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2600A - 웨빙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웨빙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2600A
KR20010112600A KR1020010032453A KR20010032453A KR20010112600A KR 20010112600 A KR20010112600 A KR 20010112600A KR 1020010032453 A KR1020010032453 A KR 1020010032453A KR 20010032453 A KR20010032453 A KR 20010032453A KR 20010112600 A KR20010112600 A KR 20010112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webbing
gas
hole
remova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2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9112B1 (ko
Inventor
모리신지
나가타도모노리
Original Assignee
기사키 아키라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사키 아키라,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기사키 아키라
Publication of KR20010112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2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1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2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 B60R22/4633Linear actuators, e.g. comprising a piston moving along reel axis and rotating along its ow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2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 B60R2022/4661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comprising venting means, e.g. for avoiding overpressure in case of fire or for allowing return motion with energy absor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포스 제한 하중을 설정하는 자유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웨빙 권취장치10에서는 차량 운전 중 비상시에 프리텐셔너 기구18에 의해 실린더22 내에 가스가 공급된다. 슬라이더34가 가스제거 구멍30을 대략 폐쇄하기 때문에 피스톤24이 상승을 시작하고, 또한 결합부26가 슬라이더34를 밀어 올리기 때문에 가스제거 구멍30의 폐쇄가 대략 유지되어 웨빙16이 감기게 된다. 차량 운전 중 비상시에 포스 제한 기구의 에너지 흡수 부재가 변형됨으로써 웨빙16이 인출된다. 이 때, 피스톤24이 하강하게 되지만 슬라이더34가 가스제거 구멍30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가스제거 구멍30이 개방되기 때문에 실린더22 내의 가스가 가스제거 구멍30으로부터 배출된다. 이 때문에 실린더22 내의 가스에 의해 웨빙16의 인출이 저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포스 제한 하중을 설정하는 자유도를 크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빙 권취장치{WEBBING RETRACTOR}
본 발명은, 차량 운전 중 비상시에 웨빙(webbing)의 느슨함을 제거하는 프리텐셔너(pretensioner) 기구 및 차량 운전 중 비상시에 웨빙에 의한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하중(荷重)을 일정량 이하로 제한하는 포스 제한(force limiter) 기구를 갖추는 웨빙 권취장치(webbing retractor)에 관한 것이다.
웨빙 권취장치에서는 충돌 등에 의한 차량 운전 중 비상시에 웨빙의 느슨함을 제거하는 프리텐셔너 기구를 갖춘다.
이러한 프리텐셔너 기구 중 예를 들면 소위 래크 앤드 피니언(rack-and-pinion) 방식을 갖추는 웨빙 권취장치에서는, 웨빙을 감는 권취축(卷取軸)에 피니언이 연결되어 있고, 피니언은 권취축과 항상 일체(一體)로 회전한다. 또한 피니언의 근방에는 대략 통(筒) 모양의 실린더가 설치되어 있고, 실린더 내에는 차량 운전 중 비상시에 가스가 공급된다.
실린더 내에는 피스톤이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고, 피스톤의 하부에는 결합부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부는 실린더의 내벽에 대략 결합되어 있고, 차량 운전 중 비상시에는 피스톤이 결합부의 하방에서 상기 가스의 압력을 받아 실린더 내를 상승한다. 또한 피스톤의 상부에는 래크(rack)가 설치되어 있고, 피스톤이 상승하게 됨으로써 래크가 피니언에 맞물려서 웨빙의 감는 방향으로 피니언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차량 운전 중 비상시에는 웨빙이 권취축에 감기게 되어 웨빙의 느슨함이 제거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웨빙 권취장치에는, 차량 운전 중 비상시에 웨빙에 의한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하중을 일정량 이하로 제한하는 포스 제한 기구를 갖춘다.
이러한 포스 제한 기구에서는, 예를 들면 에너지 흡수 부재를 갖추고 있고, 차량 운전 중 비상시에 웨빙에 가해지는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에너지 흡수 부재가 변형됨으로써 권취축이 웨빙의 인출(引出)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이에 따라 차량 운전 중 비상시에는 권취축으로부터 웨빙이 인출되고, 웨빙에 의한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하중이 일정량 이하로 제한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러한 웨빙 권취장치에서는, 포스 제한 기구가 작동할 때에 권취축이 웨빙의 인출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피니언이 웨빙의 인출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래크를 통하여 피스톤이 실린더 내를 하강하게 된다. 이 때문에 실린더 내(결합부의 하방)의 가스의 압력이 상승하여 피스톤의 하강이 저지된다. 이에 따라 래크 및 피니언을 통하여 권취축이 웨빙의 인출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저지되어 웨빙의 인출이 저지된다.
따라서 도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위 포스 제한 하중(차량 운전 중 비상시에 웨빙이 인출되기 위한 하중과 같다)은 에너지 흡수 부재가 변형되기 위한 하중에 실린더 내의 가스의 압력(피스톤의 하강에 의해 상승된 압력)에 의한 하중(도12의 A부분의 하중)이 추가된 것으로 된다. 이에 따라 포스 제한 하중을 설정하는 자유도(自由度)가 작아지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포스 제한 하중을 설정하는 자유도를 크게 할 수 있는 웨빙 권취장치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청구항1의 웨빙 권취장치는, 웨빙을 감는 권취축과, 대략 통(筒)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실린더의 내벽에 대략 결합되는 결합부가 설치되는 피스톤을 구비하고 차량 운전 중 비상시에 가스를 상기 실린더 내의 상기 결합부의 하방측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피스톤을 상기 가스의 압력에 의해서 상승시켜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권취축을 회전시키는 프리텐셔너 기구와, 변형 가능한 에너지 흡수 부재를 구비하고 차량 운전 중 비상시에 상기 웨빙에 가해지는 승무원의 하중에 의해 상기 에너지 흡수 부재를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웨빙을 인출(引出)하는 방향으로 상기 권취축을 회전시켜 상기 피스톤을 하강시키는 포스 제한 기구를 구비하는 웨빙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에 형성되어 상기 가스를 상기 결합부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가스제거 구멍과, 상기 가스제거 구멍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보통의 상태에서는 상기 가스제거 구멍을 대략 폐쇄하고, 상기 프리텐셔너기구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상승하게 되는 때에는 상기 가스제거 구멍을 폐쇄한 상태를 대략 유지하고, 상기 포스 제한 기구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하강하게 되는 때에는 상기 가스제거 구멍을 개방하는 폐쇄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1의 웨빙 권취장치에서는, 프리텐셔너 기구가 설치되어 있어 차량 운전 중 비상시에 가스가 실린더 내(피스톤의 결합부 하방측)에 공급된다. 여기에서 피스톤의 가스제거 구멍은, 보통의 상태에서는 폐쇄수단에 의해서 대략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실린더 내의 가스가 가스제거 구멍에서 배출되지 않으므로, 이에 따라 가스의 압력에 의해서 피스톤이 상승을 시작한다. 또한 피스톤이 상승하게 되는 때에는 폐쇄수단에 의한 가스제거 구멍의 폐쇄가 대략 유지되기 때문에 피스톤의 상승이 유지되므로, 이에 따라 권취축이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 운전 중 비상시에는 웨빙이 권취축에 감기므로 웨빙의 느슨함이 제거된다.
또한 청구항1의 웨빙 권취장치에서는, 포스 제한 기구가 설치되어 있어 차량 운전 중 비상시에 웨빙에 가해지는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에너지 흡수 부재가 변형됨으로써 권취축이 웨빙을 인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 운전 중 비상시에는 권취축으로부터 웨빙이 인출되어 웨빙에 의한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하중이 일정량 이하로 제한된다.
여기에서 포스 제한 기구에서는, 권취축이 웨빙을 인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피스톤이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피스톤이 하강하게되는 때에는 폐쇄수단이 피스톤의 가스제거 구멍을 개방하기 때문에 실린더 내(결합부의 하방)의 가스가 가스제거 구멍으로부터 배출된다. 따라서 실린더 내의 가스에 의해서 피스톤의 하강이 저지되어 웨빙의 인출이 저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에너지 흡수 부재를 변형시키기 위한 하중만으로 포스 제한 하중(차량 운전 중 비상시에 웨빙이 인출되기 위한 하중)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포스 제한하중을 설정하는 자유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청구항2에 있어서의 웨빙 권취장치는, 청구항1의 웨빙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폐쇄수단은, 보통의 상태에서는 상기 결합부상에 재치(載置)됨으로써 상기 가스제거 구멍을 대략 폐쇄하고,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상승하게 되는 때에는 상기 결합부에 의하여 밀려 올라감으로써 상기 가스제거 구멍을 폐쇄한 상태를 대략 유지하고, 상기 포스 제한 기구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하강하게 되는 때에는 상기 가스제거 구멍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가스제거 구멍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2에 있어서의 웨빙 권취장치에서는, 보통의 상태에서는 폐쇄수단이 피스톤의 결합부상에 재치됨으로써 피스톤의 가스제거 구멍이 대략 폐쇄되어 있다.
여기에서 프리텐셔너 기구에 의해 피스톤이 상승하게 되는 때에는,폐쇄수단이 결합부에 의하여 밀려 올라가서 피스톤과 일체(一體)로 상승하게 됨으로써 폐쇄수단이 가스제거 구멍을 폐쇄한 상태를 대략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포스 제한 기구에 의해 피스톤이 하강하게 되는 때에는, 웨빙에 가해지는 탑승자의 하중이 권취축을 통하여 피스톤에 전달되기 때문에 피스톤의 하강속도가 폐쇄수단의 자유낙하에 의한 하강속도에 비하여 빠르므로, 이에 따라 폐쇄수단이 가스제거 구멍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가스제거 구멍을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폐쇄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가스제거 구멍을 전기적으로 대략 폐쇄 또는 개방시키는 폐쇄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폐쇄수단을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3에 있어서의 청구항1의 웨빙 권취장치는, 상기 폐쇄수단은, 상기 가스제거 구멍을 대략 폐쇄시킬 수 있는 캡과, 상기 결합부상에 재치됨으로써 상기 캡에 의한 상기 가스제거 구멍의 대략 폐쇄의 해제를 저지시킬 수 있는 리테이너(retainer)를 구비하고, 보통의 상태에서는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결합부상에 재치되며 또한 상기 캡이 상기 가스제거 구멍을 대략 폐쇄하고,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상승하게 되는 때에는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결합부에 의하여 밀어 올라감으로써 상기 리테이너에 의해서 상기 캡이 상기 가스제거 구멍을 폐쇄한 상태를 대략 유지하고, 상기 포스 제한 기구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하강하게 되는때에는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결합부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캡에 의한 상기 가스제거 구멍의 대략적인 폐쇄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3에 있어서의 청구항1의 웨빙 권취장치에서는, 폐쇄수단이 가스제거 구멍을 대략 폐쇄시킬 수 있는 캡과, 결합부상에 재치됨으로써 캡에 의한 상기 가스제거 구멍의 대략 폐쇄의 해제를 저지할 수 있는 리테이너를 구비하고 있고, 보통의 상태에서는 리테이너가 결합부상에 재치되며 또한 캡이 가스제거 구멍을 대략 폐쇄하고 있다.
여기에서 프리텐셔너 기구에 의해 피스톤이 상승하게 되는 때에는, 리테이너가 결합부에 의하여 밀려 올라감으로써 리테이너에 의해서 캡이 가스제거 구멍을 폐쇄하는 상태를 대략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포스 제한 기구에 의해 피스톤이 하강하게 되는 때에는, 웨빙에 가해지는 탑승자의 하중이 권취축을 통하여 피스톤에 전달되기 때문에 피스톤의 하강속도가 리테이너의 자유낙하에 의한 하강속도에 비하여 빠르므로, 이에 따라 리테이너가 결합부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캡에 의한 가스제거 구멍의 대략 폐쇄가 해제되어 가스제거 구멍을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폐쇄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가스제거 구멍을 전기적으로 대략 폐쇄 또는 개방시키는 폐쇄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폐쇄수단을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4에 있어서의 웨빙 권취장치는, 청구항2 또는 청구항3에서의 웨빙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스 제한 기구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하강하게 될 때에 상기 실린더의 내벽과 상기 폐쇄수단과의 사이에 마찰이 생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4에 있어서의 웨빙 권취장치에서는, 포스 제한 기구에 의해 피스톤이 하강하게 될 때에 실린더의 내벽과 폐쇄수단과의 사이에 마찰이 생기기 때문에 폐쇄수단을 가스제거 구멍보다 확실하게 상방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가스제거 구멍을 확실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프리텐셔너 기구에 의해 피스톤이 상승하게 될 때에 실린더의 내벽과 폐쇄수단과의 사이에 마찰이 생기는 경우에도, 이 마찰에도 불구하고 폐쇄수단이 결합부에 의하여 밀려 올라간다. 이 때문에 프리텐셔너 기구에 의해 피스톤이 상승하게 되는 때에는 폐쇄수단이 가스제거 구멍을 계속하여 폐쇄한 상태를 대략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5에 있어서의 웨빙 권취장치는, 청구항1 내지 청구항4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웨빙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제거 구멍 및 폐쇄수단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보통의 상태에서는 상기 가스제거 구멍과 상기 폐쇄수단과의 사이에 끼워져 상기 가스제거 구멍을 밀폐하고,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상승하게 되는 때에는 상기 가스제거 구멍과 상기 폐쇄수단과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가스제거 구멍을 밀폐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포스 제한 기구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하강하게 되는 때에는 상기 가스제거 구멍과 상기 폐쇄수단과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가스제거 구멍을 개방하는 실(seal) 부재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5에 있어서의 웨빙 권취장치에서는, 보통의 상태에서는 실 부재가 가스제거 구멍과 폐쇄수단과의 사이에 끼워져 있어 가스제거 구멍을 밀폐하기 때문에 피스톤의 상승을 확실하게 시작할 수 있다.
또한 프리텐셔너 기구에 의해 피스톤이 상승하게 되는 때에는, 예를 들면 실 부재가 폐쇄수단 및 피스톤과 일체(一體)로 상승하게 됨으로써 실 부재가 가스제거 구멍과 폐쇄수단과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따라 실 부재가 가스제거 구멍을 밀폐한 상태가 유지되어 피스톤의 상승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포스 제한 기구에 의해 피스톤이 하강하게 되는 때에는, 예를 들면 폐쇄수단이 가스제거 구멍의 상방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가스제거 구멍과 폐쇄수단과의 사이에 실 부재가 끼워진 상태가 해제되어 가스제거 구멍이 개방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 내의 가스를 가스제거 구멍으로부터 계속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청구항6에 있어서의 웨빙 권취장치는, 청구항1 내지 청구항5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웨빙 권취장치에 있어서, 보통의 상태 및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상승하게 될 때에는 상기 가스제거 구멍에 삽입부재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포스 제한 기구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하강하게 될 때에는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기 가스제거 구멍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6에 있어서의 웨빙 권취장치에서는, 보통의 상태 및 프리텐셔너 기구에 의해 피스톤이 상승하게 될 때에는, 가스제거 구멍에 삽입부재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실린더 내의 가스가 가스제거 구멍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피스톤의 상승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포스 제한 기구에 의해 피스톤이 하강하게 되는 때에는, 삽입부재가 가스의 압력에 의해 가스제거 구멍으로부터 배출되기 때문에 실린더 내의 가스를 가스제거 구멍으로부터 계속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청구항7에 있어서의 웨빙 권취장치는, 청구항6에 있어서의 웨빙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제거 구멍은 굴곡되는 굴곡부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삽입부재는 탄성(彈性)을 구비하고, 보통의 상태 및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상승하게 될 때에는 상기 굴곡부에 상기 삽입부재가 굴곡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7에 있어서의 웨빙 권취장치에서는, 보통의 상태 및 프리텐셔너 기구에 의해 피스톤이 상승하게 될 때에는, 가스제거 구멍의 굴곡부에 탄성을 구비하는 삽입부재가 굴곡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통의 상태 및 프리텐셔너 기구에 의해 피스톤이 상승하게 될 때에 삽입부재가 가스제거 구멍을 양호하게 폐쇄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관한 웨빙 권취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2는 제1의 실시예에 관한 프리텐셔너 기구에 의해 피스톤이 상승하게 될 때에 실린더의 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3은 제1의 실시예에 관한 포스 제한 기구에 의해 피스톤이 하강하게 될 때에 실린더의 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관한 웨빙 권취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5는 제2의 실시예에 관한 프리텐셔너 기구에 의해 피스톤이 상승하게 될 때에 실린더의 내부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6은 제2의 실시예에 관한 프리텐셔너 기구에 의해 피스톤이 상승하게 될 때에 실린더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7은 제2의 실시예에 관한 포스 제한 기구에 의해 피스톤이 하강하게 될 때에 실린더의 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8은 제2의 실시예에 관한 피스톤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배면도이고, (B)는 좌측면도이다.
도9는 제2의 실시예에 관한 캡 및 고무패킹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0은 제2의 실시예에 관한 리테이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1은 제2의 실시예에 관한 캡 및 고무패킹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2는 종래의 웨빙 권취장치에 있어서의 포스 제한 하중(세로축)과 웨빙 인출량(가로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웨빙 권취장치(webbing retractor) 14 : 권취축(卷取軸)
16 : 웨빙(webbing) 18 : 프리텐셔너(pretensioner) 기구
20 : 피니언(pinion) 22 : 실린더
24 : 피스톤 26 : 결합부
30 : 가스제거 구멍 30B : 굴곡부
34 : 슬라이더(slider)(폐쇄수단) 36 : 실(seal) 부재
50 : 웨빙 권취장치 54 : 캡(폐쇄수단)
56 : 고무패킹(삽입부재) 58 : 리테이너(retainer)(폐쇄수단)
(제1의 실시예)
도1에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관한 웨빙 권취장치10의 개략적인 구성이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웨빙 권취장치10는 프레임12을 갖추고 있고, 프레임12은 차량에 고정되어 있다. 프레임12에는 권취축14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고, 권취축14에는 웨빙16이 감겨져 있다.
또한 웨빙 권취장치10는 래크 앤드 피니언(rack-and-pinion) 방식에 의한 프리텐셔너(pretensioner) 기구18를 갖추고 있고, 권취축14의 일단(一端)에는 피니언20이 연결되어 있다. 피니언20은 권취축14과 항상 일체로 되어 회전함에 따라 웨빙16의 권취(卷取) 또는 인출(引出)이 이루어진다.
프레임12에는 실린더22가 고정되어 있다. 실린더22는 대략 원통(圓筒)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실린더22의 상단측은 피니언20의 근방에서 개구되어 있다. 실린더22의 하단측(피니언20의 반대측)에는 가스공급구(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한다)가 설치되며 또한 가스공급구에는 가스발생장치(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한다)가 접속되어 있어 충돌 등에 의한 차량 운전 중 비상시에는 가스발생장치가 발생시키는 가스가 가스공급구로부터 실린더22 내에 공급된다.
실린더22 내에는 대략 원기둥 모양의 피스톤24이 설치되어 있고, 피스톤24은 실린더22 내를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피스톤24의 하단(피니언 반대측의 단부(端部)) 근방에는 원반 모양의 결합부26가 형성되어 있고, 결합부26는 실린더22의 내벽에 대략 결합되어 있다. 여기에서 가스공급구는 결합부26의 하방측(피니언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고, 실린더22 내에 가스가 공급되면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피스톤24의 하단 및 결합부26 등이 이 가스의 압력을 받아 피스톤24이 도1의 화살표A 방향으로 상승한다.
피스톤24의 하부(결합부26의 하방)에는 수지(樹脂)로 만든 O링28이 결합되어 있고, O링28은 실린더22의 내벽에 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결합부26와 실린더22의 내벽과의 간격에서 가스공급구로부터의 가스가 결합부26의 상방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피스톤24의 하부에는 가스제거 구멍30이 형성되어 있다. 가스제거 구멍30은 피스톤24의 하단으로부터 결합부26의 상방으로 통하여 있으므로, 이에 따라 가스공급구에서의 가스를 가스제거 구멍30을 통하여 결합부26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피스톤24의 상부에는 래크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래크32는 피니언20에 대응하고 있으므로 피스톤24이 도1의 화살표A 방향으로 상승하면 래크32가 피니언20에 맞물린다. 이에 따라 피니언20을 통하여 권취축14이 웨빙16을 감는 방향(도1의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웨빙16이 권취축14에 감기는 구성이다.
또한 웨빙 권취장치10는, 포스 제한 기구(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한다)를 구비하고 있고, 포스 제한 기구는 에너지 흡수 부재(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한다)를 구비하고 있다. 차량 운전 중 비상시에는 웨빙16에 가해지는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에너지 흡수 부재가 변형되므로, 이에 따라 권취축14이 웨빙16을 인출하는 방향(도1의 화살표D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문에 웨빙16이 권취축14으로부터 인출됨과 동시에 피니언20 및 래크32를 통하여 도1의 화살표C 방향으로 피스톤24이 하강하게 되는 구성이다.
또한 실린더22 내에는 리테이너(retainer)로서도 기능을 하는 폐쇄기구인 슬라이더34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34는 상기 가스제거 구멍30에 대응하고 있고, 보통의 경우에 슬라이더34는 피스톤24의 결합부26상에 재치(載置)되어 가스제거 구멍30을 대략 폐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차량 운전 중 비상시에 프리텐셔너 기구18에 의해 가스가 실린더22 내에 공급되면 실린더22 내의 가스가 가스제거 구멍30으로부터 배출되지 않으므로, 이에 따라 가스의 압력에 의해서 피스톤24이 상승을 시작한다.
이와 같이 피스톤24이 상승하게 되는 때에는,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34가 결합부26에 의하여 밀려 올라가므로 피스톤24과 일체로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34에 의한 가스제거 구멍30의 폐쇄가 대략 유지되어 피스톤24의 상승이 유지된다.
한편 포스 제한 기구에 의해 피스톤24이 하강하게 되는 때에는,웨빙16에 가해지는 탑승자의 하중이 권취축14, 피니언20 및 래크32를 통하여 피스톤24에 전달되기 때문에 피스톤24의 하강속도가 슬라이더34의 자유낙하에 의한 하강속도에 비하여 빠르게 된다. 이에 따라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34가 가스제거 구멍30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되어 가스제거 구멍30이 개방된다.
또한 포스 제한 기구에 의해 피스톤24이 하강하게 되는 때에는, 실린더22 내의 가스가 가스제거 구멍30으로부터 배출되어 후에 설명하는 실(seal) 부재36를 통하여 슬라이더34에 분출됨으로써 실린더22의 내벽과 슬라이더34와의 사이에 마찰이 생기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포스 제한 기구에 의해 피스톤24이 하강하게 되는 때에는 슬라이더34가 가스제거 구멍30으로부터 확실하게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실린더22 내에는 가스제거 구멍30 및 슬라이더34에 대응하여 캡으로서도 기능을 하는 실 부재36가 수지로 만들어져서 설치되어 있다. 보통의 상태에서 실 부재36는 가스제거 구멍30과 슬라이더34와의 사이에 끼워져 있어 가스제거 구멍30을 밀폐하고 있다.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리텐셔너 기구18에 의해 피스톤24이 상승하게 되는 때에는, 실 부재36가 슬라이더34 및 피스톤24과 일체로 상승하게 됨으로써 실 부재36가 가스제거 구멍30과 슬라이더34와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어 실 부재36가 가스제거 구멍30을 밀폐한 상태가 유지된다.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스 제한 기구에 의해 피스톤24이 하강하게 되는 때에는, 슬라이더34가 가스제거 구멍30의 상방에 위치함으로써 가스제거 구멍30과 슬라이더34와의 사이에 실 부재36의 끼워진 상태가 해제되어 가스제거 구멍30이 개방되는 구성이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웨빙 권취장치10에서는 프리텐셔너 기구18가 설치되어 있고, 차량 운전 중 비상시에는 가스발생장치(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한다)에 의한 가스가 가스공급구(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한다)로부터 실린더22 내(피스톤24의 결합부26 하방)에 공급된다. 여기에서 보통의 상태에서는 슬라이더34가 결합부26상에 재치됨으로써 피스톤24의 가스제거 구멍30이 슬라이더34에 의해서 대략 폐쇄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실린더22 내의 가스가 가스제거 구멍30으로부터 배출되지 않고, 이에 따라 가스의 압력에 의해서 피스톤24이 도1 및 도2의 화살표A 방향(피니언20측)으로 상승을 시작한다.
또한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24이 상승하게 되는 때에는, 슬라이더34가 결합부26에 의하여 밀려 올라가서 피스톤24과 일체로 상승하게 됨으로써 슬라이더34에 의한 가스제거 구멍30의 폐쇄가 대략 유지된다. 이 때문에 피스톤24의 상승이 유지된다. 이에 따라 래크32 및 피니언20을 통하여 권취축14이 웨빙16을 감는 방향(도1의 화살표B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 운전 중 비상시에는 웨빙16이 권취축14에 감기게되어 웨빙16의 느슨함이 제거된다.
또한 웨빙 권취장치10에는 포스 제한 기구(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한다)가 설치되어 있고, 차량 운전 중 비상시에는 웨빙16에 가해지는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에너지 흡수 부재(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한다)가 변형됨으로써 권취축14이 웨빙을 인출하는 방향(도1의 화살표D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 운전 중 비상시에는 권취축14으로부터 웨빙16이 인출됨으로써 웨빙16에 의한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하중이 일정량 이하로 제한된다.
여기에서 포스 제한 기구에서는 권취축14이 웨빙16을 인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피니언20 및 래크32를 통하여 피스톤24이 도1 및 도3의 화살표C 방향(피니언20의 반대측)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피스톤24이 하강하게 되는 때에는 웨빙16에 가해지는 탑승자의 하중이 권취축14, 피니언20 및 래크32를 통하여 피스톤24에 전달되기 때문에 피스톤의 하강속도가 슬라이더34의 자유낙하에 의한 하강속도에 비하여 빠르다. 이에 따라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34가 가스제거 구멍30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되어 가스제거 구멍30이 개방되고, 이 때문에 실린더22 내(결합부26의 하방)의 가스가 가스제거 구멍30으로부터 배출된다. 따라서 실린더22 내의 가스에 의해서 피스톤24의 하강이 저지되어 웨빙16의 인출이 저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에너지 흡수 부재를 변형시키기 위한 하중만으로 포스 제한하중(차량 운전 중 비상시에 웨빙16이 인출되기 위한 하중)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포스 제한 하중을 설정하는 자유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포스 제한 기구에 의해 피스톤24이 하강하게 되는 때에는, 실린더22 내의 가스가 가스제거 구멍30으로부터 배출되어 실 부재36를 통하여 슬라이더34에 분출됨으로써 실린더22의 내벽과 슬라이더34와의 사이에서 마찰이 생긴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34를 가스제거 구멍30으로부터 확실하게 상방에 확실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가스제거 구멍30을 확실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프리텐셔너 기구18에 의해 피스톤24이 상승하게 될 때에는 실린더22의 내벽과 슬라이더34와의 사이에서 마찰이 생기더라도, 이 마찰에도 불구하고 슬라이더34가 결합부26에 의하여 밀려 올라간다. 이 때문에 프리텐셔너 기구18에 의해 피스톤24이 상승하게 되는 때에 슬라이더34가 가스제거 구멍30을 폐쇄한 상태로 계속하여 대략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폐쇄수단으로서 전술한 슬라이더34를 사용하면 좋기 때문에, 예를 들면 가스제거 구멍을 전기적으로 대략 폐쇄 또는 개방시키는 폐쇄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폐쇄수단을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보통의 상태에서 실 부재36가 가스제거 구멍30과 슬라이더34와의 사이에 끼워져 가스제거 구멍30을 밀폐하기 때문에 피스톤24의 상승을 확실하게 시작할 수 있다.
또한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리텐셔너 기구18에 의해 피스톤24이 상승하게 되는 때에는, 실 부재36가 슬라이더34 및 피스톤24과 일체로 상승하게 됨으로써 실 부재36가 가스제거 구멍30과 슬라이더34와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따라 실 부재36가 가스제거 구멍30을 밀폐한 상태가 유지되어 피스톤24의 상승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스 제한 기구에 의해 피스톤24이 하강하게 되는 때에는, 슬라이더34가 가스제거 구멍30의 상방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가스제거 구멍30과 슬라이더34와의 사이에 실 부재36의 끼워진 상태가 해제되어 가스제거 구멍30이 개방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22 내의 가스를 가스제거 구멍30으로부터 계속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폐쇄수단으로서 슬라이더34를 사용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폐쇄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가스제거 구멍을 전기적으로 대략 폐쇄 또는 개방시키는 폐쇄기구를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 부재36를 슬라이더34와 별개로 하여 실 부재36를 가스제거 구멍30과 슬라이더34와의 사이에 끼우는 구성으로 했지만, 실 부재를 슬라이더와 일체(一體)로 하여 실 부재를 가스제거 구멍과 슬라이더의 사이에 끼우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제2의 실시예)
도4에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관한 웨빙 권취장치50의 개략적인 구성이 우측면도로서 나타나 있다.
웨빙 권취장치50는 상기 제1의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지만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도8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24의 결합부26로부터 위쪽에 위치하는 래크32는 피스톤24의 대략 우측에 설치되고 단면이 대략 사각형 모양으로 되어 있다.
피스톤24 하부의 가스제거 구멍30은 피스톤24의 하단 우측부분으로부터 래크32의 좌측면 하부로 통하여 있고, 가스제거 구멍30에 있어서 결합부26의 위쪽에 있는 개구30A의 근방은 소정의 각도(본 실시예에서는 90°)로 굴곡되어 굴곡부30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개구30A는 가스제거 구멍30에 있어서의 다른 부위보다 직경이 크다.
피스톤24의 하부에는 연통 구멍52이 형성되어 있고, 연통 구멍52은 피스톤24의 하단 좌측부분으로부터 결합부26의 윗면 좌측부분으로 통하며 또한 가스제거 구멍30보다 직경이 작게 되어 있고, 가스공급구에서의 가스가 연통 구멍52을 통하여 결합부26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배출된다.
가스제거 구멍30의 개구30A는 삽입부재로서도 기능을 하는 폐쇄수단을 구성하는 캡54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다(도5, 도6 및 도9 참조). 캡54은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polyacetal) 수지로 이루어져 있고, 좌측의 대경부(大徑部)54A와 우측의 소경부(小徑部)54B가 일체(一體)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대경부54A는 낮은 높이의 원기둥 모양으로 이루어져 개구30A에결합되고, 소경부54B는 대경부54A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낮은 높이의 원기둥 모양으로 이루어져 가스제거 구멍30에 있어서 개구30A의 안쪽에 결합되어 있다.
가스제거 구멍30의 굴곡부30B에는 삽입부재인 원기둥 모양의 고무패킹56이 대략 결합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고(도5, 도6 및 도9 참조), 고무패킹56의 일단(一端)은 캡54의 소경부54B에 접촉되어 있다. 고무패킹56은 고무로 만들어져 탄성(彈性)을 구비하고 있고, 굴곡부30B에 굴곡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
피스톤24의 결합부26상에는 가스제거 구멍30 및 캡54에 대응하여 폐쇄수단을 구성하는 스테인레스로 만든 리테이너(retainer)58가 재치(載置)되어 있다(도5, 도6 및 도10 참조). 리테이너58는 대략 타원의 통(筒) 모양으로 되어 있고, 리테이너58의 좌측벽은 전후방향의 중앙에서 개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58는 탄성을 구비하여 압축된 상태에서 실린더22의 내벽과 래크32의 좌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58의 전후 양측의 단부(端部) 근방에 있어서의 곡면 모양 측벽이 실린더22의 내벽에 압력을 가하는 동시에 리테이너58의 평면 모양의 우측벽이 래크32의 좌측면 및 캡54에 압력을 가하고 있다.
리테이너58의 좌측벽은 개방 부분의 양단(兩端)에서 실린더22의 내벽(좌측)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60가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60의 선단(先端)은 최선부(最先部)가 예각(銳角)으로 되는 삼각형부가 소정의 수(본 실시예에서는 3개)로 형성되어 전체로서 파도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각 돌출부60는 최선단(最先端)이 실린더22의 내벽에 점(點) 접촉 또는 선(線) 접촉하여 실린더22의 내벽에 압력을 가하고 있다. 또한 돌출부60 선단의 각 삼각형부는, 하측의 변이 상측의 변에 비하여 실린더22의 내벽에 대한 경사 각도가 크게 되는 구성이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 관한 웨빙 권취장치50에서는, 보통의 상태에서는 피스톤24의 결합부26상에 재치되는 리테이너58가 캡54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캡54에 의한 가스제거 구멍30의 폐쇄 해제가 리테이너58에 의해서 저지되고 있다. 이 때문에 차량 운전 중 비상시에 프리텐셔너 기구18에 의해 가스가 실린더22 내에 공급되면 실린더22 내의 가스가 가스제거 구멍30으로부터 배출되지 않게 되므로, 이에 따라 가스의 압력에 의해서 피스톤24이 도4 및 도5의 화살표A 방향(피니언20측)으로 상승을 시작한다.
또한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24이 상승하게 되는 때에는, 리테이너58가 결합부26에 의하여 밀려 올라가서 피스톤24과 일체로 상승하게 됨으로써 캡54이 가스제거 구멍30을 폐쇄한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문에 피스톤24의 상승이 유지되므로, 이에 따라 래크32 및 피니언20을 통하여 권취축14이 웨빙16을 감는 방향(도4의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포스 제한 기구에 의해 권취축14이 웨빙16을 인출하는 방향(도4의 화살표D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피니언20 및 래크32를 통하여 피스톤24이 도4 및 도7의 화살표C 방향(피니언20의 반대측)으로 하강하게 되는 때에는, 웨빙16에 가해지는 탑승자의 하중이 권취축14, 피니언20 및 래크32를 통하여 피스톤24에 전달되기 때문에 피스톤의 하강속도가 리테이너58의 자유낙하에 의한 하강속도에 비하여 빠르다. 이에 따라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58가 가스제거 구멍30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캡54에 의한 가스제거 구멍30의 폐쇄가 해제되어(캡54 및 고무패킹56이 가스의 압력에 의해 가스제거 구멍30으로부터 배출되어) 가스제거 구멍30이 개방되고, 이 때문에 실린더22 내(결합부26의 하방)의 가스가 가스제거 구멍30으로부터 배출된다. 따라서 실린더22 내의 가스에 의해서 피스톤24의 하강이 저지되어 웨빙16의 인출이 저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에너지 흡수 부재를 변형시키기 위한 하중만으로 포스 제한 하중(차량 운전 중 비상시에 웨빙16이 인출되기 위한 하중)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포스 제한 하중을 설정하는 자유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포스 제한 기구에 의해 피스톤24이 하강하게 되는 때에는, 리테이너58가 실린더22의 내벽에 압력을 가하는 동시에 리테이너58의 돌출부60가 실린더22의 내벽에 달라 붙고, 이 때문에 실린더22의 내벽과 리테이너58와의 사이에서 마찰이 생겨 리테이너58가 실린더22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기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포스 제한 기구에 의해 피스톤24이 하강하게 되는 때에는 리테이너58를 가스제거 구멍30보다 확실하게 상방에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가스제거 구멍30을 확실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프리텐셔너 기구18에 의해 피스톤24이 상승하게 될 때에 리테이너58의 압력 및 돌출부60의 달라 붙음(마찰)에 의해 리테이너58가 실린더22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기 어렵게 되더라도, 이 압력 및 달라 붙음에도 불구하고 리테이너58가 결합부26에 의하여 밀려 올라간다. 이 때문에 프리텐셔너 기구18에 의해 피스톤24이 상승하게 되는 때에는, 캡54이 가스제거 구멍30을 폐쇄한 상태를 리테이너58에 의해서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보통의 상태 및 프리텐셔너 기구18에 의해 피스톤24이 상승하게 될 때에는, 가스제거 구멍30에 캡54 및 고무패킹56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실린더22 내의 가스가 가스제거 구멍30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피스톤24의 상승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통의 상태 및 프리텐셔너 기구18에 의해 피스톤24이 상승하게 될 때에는, 가스제거 구멍30의 굴곡부에 탄성을 갖는 고무패킹56이 굴곡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통의 상태 및 프리텐셔너 기구18에 의해 피스톤24이 상승하게 될 때에 고무패킹56이 가스제거 구멍30을 양호하게 폐쇄할 수 있다.
또한 포스 제한 기구에 의해 피스톤24이 하강하게 되는 때에는, 캡54 및 고무패킹56이 가스의 압력에 의해 가스제거 구멍30으로부터 배출되기 때문에 실린더22 내의 가스를 가스제거 구멍30으로부터 계속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포스 제한 기구에 의해 피스톤24이 하강하게 되는 때에는, 실린더22 내의 가스가 연통 구멍52을 통하여 결합부26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실린더22 내의 가스에 의해서 피스톤24의 하강이 저지되어 웨빙16의 인출이 저지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폐쇄수단으로서 전술한 리테이너58 및 캡54을 사용하면 좋기 때문에, 예를 들면 가스제거 구멍을 전기적으로 대략 폐쇄 또는 개방시키는 폐쇄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폐쇄수단을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폐쇄수단으로서 리테이너58 및 캡54을 사용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폐쇄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가스제거 구멍을 전기적으로 대략 폐쇄 또는 개방시키는 폐쇄장치를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캡54과 고무패킹56을 별개로 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54과 고무패킹56을 고무로 일체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청구항1의 웨빙 권취장치에서는, 포스 제한 기구에 의해 피스톤이 하강하게 되는 때에는 폐쇄수단이 피스톤의 가스제거 구멍을 개방하기 때문에실린더 내의 가스에 의해서 피스톤의 하강이 저지되어 웨빙의 인출이 저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에너지 흡수 부재를 변형시키기 위한 하중만으로 포스 제한 하중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포스 제한 하중을 설정하는 자유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청구항2 및 청구항3에 있어서의 웨빙 권취장치에서는, 폐쇄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가스제거 구멍을 전기적으로 대략 폐쇄 또는 개방시키는 폐쇄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폐쇄수단을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4에 있어서의 웨빙 권취장치에서는, 포스 제한 기구에 의해 피스톤이 하강하게 될 때에 실린더의 내벽과 폐쇄수단과의 사이에서 마찰이 생기기 때문에 폐쇄수단을 가스제거 구멍보다 확실하게 상방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가스제거 구멍을 확실하게 개방할 수 있다.
청구항5에 있어서의 웨빙 권취장치에서는, 보통의 상태에서는 실(seal) 부재가 가스제거 구멍과 폐쇄수단과의 사이에 끼워져 가스제거 구멍을 밀폐하기 때문에 피스톤의 상승을 확실하게 시작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이 상승하게 되는 때에는, 실 부재가 가스제거 구멍을 밀폐한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피스톤의 상승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이 하강하게 되는 때에는 가스제거 구멍과 폐쇄수단과의 사이에 실 부재의 끼워진 상태가 해제되어 가스제거 구멍이 개방되기 때문에 실린더 내의 가스를 가스제거 구멍으로부터 계속하여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6에 있어서의 웨빙 권취장치에서는, 보통의 상태 및 피스톤이상승하게 될 때에는, 가스제거 구멍에 삽입부재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피스톤의 상승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이 하강하게 되는 때에는, 삽입부재가 가스의 압력에 의해 가스제거 구멍으로부터 배출되기 때문에 실린더 내의 가스를 가스제거 구멍으로부터 계속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청구항7에 있어서의 웨빙 권취장치에서는, 보통의 상태 및 피스톤이 상승하게 될 때에는, 가스제거 구멍의 굴곡부에 삽입부재가 굴곡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부재가 가스제거 구멍을 양호하게 폐쇄할 수 있다.

Claims (7)

  1. 웨빙(webbing)을 감는 권취축(卷取軸)과,
    대략 통(筒)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실린더의 내벽에 대략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피스톤을 구비하고 차량 운전 중 비상시에 가스를 상기 실린더 내의 상기 결합부의 하방측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피스톤을 상기 가스의 압력에 의해서 상승시켜 상기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권취축을 회전시키는 프리텐셔너(pretensioner) 기구와,
    변형 가능한 에너지 흡수 부재를 구비하고 차량 운전 중 비상시에상기 웨빙에 가해지는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상기 에너지 흡수 부재를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웨빙을 인출(引出)하는 방향으로 상기 권취축을 회전시켜 상기 피스톤을 하강시키는 포스 제한 기구
    를 구비하는 웨빙 권취장치(webbing retractor)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에 형성되어 상기 가스를 상기 결합부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가스제거 구멍과,
    상기 가스제거 구멍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보통의 경우에는 상기 가스제거 구멍을 대략 폐쇄하고,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상승하게 되는 때에는 상기 가스제거 구멍을 폐쇄한 상태를 대략 유지하고, 상기 포스 제한 기구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하강하게 되는 때에는 상기 가스제거 구멍을 개방하는 폐쇄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권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수단은,
    보통의 경우에는 상기 결합부상에 재치(載置)됨으로써 상기 가스제거 구멍을 대략 폐쇄하고,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상승하게 되는 때에는 상기 결합부에 의하여 밀려 올라감으로써 상기 가스제거 구멍을 폐쇄한 상태를 대략 유지하고, 상기 포스 제한 기구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하강하게 되는 때에는 상기 가스제거 구멍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가스제거 구멍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권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수단은,
    상기 가스제거 구멍을 대략 폐쇄시킬 수 있는 캡과, 상기 결합부상에 재치됨으로써 상기 캡에 의한 상기 가스제거 구멍의 대략적인 폐쇄의 해제를 저지시킬 수 있는 리테이너(retainer)를 구비하고,
    보통의 경우에는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결합부상에 재치되며 또한 상기 캡이 상기 가스제거 구멍을 대략 폐쇄하고,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상승하게 되는 때에는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결합부에 의하여 밀려 올라감으로써 상기 리테이너에 의해서 상기 캡이 상기 가스제거 구멍을 폐쇄한 상태를 대략 유지하고, 상기 포스 제한 기구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하강하게 되는 때에는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결합부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캡에 의한 상기 가스제거 구멍의 대략적인 폐쇄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권취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 제한 기구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하강하게 될 때에 상기 실린더의 내벽과 상기 폐쇄수단과의 사이에 마찰이 생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권취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제거 구멍 및 폐쇄수단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보통의 상태에서는 상기 가스제거 구멍과 상기 폐쇄수단과의 사이에 끼워져 상기 가스제거 구멍을 밀폐하고,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상승하게 되는 때에는 상기 가스제거 구멍과 상기 폐쇄수단과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가스제거 구멍을 밀폐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포스 제한 기구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하강하게 되는 때에는 상기 가스제거 구멍과 상기 폐쇄수단과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가스제거 구멍을 개방하는 실(seal) 부재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권취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보통의 상태 및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상승하게 될 때에는 상기 가스제거 구멍에 삽입부재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포스 제한 기구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하강하게 될 때에는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기 가스제거 구멍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권취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제거 구멍은 굴곡되는 굴곡부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삽입부재는 탄성(彈性)을 구비하고,
    보통의 상태 및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상승하게 될 때에는 상기 굴곡부에 상기 삽입부재가 굴곡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권취장치.
KR1020010032453A 2000-06-13 2001-06-11 웨빙 권취장치 KR1007791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77300 2000-06-13
JP2000-177300 2000-06-13
JP2001080498A JP3878423B2 (ja) 2000-06-13 2001-03-21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1-80498 2001-03-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600A true KR20010112600A (ko) 2001-12-20
KR100779112B1 KR100779112B1 (ko) 2007-11-27

Family

ID=26593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453A KR100779112B1 (ko) 2000-06-13 2001-06-11 웨빙 권취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75498B2 (ko)
JP (1) JP3878423B2 (ko)
KR (1) KR100779112B1 (ko)
CN (1) CN119773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9965U1 (de) * 2002-06-27 2002-10-31 Trw Repa Gmbh Schloßstraffer
JP4476126B2 (ja) * 2005-01-06 2010-06-0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6213131A (ja) * 2005-02-02 2006-08-17 Tokai Rika Co Ltd 固定具及びウエビング巻取装置
DE102005051657A1 (de) * 2005-10-28 2007-05-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Pyrotechnischer Aktuator
GB2432399A (en) 2005-11-18 2007-05-23 Autoliv Dev Piston and cylinder pyrotechnic actuator
US7631830B2 (en) * 2006-04-17 2009-12-15 Key Safety Systems, Inc. Retractor with rotary rack pretensioner
US7571924B2 (en) * 2006-06-14 2009-08-11 Rick White Rotatable snowboard boot binding apparatus
US7905233B2 (en) * 2007-04-12 2011-03-15 Stryker Corporation Patient restraint
US20080290204A1 (en) * 2007-05-25 2008-11-27 Key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retractor with a pretensioner device
DE102007028980A1 (de) * 2007-06-23 2009-01-02 Autoliv Development Ab Gurtstraffer mit becherförmigem Antriebskolben
DE102007037314B4 (de) * 2007-08-08 2009-05-07 Key Safety Systems, Inc., Sterling Heights Vorrichtung zum Straffen eines Fahrzeugsicherheitsgurtes
KR100898003B1 (ko) * 2008-02-19 2009-05-18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프리텐셔너
KR100898002B1 (ko) 2008-02-19 2009-05-18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프리텐셔너
JP5198983B2 (ja) * 2008-09-04 2013-05-1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プリテンショナ及びプリテンショナ製造方法
JP5314531B2 (ja) * 2008-09-04 2013-10-1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プリテンショナ
DE102009030215B4 (de) * 2009-06-23 2013-03-07 Autoliv Development Ab Sicherheitsgurteinrichtung mit einem Gurtstraffer und einer Kraftbegrenzungseinrichtung
DE102009051451B4 (de) 2009-10-30 2018-01-11 Autoliv Development Ab Straffervorricht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US9114780B2 (en) * 2009-10-30 2015-08-25 Autoliv Development Ab Pretensioner device for a seat belt
JP5317945B2 (ja) 2009-12-15 2013-10-16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DE102010018512A1 (de) 2010-04-27 2011-10-27 Autoliv Development Ab Straffervorricht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JP5512432B2 (ja) * 2010-07-14 2014-06-0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プリテンショナ機構
KR101176787B1 (ko) 2010-11-23 2012-08-24 주식회사 디비아이 프리텐셔너
JP5571043B2 (ja) * 2010-12-22 2014-08-1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プリテンショナ
CN102897139B (zh) * 2012-08-21 2014-12-03 延锋百利得(上海)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具有预拉紧功能的紧急锁止式安全带卷收器
KR101405791B1 (ko) * 2012-10-15 2014-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리트렉터 프리텐셔너의 가스 배출 장치
DE102013210766B4 (de) * 2013-06-10 2017-07-13 Takata AG Strafferantrieb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DE102013018722B4 (de) * 2013-11-08 2017-07-13 Trw Automotive Gmbh Gurtstraffer für ein Sicherheitsgurtsystem
CN103661241A (zh) * 2013-12-11 2014-03-26 天合汽车研发(上海)有限公司 一种安全带预紧器装置
JP2015155264A (ja) * 2014-02-20 2015-08-2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015196462A (ja) * 2014-04-01 2015-11-0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6652399B2 (ja) * 2016-02-10 2020-02-1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US10369962B2 (en) 2017-05-15 2019-08-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strai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67270A5 (ko) 1972-01-11 1973-08-24 Ferodo Sa
DE3930980A1 (de) * 1989-09-16 1991-03-28 Autoflug Gmbh Ausloesevorrichtung fuer einen mechanischen energiespeicher
JPH0446844A (ja) * 1990-06-13 1992-02-17 Takata Kk シートベルト装置のメカニカルセンサー
JPH0450058A (ja) * 1990-06-18 1992-02-19 Takata Kk シートベルト装置のプリテンショナー
JPH05286410A (ja) * 1992-04-14 1993-11-02 Nissan Motor Co Ltd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のプリテンショナー構造
JP3218987B2 (ja) 1996-08-29 2001-10-15 日本精工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のプリテンショナー
US5863009A (en) * 1997-12-24 1999-01-2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pparatus for pretensioning seat belt webbing
DE19837927C2 (de) * 1998-08-20 2001-07-12 Breed Automotive Tech Vorrichtung zum Straffen eines Kraftfahrzeugsicherheitsgurtes
JP3519302B2 (ja) * 1999-02-09 2004-04-1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用プリテンショナー
JP3490630B2 (ja) * 1999-04-16 2004-01-2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プリテンショナー
JP4136181B2 (ja) * 1999-04-30 2008-08-2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用プリテンショナー
JP3819189B2 (ja) * 1999-10-06 2006-09-0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プリテンショナ
US6454306B1 (en) * 2000-08-01 2002-09-24 Trw Inc. Gas generator for seat belt pretens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78423B2 (ja) 2007-02-07
CN1328939A (zh) 2002-01-02
KR100779112B1 (ko) 2007-11-27
JP2002067878A (ja) 2002-03-08
US6575498B2 (en) 2003-06-10
US20020005640A1 (en) 2002-01-17
CN1197730C (zh) 200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9112B1 (ko) 웨빙 권취장치
JP2001063519A (ja) プリテンショナ
JPH1067300A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のプリテンショナー
EP2813401B1 (en) Pretensioner mechanism
EP1992533A2 (en) Cylinder in a pretensioner for seat belt retractor and pretensioner for seat belt retractor employing the same
JP2001063520A (ja) プリテンショナ
EP1187742B1 (en) Device for restraining a seat belt
JP2004508994A (ja) シートベルトプリテンショナ
US8403423B2 (en) Method of limiting a load applied on a seat belt in an emergency
US20010008262A1 (en) Belt retractor force limiter
KR101405791B1 (ko) 자동차용 리트렉터 프리텐셔너의 가스 배출 장치
US8376406B2 (en) Pretensioner mechanism
US8186712B1 (en) Gas generator with supported sealing membrane
JP3857599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4940193A (en) Safety belt retractor with improved dampening
JP3439847B2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ドアの構造
EP2110287B1 (en) Ventilation device
GB2345271A (en) Seat belt retractor pretensioner with vent
JP2009269463A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KR100613237B1 (ko) 자동차의 글러브박스
KR100230202B1 (ko) 시트벨트 보조 잠금장치
KR20230000698U (ko) 안전벨트를 이용한 유리 파손장치
KR100255445B1 (ko) 승객 보호용 시트 벨트 록킹장치
KR20160005902A (ko) 시트벨트용 프리텐셔너
KR100227379B1 (ko) 차량충돌시 재떨이 격납상태 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