱크에서의 작업이 방해되지 않도록, 또한, 싱크에 구비된 수도의 수도꼭지에 부딪치지 않도록 하지 않으면 안되어, 종래와 같이 문의 이면에 식기바구니를 충분히 인출할 수 없다. 이 경우에, 특히, 싱크대에 마주보고 있는 사용자가, 사용자와는 직각방향으로 있는 식기의 투입구로부터 식기를 투입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식기의 출입을 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박형의 식기세척기에서는, 그것의 내부에 식기가 빽빽한 상태로 수용되기 때문에, 식기를 충분히 세정할 수 없어, 세정력이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을 근거로 이루어진 것으로, 싱크의 옆에 충분한 공간이 없는 타입의 싱크대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식기가 출입하기 쉬운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정력이 높은 식기세척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싱크대에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식기세척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식기세척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식기세척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면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수지탱크 및 패널의 개략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상부탱크 및 패널의 평면 횡단면도이다.
도 7은 식기세척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 횡단면도이다.
도 8은 식기세척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 횡단면도이다.
도 9는 식기세척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정면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히터커버, 흡기실 및 송풍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세정탱크의 저부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측면도이다.
도 12는 식기바구니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식기바구니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상부 바구니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 식기바구니의 주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식기세척기에 식기를 수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보조 노즐체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측면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문의 이면의 구성을 나타낸 문을 연 상태의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식기바구니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식기세척기의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식기세척기 2: 문
2a: 이면 3: 캐비넷
5: 세정탱크 6: 식기투입구
7: 수지탱크 7a: 상부탱크
7b: 하부탱크 8: 패널(내부탱크)
9: 저수조 10: 세정펌프
10a: 회전축 11: 찌꺼기필터
13: 노즐베이스 15: 전방 노즐암
17: 후방 노즐암 23: 히터
23d: 단자부 24: 흡기실
24a: 흡기구 24b: 내부 상부면
24c: 외부 상부면 25: 송풍장치
26: 히터커버 27: 루버(풍향 조정공)
29: 수위검지실 30: 식기바구니
31: 하부 바구니 32: 상부 바구니
50: 로울러 52: 보조 노즐체(고정 노즐암)
52a: 노즐 54: 송수관
56: 배기구 57: 로울러 받침
58: 배기커버 58a: 양단
59: 배기풍로 61a: 상부면
61b: 후면 61c: 측면
62: 이음매부 63a: 상부면
63b: 후면 63c: 측면 전단부
63d: 측면 후방부 64: 단차
68: 작은 구멍 69: 작은 구멍
70: 원통돌기 71: 패킹
72: 접속호스 73: 접속구멍
100: 싱크대 101: 싱크
B: 분리 공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싱크대 위에 설치되는 탁상형의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전방면에 식기투입구를 구비하는 동시에 이 식기투입구를 덮는 문을 구비하고, 안길이 치수에 대해 가로폭 치수를 상당히 작게 하여 슬림하게 하는 동시에, 싱크대의 싱크의 옆에 상기 문이 싱크대의 정면을 향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싱크 옆에 충분한 공간이 없는 타입의 싱크대에도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식기가 출입하기 쉬운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의 가로폭과 안길이와의 비는, 1: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기세척기의 가로폭은, 300mm 이상 35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싱크대 위에 설치되는 탁상형의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부면, 배면 및 좌우 측면을 갖고, 세정하는 식기 등을 수용하는 세정탱크와, 세정탱크의 한쪽의 측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상을 하며, 세정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을 갖는 고정 노즐암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세정탱크의 측면을 따라 설치된 고정 노즐암으로부터 식기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것에 의해, 식기를 충분히 세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력이 높은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청구항 3 기재의 발명과 같이, 상기 세정탱크는, 전방에 식기를 출입하기 위한 식기투입구를 가지며, 식기투입구로부터 안길이 방향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하고 있고, 상기 고정 노즐암은, 세정탱크의 배면측으로부터 한쪽 측면을 따라, 전후 방향 중앙부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으면, 세정탱크 내의 후방부에 수용된 식기를 충분히 세정할 수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상기 세정탱크 내부의 아래쪽에는, 세정시에 회전하면서 물을 분사하는 회전 노즐암과, 회전 노즐암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노즐베이스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 노즐암에는, 취수구가 노즐베이스에 연결되고, 세정탱크의 배면을 따라 상승하며, 배면에서 측면으로 면을 따라 연장되는 급수관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 또는 3 기재의 식기세척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노즐베이스로부터 급수관을 거쳐 고정 노즐암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급수관이 세정탱크의 배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관을 위한 공간을 일부러 설치하는 일 없이, 급수관 및 고정 노즐암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세정탱크의 측면에 있는 고정 노즐암에 대해, 급수관을 세정탱크의 배면으로부터 돌아 들어가도록 하여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급수관이 다른 구성부재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과 같이, 상기 고정 노즐암과 급수관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급수관 및 고정 노즐암을 용이하게 세정탱크 내에 부착할 수 있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은, 세정탱크 내에는, 주로 컵, 찻잔 등의 식기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 바구니가, 배면측으로부터 전후방향 중앙부 주변까지, 완만하게 경사져 위쪽을 향해 연장되고 있으며, 상기 고정 노즐암은, 상부 바구니의 경사에 대응하도록, 배면측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완만하게 상향의 경사를 갖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 기재의 식기세척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부 바구니에 수용된 컵, 찻잔 등에, 고정 노즐암으로부터 곧바로 물을 분사할 수 있기 때문에, 컵, 찻잔 등을 적합하게 세정할 수 있는 동시에, 고정 노즐암에 의해 물을 분사한 후, 그 내부에 물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은, 전방에 식기를 출입하기 위한 식기투입구가 형성되고, 상부면, 배면, 좌우 측면 및 저면을 가지며, 세정하는 식기 등을 수용하기 위한 세정탱크를 구비한 탁상형의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세정탱크는, 상하로 2분할된 수지제의 상부탱크 및 하부탱크가 연결된 수지탱크와, 수지탱크 내부에 끼워넣어지며, 수지탱크 내의 상부면, 배면 및 좌우 측면을 덮는 스테인레스 스틸제의 내부탱크를 갖고, 내부탱크의 배면 및 좌우 측면의 하단 가장자리는, 수지탱크의 연결부보다도 아래쪽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수지탱크의 연결부가 내부탱크에 의해 덮어져 있기 때문에, 세정시에 연결부에서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내부탱크의 하단 가장자리는, 상기 수지탱크의 연결부보다도 약 20mm 아래쪽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8 기재의 발명은,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제의 내부탱크는, 그것의 배면 및 좌우 측면이 똑바르게 되어 있고, 내부탱크와 수지탱크 사이에 방음재를 삽입할 수 있도록, 수지탱크는, 식기투입구가 내부탱크와 맞닿는 치수로 되고, 식기투입구로부터 일정치수 후방으로 들어간 위치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단차로부터 배면까지의 사이는, 좌우 측면 사이의 치수가 위쪽보다도 아래쪽이 약간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7 기재의 식기세척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내부탱크의 배면 및 좌우 측면을, 단차가 없는 똑바른 것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성이 좋아,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청구항 9 기재의 발명은, 수지탱크 및 내부탱크에는, 양자를 고정하기 위해, 내부탱크측으로부터 나사를 비틀어넣는 작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수지탱크에는, 작은 구멍의 주위를 둘러싸고,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원통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원통돌기 내부에 방수용의 패킹이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7 또는 8 기재의 식기세척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패킹으로 작은 구멍을 방수시키는 것에 의해, 세정탱크 내부의 물이 작은 구멍을 통해 탱크밖으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0 기재의 발명은, 싱크대 위에 설치되는 탁상형의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전방에 식기투입구를 갖고, 안길이 방향으로 직사각형을 한 세정탱크와, 식기투입구를 덮는 문을 구비하고, 외형 치수를 세정탱크에 맞추어, 안길이 방향에 대해 가로폭 방향을 상당히 작게 하여 슬림하게 하는 동시에, 싱크대의 싱크의 옆에 상기 문이 싱크대의 정면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싱크의 옆에 충분한 공간이 없는 타입의 싱크대에도 설치가능하고, 또한, 식기가 출입하기 쉬운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의 가로폭과 안길이의 비는, 1: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기세척기의 가로폭은, 300mm 이상 35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11 기재의 발명은, 상기 세정탱크 내부의 아래쪽에는, 세정시에 회전하면서 물을 분사하는 회전 노즐암과, 회전 노즐암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노즐베이스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세정탱크의 내부 저면 전방부에는, 한층 낮게 움푹 들어간 저수조가 형성되며, 세정탱크의 외부 저면 후방부에는, 저수조가 물을 퍼내어 노즐베이스로 공급하는 펌프가, 그것의 회전축이 세정탱크의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저수조와 펌프는, 세정탱크의 아래쪽으로 있어서, 세정탱크의 안길이 방향(길이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나란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0 기재의 식기세척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저수조와 펌프가, 세정탱크의 아래쪽에 있어서, 세정탱크의 안길이 방향(길이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나란하도록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저수조 및 펌프의 측방에 다른 구성부재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중량이 있는 펌프를 세정탱크의 아래쪽 후방부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식기세척기가 앞쪽으로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2 기재의 발명은, 상기 펌프는, 세정탱크의 외부 저면에 있어서, 좌우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펌프의 위쪽에 상기 노즐베이스가 배치되며, 세정탱크의 외부 저면에는, 펌프의 측방에 건조시에 세정탱크 내부로 바람을 보내기 위한 송풍팬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1 기재의식기세척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펌프가, 세정탱크의 외부 저면에 있어서, 좌우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펌프의 측방에 다른 구성부재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그 공간에 송풍팬을 배치할 수 있다.
청구항 13 기재의 발명은, 세정탱크 내부의 후방부 아래쪽에는,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보내져온 공기를 세정탱크 내부로 들어가게 하는 흡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흡기구에는, 공기의 유통방향으로 대략 반원 형태로 만곡된 내부 상부면 및 외부 상부면을 갖는 흡기커버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2 기재의 식기세척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공기의 유통방향으로 대략 반원형태로 만곡된 내부 상부면의 작용에 의해, 흡기커버 내부로 토출된 바람이 스무스하게 흡기구로 보내어진다.
또한, 외부 상부면도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세정후에 이 상부면 위에 물이 남기 어렵다.
청구항 14 기재의 발명은, 세정탱크의 측면측에는, 세정탱크 내부에 모인 세정수의 수위를 검지하기 위한 수위검지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0∼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기세척기이다.
가로폭이 좁은 세정탱크에서는, 가로폭에 비해 안길이 쪽이 길어, 긴 측면을 따라 많은 부속구를 배열할 수 있다. 즉, 후면측에 비해 측면측의 쪽이 공간에 여유가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공간에 여유가 있는 측벽측에 수위검지장치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수위검지장치가 다른 구성부재의 방해가 되기 어렵다.
청구항 15 기재의 발명은, 세정탱크의 내부 저면 전방부의 좌우 어느 한쪽 근처에, 한층 낮게 움푹 들어간 저수조가 형성되고, 세정탱크의 외부 저면측에는, 저수조가 형성된 측과 반대의 측면측에, 저수조에 일단이 접속되고, 세정탱크의 외부 저면을 따라 횡방향으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며, 세정탱크 측면을 따라 위쪽으로 급경사로 상승하여, 상기 수위검지장치와 접속된 호스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4 기재의 식기세척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수위검지장치가, 저수조가 형성된 측과 반대의 측면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저수조와 수위검지장치와의 거리가 길다. 따라서, 세정탱크 내에서 발생한 거품이 수위검지장치에 침입하고 어려워, 거품의 영향에 의한 수위검지 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호스가, 세정탱크의 외부 저면을 따라 횡방향으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고, 세정탱크 측면을 따라 위쪽으로 급경사로 상승하여, 수위검지장치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호스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탱크 내에서 발생한 거품이 수위검지장치에 더욱 침입하고 어려워, 거품의 영향에 의한 수위검지 정밀도의 저하를 더욱 더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6 기재의 발명은, 세정탱크 내부의 아래쪽에는, 노즐베이스의 측방에, 세정탱크의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건조시에 발열하는 히터가 구비되고, 상기 히터로 통전하기 위해, 히터에 연결된 단자는, 세정탱크의 측면측에서 바깥쪽으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2 기재의 식기세척기이다.
가로폭이 좁은 세정탱크에서는, 가로폭에 비해 안길이 쪽이 길어, 긴 측면을 따라 많은 부속구를 배열할 수 있다. 즉, 후면측에 비해 측면측의 쪽이 공간에 여유가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공간에 여유가 있는 측면측에 단자를 내고 있기 때문에, 단자가 다른 구성부재의 방해가 되기 어렵다.
또한, 단자를 측면측으로부터 탱크밖으로 내는 것에 의해, 해당 단자를 후면으로부터 탱크밖으로 내어 접속하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단자가 히터의 후방에 배치된 다른 구성부재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7 기재의 발명은, 상기 히터에는, 그것의 상부면을 덮는 히터커버가 구비되고, 이 히터커버에는, 히터로 뜨겁게 되어 상승하는 고온의 공기의 풍향을 조정하기 위한 다수의 풍향 조정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6 기재의 식기세척기이다.
종래에, 히터커버에는, 작은 원형 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있었지만, 젓가락의 선단 부분 등이 원형 구멍으로부터 히터커버 내부로 들어가버려 히터와 접촉해버릴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원형 구멍 대신에, 공기의 풍향을 조정하기 위해 풍향 조정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젓가락의 선단 부분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풍향 조정공은, 바람의 흐름 방향을 향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풍향 조정공을 따라 바람이 흘러, 바람이 세정탱크 내의 식기에 닿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8, 19 및 20 기재의 발명은, 상기 저수조에는, 저수조 내부로 세정에 따라 생기는 찌꺼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찌꺼기를 걸러내기 위한 찌꺼기필터가 탈착가능하게 세트되어 있고, 상기 노즐베이스의 전방 단부는, 저수조의 위쪽까지, 상기 찌꺼기필터의 취출 공간을 확보한 상태로 튀어나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17 중 어느 한 항의 기재의 식기세척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노즐베이스를, 그것의 전방 단부가 충분히 앞쪽으로 튀어나오도록 배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앞쪽의 식기를 충분히 세정할 수 있는 동시에, 취출 공간을 통해 찌꺼기필터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상기 세정탱크의 전방측면 저부는, 상기 식기투입구로부터 세정탱크의 저면에 걸쳐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찌꺼기필터를 세정탱크의 전방측면을 따라 저수조의 위쪽으로 미끄러지게 하여 장착할 수 있어, 찌꺼기필터의 장착이 더욱 용이하다.
청구항 21 기재의 발명은, 싱크대 위에 설치되는 탁상형의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전방에 식기를 출입하기 위한 식기투입구를 갖고, 식기투입구로부터 안길이 방향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한 세정탱크와, 세정탱크의 식기투입구를 덮는 문과, 세정탱크 내부에 출입 가능하게 수용되어, 출입시에 회전하는 로울러를 하단부에 갖는 식기바구니를 가지며, 상기 문은, 그것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거의 수평위치까지 회동하여 여는 것이고, 문에는, 그것의 위쪽 부분에, 후면으로부터 전방면으로 통하는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열었을 때에 위로 되는 문의 후면에는, 문을 열었을 때에 세정탱크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세정탱크로부터 식기바구니를 인출할 때에, 식기바구니의 로울러를 받는 로울러 받침이 설치되어 있으며, 배기구는 배기풍로(排氣風路)를 구성하는 배기커버로 덮어져 있고, 배기커버의 양단은, 로울러 받침까지 튀어나오는 동시에, 로울러 받침과 거의 동일면으로 되어 로울러 받침을 겸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이다.
문의 상부 좌우 양측에는, 식기세척기 내의 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양 배기구 사이에는, 문을 열 때에 쥐기 위한 손잡이가 배치되어 있다. 배기구에서는, 건조시에 고온의 증기가 배출되기 때문에, 안전성 면에서 배기구와 손잡이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거리를 두지 않으면 안된다. 가로폭이 좁은 식기세척기의 경우, 문의 가로폭이 좁기 때문에, 배기구가 어떻게 하더라도 문의 단부에 접근해 버리고, 문의 후면에서는, 배기커버의 양단부가 로울러 받침의 부분에서 튀어나와 버린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배기커버의 표면과 로울러 받침의 표면이 거의 동일면이 되도록 하여, 배기커버의 양단부가 로울러 받침을 겸용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배기커버가 식기바구니를 문의 이면으로의 인출할 때의 지장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2 기재의 발명은, 상기 세정탱크 내부에는, 세정하는 식기 등을 지지하기 위한 식기바구니가 식기투입구측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고, 수용된 식기바구니에는, 세정탱크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탱크 내의 전방 단부에서 후단까지 연장되는 하부 바구니와, 하부 바구니의 후단 상부에 구비되고, 하부 바구니 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된 상부 바구니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0 기재의 식기세척기이다.
식기바구니는, 후방부의 일부를 세정탱크 내에 남긴 형태로 대부분이 식기투입구로부터 전방측으로 인출된다. 식기바구니가 종길이인 경우에는, 뒤쪽까지 식기를 넣기 쉽게 되기 때문에 인출량이 많아지므로, 식기의 무게로 식기세척기 본체가 앞으로 뒤집히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부 바구니를 후방부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식기가 수용된 상태의 식기바구니의 무게중심을 보다 뒤로 할 수 있어, 식기를 수용한 형태에서 식기바구니를 인출하였을 때의 식기세척기 본체의 뒤집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바구니를 후방부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상부 바구니가 설치상태 그대로라도, 하부 바구니에 식기를 넣기 쉽다.
상기 상부 바구니는, 하부 바구니 후단으로부터 전방을 행해 대략 절반 정도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일 실시예에 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좌우의 표현은 식기세척기의 정면을 보았을 때에 의한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싱크대(100)에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식기세척기(1)는, 소위 탁상형으로, 싱크대(100)의 싱크(101)의 옆의 공간 A(벽과 싱크의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식기세척기(1)의 전방면, 즉 문(2)이, 싱크대(100)의 정면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식기세척기(1)에의 식기의 출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2는, 식기세척기(1)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은, 식기세척기(1)의 정면도이다. 이 식기세척기(1)는, 외형치수가 종래의 탁상형 식기세척기와 다르게, 가로폭의 치수가 안길이의 치수에 비해 상당히 작아, 가로폭: 안길이= 1:1.5 이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로폭 W가 약 335mm, 안길이 D가 약 520mm, 높이 H가 약 520mm이다(도 1 내지 도 3을 참조).
캐비넷(3)의 저면에는 전후 좌우에 4개의 다리(4)가 설치되어 있다. 좌우의 다리(4)의 폭 X는 약 190mm이다. 또한, 캐비넷(3)의 일측면과 이 일측면에서 먼 쪽의 다리(4)의 저면의 가장 바깥쪽의 치수 Y(이하, 측면-다리 치수라 한다)는 약 280mm이다.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싱크대에 있어서는, 싱크 옆의 공간 A에서 가장 좁은 것은 150mm이다. 식기세척기에서는 270mm의 큰접시를 세정할 수 있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 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실현은 매우 어렵다. 싱크옆의 공간 A에서 다음으로 좁은 것은 300mm이다. 따라서, 한 쪽이 벽이 되는 300mm의 공간에 설치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측면-다리 치수 Y를 300mm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가로폭 W를 크게 하면, 측면-다리 치수 Y와의 관계에서 좌우의 다리(4)의 폭 X가 줄어들어, 식기세척기(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안정된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 가로폭 W는 350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구나, 270mm의 큰접시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설계상, 가로폭 W는 300mm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탁상형 식기세척기(1)에서는, 가로폭 W는 300mm 이상 350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것과 같은 치수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싱크(101)의 옆의 공간 A가 충분히 없는 싱크대(100)에 있어서도, 문(2)이 싱크대(100)의 정면을 향한(같은 방향을 향한) 상태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는, 식기세척기(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면 종단면도이다. 캐비넷(3) 내부에는 세정탱크(5)가 배치되어 있다. 이 세정탱크(5)는, 전방면에 식기를 출입하기 위한 식기투입구(6)가 형성된 수지탱크(7)와, 수지탱크(7)의 상부 내벽을 덮 도록 부착된 내부식성의 금속,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제의 패널(내부탱크)(8)로 이루어진다.
도 5는, 수지탱크(7) 및 패널(8)의 개략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상부탱크(7a) 및 패널(8)의 평면 횡단면도로서, 도 6a는, 상부탱크(7a) 및 패널(8)의 상부 평면 횡단면도, 도 6b는, 상부탱크(7a) 및 패널(8)의 하부 평면 횡단면도를나타내고 있다.
도 4∼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수지탱크(7)는, 전방면 및 하면이 개방하는 상부탱크(7a)와 상면이 개방하는 하부탱크(7b)를 결합하여 만들어져 있다. 상기 패널(8)은, 상부면(61a) 및 이 상부면(61a)의 후방 가장자리에서 수직 하강한 후면(61b) 및 상부면(61a)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수직 하강한 측면(61c)을 갖고 있다. 패널(8)의 하단(8a)은 상부탱크(7a)와 하부탱크(7b)의 이음매부(62)보다도 아래쪽(예를 들면 20 mm)에 위치한다. 즉, 이음매부(62)는 패널(8)에 의해 덮어져 있어, 세정시에 이음매부(62)로부터 물이 새기 어렵도록 하고 있다. 상기 세정탱크(5)는, 캐비넷(3)의 외형에 맞추어, 역시 안길이의 치수에 비해 가로폭의 치수가 작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로폭이 약 290mm, 안길이가 약 450mm, 높이 약 460mm이다.
상부탱크(7a)의 후면(63b)은, 상부면(63a)에서 수직하게 아래로 드리워져 있다. 상부탱크(7a)의 좌우 측면 중에서, 식기투입구(6)를 구성하는 전방 단부(63c)는, 상부면(63a)에 대해 수직하게 되어 있다. 한편, 전방 단부에서 일정 치수만큼 후방으로 들어 간 위치에는 단차(64)가 형성되어 있고, 그 단차(64)에서 후면까지의 사이의 측면(63d)은, 좌우 측면 사이의 치수가 위쪽보다도 아래쪽이 약간 넓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차(64)에 의해 형성된 상부탱크(7a)와 패널(8) 사이의 공간 S에는, 세정탱크(5) 내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기기 밖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음재(도시하지 않음)기 삽입된다. 상부탱크(7a)를 이러한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패널(8)의 후면(61b) 및 좌우 측면(61c)을, 단차가 없는 똑바른 것으로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성이 좋아,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다.
상부탱크(7a)의 상부면(63a)의 중앙부에는, 대략 사각형 형태로 위쪽으로 튀어나온 돌출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돌출부(74)와 패널(8) 사이에 공간 P가 형성되고, 이 공간 P 내부에 방음재(75)가 삽입된다(도 4 참조).
하부탱크(7b)에는, 상부탱크(7a) 및 패널(8)의 하단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형상의 끼워넣음홈(65)이 형성되어 있어, 상부탱크(7a) 및 패널(8)은 이 끼워넣음홈(65)에 끼워넣어져 부착된다.
상부탱크(7a)의 전방 단부 가장자리에는, 문(2)과의 방수용의 패킹(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66)이 형성되어 있다. 패널(8)의 전방 단부 가장자리는, 외측으로 되접어 꺾이는 것에 의해 절곡편(67)이 형성되어 있으며, 패널(8)은, 상부탱크(7a)에 전방측에서 삽입되어, 절곡편(67)이 수용홈(66)에 끼워맞추어지는 것에 의해, 상부탱크(7a)에 부착된다.
패널(8)의 좌우 측면(61c)에는, 복수의 작은 구멍(6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탱크(7a)의 좌우 측면(63d)에도, 패널(8)의 각 작은 구멍(68)에 대향하여 작은 구멍(69)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탱크(7a)의 측면(63d)에는, 작은 구멍(69)의 주위를 둘러싸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원통돌기(70)가 형성되어 있다. 패널(8)의 내측으로부터 패널(8)의 각 작은 구멍(68)에 나사를 통과시켜, 상부탱크(7a)의 원통돌기(70) 내부로 비틀어넣는 것에 의해, 상부탱크(7a)와 패널(8)이 고정된다. 원통돌기(70) 내부에는, 그것의 선단부에 방수용의 패킹(71)이 수용되어 있어, 패킹(71)으로 작은 구멍(69)을 밀봉하는 것에 의해, 세정탱크(5) 내부의 물이 작은구멍(69)을 통해 탱크(5) 밖으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식기세척기(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 횡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식기세척기(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 횡단면도에 있어서, 세정탱크(5)의 저면의 일부를 절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세정탱크(5)의 저면에는, 일부의 밑바닥을 깊게 하여 저수조(9)를 형성하고 있다. 이 저수조(9)는 저면 전방부의 좌측 근처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저수조(9)는, 세정 겸용 배수펌프(10)(이하, 세정펌프로 약칭한다)에 연결되어 있다. 이 저수조(9)의 상부에는 식기에서 나온 찌꺼기를 회수하는 찌꺼기필터(11)가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찌꺼기필터(11)에 의해 찌꺼기를 걸러낼 수 있기 때문에, 저수조(9) 내부로 세정에 따라 생기는 찌꺼기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찌꺼기필터(11)의 앞쪽에는 손잡이(11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정탱크(5)의 저면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9)의 후방부분, 즉 좌측의 중앙에서 후방에 걸친 부분은, 우측의 부분에 비해 높게 융기시켜, 융기부(12)를 형성하고 있다. 이 융기부(12)에는, 길이가 긴 노즐베이스(13)를 길이방향(전후 방향)으로 배치하고 있다. 노즐베이스(13)는, 유로를 구성하기 위해 중공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세정펌프(10)의 토출측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세정펌프(10)는 세정탱크(5)의 외부 저면에서 융기부(12)의 이면에 부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세정펌프(10)의 회전축(10a)이 세정탱크(5)의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저수조(9)와 세정탱크(10)가, 세정탱크(5)의 아래쪽 좌측에 있어서, 세정탱크(5)의 안길이 방향(길이방향)으로 직선형으로 나란하도록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세정탱크(5)의 아래쪽 우측에 후술하는 히터(23)나 송풍장치(25) 등을 배치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중량이 있는 세정펌프(10)를 세정탱크(5)의 아래쪽 후방부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식기세척기(1)가 전방측으로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노즐베이스(13)의 선단부의 상부면에는 전방 노즐축(14)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전방 노즐축(14)에는 전방 노즐암(15)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노즐베이스(13)의 중앙 약간 뒤쪽의 상부면에는 후방 노즐축(16)이 형성되어 있고, 이 후방 노즐축(16)에는 후방 노즐암(17)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방 노즐암(15)은, 주로 상기 세정탱크(5) 내부의 전방측에 수용된 식기를 세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면에는 분사구를 구비한 노즐(15a)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후방 노즐암(17)은, 주로 세정탱크(5) 내부의 후방측에 수용된 식기를 세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면에는 분사구를 구비한 노즐(17a)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세정시에, 세정펌프(10)가 세정동작을 행하면, 세정탱크(5) 저부에 모인 물은, 세정펌프(10)에 의해, 노즐베이스(13)로 보내지고, 노즐베이스(13)를 통해 전방 노즐암(15) 및 후방 노즐암(17)으로 보내진다. 이것에 의해, 노즐암(15, 17)은 회전하면서 위쪽을 향해 물을 분사하고, 식기바구니(후술한다)에 수용된 식기에 물이 끼얹어져, 식기가 세정된다. 또한, 배수시에, 세정펌프(10)가 배수동작을 행하면, 세정탱크(5) 저부의 물이 배수호스(18)를 통해 기기 밖으로 배출된다. 탁상형의 식기세척기의 경우에는, 배수호스(18)의 끝은싱크(101) 내부로 들어가기 때문에, 싱크(101) 내부로 배수되게 된다(도 1 참조). 하부탱크(7b)는, 그것의 좌우 측면이 경사져,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배수호스(18)는, 세정펌프(10)가 배치된 측의 측면을 따라, 측면의 경사에 의해 생긴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노즐베이스(13)의 선단부(13a)는 약간 중앙측으로 구부러져 있고, 후방 노즐축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13b)는 약간 중앙측으로 튀어나와 있다. 이것에 의해, 전방 노즐암(15)의 중심(전방 노즐축(14)) 및 후방 노즐암(17)의 중심(후방 노즐축(16))을 상기 세정탱크(5) 내부의 좌우방향에서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노즐베이스(13)의 선단부(13a)는, 찌꺼기필터(11)의 위쪽, 즉 저수조(9)의 위쪽으로 튀어나와 있다. 또한, 찌꺼기필터(11)와 노즐베이스(13) 사이에는, 찌꺼기필터(11)를 분리하기 위한 공간 B를 만들고 있다(도 4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융기부(12)에 노즐베이스(13)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공간 B가 확보되고 있다.
종길이로 가로폭이 좁은 세정탱크(5)의 경우, 가로폭으로 규제되기 때문에 노즐암(15, 17)은 너무 길게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전방 노즐암(15)을 충분히 앞에 배치하지 않으면 전방측의 식기를 충분히 세정할 수 없다. 또한, 찌꺼기필터(11)의 탈착의 용이함을 고려하면, 저수조(9)는 세정탱크(5)의 전방부에 배치하지 않으면 안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노즐베이스(13)를, 찌꺼기필터(11)의 분리 공간 B를 확보하기 위해, 찌꺼기필터(11), 즉 저수조(9)의 위쪽까지 튀어나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전방 노즐축(14)을, 즉 전방 노즐암(15)을 충분히 앞쪽에배치시킬 수 있어, 앞쪽의 식기를 충분히 세정할 수 있다. 더구나, 분리 공간 B를 통해 찌꺼기필터(11)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하부탱크(7b)의 전방 측면은, 식기투입구로부터 하부탱크(7b)의 저면에 걸쳐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찌꺼기필터(11)를 하부탱크(7b)의 전방 측면을 따라 저수조(9)의 위쪽으로 미끄러지게 하여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찌꺼기필터(11)의 장착이 더욱 용이하다.
도 9는, 식기세척기(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정면 종단면도이다. 도 7∼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융기부(12)에 있어서, 상기 노즐베이스(13)의 후단부의 좌측 옆에는 급수노즐(19)이 설치되어 있다. 이 급수노즐(19)은, 상기 세정탱크(5)와 일체로 성형된 급수구(20)와, 급수구(20)를 덮는 급수커버(21)로 이루어진다. 이 급수노즐(19)은, 급수호스(22)에 접속되어 있고, 급수호스(22)로부터 보내져 온 물은 이 급수노즐(19)로부터 세정탱크(5) 내부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세정탱크(5) 내부에 물이 모인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세정탱크(5)의 저부에 있어서의, 우측의 부분(노즐베이스(13)의 우측 옆의 위치)에는, 후방부에서 중앙 약간 전방부에 걸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히터(시즈히터(Sheath Heater))(23)가 배치되어 있다. 이 히터(23)는, 세정시에는 상기 세정탱크(5)의 저부에 모인 물을 따뜻하게 한다. 또한, 건조시에는 세정탱크(5) 내부, 및 송풍장치(후술한다)에 의해 세정탱크(5) 내부에 보내져 온 바람을 따뜻하게 한다. 이 히터(23)는, 가열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 외부 루프(23a)와 내부 루프(23b)로 이루어진 2중 루프 형상을 하고,후단부(23c)는 오른쪽으로 구부려져 있으며, 단자부(23d)는 세정탱크(5)의 측벽 후방에서 탱크(5) 밖으로 나가도록 하고 있다. 히터(23)는, 단자부(23)d를 통해 통전되는 것에 의해 발열된다. 가로폭이 좁은 세정탱크(5)에서는, 가로폭에 비해 안길이 쪽이 길어, 긴 측벽을 따라 많은 부속구를 배열할 수 있다. 즉, 후방 벽측에 비해 측벽측 쪽이 공간에 여유가 있고, 여유가 있는 측벽측에 단자부(23d)를 내고 있기 때문에, 단자부(23d)가 다른 구성부재의 방해가 되기 어렵다. 또한, 단자부(23d)를 측면측으로부터 탱크(5) 밖으로 내는 것에 의해, 해당 단자부(23d)를 후방 벽에서 탱크(5) 밖으로 내어 접속하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단자부(23d)가 히터(23)의 후방에 배치된 다른 구성부재의 방해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히터(23)의 후방에 있어서 상기 세정탱크(5)의 후방벽 하부 근방에는, 흡기실(24)이 설치되어 있다. 이 흡기실(24)의 전방면 하부에는, 세정탱크(5) 내부로의 흡기구(24a)가 설치되어 있다(도 9 참조).
도 10은, 히터커버(26), 흡기실(24) 및 송풍장치(25)의 구성을 나타낸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8∼도 10을 참조하면, 세정탱크(5)의 외부 저면에 있어서 우측 후방부의 위치(세정펌프(10)의 옆)에는, 송풍팬을 구비한 송풍장치(25)가 설치되어 있다. 송풍장치(25)의 동작에 의해 외기가 받아들여져 흡기실(24)로 보내지고, 건조풍으로서 흡기구(24a)에서 세정탱크(5) 내부로 송출된다. 흡기실(24)의 내부 상부면(24b) 및 외부 상부면(24c)은 구면 형태, 보다 자세하게는, 공기의 유통방향으로 대략 반원형으로 만곡되어 있다(도 10 참조). 이에 따라, 아래쪽으로부터위쪽을 향해 흡기실(24) 내부로 토출된 바람이 스무스하게 흡기구(24a)로 보내진다. 또한, 외부 상부면(24c)도 구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정후에 이 외부 상부면(24c) 위에 물이 남기 어렵다. 이때, 상기 히터(23)의 단자부(23d)는, 전술한 것과 같이, 세정탱크(5)의 측벽으로부터 탱크(5) 밖으로 나와 있기 때문에, 히터(23)의 후방에 흡기실(24)이 있더라도 단자부(23d)의 방해로 되지 않는다. 즉, 히터(23)의 후방의 공간에 흡기실(24)을 배치할 수 있다.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히터(23)의 위쪽 및 전방은 히터커버(26)로 덮어져 있다. 이 히터커버(26)의 재질은, 내부식성의 금속,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로 한다. 히터커버(26)의 후단은, 상기 흡기구(24a)에 접속되어 있다. 히터커버(26)의 상부면(26a)에는, 하측으로 튀어나온 루버(풍향 조정공)(27)가 2열로 되어 다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히터커버(26)의 전방면(26b)에는 작은 원형 구멍(28)이 다수 열려 있다. 종래, 히터커버(26)의 상부면(26a)에는, 전방면(26b)과 동일한 작은 원형 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있었지만, 젓가락의 선단 부분 등이 원형 구멍으로부터 히터커버(26) 내부로 들어와 버려 히터(23)와 접촉하여 버릴 우려가 있었다. 여기서는, 루버(27)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젓가락의 선단 부분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건조시에는, 송풍장치(25) 및 히터(23)가 동작한다. 송풍장치(25)의 동작에 의해, 세정탱크(5) 내부로 보내진 바람은, 히터(23)를 거쳐 따뜻해져 상승하고, 위쪽에 있는 식기에 맞닿아, 식기로부터 수분을 빼앗은 후, 문(2)에 설치된 배기구(후술한다)에서 기기 밖으로 배출된다.
상기한 루버(27)의 개구 방향은, 흡기구(24a)로부터의 바람의 흐름 방향에 역방향으로 하고 있다. 즉, 루버(27)의 개구가 바람의 흐름 방향을 향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루버(27)의 개구 방향이 바람의 흐름 방향을 향하고 있으면, 루버(27)를 따라 바람이 흐르고, 바람의 전방으로의 기세가 증가하여, 따뜻한 바람이 세정탱크(5) 내부의 식기에 맞닿지 않고 전방면의 배기구(후술한다)에서 배기되어 버린다. 이러한 점에서, 루버(27)의 개구가 바람의 흐름 방향을 향하지 않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것과 같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세정탱크(5)의 전방측에 있어서, 우측 벽면의 외측에는 수위검지실(29)이 설치된다. 이 수위검지실(29)은, 접속호스(72)를 통해 상기 저수조(9)에 연결되어 있다. 이 수위검지실(29) 내부에는, 플로트(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어, 세정탱크(5) 내부의 수위상승에 따른 플로트의 수위 상승을 검지하는 것에 의해, 세정탱크(5) 내부의 수위가 검지된다. 가로폭이 좁은 세정탱크(5)의 경우에는, 가로폭에 비해 안길이 쪽이 길어, 긴 측벽을 따라 많은 부속구를 배열할 수 있다. 즉, 후방 벽측에 비해 측벽측 쪽이 공간에 여유가 있어, 여유가 있는 측벽측에 수위검지실(29)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수위검지실(29)이 다른 구성부재의 방해가 되기 어렵다. 또한, 이 수위검지실(29)은, 저수조(9)에서 먼 쪽의 벽면의 외측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세정탱크(5) 내부에서 발생한 거품이 수위검지실(29)에 침입하고 어려워, 거품의 영향에 의한 수위검지 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세정탱크(5)의 저부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측면도이다.수위검지실(29)은, 접속호스(72)를 통해 저수조(9)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호스(72)는, 저수조(9)의 측면에서 하부탱크(7b)의 외부 저면을 따라 횡방향으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고, 하부탱크(7b)의 측면을 따라 위쪽으로 급경사로 상승하여, 수위검지실(29)의 저면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접속호스(72)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세정탱크(5) 내부에서 발생한 거품이 더욱 수위검지실(29)로 침입하고 어려워, 거품의 영향에 의한 수위검지 정밀도의 저하를 더욱 더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식기바구니(30)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13은 식기바구니(30)의 측면도이다. 상기 세정탱크(5) 내부에 수용된 식기는 식기바구니(30)에 지지된다. 이 식기바구니(30)는, 복수의 선재로 바구니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식기바구니(30)는, 주로 접시나 주발을 지지하는 하부 바구니(31)와, 하부 바구니(31)의 후방부의 위쪽에 설치하여, 주로 컵, 찻잔 등을 지지하는 상부 바구니(32)(선반형으로 되어 있다)를 갖는다. 이 식기바구니(30)는, 세정탱크(5)의 외형에 맞추어 슬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안길이의 치수에 비해 가로폭의 치수가 상당히 작아져 있다.
본 실시예의 식기세척기(1)와 같이, 안길이에 대해 상당히 가로폭이 좁은 슬림형의 식기세척기의 경우, 상부 바구니(32)를 하부 바구니(31)의 후방부 위쪽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바구니(31)는, 세정탱크(5)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탱크(5) 내부의 전방 단부에서 후방 단부까지 연장되고, 상부 바구니(32)는, 하부 바구니(31)의 후단에서 전방을 향해 대략 절반 정도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식기바구니(30)는, 후방부의 일부를 캐비넷(3) 내부에 남긴 상태에서 대부분이 식기투입구(6)로부터 문(2)의 이면으로 인출되지만, 식기바구니(30)가 종길이인 경우에는, 뒤쪽까지 식기를 넣기 쉽게 하기 위해 인출 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식기의 무게로 식기세척기(1) 본체가 앞으로 뒤집어지기 쉬워진다. 여기서는, 상부 바구니(32)를 후방부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식기가 수용된 상태의 식기바구니(30)의 중심을 보다 후방으로 할 수 있어, 식기를 수용한 상태에서 식기바구니(30)를 인출하였을 때의 식기세척기(1) 본체의 뒤집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바구니(32)를 설치한 상태 그대로라도, 하부 바구니(31)에 식기를 넣기 쉽다.
하부 바구니(31)에는, 식기의 종류에 대응하여 각종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전방부 중앙에는 큰접시 지지부(33)가 설치되어 있다. 큰접시 지지부(33)는, 상부가 역 八자로 넓어진 한쌍의 핀(34)을 전후 방향으로 복수개 나란히 세운 것으로, 인접하는 한쌍의 핀(34) 사이에 접시를 끼우는 것에 의해, 접시를 세워 설치하여 지지한다. 큰접시 지지부(33)의 후방 우측 근처에는 밥공기 지지부(35)가 설치되어 있다. 밥공기 지지부(35)는, 중앙부를 밥공기 형태로 본뜬 게이트(36)를 전후 방향으로 복수개 나란히 세운 것으로, 인접하는 게이트(36) 사이에 밥공기를 끼워 세워 설치하여 지지한다. 이 밥공기 지지부(35)는, 통상적으로는 밥공기를 지지하지만, 사발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큰접시 지지부(33)의 후방 좌측 근처에는 국공기 지지부(37)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국공기 지지부(37)는, 약간 후방으로 경사진 사각형의 게이트(38)를 전후 방향으로 복수개 나란히 세운 것으로, 인접하는 게이트(38) 사이에 국공기를 끼워 세워 설치하여 지지한다. 큰접시지지부(33)의 전방 및 측방, 즉 하부 바구니(31)에 있어서 전방부 주연부는, 작은접시 지지부(39)로 되어 있다. 작은접시 지지부(39)에는, 하부 바구니(31)의 외부 프레임과의 사이에 작은 접시를 지지하는 게이트(40)가 구비되어 있다.
큰접시 지지부(33)를 하부 바구니(31)의 앞쪽에 배치하고, 밥공기 지지부(35) 및 국공기 지지부(37)를 하부 바구니(31)의 후방측에 좌우 2열로 배치하며, 큰접시, 밥공기 및 국공기를 전후 방향을 향해 나란하게 수용하는 동시에, 하부 바구니(31)의 전방부 주연부의 빈 공간에 작은 접시를 수용하는 것에 의해, 전후로 길이가 긴 하부 바구니(31)라도, 효율적으로 식기를 수용할 수 있다. 특히, 밥공기 지지부(35) 및 국공기 지지부(37)의 위쪽에 상부 바구니(32)를 배치하기 때문에, 큰접시 지지부(33)를 하부 바구니(31)의 후방측에 배치하고, 그 위쪽에 상부 바구니(32)를 배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부 바구니(32)의 배치 위치를 낮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식기세척기(1) 본체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큰접시 지지부(33)와 국공기 지지부(37) 사이에는, 젓가락이나 숫가락 등을 수용하는 수지제의 스탠드(41)가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스탠드(41)는, 하부 바구니(31)의 좌측, 즉 히터(23)와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탠드(41)에 수용된 젓가락 등이 히터커버(26) 위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스탠드(41)의 좌측면은, 하부 바구니(31)의 좌측의 외부 프레임에 근접하고 있고, 이 외부 프레임에는, 스탠드(41)에 대응하여 스탠드(41)보다도 키가 크고, 스탠드(41)의 안길이보다도 약간 폭이 넓은 게이트(42)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게이트(42)에 의해, 스탠드(41)에 수용된 젓가락 등이 하부 바구니(31)의 밖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하부 바구니(31)의 후방부에는, 상부 바구니(32)의 후방부를 둘러싸도록 프레임체(43)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체(43)는 우측 프레임(43a), 좌측 프레임(43b) 및 후방 프레임(43c)으로 이루어진다. 상부 바구니(32)는, 상부 바구니(32)의 전방부를 구성하는 전방 바구니(44)와 후방부를 구성하는 후방 바구니(45)로 이루어진다. 후방 바구니(45)는, 후방 프레임(43c)으로 형성된 지지부재(46)에 의해, 설치상태에서는 뒤쪽이 낮아지도록 약간 경사진 상태로 지지된다. 또한, 지지부재(46)를 지지점으로 하여 설치상태로부터 위쪽으로 회동가능하다. 전방 바구니(44)는, 후방 바구니(45)의 전방 단부에 설치된 지지부(47)에 의해 지지되고, 설치상태에서는 후방 바구니(45)와 마찬가지로 뒤쪽이 낮아지도록 약간 경사진 상태로 된다. 또한, 지지부(47)를 지지점로 하여 위쪽으로 회동가능하다.
도 14는, 상부 바구니(32)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 식기바구니(30)의 주요부의 측면도이다. 상기 상부 바구니(32)의 아래쪽에 큰 식기를 넣을 때에는, 상부 바구니(32)가 방해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상부 바구니(32)를 닫을 수 있다. 우선, 전방 바구니(44)를 회동시켜 후방 바구니(45) 위에 포갠다. 다음에, 전방 바구니(44)가 겹쳐진 상태에서 후방 바구니(45)를 회동시켜 후방 프레임(43c)에 기대게 한다. 이와 같이, 상부 바구니(32)를 둘로 접어 포갠 후, 후방 프레임(43c)에 기대게 하여 세워 설치하여 지지하는 것이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바구니(32)의 우측 단부과 우측의 외부 프레임(우측 프레임(43a)) 사이에는, 간극 C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간극 C는, 하부바구니(31)의 우측 단부에 도마를 세운 상태에서 수용하였을 때, 도마의 상부를 놓기 위한 것이다.
상부 바구니(31) 중에서, 후방 바구니(45)에는, 컵이 2열로 하여 나란하게 놓이고, 1열에 4개의 표준적인 컵이 나란히 놓인다. 후방 바구니(45)에는 합계 8개의 표준적인 컵을 수용할 수 있다. 각 열의 제일 우측 단부의 컵은, 컵의 일부가 간극 C로 튀어나온 상태로 되지만, 컵의 측면부를 우측 프레임(43a)으로 지탱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때, 간극 C에 도마가 수용된 경우에는, 제일 우측 단부의 컵은 놓을 수가 없어, 수용가능한 컵은 6개가 된다.
한편, 전방 바구니(44)의 좌우에는 프레임체(43)가 없기 때문에, 전방 바구니(44)의 양측단에 프레임부(48)를 설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전방 바구니(44)에서는, 도마가 수용되고 있지 않더라도 간극 C를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후방 바구니(45)와 마찬가지로 컵을 4개 놓을 수 없다. 여기서는, 전방 바구니(44)의 우측 단부를 앞쪽으로 약간 튀어나도록 연장시켜, 돌출부(49)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가장 우측의 컵을 좌측 옆의 컵보다도 약간 앞으로 치우치게 하여 수용가능하도록 하고 있다(도 4 참조). 이와 같이 하여, 간극 C 부분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컵을 4개 나란히 놓아지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식기세척기(1)에서는, 상기 문(2)을 연 상태에서, 문(2)의 이면측으로 상기 식기바구니(30)를 인출시키는 구조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 바구니(31)의 저부의 네 귀퉁이에는 로울러(5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세정탱크(5)의 양 측벽 하부에는, 식기바구니(30)를 세정탱크(5) 내부에 지지하는동시에, 로울러(50)가 굴러가는 레일부(51)가 설치되어 있다(도 7 참조). 문(2) 측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5는, 식기세척기(1)에 식기를 수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 종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15를 참조하면, 하부 바구니(31)에 있어서, 국공기 지지부(37)에는, 식기가 비교적 빽빽한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이것은, 국공기 지지부(37)에서는, 밑바닥이 깊은 국공기가 간격이 적게 나란히 놓이기 때문이다. 한편, 밥공기 지지부(35)에는 식기가 비교적 드문 형태로 수용되어 있다. 이것은, 국공기에 비해 밑바닥이 얕은 밥공기가 어느 정도 여유(간극)를 가진 상태로 나란하게 놓여져 있기 때문이다. 밥공기 지지부(35)에서는, 사발을 수용하는 것을 고려하여, 여유를 갖게 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부 바구니(32)에 있어서, 밥공기 지지부(35)의 위쪽, 즉 우측에 수용된 컵에는, 후방 노즐암(17)에서 분사된 물이 충분히 닿지만, 국공기 지지부(37)의 위쪽, 즉 좌측에 수용된 컵에는 물이 충분히 닿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실시예의 식기세척기(1)에서는, 상부 바구니(32)의 좌측에 수용된 컵을 세정하기 위해, 세정탱크(5)의 좌측벽의 내면 하부에 보조 노즐체(고정 노즐암)(52)를 설치하고 있다.
도 16은, 보조 노즐체(52)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측면 종단면도이다. 이 보조 노즐체(52)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가 긴 형상을 갖고, 전방면에는 분사구를 갖는 4개의 노즐(52a)이 설치된다. 이들 노즐(52a)은 상부 바구니(32)의 좌측에 수용된 컵을 향해 물을 분사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 노즐체(52)는,세정탱크(5)의 배면측으로부터 전후 방향 중앙부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고, 4개의 노즐(52a) 중 후방측의 3개는, 1개의 분사구를 갖고, 위쪽의 컵을 향해서만 물을 분사하는데 대해, 가장 앞의 노즐(52a)은, 2개의 분사구를 갖고, 위쪽 뿐만 아니라 경사진 전방에 배치된 스탠드(41)에도 물을 분사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이 보조 노즐체(52)의 후단부에는 접속구멍(53)이 설치되어 있어, 송수관(54)의 일단이 접속된다. 이 송수관(54)의 타단은 상기 노즐베이스(13)의 후단 상부면에 접속되어 있다. 이 송수관(54)은, 노즐베이스(13)와의 접속구멍(73)으로부터 세정탱크(5)의 후방 벽내면, 즉 패널(8)의 후면(61b)을 따라 일단 위쪽으로 연장된 후, 좌측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고, 세정탱크(5)의 좌측 후방 코너 부분에서 보조 노즐체(52)의 접속구멍(53)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노즐베이스(13)에서 송수관(54)을 통해 보조 노즐체(52)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송수관(54)이 패널(8)의 후면(61b)을 따라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송수관(54)을 위한 공간을 일부러 설치하는 일이 없이, 송수관(54) 및 보조 노즐체(52)를 배치할 수 있다. 송수관(54)은, 공간을 갖지 않도록 두께가 작게 형성되어 있다.
보조 노즐체(52)와 송수관(54)과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송수관(54) 및 보조 노즐체(52)를 용이하게 세정탱크(5) 내부에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하부 바구니(31)의 식기의 수납 상태가 빽빽하여, 이 영역의 위쪽인 한쪽에 후방 노즐암(17)으로부터의 물이 닿기 어려운 상부 바구니(32)의영역(좌측의 영역)에 보조 노즐체(52)에 의해 물을 분사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 배치된 컵을 충분히 세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력이 높은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보조 노즐체(52)는, 상부 바구니(32)의 경사에 대응하도록, 배면측에서 전방을 향해 완만하게 상향의 경사를 갖고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바구니(32)의 좌측에 수용된 컵에 곧바로 물을 분사할 수 있기 때문에, 컵을 적절히 세정할 수 있는 동시에, 보조 노즐체(52)에 의해 물을 분사한 후, 그 내부에 물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송수관(54)은, 세정탱크(5) 내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만일, 보조 노즐체(52)나 노즐베이스(13)의 접속이나 밀폐가 불충분하여, 이 부분에서 물이 새어 나갔다고 하더라도, 세정탱크(5) 내부로 샐 뿐이므로, 기기 밖으로 새는 일은 없다. 더구나, 세정탱크(5)의 측벽에 있는 보조 노즐체(52)에 대해, 송수관(54)을 세정탱크(5)의 후방벽으로부터 돌려넣도록 하여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송수관(54)이 상기 레일부(51)를 가로지르는 것과 같은 일이 없어, 송수관(54)에 의해 식기바구니(30)의 인출이나 수납 동작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이때, 송수관(54)의 노즐베이스(13)와의 접속위치는, 상기 급수노즐(19)의 근방이 되도록 하는 동시에, 송수관(54)과 상기 급수커버(21)를 함께 수지제로서 일체 성형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캐비넷(3)의 전방면, 즉 상기 식기투입구(6)를 덮는 상기 문(2)은, 하단이 개폐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 하단을 축으로 전방으로 열린다. 이문(2)의 전방면의 상부 중앙에는 손잡이(55)가 설치되고 있고, 손잡이(55)의 양측에는, 배기구(56)가 설치되어 있다.
도 17은, 문(2)의 이면(2a)의 구성을 나타낸 문(2)을 연 상태의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상기 문(2)의 이면(2a)에 있어서 양단 부분에는, 문(2)의 개방시에 상기 식기바구니(30)를 문(2)의 이면(2a)으로 인출하였을 때, 상기 로울러(51)를 받는 로울러 받침(57)이 설치되어 있다. 이 로울러 받침(57)은, 문(2)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로울러 받침(57)은 문(2)의 단부의 이면(2a)을 중앙부보다도 뒤쪽을 융기시켜 형성하고 있다.
도 18은, 식기바구니(30)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식기세척기(1)의 개략도이다. 도 1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식기바구니(30)를 완전히 인출한 상태에서는, 식기바구니(30) 앞의 로울러(50)가 로울러 받침(57)에 얹혀 있고, 후방의 로울러(50)는 레일부(51) 위에 얹혀 있다.
다시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문(2)의 이면(2a) 상부에는, 문(2)의 이면(2a)과 배기커버(58)에 의해 상기 배기구(56)에의 배기풍로(59)를 형성하고 있다. 이 배기풍로(59)는, 양쪽의 배기구(56)를 연결하는 대략 U자형을 이루고, 중앙 하부면에는 세정탱크(5)로부터의 바람의 배출구(60)가 설치되어 있다. 세정탱크(5) 내부로부터의 배기는, 이 배출구(60)로부터 배기풍로(59) 내부로 들어와, 배기풍로(59) 내부를 통해 양쪽의 배기구(56)로부터 기기 밖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배기구(56)로부터는, 건조시에 고온의 증기가 배출되기 때문에, 안전성의 면에서 배기구(56)와 손잡이(55)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거리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를 위해, 가로폭이 좁은 본 실시예의 식기세척기(1)의 경우, 문(2)의 가로폭이 좁기 때문에, 배기구(56)가 아무리 해도 문(2)의 단부에 근접해 버린다. 이렇게 되면, 도 17에 나타낸 것과 같이, 문(2)의 이면(2a)에서는, 배기커버(58)의 양단부(58a)는 로울러 받침(57)의 부분으로 튀어나와 버린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기커버(58)의 표면과 로울러 받침(57)의 표면이 대략 동일면이 되도록 하여, 배기커버(58)의 양단부(58a)가 로울러 받침(57)을 겸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식기바구니(30)의 문(2)의 이면(2a)으로의 인출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식기세척기(1)의 구성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조 노즐체(52)는, 슬림형의 식기세척기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와 같은 큐빅형의 식기세척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싱크의 옆에 충분한 공간이 없는 타입의 싱크대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세정탱크 내부로 식기가 출입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우수한 세정력을 제공한다.

Claims (22)

  1. 싱크대 위에 설치되는 탁상형의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전방면에 식기투입구를 구비하는 동시에 이 식기투입구를 덮는 문을 구비하고, 안길이 치수에 대해 가로폭 치수를 상당히 작게 하여 슬림하게 하는 동시에, 싱크대의 싱크의 옆에 상기 문이 싱크대의 정면을 향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 싱크대 위에 설치되는 탁상형의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부면, 배면 및 좌우 측면을 갖고, 세정하는 식기 등을 수용하는 세정탱크와,
    세정탱크의 한쪽의 측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상을 하며, 세정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을 갖는 고정 노즐암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탱크는, 전방에 식기를 출입하기 위한 식기투입구를 가지며, 식기투입구로부터 안길이 방향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하고 있고,
    상기 고정 노즐암은, 세정탱크의 배면측으로부터 한쪽 측면을 따라, 전후 방향 중앙부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탱크 내부의 아래쪽에는, 세정시에 회전하면서 물을 분사하는 회전 노즐암과, 회전 노즐암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노즐베이스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 노즐암에는, 취수구가 노즐베이스에 연결되고, 세정탱크의 배면을 따라 상승하며, 배면에서 측면으로 면을 따라 연장되는 급수관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노즐암과 급수관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6. 제 3항에 있어서,
    세정탱크 내에는, 주로 컵, 찻잔 등의 식기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 바구니가, 배면측으로부터 전후방향 중앙부 주변까지, 완만하게 경사져 위쪽을 향해 연장되고 있으며,
    상기 고정 노즐암은, 상부 바구니의 경사에 대응하도록, 배면측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완만하게 상향의 경사를 갖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7. 전방에 식기를 출입하기 위한 식기투입구가 형성되고, 상부면, 배면, 좌우 측면 및 저면을 가지며, 세정하는 식기 등을 수용하기 위한 세정탱크를 구비한 탁상형의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세정탱크는, 상하로 2분할된 수지제의 상부탱크 및 하부탱크가 연결된 수지탱크와,
    수지탱크 내부에 끼워넣어지며, 수지탱크 내의 상부면, 배면 및 좌우 측면을 덮는 스테인레스 스틸제의 내부탱크를 갖고,
    내부탱크의 배면 및 좌우 측면의 하단 가장자리는, 수지탱크의 연결부보다도 아래쪽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제의 내부탱크는, 그것의 배면 및 좌우 측면이 똑바르게 되어 있고,
    내부탱크와 수지탱크 사이에 방음재를 삽입할 수 있도록, 수지탱크는, 식기투입구가 내부탱크와 맞닿는 치수로 되고, 식기투입구로부터 일정치수 후방으로 들어간 위치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단차로부터 배면까지의 사이는, 좌우 측면 사이의 치수가 위쪽보다도 아래쪽이 약간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수지탱크 및 내부탱크에는, 양자를 고정하기 위해, 내부탱크측으로부터 나사를 비틀어넣는 작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수지탱크에는, 작은 구멍의 주위를 둘러싸고,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원통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원통돌기 내부에 방수용의 패킹이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0. 싱크대 위에 설치되는 탁상형의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전방에 식기투입구를 갖고, 안길이 방향으로 직사각형을 한 세정탱크와, 식기투입구를 덮는 문을 구비하고, 외형 치수를 세정탱크에 맞추어, 안길이 방향에 대해 가로폭 방향을 상당히 작게 하여 슬림하게 하는 동시에, 싱크대의 싱크의 옆에 상기 문이 싱크대의 정면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탱크 내부의 아래쪽에는, 세정시에 회전하면서 물을 분사하는 회전 노즐암과,
    회전 노즐암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노즐베이스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세정탱크의 내부 저면 전방부에는, 한층 낮게 움푹 들어간 저수조가 형성되며,
    세정탱크의 외부 저면 후방부에는, 저수조가 물을 퍼내어 노즐베이스로 공급하는 펌프가, 그것의 회전축이 세정탱크의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저수조와 펌프는, 세정탱크의 아래쪽으로 있어서, 세정탱크의 안길이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나란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세정탱크의 외부 저면에 있어서, 좌우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펌프의 위쪽에 상기 노즐베이스가 배치되며,
    세정탱크의 외부 저면에는, 펌프의 측방에 건조시에 세정탱크 내부로 바람을보내기 위한 송풍팬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세정탱크 내부의 후방부 아래쪽에는,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보내져온 공기를 세정탱크 내부로 들어가게 하는 흡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흡기구에는, 공기의 유통방향으로 반원 형태로 만곡된 내부 상부면 및 외부 상부면을 갖는 흡기커버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4. 제 10항∼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정탱크의 측면측에는, 세정탱크 내부에 모인 세정수의 수위를 검지하기 위한 수위검지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세정탱크의 내부 저면 전방부의 좌우 어느 한쪽 근처에, 한층 낮게 움푹 들어간 저수조가 형성되고,
    세정탱크의 외부 저면측에는, 저수조가 형성된 측과 반대의 측면측에, 저수조에 일단이 접속되고, 세정탱크의 외부 저면을 따라 횡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며, 세정탱크 측면을 따라 위쪽으로 급경사로 상승하여, 상기 수위검지장치와 접속된 호스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6. 제 12항에 있어서,
    세정탱크 내부의 아래쪽에는, 노즐베이스의 측방에, 세정탱크의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건조시에 발열하는 히터가 구비되고,
    상기 히터로 통전하기 위해, 히터에 연결된 단자는, 세정탱크의 측면측에서 바깥쪽으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에는, 그것의 상부면을 덮는 히터커버가 구비되고,
    이 히터커버에는, 히터로 뜨겁게 되어 상승하는 고온의 공기의 풍향을 조정하기 위한 다수의 풍향 조정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8. 제 11항, 제 12항, 제 13항, 제 16항 및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에는, 저수조 내부로 세정에 따라 생기는 찌꺼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찌꺼기를 걸러내기 위한 찌꺼기필터가 탈착가능하게 세트되어 있고,
    상기 노즐베이스의 전방 단부는, 저수조의 위쪽까지, 상기 찌꺼기필터의 취출 공간을 확보한 상태로 튀어나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에는, 저수조 내부로 세정에 따라 생기는 찌꺼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찌꺼기를 걸러내기 위한 찌꺼기필터가 탈착가능하게 세트되어 있고,
    상기 노즐베이스의 전방 단부는, 저수조의 위쪽까지, 상기 찌꺼기필터의 취출 공간을 확보한 상태로 튀어나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에는, 저수조 내부로 세정에 따라 생기는 찌꺼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찌꺼기를 걸러내기 위한 찌꺼기필터가 탈착가능하게 세트되어 있고,
    상기 노즐베이스의 전방 단부는, 저수조의 위쪽까지, 상기 찌꺼기필터의 취출 공간을 확보한 상태로 튀어나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1. 싱크대 위에 설치되는 탁상형의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전방에 식기를 출입하기 위한 식기투입구를 갖고, 식기투입구로부터 안길이방향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한 세정탱크와,
    세정탱크의 식기투입구를 덮는 문과,
    세정탱크 내부에 출입 가능하게 수용되어, 출입시에 회전하는 로울러를 하단부에 갖는 식기바구니를 가지며,
    상기 문은, 그것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수평위치까지 회동하여 여는 것이고,
    문에는, 그것의 위쪽 부분에, 후면으로부터 전방면으로 통하는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열었을 때에 위로 되는 문의 후면에는, 문을 열었을 때에 세정탱크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세정탱크로부터 식기바구니를 인출할 때에, 식기바구니의 로울러를 받는 로울러 받침이 설치되어 있으며,
    배기구는 배기풍로를 구성하는 배기커버로 덮어져 있고,
    배기커버의 양단은, 로울러 받침까지 튀어나오는 동시에, 로울러 받침과 동일면으로 되어 로울러 받침을 겸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탱크 내부에는, 세정하는 식기 등을 지지하기 위한 식기바구니가 식기투입구측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고,
    수용된 식기바구니에는, 세정탱크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탱크 내의 전방 단부에서 후단까지 연장되는 하부 바구니와,
    하부 바구니의 후단 상부에 구비되고, 하부 바구니 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된 상부 바구니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10-2002-0010807A 2001-03-16 2002-02-28 식기세척기 KR1004337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75156 2001-03-16
JPJP-P-2001-00075156 2001-03-16
JPJP-P-2001-00133253 2001-04-27
JP2001133253A JP2002336170A (ja) 2001-03-16 2001-04-27 食器洗い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072A KR20020074072A (ko) 2002-09-28
KR100433798B1 true KR100433798B1 (ko) 2004-06-04

Family

ID=26611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0807A KR100433798B1 (ko) 2001-03-16 2002-02-28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2336170A (ko)
KR (1) KR100433798B1 (ko)
CN (2) CN125902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907538Y (zh) * 2005-08-19 2007-06-06 Bsh博施及西门子家用器具有限公司 洗碗机
JP2012249823A (ja) * 2011-06-03 2012-12-20 Panasonic Corp 食器洗い機
KR102345342B1 (ko) * 2014-08-12 2021-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N110037640A (zh) * 2019-05-10 2019-07-23 深圳市安普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洗碗机用的旋转漂洗臂转轴防脱套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2434A (ja) * 1988-12-12 1990-07-04 Hoshizaki Electric Co Ltd 食器洗浄機
JPH05130965A (ja) * 1991-02-22 1993-05-28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機
US5518014A (en) * 1995-02-21 1996-05-21 Mceachen; Peter C. Portable countertop dishwasher
KR0120942Y1 (ko) * 1995-06-15 1998-07-15 하복진 식기 세척기가 부설된 싱크대
KR19980028653U (ko) * 1996-11-23 1998-08-05 김광호 바스켓스톱퍼를 갖는 식기세척기
JP2000079083A (ja) * 1999-08-31 2000-03-21 Toto Ltd 食器洗浄機
JP2000316785A (ja) * 1999-05-10 2000-1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浄機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2434A (ja) * 1988-12-12 1990-07-04 Hoshizaki Electric Co Ltd 食器洗浄機
JPH05130965A (ja) * 1991-02-22 1993-05-28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機
US5518014A (en) * 1995-02-21 1996-05-21 Mceachen; Peter C. Portable countertop dishwasher
KR0120942Y1 (ko) * 1995-06-15 1998-07-15 하복진 식기 세척기가 부설된 싱크대
KR19980028653U (ko) * 1996-11-23 1998-08-05 김광호 바스켓스톱퍼를 갖는 식기세척기
JP2000316785A (ja) * 1999-05-10 2000-1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浄機
JP2000079083A (ja) * 1999-08-31 2000-03-21 Toto Ltd 食器洗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072A (ko) 2002-09-28
JP2002336170A (ja) 2002-11-26
CN1174711C (zh) 2004-11-10
CN1259022C (zh) 2006-06-14
CN1535647A (zh) 2004-10-13
CN1375259A (zh) 2002-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8205A (ko) 싱크대
KR100457032B1 (ko) 식기세척기
KR20070105335A (ko) 식기 세척기
KR100433798B1 (ko) 식기세척기
JP6913855B2 (ja) 食器洗い機
JP6868768B2 (ja) 食器洗い機
JP2001231737A (ja) 食器洗浄機等の食器かご
KR100387388B1 (ko) 식기 세척기
KR20190024466A (ko) 식기세척기
JP7065634B2 (ja) 洗浄機
JP2002336175A (ja) 食器洗い機
KR20220005211A (ko) 식기 세척기
JP4007850B2 (ja) 食器洗い機
JP6906142B2 (ja) 食器洗い機
KR101527235B1 (ko) 식기 세척기
CN220494969U (zh) 一种家用电器
JP2023069070A (ja) 洗浄機
JP3394695B2 (ja) 食器洗浄装置
JPH10108819A (ja) 食器洗浄機及び食器洗浄機用小物入れ、食器洗浄機用食器カゴ
JPH06169821A (ja) 食器洗い機付流し台
JP2023069064A (ja) 洗浄機
JP2020199182A (ja) 食器洗浄機並びに食器乾燥機
JPH09103398A (ja) 食器洗浄機
JP3773637B2 (ja) 食器洗浄機
JP3773639B2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