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861Y1 - 자동차의 리어 쿨러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리어 쿨러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861Y1
KR200147861Y1 KR2019970013017U KR19970013017U KR200147861Y1 KR 200147861 Y1 KR200147861 Y1 KR 200147861Y1 KR 2019970013017 U KR2019970013017 U KR 2019970013017U KR 19970013017 U KR19970013017 U KR 19970013017U KR 200147861 Y1 KR200147861 Y1 KR 2001478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panel
bracket
rear cooler
upper back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30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8384U (ko
Inventor
이의준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30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861Y1/ko
Publication of KR199800683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3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8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8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42Devices in the rear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86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리어 쿨러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실(110)과 트렁크실(120)을 구획하도록 세워 설치된 시트 백패널(130)의 상단에는 상부 백패널(140)을 수평으로 연설하되, 그 상부 백패널(140)과 시트 백패널(130)의 연결 부위의 내측에는 보강 브라켓(150)을 설치하고, 그 상부 백패널(140)의 이면에는 상부 양단으로 좌·우결합 브라켓(162)(164)이 돌출된 리어 쿨러(160)를 설치하게 된 자동차의 리어 쿨러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강 브라켓(150)에는 보강판(170)으로 안내핀(152)을 우향 돌출 고정하면서, 상기 상부 백패널(140)의 이면에는 볼트(182)가 일체로 용접된 수직 브라켓(180)을 고정하고, 상기 좌결합 브라켓(162)의 끝단에는 상기 안내핀(152)이 끼워지도록 좌공(162b)이 형성된 제1 절곡부(162a)를 연설하면서, 우결합 브라켓(164)의 끝단에는 상기 볼트(182)에 끼워져 너트(184)로써 고정되게 우공(164b)이 형성된 제2 절곡부(164a)를 연설하여 된 것으로, 한명의 작업자만으로 리어 쿨러 마운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 향상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리어 쿨러 마운팅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리어 쿨러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어쿨러의 좌결합 브라켓 선단에는 좌공이 형성된 제1 절곡부를 형성하면서, 우결합 브라켓 선단에는 우공이 형성된 제2 절곡부를 형성하고, 보강 브라켓의 일측면에는 보강판에 의해 안내핀을 돌출 고정하는 한편, 상부 백패널의 이면에는 수직 브라켓을 돌출 형성한 자동차의 리어 쿨러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Air conditioner )은 에어컨의 유닛과 에어 분출구의 배치 및 그 기능에 따라 운전석과 조수석 앞부분의 대시패널에 부착한 대시 형식, 에어컨의 유닛은 조수석 앞부분의 인스트루먼트 부근이나 중앙 부분에 있어 대시 형식에 가까운 배치로 되어 있으나 찬 바람의 분출구를 인스트루먼트의 중앙 및 좌·우에 설치한 인스트루먼트 형식, 에어컨 유닛을 트렁크룸 안에 설치하고 냉풍 분출구를 뒷좌석 후부에 설치한 트렁크 형식, 인스트루먼트 형식과 트렁크 형식의 병용형으로 된 듀얼 형식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트렁크 형식 및 듀얼 형식은 주로 대형 차량에 사용되는 것으로, 이에 사용된 에어컨(이하, 리어 쿨러라 칭함)의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종래에는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실(10)과 트렁크실(20)을 구획하도록 세워 설치된 시트 백패널(30)의 상단에는 상부 백패널(40)을 수평으로 연설하고, 그 상부 백패널(40)의 이면에는 리어 쿨러(60)를 설치하되, 그 리어 쿨러(60)의 상부 양단에는 이면으로 너트(62a)가 일체로 용접된 좌·우결합 브라켓(62)(64)을 돌출 형성하여 상부 백패널(40)에 볼팅 고정하고, 또한 그 상부 백패널(40)과 시트 백패널(30)의 연결 부위의 내측에는 보강 브라켓(50)을 설치하고 있었다.
즉, 종래에는 상부 백패널(40)에 리어 쿨러(60)를 설치할 경우 그 자체가 상당히 무거운 관계로 두명의 작업자가 필요했다. 한 명의 작업자는 리어 쿨러(60)를 들어 좌·우결합 브라켓(62)(64)을 상부 백패널(40)에 접면되게 한 상태에서 다른 작업자가 그 상부 백패널(40)의 상부로부터 볼팅 체결 작업을 해주어야 했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리어 쿨러 마운팅 작업시 여러명의 작업자가 필요없이 한명의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의 효과를 얻게 된 자동차의 리어 쿨러 마운팅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차실과 트렁크실을 구획하도록 세워 설치된 시트 백패널의 상단에는 상부 백패널을 수평으로 연설하되, 그 상부 백패널과 시트 백패널의 연결 부위의 내측에는 보강 브라켓을 설치하고, 그 상부 백패널의 이면에는 상부 양단으로 좌·우결합 브라켓이 돌출된 리어 쿨러를 설치하게 된 자동차의 리어 쿨러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강 브라켓에는 보강판으로 안내핀을 우향 돌출 고정하면서, 상기 상부 백패널의 이면에는 볼트가 일체로 용접된 수직브라켓을 고정하고, 상기 좌결합 브라켓의 끝단에는 상기 안내핀이 끼워지도록 좌공이 형성된 제1 절곡부를 연설하면서, 우결합 브라켓의 끝단에는 상기 볼트에 끼워져 너트로써 고정되게 우공이 형성된 제2 절곡부를 연설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리어 쿨러 마운팅 구조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리어 쿨러 마운팅 구조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차실 120 : 트렁크실
130 : 시트 백패널 140 : 상부 백패널
150 : 보강 브라켓 160 : 리어 쿨러
170 : 보강판 180 : 수직 브라켓
190 : 부싱
첨부된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 자동차의 리어 쿨러 마운팅 구조는 차실(110)과 트렁크실(120)을 구획하도록 세워 설치된 시트 백패널(130)의 상단에는 상부 백패널(140)을 수평으로 연설한다.
그 상부 백패널(140)과 시트 백패널(130)의 연결 부위의 내측에는 보강 브라켓(150)을 설치한다.
그 상부 백패널(140)의 이면에는 상부 양단으로 좌·우결합 브라켓(162) (164)이 돌출된 리어 쿨러(160)를 설치한다.
상기 보강 브라켓(150)에는 보강판(170)으로 안내핀(152)을 우향 돌출 고정하면서, 상기 상부 백패널(140)의 이면에는 볼트(182)가 일체로 용접된 수직 브라켓(180)을 고정한다.
상기 좌결합 브라켓(162)의 끝단에는 상기 안내핀(152)이 끼워지도록 좌공(162b)이 형성된 제1 절곡부(162a)를 연설하면서, 우결합 브라켓(164)의 끝단에는 상기 볼트(182)에 끼워져 너트(184)로써 고정되게 우공(164b)이 형성된 제2 절곡부(164a)를 연설한 것으로, 도면 중 미설명 부호(190)는 상기 제1 절곡부(162a)에 형성된 좌공(162b)으로 끼워 결합되는 부싱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시트 백패널(130)의 상단에 연설된 상부 백패널(140)의 이면으로 트렁크 형식이나 듀얼 형식인 리어 쿨러(160)를 마운팅할 경우, 상기 시트 백패널(130)과 상부 백패널(140) 사이에 고정된 보강 브라켓(150)의 안내핀(152)으로 리어 쿨러(160)의 좌결합 브라켓(162)을 끼워 고정한 다음, 우결합 브라켓(164)은 상기 상부 백패널(140)의 수직 브라켓(180)에 돌출된 볼트(182)에 너트(184)로써 고정하게 된 것인데, 이러한 리어 쿨러(160)의 마운팅 작업은 한 명의 작업자 만으로도 가능하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 고안이다.
여기서, 본 고안에서 상기 리어 쿨러(160)의 마운팅 작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우선 상기 시트 백패널(130)의 상단으로는 상부 백패널(140)을 수평으로 결합하고 난 후, 그 상부 백패널(140)과 시트 백패널(130) 사이로 보강 브라켓(150)을 용접 고정하고, 그 보강 브라켓(150)에는 보강판(170)으로 안내핀(152)을 우향으로 돌출 형성한다. 아울러, 상부 백패널(140)의 이면으로는 볼트(182)가 용접된 수직 브라켓(180)을 하향으로 돌출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리어 쿨러(160)의 좌결합 브라켓(162)의 선단은 수직으로 꺽어 좌공(162b)이 형성된 제1 절곡부(162a)를 형성하는 동시에, 우결합 브라켓(164)의 선단은 수직으로 꺽어 제2 절곡부(164a)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리어 쿨러(160)의 마운팅 작업을 하면 되는 데, 먼저 작업자는 상기 좌결합 브라켓(162)에 일체로 연설된 제1 절곡부(162a)에 형성된 좌공(162b)으로 안내핀(152)이 끼워지게 한 다음, 우결합 브라켓(164)에 형성된 좌공(162b)에는 상기 수직 브라켓(180)의 제2 절곡부(164a)에 돌출된 볼트(182)가 끼워져 너트(184)로써 나사 체결되도록 한다. 그러면, 종래와는 달리 작업자가 여러명이 필요없이 한명의 작업자 만으로도 가능하다. 다시말해, 먼저 리어 쿨러(160)의 좌결합 브라켓(162)을 안내핀(152)에 끼원 상태이기 때문에 그 부위는 별도로 잡아 줄 필요없이 다른쪽, 즉 우결합 브라켓(164)을 한명의 작업자가 파지하는 동시에 체결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좌결합 브라켓(162)을 안내핀(152)에 끼우도록 하기 때문에 마운팅 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잡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리어 쿨러(160)의 좌결합 브라켓(162)에 형성된 제1 절곡부(162a)의 좌공(162b)에는 고무 재질로 된 부싱(190)을 삽입한 후 그 부싱(190)에 안내핀(152)이 끼워질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리어 쿨러(160)의 마운팅 및 탈거 작업싱 좌결합 브라켓(162)이나 안내핀(152) 등의 부품이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 자동차의 리어 쿨러 마운팅 구조에 따르면, 리어쿨러의 좌결합 브라켓 선단에는 좌공이 형성된 제1 절곡부를 형성하면서, 우결합 브라켓 선단에는 우공이 형성된 제2 절곡부를 형성하고, 보강 브라켓의 일측면에는 보강판에 의해 안내핀을 돌출 고정하는 한편, 상부 백패널의 이면에는 수직 브라켓을 돌출 형성함으로써, 리어쿨러의 마운팅 작업시 먼저 이에 형성된 좌결합 브라켓의 제1 절곡부에 형성된 좌공으로 안내핀이 끼워 고정한 다음, 우결합 브라켓의 제2 절곡부에 형성된 우공으로 수직 브라켓의 볼트가 끼워진 후 너트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종래와는 달리 한명의 작업자만으로 리어 쿨러 마운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 향상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차실(110)과 트렁크실(120)을 구획하도록 세워 설치된 시트 백패널(130)의 상단에는 상부 백패널(140)을 수평으로 연설하되, 그 상부 백패널(140)과 시트 백패널(130)의 연결 부위의 내측에는 보강 브라켓(150)을 설치하고, 그 상부 백패널(140)의 이면에는 상부 양단으로 좌·우결합 브라켓(162)(164)이 돌출된 리어 쿨러(160)를 설치하게 된 자동차의 리어 쿨러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강 브라켓(150)에는 보강판(170)으로 안내핀(152)을 우향 돌출 고정하면서, 상기 상부 백패널(140)의 이면에는 볼트(182)가 일체로 용접된 수직 브라켓(180)을 고정하고, 상기 좌결합 브라켓(162)의 끝단에는 상기 안내핀(152)이 끼워지도록 좌공(162b)이 형성된 제1 절곡부(162a)를 연설하면서, 우결합 브라켓(164)의 끝단에는 상기 볼트(182)에 끼워져 너트(184)로써 고정되게 우공(164b)이 형성된 제2 절곡부(164a)를 연설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쿨러 마운팅 구조.
KR2019970013017U 1997-05-31 1997-05-31 자동차의 리어 쿨러 마운팅 구조 KR2001478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017U KR200147861Y1 (ko) 1997-05-31 1997-05-31 자동차의 리어 쿨러 마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017U KR200147861Y1 (ko) 1997-05-31 1997-05-31 자동차의 리어 쿨러 마운팅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384U KR19980068384U (ko) 1998-12-05
KR200147861Y1 true KR200147861Y1 (ko) 1999-06-15

Family

ID=19502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3017U KR200147861Y1 (ko) 1997-05-31 1997-05-31 자동차의 리어 쿨러 마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8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384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0106A (en) Structure of a front body of a motor vehicle
KR940010694B1 (ko) 자동차의 차체앞부분구조 및 차체조립방법
JPS6050078A (ja) 自動車特に乗用車のコツクピツト領域のための予め組立てられた構造ユニツト
US20100001552A1 (en) Mounting structure for cowl crossbar
US7152295B2 (en) Fastening arrangement for a center console module of a motor vehicle
KR200147861Y1 (ko) 자동차의 리어 쿨러 마운팅 구조
EP0753433B1 (en) Air bag mounting in a vehicle
CN115867462A (zh) 一种安装支架及车辆
JPH0443173A (ja) 自動車の車体前部における物品組付構造及び組付方法
JP3934389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組付け構造
KR200147862Y1 (ko) 자동차의 리어 쿨러 마운팅 구조
JP2000001180A (ja) カウル部構造
JPH1178552A (ja) バス用燃料タンクの支持装置
JP2751524B2 (ja) エンジンマウントの支持構造
JPS63242782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3731261B2 (ja) 車両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及びその組立方法
KR960005864B1 (ko) 자동차의 차체 앞부분의 물품부착구조 및 조립방법
JP2001001856A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3704750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KR200255462Y1 (ko) 대쉬보드 임팩트빔의 취부구조
KR0124482Y1 (ko) 자동차의 종방향프레임 마감플레이트 보강구조
KR100302022B1 (ko) 자동차의펜더쉴드보강구조
JPH07329606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取付構造
JP2022023670A (ja) インパネリインフォース
KR0160026B1 (ko) 자동차의 프론트 지지판넬 장착브라켓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