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481B1 - 반송 장치 및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반송 장치 및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481B1
KR101120481B1 KR1020040033700A KR20040033700A KR101120481B1 KR 101120481 B1 KR101120481 B1 KR 101120481B1 KR 1020040033700 A KR1020040033700 A KR 1020040033700A KR 20040033700 A KR20040033700 A KR 20040033700A KR 101120481 B1 KR101120481 B1 KR 101120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ement
state
conveyor
plate spring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7949A (ko
Inventor
타카하시아쯔시
야마카와아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Publication of KR20040097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7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과제] 높은 강성을 가지고, 컨베이어 프레임이 안정하게 고정되고, 한편 탈착 용이한, 반송 장치 및 물품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컨베이어 프레임(21)을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4)에, 토글 구조를 형성한, 연결 수단(7)을 설치한다. 토글 기구는, 탄성부(72)를, 상하 어느 쪽으로 휜 상태를 택일적으로 잡도록 계속 유지하는 것으로 실현한다. 외력을 작용시켜, 이러한 상태간에 탄성부(72)를 변형시키는 것보다 , 연결 핀(24)과 계합하는 계합부(71)가 요동해, 이것에 의해 연결 핀(24)과의 계합, 해제를 행할 수 있다. 탄성부(72)의 휨에 의해 발생하는 탄성력이 연결 핀의 구속력으로서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컨베이어 프레임(21)에 대해서, 간단한 조작에 의한 탈착과 안정한 고정이 실현된다. 강성을 유지하면서 포장 중량은 저감되므로, 중량 검사 장치(1)의 계량 정밀도가 향상한다.
중량 검사 장치, 반송부, 컨베이어

Description

반송 장치 및 검사 장치{Conveying Device and Inspec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중량 검사 장치(1)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중량 검사 장치(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연결 수단(7)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지지 브라켓(4(4b))의 상방 부분과 연결 수단(7)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연결 수단(7)의 지지 브라켓(4)에 대한 설치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컨베이어 프레임(21)과 지지 브라켓(4)의 연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면 6(c)의 상태에 있어서의 연결 핀(24)의 근방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연결 핀(24)이 덜컹거리는 경우에 작용하는 힘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연결 수단의 다른 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연결 수단의 다른 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중량 검사 장치 2: 반송부
3: 케이스 4(4a, 4b): 지지 브라켓
5: 하중 검출부 6: 구동부
7, 7b~7f: 연결 수단 8(8a, 8b): 지지 다리
21: 컨베이어 프레임 22: 무단 벨트
23: 종동 롤러 24: 연결 핀
31: 다이어프램 41: 벨트 커버
42: 지지단 51: 로드 셀
51a: (로드 셀의 고정단이 된다) 단부 51b: (로드 셀의) 자유단
61: 모터 62: 타이밍 벨트
63: 모터 박스 64: 구동 롤러
71(71a, 71b): 계합부 72, 82, 84~86: 탄성부
74(74a, 74b): 노치
본 발명은, 컨베이어에 의해 물품을 반송하면서, 상기 물품에 관한 검사를 행하는 장치, 특히 물품의 중량을 검사하는 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식품이나 의약품등의 제조, 곤포 등의 공정에 있어서, 위생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그들 공정에 이용되고, 상품의 중량이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지 아닌지를 검사하는 중량 검사 장치 (중량 checker, 계량 장치) 내지는 이것에 이용하는 반송 장치에 대해서도, 위생면의 관점으로부터, 청소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청소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중량 검사 장치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기술이 벌써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특허공개공보 2001-315941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특허공개공보 평11-343018호 공보
특허 문헌 1에는 컨베이어 프레임을 절곡하는 것에 의해 상자와의 사이에서 탈착 가능한 컨베이어 장치 (반송 장치)를 가지는 중량 검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장치의 경우, 고속으로 계량 대상을 반송하면서 계량을 행할 때, 계합 부분의 덜컹거림에 의해, 컨베이어가 상하로 움직여 계량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 2에는, 컨베이어 프레임을 똑딱이 자물쇠(일본에서 파친죠(パチン錠)라 불리는 것)으로 탈착하는 계량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장치의 경우, 파친정의 부분에 부착한 부착물에 기인해 균이 번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의 탈착 기구의 복잡화는, 중량 검사 장치에 있어서의 포장 중량의 증가로 이어지고, 계량 정밀도를 열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구조의 복잡화는, 먼지가 쌓이기 쉬워지는 요인의 하나도 되며, 이것은 위생상 바 람직하지 않다. 또는, 컨베이어 프레임의 고정에 여유가 있으면, 컨베이어를 구동하는 모터와의 사이에 놓인 벨트의 당김 상태나, 피계량물의 위치, 피경량물이 컨베이어를 갈아탈 때의 충격 등에 기인해 컨베이어에 덜거덕거림이 생겨, 계량 정밀도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이것은 회피될 필요가 있다. 또한, 계량의 고속화의 관점으로부터는, 계량과 관련되는 개소가, 높은 강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감안하여 된 것으로서, 높은 강성을 가지고, 컨베이어 프레임이 안정하게 고정되며, 또한 탈착 용이한 반송 장치 및 물품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발명은, 지지 구조로 지지된 컨베이어에 의해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프레임과 착탈 자재로 연결하는 연결 수단이 상기 지지 구조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연결 수단이, 탄성을 가지고, 제1 상태로 젖혀진 상태인 제1 상태와 당해 제1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젖혀진 상태인 제2 상태간에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판용수철과, 상기 판용수철의 단부 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판용수철의 탄성변형에 수반하여 요동하여 상기 컨베이어의 프레임에 형성된 피계합부와 계합 가능한 계합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판용수철이 상기 제1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계합부가 제1 요동 위치로 되어 상기 피계합부와 계합함과 함께, 상기 판용수철이 상기 제2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계합부가 제2 요동 위치로 되어 상기 피계합부로부터 이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용수철이, 상기 지지 구조에 고정된 2 지축간에 압박(부세(付勢), 힘을 증가하거나 가하는, biasing)된 상태로 걸쳐져 있고, 상기 계합부가 상기 한 개의 휨 탄성체의 양단 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 연결 수단에는 제1과 제2의 계합부가 존재하는 한편, 상기 컨베이어의 프레임에는, 상기 제1과 제2의 계합부에 대응하는 제1과 제2의 피계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과 제2의 피계합부가, 상기 컨베이어의 반송 방향을 따라 서로 이간하여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제1과 제2의 계합부는, 상기 제1과 제2의 피계합부에 대략 대향하는 제1과 제2의 노치를 각각 가지고 있고, 상기 판용수철이 상기 제1 상태로 이행했을 때에, 상기 제1과 제2의 노치의 페어가 상기 제1과 제2의 피계합부의 페어를 외측 또는 내측 중 어느 쪽으로부터 끌어안는 방향으로 계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된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과 제2의 노치의 상호 간격이 상기 2 지축의 상호 간격보다 짧고, 상기 제1과 제2의 노치의 내벽의 소정 부분이, 상기 제1과 제2의 피계합부를 각각의 노치의 안쪽부로 안내하는 안내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과 제2의 계합부와 상기 제1과 제2의 피계합부가 각각 계합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각각의 계합 접촉면을 개입시켜 상기 제1과 제2의 피계합부로부터 상기 제1과 제2의 계합부에 작용하는 힘이, 해당 계합을 강하게 하는 방향의 성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1,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용수철과 상기 계합부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1,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용수철과 상기 계합부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청구항 12의 발명은, 지지 구조로 지지된 컨베이어에 의해 물품을 반송하면서, 상기 물품에 관한 검사를 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청구항 1,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송 장치와, 상기 반송 장치의 컨베이어상에 존재하는 물품에 대해 상기 검사를 위한 계측을 행하는 계측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3의 발명은, 청구항 12에 기재된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에 연결된 중량 측정 수단을 상기 계측 수단으로서 구비하고, 상기 물품의 중량 측정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중량 검사 장치(1)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중량 검사 장치(1)의 측면도이다. 다만, 상자(3)에 대해서는 그 내부를 측단면도로서 도시하고 있다.
중량 검사 장치(1)는, 예를 들면, 식품이나 의약품 등의 생산 공정에 있어서, 상품 그것, 또는 소정량마다 소구분되고 포장된 상품을 반송부(2)에서 반송하면서, 그 중량을 계측하는 중량 계측 장치이다.
중량 검사 장치(1)는, 컨베이어 프레임(21)으로 무단 벨트(22)를 구비하고 평벨트식의 컨베이어로서 동작하는 반송부(2)와, 도 1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은 하중 검출부(5)를 수용하는 상자(3)를 주로 구비한다. 상자(3)는 한 벌의 지지다리(8(8a, 8b)) 상에 고정되어 있다. 반송부(2)는, 후술하듯이, 지지 브라켓(4(4a, 4b))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자(3)의 내부에는, 하중 검출부(5)가 설치되어 있다. 하중 검출부(5)는, 이른바 윗접시 저울을 구성하는 것이고, 탄성체인 로드 셀(51)을 구비하고 있다. 로드 셀(51)의 한쪽 단부(51a)는, 취부부재(52)에 의해, 상자(3)의 내부 저면(3a)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자(3)은 지지다리(8a, 8b)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단부(51a)는 로드 셀(51)의 고정단으로 작용한다. 또한 한쪽 단부(51b)는, 자유단으로 작용한다 (이하, 간단히, 자유단(51b)이라고 칭한다). 자유단(51b) 측에는, L자형의 취부부재(53) 및 그 하방에 배치된 취부부재(54)에 의해, 후술하는 구동부(6)의 모터 박스(63)가 지지되어 있다. 취부 부재(54)는, 상자(3)의 내부 저면과 대략 동일 높이에 위치하여, 다이어프램(31)에 의해 끼워 넣어져 있다.
구동부(6)는, 반송부(2)로 반송 동작을 행하게 하기 위해서 구비된다. 구동부(6)는, 모터 박스(63)내에 격납된 모터(61)와, 모터(61)의 구동 롤러(64)와 반송부(2)에 구비되는 종동롤러(23)의 사이에 감을 수 있는 타이밍 벨트(62)를 주로 구비한다. 타이밍 벨트(62)는, 종동롤러(23)의 중심축 방향 단부 (도 2에 있어서는 지면 바로 앞측)에 감겨 걸려 있다. 타이밍 벨트(62)가 모터(61)의 구동력을 전달해 종동롤러(23)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무단 벨트(22)가 구동되어 반송부(2)에 있어서의 반송 동작이 실현된다. 즉, 반송부(2)와 구동부(6)가 중량 검사 장치(1)의 반송 장치를 주로 실현한다.
지지 브라켓(4)은, 중량 검사 장치(1)의 양측부에 반송 방향을 따라 배설된 다. 지지 브라켓(4)은, 내부에 개구부(45)를 가지는 대략 삼각형상의 판상부재이고, 본 실시예의 경우, 한쪽 지지 브라켓(4a)에 대해서는, 타이밍 벨트(62), 구동 롤러(64) 및 종동롤러(23)를 차폐하는 벨트 커버(4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 브라켓(4)은, 도시하지 않은 고정 수단에 의해 그 하방을 모터 박스(63)에 착탈 자재로 고정된다. 또한, 그 상단 부분에는, 컨베이어 프레임(21)에 구비되는 연결 핀(24) (후술한다)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단(42)이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 브라켓(4)은, 지지단(42)이 수평 배치되도록 모터 박스(63)에 대해 고정된다. 또한, 지지 브라켓(4)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연결 수단(7)이 설치되어 있다. 연결 수단(7)은, 2개의 취부부재(44)에 의해, 소정의 범위로 요동 가능하게 부설되어 있다. 또한, 지지 브라켓(4)이 모터 박스(63)에 고정될 때에는, 연결 수단(7)이 반송부(2) 측에 위치하도록 고정된다.
한편, 컨베이어 프레임(21)의 양 측면에는 각각, 1쌍의 연결 핀(24)이 설치되어 있다. 각 연결 핀(24)은, 컨베이어 프레임(21)의 표면과 평행한 직선상에, 후술하는 소정의 간격 D3 (도 6)으로 배치되어 있다. 모터 박스(63)에 고정된 지지 브라켓(4)에 의해 컨베이어 프레임(21)에 구비되는 연결 핀(24)이 지지되고, 게다가 연결 수단(7)에 의해 연결 핀(24)이 구속됨으로써, 컨베이어 프레임(21) 표면을 수평으로 유지하면서, 반송부(2)가 지지 브라켓(4)에 대해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반송부(2) 자체의 하중, 및 그 상부와 관련되는 하중은, 지지 브라켓(4), 모터 박스(63), 취부부재(54, 53)를 통하여, 로드 셀(51)의 자유단(51b)으로 전달되게 된다. 환언하면, 반송부(2), 지지 브라켓(4), 구동부(6), 취부부재(54, 53)의 중량 이, 포장 중량으로서 자유단(51b)에 작용하게 된다.
지지 브라켓(4), 연결 수단(7), 및 연결 핀(24)의 배치, 및 연결에 대한 상세는 후술한다.
도 3은, 연결 수단(7)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연결 수단(7)은, 예를 들면 얇은 금속 판을 잘라 가공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도 3(a)는, 연결 수단(7)이 잘라 가공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연결 수단(7)은, 좌우 대칭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 1쌍의 계합부(71(71a, 71b))와, 각 계합부(71a, 71b)의 사이에 길이가 긴 형상으로 설치된 탄성부(72)를 주로 구비한다. 각각의 계합부(71)에는, 지지 브라켓(4)과 접속할 때에 이용되는 취부공(73(73 a, 73 b))과, 연결 핀(24)이 끼워 넣어지는 노치(74(74a, 74b))가, 모두 대칭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노치(74)의 개구부의 폭은, 연결 핀(24)의 직경보다 크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탄성부(72)의 양단부에 상당 위치에는 절삭 깊이(75(75a, 75b))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부(72)는, 각 계합부(71)의 절곡선(76(76a, 76b))을 따라 절곡 가능하다. 도 3(b)는, 도 3(a)의 상태로부터 탄성부(72)를 지면 바로 앞 방향으로 90°절곡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연결 수단(7)은, 이 상태로 된 후, 지지 브라켓(4)에 장착된다.
이 연결 수단(7)의 세부 구성에 대해 보다 상술하면, 양측의 계합부(71a, 71b)의 각각은 동부(PB)와 두부(PH)로 대별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중 동부(PB)는, 띠 형상로 된 탄성부(72)의 양단측부로부터 일어서는 것과 함께, 그 허리 위치에 취부공(7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동부(PB)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되는 두부(PH)에 개구(노치 74a, 74b)가 형성되어 있고, 계합부(71a, 71b)의 각각에 있어서의 개구가 탄성부(72)에 의한 건너지름 거리를 두고 서로 대향하고 있고, 계합부(71a, 71b)가 서로 전방으로 굽혀지는 것에 의해 연결 대상물 (한 쌍의 연결 핀(24))에 대한 파지 상태 (후술 하는 도 6(c))를 실현하는 한편, 계합부(71a, 71b)가 서로 후방으로 경사지는 것에 의해 해방 상태(도 6(b))를 실현하는 것 같은 개폐구조 내지는 파지구조로 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는, 지지 브라켓(4)에의 연결 수단(7)의 설치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지지 브라켓(4(4b))의 상부와 연결 수단(7)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지지 브라켓(4)의 상부에는, 2개의 취부공(43(43a, 43b))이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은 취부 부재(44a)가, 지지 브라켓(4)의 취부공(43a)과 연결 수단(7)의 취부공(73a)에 삽통되어, 취부 부재(44b)가 취부공(43b)과 취부공(73b)에 삽통되는 것에 의해, 연결 수단(7)의 계합부(71a 및 71b)는 각각, 지지 브라켓(4)에 대해, 취부 부재(44)를 축으로 하여 이것에 수직한 면 내에서 요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연결 수단(7)이 지지 브라켓(4)에 장착된 상태로, 연결 수단(7)의 계합부(71)에 설치된 노치(74(74a, 74b))의 저부(77(77a, 77b))와, 지지 브라켓(4)의 지지단(42)이 대략 동일 높이가 되도록, 연결 수단(7) 및 지지 브라켓(4)은 미리 설계되는 것으로 한다.
다만, 지지 브라켓(4)의 취부공(43a와 43b)에 대해서는, 양자의 중심 간격(D1)이, 취부전의 상태 (잘라냄 가공 후의 상태)의 연결 수단(7)에 있어서의 취부공(73a)와 (73b)과의 중심 간격(D2)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연결 수 단(7)이 지지 브라켓(4)에 장착될 때에는, 연결 수단(7)의 취부공(73a)와 (73b)와의 중심 간격이 D1이 되도록, 탄성부(72)에 외부로부터 압축력을 작용시키면서 장착된다. 이때, 탄성부(72)에는 휨 탄성력이 생기고 있는 것이 되어, 탄성부(72)는, 길이가 긴 용수철 탄성체, 보다 구체적으로는 판 용수철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연결 수단(7)은, 도 5(a) 또는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72)가 수평 위치로부터 상하 어느 쪽의 방향으로 휜 상태(젖혀진 상태)로, 지지 브라켓(4)에 장착되게 된다. 즉, 연결 수단(7)은, 탄성부(72)를 강제적으로 직선상으로 했을 때에 그 탄성 에너지가 피크가 되고, 이 임계 형상의 전후의 상태 (볼록 휨 상태와 오목 휨 상태)에서는 탄성 에너지가 낮아지도록, 지지 브라켓(4)에 장착되게 된다. 또한, 계합부(71a, 71b)도, 도 5(a) 또는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72)의 휨의 상태에 따라서, 각각에 대응한 자세를 취하게 된다. 즉, 탄성부(72)는 직선 형상을 임계 형상으로 하여, 그 전후에서는 탄성 방향이 플러스 방향 (볼록 휨 방향)과 마이너스 방향 (오목 휨 방향)으로 반전하는 탄성 특성을 가지고 있어, 탄성부(72)가 위로 볼록하게 휘도록 배치되었을 때는, 각각의 계합부(71a, 71b)의 노치(74a, 74b)가 이반할 것 같은 자세를 취하고, 탄성부(72)가 아래로 볼록하게 휘도록 배치되었을 때는, 노치(74a, 74b)는 접근할 것 같은 자세를 취하게 된다.
연결 수단(7)을 장착할 때는, 어느 쪽의 상태를 택일적으로 취하게 되지만, 장착된 후는, 탄성부(72)에 대해, 상하 어느 쪽의 방향으로부터, 탄성부(72)를 눌러 내리거나 또는 밀어 올리는 것 같은 외력을 작용시키는 것에 의해, 일방의 상태로부터 타방의 상태로 교대로 변경하는 것은 가능하다. 다만, 그 중간의 상태를 취 할 수는 없다. 컨베이어 프레임(21)과 지지 브라켓(4)의 연결은, 연결 수단(7)이, 이러한 2개의 상태 중 어느 쪽을 택일적으로 취하고, 또한 각각의 상태를, 외력에 의해 교대로 변경시킬 수가 있는 것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도 6은, 컨베이어 프레임(21)과 지지 브라켓(4)의 연결의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도 6(c)의 상태에 있어서의 연결 핀(24)의 근방을 확대한 도면이다. 우선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브라켓(4)에 장착되고 있는 연결 수단(7)은, 탄성부(72)가 상방향으로 휜 상태, 환언하면, 계합부(71a, 71b)가 서로 이반하는 자세를 취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프레임(21)의 연결 핀(24)이 지지 브라켓(4)의 지지단(42)으로 맞닿아 접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컨베이어 프레임(21)은, 지지 브라켓(4)으로 재치(載置)된 것으로 된다. 또한, 1쌍의 연결 핀(24)은, 중심 간격 D3가, 상술한 취부공(43)의 중심 간격 D1보다도 작은 값으로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컨베이어 프레임(21)이 재치되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력 F에 의해 탄성부(72)가 하방으로 눌러 내려질 수 있다. 이 작업은, 작업자가 지지 브라켓(4)에 설치된 개구부(45)에 손을 넣는 것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45)는, 컨베이어 프레임(21) 하방의 시인성의 향상이나, 차폐에 의해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목적으로 설치되고 있는 것이다.
이 압하(눌러내려짐)에 따라서,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72)는 하방으로 휘게 된다. 그리고 이것에 수반하여, 각각의 계합부(71a, 71b)도, 각각이 보다 접근하는 자세로 변화하고, 도 7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노치(74)의 상부(78(78a, 78b))와 연결 핀(24)이 계합하는 자세로 변화한다. 이때, 연결 핀(24)에 대하여, 노치(74)의 상부(78)로부터, 구속력(F1)이 작용하게 된다. 컨베이어 프레임(21)의 지지단(42)에 맞닿아 접하는 각 연결 핀(24)이, 이 구속력(F1)을 상방으로부터 받는 것에 의해, 하나의 연결 수단(7)이 두군데에서 컨베이어 프레임(21)과 지지 브라켓(4)을 연결하게 된다. 중량 검사 장치(1)의 양측면에서 각각 해당 연결을 행하는 것으로, 컨베이어 프레임(21) 전체가, 지지 브라켓(4)과 연결되게 된다. 여기서, 연결 수단(7)이 도 6(c)의 상태에 있을 때, 연결 수단(7)은 제1 상태에 있게 되어, 계합부(71)는 제1 요동 위치에 있게 된다. 연결 수단(7)이 도 6(b)의 상태에 있을 때, 연결 수단(7)이 제2 상태에 있게 되고, 제2 요동 위치에 있게 된다. 또한, 노치(74)는 서로 대향해 배치되어 있고, 각각이 연결 핀(24)을 외측으로부터 끌어안는 방향으로 계합이 행하여지므로, 이러한 노치(74)에 오퍼레이터의 의복이나 작업용구가 걸려 버리는 일이 없다.
연결을 해제하는 경우는, 상술의 경우와 반대로, 탄성부(72)의 하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탄성부(72)에 대해 외력을 작용시키면 좋다. 이것에 의해, 연결 수단(7)은 도 6(b)의 상태로 돌아와, 연결 수단(7)과 연결 핀(24)의 계합은 해제된다.
즉, 연결 수단(7)은, 연결 핀(24)과의 계합과 그 해제를, 이른바 토글 기구에 의해 택일적으로 행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프레임(21)이 진동 등에 의해 덜컹거리는 경우, 연결 핀(24)은 도 8에 도시한 힘 F2나 힘 F3 등의 힘을 연결 수단(7)에 대해 작용 시키게 된다. 여기서, 힘 F2와 F3라는 것은, 연결 핀(24)과 노치(74)의 상부(78)와의 접점을 지나는 법선 n에 대해, 서로 다른 측에 작용하는 힘이라고 한다. 힘 F2는, 계합부(71)를, 도 7에 도시한 화살표 AR1이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동시켜, 노치(74)와 연결 핀(24)의 계합을 해제시키려고 하는 힘으로서 작용하지만, 계합부(71)의 화살표 AR1의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탄성부(72)의 휘어짐을 해소하려고 하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이므로, 탄성부(72)에 있어서는, 이것에 대한 반작용이 생겨, 힘 F2가 작용하지 않는 상태보다도 탄성력이 강해지게 된다. 또한, 노치(74)의 상부(78)는, 도 8에 도시한 경우이면 오른쪽으로 내려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계합부(71)는, 기하학적으로 볼 때, 노치(74)와 연결 핀의 계합을 보다 강하게 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게 된다. 그 결과, 계합 상태는 유지되게 된다. 한편, 힘 F3는, 연결 수단(7)에 있어서 계합을 보다 강하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므로, 이러한 힘이 작용하여도, 계합 상태는 유지된다. 또한, 연결 핀(24)의 하방은 지지 브라켓(4)의 지지단(42)에 맞닿아 접하고 있으므로, 연결 핀(24)를 하방으로 눌러 내리는 힘이 컨베이어 프레임(21)에 작용해도, 이것에 의해 계합이 해제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컨베이어 프레임(21)은, 부주의로 빠지는 일이 없고, 덜컹거리는 일도 없고, 지지 브라켓(4)으로 항상 안정하게 지지 고정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중량 검사 장치(1)에 있어서는, 연결 수단(7)의 탄성부(72)를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계합부(71)가 요동하고, 이것에 의해 컨베이어 프레임(21)과의 계합과 해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탄성부(72)의 휨 탄성과 다른 방향으로의 젖혀진 상태를 이용한 간단한 토글 구조에 의해, 컨베이어 프레임(21)과 지지 브라켓(4)의 연결과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탄성부(72)는 부재를 절곡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 수단(7)은 제조가 용이하고, 또한 판 용수철이므로 토글 기구로서의 동작의 신뢰성도 높다. 이것에 의해, 간단한 구조 및 조작으로 컨베이어 프레임(21)의 탈착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중량 검사 장치(1)는, 컨베이어 프레임의 고정의 안정성을 실현하면서, 그 구조가 간단한 것이 되기 때문에, 강성을 유지하면서 포장 중량을 저감할 수가 있어, 이것에 의해 계량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구조가 간단해서, 먼지가 쌓이기 어렵고 위생적이다.
[변형예]
연결 수단(7)의 구조는, 상술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9는, 다른 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c)는 어느 것도, 이른바 오토 래치(auto latch)가 실현되는 경우의 연결 수단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9(a)의 경우, 노치 단부(81)가 상방으로 향해 해방되어 있으므로, 컨베이어 프레임을 고정할 때, 연결 핀(24)이 우선 노치 단부(81)에 맞닿아 접한다. 이 상태로, 컨베이어 프레임(21)을 지지 기구로 향하여 눌러 내리면, 그 누름 압력은 연결 핀(24)으로부터 노치부(81)로 작용하여, 그것이 탄성부(82)를 하방으로 휘도록 변형시킬 방향으로의 힘이 되는 것과 함께, 연결 핀(24)이 노치 단부(81)로부터 노치의 안쪽부로 안내된다. 이것에 의해, 컨베이어 프레임(21)과 지지 브라켓(4)의 연결을 보다 간단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컨베이어 프레임(21)을 떼어낼 때도, 계합을 해제하면, 컨베이어 프레임(21)을 그대로 상방으로 들어 올릴 수가 있어, 용이하게 떼어낼 수가 있다.
또한, 도 9(b)의 연결 수단(7c)은, 보다 큰 연결 핀(24)을 이용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도 9(c)에 도시한 연결 수단(7d)은, 연결 핀(24)의 안내를 보다 확실히 행하여, 한편 연결을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 수단의 탄성부는, 판 용수철의 구조를 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도 10은, 다른 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에 도시한 연결 수단(7e)은, 탄성부(85)가 계합부와는 별도의 부재의 코일 용수철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도 10(a)에 도시한 연결 수단(7f)은, 상술의 연결 수단(7)과 같게 일체 가공된 것이지만, 탄성부(86)가 길이가 긴 원통 형상으로 설치되고 있는 점이 상위하다. 또한, 별도의 부재에 의하든, 일체 가공에 의하든, 탄성부가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괜찮다. 탄성부를 별도의 부재로 구성하는 경우는, 이것들에서도, 상술과 같은 토글 기구가 실현 가능하다.
또한, 연결 수단이, 계합부의 노치가 각각 외향으로 여는 구조를 가져, 연결 핀(24)의 페어를 내측으로부터 끌어안도록 하여, 연결 핀과의 연결을 실현하는 태양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상술의 실시예와 같이, 노치가 내향으로 열려 있는 경우와 비교해, 탄성부의 길이를 짧게 할 수가 있으므로, 연결 수단을 작게 할 수가 있어, 공간절약화를 꾀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연결 기구의 탄성부를 탄성변형 시키는 것보다 계합부가 요동하여 컨베이어 프레임과의 계합과 해제를 행하 는 것이 가능하고, 탄성을 이용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컨베이어와 지지 구조의 연결과 분리가 가능한 것과 함께,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먼지가 쌓이기 어렵고 위생적이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연결 기구가 휨 탄성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보다 간단한 구조에 의해 컨베이어와 지지 구조의 연결과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탄성 에너지의 피크를 넘기는 힘을 탄성부에게 주는 것보다 , 탄성부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의 사이에 서로 천이 하는 토글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컨베이어와 지지 구조의 연결이나 해제가 특히 용이하다.
또한,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휨 탄성체의 다른 방향의 휘어진 상태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토글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휨 탄성체를 사용한 연결 수단에 의해 복수 개소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컨베이어와 지지체가 연결한 상태에 있어서, 제1과 제2의 노치의 페어가 내향으로 열어 제1과 제2의 피계합부의 페어를 외측으로부터 끌어안는 경우, 외향으로 열려 있는 경우와 비교해, 이러한 노치에 오퍼레이터의 의복이나 작업 용구가 걸려 버리는 것 같은 일이 없다. 한편, 제1과 제2의 노치의 페어가 외향으로 열어 제1과 제2의 피계합부의 페어를 내측으로부터 끌어안는 경우, 내향으로 열려 있는 경우와 비교해, 휨 탄성체의 길이를 짧게 할 수가 있으므로, 연결 수단을 작게 할 수가 있어, 공간절약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탄성부가 제2 상태에 있을 때 컨베이어를 연결 수단상에 재치해 노치의 안내면에 피계합부를 맞닿아 접하도록 하여, 컨베이어 프레임을 지지 기구로 향해 누르면, 그 누름 압력은 피계합부로부터 노치의 안내면에 작용해, 그것이 탄성부를 제1 상태로 변형시킬 방향으로의 힘이 되는 것과 함께, 피계합부가 노치의 안쪽부에 안내된다. 따라서, 컨베이어 프레임을 지지 기구로 향해 눌러 내리는 것에 의해, 컨베이어와 지지 기구의 연결을 간단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컨베이어에 가해진 외력에 의해 부주의하게 연결이 빠지는 일이 없다.
또한, 청구항 9의 발명에 의하면, 구조가 특히 간단이고, 제조도 용이하다.
또한, 청구항 10의 발명에 의하면, 연결 수단의 형상 자유도가 높다.
또한, 청구항 11의 발명에 의하면, 구조가 특히 간단하고, 신뢰성도 높다.
또한, 청구항 12의 발명에 의하면, 연결 기구의 탄성부를 탄성변형 시키는 것보다 계합부가 요동해 컨베이어 프레임과의 계합과 해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휨 탄성을 이용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컨베이어와 지지 구조의 연결과 분리가 가능한 것과 함께,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먼지가 쌓이기 어렵고 위생적이다.
또한, 청구항 13의 발명에 의하면, 단순한 구조로 컨베이어 프레임이 안정하게 고정되므로, 강성을 유지하면서 포장 중량을 저감할 수가 있어, 이것에 의해 계량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Claims (13)

  1. 지지 구조로 지지된 컨베이어에 의해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프레임과 착탈 자재로 연결하는 연결 수단이 상기 지지 구조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연결 수단이,
    탄성을 가지고, 제1 방향으로 젖혀진 상태인 제1 상태와 당해 제1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젖혀진 상태인 제2 상태간에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판용수철과,
    상기 판용수철의 단부 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판용수철의 탄성변형에 수반해 요동하여 상기 컨베이어의 프레임에 형성된 피계합부와 계합 가능한 계합부
    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판용수철이 상기 제1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계합부가 제1 요동 위치로 되어 상기 피계합부와 계합하는 것과 함께,
    상기 판용수철이 상기 제2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계합부가 제2 요동 위치로 되어 상기 피계합부로부터 이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용수철이, 상기 지지 구조에 고정된 2 지축간에 압박된 상태로 걸쳐져 있고,
    상기 계합부가 상기 판용수철의 양단 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 연결 수단에는 제1과 제2의 계합부가 존재하는 한편,
    상기 컨베이어의 프레임에는, 상기 제1과 제2의 계합부에 대응하는 제1과 제2의 피계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 제2의 피계합부가, 상기 컨베이어의 반송 방향을 따라 서로 이간하여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제1과 제2의 계합부는, 상기 제1과 제2의 피계합부에 대략 대향하는 제1과 제2의 노치를 각각 가지고 있고,
    상기 판용수철이 상기 제1 상태로 이행했을 때에, 상기 제1과 제2의 노치의 페어가 상기 제1과 제2의 피계합부의 페어를 외측 또는 내측 중 어느 쪽으로부터 끌어안는 방향으로 계합이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 제2의 노치의 상호 간격이 상기 2 지축의 상호 간격보다 짧고,
    상기 제1과 제2의 노치의 내벽의 소정 부분이, 상기 제1과 제2의 피계합부를 각각의 노치의 안쪽부로 안내하는 안내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 제2의 계합부와 상기 제1과 제2의 피계합부가 각각 계합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각각의 계합 접촉면을 개입시켜 상기 제1과 제2의 피계합부로부터 상기 제1과 제2의 계합부에 작용하는 힘이, 해당 계합을 강하게 하는 방향의 성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9. 제1항,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용수철과 상기 계합부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10. 제1항,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용수철과 상기 계합부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11. 삭제
  12. 지지 구조로 지지된 컨베이어에 의해 물품을 반송하면서, 상기 물품에 관한 검사를 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항,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송 장치와,
    상기 반송 장치의 컨베이어상에 존재하는 물품에 대해 상기 검사를 위한 계측을 행하는 계측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에 연결된 중량 측정 수단을 상기 계측 수단으로서 구비하고,
    상기 물품의 중량 측정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KR1020040033700A 2003-05-13 2004-05-13 반송 장치 및 검사 장치 KR1011204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34443A JP4307901B2 (ja) 2003-05-13 2003-05-13 搬送装置および検査装置
JPJP-P-2003-00134443 2003-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949A KR20040097949A (ko) 2004-11-18
KR101120481B1 true KR101120481B1 (ko) 2012-02-29

Family

ID=33525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700A KR101120481B1 (ko) 2003-05-13 2004-05-13 반송 장치 및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307901B2 (ko)
KR (1) KR101120481B1 (ko)
CN (1) CN10052276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936B1 (ko) 2006-06-21 2010-02-04 대주전자재료 주식회사 툴리움을 포함하는 백색 발광다이오드용 형광체 및 그제조방법
JP5064973B2 (ja) 2007-11-02 2012-10-31 株式会社イシダ 重量検査装置
EP2517987A1 (de) * 2011-04-29 2012-10-31 Mettler-Toledo Garvens GmbH Förderbandeinrichtung
CN107879110B (zh) * 2016-09-30 2024-03-26 上海宝弥金属制品有限公司 玻璃支撑条、玻璃周转架及玻璃处理方法
CN115924352B (zh) * 2023-02-13 2023-10-10 广东源憬健康科技有限公司 垃圾自动处理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2773A (en) * 1961-09-21 1963-03-26 Tip Top Products Company Hair clip
JPH07237722A (ja) * 1994-03-01 1995-09-12 Nikka Densoku Kk コンベア装置
JP2001315941A (ja) * 2000-05-11 2001-11-13 Ishida Co Ltd コンベア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物品検査機器
KR20020029421A (ko) 2000-05-11 2002-04-18 이시다 다게시 컨베이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품검사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2773A (en) * 1961-09-21 1963-03-26 Tip Top Products Company Hair clip
JPH07237722A (ja) * 1994-03-01 1995-09-12 Nikka Densoku Kk コンベア装置
JP2001315941A (ja) * 2000-05-11 2001-11-13 Ishida Co Ltd コンベア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物品検査機器
KR20020029421A (ko) 2000-05-11 2002-04-18 이시다 다게시 컨베이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품검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22762C (zh) 2009-08-05
KR20040097949A (ko) 2004-11-18
CN1550430A (zh) 2004-12-01
JP4307901B2 (ja) 2009-08-05
JP2004338823A (ja)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2584B1 (ko) 컨베이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품검사기기
KR101120481B1 (ko) 반송 장치 및 검사 장치
US20030057058A1 (en) Conveyance apparatus and boxing system
EP3476584A1 (en) Bag opening apparatus and bag opening method
JP2010526003A (ja) コンベヤチェーンのためのファスナーアセンブリ、当該コンベヤチェーンとともに使用するためのキャリア、ならびにコンベヤチェーンを変更するための方法
EP0530334A1 (en) LATCH FOR SILICON WAFER STORAGE BOXES.
CN1171162A (zh) 将信息卡连接在钩环上的连接装置
TW467773B (en) Weighing apparatus
JP4442990B2 (ja) コンベア装置を備えた重量チェッカ
KR101067609B1 (ko) 과일 선별기
JP2020064016A (ja) 組合せ秤の直進フィーダ
EP2032754B1 (en) A household device
JPH11343018A (ja) コンベアと該コンベアを用いた計量装置
CN210743602U (zh) 一种取货托盘及hiv自助检测终端
JP3816312B2 (ja) 計量コンベア及びそれを備えた計量装置
CN216574637U (zh) 振动装置
JP4323594B2 (ja) 計量機
US8047249B2 (en) Strip pack apparatus
JP4487601B2 (ja) 搬送コンベア
JP3585732B2 (ja) ワークガイド付計量装置
CN216686299U (zh) 自适应翻筐输送装置及分选系统
CN218698934U (zh) 一种针插式机械手
ES2295694T3 (es) Bolsa de transporte para articulos delicados para el vaciado cuidadoso.
CN216945056U (zh) 一种具有缓冲保护功能的上料装置
JP2012250825A (ja) 物品移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