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6357A - 차량용 외부 문 손잡이 - Google Patents

차량용 외부 문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6357A
KR20020026357A KR1020027001090A KR20027001090A KR20020026357A KR 20020026357 A KR20020026357 A KR 20020026357A KR 1020027001090 A KR1020027001090 A KR 1020027001090A KR 20027001090 A KR20027001090 A KR 20027001090A KR 20020026357 A KR20020026357 A KR 20020026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d
shell
door handle
front strip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1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8957B1 (ko
Inventor
헬무트 클라인
라인하르트 칠라
Original Assignee
코페슐레거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91625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002635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코페슐레거,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코페슐레거
Publication of KR20020026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6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9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6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t one en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05B81/78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as part of a hands-free locking or unlocking operation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문 손잡이는 전자 구성부품(16)의 수용을 위한 공동(14)을 가지며, 하나 이상의 U자형 쉘(21,22) 형태로된 브래킷형 손잡이(10)이다. 오물 형성을 촉진하는 접합 이음매(18)가 가시면상에 형성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가시면에 있는 상기 단일 또는 다수의 쉘(21,22) 위로 C자형의 단면으로된 전방 스트립(20)이 코팅된다. 상기 C자형 전방 스트립(20)의 양쪽 단부 섹션(25)은 상기 단일 또는 다수의 쉘(21,22)과 위로 및 아래로 접촉되고, 그 위치에서 단단히 고정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외부 문 손잡이 {EXTERNAL DOOR HANDLE MAINLY INTENDED FOR VEHICLES}
전자 구성부품의 수용을 위하여 문 손잡이에는 공동(空洞)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기존의 문 손잡이는 U자형 하부 쉘 및 이 U자형 하부 쉘의 U자형 다리와 결합된 상부 쉘, 즉 2개의 쉘(shell)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정면에서 보았을 때 하나의 접합 이음매가 생기게 되는데, 이 접합 이음매는 시각적으로 보기에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이 부위의 오염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접합 이음매를 통해서 쉘 사이에 있는 공동 안으로 습기가 들어차서 그 안에 있는 구성 부품의 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서문에 제시된 종류(DE 42 29 930 C1호)의 외부 문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그 밖의 조치 및 장점은 종속항, 하기의 서술 및 도면에 의하여 증명된다. 본 도면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2개의 실시예 및 선행 기술이 도시된다.
도 1은 2개의 쉘로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도 2의 화살표(Ⅰ)의 주시 방향에서 본 손잡이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교선(Ⅱ-Ⅱ)을 따라 손잡이를 관통하여 횡단면을 도시한 두꺼운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에 상응하며, 단일 쉘로서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이며,
도 4는 도 2에 상응하며, 도 5의 교선(Ⅳ-Ⅳ)을 따르는, 선행 기술에 의한 손잡이의 외형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선행 기술에 의한 손잡이를 도 4의 도면부호(Ⅴ)의 주시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2에 상응하며, 단일 쉘로서 구성된 도 10의 단면(Ⅵ-Ⅵ)에 대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이며,
도 7은 도 6에 따라 단일 쉘로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도 6의 화살표(Ⅶ)의 주시 방향에서 본 손잡이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Ⅷ-Ⅷ)의 단면이 투시된 손잡이의 전방에 대한 배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Ⅸ-Ⅸ)에 대한 단면이며,
도 10은 단일 쉘로서 구성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단점을 극복하며, 특히 우수하며, 필요에 따라 양쪽 쉘의 분해가 가능한, 청구항 제 1 항의 서문에 명시된 종류의 내구성 있는 외부 문 손잡이를 제시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에 소개되어 있으며, 하기와 같은 특별한 중요성을 갖는 조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양자 사이에 공동이 형성되어 있는 단일 또는 다수의 U자형 쉘 위로 C자형 전방 스트립을 덧붙인다. 단일의 U자형 쉘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방 스트립의 C자형 단부 섹션이 U자형 쉘의 개구를 직접적으로 덮는다. 그러므로 가시면에 있는 접합 이음매는 원칙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제 7 항에 따른 변형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손잡이가 2개의 쉘, 즉 U자형 하부 쉘 및 상부 쉘로 구성되어 이 사이에 공동이 존재한다면, 특별한 중요성을 갖는다. 이 경우에 C자형 전방 스트립은 U자형 단면 하부 쉘에 맞서고 있는 상부 쉘을 누르는 브래킷(bracket)과 같은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양쪽 쉘 사이의 이미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 브래킷에 의한 결합이 추가된다. 어쨌든 이와 같이 쉘의 양쪽을 조이게되면, 가시면에 있는 쉘 사이의 접합 이음매가 뒤덮이게 된다. 접합 이음매가 여전히 남아 있기는 하지만, 쉘 사이의 공간 내부로 오염 물질 또는 습기가 들어오는 것은 실질적으로 방지된다. 일종의 미로와 같은 구조이다. 필요에 따른 분해가 가능한 것은, C자형 전방 스트립의 단부 섹션이 위, 아래 홈에 물려져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U자형 하부 쉘에 조여져야할 전방 스트립의 방향으로 하나의 U자형 개구가 구비된다. 이 U자형 개구 내부로 전자 구성부품을 가진 지지부가 꼭 맞게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하부 쉘 위에 고정된 전방 스트립의 전방 단부가 지지부가 내장된 하부 쉘의 U자형 개구를 뒤덮는다.
상기 지지부는 경질물로 이루어진 하나의 용기로서 그 위가 개방되어 있어서, 그 곳으로부터 문 손잡이의 제작시에 전자 구성부품이 용기 내부로 장치될 수있다. 전자 구성부품이 미끄러지거나 또는 매질이 출현(예를 들면 물로부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 용기 내에 있는 전자 구성부품에 예컨대 연질물을 녹여 주조한다. 바람직하게 이와 같이 위쪽으로 나 있는 용기 개구로 인하여, 이 용기의 개방된 윗부분이 평평하며, 또한 그럼으로써 용기에 주물화합물이 적정한 비율로 채워질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외부 문 손잡이 중에서 단지 바깥쪽에서 보여지는 브래킷형 손잡이(10)만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소위 풀링 그립(pulling grip)으로 형성된 이 손잡이의 양쪽 손잡이 단부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기저부에서 움직여지도록 지지된다. 이 기저부는 일반적으로 문 또는 문짝의 내면에 있다. 손잡이(10) 옆에는, 필요에 따라 폐쇄 실린더(closing cylinder)를 수용할 수 있는, 도 1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소위 "실린더 타워(cylinder tower)"가 있다. 실린더 타워(13)는 손잡이(10)의 움직임과는 관계가 없다.
손잡이(10)에는 도 2에 도시되는 공동(14)이 만들어지며, 이 공동 내부에 전자 구성부품을 위한 지지부(15)가 배치된다. 전자 구성부품(16)으로는 안테나 역할을 하는 페라이트봉(ferrite rod)이 적합하다. 도 2의 횡단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동(14)이 생겨 나도록 하고, 전자 구성부품(16) 및 이 전자 구성부품을 위한 지지부(15)를 내장하기 위해서, 손잡이(10)는 2개의 쉘로 형성된다.
후자의 경우는, 도 4 및 도 5에서 분명해지는 것과 같이 선행 기술에도 해당된다. 도 4 및 도 5에서는 동일한 구성 부품을 명명하는데 있어서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는데, 단지, 차이점은 아포스트로피(')가 사용된다는 점이다. 여기서의 손잡이(10')는 공동(14')의 형성을 위해 2개의 쉘(21',22')로 이루어진다. 특별히 여기서는 U자형 단면 하부 쉘(21')의 양쪽 U자형 다리(23')가 상부 쉘(22')에 의해서 결합된다. 양쪽 쉘(21',22')은 충분히 탄력적인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위의 결합에는 클립결합(24')이 이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따른 결합의 경우에는 손잡이(10')의 가시면(17')에 접합 이음매(18')가 생기게되고, 이 접합 이음매를 통해서 습기 또는 오염물질이 맞물려있는 클립결합(24')을 거쳐서 공동(14') 내부로 침투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손잡이(10')의 가시면은 금속의 장식물(19')로 치장될 수 있다.
지금까지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도 1 및 도 2에 따른 손잡이(10)는 유사한 구조이다. 도 4 및 도 5와 연관지어 설명된 구성부품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물론 아포스트로피(')가 없이, 도면에 도시된다. 지금까지의 설명이 여기에 해당한다. 단지 차이점을 밝히기에는 충분하다.
도 1 및 도 2의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10)에서는 C자형의 단면으로된 전방 스트립(20)이 사용되어, 양쪽 쉘(21,22)의 가시면 위로 걸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전방 스트립(20) 자체가 손잡이의 가시면(17)이 되어, 접합 이음매(18)를 덮게 된다. 전방 스트립(20)의 C자형 단부 섹션(25)은 계단형 리세스(26)가 위치한 양쪽 쉘(21,22)의 외부 영역위로 접촉된다. 마지막으로, 자유로운 양쪽 C자형 단부(27)는 위, 아래 홈(29,28)에 끼워지고, 그 위치에 깊숙이 배치된다. 결합에 있어서는 상기 전방 스트립(20)에 의하여 양쪽 쉘(21,22)이 꺾쇠로 죄듯이 결합된다.
양쪽 쉘(21,22)에 있는 앞서 언급한 계단(26)은 대략 전방 스트립(20)의 단부 섹션(25)의 두께에 상응하는 만큼의 깊이를 갖는다. 그럼으로써 손잡이(10)는, 전방 스트립(20)이 꽉 물려졌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 돌출하지 않은 외형(30)을 갖게 된다. 전방 스트립(20)쪽의 면에는 또한 장식물(19)이 치장될 수 있다. 고정된 전방 스트립(20)과 이 전방 스트립이 뒤덮고 있지 않으며, 전방 스트립과 경계를 이루고 있는 양쪽 쉘(21,22)의 영역 사이에는 도 2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단 이음매"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차단 이음매(31)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를 외형상 보기 좋게 할뿐이다. 도 3에서 밝혀진 기존의 접합 이음매(18')와 관련한 위험성은 이 차단 이음매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양쪽 쉘(21,22) 사이에는 폐쇄된 벽이 놓여 있으므로, 차단 이음매(31)의 영역 내부로 침투하는 습기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10)의 공동(14)에까지 도달하지 못한다.
도 3에서는 도 2에 비해서 공간 절약적인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10")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된다.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부품을 표시하는데 있어서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되므로, 지금까지의 설명은 여기에 해당된다. 단지 차이점을 밝히기에는 충분하다.
발명에 있어서는 단지 단일의 U자형 쉘(21)만이 제공되며, 양쪽 U자형 다리(23") 사이에 있는 이 U자형 쉘(21)의 개구(32)는 전방 스트립(20")의 상부 C자형 단부 섹션(25") 바로 앞에서 덮여 있다. 이 상부 C자형 단부 섹션(25")의 내면에도 또한 공동(33)이 제공된다. 양쪽 단부 섹션(25")은 사실상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도 3에 나타난 조립화살표(34)의 방향으로 양쪽 구성부품(21,20")을 서로밀어 넣음으로써 조립이 가능하게 한다. 즉, 자동적인 스냅 결합(snap joint)이 되며, 이 스냅 결합부(35)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냅부분(36)은 단부 섹션(25")의 내부면(38)마다 있으며, 톱니형 리세스로 형성된다. U자형 쉘(21)의 바닥영역(39)에는 이에 맞게 짝을 이루는 스냅부분(37)이 있으며, 톱니형 돌출부로 형성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손잡이(10")에 있어서 쉘(21)의 외부 U자형 다리(23")에는 그 단부(40)에 톱니형 돌출부(37)가 만들어진다. 상기 부분(37,38)은 특수한 방식으로 단면이 절삭된다.
그러므로 전방 스트립(20")의 슬라이딩 방향(34)으로 작용하는 톱니 측면은 구부러진 경사면(41)을 갖게되고, 연장된 C자형 단부(27")는 조립시에 이 구부러진 경사면의 반대를 향해 움직인다. 톱니형 리세스(36)가 톱니형 돌출부(37)에 멈춰 설 때까지는, 양쪽 C자형 단부 섹션(25")이 근소하게 기울어진다. 맞은 편에 놓여 작용하게 되는 톱니 측면(42)이 급경사로 형성되기 때문에, 도 3에 나타난 화살표(43)의 방향으로 상기 구성부품(21,22")을 반대로 움직여서 해체하는 일은 쉽지 않다. 그러므로 해체(43)는 멈춰 서있는 양쪽 단부 섹션(25")이 적절하게 확장된 이후에 가능하다.
도 3에 따른 손잡이(10")에 대한 제 2 실시예에서는, 여기서 개별적인 쉘(21)에 있는 U자형 공간(44)이 전자 구성부품(16)을 위한 이미 언급한 지지부(15)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으로 도시된다. 이 경우에 바닥영역(39) 및 양쪽 다리의 단부(40)는 계단모양으로 형성되지 않고, 양쪽 C자형 단부 섹션(25")의 내부면(38)과 표면 접촉된다.
도 6 및 도 10에 따른 손잡이(10"')에 대한 제 3 실시예에서는 하부 쉘(21"')이 가로로 놓여진 U자의 형태로서, 이 U자형 하부 쉘의 U자형 개구가 거기에 있는 전방 스트립(20"') 쪽을 향하게 된다. U자 형태는 양쪽 다리(47) 및 하부 쉘(21"')의 바닥(48)으로 인해서 형성된다. 바닥(48)과 양쪽 다리(47) 사이에 U자형 공간(44')이 생겨나고, 이 안으로 경질물로된 용기인 지지부(15)가 측면에 있는 U자형 개구(32')로부터 삽입된다. 이 용기(15) 안에는 방수 및 충격에 견디도록 전자장치(16)가 주물화합물(46)로 주조된다. 이 용기(15)는 위쪽이 개방되어 있어서, 제작시 전자장치가 위로부터 용기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또한 용기 윗부분의 열려진 표면을 통해서 주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U자형 하부 쉘(21"')의 U자형 개구(32')는 전방 스트립(20"')의 전방부(45)에 의하여 덮어진다. 이 전방 스트립(20"')은 하부 쉘(21"')에 있는 위, 아래 홈(29',28') 내부로 후크모양의 C자형 단부(27)가 삽입됨으로써 하부 쉘(21"')에 단단히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 스트립(20"')의 가시면(17)에 이음매가 없다. 오히려 본 실시예에서 볼 수 있는 차단 이음매(31)는 각각 C자형 단부 섹션(25)과 하부 쉘(21"')의 다리(47)의 노출된 외부면 사이에서 찾을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서는, 작동시 손잡이(10"')에 있는 케이블(50) 접속 기구가 도시된다. 예컨대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그 밖의 모든 실시예에 해당된다. 손잡이(10"')에 있어서 하부 쉘(21"')에 있는 손잡이의 단부(12) 영역에 관통구(52)가 제공되어, 이 관통구를 용기/지지부로부터 나온 케이블(50)이 관통한다. 상기 관통구는 또한 예컨대 (52'),(52") 및 (52"')의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보다 많은 관통구(52),(52'),(52"),(52"')가 제공될 수 있다. 케이블 접속 기구는 손잡이가 차량 문에 조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덮여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케이블(50)은 하나의 접속 플러그(51)를 포함하는데, 이 접속 플러그에 의해서 용기(15) 안에 있는 전자장치가 차량의 전자장치에 접속된다.

Claims (17)

  1. 문의 외부면에 배치되는 브래킷 모양의 적어도 국부적으로 속이 빈 손잡이(10",10"')로 이루어지고, 공동(44,44') 내부에 전자 구성부품(16)을 수용하며,
    하나 이상의 U자형 쉘(21;21")을 포함하고, 상기 쉘의 U자형 공간(44,44')이 전자 구성부품(16)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차량용 외부 문 손잡이에 있어서,
    결합시 가시면에 있는 쉘(21";21"')위로 C자형의 단면으로된 전방 스트립(20",20"')이 걸쳐지며,
    상기 전방 스트립(20",20"')의 양쪽 C자형 단부 섹션(25")이 각기 쉘(21";22"')의 주변영역을 위 및 아래로 덮게되고, 그 위치에서 단단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문 손잡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자형 전방 스트립(20",20"')의 C자형 단부 섹션(25",25"')이 쉘(21)에 있는 U자형 쉘의 개구(32)를 직접적으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문 손잡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쉘(21"')에 있는 U자형 쉘의 개구(32')가 C자형 전방 스트립(20"')의 전방부(45) 쪽을 향하도록 정렬됨으로써, 상기 전방 스트립(20"')의 전방부(45)가 쉘(21"')에 있는 U자형 쉘의 개구(32')를 직접적으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문 손잡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자형 전방 스트립(20")의 양쪽 C자형 단부 섹션(25")의 내부면(38)마다, 톱니형 리세스와 같은, 단면으로된 스냅부분(36)이 구비되며,
    결합시 상기 스냅부분(36)에 이에 맞게 짝은 이루는, 톱니형 돌출부와 같은, 쉘의 스냅부분(37)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문 손잡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자형 전방 스트립(20",20"')은 서로 평행하게 진행되는 C자형 단부 섹션(25,25")을 가지며,
    결합에 있어서는 상기 C자형 단부 섹션(25")이, C자형 전방 스트립(20")의 측면을 쉘 쪽으로 밀어 넣어 조립(34)하는 가운데, 쉘(21",21"') 및 (21,22)과 스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문 손잡이.
  6. 제 1 항 내지 제 2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부분 및 이와 짝을 이루는 스냅부분(36,37)은 톱니형이며,
    상기 톱니형에 있어서 C자형 전방 스트립(20")의 미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톱니 측면은 C자형 단부 섹션에 대해서 구부러진 경사면(41)을 가지며, 반면에 반대방향에서는 급경사의 톱니 측면(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문 손잡이.
  7. U자형 하부 쉘(21) 및 이 U자형 하부 쉘의 U자형 다리(23)와 결합된 상부 쉘(22), 상기 두 부분(21,22)이 결합하는 가운데,
    상기 양쪽 쉘(21,22) 사이의 가시면에 하나의 접합 이음매(18)가 결합시에 생겨나며,
    그 공동(14) 내부에 전자 구성부품(16)을 수용하며, 문의 외부면에 배치되는 브래킷 모양의 속이 빈 손잡이(10)로 이루어진, 차량용 외부 문 손잡이에 있어서,
    결합시 가시면에 있는 상기 양쪽 쉘(21,22) 위로 C자형의 단면으로된 전방 스트립(20)이 걸쳐지며,
    상기 전방 스트립(20)의 C자형 단부 섹션(25)은 각기 쉘(21,22)의 주변영역을 위 및 아래로 덮게되고, 그 위치에서 단단히 고정되며,
    상기 C자형 전방 스트립(20)에 의하여 - 결합시에 - 접합 이음매(18)가 뒤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문 손잡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자형 전방 스트립의 C자형 단부 섹션(25)에는 후크모양으로 구부러진 자유로운 C자형 단부(27)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 스트립(20)의 양쪽 C자형 단부는 상부 쉘(22)에 있는 위 홈(29)및 하부 쉘(21)에 있는 아래 홈(28)에 깊숙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문 손잡이.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스트립(20)과 위 및 아래로 접하는 하부 쉘 및 상부 쉘(21,22)의 영역에는 계단형 리세스(26)가 형성되며,
    상기 리세스(26)는 위 홈(29) 및 아래 홈(28)에서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문 손잡이.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립시에 상기 전방 스트립(20)의 외형(30)은 쉘(21) 및 (21,22)에 평평하게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문 손잡이.
  11. 제 1 항 내지 제 2 항, 제 5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는 U자형 하부 쉘(21") 및 이 U자형 하부 쉘의 U자형 다리(47)와 결합된 전방 스트립(20"'), 상기 두 부분(21",20"')의 결합이며,
    상기 C자형 전방 스트립의 C자형 단부 섹션(25)에는 후크모양으로 구부러진 자유로운 C자형 단부(27)가 구비되며,
    결합시 상기 전방 스트립(20"')의 양쪽 C자형 단부는 하부 쉘(21")에 있는 위 홈(29') 및 하부 쉘(21")에 있는 아래 홈(28)에 깊숙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외부 문 손잡이.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6개의 벽면중 5개의 벽면으로 둘러싸인 하나의 용기(15)이며, 상기 용기에 있는 전자 구성부품(16,16')에는 방수를 위하여 주물재료가 녹여 주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문 손잡이.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쉘(21;21',21")에 있는 손잡이의 단부(12) 영역에 감싸여진 하나 이상의 케이블 접속 기구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관통구(52;52';52";52"')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문 손잡이.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스트립(20;20")의 가시면에는 바람직하게 장식물(19)이 끼워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문 손잡이.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용기(15)는 경질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문 손잡이.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조립이후에 상기 손잡이(10"')에 있는 지지부/용기(15)의 개구는 위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문 손잡이.
  17. 제 1 항 또는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14,44,44") 내에 있는 전자 구성부품(16)은 차량의 액서스 권한(right of access)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문 손잡이.
KR10-2002-7001090A 1999-07-27 2000-07-20 차량용 도어의 바깥쪽 손잡이 KR1004789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35290.9 1999-07-27
DE19935290A DE19935290B4 (de) 1999-07-27 1999-07-27 Türaußengriff, insbesondere für Fahrzeuge
DE29916091U DE29916091U1 (de) 1999-07-27 1999-09-14 Türaußengriff, insbesondere für Fahrzeuge
DE29916091.2 1999-09-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357A true KR20020026357A (ko) 2002-04-09
KR100478957B1 KR100478957B1 (ko) 2005-03-28

Family

ID=7916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1090A KR100478957B1 (ko) 1999-07-27 2000-07-20 차량용 도어의 바깥쪽 손잡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78957B1 (ko)
DE (2) DE19935290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63778B4 (de) * 2001-06-27 2008-01-24 Witte-Velbert Gmbh & Co. Kg Griff mit integrierter Antenne und Sensorelektrode
DE10131102B4 (de) * 2001-06-27 2017-06-08 Witte-Velbert Gmbh & Co. Kg Mit Schlüssel und Außentürgriff ausgestattete Schließvorrichtung für eine Kraftfahrzeugtür
DE102005046119B4 (de) * 2005-09-26 2015-01-2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Türgriff
DE102006055100A1 (de) * 2006-11-21 2008-05-29 Kiekert Ag Türgriff mit Blende und Elektronikbauteil-Träger
DE102007006735B4 (de) * 2007-02-07 2013-04-25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Kraftfahrzeugtür mit Innengriffanordnung
DE102007024594A1 (de) 2007-04-11 2008-10-16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Außengriff an Türen oder Klappen von Fahrzeugen
DE102007011080A1 (de) * 2007-03-07 2008-09-1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Außengriff an Türen oder Klappen von Fahrzeugen
DE502007001131D1 (de) * 2007-05-08 2009-09-03 Huf Huelsbeck & Fuers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üraußengriffes
DE202007016121U1 (de) 2007-11-19 2009-04-02 Witte-Velbert Gmbh & Co. Kg Griff für eine Kraftfahrzeugtür mit Zierleiste
DE102009057005A1 (de) 2009-12-04 2011-06-09 Audi Ag Türgriff für eine Fahrzeugtür
IT1404660B1 (it) * 2010-06-22 2013-11-29 Valeo Spa Maniglia per sportello di veicolo comprendente un pezzo decorativo
FR3054260B1 (fr) * 2016-07-22 2018-07-1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ysteme de commande d’ouverture d’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29930C1 (ko) * 1992-09-08 1993-04-29 Mercedes-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DE19537984C2 (de) * 1995-03-04 2001-02-22 Kiekert Ag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das Türschloß einer Kraftfahrzeugtür
DE19749311A1 (de) * 1997-11-07 1999-05-12 Valeo Gmbh & Co Schliessyst Kg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Türgrif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935290A1 (de) 2001-02-08
DE19935290B4 (de) 2007-04-05
KR100478957B1 (ko) 2005-03-28
DE29916091U1 (de) 200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95531B2 (ja) とくに車両のための外側ドアハンドル
KR20020026357A (ko) 차량용 외부 문 손잡이
EP0781971B1 (en) Door handle assembly
GB2343483B (en) Driven hinge with automatic driver-operated lock
JP4238756B2 (ja) 防雨入線カバー
JPH0641830B2 (ja) 冷蔵庫の扉体
EP0736941B1 (fr) Boítier pour appareillage electrique
CA2506264A1 (en) Corner cover for a cabinet
KR840001585Y1 (ko) 자동 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JP2731290B2 (ja) 飾り部材付き冷蔵庫扉
JPH04184066A (ja) 冷蔵庫の扉
IE912755A1 (en) "A Lintel"
JP3493216B2 (ja) 扉及びこの扉を有する冷蔵庫
JP3849407B2 (ja) 車両開口部周りの部品取付構造
KR0123789Y1 (ko) 방향지시등설치를 겸한 루프몰딩
JPS6223923Y2 (ko)
JPH03110372A (ja) 冷蔵庫の扉
JPS62211111A (ja) 成形体の開口部分へのインサ−ト成形方法
JP2004353270A (ja) 目地構造
KR100371364B1 (ko) 냉장고용 센서 브래키트
JP4427128B2 (ja) 机の支持脚へのカバー部材の取付構造
KR910006408Y1 (ko) 조립식 철제 문틀
JP3973890B2 (ja) モール
JP2547873Y2 (ja) ランプ用レンズ及びハウジングの固定構造
JPH0726184Y2 (ja) 自動車等のフロント硝子用モールデイ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