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2462A - 감열 기록 재료 - Google Patents

감열 기록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2462A
KR20010112462A KR1020017013667A KR20017013667A KR20010112462A KR 20010112462 A KR20010112462 A KR 20010112462A KR 1020017013667 A KR1020017013667 A KR 1020017013667A KR 20017013667 A KR20017013667 A KR 20017013667A KR 20010112462 A KR20010112462 A KR 20010112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aterial
sulfone
solution
general formula
thermal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3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츠모토다카시
츠츠미야수히사
Original Assignee
야마사키 노리쓰카
신닛테츠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사키 노리쓰카, 신닛테츠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사키 노리쓰카
Publication of KR20010112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246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chemical colour formers
    • B41M5/333Colour developing components therefor, e.g. acidic compounds
    • B41M5/3333Non-macromolecular compounds
    • B41M5/3335Compounds containing phenolic or carboxylic acid groups or metal salts thereof
    • B41M5/3336Sulfur compounds, e.g. sulfones, sulfides, sulfon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chemical colour formers
    • B41M5/337Additives; Binders
    • B41M5/3375Non-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chemical colour for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23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non-macromolecular compounds, e.g. wax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t Sensitive Colour Forming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색 감광성과 이미지의 저장 안정성이 뛰어난 감열 기록 재료에 관한 것이다. 그 감열 기록 재료는 상온에서는 무색 또는 미색을 띄는 류코 염료, 가열시 류코 염료와 반응하여 발색하는 유기산 물질 및 감광제를 함유하는 감열 발색층과 이를 지지하는 지지체로 구성된다. 상기한 감열 발색층은 하기의 일반식 (1) 또는 일반식 (2)로 표시되는 4-하이드록시다이페닐 술폰 유도체, 4,4'-디하이드록시다이페닐 술폰 및 2,4'-디하이드록시다이페닐 술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류 이상의 다이페닐 술폰 유도체를 유기산 물질로서, 4-아크릴바이페닐을 감광제로서 포함한다.
(1)
(R1은 알킬, 아랄킬 또는 아릴기)
(2)
(Y는 2가 유기기, n은 0-6의 정수값)

Description

감열 기록 재료 {Thermal recording material}
류코 염료, 유기산 물질 및 감광제를 함유하는 감열 발색층을 그 지지체에 배치하여 구성되는 감열 기록 재료는 컴퓨터 출력, 소형 사이즈 전자계산기의 프린터, 다양한 종류의 측정 도구의 레코더(기록기), 팩시밀리, 티켓 발매 기계, 온도기록계 복사용(thermographic copying) 기계 및 그 라벨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된다.
감열 기록 재료의 이용이 폭넓게 증가함에 따라 향상된 기능과 절감된 비용의 새로운 감열 기록 재료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어 왔다.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새로운 류코 염료, 유기산 물질 및 감광제에 대한 수많은 제안들이 있었지만, 그에 대한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다이페닐 술폰(diphenyl sulfone)계의 산성 화합물이 JP(Japanese Patent)63-46067 B(1988), JP 07-12749 B(1995) 및 JP 08-33329 A(1996)에 공지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합물의 사용은 일반 목적의 감광제와의 혼합에서조차 그 열반응성(thermal response), 기록된 이미지의 안정도 및 특정 습도에서의 저항성 등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이러한 유기산 물질들 중에서 4,4'-디하이록시다이페닐 술폰(4,4-dihydroxydiphenyl sulfone)은 비교적 가소제(plastisizer)에 대한 저항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예를 들어, JP 57-11088 A(1982), JP 58-119893 A(1983) 및 JP 61-160292 A(1986)등은 컬러 이미지의 안정성 또는 가소제(plasticizer)에 대한 텍스쳐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유기산 물질로서 4,4'-디하이드록시다이페닐 술폰의 사용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높은 녹는점 및 일반 목적의 염료나 감광제와의 낮은 공존성(compatibility) 때문에 상기 4,4'-디하이드록시다이페닐 술폰은 낮은 농도에서 발색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JP 08-72406 A(1996)은 아실아세타닐라이드(acylacetanilide)를 감광제로, 4,4'-디하이드록시다이페닐 술폰을 유기산 물질로 하여 함께 이용하는 것에 대하여 제안하고 있다. 두 물질을 함께 이용함으로써 발색 감광도 및 가소제 저항성이 뛰어난 감열 기록 물질을 제공할 수 있었으나, 이는 텍스쳐의 열 저항성을 낮추어 상용화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JP 61-240688 A(1986)은 감광제로서 발색 감광도가 뛰어나고 텍스쳐의 흐림(fogging)이 낮은 4-치환된(substituted) 바이페닐(biphenyl)에 대하여 제안하고 있으나, 비스페놀 A 및 비스(3-알릴-4-하이드록시페닐)술폰이 유기산 물질로서 단독으로 사용되었을 뿐 이미지의 뛰어난 안정도, 특히 뛰어난 가소제 저항성을 나타내는 열 기록 재료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시사하는 바가 전혀 없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텍스쳐의 백화도(whiteness) 및 발색 감광도가 뛰어나며, 습열 시험, 가소제 저항성 시험 및 열 저항성 시험과 같은 내후성 시험(weathering test)에서 텍스트의 발색이 적은 감열 기록 재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습열 조건 및 가소제 접촉 조건 하에서의 저장 안정화와 같이 기록 이미지의 안정화를 보이는 감열 기록 재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언급된 특성들이 조화를 이룬 감열 기록 재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온에서 무색 또는 미색(colorless or light-color)을 띠는 류코 염료(leuco dye), 가열시 류코 염료와 반응하여 발색(color-developing)하는 유기산 물질(organic acid substance) 및 감광제(sensitizer)를 함유하는 감열 발색층을 지지체 위에 배치하여 구성된 감열 기록 재료(thermal recording material)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지체 및 상온에서 무색 또는 미색을 띄는 류코 염료, 가열에 의하여 상기 류코 염료와 반응하여 색을 발색하는 유기산 물질 및 감광제를 함유하여 상기 지지체에 배치되어 있는 감열 발색층을 포함하는 감열 기록 재료에 있어서, 상기 감열 발색층은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4-하이드록시다이페닐 술폰 유도체, 4,4'-디하이드록시다이페닐 술폰, 2,4'-디하이드록시다이페닐 술폰 및 하기 일반식 (2)로 표시되는 4-하이드록시다이페닐 술폰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두 종류 이상의 다이페닐 술폰 유도체를 유기산 물질로 포함하고, 하기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4-치환된(substituted) 바이페닐 유도체를 감광제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 기록 재료에 관한 것이다.
(1)
(R1:알킬, 아랄킬 또는 아릴기)
(2)
(Y는 2가 유기기[divalent organic group], n은 0-6 범위의 정수값)
(3)
(R2는 알킬 또는 아릴기)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색 형성제(color formula)로서 사용되는 류코 염료는 상온에서 무색 또는 미색의 물질로서, 가열시 유기산 물질과 반응하여 발색한다. 다음은 이러한 류코 염료의 예이다: 3,3-비스(p-디메틸아미노페닐)-6-디메틸아미노프탈라이드, 7'-아닐리노-3'-디부틸아미노-6'-메틸플루오렌, 3-(p-디메틸아미노페닐)-3-(1,2-디메틸-3-인돌릴)프탈라이드, 3,3-비스(9-에틸-3-카바졸릴)-5-디메틸아미노프탈라이드 및 3,3-비스(2-페닐-3-인돌릴)-5-디메틸아미노프탈라이드와 같은 트리아릴메탄 염료;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지드랄)벤질 에테르와 같은 디페닐메탄 염료; 벤조일 류코메틸렌 블루와 같은 티아진 염료; 3-메틸스피로디나프토피렌과 같은 스피로 염료; 플루오렌 염료, 류코오라마인 염료, 인돌린 염료 및 인디고 염료 등. 이러한 류코 염료들은 단독으로, 또는 두 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4-하이드록시다이페닐 술폰 유도체, 4,4'-디하이드록시다이페닐 술폰, 2,4'-디하이드록시다이페닐 술폰 및 상기 일반식 (2)로 표시되는 4-하이드록시디페닐 술폰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두 종류 이상의 다이페닐 술폰 유도체가 감열 발색층 내에서 유기산 물질로서 첨가된다.
상기 일반식 (1)에서 R1은 알킬기, 아랄킬기 또는 아릴기이며, 좀 더 바람직하게는 1-5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저급 알킬기, 벤질기, 저급 알킬-치환된 페닐기, 페닐기 또는 저급 알킬-치환성 페닐기이다.
상기 언급된 일반식 (1)로 표시되는 4-하이드록시디페닐 술폰 유도체의 더욱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를 하기 일반식 화합물 1 및 일반식 화합물 2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1 : 녹는점 129℃]
[화합물 2 : 녹는점 154℃]
상기 일반식 (2)로 표시되는 4-하이드록시디페닐 술폰 유도체의 바람직한 예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JP 08-333329 A(1996)에서 설명한 화합물 및 그 방법으로부터 참고자료를 만들 수 있다. 제조를 위하여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 술폰과 X-Y-X(여기에서 X는 염소[chlorine] 또는 브로민[bromine]과 같은 할로겐족 원소이며, Y는 2가 유기기)로 표현되는 화합물의 반응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몰 단위로, X-Y-X의 양이 4,4'-디하이드록시다이페닐 술폰양의 0.5배 이하로 제한된다면 바람직한 일반식 (1)의 화합물(n=0)을 제조할 수 있다. X-Y-X의 양이 0.5-0.9 몰배 범위인 경우, 몰비율에 따라 n의 범위가 1내지 6인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물이 수득된다. 미반응의 4,4'-디하이드록시다이페닐 술폰과 n이 1내지 6인 상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은 수용성 알칼리용액에서 용해도가 서로 다르므로,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두 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n 수치가 다른 일반식 (1)의 화합물들은 상기 언급한 과정 또는 재결정화를 통하여 서로 분리될 수 있으나, 분리하지 않은 혼합물 상태로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화합물들은 상기 언급된 제조과정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일반식 (2)에서, Y는 지방족(aliphatic) 탄화수소기, 메인 사슬분자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형원자(heteroatom)를 포함하는 탄화수소기 및 메인 사슬분자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탄화수소기 등 임의의 2가 유기기이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례는 앞서 언급된 JP 08-333329 A (1996)에 명시된 다음과 같은 2가 유기기이다: 1-12개의 탄소원자로 구성된 포화 또는 불포화 2가 탄화수소기, 에테르 결합을 포함하는 1-8 탄소 원자로 구성된 2가 탄화수소기 또는 -R-Φ-R로 표시되는 기(여기에서 R은 메틸렌기 또는 에틸렌기, Φ는 벤젠고리이다.); 더욱바람직하게는, 1-4 탄소원자로 구성된 알킬렌기, -R'-0-R'-로 표시되는 기(여기에서 R'은 1-4개의 탄소로 구성된 알킬렌기이다.) 또는 -R-Φ-R-로 표시되는 기(여기에서 R은 메틸렌기이고 Φ는 벤젠 고리이다.); 여기서 n은 0-6의 정수값, 바람직하게는 0 또는 1-3의 값이다.
일반식 (2)로 표시되는 4-하이드록시다이페닐 술폰 유도체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의 식으로 표현되는 화합물 3(n=0), 화합물 4(n=1) 및 화합물 5(n=2)가 있다.
유기산 물질로서 이용되는 다이페닐 술폰 유도체는 상기 언급한 일반식 (1)으로 표시되는 4-하이드록시다이페닐 술폰 유도체, 4,4'-하이드록시다이페닐 술폰, 2,4-'-디하이드록시디페닐 술폰 및 일반식 (2)로 표시되는 4-하이드록시다이페닐 술폰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두 종류 이상의 화합물이다. 유기산 물질의 양은 류코 염료의 1 중량부당 1-6중량부(parts by weight)이고 바람직하게는 1.5-2.5중량부이나 이는 사용되는 감광제 및 염료의 종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다이페닐 술폰 유도체 중 적어도 한 종류는 단독으로 또는 다른 유기산 물질과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다른 유기산 물질의 구체적인 예로는 비스페놀 A와 같은 페놀(phenolic) 화합물 및 벤조산(benzoic acid)또는 프탈 산(phthalic acid)과 같은 카르복시산(carboxylic acid) 등이 있으며, 이 때 이들 다른 유기산들은 전체 유기산 물질의 50중량%이하로, 바람직하게는 10중량%이하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언급된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하나 또는 두 종류 이상의 4-치환된(substituted) 바이페닐 유도체들이 감광제로서 상기 감열 발색층에 혼합된다. 일반식 (3)에 있어서 R2는 알킬 또는 아릴기이고, 바람직하게는 대략 50-200℃의 녹는점에서 1-5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저급(lower) 알킬기, 페닐기 및 저급 알킬-치환 페닐기와 같은 유도체를 생성하는 그룹이 좋다.
일반식 (3)로 표시되는 본 발명에서 사용할 감광제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화합물 6 : 녹는점 121℃]
[화합물 7 : 녹는점 96℃]
[화합물 8 : 녹는점 100℃]
이러한 화합물들은 단독으로 또는 두 종류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용 적정량은 류코 염료 1중량부당 1-6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2.5중량부인데,이 역시 사용되는 류코 염료 및 유기산의 종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감광제와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감광제의 예로는 다음의 화합물들을 포함한다: 스테아라마이드(stearamide), 팔미타마이드(palmitamide), 리놀린산 아마이드(linolic acid amide) 및 스테아르산 아닐라이드(stearic acid anilide)와 같은 질소-함유 화합물; 벤질 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benzyl 4-hydroxybenzoate), 페닐 2-나프토에이트(phenyl 2-naphthoate), 벤질 2-나프토에이트(benzyl 2-naphthoate), 페닐 1-하이드록시-2-나프토에이트(phenyl 1-hydroxy-2-naphthoate), 디벤질옥살레이트(dibenzyl oxalate), 디(4-메틸벤질)옥살레이트, 디벤질 테레프탈레이트(dibenzyl teretphthalate), n-부틸 이소프탈레이트 및 페닐-p-톨루엔술폰산염과 같은 에스테르; 4-벤질바이페닐(4-benzylbiphenyl), m-테르페닐(m-terphenyl), 플루오렌(fluorene), 플루오란텐(fluoranthene), 2,6-디이소프로필나프탈렌(2,6-diisoprophylnaphthalene), 3-벤질아세나프텐(3-benzylacenaphthene), 1,2-비스(3,4-디메틸페닐)에탄, 1,2-비스(2,4-디메틸페닐)에탄 및 1,2-비스(2,4,5-트리메틸페닐)에탄과 같은 방향 화합물; 2-벤질옥시나프탈렌, 1,4-디에톡시나프탈렌(1,4-diethoxynaphthalene), 1,2-디페녹시에탄(1,2-diphenoxyethane), 1,2-디페녹시벤젠(1,2-diphenoxybenzene), 1,4-디페녹시벤젠(1,4-diphenoxybezene), 4-(4'-메틸페녹시)바이페닐, 다이페닐 술폰, 4-메틸다이페닐 술폰, 4,4'-디이소프로폭시다이페닐 술폰, 4,4'-디페녹시다이페닐 티오에테르(diphenoxydiphenyl thioether), 벤질 4-메틸티오페닐 에테르(benzyl 4-methylthiophenyl ether) 및 1,2-비스(페녹시메틸)벤젠과 같은 에테르 및 황-함유 화합물. 이러한 기타 감광제는 전체 감광제에 대하여 50중량% 미만으로,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미만으로 첨가하여 주고 혼합 후 녹는점의 범위를 50-200℃로 유지하여 주는 것이 유용하다.
또한, 발색 영역의 저장 안정성(storage stability)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연 스테아르산염(zinc stearate) 또는 아연 살리실산염(zinc salicylate)등과 같은 유기산 물질의 금속염 및 에폭시 수지(epoxy resin)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것들은 상기 언급된 화합물들의 열에 대한 응답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뛰어난 저장 안정도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감열 기록재료에 공지되어 있는 안정화제(preservative)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안정화제의 예로는 트리스(2,6-디메틸-4-테르트-부틸-3-하이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tris(2,6-dimethyl-4-tert-butyl-3-hydroxybenzyl)isocyanurate], 트리스(3,5-디-테르트-부틸-4-하이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tris(3,5-di-tert-butyl-4-hydroxybenzyl)isocyanurate], 트리스[2-[3-(3,5-디-테르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실]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tris[2-[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yloxy]ethyl]isocyanurate], 1,3,5-트리스(3,5-디메틸-4-하이드록시벤질)-2,4,6-트리메틸벤젠[1,3,5-tris(3,5-dimethyl-4-hydroxybenzyl)-2,4,6-trimethylbenzene], 1,1,3-트리스(2-메틸-4-하이드록시-5-테르트-부틸페닐)부탄[1,1,3-tris(2-methyl-4-hydroxy-5-tert-butylphenyl)butane], 1,1,3-트리스(2-메틸-4-하이드록시-5-사이클로헥시페닐)부탄[1,1,3-tris(2-methyl-4-hydroxy-5-cyclohexyphenyl)butane], 4,4'-부틸이덴비스(2-테르트-부틸-5-메틸)페놀[4,4'-butylidenebis(2-tert-butyl-5-methyl)phenol), 4,4'-티오비스(2-테르트-부틸-5-메틸)페놀[4,4'-thiobis(2-tert-butyl-5-methyl)phenol] 및 2,2'-메틸렌비스(6-테르트-부틸-4-메틸)페놀[2,2'-methylenebis(6-tert-butyl-4-methyl)phenol]과 같은 페놀릭(phenolic) 화합물, 4-벤질옥시-4'-(2-메틸글리시딜옥시)다이페닐 술폰[4-benzyloxy-4'-(2-methylglycidyoxy)diphenyl sulfone] 및 4,4'-디글리시딜옥시다이페닐 술폰[4,4'-diglycidyloxydiphenyl sulfone]과 같은 에폭시 화합물, 그리고 나트륨 2,2'-메틸렌비스(4,6-디-테르트-부틸페닐)인산[sodium 2,2'-methylenebis(4,6-di-tert-butylphenyl)phosphate]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페놀 및 에폭시 화합물을 안정화제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정화제는 류코 염료 1중량부당 0.1-1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뛰어난 저장 안정도, 특히 가소제 저항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 감열 발색층의 표면에 코팅층(overcoat layer)을 처리하는 것이 유용하다. 이러한 코팅층은 원하는 성능을 얻기 위하여 적당하게 선택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콜(vinyl alcohol)과 같은 공지된 수지 요소로 구성된 코팅 플루이드를 공지된 코팅법에 의하여 적정 두께로 코팅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코팅층, 특히 이 코팅층이 두꺼운 경우에는 그 감지도를 낮추기 때문에 코팅 조건의 적정 선택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오랜 기간동안의 기후 저항성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 감열 기록 재료의 감열 발색층 및/또는 코팅층에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할 수 있다. 자외선흡수제의 예로는 다음 화합물들이 있다: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2,4-dihydroxybenzophenone),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2-hydroxy-4-methoxybenzophenone), 2-하이드록시-4-옥톡시벤조페논(2-hydroxy-4-octoxybenzophenone) 및 5,5'-메틸렌비스(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5'-methylenebis(2-hydroxy-4-methoxy)benzophenone]과 같은 2-하이드록시벤조페논 유도체;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2-(2-hydroxy-5-methylphenyl)benzotriazole], 2-(2-하이드록시-5-테르트-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hydroxy-5-tert-octylphenyl)benzotriazole], 2-(2-하이드록시-3,5-디-테르트-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2-(2-hydroxy-3,5-di-tert-butylphenyl)-5-chlorobenzotriazole], 2-(2-하이드록시-3,5-디커밀페놀)벤조트리아졸[2-(2-hydroxy-3,5-dicumylphenyl)benzotriazole], 2,2'-메틸렌비스(4-테르트-옥틸-6-벤조트리아졸릴)페놀[2,2'-methylenebis(4-tert-octyl-6-benzotriazolyl)phenol]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2-(2-하이드록시-3-테르트-부틸-5-카르복시페닐)벤조트리아졸 에스테르[polyethylene glycol 2-(2-hydroxy-3-tert-butyl-5-carboxyphenyl)benzotriazole ester]와 같은 2-(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2-(2-hydroxyphenyl)benzotriazole] 유도체와 페닐살리실산염(phenyl salicylate), 모노벤조산염(resorcinol monobenzoate), 2,4-디-테르트-부틸페닐 3,5-디-테르트-부틸-4-하이드록시벤조산염(2,4-di-tert-butylphenyl3,5-di-tert-butyl-4-hydroxybenzoate] 및 헥사데실 3,5-디-테르트-부틸-4-하이드록시벤조산염 (hexadecyl 3,5-di-tert-butyl-4-hydroxybenzoate)과 같은 벤조산염(benzoates);2-에틸-2'-에톡시옥사닐라이드(2-ethyl-2'-ethoxyoxanilide) 및 2-에톡시-4'-도데실옥사닐라이드(2-ethoxy-4'-dodecyloxanilide)와 같은 치환된 옥사닐라이드(oxanilide)들; 에틸 α-시아노-β(ethyl α-cyano-β), β-다이페닐아크릴산염(β-diphenylacrylate) 및 메틸 2-시아노-3-메틸-3-(p-메톡시페닐)아크릴산염[2-cyano-3-methyl-3-(p-methoxyphenyl)acrylate]과 같은 시아노아크릴산염; 2-(2-하이드록시-4-옥톡시페닐)-s-트리아진[2-(2-hydroxy-4-octoxyphenyl)-s-triazine], 2-(2-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4,5-다이페닐-s-트리아진[2-(2-hydroxy-4-methoxyphenyl)-4,6-diphenyl-s-triazine] 및 2-(2-하이드록시-4-프로폭시-5-메틸-4,6-비스(2,4-디-테르트-부틸페닐-s-트리아진[2-(2-hydroxy-4-propoxy-5-methyl)-4,6-bis(2,4-di-tert-butylphenyl)-s-triazine]과 같은 트리아졸(triazole) 및 트리아진(triazine) 유도체 등.
최종 사용목적에 따라서는 본 발명 감열 기록 재료에 고착제(binder)및 흰색 염료와 같은 첨가제를 다양하게 혼합할 수 있다. 고착제는 류코 염료와 유기산 물질이 미세 입자로서 서로 흩어지는 분리 단계에 있어서 그들을 고정시킨다. 이러한 고착제로는 폴리비닐알콜(vinyl alcohol)(PVA), 라텍스,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아크릴산(acrylic acid), 카제인, 젤라틴, 녹말 및 그들의 유도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흰색 염료는 감열 발색층의 백화도(whiteness), 기록 장치(writing device)의 미끄러짐(slipperness) 및 정착(sticking)을 위하여 첨가되는데 그러한 예로는 칼슘 카보네이트, 카올린, 진흙(clay), 활석(talc) 및 티타늄 옥사이드가 있다. 이들은 상기 감열 발색층의 형성에 있어서 종이 또는 필름과같은 지지체에 혼합하여 혹은 분리하여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1
(1) A 용액의 제조
유기산 물질로서의 화합물 1을 11.5중량부, 감광제로서의 화합물 6을 11.5중량부, 그리고 5중량%의 PVA 수용액을 46중량부 혼합한 혼합물을 샌드밀에서 분쇄하여 입자의 평균 지름이 0.8㎛인 분말의 분산액인 A 용액을 준비하였다.
(2) B 용액의 제조
7'-아닐리노-3'-디부틸아미노-6'-메틸플루오렌(7'-anilino-6'-dibutylamino-6'-methylfluoran) 5.5 중량부, 5중량%의 PVA 수용액 49.5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액을 페인트 쉐이커(paint shaker)에서 분쇄하여 입자의 평균 지름이 0.8㎛인 분말의 현탁액인 B 용액을 준비하였다.
(3) 감열 기록지의 제조
상기 A 용액 20중량부, B 용액 10중량부, 안정화제로서의 아연 스테아르산염(zinc stearate, Hydrin Z-7, Chukyo Yushi Co., Ltd)의 분산액 1중량부, 파라핀 왁스 에멀젼 4중량부 (Hydrin Z-7, Chukyo Yushi Co., Ltd) 및 10중량%의 PVA 수용액 11.5중량부를 혼합하여 코팅 유액을 제조하고, 제조한 코팅 유액을 지지체 용지에 도포하고 건조 후의 코팅 중량이 6g/㎡가 되도록 건조하여 감열 기록지를 제조한다.
(4) 발색 시험 방법
동적 발색(dynamic color development)을 위하여 상기 제조된 감열 기록지들을 프린트 및 시험하였다. 그와 동시에 27V 및 1.9ms에서의 가소제 저항성, 24V 및 1.0ms에서의 배습성 및 감광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견본을 프린트했을 때의 텍스쳐(texture)의 발색 농도를 측정하였다. 동적 발색 시험은 프린팅 테스터(Ohkura Electric Co., Ltd)를 사용하여 실시하였으며, 발색 농도는 Macbeth reflection densitometer(Model RD-914)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5) 배습성 시험 방법
동적 발색을 위해 시험된 상기 감열 기록지들을 thermo-hygrostar(50℃, 상대 습도 90%)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Macbeth reflection densitometer(Model RD-914)를 사용하여 발색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잔존 비율을 다음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여기서 A는 배습성 시험 후의 동적 발색 농도, B는 배습성 시험 전과 시험 후의 텍스쳐의 발색 농도 차이로 획득한 수치, C는 배습성 시험 전의 동적 발색 농도이다.
(6) 가소제 저항성 시험 방법
동적 발색 시험 후 전체가 프린트된 감열 기록지 표면을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랩핑 필름으로 밀착하여 덮어씌웠다. 그 용지와 랩핑 필름을 24시간동안 40℃의 건조기에 방치한 후 프린팅 부분의 발색 농도를 Macbeth reflection densitometer(Model RD-914)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잔존 비율을 다음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여기서 D는 가소제 저항성 시험 후의 동적 발색 농도, E는 가소제 저항성 시험 전과 시험 후의 텍스쳐의 발색 농도 차이로 획득한 수치, F는 가소제 저항성 시험 전의 동적 발색 동도이다.
실시예 2
A 용액의 준비에 사용한 화합물 1 대신에 화합물 2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감열 기록지를 제조하고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시험하였다.
실시예 3
A 용액의 준비에 사용한 화합물 6 대신에 화합물 7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감열 기록지를 제조하고,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시험하였다.
실시예 4
A 용액의 준비에 사용한 화합물 6 대신에 화합물 8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감열 기록지를 제조하고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시험하였다.
비교예 1
A 용액의 준비에 사용한 화합물 6 대신에 파라-벤질바이페닐(para-benzylbiphenyl)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감열 기록지를 제조하고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시험하였다.
비교예 2
A 용액의 준비에 사용한 화합물 1 대신에 비스페놀 A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감열 기록지를 제조하고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시험하였다.
배습성 및 가소제 저항성 시험 결과를 각각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배습성 시험 결과
동적 발색 시험 배습성 시험 후
24V, 1.0ms
텍스쳐 프린트 영역 텍스쳐 프린트 영역 잔존 비율 (%)
실시예 1 0.08 1.03 0.09 0.61 58
실시예 2 0.07 1.05 0.08 0.58 54
실시예 3 0.07 1.02 0.08 0.63 61
실시예 4 0.07 0.99 0.09 0.68 67
비교예 1 0.09 1.01 0.12 0.31 28
비교예 2 0.10 0.99 0.15 0.22 17
가소제 저항성 시험 결과
동적 발색 시험 가소제 저항성 시험 후
27V, 1.9ms
텍스쳐 프린트 영역 텍스쳐 프린트 영역 잔존 비율 (%)
실시예 1 0.08 1.35 0.10 0.58 41
실시예 2 0.07 1.38 0.09 0.63 44
실시예 3 0.07 1.31 0.10 0.53 38
실시예 4 0.07 1.28 0.09 0.48 36
비교예 1 0.09 1.33 0.13 0.39 26
비교에 2 0.10 1.30 0.14 0.20 12
실시예 5
화합물 1 대신에 2,4'-디하이드록시다이페닐 술폰을 11.5중량부로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이 A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A 용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이 감열 기록지를 제조하고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시험하였다.
실시예 6
화합물 6 대신에 화합물 7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에서와 같이 A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A 용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이 감열 기록지를 제조하고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시험하였다.
실시예 7
화합물 6 대신에 화합물 8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에서와 같이 A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A 용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이 감열 기록지를 제조하고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시험하였다.
비교예 3
화합물 6 대신에 파라-벤질바이페닐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에서와 같이 A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A 용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이 감열 기록지를 제조하고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시험하였다.
배습성 및 가소제 저항성 시험 결과를 각각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배습성 시험 결과
동적 발색 시험 배습성 시험 후
24V, 1.0ms
텍스쳐 프린트 영역 텍스쳐 프린트 영여 잔존 비율 (%)
실시예 5 0.07 0.93 0.10 0.58 59
실시예 6 0.08 0.90 0.09 0.55 60
실시예 7 0.08 0.83 0.10 0.53 61
비교예 3 0.07 0.62 0.09 0.42 65
가소제 저항성 시험 결과
동적 발색 시험 가소제 저항성 시험 후
27V, 1.9ms
텍스쳐 프린트 영역 텍스쳐 프린트 영여 잔존 비율 (%)
실시예 5 0.07 1.31 0.10 0.43 31
실시예 6 0.08 1.29 0.10 0.45 33
실시예 7 0.08 1.31 0.11 0.44 31
비교예 3 0.07 1.21 0.09 0.28 21
실시예 8
유기산 물질로서의 화합물 3을 11.5중량부, 감광제로서의 화합물 6을 1.5중량부, 그리고 5중량%의 PVA 수용액 46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샌드밀에서 분쇄하여 입자의 평균 지름이 0.8㎛인 분말의 분산액인 A 용액을 제조하였다. 여기에서 제조된 A 용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이 감열 기록지를 제조하고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시험하였다
실시예 9
화합물 3 대신에 화합물 3, 화합물 4 및 화합물 5를 75:20:5의 중량비로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8에서과 같이 A 용액을 제조하였다. 여기에서 제조된 A 용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이 감열 기록지를 제조하고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시험하였다.
실시예 10
화합물 6 대신에 화합물 7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에서와 같이 A 용액을 제조하였다. 여기에서 제조된 A 용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8과 같이 감열 기록지를 제조하고 실시예 에서와 같이 시험하였다.
실시예 11
화합물 6 대신에 화합물 8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에서와 같이 A 용액을 제조하였다. 여기에서 제조된 A 용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8과 같이 감열 기록지를 제조하고 실시예 1과 같이 시험하였다.
비교예 4
화합물 6 대신에 파라-벤질바이페닐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에서와 같이 A 용액을 제조하였다. 여기에서 제조된 A 용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8에서와 같이 감열 기록지를 제조하고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시험하였다.
배습성 및 가소제 저항성 시험 결과를 각가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배습성 시험 결과
동적 발색 시험 배습성 시험 후
24V, 1.0ms
텍스쳐 프린트 영역 텍스쳐 프린트 영역 잔존 비율 (%)
실시예 8 0.09 1.03 0.12 0.25 17
실시예 9 0.08 0.96 0.11 0.33 25
실시예 10 0.08 0.93 0.11 0.32 24
실시예 11 0.08 0.72 0.12 0.27 31
비교예 4 0.08 0.44 0.09 0.25 34
가소제 저항성 시험 결과
동적 발색 시험 가소제 저항성 시험 후
27V, 1.9ms
텍스쳐 프린트 영역 텍스쳐 프린트 영역 잔존 비율 (%)
실시예 8 0.10 1.27 0.10 0.96 76
실시예 9 0.10 1.20 0.10 1.18 97
실시예 10 0.11 1.17 0.11 1.17 99
실시예 11 0.10 1.12 0.10 1.11 97
비교예 4 0.10 0.98 0.10 0.94 96
실시예 12
(1) A 용액의 제조
7'-아닐리노-3'-디부틸아미노-6'-메틸플루오렌(7'-anilino-3'dibutylamino-6'-methylfluoran) 20g과 10%의 폴리비닐알콜(vinyl alcohol) 수용액 100g의 혼합물을 볼밀에서 완전히 분쇄하여 입자의 평균 지름이 0.8㎛인 분말의 현탁액인 A 용액을 준비하였다.
(2) B 용액의 제조
유기산 물질로서 4,4'-디하이드록시다이페닐 술폰 20g과 10%의 폴리비닐알콜 (vinyl alcohol) 수용액 100g의 혼합물을 볼밀에서 완전히 분쇄하여 입자의 평균 지름이 0.8㎛인 분말의 현탁액인 B 용액을 제조하였다.
(3) C 용액의 제조
감광제로서 화합물 6 20g과 10%의 폴리비닐알콜(vinyl alcohol) 수용액 100g의 혼합물을 볼밀에서 완전히 분쇄하여 입자의 평균 지름이 0.8㎛인 파우더의 현탁액인 C 용액을 제조하였다.
(4) D 용액의 제조
안정화제로서 1,1,3-트리스(2-메틸-4-하이드록시-5-사이클로헥실페닐)부탄 [1,1,3-tris(2-methyl-4-hydroxy-5-cyclohexylphenyl)butane] 10g과 10%의 폴리비닐알콜(vinyl alcohol) 수용액 100g의 혼합물을 볼밀에서 완전히 분쇄하여 입자의 평균 지름이 0.8㎛인 분말의 현탁액인 D 용액을 제조하였다.
(5) E 용액의 제조
아연 스테아르산염 10g, 디메틸룰우레아(dimethylolurea) 1g, 칼슘 카보네이트 1g 및 10%의 폴리비닐알콜(vinyl alcohol) 수용액 100g의 혼합물을 볼밀에서 완전히 분쇄하여 입자의 평균 지름이 0.8㎛인 분말의 현탁액인 E 용액을 제조하였다.
(6) F 용액의 제조
자외선 흡수제로서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2,4-dihydroxybenzophenone)을 10g 추가로 혼합는 것 이외에는 E 용액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F 용액을 제조한다.
(7) 감열 기록지의 제조
상기 A, B, C 및 D 용액을 1:2:2:1의 중량부로 혼합한 혼합액 200g에 칼슘 카보네이트 50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골고루 분산시킨다. 코팅 유액 결과물을 지지체 용지에 도포하고 건조 후의 코팅 중량이 6g/㎡가 되도록 건조하여 감열 기록지를 제조한다.
(8) 발색 시험
상기 제조된 감열 기록지에서 동적 발색 (24V, 1.0ms)을 시험하고, 프린팅 영역과 텍스쳐(texture)의 발색 농도를 측정하였다. 동적 발색 시험은 프린팅 테스터(Ohkura Electric Co., Ltd)를 사용하여 수행되었으며, 발색 농도는 Macbeth reflection densitometer(Model RD-914)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9) 배습성 시험
동적 발색을 위해 시험된 상기 감열 기록지들을 thermo-hygrostat(50℃, 상대습도 90%)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Macbeth reflection densitometer(Model RD-914)를 사용하여 프린트 영역과 텍스쳐의 발색 농도를 측정하였다.
(10) 가소제 저항성 시험
동적 발색을 위해 시험된 감열 기록지의 프린트된 표면 전체를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랩핑 필름으로 밀착하여 덮어씌웠다. 그 시험 견본을 24시간동안 40℃의 건조기에 방치한 후 프린트 영역 및 텍스쳐의 발색 농도를 Macbeth reflection densitometer(Model RD-914)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11) 열 저항성 시험
동적 발색을 위해 시험된 감열 기록지를 24시간동안 상온 건조기 (constant-temperature dryer)(80℃)에서 방치한 후 프린트 영역 및 텍스쳐의 그 발색 농도를 Macbeth reflection densitometer(Model RD-914)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12) 빛 저항성 시험
동적 발색을 위해 시험된 감열 기록지를 12시간동안 fadeometer에서 빛으로 조사한 후 프린트 영역 및 텍스쳐의 발색 농도를 Macbeth reflection densitometer (Model RD-914)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3
C 용액의 제조에 있어서 화합물 6 대신에 화합물 7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에서와 같이 감열 기록지를 제조하고 실시예 12에서와 같이 시험하였다.
실시예 14
C 용액의 제조에 있어서 화합물 6 대신에 화합물 8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에서와 같이 감열 기록지를 제조하고 실시예 12에서와 같이 시험하였다.
실시예 15
B 용액의 제조에 있어서 유기산 물질로서 4-이소프로폭시-4'-하이드록시다이페닐 술폰과 4,4'-디하이드록시다이페닐 술폰의 1:1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에서와 같이 감열 기록지를 제조하고 실시예 12에서와 같이 시험하였다.
실시예 16
코팅 유액의 제조에 있어서, E 용액 대신에 D 용액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실시예 12에서와 같이 감열 기록지를 제조하고 실시예 12에서와 같이 시험하였다.
실시예 17
실시예 12를 통하여 획득되어진 감열 기록지에 건조 후 코팅의 양이 3g/㎡가되도록 E 용액을 도포한 후 건조시켜 코팅층(overcoat layer)이 있는 감열 기록지를 제조하였다. 코팅층이 있는 용지를 실시예 12에서와 같이 시험하였다.
실시예 18
코팅 유액의 준비에 있어서 E 용액 대신에 D 용액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7에서와 같이 감열 기록지를 제조하고 코팅하여 실시예 17에서와 같이 시험하였다.
실시예 19
실시예 18에서와 같이 제조되고, E 용액 대신에 F 용액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8에서와 같이 코팅된 감열 기록지를 제조하고 실시예 18에서와 같이시험하였다.
실시예 20
B 용액의 준비에 있어서 유기산 물질로서 2,4'-디하이드록시다이페닐 술폰을 사용하는 것과 코팅 유액의 제조에 있어서 E 용액 대신에 D 용액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에서와 같이 감열 기록지를 제조하고 실시예 12에서와 같이 시험하였다.
실시예 21
B 용액의 준비에 있어서 유기산 물질로서 2,4'-디하이드록시다이페닐 술폰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에서와 같이 감열 기록지를 제조하고, 건조 후의 코팅 중량이 3g/㎡가 될 때까지 E 용액으로 코팅한 후 건조시켜 코팅층이 있는 감열 기록지를 제조하였다. 이 코팅층이 있는 이 감열지를 이용하여 실시예 12에서와같이 시험하였다.
실시예 22
코팅 유액의 준비에 있어서, E 용액 대신에 D 용액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에서와 같이 감열 기록지를 제조하고, 실시예 21에서와 같이 코팅하여, 실시예 21에서와 같이 시험하였다.
실시예 23
실시예 22에서와 같이 감열 기록지를 제조하고, E 용액 대신에 F 용액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22에서와 같이 코팅하여 실시예 22에서와 같이 시험하였다.
비교예 5
C 용액의 준비에 있어서, 화합물 6 대신에 파라-벤질바이페닐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에서와 같이 감열 기록지를 제조하고 실시예 12에서와 같이 시험하였다.
비교예 6
C 용액의 준비에 있어서, 화합물 6 대신에 아세토아세타닐라이드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에서와 같이 감열 기록지를 제조하고 실시예 12에서와 같이 시험하였다.
그 시험 결과를 정리하여 표 7에 나타내었다.
시험 결과
동적 발색시험 배습성시험 가소제 저항성시험 열 저항성시험 빛 저항성시험
텍스쳐/프린트영역 텍스쳐/프린트영역 텍스쳐/프린트영역 텍스쳐/프린트영역 텍스쳐/프린트영역
실시예12 0.08 1.01 0.09 0.62 0.10 0.77 0.12 1.08 0.13 0.98
실시예13 0.07 0.97 0.09 0.55 0.09 0.68 0.08 1.04 0.13 0.90
실시예14 0.07 0.91 0.08 0.56 0.09 0.60 0.08 1.00 0.15 0.88
실시예15 0.09 1.10 0.10 0.82 0.09 0.79 0.15 1.13 0.18 1.05
실시예16 0.08 1.02 0.08 0.71 0.09 0.78 0.15 1.03 0.14 0.98
실시예17 0.08 0.96 0.08 0.92 0.10 0.93 0.13 0.98 0.13 0.94
실시예18 0.07 0.99 0.09 0.95 0.09 0.96 0.18 1.02 0.12 0.97
실시예19 0.08 0.98 0.10 0.97 0.11 0.92 0.12 1.00 0.09 0.93
실시예20 0.08 1.09 0.09 0.83 0.09 0.85 0.13 1.02 0.12 1.04
실시예21 0.08 1.07 0.09 1.05 0.10 1.00 0.14 1.02 0.13 1.01
실시예22 0.09 1.05 0.09 1.03 0.10 1.02 0.13 1.03 0.13 1.01
실시예23 0.09 1.04 0.09 1.00 0.10 1.01 0.13 1.00 0.09 1.01
비교예5 0.07 0.42 0.08 0.22 0.09 0.26 0.12 0.48 0.10 0.38
비교예6 0.10 0.98 0.15 0.48 0.13 0.78 0.88 1.02 0.18 0.90
본 발명의 유기산 물질 및 감광제 화합물의 조합은 특성이 조화를 이루고, 발색 감광성, 프린팅 후의 텍스쳐의 백화도(whiteness), 장기 저장성 및 가소제와의 접촉 또는 습열의 노출에 있어서도 이미지의 저장 안정성이 매우 뛰어나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감열 기록 재료는 프린트된 사진, 문서 및 심볼과 같은 이미지의 저장에 있어서 훌륭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영수증, 티켓, 교통 카드, 제품 상표 및 바코드 라벨과 같은 기록 매체를 위해서도 유용하다. 가소제에 대한 뛰어난 저항성 때문에 음식물 포장위의 라벨에도 유용하다.

Claims (7)

  1. 상온에서 무색 또는 미색인 류코 염료, 가열시 류코 염료와 반응하여 발색시키는 유기산 물질 및 감광제를 함유하는 감열 발색층 및 그 지지체를 포함하는 감열 기록 재료에 있어서, 상기 감열 발색층이 그 유기산 물질로서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4-하이드록시다이페닐 술폰 유도체, 4,4'-디하이드록시다이페닐 술폰, 2,4'-디하이드록시다이페닐 술폰 및 하기 일반식 (2)로 표시되는 4-하이드록시다이페닐 술폰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두 종류 이상의 다이페닐 술폰 유도체 및 그 감광제로서 하기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4-치환된 바이페닐 유도체를 함유하는 감열 기록 재료.
    (1)
    (R1은 알킬 아랄킬 또는 아릴기)
    (2)
    (Y는 2가 유기기, n은 0-6의 정수값)
    (3)
    (R2는 알킬 또는 아릴기)
  2. 제 1항의 감열 기록 재료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1)의 4-하이드록시다이페닐 술폰 유도체에서 R1이 i-프로필 또는 n-프로필이고, 상기 일반식 (3)의 4-치환된 바이페닐 유도체에서 R2가 메틸, 에틸 또는 페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 기록 재료.
  3. 제 1항의 감열 기록 재료에 있어서, 상기 4-치환된 바이페닐 유도체가 4-아세틸바이페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 기록 재료.
  4. 제 1항의 감열 기록 재료에 있어서, 유기산 물질로서 4-이소프록시-4'-하이드록시다이페닐 술폰이 상기 4,4'-디하이드록시다이페닐 술폰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 기록 재료.
  5. 제 1항의 감열 기록 재료에 있어서, 상기 감열 발색층이 페놀 타입 또는 에폭시 타입의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 기록 재료.
  6. 제 1항의 감열 기록 재료에 있어서, 상기 감열 발색층에 코팅층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 기록 재료.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열 발색층 및/또는 코팅층에 자외선 흡수제가 결합된 경우의 감열 기록 재료.
KR1020017013667A 1999-04-28 2000-04-27 감열 기록 재료 KR200101124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122670 1999-04-28
JP12267099 1999-04-28
JPJP-P-1999-00163317 1999-06-10
JP16331799 1999-06-10
JP19176199 1999-07-06
JPJP-P-1999-00191761 1999-07-06
JP28967499 1999-10-12
JPJP-P-1999-00289674 1999-10-12
PCT/JP2000/002799 WO2000066364A1 (fr) 1999-04-28 2000-04-27 Materiau pour thermograv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462A true KR20010112462A (ko) 2001-12-20

Family

ID=27470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3667A KR20010112462A (ko) 1999-04-28 2000-04-27 감열 기록 재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199185A4 (ko)
JP (1) JP3586428B2 (ko)
KR (1) KR20010112462A (ko)
CN (1) CN1132742C (ko)
AU (1) AU4144500A (ko)
CA (1) CA2371443A1 (ko)
WO (1) WO20000663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0688B2 (en) 2000-05-31 2003-12-09 Ricoh Company Ltd. Thermosensitive recording medium
US20060009409A1 (en) 2002-02-01 2006-01-12 Woolf Tod M Double-stranded oligonucleotides
US7141360B2 (en) * 2004-06-09 2006-11-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ositions, systems, and methods for imaging
WO2006019377A1 (en) * 2004-07-15 2006-02-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ositions, systems and methods for imaging
WO2008126635A2 (ja) 2007-03-29 2008-10-23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感熱記録体
CN101687424B (zh) 2007-05-10 2013-08-07 日本制纸株式会社 热敏记录体
US8492308B2 (en) 2007-08-21 2013-07-23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Thermosensitive recording medium
JP5160324B2 (ja) * 2007-08-23 2013-03-13 日華化学株式会社 感熱記録材料
WO2009028118A1 (ja) 2007-08-29 2009-03-05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感熱記録体
CN102361761B (zh) 2009-03-24 2014-04-16 日本制纸株式会社 热敏记录体
WO2010140662A1 (ja) 2009-06-05 2010-12-09 日本製紙株式会社 感熱記録体
WO2011114780A1 (ja) 2010-03-15 2011-09-22 日本製紙株式会社 感熱記録体
CN104452464A (zh) * 2013-09-18 2015-03-25 金华盛纸业(苏州工业园区)有限公司 热敏纸及其制备方法
JP6893473B2 (ja) * 2015-11-20 2021-06-23 日本化薬株式会社 感熱記録材料及びジフェニルスルホン
CN107936633A (zh) * 2017-12-13 2018-04-20 广东侨盛防伪材料有限公司 一种温致变色防伪涂料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3084A (ja) * 1984-08-23 1986-03-15 Jujo Paper Co Ltd 感熱記録紙
JPH068073B2 (ja) * 1985-04-09 1994-02-02 三菱製紙株式会社 感熱記録材料
JPS61246088A (ja) * 1985-04-25 1986-11-01 Nippon Kayaku Co Ltd 感熱記録材料
JPS6211677A (ja) * 1985-07-09 1987-01-20 Fuji Photo Film Co Ltd 記録材料
GB2201253B (en) * 1987-01-23 1990-09-19 Fuji Photo Film Co Ltd Heat-sensitive recording materials
JPH0229382A (ja) * 1988-04-27 1990-01-31 Dainippon Ink & Chem Inc 感熱記録用シート
JP2836074B2 (ja) * 1988-09-13 1998-12-14 日本曹達株式会社 4−ヒドロキシ−4▲’▼−イソプロポキシジフェニルスルホン顕色用組成物、湿式粉砕法及び分散液
JPH04112080A (ja) * 1990-08-31 1992-04-14 Sanyo Chem Ind Ltd 感熱記録用増感剤および感熱記録用材料
JP3025358B2 (ja) * 1991-12-24 2000-03-27 三井化学株式会社 感熱記録材料
EP0618082B1 (en) * 1993-03-31 1998-01-21 NICCA CHEMICAL CO., Ltd. A heat-sensitive recording material
JPH06328859A (ja) * 1993-05-24 1994-11-29 New Oji Paper Co Ltd 感熱記録体
JP3544218B2 (ja) * 1993-11-30 2004-07-21 株式会社三光開発科学研究所 スルホニル系化合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感熱記録材料
JP3699221B2 (ja) * 1996-11-14 2005-09-28 新日鐵化学株式会社 感熱記録材料
JP3664840B2 (ja) * 1997-04-23 2005-06-29 日本曹達株式会社 発色性記録材料
JP3664842B2 (ja) * 1997-04-30 2005-06-29 日本曹達株式会社 感熱記録材料
JPH10330350A (ja) * 1997-05-28 1998-12-15 Nippon Soda Co Ltd 2−プロパノール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記録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99185A1 (en) 2002-04-24
AU4144500A (en) 2000-11-17
EP1199185A4 (en) 2004-10-06
CA2371443A1 (en) 2000-11-09
WO2000066364A1 (fr) 2000-11-09
CN1351544A (zh) 2002-05-29
JP3586428B2 (ja) 2004-11-10
CN1132742C (zh)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6209A (en) Heat-sensitive recording materials
KR20010112462A (ko) 감열 기록 재료
US4585483A (en) Recording materials
US4289535A (en) Heat sensitive coating
US4835133A (en) Recording material
JP2007196631A (ja) 感熱記録材料
JPH0246394B2 (ko)
JP3699221B2 (ja) 感熱記録材料
JPS6410358B2 (ko)
EP0403833A2 (en) Recording material
JP3761283B2 (ja) 感熱記録材料
KR930008768B1 (ko) 기록재료
JPH0497887A (ja) 感熱記録体
JP3453908B2 (ja) 多色感熱記録材料
JP2003034082A (ja) 感熱記録材料
JP2003063149A (ja) 感熱記録材料
JPH0773948B2 (ja) 感熱記録材料
JPH01180382A (ja) 感熱記録材料
JPH0615957A (ja) 感熱記録材料
JPS59142186A (ja) 感熱記録材料
JP2005041151A (ja) 感熱記録材料
JPH01272487A (ja) 多色感熱記録体
JPH03118182A (ja) 記録材料
JPH0436877B2 (ko)
JPH04147889A (ja) 感熱記録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