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6955A -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6955A
KR20020036955A KR1020017015874A KR20017015874A KR20020036955A KR 20020036955 A KR20020036955 A KR 20020036955A KR 1020017015874 A KR1020017015874 A KR 1020017015874A KR 20017015874 A KR20017015874 A KR 20017015874A KR 20020036955 A KR20020036955 A KR 20020036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control
network
boarding point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5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6693B1 (ko
Inventor
고우라구니카즈
다께우치노부카즈
다쓰미쇼오고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20036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6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6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3Bus networks with centralised control, e.g. p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23Control system configuration, i.e.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23Control system configuration, i.e. lay-out
    • B66B1/3438Master-slave control system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Bus for use in automa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다수의 제어유닛이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고 각 제어유닛이 자기의 논리도착선을 외부에서 미리 입력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로서 상기 네트워크의 초기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네트워크에 상기 자기의 논리도착선을 부가한 네트워크 마스터국 입후보 요구지령을 맨 먼저 송출했을 때는 상기 다수의 제어유닛간의 동기제어를 조종하는 네트워크 마스터국으로 해서 동작하는 제어유닛과, 상기 네트워크의 초기상태를 검출하지 않을때는 상기 네트워크 마스터국에 따르는 서브국으로 동작하는 다른 제어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COMMUNICATION CONTROL UNIT FOR ELEVATOR SYSTEM}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2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공평 6-39312호 공보에 표시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이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에서는 도 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예로써 3대의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3조의 제어유닛(91),(92),(93)이 설치되어 있다.
각 제어유닛(91),(92),(93)은 각각 고유의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카 컨트롤유닛(CCa),(CCb),(CCc)을 가지고 있는 외에 분산처리용으로 컴패트화 된 군 관리 제어처리용 그룹 컨트롤유닛(GCa),(GCb),(GCc)과, 홀 호출 제어처리용 홀 컨트롤유닛(HCa),(HCb),(HCc)을 일체화해서 구비되고 있다.
각 제어유닛(91),(92),(93)은 또, 전송용 LSI(대규모 집적회로)(Sa),(Sb), (Sc)를 가지고, 여기서 출력된 정보가 버스상의 고속전송라인(94)을 통해 전송된다.
홀 측에는 이 예의 경우는 2계열화 되어 있는 것에 대응해서 각 홀 의 각 계열마다에 1칩 마이크로컴퓨터(1칩 다이컴)으로 된 홀 컨트롤러(95)가 설치되어 있다. 개개의 홀 컨트롤러(95)는 부호 S에 계속해서 계열종별을 표시하는 숫자(1 또는 2)와, 홀 종별을 나타내는 숫자(1 ~ m)를 연속해서 표현된다. 예를 들면, 계역(1)측의 m층의 홀 컨트롤러(95)는 S1m로서 특정된다.
이들의 홀 컨트롤러(95)는 홀 호출버튼(96)으로부터의 홀 호출 등록신호의 입력처리나 홀 호출 등록램프(97)에의 점등신호의 출력처리를 하거나 한다. 그리고, 이들 홀 컨트롤러(95)는 각 계열마다에 전송라인(98),(99)을 통해서 각 제어유닛(91),(92),(93)의 마스터노드용 CPU Ma, Mb, Mc와 병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근년 빌딩의 용도도 여러가지이고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도 시스템의 기능성능, 확장성의 향상이 필수이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와 같이 각 제어유닛(91),(92),(93)이 각각 고유의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카 컨트롤유닛 (CCa),(CCb),(CCc)를 가지고 분산처리용으로 컴팩드화 된 군 관리 제어처리용 그룹 컨트롤유닛(GCa),(GCb),(GCc)과, 홀 호출 제어처리용 홀 컨트롤유닛(HCa),(HCb) ,(HCc)을 일체화해서 구비한 집중처리방식에서는 제어유닛은 복잡해지고, 시스템 전체의 처리능력이나 어베일러빌리티가 저하해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시스템 전체의 기능을 서브시스템에 최적하게 부단배치 할 수 있고, 또 토털의 처리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는 다수의 제어유닛이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고, 각 제어유닛이 자기 논리선을 외부에서 미리 입력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로서 상기 네트워크의 초기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네트워크에 상기 자기의 논리선을 부가한 네트워크 마스터국 입후보 요구지령을 제일 먼저 송출했을 때는 상기 다수의 제어유닛간의 동기제어를 조정하는 네트워크 마스터국으로서 동작하는 제 1의 제어유닛과, 상기 네트워크의 온기상태를 검출하지 않을 때는 상기 네트워크 마스터국에 따르는 서브국으로서 동작하는 제 2의 제어유닛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는 다수의 제어유닛이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고, 각 제어유닛이 자기의 1차 논리선을 외부에서 미리 입력하고 있고, 제어유닛을 식별하기 위한 1차 논리선, 엘리베이터의 제어기능 및 제어유닛이 취급하는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2차 논리선이 대응하게 된 제 1의 대응표 및 상기 2차 논리선 및 상기 제어유닛이 취급하는 정보가 대응 부착된 제 2의 대응표를 갖는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로서 상기 제 1의 대응표를 참조해서 차기의 1차 논리선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기능으로서 행동하는 다수의제어유닛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는 상기 제 1의 대응표를 참조해서 제 1의 자기의 논리선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의 카의 승강을 제어하는 각대제어유닛으로 작동하는 제 1의 제어유닛과, 상기 제 1의 대응표를 참조해서 제 2의 자기의 1차 논리선에 대응하는 각 층상의 승차장에 설치된 승차버튼 등록장치로부터의 승차장 호출 등록정보의 입력처리 및 이 승차장 호출에 대응하는 승차장 등록 등 정보의 출력처리를 제어하는 승차장 등록 제어유닛으로 해서 작동하는 제 2의 제어유닛과, 상기 제 1의 대응표를 참조해서 제 3의 자기의 1차 논리선에 대응하는 상기 승차장 호출 등록정보에 따라 등록된 승차장 호출에 대한 엘리베이터의 할부제어를 하는 군 관리 제어유닛으로 작동하는 제 3의 제어유닛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여러대의 엘리베이터를 네트워크(공통의 전송선)를 통해서 유기적으로 결합한 엘리베이터의 군 관리 통신제어장치 등의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도 3은 기능코드 대응표를 표시하는 도면.
도 4는 데이터 종별 코드표를 표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네트워크마스터의 결정방법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네트워크 마스터 고장시의 차 네트워크 마스터 결정방법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동기제어의 동작을 표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데이터포멧을 표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제어유닛의 주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관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제어유닛의 송신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제어유닛의 수신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1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또, 도 1은 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각 제어유닛에서 네트워크 마스터국과 서브국이 결정되고, 군 관리 제어기능 등의 각 제어기능이 결정된 상태의 구성을 표시한다.
또, 각 도면 중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표시한다.
도 1에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는 전송선(31)을 통해서 접속된 군 관리 제어유닛(1)과, 각대제어유닛(2)와, 각대제어유닛(3)과, 각대제어유닛(4)와, 승차장 등록 제어유닛(5)와, 승차장 등록 제어유닛(6)과, 승차장 표시 제어유닛(7)과, 확장용 제어유닛(8)을 구비하고 있다.
또, 동 도면에서 군 관리 제어유닛(1)은 통신장치(10)와, 군 관리 제어장치(20A)를 갖는다. 이 군 관리 제어유닛(1)은 승차장 호출 등록신호에 따라 등록된 승차장 호출에 대한 엘리베이터의 카(도시않음)의 할부제어를 한다.
또, 동 도면에서 각대제어유닛(2)은 통신장치(10)와 각대제어장치(20B)를 갖고 있다. 이 각대제어유닛(2)은 군 관리 제어유닛(1)으로부터의 승차장 호출 등록신호에 대한 카 할부신호, 카로부터의 카 호출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카의 승강을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각대제어유닛(3)은 통신장치(10)와 각대제어장치(20C)를 소유하고, 각대제어유닛(4)은 통신장치(10)와 각대제어장치(20D)를 갖는다. 이들의 각대제어유닛(3) 및 (4)는 각대제어유닛(2)의 기능과 같은 기능을 갖는다.
또, 본 예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실제는 각대제어유닛(2),(3),(4)와 카 기기도 전송선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 동 도면에서 승차장 등록 제어유닛(5)은 통신장치(1)와 승차장 등록 제어장치(20E)를 갖는다. 이 승차장 등록 제어유닛(5)은 전송선(32)을 통해서 각 계층에 설치된 승차장 버튼 등록장치(41)로부터의 승차장 호출 등록신호의 입력처리와 군 관리 제어유닛(1)으로부터의 승차장 호출에 대한 승차장 등록 등 신호의 출력처리를 제어한다. 또, 이 예에서는 승차장 등록 제어유닛(5)은 각대제어유닛(2 ~ 4)이 제어하는 3대분의 엘리베이터의 A계열의 승차장 호출 등록정보, 승차장 등록 등 정보를 취급한다.
마찬가지로 승차장 등록 제어유닛(6)은 통신장치(1)와 승차장 등록 제어장치(20F)를 갖는다. 이 승차장 등록 제어유닛(6)은 승차장 등록 제어유닛(5)의 기능과 같은 기능을 갖는다. 또, 이 예에서는 승차장 등록 제어유닛(6)은 각대제어유닛(2 ~ 4)이 제어하는 3대분의 엘리베이터의 B계열의 승차장 호출 및 등록정보, 승차장 등록 등 정보를 취급한다.
또, 동 도면에서 승차장 표시 제어유닛(7)은 통신장치(10)와 승차장 표시 제어장치(20G)를 갖는다. 이 승차장 표시 제어유닛(7)은 전송선(34)을 통해서 승차장에 설치된 선행층 등록장치(43)로부터의 행성층 등록신호의 입력처리와, 군 관리 제어유닛(1)으로부터의 행선층 등록신호에 대한 카 할부신호 및 행선층 등록 등 신호의 출력처리를 제어한다. 또, 이 예에서는 승차장 표시 제어 유닛(7)은 각대제어유닛(2 ~ 4)가 제어하는 3대분의 엘리베이터의 행선층 등록정보, 행선층 등록 등 정보 등을 취급한다.
각 층상에 설치된 승차장 표시장치(42)는 승차장 표시 제어유닛(7)으로부터의 카 할부신호에 따라 실제의 할부신호의 표시 등의 표시제어를 한다.
각 층상에 설치된 행선층 등록장치(43)는 행선층 등록버튼으로부터의 ON/OFF 접점신호의 입력처리와, 승차장 표시 제어유닛(7)으로부터의행선층 등록 등 신호에 따라 실제의 점등/소등 제어를 한다.
또, 도 1에서 확장용 제어유닛(8)은 통신장치(10)와, 확장용 제어장치(20H)를 갖는다. 이 확장용 제어유닛(8)은 전송선(35)을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와 서로 결합되고, 다른 엘리베이터의 군 관리 통신제어 시스템과 결합하기 위한 부러지기능을 완수한다. 또, 확장용 제어유닛(8)은 전송선(35)을 통해서 관리실에 설치된 퍼스컴에도 접속되어, 이 퍼스컴은 빌딩 전체에 설치된 다수의 엘리베이터의 군 관리 통신제어시스템을 감시한다.
다음에, 각 제어유닛의 통신장치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각 제어유닛의 통신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장치(10)는 통신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전송제어용 CPU(11)와, 각 제어유닛을 결합하는 전송선(31)에 접속되고, CPU(11)의 제어 하의 것과 전송데이터의 송신, 수신 및 전송 이상의 체크를 자동으로 행하는 전송용 LSI(12)와, CPU(11) 및 후술하는 제어장치(20)의 쌍방으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2포트 RAM 등으로 구성된 공유메모리(13)와 프로그램이나 표를 저장하는 리드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ROM)(14)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해두는 리드/라이트 가능한 휘발성 메모리(RAM)(15)와, 출력포트(16)와, 입력포트(17)와, 상기 각 구성요소(11 ~ 17) 및 제어장치(20)를 치밀하게 결합하는 멀티버스를 가지고 있다.
또, 공유메모리(13)는 CPU(11)가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FIFO방식의 출력대기행렬과, CPU(11)가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FIFO의 방식의 입력대기행렬을 포함한다.
또, 도 2의 제어장치(20)는 도 1에 표시하는 각 제어장치(20A ~ 20H)에 상당한다.
통신장치(10)는 전송선(31)과 접속된 전송용 LSI(12), 멀티버스(18)를 통해서 전송선(31)상에 대한 전송데이터의 송신, 수신처리를 한다. 또, 제어장치(20)와는 멀티버스(18)를 통해서 치밀하게 결합된 공유메모리(13)를 통해서 데이터의 수수를 한다. 또, 입력포트(17)로부터는 제어유닛을 구별하기 위한 1차 논리선, 예를 들면 기능코드 등의 설정정보를 외부의 설정장치(예를 들면, 점퍼선, 로터리스위치 등 도시않음)로부터 입력한다. 출력포트(16)로부터는 외부의 표시장치(예를 들면 LED 등 도시않음)에 출력제어를 한다.
도 3은 제어유닛의 「기능코드 대응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본 표는 「제어유닛 기능코드」, 「제어기능」 및 제어유닛이 취급하는 「데이터 종별 코드」를 대응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제어유닛 기능코드」1차 논리선, 「데이터 종별 코드」는 2차 논리선에 각각 상당한다. 본 표는 미리 각 통신장치(10)의 ROM(14)에 저장되어 있다. 또, 본 표는 「제어유닛 기능코드」가 「1」과 「제어기능」이 「군 관리 제어유닛 1」을 대응시키고 있으나. 이는 한 예이고 예를 들면 「제어유닛 기능코드」가 「1」과 「제어기능」이 「승차장 표시 제어유닛 1」을 대응시켜도 된다.
각 제어유닛의 제어기능을 결정하기 위한 기능코드는 전술한대로 입력포트(17)를 통해서 설정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어느 제어유닛이 기능코드로서 「10」이 설정되면, 승차장 등록 제어유닛(5)으로 동작한다. 상기 설명에서는 입력포트(17)를 통해서 기능코드를 입력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제어장치(20)에 일단 입력하고, 공유메모리(13)를 통해서 통신장치(10)의 RAM(15)에 취입하도록 해도 된다.
도 4는 「데이터 종별 코드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본 표도 미리 통신장치(10)의 ROM(14)에 저장되어 있다. 본 표는 데이터 종별 코드와 실제로 취급하는 데이터의 의미를 대응시키는 것이다.
즉, 승차장 등록 제어유닛(5)의 통신장치(10)는 전송선(31)에의 송신데이터인 승차장 호출 등록정보의 A계열(데이터 종별 코드 「1」과 전송선(31)으로부터의 수신데이터인 승차장 등록 등 정보의 A계열 데이터 종별 코드 「3」)을 취급한다.
여기서, A계열이라는 것은 승차장 호출 등록신호 및 승차장 등록 등 신호 중 일반용(건강한 사람용)의 것을 표시하고 B계열이라는 것은 장해자용을 표시한다.
또, 도 4에 기재된 a계열 및계열은 예를 들면, 행선층 등록정보 등 중에서 특정층용의 것을 표시한다.
다음, 이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전송선(31)으로 결합되어 있는 각 제어유닛간의 동기제어를 취급하는 네트워크 마스터국과, 네트워크 마스터국에 따르는 서브국의 결정방법에 대해, 도5의 플로차트로 설명한다. 이 플로차트로 표시하는 프로그램은 통신장치(10)의 ROM(14)에 저장되어 있다.
각 제어유닛 통신장치(10)는 전원이 투입된 상태(상승시)로부터 스텝 100으로 진행한다.
스텝(100)에서 초기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여기서는 다른 제어유닛이 이미 상승해 있고, 전송선(31)을 통해서 통신제어가 확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네트워크가 이미 구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때문에 통신장치(10)는 일정시간 T1 전송선(31)을 감시하고, 아무것도 흐르고 있지 않을 때는 초기상태라고 판단하고 다음의 스텝(101)에 진행한다. 한편, 초기상태가 아닌 때는(도중에서 네트워크에 진입) 스텝(106)에서 신규 진입의 수속처리를 하고 서브국으로서 동작한다.
또, 여기서 미리 제어유닛의 통신장치(10)는 시스템 상승전에 설정된 제어유닛 기능코드를 입력포트(17)로부터 입력해둔다.
다음에, 스텝(101)에서 자 제어유닛이 네트워크 마스터국이 되기 위한 입후보 요구지령을 전송선(31)에 송출한다. 또, 이 네트워크 마스터국 입후보 요구지령의 전송포멧은 예를 들면 후에 설명하는 도 8(a)표시하는 것과 같고, 데이터 종별 필드가 네트워크 마스터국 입후보 요구지령을 나타내는 코드이고, 데이터필드의 데이터 헤더부가 입후보주를 표시하는 전에 미리 입력한 제어유닛 기능코드이고, 데이터필드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부가 어떤 적당한 값이다. 또,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부는 필요치 않으므로 없어도 된다.
다음, 스텝(102)에서 여기서는 동 시각에 타제어유닛이 스텝(100)에서 초기상태라고 판단하고 있는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일정시간 T2의 사이, 타제어유닛으로부터의 네트워크 마스터국 입후보 요구지령이 있는지 없는지 전송선(31)을 감시한다.
다음, 스텝(103)에서 여기서는 다른 제어유닛으로부터의 네트워크 마스터국 입후보 요구지령의 검출유무를 판단하고, 없을 때는 다음의 스텝(104)에서 자 제어유닛이 네트워크 마스터국이 된다. 검출한 경우에는 자 제어유닛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타 제어유닛이 동 시각에 네트워크 마스터국 입후보 요구지령을 송출하고 있고, 이 경우는 스텝(105)로 진행한다.
스텝(105)에서 자 제어유닛이 네트워크 마스터국이 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는 제어유닛의 통신장치(10)가 미리 입력포트(17)에서 입력한 미리 설정된 제어유닛 기능코드의 최소의 것이 네트워크 마스터국이 된다. 즉, 자 제어유닛의 제어유닛 기능코드 및 다른 제어유닛으로부터의 네트워크 마스터국 입후보 요구지령에 부가된 제어유닛 기능코드 중에서 자 제어유닛의 제어유닛 기능코드가 최소인 경우에는 자 제어유닛이 네트워크 마스터국이 된다. 자 제어유닛이 네트워크 마스터국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하지 않은 경우에는 서브국으로서 동작한다. 또, 제어유닛 기능코드의 대소관계가 역으로 설정되면 입력된 제어유닛 기능코드의 최대의 것이 네트워크 마스터국이 된다.
계속해서, 네트워크 마스터국 고장시의 다음의 네트워크 마스터국 결정방법에 대해 도 6의 플로차트로 설명한다. 이 플로차트로 표시하는 프로그램도 통신장치(10)의 ROM(14)에 저장되어 있다.
스텝(200)에서 서브국으로 동작하고 있는 각 제어유닛의 통신장치(10)는 네트워크 마스터 고장검출을 위한 타이머 T3를 스타트 시킨다.
다음, 스텝(201)에서 일정시간 T3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고, 경과하고 있지 않을 때는 스텝(206)으로 진행한다.
한편, 경과한 경우에는 즉 네트워크 마스터국에서 동기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을 때는 네트워크 마스터국이 고장이므로 스텝(202)로 진행한다. 이 스텝(202) 이후의 스텝 (202 ~ 205) 및 스텝(209)의 동작은 도 5의 스텝(101 ~ 104) 및 스텝(105)의 동작과 같다. 또, 동기신호는 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토큰(TOKEN)이다.
스텝(206)에서 네트워크 마스터국이 존재하고 있고, 또 초기상태가 아닌 경우이고, 자 제어유닛에 대한 동기신호의 수신유무를 판단한다.
수신한 경우는 다음 스텝(207)로 진행한다. 한편,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201) →스텝(206) →스텝(201)의 루프를 형성하고, 동기신호의 수신을 기다린다.
다음, 스텝(207)에서 여기서는 도 9 ~ 도 11의 플로차트에 의해 데이터의 송신, 수신처리를 한다.
다음, 스텝(208)에서 네트워크 마스터국 고장검출을 위한 타이머(T3)를 일단 리세트하고 그리고 다시 스타트시킨다.
또, 타이머 T1, T2, T3의 시간설정치는 적절한 개소에서 리세트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6의 플로차트에서 스텝(205)까지 진행하지 않았던 제어유닛은 서브국이 되고 네트워크 마스터국의 동기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또, 모든 제어유닛이 초기상태일때 모든 제어유닛이 네트워크 마스터국이 되는 권리를 가지고 있고, 다른 제어유닛에 대해 재빨리 네트워크 마스터국 입후보 요구지령을 출력한 제어유닛이 네트워크 마스터국이 된다. 네트워크 마스터국이 확정한 경우에는 나머지의 제어유닛은 서브국으로 동작한다.
네트워크 마스터국이 고장난 경우에도 스텝(202) 이후의 처리에서 서브국인 나머지의 제어유닛 중에서 다른 제어유닛에 대해 재빨리 네트워크 마스터국 입후보 요구지령을 출력한 서브국(제어유닛)이 네트워크 마스터국이 된다.
네트워크 마스터국이 동기제어는 주지하는 기술인 토큰폴링/셀렉팅방식, 토큰패싱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네트워크 마스터국의 동기제어로서 토큰폴링/셀렉팅방식의 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서 네트워크 마스터국(제어유닛)은 서브국 1(제어유닛)에 대해 토큰(네트워크의 점유건)을 부여한다.
다음, 서브국(1)은 토큰인지(수신)후, 네트워크 점유권을 획득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네트워크에 송신한다.
다음, 서브국(1)은 데이터 송신 완료후, 토큰해방(완료통지)을 네트워크 마스터국이 대해 실시한다. 또, 토큰 및 토큰해방의 전송포매은 예를 들면 후에 설명하는 도 8(a)에 표시한 것과 같고, 데이터 종별 필드가 토큰 및 토큰해방을 표시하는 코드이고, 데이터필드의 데이터 헤더부가 송신원 및 송신선을 표시하는 제어유닛 기능코드이고, 데이터필드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부가 적당한 값이다. 또,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부는 불용이므로 없어도 된다.
다음에, 네트워크 마스터국은 서브국(1)으로부터의 완료통지(토큰해방) 인지(수신)후, 다음의 서브국(제어유닛)에 대해 토큰(네트워크의 점유권)을 부여한다.
이후, 네트워크 마스터국은 각 서브국에 대해 시퀀스를 반복한다. 즉, 토큰(네트워크의 점유권)을 획득한 서브국만이 전송선(31)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네트워크 마스터국은 토큰해방을 수신후에 전송선(31)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도 8은 데이터포멧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 (a)는 데이터 종별 필드와 데이터필드로 구성되는 전송포멧을 표시한다. 또, 동 도면 (b)는 데이터 헤더부와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부로 구성되는 공유메모리 포멧을 표시하고, 데이터 헤더부와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부는 상기의 데이터필드에 상당한다.
여기서, 도 9 ~ 도 11을 참조하면서 제어유닛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도 1에 표시하는 승차장 등록 제어유닛(5)을 예로 설명한다.
도 9는 승차장 등록 제어유닛(5)이 되는 제어유닛의 주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이다.
스텝(300)에서 제어유닛의 통신장치(10)는 입력포트(17)로부터 제어유닛 기능코드를 입력한다. 이 예에서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능코드 「10」이 입력되므로 도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통시장치(10)는 승차장 등록 제어유닛(5)으로 동작하고, 또 취급하는 데이터가 데이터 종별 코드 「1」 및 「3」인 것을 알 수 있다.
또, 상술한 네트워크 마스터국 및 서브국의 결정단계 전에서 입력한 제어유닛 기능코드를 예를 들면 RAM 15에 기억해두면 여기서의 제어유닛 기능코드의 입력처리를 생략해도 된다.
다음에, 스텝(301)에서 제어유닛의 통신장치(10)는 승차장 등록 제어유닛(5)으로서 동작결정한다.
그리고, 스텝(302)에서 도 4에 의해 취급해야 할 송신, 수신 데이터를 선택해서 인식한다. 이 예에서는 데이터 종별 코드 「1」 및 「3」에 대응하는 A계열의 승차장 호출 등록정보 및 승차장 등록 등 정보이다.
도 10은 멀티버스(18)를 통해서 승차장 등록 제어장치 20E →통신장치 10 →전송선 31에의 데이터송신을 표시하는 플로차트이다.
스텝 400에서 승차장 등록 제어유닛(5) 내의 통신장치(10)는 승차장 등록 제어장치(20E)로부터 승차장 호출 등록정보를 입력한다. 승차장 등록 제어장치(20E)는 각 층상의 승차장에 설치된 승차장 버튼 등록장치(41)로부터 전송선(32)을 통해서 승차장 호출 등록신호를 입력하고, 그 정보를 미리 멀티버스(18)를 통해서 공유메모리(13) 내의 입력대기행렬에 기록해 둔다. 상기 통신장치(10) 내의 전송제어용 CPU(11)는 승차장 호출 등록정보를 공유메모리(13) 내의 입력대기 행렬로부터 멀티버스(18)를 통해서 RAM(15)에 입력한다. 이 입력데이터의 포멧의 한 예를 도 8(b)에 표시하는 공유메모리 포멧에 표시한다.
다음, 스텝(401)에서 공유메모리(13) 내의 입력대기행렬로부터 판독한 데이터의 데이터 헤더부의 해석을 한다.
이 예에서는 도 8(b)에 표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헤더부는 승차장 호출 등록정보의 A계열이므로, 상기 통신장치(10)는 도 4에 표시한 「데이터 종별 코드표」로부터 데이터 종별 코드 「1」을 추출한다.
다음에 스텝(402)에서 상기 통신장치(10)는 앞의 스텝(401)에서 추출한 데이터 종별 코드 「1」을 도 8(a)에 표시한 전송포멧의 데이터 종별 필드에 부가해서 송신데이터를 작성한다.
그리고, 스텝(403)에서 상기 통신장치(10) 내의 전송제어용 CPU(11)는 전송용 LSI(12)를 통해서 전송선(31)에 도 8(a)에서 표시한 전송포멧으로 표시되는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 이 승차장 등록 제어유닛(5)은 토큰(네트워크의 점유권)을 획득하고 있는 사이에 상기 데이터를 전송선(31)에 송신한다. 또, 이 송신처리 이외의 처리에 대해서는 다른 타이밍으로 실시한다.
도 11은 전송선 31 →통신장치 10 →공유메모리 13 →승차장 등록 제어장치 20E에의 데이터수신을 표시하는 플로차트이다.
스텝(500)에서 승차장 등록 제어유닛(5) 내의 통신장치(10)는 전송선(31)에서 전송용 LSI(12)를 통해서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수신시의 전송포멧은 도 8(a)에 표시하는 것이다.
다음에, 스텝(501)에서 수신데이터의 데이터 종별 필드를 해석한다. 도 3에 표시하는 「기능코드 대응표」에서 취급하는 종별 코드는 기지이므로 상기 수신데이터에 대해 취급해야 할 데이터인지를 판단한다. 이 예에서는 승차장 등록 제어유닛(5)이 취급해야 할 데이터는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종별 코드「1」 및 「3」이므로 데이터 종별 필드가 「1」 또는 「3」의 수신데이터만을 취급한다. 또, 현실적으로는 데이터 종별 코드「1」은 송신용이므로 데이터 종별 코드「3」의 수신데이터만을 취급한다.
그리고, 스텝(502)에서 앞의 스텝(501)에서 상기 수신데이터를 입력해야 할 데이터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도 8(b)에 표시하는 공유메모리 포멧으로 공유메모리(13)의 출력대기행렬에 기록한다. 즉, 상기 수신데이터를 공유메모리(13)를 통해서 승차장 등록 제어장치 20E에 출력한다.
또, 이 예의 경우 상기 수신데이터의 데이터 헤더부는 승차장등록 등 정보의 A계열이 된다.
다른 제어유닛의 동작도 같다. 다른곳은 도 8(b)에 표시하는 공유메모리 포멧의 데이터 헤더부 및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부의 내용이 데이터 종별 코드에 의해 변화하는 것 만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 9 ~ 도 11에서 표시한 동작플로차트에서 표시한 프로그램은 각 통신장치(10) 내의 ROM(14)에 저장되어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대로 각 제어유닛이 취급하는 데이터는 모두 데이터 종별 코드라는 의미를 표시하는 데이터로 취급된다. 다시 말하면 본 시스템(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는 전송하는 상대로서 전송선(31)에 결합되는 각 제어유닛중의 특정 제어유닛을 지정해서 실시하는 1대 1의 통신방식이 아니고 논리적인 도착선(1차 및 2차 논리도착선))을 지정하는 방식이다.
이 논리적인 도착선을 지정하는 방식을 채용하는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각 제어유닛은 전송선(31)을 통한 데이터송신시는 의미를 갖는 데이터(논리데이터)를 출력하고, 데이터수신시는 각 제어유닛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만을 수신하면 된다.
각 제어유닛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는 도 3에 표시하는 「기능코드 대응표」 및 도 4에 표시하는 「데이터 종별 코드표」에 의해 미리 설정되므로 필요한 데이터만에 대한 송수신처리에 전념 할 수 있고, 처리능력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종래 예에서는 각 제어유닛 마다에 카 컨트롤유닛 외에 군 관리 제어용 그룹 컨트롤유닛, 홀 호출 제어처리용 홀 컨트롤유닛이 일체화되어 있고, 처리가 복잡해져서 처리능력이 저하한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각 제어유닛간의 동기제어를 조종하는 네트워크 마스터국과, 이 네트워크 마스터국에 따른 서브국 결정방법에 대해서는 네트워크 마스터국 입후보 요구지령을 버스에 출력하는 방식으로 하였으므로, 버스상으로 접속되는 군 관리 통신제어시스템이 상승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전송선(31)(버스)을 통해서 버스상으로 상호 접속되어 있는 군 관리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 시스템에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제어유닛의 기능을 서브시스템화 하고, 군 관리 제어기능, 각대제어기능, 승차장 등록 제어기능, 승차장 표시 제어기능 및 확장 제어기능을 갖는 제어유닛을 구비한 것이다. 또, 각 제어유닛간의 동기제어를 조종하는 네트워크 마스터국의 고장시의 백업기능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는 이상 설명한대로 다수의 제어유닛이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고, 각 제어유닛이 자기의 논리도착선을 외부에서 미리 입력해 있는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로 상기 네트워크의 초기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네트워크에 상기 자기의 논리도착선을 부가한 네트워크 마스터국 입후보 요구지령을 첫번째로 송출했을 때는 상기 다수의 제어유닛간의 동기제어를 조종하는 네트워크 마스터국으로 동작하는 제 1의 제어유닛과, 상기 네트워크의 초기상태를 검출하지 않을때는 상기 네트워크 마스터국에 따르는 서브국으로 동작하는 제 2의 제어유닛을 구비하였으므로 버스상으로 접속되는 통신제어시스템이 상승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 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는 이상 설명한대로 다수의 제어유닛이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각 제어유닛이 자기의 1차 논리도착선을 외부로부터 미리 입력해 두고, 또 제어유닛을 식별하기 위한 1차 논리도착선, 엘리베이터의 제어기능 및 제어유닛이 취급하는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2차 논리도착선이 대응부된 제 1의 대응표 및 상기 2차 논리도착선 및 상기 제어유닛이 취급하는 정보가 대응부된 제 2의 대응표를 갖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로서 상기 제 1의 대응표를 참조해서 자기의 1차 논리도착선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기능으로 작용하는 다수의 제어유닛을 구비하였으므로, 필요한 데이터만의 송수신처리에 전념할 수 있고, 처리능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는 이상 설명한대로 상기 제 1의 대응표를 참조해서 제 1의 자기의 1차 논리도착선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의 카의 승강을 제어하는 각대제어유닛으로 작용하는 제 1의 제어유닛과, 상기 제 1의 대응표를 참조해서 제 2의 자기의 1차 논리도착선에 대응하는 각 층상의 승차장에 설치된 승차장 버튼 등록장치로부터의 승차장 호출 등록정보의 입력처리 및 이 승차장 호출에 대응하는 승차장 등록등정보의 출력처리를 제어하는 승차장 등록 제어유닛으로 작용하는 제 2의 제어유닛과, 상기 제 1의 대응표를 참조해서 제 3의 자기의 1차 논리도착선에 대응하는 상기 승차장 호출 등록정보에 따라 등록된 승차장 호출에 대한 엘리베이터의 할부제어를 하는 군 관리 제어유닛으로 작용하는 제 3의 제어유닛을 구비하였으므로, 필요한 데이터만의 송수선처리에 전념할 수 있고, 처리능력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3)

  1. 다수의 제어유닛이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접속되고, 각 제어유닛이 자기의 논리도착선을 외부에서 미리 입력해 있는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로서 상기 네트워크의 초기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네트워크에 상기 자기의 논리도착선을 부가한 네트워크 마스터국 입후보 요구지령을 가장 먼저 송출했을 때는 상기 다수의 제어유닛간의 동기제어를 조종하는 네트워크 마스터국으로서 동작하는 제 1의 제어유닛과, 상기 네트워크의 초기상태를 검출하지 않을때는 상기 네트워크 마스터국에 따르는 서브국으로 동작하는 제 2의 제어유닛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
  2. 다수의 제어유닛이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고, 각 제어유닛이 자기의 1차 논리도착선을 외부로부터 미리 입력해두고, 또 제어유닛을 식별하기 위한 1차 논리도착선, 엘리베이터의 제어기능 및 제어유닛이 취급하는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2차 논리도착선이 대응되게 된 제 1의 대응표 및 상기 2차의 논리도착선 및 상기 제어유닛이 취급하는 정보가 대응해서 부착된 제 2의 대응표를 갖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로 상기 제 1의 대응표를 참조해서 자기의 1차 논리도착선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기능으로서 작용하는 다수의 제어유닛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
  3. 상기 제 1의 대응표를 참조해서 제 1의 자기의 1차 논리도착선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의 카의 승강을 제어하는 각대제어유닛으로 작용하는 제 1의 제어유닛과, 상기 제 1의 대응표를 참조해서 제 2의 자기의 1차 논리도착선에 대응하는 각 층상의 승차장에 설치된 승차장 버튼 등록장치로부터의 승차장 호출 등록정보의 입력처리 및 이 승차장에 대응하는 승차장 등록등정보의 출력처리를 제어하는 승차장 등록 제어유닛으로 작용하는 제 2의 제어유닛과, 상기 제 1의 대응표를 참조해서 제 3의 자기의 1차 논리도착선에 대응하는 상기 승차장 호출 등록정보에 따라 등록된 승차장 호출에 대한 엘리베이터의 할부제어를 하는 군 관리 제어유닛으로 작용하는 제 3의 제어유닛을 구비한 청구항 2 기재의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
KR10-2001-7015874A 2000-04-12 2000-04-12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 KR1004366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0/002387 WO2001079102A1 (fr) 2000-04-12 2000-04-12 Contrôleur de communication pour un système d'ascens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955A true KR20020036955A (ko) 2002-05-17
KR100436693B1 KR100436693B1 (ko) 2004-06-22

Family

ID=11735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874A KR100436693B1 (ko) 2000-04-12 2000-04-12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67583B1 (ko)
EP (1) EP1195345B1 (ko)
JP (1) JP4907031B2 (ko)
KR (1) KR100436693B1 (ko)
CN (1) CN1217844C (ko)
WO (1) WO20010791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308809T2 (de) * 2002-04-19 2007-08-23 Yamaha Corp., Hamamatsu Gerät zur Kommunikationsverwaltung
EP1460022A1 (de) * 2003-03-20 2004-09-22 Inventio Ag Antriebseinheit für einen aufzug
SG112018A1 (en) * 2003-11-11 2005-06-29 Inventio Ag Elevator installation and monitoring system for an elevator installation
KR100972797B1 (ko) 2005-11-16 2010-07-29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목적지 엔트리 그룹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엘리베이터홀웨이 픽스쳐들의 작동 방법
US8151943B2 (en) 2007-08-21 2012-04-10 De Groot Pieter J Method of controlling intelligent destination elevators with selected operation modes
JP5153469B2 (ja) * 2008-06-17 2013-02-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CN101863401A (zh) * 2010-06-08 2010-10-20 上海新时达电气股份有限公司 电梯互联群控系统
CN101844714A (zh) * 2010-06-08 2010-09-29 上海新时达电气股份有限公司 电梯互联群控系统
CN103003181B (zh) * 2010-07-27 2016-01-06 奥的斯电梯公司 装置器装置控制
FI122474B (fi) * 2010-12-01 2012-02-15 Kone Corp Hissin turvakytkentä sekä menetelmä hissin turvakytkennän toiminnallisen poikkeaman tunnistamiseksi
FI122988B (fi) 2011-08-26 2012-09-28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IN2014DN08263A (ko) * 2012-04-03 2015-05-15 Otis Elevator Co
CN103935851B (zh) * 2014-03-12 2016-01-20 深圳市海浦蒙特科技有限公司 电梯群控系统
US9712339B2 (en) * 2014-04-24 2017-07-18 Infineon Technologies Ag Bus architecture and access method for plastic waveguide
CN114867673A (zh) * 2020-01-10 2022-08-05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2164A (en) * 1974-04-24 1978-04-04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US4567560A (en) * 1983-09-09 1986-01-28 Westinghouse Electric Corp. Multiprocessor supervisory control for an elevator system
JPH072574B2 (ja) * 1985-02-14 1995-01-18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H0639312B2 (ja) 1985-06-21 1994-05-25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方法
JPS624179A (ja) * 1985-06-28 1987-01-10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H0662263B2 (ja) 1985-11-15 1994-08-17 株式会社東芝 群管理エレベ−タの信号伝送制御方法
JPH0755770B2 (ja) * 1986-09-30 1995-06-14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システムの情報伝送制御方法
KR100202716B1 (ko) * 1996-12-17 1999-06-15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
JPH0717327B2 (ja) * 1987-06-18 1995-03-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動作仕様設定装置
US4766978A (en) * 1987-10-16 1988-08-30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adaptive time-based block operation
JPH01275388A (ja) * 1988-04-26 1989-11-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650961B2 (ja) * 1988-04-28 1997-09-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分散制御ネットワークの制御方法
JPH0686273B2 (ja) * 1988-05-13 1994-11-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信号伝送装置
FI112068B (fi) * 1992-12-22 2003-10-31 Kone Corp Kauko-ohjainliityntä hissijärjestelmään
US5360952A (en) * 1993-06-01 1994-11-01 Otis Elevator Company Local area network eleveator communications network
JPH0768014B2 (ja) 1993-07-22 1995-07-26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方法
US5398782A (en) * 1993-11-12 1995-03-21 Otis Elevator Company Remote monitoring system with variable period communication check
ATE182856T1 (de) * 1994-01-12 1999-08-15 Inventio Ag Intelligent verteilte steuerung für aufzüge
JP3445668B2 (ja) * 1994-09-20 2003-09-08 ホロ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US5654531A (en) * 1995-08-07 1997-08-05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Redundant multidrop communication system for elevators
KR0186123B1 (ko) * 1995-12-28 1999-04-15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분산 군관리제어 방법
KR0167196B1 (ko) * 1996-01-30 1998-12-01 이종수 그룹관리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장치
US5804778A (en) * 1996-12-27 1998-09-08 Yungtay Engineering Co., Ltd. Elevator control data intercommunication programmer
JP4476413B2 (ja) * 2000-02-21 2010-06-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用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79102A1 (fr) 2001-10-25
US6467583B1 (en) 2002-10-22
EP1195345B1 (en) 2014-01-01
CN1217844C (zh) 2005-09-07
EP1195345A1 (en) 2002-04-10
EP1195345A4 (en) 2009-12-09
KR100436693B1 (ko) 2004-06-22
JP4907031B2 (ja) 2012-03-28
CN1355764A (zh) 200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6693B1 (ko)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
US4330838A (en) Elevator test operation apparatus
CA1325485C (en) Two-way ring communication system for elevator group control
US4872532A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in elevator equipment
JP2987138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システム
JPS624179A (ja)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装置
KR100429719B1 (ko) 엘리베이터의 통신제어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CN114572783B (zh) 一种用于机器人与电梯信号交互的控制板卡及控制方法
JP4727062B2 (ja) エレベーターの通信制御装置
CA1216678A (en) Computing installation with automatic terminal switching and a terminal adapted to such switching
CN106406992A (zh) 处理中断请求事件的装置与方法
JPS59124666A (ja)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方法
JPS61295979A (ja)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方法
CN106355103B (zh) 基于地点的聚类防回传安全系统和方法
JP2000177943A (ja) エレベータ伝送制御装置
JPH0680322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方法
JP2002302350A (ja) エレベーターの通信制御装置
CN112660947B (zh) 电梯呼梯系统和方法
JPH0275583A (ja) エレベータ装置
JPH10338133A (ja) 列車の信号保安制御装置
CN116924169A (zh) 电梯轿厢控制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JPS60228366A (ja) 群管理エレベ−タの制御装置
JPH02138082A (ja) エレベータの信号伝送装置
JPS61166243A (ja) 遠方監視制御システム
JPH0295685A (ja) エレベータの信号伝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