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3589A - 자동차의 개방 및 로킹 과정 개시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개방 및 로킹 과정 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3589A
KR20020063589A KR1020027007478A KR20027007478A KR20020063589A KR 20020063589 A KR20020063589 A KR 20020063589A KR 1020027007478 A KR1020027007478 A KR 1020027007478A KR 20027007478 A KR20027007478 A KR 20027007478A KR 20020063589 A KR20020063589 A KR 20020063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roximity sensor
electrodes
proximity
targe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7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7426B1 (ko
Inventor
팡페터
셰프너다니엘
기일러엘마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20063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3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4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05B81/78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as part of a hands-free locking or unlock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6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characterised by the challenge trigger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05B81/77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comprising 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hand of a us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55Constructional details of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witches
    • H03K2217/960765Details of shield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근접 센서부(11, 14)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개방 및 로킹 과정을 개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가 제 1 근접 센서부(11, 14)에 근접할 때, 자동차(40)의 폐쇄 시스템(46, 48)의 개방 과정을 개시하기 위한 해제 목표 신호(20)를 발생시킨다. 또한 제 2 근접 센서부(12,16)가 제공되며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가 제 2 근접 센서부(12, 16)에 근접할 때, 자동차(40)의 폐쇄 시스템(46,48)의 로킹 과정을 개시하기 위한 로킹 목표 신호(22)를 발생시킨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개방 및 로킹 과정 개시 장치{Device for initiating an opening and closing process in a motor vehicle}
EP-A-954 098에는 문손잡이에 배치된 유닛의 용량 변화에 따라 사람의 근접을 검출하는 인식 시스템이 이미 공지되어 있다. 또한 근접 자격을 얻기 위한 자격 수단에 의한 질문 과정을 진행시킬 수 있기 위해, 등록되지 않은 용량 변화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스위치가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로킹 뿐 아니라 해제도 이뤄질 수 있게 하는 구조적으로 단순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과제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항의 특징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은 독립항의 전제부에 따른 자동차의 개방 및 로킹 과정을 개시하기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전자 부품 그룹의 블록 회로도.
도 2는 문 외측 손잡이에 배치된 전자 부품 그룹의 사시도.
도 3은 자동차 반대편 문손잡이 상의, 전자 부품 그룹의 개별 부품들의 사시도.
도 4는 자동차측에서 본 전자 부품 그룹의 각 부품들의 사시도.
도 5는 폐쇄 시스템의 전체 배치의 개략도.
도 6은 또 다른 가능한 전극 배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대체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문손잡이 내에, 전극의 추가 배치 가능성을 도시한 도면.
도 9 및 10은 양 전극 사이에 배치된 접지 전극을 갖는 두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a, 11b 및 12a, 12b는 도 13에 따른 해당 제어부를 갖는 전환 가능한 접지 전극을 구비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흐름도.
자동차의 개방 및 로킹 과정을 개시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사용자가 제 1 근접 센서부에 근접할 때, 자동차의 폐쇄 시스템의 개방 과정을 개시하기 위한 해제 목표 신호를 발생하는 제 1 근접 센서부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가 제 2 근접 센서부에 근접할 때, 자동차의 폐쇄 시스템의 로킹 과정을 개시하기 위한 로킹 목표 신호를 발생하는 제 2 근접 센서부가 제공된다. 양 근접 센서의 이용으로써 한편으로는 사용자가 자동차의 개방 또는 로킹 과정을 개시하고 싶어하는지의 여부가 정확하게 검출될 수 있다. 개방 또는 로킹 과정을 개시하기 위한, 캘리퍼스에서와 같은 가동 막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야 하는 스위칭 수단의 불필요로, 파괴 행위를 위해 가능한 작용점이 줄어든다. 기계적으로 조작되지 않는 부품에서는 마모 없는 접촉으로 인해 전체 장치의 사용 수명은 증가된다. 그리고 근접 센서 장치는 문손잡이 내에 완전히 통합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기계적 작동성은 더 이상 중요치 않다. 두 근접 센서 장치가 문손잡이 내에 통합되면, 상기 장치는 매우 단순하게 제조될 수 있다. 로킹 키를 문손잡이 내에 삽입할 때 생기는 허용 공차 문제도 없어진다.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야 하는 키를 생략함으로써, 문손잡이는 컴팩트하게 래커 코팅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설계의 자유도도 높아질 수 있다.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근접 센서부는 자동차를 향해 있는 문손잡이 쪽에 배치된다. 사용자가 자동차를 해제하고자 하면, 자동차 문을 열기 위해 자동차에 가까운 문손잡이 쪽을 잡는다. 따라서 사용자의 근접 과정은 폐쇄 시스템의 개방 과정의 기동을 위해 확실하게 인식된다.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근접 센서부는 자동차 반대편 문손잡이 쪽에 배치된다.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자동차 문의 폐쇄시 문손잡이 외측을 건드린다. 제 2 근접 센서부는 로킹 과정의 기동을 위해 신뢰성 있는 방식 및 방법으로 조작 과정과 일치함으로써 근접을 인식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근접 센서부의 전극, 제 2 근접 센서부의 전극, 제 1 및/또는 제 2 근접 센서부의 평가 유닛, 및 적어도 한 평가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전압 공급부는 하우징 내에 한 구성 단위로 집결된다. 상기 구성 단위는 용이하게 문손잡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배터리 전압을 준비하는 전압 공급부가 자동차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양 전극은 양 전극 사이에 위치하고 어스와 연결된 접지 전극에 의해 서로 스크리닝될 수 있다. 각 전극의 전계는 접지 전극에 의해 중단되기 때문에 한 전극의 전계는 다른 쪽에 근접하는 것에 의해 영향 받지 않는다. 이는 목표하는 활성화 처리의 명확한 할당을 쉽게 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추가의 종속항들 및 상세한 설명에서 나타난다.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며 하기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전자 부품 그룹(10)은, 그 출력 신호가 제 1 평가 유닛(14)에 공급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전극(11)을 포함한다. 제 1 평가 유닛(14)은 해제 목표 신호(20)를 발생시킨다. 제 2 평가 유닛(16)은 제 2 전극(12)의 출력 신호를 파악하고 이를 로킹 목표 신호(22)로 변환시킨다. 전자 부품 그룹(10)에는 공급 전압(24)과 기준 전위(26)가 공급된다. 전압 조절기(18)는 공급 전압(24)을 제 1 평가 유닛(14) 및 제 2 평가 유닛(16)을 위한 내부 공급 전압으로 변환시킨다.
도 2는 전자 부품 그룹(10)이 통합되어 있는 문 외부 손잡이(34)를 도시한다. 도 3에 따라 전자 부품 그룹(10)은 원형으로 형성된 제 2 전극(12) 및 직사각형으로 실시된 제 1 전극(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전극(11)과 제 2 전극(12)은 서로 다른 높이 레벨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전극(11)은 조립 상태에서 문손잡이 외측 가까이에 배치되는 반면 제 2 전극(12)은 문손잡이 내측 가까이에 배치된다. 해제 목표 신호(20) 및 로킹 목표 신호(22)를 전송하고 공급 전압(24) 및 기준 전위(26)를 공급하기 위해 접속 케이블(32)이 제공된다. 양 전극(11, 12)은 하우징 상부재(30)와 하우징 하부재(28)로 구성된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인다.
도 4에 따라 제 1 평가 유닛(14), 제 2 평가 유닛(16) 및 전압 조절기(18)가 제 2 전극(12)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우징 상부재(30) 및 하우징 하부재(28)가 도 3과는 대치되는 관점으로 도시된다.
도 5에는 전체 배치의 개략도가 도시된다. 따라서 전자 부품 그룹(10)은 문 외부 손잡이(34)에 통합된다. 접속 케이블(32)을 통해 전자 부품 그룹(10)은 제어 기구(46)와 연결된다. 자동차(40)의 내부 공간에는 송신기/수신기(44)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 송수신기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트랜스폰더(42)와 자격 데이터를 교환한다. 제어 기구(46)는 자동차(40)의 폐쇄 장치(48)를 조종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폐쇄 장치(48)의 상태에 관해 해당 응답 신호를 갖는다.
도 6에 의해 제 1 및 제 2 전극(11, 12) 사이에는 접지 전극(50)이 배치되어 있고 이 전극은 기준 전위로서의 어스(52)와 연결된다. 접지 전극(50)은 전계선들(54)을 따라 표시된 제 1 전극(11)의 전계를 제 2 전극(12)으로부터 스크리닝한다.
도 7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전극(11, 12)의 추력 신호가 스위칭 수단(56)에 공급되고 상기 수단은 양 신호 중 하나만을 평가 유닛(58)에 전달한다. 평가 유닛(58)은 입력 신호(60)에 따라 스위칭 수단(56)을 제어한다. 평가 유닛(58)은 해제 목표 신호(20) 또는 로킹 목표 신호(22)를 발생시킨다.
도 8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접지 전극(50)이 제 1 및 제 2 전극(11, 12)의 센서 신호를 명확히 분리하고 서로 스크리닝하기 위해 양 전극(11, 1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접지 전극(50)의 단면은, 접지 전극(50)의 횡부재가 문손잡이(34)의 금속 장식 플랩(62), 또는 장식층과 양 전극들(11, 12) 사이에 위치하여 스크리닝부 역할을 하도록, T 형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두 전극(11, 12) 사이의 상호 교류는 방지된다.
도 9에 따라 도 8의 상부 배치는, 장식 플랩(62) 또는 금속 장식층이 정확히 접지 전극(50)같이 전기 전도적으로 어스(52)와 접하도록 변형된다. 이 조치는 양 전극(11, 12)의 인식 범위의 분리를 더 개선한다.
도 10에서 선택된 구조는 실질적으로 도 8의 구조에 상응한다. 여기서도 접지 전극(52)은, 양 전극(11, 12)을 상호간에 또한 장식 플랩(62)에 대해 스크리닝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1a, 11b에 의한 실시예에서 양 전극(11, 12)은 선택적으로 어스(52)와 연결된다. 제 1 전극(11)이 용량형 근접 센서로 작동될 때, 제 2 전극(12)은 스크리닝부 역할을 하고 이로써 어스(52)와 접촉된다(도 11a). 제 2 전극(12)이 용량형 근접 센서로 사용되면, 이제 어스(52)와 연결된 제 1 전극(11)은 스크리닝부가 된다(도 11b).
접지 전극(52)의 표면을 확대하기 위해서, 경우에 따라서는 문손잡이(34)의 장식 플랩(62)에 대해 스크리닝하기 위해 역시 T 형으로 형성된, 어스와 단단히 연결된 접지 전극(52)이 제공된다. 제 1 및 제 2 전극(11, 12)은 도 11에 의한 실시예에서처럼 선택적으로 어스(52)와 연결될 수 있다. 적은 공간에도 불구하고 활성센서 전극 및 어스(52) 상에 직접 연결된 전극 사이의 간격이 큰 것이 장점이다.
도 13에 의한 실시예는 제 1 평가 유닛(14)이 제 1 스위칭 수단(64)을 포괄하고 상기 수단을 통해 제 1 전극(11)이 어스(52)와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만 도 1과 구별된다. 제 2 평가 유닛(16)은 제 2 스위칭 수단(66)을 포함하고, 상기 수단을 통해 제 2 전극(12)은 어스(52)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외에 양 평가 유닛(14, 16)은 예컨대 전극들(11, 12)이 상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항상 시차를 두고 교대로 조회를 할 수 있도록, 통신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마이크로컴퓨터 내에서의 양 평가 유닛(14, 16)의 적분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근접 센서 장치로서 하기에서는 용량형 센서가 사용될 것이다. 그리고 양 전극(11, 12)은, 사용자가 근접할 때 그 용량이 중요하게 변하는 배치물의 각각 부분이다. 변화 용량이 특정 한계치를 초과하면, 확인된 사용자로 검출된다. 이를 위해 각 평가 유닛(14,16)이 제공된다. 제 1 전극(11)은 바람직하게는 문손잡이(34)의 자동차(40) 가까운 쪽에 배치된다.
사용자는 이제 문손잡이(34)를 개방 방향으로 작동하고자 한다. 사용자의 근접하는 손이 제 1 전극(11)을 수용하고 있는 배치물의 용량 변화를 일으킨다. 변화 용량치가 한계치를 초과하는 한, 제 1 평가 유닛(14)은 해제 목표 신호(20)를 발생하고 이 신호는 접속 케이블(32)을 통해 제어 기구(46)에 전달된다. 그러면 제어 기구(46)는 자격 조회를 개시한다. 사용자는 휴대한 트랜스폰더(42)에 의해 자격이 있다는 것을 제시해야 한다. 송신기(44)는 질문 신호를 트랜스폰더(42)에 송출하고, 트랜스폰더는 그로부터 응답 신호를 작성하여 수신기(44)에 반송한다.트랜스폰더(42)로부터 반송된 응답 신호가 제어 기구(46)에 의해 평가된 응답 신호와 일치하면, 자격 있는 사용자라고 추론된다. 그래서 제어 기구(46)는 폐쇄 장치(48)에 대해 개방 명령을 발생한다. 자동차(40)는 해제된다. 그러나 대기중이던 응답 신호가 수신 응답 신호와 일치하지 않으면, 사용자는 자동차(40)에의 근접 자격을 얻지 못한다. 폐쇄 장치(48)는 로킹 상태로 머문다.
자동차(40)의 폐쇄 장치를 기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제 2 전극(12)에 근접될 때에는, 제 2 평가 유닛(40)이 용량 변화에 따라 제 2 전극(12) 부근에 사용자가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그러면 로킹 목표 신호(22)가 발생되어 접속 케이블(32)을 통해 제어 유닛(46)에 전달된다. 제어 유닛(46)은 자동차(40)를 해제할 때에도 상기의 절차가 진행되었던 것처럼 자격 절차를 반복하거나 또는 즉시 폐쇄 명령이 폐쇄 장치(48)에 전송된다.
평가 유닛(14,16)이 해제 목표 신호(20)뿐 아니라 로킹 목표 신호(22)를 발생했으면, 제어 기구(46)는 폐쇄 장치(48)의 폐쇄 상태의 변화를 야기할 신호만을 평가한다. 폐쇄 장치(48)의 상태는 폐쇄 장치(48)의 해당 응답 신호를 통해 제어 기구(46)에 알려진다. 따라서 폐쇄되어 있는 자동차의 경우에는 단지 해제 목표 신호(20)만이 해당 제어부에 이르며, 로킹 목표 신호(22)는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전압, 즉 공급 전압(24)으로부터 양 평가 유닛(14, 16)에 공급되는 예컨대 5V의 내부 전압을 발생하는 전압 조절부(18)가 있다. 또한 각 평가 유닛(14, 16)에는 서로 독립적으로 활성화되는 별도의 전압 조절기(18)가 배치될 수도 있다. 전압 조절기(18)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제어 신호는 추가 케이블을 통해 또는 기존의 케이블, 예컨대 공급 전압(24)의 케이블에 부호화되어 전송될 수 있을 것이다.
양 평가 유닛(14, 16)은 각 상황(개방, 로킹)에 적응할 수 있기 위해, 휴지 전류 필요량, 민감도 또는 응답 속도가 상이할 수 있다. 특히 폐쇄 장치(48)의 상태에 따라 각각의 평가 유닛(14, 16)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내지는 작동 중지되게 할 수 있다. 자동차(40)가 예컨대 폐쇄되어 있으면, 단지 제 1 전극(11)만을 통해 기동될 수 있는 해제 목표만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동차(40)의 폐쇄를 위해 로킹 목표 신호(22)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제 2 평가 유닛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제 2 평가 유닛(16)은 오직, 자동차(40)의 비활성화 후 운전자 문의 개폐가 선행될 때에만 활성화될 수 있다. 이로써 전체 장치의 휴지 전류 필요량이 절감될 수 있다.
제 1 전극(11)은, 예상되는 사용자 손이 닿는 면적에 실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폐쇄 요구을 인식하기 위한 제 2 전극(12)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특히 손가락, 특히 엄지 손가락의 근접을 확실하게 검출할 있게 하는 크기로 된다. 따라서 상이한 전극 형태는 각각 상이한 조작 과정을 고려한 것이다. 전극(11, 12)으로서는 예컨대 전자 부품 그룹(10)의 도체 선로들이 사용된다. 전극(11, 12)과 양 평가 유닛(14, 16) 및 전압 조절기(18)가 그 위에 배치되는 인쇄 기판(36)은, 하우징 상부재(30)와 하우징 하부재(28)로 구성되는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인다. 접속 케이블(32)은 리세스를 통해 자동차 내부 공간에 도달한다.
도 6에 의한 실시예에서 양 전극들(11, 12)은 양 전극(11, 12) 사이에 도입된 접지 전극(50)에 의해 기능적으로 분리된다. 전계선들(54)에 의해 표시된 제 1 전극(11)에 할당된 전계는, 접지 전극(50)을 넘어 더 이상 도달하지는 않으므로 사용자가 제 1 전극(11)에 근접함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전계가 제 2 전극(12)에서는 검출되지 않는다. 양 전극(11, 12)의 상호 분리는 예컨대 소위 다층 인쇄 기판(36)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7에 의한 대체적 실시예에 있어서는, 양 전극(11, 12)을 위해 한 평가 유닛(58)만이 제공된다. 스위칭 수단(56)은, 제 1 전극(11)의 출력 신호나 또는 제 2 전극(12)의 출력 신호가 평가 유닛(58)에 확실하게 이용되도록 한다. 스위칭 수단(56)은, 근접 검출이 폐쇄 시스템의 상태의 변화를 일으키는 각각의 전극(11,12)의 출력 신호가 항상 평가되도록 제어된다. 폐쇄된 상태에서, 스위칭 수단(56)은 제 1 도체(11)의 출력 신호를, 해제 상태에서는 제 2 도체(12)의 출력 신호를 전달한다. 폐쇄 시스템(48)의 폐쇄 상태의 해당 정보는 입력 신호(60)를 통해 평가 유닛(58)에 도달되고, 상기 유닛은 정보를 스위칭 수단(56)의 해당 조작으로 변환시킨다. 스위칭 수단(56)과 평가 유닛(58)은 한 구성 단위로 결집될 수 있다. 스위칭 수단(56)의 조작은 직접 입력 신호(60)에 의해 야기될 수도 있다. 상기의 배치로써 부품 비용은 더욱 절감될 수 있다.
도 8 내지 13의 실시예들은, 센서 전극(11)을 공간적으로 구성할 경우에도 제 1 전극(11)과 제 2 전극(12)의 개선된 분리를 보장한다. 특히 여기서는 예컨대 전기 전도성 크롬 판, 크롬 덮개 또는 장식 층과 같은 문손잡이(34)에서의 설계 소자의 교란 영향도 감소된다. 양 전극(11, 12) 사이의 상호 교류도 방지되는데, 양 전극(11, 12)은 서로 조화적으로 조회된다. 이는, 한편으로는 제 1 전극(11)과 제 2 전극(12) 사이에 가능한 기준 전위로서의 어스(52)와 연결된 접지 전극(50)이 배치됨으로써 이뤄진다. 문손잡이(34)의 전기 전도성 설계 소자(62)에 대한 교란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 접지 전극(50)이 설계 소자(62)와 양 전극(11, 12) 사이에 또한 배치된다. 또한 설계 소자(62) 자체가 전기 전도적으로 어스(52)와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1 내지 13에 표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전극들(11, 12) 중 하나는 근접 센서로서 다른 것은 격리 전극으로 사용된다. 도 11a 및 12a에서, 이제 폐쇄 상태에 있는 제 2 스위칭 수단(66)은 제 2 전극(12)을 어스와 연결하는 한편 제 1 스위칭 수단(64)은 개방된 채 있다. 도 11b, 12b에서는, 제 1 스위칭 수단(64)이 폐쇄되어 있고, 이로써 제 1 전극(11)이 어스(52)와 접촉되어 있다. 이에 반해 제 2 평가 유닛(16)은, 사람이 제 2 전극(12)에 근접하는 것을 인식하기 위해 제 2 스위칭 수단(66)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제어하여 제 2 전극(12)의 용량을 구한다. 이제 도 13에 의해, 양 평가 유닛(14, 16) 사이에는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이는 두 전극들(11, 12)의, 서로 일치하는 시차를 둔 질문에 사용된다. 따라서 양 전극(11, 12)의 상호간 영향화는 감소된다. 이는 유리하게도 예컨대 마이크로컴퓨터 내에서 양 평가 유닛(14, 16)을 집적함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전계 형성 및 분리에도 불구하고 손 잡이(34)를 둘러쌀 때 양 센서 또는 전극(11, 12)이 기동될 어떤 위험성이 여전히 있다. 그러나 배치 및 분리에 의해 목표 서비스에 해당하는 신호를 방출하는 센서(11, 12)가 먼저 활성화 된다. 평가시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제 1 신호만을 통과시킨 뒤 제 2 신호는 저지시키는 논리가 실시된다. 의미 있게도, 두 센서(11, 12)가 더 이상 아무 근접도 접수하지 못할 때에 비로소 다시 저지 작동은 철회된다. 여기에 해당하는 흐름도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상태(101)에서 시스템은 휴지 상태에 있다. 그런데 제 1 전극(11)이 개방 신호를 발생했을 때에는 상태(102)로 전환된다. 상태(102)에서 해제 신호(20)가 발생된다. 휴지 상태(101)로의 전환은, 센서들(11, 12)이 개방 신호 및 로킹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때에만 일어난다. 상태(103)는 휴지 상태(101)로부터 로킹 신호가 인식될 때에만 도달된다. 상태(103)에서는 로킹 신호(22)가 출력된다. 휴지 상태(101)로의 전환은, 개방 신호 및 로킹 신호가 인식되지 않을 때에만 일어난다. 이 처리는 자동차 측 제어 기구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전극들(11, 12)은 예컨대 평가 유닛(14, 16)을 포함하는 다층의 플레이트 성분일 수 있다.
근접 센서 장치의 기능은 용량적 평가 원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접촉식 검출 시스템으로서는 초음파, 적외선, 전자파(레이더 원리) 등에 기초하는 원리들이 또한 적합하다.

Claims (19)

  1. 자동차의 개방 및 로킹 과정을 개시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 1 근접 센서부(11, 14) 및 제 2 근접 센서부(12, 16)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근접 센서부는 사용자가 제 1 근접 센서부(11, 14)에 근접할 때, 자동차(40)의 폐쇄 시스템(46, 48)의 개방 과정을 개시하기 위한 해제 목표 신호(20)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 2 근접 센서부는 사용자가 제 2 근접 센서부(12, 16)에 근접할 때, 자동차(40)의 폐쇄 시스템(46, 48)의 로킹 과정을 개시하기 위한 로킹 목표 신호(22)를 발생시키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부(11, 14, 12, 16)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11, 12)을 포함하며, 근접은 용량 평가부에 의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근접 센서부(11, 14, 12, 16)는 문 외측 손잡이(34)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근접 센서부(11, 14)는 문 외측 손잡이(34)의 자동차에 가까운 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근접 센서부(12, 16)는 문 외측 손잡이(34)의 자동차 반대편 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근접 센서부(11, 14, 12, 16)는 공동의 인쇄 기판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평가 유닛(14, 16)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압 공급부(18)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11, 12), 제 1 및/또는 제 2 평가 유닛(14, 16) 및 전압 공급부(18)는 하나의 하우징(28, 30)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목표 신호(20) 및/또는 폐쇄 목표 신호(22)가 발생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트랜스폰더(42)에 의한 자격 조회가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11)의 신호의 평가 및/또는 해제 목표 신호(22)의 발생은, 폐쇄 시스템(48)이 로킹된 상태에 있을 때에만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11)의 출력 신호 또는 제 2 전극(12)의 출력 신호를 평가 유닛(58)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수단(56)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56)은 폐쇄 시스템(48)의 상태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크리닝을 위해, 기준 전위(52)와 연결된 기준 전위 전극(50)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위 전극(50)은 상기 제 1 전극(11)과 제 2 전극(12)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위 전극(50)은제 1 및/또는 제 2 전극(11, 12)과 문 외측 손잡이(34)의 전기 전도성 층(62)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전극(11, 12)은 기준 전위(52)와 전기 전도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전극(11, 12)은 시차를 두고 서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11, 12)이 기동될 때, 먼저 기동된 전극(11, 12)의 신호만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전에 양 전극(11, 12)이 아무 근접도 인식하지 못할 때, 전극(11, 12)의 새로운 신호만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27007478A 2000-10-14 2001-10-11 자동차의 개방 및 록킹 과정 개시 장치 KR100817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51055A DE10051055A1 (de) 2000-10-14 2000-10-14 Vorrichtung zum Einleiten eines Öffnungs- und Verriegelungsvorgangs eines Kraftfahrzeugs
DE10051055.8 2000-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589A true KR20020063589A (ko) 2002-08-03
KR100817426B1 KR100817426B1 (ko) 2008-03-27

Family

ID=7659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7478A KR100817426B1 (ko) 2000-10-14 2001-10-11 자동차의 개방 및 록킹 과정 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47289B2 (ko)
EP (1) EP1328695B1 (ko)
KR (1) KR100817426B1 (ko)
AU (1) AU2002218132A1 (ko)
DE (3) DE10051055A1 (ko)
WO (1) WO20020332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3911A (ko) * 2014-05-28 2017-02-07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자동차용 센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17581B1 (fr) 2000-12-01 2006-08-25 Valeo Electronique Poignee d'ouvrant de vehicule comprenant un capteur d'approche et un capteur tactile cooperant avec un systeme d'acces mains libres
JP3614789B2 (ja) 2001-03-28 2005-01-26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のアウトハンドル装置
DE10132925A1 (de) * 2001-06-12 2003-01-02 Bosch Gmbh Robert Türaussengriffanordnung
FR2828225B1 (fr) * 2001-08-01 2003-10-31 Valeo Electronique Poignee d'ouvra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830110B1 (fr) * 2001-09-27 2004-10-08 Valeo Electronique Capteur de presence destine a etre integre dans une poignee d'un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4025B4 (de) * 2002-01-31 2017-10-05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Kombinierte Sicherheits-/Betätigungseinrichtung
DE10262353B4 (de) * 2002-05-14 2015-02-26 Huf Electronics Gmbh Schlüssellose Sicherheits-/Betätigungs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DE10221511B4 (de) * 2002-05-14 2013-09-05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chlüssellose Sicherheits-/Betätigungs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AU2003271744A1 (en) * 2002-06-20 2004-02-02 Schaffner Emv Ag Electronic control circuit comprising a transmitter for a vehicle door locking system
DE10232244B4 (de) * 2002-07-17 2005-03-10 Huf Huelsbeck & Fuerst Gmbh Schließsystem für eine Tür, Klappe o. dgl., insbesondere bei Fahrzeugen
FR2842853B1 (fr) * 2002-07-23 2005-02-04 Valeo Electronique Capteur de presence pour poignee d'ouvrant,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JP3770218B2 (ja) 2002-08-29 2006-04-2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開扉用人体検出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DE10240850A1 (de) * 2002-09-04 2004-03-18 Delphi Technologies, Inc., Troy Schließsystem
DE10253503B4 (de) * 2002-11-16 2012-12-06 Robert Bosch Gmbh Kapazitiver Sensor und Türgriffeinheit
DE10255439B4 (de) * 2002-11-28 2008-07-17 Daimler Ag Griffanordnung für eine Fahrzeugtür
DE10258392A1 (de) * 2002-12-12 2004-06-24 Kiekert Ag Türgriffanordnung für eine Kraftfahrzeugtür
DE10259124A1 (de) 2002-12-18 2004-07-01 Nexans Anordnung zur Signalübertragung zwischen einem Sender und einer Steuereinheit
DE10300573A1 (de) * 2003-01-10 2004-07-22 Daimlerchrysler Ag Vorrichtung zum Ver-und Entriegeln einer Fahrzeugtür
JP2004219311A (ja) * 2003-01-16 2004-08-05 Omron Corp 静電容量センサ及び開閉体挟み込み検知装置
JP2004232300A (ja) * 2003-01-29 2004-08-19 Aisin Seiki Co Ltd 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
FR2853346B1 (fr) * 2003-04-01 2005-06-2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ocede de limitation d'un effet de rebond d'un dispositif de verrouillage et de deverrouillage d'une serrure d'une porte d'un vehicule automobile
US7026861B2 (en) * 2003-04-22 2006-04-11 Touchsensor Technologies Llc Electronic door latch system with water rejection filtering
US7931314B2 (en) * 2003-06-20 2011-04-26 Kabushiki Kaisha Honda Lock Vehicle door outer handle system
DE10336335B4 (de) * 2003-08-08 2015-03-1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chließvorrichtung für Fahrzeuge
DE10340601A1 (de) 2003-09-01 2005-04-07 Kiekert Ag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Schließsystem und Verfahren zur Anzeige eines Betriebszustands
DE10341402A1 (de) * 2003-09-05 2005-04-07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Kraftfahrzeug-Türschließsystem und Türinnengriff
JP4098215B2 (ja) * 2003-10-29 2008-06-1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人体検出装置
DE602005021841D1 (de) * 2004-03-30 2010-07-29 Honda Lock Kk Türgriffanordnung für eine Kraftfahrzeugtür
JP4041090B2 (ja) * 2004-04-06 2008-01-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遠隔施錠解錠制御装置
FR2873473B1 (fr) * 2004-07-23 2006-09-08 Siemens Vdo Automotive Sas Procede et dispositif de gestion de la consommation d'energie d'un capteur de proximite d'un dispositif de controle d'acces a un habitacle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04038569B3 (de) * 2004-08-06 2005-10-20 Huf Huelsbeck & Fuerst Gmbh Kraftfahrzeugtürgriff
DE102004054985A1 (de) * 2004-11-13 2006-06-01 Hella Kgaa Hueck & Co. Anordnung aus einem elektronischen Bauelement und einem flexiblen Schaltungsträger
WO2006066097A2 (en) 2004-12-17 2006-06-22 Stoneridge Control Devices, Inc. Touch sensor system and method
DE102005017451A1 (de) 2005-04-15 2006-10-19 Hella Kgaa Hueck & Co. Türgriff für Kraftfahrzeuge mit einem kapazitiven Näherungssensor
DE102005031441A1 (de) 2005-07-04 2007-01-1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Griffvorrichtung
DE602007000993D1 (de) * 2006-03-16 2009-06-10 Aisin Seiki Türgriffvorrichtung für Fahrzeuge
DE102006013027B4 (de) * 2006-03-20 2008-03-20 SCHÜCO International KG Griffelement
DE102006025075A1 (de) * 2006-05-30 2007-12-06 Hella Kgaa Hueck & Co. Kapazitive Sensoreinrichtung
DE102006035223A1 (de) * 2006-07-26 2008-02-0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chließsystem für Fahrzeuge
JP4947348B2 (ja) * 2006-09-13 2012-06-0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WO2008137634A1 (en) 2007-05-03 2008-11-13 Donnelly Corporation Illumination module for a vehicle
JP4751860B2 (ja) * 2007-07-27 2011-08-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ドアハンドル装置
US8022808B2 (en) * 2007-10-01 2011-09-20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Vehicle power door control with passive entry
FR2927108B1 (fr) * 2008-02-06 2013-03-08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Dispositif de detection de toucher d'une poignee de porte de vehicule automobile
EP2252753B1 (de) 2008-03-13 2012-07-25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Kraftfahrzeug-türaussengriff mit einem sensormodul
DE102008016284A1 (de) * 2008-03-28 2009-10-08 Lic Langmatz Gmbh Vorrichtung zum Auslösen eines Schaltvorgangs insbesondere Anforderungsgerät für eine Verkehrsampel
US8098130B2 (en) * 2008-06-11 2012-01-17 Flextronics Automotive Inc. System and method for activating electromechanical systems using flexible intelligent radio frequency modules
US20100007463A1 (en) * 2008-07-09 2010-01-14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Vehicle handle with control circuitry
KR100974550B1 (ko) * 2008-07-15 2010-08-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 잠금장치 제어 시스템
US20100088855A1 (en) * 2008-10-14 2010-04-15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US9260882B2 (en) 2009-03-12 2016-02-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Universal global latch system
DE102009002566A1 (de) 2009-04-22 2010-10-2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ensorelektronik in einem Kraftfahrzeugtürgriff
DE102009037497B4 (de) 2009-08-13 2012-04-12 Predrag Stevanovic Diagnosevorrichtung für schlüsselloses Zugangssystem
DE202009017298U1 (de) * 2009-12-18 2011-04-28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anordnung
US9080355B2 (en) * 2009-12-18 2015-07-14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g Circuit and method for preventing inadvertent opening of a vehicle door
US8786401B2 (en) 2009-12-23 2014-07-22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Extendable flush door handle for vehicle
DE102010002282A1 (de) * 2010-02-24 2011-08-25 Lisa Dräxlmaier GmbH, 84137 Innenausstattungsteil sowie Außenverkleidungsteil eines Fahrezeugs mit einem Ultraschallsensor
DE102010019362A1 (de) * 2010-05-05 2011-11-10 Volkswagen Ag Bedienverfahren und Bedien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S8764256B2 (en) 2010-10-01 2014-07-01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Vehicle exterior mirror system with light module
US10576896B2 (en) 2010-10-01 2020-03-03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Vehicle exterior mirror system with light module
DE102010060364A1 (de) 2010-11-04 2012-05-1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fahren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1012688A1 (de) * 2011-03-01 2012-09-0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Türgriffeinheit für ein Fahrzeug
DE102011103406B4 (de) * 2011-06-06 2015-03-2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Stell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FR2978836B1 (fr) * 2011-08-03 2013-09-06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Dispositif de detection d'approche et/ou de contact, procede et poignee de portiere de vehicule associes
US9143126B2 (en) 2011-09-22 2015-09-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having lockout control for controlling movable panel
US9551166B2 (en) 2011-11-02 2017-01-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onic interior door release system
US8994228B2 (en) 2011-11-03 2015-03-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having wrong touch feedback
US10112556B2 (en) 2011-11-03 2018-10-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having wrong touch adaptive learning and method
US9660644B2 (en) 2012-04-11 2017-05-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activation method
US9219472B2 (en) 2012-04-11 2015-12-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activation method using rate monitoring
US9184745B2 (en) 2012-04-11 2015-11-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method of sensing user input based on signal rate of change
US9197206B2 (en) 2012-04-11 2015-11-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having differential contact surface
US9531379B2 (en) 2012-04-11 2016-12-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having groove between adjacent proximity sensors
US9559688B2 (en) 2012-04-11 2017-01-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having pliable surface and depression
US9568527B2 (en) 2012-04-11 2017-02-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activation method having virtual button mode
US9520875B2 (en) 2012-04-11 2016-12-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liable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activation method
US9831870B2 (en) 2012-04-11 2017-11-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method of tuning same
US8933708B2 (en) 2012-04-11 2015-01-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activation method with exploration mode
US9944237B2 (en) 2012-04-11 2018-04-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with signal drift rejection and method
US9065447B2 (en) 2012-04-11 2015-06-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method having adaptive time delay
US9287864B2 (en) 2012-04-11 2016-03-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calibration method therefor
US9136840B2 (en) 2012-05-17 2015-09-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having dynamic tuned threshold
US8981602B2 (en) 2012-05-29 2015-03-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having non-switch contact and method
US9337832B2 (en) 2012-06-06 2016-05-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nd method of adjusting sensitivity therefor
US9641172B2 (en) 2012-06-27 2017-05-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having varying size electrode fingers
FR2993384B1 (fr) * 2012-07-13 2016-11-25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Dispositif de detection de la presence d'un utilisateur, poignee de portiere comprenant ledit dispositif et procede de configuration de la poignee associee
US8872447B2 (en) * 2012-08-08 2014-10-28 Honda Motor Co., Ltd. Dual function power door
US8922340B2 (en) 2012-09-11 2014-12-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based door latch release
DE102012109034A1 (de) * 2012-09-25 2014-03-2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Kraftfahrzeugtürgriff mit Sensorelektronik
DE102013002750A1 (de) * 2013-02-19 2014-08-2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Türgriff für ein Kraftfahrzeug
US9311204B2 (en) 2013-03-13 2016-04-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interface development system having replicator and method
US20140292004A1 (en) * 2013-04-01 2014-10-02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Vehicle door handle system
DE102013103316A1 (de) * 2013-04-03 2014-10-09 Dorma Gmbh + Co. Kg System zur Verriegelung und Entriegelung einer Schiebetür
JP5932708B2 (ja) * 2013-04-22 2016-06-08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ドアのアウトハンドル装置
US9353557B2 (en) * 2013-06-12 2016-05-31 Huf North America Automotive Parts Manufacturing Corp. Door handle arrangement for vehicles
DE102013010993A1 (de) * 2013-07-02 2015-01-0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Objekterfass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S9416565B2 (en) 2013-11-21 2016-08-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iezo based energy harvesting for e-latch systems
FR3015690B1 (fr) 2013-12-19 2016-01-29 Valeo Securite Habitacle Capteur de presence pour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US10323442B2 (en) 2014-05-13 2019-06-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onic safe door unlatching operations
US10119308B2 (en) 2014-05-13 2018-11-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owered latch system for vehicle doors and control system therefor
US10273725B2 (en) 2014-05-13 2019-04-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ustomer coaching method for location of E-latch backup handles
US9903142B2 (en) 2014-05-13 2018-02-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oor handle and powered latch system
US9834964B2 (en) 2014-05-13 2017-12-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owered vehicle door latch and exterior handle with sensor
US10047548B2 (en) * 2014-06-17 2018-08-14 Magna Closures Inc. Latch assembly for latch operation of closure panels for vehicles
US9909344B2 (en) 2014-08-26 2018-03-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eyless vehicle door latch system with powered backup unlock feature
DE102014113832A1 (de) * 2014-09-24 2016-03-24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Daten- und Messerfassungsvorrichtung für einen Türgriff sowie Verfahren dazu
US10038443B2 (en) 2014-10-20 2018-07-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irectional proximity switch assembly
US9654103B2 (en) 2015-03-18 2017-05-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having haptic feedback and method
WO2016174753A1 (ja) * 2015-04-28 2016-11-03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US9548733B2 (en) 2015-05-20 2017-01-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ensor assembly having interleaved electrode configuration
US10118594B2 (en) 2015-08-21 2018-11-06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for a smart entry door handle in a vehicle
US9725069B2 (en) 2015-10-12 2017-08-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eyless vehicle systems
DE102016110345A1 (de) * 2016-06-03 2017-12-0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Zusätzliches Türgriffmodul für eine Türgriffeinheit
US10550610B2 (en) 2016-06-22 2020-02-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side override emergency handle for door release
DE102016212527B4 (de) 2016-07-08 2019-08-08 Magna Mirrors Holding Gmbh Blinkeinheit für einen Außenspiegel
US10227810B2 (en) 2016-08-03 2019-03-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iority driven power side door open/close operations
US10087671B2 (en) 2016-08-04 2018-10-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owered driven door presenter for vehicle doors
US10329823B2 (en) 2016-08-24 2019-06-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ti-pinch control system for powered vehicle doors
US10458171B2 (en) 2016-09-19 2019-10-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ti-pinch logic for door opening actuator
DE102016219748A1 (de) * 2016-10-11 2018-04-12 Zf Friedrichshafen Ag Sensorvorrichtung für einen Türgriff für ein Fahrzeug, Türgriff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ensorvorrichtung
US10045184B2 (en) 2016-11-11 2018-08-07 Carnival Corporation Wireless guest engagement system
US11671807B2 (en) * 2016-11-11 2023-06-06 Carnival Corporation Wireless device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US10499228B2 (en) 2016-11-11 2019-12-03 Carnival Corporation Wireless guest engagement system
US10604970B2 (en) 2017-05-04 2020-03-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to detect end-of-life in latches
US10907386B2 (en) 2018-06-07 2021-02-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door pushbutton releases
US11885158B2 (en) 2018-12-19 2024-01-30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Deployable handle system using remote actuator
DE102019132134A1 (de) * 2019-11-27 2021-05-2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zur Detektion einer Aktivierungshandlung in einem Detektionsbereich
DE102019132136A1 (de) * 2019-11-27 2021-05-2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zur Detektion einer Aktivierungshandlung in mindestens zwei unterschiedlichen Detektionsbereichen
DE102020131516A1 (de) 2020-11-27 2022-06-02 Emz-Hanauer Gmbh & Co. Kgaa Näherungs-Bedienelement und hiermit ausgestattetes elektrisches Haushaltsgerät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7479A (ja) * 1985-08-12 1987-02-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無線式施解錠制御装置
DE3536377A1 (de) 1985-10-11 1987-04-16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icherheitseinrichtung fuer kraftfahrzeuge
US4942393A (en) * 1988-05-27 1990-07-17 Lectron Products, Inc. Passive keyless entry system
DE9012968U1 (ko) * 1990-09-11 1990-11-15 Siemens Ag, 8000 Muenchen, De
DE4212291C2 (de) * 1992-04-11 1994-08-04 Daimler Benz Ag Anordnung eines berührungslos beeinflußbaren Schaltelements
DE9415257U1 (de) * 1994-09-20 1994-11-17 Siemens Ag Näherungsschalter mit drei Schaltpositionen
US5973611A (en) 1995-03-27 1999-10-26 Ut Automotive Dearborn, Inc. Hands-free remote entry system
DE19744152A1 (de) * 1997-10-07 1999-04-29 Ifm Electronic Gmbh Schaltungsanordnung zur Erfassung der Kapazität bzw. einer Kapazitätsänderung eines kapazitiven Schaltungs- oder Bauelementes
DE19617038C2 (de) * 1996-04-27 2000-11-30 Huf Huelsbeck & Fuerst Gmbh Schließsystem,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DE19620059B4 (de) * 1996-05-20 2004-12-23 Ifm Electronic Gmbh Schaltungsanordnung zum Entriegeln mindestens eines Türschlosses eines Kraftfahrzeugs
DE19805659C1 (de) * 1998-02-12 1999-03-18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Auslösen einer Berechtigungsabfrage für ein Fahrzeug
AUPP277798A0 (en) * 1998-04-03 1998-04-30 Robert Bosch Gmbh Detection system
US6034617A (en) * 1998-12-04 2000-03-07 Eaton Corporation Operator intent based passive keyless vehicle control system
EP1238177B2 (de) 1999-11-29 2009-03-25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G Türaussengriffanordnung
US6583715B1 (en) * 2000-02-28 2003-06-24 Lear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unlocking and/or opening at least one openable member of a motor vehicle
US6825752B2 (en) * 2000-06-13 2004-11-30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Effortless entry system and method
US20010054952A1 (en) * 2000-06-21 2001-12-27 Desai Tejas B. Automatic port oper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3911A (ko) * 2014-05-28 2017-02-07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자동차용 센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07473A1 (en) 2003-06-12
KR100817426B1 (ko) 2008-03-27
EP1328695A1 (de) 2003-07-23
US6847289B2 (en) 2005-01-25
DE50111223D1 (de) 2006-11-23
AU2002218132A1 (en) 2002-04-29
DE10051055A1 (de) 2002-05-02
DE10194444D2 (de) 2003-09-11
WO2002033203A1 (de) 2002-04-25
EP1328695B1 (de) 200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63589A (ko) 자동차의 개방 및 로킹 과정 개시 장치
JP4337075B2 (ja) とくに自動車のための閉鎖装置
US11136000B2 (en) Touch and gesture pad for swipe/tap entry verification system
US7126453B2 (en) Keyless system for actuating a motor-vehicle door latch
JP4702638B2 (ja) 車両の扉及び/又ははね上げ蓋にある電気又は電気−機械錠掛け装置を操作する装置
KR100406329B1 (ko) 자동차용로킹시스템
US6429782B2 (en) Detection system and switch device
JP6585907B2 (ja) 静電スイッチコントローラおよびその制御方法、ドア開閉装置、および電子キーシステム
JP4446281B2 (ja) 車両にある電気装置を操作する装置
US6825752B2 (en) Effortless entry system and method
US6992565B1 (en) Electronic communications system
US20090256677A1 (en) Passive entry system and method
CN101213577B (zh) 智能操作装置
US20080068128A1 (en) Keyless passive entry system
US20080314097A1 (en) Handle Device
JP3597670B2 (ja) 自動車用人体接近検出センサ
US20180252005A1 (en) Power locking door handle with capacitive sensing
US20080088413A1 (en)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for Carrying Out Signal Processing Operations Including a Synthetic Aura Suitable for Presence Detection
KR20090120709A (ko) 터치 센서 내장형 차량용 도어 핸들 모듈 및 터치 센서내장형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
IL195936A (en) Entry control system and read / write device
US7868746B2 (en) Electrical circuit
JP3597669B2 (ja) 人体接近弁別回路
CN111376866A (zh) 分布式汽车启动系统及汽车
KR100767477B1 (ko) 터치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
JP2008075329A (ja) 車載機器遠隔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