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8029A - 플러그-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 장치 - Google Patents

플러그-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8029A
KR20020068029A KR1020027002245A KR20027002245A KR20020068029A KR 20020068029 A KR20020068029 A KR 20020068029A KR 1020027002245 A KR1020027002245 A KR 1020027002245A KR 20027002245 A KR20027002245 A KR 20027002245A KR 20020068029 A KR20020068029 A KR 20020068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muff
hose
insertion end
cleaner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9293B1 (ko
Inventor
쉬에만유르겐
키엘하르트무트
Original Assignee
프로흐 하우스 테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로흐 하우스 테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프로흐 하우스 테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20068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8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2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 Y10S285/921Snap-f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Fishing Rod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Manipulator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플러그 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장치(10)는 머프부(12)에 의해 형성된 하나의 소켓(15)을 포함하며, 상기 소켓에 호스 삽입 단부(13)가 축방향으로 삽입되고, 분리 가능하게 스냅 고정되어 있다. 상기 머프부(12)에는 차단 표면(26)을 포함하는 하나의 작동 슬라이드(17)가 축방향으로 가이드되며, 상기 작동 슬라이드(17)는 서로 반대편에 놓인 두 축방향(e, a)으로, 차단 표면(26)의 중립 축 위치로부터 나와서, 각 하나의 스프링 복원력에 대항하여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차단 표면(26)의 중립 축위치에서 차단 표면(26)은 고정 바디(S)를 해제하며, 상기 차단 표면(26)의 중립 축위치로부터의 이탈 시 상기 고정 바디(S)를 해제 방향으로 해제한다. 조립을 위해 호스 삽입 단부(13)의 앞면의 제어 표면(41)이 사용되고, 결합의 분리를 위해 호스 삽입 단부(14)의 고정 리세스(T)에 의해 형성된 제 2 제어 표면(43)이 사용된다. 상기 장치(10)는 조립과 결합의 분리 시 용이한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플러그-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 장치{Plug-in vacuum cleaner hose arrangement}
공지 공용된 상기 플러그-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 장치는 두 공기 가이드 호스 부분의 분리 가능한 결합을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면 흡입 노즐, 흡입 브러시 등과 같은 흡입 장치로 향하는 호스형의 전이부가 상기 플러그-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플러그-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 장치가 예를 들면 흡입 튜브의 자유 단부에 배치된 핸들을 텔레스코프 호스-장치의 호스 삽입 단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공지 공용된, 플러그-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장치 외부에 로커가 머프부에 피벗식으로 지지되고, 상기 로커의 한 단부는 록킹 방향으로 스프링 하중을 받으며, 방사 방향으로 내부를 향하는 고정 바디를 지지한다. 상기 고정 바디는 머프부를 관통하고, 관통구로서 형성된, 호스 삽입 단부의 고정 리세스 내로 삽입되거나 고정 리세스를 관통한다. 로커의 다른 단부는 작동키로서 형성되어 있다.
공지된 상기 플러그-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장치는 실제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있다. 그러나 조립과 삽입 결합의 분리 시 더욱 용이한 조작에 대한 요구가 발생되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공지 공용된 플러그-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장치를 조립과 삽입 결합의 분리가 이제까지 보다 훨씬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의 전제부에 따른 플러그-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호스형 노즐 연결부 및 호스 삽입 단부, 예를 들면 텔레스코프 내부 호스로 형성된, 플러그-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장치의 확대 종단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결합 영역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D로 표시된 일점쇄선 원에 상응하는 세부 확대도.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과제는, 작동 슬라이드의 차단 표면의 중립 축 위치로 부터 나와서, 서로 반대편에 놓인 두 축방향으로 각 하나의 스프링 복원력에 대항하여 움직일 수 있는, 차단 표면을 포함하는 작동 슬라이드가 머프부에서 축방향으로 가이드되고, 차단 표면이 그 중립 축 위치에서 고정 바디를 그 록킹 위치에 고정시키며 각각의 중립 축 위치로부터의 이탈 시 해제 방향으로 해제되며, 제 1 제어 표면이 호스 삽입 단부의 앞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제어 표면이, 호스 삽입 단부가 소켓으로 삽입될 때 머프부와 함께 고정 바디를 차단 표면에 대해 호스 삽입 방향으로 이동 시키고, 고정 바디를 해제시키며, 고정 리세스에서 분리 가능한 스냅 록킹에 대해 고정 바디를 해제시키고, 상기 고정 리세스에는 제 2 제어 표면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제어 표면은 호스 삽입 단부가 소켓으로 부터 나올 때 머프부와 함께 고정 바디를 차단면에 대해 인출 방향으로 이동시켜 해제시킴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다음의 바람직한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플러그 인 결합의 조립을 위해, 단지 머프부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가이드된, 하나의 조작 핸들을 포함하는 작동 슬라이드가 제공되고 고정되며, 또 다른 핸들을 포함하는 호스 삽입 단부가 소켓 내로 삽입 방향으로 삽입된다.
부가적인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호스 삽입 단부의 제 1 제어 표면은 상기 호스 삽입 단부의 록킹 위치에 있는 고정 바디를 밀고, 머프부와 함께 상기 고정 바디를 작동 슬라이드에서 멀어지도록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작동 슬라이드의 차단 표면은 고정 바디를 해제시키며, 그 후 고정 바디는 고정 리세스 내로 스냅-인될 수 있다.
고정 바디의 록킹은, 하나의 조작 핸들이 작동 슬라이드를 해제시키고 이로써 상기 작동 슬라이드가 두 스프링 복원력 중 하나에 의해 상기 작동 슬라이드 차단 표면의 중립 축 위치로, 즉 차단 표면의 록킹 위치로 되돌아 감으로써, 연이어 다시 자동으로 나타난다.
다른 한편으로 플러그 인 결합이 분리되어야 할 때는, 장치를 하나의 조작 핸들로 작동 슬라이드에만 고정시키고, 다른 작동 핸들로 호스 삽입 단부를 소켓으로 부터 빼내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 때 고정 리세스에 배치된 제 2 제어 표면은 머프부와 함께 고정 바디를 인출 방향으로 차단 표면에 대해 이동시키며 동시에 고정 바디를 분리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작동 슬라이드는 방사 방향으로 머프부의 외부 표면을 향하는, 차단 표면을 포함하는 차단 돌출부를 형성한다.
차단 돌출부의 형상에 있어 본 발명은, 상기 차단 돌출부가 대략 방사 방향으로 머프부 쪽으로 가늘어지면서, 대략 절두 피라미드형 횡단면을 가지며, 이 때 차단 돌출부의 커버면, 차단 표면 및 서로 반대편에 놓인 두 축방향으로 기울어진 상기 차단 표면의 측면이 고정 바디를 위한 미끄럼 가이드면을 형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라 서로 축방향으로 반대로 향하는 두 스프링 복원력은, 작동 슬라이드가 대략 방사 방향으로 내부를 향해 머프부쪽으로 돌출된 대략 갈퀴형 칼라를 포함하며, 상기 칼라의 갈퀴형 개구는 반대편에 놓인 두 축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머프부에 고정된 바 스프링의 스프링 영역을 포함하므로써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 장치로 달성될 수 있는 조작의 간소화는 결국, 작동 슬라이드가, 머프부의 전체 원주에 걸쳐 머프부를 둘러싸는 작동 슬리브를 형성함으로써 최상화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지만 필수는 아니게, 호스 삽입 단부의 앞면이 제 1 제어 표면의 형성을 위해 적어도 그 둘레의 일부에서 원추형으로 가늘어지며 삽입되어 있는 것을 제시한다. 앞면 단부가 변동 없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렇게 제공된 앞면이 제 1 제어 표면을 형성할 때도,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원칙대로 작동을 한다.
조립과 결합 분리 시의 유연한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은, 호스 삽입 단부의 고정 리세스가 대략 방사 방향으로 호스 중심으로 돌출된 포트형 함몰부를 형성하고, 이 때 포트형 함몰부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절두 피라미드형 횡단면 윤곽을 갖는다는 데 있다.
호스 삽입 단부의 앞면에 인접한 포트형 고정 리세스의 측면은 동시에 제 2 제어 표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부가적 종속항에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된다.
도면에서 도면 부호(10)로 표시된, 플러그-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 장치는, 하나의 머프부(12)를 가진 호스형 노즐관(11) 및 흡입 호스, 예컨대 텔레스코프 내부 호스(14)의 호스 삽입 단부(13)를 포함한다. 텔레스코프 내부 호스(14) 대신에 텔레스 코프 외부 호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
호스 삽입 단부(13)는 머프부(12)에 의해 형성된 소켓(15)에 의해 수용된다. 삽입 방향은 e 로, 인출 방향 또는 분리 방향은 a로 표시된다.
작동 슬리브(17)로서 형성된 작동 슬라이드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축방향 가이드 수단에 의해, 예를 들면 홈-스프링-장치에 의해 머프부(12)의 외주에 고정되어 두 방향(e, a)를 따라 미끄럼 가이드된다.
노즐관(11)은, 일반적으로 흡입 노즐, 흡입 브러시 등과 같은 흡입 공구를 나타내는, 개략적으로만 도시된 단부 영역(16)을 형성한다.
노즐관(11)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며, 일체형으로 연결된 머프부(12)와 머프부(12) 위에서 미끄럼 가이드되는 작동 슬리브(17)도 마찬가지이다. 텔레스코프 내부 호스(14)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강으로 구성된다. 다른 모든 적당한 재료의 선택은, 도시된 실시예에 또는 본발명에 따라 변형된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머프부(12)를 둘러싸는 환형 바 스프링(18)의 두개의 고정 단부(19)는 각각 머프부(12)에 의해 형성된 버팀 블록(20) 내에 고정되어 있다. 도 3에는 하나의 고정 단부와 하나의 버팀 블록(20)만이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작동 슬리브(17)는 대략 방사 방향으로 내부를 향해 머프부(12)쪽으로 돌출된 대략 갈퀴형 칼라(21)를 형성하고 상기 칼라(21)의 갈퀴형 개구(22)는 반대편에 놓인 두 축방향(e, a)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바 스프링(18)의 스프링 영역(23)을 수용한다.
스프링 영역(23)이 축방향(e, a)으로 구부러 질 수 있기 위해 머프부(12)의 외부 표면에 운동 공간(31)이 제공되어 있다.
작동 슬리브(17)는 방사 방향으로 머프부(12)의 외부 표면(24)을 향하는 차단 돌출부(25)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 돌출부(25)는 차단 표면(26)을 형성한다. 차단 돌출부(25)는 대략 방사 방향으로 머프부(12)쪽으로 가늘어지는 대략 절두 피라미드형 횡단면을 가지며, 차단 돌출부의 커버면(25)는 차단 표면(26)을 형성한다.
서로 반대편에 놓인 두 축방향(e, a)으로 기울어진 차단 돌출부(25)의 두 측면은 S로 표시된 전체 고정 바디의 미끄럼 가이드-대응면(29, 30)을 위한 미끄럼 가이드 표면(27, 28)을 형성한다.
고정 바디(S)는 Z로 표시된 혀모양 부품의 구성 부품이며, 상기 부품은 머프부(12)의 벽으로부터 자유 절단되고 머프부(12)의 앞면(32)에 인접하게 배치된 혀모양 부품의 베이스가 도면 부호 33으로 도시된다. 혀모양 부품(Z)은, 도 3에 도시된 위치를 취하도록 재료에 의한 고유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
고정 바디(S)는 차단 돌출부(25)와 유사하게 대략 절두 피라미드형 횡단면을 갖는다. 고정 바디(S)는, 차단 돌출부(25)의 차단 표면(26)에 상응하게 환형 대응면(34)을 형성한다.
머프부(12)의 내부 표면(35)은, 머프부(12)의 앞면(32)으로부터 나와 그 앞면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축방향으로 연장된 하나의 미끄럼 가이드 홈(36)을 포함하며, 호스 삽입 단부(13)로부터 대략 스프링형으로 외부를 향해 돌출한 짧은 축방향 세로 주름(37)이 상기 미끄럼 가이드 홈(36)과 함께 상호 작용한다.
동시에 미끄럼 가이드 홈(36)의 축방향 길이를 내부로 제한하는, 짧은 세로 주름(37)을 위한 스토퍼(38)는, 고정 바디(S)가 호스 삽입 단부(13)에서 방사방향으로 내부로 돌출되어 포트형으로 함몰된 고정 리세스(T)내로 정확히 스냅 고정되는 것을 보장한다. 포트형 고정 리세스(T) 또는 포트형 함몰부는 대략 원뿔대형 횡단면 윤곽을 갖는다.
고정 바디(S)는 포트형 고정 리세스(T)내로 삽입되고, 포트형 고정 리세스에 상응하게, 대응하는 횡단면 윤곽을 갖는다.
고정 바디의 혀모양 연결부로 인해 고정 바디(S)는 머프부(12)에서 방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되고, 적어도 서로 반대편에 놓인 두 축방향(e, a)으로 상기 머프부(12)와 운동 결합된다.
도시된 플러그-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 장치(10)의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도면에서 차단 돌출부(25)의 차단 표면(26)은 a와 e의 방향으로 작용하며 바 스프링(18)에 의해 제공될 스프링 복원력이 미치는 상기 차단 표면(25)의 중립 축위치에 배치된다. 바 스프링(18)의 스프링 복원력이 작동 슬리브(17)에 작용하지 않는 이러한 중립 축위치에서, 차단 돌출부(25)의 차단 표면(26)은 고정 바디(S)의 차단-대응면(34)에 의해 조정됨으로써, 상기 고정 바디(S)는 그 록킹 위치에 배치된다.
장치(10)의 조립 이전에 호스 삽입 단부(13)는 소켓(15) 앞에 축방향 우측에 위치하고, 그 후 하나의 조작 핸들에 의해 삽입 방향(e)으로 머프부(12)로 삽입되는 한편, 다른 조작 핸들은 작동 슬리브(17)를 고정시킨다. 이 때 원추형으로 삽입된 제 1 제어 표면(41)이 우측으로부터 원뿔대형으로 형성된 고정 바디(S)의 비스듬한 미끄럼 표면(44)을 밀며, 상기 고정 바디를(S)를 작동 슬리브(17)에 대해 고정 바디(S)와 운동 결합된 머프부(12)와 함께 e 방향으로 좌측으로 민다. 고정 바디(S)의 차단-대응면(25)은 차단 돌출부(25)의 차단 표면(26)과 접촉을 하지 않는 한편, 상기 차단 돌출부는 제 1 제어 표면(41)으로부터 수용 공간(Ae)으로 밀려가게 된다.
따라서 짧은 세로 주름(37)이 미끄럼 가이드 홈(36)의 스토퍼(38)에 부딪힌다면, 고정 바디(S)가 해제되고 결국 포트형 고정 리세스(T)에 의해 정렬된다. 스냅 고정 과정은, 조작 핸들이, 바 스프링(18)의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머프부(12)를 삽입 방향(e)으로 움직이게 하는 작동 슬리브(17)를 풀어줌으로써 완료된다.
작동 슬리브(17)가 e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복귀하는 한편, 차단 돌출부(25)의 미끄럼 가이드 표면(27)은 우선 수용 공간(Ae)에 위치하는 고정 바디(S)를 미끄럼 가이드-대응면(30)에 의해 포트형 고정 리세스(T) 내로 압입한다. 동시에 차단 표면(26)은 차단-대응면(34) 반대편에 놓인다.
도면에 도시된 장치(10)의 분리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하나의 조작 핸들은 작동 슬리브(17)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슬리브(17)를 고정시키는 한편, 다른 조작 핸들은 텔레스코프 내부 호스(14)를 포함하고, 호스 삽입 단부(13)에 a 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한다. 이 때 호스 삽입 단부(13)의 앞면(42)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포트형 리세스(T)의 측면(43)(제 2 제어 표면)이 고정 바디의, 기울어진 다른 미끄럼 표면(45)을 왼쪽으로부터 밀고, 고정 바디(S)와 운동 결합된 머프부(12)의 고정 바디(S)를 오른쪽으로 a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제 2 제어 표면(43)이 고정 바디(S)를 수용 공간(Aa) 내로 민다. 따라서 고정 바디(S)는 해제되고 삽입 단부(13)는 완전히 머프부 측의 소켓(15)으로부터 나올 수 있다.
상기 작동 설명은 조립과 플러그 인 결합의 분리가 매우 용이한 조작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Claims (20)

  1. 하나의 소켓(15)을 형성하는 하나의 머프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15)내에 하나의 호스 삽입 단부(13)가 삽입 방향(e)으로 삽입되어, 고정 수단(S, T)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스냅 고정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수단(S, T)은 머프부(12) 측에서는 상기 머프부(12)에 움직일 수 있게 가이드된 고정 바디(S)로, 그리고 호스 삽입 단부(13) 측에서는 호스 삽입 단부(13)에 제공된 고정 리세스(T)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 바디(S)가 상기 고정 리세스(T)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플러그 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머프부(12)에서 차단 표면(26)을 포함하는 작동 슬라이드(17)가 축방향으로 가이드되며, 상기 작동 슬라이드(17)가 차단 표면(26)의 중립 축위치로부터 나와서, 서로 반대편에 놓인 두 축방향(a, e)으로, 각 하나의 스프링 복원력에 대항하여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차단 표면(26)이 그 중립 축위치에서 고정 바디(S)를 록킹 위치에 고정시키고 중립 축위치로부터의 이탈 시 해제 방향으로 해제되며,
    제 1 제어 표면(41)이 호스 삽입 단부(13)의 상기 앞면(42)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제어 표면(41)은 호스 삽입 단부(13)가 소켓(15)으로 삽입(화살표 e)될 때 머프부(12)와 함께 고정 바디(S)를 차단 표면에 대해 삽입 방향(e)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고정 바디(S)를 해제시키고 고정 리세스(T) 내의 분리 가능한 스냅 고정을 위해 상기 고정 바디(S)를 해제시키고, 상기 고정 리세스(T)에 제 2 제어표면(43)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제어 표면(43)은 호스 삽입 단부(13)가 소켓(15)으로부터 나올 때(화살표 a) 머프부(12)와 함께 고정 바디(S)를 차단 표면(26)에 대해 인출 방향(a)으로 이동시키고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슬라이드(17)가 방사 방향으로 머프부(12)의 외부 표면(24)을 향하는, 차단 표면(26)을 가지는 하나의 차단 돌출부(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돌출부(25)가 대략 방사 방향으로 머프부 쪽으로 가늘어 지면서, 대략 절두 피라미드형 횡단면을 가지며, 차단 돌출부(25)의 커버면, 차단 표면(26) 및, 상기 차단 표면의, 서로 반대편에 놓인 두 축방향(e, a)으로 기울어진 측면이 고정 바디(S)를 위한 미끄럼 가이드 표면(27, 28)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슬라이드(17)가 대략 방사 방향으로 내부를 향해 머프부(12) 쪽으로 돌출된 대략 갈퀴형 칼라(21)를 포함하며, 상기 칼라(21)의 갈퀴형 개구(22)는 서로 반대편에 놓인 두 축방향(e, a)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머프부(12)에 고정된 바 스프링(18)의 스프링영역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슬라이드가, 머프부(12)를 적어도 부분 슬리브형으로 감싸는 부품(17)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슬라이드가, 머프부(12)를 그 전체 원주에 걸쳐 감싸는 작동 슬리브(17)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머프부(12)와 호스 삽입 단부(13)가 소켓(15) 영역에서 서로 축방향 가이드 수단(36, 37)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가이드 수단이 홈 및 스프링 장치(36, 37)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 장치.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삽입 단부(13)가 방사 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돌출된 축방향 가이드 리지(37)를, 그리고 머프부(12)가 상기에 대응하여, 그 내부 표면(35)에 하나의 축방향 가이드 홈(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 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슬라이드(17)와 머프부(12)가 서로 축방향 가이드 수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가이드 수단이 홈 및 스프링 장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 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삽입 단부(13)의 앞면(42)이 제 1 제어 표면(41)의 형성을 위해 적어도 그 원주의 일부에 걸쳐 원추형으로 가늘어지며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 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삽입 단부(13)의 고정 리세스(T)가 대략 방사 방향으로 호스 중심쪽으로 돌출된 포트형 함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형 고정 리세스(T)가 대략 원뿔대형의 횡단면 윤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 장치.
  15. 제 1항 내지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삽입 단부(13)의 앞면(42)에 인접한, 포트형 고정 리세스(T)의 측면(43)이 제 2 제어 표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 장치.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바디(S)의 횡단면 윤곽이 포트형 고정 리세스(T)의 횡단면 윤곽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바디(S)가 작동 슬라이드(17)의 차단 표면(26)을 향하고 거기에 상응하는 차단 대응면(3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 장치.
  18.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바디(S)가 서로 반대편에 놓인 두 축방향(e, a)으로 기울어진, 작동 슬라이드(17) 차단 돌출부(25)의 미끄럼 가이드 표면(27, 28)에 상응하게 미끄럼 가이드-대응면(29, 3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 장치.
  19.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바디(S)가 적어도 원래 방사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머프부(12)에서 가이드되고, 적어도 서로 반대편에 놓인 두 축방향(e, a)에 대하여 상기 머프부(12)와 운동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 장치.
  20. 제 1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바디(S)가, 머프부(12)로부터 자유 절단된 대략 혀모양 부품(Z)의 자유 단부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혀모양 부품의 베이스(33)가 특히 머프부(12)의 앞면(32)에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 장치.
KR1020027002245A 2000-06-27 2001-06-26 플러그-인 결합가능한 진공 청소기 호스 장치 KR100749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30304.8 2000-06-27
DE10030304A DE10030304A1 (de) 2000-06-27 2000-06-27 Steckverbindbare Staubsaugerrohr-Anordn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8029A true KR20020068029A (ko) 2002-08-24
KR100749293B1 KR100749293B1 (ko) 2007-08-14

Family

ID=7646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245A KR100749293B1 (ko) 2000-06-27 2001-06-26 플러그-인 결합가능한 진공 청소기 호스 장치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6893050B2 (ko)
EP (1) EP1204362B1 (ko)
JP (1) JP4139918B2 (ko)
KR (1) KR100749293B1 (ko)
CN (1) CN1174708C (ko)
AT (1) ATE334621T1 (ko)
CA (1) CA2383198A1 (ko)
CZ (1) CZ297322B6 (ko)
DE (2) DE10030304A1 (ko)
EE (1) EE200200092A (ko)
ES (1) ES2269439T3 (ko)
HK (1) HK1045800B (ko)
HU (1) HU227015B1 (ko)
NO (1) NO20020935D0 (ko)
PL (1) PL199680B1 (ko)
RU (1) RU2261644C2 (ko)
SK (1) SK2952002A3 (ko)
UA (1) UA72770C2 (ko)
WO (1) WO200200008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168B1 (ko) * 2009-06-24 2011-06-16 김해명 접이식 개폐타입의 중앙분리장치
US8053846B2 (en) 2006-11-27 2011-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eld effect transistor (FET) having nano tub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39810A1 (de) 2007-08-23 2009-02-26 Roxxan Gmbh Steckverbindbare Staubsaugerrohr-Anordnung
US8113543B1 (en) * 2008-09-02 2012-02-14 M.D.C. Romani, Inc. Hose adapter and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DE102009054162B4 (de) * 2009-11-23 2011-11-10 Fischer Rohrtechnik Gmbh Saugrohr für einen Staubsauger
DE102010025166B3 (de) * 2010-06-25 2011-12-15 Roxxan Gmbh Anordnung eines Staubsaugersaugrohres, eines Führungseinsatzes, einer Betätigungshandhabe und eines Rohrabschnitts
CN103501675B (zh) 2011-02-16 2016-08-17 创科地板护理技术有限公司 包括用于清洁工具的快速联接器的蒸汽清洁工具
DE102012002101B4 (de) 2012-02-06 2014-05-08 Roxxan Gmbh Steckverbindbare Staubsauger-Saugrohranordnung
DE102012216884A1 (de) * 2012-09-20 2014-03-20 Robert Bosch Gmbh Absauganschlusssystem
HUE050620T2 (hu) * 2013-03-01 2020-12-28 Fischer Rohrtechnik Gmbh Porszívó szívócsõ
CN110997425B (zh) * 2017-08-21 2023-05-26 沃尔沃卡车集团 雨刷器组件
CN108542307B (zh) * 2018-03-26 2021-03-05 苏州尚腾科技制造有限公司 插拔模块及具有该插拔模块的吸尘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997C (de) W. DUDDA, Revierförster in Neuwiese b. Pilgrammsdorf i. Schlesien Habichtskorb
DE1450445A1 (de) * 1964-08-01 1969-03-20 Vorwerk & Co Elektrowerke Kg Steckkupplung fuer Rohre
US3351363A (en) * 1964-12-23 1967-11-07 Electrolux Corp Adjustable length wand
IT8534836V0 (it) * 1985-04-02 1985-04-02 Gf Srl Raccordo ad innesto rapido per tubi flessibili in genere
SE465839B (sv) * 1989-09-19 1991-11-04 Ezze Ab Snabbkoppling
DE3931639C2 (de) * 1989-09-22 1999-12-16 Miele & Cie Rohrsteckverbindung zwischen einem Innenrohr und einem Außenrohr mit einer lösbaren Rohrverriegelung
DE4200527C2 (de) * 1992-01-11 1995-11-09 Froh Roehren Teleskopierbares Staubsauger-Saugrohr
DE4303596A1 (de) * 1993-02-08 1994-08-11 Siemens Ag Staubsaugerschlauch mit einer Kupplungsvorrichtung zum lösbaren Anschluß an ein hohles Anschlußteil
DE4403950B4 (de) * 1994-02-08 2007-03-01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Stecker-Adapter
JPH10510041A (ja) * 1995-09-28 1998-09-29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ネムローゼ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軸線方向に移動可能なロック解除スライドを有する管継手
JP3495495B2 (ja) * 1996-01-31 2004-02-09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伸縮パイプ
DE19738194C1 (de) * 1997-02-14 1998-06-10 Froh Carl Gmbh Teleskopierbares Staubsauger-Saugrohr
DE19706210B4 (de) * 1997-02-18 2007-03-29 Fon Telescopic Systems Gmbh Teleskopierbares Staubsauger-Saugrohr
GB2329944A (en) * 1997-10-03 1999-04-07 Notetry Ltd A cuff for joining an outer pipe to a telescopic inner pipe
JP2003534024A (ja) * 1998-06-30 2003-11-18 株式会社大宇エレクトロニクス 真空掃除機の折綴式吸入管の組立体
DE29920700U1 (de) * 1999-02-09 2000-04-20 Eunsung Electronics Co Ansaugrohr eines Staubsaugers
US6494492B1 (en) * 1999-02-09 2002-12-17 Jong Mok Ha Suction pipe of a vacuum clea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3846B2 (en) 2006-11-27 2011-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eld effect transistor (FET) having nano tub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ET
KR101042168B1 (ko) * 2009-06-24 2011-06-16 김해명 접이식 개폐타입의 중앙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Z2002730A3 (cs) 2002-07-17
CN1383369A (zh) 2002-12-04
KR100749293B1 (ko) 2007-08-14
RU2261644C2 (ru) 2005-10-10
JP2004500944A (ja) 2004-01-15
ATE334621T1 (de) 2006-08-15
HK1045800A1 (en) 2002-12-13
PL199680B1 (pl) 2008-10-31
SK2952002A3 (en) 2002-08-06
NO20020935L (no) 2002-02-26
WO2002000087A1 (de) 2002-01-03
NO20020935D0 (no) 2002-02-26
EE200200092A (et) 2003-04-15
PL352633A1 (en) 2003-08-25
JP4139918B2 (ja) 2008-08-27
EP1204362B1 (de) 2006-08-02
HUP0202344A2 (en) 2008-01-28
CZ297322B6 (cs) 2006-11-15
US20020135183A1 (en) 2002-09-26
HU227015B1 (en) 2010-04-28
HK1045800B (zh) 2007-02-02
CA2383198A1 (en) 2002-01-03
EP1204362A1 (de) 2002-05-15
CN1174708C (zh) 2004-11-10
UA72770C2 (en) 2005-04-15
ES2269439T3 (es) 2007-04-01
US6893050B2 (en) 2005-05-17
DE50110596D1 (de) 2006-09-14
DE10030304A1 (de) 200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68029A (ko) 플러그-인 결합이 가능한 청소기 호스 장치
US6173998B1 (en) Plug-in coupling for connecting two fluid conduits
JP3668968B2 (ja) 伸縮可能な真空掃除機―吸込み管
US5511827A (en) Push-fit connector for joining two fluid lines
US6702335B2 (en) Coupling device of a plug-in coupling and plug-in coupling with such a coupling device
ES2247110T3 (es) Dispositivo de acoplamiento para un aparato de uso domestico.
JPH0753032Y2 (ja) 管継手
JPH0612158B2 (ja) 可撓性ホース用クィックリリース・コネクタ
JP3988118B2 (ja) 解除用スリーブと、該解除用スリーブを使用するカップリングアセンブリ
JP2005513382A (ja) 流体ラインのための接合部品及びその接合部品を備えた流体動力装置
EP2111816B1 (en) An ear syringe nozzle tube or dental water jet nozzle tube, and an ear syringe and a dental water jet to which a nozzle tube is releasably connected
EP0829671A2 (en) Collets for coupling devices
US5238221A (en) Plug-in coupling for hoses
US6983959B2 (en) Coupling for connecting hydraulic ducts
IE45567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djustable length handles for tools
KR101781326B1 (ko) 진공 청소기 흡입관, 가이드 인서트, 작동 레버 및 튜브 섹션의 어셈블리
RU2002104971A (ru) Вставное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трубки пылесоса
JP2003516606A (ja) 同軸プラグコネクタのためのカプラ
JP2005178499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US6964434B2 (en) Coupling part by which at least one tubular or bar-shaped part is connected to a further part
US20030090110A1 (en) Piping coupler
JPS63266213A (ja) 着脱自在な結合装置
US20180363773A1 (en) Control lever
JP5393513B2 (ja) ホース継手
JP3693378B2 (ja) 電気掃除機の伸縮延長パイ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