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2875A - 실란트 수지 조성물, 실란트 필름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실란트 수지 조성물, 실란트 필름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2875A
KR20020042875A KR1020027004900A KR20027004900A KR20020042875A KR 20020042875 A KR20020042875 A KR 20020042875A KR 1020027004900 A KR1020027004900 A KR 1020027004900A KR 20027004900 A KR20027004900 A KR 20027004900A KR 20020042875 A KR20020042875 A KR 20020042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ealant
resin
resin composition
but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4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3501B1 (ko
Inventor
야사카나오토
Original Assignee
나까니시 히로유끼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니시 히로유끼,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니시 히로유끼
Publication of KR20020042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5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resins; comprising acrylic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1Heat sea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5/00Polymers of vinyl-aromatic compounds, e.g. polystyr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6LDPE (radical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003/1084Lami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0/00Chemical nature of 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200/06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 C09K2200/0615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K2200/0617Polyalk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0/00Chemical nature of 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200/06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 C09K2200/0615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K2200/0617Polyalkenes
    • C09K2200/062Polyethyl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573Next to addition polymer of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
    • Y10T428/31587Hydrocarbon polymer [polyethylene, polybutadien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 Y10T428/31692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696Including polyene monomers [e.g., butadien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5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757Polymer of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10T428/31797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 Y10T428/31917Next to polyene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에틸렌 중합체(PE) 60∼95중량% 및 1-부텐 중합체(PB) 5∼40중량%으로 구성된 실란트용 수지 조성물로서, 각 중합체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의 비율 (MFRPE/MFRPB)이 1이상이다. 이러한 수지 조성물을 각종 기재 필름상에 실란트 필름층으로서 압출 라미네이션한 적층체 필름은, 다른 플라스틱 필름과 히트 실링에 의해서 양호하게 접합할 수 있고, 또한 그 때의 히트 실링 강도의 온도 의존성이 작다. 또한, 그 적층체 필름, 히트 실링후의 접착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용이 박리성을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박리시에 박리면으로부터의 수지가 실로 되는 현상을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수지 조성물은, 식품 포장용 재료로서 적합하다.

Description

실란트 수지 조성물, 실란트 필름 및 그 용도{SEALING RESIN COMPOSITION, SEALING FILMS AND USE THEREOF}
용기 포장재에 사용되는 용이 박리성을 갖는 실란트 필름에는, 실링성과 용이 박리성이라는 상반되는 성능을 동시에 만족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 중, 실링성에 관해서는, 항상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을 정도 이상의 히트 밀봉 강도를 가짐, 및 다종 다양한 기재(基材)에 대응하기 위해서 히트 밀봉 강도의 온도 의존성이 작음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용이 박리성에 관해서는, 손에 의한 박리가 용이한 정도로 히트 실링되어 있음과 동시에, 보기 좋은 외관과 내용물의 오염 방지라는 관점에서, 실링면을 박리했을 때에 박리 흔적(peel mark)(threaded resinous residue;실형상 수지상 잔사)이 남지 않은 것은 물론이며, 수지가 실로 되는(resin threading)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식품 포장용 실란트 필름에서는, 필름으로부터 내용물로의 악취의 이행은, 가능한 한 일어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실란트 필름용의 수지로서는, 지금까지 많은 재료가 개발되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4,189,519호 공보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와 폴리1-부텐으로 이루어지는 용이 박리 실란트재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미국 특허 4,666,778호 공보에는, 에틸렌계 수지, 폴리1-부텐,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용이 박리 실란트재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전자는, 아세트산 냄새가 내용물로 이행하는 경우가 있고, 또 후자는, 적당한 실링 강도로 조정하기 어렵다.
일본 특개평 1-315,443호 공보에는, 500,000 이상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1-부텐과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용이 박리 실란트용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하는 폴리1-부텐의 분자량이 높고, 또한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작기 때문에, 성형법이 제한되며, 실링 강도의 콘트롤폭이 좁다. 또한, RESEARCH DISCLOSURE지(제 38433호)에는, 폴리1-부텐과 메탈로센 촉매로 중합된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용이 박리 적층체가 기재되어 있지만, 수지가 실로 되는 현상 그 자체에 관해 아무것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일본 특개평 10-337829호 공보에도,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폴리1-부텐으로 이루어지는 실링층과,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으로 구성된 복합 필름은, 밀봉성 및 개봉성이 양호하다고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실란트 수지 조성물, 히트 실링성 및 용이 박리성을 겸비한 실란트 필름, 또한 그 실란트 필름을 이용한 적층체 필름 및 용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히트 실링성과 용이 박리성과의 사이에 적당한 균형이 잡혀 있고, 히트 실링시에 있어서의 히트 실링 강도의 온도 의존성이 작고, 또한 박리시에 접착면으로부터의 수지가 실로 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어려운 실란트 수지조성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조성물로 성형한 실란트 필름과 그것을 이용한 적층체 필름 및 용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에틸렌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와 1-부텐에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서, 그 조성물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0.2∼30g/10분이며, 또한 그 조성물로 성형한 필름을 150℃에서 히트 실링했을 때의 실링 강도가 1∼10N/15mm이며, 또한 그 실링면을 박리했을 때에 실 형상의 수지 잔사가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실란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수지 조성물은, 시차 주사형 열량계(DSC)로 측정한 융점이 100∼125℃의 에틸렌 중합체, 및 동법으로 측정한 융점이 70∼130℃의 1-부텐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실란트 수지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수지 조성물은, DSC에 의해서 관찰되는 융점 피크가 70∼130℃의 사이에 2개 이상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 최대 피크 면적을 갖는 융점 피크가 100∼125℃의 사이에 존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지 조성물은, 그 미세 구조가 해도(海島) 구조(island-in-the-sea structure)를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0.2∼30g/10분, 밀도가 0.900∼0.940 g/cm3의 에틸렌 중합체 60∼95중량%, 및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0.1∼25g/10분, 1-부텐 단위 함량이 60∼100몰%의 1-부텐 중합체 5∼40중량%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로서, 에틸렌 중합체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PE)와 1-부텐 중합체의 멜트 플로우레이트(MFRPB)의 비, 즉 MFRPE/MFRPB가 1이상인 실란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 1-부텐 중합체는, 바람직한 밀도가 0.880∼0.925g/cm3의 범위이다.
에틸렌 중합체로서는, 에틸렌 단독 중합체이어도 좋고,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이어도 좋고, 특히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및 그들의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1-부텐 중합체로서는 1-부텐 단독 중합체이어도 좋고, 1-부텐·α-올레핀 공중합체이어도 좋다. 이 수지 조성물은, 필름 성형에 적합하며, 용이 박리성과 히트 실링성을 겸비한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란트 수지 조성물로 성형한 두께가 3∼100μm의 용이 박리성을 갖는 실란트 필름에 관한 것이며, 압출 라미네이션 성형, 캐스트 성형, 또는 인플레이션 성형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 필름은 서로 접합하고 나서, 혹은 다른 필름과 접합하고 나서 접합면을 박리시켜도, 박리한 면으로부터의 수지가 실로 되는 현상은 실질적으로 보이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란트 필름층과,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과 가스 차단성 수지 필름의 적층 필름, 알루미늄박, 및 증착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한 개의 필름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필름에 관한 것이며, 그것은 히트 실링성과 용이 박리성을 갖는 포장 자재용 필름으로서 적합하다.
그 하나의 형태로서, 실란트 필름층과, 폴리올레핀 필름층과,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과 가스 차단성 수지 필름의 적층 필름, 알루미늄박, 및 증착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한 개의 필름층이 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일체화된 적층체 필름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적층체 필름이 그들 실란트 필름층면끼리의 히트 실링에 의해서 접합됨에 의하여, 혹은 다른 수지의 성형체와 히트 실링에 의해서 접합됨에 의하여, 그 중간에 내용물을 밀봉 포장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내용물이 식품인 경우, 이 용기로부터 식품으로의 악취의 이행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은, 에틸렌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 및 1-부텐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실란트 수지 조성물, 그 조성물을 이용한 실란트 필름, 적층체 필름, 및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다음에 그것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란트 수지 조성물(1)
본 발명의 실란트 수지 조성물(1)은, 에틸렌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와 1-부텐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적어도 함유하는 화학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소위 올레핀계 수지이다. 양 구성 단위가 존재하고 있으므로, 이 수지 조성물은 히트 실링성과 용이 박리성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각 구성 단위의 검출은,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분석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즉, 우선 수지 조성물의 프레스 필름을 작성하고, 그 필름의 적외선 흡수스펙트럼을 측정하면, 에틸렌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는 700∼740cm-1의 영역에 흡수가 존재하고, 1-부텐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는 750∼780cm-1의 영역에 흡수가 존재하므로, 양 구성 단위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수지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차 주사형 열량계(DSC)로 측정한 융점이 100∼125℃의 에틸렌 중합체, 및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 융점이 70∼130℃의 1-부텐 중합체를 적어도 함유하고 있는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DSC에 의한 측정은 조성물 샘플을 실온으로부터 200℃까지 일단 온도 상승시켜 용융하고, 그 온도로 10분간 보관 유지한 후 10℃/분의 속도로 0℃까지 냉각한다. 다시 10℃/분의 속도로 온도상승을 개시하고, 그 과정에서 흡열 피크를 관찰한다. 그 흡열 피크의 위치를 중합체의 융점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수지 조성물은, DSC에 의해서 관찰되는 융점 피크가 70∼130℃의 사이에 2개 이상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 최대 피크 면적을 갖는 융점 피크가 100∼125℃의 사이에 존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최대 피크 면적을 갖는 융점 피크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이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한 실란트 필름은, 저온 히트 실링성이 우수하고, 또한 접착면을 박리했을 때에 수지가 실로 되는 현상은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의 DSC에 의한 융점 측정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에 유래하는 흡열 피크가 분리한 상태로 관찰되는 경우에는, 그들 피크를 비교하여 그 면적이 큰 쪽을 최대 피크 면적을 갖는 융점 피크로 하면 된다. 그러나, 흡열 피크가 분리되어 있지 않고, 한쪽의 피크가 다른 한쪽의 피크의 숄더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숄더가 아닌 쪽의 피크를 최대 피크 면적을 갖는 융점 피크로 한다. 또한, 흡열 피크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지 않고 2중 피크 형상으로 관찰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피크에 대해서 피크 높이와 그 반값의 폭의 곱을 계산하고, 그 값이 큰 쪽을 최대 피크 면적을 갖는 융점 피크로 한다.
이러한 수지 조성물은, 적어도 2종류의 구성 단위에 유래하는 수지가 서로 해도 구조를 이루는 미세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중합체 및 1-부텐 중합체가 서로 해도 구조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 좋다. 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중합체의 바다 속에 1-부텐 중합체가 섬과 같이 분산된 해도 구조인 것이 좋다. 조성물이 이러한 해도 구조로 되어 있어, 히트 실링성과 용이 박리성과의 사이에 적당한 밸런스를 발현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수지 조성물의 미세 구조는, 펠렛 형상 내지 필름 형상의 조성물 샘플로부터 마이크로톰 등을 사용하여 얇은 조각을 제조하고, 오스뮴으로 염색한 뒤, 투과형 전자현미경(TEM)에 의해서 배율 10000배로 관찰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 수지 조성물은, ASTM D-1238에 준거하여, 190℃, 2.16kg 하중하에서 측정한 그 멜트 플로우 레이트의 값이, 0.2∼30g/10분, 바람직하게는 1∼25g/1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2∼25g/10분이다. 멜트 플로우 레이트값이 이 범위내이면, 수지 조성물로부터의 필름 성형성이 양호함과 동시에, 필름층으로서의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유지한다.
또한, 이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한 필름을 150℃에서 히트 실링했을 때에,그 히트 실링 강도는, 1∼10N/15mm, 바람직하게는 1∼8N/15mm이다. 히트 실링 강도가 이 범위 내이면, 실용상 충분한 접착 강도를 갖고 있음과 동시에, 박리성도 양호하며, 포장 재료로서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 필름을 피착체에 히트 실링한 후, 그 필름을 접착면으로부터 박리할 때에, 수지가 실로 되는 현상이라고 불리우는 실란트 필름층의 표면에 보풀이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음이 중요하고, 그럼으로써 포장 내용물이 오염될 염려를 없앨 수 있다. 이 수지가 실로 되는 현상은, 육안 검사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란트 수지 조성물(1)은,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에틸렌 중합체 및 1-부텐 중합체로 제조할 수 있다.
실란트 수지 조성물(2)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2)은, 다음에 설명하는 에틸렌 중합체 및 1-부텐 중합체를 적어도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즉,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0.2∼30g/10분, 밀도가 0.900∼0.940g/cm3인 에틸렌 중합체 60∼95중량%, 및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0.1∼25g/10분, 1-부텐 단위 함량이 60∼100몰%의 1-부텐 중합체 5∼40중량%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로서, 에틸렌 중합체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PE)와 1-부텐 중합체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PB)의 비율, 즉 MFRPE/MFRPB이 1이상이다.
<에틸렌 중합체>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에틸렌 중합체는,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이어도 좋고,또한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이어도 좋고, 그 분자 구조는, 선형이어도 좋으며, 장쇄 또는 단쇄의 측쇄를 갖는 분기형이어도 좋다.
공중합체의 경우, 공단량체로서의 α·-올레핀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20, 보다 바람직하게는 3∼10의 α-올레핀이며, 에틸렌과 랜덤 공중합하고 있다. α-올레핀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프로필렌, 1- 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데센, 1-운데센, 3-메틸-1-부텐, 3-메틸-1-펜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4,4-디메틸-1-헥센, 및 그들의 조합을 들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다른 공단량체를 소량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공중합체 중의 에틸렌 함량은 85∼99.9몰%, 바람직하게는 90∼99.5몰%가 요망되고, α-올레핀 함량은 0.1∼15 몰%, 바람직하게는 0.5∼10몰%가 요망된다.
에틸렌 중합체의 밀도는, 0.900∼0.940g/cm3, 바람직하게는 0.905∼0.930 g/cm3이며, 소위 저밀도 내지 중밀도 폴리에틸렌의 범주에 속한다. 이 밀도 범위이면, 저온 히트 실링성을 가지며, 또한 최종적으로 필름으로부터 용기를 제조했을 때에, 내층 필름(실란트층) 표면의 점착성이 작기 때문에 높은 충전 속도로 내용물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밀도는, 후술하는 멜트 플로우 레이트 측정시에 얻어지는 스트랜드를 120℃로 1시간 열처리를 행하고, 그 후 1시간 걸려서 실온까지 서서히 냉각한 후 밀도 구배관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또한,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는, ASTM D-1238에 준거하여, 190℃, 2.16kg 하중하에서 측정한 값이, 0.2∼30g/10분, 바람직하게는 1.0∼25g/1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2.0∼25g/10분의 범위이다. 이 범위내이면, 기존의 성형기를 사용하여 높은 성형 속도로 필름 성형을 할 수 있다. 이 에틸렌 중합체는, 또한, DSC로 측정한 융점이 100∼12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밀도, 멜트 플로우 레이트, 융점 등의 물성이 상기의 범위인 에틸렌 중합체는, 래디컬 중합 촉매, 필립스형 촉매, 지글러 나타 촉매, 혹은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에틸렌의 단독 중합, 또는 에틸렌과 α-올레핀을 공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래디컬 중합 촉매를 사용하여, 튜뷸러형 반응기나 오토 크레이브형 반응기 중에서 제조하는, 소위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와 용융 장력(190℃의 측정값;단위 mN;MT)의 관계가, 다음식을 만족하는 중합체가 필름 성형 조건 제어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40×(MFR)-0.67≤MT≤250×(MFR)-0.67
또한, 지글러 나타 촉매 혹은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한 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조 시의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장쇄 또는 단쇄의 분기를 형성시킬 수 있고, 그러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에틸렌 중합체는, 여러 종류의 에틸렌 중합체를 혼합하여 제조한 조성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서,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대한 혼합 비율, 즉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0/100∼75/2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95∼75/25(중량부)의 범위인 조성물을 제조하면, 실링 강도 및 박리 강도의 밸런스 조정이 용이해진다.
즉,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혼합 비율이 증가하면 실링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용이 박리성을 특히 요구하는 용도 분야에서는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혼합 비율을 늘리고, 거꾸로 높은 실링 강도를 요구하는 용도 분야에서는 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혼합 비율을 늘리는 처방을 하면, 희망하는 실링 강도와 박리 강도와의 밸런스 조정이 용이해질 수 있다.
<1-부텐 중합체>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1-부텐 중합체는, 1-부텐의 단독 중합체, 혹은 1-부텐과, 1-부텐 이외의 탄소수 2∼20, 바람직하게는 2∼1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이다. α-올레핀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α-올레핀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 에틸렌, 프로필렌,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서 다른 공단량체를 소량 함유시켜도 좋다. 공중합체 중의 1-부텐 함량은 60∼100몰%, 바람직하게는 70∼100몰%, α-올레핀 함량은 0∼40몰%, 바람직하게는 0∼30몰%가 요망된다.
1-부텐 중합체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880∼0.925g/cm3, 보다 바람직하게는 0.885∼0.920g/cm3이며, 이 밀도 범위이면,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한 필름 표면의 점착성이 작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필름으로부터 용기를 제조했을 때에, 높은 충전 속도로 내용물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는, ASTM D-1238에 준거하여, 190℃, 2.16kg 하중하에서 측정한 값이 0.1∼25g/10분, 바람직하게는 1.0∼25g/1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2∼25g/10분, 가장 바람직하게는 2.5∼25g/10분의 범위이다.
1-부텐 중합체의 MFR가 이 범위내이면, 성형기의 모터에 과대한 부하를 주지 않고, 또한 낮은 수지 압력으로 필름 성형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필름 성형 속도를 높여도, 수지 조성물의 전단 발열을 낮게 억제할 수 있고, 수지 조성물의 산화 열화에 따르는 악취의 발생이나 필름의 블로킹성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MFR 값을 낮추면, 필름 성형시의 서깅(surging)(압출량이 불균일해지는 현상)가 발생하기 쉬워지고, 필름의 두께의 불균일이나 드로우 다운성의 저하를 일으키는 경향이 있지만, 상기한 범위 내이면 그럴 염려도 적다. 또한, 히트 실링 강도의 조정이 용이해짐과 동시에, 히트 실링 강도의 온도 의존성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1-부텐 중합체는, DSC에 의해 측정한 융점이 70∼130℃의 범위임이 요망된다.
이러한 1-부텐 중합체는, 일본 특공소 64-7088호 공보, 특개소 59-206415호 공보, 특개소 59-206416호 공보, 특개평 4-218508호 공보, 특개평 4-218507호 공보, 특개평 8-225605호 공보 등에 기재된 입체 규칙성 중합 촉매를 사용한 중합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1-부텐 중합체는 그 한 종류를 사용할 수도 있고, 혹은 두 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2)은 상기한 에틸렌 중합체와 1-부텐 중합체를 적어도 함유하고 있고, 그 혼합 비율은, 에틸렌 중합체가 60∼95중량%, 바람직하게는 65∼85중량%, 1-부텐 중합체가 5∼40중량%, 바람직하게는 15∼35중량%의 범위가 요망된다. 여기서, 양 중합체의 합계량은 100중량%이다. 양 중합체가 이 혼합 범위 내에 있으면, 그 조성물로부터 성형한 필름은, 그것이 갖는 히트 실링성과 용이 박리성과의 사이에 적당한 밸런스가 유지되고, 즉 포장재에 필요한 실용상의 히트 실링 강도가 확보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적합한 용이 개봉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 수지 조성물은, 용이 박리성이 있는 실란트 필름의 제조에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 중합체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PE)의 1-부텐 중합체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PB)에 대한 비율이 1이상,
즉 1≤MFRPE/MFRPB,
바람직하게는, 1≤MFRPE/MFRPB≤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MFRPE/MFRPB≤10 이다.
이 양 중합체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비의 관계가 상기의 범위를 만족시키고 있으면, 히트 실링한 필름을 그 층간에서 박리시켰을 때, 박리면으로부터의 수지가 실로 되는 현상이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즉, 이 조성물로부터 실란트 필름을 성형하고, 그 실란트 필름끼리를 히트 실링하여 접착한 뒤, 혹은 그 실란트 필름과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필름을 히트 실링에 의해 접착한 뒤, 실란트 필름에 접착면으로부터의 강제적인 박리 조작을 가해도, 박리 부분으로부터의 수지가 실로 되는 현상은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이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 중합체가 매트릭스상을 형성하고, 그 중에 1-부텐 중합체가 마이크로 분산하여 분산상(分散相)을 형성한 구조, 즉 상기한 해도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때 1-부텐 중합체의 용융 점도가 에틸렌 중합체의 용융 점도에 대해서 상기한 일정한 범위로 제어되어 있음에 따라, 1-부텐 중합체는 구 형상으로 분산하고 있다. 이러한 수지 조성물의 해도 구조가, 박리시에 있어서의 수지가 실로 되는 현상 발생의 방지에 도움이 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한 수지 조성물(1)의 물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서 산화 방지제, 내열 안정제, 내후 안정제, 슬립제, 안티 블로킹제 등의 첨가제를 본 발명의 목적에서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로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미국 특허 제 4320209호 공보, 4321334호 공보, 4322503호 공보에 기재된 핵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에틸렌 중합체, 1-부텐 중합체, 및 필요에 따라서 각종의 첨가제를 준비하고, 그것들을 소정량 균일하게 혼합하며, 필요에 따라서 혼련 조작을 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혼합은 헨셀 믹서, 반바리 믹서, 텀블러 믹서, 1축 또는 2축의 압출기 등을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수지 조성물은, 성형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압출 라미네이션 성형, 캐스트 성형, 또는 인플레이션 성형용의 수지로서 필름 성형에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압출 라미네이션 필름 성형에 적합하다.
실란트 필름
상기한 수지 조성물로부터 필름 성형함으로써, 용이 박리성을 필요로 하는 포장재의 실란트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필름의 성형은 캐스트 성형법이어도 좋고 인플레이션 성형법이어도 좋으며, 통상 수지 온도 180∼240℃의 조건으로 막두께가 균일하고 외관이 양호한 필름을 빠른 속도로 제조할 수 있다. 필름의 두께는 3∼100μm이면 실란트층으로서 적당하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재 필름상에 직접 압출 라미네이션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실란트 필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실란트 필름은, 그 필름끼리를 겹쳐 히트 실링 조작을 하거나, 혹은 다른 필름에 겹쳐 히트 실링 조작을 하거나 하면, 실란트 필름이 갖는 접착력에 의해서 서로 강고하게 접합함과 동시에, 또한 적당한 힘으로 서로 떼어놓을 수 있게 되므로, 히트 실링성과 용이 박리성을 겸비한 필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접합한 필름을 강제적으로 박리할 때에, 박리면에 실 형상의 수지 잔사를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일은 거의 없다.
히트 실링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통상 실링 온도가 120∼180℃, 실링 압력이 0.1∼0.5MPa의 조건으로 하면, 실용상 충분한 접착 강도로 접합할 수있고, 또한 이 때 실링 온도에 의한 접착 강도의 변동도 적다. 예를 들면, 실링 온도 150℃, 실링 압력 0.2MPa, 실링 시간 1초의 조건으로 히트 실링했을 때에, 그 때의 접착 강도는 1∼10N/15mm의 범위이다.
적층체 필름
이 실란트 필름은, 물론 그것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기재 필름에 적층된 적층체 필름의 구성으로 일반적으로 포장 필름 내지 포장 시트로서 사용되는 일이 많고, 또한 그것을 용기 재료 혹은 용기의 뚜껑의 재료로서 사용되는 일도 있다.
기재 필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의 필름, 스티렌계 수지의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의 필름, 나일론6이나 나일론66과 같은 폴리아미드의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과 폴리아미드 수지나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 수지와 같은 가스 차단성이 있는 수지 필름과의 적층 필름, 알루미늄 등의 금속박, 혹은 알루미늄이나 실리카 등을 증착시킨 증착 필름 등이 포장재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적당히 선택 사용된다. 이 기재 필름은, 한 종류로 한정되지 않고 두 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실란트 필름층은 적층체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최외층에 위치하므로, 기재 필름상에 앞에 설명한 수지 조성물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압출 라미네이션하거나, 기재 필름과 실란트 필름을 드라이 라미네이션하거나, 혹은 양 층을 구성하는 수지를 공압출 성형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적층체 필름의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실란트 필름과 기재 필름과의 조합이지만, 실란트 필름과 기재 필름과의 접착력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일변형예로서 실란트 필름층, 접착성이 있는 다른 필름층, 기재 필름층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적어도 3층 구조의 적층체이어도 좋고, 목적으로 하는 포장재에 따라 임의의 구성으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적층체 필름의 일실시형태로서, 실란트 필름층/폴리올레핀 필름층/다른 필름층의 구성을 갖는 필름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다른 필름층으로서는 상기한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과 가스 차단성 수지 필름과의 적층 필름, 알루미늄박, 및 증착 필름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층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 필름층과 다른 필름층이 충분한 접착 강도로 접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실란트 필름층/폴리 올레핀 필름층/접착층/다른 필름층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접착층으로서 우레탄계나 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와 같은 앵커 코트제 (anchor coating agent)를 사용하거나, 불포화 카복시산 그래프트 폴리올레핀과 같은 변성 폴리올레핀을 접착성 수지로서 사용하면, 인접층을 강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용기
상기한 적층체 필름 2매를 준비하여 실란트 필름층면끼리 마주보게 하거나, 또는 적층체 필름을 접어 구부려서 실란트 필름층면이 마주보도록 배치하거나, 혹은 적층체 필름의 실란트 필름층과 다른 필름을 마주보게 한 후, 어느 한쪽의 외표면측으로부터 원하는 용기 형상이 되도록 그 주위를 히트 실링함으로써 밀폐된, 예를 들면 주머니 형상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이 주머니 형상 용기의 성형 공정을 내용물의 충전 공정과 조합하면, 즉, 주머니 형상 용기의 저부 및 측부를 히트 실링한 후에 내용물을 충전하고, 이어서 상부를 히트 실링하면 자동적으로 포장체를 완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적층체 필름은 스낵 과자 등의 고형물, 분체, 혹은 액체 재료의 자동 포장 장치에 공급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적층체 필름(시트)를, 또는 다른 필름(시트)를 미리 진공 성형이나 딥 드로잉(deep drawing) 성형 등의 수단으로 컵 용기 형상으로 성형해 두거나, 혹은 통상의 사출 성형 용기를 준비하여, 그 용기 내에 내용물을 충전한 후, 적층체 필름 또는 다른 필름을 덮개재로 피복하고, 용기 상부측으로부터 또는 측부의 주위를 따라 히트 실링하면 내용물이 든 포장체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란트 필름은 덮개재의 실란트층, 용기 본체의 실란트층, 또는 두 개 중 어느 하나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용기는, 컵라면, 된장, 햄, 베이컨, 젤리, 푸딩, 스낵 과자 등의 포장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용기의 구조나 제조 방법은, 상기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란트 필름 혹은 적층체 필름과 조합 사용할 수 있는 다른 필름 또는 용기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로 성형한 포장 재료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러한 재료로부터 개구부에 플랜지를 갖는 용기 형상 성형체를 성형하고, 그 개구부의 플랜지부에 실란트 필름층면을 서로 겹치도록 하여 적층하여, 히트 실링함으로써 양면을 접합하여 용기 포장체를 형성할 수 있다. 실란트 필름층 또는 실란트 필름층과 상기 포장 재료와는 충분한 접착 강도로 히트 실링할 수 있으며, 또한 용이 박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용기는 실링성이 있고, 또한 용이 박리성이 있는 포장 용기로서, 특히 식품 포장의 분야에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그들 실시예에 의해서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우선, 사용한 수지의 종류 및 물성을 표 1에 나타냈다.
<표 1>
수지의 명칭 수지의 종류 공단량체의 종류와 함량(몰%) 수지제조시의 중합촉매 MFR(g/10분) 밀도(g/cm3)
PE 1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MP3 T 2.0 0.920
PE 2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H3.5 M 4.0 0.920
PE 3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B3 T 20 0.920
PE 4 고압법 저밀도폴리에틸렌 -0 R 4.0 0.918
PE 5 고압법 저밀도폴리에틸렌 -0 R 10 0.918
PB 1 1-부텐·에틸렌공중합체 E1 T 1.0 0.910
PB 2 1-부텐 중합체 -0 T 2.5 0.915
PB 3 1-부텐·에틸렌공중합체 E5 T 4.0 0.910
PB 4 1-부텐 중합체 -0 T 20 0.910
(주) 공단량체의 종류:
MP ; 4-메틸-1-펜텐, H ; 1-헥센
B ; 1-부텐, E ; 에틸렌
수지제조시의 중합촉매 :
T ; 티탄계 촉매, M ; 메탈로센계 촉매
R ; 래디칼 촉매
(실시예 1∼9)(비교예 1∼3)
표 1에 기재한 수지를 사용하여, 표 2에 기재한 배합 비율로 혼합하여 실란트층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했다. 다음에,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0.920 g/cm3, 멜트 플로우 레이트 2.0g/10분)을 기재 필름층용의 수지로서 사용하여, 다음 구성의 2층 필름을 성형했다.
필름의 구성 : 기재층 50μm / 실란트층 20μm
2층 필름의 성형에 있어서, 기재층의 성형에는 스크류 지름이 40mm의 압출기를 사용하고, 실란트층의 성형에는 스크류 지름이 30mm의 압출기를 사용하며, 또한 다이 폭이 30cm의 다층 캐스트 성형기를 사용했다. 성형 온도는 각 층 모두 220℃, 칠롤(chill roll)의 온도는 30℃, 필름 인취 속도는 10m/분으로 했다.
실란트층의 수지 조성물을 시차 주사형 열량계(DSC)로 측정한 융점 피크 및 투과형 전자현미경(TEM)으로 측정한 상(相)분리(해도 구조)의 유무에 대해서, 그 결과를 각각 표 2에 나타냈다.
또한, 얻어진 2층 필름의 물성 평가를 하기 위해, 광학 특성, 히트 실링 강도, 및 박리면으로부터의 수지가 실로 되는 현상의 유무에 대해서 다음 방법으로 측정을 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1)광학 특성 : ASTM D1003-61의 방법에 준거하여 HAZE를 측정하고, 단위 %로 표시했다.
(2)히트 실링 강도 : 15mm폭의 직사각형 형상의 시험편을 2매 제조하고, 실란트층이 서로 마주보도록 겹치고, 기재 필름측으로부터 소정의 온도로, 압력 0.2MPa, 실링 시간 1초의 조건에서 히트 실링을 행했다. 그 후, 층간을 180˚방향으로 속도 300mm/분으로 박리시키고, 그 때의 박리 강도를 측정하여, 그 값을 히트 실링 강도(N/15mm폭)로서 나타냈다.
(3)수지가 실로 되는 현상 : 히트 실링 강도 측정후의 실링면의 박리 상태를 눈으로 관찰하여, 다음 기준으로 평가했다.
박리면에 실형상 수지가 잔사로서 남아 박리면의 외관이 좋지 않은 것을 "yes"(불량)로 하였다.
박리면에 실형상 수지 잔사가 없고 박리면의 외관이 양호한 것을 "none"으로 하였다.
<표 2>
표 2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듯이, 각 실시예에서 사용한 에틸렌 중합체와 1-부텐 중합체와의 조성물로 실란트층을 형성함으로써, 실용상 필요한 히트 실링 강도를 얻을 수 있고, 그 히트 실링 강도는 손에 의해 박리할 수 있는범위에 있어, 양자간에 균형이 잡힌 적층체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박리시에 수지가 실로 되는 현상도 보이지 않아, 포장 자재로서 적합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와 함께 고려하면, MFRPE/MFRPB의 값이 수지가 실로 되는 현상의 발생에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0∼12)(비교예 4)
실란트층으로서 표 1에 기재한 PE2를 75중량%, 및 PB2를 25중량%의 비율로 배합한 조성물을 사용하고, 기재 필름층으로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0.920 g/cm3, 멜트 플로우 레이트 2.0g/10분)을 사용하여, 다음 구성의 2층 필름을 성형했다.
필름의 구성 : 기재층 50μm / 실란트층 20μm
기재층의 성형에는 스크류 지름이 40mm인 압출기를 사용하고, 실란트층의 성형에는 스크류 지름이 30mm인 압출기를 사용하며, 또한 다이 폭이 30cm인 다층 캐스트 성형기를 사용했다. 성형 온도는 각 층 모두 220℃, 칠롤의 온도는 30℃, 필름을 인취 속도는 10m/분으로 했다.
얻어진 2층 필름의 실란트층 측에 표 3에 기재한 각종의 피착체 필름(두께 200μm)을 중첩시키고, 상기 히트 실링 강도의 측정 방법에 사용한 것과 같은 조건에서 히트 실링을 행한 후에 히트 실링 강도를 측정했다. 박리면에 있어서의 수지가 실로 되는 현상 발생 유무의 상황도 동시에 관찰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함께 나타냈다.
<표 3>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비교예4
피착체의 종류(*) LDPE HDPE PP PS
히트 실링 강도(N/15mm)·실링 온도120℃130140150160170 4.65.15.45.85.96.1 4.14.75.45.76.06.2 -5.66.36.77.17.3 히트 실링 불가
박리면에서의 수지가 실로 되는 현상발생의 유무 없음 없음 없음 -
* LDPE : 저밀도 폴리에틸렌, HDPE : 고밀도 폴리 에틸렌
PP :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PS : 폴리스티렌
(실시예 13∼15)(비교예 5)
실시예 10에 있어서, 실란트층 형성에 사용한 수지 조성물을 표 1에 기재한 PE1를 60중량%, PE4를 15중량%, 및 PB1를 25중량%로 제조한 조성물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2층 필름을 성형했다.
얻어진 2층 필름의 실란트층 측에 표 4에 기재한 각종의 피착체 필름(두께 200μm)을 중첩시키고, 상기 히트 실링 강도의 측정 방법에 사용한 것과 같은 조건에서 히트 실링을 행한 후에 히트 실링 강도를 측정했다. 박리면에 있어서의 수지가 실로 되는 현상 유무의 상황도 동시에 관찰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함께 나타냈다.
<표 4>
실시예13 실시예14 실시예15 비교예5
피착체의 종류(*) LDPE HDPE PP PS
히트 실링 강도(N/15mm)·실링 온도120℃130140150160170 4.44.65.04.84.9- 3.74.75.45.76.06.2 -5.66.36.77.17.3 히트 실링 불가
박리면에서의 수지가 실로 되는 현상 발생의 유무 없음 없음 없음 -
표 3 및 4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피착체가 폴리에틸렌 필름이나 폴리프로필렌 필름인 경우에는 실란트 필름층과 양호하게 접착하고, 그 히트 실링 강도는 용이 박리성으로서도 평가할 수 있는 범위이다. 또한 박리시에 수지가 실로 되는 현상도 보이지 않아, 포장 자재로서 적합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폴리스티렌 필름에는 접착하지 않았다.
(실시예 16)
두께 12μm의 폴리에스테르(PET) 필름과 두께 25μm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앵커 코트제를 사용하여 접합한 2층 필름을 준비하고, 그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면상에 두께 20μm의 실란트 필름층을 압출 라미네이션 성형법으로 적층하여 3층 필름을 얻었다.
실란트 필름층을 형성하는 수지로서, 표 1에 기재한 PE5가 80중량% 및 PB3가 20중량%로 제조한 수지 조성물을 사용했다.
압출 라미네이션은, 스크류 지름 65mm, 다이 폭 500mm인 압출 라미네이션 성형기를 이용하고, 압출기 설정 온도는, 다음과 같았다.
C1/C2/C3/C4/D=200/270/305/305/305 (℃)
압출 속도는, 80m/분이었다.
압출 라미네이션 성형시의 성형 조건 및 얻어진 3층 필름의 성상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또한, 표 5에 있어서, 넥 인성, 드로우 다운성, 및 히트 실링 강도는 다음 방법으로 측정했다.
(1) 넥 인성 : 실란트 필름을 두께 20μm 및 인취 속도 80m/분으로 되는 조건으로 성형했을 때의, 양 모서리부의 넥 인을 측정했다.
(2) 드로우 다운성 : 실란트 필름의 인취 속도를 넥 인 측정시의 조건으로부터 증가시켜, 필름이 절단되었을 때의 인취 속도로 나타냈다.
(3) 히트 실링 강도 : 얻어진 3층 필름의 실란트층 측에, 두께 200μm의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피착체로서 중첩시키고, 상기한 히트 실링 강도의 측정 방법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조건으로 히트 실링을 행한 후에 히트 실링 강도를 측정했다. 동시에 박리면에 있어서의 수지가 실로 되는 현상의 유무도 관찰했다.
(비교예 6)
실시예 16에 있어서, 실란트 필름층을 형성하는 수지로서 PE5가 80중량% 및 PB4가 20중량%로 제조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같이 행하여, 3층 필름을 얻었다. 압출 라미네이션 성형시의 성형 상황 및 얻더진 3층 필름의 성상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함께 나타냈다.
<표 5>
실시예16 비교예6
실란트층의 수지 조성·PE(중량%)·PB(중량%)·PB(중량%)·MFRPE/MFEPB 8020-2.5 80-200.5
압출 라미네이션 성형 조건·수지 압력(kg/m2)·다이 바로밑의 수지 온도(℃)·넥 인성(mm)·드로우 다운성(m/분)·압출기로부터의 발연의 유무 4429154260없음 3829058300없음
히트 실링 강도(N/15mm)·히트 실링 온도(℃)130140150160 3.43.74.25.3 2.83.13.63.7
박리면에서의 수지가 실로 되는 현상발생의 유무 none yes(불량)
표 5에 나타낸 실시예 16의 성형 조건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6에 사용한 수지 조성물은, 넥 인 값이 작고, 또한 드로우 다운성이 우수하며, 또한 성형시에 수지의 열화가 원인이 되는 발연도 관측되지 않았다. 여기에서, 넥 인 값이 커지면, 필름의 중심부와 양단부와의 두께의 차이가 커지는 것을 나타내고, 필름 생산시에 필름 양단의 재단 면적을 크게 해야 하며, 실용상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드로우 다운성은 생산성의 지표로서, 드로우 다운성이 작으면 고속 성형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실란트 수지 조성물은, 필름 성형성이 양호하고, 또한 성형한 필름은 실용상 충분한 히트 실링 강도를 가지며, 또한 히트 실링성과 박리성과의 사이에 적당한 밸런스가 유지되어 있다. 또한, 그 필름은, 히트 실링시에 있어서의 히트 실링 강도의 온도 의존성이 작기 때문에, 우수한 자동 포장기 적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히트 실링했을 때의 실링면을 강제적으로 박리시킨 경우, 그 실링면에는 실형상으로 남겨져 있는 일이 거의 없어, 식품 포장에 적합한 필름이다. 또한, 그 필름은 블로킹을 일으키기 어렵고, 포장물로 악취가 이행하는 일도 거의 없다.
따라서, 그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한 실란트 필름, 그 실란트 필름을 이용한 적층체 필름 및 용기는, 용이 박리성이 있는 밀봉 포장 재료로서 적합하며, 특히 식품 포장에 적합하다.

Claims (23)

  1. 에틸렌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와 1-부텐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서, 그 조성물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0.2∼30g/10분이며, 또한 그 조성물로부터 성형한 필름을 150℃로 히트 실링했을 때의 실링 강도는 1∼10N/15mm이며, 또한 그 실링면을 박리하였을 때에 실 형상의 수지 잔사가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란트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수지 조성물은, 시차 주사형 열량계(DSC)로 측정한 융점이 100∼125℃의 에틸렌 중합체, 및 동법으로 측정한 융점이 70∼130℃의 1-부텐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란트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DSC에 의해서 관찰되는 융점 피크가 70∼130℃의 사이에 2개 이상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란트 수지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최대 피크 면적을 갖는 융점 피크가 100∼125℃의 사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란트 수지 조성물.
  5. 제1항∼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그 미세 구조가 해도 구조(island-in-the sea structure)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란트 수지 조성물.
  6.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0.2∼30g/10분, 밀도가 0.900∼0.940g/cm3의 에틸렌 중합체 60∼95중량%, 및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0.1∼25g/10분, 1-부텐 단위 함량이 60∼100몰%의 1-부텐 중합체 5∼40중량%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로서, 에틸렌 중합체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PE)와 1-부텐 중합체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PB)의 비, 즉 MFRPE/MFRPB가 1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란트 수지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부텐 중합체는, 그 밀도가 0.880∼0.925g/c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란트 수지 조성물.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1-부텐 중합체는, 그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2∼25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란트 수지 조성물.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1-부텐 중합체는, 그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2.5∼25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란트 수지 조성물.
  10. 제6항∼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부텐 중합체가 1-부텐 단독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란트 수지 조성물.
  11. 제6항∼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부텐 중합체가 1-부텐과 1-부텐을 제외한 탄소수 2∼2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란트 수지 조성물.
  12. 제6항∼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중합체가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란트 수지 조성물.
  13. 제6항∼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중합체가 에틸렌과 탄소수 3∼20의 α-올레핀의 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란트 수지 조성물.
  14. 제6항∼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중합체가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란트 수지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중합체는,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대한 혼합 비율이 0/100∼75/25(중량부)인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란트 수지 조성물.
  16. 제1항∼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이 압출 라미네이션 성형, 캐스트 성형, 또는 인플레이션 성형용의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란트 수지 조성물.
  17. 제1항∼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실란트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필름이며, 그 두께가 3∼10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란트 필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압출 라미네이션 성형, 캐스트 성형, 또는 인플레이션 성형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란트 필름.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기재된 실란트 필름층과,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과 가스 차단성 수지 필름과의 적층 필름, 알루미늄박, 및 증착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한 개의 필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필름.
  20. 제17항 또는 제18항에 기재된 실란트 필름층과, 폴리올레핀 필름층과,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과 가스 차단성 수지 필름과의 적층 필름, 알루미늄박, 및 증착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한 개의 필름층이 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필름.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기재된 적층체 필름이, 서로 그들 실란트 필름층면끼리의 히트 실링에 의해서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2. 제19항 또는 제20항에 기재된 적층체 필름의 실란트 필름층면과,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의 성형체를 마주보게 하여 히트 실링함으로써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는, 개구부에 플랜지를 갖는 용기 형상 성형체이며, 그 개구부의 플랜지부에 실란트 필름층면을 중첩시켜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027004900A 2000-08-22 2001-08-20 실란트 수지 조성물, 실란트 필름 및 그 용도 KR1007635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51246 2000-08-22
JP2000251246 2000-08-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875A true KR20020042875A (ko) 2002-06-07
KR100763501B1 KR100763501B1 (ko) 2007-10-05

Family

ID=18740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4900A KR100763501B1 (ko) 2000-08-22 2001-08-20 실란트 수지 조성물, 실란트 필름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61478B2 (ko)
EP (1) EP1323803B1 (ko)
KR (1) KR100763501B1 (ko)
CN (1) CN100404637C (ko)
TW (1) TWI294895B (ko)
WO (1) WO200201652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9979A1 (en) * 2005-09-07 2007-03-15 Seong-Min Kim Release film for pcb lamination process
KR20180121780A (ko) * 2016-03-24 2018-11-08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KR20180124882A (ko) * 2016-03-18 2018-11-21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적층체 및 포장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64767C (zh) * 2002-03-14 2008-01-30 三井化学株式会社 容器
CN100402621C (zh) * 2002-03-14 2008-07-16 三井化学株式会社 密封胶用树脂组合物、密封胶及其用途
CN1845952B (zh) * 2003-09-05 2010-10-13 陶氏环球技术公司 用于挤出涂布的改进的树脂组合物
US6833170B1 (en) * 2003-09-29 2004-12-21 Frito-Lay North America, Inc. Pucker resistant film and package
US20050096613A1 (en) * 2003-11-04 2005-05-05 Carper James D. Cling film fastening system for disposable soft goods
DE10352019A1 (de) * 2003-11-07 2005-06-09 Henkel Kgaa Verpackung für schüttfähige Produkte aus einem Schlauchbeutel
US7238149B2 (en) * 2005-01-05 2007-07-03 Air Products Polymers, L.P.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paperboard cartons
US7871697B2 (en) * 2006-11-21 2011-01-18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Peelable composite thermoplastic sealants in packaging films
US7871696B2 (en) * 2006-11-21 2011-01-18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Peelable composite thermoplastic sealants in packaging films
US8642144B2 (en) * 2008-05-28 2014-02-04 Bemis Company, Inc. Innerliner with nylon skin layer
CN101463157B (zh) * 2008-12-31 2013-05-01 浙江金石包装有限公司 一种易揭型栓剂包装膜
CN101503537B (zh) * 2008-12-31 2013-10-02 浙江金石包装有限公司 一种卫生袋专用易揭型热封膜
US20130309430A1 (en) * 2012-05-18 2013-11-21 Toray Plastics (America), Inc. Polyester cereal liner with zero migration
JP6030947B2 (ja) * 2012-12-26 2016-11-24 サン・ト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無延伸多層フィルム
ES2667625T3 (es) * 2013-12-19 2018-05-11 Borealis Ag Recubrimiento de extrusión de polietileno de baja densidad y artículo sellado por calor fabricado a partir de éste
JP6441322B2 (ja) * 2014-04-28 2018-12-19 サン・トックス株式会社 多層シーラントフィルム
US20170173929A1 (en) 2014-05-23 2017-06-22 Bemis Company, Inc. Peelable package
CN104385770B (zh) * 2014-12-05 2016-03-23 四川科伦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药用包装的三层复合膜的剥离方法
WO2017066850A1 (en) * 2015-10-21 2017-04-27 Spc Ardmona Operations Limited A process for sealing a food product in a cup
CN105500868A (zh) * 2015-11-30 2016-04-20 江门市新时代外用制剂有限公司 一种高分子改性聚乙烯包装袋
CN106990204B (zh) * 2017-05-19 2023-09-26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香烟吸烟机用的压力仓及其密封方法
JP7206594B2 (ja) * 2018-01-25 2023-01-18 凸版印刷株式会社 複室容器用保護フィルム、複室容器、および、複室容器の製造方法
EP3851136B1 (en) * 2020-01-15 2022-04-20 Becton Dickinson France Packaging for medical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4551A (en) 1969-03-20 1972-01-11 Mobil Oil Corp Polybutene-1 blends having improved heat sealability
US4189519A (en) 1978-08-30 1980-02-19 American Can Company Heat sealable resin blends
US4666778A (en) 1984-08-31 1987-05-19 Shell Oil Company Packaging film and sheet capable of forming peelable seals with good optics
JPS6228381A (ja) * 1985-07-17 1987-02-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イスク収納箱
JPS62246945A (ja) 1986-04-21 1987-10-28 Mitsui Petrochem Ind Ltd 樹脂組成物及びフイルム
JPH0729404B2 (ja) * 1986-11-01 1995-04-05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複合フイルム
US5277988A (en) * 1987-12-15 1994-01-11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Easily openable heat seal material
US4882229A (en) 1988-04-29 1989-11-21 Shell Oil Company Blends of high molecular weight polybutylene with low density polyethylene
JP3351842B2 (ja) 1993-02-05 2002-12-03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H06328639A (ja) 1993-05-26 1994-11-29 Tonen Chem Corp ポリプロピレン容器用イージーピールフィルム
DE69412465T2 (de) 1993-12-16 1999-01-14 Shell Oil Co Polyolefinmischungen zur herstellung von verschlussdeckeln
JP3728685B2 (ja) * 1997-06-05 2005-12-21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易開封性複合フィルムおよび易開封性蓋付き紙容器
WO1999033913A1 (en) * 1997-12-31 1999-07-08 Shell Oil Company Easy-open packaging
JP2000079935A (ja) 1998-09-01 2000-03-21 Toppan Printing Co Ltd 蓋 材
JP3447229B2 (ja) 1998-10-23 2003-09-16 東洋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包装用積層体及び易開封性包装体
JP2000168003A (ja) 1998-12-01 2000-06-20 Wada Kagaku Kogyo Kk イージーピール性多層フィルム
CN1441722A (zh) * 2000-07-18 2003-09-10 昭和电工塑料产品株式会社 层合膜及其包装产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9979A1 (en) * 2005-09-07 2007-03-15 Seong-Min Kim Release film for pcb lamination process
KR20180124882A (ko) * 2016-03-18 2018-11-21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적층체 및 포장체
KR20180121780A (ko) * 2016-03-24 2018-11-08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16525A1 (fr) 2002-02-28
CN1388824A (zh) 2003-01-01
KR100763501B1 (ko) 2007-10-05
EP1323803A4 (en) 2004-10-27
TWI294895B (ko) 2008-03-21
EP1323803A1 (en) 2003-07-02
US6861478B2 (en) 2005-03-01
CN100404637C (zh) 2008-07-23
US20030055191A1 (en) 2003-03-20
EP1323803B1 (en)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42875A (ko) 실란트 수지 조성물, 실란트 필름 및 그 용도
KR100592838B1 (ko)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실런트 필름 및 그의 용도
KR100719403B1 (ko) 열융착성 적층 필름 및 포장체
JP5582669B2 (ja) シーラント樹脂組成物、シーラント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JP2011501775A (ja) ポリオレフィン系の可剥性シール
KR100456389B1 (ko) 폴리프로필렌용 실란트 및 그를 포함한 개봉이 용이한밀봉 포장 용기
WO2008100720A1 (en) Extrusion coated polyolefin based compositions for heat sealable coatings
JP6195789B2 (ja) 多層シーラントフィルム
JP2019123842A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2008524414A (ja) ヒートシール可能な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
JP2018090658A (ja) シーラント用接着剤及び易剥離性フィルム
JP4389063B2 (ja) シーラント用樹脂組成物、シーラント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JP5159003B2 (ja) 熱融着フィルム及びそれからなる包装体
JP6822198B2 (ja) シーラント用接着剤及び易剥離性フィルム
JPH1110809A (ja) 包装用フィルム
JP4190950B2 (ja) シーラント用樹脂組成物、シーラント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JP6582461B2 (ja) 樹脂組成物及び易剥離性フィルム
JP2022175586A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2021133590A (ja) 易開封性フィルムおよび包装体
JP2003213247A (ja) シーラント用樹脂組成物、シーラント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