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957B1 - 차량용 도어의 바깥쪽 손잡이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의 바깥쪽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957B1
KR100478957B1 KR10-2002-7001090A KR20027001090A KR100478957B1 KR 100478957 B1 KR100478957 B1 KR 100478957B1 KR 20027001090 A KR20027001090 A KR 20027001090A KR 100478957 B1 KR100478957 B1 KR 100478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d
shell
handle
door
sh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1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6357A (ko
Inventor
헬무트 클라인
라인하르트 칠라
Original Assignee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91625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7895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20026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6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9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6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t one en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05B81/78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as part of a hands-free locking or unlocking operation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U자형 쉘(21, 22)에 의해 형성되고 전자 부품(16)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부(14)를 가진 브래킷(bracket)-형상의 손잡이(10)를 구비한 도어 바깥쪽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물 형성을 촉진하는 접합 이음매(18)(contact joint)가 가시면(visible side)상에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하나 이상의 쉘(21,22)이 가시면상에서 C자형 전방 스트립(20)(front profile)으로 커버된다. 상기 C자형 전방 스트립(20)의 양쪽 단부 섹션(25)은 상기 단부 섹션이 고정되는 장소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쉘(21, 22)의 상부 또는 하부와 접촉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의 바깥쪽 손잡이 {EXTERNAL DOOR HANDLE MAINLY INTENDED FOR VEHICLES}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기술된 유형(독일 공개 특허 출원서 제 197 45 149호)의 도어 바깥쪽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도어 손잡이는 전자 부품의 수용을 위하여 공동부(空洞部, hollow space)를 구비한다. 따라서, 기존의 손잡이는 C자형 하부 쉘(base shell) 및 상기 하부 쉘의 레그 단부와 연결된 C자형 상부 쉘(cover shell)을 포함하는 2개의 쉘(shell)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쉘 단부의 스냅-온 연결(snap-on connection)이 도어 손잡이로서 사용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제공해주지 못한다는 단점, 그리고 정면에서 보았을 때 시각적으로 혼란을 일으키는 하나의 접합 이음매(contact seam)가 형성된다는 단점이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와 같이 눈에 보이는 장소(visible location)에서는 제조 허용 오차가 특히 두드러지기 때문이다. 상기 이음매는 또한 오물이 상기 정면에 쌓일 수 있는 가능성 그리고 쉘들 사이에 있는 내부 공간 안으로 습기가 침투하여 그곳에 있는 부품의 기능을 손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또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수직 상태의 내부 쉘 안에 전자 부품을 매립하는 것도 영구적인 해결 방법이 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상기 합성수지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흘러내리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조치 및 장점들은 종속항, 하기의 설명부 및 도면에서 기술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은 2개의 실시예 및 종래 기술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2개의 쉘로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도 2의 화살표(Ⅰ)의 방향에서 바라본 손잡이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절단선(Ⅱ-Ⅱ)을 따라 손잡이를 절단하여 확대 도시한 횡단면이고,
도 3은 도 2에 상응하며, 단일 쉘로 형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이며,
도 4는 도 2에 상응하며, 도 5의 절단선(Ⅳ-Ⅳ)을 따라 공지된 손잡이의 외관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공지된 손잡이를 도 4의 도면 부호 (Ⅴ)의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2에 상응하고, 단일 쉘로 형성되었으며, 도 10의 절단선(Ⅵ-Ⅵ)에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이고,
도 7은 도 6에 따라 단일 쉘로 형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도 6의 화살표(Ⅶ)의 방향에서 바라본 손잡이의 평면도이며,
도 8은 손잡이의 전방부를 후방에서 투시한, 도 7의 절단선(Ⅷ-Ⅷ)을 따라 절단한 단면이고,
도 9는 도 8의 절단선(Ⅸ-Ⅸ)을 따라 절단한 단면이며,
도 10은 단일 쉘로 형성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단점들을 방지하는 동시에, 2개 쉘들 사이에서 특히 우수하면서도 필요한 경우에는 분해가 가능한 연결 방식을 실현시키는, 청구항 1의 특징부에 기술된 유형의 신뢰할만한 도어 바깥쪽 손잡이를 개발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청구항 1에 기술된 조치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조치는 하기와 같은 특별한 중요성을 갖는다.
사이에 공동부가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U자형 쉘은 C자형 전방 스트립에 의해 커버된다. 단 하나의 U자형 쉘만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방 스트립의 C자형 단부 섹션이 상기 U자형 쉘의 개구를 직접 커버한다. 그렇게 되면 눈에 보이는 면, 즉 가시면(visible side)에서는 접합 이음매가 기본적으로 회피된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7에 따른 변형 실시예에서와 같이, 손잡이가 2개의 쉘, 즉 U자형 하부 쉘(base shell) 및 상부 쉘(cover shell)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쉘들 사이에 공동부가 형성된 경우에도 특별한 중요성을 갖는다. 이 경우 C자형 전방 스트립은 U자형으로 형성된 하부 쉘을 향해 상부 쉘을 프레스 하는 클램프(clamp)와 같은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은 클램프 방식의 연결은 2개 쉘 사이를 연결시키는 기존의 통상적인 연결 방식에 추가된다. 2개의 쉘이 이와 같은 클램프 방식으로 연결되면, 2개 쉘 사이의 접합 이음매가 눈에 보이는 면에서는 반드시 커버된다. 상기 접합 이음매가 계속해서 존재하더라도, 쉘 사이의 공간 내부로 오물 또는 습기가 침투하기는 상당히 어렵다. 일종의 미로(labyrinth)와 같은 경로가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분해될 수 있는 연결은, C자형 단부가 위·아래에 있는 홈(groove) 내부에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적용될 전방 스트립의 방향으로 하나의 U자형 개구를 구비한 U자형 하부 쉘로 구성된다. 상기 U자형 개구 내부로 전자 부품을 갖는 지지부가 정확한 형상으로 삽입된다. 이 때 상기 하부 쉘 상에 결합된 전방 스트립의 전방 섹션은 지지부가 내장된 하부 쉘의 U자형 개구를 커버한다.
상기 지지부는 경질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용기로서 위쪽이 개방되어 있음으로써, 도어 손잡이의 제작 동안 상기 개방된 장소로부터 전자 장치가 상기 용기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미끄러져서 매질(예컨대 물)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용기 내에서 예컨대 연질 플라스틱 재료로 싸여 있다. 이와 관련하여 용기는 위쪽으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용기의 개방된 상부면이 평평하기 때문에 용기가 주조 재료(casting material)로 균일하게 채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면에는 도어 바깥쪽 손잡이 중에서 다만 외측에서 보여지는 브래킷 형태의 손잡이(10)만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소위 풀링 그립(pulling grip)으로 형성된 상기 손잡이의 양쪽 단부(11, 12)는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기저부(base part)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기저부는 일반적으로 도어 또는 문짝의 내부면에 있다. 손잡이(10) 옆에는 도 1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폐쇄 실린더(closing cylinder)를 수용할 수 있는 소위 "실린더 타워(cylinder tower)"가 있다. 상기 실린더 타워(13)는 손잡이(10)의 동작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손잡이(10)에는 도 2에 도시된 공동부(14)가 제공되며, 상기 공동부 내에 전자 부품을 위한 지지부(15)가 배치된다. 전자 부품(16)은 안테나로서 기능하는 페라이트 봉(ferrite rod)일 수 있다. 공동부(14)를 형성하여 전자 부품(16) 및 상기 전자 부품용 지지부(15)를 삽입하기 위해, 손잡이(10)는 도 2의 횡단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쉘로 구성된다.
후술된 내용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도 적용된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상응하는 부품들을 명명하기 위해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되는데, 다만 차이점이 있다면 아포스트로피(')가 사용된다는 점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손잡이(10')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동부(14')를 형성하기 위해 2개의 쉘(21', 22')로 구성된다. 상기 2개의 쉘은 U자형 하부 쉘(21')을 포함하고, 상기 쉘의 2개의 U자형 레그(23')는 상부 쉘(22')에 의해서 연결된다. 상기 2개의 쉘(21', 22')이 충분한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U자형 레그를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해 스냅 연결부(24')(snap connection)가 제공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따른 연결의 경우에는 손잡이(10')의 가시면(17')(visible side)에 접합 이음매(18')가 생기게 되고, 이 접합 이음매를 통해 습기 또는 오물이 상기 스냅 연결부(24')를 거쳐 공동부(14') 내부로 침투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손잡이(10')의 가시면에는 금속으로 된 장식용 커버(19')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 1 및 도 2에 따른 손잡이(10)도 전술한 내용과 관련하여 비교 가능한 구성을 갖는다.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이미 기술된 부품들이 도 1 및 도 2에서는 상응하는 도면 부호로, 그러나 아포스트로피(')가 없는 부호로 도시된다. 따라서, 전술한 내용이 적용된다. 다만 차이점을 지적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도 1 및 도 2의 손잡이(10)의 경우에는, 가시면에서 볼 때 2개 쉘(21,22)을 커버하는 C자형 전방 스트립(20)이 사용된다. 이 때 전방 스트립(20) 자체는 손잡이의 실제 가시면(17)을 형성하여 접합 이음매(18)를 커버한다. 전방 스트립(20)의 C자형 단부 섹션(25)은 계단형 리세스(26)가 제공된 2개 쉘(21, 22)의 둘레 영역을 커버한다. 마지막으로, 2개의 C자형 단부(27)가 위·아래 홈(29, 28)에 끼워지고, 상기 홈에 깊숙이 배치된다. 연결 상태에서는 상기 전방 스트립(20)에 의해 2개의 쉘(21, 22)이 꺾쇠로 죄듯이(clamping) 연결된다.
상기 2개 쉘(21, 22) 상에 있는 전술한 계단형 리세스(26)는 대략 전방 스트립(20)의 단부 섹션(25)의 두께에 상응하는 깊이를 갖는다. 따라서 손잡이(10)는, 전방 스트립(20)이 클램프 방식으로 결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돌출부가 없는 외형(30)을 갖는다. 전방 스트립(20)에는 또한 장식용 커버(19)가 제공될 수도 있다. 고정된 전방 스트립(20)과 상기 전방 스트립에 의해 커버되지 않으면서 전방 스트립과 인접하고 있는 2개 쉘(21, 22)의 영역 사이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그림자 이음매(shadow seam)"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그림자 이음매(31)는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외관만을 좋게 할 뿐이다. 상기 그림자 이음매(31)는 도 3의 공지된 접합 이음매(18')와 관련하여 언급된 위험을 내포하지 않는다. 2개 쉘(21, 22)의 경우에는 상기 2개 쉘 사이에 폐쇄된 벽이 배치됨으로써, 그림자 이음매(31)의 영역 내부로 침투하는 습기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10)의 공동부(14)에 도달할 수 없게 된다.
도 3은 도 2에 비해 공간 절약적인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10")의 제 2 실시예를 보여준다. 상응하는 부품을 지시하기 위해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되기 때문에, 이와 관련해서는 전술한 내용이 적용된다. 다만 차이점을 지적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본 발명에 따라 단 하나의 U자형 쉘(21)만이 제공되며, 2개의 U자형 레그(23") 사이에 있는 상기 U자형 쉘(21)의 개구(32)는 전방 스트립(20")의 상부 C자형 단부 섹션(25")에 의해 직접 커버된다. 상기 상부 C자형 단부 섹션(25")에도 또한 내부 공동부(33)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단부 섹션(25")은 실제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딩 조립 화살표(34)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2개 부품(21, 20")의 슬라이딩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에는 자동적인 스냅 연결부(35)(snap connection)가 형성되며, 상기 스냅 연결부(35)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구현된다.
하나의 스냅 부재(36)는 단부 섹션(25")의 내부면(38)에 배치되고 톱니형 리세스(tooth recess)로 형성된다. U자형 쉘(21)의 바닥 영역(39)에는 상응하는 카운터 스냅 부재(37)가 있으며, 상기 부재는 톱니형 돌출부(tooth projection)로 형성된다. 그에 상응하게, 손잡이(10")상에 있는 쉘(21)의 외부 U자형 레그(23")는 자신의 단부(40)에 상기와 같은 톱니형 돌출부(37)를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부재들(37, 38)은 특이한 방식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전방 스트립(20")의 슬라이딩 조립 화살표(34)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이뿌리면(tooth flank)은 접촉 경사면(41)을 갖게 되고, 연장된 C자형 단부(27")가 조립 동안에 상기 접촉 경사면을 향해 충돌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2개의 C자형 단부 섹션(25")은 톱니형 리세스(36)가 톱니형 돌출부(37)에 물릴 때까지 약간 확장된다. 도 3에 도시된 역이동 화살표(43)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2개 부품(21, 20")의 해체 작업은 용이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마주보고 배치되어 상기 방향으로 작용하는 이뿌리면(42)이 급경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역이동 화살표(43)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해체 작업은 맞물린 2개의 단부 섹션(25")이 상응하게 확장된 후에만 가능하다.
도 3에 따른 손잡이(10")의 제 2 실시예에서는, 단 하나의 쉘(21)의 U자형 공간(44)이 전자 부품(16)용의 전술한 지지부(15)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부이다. 이 경우 바닥 영역(39) 및 2개의 레그 단부(40)는 계단 모양으로 형성되지 않고, 2개의 C자형 단부 섹션(25")의 내부면(38)과 국부적으로 접촉된다.
도 6 및 도 10에 따른 손잡이(10"')의 제 3 실시예에서는 하부 쉘(21"')이 가로로 놓여진 U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U자형 하부 쉘의 U자형 개구는 그곳에 제공된 전방 스트립(20"')을 향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U자 형상은 2개의 레그(47) 및 상기 하부 쉘(21"')의 바닥(48)으로 구성된다. 바닥(48)과 2개 레그(47) 사이에는 U자형 공간(44')이 형성되며, 경질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용기로서 형성된 지지부(15)가 측면 U자형 개구(32')를 통해 상기 U자형 공간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용기(15) 안에서는, 방수 및 충격 방지를 목적으로 전자 장치(16)가 주조 재료(46)로 싸여 있다. 용기(15)가 위로 개방되어 있음으로써, 전자 장치는 제작 동안 위로부터 용기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또한 용기 윗부분의 열려진 표면을 통해서 캡슐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U자형 하부 쉘(21"')의 U자형 개구(32')는 전방 스트립(20"')의 전방 섹션(45)에 의하여 커버된다. 상기 전방 스트립(20"')은 하부 쉘(21"') 상에서 위·아래 홈(29', 28')에 물려지는 후크 모양의 C자형 단부(27)에 의해 하부 쉘(21"')에 단단히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 스트립(20"')의 가시면(17)에 이음매가 없다. 그 대신에 본 실시예에서 볼 수 있는 그림자 이음매(31)가 C자형 단부 섹션(25)과 하부 쉘(21"')의 레그(47)의 외부면 사이에 각각 제공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9에는, 손잡이(10"')의 케이블(50)의 접속부(exit)가 어느 동작에 있는지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내용은 본 발명의 다른 모든 실시예에도 예로서 적용된다. 손잡이(10"')의 하부 쉘(21"')에서 손잡이 단부(12)의 영역에는 관통구(52)가 제공되고, 용기/지지부(15)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50)이 상기 관통구를 통과한다. 상기 관통구는 예컨대 위치(52', 52" 및 52"')에도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와 같은 다수의 관통구(52, 52', 52", 52"')가 제공될 수 있다. 손잡이가 차량 도어상에 장착된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 접속부가 커버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보이지 않는다. 케이블(50)은 하나의 접속 플러그(51)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 플러그에 의해서 용기(15) 안에 제공된 전자 장치가 차량의 전자 시스템에 접속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 손잡이 10": 10의 대안(도 3)10"': 10의 대안(도 6) 11, 11': 10 또는 10'의 손잡이 단부12: 손잡이 단부 13, 13': 10, 10'에 있는 실린더 타워14, 14': 10 또는 10' 내에 있는 공동부15, 15': 16 또는 16'을 위한 지지부, 용기16, 16': 전자 부품, 페라이트 봉 17, 17': 10 또는 10'의 가시면18, 18': 21, 22 또는 21', 22' 사이의 접합 이음매19, 19': 장식용 커버 20: 10에 있는 C자형 전방 스트립20": 10"를 위한 전방 스트립(도 3) 20"': 10"를 위한 전방 스트립(도 6)21, 21', 21", 21"': U-쉘, U자형 하부 쉘22, 22': 상부 쉘 23, 23': 21 또는 21'의 레그23": 10"에 있는 21의 레그(도 3)24, 24': 23, 22 또는 23', 22' 사이의 스냅 연결부25: 20의 단부 섹션 25": 20"의 단부 섹션(도 3)26: 21, 22내에 있는 계단형 리세스 27: 20의 후크 형태의 C자형 단부27": 25"의 단부 28, 28': 21, 21"내에 있는 아래 홈29: 22내에 있는 위 홈 29': 21'내에 있는 위 홈30: 10의 외형 31: 25에 있는 그림자 이음매32: 21의 개구(도 3) 32': 21"'의 개구(도 6)33: 25"의 공동부(도 3)34: 20"을 위한 슬라이딩 조립 화살표(도 3)35: 36, 37의 스냅 연결부 36: 35의 스냅 부재, 톱니형 리세스37: 35의 카운터 스냅 부재, 톱니형 돌출부38: 25"의 내부면(도 3) 39: 21의 바닥 영역40: 23"의 정면 레그 단부(도 3) 41: 37의 접촉 경사면42: 37의 가파른 이뿌리면 43: 20"의 해체 화살표(도 3)44: 21내에 있는 공간(도 3) 44': 21" 내에 있는 공간(도 6)45: 20"'의 정면 섹션 46: 주조 재료47: 10"'에 있는 21"'의 레그 48: 10"'에 있는 21"'의 바닥50: 케이블 51: 접속 플러그52: 관통구 52', 52", 52"': 관통구들

Claims (17)

  1. 도어의 외부면에 배치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속이 빈 브래킷(bracket)-형상의 손잡이(10", 10"')로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10", 10"')가 하나 이상의 U자형 쉘(21, 21"')을 포함하고, 상기 쉘의 U자형 공간(44, 44')은 전자 부품(16)을 수용하기 위해 이용되며,
    연결된 상태에서는 가시면에서 상기 U자형 쉘(21, 21"') 위로 C자형 전방 스트립(20"; 20"')이 걸쳐져서 그곳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차량용 도어의 바깥쪽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전방 스트립(20", 20"')의 2개의 C자형 단부 섹션(25", 25)이 위로부터 또는 아래로부터 각각 상기 U자형 쉘(21", 21"')의 추가적인 주변 영역에 결합되며,
    위가 개방된 지지부 내에 배치된 전자 부품(16)은 방수 가능하도록 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바깥쪽 손잡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자형 전방 스트립(20")의 하나의 C자형 단부 섹션(25")이 위를 향하고 있는 쉘(21)의 U자형 쉘 개구(32)를 직접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바깥쪽 손잡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쉘(21"')의 U자형 개구(32')가 상기 C자형 전방 스트립(20"')의 전방 섹션(45)에 대하여 정렬되고, 상기 전방 스트립(20"')의 전방 섹션(45)은 상기 쉘(21"')의 U자형 개구(32')를 직접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바깥쪽 손잡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자형 전방 스트립(20")의 2개의 C자형 단부 섹션(25")은 자신의 내부면(38)에 톱니형 리세스(36)로 형성된 스냅 부재(36)를 포함하고,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냅 부재가 쉘(21)상에 톱니형 돌출부(37)로 형성된 대응 스냅 부재(37)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바깥쪽 손잡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자형 전방 스트립(20", 20"')은 실제로 서로 평행하게 뻗는 C자형 단부 섹션(25, 25")을 구비하며, 연결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C자형 전방 스트립(20", 20"')이 슬라이딩 조립 화살표(34)의 방향으로 조립됨으로써 상기 C자형 단부 섹션(25, 25")이 상기 쉘(21, 21"')상에 스냅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바깥쪽 손잡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 부재(36) 및 대응 스냅 부재(37)는 톱니 형상을 가지며, 상기 톱니 형상은 상기 C자형 전방 스트립(20")의 슬라이딩 조립 화살표(34)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이뿌리면에 상기 C자형 단부 섹션(25")을 위한 접촉 경사면(41)을 가지는 한편, 반대 방향(43)으로는 급경사의 이뿌리면(42)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바깥쪽 손잡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는 U자형 하부 쉘(21) 및 상기 U자형 하부 쉘의 U자형 레그(23)와 연결된 상부 쉘(22)로 이루어진 2가지 부분(21, 22)의 조합이며,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2개 쉘(21, 22) 사이에서 가시면에 접합 이음매(18)가 나타나고, 상기 2개 쉘(21, 22) 사이에 있는 공동부(14)는 전자 부품(16)을 수용하기 위해서 이용되며, 상기 C자형 전방 스트립(20)의 C자형 단부 섹션(25)은 후크 모양으로 구부러진 C자형 단부(27)를 구비하며,
    연결된 상태에서는 가시면에서 상기 2개의 쉘(21, 22) 위로 전방 스트립(20)이 걸쳐지며, 상기 전방 스트립(20)의 2개의 C자형 단부 섹션(25)은 위로부터 또는 아래로부터 각각 상기 쉘(21, 22)의 주변 영역에 결합되어, 상부 쉘(22)의 상부 홈(29) 및 하부 쉘(21)의 하부 홈(28) 안에 깊숙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바깥쪽 손잡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스트립(20)의 위 또는 아래 결합 영역에서는 하부 쉘 및 상부 쉘(21, 22)이 계단형 리세스(26)를 포함하며, 상기 리세스(26)는 상부 홈(29) 및 하부 홈(28)에서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바깥쪽 손잡이.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방 스트립(20, 20", 20"')의 외형(30)이 동일 평면에서 쉘(21, 22, 21"')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바깥쪽 손잡이.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스트립(20, 20", 20"')의 가시면에 장식용 커버(19)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바깥쪽 손잡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품(16)용 지지부는 6개의 면 중에서 5개의 면이 벽으로 둘러싸인 용기(15)이며, 손잡이(10, 10", 10"') 내에 조립된 후에는 상기 용기(15)의 개구가 위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바깥쪽 손잡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5)가 경질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바깥쪽 손잡이.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2-7001090A 1999-07-27 2000-07-20 차량용 도어의 바깥쪽 손잡이 KR1004789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35290.9 1999-07-27
DE19935290A DE19935290B4 (de) 1999-07-27 1999-07-27 Türaußengriff, insbesondere für Fahrzeuge
DE29916091U DE29916091U1 (de) 1999-07-27 1999-09-14 Türaußengriff, insbesondere für Fahrzeuge
DE29916091.2 1999-09-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357A KR20020026357A (ko) 2002-04-09
KR100478957B1 true KR100478957B1 (ko) 2005-03-28

Family

ID=7916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1090A KR100478957B1 (ko) 1999-07-27 2000-07-20 차량용 도어의 바깥쪽 손잡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78957B1 (ko)
DE (2) DE19935290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63778B4 (de) * 2001-06-27 2008-01-24 Witte-Velbert Gmbh & Co. Kg Griff mit integrierter Antenne und Sensorelektrode
DE10131102B4 (de) * 2001-06-27 2017-06-08 Witte-Velbert Gmbh & Co. Kg Mit Schlüssel und Außentürgriff ausgestattete Schließvorrichtung für eine Kraftfahrzeugtür
DE102005046119B4 (de) * 2005-09-26 2015-01-2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Türgriff
DE102006055100A1 (de) * 2006-11-21 2008-05-29 Kiekert Ag Türgriff mit Blende und Elektronikbauteil-Träger
DE102007006735B4 (de) * 2007-02-07 2013-04-25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Kraftfahrzeugtür mit Innengriffanordnung
DE102007024594A1 (de) 2007-04-11 2008-10-16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Außengriff an Türen oder Klappen von Fahrzeugen
DE102007011080A1 (de) * 2007-03-07 2008-09-1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Außengriff an Türen oder Klappen von Fahrzeugen
DE502007001131D1 (de) * 2007-05-08 2009-09-03 Huf Huelsbeck & Fuers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üraußengriffes
DE202007016121U1 (de) 2007-11-19 2009-04-02 Witte-Velbert Gmbh & Co. Kg Griff für eine Kraftfahrzeugtür mit Zierleiste
DE102009057005A1 (de) 2009-12-04 2011-06-09 Audi Ag Türgriff für eine Fahrzeugtür
IT1404660B1 (it) * 2010-06-22 2013-11-29 Valeo Spa Maniglia per sportello di veicolo comprendente un pezzo decorativo
FR3054260B1 (fr) * 2016-07-22 2018-07-1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ysteme de commande d’ouverture d’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29930C1 (ko) * 1992-09-08 1993-04-29 Mercedes-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DE19537984C2 (de) * 1995-03-04 2001-02-22 Kiekert Ag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das Türschloß einer Kraftfahrzeugtür
DE19749311A1 (de) * 1997-11-07 1999-05-12 Valeo Gmbh & Co Schliessyst Kg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Türgrif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935290A1 (de) 2001-02-08
KR20020026357A (ko) 2002-04-09
DE19935290B4 (de) 2007-04-05
DE29916091U1 (de) 200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8957B1 (ko) 차량용 도어의 바깥쪽 손잡이
JP3695531B2 (ja) とくに車両のための外側ドアハンドル
GB2342939B (en) Internal bottom hole assembly
GB2343483B (en) Driven hinge with automatic driver-operated lock
JP4238756B2 (ja) 防雨入線カバー
KR200454618Y1 (ko) 프라이팬
JPH0626922B2 (ja) 自動車の窓ガラス用周縁モ−ル
DE69926038D1 (de) Schloss mit automatischer Entriegelung beim Öffnen
JPS5938835Y2 (ja) 手すりの笠木接合具
FR2732826A1 (fr) Boitier pour appareillage electrique
ITMI960399U1 (it) Impugnatura come manico maniglia o pomolo per un recipiente di cottura
JP2537076Y2 (ja) サッシ枠用コーナーピース
JPH0630976Y2 (ja) 水切りカバーの連結構造
JPS6223923Y2 (ko)
JP3030801U (ja) 浴槽蓋
TW356175U (en) Cable lock with closed type connecting cover
JP3687538B2 (ja) 軒樋の止水器の取り付け構造
JP3524198B2 (ja) 目地ガスケットの取付方法及びその取付治具
KR0123789Y1 (ko) 방향지시등설치를 겸한 루프몰딩
KR200186615Y1 (ko) 낚싯대 케이스 밑판 가리개
JPH0230714Y2 (ko)
JPH0436357Y2 (ko)
JPS622475A (ja) 防水形コンセントの製法
JP2536568Y2 (ja) 照明カバー
JPH05942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