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4324A - 버클 장치 - Google Patents

버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4324A
KR20020024324A KR1020027001855A KR20027001855A KR20020024324A KR 20020024324 A KR20020024324 A KR 20020024324A KR 1020027001855 A KR1020027001855 A KR 1020027001855A KR 20027001855 A KR20027001855 A KR 20027001855A KR 20020024324 A KR20020024324 A KR 20020024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buckle
locking bar
lev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1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1342B1 (ko
Inventor
사토아키라
야마다나오히로
Original Assignee
야마다 히로가즈
아시모리 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9501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10198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22950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046118A/ja
Application filed by 야마다 히로가즈, 아시모리 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야마다 히로가즈
Publication of KR20020024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4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3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44B11/24Buckle with movable pro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 A44B11/2523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astening a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 Y10T24/45639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including pivotally connected element on receiving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 Y10T24/4566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including slidably connected and guided element on receiving member
    • Y10T24/45665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including slidably connected and guided element on receiving member for shifting pivotally connected interlocking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 Y10T24/4566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including slidably connected and guided element on receiving member
    • Y10T24/4567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including slidably connected and guided element on receiving member for shifting slidably connected and guided, nonself-biasing, interlocking component

Landscapes

  • Buck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텐셔너의 작동에 의해 버클 본체(5)에서 날름쇠 판(2)이 이탈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는 버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훅 부재(20)를 결합 해제 불가능하게 잠그는 잠김 위치와 결합 해제 불가능한 비 잠김 위치에 걸쳐서 회전 가능하되, 또한 비틀림 스프링(105)으로 비 잠김 위치 측으로 항상 부세되는 잠김 레버(100)를 마련하며, 잠김 레버(100)는 그 중심 G에서 편심한 추지축(104)을 사이에 두어 프레임(10)에 회전 자유롭게 피봇 운동하고, 프리텐셔너의 작동 시에 있어서, 버클 본체(5)의 이동 개시 직후에 잠김 레버(100)가 관성력을 받아 잠김 위치로 회전하며, 버클 본체(5)의 급정지 시에 잠김 바(30)가 관성력을 받아 제2 위치로 이동하여 잠김 레버(100)의 잠김 위치에서 비 잠김 위치로의 회전을 억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날름쇠 판(2) 삽입 시에 발생하는 충격음을 저감시켜, 릴리스 버튼(50)에 힘을 인가하는 코일 스프링 부재와 잠김 핀 홀더를 생략하여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하여 날름쇠 판(2)과 버클 본체(5)로서 이루어져서, 버클 본체(5)가 프레임(10)과 훅 부재(20)와 잠김 바(30)와 이젝터(40)와 릴리스 버튼(50)과 코일 스프링(60, 61)과 베이스 커버(64)와 덮개 커버(64)를 가지며, 잠김 바(30)는 그 양단부가 장공(16)으로 삽통되어 한 쌍의 측판부(12)에 가착되어 잠김 바(30)의 양단부는 합성 수지제의 릴리스 버튼의 한 쌍의 가이드 벽부(52)의 한 쌍의 가이드 홈(54)에 결합하여 날름쇠 판(2)을 삽입할 때에 잠김 바(30)가 장공(16)의 전단 부분으로 급속히 이동하지만, 이 때 잠김 바(30)의 단부를 장공(16)의 끝 부분이 아닌 가이드 홈(54)의 끝 부분의 받침부(55)로서 받침한다.

Description

버클 장치{BUCKLE DEVICE}
차량에 장착된 시트 벨트 장치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 안전띠의 도중부(intermediate part)에 이동 가능하게 취부(取付)된 날름쇠 판과, 상기 날름쇠 판이 삽입 및 탈착되는 버클 본체를 구비한 버클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종래 기술에 따른 버클 장치는 탑승자가 장착한 안전띠를 차체 측에 간단하고 확실하게 해제 가능하도록 고정하게 한다.
일본국 공개 실용신안 실개평 제6-66315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 따른 버클 본체는 금속제의 프레임(frame)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또는 요동 가능하게장착되거나 또는 지지되어 날름쇠 판과 연결 ·분리가 가능한 훅 부재(hook member)와 훅 부재의 회전을 잠김(lock) 또는 잠김 해제하는 금속제의 잠김 핀(lock pin)과, 잠김 핀을 유지하는 잠김 핀 홀더(lock pin holder)와, 상기 잠김 핀 홀더 사이에 잠김 핀을 끼워 힘을 인가하는 부세부재(付勢部材; urging member)와, 이젝터(ejector)와 이 이젝터에 힘을 인가하는 스프링 부재와, 코일 스프링에 의해 날름쇠 판을 인출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힘이 인가되어 날름쇠 판을 이탈시키기 위한 릴리스 버튼(release button), 합성 수지제의 베이스 커버(base cover)와 덮개 커버(lid cover)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종래 기술에 개시된 프레임은 기판부와 이 기판부에서 세워진 한 쌍의 측판부(side plate parts)를 가지며, 한 쌍의 측판부에는 한 쌍의 장공(長孔; long hole)이 형성되어 있고, 잠김 핀은 상기 장공에 삽통(揷通)되어 한 쌍의 측판부에 가착된다. 날름쇠 판 삽입 시에는, 날름쇠 판으로써 이젝터(ejector)를 끼워 훅 부재를 회전시켜서 날름쇠 판과 결합시키면, 잠김 핀이 부세부재(付勢部材; urging member)의 부세력(付勢力)으로 제1 위치로 이동하여 훅 부재의 결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억제함으로써, 날름쇠 판과 훅 부재를 결합 상태로 유지한다.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훅(hook) 부재(部材)는 항상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 부세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날름쇠 판과 훅 부재의 결합을 해제하여 날름쇠 판을 이탈시키고자 할 때에는 합성 수지제로 형성된 릴리스 버튼을 압동함으로써, 잠김 핀을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전환하도록 하고, 훅 부재가 결합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날름쇠 판을 이탈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일본국 실용신안 공보 실개평 제6-66311호 공보에 개시된 버클 장치는 기본적 구성으로서 버클 본체; 이 버클 본체에 요동(swing) 가능하게 지지되어 날름쇠 판(tongue plate)에 대하여 결합 상태와 비결합 상태로 전환 가능한 훅 부재; 버클 본체에 지지되어 훅 부재를 결합 상태로 유지하는 제1 위치와, 결합 상태를 해제하는 제2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잠김 핀과; 코일 스프링에 의해 날름쇠 판이 발출(拔出; withdraw)되는 방향으로 부세시키는 릴리스 버튼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일본국 공보의 버클 장치에 있어서는 차량 긴급 상황 시에 안전띠를 밀착시켜 버클 본체를 프리텐셔너가 밀착 방향으로 인입하도록, 잠김 핀의 가까운 곳에 잠김 레버(lock lever)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마운트되어 있다. 날름쇠 판 삽입 시에는, 회전 부세부재에 의해 잠김 레버가 잠김 위치로 회전 힘이 인가되어 잠김 핀을 제1 위치로 이동시켜 유지하고, 날름쇠 판의 이탈 시에는 잠김 레버가 비 잠김 위치(non-locked position)에 강제적으로 회전되어 잠김 핀을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잠김 레버의 근방에는 잠김 레버에 대해서 접근 또는 격리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안내되고 지지되어, 역시 잠김 레버에서 격리 방향으로 스프링 부재에 의해 항상 힘이 인가되는 판 형태의 관성체가 마련되어 있다.
차량 긴급 상황 시에 작동하는 프리텐셔너에 의하여 버클 본체가 안전띠를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인입된 후에 급정지하였을 때, 관성체가 잠김 레버 측으로 관성력을 받침 스프링 부재의 부세력(urging force)에 맞서 이동하며, 잠김 레버에 접촉하여 잠김 레버가 비 잠김 위치 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한다. 즉, 잠김 핀이 잠김 레버를 비 잠김 위치로 회전시켜 훅 부재가 결합 해제되어 날름쇠 판이 버클 본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더구나,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특공평 제4-58963호 공보의 버클 장치에는 날름쇠 판과;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한 래치 부재(latch member); 래치 부재의 결합을 해제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operation member); 조작 부재의 조작에 연동하여 해제 위치로 이동하여 래치 부재를 결합 또는 해제하는 잠김 부재 등 외에 래치 부재의 결합 해제를 방지하도록 하는 잠김 기구(lock mechanism)가 마련되어 있다.
이 잠김 기구에는 조작 부재에 대해 자유롭게 피봇(pivot) 회전되고, 또한 잠김 부재가 이동하는 영역으로 일부가 개입한 이동 규제 부재(移動規制部材; motion restriction member)가 마련되어, 충격 발생 시에 회전하는 이동 규제 부재의 일부가 상기 이동 영역에 존재하는 동안에 이동하는 잠김 부재가 이동 규제 부재에 접촉하여 잠김 부재의 해제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벨트(seat belt) 장치에 마련된 버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날름쇠 판(tongue plate) 삽입 시에 금속 부재(部材)끼리의 충돌 잡음을 낮추고 구조를 단순화시킨 버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버클 본체와 날름쇠 판을 구비한 버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긴급 상황 시에 버클 본체로부터 날름쇠 판이 이탈하지 않도록 구조를 개선한 버클 장치(buckle device)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긴급 상황 시에 프리텐셔너(pretensioner)에 의해 버클 본체가 안전띠(webbing)를 밀착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버클 본체에서 날름쇠 판이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된 버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원 제1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2는 본원 제1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의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종단 사시도.
도3은 본원 제1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의 종단 측면도.
도4는 릴리스 버튼의 가이드 벽부와 가이드 홈 등의 요부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5는 본원 제1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의 종단 측면도(날름쇠 판과 훅 부재가 결합한 상태).
도6은 본원 제1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의 종단 측면도(릴리스 버튼 압동 조작 상태).
도7은 본원 제1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의 종단 측면도(날름쇠 판 이탈 개시 상태 또는 날름쇠 판 삽입 개시 상태).
도8은 릴리스 버튼의 가이드 벽부와 가이드 홈의 중요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9는 변경 형태에 관련된 본원 제1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에 있어서 덮개 커버와 릴리스 버튼의 요부 종단 측면도.
도10은 본원 제2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11은 본원 제2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의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종단 사시도.
도12는 본원 제2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의 종단 측면도.
도13은 본원 제2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날름쇠 판 비 삽입 상태)의 종단 측면도.
도14는 본원 제2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날름쇠 판 삽입 시)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15는 본원 제2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날름쇠 판의 삽입 완료 상태)의 종단 측면도.
도16은 본원 제2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버클 본체 급정지 시)의 종단 측면도.
도17은 잠김 부재와 잠김 바의 확대도.
도18은 본원 제3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의 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19는 본원 제3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를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종단 사시도.
도20은 본원 제3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의 종단 측면도.
도21은 본원 제3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날름쇠 판 비삽입 상태)의 종단 측면도.
도22는 본원 제3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날름쇠 판 삽입 상태)의 종단 측면도.
도23은 본원 제3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버클 본체 이동 개시 직후)의 종단 측면도.
도24는 본원 제3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버클 본체 급정지 시)의 종단 측면도.
도25는 본원 제3의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버클 장치(날름쇠 판 비삽입 상태)의 종단 측면도.
도26은 본원 제3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날름쇠 판 삽입 상태)의 종단 측면도.
도27은 본원 제3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버클 본체 이동 개시 직후)의 종단 측면도.
도28은 본원 제3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버클 본체 급정지 시)의 종단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 버클 장치(buckle device)
2 : 날름쇠 판(tongue plate)
5 : 버클 본체(buckle body)
10 : 프레임(frame)
16 : 장공(長孔; long hole)
18 : 스토퍼부(stopper part)
20 : 훅 부재(hook 部材; member)
30 : 잠김 바(lock bar)
40 : 이젝터(ejector)
43 : 조작부(operation part)
44 : 압동부(pushing part)
50 : 릴리스 버튼(release button)
52 : 가이드 벽부(guiding part)
54, 54A : 가이드 홈(guide groove)
54a : 도입 개구부(import opening part)
55 : 받침부(receiving part)
57 : 피결합부(engaged part)
60, 61, 70, 71 : 코일 스프링(coil spring)
80 : 제1 레버(first lever)
86 : 제2 레버(second lever)
90 : 잠김 부재(lock member)
93 : 제1 결합부(first engaging part)
94 : 제2 결합부(second engaging part)
96, 105 : 비틀림 스프링(torsion spring)
100 : 잠김 레버(lock lever)
102b, 87b : 접촉부(contact part)
102c, 87c : 경사 안내부(inclined guide part)
104 : 훅 부재(axial member)
110 : 스프링 취부(取付) 구멍(spring mounting hole)
그런데, 실개평 제6-66315호 공보에 기재된 버클 장치에 있어서는 날름쇠 판 삽입 시에 잠김 핀이 부세부재의 부세력으로 제1 위치로 이동하면서 한 쌍의 장공의 끝 부분에서 정지한 때에, 금속제의 잠김 핀이 금속제의 프레임과 충돌하게 되어 높은 충격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버클 장치에서는 잠김 핀으로서 황봉형(round bar)의 핀 부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 잠김 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구조의 합성 수지재 잠김 핀 홀더를 마련하여야만 하고, 또한 구성되는 부재(部材)의 수가 많아져 구조가 복잡화되며, 그 결과 버클 장치의 조립 과정이 복잡화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버클 장치에 있어서는 이젝터를 날름쇠 판의 이탈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는 스프링 부재 외에, 릴리스 버튼을 날름쇠 판의 이탈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는 코일 스프링 부재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 코일 스프링 부재와 이 코일 스프링 부재를 받침하는 한 쌍의 스프링 받침부를 마련하여야 하며, 그 결과 부재 수가 많아져 구조가 복잡화되고 버클 장치의 조립도 어렵게 된다.
더구나, 일본국 실개평 제6-66311호 공보에 기재한 버클 장치에 있어서는 잠김 레버와 관성체를 마련하여 차량 긴급 상황 시에 프리텐셔너에 의해 버클 본체가 인입된 후에 급정지할 때에, 관성체가 관성력을 받아 잠김 레버 측으로 이동하고 잠김 레버에 접촉하여 잠김 레버의 비 잠김 위치로의 회전을 억제하며 잠김 핀을 제1 위치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으나, 버클 본체가 급정지 시에 잠김 핀에도 관성력이 작용하고 그 잠김 핀을 잠김 레버로서 직접 받아 멈추게 하기 때문에 잠김 핀으로부터 잠김 레버로 강한 하중이 가해진다.
그래서, 잠김 핀이나 잠김 레버 등이 파손 또는 변형을 되어 잠김 핀이 제2 위치로 이동한 후 정확히 정상으로 복귀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위해서는 잠김 핀이나 잠김 레버 등을 위해 강성(rigidity)이 높은고가품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어 제작 비용이 불리하게 된다.
더구나, 프리텐셔너의 작동에 의해 버클 본체로부터 날름쇠 판을 이탈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잠김 레버와 관성체, 또한 이들의 부재에 각각 힘을 인가하는 부세부재를 마련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부재 수가 많게 되어 구조가 복잡화되고 버클 장치의 조립도 복잡화하여 제작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날름쇠 판(tongue plate)의 삽입 시에 잠김 레버가 잠김 핀을 제1 위치로 압동하지만 회전하는 잠김 레버의 경사부가 잠김 핀과 접촉하여 힘을 전달하기 위해, 날름쇠 판의 삽입 동작을 원활하게 실현될 수 없는 가능성도 있다.
더욱이,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공보 실개평 제6-66311호 공보에 기재된 버클 장치는 버클 본체가 급정지 시에 관성체가 잠김 레버 측으로 이동하지만 잠김 핀에 작용하는 관성력이 모두 잠김 핀을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힘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잠김 핀이 제2 위치로 상당히 고속으로 이동할 수 있는 문제점도 지니고 있다. 결국, 잠김 레버가 비 잠김 위치 쪽으로 상당한 속도로 회전할 위험이 도사리고 있기 때문에, 버클 본체가 급정지할 때부터 이동을 개시하는 관성체가 잠김 레버를 정상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잠김 레버의 비 잠김 위치로의 회전을 억제할 수 없는 위험성도 크다.
더구나, 일본국 특허 공보 특개평 제4-58963호 공보의 버클 장치에 따르면, 일반 상태에서는 잠김 부재의 이동 궤적으로 이동 규제 부재의 일부가 개입되어 있으나, 차량 충돌 등에 의해 이동 규제부도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이동 규제부의 일부가 상기 이동 영역에 존재하는 동안에는 잠김 부재가 이동 규제부에 접촉하지않을 수 있는 위험도 있어서,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되면 래치 부재가 결합 해제되어 날름쇠 판이 이탈되고 만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날름쇠 판 삽입 시에 발생하는 잠김 핀과 프레임과의 충격음을 저감하는 것과 함께, 상기 릴리스 버튼에 힘을 인가하는 코일 스프링 부재를 생략하여 구조를 간단하게 하는 것과, 잠김 핀 홀더를 생략하여 구조를 간단하게 하는 것 등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날름쇠 판과 버클 본체를 구비한 버클 장치에 있어서 차량 긴급 상황 시에 버클 본체에서 날름쇠 판이 이탈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과, 보통 상태에서는 원활하고 확실하게 날름쇠 판을 삽입 및 이탈 동작하도록 실현하는 것과, 차량 긴급 상황 시에 버클 본체에서 날름쇠 판을 이탈시키지 않는 간단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 등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클 본체를 프리텐셔너에 의해 밀착 방향으로 인입되도록 구비된 버클 장치에 있어서, 프리텐셔너의 작동에 의해 버클 본체로부터 날름쇠 판이 이탈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는 것과, 프리텐셔너의 작동에 의해 버클 본체로부터 날름쇠 판을 이탈시키지 않는 간단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원의 제1의 발명에 의하면 안전띠에 연결되는 날름쇠 판과 날름쇠 판이 삽탈되는 버클 본체로서 이루어진 버클 장치에 있어서, 버클 본체가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날름쇠 판이 삽입되는 경우에, 회전하는 날름쇠 판과 결합하며 항상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력이 인가되는 훅 부재와 이 훅 부재와 날름쇠 판과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합성 수지제의 릴리스 버튼과, 날름쇠 판과 결합 상태일 때 훅 부재가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는 제1 위치에 부세부재의 부세력으로 이동함과 함께 릴리스 버튼의 결합 해제 조작 시에 릴리스 버튼으로 압동되어 훅 부재의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을 허용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하는 잠김 바(lock bar)를 구비하고, 이 잠김 바가 부세부재의 부세력으로서 제1 위치로 이동할 때, 그 부세력에 대항하여 잠김 바를 받아 멈추게 하는 정지 규제부를 릴리스 버튼에 일체적으로 형성한 잠김 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장치에 있어서는 날름쇠 판을 버클 본체에 삽입할 때에 날름쇠 판의 삽입에 동반하여 훅 부재가 회전하여 날름쇠 판과 결합하고, 잠김 바가 부세부재의 부세력으로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전환되어 훅 부재가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한다. 날름쇠 판을 이탈시킬 때에 릴리스 버튼을 결합 해제 조작하면, 잠김 바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전환되어 훅 부재가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하여 날름쇠 판과 결합 해제하기 위해 날름쇠 판을 이탈시킬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은 날름쇠 판 삽입 시에 잠김 바가 부세부재의 부세력으로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할 때, 그 부세력에 대항하여 잠김 바를 받아 멈추게 하는 정지 규제 부재를 릴리스 버튼에 일체적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잠김 바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전환될 때에 합성 수지제의 정지 규제부를 받아 멈추게 되므로, 금속 부재끼리의 충격음이 발생하지 않고, 금속 부재끼리의 충격음에 비해 낮은 조용한 충돌음만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장치는 버클 본체가 날름쇠 판의 삽입 시에 날름쇠 판에 의해 눌려져서 훅 부재를 결합 방향으로 회전시켜, 이젝터와 이 이젝터를 날름쇠 판의 이탈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는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날름쇠 판을 이탈시킬 때에는 상기 스프링 부재의 용수철 힘으로 이젝터를 릴리스 버튼에 접촉시켜 날름쇠 판 이탈 방향으로 압동시킬 수 있다.
또한, 날름쇠 판 삽입 시에는 이젝터가 날름쇠 판으로 압동되어 훅 부재를 결합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날름쇠 판과 훅 부재가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젝터는 스프링 부재로써 날름쇠 판 이탈 방향으로 힘이 인가되게 되어 있으므로, 날름쇠 판을 이탈시킬 때에는 그 스프링 부재의 부세력으로 이젝터가 릴리스 버튼에 접촉하여 날름쇠 판 이탈 방향으로 압동시킨다. 이와 같이 이젝터에 힘을 인가하는 스프링 부재를 활용하여 릴리스 버튼을 날름쇠 판 이탈 방향으로 압동시키기 위해 릴리스 버튼을 이탈 방향으로 압동(pushing)시키는 스프링 부재를 생략할 수가 있으므로 그 스프링 부재의 양단을 받는 스프링 받침부도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은 기판부(base plate part)과, 이 기판부 위에 기립하고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한 쌍의 측판부(side plate part)와, 이들 측판부에 형성된 한 쌍의 장공(長孔)을 구비하여, 상기 잠김 바(lock bar)는 한 쌍의 장공에 삽통시켜 상기 한 쌍의 측판부에 마운트되며, 상기 정지 규제부(stop restriction part)는 한 쌍의 측판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잠김 바의 양단부를 받침하는 한 쌍의 받침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잠김 바는 프레임의 한 쌍의 측판부에 형성된 한 쌍의 장공으로삽통시켜서 한 쌍의 측판부에 마운트되어 있기 때문에, 잠김 바의 양단 지지가 안정되고 잠김 바가 제1 위치일 때 훅 부재의 결합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정지 규제부는 한 쌍의 측판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잠김 바의 양단부를 받침하는 받침부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잠김 바의 제1 위치에 받침할 때의 작동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장치는 잠김 바에 힘을 인가하는 상기 부세부재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릴리스 버튼이 맞물리도록 스토퍼부(stopper part)가 프레임에 일체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날름쇠 판의 삽입 시에, 부세부재의 부세력으로 잠김 바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전환되어 릴리스 버튼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정지 규제부로 받침될 때에, 릴리스 버튼에는 날름쇠 판 이탈 방향으로 잠김 바의 부세력이 작용하지만, 프레임에 일체 형성된 스토퍼부에 의해 릴리스 버튼이 확실하게 결합되도록 지탱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장치는 상기 잠김 바가 판편(板片) 형태의 부재(strip-type member)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릴리스 버튼은 상기 한 쌍의 측판부 외측으로 각각 근접하여 위치하는 한 쌍의 가이드 벽부(guide wall parts)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가이드 벽부에는 한 쌍의 측판부에서 돌출한 잠김 바의 양단부를 각각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홈(guide grooves)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잠김 바(lock bar)는 판편(板片) 형태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양단부가 한 쌍의 장공으로 삽통되어 한 쌍의 가이드 홈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잠김 바의 양단부에 의해 한 쌍의 가이드 홈을 거쳐서 릴리스 버튼을 이동 가능하게 안내할 수가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벽부(guide wall parts)와 가이드 홈(guide groove)은 잠김 바가 장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여, 프레임을 한 쌍의 장공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규제한다. 프레임과 한 쌍의 장공과 잠김 바는, 한 쌍의 가이드 벽부와 그 한 쌍의 가이드 홈을 거쳐서 릴리스 버튼이 잠김 바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하며, 릴리스 버튼의 이동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잠김 바에 관련된 구조와 릴리스 버튼에 관련된 구조가 지극히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장치에 있어서 각 가이드 홈은 그 장축 방향의 양단이 닫힌 홈으로 이루어지고, 각 가이드 벽부에 잠김 바의 종단부를 가이드 홈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이드 홈의 길이 방향의 도중부에 도입하기 위한 도입 개구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따라서, 버클 장치를 조립할 때에 잠김 바의 종단부를 도입 개구부에서 가이드 홈의 길이 방향의 도중부에 도입함으로써, 손쉽게 릴리스 버튼을 구성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일 때의 잠김 바의 위치로 대응되지 않도록 적절한 위치에 도입 개구부를 형성하면, 그 도입 개구부로부터 잠김 바가 벗어나는 위험성도 배제할 수 있다.
본원의 제2의 발명에 의하면 안전띠에 연결된 날름쇠 판과 상기 날름쇠 판이 삽입되고 탈착되는 버클 본체를 구비한 버클 장치에 있어서, 버클 본체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날름쇠 판이 삽입되는 때에 회전하여 날름쇠 판과 결합하도록 하고 항상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력이 인가되는 훅 부재와, 이 훅 부재와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릴리스 버튼과; 날름쇠 판과 결합 상태일 때 훅 부재가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며 제1 위치로 부세부재의 부세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릴리스 버튼의 결합 해제 조작 시에 릴리스 버튼으로 압동되어 훅 부재가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됨을 허용하여 제2 위치로 이동하는 잠김 바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장치는 상기 잠김 바를 잠김 위치인 제1 위치와 비 잠김 위치 사이를 회전하도록 마운트된 잠김 부재와; 상기 잠김 부재를 비 잠김 위치로 탄성력을 인가하고 상기 잠김 부재는 프레임에 의해 지탱되어 회전하는 기단부와; 그 일단에 형성된 제1 결합부와; 잠김 바를 받아 넣기 가능한 간격만큼 비워서 제1 결합부와 마주 향하는 제2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잠김 부재는 잠김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결합부에 잠김 바의 제1 위치 측단부가 접촉하여 잠김 위치를 유지하며, 제2 결합부가 잠김 바의 이동 영역에 돌입하여 잠김 바에 가까이 마주 향하는 버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날름쇠 판을 버클 본체에 삽입할 때에 날름쇠 판의 삽입과 더불어 훅 부재가 회전하여 움직여서 날름쇠 판과 결합하고, 잠김 바는 부세부재의 부세력으로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전환되어 훅 부재가 결합 해제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억제한다. 잠김 부재는 기단부가 프레임과 회전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마운트되고, 보통 상태에서 부세부재에 의해 비 잠김 위치로 탄성 힘이 인가되어 있다.
따라서, 잠김 바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할 때에 잠김 바는 제2 결합부와는 전혀 작용하지 않고, 잠김 바의 제1 위치 측단부가 제1 결합부에 접촉하여 잠김 부재를 잠김 위치로 회전시킬 수가 있다. 잠김 바가 제1 위치로 이동하면 잠김 부재가 잠김 위치로 되고, 잠김 바가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 사이에 받아 들여져서, 그 상태에서는 제1 결합부에 잠김 바의 제1 위치 측단부가 접촉하여 잠김 위치를 유지하고, 제2 결합부가 잠김 바의 이동 영역에 돌입하여 잠김 바에 가까이 마주 향하게 된다.
한편, 버클 본체에서 날름쇠 판을 이탈시키기 위하여 릴리스 버튼을 결합 해제되도록 조작하면, 잠김 바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전환되어 회전 부세된 훅 부재가 결합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날름쇠 판과 결합 해제하기 때문에 날름쇠 판을 이탈시킬 수가 있다. 날름쇠 판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제2 결합부가 잠김 바의 이동 영역으로 돌입하여 잠김 바에 가까이 마주 향하고 있으나, 잠김 바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 개시하면, 그 직후에 잠김 바가 잠김 레버의 제1 결합부에서 분리되어 부세부재로 부세된 잠김 부재가 비 잠김 위치 측으로 회전한다. 잠김 바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전환은 수동 조작이기 때문에 그다지 고속으로 행할 수 없어 잠김 부재가 제2 결합부와 접촉하지 않고 제2 위치로 이동한다.
그런데, 차량 긴급 상황 발생 시 잠김 바에 제1 위치 방향의 관성력이 작용하는 경우, 부세부재의 부세력이 관성력에 부가하여 잠김 부재에 압력을 가하게 되므로 잠김 위치가 확실하게 유지된다. 한편, 잠김 바의 제2 위치 방향으로 관성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잠김 바가 제2 위치 측으로 이동을 시작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날름쇠 판이 버클 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제1 결합부에 잠김 바의 제1 위치 측단부가 접촉하여 잠김 위치를 유지하고, 제2 결합부가 잠김 바의 이동 영역에 돌입하여 잠김 바에 가까이 마주 향하고 있기 때문에, 제2 위치 측으로 이동을 개시한 잠김 바를 제2 결합부로서 받침하여, 잠김 바의 제2 위치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가 있다. 그 결과, 훅 부재가 결합 해제되어 버클 본체에서 날름쇠 판이 이탈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더구나, 차량 긴급 상황 시에 충돌에 의한 충격력으로 잠김 바에 제1 위치 방향으로의 관성력이 작용하는 경우, 또는 차량 긴급 상황 시에 안전띠를 바짝 당겨 묶어 조이기 위해서 버클 본체를 프리텐셔너에 의해 밀착되는 쪽으로 당겨 넣도록 장비하고, 프리텐셔너의 작동 시 또는 프리텐셔너의 작용 후의 버클 본체의 급정지 시에 잠김 바가 제2 위치 방향으로 관성력 작용하는 경우의 어떤 방향으로도 가능하다.
더욱이, 일반적인 차량 충돌 시에는 탑승자의 자세가 급격히 변위하여 손과 팔꿈치 등이 버클 장치의 릴리스 버튼에 우연히 접촉하여, 훅 부재와 날름쇠 판과의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원에 의하면 전술한 긴급 상황으로 인하여 릴리스 버튼이 눌러졌다하더라도, 잠김 부재는 잠김 바가 결합 해제(제2 위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즉, 잠김 바의 급격한 이동에 대해서 잠김 부재에 동작 지연이 발생하기 때문에, 잠김 바는 훅 부재가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게 되고, 훅 부재가 날름쇠 판과 결합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버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김 부재의 기단부(base end part)는 잠김 바의 이동 영역을 포함하는 평면으로부터 훅 부재의 반대측에 떨어진 위치에서 프레임에 지탱되어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위치로 이동하는 잠김 바의 제1 위치 측단부가 제1 결합부를 밀어서 잠김 부재를 잠김 위치로 확실하게 이동시켜 잠김 위치에 유지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원의 제2의 발명에 있어서, 안전띠에 연결된 날름쇠 판과 날름쇠 판이 삽탈되는 버클 본체를 구비하고 차량 긴급 상황 시 안전띠 밀착을 위해 버클 본체를 프리텐셔너에 의해 밀착 방향으로 인입되도록 장치된 버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클 본체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날름쇠 판 삽입 시에 회전하여 날름쇠 판과 결합함과 함께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 부세된 훅 부재와; 날름쇠 판과 결합 상태일 때 훅 부재의 결합 해제 방향으로의 회전을 억제하는 제1 위치로 부세부재의 부세력으로 이동함과 함께 릴리스 버튼의 결합 해제 조작 시에 릴리스 버튼에 의해 압동되어 훅 부재의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을 허용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하는 잠김 바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잠김 바를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잠김 위치와, 억제하지 않는 비 잠김 위치에 걸쳐서 회전 자유로이 상기 프레임에 피봇 회전하는 잠김 부재와, 이 잠김 부재를 비 잠김 부재 방향으로 탄성 힘을 인가하는 부세부재를 마련하여, 상기 잠김 부재는 잠김 바의 제1 위치 측단부가 접촉 가능한 제1 결합부와, 잠김 위치일 때 잠김 바의 이동 영역에 돌입하여 잠김 바의 제2 위치 측단부가 접촉 가능한 제2 결합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프리텐셔너의 비 작동 시와 작동 시에는 제1 위치에 부세된 잠김 바가 제1 결합부에 접촉하여 잠김 부재를 잠김 위치로 회전시켜, 프리텐셔너의 작동 후의 버클 본체의 급정지 시에 발생하는 관성력에 의해 제2 위치 측으로 이동 개시하는 잠김 바를 제2 결합부로 받아 멈추게 하여, 잠김 바의 제2 위치로의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리텐셔너가 작동하지 않는 일반 상태에 있어서, 날름쇠 판이 버클 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제1 결합부에 잠김 바의 제1 위치 측단부가 접촉하여 잠김 부재를 잠김 위치로 회전시켜서 유지할 수가 있다. 이 상태에서 제2 결합부가 잠김 바의 이동 영역에 돌입하여 있고, 차량 긴급 상황 시에 프리텐셔너가 작동하면 버클 본체가 안전띠를 밀착하여 죄이는 방향으로 후퇴하여서, 이어서 급정지하게 되면 먼저 버클 본체가 이동 개시 직후에 제1 위치 방향으로 잠김 바에 관성력이 작용한다. 이 때에, 잠김 바는 부세부재의 부세력에 부가하여 가해지는 관성력으로 잠김 부재에 압력을 가하므로, 잠김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버클 장치의 급정지 시에는 잠김 바가 관성력을 받아 제2 위치로 이동을 개시한다. 날름쇠 판이 버클 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잠김 부재가 잠김 위치로 유지되어 제2 결합부가 잠김 바의 이동 영역으로 돌입하고 있기 때문에, 제2 위치 쪽으로 이동을 개시한 잠김 바를 제2 결합부는 저항력으로 운동을 멈추게 하여, 잠김 바가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그 결과, 버클 본체에서 날름쇠 판이 이탈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그 밖에, 차량 긴급 상황 시 이외의 작용 등은 전술한 내용과 거의 같다.
본원의 제2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에 있어서는, 전술한 잠김 부재가 무게 중심으로부터 편심(偏心)한 피봇부를 통해 프레임 상에 자유로이 회전하고, 프리텐셔너가 작동된 후 버클 본체가 급정지할 때에 잠김 부재는 잠김 위치 측으로 회전하는 관성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즉, 버클 본체의 급정지 시에, 잠김 부재를 잠김 위치에 확실히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결합부를 이용하여 제2 위치 측으로 이동을 개시한 잠김 바를 확실히 받아 정지시킬 수가 있다.
이 때에, 프리텐셔너가 작동된 후 버클 본체가 급정지할 때에, 잠김 바가 잠김 부재를 눌러 잠김 위치에 유지할 수 있도록, 잠김 부재 또는 잠김 바의 질량과, 부세부재의 부세력과, 잠김 부재의 추지(樞支; pivot) 위치를 설정할 수가 있다.
더욱이, 제2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에 있어서, 잠김 부재의 제2 결합부가 제2 위치 쪽으로 이동하는 잠김 바와의 접촉에 의해 잠김 부재를 잠김 위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따라서, 잠김 부재의 제2 결합부가 잠김 바의 이동 영역으로 완전히 개입하지 않는 상태라 할지라도, 제2 결합부에 제2 위치 쪽으로의 이동을 개시한 잠김 바가 접촉하면 잠김 부재가 잠김 위치에서 확실히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결국, 제2 결합부를 잠김 부재의 이동 영역으로 완전히 개입하지 않는 상태일지라도, 제2 위치 쪽으로 이동을 개시한 잠김 바가 그 제2의 결합부에 접촉하면, 잠김 부재를 잠김 위치로 확실하게 회전시킬 수가 있다. 결국, 제2 결합부를 잠김 바의 이동 영역으로 완전히 개입시켜, 그 제2 결합부로 잠김 바를 확실히 받아 멈추게 할 수있는 것이다.
본원의 제3의 발명에 의하면, 안전띠에 연결된 날름쇠 판과 상기 날름쇠 판이 삽탈되는 버클 본체를 구비하고, 차량 긴급 상황 시에 안전띠를 조이기 위해 버클 본체를 조임 방향으로 인입되도록 프리텐셔너를 구비한 버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클의 본체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 상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날름쇠 판 삽입 시에 회전하여 날름쇠 판과 결합하고 항상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 부세된 훅 부재와; 이 훅 부재와 날름쇠 판과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릴리스 버튼과; 날름쇠 판이 결합 상태일 때 훅 부재가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제1 위치로 부세부재의 부세력으로 이동하며, 또한 릴리스 버튼의 결합 해제 조작 시에 릴리스 버튼으로 압동되어 훅 부재가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하는 잠김 바를 구비하며, 상기 날름쇠 판과 결합 상태의 훅 부재를 결합 해제 불가능하도록 잠그는 잠김 위치와 결합 해제 가능한 비 잠김 위치에 걸쳐서 회전 가능하고 또한 상기 비 잠김 위치로 항상 부세되는 잠김 레버를 마련하여, 상기 잠김 레버는 그의 중심에서 편심한 추지부(樞支部; pivot part)를 거쳐서 프레임에 회전 자유로이 피봇되고, 상기 프리텐셔너의 작동 시에 있어서 버클 본체의 이동 개시 직후에 잠김 레버가 관성력을 받아 잠김 위치로 회전하며, 버클 본체의 급정지 시에 잠김 바가 관성력을 받아 제2 위치로 이동하여 잠김 레버의 잠김 위치에서 비 잠김 위치로의 회전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버클 장치가 제공된다.
날름쇠 판을 버클 본체에 삽입할 때에는 날름쇠 판의 삽입에 동반하여 훅 부재가 회전하여 날름쇠 판과 결합하고, 잠김 바가 부세부재의 부세력으로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되어져 훅 부재가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한다. 날름쇠 판을 이탈시킬 때, 릴리스 버튼을 결합 해제 조작하면 잠김 바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되어 회전 부세된 훅 부재가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하여 날름쇠 판과 결합 해제하기 때문에 날름쇠 판을 이탈시킬 수가 있다.
프리텐셔너가 작동하지 않는 보통 상태에 있어서 잠김 레버는 비 잠김 위치에 항상 힘이 인가되어 있다. 그러나, 차량 긴급 상황 시에 프리텐셔너가 작동하여 버클 본체가 안전띠를 조이는 방향으로 인입되어 그 후 급정지 하지만, 먼저 버클 본체의 이동 개시 직후에 잠김 레버가 관성력을 받아 잠김 위치로 회전하며, 이어서 버클 본체의 급정지 시에 잠김 바가 관성력을 받아 제2 위치로 이동하여, 그 잠김 바에 의해 잠김 레버가 잠김 위치에서 비 잠김 위치로 회전하는 것이 억제된다. 프리텐셔너의 작동 후에 있어서는 잠김 레버가 부세부재로써 제1 위치로 복귀하며, 이로 인해서 잠김 레버가 비 잠김 위치 방향으로 힘이 인가되어 회전하며, 그 결과 일반 상태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잠김 레버를 마련하지 않으면 버클 본체의 급정지 시, 잠김 바가 관성력을 받아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여, 훅 부재가 결합 해제되어 날름쇠 판이 버클 본체에서 이탈하는 가능성이 있으나, 잠김 레버를 마련한 탓으로 잠김 바가 제2 위치로 이동하여도 그 잠김 바가 잠김 레버가 잠김 위치에서 비 잠김 위치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한다. 그 결과, 버클 본체에서 날름쇠 판이 이탈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잠김 레버 등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프리텐셔너의 작동에 의해 버클본체에서 날름쇠 판을 이탈시키지 않도록 할 수가 있어, 제작 비용 면에서 유리하게 된다. 더욱이, 버클 본체의 급정지 시, 잠김 바가 관성력을 받아 제2 위치로 이동하지만 그 잠김 바를 부세부재에 의해 탄성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잠김 바 등이 파손이나 변형을 하지 않고, 정상으로 기능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장치는 상기 잠김 레버의 선단 부분에 버클 본체의 급정지 시에 제2 위치로 이동한 잠김 바가 접촉하여 잠김 레버를 잠김 위치에 유지하는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버클 본체의 급정지 시에 제2 위치로 이동한 잠김 바가 잠김 레버의 접촉부에 접촉하여, 잠김 레버가 잠김 위치에 유지되어 비 잠김 위치로 회전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버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김 레버는 제2 위치로 이동하는 잠김 바로부터 잠김 위치 방향으로 회전력을 받는 경사 안내부(傾斜案內部; inclined guiding part)를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잠김 레버가 잠김 위치에서 비 잠김 위치로 이동하고자 할 때에 제2 위치로 이동하는 잠김 바가 잠김 레버의 경사 안내부에 접촉하여 잠김 레버가 잠김 위치 쪽으로 회전력을 받기 위해, 잠김 레버를 잠김 위치에 강제적으로 회전시켜서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버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김 레버의 중심은 버클 본체의 이동 시에 잠김 레버의 중심에 작용하는 관성력으로 잠김 레버를 잠김 위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버클 본체의 이동 개시 직후에 작용하는 관성력에 의해 잠김 레버를 잠김 위치로 확실하게 회전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김 레버는 공통의 축심(軸心) 주위에 회전 가능한 제1 레버와 제2 레버를 구비하여 프리텐셔너의 작동 시에 버클 본체의 이동 개시 후 관성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1 레버로 제2 레버가 압동되어 잠김 위치로 회전하며, 버클 본체의 급정지 시에 제2 레버가 관성력에 의해 잠김 위치 측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장치에 있어서는 버클 본체의 이동 개시 직후에 관성력에 의해서 회전하는 제1 레버로 제2 레버가 압동되어 잠김 위치로 회전하며, 버클 본체의 급정지 시에 제2 레버가 관성력에 의해 잠김 위치 방향으로 유지한다. 결국, 버클 본체의 급정지 시에 잠김 바가 제2 위치로 이동하여 제2 레버의 잠김 위치에서 비 잠김 위치로의 회전을 한층 더 확실하게 억제하여 버클 본체에서 날름쇠 판이 이탈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제1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의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차량의 시트 벨트(seat belt) 장치에는 탑승자가 장착한 안전띠를 차체 측에 연결하기 위한 버클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도1 내지 도7에 나타낸 버클 장치(1)는 설명의 편의상 화살표 A 방향을 앞쪽으로 하여,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좌우를 정의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버클 장치(1)는기본적으로 안전띠(도시하지 않음)의 도중부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취부(取付)된 날름쇠 판(tongue plate; 2)과 버클 본체(buckle body; 5)로 이루어지며, 버클 장치(buckle device; 1)의 전단부에는 날름쇠 판(2)을 삽입하는 삽입구(insert port; 6)가 마련되어 있다.
날름쇠 판(2)은 버클 본체(5)에 삽입되는 금속제의 날름쇠 부(tongue part; 3)와, 이 날름쇠 부(3)와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합성 수지 재료로 덮여진 날름쇠 본체부(tongue body part; 4)를 구비하며, 날름쇠 부(3)에는 구형(矩形) 형태의 결합공(係合穴; rectangular engaging hole; 3a)이 형성되고, 날름쇠 본체부(4)에는 안전띠 통과공(通過穴; rectangular passage hole; 4a)이 형성되어 있다.
도1 내지 도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버클 본체(buckle body; 5)는 프레임(frame; 10), 훅 부재(hook member; 20), 잠김 바(lock bar; 30), 이젝터(ejector; 40), 합성 수지제의 릴리스 버튼(plastic release button; 50), 압축 코일 스프링(compressed coil springs; 60, 61), 프레임(10)에 리벳(rivet; 62)으로 고정된 버클 장치(1)를 차체 측의 고정부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 부재(anchor member; 63), 합성 수지제의 베이스 커버(base cover; 64)와 덮개 커버(lid cover; 6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합성 수지제의 부재 이외의 부재는 금속제(예컨대, 강철제)이다.
상기 프레임(10)은 기판부(11)와, 이 기판부(11)의 좌우 양측 가장 자리에 세운(stand up) 한 쌍의 측판부(12)로 일체 형성되고 있다. 기판부(11)에는 리벳(62)을 위한 둥근 구멍(13)과, 이젝터(40)를 앞쪽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압축코일 스프링(61)을 수용함과 동시에, 이젝터(40)의 이동을 유도하는 네모꼴 구멍(矩形穴; 14)과, 이 네모꼴 구멍(14)의 뒤쪽 가장자리에서 돌출한 스프링 연결부(도시 생략), 베이스 커버(64)에 결합한 경사부(15)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측판부(12)에는 잠김 바(30)의 양단부를 삽입하여 전후 방향으로 미끄럼을 자유로이 안내하는 한 쌍의 장공(16)과, 훅 부재(20)를 회전 자유롭게 피봇(pivot)하도록 하는 노치 피봇부(notched pivot part; 17)와, 릴리스 버튼(50)이 앞쪽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걸림 작용하는 한 쌍의 스토퍼부(18)와, 날름쇠 판(2)의 삽탈(揷脫)을 유도하며, 삽입 시 날름쇠 판(2)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한 쌍의 안내 돌출부(案內突部; guide projection; 19)가 형성되어 있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훅 부재(20)는 그 본체 부분의 앞쪽에 위로 만곡(灣曲)된 형태를 지닌 규제부(restriction part; 22)와, 그 규제부(22)에서 아래쪽으로 굽어져서 날름쇠 부(3)에 결합 가능하고, 또한 선단부가 기판부(base plate part; 11)의 네모꼴 구멍(14)의 전단부로 끼워 넣기가 가능한 훅부(23)와, 훅부의 좌우 한 쌍의 피추지부(被樞支部; pivoted part; 24)와, 본체 부분의 후단부에서 하측으로 굴곡 형성되고 또한 이젝터(40)로 조작되는 한 쌍의 피조작부(operated part; 25)와, 이들 피조작부(25) 사이에서 위쪽으로 굴곡된 스프링 받침부(spring receiving part; 26)를 구비하고 있다.
좌우 한 쌍의 피추지부(pivoted part; 24)가 한 쌍의 측판부(12)의 한 쌍의 노치 피봇부(17)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훅 부재(20)가 상하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잠김 바 (30)에 관하여 설명하면, 도1 내지 도3에서와 같이, 잠김 바(30)는 판편(板片) 형태의 부재로 되어 있고, 이 잠김 바(30)는 한 쌍의 장공(16)으로써 삽통시킨 상태로 하여 한 쌍의 측판부(12)에 가착되며, 이 가착 상태에서 잠김 바(30)의 좌우 단부가 각각 측판부(12)의 외측으로 약 2 ∼ 3 mm 돌출하여 있어, 잠김 바(30)는 한 쌍의 장공(16)에 따라서 전후로 소정 거리 이동이 가능하다. 잠김 바(30)의 후단부의 중앙부에는 스프링 받침부(31)가 돌출형으로 형성되고, 훅 부재(20)의 스프링 받침부(26)와 잠김 바(30)의 스프링 받침부(31) 사이에 코일 스프링(60)이 압축 상태로 끼워져 잠김 바(30)는 앞쪽으로 힘을 받게 되며, 훅 부재(20)는 그 훅부(23)가 위쪽(날름쇠 판(2)과의 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항상 힘을 받게 된다.
날름쇠 판(2)을 버클 본체(5)에 삽입하여 훅 부재(20)에 결합시킨 상태일 때, 잠김 바(30)는 한 쌍의 장공(16)의 전단 부분에 대응하는 제1 위치에 위치하여 규제부(22)를 억제시킴으로써, 훅 부재(20)가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며, 또한 릴리스 버튼(50)의 결합 해제 조작 시에 잠김 바(30)는 릴리스 버튼(50)으로 뒤쪽에 눌러져 한 쌍의 장공(16)의 후단 부분에 대응하는 제2 위치에 위치하여 규제부(22)보다 더 후퇴하고, 훅 부재(20)가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젝터(40)에 관해 설명하면, 도1 내지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젝터(40)는 그 전단의 경사 안내부(inclined guiding part; 41)와, 좌우 양단부의 피안내부(guided part; 42)와, 날름쇠 판(2) 삽입 시에 훅 부재(20)의 한 쌍의 피조작부(25)를 뒤쪽으로 회전시켜서 훅 부재(20)를 결합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부(operating part; 43)와, 날름쇠 판(20)의 이탈 시에 릴리스 버튼(50)을 앞쪽으로 압동시키기 위하여 좌우 한 쌍의 압동부(pushing part; 44)와, 코일 스프링(61)의 전단부가 연결된 스프링 연결부(spring connection part; 46) 등이 마련되어 있다. 이젝터(40)는 프레임(10)의 기판부(11) 위에 전후 이동이 자유스럽게 배설되어 한 쌍의 피안내부(42)가 네모꼴 구멍(14)의 양측 가장 자리에 결합함으로써 들뜨지 않도록 안내하고 있다.
코일 스프링(61)의 일단이 스프링 연결부(46)에 연결되어, 코일 스프링(61)의 하단부는 기판부(11)의 스프링 연결부에 연결되며, 이와 같이 하여 이젝터(40)는 코일 스프링(61)의 활성력에 의해 프레임(10)에 대해 앞쪽(즉, 날름쇠 판(2)의 이탈 방향)으로 탄성력이 인가된다.
릴리스 버튼(50)에 관하여 설명하면, 도1 내지 도4에서와 같이 릴리스 버튼(50)은 전단의 전단 벽부(front end wall part; 51)와,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벽부(guide wall part; 52)와, 상단의 상단벽부(upper end wall; 53)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벽부(52)는 프레임(10)의 한 쌍의 측판부(12)의 외측에 각각 근접하여 위치하고, 이 한 쌍의 가이드 벽부(52)에는 한 쌍의 장공(16)의 외측에 각각 마주 대하는 한 쌍의 가이드 홈(54)이며, 잠김 바(30)의 양단부를 전후 이동 자유로이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홈(54)이 형성되어 있다.
릴리스 버튼(50)이 전진 한정 위치(advance limit position; 도2, 도3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가이드 홈(54)의 전단은 장공(long holes; 16)의 전단보다도 조금 뒤쪽에 위치하고, 각 가이드 벽부(52)에는 가이드 홈(54)의 전단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또한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한 잠김 바(30)의 단부를 받침하는 받침부(receiving part; 55)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벽부(52)에 형성된 상기 한 쌍의 받침부(55)가 릴리스 버튼(50)에 전체적으로 형성한 정지 규제부(stop restricting part)이고, 잠김 바(30)가 코일 스프링(60)의 부세력으로 제1 위치로 이동 시, 그의 부세력에 맞서 잠김 바(30)를 받침하는 정지 규제부를 구성하고 있다.
릴리스 버튼(50)의 상벽부(53)에는, 프레임(10)의 한 쌍의 측판부(12)의 한 쌍의 스토퍼부(18)에 대해, 릴리스 버튼(50)이 전후 이동을 하도록 좌우 한 쌍의 슬릿(slit; 56)이 형성되며, 날름쇠 판(2) 삽입 시에 잠김 바(30)가 코일 스프링(60)의 부세력으로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하여 한 쌍의 받침부(55)로 받침할 때에 한 쌍의 슬릿(56)의 후단의 한 쌍의 걸림부(engaged part; 57)가 한 쌍의 스토퍼부(18)에 의해 각각 정지되어 릴리스 버튼(50)이 전진 한도 위치에서 정지한다.
릴리스 버튼(50)의 전단벽부(51) 내면에는 날름쇠 판(2)을 버클 본체(5)에서 이탈시킬 때에, 이젝터(40)의 한 쌍의 압동부(pushing part; 44)에 접촉하여 전방으로 압동되는 한 쌍의 피압동부(pushed part; 58)가 형성되어 있으며, 날름쇠 판(2)을 버클 본체(5)에서 이탈시킬 때, 코일 스프링(61)의 부세력으로 힘을 받는 이젝터(40)에 의해 릴리스 버튼(50)을 날름쇠 판(2)과 함께 전방으로(날름쇠 판의 이탈 측으로) 압동시키면, 릴리스 버튼(50)을 전진 한도 위치로 복귀시키고이젝터(40)는 정지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도 이젝터(40)는 코일 스프링(61)의 탄성 부세력을 받아 릴리스 버튼(50)을 전방으로 압동하도록 프레임(10)에 형성된 네모꼴 구멍(14)의 전단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격을 남겨서 정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앵커 부재(anchor member; 6)가 프레임(10)에 리벳(rivet; 62)을 끼워서 고정되고, 도1 내지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프레임(10)에 훅 부재(20), 잠김 바(30), 이젝터(40), 릴리스 버튼(50)과 코일 스프링(60, 61) 등이 맞붙여져서, 베이스 커버(64)와 덮개 커버(65)의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맞붙여져서, 베이스 커버(64)와 덮개 커버(65)가 복수의 끼움부나 결합부를 사이에 두어 고정 상태로 일체화된다. 이 버클 장치(1)의 전단에 릴리스 버튼(50)의 전단이 마주 대하여, 릴리스 버튼(50)의 전단부를 손가락으로 누름으로써, 릴리스 버튼(50)을 압동 조작 가능하게 구성된다.
다음은, 이상 설명한 버클 장치(1)의 작용에 관해 설명한다.
도5는 날름쇠 판(2)의 날름쇠 부(3)를 삽입한 날름쇠 판(2)과 훅 부재(20)를 결합시킨 결합 상태를 나타내고, 이 결합 상태에 있어서, 훅부(23)가 날름쇠 부(3)의 결합 홈(3a)과 프레임(10)의 네모꼴 구멍(14)에 결합하여 날름쇠 부(3)를 걸림 상태로 하고 있다. 또한, 잠김 바(30)는 제1 위치에 위치하여 훅 부재(20)의 규제부(22) 상면에 접촉하여, 훅 부재(20)의 결합 해제 방향으로의 회전을 억제하고 있어, 릴리스 버튼(50)의 한 쌍의 피걸림부(engaged parts; 57)가 한 쌍의 스토퍼부(18)에 의해 각각 걸리게 되어, 릴리스 버튼(50)이 전진 한도 위치에서 정지되게 된다.
이 결합 상태에 있어서, 릴리스 버튼(50)의 받침부(55)에 잠김 바(30)의 양단부가 각각 접촉하여 릴리스 버튼(50)은 코일 스프링(60)의 부세력을 받는 잠김 바(30)에 의해 앞쪽으로 힘을 받게 된다.
다음에, 날름쇠 판(2)을 버클 본체(5)에서 이탈시킬 때는 도6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릴리스 버튼(50)을 코일 스프링(60)의 부세력에 맞서 손가락으로 눌러 뒤쪽으로 이동시키면, 잠김 바(30)의 좌우 양단부가 릴리스 버튼(50)의 좌우 한 쌍의 받침부(55)를 뒤쪽으로 압동하므로, 잠김 바(30)가 릴리스 버튼(50)과 함께 제2 위치로 이동하여 코일 스프링(60)이 압축되기 때문에, 훅 부재(20)의 스프링 받침부(26)를 사이에 두고 훅 부재(20)를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하여, 도7에서와 같이 잠김 바(30)가 제2 위치에 도착한 상태에서는 잠김 바(30)가 규제부(22)보다 더 뒤쪽으로 이동하여 규제부(22)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훅 부재(20)가 위쪽으로 최대한 회전하여 결합 해제 상태로 된다. 이 결합 해제 상태에 있어서 날름쇠 판(2)을 버클 본체(5)에서 앞쪽으로 이탈시키게 되지만, 이 때 이젝터(40)의 전단은 날름쇠 판(2)이 앞쪽으로 힘을 받아 벗어나게 된다. 그리하여, 이젝터(40)의 한 쌍의 압동부(44)가 릴리스 버튼(50)의 한 쌍의 압동부(44)에 릴리스 버튼(50)의 한 쌍의 피압동부(58)에 접촉하기 때문에 릴리스 버튼(50)에서 손가락을 떼면, 코일 스프링(61)의 가해진 힘에 의해 힘이 가하게 되어, 이젝터(40)에 의해 릴리스 버튼(50)이 앞쪽으로 힘이 가해져 릴리스 버튼(50)이 전진한 만큼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어서, 날름쇠 판(2) 이탈 상태에 있어서, 날름쇠 판(2)을 버클 본체(5)에 삽입하여 연결할 때에는, 날름쇠 판(2)의 날름쇠 부(3)를 삽입구(6)에서 삽입된 이젝터(40)의 앞쪽으로 접촉시켜, 코일 스프링(61)의 가해진 힘에 맞서 날름쇠 판(2)을 삽입하여 이젝터(40)를 눌러 움직이면 이젝터(40)의 뒤쪽의 한 쌍의 조작부(43)가 훅 부재(20)의 한 쌍의 피조작부(25)로 접촉하여 뒤쪽으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도5에서와 같이 훅 부재(20)가 코일 스프링(60)의 가해진 힘에 맞서 결합 방향으로 회전하여 날름쇠 부(3)의 결합 홈(3a)에 결합하고, 잠김 바(30)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전진 이동한다.
이 잠김 바(30)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할 때, 코일 스프링(60)의 가해진 힘에 의해 잠김 바(30)가 급속히 제1 위치로 이동하지만, 잠김 바(30)의 양단부가 릴리스 버튼(50)의 한 쌍의 가이드 벽부(52)에 형성된 한 쌍의 받침부(55)(정지 규제부)로써 걸림 작용하므로 때문에, 금속제의 잠김 바(30)와 합성 수지제의 한 쌍의 받침부(55)와 충돌되어 금속 부재끼리의 충돌에 의한 충격음을 발생하지 않고, 금속 부재끼리의 충돌에 의한 충격음보다도 낮은 조용한 충돌음밖에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자동차 실내의 소음을 낮출 수 있어 날름쇠 판(2)을 결합시킬 때의 조작 감각도 개선할 수가 있다.
날름쇠 판(2)의 이탈 시, 이젝터(40)에 힘을 가하는 코일 스프링(61)을 활용하여 릴리스 버튼(50)과 날름쇠 판(2)을 날름쇠 판 이탈 방향(앞쪽)으로 눌러 움직이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릴리스 버튼(50)을 날름쇠 판 이탈 방향으로 압동시키는 스프링 부재를 생략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프링 부재의 양단을 받침하는 한쌍의 스프링 받침부도 생략할 수 있게 되고, 부재 수도 적게 되어 구조가 간단해지고, 버클 장치(1)의 조립도 간단하게 된다.
잠김 바(30)는 프레임(10)의 한 쌍의 측판부(12)의 한 쌍의 장공(16)으로 삽통시켜 한 쌍의 측판부(12)에 가착(架着)되어 있기 때문에, 잠김 바(30)를 양단 지지하는 지지가 안정되고 잠김 바(30)가 제1 위치인 때에 훅 부재(20)의 결합 해제 방향으로의 회전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정지 규제부는 한 쌍의 측판부(12)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잠김 바(30)의 양단부를 받침하는 한 쌍의 받침부(55)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잠김 바(30)를 제1 위치로 받침할 때 동작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잠김 바(30)에 힘을 인가하는 코일 스프링(60)의 부세력에 맞서 릴리스 버튼(50)에 걸림 작용하는 스토퍼부(18)를 프레임(10)의 한 쌍의 측판부(12)에 전체적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날름쇠 판(2)의 삽입 시에 잠김 바(30)에서 릴리스 버튼(50)에 날름쇠 판 이탈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도 금속제의 프레임(10)에 전체적으로 형성시킨 한 쌍의 스토퍼부(18)로써 릴리스 버튼(50)을 확실하게 걸리게 할 수 있고, 스토퍼부(18)를 프레임(10)에 전체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스토퍼부(18)를 간단하고 싼값으로 형성할 수 있다.
잠김 바(30)는 판편(板片) 형태의 부재로서 되어 있고, 그 양단부가 한 쌍의 장공(16)에 삽통되고 또한 한 쌍의 가이드 홈(54)으로서 안내되기 때문에, 잠김 바(30)의 양단부로서 한 쌍의 가이드 홈(54)을 사이에 두어 릴리스 버튼(50)을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할 수가 있다. 결국, 한 쌍의 가이드 벽부(52)와 그 가이드홈(54)에 의해 잠김 바(30)가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억제할 수 있어, 잠김 바(30)가 프레임(10)의 한 쌍의 장공(16)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규제될 수 있다.
프레임(10)과 그 한 쌍의 장공(16)과 잠김 바(30)에 의해 한 쌍의 가이드 벽부(52)와 그 한 쌍의 가이드 홈(54)을 사이에 두어 릴리스 버튼(50)이 잠김 바(30)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규제할 수 있어 릴리스 버튼(50)의 이동 방향을 규제할 수가 있다. 그리하여, 예컨대 잠김 바(30)를 보유하는 홀더 부재(holder member)를 생략한다든지, 릴리스 버튼(50)을 앞쪽으로 힘을 인가하는 스프링 부재를 생략하는 등 잠김 바(30)에 관련된 구조와 릴리스 버튼(50)에 관련하는 구조를 극히 간단히 할 수가 있다.
다음에, 상기 실시 형태를 부분적으로 변경하는 변경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1) 상기 릴리스 버튼(50)에 형성된 한 쌍의 받침부(receiving part; 55) 대신에, 릴리스 버튼(50)의 전단벽부(front end wall part; 51) 또는 상단벽(upper end wall; 53)에 정지 규제부(stop restriction part)를 전체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2) 도8에서와 같이, 릴리스 버튼(50)의 각 가이드 벽부(52A)가 뒤쪽으로 연장되어 각 가이드 벽부(52A)에 장공(16)과 그의 같은 길이로 장공(16)의 외측으로 마주 대하는 가이드 홈(54A)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는 잠겨져 있고, 이 가이드 벽부(52A)의 아래쪽에 잠김 바(30)의 단부를 가이드 홈(54A)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아래쪽에서) 가이드 홈(54A)의 길이 방향의 도중부에 도입하기 위한 도입개구부(54A)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의 치수 D는 잠김 바(30)의 폭 B의 반(half)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도입 개구부(54A)가 잠김 바(30)의 제1 및 제2 위치에 일치하지 않도록 가이드 홈(54A)의 길이 방향의 도중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치수 D > 0.5 × B에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조립 시(커버 취부(取付)전)에 있어서, 잠김 바(3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도 적어도 잠김 바(30)의 거의 반(half) 이상이 가이드 벽부(52A)와 겹쳐지므로, 가이드 홈(54A)에서 벗어나기가 극히 어렵게 되어, 커버 취부(取付)전의 취급성이 향상한다.
3) 도9에서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스토퍼부(18) 대신의 한 쌍의 스토퍼부 (65a)를 덮개 커버(lid cover; 65)의 내면에 돌설(project)하는 상태로 형성하고, 그 한 쌍의 스토퍼부(65a)로서 릴리스 버튼(50)의 한 쌍의 피결합부(engaged part; 57)를 걸림 작용하도록 구성한다.
4) 상기 버클 장치(1)의 구조는 한 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이탈하지 않은 범위에 있어서 각 부재에 여러 가지의 변형을 부가한 형태로서 실시 가능하다.
다음에는 본원의 제2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량의 시트 벨트 장치에는 탑승자가 장착한 안전띠를 차체 측에 연결하기 위한 본원 특유의 버클 장치와 차량 긴급 상황 시에 안전띠를 졸라매기 위하여 버클 장치의 버클 본체를 안전띠를 졸라매는 쪽으로 인입하는 프리텐셔너가 마련되어있다. 더욱이, 도10 내지 도17에 나타낸 버클 장치(1)는 설명의 편의상 도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A 방향을 앞쪽으로 하여 전후 좌우를 정의하여 설명한다.
도10 내지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버클 장치(1)는 기본적으로 안전띠(도시 안됨)의 도중부에 이동 가능하게 취부(取付)된 날름쇠 판(2)과 버클 본체(5)로서 되어 있고, 버클 본체(5)의 전단부에는 날름쇠 판(2)을 삽입하는 삽입구(6)가 마련되어 있다. 날름쇠 판(2)은 버클 본체(5)에 삽입되는 금속제의 날름쇠 부(3)와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합성 수지 재료로써 덮여진 텅 본체부(4)를 가지며, 날름쇠 부(3)에는 네모꼴의 결합 구멍(engaging hole; 3a)이 형성되어, 텅 본체부(4)에는 안전띠 통과 구멍(webbing passage hole; 4a)이 형성되어 있다.
도10 내지 도12에 나타난 것처럼, 버클 본체(5)는 프레임(10), 훅 부재(20), 잠김 바(30), 합성 수지제의 이젝터(40), 합성 수지제의 릴리스 버튼(50), 잠김 부재(90), 압축 코일 스프링(70, 71) 프레임(10)에 리벳(72)으로써 고정된 버클 본체(5)를 프리텐셔너에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 부재(connecting member; 73), 합성 수지제의 베이스 커버(74)와 덮개 커버(7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합성 수지제의 부재는 금속제(예컨대, 철강재)이다. 더욱이, 잠김 부재(95)는 합성 수지제도 바람직하며, 금속제도 좋다. 또한, 버클 본체(5)를 연결 부재(73) 이외의 부재를 사이에 두어 프리텐셔너에 연결하여도 좋다.
상기 프레임(10)은 기판부(11)와, 이 기판부(11)의 좌우 양측 면에서 기립한 한 쌍의 측판부(12)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기판부(11)에는 리벳(72)을 위한 둥근 구멍(circular hole; 11a)과 이젝터(40)를 앞쪽으로 탄성 힘을 인가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71)을 수용함과 함께 이젝터(4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네모꼴 구멍(rectangular hole; 11b)과 이 네모꼴 구멍(11b)의 후단면에서 돌출한 스프링 연결부(도시하지 않음)와 베이스 커버(74)에 결합하는 경사부(inclined part; 11c)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측판부(12)에는 잠김 바(30)의 양단부를 삽입하여 전후 방향으로 자유로이 슬라이드 안내하는 한 쌍의 장공(12a)과 훅 부재(20)를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노치 피봇부(notched pivot part; 12b)와 릴리스 버튼(50)이 앞쪽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걸림 작용하는 한 쌍의 스토퍼부(12c)와, 날름쇠 판(2)의 삽탈을 가이드 함과 동시에 삽입 시의 날름쇠 판(2)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한 쌍의 안내 돌출부(guide projections; 12d)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한 쌍의 측판부(12)에는 잠김 부재(90)로 삽통된 좌우 방향의 축 부재(axial member; 95)의 양단부를 삽입하여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한 쌍의 축 홈(axial hole; 15)이 형성되어, 우측의 측판부(12)에는 축 홈(15)의 하측에, 잠김 부재(90)를 회전 힘을 인가하는 비틀림 스프링(torsion spring; 96)의 한 단부를 취부(取付)하기 위한 스프링 취부(取付)공( spring mounting hole; 110)이 형성되어 있다.
도10 내지 도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 부재(20)는 본체부(21)와, 그 본체부(21)에서 앞쪽으로 상측에 만곡상(upwardly curved shape)으로 팽창한 규제부(22)와 이 규제부(22)에서 아래쪽으로 굴곡한 날름쇠 판(2)의 결합구멍(engaging hole; 3a)에 결합 가능하도록 하고, 선단부 기판부(11)의 네모꼴 구멍(11b)의 전단부에 삽입 가능한 훅부(23)와, 훅부의 좌우 한 쌍의 피봇부(24)와, 본체부(21)의 후단부에서 아래쪽으로 굴곡 형성되어 또한 이젝터(40)로서 조작(operating)되는 한 쌍의 피조작부(operated part; 25)와, 이들 피조작부(25)의 사이에서 위쪽으로 굴곡된 스프링 받침부(26)를 구비하고 있다. 좌우 한 쌍의 피봇부(pivoted part; 24)가 한 쌍의 측판부(12)의 한 쌍의 노치 피봇부(12b)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훅 부재(20)가 상하에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잠김 바(30)에 관하여 설명하면, 도10 내지 도12에서와 같이, 잠김 바(30)는 판편 형의 부재로 되어 있어, 이 잠김 바(30)는 한 쌍의 장공(12a)에 삽통시킨 상태에서 한 쌍의 측판부(12)에 가착되어, 이 가착 상태에서 잠김 바(30)의 좌우 단부가 각각 측판부(12)의 외측으로 약 2 ∼ 3 mm 돌출하고 있어, 잠김 바(30)는 한 쌍의 장공(12a)에 따라서 전후로 소정거리 이동 가능하다. 잠김 바(30)의 후단부의 중앙부에는 스프링 받침부(31)가 돌출 모양으로 형성되어, 훅 부재(20)의 스프링 받침부(26)와 잠김 바(30)의 스프링 받침부(31)의 사이에 코일 스프링(70)의 압축 상으로 끼워져, 잠김 바(30)는 앞쪽으로 힘이 인가되어 훅 부재(20)는 그 훅 부재(23)가 위쪽(날름쇠 판(2)과의 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항상 힘이 인가되어 있다.
날름쇠 판(tongue plate; 2)을 버클 본체(5)에 삽입하여 훅 부재(20)에 결합시킨 상태인 경우, 잠김 바(30)는 한 쌍의 장공(12a)의 전단 부분에 대응하는 제1위치에 위치하여 규제부(22)를 위쪽에서 누름으로써, 훅 부재(20)의 결합 해제 방향(위쪽)으로의 회전을 정지하고, 릴리스 버튼(50)의 결합 해제 조작 시에 잠김 바(30)는 릴리스 버튼(50)에 의해 뒤쪽으로 압동되어 한 쌍의 장공(12a)의 뒤쪽 부분에 대응하는 제2 위치에 위치하고, 규제부(22)보다 더 후퇴하여 훅 부재(20)의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을 허용한다.
이젝터(40)에 관하여 설명하면, 도10 내지 도12에서와 같이, 이젝터(40)는 그의 전단의 경사 안내부(41)와 좌우 양단부의 피안내부(42)와, 날름쇠 판(2)의 삽입 시에 훅 부재(20)의 한 쌍의 피조작부(25)를 뒤쪽으로 압동하여 훅 부재(20)를 결합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한 쌍의 조작부(43)와, 날름쇠 판(2)의 이탈 시에 릴리스 버튼(50)을 앞쪽으로 압동시키기 위한 좌우 한 쌍의 압동부(44)와 코일 스프링(71)의 전단부가 연결된 스프링 연결부(46) 등을 마련하고 있다. 이젝터(40)는 프레임(10)의 기판부(11)의 위에 전후 이동 배치되어, 한 쌍의 피안내부(42)는 단면이 거의형으로 되어 있고, 이형이 네모꼴 구멍(11b)의 양측 면에 결합함으로써 떠오르지 않도록 안내되고 있다.
코일 스프링(71)의 전단부가 스프링 연결부(46)에 삽통 형상으로 연결되어 이 코일 스프링(71)의 후단은 기판부(11)의 스프링 연결부(도시 안됨)에 연결되어, 이와 같이 하여 이젝터(40)는 코일 스프링(71)의 부세력에 의해 프레임(10)에 대해 앞쪽(즉, 날름쇠 판(2)의 이탈 방향)으로 탄성력이 인가되고 있다.
릴리스 버튼(50)에 관해 설명하면, 도10 내지 도12에 나타난 것처럼, 릴리스버튼(50)은 전단의 전단벽부(前端壁部; front end wall part; 51)와,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벽부(52)와, 상단의 상단벽부(上端壁部; 53)를 마련하고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벽부(52)는 프레임(10)의 한 쌍의 측판부(12)의 외측에 각각 근접하여 위치하고, 이 한 쌍의 가이드 벽부(52)에는 한 쌍의 장공(12a)의 외측에 각각 돌출한 잠김 바(30)의 양단부를 전후 이동을 자유롭게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홈(54)이 형성되어 있다.
릴리스 버튼(50)이 전진 한계 위치(도11, 도12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그들 가이드 홈(54)의 전단(前端)은 장공(12a)의 전단(前端)보다 조금 뒤쪽으로 위치하여, 각 가이드 벽부(52)에는 가이드 홈(54)의 전단연(前端緣)에 형성되며, 또한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한 잠김 바(30)의 단부를 받침하는 받침부(55)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벽부(50)에 형성된 상기 한 쌍의 받침부(55)가 릴리스 버튼(50)에 전체적으로 형성한 정지 규제부가 있어, 잠김 바(30)가 코일 스프링 (70)의 부세력으로 제1 위치로 이동할 때, 그의 부세력에 맞서 잠김 바(30)를 받침하는 정지 규제부를 구성하고 있다.
릴리스 버튼(50)의 상벽부(53)에는, 프레임(10)의 한 쌍의 측판부(12)의 한 쌍의 스토퍼부(12c)에 대하여 릴리스 버튼(50)의 전후 이동을 허락하기 위하여 좌우 한 쌍의 슬릿(56)이 형성되어 있으며, 날름쇠 판(2)의 삽입 시에 잠김 바(30)가 코일 스프링(70)의 부세력으로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하여, 한 쌍의 받침부(55)로 받침 받을 때, 한 쌍의 슬릿(56)의 후단의 피결합부(engaged part;57)가 한 쌍의 스토퍼부(12c)로써 각각 결합(engage)되어 릴리스 버튼(50)이 전진 한계 위치에 정지된다.
릴리스 버튼(50)의 전단 벽부(51)의 내면에는 날름쇠 판(2)을 버클 본체(5)에서 이탈시킬 때, 이젝터(40)의 한 쌍의 압동부(44)에 접촉하여 앞쪽으로 압동되는 한 쌍의 피압동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날름쇠 판을 버클 본체(5)에서 이탈시킬 때, 코일 스프링(71)의 부세력으로 부세된 이젝터(40)에 의해 릴리스 버튼(50)을 날름쇠 판(2)과 함께 전방으로(날름쇠 판 이탈 측으로) 압동시켜, 릴리스 버튼(50)을 전진 한계 위치로 복귀시켜 이젝터(40)는 정지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도 이젝터(40)는 코일 스프링(71)의 부세력을 받아 릴리스 버튼(50)을 전방으로 압동하도록 프레임(10)에 형성된 네모꼴 구멍(11b)의 전단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격을 남겨 정지한다.
이하에서는 잠김 부재(90)에 관해 설명한다. 도10 내지 도13에 나타난 것처럼, 잠김 부재(90)는 프레임(10)의 한 쌍의 측판부(12) 사이에 배설된 좌우 방향으로 긴 기단부(base end part; 91)와, 이 기단부(91)의 좌우 양단부에서 거의 뒤쪽으로 연장한 한 쌍의 레버부(lever part; 92)를 갖는다. 기단부(91)는 좌우 양단의 한 쌍의 측판부(91a)와 이들 측판부(91a)의 상단 부분을 연결하는 수평부(91b)으로 되어 있다.
한 쌍의 잠김 부재(90)의 중심에서 아래쪽으로 편심한 한 쌍의 피봇부(91c)가 동심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들 피봇부(91c)에 축 부재(95)가 삽통되어 있다. 이 축 부재(95)의 양단부가 한 쌍의 축 구멍(15)에 삽통되어, 이로 인해 잠김부재(90)의 기단부(91)가 축 부재(95)를 사이에 두고 플레이트(10)에 회전 자유롭게 피봇되어 있다.
잠김 부재(90)의 기단부(91)에는 우측의 측판부(91a)와 가까이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리브(rib; 91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리브(91d)에는 축 부재(95)가 삽통하는 삽통 공(passage hole)(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가까이 서로 마주보는 측판부(91a)와 리브(91c)의 사이에 비틀림 스프링(96)(탄성 부재)이 배설되어, 이 비틀림 스프링(96)에 축 부재(95)가 삽통되어 있다. 비틀림 스프링(96)의 한 단부는 잠김 부재(90)의 수평부(91b) 하측에서 접촉 상으로 취부(取付)되어, 다른 단부는 프레임(10)의 스프링 취부공(取付孔; spring attachment hole; 110)에 삽통 형태로 취부(取付)되어, 이 비틀림 스프링(96)에 의해 레버부(92)가 항상 상측으로 탄성력이 인가되어 있다. 더구나, 리브(91d)는 생략하여도 좋다.
그러면, 이 잠김 부재(90)는 기단부(91)의 근방에 마련된 한 쌍의 제1 결합부(first engaging part; 93)와 한 쌍의 레버부(92)의 선단 부분에 마련되고, 잠김 바(30)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충분한 간격을 비워서 한 쌍의 제1 결합부(93)에 각각 대향(對向)하는 한 쌍의 제2 결합부(94)를 가지고 있어, 잠김 바(30)를 제1 위치에 걸리도록 하는 잠김 위치(도15, 도16 참조)에서 서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피봇되고, 비틀림 스프링(96)에 의해 항상 비 잠김 위치 측에 탄성력이 인가되어 있다.
제1 결합부(93)는 잠김 바(30)의 제1 위치 측단부(전단부)가 접촉 가능하게마련되어, 날름쇠 판(2)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 즉 잠김 바(30)가 제2 위치에 위치한 상태로, 잠김 부재(90)가 비 잠김 위치에 회전 힘이 인가되어, 제1 결합부(93)는 잠김 바(30)의 이동 영역의 전단보다도 약간 뒤쪽에 위치하여, 상기와 같이 잠김 부재(90)의 제2 결합부(94)를 포함한 제1 결합부(93) 이외의 부분은 잠김 바(30)의 이동 영역에 개입하지 않고 있다.
이에, 잠김 부재(90)의 기단부(91)는 잠김 바(30)의 이동 영역을 포함하는 면에서 훅 부재(20)와 반대측으로 격리한 위치, 구체적으로는 잠김 바(30)의 이동 영역의 엇경사(skew) 상측의 위치로 프레임(10)에 피봇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위치에 부세된 잠김 바(30)가 제1 결합부(93)에 접촉하여 잠김 부재(90)를 잠김(lock) 위치로 회전시켜, 이 상태에서 제1 결합부(93)에 잠김 바(30)가 접촉하여 잠김 위치를 유지한다. 그리하여, 이 잠김 위치일 때, 잠김 바(30)의 이동 영역에 돌입하고 있는 제2 결합부(94)가 잠김 바(30)의 제2 위치 측단부(후단부)에 가까이 서로 향하여 접촉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도17에서와 같이 잠김 부재(90)의 제2 결합부(94)는 제2 위치 측으로 이동하는 잠김 바(30)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잠김 부재(90)를 잠김 위치 쪽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잠김 부재(90)가 잠김 위치 부근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전방 경사 아래 측으로 기울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리텐셔너의 동작 후 버클 본체(5)의 급정지 시에, 버클 본체(5)(잠김 부재 90)에는 뒤로 관성력이 작용하지만, 잠김 부재(90)의 중심 G에 작용하는 상기 관성력으로 잠김 부재(90)를 잠김 위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잠김부재(90)의 추축(회전축)을 기준하여 위쪽으로 마련되어 있다.
더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73)가 프레임(10)에 리벳(72)을 사이에 두어 고정되고, 도10 내지 도12에서와 같이 이 프레임(10)에 훅 부재(20), 잠김 바(30), 이젝터(40), 릴리스 버튼(50), 잠김 부재(90)와 코일 스프링(70, 71) 등이 맞붙어져, 그들이 베이스 커버(74)와 덮개 커버(75)가 복수의 끼움부나 결합부를 사이에 두고 고정 상태로 일체화된다. 이 버클 장치(1)의 전단에 릴리스 버튼(50)의 전단을 마주 대하여, 그 릴리스 버튼(50)의 전단부를 손가락으로 누름으로써, 릴리스 버튼(50)을 압동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버클 장치(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13은 날름쇠 판(2)이 버클 본체(5)에서 이탈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잠김 부재(90)는 비틀림 스프링(96)에 의해 비 잠김 위치에서 힘이 작용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날름쇠 판(2)의 날름쇠 부(3)를 삽입구(6)에서 버클 본체(5)에 삽입하기 시작하면, 먼저 날름쇠 부(3)가 이젝터(40)의 전단에 접촉한다.
이어서, 코일 스프링(71)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다시 날름쇠 판(2)을 삽입하여 이젝터(40)를 압동하여 가면, 이젝터(40)의 후단의 한 쌍의 조작부(43)가 훅 부재(20)의 한 쌍의 피조작부(25)에 접촉하여 후방으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도14에서와같이, 훅 부재(20)가 코일 스프링(70)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결합 방향으로 회전하여 날름쇠 부(3)의 결합 구멍(3a)에 결합하고, 잠김 바(30)가 코일 스프링(70)의 부세력으로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전진 이동한다.
잠김 바(30)가 제2 위치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할 때, 잠김 부재(90)는 비 잠김 위치에 있고 제2 결합부(94)는 잠김 바(30)의 이동 영역에 개입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잠김 바(30)가 제2 결합부(94)와는 간섭하지 않고, 도14에서와 같이 잠김 바(30)의 제1 위치 측단부가 제1 결합부(93)에 접촉하여 계속 도15에서와 같이, 잠김 부재(90)를 잠김 위치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잠김 바(30)가 제2 결합부(93, 94)의 사이에 받아들여져, 그 상태로서 제1 결합부(93)에 잠김 바(30)의 제1 위치 측단부가 접촉하여 잠김 위치를 유지하여 제2 결합부(94)가 잠김 바(30)의 이동 영역에 돌입하여 잠김 바(30)에 가까이 서로 향하게 된다.
더구나, 날름쇠 판(2)의 날름쇠 부(3)를 버클 본체(5)에 삽입하여 날름쇠 판(2)과 훅 부재(20)를 결합시킨 결합 상태에서는 훅부(23)가 날름쇠 부(3)의 결합공(3a)과 프레임(10)의 네모꼴 구멍(11b)에 결합한 날름쇠 부(3)를 결합하고 있다. 또한, 잠김 바(30)는 제1 위치에 위치하여 훅 부재(20)의 규제부(22)의 상면에 접촉하여, 훅 부재(20)의 결합 해제 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하고 있으며, 릴리스 버튼(50)의 한 쌍의 피결합부(operated part; 57)가 스토퍼부(12c)로 각각 결합되어, 릴리스 버튼(50)이 전진 제한 위치에 정지하고 있다. 이 결합 상태에 있어서, 릴리스 버튼(50)의 한 쌍의 받침부(55)에 잠김 바(30)의 양단부가 각각 접촉하여, 릴리스 버튼(50)은 코일 스프링(70)의 부세력을 받는 잠김 바(30)보다 더욱 전방으로 힘이 인가되어 있다.
날름쇠 판(2)을 버클 본체(5)로부터 이탈시기 위하여 릴리스 버튼(50)을 코일 스프링(70)의 부세력에 맞서 손가락으로 눌러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잠김 바(30)의 좌우 양단부가 릴리스 버튼(50)의 좌우 한 쌍의 받침부(55)로써 후방으로압동되기 때문에, 잠김 바(30)가 릴리스 버튼(50)과 함께 제2 위치로 이동하여 코일 스프링(70)이 압축되기 때문에 훅 부재(20)의 스프링 받침부(26)를 사이에 두고 훅 부재(20)를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날름쇠 판(2)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제2 결합부(94)가 잠김 바(30)의 이동 영역으로 돌입하여 잠김 바(30)에 가까이 서로 향하고 있으나, 잠김 바(3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을 개시하면, 그 직후 잠김 바(30)가 제1 결합부(93)에서 분리되어 비틀림 스프링(96)에 의해 부세된 잠김 부재(90)가 비 잠김 위치 측으로 회전을 개시한다. 잠김 바(30)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전환은 수동 조작 때문에 그다지 고속으로 행하지 않기 때문에, 잠김 부재(90)가 비 잠김 위치로 회전하면서부터 잠김 바(30)가 제2 결합부(94)와 접촉하지 않고 제2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하여, 도13에서와 같이 잠김 바(30)가 제2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는 잠김 바(30)가 규제부(22)보다도 후방으로 이동하여 규제부(22)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훅 부재(20)가 쌍방으로 최대한 회전하여 결합 해제 상태로 된다. 이 결합 해제 상태에 있어서 날름쇠 판(2)을 버클 본체(5)에서 전방으로 이탈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 때에, 이젝터(40)의 전단은 날름쇠 판(2)의 후단에 접촉하여 있기 때문에 날름쇠 판(2)이 전방으로 힘이 인가되어 분리된다.
그리하여, 이젝터(40)의 한 쌍의 압동부(44)가 릴리스 버튼(50)의 한 쌍의 피압동부(58)에 접촉하기 때문에 릴리스 버튼(50)에서 손가락을 떼면, 코일 스프링(71)의 부세력에 의해 부세된 이젝터(40)에 의해 릴리스 버튼(50)이 전방으로 힘이 인가되어 릴리스 버튼(50)이 전진 한계 위치로 복귀한다.
그런데, 차량 충돌 등의 차량 긴급 상황 시에서는 프리텐셔너가 작동하여 버클 본체(5)가 안전띠가 조여드는 방향으로 소정량 인입되어 안전띠에 의해 탑승자가 심하게 구속되므로, 그 한편으로 버클 장치(1)에 있어서는 잠김 부재(90) 등이 버클 본체(5)에서 날름쇠 판(2)이 이탈하지 않도록 작동한다.
프리텐셔너가 작동하면 버클 본체(5)가 안전띠를 조이는 방향, 즉 후방으로 인입하여, 그 후 급정지 하지만 먼저 버클 본체(5)의 후방으로 이동 개시 직후에 잠김 부재(90)가 앞 방향의 관성력을 받는다. 이 때에, 그 관성력이 잠김 부재(90)를 비 잠김 위치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으로서 작용하지만, 잠김 바(3)에도 제1 위치 방향으로의 관성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그 관성력과 잠김 바(30)를 제1 위치로 힘을 인가하는 코일 스프링(70)의 부세력에 의해 잠김 바(30)로 잠김 부재(90)를 누르고 잠김 위치에 유지할 수 있도록 잠김 부재(90)나 잠김 바(30)의 질량, 부세력, 잠김 부재(90)의 피봇(pivoting) 위치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버클 본체(5)가 급정지 할 때에 잠김 바(30)가 관성력을 받아 제2 위치 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한다. 날름쇠 판(2)이 버클 본체(5)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잠김 부재(90)가 잠김 위치에 유지되어, 제2 결합부(94)가 잠김 바(30)의 이동 영역으로 돌입하여 잠김 바(30)와 가까이 서로 향하고 있기 때문에, 제2 위치로 이동을 개시한 잠김 바(30)를 제2 결합부(94)로서 받아내고, 잠김 바(30)의 제2 위치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가 있어, 이로 인해 버클 본체(5)에서 날름쇠 판(2)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여기서, 잠김 부재(90)는 그 중심(weight center)으로부터 편심(偏心)한 추지부(樞支部; pivot part)로 하여 축부재(軸部材; 95)를 사이에 두어 프레임(10)에 대해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피봇되고, 프리텐셔너의 작동 후 버클 본체(5)의 급정지 시에는, 잠김 부재(90)에 잠김 위치 측으로 회전하는 관성력이 작용함으로써 제2 위치 측으로 이동을 개시한 잠김 바(30)를 제2 결합부(94)로 확실히 받아낼 수 있다.
잠김 부재(90)의 제2 결합부(94)를 제2 위치 측으로 이동하는 잠김 바(30)와의 접촉에 의해 잠김 부재(90)를 잠김 위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잠김 부재(90)의 제2 결합부(94)가 잠김 바(30)의 이동 영역을 완전히 개입하지 않은 상태라도, 그 제2 결합부(94)에 제2 위치 측으로 이동을 개시한 잠김 바(30)가 접촉하면 잠김 부재(90)를 잠김 위치로 확실히 회전시킬 수가 있다. 즉, 제2 결합부(94)를 잠김 바(90)의 이동 영역에 완전히 개입시켜, 그 제2 결합부(94)로 잠김 바(30)를 확실히 받아낼 수가 있다.
또한, 잠김 부재(90)의 기단부(91)를 잠김 바(30)의 이동 영역을 포함한 면에서 훅 부재(20)와 반대측에 이격한 위치로 프레임(10)에 피봇하였으므로, 제1 위치로 이동하는 잠김 바(30)의 제1 위치 측단부에 의해 제1 결합부(93)를 압동하여 잠김 부재(90)를 잠김 위치에 확실히 회전시켜 잠김 위치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차량 긴급 상황 시 이외의 통상 상태에서는 날름쇠 판(2) 삽입 시에 잠김 바(30)에 접촉하는 것만으로써, 날름쇠 판(2)의 삽입, 이탈 동작에 거의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순조롭게 또 확실하게 날름쇠 판(2)의 삽입과 이탈 동작을 실현할 수가 있다.
더구나, 차량 긴급 상황 시에 버클 본체(5)에서 날름쇠 판(2)을 이탈시키지 않는 구조를 잠김 부재(90)와 비틀림 스프링(96)으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조로서 실현 가능하므로 제작 비용도 대단히 유리하다.
더구나, 프리텐셔너의 동작 후에는 잠김 바(30)가 코일 스프링(70)의 부세력으로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하며, 이로 인하여 잠김 부재(90)가 잠김 위치에 유지되어 통상의 상태로 되돌아오기 때문에, 탐승자가 버클 본체(5)로 날름쇠 판(2)의 삽입과 이탈을 자유롭게 행할 수가 있다.
다음에, 상기 실시 형태의 변경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프리텐셔너를 생략하여 버클 본체(5)의 연결 부재(73)를 사이에 두어 차체 측에 연결하여도 좋다. 결국, 프리텐셔너의 동작 및 그 후의 버클 본체(5)의 급정지 시에 따른 관성력은 받지 않으나, 차량 충돌 등의 긴급 상황 시에 그 충격력에 의해 작용하는 관성력에 의해 상기 작동을 실현 가능하도록 하기 때문에 차량 충돌의 경우, 버클 본체(5)에서 날름쇠 판(2)이 이탈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프리텐셔너의 작동 후, 버클 본체(5)의 급정지 시에 잠김 부재(90)가 그 관성력에 의해 잠김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결국, 버클 본체(5)의 급정지 시 적어도 잠김 부재(90)에 작용하는 관성력이 잠김 부재(90)를 비 잠김 위치 측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으로서 작용하지 않도록 하면 바람직하고, 또는 비 잠김 위치 측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으로써 작용하여도 잠김바(30)가 제2 결합부(94)에 접촉되도록 하면 좋다.
더구나, 잠김 부재(90)를 전후 방향의 도중부에서 피봇하도록 구성하여도 바람직하다. 더구나, 상기 버클 장치(1)의 구조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 부재에 여러 가지의 변형을 부가한 형태로 실시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의 버클 장치는 자동차 등의 차량에 장비되는 시트 벨트 장치에 한정하지 않고, 비행기나 고속 선박 등에 장비되는 버클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량의 시트 벨트 장치에는 탑승자가 장착한 안전띠를 차체 측에 연결하기 위한 본원 특유의 버클 장치와 차량 긴급 상황 시에 안전띠를 죄기 위해 버클 장치 버클 본체를 안전띠를 밀착하는 방향으로 인입하는 프리텐셔너가 마련되어 있다. 더구나, 도18 내지 도24에서와 같이 버클 장치(1)는 설명의 편의상 화살표 A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도18에서와 같이 전후 좌우를 정의하여 설명한다.
도18 내지 도20에서와 같이, 이 버클 장치(1)는 기본적으로 안전띠(도시하지 않음)의 도중부로 이동 가능하게 취부(取付)된 날름쇠 판(2)과 버클 본체(5)로서 되어 있고, 버클 본체(5)의 전단부에는 날름쇠 판(2)을 삽입하는 삽입구(6)가 설치되어 있다. 날름쇠 판(2)은 버클 본체(5)에 삽입되는 금속제의 날름쇠 부(3)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또한 합성 수지 재료로서 덮여진 텅 본체부(4)를 가지고 있다. 또한, 날름쇠 부(3)에는 네모꼴의 결합 구멍(engaging hole; 3a)이 형성되어 텅 본체부(4)에는 안전띠 통과 홀(webbing passage hole; 4a)이 형성되어 있다.
도18 내지 도20에서와 같이, 버클 본체(5)는 프레임(10), 훅 부재(20), 잠김 바(30), 합성 수지제의 이젝터(40), 합성 수지제 릴리스 버튼(50), 잠김 레버(100), 압축 코일 스프링(70, 71), 프레임(10)에 리벳(72)으로 고정되어 버클 장치(1)를 프리텐셔너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재(73), 합성 수지제의 베이스 커버(74)와 덮개 커버(7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합성 수지제의 부재 이외의 부재는 금속제(예컨대, 철강재)이다. 더구나, 버클 본체(5)를 연결 부재(73) 이외의 부재를 사이에 두어 프리텐셔너에 연결하여도 좋다.
상기 프레임(10)은 기판부(11)와 이 기판부(11)의 좌우 양측 면에서 기립한 한 쌍의 측판부(12)를 일체로 하여 형성된다. 기판부(11)에는 리벳(72)을 위한 둥근 구멍(round hole; 11a)과 이젝터(40)의 전방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71)을 수용함과 함께 이젝터(40)의 이동을 안내(guide)하는 네모꼴 구멍(11b)과 네모꼴 구멍(11b)의 후단면으로 돌출한 스프링 연결부와 베이스 커버(74)에 결합하는 경사부(11c)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측판부(12)에는 잠김 바(30)의 양단부를 삽입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더를 자유롭게 안내하는 한 쌍의 장공(12a)과 훅 부재(20)를 회전하도록 자유롭게 피봇하는 노치 피봇부(12b)와 릴리스 버튼(50)이 전방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걸림 작용을 수행하는 한 쌍의 스토퍼부(12c)와 날름쇠 판(2)의 삽탈을 가이드 하는 것과 같이 삽입 시의 날름쇠 판(2)의 비틀림(twisting)을 방지하는 한 쌍의 안내 돌기부(12d)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측판부(12)의 측판 후부(13)에는 잠김 레버(100)에 끼워 고정된 좌우 방향의 축 부재(104) 양단부를 삽입하여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축 홈(13a)이 형성되며, 좌측의 측판 후부(13)에는 잠김 레버(100)에 양방향으로 회전력을 인가하는 비틀림 스프링(105)의 한 단부를 취부(取付)하는 스프링 취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도18 내지 도21에서와 같이, 훅 부재(20)는 본체부(21)와 그 본체부(21)에서 전방으로 위쪽에 만곡상으로 팽창한 규제부(22)와 이 규제부(22)에서 아래쪽으로 굴곡한 날름쇠 판(2)의 결합 구멍(3a)에 결합 가능하고 또한 선단부가 기판부(11)의 네모꼴 구멍(11b)의 전단부에 끼움이 가능한 훅부(23)와 훅부의 좌우 한 쌍의 피봇부(24)와 본체부(21)의 후단부에서 하측으로 굴곡 형성되어 또한 이젝터(40)로서 조작되는 한 쌍의 피조작부(25)와 이들 피조작부(25)의 사이에서 상측으로 굴곡된 스프링 받침부(26)를 마련하고 있다. 좌우 한 쌍의 피봇부(24)가 한 쌍의 측판부(12)의 한 쌍의 노치 피봇부(12b)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훅 부재(20)가 상하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잠김 바(30)에 대해 설명하면, 도18 내지 도20에서와 같이, 잠김 바(30)는 판편 형태의 부재(strip-type member)로써 되어 있고, 이 잠김 바(30)는 한 쌍의 장공(long slot; 12a)에 삽통시킨 상태로 하여 한 쌍의 측판부(12)에 마운트되며, 이 가착 상태에 있어서 잠김 바(30)는 한 쌍의 장공(12a)에 따라 전후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이 가능하다.
잠김 바(30)의 후단부의 중앙부에는 스프링 받침부(31)가 돌출형으로 형성되어, 훅 부재(20)의 스프링 받침부(26)와 잠김 바(30)의 스프링 받침부(31)의 사이에 코일 스프링(70)이 압축 상태로 끼워져, 잠김 바(30)는 전방으로 힘이 인가되어 훅 부재(20)는 그 훅 부재(23)가 위 방향(날름쇠 판(2)과의 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항상 힘이 인가된다.
날름쇠 판(2)을 버클 본체(5)에 삽입하여 훅 부재(2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잠김 바(30)는 한 쌍의 장공(12a)의 전단 부분에 대응하는 제1 위치에 위치하여 규제부(22)를 상측에서 누름으로써 훅 부재(20)의 결합 해제 방향(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고, 또한 릴리스 버튼(50)의 결합 해제 조작 시에 잠김 바(30)는 릴리스 버튼(50)을 후방으로 압동하여, 한 쌍의 장공(12a)의 후단 부분에 대응하는 제2 위치에 위치하여 규제부(22)보다 더 후퇴하여 훅 부재(20)를 결합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을 허용한다.
이젝터(40)에 대해 설명하면, 도18 내지 도20에서와 같이, 이젝터(40)는 그 전단의 경사부(41)와 좌우 양단부의 피안내부(42)와 날름쇠 판(2)의 삽입 시에 훅 부재(20)의 한 쌍의 피조작부(25)를 후방으로 회전시켜서, 훅 부재(20)를 결합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한 쌍의 조작부(43)와 날름쇠 판(2)의 이탈 시에 릴리스 버튼(50)을 전방으로 압동시키기 위한 좌우 한 쌍의 압동부(44)와 코일 스프링(71)의 전단부가 연결된 스프링 연결부(46)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젝터(40)는 프레임(10)의 기판부(11) 위에 전후 이동 자유롭게 배치되어 한 쌍의 피 안내부(42)가 네모꼴 구멍(11b)의 양측 면에 결합함으로써 손상됨이 없이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71)의 전단부는 스프링 연결부(46)에 삽통형으로 연결되며, 이 코일 스프링(71)의 후단은 기판부(11)의 스프링 연결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그 결과, 이젝터(40)는 코일 스프링(71)의 부세력에 의해 프레임(10)에 대하여 전방(즉, 날름쇠 판(2)의 이탈 방향)으로 탄성력이 인가된다.
릴리스 버튼(50)에 대해 설명하면, 도18내지 도20에서와 같이, 릴리스 버튼(50)은 전단의 전단벽부(51)와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벽부(52)와 상단의 상단 벽부(53)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벽부(52)는 프레임(10)의 한 쌍의 측판부(12)의 외측으로 각각 근접 위치하고, 이 한 쌍의 가이드 벽부(52)에는 한 쌍의 장공(12a) 외측에 각각 돌출한 잠김 바(30)의 양단부를 전후 이동 자유롭게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홈(54)이 형성되어 있다.
릴리스 버튼(50)이 전진 한계 위치(도19, 도20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이들 가이드 홈(54)의 전단(front end)은 장공(12a)의 전단보다도 약간 뒤로 위치함으로써, 각 가이드 벽부(52)에는 가이드 홈(54)의 전단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또한,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한 잠김 바(30)의 단부를 받침하는 받침부(55)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벽부(52)에 형성된 상기의 한 쌍의 받침부(55)가 릴리스 버튼(50)에 일체적으로 형성한 정지 규제부이고, 잠김 바(30)가 코일 스프링(70)의 부세력으로 제1 위치로 이동할 때에 그 부세력으로 맞서 잠김 바(30)를 받침하는 정지 규제부를 구성하고 있다.
릴리스 버튼(50)의 상단 벽부(53)에 프레임(10) 한 쌍의 측판부(12)의 한 쌍의 스토퍼부(12c)에 대하여 릴리스 버튼(50)의 전후 이동을 허락하기 위한 좌우 한쌍의 슬릿(slit; 56)이 형성되어, 날름쇠 판(2)의 삽입 시에 잠김 바(30)가 코일 스프링(70)의 부세력으로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하여, 한 쌍의 받침부(55)로서 받침될 때에 한 쌍의 슬릿(56) 후단의 한 쌍의 피결합부(engaged part; 57)가 한 쌍의 스토퍼부(12c)로서 각각 결합되는 릴리스 버튼(50)이 전진 한계 위치에 정지한다.
릴리스 버튼(50)의 전단 벽부(51)의 내면에는 날름쇠 판(2)을 버클 본체(5)에서 이탈시킬 때에 이젝터(40) 한 쌍의 압동부(44)에 접촉하여 전방으로 압동되는 한 쌍의 피압동부(58)가 형성되며, 날름쇠 판(2)을 버클 본체(5)로부터 이탈시킬 때에, 코일 스프링(71)의 부세력으로 부세된 이젝터(40)에 의해 릴리스 버튼(50)을 날름쇠 판(2)과 함께 전방으로(날름쇠 판 이탈 측으로) 압동시켜, 릴리스 버튼(50)을 전진 한계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이젝터(40)는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도 이젝터(40)는 코일 스프링(71)의 부세력을 받아 릴리스 버튼(50)을 전방으로 압동하도록 프레임(10)에 형성된 네모꼴 구멍(rectangle hole; 11b)의 전단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격을 남겨서 정지한다.
잠김 레버(10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8 내지 도21에서와 같이, 잠김 레버(100)는 프레임(10) 한 쌍의 측판후부(側板後部; 13) 사이에 배치되는 좌우 방향의 단면 타원(ellipse) 축 상의 기부(基部; base part; 101)와 이 기부(101)의 좌우 양단부에서 거의 전방으로 뻗은 한 쌍의 레버부(102)를 갖는다. 기부(101)에는 잠김 레버(100)의 중심에서 편심한 위치에 피봇부(101a)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피봇부(101a)에 피봇부로서의 축부재(軸部材; axial member; 104)가 삽통형(揷通形)으로 고착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 피봇부(104)의 양단부가 한 쌍의 축 홈(13a)에 삽통되어, 이로 인해 잠김 레버(100)는 축부재(104)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측판 후부(13)에 회전 자유롭게 피봇되어 있다. 또한, 기부(101)의 절단부에는 훅부재(20)의 스프링 받침부(26)와 간섭하지 않도록 절결부(notched part; 101b)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레버부(102)의 전단 하부에는 한 쌍의 누름부(holding part; 102a)가 형성되어, 레버부(102)는 누름부(102a)를 포함하는 그 전단 부분을 장공(12a)보다 더 상측에 위치시켜, 날름쇠 판(2)을 결합 해제 가능한(결합 해제를 허용하는) 비 잠김 위치(도21, 도22 참조)와 날름쇠 판(2)과 결합 상태의 훅 부재(20)의 규제부(2)의 뒤쪽 사면부에 누름부(102a)를 접촉시켜, 그 훅 부재(20)를 결합 해제 불가능하게 하는 잠김 위치(도23, 도24 참조)에서 서로 회전 가능하게 한다.
좌측의 레버부(102)의 후단부에 스프링 취부(103)가 형성되어, 한 단부(end part)가 측판후부(13)의 스프링 취부(13b)에 취부(取付)된 비틀림 스프링(105)의 타단부가 이 스프링 취부(103)에 취부되어 있다. 이 비틀림 스프링(105)에 의해 잠김 레버(100)가 상방의 비 잠김 위치 측에 항상 회전 힘이 인가되어 있다. 그리하여, 프리텐셔너가 작동하지 않은 통상의 상태에서는 잠김 레버(100)는 비 잠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23, 도24에서와 같이, 잠김 레버(100)가 잠김 위치일 때, 그 레버부(102)의 전단부 이외의 대부분의 상면부는 훅 부재(20)의 규제부(22)의 상면과 거의 같은 레벨로 수평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부의 전단 부분에는 잠김 바(30)와 접촉 가능한 접촉부(102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레버부(102)의 전단부에 접촉부(102b)의 전단에서 엇경사(skew) 아래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안내부(102c)가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프리텐셔너(pretensioner)의 작동 시에 있어서 버클 본체(5)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버클 본체(5) 잠김 레버(100)의 중심 G는 잠김 레버(100)의 중심 G에 작용하는 관성력으로 잠김 레버(100)를 잠김 위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축 부재(104)의 위쪽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73)가 프레임(10)에 리벳(72)을 사이에 두고 고정되며, 도18 내지 도20에서와 같이 프레임(10)에 훅 부재(20), 잠김 바(30), 이젝터(40), 릴리스 버튼(50), 잠김 레버(100)와 코일 스프링(70, 71) 등이 맞붙어서, 그들이 베이스 커버(74)와 덮개 커버(75)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커버(74)와 덮개 커버(75)들이 복수의 감합부(fitting parts)와 결합부(engaging parts)를 사이에 두고 고정 상태로 일체화된다. 이 버클 장치(1)의 전단에 릴리스 버튼(50)의 전단이 서로 마주 대하며, 릴리스 버튼(50)의 전단부를 손가락으로 누름으로써 릴리스 버튼(50)을 압동 조작 가능하게 구성된다.
다음에, 이상 설명한 버클 장치(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22는 날름쇠 판(2)의 날름쇠 부(3)를 버클 본체(5)에 삽입하여 날름쇠 판(2)과 훅 부재(20)를 결합시킨 결합 상태를 나타내고, 이 결합 상태에 있어서 훅부(23)가 날름쇠 부(3)의 결합 구멍(3a)과 프레임(10)의 네모꼴 구멍(11b)에 결합하여 날름쇠 부(3)를 맞물림(engaging)하고 있다.
또한, 잠김 바(30)는 제1 위치에 위치하여 훅 부재(20)의 규제부(22)의 상면에 접촉하고, 훅 부재(20)를 결합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을 억제하고 있어, 릴리스 버튼(50)의 한 쌍의 피결합부(57)가 한 쌍의 스토퍼부(12c)에 각각 맞물려서, 릴리스 버튼(50)이 전진 한계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다. 이 결합 상태에 있어서, 릴리스 버튼(50)의 한 쌍의 받침부(55)에 잠김 바(30)의 양단부가 각각 접촉하여 릴리스 버튼(50)은 코일 스프링(70)의 부세력을 받는 잠김 바(30)에서 전방으로 부세되고 있다.
날름쇠 판(2)을 버클 본체(5)에서 이탈시킬 경우에는 릴리스 버튼(50)을 코일 스프링(70)의 부세력에 맞서 손가락으로 눌러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잠김 바(30)의 좌우 양단부가 릴리스 버튼(50)의 좌우 한 쌍의 받침부(55)로서 후방으로 압동되기 때문에 잠김 바(30)가 릴리스 버튼(50)과 함께 제2 위치로 이동하여 코일 스프링(70)이 압축되기 때문에 훅 부재(20)의 스프링 받침부(26)를 사이에 두어 훅 부재(20)를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도21에서와 같이 잠김 바(30)가 제2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는 잠김 바(30)가 규제부(22)보다도 후방으로 이동하여 규제부(22)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훅 부재(20)가 상방으로 최대한 회전하여 결합 해제 상태로 된다.
이 결합 해제 상태에 있어서 날름쇠 판(2)을 버클 본체(5)에서 전방으로 이탈시키는 것이나, 이 때 이젝터(40)의 전단은 날름쇠 판(2)의 후단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날름쇠 판(2)이 전방으로 힘이 인가되어 벗어나게 된다. 그리하여, 이젝터(40)의 한 쌍의 압동부(44)가 릴리스 버튼(50)의 한 쌍의 피압동부(58)에 접촉하기 위해 릴리스 버튼(50)에서 손가락을 떼면, 코일 스프링(71)의 부세력에 의해 부세되는 이젝터(40)에 의해 릴리스 버튼(50)이 전방으로 힘이 인가되어 릴리스 버튼(50)이 전진 한계 위치로 복귀한다.
이어서, 도21의 날름쇠 판 이탈 상태에 있어서, 날름쇠 판(2)을 버클 본체에 삽입하여 연결할 때에는 날름쇠 판(2)의 날름쇠 부(3)를 삽입구(6)에서 삽입하여 이젝터(40)의 전단에 접촉시켜 코일 스프링(71)의 부세력을 맞서서 날름쇠 판(2)을 삽입하여 이젝터(40)를 압동시킨다. 그러면, 이젝터(40) 후단의 한 쌍의 조작부(43)가 훅 부재(20)의 한 쌍의 피조작부(25)에 접촉하여 후방으로 회전되므로, 도22에서와 같이 훅 부재(20)가 코일 스프링(70)의 부세력에 맞서 접촉 방향으로 회전하고 날름쇠 부(3)의 결합 구멍(3a)에 결합하여, 잠김 바(30)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전진 이동한다.
그런데, 프리텐셔너가 작동하지 않은 보통 상태에서는 잠김 레버(100)는 상기 날름쇠 판(2)의 삽입, 이탈 동작에는 관여하지 않고, 비틀림 스프링(105)에 의해 도21, 도22의 비 잠김 위치에 상시 힘이 인가되어 있다. 그러나, 차량 충돌 등의 차량 긴급 상황 시에 있어서는 프리텐셔너가 작동하여 버클 본체(5)가 안전띠를 죄는 방향으로 소정량만큼 인입되게 되어 안전띠에 의해 탑승자가 심하게 구속된다. 또한, 버클 장치(1)에 있어서는 잠김 레버(100) 등이 버클 본체(5)에서 날름쇠 판(2)이 이탈하지 않도록 동작한다.
프리텐셔너가 동작하면 버클 본체(5)가 안전띠의 졸림 쪽, 즉 뒤쪽으로 인입되어 급정지하지만 먼저, 버클 본체(5)의 뒤쪽으로 이동 개시 직후에 잠김 레버(100)가 앞쪽의 관성력을 받게 된다. 도22에서와 같이, 잠김 레버(100)의 중심 G가 축 부재(104)의 위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그 중심 G에 작용하는 관성력이 잠김 레버(100)를 잠김 위치 쪽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으로서 작용한다. 그 결과, 도23에서와 같이 잠김 레버(100)가 잠김 위치로 회전하여 잠김 레버(100)의 한 쌍의 누름부(102a)가 훅 부재(20)의 규제부(22)의 뒤 사면부에 접촉한다.
이어서, 버클 본체(5)의 급정지 시에 잠김 바(30)가 뒤쪽의 관성력을 받는다. 이 관성력은 모두 잠김 바(30)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힘으로서 작용하고, 잠김 레버(100)가 잠김 위치에서 비 잠김 위치로 회전하지 않는 동안에 도24에서와 같이 잠김 바(30)가 버클 본체(5)의 급정지 시에 받는 제2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하여, 제2 위치로 이동한 잠김 바(30)는 잠김 레버(100)의 접촉부(102b)에 접촉하여 잠김 레버(100)를 잠김 위치에 유지하고, 이로 인해 잠김 레버(100)의 잠김 위치에서 비 잠김 위치로 회전이 중지된다.
프리텐셔너 작동 후에 있어서는 잠김 바(30)가 코일 스프링(70)의 부세력으로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한다. 이로 인해서, 잠김 레버(100)가 비틀림 스프링(105)에 의해 잠김 위치에서 비 잠김 위치로 힘이 인가되어 회전하며, 정상 상태로 복귀하고 탑승자가 버클 본체(5)로 날름쇠 판(2)의 삽입과 이탈을 자유로이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잠김 레버(100)를 설치하지 않으면, 버클 본체(5)의 급정지 시,잠김 바(30)가 뒤쪽의 관성력을 받아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여 훅 부재(20)가 날름쇠 판(2)에서 결합 해제하여, 날름쇠 판(2)이 버클 본체(5)에서 이탈하는 가능성이 있으나, 잠김 레버(100)를 마련함으로 인해 잠김 바(30)가 제2 위치로 이동하여도 그 잠김 바(30)가 잠김 레버(100)의 잠김 위치에서 비 잠김 위치로 회전하는 것이 억제되어, 버클 본체(5)에서 날름쇠 판(2)이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더구나, 잠김 레버(100) 등으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조로 프리텐셔너의 이동에 의해 버클 본체(5)에서 날름쇠 판(2)을 이탈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 비용 면에서 유리하게 된다. 더구나, 버클 본체(5)의 급정지 시 잠김 바(30)가 관성력을 받아 제2 위치로 이동하지만, 그 잠김 바(30)의 코일 스프링(70)에 의해 탄성적으로 받침할 수가 있기 때문에 잠김 바(30) 등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일없이 정상 동작이 가능하다.
잠김 레버(100)의 레버부(102)의 선단 부분에 버클 본체(5)가 급정지할 때에, 제2 위치로 이동한 잠김 바(30)가 접촉하여 잠김 레버(100)를 잠김 위치에 유지하는 접촉부(102b)를 형성하였으므로, 잠김 바(30)에 의해 잠김 레버(100)를 잠김 위치로 정확히 유지하여 잠김 레버(100)가 비 잠김 위치로 회전하는 것을 확실히 억제할 수가 있다.
잠김 레버(100)의 레버부(102)는 제2 위치로 이동하는 잠김 바(30)로부터 잠김 위치 측으로 회전력을 받는 경사 안내부(102c)를 구비하고 있어, 잠김 레버(100)가 잠김 위치에서 비 잠김 위치로 이동하고자 할 때, 또는 버클 본체(5)의 이동 개시 시에 잠김 레버(100)의 잠김 위치로의 회전이 늦은 때, 제2 위치로 이동하는 잠김 바(30)가 경사 안내부(102c)에 접속하고, 잠김 레버(100)가 잠김 위치 측으로 회전력을 받기 때문에 잠김 레버(100)를 잠김 위치에 강제적으로 회전시켜서 유지할 수가 있다.
더구나, 버클 본체(5)의 급정지 시, 최악으로 경우 잠김 바(30)가 잠김 레버(100)의 선단 부분에 충돌하여도, 이 때에 잠김 바(30)는 제1 위치에 위치함으로서 제1 위치의 잠김 바(30)로 훅 부재(20)가 회전하여 날름쇠 판(2)으로부터 결합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다음에, 상기 버클 장치(1)의 잠김 레버(100)를 변경한 별도의 실시 형태의 버클 장치(1A)에 대해 설명한다. 단,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은 것은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25 내지 도28에서와 같이, 버클 장치(1A)의 잠김 레버(100A)는 공통의 축심에 회전 가능한 제1 레버(80)와 제2 레버(85)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레버(85)는 기부(86)와 한 쌍의 레버(87)를 가지며, 기부(86)에 제2 레버(85)의 중심에서 편심한 위치에 피봇부(86a)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어 그 피봇부(86a)에 피봇부로서의 축 부재(104)가 삽통 상태로 고착되어 있다. 또, 제1 레버(80)의 후단 부분이 예컨대, 축 부재(104)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제1 레버(80)와 제2 레버(85)는 공통의 축심 둘레에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2 레버(85)의 레버부(87)에 누름부(87a), 접촉부(87b), 경사 안내부(87c)가 형성되어 제2 레버부(85)가 누름부(87a)를 포함하는 그 전단 부분을 장공(12a)보다 상측으로 위치시켜, 날름쇠 판(2)과 결합 상태의 훅 부재(20)를 결합 해제 가능한(결합 해제를 허용한다) 비 잠김 위치(도25, 도26 참조)와 날름쇠 판(2)과 결합 상태의 훅 부재(20)의 본체부(21)의 전단 상면에 누름부(87a)를 접촉시켜, 그 훅 부재(20)를 결합 해제 불가능하게 잠그는 잠김 위치(도27, 도28 참조)에서 서로 회전 가능하다.
제1 레버(80)에는 제2 레버(85)의 상면에 접촉 가능한 압동부(80a)가 형성되며, 제1 레버(80)는 제2 레버(85)와 함께 잠김 위치로 회전 가능하여, 제2 레버(85)와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비 잠김 위치로의 회전이 가능하다. 그리하여, 제1 레버(80)와 제2 레버(85)는 각각 부세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비 잠김 위치 방향으로 힘이 인가되어 있다. 또한, 적어도 제2 레버(85)를 부세부재에 의해 비 잠김 위치 측으로 항상 힘이 인가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그런데, 프리텐셔너의 동작 시에 있어서, 버클 본체(5)가 뒤쪽으로 이동할 때 잠김 레버(100A)에는 전방으로 관성력이 작용하지만, 제1 레버(80)의 중심 G1은 제1 레버(80)의 중심(G1)에 작용하는 관성력으로 제1 레버(80)를 잠김 위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축 부재(104)의 위쪽에 마련되며, 제2 레버(85)의 중심 G2는 제2 레버(85)의 중심 G2에 작용하는 관성력으로 제2 레버(85)를 비 잠김 위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축 부재(104)의 아래쪽에 마련되어 있다.
단지, 버클 본체(5)가 뒤쪽으로 이동할 때, 제1 레버(80)에 작용하는 관성력에 의해 제1 레버(80)를 잠김 위치 측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이 제2 레버(85)에 작용하는 관성력에 의해 제2 레버(85)를 비 잠김 위치 쪽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 보다 크게 되도록 제1 레버(80)와 제2 레버(85)의 질량과 중심 위치 G1, G2 등이 설정되어 있다.
이 버클 장치 1A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25는 버클 본체(5)에서 날름쇠 판(2)이 이탈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26은 버클 본체(5)에 날름쇠 판(2)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프리텐셔너가 작동하지 않는 통상 상태에 있어서는 잠김 레버(100A)의 제1 레버(80), 제2 레버(85)는 비 잠김 위치에 항상 힘이 인가되어 있다.
그런데, 차량 충돌 등의 차량 긴급 상황 시에는 프리텐셔너가 작동하여 버클 본체(5)가 후방으로 인입되어 그 후 급정지 하지만, 먼저 버클 본체(5)의 후방으로의 이동 개시 직후에 잠김 레버(100A)가 앞쪽의 관성력을 받는다. 도26에서와 같이, 제1 레버(80)의 중심 G1은 축 부재(axial member; 104)의 위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그의 중심 G1에 작용하는 관성력이 제1 레버(80)를 잠김 위치 쪽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으로서 작용한다.
한편, 제2 레버(85)의 중심 G2는 축 부재(104)의 아래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그 중심 G2에 작용하는 관성력이 제2 레버(85)를 비 잠김 위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으로서 작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레버(80)의 잠김 위치 측으로의 회전력은 제2 레버(85)의 비 잠김 위치 측으로의 회전력보다도 크게 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도27에서와 같이 관성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1 레버(80)의 압동부(80a)로 제2 레버(85)가 압동되어 잠김 위치로 회전한다. 또한, 제2 레버(85)의 한 쌍의 누름부(87a)가 훅 부재(20)의 본체부(21)의 전단 위쪽에접촉한다.
이어서, 버클 본체(5)의 급정지 시에 잠김 바(30)가 뒤쪽으로 관성력을 받아 제2 레버(85)가 잠김 위치에서 비 잠김 위치로 회전하지 않는 동안, 도28에서와 같이 잠김 바(30)가 코일 스프링(70)의 부세력에 맞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에, 제2 레버(85)의 중심 G2에 작용하는 관성력이 제2 레버(85)를 잠김 위치에 유지시키는 힘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그 관성력에 의해 제2 레버(85)가 잠김 위치 쪽으로 유지되어, 제2 위치로 이동한 잠김 바(30)는 제2 레버(85)의 접촉부(87b)에 확실하게 접촉하여 제2 레버(80)를 잠김 위치에 유지한다. 더구나, 버클 본체(5)가 급정지 시에, 제1 레버(80)는 관성력과 부세력을 받아 비 잠김 위치에 회전하지만 문제는 없다.
이와 같이, 잠김 레버(100A)는 공통의 축심 둘레에 회전 가능한 제1 레버(80)와 제2 레버(85)를 구비하여, 프리텐셔너의 작동 시에 있어서 버클 본체(5)의 이동 개시 직후에 관성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1 레버(80)로 제2 레버(85)가 압동되어 잠김 위치로 회전하여, 버클 본체(5)의 급정지 시에 제2 레버(85)가 관성력에 의해 잠김 위치 쪽에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버클 본체(5)의 급정지 시에 잠김 바(30)가 제2 위치로 이동하여 제2 레버(85)의 잠김 위치에서 비 잠김 위치로의 회전을 더욱 더 확실히 억제하고, 버클 본체(5)로부터 날름쇠 판(2)이 이탈함을 확실히 방지된다. 그 외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달성한다.
더구나, 상기 버클 장치(1과 1A)는 일 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 부재에 여러 가지의 변형을 부가한 형태로 실시 가능하다.
본원의 제1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buckle device)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날름쇠 판(tongue plate)의 삽입 시 잠김 바(lock bar)가 부세부재 (urging member)의 부세력으로 제1 위치로 이동할 때, 그 부세력에 맞서 잠김 바를 받침하는 정지 규제부(stop restricting part)를 합성 수지제의 릴리스 버튼(release button)과 일체적으로 형성했기 때문에, 잠김 바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전환될 때에 합성 수지제의 정지 규제부로써 받침됨으로 인하여 금속 부재끼리의 충격음을 발생하지 않고, 금속 부재끼리의 충격음보다 낮고 조용한 충돌음밖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의 버클 장치에 있어서, 날름쇠 판을 이탈시킬 때에 이젝터(ejector)를 힘을 인가하는 스프링 부재를 활용하여 릴리스 버튼을 날름쇠 판 이탈 방향으로 압동(push)시키는 스프링 부재를 생략할 수 있어, 그 스프링 부재의 양단을 받침하는 한 쌍의 스프링 받침부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부재 수도 적게 되어 구조가 간단화 되고, 버클 장치의 조립도 간단하게 된다. 또한, 날름쇠 판의 비결합 시에는 릴리스 버튼은 항상 스프링 부재의 부세를 받게 되므로 덜컹거리는 소음도 발생하지 않고 안정한 상태로 대기시킬 수가 있다.
더구나, 상기의 버클 장치에 있어서, 잠김 바를 프레임(flame)의 한 쌍의 측판부(slide plate part)를 형성한 한 쌍의 장공(long hole)을 삽통시켜서 한 쌍의 측판부에 가착(mounting)시키면, 잠김 바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support)가 안정하고, 잠김 바가 제1 위치일 때에 훅 부재의 결합 해제 방향으로의 회전을 확실히 억제된다. 또한, 상기의 정지 규제부는 한 쌍의 측판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잠김 바의 양단부를 받침할 때의 동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버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김 바를 힘을 인가하는 상기 부세부재(urging member)의 부세력(urging force)에 맞서 릴리스 버튼(release button)을 결합(engage)하는 스토퍼부를 프레임에 한 쌍으로 형성하면, 날름쇠 판의 삽입 시에 잠김 바에서 릴리스 버튼이 날름쇠 판 이탈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여도 금속제의 프레임에 한 쌍으로 형성된 스토퍼부로 릴리스 버튼을 확실하게 결합할 수가 있고, 스토퍼부(stopper part)를 프레임에 한 쌍으로 형성하기 위해 스토퍼부를 간단히 또한 저렴한 가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의 버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김 바가 판편 형태의 부재(strip-type member)로써 되어 있고, 그 양단부가 한 쌍의 장공에 삽통되고 또한 한 쌍의 가이드 홈으로 안내되는 구성으로 잠김 바의 양단부로 한 쌍의 가이드 홈을 사이에 두어 릴리스 버튼을 이동 가능하게 안내할 수가 있다. 결국, 한 쌍의 가이드 벽부와 그 가이드 홈에 의해 잠김 바가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규제할 수 있어, 잠김 바가 프레임의 한 쌍의 장공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규제할 수 있다. 프레임과 그 한 쌍의 장공과 잠김 바에 의해 한 쌍의 가이드 벽부와 그 한 쌍의 가이드 홈을 사이에 두어 릴리스 버튼이 잠김 바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규제할 수 있어 릴리스 버튼의 이동 방향을 규제할 수가 있다. 그리하여, 잠김 바에 관련하는 구조와 릴리스 버튼에 관련된 구조를 극히 간단히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의 버클 장치에 있어서, 각 가이드 홈을 그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닫힌 홈에서 구성하고, 각 가이드 벽부에 잠김 바의 단부를 가이드 홈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가이드 홈의 길이 방향의 도중부에 도입하기 위한 도입 개구부를 형성하면, 버클 장치의 조립 등의 경우에 잠김 바의 단부(end part)를 도입 개구부에서 가이드 홈의 길이 방향 도중부에 삽입함으로써 쉽게 릴리스 버튼을 취부(取付)할 수가 있다. 또한,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일 때 잠김 바의 위치에 대응하지 않도록 적절한 위치에 도입 개구부를 형성하면, 그 도입 개구부에서 잠김 바의 단부가 벗어나는 위험도 없다.
이어서, 본 출원의 제2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에 의하면 날름쇠 판이 버클 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잠김 바의 제1 위치의 측단부가 제1 결합부에 접촉하여 잠김 부재를 잠김 위치에 회전시켜서 잠김 부재를 잠김 위치에 유지하여 제2 결합부가 잠김 바의 이동 영역으로 돌입하여 잠김 바에 가까이 서로 향하고 있기 때문에, 차량 긴급 상황 시에 작용하는 관성력에 의해 잠김 바가 제2 위치 측으로 이동을 개시하여도, 그 잠김 바를 제2 결합부로 받아내어 잠김 바의 제2 위치 쪽으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가 있어 이로 인해, 훅 부재가 결합 해제하여 버클 본체에서 날름쇠 판이 이탈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차량 긴급 상황 시 이외의 정상 상태에서는 날름쇠 판 삽입 시에 잠김 바에 접촉만으로 날름쇠 판의 삽입과 이탈 동작에 거의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원활하고 확실한 날름쇠 판의 삽입과 이탈 동작을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차량 긴급 상황 시에 버클 본체에서 날름쇠 판을 이탈시키지 않는 구조를 잠김 부재와 부세부재로써 이루어진 간단한 구조로 실현할 수 있어 제작 비용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날름쇠 판의 삽입 시 부세력으로 제1 위치로 이동하는 잠김 바를 제1 결합부를 사이에 두어 탄성적으로 받침할 수 있어 제1 결합부 등이 탄성(cushion)으로 작용하여 잠김 바의 접촉음 등을 감소시킬 수 있어 유효하게 된다.
상기의 버클 장치에 있어서, 탑승자의 자세로 인해 갑자기 손이나 팔꿈치 등이 버클 장치의 릴리스 버튼에 우연히 접촉하여 압력을 받아 잠김 바의 급격한 이동이 발생하여도 잠김 부재의 동작 지연에 의해 잠김 바가 훅 부재의 회전을 억제하여, 훅 부재와 날름쇠 판과의 결합 해제가 방지되므로 대단히 안전성이 높은 버클 장치를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버클 장치 외관의 배치를 자유로이 할 수가 있다.
상기의 버클 장치에 있어서, 잠김 부재의 기단부(base end part)를 잠김 바의 이동 영역을 포함한 면에서 훅 부재와 반대측으로 이격한 위치로서 프레임을 피봇하면, 제1 위치로 이동하는 잠김 바의 제1 위치의 측단부에 의해 제1 결합부를 압동하여 잠김 부재를 잠김 위치로 확실하게 회전시켜 잠김 위치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제2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에 의하면 프리텐셔너가 작동하지 않는 평상 시에 있어서, 날름쇠 판이 버클 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제1 결합부가 잠김 바의 제1 위치의 측단부에 접촉하여 잠김 부재를 잠김 위치로 회전시켜 제2 결합부가 잠김 바의 이동 영역으로 돌입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프리텐셔너의 작동 후의 버클 본체의 급정지 시에 작용하는 관성력에 의해 잠김 바가제2 위치로 이동을 개시하여도 그 잠김 바의 이동 영역에 돌입하고 있는 제2 결합부로써 받침되어 잠김 바의 제2 위치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가 있어, 이로 인해 버클 본체에서 날름쇠 판이 이탈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그 외에, 상기의 버클 장치의 효과와 거의 같은 효과를 달성한다.
더욱이, 본원 제2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에 있어서, 잠김 부재를 거의 중심에서 편심한 피봇부를 사이에 두어 프레임에 회전 자유롭게 피봇하여, 프리텐셔너의 작동 후의 버클 본체가 급정지 시에 잠김 부재에는 잠김 위치 쪽으로 회전하는 관성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하면, 제2 위치 쪽으로 이동을 개시한 잠김 바를 제2 결합부로 확실하게 받침할 수가 있다.
또한, 본원 제2의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에 있어서 잠김 부재의 제2 결합부를 잠김 위치 쪽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발생하도록 구성하면, 잠김 부재의 제2 결합부가 잠김 바의 이동 영역으로 완전하게 개입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그 제2 결합부에 제2 위치 쪽으로 이동을 개시한 잠김 바가 접촉하면, 잠김 부재를 잠김 위치로 확실하게 회전시킬 수가 있다. 결국, 제2 결합부를 잠김 바의 이동 영역으로 완전히 삽입 시켜 그 제2 결합부로 잠김 바를 확실하게 받침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출원의 제3 발명에 의한 버클 장치에 의하면, 특히, 날름쇠 판과 결합 상태의 훅 부재를 결합 해제 불가능으로 잠김 하는 위치와 결합 해제 가능한 비 잠김 위치에 서로 회전 가능하게 또한 상기 비 잠김 위치로 항상 부세되는 잠김 레버를 마련하여, 그 잠김 레버를 그 중심에서 편심한 피봇부를 사이에 두고 프레임에 회전 자유롭게 회전하므로 프리텐셔너의 작동 시에 있어서, 버클 본체의 이동개시 직후에 잠김 레버가 관성력을 받아 잠김 위치로 회전하여, 버클 본체의 급정지 시에 잠김 바가 관성력을 받아서 제2 위치로 이동하여 잠김 레버의 잠김 위치에서 비 잠김 위치로의 회전을 억제할 수가 있다.
결국, 잠김 레버를 마련하지 않으면 버클 본체의 급정지 시 잠김 바가 관성력을 받아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여 훅 부재가 결합 해제하여 날름쇠 판이 버클 본체에서 이탈하는 가능성이 있으나, 잠김 레버를 마련함으로써 잠김 바가 제2 위치로 이동하여도 그 잠김 바가 잠김 레버의 잠김 위치에서 비 잠김 위치로의 회전을 억제함으로써, 버클 본체에서 날름쇠 판이 이탈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잠김 레버 등으로서 이루어진 간단한 구조로 프리텐셔너의 작동에 의해 버클 본체에서 날름쇠 판을 이탈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비가 유리하게 된다. 더구나, 버클 본체의 급정지 시 잠김 바가 관성력을 받아 제2 위치로 이동하지만, 그 잠김 바를 부세부재에 의해 탄성적으로 받침할 수가 있기 때문에 잠김 바 등을 파손하거나 변형시키지 않고 정상으로 작동을 시킬 수 있다.
상기의 버클 장치에 있어서, 잠김 레버의 선단 부분에 버클 본체의 급정지 시 제2 위치로 이동한 잠김 레버가 접촉하여 잠김 레버를 잠김 위치에 유지하는 접촉부를 형성하면, 잠김 바에 의해 잠김 레버를 잠김 위치로 확실하게 유지하여 잠김 레버가 비 잠김 위치로 회전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의 버클 장치에 있어서 잠김 레버에 제2 위치로 이동하는 잠김 바에서 잠김 위치 쪽으로 회전력을 받는 경사 안내부를 마련하면, 잠김 레버가 잠김 위치에서 비 잠김 위치로 이동하고자 할 때, 제2 위치로 이동하는 잠김 바가 잠김레버의 경사 안내부에 접촉하여 잠김 레버가 잠김 위치 쪽으로 회전력을 받기 때문에 잠김 레버를 잠김 위치에 강제적으로 회전시켜 유지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의 버클 장치에 있어서 잠김 레버의 중심을 버클 본체의 이동 시, 잠김 레버의 중심에 작용하는 관성력으로 잠김 레버를 잠김 위치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하면, 버클 본체의 이동 개시 직후에 작용하는 관성력에 의해 잠김 레버로부터 잠김 레버를 잠김 위치로 확실하게 회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의 버클 장치에 있어서 잠김 레버가 공통의 축심(axis) 주위에 회전 가능한 제1 레버와 제2 레버를 구비하여, 프리텐셔너(pretensioner)의 작동 시에 버클 본체의 이동 개시 직후에 관성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1 레버로 제2 레버가 압동되어 잠김 위치로 회전하여, 버클 본체의 급정지 시에 제2 레버가 관성력에 의해 잠김 위치 측으로 유지하도록 구성하면, 버클 본체의 급정지 시에 잠김 바가 제2 위치로 이동하여, 잠김 레버의 잠김 위치에서 비 잠김 위치로 회전을 보다 더 확실하게 억제하여, 버클 본체에서 날름쇠 판이 이탈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6)

  1. 안전띠에 연결된 날름쇠 판(2)과 상기 날름쇠 판(2)이 삽탈되는 버클 본체(5)로 이루어진 버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클 본체(5)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날름쇠 판(2) 삽입 시에 회전하여 날름쇠 판(2)과 결합하며, 항상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력이 인가되는 훅 부재(20)와;
    상기 훅 부재(20)와 날름쇠 판(2)과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합성 수지제의 릴리스 버튼(50)과;
    상기 날름쇠 판(2)과 결합 상태 시에, 훅 부재(20)가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제1 위치로 부세부재의 부세력으로 이동함과 함께, 릴리스 버튼(50)의 결합 해제 조작 시에 릴리스 버튼에 의해 압동되어 훅 부재(20)를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하는 잠김 바
    를 구비하고,
    상기 잠김 바(30)가 부세부재의 부세력으로 제1 위치로 이동할 때, 그 부세력에 대향하여 잠김 바(30)를 받침하는 정지 규제부를 릴리스 버튼(50)에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 장치는 버클 본체(5)가 날름쇠 판(2)에 삽입될때에 날름쇠 판(2)으로 압동되어 훅 부재(20)를 결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이젝터(40)와;
    이 이젝터(40)를 날름쇠 판(2)이 이탈되는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는 스프링 부재
    를 구비하되,
    상기 날름쇠 판(2)을 이탈시킬 때에 상기 스프링 부재의 부세력으로 이젝터(40)를 릴리스 버튼(50)으로 접촉시켜 릴리스 버튼(50)을 날름쇠 판(2)을 이탈하는 방향으로 압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은
    기판부(11)와;
    상기 기판부(11)에 기립하고 서로 마주 향하는 한 쌍의 측판부(12)와;
    상기 측판부(12)에 형성된 한 쌍의 장공(16)을 구비하고, 잠김 바(30)가 한 쌍의 장공(16)으로 삽통되어 한 쌍의 측판부(12)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잠김 바(30)의 양단부를 받침하는 한 쌍의 받침부(55)
    로써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 장치는 잠김 바(30)에 힘을 인가하는 부세부재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릴리스 버튼(50)을 결합하는 스토퍼부(18)를 프레임(10)에 일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김 바(30)는 판편 형태의 부재(strip-type member)으로써 되어 있고, 릴리스 버튼(50)이 한 쌍의 측판부(12)의 외측으로 각각 근접하여 위치하는 한 쌍의 가이드 벽부(52)를 가지며, 이들 가이드 벽부(52)에는 한 쌍의 측판부(12)에서 돌출한 잠김 바(30)의 양단부를 각각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홈(5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 장치는 각 가이드 홈(54)의 그 길이 방향 양단이 닫힌 홈으로 되어 있고, 각 가이드 벽부(52)로 잠김 바(30)의 단부를 가이드 홈(54)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가이드 홈(54)의 길이 방향의 도중부로 도입하기 위한 도입 개구부(54a)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버클 장치.
  7. 안전띠에 연결되는 날름쇠 판(2)과 상기 날름쇠 판(2)이 삽탈되는 버클 본체(5)를 구비한 버클 장치(1)에 있어서, 버클 본체(5)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날름쇠 판(2) 삽입 시에 회전하여 날름쇠 판(2)과 결합하며, 항상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 부세된 훅 부재(20)와;
    상기 훅 부재(20)와 날름쇠 판(2)과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릴리스 버튼(50)과;
    날름쇠 판(2)과 결합 상태일 때에 훅 부재(20)의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을억제하는 제1 위치로 부세부재의 부세력으로 이동함과 함께 릴리스 버튼(50)으로 결합 해제 조작 시에 릴리스 버튼(50)에 의해 압동되어, 훅 부재(20)가 결합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하는 잠김 바(30)
    를 구비하고,
    상기 잠김 바(30)를 제1 위치에 잠그는 잠김 위치와 비 잠김 위치에서 서로 회전 자유로이 상기 프레임(10)에 추지된 잠김 부재(90)와 잠김 부재(90)를 비 잠김 위치를 향해 탄성력을 인가하는 부세부재를 구비하고,
    이 잠김 부재(90)가 프레임(10)에 추지(樞支)된 기단부(91)와, 그 일단에 형성된 제1 결합부와, 잠김 바(30)로부터 받침 가능한 간격만큼 사이를 비우고 제1 결합부(93)에 마주 향하는 제2 결합부(94)를 구비하고,
    상기 잠김 부재(90)가 잠김 위치에 놓여진 상태에서, 제1 결합부(93)에 잠김 바(30)의 제1 위치 측단부가 접촉하여 잠김 위치를 유지하며, 제2 결합부(94)가 잠김 바(30)의 이동 영역으로 돌입하여 잠김 바(30)에 접근 대향(對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잠김 부재(90)의 기단부(91)가 잠김 바(30)의 이동 영역을 포함한 면(plane)으로부터 훅 부재(20)와 반대 방향으로 이격(離隔)한 위치에서 프레임(10)에 추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장치.
  9. 안전띠에 연결된 날름쇠 판(2)과 이 날름쇠 판(2)이 삽탈되도록 하는 버클본체(5)를 구비하고, 차량 긴급 상황 시에 안전띠를 죄기 위해 버클 본체(5)를 프리텐셔너에 의해 죄임 방향으로 인입하도록 장비된 버클 장치(1)에 있어서, 상기 버클 본체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날름쇠 판(2) 삽입 시에 회전하여 날름쇠 판(2)과 결합함과 함께, 상시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 부세된 훅 부재(20)와;
    상기 훅 부재(20)와 날름쇠 판(2)과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릴리스 버튼(50)과;
    날름쇠 판(2)과 결합 상태일 때 훅 부재가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제1 위치에로 부세부재의 부세력으로 이동함과 함께, 릴리스 버튼(50)의 결합 해제 조작 시에 릴리스 버튼(50)으로 압동되어 훅 부재(20)의 결합 해제 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는 제2 위치에로 이동하는 잠김 바(30)
    를 구비하되,
    제1 위치에 있는 잠김 바(30)가 제2 위치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잠김 위치와, 억제하지 않는 비 잠김 위치에서 서로 회전 자유롭게 상기 프레임(10)에 추지된 잠김 부재(90)와, 이 잠김 부재(90)를 비 잠김 위치 쪽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부세부제를 마련하며,
    해당 잠김 부재(90)는 잠김 바(30)의 제1 위치 측단부가 접촉 가능한 제1 결합부(93)와, 잠김 위치할 때 잠김 바(30)의 이동 영역으로 돌입하여 잠김 바(30)의제2 위치 측단부에 접촉 가능한 제2 결합부(94)를 가지고 있으며,
    프리텐셔너의 비작동 시와 작동 시에는 제1 위치에 부세된 잠김 바(30)가 제1 결합부(93)에 접촉하여 잠김 부재(90)를 잠김 위치로 회전시켜, 프리텐셔너의 작동 후의 버클 본체(5)의 급정지 시에 발생하는 관성력에 의해 제2 위치로 이동 개시한 잠김 바(30)를 제2 결합부(94)로써 받쳐 정지시켜, 잠김 바(30)의 제2 위치로의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잠김 부재(90)는 그 중심에서 편심(偏心; off-center)한 추지부(樞支部; pivoting part)를 끼워서 프레임(10)에 회전 자유롭게 피봇(pivot) 운동하도록 하고, 프리텐셔너의 작동 후의 버클 본체(5)의 급정지 시에 잠김 부재(90)에는 잠김 위치 측으로 회전하는 관성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장치.
  11. 제7항 내지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잠김 부재(90)의 제2 결합부(94)는 제2 위치 측으로 이동하는 잠김 바(30)와 접촉에 의해 잠김 부재(90)를 잠김 위치 측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장치.
  12. 안전띠에 연결되는 날름쇠 판(2)과 이 날름쇠 판(2)이 삽탈되는 버클 본체(5)를 구비하여 차량 긴급 상황 시에 안전띠를 죄기 위해 버클 본체(5)를 프리텐셔너에 의해 죄임 쪽으로 인입하도록 장비된 버클 장치(1)에 있어서, 버클본체(5)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날름쇠 판(2)을 삽입 시에 회전하여 날름쇠 판(2)과 결합함과 함께, 항상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 부세된 훅 부재(20)와;
    상기 훅 부재(20)와 날름쇠 판(2)과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릴리스 버튼(50)과;
    날름쇠 판(2)과 결합 상태일 때 훅 부재(20)가 결합 해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제1 위치로 부세부재의 부세력에 의해 이동하며 릴리스 버튼(50)의 결합 해제 조작 시에 릴리스 버튼(50)에 의해 압동되어, 훅 부재(20)의 결합 해제 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하는 잠김 바(30)
    를 구비하되,
    날름쇠 판(2)과 결합 상태의 훅 부재(20)를 결합 해제 불가능하게 잠그는 잠김 위치와 결합 해제 가능한 비 잠김 위치에 걸쳐서, 회전 가능하고 또한 비 잠김 위치 측으로 항상 부세되는 잠김 레버(100)를 마련하여,
    잠김 레버(100)가 그 중심(center of gravity)에서 편심(off-center)한 추지부를 사이에 두어 프레임(10)에 회전 자유롭게 피봇 운동하며, 상기 프리텐셔너의 작동 시에 있어서, 버클 본체(5)의 이동 개시 직후에 잠김 레버(100)가 관성력을 받아 잠김 위치로 회전하여, 버클 본체(5)의 급정지 시에 잠김 바(30)가 관성력을 받아서 제2 위치로 이동하여 잠김 레버(100)의 잠김 위치에서 비 잠김 위치 쪽으로의 회전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잠김 레버(100)의 선단 부분에 버클 본체(5)의 급정지 시에 제2 위치로 이동한 잠김 바(30)가 접촉하여 잠김 레버(100)를 잠김 위치에 유지하는 접촉부(102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잠김 레버(100)가 제2 위치로 이동하는 잠김 바(30)로부터 잠김 위치 쪽으로 회전력을 받는 경사 안내부(102c)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장치.
  15. 제12항 내지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잠김 레버(100)의 중심이 버클 본체(5)의 이동 시에 잠김 레버(100)의 무게 중심에 작용하는 관성력으로 잠김 레버(100)를 잠김 위치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장치.
  16. 제12항 내지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잠김 레버(100)가 공통의 축심 둘레에 회전 가능한 제1 레버(80)와 제2 레버(85)를 구비하여, 프리텐셔너의 작동 시에 있어서, 버클 본체(5)의 이동 개시 직후에 관성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1 레버(80)에 의해 제2 레버(85)가 압동되어 잠김 위치로 회전하며, 버클 본체(5)의 급정지 시에 제2 레버(85)가 관성력에 의해 잠김 위치 측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장치.
KR1020027001855A 1999-08-13 2000-08-14 버클 장치 KR1006913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950199A JP4101982B2 (ja) 1999-08-13 1999-08-13 バックル装置
JP11229502A JP2001046118A (ja) 1999-08-13 1999-08-13 バックル装置
JPJP-P-1999-00229501 1999-08-13
JPJP-P-1999-00229502 1999-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324A true KR20020024324A (ko) 2002-03-29
KR100691342B1 KR100691342B1 (ko) 2007-03-12

Family

ID=26528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1855A KR100691342B1 (ko) 1999-08-13 2000-08-14 버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701587B1 (ko)
EP (1) EP1219197B1 (ko)
KR (1) KR100691342B1 (ko)
WO (1) WO20010120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7387A2 (en) * 2009-09-22 2011-03-31 Celltrion Dbi Inc. Buckle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buckle from being released by an impac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3518B2 (en) 2003-10-03 2006-01-10 Wonderland Nurserygoods Co., Ltd. Buckle for belts
JP4471340B2 (ja) * 2003-10-07 2010-06-02 芦森工業株式会社 バックル装置
KR100850337B1 (ko) * 2004-02-27 2008-08-04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충격 흡수 벨트 버클의 차단 요소
DE102004010099B4 (de) * 2004-02-27 2007-11-22 Autoliv Development Ab Sperrelement für ein schocksicheres Gurtschloss
US7370393B2 (en) * 2004-09-20 2008-05-13 Delphi Technologies, Inc. Seat belt buckle for use with pretensioner
JP2006122553A (ja) * 2004-11-01 2006-05-18 Tokai Rika Co Ltd バックル装置
WO2006127375A1 (en) 2005-05-26 2006-11-30 Delphi Technologies, Inc. Seat belt buckle for use with pretensioner
KR100885405B1 (ko) * 2007-11-27 2009-02-27 주식회사 삼송 쇼크프루프 장치가 구비된 시트벨트의 버클
JP5688256B2 (ja) * 2009-10-28 2015-03-25 芦森工業株式会社 バックル装置
US8720019B2 (en) * 2009-11-10 2014-05-13 Amsafe Commercial Products, Inc. Buckle assemblies for personal restraint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JP5653741B2 (ja) * 2010-12-15 2015-01-14 タカタ株式会社 バック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6176715B2 (ja) * 2013-08-02 2017-08-09 タカタ株式会社 バック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DE102013020618B4 (de) 2013-12-02 2022-12-29 Zf Automotive Germany Gmbh Gurtschloss
CN103932456B (zh) * 2014-04-02 2016-01-27 延锋百利得(上海)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减噪的安全带带扣
US9974365B2 (en) * 2014-11-07 2018-05-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uckle guide
US9781977B2 (en) 2015-08-11 2017-10-10 Shield Restraint Systems, Inc. Interlocking web connectors for occupant restraint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WO2018053348A1 (en) 2016-09-16 2018-03-22 Shield Restraint Systems, Inc. Buckle assembl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for use with child seats and other restraint systems
DE102017110345A1 (de) * 2017-05-12 2018-11-15 Illinois Tool Works Inc. Gehäuse für ein Gurtschloss
US10575597B2 (en) * 2017-11-08 2020-03-03 Autoliv Asp, Inc. Debris resistant seatbelt buckle device
CN113056394A (zh) * 2018-09-18 2021-06-29 印第安纳米尔斯生产制造股份有限公司 座椅安全带设备和带扣
US11124152B2 (en) 2018-11-20 2021-09-21 Shield Restraint Systems, Inc. Buckle assemblies for use with child seats and other personal restraint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79995A2 (fr) * 1976-04-28 1978-09-08 Peugeot Aciers Et Outillage Boucle pour sangle de securite
FR2482429A2 (fr) * 1980-05-14 1981-11-20 Peugeot Aciers Et Outillage Boucle pour sangle de securite
DE3068725D1 (en) * 1980-11-18 1984-08-30 Autoflug Gmbh Buckle for a safety belt
JPS6335611Y2 (ko) * 1984-10-23 1988-09-21
JPH0426002Y2 (ko) * 1985-01-11 1992-06-23
DE3604327A1 (de) * 1985-02-12 1986-08-14 Ashimori Industry Co. Ltd., Osaka Gurtschloss fuer sicherheitsgurte
GB2227513B (en) * 1988-11-08 1993-02-10 Gen Engineerin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belt buckle
GB8904205D0 (en) * 1989-02-23 1989-04-05 Bsrd Ltd Seat belt buckle
US5163207A (en) * 1989-03-15 1992-11-17 Autoflug Gmbh & Co. Fahrzeugtechnik Shock proof buckle for safety belts
US5054171A (en) * 1989-06-14 1991-10-08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Buckle device
JPH0364009U (ko) * 1989-10-23 1991-06-21
JPH0458963A (ja) 1990-06-28 1992-02-25 Nippon Zeon Co Ltd 野球用樹脂バ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74308A (ja) 1991-09-17 1993-03-26 Matsushita Refrig Co Ltd モータの過負荷保護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74308U (ja) * 1992-03-23 1993-10-1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バックル装置
JP3094680B2 (ja) 1992-08-18 2000-10-03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クランク機構
JPH0666315A (ja) 1992-08-21 1994-03-08 Canon Inc 動圧軸受回転装置
JPH0666311U (ja) 1993-03-03 1994-09-2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バックル装置
JPH0666315U (ja) 1993-03-03 1994-09-2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のバックル装置
GB9409246D0 (en) * 1994-05-10 1994-06-29 Alliedsignal Ltd Buckle mechanism
GB2296284A (en) * 1994-12-23 1996-06-26 Europ Component Co Ltd Seat belt buckle
JPH08173213A (ja) * 1994-12-26 1996-07-09 Takata Kk バックル装置
US5704099A (en) * 1995-10-05 1998-01-0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buckle with inertia locking mechanism
US5742987A (en) 1996-09-11 1998-04-28 Alliedsignal Inc. Buckle for use with a pretensioner
GB2329214A (en) * 1997-09-10 1999-03-17 Europ Component Co Ltd Seat belt buckle
JPH11155611A (ja) * 1997-11-28 1999-06-15 Nippon Seiko Kk バックル装置
JP3650271B2 (ja) * 1998-07-27 2005-05-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バックル
WO2001049144A1 (en) * 1999-12-30 2001-07-12 Delphi Technologies, Inc. Seat restraint buckle assembl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7387A2 (en) * 2009-09-22 2011-03-31 Celltrion Dbi Inc. Buckle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buckle from being released by an impact
WO2011037387A3 (en) * 2009-09-22 2011-08-25 Celltrion Dbi Inc. Buckle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buckle from being released by an impact
CN102469848A (zh) * 2009-09-22 2012-05-23 赛特瑞恩Dbi有限公司 带扣以及防止由于碰撞而使带扣松开的方法
CN102469848B (zh) * 2009-09-22 2015-02-25 株式会社宇信安全系统 带扣以及防止由于碰撞而使带扣松开的方法
US9113679B2 (en) 2009-09-22 2015-08-25 Wooshin Safety Systems Co., Ltd. Buckle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buckle from being released by an impa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63224A1 (en) 2004-08-26
KR100691342B1 (ko) 2007-03-12
EP1219197A4 (en) 2006-03-08
EP1219197B1 (en) 2015-09-30
US7124481B2 (en) 2006-10-24
WO2001012007A1 (en) 2001-02-22
EP1219197A1 (en) 2002-07-03
US6701587B1 (en) 2004-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24324A (ko) 버클 장치
SU1102482A3 (ru) Пр жка дл ремн безопасности
US8978214B2 (en) Seatbelt buckle apparatus
JP4101982B2 (ja) バックル装置
US7552518B2 (en) Seat belt buckle for use with pretensioner
JP4471340B2 (ja) バックル装置
JPH0669404B2 (ja) 安全ベルトバツクル
US5974638A (en) Seat belt buckle
JP4593847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200416588Y1 (ko) 관성 해제가 방지된 차량용 시트벨트의 버클장치
US6427297B1 (en) Buckle with smooth tongue insertion mechanism
JP3877259B2 (ja) バックル
JP4901730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H08207704A (ja) シートベルトバックル装置
JPS6487Y2 (ko)
JP2001046118A (ja) バックル装置
JP3963866B2 (ja) バックル装置
JPH0232085Y2 (ko)
JP3866138B2 (ja) バックル装置
JPH018179Y2 (ko)
CA3219308A1 (en) Clamping hook structure and seating device clamping including the same
WO2008022159A2 (en) Seat belt buckle for use with pretens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