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9421A - 컨베이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품검사기기 - Google Patents

컨베이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품검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9421A
KR20020029421A KR1020027000327A KR20027000327A KR20020029421A KR 20020029421 A KR20020029421 A KR 20020029421A KR 1020027000327 A KR1020027000327 A KR 1020027000327A KR 20027000327 A KR20027000327 A KR 20027000327A KR 20020029421 A KR20020029421 A KR 20020029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conveyor apparatus
conveying
load detector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2584B1 (ko
Inventor
아쯔시 다까하시
Original Assignee
이시다 다게시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38304A external-priority patent/JP381630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38590A external-priority patent/JP444299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96686A external-priority patent/JP381631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98656A external-priority patent/JP3816312B2/ja
Application filed by 이시다 다게시,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filed Critical 이시다 다게시
Publication of KR20020029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9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5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32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for effecting drive at two or more points spaced along the length of the convey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1/00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1/00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 G01G11/04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having electrical weight-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1/00Details of weighing apparatus
    • G01G21/28Frames,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6Articles and bu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계량 정밀도가 향상된 계량컨베이어를 개시한다. 이 계량컨베이어는 피계량물 (X) 을 반송하는 컨베이어장치 (3), 이 컨베이어장치 (3) 에서 반송되는 피계량물 (X) 의 중량을 검출하는 하중검출기 (5), 및 하중검출기 (5) 를 수용한 케이스 (7) 를 구비하고, 상기 하중검출기 (5) 의 고정단 (5b) 에 케이스 (7) 가 연결되어 있고, 자유단 (5c) 에 컨베이어장치 (3) 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120) 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지지부재 (120) 가 케이스 (7) 의 하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Description

컨베이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품검사기기 {CONVEYOR DEVICE, AND ARTICLE TESTING UNIT HAVING THE SAME}
생산라인 등에서 물품을 컨베이어장치로 반송하면서 예컨대 그 중량을 계측하는 계량컨베이어와 같은 물품검사기기는, 예컨대 프레임에 지지된 한 쌍의 롤러 사이에 반송용 벨트로서의 무단 형상의 평벨트 등이 감겨 있는 컨베이어장치를 구비한다. 어느 한쪽 롤러는 반송용 벨트를 주행시키는 모터 등의 구동원의 동력이 전달되는 구동롤러로서, 이 구동롤러와 동축에 설치된 풀리와 상기 구동원의 구동축에 설치된 풀리 사이에 동력전달용 벨트로서의 무단 형상의 타이밍 벨트 등이 감겨 있다.
컨베이어장치는 하중검출기로서의 로드 셀에 대해서 부하가 걸리도록 변형체의 자유단측에 연결되어 있다. 변형체의 고정단측은 레그부재나 고정 프레임, 고정 브래킷 등의 고정부재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로드 셀은 일반적으로 습기나 먼지 등과 같은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있다.
컨베이어장치와 케이스의 위치관계는, 컨베이어장치에는 피계량물이 탑재되기 때문에 그 상측을 넓게 개방할 필요가 있는 점이나 컨베이어장치에 이물질이 떨어지면 계량값에 오차가 생기는 점 등에서, 일반적으로 컨베이어장치는 케이스 바로 위쪽에 배치되거나 또는 케이스와 나란히 배치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케이스 상면 또는 측면에 개구를 형성하고, 컨베이어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이 개구에 삽입통과시켜 케이스 상면 또는 측면에서 외부로 돌출시켰다. 지지부재의 일단측은 변형체의 자유단측에 연결되고, 타단측은 그대로 상방 또는 측방으로 연장되어 컨베이어장치에 이르고, 지지부재가 삽입통과하는 개구는 다이어프램으로 막힌다.
그런데, 이런 종류의 계량컨베이어는 식품의 반송 및 계량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식품의 국물이나 잔여물이 떨어지거나 흩어져 케이스 표면에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케이스 상면이나 측면에 지지부재가 삽입통과하는 개구나 다이어프램 등이 있으면, 거기에 부착된 잔여물 등이 잘 쌓이면서 잡균이 번식하여 위생상태가 저하되거나 잔여물 등이 고착되어 다이어프램에 구멍이 생기도 한다. 또한, 세정액 등에 의한 정기적인 청소작업을 하는 경우에도, 케이스 상면 또는 측면의 표면 구조가 복잡화되어 상기 개구나 다이어프램 주변의 청소성이 저하된다.
이에 대처할 수 있는 기술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97051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기술은 로드 셀을 케이스 내에 수용하고, 게다가 변형체의 고정단부를 케이스 외부의 고정부재에 연결하기 위한 부재를 케이스 하면에서 외부로 돌출시킨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개구나 다이어프램이 케이스 상면이나 측면에 위치하지 않게 되어 청소성이 향상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변형체의 고정단부를 케이스 외부의 고정부재와 연결하고 자유단부를 케이스에 연결시킨다. 그리고, 케이스 표면에 지지부재를 장착하여 케이스에 컨베이어장치를 지지시킨다. 따라서, 컨베이어장치의 중량이나 지지부재의 중량 내지는 구동모터나 동력전달용 벨트 및 풀리 등의 동력전달기구의 중량 이외에, 케이스의 중량이 겉포장의 중량으로서 로드 셀에 부하되어 겉포장 중량이 무거워지고, 계량컨베이어의 측정계의 고유 진동수가 내려가 계량정밀도가 저하된다.
또한, 상기 계량컨베이어에서는 구동모터의 회전축이, 로드 셀의 변형체가 하중을 받아서 변위되는 방향과 직교하며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의 일부 방향이 상기 변위 방향과 동일해진다. 따라서, 로드 셀이 출력하는 계량신호에 노이즈가 발생하여 계량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로드 셀에는 중력에 의해 물품의 하중이 하측으로 부하되기 때문에, 변형체가 하중 검출시에 변위되는 방향은 상하 방향으로 되어 있다. 즉, 종래 이 형식의 계량컨베이어에서는 컨베이어장치의 반송면과 변형체의 변위 방향이 직교하고 있으며, 구동원의 회전축 축선과 컨베이어장치의 반송면이 평행으로 되었다.
그러자, 구동원의 회전축 회전에 따라 원심력이 발생하고, 진동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이 원심력에 의한 진동 방향의 일부가 상하 방향으로도 작용한다. 그리고, 상하 방향은 로드 셀의 변형체가 하중 검출시에 변위되는 방향이기 때문에, 상기 진동에 따른 하중 변화가 로드 셀로 검출되어 로드 셀의 계량신호에 노이즈가 나타나 계량정밀도가 저하된다.
이러한 진동은 회전축의 회전 밸런스가 무너질수록 커진다. 즉, 회전중심에 대하여 회전물의 중량 밸런스가 무너질 때나 또는 회전축이 벗어날 때 등에 노이즈가 커진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136330호에 개시된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상하 방향으로 변위되어 피계량물의 중량을 검출하는 통상적인 제 1 로드 셀 이외에 수평 방향에서 반송 방향으로 변위되는 제 2 로드 셀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 제 2 로드 셀은 회전물의 회전에 따른 반송 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을 검출한다. 여기에서, 이 진동은 원심력이기 때문에, 반송면에 대해 수직인 면내에서는 전체 방향으로 동등한 크기가 된다. 그래서, 이 제 2 로드 셀로 검출된 진동을, 제 1 로드 셀로 검출된 계량신호에서 위상을 바로잡아 감산함으로써 진동에 따른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복수개의 로드 셀이 필요해지면서 하드웨어의 구성이 복잡화될 뿐아니라, 소프트웨어의 측면에서도 계량신호의 처리 공정이 복잡화되어 비용면 등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즉, 간소한 구성이면서 구동원의 회전 진동에 따라 하중검출기의 계량신호에 노이즈가 나타나 계량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 상기 계량컨베이어에서는 로드 셀이나 구동모터 또는 동력전달기구를 모두 반송용 벨트의 상하 주행면 사이에 배치하기 때문에, 컨베이어장치의 치수가 상하 방향으로 비대화된다. 따라서, 컨베이어장치의 중량, 즉 겉포장 중량이 커져서 계량컨베이어의 고유진동수가 떨어지기 때문에, 예컨대 컷 오프 주파수가 높은 로우 패스 필터를 사용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필터의 응답성이 그다지 향상되지 않고 필터 처리시간이 그다지 짧아지지 않아 계량 고속화가 저해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현 상황을 감안하여 계량정밀도를 포함한 검사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삼는다. 이하, 기타 과제도 포함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피계량물을 반송하는 컨베이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품검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한 아래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에서 더 명료하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실시형태 및 도면은 단순한 도시 및 설명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정하기 위해서 이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진다. 첨부 도면에서 복수 도면에서의 동일한 부품 부호는 동일 부분을 나타낸다.
도 1 은 본 발명의 계량컨베이어를 적용한 계량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계량컨베이어의 컨베이어장치의 일부를 자른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계량컨베이어의 일부를 자른 좌측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계량컨베이어의 우측면도로서, 케이스 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계량컨베이어의 종단면도로서, 상류측에서 하류 방향을본 것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계량컨베이어의 컨베이어장치의 종동롤러의 지지부 주변을 나타내는 확대측면도이다.
도 7 은 반송벨트와 롤러의 걸어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8 은 지지부재를 구성하는 아암 상단부의 내면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9 는 컨베이어장치를 조립할 때의 설명도이다.
도 10 은 상기 컨베이어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 은 계량컨베이어를 조립할 때의 설명도이다.
도 12 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컨베이어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로서, 조립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 은 그 조립도이다.
도 14 는 도 12 의 컨베이어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5 는 또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컨베이어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계량컨베이어의 우측면도로서, 케이스 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계량컨베이어의 종단면도로서, 상류측에서 하류 방향을 본 것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또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계량컨베이어의 컨베이어장치의 일부를 자른 평면도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계량컨베이어의 우측면도로서, 케이스 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단면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계량컨베이어의 종단면도로서, 상류측에서 하류 방향을 본 것이다.
도 21 은 본 발명의 계량컨베이어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하중검출기의 하측에 반송기구를 배치한 것이다.
발명의 개시
즉,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구성에 관한 검사기기는 계량컨베이어로서, 피계량물을 반송하는 컨베이어장치, 컨베이어장치에서 반송되는 피계량물의 중량을 검출하는 하중검출기, 및 하중검출기를 수용한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하중검출기의 고정단에 케이스가 연결되어 있고, 자유단에 컨베이어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연결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지지부재가 케이스 하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구성에 따르면, 케이스 내에 수용된 하중검출기와 컨베이어장치를 연결하는 지지부재가, 케이스 상면이나 하면이 아니라 케이스 하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케이스 상면이나 측면에 지지부재가 삽입통과하는 개구나 다이어프램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케이스에 지지부재를 설치하고 이 케이스로 컨베이어장치를 지지하는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케이스 표면에 각종 부재를 장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케이스의 표면 형상이 돌기나 요철이 없는 매끄러운 형상으로 되어 있어, 피계량물의 잔여물이 부착되거나 쌓이거나 고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세정작업 등이 쉬워져 청소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변형체의 고정단측에 케이스를 연결하였기 때문에 케이스의 중량이 겉포장 중량으로 가산되지 않고, 겉포장 중량이 무거워지지 않으면서 계량정밀도가 향상된다.
상기 제 1 구성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케이스 바로 위쪽에 컨베이어장치가 배치되어 있고, 지지부재는 케이스 하면에서 외부로 돌출된 후 컨베이어장치를 향하여 케이스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일단 케이스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지지부재가 상측으로 반전되어 연장됨으로써, 종래대로 케이스 바로 위쪽에 컨베이어장치를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컨베이어장치 상측은 넓게 개방되고, 또한 케이스에서 컨베이어장치로 이물질이 떨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계량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구성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컨베이어장치와 대향하는 케이스 면이 하측으로 연속된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컨베이어장치에서 반송되는 피계량물의 잔여물 등이 떨어지거나 흩어져 케이스 표면에 부착되어도, 미끌어 떨어지는 등 하여 쌓이거나남는 일이 없다. 따라서, 거기에서 잡균이 번식하여 위생상태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구성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컨베이어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원이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컨베이어장치를 구동시키는 모터 등의 구동원 또한 케이스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구동원을 수용하기 위한 제 2 케이스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계량컨베이어 전체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잔여물의 부착이나 청소성의 문제를 경감할 수 있다.
또, 구동원에 대한 예컨대 전기배선 등이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표면 형상이 매끄러워 잔여물 부착이나 청소성의 문제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배선을 다이어프램을 통해 케이스 내외로 삽입통과할 필요가 없어져 방수성이나 방진성이 손상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구성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구동원의 구동력을 컨베이어장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가 지지부재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지지부재를 이용하고 동력전달용 벨트나 풀리 등의 동력전달기구를 그 안에 수용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동력전달기구에 잔여물이 부착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기구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도 없어 계량컨베이어 전체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잔여물의 부착이나 청소성의 문제를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구성에 관한 컨베이어장치는, 프레임이 절곡됨으로써 이 프레임에 지지된 적어도 한 쌍의 롤러에 대하여 무단 형상의 반송용 벨트가 착탈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의 절곡지점이 이 프레임이 절곡되어 있지 않을 때 롤러의 회전축의 연장선보다 일측의 벨트 주행면측에 치우쳐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이 타측의 벨트 주행면측으로 절곡되는 것을 저지하는 저지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구성에 따르면, 프레임의 절곡지점이 이 프레임이 절곡되어 있지 않을 때 롤러의 회전축의 연장선 상에 없고, 어느 한쪽 벨트 주행면측에 치우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 프레임은 절곡되어 있지 않은 상태일 때에는 인장된 반송벨트의 탄성복원력을 받아서 반드시 타측의 벨트 주행면측으로 절곡되려고 한다. 그리고, 이 때 타측의 벨트 주행면측으로의 프레임 절곡이 저지되기 때문에, 이 프레임은 절곡되어 있지 않은 상태일 때에는 그 절곡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그대로 유지되어 로크되게 된다.
그 결과, 프레임의 절곡을 저지하기 위한 전용 로크 핀 등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져 컨베이어장치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부품 점수를 억제할 수 있으며 청소성이 향상되어 계량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반송용 벨트를 착탈할 때에는, 로크 핀 등을 조작할 필요가 없어지고 프레임을 절곡하거나 직선 형상으로 연장하는 것만으로 되므로, 반송용 벨트의 착탈동작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구성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타측의 벨트 주행면이 물품의 반송면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반송할 물품의 중력의 반력이나 반송용 벨트의 신장에 기인한 반력에 의해 프레임은 절곡이 저지된 측으로 절곡되려고 한다. 그 결과, 물품 반송 중에 프레임 자세의 로크가 해제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제 2 구성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상기 롤러가 타측의 벨트 주행면이 긴장되도록 회전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프레임이 타측의 벨트 주행면측으로 절곡되려고 하는 힘이 더 강해지기 때문에, 프레임은 절곡되어 있지 않은 상태일 때에는 그 절곡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더 강고하게 유지되어 로크되게 된다.
상기 제 2 구성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적어도 어느 한쪽 롤러를 롤러들 사이의 거리가 커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반송용 벨트가 항상 확실히 인장되기 때문에, 그 탄성복원력을 확보할 수 있어, 프레임의 비절곡 자세의 로크를 담보할 수 있다. 또한, 벨트의 장력, 나아가서는 벨트의 탄성복원력을 조절할 수 있어 프레임이 절곡되려고 하는 힘을 가변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 2 구성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반송용 벨트에는 롤러와 걸어맞춰 폭 방향의 위치어긋남을 규제하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반송용 벨트의 폭 방향의 위치어긋남이 규제되기 때문에, 이 벨트의 사행 (蛇行) 이 억제되어 이 벨트가 항상 안정되게 인장상태로 된다. 그 결과, 반송용 벨트의 탄성복원력을 확보할 수 있어, 프레임의 비절곡 자세의 로크를 담보할 수 있다.
상기 제 2 구성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프레임에는 반송용 벨트의 주행면을 이면에서 지지하는 천판 (roofing plate)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저지부재는 상기 천판부재로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반송용 벨트의 주행면을 이면에서 지지함으로써 이 반송용 벨트의 느슨해짐을 방지하고, 물품을 원활하게 반송하기 위한 천판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이 천판부재를 이용하고 저지부재로서 겸용하기 때문에 구성이 간소화되어 부품 점수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천판부재는 오로지 반송할 물품 반송 중의 자세를 안정시키기 위해서 구비된다. 계량컨베이어에서 물품이 전도되거나 하지 않고 안정된 자세로 검사수단으로서의 센서류 등을 통과하는 것은 상기 계량컨베이어의 안정되고 확실한 계량화 실현을 위해서 중요한 것이다. 계량컨베이어에서 반송 중에 물품 (피계량물) 이 자세를 무너뜨리면서 전도되면, 계량 오차가 발생하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물품을 컨베이어장치에서 반송하면서 물품에 혼입된 금속편과 같은 이물질을 자기적 또는 X 선을 이용하여 검지하는 이물질 검지기의 경우에는 이물질의 오검출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제 3 구성에 관한 컨베이어장치는, 프레임이 절곡됨으로써, 이 프레임에 지지된 적어도 한 쌍의 롤러에 대하여 무단 형상의 반송용 벨트가 착탈되도록 되어 있고, 어느 한쪽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원, 이 구동원의 구동축에 설치된 풀리, 어느 한쪽 롤러와 동축에 설치된 풀리, 및 상기 풀리 사이에 감겨 있는 무단 형상의 동력전달용 벨트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의 절곡지점이 이 프레임이절곡되어 있지 않을 때의 풀리의 회전축의 연장선보다 일측의 동력전달용 벨트 주행면측으로 치우쳐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이 타측의 동력절단용 벨트 주행면측으로 절곡되는 것을 저지하는 저지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 3 구성에 따르면, 프레임은 롤러 사이에 감겨 있는 반송용 벨트의 탄성복원력을 대신하고 또는 이와 함께 구동원의 동력을 구동롤러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용 벨트의 탄성복원력 또한 받아서 타측의 벨트 주행면측으로 절곡되려고 한다. 따라서, 프레임은 절곡되어 있지 않은 상태일 때에는 그 절곡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더 강고하게 유지되어 로크되게 된다. 그럼으로써, 반송벨트 상의 피계량물이 더 안정된 자세로 반송되기 때문에, 계량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이 절곡되었을 때에는 반송용 벨트의 착탈과 함께 동력전달용 벨트의 착탈 또한 실행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4 구성에 관한 검사기기는, 상기 제 2 구성에 관한 컨베이어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4 구성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컨베이어장치와 걸어맞춤으로써 이 컨베이어장치를 지지하는 걸어맞춤부가 형성되고, 컨베이어장치의 프레임이 절곡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이 컨베이어장치와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춰지고, 컨베이어장치의 프레임이 절곡되었을 때에는 이 컨베이어장치와 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컨베이어장치의 프레임을 직선 형상으로 연장함으로써, 컨베이어장치에 대한 반송벨트의 장착동작과 검사기기에 대한 컨베이어장치의 장착동작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장치의 프레임을 절곡함으로써, 컨베이어장치로부터의 반송벨트의 분리동작과 검사기기로부터의 컨베이어장치의 분리동작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컨베이어장치를 검사기기에 장착하기 위한 전용 고정구 등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져 물품검사기기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부품 점수를 억제할 수 있으며 청소성이 향상되어 계량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장치를 착탈할 때에는 고정구 등을 조작할 필요가 없어지고 컨베이어장치의 프레임을 절곡하거나 직선 형상으로 연장하는 것만으로 되므로, 컨베이어장치의 착탈동작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다. 즉, 관리성이나 청소성을 대폭 개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구성에 관한 검사기기는, 피계량물을 반송하면서 그 중량을 계량하는 계량컨베이어로서, 반송면이 수평으로 배치되며 피계량물을 반송하는 컨베이어장치, 이 컨베이어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원, 및 이들을 지지하고 컨베이어장치에서 반송되는 피계량물의 중량을 상하 변위에 따라 검출하는 하중검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원의 회전축선이 상기 변위 방향과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5 구성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구동원이 하중검출기의 자유단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5 구성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구동원의 구동력을 컨베이어장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가 구비되고, 이 동력전달기구에 의해 구동원에서 생성된 회전구동력의 축선이 반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변환된다.
본 발명에 관한 계량장치는, 상기 제 5 구성의 계량컨베이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계량컨베이어는 특히 계량장치 (중량 체커) 로서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제 5 구성에서는, 컨베이어장치의 반송면과 하중검출기의 변위 방향이 직교하는 경우에, 구동원의 회전축선을 반송면과 평행하게 하지 않고 변위 방향과 평행하게 한다. 즉, 구동원의 회전축선이 하중검출기의 변위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구동원을 배치한다.
이렇게 하면, 구동원의 구동축의 회전진동이 작용하는 방향과 하중검출기의 변위 방향이 직교하여 일치하는 일이 없어진다. 따라서, 하중검출기가 회전에 따른 진동 노이즈를 검출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계량신호에 여분의 외부 노이즈가 나타나지 않아 계량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구동원의 구동축을 하중검출기의 변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동원을 배치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하드웨어의 구성을 복잡화시키는 일이 없다. 또, 하중검출기의 계량신호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신호 처리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복잡화시키는 일도 없다. 그리고, 반송면을 수평으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예컨대 한 쌍의 반송면을 수직으로 대향시켜 배치하고, 그 대향면 사이에 피계량물을 두고 반송하는 형식의 것에 비하여 다종다양한 피계량물의 반송이 가능해진다.
또, 주된 구동 노이즈의 발생원이면서 중량물인 구동원을 하중검출기의 자유단측에 배치하면 이 구동원의 중심이 하중검출기의 모멘트 중심에 가까워짐으로써 하중검출기에 대한 외부 노이즈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구동 노이즈원인 구동원이 자유단에 존재하고 있어도, 그 진동의 작용 방향이 하중검출기의 검출 방향과 다르기 때문에, 하중검출기가 구동 노이즈의 영향을 받는 일이 없다.
또한, 구동원의 구동력을 컨베이어장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를 구비하고, 이 동력전달기구에 의해 구동원에서 생성된 회전구동력의 축선을 반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변환시키는 경우에는, 구동원에서 생성된 회전구동력의 축선이 연장되는 방향이 동력전달기구에 의해 적정하게 수정되면서 이 구동원의 구동력이 컨베이어장치에 확실히 전달되게 된다.
즉, 구동원의 회전축선을 하중검출기의 변위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하였기 때문에, 당초 구동원에서 생성된 회전구동력의 축선과 컨베이어장치의 반송면이 직교하여 일치하지 않게 된다. 그래서, 구동원과 컨베이어장치 사이에 설치된 동력전달기구를 통해 회전구동력의 축선을 컨베이어장치의 반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변환함으로써 원활한 동력의 전달이 실현된다. 이러한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범용적인 반송을 실현할 수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6 구성에 관한 검사기기는, 피계량물을 반송하면서 그 중량을 계량하는 계량컨베이어로서, 피계량물을 반송하는 컨베이어장치, 이 컨베이어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원, 이 구동원의 구동력을 컨베이어장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 및 이들을 지지하고 컨베이어장치에서 반송되는 피계량물의 중량을 검출하는하중검출기를 구비하고, 컨베이어장치를 하중검출기 상측에 배치하고 구동원을 상하 방향에서 하중검출기와 거의 동일한 위치 또는 하중검출기보다 하측의 위치에 배치하고, 동력전달기구를 하중검출기를 사이에 두고 하측의 위치와 상측의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컨베이어장치와 구동원과 동력전달기구의 합성중심을 상하 방향에서 하중검출기의 모멘트 중심에 근접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7 구성에 관한 검사기기는, 제 6 구성과 마찬가지로 피계량물을 반송하면서 그 중량을 계량하는 계량컨베이어로서, 피계량물을 반송하는 컨베이어장치, 이 컨베이어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원, 이 구동원의 구동력을 컨베이어장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 및 이들을 지지하고 컨베이어장치에서 반송되는 피계량물의 중량을 검출하는 하중검출기를 구비하고, 컨베이어장치를 하중검출기 하측에 배치하고, 구동원을 상하 방향에서 하중검출기와 거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하며, 동력전달기구를 하중검출기를 사이에 두고 상측의 위치와 하측의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컨베이어장치와 구동원과 동력전달기구의 합성중심을 상하 방향에서 하중검출기의 모멘트 중심에 근접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8 구성에 관한 검사기기는, 제 6 구성과 마찬가지로 피계량물을 반송하면서 그 중량을 계량하는 계량컨베이어로서, 피계량물을 반송하는 컨베이어장치, 이 컨베이어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원, 이 구동원의 구동력을 컨베이어장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 및 이들을 지지하고 컨베이어장치에서 반송되는 피계량물의 중량을 검출하는 하중검출기를 구비하고, 하중검출기를 피계량물의 반송 방향에서 컨베이어장치의 거의 중앙에 배치하고, 구동원을 하중검출기에 근접시켜 배치하며, 동력전달기구를 하중검출기를 사이에 두고 반송 방향 하류측의 위치와 상류측의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컨베이어장치와 구동원과 동력전달기구의 합성중심을 반송 방향에서 하중검출기의 모멘트 중심에 근접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9 구성에 관한 검사기기는, 제 6 구성과 마찬가지로 피계량물을 반송하면서 그 중량을 계량하는 계량컨베이어로서, 피계량물을 반송하는 컨베이어장치, 이 컨베이어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원, 이 구동원의 구동력을 컨베이어장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 및 이들을 지지하고 컨베이어장치에서 반송되는 피계량물의 중량을 검출하는 하중검출기를 구비하고, 하중검출기를 피계량물의 반송 폭 방향에서 컨베이어장치의 거의 중앙에 배치하고, 구동원을 반송 폭 방향에서 하중검출기와 거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하며, 동력전달기구를 반송 폭 방향에서 하중검출기와 거의 동일한 위치와 반송 폭 방향 좌측의 위치 또는 우측의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또는 하중검출기를 사이에 두고 반송 폭 방향 좌측의 위치 또는 우측의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컨베이어장치와 구동원과 동력전달기구의 합성중심을 반송 폭 방향에서 하중검출기의 모멘트 중심에 근접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6 구성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하중검출기를 피계량물의 반송 방향에서 컨베이어장치의 거의 중앙에 배치하고, 구동원을 하중검출기에 근접시켜 배치하며, 동력전달기구를 하중검출기를 사이에 두고 반송 방향 하류측의 위치와 상류측의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컨베이어장치와 구동원과 동력전달기구의 합성중심을 반송 방향에서도 하중검출기의 모멘트 중심에 근접시킨다.
상기 제 6 구성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하중검출기를 피계량물의 반송 폭 방향에서 컨베이어장치의 거의 중앙에 배치하고, 구동원을 반송 폭 방향에서 하중검출기와 거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하며, 동력전달기구를 반송 폭 방향에서 하중검출기와 거의 동일한 위치와 반송 폭 방향 좌측의 위치 또는 우측의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또는 하중검출기를 사이에 두고 반송 폭 방향 좌측의 위치와 우측의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컨베이어장치와 구동원과 동력전달기구의 합성중심을 반송 폭 방향에서도 하중검출기의 모멘트 중심에 근접시킨다.
본 발명에 관한 계량장치는, 상기 제 6 구성의 계량컨베이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계량컨베이어는 특히 계량장치 (중량 체커) 로서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제 6 내지 제 9 구성에 관한 계량컨베이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하중검출기에 대한 컨베이어장치, 구동원 및 동력전달기구의 배치가 종합적으로 고려되어 중량의 균형이 정돈된 결과로서 계량컨베이어의 중심이 하중검출기의 모멘트 중심에 근접하고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장치의 중심과 하중검출기의 모멘트 중심 사이의 중심간 거리를 작게 할 수 있어 하중검출기에 작용하는 모멘트 힘이 작아진다. 그 결과, 제거해야 할 노이즈 성분의 주파수대역이 높아지고 필터 처리시간을 짧게 할 수 있어, 계량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고 계량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특히 제 6 구성에 관한 계량컨베이어에서는, 하중검출기 상측에 배치된 컨베이어장치 및 하중검출기와 거의 동일한 높이 또는 그보다 하측에 배치된 구동원 사이에 동력전달기구를 배치할 때에, 하중검출기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연장되도록 동력전달기구를 배치함으로써, 컨베이어장치의 상하 방향에서 중량 밸런스를 조정하고 컨베이어장치의 중심을 상하 방향에서 하중검출기의 모멘트 중심에 근접시키고 있다.
또한, 제 7 구성에 관한 계량컨베이어에서는, 하중검출기 하측에 배치된 컨베이어장치 및 하중검출기와 거의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 구동원 사이에 동력전달기구를 배치할 때에, 하중검출기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연장되도록 동력전달기구를 배치함으로써, 컨베이어장치의 상하 방향에서 중량 밸런스를 조정하고 컨베이어장치의 중심을 상하 방향에서 하중검출기의 모멘트 중심에 근접시키고 있다.
또, 제 8 구성에 관한 계량컨베이어에서는, 하중검출기에 대하여 반송 방향에서 중량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배치된 컨베이어장치 및 하중검출기에 근접하여 배치된 구동원 사이에 동력전달기구를 배치할 때에, 하중검출기를 사이에 두고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동력전달기구를 배치함으로써, 컨베이어장치의 상하 방향에서 중량 밸런스를 조정하고 컨베이어장치의 중심을 반송 방향에서 하중검출기의 모멘트 중심에 근접시키고 있다.
또한, 제 9 구성에 관한 계량컨베이어에서는, 하중검출기에 대하여 반송 폭 방향에서 중량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배치된 컨베이어장치 및 하중검출기와 거의 동일한 반송 폭 방향의 위치에 배치된 구동원 사이에 동력전달기구를 배치할 때에, 하중검출기와 거의 동일한 반송 폭 방향의 위치와 이보다 좌측 또는 우측의 위치사이에서 연장되도록 동력전달기구를 배치함으로써, 또는 하중검출기를 사이에 두고 반송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동력전달기구를 배치함으로써 컨베이어장치의 반송 폭 방향에서 중량 밸런스를 조정하고 컨베이어장치의 중심을 반송 폭 방향에서 하중검출기의 모멘트 중심에 근접시키고 있다.
그리고, 제 6 구성에 관한 계량컨베이어의 실시형태에서는, 컨베이어장치의 중심을 상하 방향과 반송 방향 두 방향에서 이차원적으로 하중검출기의 모멘트 중심에 근접시키고 있다. 이하, 기타 과제도 포함하고, 도면에 의거하여 발명의 실시형태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구성에 관한 계량컨베이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의 실시형태에서는 계량장치인 중량 체커 (1) 에 계량컨베이어 (2) 를 적용시킨다. 이 계량컨베이어 (2) 는 평벨트식의 컨베이어장치 (3) 와 하중검출기로서의 로드 셀 (5) 을 수용한 케이스 (7) 를 구비한다. 케이스 (7) 는 전후 한 쌍의 레그부재 (10,11) 에 고정되어 있다. 계량컨베이어 (2) 는 생산라인의 마지막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예컨대 도시하지 않은 제대 (製袋) 포장기에서 공급된 피계량물인 포대에 든 상품 (X) 을 컨베이어장치 (3) 에서 화살표시 (A)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중량을 계측하고, 다시 하류에 배치된 예컨대 도시하지 않은 금속검지기 등에 주고 받는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베이어장치 (3) 는 전후 한 쌍의 롤러 (13,15) 사이에 반송용 벨트로서의 무단 형상의 평벨트 (17) 가 감겨 있는 구성이다. 반송 방향 (A) 의 하류측의 롤러 (앞측 롤러 : 13) 는 구동롤러이고, 상류측의 롤러(뒷측 롤러 : 15) 는 종동롤러이다. 두 롤러 (13,15) 사이에는 다섯개로 분할된 천판부재 (21…21,23,25) 가 배치되어 있다.
각 천판부재 (21…21,23,25) 는 모두 전후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고,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나열되어 있다. 내측의 세개의 천판부재 (21…21) 는 반송용 벨트 (17) 의 반송면인 상측 주행면 바로 하측에 위치하고, 이 반송면을 전체면으로 이면에서 지지한다. 좌우측방의 천판부재 (23,25) 는 롤러 (13,15) 의 단부 근처에 위치하여 반송용 벨트 (17) 의 반송면의 측가장자리부를 부분적으로 이면에서 지지한다.
여기에서, 반송용 벨트 (17) 의 폭은 롤러 (13,15) 의 길이보다 약간 길고 도 5 및 도 7 에 부호 17a 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용 벨트 (17) 의 좌우측 가장자리부의 이면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돌출 가장자리부 (요철 : 17a,17a) 가 롤러 (13,15) 의 단부와 걸어맞춰져 있다. 그럼으로써, 반송용 벨트 (17) 는 롤러 (13,15) 에 대한 감김이 어긋나, 폭 방향으로 사행되거나 하지 않고 항상 똑바르게 안정적으로 롤러 (13,15) 사이에 감겨 있다.
또, 외측의 천판부재 (23,25) 상면에는 상기 반송용 벨트 (17) 의 돌출 가장자리부 (17a,17a) 를 피하기 위한 단차 (23a,25a) 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판부재 (21…21,23,25) 는 모두 거의 종단면 コ 자형으로 절곡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판부재 (21…21,23,25) 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세개의 L 형 빔 (31,33,35) 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측방의 천판부재 (23,25) 외측의세로벽 (23b,25b) 은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이 컨베이어장치 (3) 의 좌우 측벽을 구성하고 있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류측의 구동롤러 (13) 는 그 양단부에서 돌출된 샤프트 (13a,13b) 와 일체 회전한다. 최하류측의 L 형 빔 (31) 의 세로벽에 베어링 유닛 (37,39) 이 장착되고, 이 베어링 유닛 (37,39) 에 상기 샤프트 (13a,13b) 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일측의 샤프트 (13a) 는 대응하는 베어링 유닛 (37)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 베어링 유닛 (37) 의 외면에는 걸어맞춤부재 (41) 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반면에, 타측의 샤프트 (13b) 는 대응하는 베어링 유닛 (39) 을 관통하고 있다. 이 베어링 유닛 (39) 의 외면에는 관통한 샤프트 (13b) 의 단부 (13c) 가 돌출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샤프트 (13b) 의 돌출 단부 (13c) 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여기에서, 좌우 천판부재 (23,25) 는 반송용 벨트 (17) 의 반송면을 이면에서 지지하는 기능과 함께 컨베이어장치 (3) 의 프레임으로서의 기능도 갖는다. 즉, 구동롤러 (13) 는 베어링 유닛 (37,39) 이나 L형 빔 (31) 을 통해 프레임 (23,25) 에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한편,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상류측의 L형 빔 (35) 의 세로벽 (35a) 의 좌우 양단부는 상류측으로 절곡되고, 이 절곡편부 (35b,35b) 에 각각 브래킷 (51,51) 이 핀 부재 (52,52) 를 지점으로 삼아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브래킷 (51) 은 상류측 단부가 반원 형상으로되어 있고, 그 상류측 단부에서 전후로 긴구멍 (53) 이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긴구멍 (53,53) 에 종동롤러 (15) 의 샤프트 (15a) 의 양단부 (15b,15b) 가 삽입통과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프트 (15a) 의 양단부 (15b,15b) 는 각각 직사각형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어 상기 긴구멍 (53,53) 에 회전할 수 없으나, 긴구멍 (53,53) 을 따라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게 걸어맞춰져 있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프트 (15a) 는 종동롤러 (15) 를 관통하고, 종동롤러 (15) 는 이 샤프트 (15a) 에 대하여 상대 회전한다.
여기에서, 상기 좌우 한 쌍의 브래킷 (51,51) 은 이 컨베이어장치 (3) 의 프레임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즉, 종동롤러 (15) 는 프레임 (51,51) 에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래킷 (51,51) 의 위 가장자리부에 걸쳐 천판부재 (55) 가 접합되어 있다. 이 천판부재 (55) 는 좌우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그 좌우 외측 세로벽에 걸어맞춤부재 (57,57) 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도 3, 도 4 참조).
또, 천판부재 (55) 상면에는, 상술한 좌우 외측의 천판부재 (23,25) 와 마찬가지로 반송용 벨트 (17) 의 이면의 돌출 가장자리부 (17a,17a) 를 피하기 위한 단차 (55a) 가 형성되어 있다 (도 6 참조).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브래킷 (51) 에는, 종동롤러 (15) 의 샤프트 (15a) 의 직사각형 형상의 단부 (15b) 와 맞닿고 있으며, 이것을 상류측으로 누르면 탄성지지부재인 스프링 (59) 이 구비되어 있다. 스프링 (59) 의 타단부는 플레이트부재 (61) 에 맞닿고 있다. 플레이트부재 (61) 는 나사봉 (63) 과 나선 결합되어 있다. 나사봉 (63) 은 브래킷 (51) 의 절곡편부 (51a) 에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부재 (61) 의 일변은 브래킷 (51) 의 외면에 접하고 있다. 따라서, 나사봉 (63) 을 회전시킴으로써, 플레이트부재 (61) 는 전후로 이동한다. 그 결과 스프링 (59) 에서 생성되는 탄성지지력을 조정할 수 있으며 종동롤러 (15) 를 상류측으로 누르는 누름력을 조정할 수 있다. 즉, 구동롤러 (13) 와 종동롤러 (15) 의 간격을 가변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종동롤러 (15) 는 반송용 벨트 (17) 의 장력과 균형이 맞춰졌을 때 정지된다. 그럼으로써 반송용 벨트 (17) 의 길이가 불규칙적이어도 반송용 벨트 (17) 에 항상 적정한 장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7) 는 하반부를 구성하는 본체 (71) 와 상반부를 구성하는 커버부재 (72) 가 상하로 중첩된 구성 및 외관이다. 케이스 (7) 내부에는 하중검출기인 로드 셀 (5) 의 변형체 (5a) 와 컨베이어장치 (3) 의 구동원인 구동모터 (73) 가 수용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체 (5a) 는 그 고정단부 (5b) 가 장착부재 (75) 를 사이에 두고 케이스 본체 (71) 측에 고정되어 있다. 변형체 (5a) 의 자유단부 (5c) 에는 장착부재 (77) 및 브래킷 (79) 을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모터 (73) 가 장착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모터 (73) 는 그 구동축 (73a) 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특히, 이 실시형태에서는 모터 (73) 의 구동축 (73a) 은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브래킷 (79) 하면에는 중공 (中空) 의 스페이서 (81) 가 장착되어 있고, 이 스페이서 (81) 하단부에는 추가로 기어박스 (83) 가 결합되어 있다.
기어박스 (83) 는 케이스 본체 (71) 하면에 형성된 개구 (71a) 를 삽입통과하여 케이스 (7) 에서 하측을 향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스페이서 (81) 와 기어박스 (83) 의 닿은 면에 다이어프램 (85) 이 끼여져 있다. 다이어프램 (85) 은 또한 개구 (71a) 의 둘레부와 이 둘레부에 장착된 링 부재 (87) 에 의해서도 좁혀져 상기 개구 (71a) 를 막는다.
도 3 내지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박스 (83) 의 좌우 측면에서는 각각 중공의 원주부재 (91,93) 가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중에 컨베이어장치 (3) 의 측면에 걸어맞춤부재 (41,57) 가 돌출 설치된 측으로 향하는 원주부재 (91) 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원주부재 (91) 의 연장단부에 측면에서 보아 V 자형의 아암부재 (95) 가 장착되어 있다 (도 2 도 참조). 이 아암부재 (95) 의 각 아암 (95a,95b) 은 각각 떨어지도록 비스듬히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각 아암 (95a,95b) 상단부에 형성된 노치 (95c,95d) 에 상기 컨베이어장치 (3) 의 걸어맞춤부재 (41,57) 가 걸어맞춰져 있다.
한편, 컨베이어장치 (3) 측면에 걸어맞춤부재 (57) 및 구동롤러 (13) 의 샤프트 (13b) 의 직사각형 형상 단부 (13c) 가 돌출 형성된 측으로 향하는 원주부재(93) 에 대해서도 도 3 및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원주부재 (93) 의 연장단부에 측면에서 보아 V 자형의 아암부재 (97) 가 장착되어 있다 (도 2 도 참조). 이 아암부재 (97) 의 각 아암 (97a,97b) 은 각각 떨어지록 비스듬히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 중에 걸어맞춤부재 (57) 를 향하여 연장된 아암 (97b) 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상단부에 노치 (97c) 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노치 (97c) 에 상기 컨베이어장치 (3) 의 걸어맞춤부재 (57) 가 걸어맞춰져 있다.
반면에, 구동롤러 (13) 의 샤프트 (13b) 의 단부 (13c) 를 향하여 연장된 아암 (97a) 의 외면에는,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커버부재 (99) 가 장착되며 밀폐된 작은 방이 형성되어 있고, 그 작은 방 내부에 지지 플레이트 (100) 가 장착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원주부재 (93) 의 내부에는 전동 샤프트 (101) 가 수용되어 있고, 이 샤프트 (101) 에 장착된 베벨 기어 (103) 와 모터 (73) 의 구동축 (73a) 에 장착된 베벨 기어 (105) 가 맞물려 있다. 전동 샤프트 (101) 는 커버부재 (99) 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 (100) 등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전동 샤프트 (101) 는 상기 커버부재 (99) 의 내부 부분에 전동 풀리 (107) 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 (100) 상부에서 구동롤러 (13) 의 샤프트 (13b) 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회전축인 제 2 전동 샤프트 (109) 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고, 이 샤프트 (109) 에 제 2 전동 풀리 (111) 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두 전동 풀리 (107,111) 사이에 걸쳐 동력전달용 무단 형상의 타이밍벨트 (113) 가 감겨 있다.
여기에서, 제 2 전동 샤프트 (109) 는 V 자형의 아암부재 (97) 의 아암 (97a) 에서 내측의 컨베이어장치 (3) 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돌출부분 (109a) 에 상기 구동롤러 (13) 의 샤프트 (13b) 의 직사각형 형상 단부 (13c) 와 끼워맞출 수 있는 직사각형 형상의 구멍 (109b) 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참조).
이상으로 스페이서 (81), 기어박스 (83), 수평 원주부재 (91,93) 및 좌우 한 쌍의 V 자형의 아암부재 (95,97) 등은 컨베이어장치 (3) 를 지지함과 동시에, 이 컨베이어장치 (3) 를 변형체 (5a) 의 자유단부 (5c) 측에 연결하는 지지부재 (120) 를 전체적으로 구성한다 (도 1, 도 3 내지 도 5 참조). 그리고, 케이스 (7) 내에 구동모터 (73) 가 수용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재 (120) 내에 이 구동모터 (73) 의 구동력을 컨베이어장치 (3) 에 전달하기 위한 샤프트 (101,109) 나 풀리 (107,111), 타이밍벨트 (113) 등으로 구성된 동력전달기구 (도 5 에 부호 130 으로 나타냄) 가 수용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제 1 구성에 관한 계량컨베이어 (2) 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컨베이어장치 (3) 는 프레임 (23,25,51,51) 이 절곡지점 (52,52) 에서 절곡되어 있지 않고 수평 방향으로 직선상태의 자세로 되어, 반송용 벨트 (17) 가 적당한 장력으로 롤러 (13,15) 사이에 장착된다. 그리고, 게다가 컨베이어장치 (3) 의 구동롤러 샤프트 (13b) 의 직사각형 형상 단부 (13c) 를, 하류측의 V 자형 아암 (97a) 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 2 전동 샤프트 (109) 의 돌출부분 (109a)의 직사각형 형상의 구멍 (109b) 에 끼워넣는다.
이어서, 동일하게 하류측에서 컨베이어장치 (3) 의 반대측인 구동롤러 샤프트 (13a) 를 지지하는 베어링 유닛 (37) 의 걸어맞춤부재 (41) 를, 동일하게 하류측에서 반대측의 V 자형 아암 (95a) 의 노치 (95c) 에 걸어맞춘다. 그리고, 컨베이어장치 (3) 를 내려놓음으로써, 이 컨베이어장치 (3) 상류측의 좌우 걸어맞춤부재 (57,57) 를 동일하게 상류측의 V 자형 아암 (95b,97b) 의 노치 (95d,97c) 에 걸어맞춘다. 그럼으로써, 컨베이어장치 (3) 가 지지부재 (120) 에 지지되고 전체적으로 계량컨베이어 (2), 나아가서는 중량 체커 (1) 가 완성된다.
그리고, 구동모터 (73) 를 구동시켜 베벨 기어 (105,103), 제 1 전동 샤프트 (101), 제 1 전동 풀리 (107), 동력전달용 타이밍벨트 (113), 제 2 구동 풀리 (111), 제 2 전동 샤프트 (109) 를 통해 이 모터 (73) 의 구동력을 구동롤러 (13) 에 전달함으로써 반송용 벨트 (17) 상측의 반송면을 화살표시 (A) 방향으로 주행시켜 피계량물 (X) 을 반송한다.
한편, 로드 셀 (5) 의 변형체 (5a) 의 자유단부 (5c) 에는 장착부재 (77) 나 브래킷 (79) 을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모터 (73), 스페이서 (81), 기어박스 (83), 원주부재 (91,93), V 자형 아암 (95,97), 커버부재 (99) 등으로 구성된 지지부재 (120), 전동 샤프트 (101) 와 풀리 (107) 등으로 이루어진 동력전달기구 (130), 및 컨베이어장치 (3) 가 연결되어 있고, 이들 총 중량이 겉포장 중량으로서 항상 로드 셀 (5) 에 부하되어 있다. 그리고, 피계량물 (X) 의 반송 중에는 이 피계량물 (X) 의 중량이 거기에 가해지기 때문에 그 차이에서 이 피계량물 (X) 의 중량이 검출된다.
그리고, 특히 상기 제 1 구성의 계량컨베이어 (2) 에서는 피계량물 (X) 을 반송하는 컨베이어장치 (3), 이 컨베이어장치 (3) 에서 반송되는 피계량물 (X) 의 중량을 검출하는 로드 셀 (5), 및 이 로드 셀 (5) 을 수용한 케이스 (7) 를 구비한 구성에 있어서,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로드 셀 (5) 의 고정단 (5b) 과 케이스 (7) 를 연결하며, 자유단 (5c) 과 컨베이어장치 (3) 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120) 를 연결하고, 게다가 이 지지부재 (120) 를 케이스 (7) 하면에서 외부로 돌출시킨다.
그 결과, 케이스 (7) 상면이나 측면에 지지부재 (120) 를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나 다이어프램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케이스 (7) 측에 지지부재를 설치하고 이 케이스 (7) 로 컨베이어장치 (3) 를 지지하는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케이스 (7) 표면에 지지부재나 기타 각종 부재를 장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케이스 (7) 의 표면형상이 돌기나 요철이 없는 매끄러운 형상으로 되어 있어, 피계량물 (X) 의 잔여물이 부착되거나 쌓이거나 고착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 케이스 (7) 의 세정작업, 나아가서는 계량컨베이어 (2) 전체의 세정작업이 쉬워져 청소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또, 컨베이어장치 (3) 가 쉽게 분리되기 때문에, 케이스 (7) 내지 계량컨베이어 (2) 의 세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한편에서 케이스 (7) 를 변형체 (5a) 의 고정단 (5b) 측에 연결하였기 때문에, 이 케이스 (7) 의 중량이 겉포장 중량에 가산되고 않고 겉포장 중량이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억제됨으로써 이 계량컨베이어 (2) 의 계량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구성의 계량컨베이어 (2) 에서는 케이스 (7) 바로 위쪽에 컨베이어장치 (3) 를 배치하고, 지지부재 (120) 를 케이스 (7) 하면에서 외부로 돌출시킨 후 컨베이어장치 (3) 를 향하여 케이스 (7) 상측으로 연장 설치한다.
즉, 일단 케이스 (7) 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지지부재 (120) 가 상측으로 반전되어 연장됨으로써 케이스 (7) 바로 위쪽에 컨베이어장치 (3) 를 배치할 수 있고, 그 결과 컨베이어장치 (3) 상측은 넓게 개방되고 피계량물 (X) 의 반송을 지장없이 실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케이스 (7) 에서 컨베이어장치 (3) 위로 이물질 등이 떨어져 계량값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구성의 계량컨베이어 (2) 에서는 컨베이어장치 (3) 와 대향하는 케이스 (7) 의 면을 하측으로 연속된 경사면으로 구성하고 있다. 즉, 특히 도 1,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7) 의 상반부를 구성하는 커버부재 (72) 를 매끄러운 산 형상으로 하고 있다.
그럼으로써, 컨베이어장치 (3) 에서 반송되는 피계량물 (X) 의 잔여물 등이 떨어지거나 흩어져 케이스 (7) 표면에 부착되어도, 그것이 미끌어 떨어지거나 하여 케이스 (7) 표면 상에 쌓이거나 남는 일이 없다. 따라서, 잡균 번식이나 위생 상태의 저하라는 바람직하지 않은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구성의 계량컨베이어 (2) 에서는 컨베이어장치 (3) 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73) 또한 케이스 (7) 내에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이 구동모터 (73) 만 별도로 수용하기 위한 제 2 케이스를 추가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지고 계량컨베이어 (2) 전체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잔여물 부착 등의 문제를 경감할 수 있으며 청소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동시에, 구동모터 (73) 에 대한 예컨대 전기배선 등을 케이스 (7)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케이스 (7) 내부에서만도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 (7) 의 표면 상태가 매끄러워 잔여물 부착 등의 문제를 경감할 수 있으며 청소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배선 등을 다이어프램 (85) 을 통해 케이스 (7) 내외로 삽입통과할 필요도 없어지기 때문에, 케이스 (7) 의 방수성이나 방진성이 손상되는 것 또한 회피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구성의 계량컨베이어 (2) 에서는 구동모터 (73) 의 구동력을 컨베이어장치 (3) 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 (130) 를 지지부재 (120) 내에 수용하고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 (120) 를 이용하고 동력전달용 벨트 (113) 나 풀리 (107,111) 등의 동력전달기구 (130) 를 그 안에 수용하였기 때문에, 동력전달기구 (130) 자체에 물품 (X) 의 잔여물이 부착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기구 (130) 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싱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도 없어 계량컨베이어 (2) 전체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물품 (X) 의 잔여물이 부착되기 쉽다는 문제나 부착된 잔여물을 세정할 때 청소성 문제를 경감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 구성에 관한 컨베이어장치를 구비한 계량컨베이어 (2) 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들 계량컨베이어 (2) 의 기본 구성은 상기 제 1 구성의 것과 동일하고, 다음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요컨대, 제 2 구성의 컨베이어장치를 구비한 계량컨베이어에서는, 상기 컨베이어장치 (3) 의 천판부재인 프레임 (23,25) 과 브래킷인 프레임 (51) 이 절곡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이들 프레임이 절곡됨으로써, 각 프레임에 지지된 적어도 한 쌍의 롤러 (13,15) 에 대하여 무단 형상의 반송용 벨트 (17) 가 착탈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 (23,25,51) 의 절곡지점 (52) 이 각 프레임이 절곡되어 있지 않을 때의 롤러 (13,15) 의 회전축심끼리를 연결하는 연장선 (L) 보다 벨트 주행면의 일방측에 치우쳐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 (23,25,51) 이 벨트 주행면의 타방측으로 절곡되는 것을 저지하는 저지부재 (천판부재 (23,25)) 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3 구성의 컨베이어장치를 구비한 계량컨베이어에서는, 상기 롤러 (13,15)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구동원인 모터 (73), 이 모터 (73) 의 구동축 (73a) 에 연결된 풀리 (107), 상기 롤러 (13,15) 중 어느 하나와 동축에 설치된 풀리 (111), 및 상기 풀리 (107) 사이에 감겨 있는 무단 형상의 동력전달용 타이밍벨트 (113) 를 구비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23,25,51) 의 절곡지점 (52) 이 각 프레임이 절곡되어 있지 않을 때의 풀리 (111) 의 회전축인 샤프트 (109) 의 연장선 (L) 보다 벨트 주행면의 일방측에 치우쳐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각 프레임 (23,25,51) 이 주행면의 타방측으로 절곡되는 것을 저지하는 저지부재 (천판부재 (23,25)) 가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2 구성의 컨베이어장치에서는 도 3,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23,25,51) 의 절곡지점 (52,52) 이 구동롤러 (13) 의 회전축심으로서의 샤프트 (13a,13b) 와 종동롤러 (15) 의 회전축심으로서의 샤프트(15a) 를 연결하는 연장선 (L) 상에는 없고 하측으로 어긋나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 3 구성의 컨베이어장치에서는 상기 절곡지점 (52) 이, 상기 구동롤러 (13) 를 회전시키는 풀리 (111) 의 회전축인 샤프트 (109) 의 연장선보다 하측으로 어긋나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절곡지점 (52) 은 구동롤러 (13) 를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 (23,25) 과 종동롤러 (15) 를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 (51,51) 이 절곡될 때의 지점이다.
따라서, 도 3,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 (23,25,51,51) 이 절곡되지 않고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을 때에는, 롤러 (13,15) 사이의 거리가 길어져 이 롤러 (13,15) 사이에 감겨 있는 반송용 벨트 (17) 에 적당한 장력이 작용한다. 그래서, 이 반송용 벨트 (17) 로 피계량물 (X) 을 적당하게 반송할 수 있다.
한편, 이 때 인장된 반송용 벨트 (17) 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프레임 (23,25,51,51) 에는 상기 지점 (52,52) 주위로 절곡되려고 하는 힘이 작용한다. 이 경우 특히 상기 지점 (52,52) 이 롤러 (13,15) 끼리를 연결하는 중심선 (L) 에서 하측에 오프셋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 (23,25,51,51) 은 도 3 및 도 4 에 화살표시 (B,B) 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의 반송면측으로 절곡되려고 한다.
그리고, 이 때 도 2, 도 3,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인 좌우 외측의 천판부재 (23,25) 상면이 상류측으로 연장되어, 마찬가지로 프레임인 브래킷 (51,51) 상측까지 이르고 있다. 그 결과, 일측의 프레임 (좌우 외측의 천판부재, 즉 저지부재 : 23,25) 에 다른 일측의 프레임 (브래킷 : 51,51) 의 위 가장자리부가 맞닿음으로써, 프레임 (23,25,51,51) 이 화살표시 (B,B) 와 같이 상측의 반송면측으로 그 이상 절곡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어서, 이들 제 2 및 제 3 구성에 관한 컨베이어장치를 구비한 계량컨베이어 (2) 의 작용을 도 9 내지 도 11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컨베이어장치 (3) 에 반송용 벨트 (17) 를 장착하고 사용할 때의 상태로 할 때에는,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 (23,25,51,51) 을 절곡지점 (52) 에서 반반송면측으로 절곡하고, 이 상태에서 벨트 (17) 를 롤러 (13,15) 사이에 걸쳐 감는다. 롤러 (13,15)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벨트 (17) 가 느슨해진 상태에서 쉽게 감을 수 있다.
이어서, 프레임 (23,25,51,51) 을, 절곡지점 (52) 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시 (B,B) 방향으로 회전운동시켜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적으로 연장된 자세로 한다. 이 프레임 (23,25,51,51) 이 절곡지점 (52,52) 에서 절곡되지 않고 직선상태로 연장된 자세로 되었을 때에는, 롤러 (13,15)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반송용 벨트 (17) 는 적당하게 인장되고 이 벨트 (17) 는 롤러 (13,15) 사이에 안정적으로 장착된다.
한편, 프레임 (23,25,51,51) 에 대해서는 반송용 벨트 (17) 의 장력의 반작용으로서 이 벨트 (17) 의 탄성복원력이 작용한다. 그 외부반응은 프레임 (23,25,51,51) 을, 절곡지점 (52,52) 주위로, 반송면 방향 (B,B) 또는 반반송면 방향으로 머리를 흔들듯이 절곡하려고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절곡지점 (52,52) 이 롤러 (13,15) 사이를 연결하는 중심선 (L) 상에 없고, 특히 반반송면측에 오프셋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 (23,25,51,51) 은 예컨대 도 10 에나타낸 바와 같은 직선 자세일 때에는 반드시 반송면 방향 (B,B) 으로 절곡되려고 한다.
그리고, 이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측의 프레임인 브래킷 (51,51) 의 위가장자리부가, 다른 일측의 프레임인 좌우 외측의 천판부재 (23,25) 상면에 맞닿으면서 직선 자세를 벗어난 그 이상의 B,B 방향으로의 절곡이 저지되기 때문에, 이 컨베이어장치 (3) 의 프레임 (23,25,51,51) 은 결국 사용할 때 직선 자세로 유지되어 로크되게 된다.
특히, 제 3 구성에 관한 컨베이어장치에 따르면, 프레임 (23,25,51,51) 에 대해서는 각 롤러 (13,15) 사이에 감겨 있는 반송용 벨트 (17) 의 탄성복원력과 함께, 상기 타이밍벨트 (113) 의 탄성복원력도 받아서 타측의 벨트 주행면측으로 더 강하게 절곡되려고 한다. 따라서, 프레임 (23,25,51,51) 은 절곡되어 있지 않은 상태일 때에는, 상기 천판부재 (23,25) 에 의해 절곡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더 강고하게 유지되어 로크되게 된다.
그래서, 제 2, 제 3 구성에 관한 컨베이어장치에서는, 프레임 (23,25,51,51) 의 절곡을 저지하기 위한 전용 로크 핀 등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져 컨베이어장치 (3) 의 구성이 간소화된다. 그 결과 컨베이어장치 (3) 의 부품 점수가 적어져, 겉포장 중량의 저감, 나아가서는 계량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장치 (3) 의 세정작업 등이 쉬워져 청소성이 향상된다. 또, 반송용 벨트 (17) 를 착탈할 때에는 로크 핀 등을 조작할 필요가 없어지고, 단순히 프레임 (23,25,51,51) 을 절곡하거나 직선 형상으로 연장하는 것만으로 되므로, 반송용 벨트 (17) 의 착탈동작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장치 (3) 를 사용할 때의 자세로 조립한다면, 상술한 제 1 구성에 관한 계량컨베이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구동롤러 샤프트 (13b) 의 직사각형 형상 단부 (13c) 를 하류측의 V 자형 아암 (97a) 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제 2 전동 샤프트 (109) 의 돌출부분 (109a) 의 직사각형 형상의 구멍 (109b) 에 끼워넣는다.
이어서, 동일하게 하류측에서 컨베이어장치 (3) 의 반대측의 구동롤러 샤프트 (13a) 를 지지하는 베어링 유닛 (37) 의 걸어맞춤부재 (41) 를, 동일하게 하류측에서 반대측의 V 자형 아암 (95a) 의 노치 (95c) 에 걸어맞춘다. 그리고, 도 11 에 부호 C 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걸어맞춤부를 지점으로 하고 컨베이어장치 (3) 를 지지부재 (120) 상에 내려놓음으로써, 이 컨베이어장치 (3) 상류측의 좌우 걸어맞춤부재 (57,57) 를 동일하게 상류측의 V 자형 아암 (95b,97b) 의 노치 (95d,97d) 에 걸어맞춘다. 그럼으로써 컨베이어장치 (3) 가 지지부재 (120) 에 지지되고 전체적으로 중량 체커 (1) 가 완성된다.
그리고, 상술한 제 1 구성에 관한 계량컨베이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구동모터 (73) 을 구동시킴으로써, 반송용 벨트 (17) 상측의 반송면을 화살표시 (A) 방향으로 주행시켜 피계량물 (X) 을 반송하고, 이 반송시에 피계량물 (X) 의 중량이 검출된다.
특히, 상기 제 2, 제 3 구성에 관한 컨베이어장치에서는 반송용 벨트 (17) 의 반송면측 (B,B) 으로 프레임 (23,25,51,51) 이 절곡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도 11 에 화살표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중의 피계량물 (X) 의 중량에 의해 프레임 (23,25,51,51) 을 절곡하려고 하는 응력이 작용하여도, 이 컨베이어장치 (3) 는 절곡되지 않고 오히려 반반송면측 (반B 방향) 으로의 절곡이 한층 더 규제되어, 물품 반송 중에 직선 자세의 프레임 (23,25,51,51) 의 로크가 해제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하류측의 구동롤러 (13) 가 회전함으로써, 물품 (X) 의 반송면인 반송용 벨트 (17) 상측의 벨트 주행면이 긴장되기 때문에, 그 긴장력에 의해 프레임 (23,25,51,51) 이 한층 더 강하게 반송면 방향 (B,B) 으로 절곡되려고 한다. 이것에 의해서도 컨베이어장치 (3) 는 사용할 때 절곡되어 있지 않은 상태일 때에는, 그 절곡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더 강고하게 유지되어 로크되게 된다.
또, 상술한 제 1 구성에 관한 계량컨베이어의 설명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브래킷 (51,51) 에 탄성지지부재로서 구비한 스프링 (59,59) 에 의해 상류의 종동롤러 (15) 를 상류측으로 더 탄성지지함과 동시에, 나사봉 (63,63) 의 회전조작에 의해 그 탄성지지력을 조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예컨대 반송용 벨트 (17) 의 재질이나 길이 또는 탄성 등이 불규칙적이어도 이 벨트 (17) 를 항상 확실히 인장 상태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이 벨트 (17) 의 탄성복원력을 확보할 수 있어, 프레임 (23,25,51,51) 을 직선상태의 비절곡 자세로 로크되는 것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벨트 (17) 의 장력, 나아가서는 벨트 (17) 의 탄성복원력을 조절 할 수 있어 프레임 (23,25,51,51) 이 절곡되려고 하는 힘을 가변으로 조절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제 1 구성에 관한 계량컨베이어의 설명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반송용 벨트 (17) 에 롤러 (13,15) 와 걸어맞춰 폭 방향의 위치어긋남을 규제하는 요철인 돌출 가장자리부 (17a,17a) 를 형성함으로써, 반송용 벨트 (17) 의 주행중의 사행이 억제되어 이 벨트 (17) 가 항상 안정적으로 인장상태로 된다. 그 결과 반송용 벨트 (17) 의 탄성복원력을 항상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어, 프레임 (23,25,51,51) 을 직선상태의 비절곡 자세로 로크하는 것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제 2, 제 3 구성에 관한 컨베이어장치에서는, 반송용 벨트 (17) 의 반송면을 이면에서 지지함으로써, 이 반송면의 느슨해짐을 방지하고 피계량물 (X) 을 매끄럽게 안정적으로 반송하기 위한 천판부재 (21…21,23,25) 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이 천판부재는 더 구체적으로는 좌우 외측의 천판부재 (23,25) 를 이용하고 이것을 프레임 (23,25,51,51) 의 절곡의 저지부재로서 겸용하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도 컨베이어장치 (3) 의 구성의 간소화나 부품 점수의 삭감 등을 도모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2 및 도 13 을 참조하면서 제 2 구성에 관한 컨베이어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 상기 제 2 구성에 관한 컨베이어장치와 동일하거나 상당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1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재 (120) 를 갈고리형 걸어맞춤부 (120a,120a) 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컨베이어장치 (3) 의 컨베이어 프레임 (141,142) 에는 핀 부재 (141a, 142a) 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컨베이어 프레임 (141,142) 을 지점 (52) 에서 절곡하고, 롤러 (13,15) 사이에 반송용 벨트 (17) 를 감는다. 이 자세에서 핀 부재 (141a,142a) 를 지지부재(120) 의 위가장자리부에 올리고 화살표시 (D) 와 같이 하측으로 누르면, 핀 부재 (141a,142a) 가 지지부재 (120) 의 위가장자리부를 E 방향으로 미끄러져,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핀 부재 (141a,142a) 가 걸어맞춤부 (120a,120a) 에 끼워 걸어맞춘다. 그럼으로써, 컨베이어장치 (3) 가 지지부재 (120) 에 지지된다.
이 때 컨베이어 프레임 (141,142) 은 똑바로 연장되어 사용상태가 된다. 지지부재 (120) 에는 절곡지점을 구성하는 지축 (52) 이 끼워맞춰지는 노치 (120b) 에 형성되어 있고 이 지축 (52) 이 노치 (120b) 에 맞닿음으로써, 컨베이어 프레임 (141,142) 이 직선 자세를 벗어나 다시 역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절곡지점 (52) 이 롤러 (13,15) 사이를 연결하는 중심선에서 오프셋하고 있음으로써, 도 13 에 나타낸 직선 자세에서는 걸어맞춤부 (120a,120a) 에서는 반송용 벨트 (17) 의 장력에 의해 윗 방향 (G,G) 으로의 힘이 작용하고, 노치부 (120b) 에서는 아랫 방향 (F) 으로의 힘이 작용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이 컨베이어장치 (3) 는 지지부재 (120) 에 지지되어 직선 자세로 로크된다.
그럼으로써, 도 13 과 같이 컨베이어 장치 (3) 의 프레임 (141,142) 이 절곡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이 컨베이어장치 (3) 의 핀 부재 (141a,142a) 와 지지부재 (120) 의 걸어맞춤부 (120a,120a) 가 걸어맞춰지고, 한편 도 12 와 같이 컨베이어장치 (3) 의 프레임 (141,412) 이 절곡되었을 때에는, 이 컨베이어장치의 핀 부재 (141a,142a) 와 지지부재 (120) 의 걸어맞춤부 (120a,120a) 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따라서, 컨베이어 프레임 (141,142) 을 직선 형상으로 연장함으로써, 컨베이어장치 (3) 로의 반송용 벨트 (17) 의 장착동작과 지지부재 (120) 내지 검사기기로의 컨베이어장치 (3) 의 장착동작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프레임 (141,142) 을 절곡함으로써, 컨베이어장치 (3) 로부터의 반송용 벨트 (17) 의 분리동작과 지지부재 (120) 내지 검사기기로부터의 컨베이어장치 (3) 의 분리동작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컨베이어장치 (3) 를 지지부재 (120) 에 장착하기 위한 전용 고정구 등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져 계량컨베이어 (2) 의 구성이 간소화된다. 그 결과, 계량컨베이어 (2) 의 부품 점수가 적어져, 겉포장 중량의 저감, 나아가서는 계량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계량컨베이어 (2) 의 세정작업이 쉬워져 청소성이 향상된다. 또한, 컨베이어장치 (3) 를 착탈할 때에는 고정구 등을 조작할 필요가 없어지고, 단순히 컨베이어 프레임 (141,142) 을 절곡하거나 직선 형상으로 연장하는 것만으로 되므로, 컨베이어장치 (3) 의 착탈동작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4 에 도 12 및 도 13 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지지부재 (120) 의 위가장자리부에 양단부에 위치한 걸어맞춤부 (120a,120a) 보다 내측에 걸어맞춤부 (120a,120a) 를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안내부 (120c,120c)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지점 (52) 에서 절곡된 컨베이어 프레임 (141,142) 이 화살표시(D) 방향으로 눌리면, 핀 부재 (141a,142a) 가 안내부 (120c,120c) 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져, 걸어맞춤부 (120a,120a) 까지 안내되기 때문에 화살표시 (D) 방향으로 누르는 힘은 도 12 및 도 13 의 예보다 작아도 된다.
도 14 에는 두개의 안내부 (120c,120c) 가 설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지만, 한쪽에만 설치해도 된다.
이어서, 도 15 를 참조하면서 제 3 구성에 관한 컨베이어장치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당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구동롤러 (13) 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151) 가 반송용 벨트 (17) 의 상하 주행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동모터 (151) 의 구동축에 설치된 풀리 (152) 및 구동롤러 (13) 와 동축에 설치된 풀리 (153) 사이에 무단 형상의 동력전달용 벨트 (154) 를 감고 있다.
이 때, 컨베이어 프레임 (141,142) 의 절곡지점 (52) 이 이 프레임 (141,142) 이 절곡되지 않을 때 상기 풀리 (152,153) 의 구동축심끼리를 연결하는 연장선 위에 없고 이보다 하측에 오프셋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모터 (151) 는 절곡지점 (52) 보다 종동롤러 (15) 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따르면, 컨베이어 프레임 (141,142) 은 롤러 (13,15) 사이에 감겨 있는 반송용 벨트 (17) 의 탄성복원력을 대신하고 또는 이와 함께 구동모터 (151) 의 동력을 구동롤러 (13) 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용 벨트 (154) 의 탄성복원력 또한 받아서 상측의 반송면측으로 절곡되려고 한다. 따라서, 컨베이어 프레임(141,142) 은 절곡되어 있지 않은 상태일 때에는 이 절곡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더 강고하게 유지되어 로크되게 된다.
또한, 컨베이어 프레임 (141,142) 이 절곡되었을 때에는 반송용 벨트 (17) 의 착탈과 함께 동력전달용 벨트 (154) 의 착탈 또한 실행되게 된다.
또, 이 경우 반송 방향이 A 방향이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반송용 벨트 (17) 상측의 반송면이 긴장되어 바람직하다. 그래서, 구동롤러 (13) 를 화살표시 (a)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구동모터 (151) 를 화살표시 (b)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동력전달용 벨트 (154) 의 상측 주행면을 긴장시키기 위해서는, 구동모터 (151) 를 화살표시 (b) 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 때 구동롤러 (13) 는 화살표시 (a) 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반송용 벨트 (17) 는 A 방향과는 반대의 화살표시 (H) 방향으로 주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황에 따라 이들 중에서 어느 것이나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4 구성에 관한 계량컨베이어 (2) 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계량컨베이어 (2) 의 기본 구성은 상기 제 1 구성의 것과 동일하고, 다음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컨베이어장치 (3) 에서 반송되는 피계량물 (X) 의 중량을 상하 변위에 따라 검출하는 하중검출기 (5) 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원인 모터 (73) 의 회전축선이 상기 피계량물 (X) 에 의한 변위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구성에 관한 계량컨베이어 (2) 는 반송용 벨트 (17) 위에 탑재된 피계량물 (X) 을 수평 방향으로 반송하는 형식의 것이다. 따라서, 도 16,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베이어장치 (3) 의 반송면, 즉 반송용 벨트 (17), 더 상세하게는 그 상측 주행면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반송용 벨트 (17) 가 감겨 있는 롤러 (13,15) 도 동일하게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컨베이어장치 (3) 의 반송면이 연장되는 방향을 제 1 방향으로 하고, 도면 중 구동롤러 (13) 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부호 L1 로 예시한다.
한편, 로드 셀 (5) 에는 중력에 의해 컨베이어장치 (3) 나 피계량물 (X) 의 하중이 하측으로 부하된다. 따라서, 로드 셀 (5) 의 변형체 (5a) 는 하중 검출시에는 상하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 로드 셀 (5) 의 변형체 (5a) 가 하중 검출시에 변위되는 방향을 제 2 방향으로 하고, 도면 중 자유단부 (5c) 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부호 L2 로 예시한다.
즉, 이 계량컨베이어 (2) 에서는 컨베이어장치 (3) 의 반송면 (17) 이 연장되는 방향 (l1) 과 로드 셀 (5) 의 변형체 (5a) 가 변위되는 방향 (L2) 이 직교하고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 컨베이어장치 (3) 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73) 의 구동축 (73a) 을 컨베이어장치 (3) 의 반송면이 연장되는 방향 (L1) 과 동일한 수평 방향으로 하지 않고, 로드 셀 (5) 의 변형체 (5a) 가 변위되는 방향 (L2) 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정한다. 이 구동모터 (73) 의 구동축 (73a) 이 연장되는 방향을 제 3 방향으로 하고, 도면 중 구동축 (73a) 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부호 L3 로 예시한다.
그럼으로써, 구동모터 (73) 의 구동축 (73a) 의 회전 진동은 수평 방향에서만 작용하고, 그 방향은 변형체 (5a) 가 변위되는 상하 방향과 직교한다. 따라서, 구동모터 (73) 의 구동축 (73a) 의 회전 진동이 작용하는 방향 (수평 방향) 과 변형체 (5a) 가 하중 검출시에 변위되는 방향 (상하 방향) 이 일치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로드 셀 (5) 이 상기 회전 진동에 따른 하중 변화를 받아 검출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며 이 로드 셀 (5) 의 계량신호에 여분의 외부 노이즈가 나타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래서, 계량정밀도의 저하를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어 계량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구동모터 (73) 의 구동축 (73a) 을 로드 셀 (5) 의 변형체 (5a) 의 변위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세로로 배치한 것만이기 때문에, 이 계량컨베이어 (2) 의 하드웨어의 구성이 복잡화되지 않는다. 또, 로드 셀 (5) 의 계량신호에 상기 노이즈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 계량신호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신호 처리의 소프트웨어 구성도 복잡화되지 않는다.
그리고, 주된 구동 노이즈의 발생원이면서 중량물인 구동모터 (73) 를 로드 셀 (5) 의 변형체 (5a) 의 자유단부 (5c) 측에 배치함으로써, 구동모터 (73) 의 중심이 로드 셀 (5) 의 모멘트 중심에 가까워짐으로써, 로드 셀 (5) 에 대한 외부 노이즈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구동 노이즈원인 구동모터 (73) 가 자유단부 (5c) 측에 존재하고 있어도, 그 진동의 작용 방향이 로드 셀 (5) 의 검출 방향과 다르기 때문에 로드 셀 (5) 이 구동 노이즈의 영향을 받는 일이 없다.
그런데, 구동모터 (73) 의 구동축 (73a) 을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였기 때문에, 이 구동모터 (73) 에서 최초에 생성된 회전 구동력의 축심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방향은 컨베이어장치 (3) 의 반송면이 연장된 수평 방향과는 일치하지 않는다. 하물며 구동력을 최초에 전달해야 할 구동롤러 (13) 의 축심이 연장되는 좌우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다.
그래서, 구동모터 (73) 와 구동롤러 (13) 사이에 배치된 동력전달기구 (130) 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동안에, 구동모터 (73) 에서 생성된 회전구동력의 축심이 연장되는 방향을, 컨베이어장치 (3) 의 반송면이 연장되는 방향이며 또한 구동롤러 (13) 의 축심이 연장되는 좌우 방향으로 변환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베벨 기어 (105,103) 를 사용하여 동력전달경로를 구동축 (73a) 의 연장 방향 (L3) 에서 전동 샤프트 (101) 의 연장 방향 (L4) 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 때, 전동 샤프트 (101) 는 구동롤러 (12) 와 평행하게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럼으로써, 구동모터 (73) 의 구동력이 적정하고 원활하게 구동롤러 (13) 에 입력되어 컨베이어장치 (3) 에 전달되게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6 내지 제 9 구성에 관한 계량컨베이어 (2) 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계량컨베이어 (2) 의 기본 구성은 상기 제 1 구성의 것과 동일하고, 다음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로드 셀 (5) 에 대한 컨베이어장치 (3), 구동모터 (6) 및 동력전달기구 (130) 의 배치를 연구함으로써, 이들로 구성된 계량컨베이어 (2) 의 중심 (R) 을 로드 셀 (5) 의 모멘트 중심 (S) 에 근접시켜 계량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한다.
여기에서, 제 6 구성에 관한 계량컨베이어에서는 상기 컨베이어장치 (3) 를 하중검출기인 로드 셀 (5) 상측에 배치하고, 구동원인 모터 (73) 를 상하 방향에서 로드 셀 (5) 과 거의 동일한 위치 또는 로드 셀 (5) 보다 하측의 위치에 배치하며,동력전달기구 (130) 를 로드 셀 (5) 을 사이에 두고 하측의 위치와 상측의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컨베이어장치 (3) 와 모터 (73) 와 동력전달기구 (130) 의 합성중심 (R) 을 상하 방향에서 로드 셀 (5) 의 모멘트 중심 (S) 에 근접시킨다.
제 7 구성에 관한 계량컨베이어에서는, 상기 컨베이어장치 (3) 를 로드 셀 (5) 하측에 배치하고, 모터 (73) 를 상하 방향에서 로드 셀 (5) 과 거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하며, 동력전달기구 (130) 를 로드 셀 (5) 을 사이에 두고 상측의 위치와 하측의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컨베이어장치 (3) 와 모터 (73) 와 동력전달기구 (130) 의 합성중심 (R) 을 상하 방향에서 로드 셀 (5) 의 모멘트 중심 (S) 에 근접시킨다.
제 8 구성에 관한 계량컨베이어에서는, 상기 로드 셀 (5) 을 피계량물의 반송 방향에서 컨베이어장치 (3) 의 거의 중앙에 배치하고, 모터 (73) 를 로드 셀 (5) 에 근접시켜 배치하며, 동력전달기구 (130) 를 로드 셀 (5) 을 사이에 두고 반송 방향 하류측의 위치와 상류측의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컨베이어장치 (3) 와 모터 (73) 와 동력전달기구 (130) 의 합성중심 (R) 을 반송 방향에서 로드 셀 (5) 의 모멘트 중심 (S) 에 근접시킨다.
제 9 구성에 관한 계량컨베이어에서는, 상기 로드 셀 (5) 을 피계량물의 반송 폭 방향에서 컨베이어장치 (3) 의 거의 중앙에 배치하고, 모터 (73) 를 반송 폭 방향에서 로드 셀 (5) 과 거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하며, 동력전달기구 (130) 를 반송 폭 방향에서 로드 셀 (5) 과 거의 동일한 위치와 반송 폭 방향 좌측의 위치 또는 우측의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또는 로드 셀 (5) 을 사이에 두고 반송 폭 방향 좌측의 위치와 우측의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컨베이어장치 (3) 와 모터 (73) 와 동력전달기구 (130) 의 합성중심 (R) 을 반송 폭 방향에서 로드 셀 (5) 의 모멘트 중심 (S) 에 근접시킨다.
이상과 같은 제 6 내지 제 9 구성에 관한 계량컨베이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9 및 도 2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량컨베이어 (2) 의 중심 (R) 은 상하 방향에서 로드 셀 (5) 의 모멘트 중심 (S) 에 대하여 짧은 거리 (L5) 로 근접한다. 또한, 도 18 및 도 1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량컨베이어 (2) 의 중심 (R) 은 피계량물 (X) 의 반송 방향 (전후 방향) 에서 로드 셀 (5) 의 모멘트 중심 (S) 에 대하여 짧은 거리 (L5) 로 근접한다. 또, 도 18 및 도 2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량컨베이어 (2) 의 중심 (R) 은 피계량물 (X) 의 반송 폭 방향 (좌우 방향) 에서 로드 셀 (5) 의 모멘트 중심 (S) 에 대하여 짧은 거리 (L5) 로 근접한다.
상하 방향에 대해서는, 도 19 및 도 2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컨베이어장치 (3) 를 로드 셀 (5) 상측에 배치하고, 구동모터 (73) 를 로드 셀 (5) 과 거의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배치한다. 따라서, 이것에 따르면, 계량컨베이어 (2) 의 중심 (R) 이 로드 셀 (5) 의 모멘트 중심 (S) 에서 상측으로 너무 떨어지게 된다. 그래서, 구동모터 (73) 의 회전축 (73a) 을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하고, 또 하나의 중량물인 동력전달기구 (130 : 및 지지부재 (120)) 를 로드 셀 (5) 보다 하측의 위치에서 상측의 컨베이어장치 (3) 로 연장되도록 배치하였다. 즉, 동력전달기구 (130) 와 지지부재 (120) 를 로드 셀 (5) 보다 하측의 위치에도 존재시키도록 하였다. 그럼으로써, 계량컨베이어 (2) 의 중심 (R) 의 편향이 시정되어, 즉 이 중심 (R) 이 내려가 로드 셀 (5) 의 모멘트 중심 (S) 에 가까워지게 된다.
이 때 반대로 동력전달기구 (130) 를 로드 셀 (5) 보다 상측의 위치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하거나, 로드 셀 (5) 과 거의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한 것은, 계량컨베이어 (2) 의 중심 (R) 의 편향이 시정되지 않아, 이 중심 (R) 이 오히려 상측으로 더 치우쳐 이동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 예컨대 미리 구동모터 (73) 를 로드 셀 (5) 보다 하측의 위치에 배치해 두어도 된다.
반송 방향 (전후 방향) 에 대해서는 도 18 및 도 1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로드 셀 (5) 을 반송 방향에서 컨베이어장치 (3) 의 거의 중앙에 배치하고, 구동모터 (73) 를 로드 셀 (5) 보다 반송 방향 상류측에 배치한다. 따라서, 이것에 따르면, 계량컨베이어 (2) 의 중심 (R) 이 로드 셀 (5) 의 모멘트 중심 (S) 에서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 너무 떨어지게 된다. 그래서, 구동롤러 (13) 를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배치하고, 또 하나의 중량물인 동력전달기구 (130 : 및 지지부재 (120)) 를 로드 셀 (5) 보다 상류측의 위치에서 하류측의 구동롤러 (13) 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배치하였다. 그럼으로써, 계량컨베이어 (2) 의 중심 (R) 의 편향이 시정되어, 이 중심 (R) 이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시프트되어 로드 셀 (5) 의 모멘트 중심 (S) 에 가까워지게 된다.
이 때 반대로 구동롤러 (13) 를 반송 방향 상류측에 배치하고, 동력전달기구(130) 를 로드 셀 (5) 보다 상류측의 영역에서만 연장되도록 배치한 것으로는 계량컨베이어 (2) 의 중심 (R) 의 편향이 시정되지 않아, 이 중심 (R) 이 오히려 상류측으로 더 치우쳐 이동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 예컨대 미리 구동모터 (73) 를 로드 셀 (5) 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배치하였을 때에는, 구동롤러 (13) 를 반송 방향 상류측에 배치하고, 동력전달기구 (130) 를 로드 셀 (5) 보다 하류측의 위치에서 상류측의 위치로 연장되도록 배치한다.
반송 폭 방향 (좌우 방향) 에 대해서는 도 18 및 도 2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로드 셀 (5) 을 반송 폭 방향에서 컨베이어장치 (3) 의 거의 중앙에 배치하고, 구동모터 (73) 를 로드 셀 (5) 과 거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하였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계량컨베이어 (2) 의 중심 (R) 은 로드 셀 (5) 의 모멘트 중심 (S) 과 반송 폭 방향에서 일치하게 된다. 그러나, 또 하나의 중량물인 동력전달기구 (130 : 및 지지부재 (120)) 를 구동모터 (73) 와 컨베이어장치 (3) 사이에 배치해야 하므로, 이 때에 계량컨베이어 (2) 의 중심 (R) 이 로드 셀 (5) 의 모멘트 중심 (S) 에서 반송 폭 방향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동력전달기구 (130) 의 중량에 비하여 컨베이어장치 (3) 의 중량 및 구동모터 (73) 의 중량이 상당히 무겁기 때문에, 동력전달기구 (130) 를 반송 폭 방향에서 좌우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배치하여도, 계량컨베이어 (2) 의 중심 (R) 이 로드 셀 (5) 의 모멘트 중심 (S) 에서 어긋나는 만큼 그다지 커지지 않는다. 그래서, 동력전달기구 (130) 를 반송 폭 방향에서 로드 셀 (5) 과 거의 동일한 위치에서 반송 폭 방향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쪽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하였다. 또, 이 때 좌우 거의 대칭 형상인 지지부재 (120) 의 존재에 따라서도 계량컨베이어 (2) 의 중심 (R) 이 반송 폭 방향으로 시프트되는 만큼 억제할 수 있다.
물론, 동력전달기구 (130) 을 좌우에 두개 대칭으로 설치하면 되지만, 그렇게 하면 구동롤러 (13) 의 회전에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겉포장 중량 (Wq) 이 증가되어 계량정밀도라는 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또, 예컨대 미리 구동모터 (73) 를 로드 셀 (5) 보다 반송 폭 방향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해 두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동력전달기구 (130) 를 반송 폭 방향에서 로드 셀 (5) 을 사이에 두고 좌우로 연장되도록 배치한다. 즉, 구동모터 (73) 를 로드 셀 (5) 의 좌측에 배치하였을 때에는, 동력전달기구 (130) 를 로드 셀 (5) 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한다. 이 때, 동력전달용 타이밍벨트 (113) 등은 컨베이어장치 (3) 의 우측에 배치된다. 반대로, 구동모터 (73) 를 로드 셀 (5) 의 우측에 배치하였을 때에는, 동력전달기구 (130) 를 로드 셀 (5) 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한다. 이 때, 동력전달용 타이밍벨트 (113) 등은 컨베이어장치 (3) 의 좌측에 배치된다.
이상과 같이 계량컨베이어 (2) 의 중심 (R) 이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서 3차원적으로 로드 셀 (5) 의 모멘트 중심 (S) 에 짧은 거리 (L5) 로 근접하였기 때문에, 로드 셀 (5) 에 작용하는 모멘트 힘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모멘트힘에서 기인하여 발생하는 제거해야 할 노이즈 성분의 주파수 대역이 높아지고 로우 패스 필터의 필터 처리 시간을 짧게 할 수 있어, 계량의 고속화가 가능해지며 계량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로드 셀 (5) 에 대한 컨베이어장치 (3), 구동모터 (73) 및 동력전달기구 (130) 의 배치를 연구함으로써, 이들로 구성된 계량컨베이어 (2) 의 중심 (R) 을 로드 셀 (5) 의 모멘트 중심 (S) 에 근접시킨 것으로, 계량컨베이어 (2) 의 중심 (R) 을 로드 셀 (5) 의 모멘트 중심 (S) 에 근접시키기 위해서, 컨베이어장치 (3) 를 대형화시켜 그 안에 로드 셀 (5) 이나 구동모터 (73) 또는 동력전달기구 (130) 를 수용한 것이기 아니기 때문에, 컨베이어장치 (3) 의 중량, 나아가서는 컨베이어장치 (3) 의 겉포장 중량 (Wq) 이 커지지 않게 한다.
따라서, 겉포장 중량 (Wq) 과 중심간 거리 (L5) 를 모두 작게 할 수 있어 로드 셀 (5) 에 작용하는 모멘트 힘을 유효하고 확실하게 작게 억제할 수 있다. 그래서, 노이즈 성분의 주파수 대역이 확실히 높아지고 로우 패스 필터의 필터 처리 시간이 확실히 단축화되어, 계량의 고속화를 담보할 수 있다. 또한, 계량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로드 셀 (5) 상측에 컨베이어장치 (3) 를 배치하였으나, 도 2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 셀 (5) 하측에 컨베이어장치 (3) 를 배치해도 된다 (매닮 구조). 이 경우에는 예컨대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 (73) 의 회전축 (73a) 을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하고, 동력전달기구 (130) 및 지지부재 (120) 를 로드 셀 (5) 보다 상측의 위치에서 하측의 컨베이어장치 (3) 로 연장되도록 배치한다. 즉, 상술한 예와는 반대로 동력전달기구 (130) 및 지지부재 (120) 의 일부를 로드 셀 (5) 보다 상측의 위치에도 존재시킨다. 그럼으로써, 계량컨베이어 (2) 의 중심 (R) 이 올라가 로드 셀 (5) 의 모멘트 중심 (S) 에 가까워지게 된다.
또, 이 경우 구동모터 (73) 는 상하 방향에서 로드 셀 (5) 에 근접시켜 배치한다. 즉, 예컨대, 구동모터 (73) 를 로드 셀 (5) 과 동일한 높이의 위치 또는 로드 셀 (5) 보다 약간 상측의 위치에 배치한다.
또한, 이상과 같은 실시형태에서는 하중검출기로서 로드 셀 (5) 을 채택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전자 평형식의 하중검출기를 채택해도 된다. 즉, 일단이 고정단으로 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되며, 이 자유단에 하중이 부하되어 그 하중을 상하 방향의 변위에 따라 검출하는 구성의 하중검출기이라면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건 명세서를 보고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변경 및 수정을 쉽게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정해진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Claims (26)

  1. 피계량물을 반송하는 컨베이어장치, 컨베이어장치에서 반송되는 피계량물의 중량을 검출하는 하중검출기, 및 하중검출기를 수용한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하중검출기의 고정단에 케이스가 연결되어 있고, 자유단에 컨베이어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연결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지지부재가 케이스 하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계량컨베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바로 위쪽에 컨베이어장치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는 케이스 하면에서 외부로 돌출된 후 컨베이어장치를 향하여 케이스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컨베이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컨베이어장치와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의 면이 하측으로 연속된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컨베이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컨베이어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원이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컨베이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컨베이어장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가 상기 지지부재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컨베이어.
  6. 프레임이 절곡됨으로써 이 프레임에 지지된 한 쌍 이상의 롤러에 대하여 무단 형상의 반송용 벨트가 착탈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의 절곡지점이 이 프레임이 절곡되어 있지 않을 때의 롤러의 회전축심끼리를 연결하는 연장선보다 일측의 벨트 주행면측에 치우쳐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이 타측의 벨트 주행면측으로 절곡되는 것을 저지하는 저지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컨베이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의 벨트 주행면은 물품의 반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타측의 벨트 주행면이 긴장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적어도 어느 한쪽의 상기 롤러를 롤러들 사이의 거리가 커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용 벨트에는 상기 롤러와 걸어맞춰 폭 방향의 위치어긋남을 규제하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반송용 벨트의 주행면을 이면에서 지지하는 천판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저지부재는 상기 천판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장치.
  12. 프레임이 절곡됨으로써, 이 프레임에 지지된 한 쌍 이상의 롤러에 대하여 무단 형상의 반송용 벨트가 착탈되는 컨베이어장치로서, 어느 한쪽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원, 이 구동원의 구동축에 설치된 풀리, 어느 한쪽 롤러와 동축에 설치된 풀리, 및 상기 풀리 사이에 감겨 있는 무단 형상의 동력전달용 벨트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의 절곡지점이 이 프레임이 절곡되어 있지 않을 때의 풀리의 회전축의 연장선보다 일측의 동력전달용 벨트 주행면측으로 치우쳐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이 타측의 동력절단용 벨트 주행면측으로 절곡되는 것을 저지하는 저지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컨베이어장치.
  13. 검사 대상의 물품을 반송하는 제 6 항에 기재된 컨베이어장치를 구비한 물품검사기기.
  14. 검사 대상의 물품을 반송하는 제 7 항에 기재된 컨베이어장치를 구비한 물품검사기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컨베이어장치와 걸어맞춤으로써 이 컨베이어장치를 지지하는 걸어맞춤부가 형성되고, 컨베이어장치의 프레임이 절곡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이 컨베이어장치와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춰지고, 컨베이어장치의 프레임이 절곡되었을 때에는 이 컨베이어장치와 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검사기기.
  16. 피계량물을 반송하면서 그 중량을 계량하는 계량컨베이어로서, 반송면이 수평으로 배치되며 피계량물을 반송하는 컨베이어장치, 이 컨베이어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원, 및 이들을 지지하고 컨베이어장치에서 반송되는 피계량물의 중량을 상하 변위에 따라 검출하는 하중검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원의 회전축선이 상기 변위 방향과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는 계량컨베이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상기 하중검출기의 자유단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컨베이어.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컨베이어장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가 구비되고, 이 동력전달기구에 의해 상기 구동원에서 생성된 회전구동력의 축선이 반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컨베이어.
  19. 제 16 항에 기재된 계량컨베이어를 구비한 계량장치.
  20. 피계량물을 반송하면서 그 중량을 계량하는 계량컨베이어로서, 피계량물을 반송하는 컨베이어장치, 이 컨베이어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원, 이 구동원의 구동력을 컨베이어장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 및 이들을 지지하고 컨베이어장치에서 반송되는 피계량물의 중량을 검출하는 하중검출기를 구비하고, 컨베이어장치를 하중검출기 상측에 배치하고, 구동원을 상하 방향에서 하중검출기와 거의 동일한 위치 또는 하중검출기보다 하측의 위치에 배치하며, 동력전달기구를 하중검출기를 사이에 두고 하측의 위치와 상측의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컨베이어장치와 구동원과 동력전달기구의 합성중심을 상하 방향에서 하중검출기의 모멘트 중심에 근접시킨 계량컨베이어.
  21. 피계량물을 반송하면서 그 중량을 계량하는 계량컨베이어로서, 피계량물을 반송하는 컨베이어장치, 이 컨베이어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원, 이 구동원의 구동력을 컨베이어장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 및 이들을 지지하고 컨베이어장치에서 반송되는 피계량물의 중량을 검출하는 하중검출기를 구비하고, 컨베이어장치를 하중검출기 하측에 배치하고, 구동원을 상하 방향에서 하중검출기와 거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하며, 동력전달기구를 하중검출기를 사이에 두고 상측의 위치와 하측의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컨베이어장치와 구동원과 동력전달기구의 합성중심을 상하 방향에서 하중검출기의 모멘트 중심에 근접시킨 계량컨베이어.
  22. 피계량물을 반송하면서 그 중량을 계량하는 계량컨베이어로서, 피계량물을반송하는 컨베이어장치, 이 컨베이어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원, 이 구동원의 구동력을 컨베이어장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 및 이들을 지지하고 컨베이어장치에서 반송되는 피계량물의 중량을 검출하는 하중검출기를 구비하고, 하중검출기를 피계량물의 반송 방향에서 컨베이어장치의 거의 중앙에 배치하고, 구동원을 하중검출기에 근접시켜 배치하며, 동력전달기구를 하중검출기를 사이에 두고 반송 방향 하류측의 위치와 상류측의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컨베이어장치와 구동원과 동력전달기구의 합성중심을 반송 방향에서 하중검출기의 모멘트 중심에 근접시킨 계량컨베이어.
  23. 피계량물을 반송하면서 그 중량을 계량하는 계량컨베이어로서, 피계량물을 반송하는 컨베이어장치, 이 컨베이어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원, 이 구동원의 구동력을 컨베이어장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 및 이들을 지지하고 컨베이어장치에서 반송되는 피계량물의 중량을 검출하는 하중검출기를 구비하고, 하중검출기를 피계량물의 반송 폭 방향에서 컨베이어장치의 거의 중앙에 배치하고, 구동원을 반송 폭 방향에서 하중검출기와 거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하며, 동력전달기구를 반송 폭 방향에서 하중검출기와 거의 동일한 위치와 반송 폭 방향 좌측의 위치 또는 우측의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또는 하중검출기를 사이에 두고 반송 폭 방향 좌측의 위치 또는 우측의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컨베이어장치와 구동원과 동력전달기구의 합성중심을 반송 폭 방향에서 하중검출기의 모멘트 중심에 근접시킨 계량컨베이어.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검출기를 피계량물의 반송 방향에서 상기 컨베이어장치의 거의 중앙에 배치하고, 상기 구동원을 상기 하중검출기에 근접시켜 배치하며, 상기 동력전달기구를 상기 하중검출기를 사이에 두고 반송 방향 하류측의 위치와 상류측의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장치와 상기 구동원과 상기 동력전달기구의 합성중심을 반송 방향에서도 상기 하중검출기의 모멘트 중심에 근접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컨베이어.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검출기를 피계량물의 반송 폭 방향에서 상기 컨베이어장치의 거의 중앙에 배치하고, 상기 구동원을 반송 폭 방향에서 상기 하중검출기와 거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하며, 상기 동력전달기구를 반송 폭 방향에서 상기 하중검출기와 거의 동일한 위치와 반송 폭 방향 좌측의 위치 또는 우측의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또는 상기 하중검출기를 사이에 두고 반송 폭 방향 좌측의 위치와 우측의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장치와 상기 구동원과 상기 동력전달기구의 합성중심을 반송 폭 방향에서도 상기 하중검출기의 모멘트 중심에 근접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컨베이어.
  26. 제 20 항에 기재된 계량컨베이어를 구비한 계량장치.
KR1020027000327A 2000-05-11 2001-05-10 컨베이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품검사기기 KR1008125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38304 2000-05-11
JPJP-P-2000-00138590 2000-05-11
JP2000138304A JP3816301B2 (ja) 2000-05-11 2000-05-11 計量コンベア
JP2000138590A JP4442990B2 (ja) 2000-05-11 2000-05-11 コンベア装置を備えた重量チェッカ
JP2000196686A JP3816311B2 (ja) 2000-06-29 2000-06-29 計量コンベア及びそれを備えた計量装置
JPJP-P-2000-00196686 2000-06-29
JPJP-P-2000-00198656 2000-06-30
JP2000198656A JP3816312B2 (ja) 2000-06-30 2000-06-30 計量コンベア及びそれを備えた計量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9645A Division KR100795744B1 (ko) 2000-05-11 2001-05-10 컨베이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품검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421A true KR20020029421A (ko) 2002-04-18
KR100812584B1 KR100812584B1 (ko) 2008-03-13

Family

ID=274812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327A KR100812584B1 (ko) 2000-05-11 2001-05-10 컨베이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품검사기기
KR1020077019645A KR100795744B1 (ko) 2000-05-11 2001-05-10 컨베이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품검사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9645A KR100795744B1 (ko) 2000-05-11 2001-05-10 컨베이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품검사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803529B2 (ko)
EP (1) EP1281941B1 (ko)
KR (2) KR100812584B1 (ko)
CN (1) CN1264002C (ko)
AU (1) AU773473B2 (ko)
NZ (2) NZ516573A (ko)
WO (1) WO20010862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481B1 (ko) 2003-05-13 2012-02-29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반송 장치 및 검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36940B2 (en) * 2001-12-20 2009-05-26 Fujifilm Corporation Clean booth and sheet conveyor device
US20050072603A1 (en) * 2003-10-03 2005-04-07 Criscione Frank J. Weigh deck
DE10357982A1 (de) * 2003-12-11 2005-07-07 Garvens Automation Gmbh Gestell für eine Kontrollwaage
CN1805891B (zh) * 2004-03-26 2010-05-26 株式会社石田 输送装置和具备有该输送装置的组合计量装置
US7626130B2 (en) * 2005-02-09 2009-12-01 Sartorius Mechatronics C & D Gmbh & Co. Kg Check weigher with hollow body and mounting flange
DE102005018097A1 (de) * 2005-04-19 2006-10-26 Mettler-Toledo Garvens Gmbh Gestell für eine Kontrollwaage
DE102005055753B4 (de) * 2005-11-21 2007-10-11 Wipotec Wiege- Und Positioniersysteme Gmbh Wägezelle für bewegte Güter
DE102005055754B4 (de) * 2005-11-21 2016-10-20 Wipotec Wiege- Und Positioniersysteme Gmbh Aufnahme für das Antriebsaggregat einer Transportvorrichtung
JP4761131B2 (ja) * 2005-12-26 2011-08-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DE102007020311A1 (de) * 2007-04-17 2008-10-30 Bizerba Gmbh & Co. Kg Wäge-Fördervorrichtung
DE102007021393C5 (de) * 2007-05-04 2018-11-15 Wipotec Gmbh Transportwaage, insbesondere Wägeförderer mit einem Transportband
JP4496243B2 (ja) * 2007-09-21 2010-07-07 株式会社沖データ ベルト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5064973B2 (ja) * 2007-11-02 2012-10-31 株式会社イシダ 重量検査装置
DE202009005883U1 (de) * 2009-01-23 2010-03-11 Futehally, Habib Förderbandwaage
US8733534B2 (en) * 2010-06-28 2014-05-27 Pteris Global Limited Belt conveyor system
US8955664B2 (en) 2010-06-28 2015-02-17 Pteris Global Ltd. Belt conveyor system
EP2416132B1 (de) * 2010-08-05 2013-03-27 Mettler-Toledo (Albstadt) GmbH Waage mit Anzeige- und Bedieneinheit
EP2517987A1 (de) * 2011-04-29 2012-10-31 Mettler-Toledo Garvens GmbH Förderbandeinrichtung
ITBO20110089U1 (it) * 2011-11-07 2013-05-08 Pulsar Srl Convogliatore.
EP2650660A1 (de) * 2012-04-13 2013-10-16 Mettler-Toledo Garvens GmbH Metallmelderband mit integrierter Wägezelle
CN111220244A (zh) 2012-06-04 2020-06-02 基伊埃工程技术有限公司 加工药用粉末的方法及用于该方法的进料模块
CN105764817A (zh) * 2013-11-08 2016-07-13 Gea食品策划德国股份有限公司 具有可折叠的称重台的天平
EP3000753A1 (de) * 2014-09-26 2016-03-30 Mettler-Toledo Garvens GmbH Rollenhalterung für eine Transporteinrichtung
DE102015003678A1 (de) 2015-03-24 2016-09-29 Wipotec Wiege- Und Positioniersysteme Gmbh Wägesystem
CN105115390B (zh) * 2015-08-27 2017-12-19 重庆丰银包装材料有限公司 输送带许可包绕直径测试方法
GB2545168A (en) * 2015-12-01 2017-06-14 D & G Mech Solutions Ltd An improved conveyer weigh cell module
DE102017001226B4 (de) * 2017-02-09 2019-04-18 Schenck Process Europe Gmbh Förder- und Dosiervorrichtung
US11002589B1 (en) * 2018-12-12 2021-05-11 Amazon Technologies, Inc. Multi-lane weight measuring device
CN110695640B (zh) * 2019-10-16 2021-06-15 深圳雷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化柔性装配线
CN111238610B (zh) * 2020-02-27 2021-11-09 上海壹佰米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称重装置
CN113155261B (zh) * 2021-04-13 2022-11-18 浙江致盛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物料运输及称重一体化检验系统
CN115046619B (zh) * 2022-07-29 2023-04-07 东莞市速力科技有限公司 一种石英称重传感器的精准检测设备
CN115891031B (zh) * 2023-01-06 2023-05-12 福建鼎珂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led支架连续式注塑折弯自动生产流水线及工艺
CN117225724A (zh) * 2023-08-22 2023-12-15 青海高等职业技术学院(海东市中等职业技术学校) 一种物流包裹传输智能分拣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6776A (en) * 1967-10-26 1969-07-22 Koch Supplier Inc Belt conveyor for sanitary food conveying
US3561553A (en) * 1968-07-29 1971-02-09 Jeffrey Galion Inc Load-measuring system
US4411327A (en) * 1981-05-14 1983-10-25 Hottinger Baldwin Measurements, Inc. Apparatus for applying a load to a strain gage transducer beam
US4463816A (en) * 1983-03-18 1984-08-07 Autoweigh Co. Load cell assembly for conveyor weighing of bulk material
JPS60211317A (ja) * 1984-04-06 1985-10-23 Teraoka Seiko Co Ltd 連続計量装置における計量値の算出方法
US4570729A (en) * 1984-10-01 1986-02-18 Hi-Speed Checkweigher Co., Inc. High speed transporting and weighing machine with dynamic balance
US4566584A (en) * 1984-10-29 1986-01-28 Hi-Speed Checkweigher Co., Inc. Weighing conveyor
EP0312643B1 (en) * 1987-10-23 1994-02-23 Frisco-Findus Ag Conveyors
JP2539002B2 (ja) 1988-07-19 1996-10-02 富士通株式会社 取引処理装置
DE4103815A1 (de) * 1990-03-10 1992-05-07 Truetzschler & Co Wiegeein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wiegen einer durchlaufenden faserschicht in der dosiervorrichtung einer spinnereivorbereitungsmaschine
JPH0423727A (ja) 1990-05-18 1992-01-28 Brother Ind Ltd 搬送装置
US5294756A (en) * 1992-05-05 1994-03-15 Endress+Hauser Inc. Conveyor belt scale apparatus
JP2539002Y2 (ja) * 1992-07-14 1997-06-18 日新電子工業株式会社 金属検出機用ベルト簡易着脱型コンベヤー
JPH0752115B2 (ja) * 1993-02-12 1995-06-05 株式会社イシダ ベルトコンベヤ式自動計量装置
JP3251703B2 (ja) * 1993-04-28 2002-01-28 株式会社イシダ 計量コンベア
JPH0752115A (ja) 1993-08-20 1995-02-28 Sekisui Chem Co Ltd 水硬性無機質成形物の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US5563384A (en) * 1994-03-28 1996-10-08 Iii Sigma Company Bulk density sampler apparatus
US5747747A (en) 1996-01-23 1998-05-05 General Signal Corporation Continuing belt-type conveyor and means for weighing contents transported thereon
EP1101715B1 (en) * 1998-05-29 2004-09-01 Anritsu Industrial Solutions Co.,Ltd. Conveyor, and weighing machine and metal detecting machine using the conveyor
JP4811974B2 (ja) * 2001-05-11 2011-11-09 株式会社イシダ 物品の振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481B1 (ko) 2003-05-13 2012-02-29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반송 장치 및 검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81941A1 (en) 2003-02-05
US6958452B2 (en) 2005-10-25
CN1264002C (zh) 2006-07-12
NZ516573A (en) 2004-02-27
KR100812584B1 (ko) 2008-03-13
WO2001086238A1 (fr) 2001-11-15
NZ530166A (en) 2005-06-24
US20020157877A1 (en) 2002-10-31
US6803529B2 (en) 2004-10-12
AU773473B2 (en) 2004-05-27
US20040182612A1 (en) 2004-09-23
KR20070094037A (ko) 2007-09-19
CN1372633A (zh) 2002-10-02
EP1281941B1 (en) 2012-07-04
KR100795744B1 (ko) 2008-01-17
EP1281941A4 (en) 2010-12-29
AU5669301A (en) 2001-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5744B1 (ko) 컨베이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품검사기기
US6509533B1 (en) Conveyor, and weighing machine and metal detecting machine using the conveyor
KR920017924A (ko) 개방 힌지 핀 구조체를 구비한 모듈형 콘베이어 벨트 및 모듈
GB2491737A (en) Swing apparatus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fore
CN103108816B (zh) 传送设备
CN103732513B (zh) 带式输送机
JP4442990B2 (ja) コンベア装置を備えた重量チェッカ
JP4083385B2 (ja) 秤量装置
JP3816301B2 (ja) 計量コンベア
JP3816311B2 (ja) 計量コンベア及びそれを備えた計量装置
AU2004201333B2 (en) Conveyor apparatus and commodity inspecting equipment utilizing the same
JP2002013971A (ja) 計量コンベア及びそれを備えた計量装置
JP2960988B2 (ja) パイプコンベヤの捩れ検知方法及び装置
EP0715168B1 (en) Apparatus for candling eggs for the presence of blood
JP3500280B2 (ja) 内部品質計測装置に用いる農産物の押え装置
JP4307901B2 (ja) 搬送装置および検査装置
CN201382767Y (zh) 称量段皮带位移传感器
JP3626334B2 (ja) 被搬送物の整列搬送装置
JP2527639Y2 (ja) 計量コンベア
JP3118019B2 (ja) 多数の循環計量受け器を備えた計量装置
FR2553192A1 (fr) Coupelle pour calibreuse ponderale
JPS6123018A (ja) コンベアのチエンレ−ル
JPH02153493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