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8499A - 면역 부활 조성물 - Google Patents

면역 부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8499A
KR20020068499A KR1020027002432A KR20027002432A KR20020068499A KR 20020068499 A KR20020068499 A KR 20020068499A KR 1020027002432 A KR1020027002432 A KR 1020027002432A KR 20027002432 A KR20027002432 A KR 20027002432A KR 20020068499 A KR20020068499 A KR 20020068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lactosucrose
effective amount
weeks
ag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1865B1 (ko
Inventor
구메무라메구미
도이다츠야
사이토다카오
노다즈네유키
오카마츠히로시
Original Assignee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8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8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8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3/00Compounds containing only hydrogen atoms and saccharide radical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C07H3/06Oligosaccharides, i.e. having three to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Oligosaccharides, i.e. having three to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토수크로오즈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면역 부활(賦活) 조성물 및 인터페론-γ 생성능력 항진 조성물, 특히 식품 형태의 이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조성물은, 그 복용 내지 섭취에 의해서, 소화관에 있어서의 생체 방어 기구(면역 기능)을 높여, 소화관 감염증 등에 대해 현저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면역 부활 조성물{IMMUNOPOTENTIATING COMPOSITIONS}
생체가 외계와 접하는 경계면인 피부 및 점막, 특히, 장내 점막 등의 소화관 점막은,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병원성 항원, 음식물 항원 등의 많은 이물질과 접촉한다. 이 때문에, 이들 피부 및 점막은, 상기 이물질의 체내로의 진입을 방지하여, 생체를 지키기 위한 면역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하는 작용을 가지는 면역 물질로서는, 이뮤노글로불린A(IgA)가 알려져 있다. 상기 IgA는, 세균, 바이러스 등의 중화, 조직에의 세균 부착의 억제, 음식물 항원에 의한 알레르기 억제 등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상기 IgA의 생성에는, 장내에 존재하는 림프 조직인 파이에르 판(Peyer's patch) 임파구가 관여한다.
소화관 점막에서의 생체 방어계의 면역 기능이 저하되면, 소화관에 미생물이 정착하고, 증식하여 소화관 감염증, 세균성 설사증 등을 일으키고, 발열, 구토,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이 생긴다. 상기 면역 기능 저하는, 과로, 스트레스 등에 의한식욕 부진증에 의해서도 야기된다.
특히, 유아, 노인, 체력이 저하된 사람들은, 면역력이 약해져 있고, 병원균 등의 외부로부터의 침입에 대한 저항력이 낮다. 그 때문에, 이러한 사람들 및 상기 소화관 감염증 환자 등에는, 특히 IgA 생성을 항진(亢進)시키고, 그 양을 높은 값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작용을 가지는 물질의 투여, 특히 음료 등의 식품 형태로의 상기 물질의 투여가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IgA 생성 항진 작용을 가지며, 소화관 면역 기능의 저하, 세균성 소화관 감염 등에 대해 효과적인 예방약 내지 치료약은, 현재도 알려져 있지 않다. 세균성 설사증에 대해서는, 겨우 탈수증에 대한 수액 주입이나 항생 물질 투여가 행해지고 있을 뿐이다.
본 발명은, 면역 부활(賦活) 조성물 및 인터페론-γ의 생성 능력 항진(亢進)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시험예 2에 있어서 본 발명 조성물을 섭취시킨 피험자의 과립구(顆粒球) 분획에 대해서 요구된 탐식율(貪食率)(%)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2는, 시험예 3에 있어서 본 발명 조성물을 먹인 시험용 쥐의 파이엘판 임파구의 IFN-γ 생성량(pg/ml)을 구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소화관 감염증 등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새로운 소화관 면역 부활 조성물, 특히 음료 등의 식품 형태의 상기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락토수크로오즈(lactosucrose)가, 인간에 대해 원하는 면역 부활 효과을 발휘하는 것, 그 투여에 의해, 소화관 감염증 등의 치료 및 예방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라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고, 여기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락토수크로오즈를 담체와 같이 함유하는 면역 부활 조성물을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자는 상기 조성물의 투여에 의하면, 인터페론-γ(IFN-γ)의 생성 능력이 항진된다는 새로운 사실도 발견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락토수크로오즈를 담체와 같이 함유하는 IFN-γ의 생성 능력 항진 조성물를 제공한다.
본 발명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락토수크로오즈(이하 「LS」라고 함)을 함유하는 것을 필수로 한다. 여기서, 락토수크로오즈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공지의 물질이며, 화합물명으로서는 O-β-D-갈락토피라노실-(1→4)-O-α-D-글루코피라노실(1←2)-β-D-프럭토피라노시드를 나타낸다.
LS는, 각종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공소57-58905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에어로박터속 균 기원의 레반수크라아제(levansucrase)를 수크로오즈 및 락토오즈를 포함하는 용액에 적용시키는 방법, 일본국 특개소64-85090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스포로볼로마이세스 싱굴라리스(Sporobolomyces singularis)등의 스포로볼로마이세스속에 속하는 균체 또는 그 처리물을 수크로로즈 및 락토오즈를 포함하는 용액에 적용시키는 방법, 일본국 특개평2-35095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라넬라 아쿠아틸리스(Rahnella aquatilis) 등의 라넬라속에 속하는 균체 또는 그 처리물을 수크로오즈 및 락토오즈를 포함하는 용액에 적용시키는 방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에서는, 상기 각 방법에 의해 수득된 LS를 주로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 또는 이들로부터 정제된 LS 정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LS는, 또한 비피더스균의 장내 증식에 있어서 필수적인 중요한 영양소(당원)로서도 알려져 있다.
본 발명 조성물에 있어서의 LS의 배합량은, 통상 0.5∼70g/100g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5∼30g/100g 정도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면역 부활 조성물 및 IFN-γ의 생성 항진 조성물은, 복용 내지 섭취가 가능한 한, 특별히 그 형태에는 제한은 없고, 각종의 형태, 예를 들면, 블럭상, 액상, 시럽상, 분말상 등의 형태를 들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액상 또는 분말상의 감미료 형태, 청량 음료, 우유 음료, 탄산 음료 등의 음료 형태(드링크제), 빵, 쿠키, 캔디 등의 과자류 형태, 그 밖의 건강 식품 형태 등의 다양한 식품 형태, 및 분제(粉劑), 산제(散劑), 액제, 현탁제, 정제, 발포제제 등의 의약품 형태를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특히 음료 형태, 발포제 형태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종 형태의 본 발명 조성물은, 이들의 형태에 따라서, 유효 성분으로하는 LS 이외에, 적당한 식품 담체 및 제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약품 담체를 첨가 배합하여 조제할 수 있다. 식품 담체는, 각종의 가식성 첨가제, 예를 들면 증량제, 감미제, 다른 당질, 비타민류, 향료, 착색제 등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본 발명 조성물이 식품 형태인 경우에는, 1일당 LS의 섭취량(유효량)이, 1∼30g 정도임을 고려하여, 상기 조성물은 상기 유효량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LS를 적당한 식품 담체와 함께 배합하여 조제된다. 식품 형태의 대표적 예로서의 음료는, 일반적으로, 유효 성분을 0.5∼70g/100ml, 바람직하게는 5∼30g/100ml 포함하는 수용액 형태로 조제할 수 있다. 상기 음료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적당한 pH 조절제 내지 완충제 등을 이용하여, pH 4.0∼6.5정도, 바람직하게는 4.5∼6.0정도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pH 조절제 내지 완충제로서는, 대표적으로는, 구연산, 주석산, 사과산, 젖산, 탄산 등의 약산 및 그들의 염류, 예를 들면 구연산 나트륨, 구연산 암모늄, 주석산 나트륨, 사과산 나트륨, 젖산 나트륨, 젖산 칼슘, 탄산 나트륨, 탄산수소 나트륨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인산수소 나트륨도 상기 pH 조절제 내지 완충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산 및 그 염류는,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좋고, 2종 이상 병용되어도 좋다. 이들의 배합 비율은, 수득하는 음료가 상기 적당한 pH 범위를 유지하는 범위에서 적절히 결정된다. 통상 조성물 중량의 약 2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0.05∼0.3중량%이다.
또한, 상기 음료 등의 식품 형태의 본 발명 조성물 중에는, 일반적인 음료 등과 마찬가지로, 각종의 당질 내지 감미료 등을 첨가 배합할 수 있다. 당질로서는, 글루코오즈, 프럭토오즈 등의 단당류; 말토오즈, 수크로오즈 등의 2당류;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다당류(단 LS를 제외함); 크실리톨, 에리트리톨, 소르비톨 등의 당알코올류; 슈가에스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감미료로서는, 천연감미료(레바우디오사이드A(Rebaudioside A) 등의 스테비어 추출물, 소르마틴(sormatin), 글리시리친(glycyrrhizin) 등), 합성 감미료(사카린, 아스파탐 등)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당질 내지 감미료의 배합 비율은, 통상 수득하는 음료의 약 1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3중량% 이하이다.
또한, 식품 형태의 본 발명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서, 예를 들면 하기의 첨가제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첨가 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첨가제에는, 예를 들면 그레이프프루트, 사과, 오렌지, 레몬, 파인애플, 바나나, 배 등의 각종 과즙(농축 과즙, 분말 과즙 등이어도 좋다); 비타민류 및 프로비타민류(팔미트산 레티놀, 비스벤티아민(bisbentiamine), 리보플라빈, 염산 피리독신, 시아노코발아민(cyanocobalamine), 아스코르빈산 나트륨, 니코틴산 아미드, 판토텐산 칼슘, 엽산, 비오틴, 콜레칼시페롤(cholecalciferol), 중주석산 콜린, 토코페롤, β-카로틴 등의 수용성 및 지용성 비타민류); 향미료(레몬플레이버, 오렌지플레이버, 그레이프프루트플레이버, 바닐라 에센스 등); 아미노산, 핵산 및 그들의 염류(글루탐산, 글루탐산나트륨, 글리신, 알라닌, 아스파라긴산, 아스파라긴산 나트륨, 이노신산 등); 식물 섬유(폴리덱스트로오즈, 펙틴, 크산탄 고무, 아라비아 고무검, 알긴산 등); 미네랄 내지 미량 원소(염화 나트륨, 초산 나트륨, 황산 마그네슘, 염화 칼륨, 염화 마그네슘, 탄산 마그네슘, 염화 칼슘, 인산 2칼륨, 인산 1나트륨, 글리세로인산 칼슘, 구연산제1철 나트륨, 구연산철 암모늄, 구연산철, 황산망간, 황산구리, 요오드화나트륨, 솔빈산칼륨, 아연, 망간, 구리, 요오드, 코발트 등)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 조성물은, 상기 각 성분을 혼합하여 조제된다. 그 조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한 성분을 모두 동시에 혼합해도 좋고, 또한 유성 성분과 수성 성분의 양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미리 유성 성분을 적당한 유제에 용해하고, 이것과 수용성 성분의 수용액을 유화제(乳化劑)를 이용하여 유화할 수도 있다. 상기 유화 조작은,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서, 통상의 유화 분산기, 예를 들면 호모믹서, 고압 호모디나이저 등을 이용하여, 완전 통과 방식 또는 순환 방식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성분의 혼합 내지 유화는, 통상 상온하에서 실시되지만, 가온 조작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해서 조제되는 본 발명 조성물은, 이것을 적당한 용기에 충전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가열 멸균, 무균 여과 등에 의해 멸균하여, 제품이 된다.
본 발명 조성물은, 또한, 정제, 과립제, 산제, 캡슐제 등의 사용전에 수중(水中)에 용해 분산시킬 수 있는 적당한 형태의 발포제제로 조제할 수도 있다. 상기 발포제제는, 발포 성분으로서의 탄산수소 나트륨 및(또는) 탄산 나트륨과, 중화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여기서 중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구연산, 주석산, 푸마르산, 아스코르빈산, 젖산, 사과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발포 성분 및 중화제의 배합 비율은, 통상 모든 조성물중에 발포 성분 8∼60중량% 및 중화제 10∼70중량%가 되는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포제제는, 필요에 따라서 더욱 탄산칼륨의 소정량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방법, 예를 들면 직접 분말 압축법 또는 건식 또는 습식 과립 압축법에 따라서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의 섭취 내지 복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서, 또한 이것을 적용해야 할 사람의 연령, 성별, 체중, 질환의 정도 등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조성물이 고체형 제제인 경우에는, 일반적으로는, 1회당 약 1∼30g의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고제를 복용,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체제를 물 30∼200 ml에 용해시켜 복용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 조성물이 음료 등의 액제 형태인 경우에는, 이것을 1회당 약 30∼200 ml 복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조성물의 1일당의 섭취 내지 복용량은, 이것에 함유되는 유효 성분이 약 0.5∼70g, 바람직하게는 약 1∼30g,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20g 섭취, 복용되는 양으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 섭취, 복용량에 따라서, 상기 고체형 제제, 음료 등은 하루에 여러번으로 나눠 복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 조성물의 조제예를 실시예로 들고, 이어서 본 발명 조성물 및 그 유효 성분으로 하는 LS에 관해서 행한 시험예를 든다. 또한, 각 예 중, 부 및 %은 모두 중량 기준이다.
실시예1∼6
표1에 기재한 조성이 되도록 각 원료 화합물을 물에 투입하여 혼합, 용해시켜 본 발명 조성물을 조제했다. 각 실시예의 조성물에는, 더욱 적절히 향료 및/또는 비타민류가 배합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예의 배합은, 물에 의해 전량을 1000ml이 되도록 했다.
실시예 No. 1 2 3 4 5 6
양이온(mEq/1) Na+ 21 15 21 15 8 27
K+ 5 5 5 5 4 5
Ca2+ 1 1 1 2 1 1
Mg2+ 0.5 0.5 0.5 0.5 0.5 0.5
27.5 21.5 27.5 22.5 13.5 33.5
음이온(mEq/1) Cl- 16.5 10.5 16.5 10.5 6.5 17.5
구연산이온 (3-) 10 10 8 10 4 11
젖산이온 (-) 1 1 1 2 1 1
주석산이온 (2-) 0 0 1 0 1 2
사과산이온 (2-) 0 0 1 0 1 2
27.5 21.5 27.5 22.5 13.5 33.5
레바우디오사이드 A(mg/1) 80 75 83 73 70 85
당분 프럭토오즈 (g/1) 20 18 17 16 15 22
글루코오즈 (g/1) 2 1 2 3 2 1
락토수크로오즈 (g/1) 100 50 10 60 30 200
실시예7
하기 성분(전량 5g)을 혼합하여 직접 타정(打錠)에 의해 조제(정제)하던지, 각 성분을 칭량(稱量) 혼합하여 분포(分包)(산제)하던지, 또는 각 성분을 칭량 혼합하고, 조립(造粒) 건조후, 분포(分包)(과립제)하여, 각각의 제제 형태의 본 발명 조성물을 조제했다.
LS55P 34%
(LS로서 18.7%)
L-아스코르빈산 21%
L-주석산 20%
감미료 적량
탄산수소 나트륨 21%
염화 나트륨 적량
탄산 칼륨 0.5%
향료 및 착색료 미량
합계 100%
여기서, 상기「LS55P」는, LS를 55% 함유하는 분말이다.
실시예 8∼10
실시예 7과 같은 방법으로, 하기 각 성분을 포함하는 정제, 산제 및 과립제형태의 본 발명 조성물을 조제했다.
〈실시예 8 처방〉
LS55P 40%
(LS로서 22%)
L-아스코르빈산 10%
L-주석산 23%
감미료 적량
탄산수소 나트륨 22%
구연산나트륨 적량
탄산칼륨 0.4%
향료 및 착색료 미량
합계 100%(전량 5g)
〈실시예 9 처방〉
LS55P 40%
(LS로서 22%)
L-아스코르빈산 11%
L-주석산 23%
감미료 적량
탄산수소나트륨 22%
구연산암모늄 0.8%
시아노코발아민 미량
구연산나트륨 미량
탄산칼륨 0.4%
향료 및 착색료 미량
합계 100%(전량 4.6g)
〈실시예 10 처방〉
LS55P 40%
(LS로서 22%)
L-주석산 29%
감미료 적량
탄산수소나트륨 24%
구연산철암모늄 3.6%
시아노코발아민 미량
탄산칼륨 0.5%
향료 및 착색료 미량
합계 100%(전량 4g)
실시예 11∼18
실시예 7∼10과 같은 방법으로,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의 발포 정제 형태의 본 발명 조성물을 조제했다.
구성 성분 실시예 No.
11 12 13 14 15 16 17 18
LS55P (%)(LS로서) 40(22) 30(16.5) 40(22) 60(33) 50(27.5) 35(19.3) 45(24.8) 35(19.3)
L-아스코르빈산 (%) 11 16 10 8 10 10 10 13
L-주석산 (%) 23 23 23 13 19 20 20 25
감미료 (%)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탄산수소나트륨 (%) 22 22 23 15 15 20 20 23
구연산철암모늄 (%) 0.8 0.8 1.0 0.8 0.8 - - 0.7
구연산제1철나트륨 (%) - - - - - 1.2 - -
구연산철 (%) - - - - - - 0.8 -
구연산나트륨 (%)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총 중량 (g) 4.6 4.6 4.7 4.6 4.6 4.7 4.7 5.4
실시예 19∼25
하기 표 3에 나타내는 각 성분(mg)을 혼합하여, 직접 압축법에 의해, 츄어블정(발포정) 형태의 본 발명 조성물을 조제했다.
구성 성분 실시예 No.
19 20 21 22 23 24 25
LS75P (mg)(LS로서 mg) - - - 700(525) 3330(2498) 600(450) 350(263)
LS55P (mg)(LS로서 mg) 1800(990) 3600(1980) 4620(2541) - - - -
슈가에스테르 (mg) 40 80 841 20 80 15 7
폴리텍스트로스 (mg) 150 400 300 100 300 60 60
수크로오즈 (mg) 100 200 200 20 200 80 20
비타민C (mg) 150 320 200 20 200 - -
오렌지과즙분말 (mg) 80 150 - - 100 20 5
레몬과즙분말 (mg) - - 84 40 - 10 5
주석산 (mg) - - - - 460 95 50
NaHCO3(mg) - - - - 500 100 50
K2CO3(mg) 30 40 40 40 30 8 8
향료 및 감미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총 중량 (mg) 2400 4950 5580 1000 5200 1000 5000
여기서, 상기 「LS75P」는, LS를 75% 함유하는 분말이다.
실시예 26∼34
하기 표 4에 나타내는 각 성분을 혼합하고, 물을 첨가하여 전량을 100ml로 하여, 건강 음료 형태의 본 발명 조성물을 조제했다.
구성 성분(100ml중) 실시예 No.
26 27 28 29 30 31 32 33 34
β-카로틴 (mg) 3 5 10 15 1 2 30 5 3
폴리덱스트로스(g) 5 3 5 7 4 2 30 5 3
유화제 (mg) 6 10 20 30 5 6 20 15 8
유제(oil) (mg) 100 90 80 120 50 50 200 70 60
프럭토오즈 (g) - 15 10 - 15 15 15 5 10
구연산 (mg) 200 400 100 300 50 20 - - -
주석산 (mg) - - 50 - 50 10 100 200 -
젖산 (mg) - - - - 50 10 100 - 200
아스코르빈산 (mg) 300 200 100 50 30 150 200 1000 50
토코페롤 (mg) 10 5 10 20 20 0.5 20 10 5
LS55P (g)(LS로서 mg) 2(1.1) 5(2.75) 10(5.5) 3(1.65) 8(4.4) 7(3.85) 5(2.75) 12(6.6) 10(5.5)
항료·감미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여기서, 상기 유화제로서는,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 에스테르를 사용하고, 유제로서는 홍화(safflower)유를 사용했다.
실시예 35∼45
하기 표 5에 도시한대로 각 성분을 혼합하고, 물을 첨가하여 전량을 100ml로 하여, 음료 형태의 본 발명 조성물을 조제했다.
또한, 표중의 가스볼륨값은, 용액과 같은 체적의 이산화탄소의 기체를 용해시킨 경우를 1로 하여 산출된 함유 이산화탄소량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수치가 클 수록 함유 이산화탄소량이 많은 것을 나타낸다.
구성 성분(100ml중) 실시예 No.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락토수크로오즈 (g) 3 12 9 1 8 2 4 10 15 7 13
이성화당 (g) 8 - - 7 7 8 5 - - 9 -
정제백당 (g) - 1 8 3 7 5 3 - - - -
프럭토오즈 (g) 2 6 - 1 - - 3 - - - 60
글루코오즈 (g) 2 2 - - 2 - 3 - - 2 4
구연산 (mg) 3 2 - - 8 - - 2 5 - -
주석산 (mg) - 2 - 2 - - - - - 10 -
사과산 (mg) 4 - 8 - 5 - 4.5 - - - -
젖 산 (mg) 8 - - 2 - 20 - - - 10 -
구연산나트륨 (mg) 20 30 10 - 80 - - 100 55 70 -
주석산나트륨 (mg) 60 - - 60 25 70 - - - 30 20
사과산나트륨 (mg) - 80 150 - - 100 45 - 10 - 50
젖산칼슘 (mg) - - - - 15 10 - - - - 5
염화나트륨 (mg) - - 4 - 1 1.5 - - 2 - -
염화칼륨 (mg) - 3 - 2 - - 5 - 1 1 -
염화마그네슘 (mg) 2 - 1 - - - - - 1 - -
과 즙 (%) 3 - 1 0.5 0.1 - - - - 2 0.3
향료·감미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가스 볼륨 - - - - - 3.0 2.0 2.5 2.3 3.3 1.5
pH 5.0 6.3 5.8 4.9 5.8 5.3 5.5 5.6 6.4 5.6 5.9
시험예 1
이 시험은, 플라시보(placebo) 음료를 대조구로 한 이중맹검 그룹간 비교법(double-blind comparison method)에 의해 음료 형태의 본 발명 조성물의 섭취가 장내 세균 군집이나 면역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것이며, 이하와 같이 행했다.
1. 피험자: 성인 남성 28명
2. 시험 디자인: 플라시보 음료를 대조로 한 이중 맹검 그룹간 비교법
3. 그룹 구성: 본 발명군: 본 발명 음료 섭취군(n = 14)
대조군: 플라시보 음료 섭취군(n = 14)
4. 피험물:
본 발명 음료:
락토수크로오즈(LS) 5g을 50ml의 물에 용해시켜 조제한 용액(1병).
플라시보 음료:
본 발명 음료중의 LS 대신에 슈가를 이용하여 같은 방법으로 조제한 것.
5. 용법 및 용량: 하루 1병(모두 50 ml)을 취침 전에 음용.
음용 기간은 6주간.
6. 측정 항목: 장내 세균 군집 및 대변 중 IgA 농도
7. 대변 채취 방법:
피험물 음용전과 음용 6주 후에, 신선한 대변을 채취했다. 대변은 채취일의 기상시 이후에 배설된 것을 밀폐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제 봉지에 채취하고, 폴리에틸렌제 봉지 내에 공기가 남지 않도록 최대한 주의하여 봉지를 밀폐한 후, 폴리프로필렌제 대변 채취 용기에 넣고 빙냉 저장하였다. 채취한 대변은 중량을 측정하여, 잘 혼화(混和)한 후에 장내 세균 군집 및 IgA량의 측정을 행했다. 한편, IgA량의 측정에는 대변의 일부를 -80℃로 저장하여 사용했다.
8. 장내 세균 군집 측정법:
대변 세균 군집의 검색은, 미츠오카 등의 방법(미츠오카 도모타리, 장내 상존하는 균집, 임상 검사, 23(4): 320-334 (1979))에 기초하여, 분리용 배지로서 3 종의 비선택 배지(BL한천, EG한천, Tryptycase soy blood 한천) 및 11종의 선택 배지(BS한천, NBGT한천, ES한천, 변형 VS한천, Neomycin Nagler한천, 변형 LBS한천, DHL한천, TATAC한천, PEES한천, Potato dextrose 한천(PDA), GE한천)을 이용하여 실시했다. 이들 각 배지 조성은, 장내 상존하는 세균 군집, 미츠오카 도모타리, 임상 검사, 23(4): 320-334 (1979)에 기재된 대로이다.
약 1.0g의 신선한 대변을 정확히 칭량하고, 혐기성 희석액(상기 문헌 기재의 방법에 의해 조제) 9ml에 현탁한 후, 탄산 가스 분위기하에서 동 희석액으로 순차 10배씩 희석하여, 101∼108배 희석액을 조제했다. BL 한천 및 EG 한천 배지에는 상기에서 조제된 106, 107및 108배 희석액을, Tryptycase soy blood 한천 배지에는 상기에서 조제된 105, 106및 107배 희석액을, 다른 선택 배지에는 조제된 101, 103, 105및 107배 희석액을, 각각 0.05ml씩 도말(塗抹)하였다.
그 후, BL한천, EG한천, BS한천, NBGT한천, ES한천, 변법 VS한천, Neomycin Nagler 한천 및 변형 LBS 한천은 혐기 용기에 넣고, 탄산 가스 치환 후, 스틸 울 법(steel wool method)으로 37℃로 48시간 혐기 배양을 행했다. Tryptycase soy blood 한천 및 DHL 한천은, 37℃로 24시간 배양하고, TATAC 한천, PEES 한천, Potato dextrose 한천 및 GE 한천은, 마찬가지로 48시간 배양했다.
배양 후, 각 배지상의 콜로니 수를 계측하고, 콜로니 성상, 그람 염색성, 포자의 유무, 호기 발육성 및 현미경에 의한 형태학적 관찰에 의한 균군 레벨의 동정을 행하였다. 결과는, 대변 1g당의 균수의 대수값(log10CFU/g wet feces)으로 나타냈다.
9. 대변 중 IgA 농도 측정법:
(1) 대변 중 IgA 측정용 샘플의 조정
-80℃로 저장한 대변 샘플을 동결 건조하고, 건조 대변 0.2g에 대해 0.1 M 탄산 완충액(pH 9.6) 2.0 ml을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한 후, 1500회전/분으로 10분간 원심하고, 상청액을 pH 7.5로 조정하여 IgA 측정용 샘플로 했다.
(2) 대변 중 IgA 측정용 샘플중의 IgA 농도의 측정
츠유키 등(츠유키 시게오, 야마자키 쇼지, 우에무라 히로시, 기무라 마사노부, 가와시마 히로시, 우에다 유키, 마우스 담즙 및 소장 내용물 중의 IgA 항체 및 총 IgA의 효소 항체법(ELISA)에 의한 측정, 비피더스, 2: 9-13(1988))의 방법에 따라서, ELISA법에 의해 IgA 농도를 측정했다.
IgA 항체의 측정은, 다음과 같이 실시했다. 즉, 항원으로서 비표지 마우스유래 항인간IgA(25μg/ml, 200㎕)을 사용하고, 상기 항원을 각 웰(wells)에 넣고 4℃에서 하루밤 정치했다. 대조를 위하여 상기 항원 대신에 완충액을 같은 양 넣은 대조 웰을 사용했다.
다음날, 용액을 흡인한 각 웰에 스페이서(spacer)로서 1% BSA 용액(0.1M 탄산 완충액, 200㎕)을 첨가하고, 37℃에서 60분간 반응시켰다. 이어서 대변 중 IgA 측정용 샘플(40㎕)을 항원 처리 및 대조 웰에 넣고, 37℃에서 45분간 반응시켰다. 반응후 퍼옥시다아제 표지 마우스 유래 항인간IgA(1000배 희석, 40㎕)을 첨가하고, 37℃, 45분간 반응시켰다. 이어서 SIGMA FAST ODP(SIGMA사, 200㎕)를 첨가하여 15분간 발색시킨 후, 3M HCl(50 ml)로 반응을 정지하고, 흡광도(490nm)를 측정했다.
샘플의 IgA 농도는, sIgA 샘플(purified human secretory IgA 5mg; Capple 사)로 검량선(檢量線)을 작성하고, 그 검량선으로부터 산출한 샘플중의 IgA 농도를 건조 대변 1g당의 농도로 환산하여 나타냈다.
10. 통계 해석:
피험물 음용전과 음용 6주후의 값에 대해, 각 그룹의 평균값과 표준 편차를 산출했다. 그룹간의 비교는, 반복을 가미한 분산 분석을 행하고, 위험율 5%이하를 의미있는 것으로 했다.
상기 시험의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낸다.
대변중IgA농도(mg/g·dry wt) 장내 세균수(log10CFU/g wet feces) 장내 세균점유율(%)
본 발명 음료 섭취 그룹n평균 ±SD음용전음용6주후 143.9 ±3.26.9 ±5.4 139.5 ±0.710.1 ±0.7 1319.6 ±15.232.1 ±15.2
플라시보 음료 섭취 그룹n평균 ±SD음용전음용6주후 145.6 ±7.04.4 ±3.1 129.8 ±0.69.8 ±0.6 1223.5 ±12.618.8 ± 9.2
표 6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다음의 것을 알 수 있다.
1. 본 발명 음료 섭취 그룹에서는, 본 발명 음료의 섭취에 의해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의 균수가 증가했다(9.5±0.7 -> 10.1±0.7 log10 CFU/g wet feces, Paired t-test; P= 0.013). 이에 반해, 플라시보 음료 섭취 그룹에서는 변화를 인정하지 않았다(9.8±0.6 -> 9.8±0.6 log10 CFU/g wet feces). 따라서, 비피도박테리움의 균수의 변화에 그룹간 의미 있는 차이를 인정했다.
2. 본 발명 음료 섭취 그룹에서는, 본 발명 음료의 섭취에 의해 비피도박테리움의 점유율도 증가했다(19.6±15.2 -> 32.1±15.2%, Paired t-test; P= 0.001). 이에 반해, 플라시보 음료 섭취 그룹에서는 저하되는 경향(23.5±12.6 -> 18.8±9.2 %, Paired t-test; P= 0.110)에 있고, 비피도박테리움의 점유율의 변화에도 그룹간 의미 있는 차이를 인정했다.
3. 본 발명 음료 섭취 그룹에서는, 대변중 IgA 농도가 의미있게 상승했다(3.9±3.2 -> 6.9±5.4 mg/g dry wt, Paired t-test; P= 0.014). 이에 반해, 플라시보 음료 섭취 그룹에서는 변화하지 않고(5.6±7.0→4.4±3.1 mg/g dry wt), 대변 중 IgA 농도의 변화에 그룹간에 의미있는 차이를 인정했다.
이상의 점에서, 시험한 본 발명 음료는, 그 섭취에 의해서, 대변중의 IgA 농도를 의미있게 상승시켰다. 이 점에서, 본 발명 음료는, 소화관에 있어서의 IgA 생성 능력을 항진시키는 것이 분명해졌다.
본 발명자는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LS의 섭취에 의해 모르모트의 맹장내 IgA 농도가 의미있게 상승하는 것을 확인했다.
시험예 2
이 시험은, 건강한 사람이 본 발명 조성물을 섭취했을 때에, 본 발명 조성물(유효 성분으로 하는 LS)이 그 면역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것이며, 이하와 같이 실시되었다.
1. 피험자:
과거 1개월 이내에 항생 물질을 복용하지 않은 건강한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했다.
2. 피험물 및 섭취 조건
피험물은, 본 발명 음료(LS 5g를 물 5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하루 2회(오전 10시와 오후 3시), 4주간 섭취시켰다.
3. 시험 방법
피험자에게 피험물을 섭취시키고, 섭취 시작일(0주) 및 섭취 4주후(4주후)에 각각 채혈을 행했다. 또한, 채혈 및 채변(採便) 전일은, 오후 9시부터 단식했다.시험 기간 동안의 식사는, 폭음 폭식 및 발효 식품의 섭취를 피하게 했다. 또한, 시험 기간 동안은, 약의 복용을 삼가하게 했다.
4. 평가 항목 및 평가법
(1) 혈청 트렌스페린(transferrin): 네페로메트리(nepherometry)법에 의함.
(2) 과립구 분획의 탐식 능력:
형광 비즈(2㎛ 형광 표식 비즈, Polyscience #18604, Lot No. 425844) 20㎕을 글루코오스 배지(하기 용액 A, 용액 B 및 멸균물을 1:1:8 용량비로 혼합한 것) 1ml에 첨가하에, 11000 rpm으로 30분간, 원심하여 세정했다.
글루코오스 배지 조성
A 용액: 1.01 M NaCl
0.31 M CH3COONa
0.04 M KCl
0.04 M CaCl2
0.02 M MgCl2
B 용액: 0.07 M 글루코오스
수득한 침전을, 동(同)글루코오스 배지 1 ml에 현탁하고, 초음파 처리를 함으로써 균일한 비즈액을 얻었다. 피험자로부터 헤파린 채혈한 말초혈 100㎕에 상기 형광 비즈 100㎕를 첨가하고, 각각 0, 5, 10 및 30분간, 37℃에서 흔들면서 인큐베이트했다. 반응 종료후, 용혈제를 등량의 완충액(Facs Lysing buffer, BectonDickinson사, Cat. No. 349202)에 용해시킨 액 2ml을 첨가하고, 적혈구를 완전히 용혈시킨 후, 빙냉후, 측정했다. 샘플은 플로우 사이토미터(COULTER EPICS XL-MCL System II)로써 측정했다. 그 때, 과립구 분획에 게이트를 할당하고, 형광을 발하고 있는 탐식 세포를 피크로 하여 파악하도록 설정하고, 그 탐식율을 분석하였다.
(3) 호산구(好酸球) 수: 검경법에 의하였다.
5. 통계 처리
데이터는 모두, 평균값 ± S.D.로 나타내고, 난괴법(亂塊法)에 의한 할당후, Dunnett의 다중 비교에 의한 검정을 행하여 의미있는 차이를 판정했다. 의미 있는 수준은, 위험율 5% 이하로 했다.
6. 결과
(1) 혈청 트렌스페린:
수득한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섭취 시작일 (0주) 섭취 4주후 (4주후)
혈중트렌스페린(mg/dl) 285±30 295±34 (※)
Mean ±S.D., n= 20 (0주), 17(4주)
※: p<0.05 vs 0주
표 7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혈청 트렌스페린 농도는, 섭취 4주후에 있어서, 0주에 비하여 위험율 5%이하로 의미있는 높은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2) 과립구 분획의 탐식률:
결과는 도 1(종축: 과립구 획분의 탐식률(%), 횡축: 시험 기간(주))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과립구 획분의 탐식률의 평균값 ±S.D.(30분간 반응값)은, 섭취 0주 및 섭취 4주 후에, 각각 50.8 ±10.8% 및 63.6 ±14.1%이며, 섭취 4주 후에 있어서, 0주에 비하여 위험율 1%이하로 의미있는 높은 값을 나타냈다.
(3) 혈중 호산구(eosinophil)수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또한, 표 8에는 동시에 행한 혈액 일반 검사(백혈구 세포수, 호중구 수, 호염기구 수, 임파구 수 및 단구 수)의 결과를 병기한다.
섭취 시작일 (0주) 섭취 4주후 (4주후)
백혈구세포 (카운트/㎕) 5443±1604 5536±2370
호중구(%) 59.9±11.0 59.9±6.7
호염기구(%) 1.0±0.7 1.0±0.5
호산구(%) 4.7±3.9 3.2±2.0
임파구(%) 28.6±9.5 29.2±5.8
단구(%) 5.9±2.1 6.7±1.2
Mean ±S.D., n= 20(0주), 17(4주)
※: p<0.05 vs 0주
상기 표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혈중 호산구 수는, 섭취 4주후에 있어서, 0주에 비교하여 위험율 5%이하로 의미있는 낮은 값은 나타냈다.
7. 고찰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 조성물의 섭취에 의하면, 감염 방어에 중요한과립구의 탐식 능력 및 혈청 트렌스페린이 증가하고, 이것으로부터, 본 발명 조성물이, 숙주의 감염 방어 능력을 높이는 작용을 발휘함을 알았다. 또한, 본 발명 조성물의 섭취에 의하면, 혈중의 호산구 수가 저하되고, 이것으로부터, 본 발명 조성물은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할 가능성을 가지는 것이 시사되었다.
시험예 3
본 예는, 유전적 당뇨병 발증 모델 동물을 이용하여 본 발명 조성물의 모이가 장내 면역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것이며, 이하와 같이 실시되었다.
1. 실험 동물
4주령의 LETO쥐 및 OLETF 쥐(각 10마리)를 사용했다. 또한, OLETF 쥐 수정란은, 1994년 8월 24일에, 아메리컨 타입 컬처 컬렉션(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 ATCC No.72016로서 기탁되어 있다. LETO쥐는, 오쯔카 제약 공장 도쿠시마 실험 동물 관리실에서, 분양 가능한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
2. 사육 조건
동물 반입후, 일주간의 검역을 행했다. 검역 기간 동안은, MF 고형 사료(오리엔탈 효모사제)의 자유 섭취 조건하에서, 음수는 수도물을 자유 섭취로 했다. 사육은 스테인레스제 철망케이지를 사용하고, 1케이지당 1마리의 사육 조건으로 행했다. 명암 사이클은, 명기(明期)를 7:00-19:00로 했다.
시험 기간 동안은 AIN76 조성(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1977) Report of the American Institute Nutrition ad hoc committee on standards for nutrition studies., J. Nutr., 107: 1340-1348)에 준거하여, 저섬유(3%),고지방(5% 콘기름 + 10% 우지) 사료를 조제하여 대조 사료로 하고, 상기 대조 사료중의 수크로오즈/콘스타치 혼합물의 일부를 LS로 바꿔서 사료당 LS5%가 포함되도록 조제한 것을 본 발명 사료(LS 함유 사료)로 했다. 각 사료의 조성은, 하기 표 9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성분 (g/100g사료) 대조 사료 본 발명 사료
카제인 20.00 20.00
콘스타치/수크로오즈 (3:10) 57.20 52.20
콘기름 5.00 5.00
우지 10.00 10.00
셀룰로오스 3.00 3.00
AIN76 미네랄 혼합물 3.50 3.50
AIN76 비타민 혼합물 1.00 1.00
메티오닌 0.30 0.30
유화 올리고당 (LS) - 5.00
Kcal 444 424
3. 시험 그룹
시험 그룹(시험 동물, 사료, 동물 수)는, 이하와 같다.
그룹 동물 사료 동물 수(마리)
1군 LETO쥐 대조 사료 10
2군 LETO쥐 본 발명 사료 10
3군 OLETF쥐 대조 사료 10
4군 OLETF쥐 본 발명 사료 10
4. 시험 스케줄
검역 종료후로부터 대조 사료로 2주간 사육했다. 사육후에 각 그룹의 평균 체중이 같아지도록 LETO쥐 및 OLETF쥐를 각각 상기 각 그룹으로 나누었다. 그룹으로 나눈 후에 시험 사료로 바꿔, 사육을 시작하고(7주령), 22주간 시험 사료로 사육했다.
5. 해부
22주간의 사육 종료후(29주령 때)에 쥐를 에테르 마취하에 개복(開腹)하고, 복부 하대 정맥에서 채혈후, 피를 빼고 도살했다. 하대 정맥피는 3000회전으로 15분간 원심 분리후, 혈청을 분리 취하여 -80℃로 저장했다. 도살 후, 소장(각 그룹 3마리씩)은, 임파구 조제를 위해 사용했다.
6. 임파구의 조제
소장 파이엘판 임파구의 조제는, 바실러스 유래의 프로테아제(디스파아제, 베린거-만하임사제「Dispase II」사용)를 사용한 효소법으로 행했다. 파이엘판 세포의 분리는, 프라가스키 등의 방법(Fragaski, et al.,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48, 33-44 (1989))에 따랐다. 도살 후, 무균적으로 십이지장 상부에서 회 장말부까지를 적출했다. 멸균 생리 식염수로 잘 세정한 후, 시린지(syringe)로 멸균 생리 식염수를 장관 내부로 보내어 내용물을 제거했다. 얼음위에 깐 멸균가아제 상에서, 파이엘판을 잘랐다. 자른 파이엘판은 불완전 RPMI1640배지(10μg/ml 겐타마이신(gentamicin)을 포함하는 RPMI1640)중에 두었다. 모두 추출한 후 파이엘판은, 디스파아제 1.5mg/ml을 포함하는 배지(Joklik-modified MEM)액(효소액)중에서 스티러로 교반하면서, 37℃로 40분간 효소 처리를 행했다. 분리하기 시작한 세포는회수하고, 새롭게 동효소액을 첨가했다. 상기 조작을 3∼4회 반복했다. 완전히 분리한 세포를 350g ×10분간, 4℃하에서 원심 분리하고, PBS로 세정 후, 소정의 배지에 현탁하여 세포수를 혈구 계산판으로 측정했다.
각 그룹 3마리씩의 파이엘판을 풀링하여 임파구의 조제를 행했다.
7. 임파구의 배양
임파구는 RPMI1640(2mM L-글루타민, 50㎛ 메르캅토에탄올, 100U/ml 페니실린, 100μg/ml 스트렙토마이신 및 10% FCS를 함유함)으로, 세포수를 1 ×106세포/ml로 조정했다. 1ml/웰의 임파구 현탁액은 세포 배양용의 24웰 플레이트(FALCON 3047) 중에서 마이토겐으로서 ConA(Concanavalin A; Canavalia ensiformis(작두콩)유래, 시그마사제) 5.0μg/ml의 자극하에서 배양을 행했다.
항체 생성 능력 시험은, 37℃, 5% CO2하에서 7일간, 시토킨(cytokine) 생성 능력 시험은 동조건하에서 3일간 배양하여 실시했다. 비장의 임파구 배양의 경우, 1샘플에 대해 1웰을, 파이엘판 임파구의 배양의 경우, 1샘플에 대해 3웰을, 각각 배양했다.
배양 종료후 플레이트를 1600회전/분, 10분 원심하여 상청액을 회수했다. 회수한 상청액은 각 항목의 측정까지 -20℃로 동결 저장했다.
8. 시토킨의 측정
임파구 배양 상청액 중의 IFN-γ는, 시판의 측정키트를 사용한 ELISA법으로 측정했다.
9. 통계 처리
결과는 평균값 ±표준 편차로 나타냈다. 사이토카인 농도는 각 그룹간에 대해 1원배치 분산 분석을 행한 후, Fisher' s Protected LSD의 다중 비교를 행했다. 파이엘판 세포의 경우는 각 그룹에서 풀링한 샘플을 사용했기 때문에 통계 처리는 행하지 않았다. 위험율 5% 미만을 의미있는 것으로 했다.
10.결과
도 2에 파이엘판 임파구의 배양에 있어서의 IFN-γ의 생성 능력을 구한 결과를 도시한다.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 조성물 사료 섭취 그룹(2그룹 및 4그룹)에서는, 대조 사료 섭취그룹(1그룹 및 3그룹)에 비해, LETO쥐 및 OLETF쥐중 어느 것도, IFN-γ 농도가 높은 값을 나타낸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본 발명 조성물은, 그 복용 내지 섭취에 의해서, 면역 부활 및 IFN-γ 생성 능력 항진 작용을 발휘할 수 있고, 소화관에 있어서의 생체 방어 기구(면역 기능)을 높여, 소화관 감염 등에 대해 현저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Claims (17)

  1. 락토수크로오즈를 담체와 함께 함유하는 면역 부활 조성물.
  2. 락토수크로오즈를 담체와 함께 함유하는 인터페론-γ의 생성 능력 항진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성물 100g당, 락토수크로오즈를 0.5∼70g 함유하는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식품 형태인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락토수크로오즈가 1일당 1∼30g 섭취되는
    조성물.
  6. 락토수크로오즈를 담체와 함께 함유하는 소화관 감염증의 예방 및 치료제.
  7. 면역 부활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락토수크로오즈의 용도.
  8. 인터페론-γ 생성 능력 항진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락토수크로오즈의 용도.
  9. 소화관 감염증의 예방 및 치료제의 제조를 위한 락토수크로오즈의 용도.
  10. 환자에게 락토수크로오즈의 유효량을 복용 내지 섭취시키는 면역 부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락토수크로오즈의 유효량이 1∼30g/1일인
    방법.
  12. 환자에게 락토수크로오즈의 유효량을 복용 내지 섭취시키는 인터페론-γ 생성 능력 항진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락토수크로오즈의 유효량이 1∼30g/1일인
    방법.
  14. 처치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락토수크로오즈의 유효량을 복용 내지 섭취시키는 소화관 감염증의 예방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락토수크로오즈의 유효량이 1∼30g/1일인
    방법.
  16. 처치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락토수크로오즈의 유효량을 복용 내지 섭취시키는 소화관 감염증의 치료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락토수크로오즈의 유효량이 1∼30g/1일인
    방법.
KR1020027002432A 1999-08-27 2000-08-24 면역 부활 조성물 KR1007518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241584 1999-08-27
JP24158499A JP2001064181A (ja) 1999-08-27 1999-08-27 免疫賦活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8499A true KR20020068499A (ko) 2002-08-27
KR100751865B1 KR100751865B1 (ko) 2007-08-23

Family

ID=17076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432A KR100751865B1 (ko) 1999-08-27 2000-08-24 면역 부활 조성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656924B1 (ko)
EP (1) EP1219630B1 (ko)
JP (1) JP2001064181A (ko)
KR (1) KR100751865B1 (ko)
CN (1) CN1371385A (ko)
AT (1) ATE365743T1 (ko)
AU (1) AU773079C (ko)
CA (1) CA2382887C (ko)
DE (1) DE60035355T2 (ko)
ES (1) ES2287025T3 (ko)
TW (1) TW574035B (ko)
WO (1) WO20010161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020078A (fi) * 2002-01-15 2003-07-16 Danisco Immuunijärjestelmän stimulointi polydextroosilla
US20040137037A1 (en) * 2002-09-27 2004-07-15 President, Shinshu University And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Plasma volume expanding formula
JP5021309B2 (ja) 2003-10-16 2012-09-05 ステファン ジョン ラルフ 免疫調節性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7087564B2 (en) * 2004-03-05 2006-08-08 Air Liquide America, L.P. Acidic chemistry for post-CMP cleaning
US9101160B2 (en) 2005-11-23 2015-08-11 The Coca-Cola Company Condiments with high-potency sweetener
EP2044945A4 (en) * 2006-07-19 2012-05-30 Hayashibara Biochem Lab IMMUNOMODULATING AGENT
US8017168B2 (en) 2006-11-02 2011-09-13 The Coca-Cola Company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 with rubisco protein, rubiscolin, rubiscolin derivatives, ace inhibitory peptides,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compositions sweetened therewith
CN102046027B (zh) 2008-05-02 2013-06-26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含具有β-呋喃果糖苷键的非还原性寡糖以及还原性糖的糖浆状甜味剂的着色抑制方法及其利用
MX2010000660A (es) * 2009-12-11 2011-06-14 Abbott Lab Soluciones de rehidratacion oral que comprenden dextrosa.
EP2543381A4 (en) 2010-03-04 2013-09-18 Lotte Co Ltd IMMUNE LOBULIN AS A SEPARATION CONVEYOR
KR101153482B1 (ko) 2010-05-27 2012-06-11 오비맥주 주식회사 저칼로리 맥주 또는 맥주맛 음료의 제조방법
KR101353563B1 (ko) 2012-03-16 2014-01-2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라넬라 아쿠아틸리스로부터 유래하는 당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US10570606B2 (en) * 2016-04-15 2020-02-25 Kevin Douglas Hoy Support-frameworks
JP6824222B2 (ja) * 2018-05-18 2021-02-03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泡保持性を有する発泡性飲料および発泡性飲料における泡保持性を改善する方法
JP7313519B1 (ja) * 2022-07-08 2023-07-24 日本甜菜製糖株式会社 IgA産生促進剤及びIgA産生促進用の飼料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3835B2 (ja) * 1982-08-31 1984-12-27 ビオフェルミン製薬株式会社 ビフイズス菌用選択的糖源
JP2779963B2 (ja) * 1989-02-09 1998-07-23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ビフィズス菌増殖促進剤
KR0161531B1 (ko) * 1990-03-08 1998-11-16 하야시바라 겐 락토수크로오스 고함유 분말의 제조방법과 그 분말의 용도
JP3174611B2 (ja) * 1992-02-28 2001-06-11 明治乳業株式会社 免疫賦活組成物
JP2654529B2 (ja) * 1992-03-27 1997-09-17 大塚製薬株式会社 健康飲料組成物
JP2789069B2 (ja) * 1992-04-10 1998-08-20 大塚製薬株式会社 腸内腐敗産物生成抑制飲料組成物
AU657405B2 (en) * 1992-04-10 1995-03-09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Food composition which inhibits formation of intestinal putrefaction product
JP3163171B2 (ja) * 1992-07-15 2001-05-08 森永乳業株式会社 IgA産生促進剤
JPH06327435A (ja) * 1992-11-10 1994-11-29 Otsuka Pharmaceut Co Ltd 栄養補給組成物
JPH0776527A (ja) * 1993-06-28 1995-03-20 Hayashibara Biochem Lab Inc 半固形製剤とその製造方法
AUPN881396A0 (en) 1996-03-20 1996-04-18 Arnott's Biscuits Limited Enhancement of microbial colonization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JPH09299059A (ja) * 1996-05-17 1997-11-25 Uehara:Kk 整腸用飲食物
JPH10108647A (ja) * 1996-10-08 1998-04-28 Meiji Seika Kaisha Ltd 胃切除術後患者用ミネラル補給材
JP2931797B2 (ja) * 1996-12-25 1999-08-09 武男 若桑 ダイエット飲料
JPH10265390A (ja) * 1997-03-27 1998-10-06 Hayashibara Biochem Lab Inc 腹部異常抑制用組成物
JPH1057092A (ja) * 1997-04-09 1998-03-03 Hayashibara Biochem Lab Inc ラクトスクロース高含有物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ID25929A (id) * 1998-01-08 2000-11-09 Otsuka Food Co Ltd Produk makanan gelatin dan proses penyediaannya
CN1145493C (zh) * 1999-02-04 2004-04-14 尼基摩株式会社 动脉硬化防止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73079B2 (en) 2004-05-13
AU773079C (en) 2005-07-21
DE60035355T2 (de) 2008-03-13
US6656924B1 (en) 2003-12-02
KR100751865B1 (ko) 2007-08-23
CA2382887A1 (en) 2001-03-08
AU6726800A (en) 2001-03-26
WO2001016145A1 (fr) 2001-03-08
ATE365743T1 (de) 2007-07-15
EP1219630B1 (en) 2007-06-27
DE60035355D1 (de) 2007-08-09
TW574035B (en) 2004-02-01
ES2287025T3 (es) 2007-12-16
CN1371385A (zh) 2002-09-25
EP1219630A1 (en) 2002-07-03
CA2382887C (en) 2011-02-01
JP2001064181A (ja) 2001-03-13
EP1219630A4 (en) 2004-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712B1 (ko) 점막 면역 부활 작용을 갖는 유산균
KR100751865B1 (ko) 면역 부활 조성물
CA2744778C (en) Use of lactic acid bacteria to treat or prevent eczema
US11324784B2 (en) Sleep-promoting composition, and medical composition and food beverage composition using said sleep-promoting composition
US20100143319A1 (en) Kiwifruit compositions
CN112351693A (zh) 用于抑制流感的重症化的抗流感病毒剂
JP3173859B2 (ja) 液状または流動状の食品
JP2018177703A (ja) Toll様受容体2活性化用組成物
JP4716770B2 (ja) 免疫賦活・アレルギー改善剤の製造方法
JP6261688B2 (ja) Qol改善又は持続剤
JP4064515B2 (ja) Il−12産生誘導組成物
US20100197611A1 (en) Alternative agent with vitamin d-like activity and an improving agent for intestinal function
JP2002325555A (ja) 栄養障害による免疫機能低下を抑制する飲食品
JP2000344679A (ja) 抗菌組成物
KR20230171712A (ko) 유글레나 속 미생물을 포함하는 조혈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7757702A (zh) 瑞士乳杆菌、可食用添加剂、食品、药物、饲料以及该菌的应用和方法
JP2000143520A (ja) 腸内ビフィズス菌生育促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