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9356A - 키마제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의 예방또는 치료제 - Google Patents

키마제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의 예방또는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9356A
KR20010109356A KR1020017013473A KR20017013473A KR20010109356A KR 20010109356 A KR20010109356 A KR 20010109356A KR 1020017013473 A KR1020017013473 A KR 1020017013473A KR 20017013473 A KR20017013473 A KR 20017013473A KR 20010109356 A KR20010109356 A KR 20010109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ubstituted
carbon atoms
carboxylic acid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3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카미하루카즈
도미모리요시아키
후쿠다요시아키
와타나베나오히로
Original Assignee
도리이 신이치로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리이 신이치로,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리이 신이치로
Publication of KR20010109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35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7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39/72Quinazolines; Hydrogenated quinazolines
    • C07D239/95Quinazolines; Hydrogenated quinazolines with hetero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s 2 and 4
    • C07D239/96Two oxy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7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 systems, e.g. quinazoline, perimi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형성 염증 반응을 나타내는 피부염 또는 반복하여 항원에 노출됨으로써 야기되는 피부염에 대하여, 피부염의 진전을 억제하고 환자의 일상생활의 질을 높이기 위한 부작용이 없고 안전한 예방 또는 치료제로써,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퀴나졸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키마제 억제제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이형성 염증 반응을 나타내는 피부염 또는 반복하여 항원에 노출됨으로써 야기되는 피부염의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화학식 II

Description

키마제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제{Preventive or therapeutic drugs for dermatitises containing chymase inhibitors as the active ingredient}
염증 반응은 세균, 바이러스 등의 병원체나 외상, 이물질 등에 의해 일어나며 과립구, 단구(單球), 림프구 등의 면역 담당세포가 병원체나 괴사조직, 이물질의 제거를 수행하는 면역반응이다. 피부염은 피부의 급성 또는 만성의 염증 병의 용태이며 특히 최근,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가가 현저하며 큰 문제로 되고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증오(增惡)와 관해(寬解)를 반복하는 소양(搔痒)이 있는 습진을 주된 병변(病變)으로 하는 만성질환이며 대부분의 경우, 환자 또는 그 가족에게 심마진이나 알레르기성 비염 및 기관지 천식 등의 알레르기성 질환의 병력[아토피 소인(素因) 또는 가족력]이 발견된다(참조: J. Allergy Clin. Immunol. 104, S123, 1999). 아토피성 피부염의 병 상태는 다양하며 그 원인은 지금 또한 불명확하지만 주로 진드기, 털, 깃털, 세균 및 진균 등의 천연물이나 알이나 우유 등의 음식물 또는 화학섬유나 세제 등의 합성품 등의 각종 물질을 항원으로 하여 발병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또한 아토피성 피부염에서는 건조 피부(乾燥肌)에 기인하는 피부의 차단기능 장애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도 지적되고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발병 메커니즘은 아직 명백하지 않다. 종래부터 이러한 병의 용태가 일련의 항원에 대한 과민증이나 환자가 아토피 소인을 갖거나 대부분의 경우에 혈청 IgE값의 증가가 확인되는 점 등으로부터 본 질환에서는 IgE나 비만세포가 관여하는 I형 알레르기 반응(즉시형 알레르기 반응)이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I형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하는 항알레르기제가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하여 효과가 없거나 만족할 만한 치료효과를 보이지 않는 점 등으로부터 현재에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병의 용태에서 I형 알레르기 반응의 기여는 부분적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한편, 아토피성 피부염의 환자에게 항원을 노출시키는 경우에는 이형성 피부의 염증반응이 관찰되는 점이 보고되었다(참조: J. Allergy Clin. Immunol. 101, 222, 1998). 이형성 피부의 염증반응은 예를 들면, 아스칼리스 추출액 등의 항원으로 감작(感作)한 동물에 동일한 항원을 피(皮)내 투여하는 경우에 관찰되지만(참조: J. Immunol. 131, 1096, 1983) 1상째의 피부 반응은 즉시 상 반응이라고 호칭되며 항원에 노출된 약 1시간 후에 피크를 나타내며 또한 2상째의 피부 반응은 지(遲)발상 반응이라고 호칭되며 8 내지 24시간 후에 최대반응을 나타낸다고 한다(참조: Biol. Pharm. Bull. 18, 239, 1995). 1상째의 반응은 히스타민 수용체에 대한길항제에 의해 억제되는 점 등으로부터 IgE와 비만세포에 의해 유발되는 반응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지발상(遲發相) 반응의 메키니즘은 반드시 명백하지 않지만 피부에서 현저한 호산구(好酸球) 침윤이 관찰되는 점이 큰 특징으로 되어 있다(참조: Int. Arch. Allergy Immunol. 113, 196, 1997). 또한 피부에서의 호산구 침윤은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특징적인 피부 조직상이라고 말하고 있다(참조: J. Am. Acad. Dermatol. 24, 1101, 1991). 또한,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중증도가 호산구 유래의 단백질인 ECP(eosinophil cationic protein)의 혈중 농도나 말초혈의 호산구수와 상관되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참조: Medicina 34, 220, 1997). 또한 최근에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임상 증상이 IV형 알레르기 반응으로 분류되는 접촉 피부염의 증상에 매우 유사한 점이 지적되고 있으며(참조: Medicina 34, 220, 1997) 이러한 질환의 발생 메커니즘에 IV형 알레르기 반응이 관여하고 있을 가능성도 시사하고 있다.
DNFB(디니트로플루오로벤젠) 등의 합텐(hapten)으로 한번 감작된 마우스의 피부에 동일한 합텐을 도포함으로써 접촉 과민증이라고 호칭되는 전형적인 IV형 알레르기 반응이 유발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지만 이러한 합텐을 피부에 반복하여 도포하는 경우에는 IV형 알레르기 반응에 추가하여 I형 알레르기 반응이 유도된다는 것이 최근 보고되었다(참조: J. Invest Dermatol 105, 749, 1995). 예를 들면, 합텐의 반복 도포에 의해 혈중의 IgE 수준이 증가하며 또한 반응의 경시 변화가 I형 알레르기 반응과 유사한 패턴으로 전환한다. 또한 이러한 동물 모델에서는 합텐에 대한 반응 뿐만 아니라 합텐을 도포하기 전의 피부 비후(肥 厚)도 서서히 증가하며 피부염이 만성화되는 현상이 관찰된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합텐을 반복하여 도포함으로써 야기되는 피부염이 아토피성 피부염의 동물 모델로서 주목되고 있다(참조: 아니텍스 10, 23, 1998).
최근, NC/Nga라고 호칭되는 아토피성 피부염을 자연 발병시키는 마우스 모델이 보고되었다(참조: Int Immunol 9, 461, 1997). NC/Nga 마우스는 공기중의 특정 병원균 제어(Specific-pathogen­free, SPF)가 되어있지 않은 환경하에 사육함으로써 7-8주 나이 이후, 현저한 긁기 행동이나 홍반이 보이기 시작하며 이후에 주 나이 증가에 따라 출혈이나 피부의 물크러짐 및 궤양 형성이 관찰되며 다시 피부의 건조나 비후라는 사람의 아토피성 피부염의 임상 소견에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게 된다. BALB/c 마우스와 같은 다른 계통의 마우스에서는 NC/Nga 마우스와 동거시켜도 동일한 피부염은 발병하지 않는 점으로부터 본 피부염은 NC/Nga 마우스에 특이적이라고 생각된다(참조: 사이신이가쿠, 53, 2848, 1998). 또한, 본 마우스를 SPF 환경하에 사육하는 경우에는 피부의 이상은 전혀 확인되지 않으며 본 마우스의 피부염 발병에는 어떤 환경인자가 관여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SPF 환경하에 사육한 NC/Nga 마우스에 대하여 합텐의 반복 도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감작의 초기에는 접촉 피부염이라고 호칭되는 지연형 과민증 반응이 야기될 뿐이지만 감작회수가 증가하는 데에 따라서 아토피성 피부염 유사의 병의 용태가 발견된다(참조: CRJ Letters 11, 1, 1998). 따라서 본 마우스에서 피부염 자연발병의 원인 항원은 아직 분명하지 않지만 자연 환경하의 어떤 항원에 반복 노출되는 것이 중요한 요인인 것은 명백하며 공기중에 존재하는 알레르기 유발 항원(allergen)에 반복하여 노출되는 것에 의해 유기되는 자연발병 아토피성 피부염 모델로서 매우 유용하다.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치료제는 스테로이드 외용제이다(참조: J. Allergy Clin. Immunol. 104, S123, 1999). 그러나 이러한 스테로이드 외용제는 도포하는 부위나 그 시기에 따라 사용 약제를 엄밀하게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며 사용법을 오인함으로써 효과가 전혀 보이지 않거나 반대로 악화되는 예도 보고되어 있다. 또한 스테로이드 외용제를 장기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피부 위축이나 술 중독자형 피부염 등의 부작용이 일어나는 것이 공지되어 있으며 또한, 본 제제의 사용을 도중에 중지하는 경우에는 피부 증상이 현저하게 악화하는 리바운드라고 호칭되는 현상이 보이는 경우도 있다.
스테로이드 외용제 이외의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제로서는 현재, 히스타민 길항제나 항알레르기제가 사용되고 있다. 히스타민 길항제는 소양감(搔痒感)을 제거한다는 의미에서는 효과적이지만 당연한 일이지만 본 질환의 근치(根治)에는 연결되지 않는다. 또한, 트라니라스트, 케토티펜, 옥사트미드, 염산 아젤라스틴 등의 항알레르기제도 아토피성 피부염의 병의 용태에 대하여는 효과가 없거나 효과가 있어도 거의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점은 이들 약제가 I형 알레르기 반응에 대하여는 억제작용을 나타내지만 호산구의 기능이나 IV형 알레르기 반응에 대하여는 거의 효과를 나타내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참조: Jap. J. Pharmacol. 63, 73, 1993, Jap. J. Pharmacol. 51, 93, 1989). 또한 최근에 면역억제제인 타클로림스의 도포제가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제로서 개발되었지만(참조: J. Allergy Clin.Immunol. 104, S126, 1999) 본 제제의 사용에 의해 면역을 억제하는 것에 따른 여러가지 부작용은 피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이 기존 약제는 모두 약효와 부작용이라는 점에서 충분하게 만족할 수 있는 것으로는 말하기 어려우며 효능 및 안전성의 면에서 우수한 약제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한편, 키마제는 주로 비만세포내 과립성분으로서 피부, 심장, 혈관벽, 장관 등의 조직에 광범위하게 존재하고 있는 세린프로테아제의 하나이다(참조: Mast Cell Proteases in Immunology and Biology; Caughey, G.H., Ed; Marcel Dekker, Inc.: New York, 1995). 옛날부터 키마제가 래트 복강 비만세포에 작용하여 탈과립을 야기하거나(참조: J. Immunol. 136, 3812, 1986) 키마제 억제제가 IgE를 통한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억제한다는(참조: Biochem, Int. 10, 863, 1985) 등의 보고가 있으며 비만세포의 기능에서 키마제의 관여가 지적되고 있다. 또한 최근, 사람 키마제를 마우스의 복강내나 몰모트의 피내에 투여함으로써 호산구 등의 백혈구의 침윤이 유발되는 것이나(참조: Br. J. Pharmacol. 125, 1491, 1998) 사람 키마제가 IL­1β(Interleukin­1β)의 전구체에 작용하며 활성형의 IL­1β로 변환시키거나(참조: J. Exp. Med. 174, 821, 1991) 사람 키마제가 간세포 인자(Stem Cell Factor(SCF))라고 호칭되는 사이토카인의 막 결합형 분자를 부분 분해하고 막 비결합형 분자로 변환하는 작용을 갖는( 참조: Proc. Natl. Acad. Sci. U.S.A. 94, 9017, 1997)것 등이 연달아서 보고되고 있으며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알레르기성 질환에서 키마제가 어떤 역할을 가질 가능성이 시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에 의해 생체내에서 키마제의 역할이 해명되었다고는 말하기 어려우며 각종 질환에서 키마제의 역할이나 키마제 억제제의 의약품으로서의 가능성을명백하게 할 목적으로 현재, 생체내에서 키마제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의 탐색이 정력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것이 실상이다.
키마제 억제제로서는 예를 들면, 문헌(Protease Inhibitors; Barrett et al., Eds; Elssevier Science B. V.: Amsterdam, 1996)에 기재되는 저분자 키마제 억제제, 펩타이드성 억제제로서 보고되는 α-케토산 유도체(WO 93­ 25574호 공보, Proc. Natl. Acad. Sci. USA, 1995, 92, 6738), α,α-디플루오로-β-케토산 유도체[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9­124691호], 트리펩타이드 억제제(참조: WO 93­03625호 공보), 인산 유도체(참조: 0leksyszyn et al., Biochemistry 30, 485, 1991), 펩타이드성 억제제로서 트리플루오로메틸케톤 유도체[참조: WO 96­33974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0-53579호], 아세트아미드 유도체[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0-7661호, 제(평)10-53579호, 제(평)11-246437호, WO 99­41277호 공보, WO 98­18794호 공보, WO 96­39373호 공보], 비펩타이드성 억제제로서 트리아진 유도체[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8­208654호, 제(평)10-245384호], 페놀 에스테르 유도체[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0-87567호], 세펨 유도체[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0-87493호], 이소옥사졸 유도체[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1­1479호], 이미다졸리딘 유도체(WO 96­04248호 공보), 히단토인 유도체[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9­31061호], 퀴나졸린 유도체(WO 97­11941호 공보) 등이 보고되어 있지만 아직 키마제의 활성 억제를 치료전략으로서 만족하는 약제나 치료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키마제 억제제의 의약 용도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키마제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2의 아스칼리스 유발 마우스 이형성 피부염 모델에서 피부 반응의 경시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2A, 2B 및 2C는 실시예 3의 아스칼리스 유발 이형성 피부염 모델에서 키마제 억제제(도 2A) 및 대조약인 프레드니졸론(도 2B) 및 디펜히드라민(도 2C)의 효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3A 및 3B는 실시예 4의 사람 키마제(도 3A) 또는 히스타민(도 3B)를 마우스의 피(皮)내에 투여할 때의 피부 반응의 경시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4A 및 4B는 실시예 4의 사람 키마제를 마우스의 피내에 투여할 때의 피부 반응에서 키마제의 용량 의존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참조: 도 4A는 1시간 후, 도 4B는 16시간 후의 반응).
도 5는 실시예 5의 사람 키마제의 피부염 야기(惹起)작용에 대한 열처리의 영향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6A 내지 6E는 실시예 6의 사람 키마제를 마우스의 피내에 투여할 때에 야기되는 피부염을 조직학적으로 해석한 사진이며 도 6A는 정상 마우스 귓바퀴, 도 6B는 아스칼리스 추출액에 의해 야기되는 피부염(1시간 후), 도 6C는 아스칼리스 추출액에 의해 야기되는 피부염(24시간 후), 도 6D는 키마제 투여 1시간 후, 도 6E는 키마제 투여 24시간 후의 사진이다.
도 7A 및 7B는 실시예 7의 비만세포 결손 마우스에서 사람 키마제를 피내투여할 때에 피부 반응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참조: 도 7A는 1시간 후, 도 7B는 16시간 후의 반응).
도 8A는 실시예 8의 사람 다핵 백혈구(PMN)의 시험관내에서 유주능(遊走能)에 대한 사람 키마제의 효과의 농도 의존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8B는 사람 키마제의 사람 PMN 유주 촉진작용에 대한 키마제 억제제의 효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시예 9의 합텐 반복 도포 마우스 피부염 모델에서 귓바퀴 비후 증가의 경시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실시예 9의 합텐 반복 도포 마우스 피부염 모델에서 귓바퀴의 키마제 모양 활성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도이다.
도 11A 내지 11D는 실시예 10의 합텐 반복 도포 마우스 피부염 모델에서 키마제 억제제의 효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도 11A는 대조약인 프레드니졸론, 도 11B 내지 도 11D는 각각 화합물35, 화합물34, 화합물18의 효과를 도시한다).
도 12는 실시예 11의 합텐 반복 도포 마우스 피부염 모델에서 피부 호산구 증가에 대한 키마제 억제제의 효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실시예 12의 합텐 반복 도포 마우스 피부염 모델에서 피부 비만세포증가에 대한 키마제 억제제의 효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4A, 14B 및 14C는 실시예 12의 합텐 반복 도포 마우스 피부염 모델에서 피부 비만세포증가에 대한 키마제 억제제의 효과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사진이다.
도 15는 실시예 13의 사람 키마제를 마우스의 피내에 빈번하게 투여할 때에 피부의 두께의 경시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실시예 14의 사람 키마제를 마우스의 피내에 빈번하게 투여 할 때에 피부 호산구수의 경시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실시예 15의 사람 키마제를 마우스의 피내에 빈번하게 투여할 때에 피부 히스타민 함량의 경시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8A 및 18B는 실시예 16의 사람 키마제를 마우스의 피내에 빈번하게 투여 할 때에 SCF의 발현을 조직 면역 염색법에 의해 해석한 대표적인 사진을 나타낸다(도 18A는 정상 피부, 도 18B는 키마제를 투여한 피부를 도시한다).
도 19는 실시예 17의 사람 키마제의 사람 케라티노사이트에서 SCF 발현에 대한 효과를 시험관내에서 검토한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20A 및 20B는 실시예 18의 자연발병 피부염(NC/Nga) 마우스의 피부 외관 증상에 대한 키마제 억제제의 효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도 20A는 시험 개시할 때, 도 20B는 투여 개시 35일 후를 도시한다).
도 21은 실시예 18의 자연발병 피부염(NC/Nga) 마우스의 조직 소견에 대한 키마제 억제제의 효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22A 및 22B는 실시예 18의 자연발병 피부염(NC/Nga) 마우스의 피부 비만세포수에 대한 키마제 억제제의 효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고 도 22A는 귓바퀴 피부의 비만세포, 도 22B는 등 피부의 비만세포의 결과를 도시한다.
도 23A 및 23B는 실시예 18의 자연발병 피부염(NC/Nga) 마우스의 피부 호산구수에 대한 키마제 억제제의 효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고 도 23A는 귓바퀴 피부의 호산구, 도 23B는 등 피부의 호산구의 결과를 도시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키마제 억제제는 당업자이면 실시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키마제의 활성에 대하여 억제를 나타낼 수 있는 물질로서 선택할 수 있다. 선택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실시예 1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득되는 화합물에는 지금까지 키마제 억제제로서 보고되는 공지된 화합물, 예를 들면, 문헌(Protease Inhibitors; Barrett et al., Eds; Elssevier Science B. V.: Amsterdam, 1996)에 기재되는 저분자 키마제 억제제, 펩타이드성 억제제로서 보고되는 α-케토산 유도체(WO 93­ 25574호 공보, Proc. Natl. Acad. Sci. USA, 1995, 92, 6738), α,α-디플루오로-β-케토산 유도체[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9­124691호], 트리펩타이드 억제제(참조: WO 93­03625호 공보), 인산 유도체(참조: 0leksyszyn et al., Biochemistry 30, 485, 1991), 펩타이드성 억제제로서 트리플루오로메틸케톤 유도체[참조: WO 96­33974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0-53579호], 아세트아미드 유도체[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0-7661호, 제(평)10-53579호, 제(평)11-246437호, WO 99­41277호 공보, WO 98­18794호 공보, WO 96­39373호 공보], 비펩타이드성 억제제로서 트리아진 유도체[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8­208654호, 제(평)10-245384호], 페놀 에스테르 유도체[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0-87567호], 세펨 유도체[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0-87493호], 이소옥사졸 유도체[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1­1479호], 이미다졸리딘 유도체(WO 96­04248호 공보), 히단토인 유도체[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9­31061호], 퀴나졸린 유도체(WO97­11941호 공보) 등이 포함되지만 바람직한 키마제 억제제의 대표적인 예로서 다음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들 수 있다.
상기식에서,
환 A는 아릴환이며,
R1은 수산기, 아미노기 또는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7 내지 10의 저급 아르알킬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지방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방향환 카복실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 방향환 카복실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칸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방향환 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 방향환 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또는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2 내지 4의 저급 알킬렌기이며,
R2및 R3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수소,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할로겐 원자, 수산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콕시기, 아미노기,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아미노기,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7 내지 10의 저급 아르알킬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지방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방향환 카복실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 방향환 카복실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칸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방향환 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 방향환 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또는 카복실산기이거나,
환 A가 벤젠환인 경우에는 R1과 R2는 이의 치환하는 벤젠환과 일체가 되어 카복실산으로 치환될 수 있는 축합 헤테로환을 형성할 수 있으며 당해 축합 헤테로환 위의 탄소원자는 카보닐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에 R3은 상기와 동일하며,
X는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수산기, 아미노기 또는 니트로기이다.
화학식 I에서 환 A의 아릴환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벤젠환, 나프탈렌환이 예시된다.
R1의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아미노기 및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7 내지 12의 저급 아르알킬아미노기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메틸아미노기, 에틸아미노기, 프로필아미노기, 부틸아미노기, 카복시메틸아미노기, 카복시에틸아미노기, 카복시프로필아미노기, 카복시부틸아미노기, 벤질아미노기, 펜에틸아미노기, 페닐프로필아미노기, 페닐부틸아미노기, 카복시벤질아미노기, 카복시펜에틸아미노기, 카복시페닐프로필아미노기, 카복시페닐부틸아미노기 등이 예시된다.
R1의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지방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방향환 카복실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및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 방향환 카복실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포르밀아미노기, 아세틸아미노기, 프로피오닐아미노기, 부틸릴아미노기, 벤조일아미노기, 나프토일아미노기, 피리딘카보닐아미노기, 피롤카보닐아미노기, 카복시아세틸아미노기, 카복시프로피오닐아미노기, 카복시부틸릴아미노기, 카복시벤조일아미노기, 카복시나프토일아미노기, 카복시피리딘카보닐아미노기, 카복시피롤카보닐아미노기 등이 예시된다.
R1의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칸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방향환 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및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 방향환 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메탄설포닐아미노기, 에탄설포닐아미노기, 프로판설포닐아미노기, 부탄설포닐아미노기, 벤젠설포닐아미노기, 나프탈렌설포닐아미노기, 피리딘설포닐아미노기, 피롤설포닐아미노기, 카복시메탄설포닐아미노기, 카복시에탄설포닐아미노기, 카복시프로판설포닐아미노기, 카복시부탄설포닐아미노기, 카복시벤젠설포닐아미노기, 카복시나프탈렌설포닐아미노기, 카복시피리딘설포닐아미노기, 카복시피롤설포닐아미노기 등이 예시된다.
R1의 카복실산기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아세트산기, 프로피온산기, 부티르산기, 발레르산기 등이 예시된다. R1의 카복실산기로 치환된 탄소수 2 내지 4의 저급 알킬렌기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아크릴산기, 크로톤산기 등이 예시된다.
R2또는 R3의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및 n-부틸기 등의 직쇄 알킬기 및 이소프로필기, sec-부틸기 및 t-부틸기 등의 측쇄 알킬기가 예시되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의 치환기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카복실산기, 불소, 염소 등의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콕시기, 아미노기, 메틸아미노기, 디메틸아미노기, 카복시메틸아미노기, 카복시에틸아미노기 등이 예시된다. R2또는 R3의 할로겐 원자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가 예시된다.
R2또는 R3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콕시기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필옥시기 및 n-부톡시기 등의 직쇄 알킬옥시기 및 이소프로필옥시기, sec-부톡시기, t-부톡시기 등의 측쇄 알킬옥시기가 예시된다.
R2또는 R3의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아미노기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메틸아미노기, 에틸아미노기, 프로필아미노기, 부틸아미노기 등이 예시되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아미노기의 치환기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카복실산기, 불소, 염소 등의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콕시기 등이 예시된다.
R2또는 R3의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7 내지 12의 저급 아르알킬아미노기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벤질아미노기, 펜에틸아미노기, 페닐프로필아미노기, 페닐부틸아미노기 등이 예시되며 아르알킬아미노기의 치환기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카복실산기, 불소, 염소 등의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콕시기 등이 예시된다.
R2또는 R3의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지방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방향환 카복실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및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 방향환 카복실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포르밀아미노기, 아세틸아미노기, 프로피오닐아미노기, 부틸릴아미노기, 벤조일아미노기, 나프토일아미노기, 피리딘카보닐아미노기, 피롤카보닐아미노기, 카복시아세틸아미노기, 카복시프로피오닐아미노기, 카복시부틸릴아미노기, 카복시벤조일아미노기, 카복시나프토일아미노기, 카복시피리딘카보닐아미노기, 카복시피롤카보닐아미노기 등이 예시된다.
R2또는 R3의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칸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방향환 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및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 방향환 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메탄설포닐아미노기, 에탄설포닐아미노기, 프로판설포닐아미노기, 벤젠설포닐아미노기, 나프탈렌설포닐아미노기, 피리딘설포닐아미노기, 피롤설포닐아미노기, 카복시메탄설포닐아미노기, 카복시에탄설포닐아미노기, 카복시프로판설포닐아미노기, 카복시벤젠설포닐아미노기, 카복시나프탈렌설포닐아미노기, 카복시피리딘설포닐아미노기, 카복시피롤설포닐아미노기 등이 예시된다.
환 A가 벤젠환의 경우에 R1과 R2가 이의 치환하는 벤젠환과 일체가 되어 형성하는 카복실산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환 위의 탄소원자가 카보닐기를 형성할 수 있는 축합 헤테로환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환 및 벤조옥사진환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 벤조옥사진, 퀴녹살린, 벤조디옥산, 카복시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카복시벤조옥사진, 카복시퀴녹살린, 카복시벤조디옥산 등이 예시된다.
X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및 n-부틸기 등의 직쇄 알킬기 및 이소프로필기, sec-부틸기 및 t-부틸기 등의 측쇄 알킬기가 예시된다. X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콕시기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필옥시기 및 n-부톡시기 등의 직쇄 알킬옥시기 및 이소프로필옥시기, sec-부톡시기, t-부톡시기 등의 측쇄 알킬옥시기가 예시된다. X의 할로겐 원자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가예시된다.
또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예로서는 염산염, 메탄설폰산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및 질산염 등의 산부가염, 나트륨염 및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이 예시된다.
바람직한 키마제 억제제의 다른 대표적인 예는 화학식 II의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들 수 있다.
상기식에서,
환 B는 벤젠환, 피리딘환, 피롤환 또는 피라졸환이며,
m은 0, 1 또는 2이며,
Y는 수산기, 니트로기, 할로겐 원자,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2의 아르알킬옥시기이거나 Y는 치환하는 벤젠환과 일체가 되어 나프탈렌환 또는 퀴놀린환을 형성하는 기이며,
R5및 R6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피라졸릴기, 테트라졸릴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에스테르화될 수 있는 카복실기 또는 할로겐 원자, 모르폴리노기, 페닐피페라지닐기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에스테르화될 수 있는 카복실기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콕시기이거나 환 B가 벤젠환의 경우, R5및 R6은 치환하는 벤젠환과 일체가 되어 나프탈렌환 또는 퀴놀린환을 형성하는 기이며,
Z는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5의 알케닐기, 치환될 수 있는 아르알킬기, 치환될 수 있는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릭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에스테르화될 수 있는 카복시메틸기, 1급 또는 2급 또는 환상 아민으로 아미드화된 카보닐메틸기, 치환될 수 있는 아릴카보닐메틸기 또는 치환될 수 있는 아르알킬옥시메틸기이다.
화학식 II에서 Y의 할로겐 원자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가 예시된다. Y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의 저급 알킬기의 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및 n-부틸기 등의 직쇄 알킬기 및 이소프로필기, sec-부틸기 및 t-부틸기 등의 측쇄 알킬기가 예시되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의 할로겐 원자의 예로서는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가 예시된다. Y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콕시기의 저급 알콕시기의 예로서는 메톡시기,에톡시기, n-프로필옥시기 및 n-부톡시기 등의 직쇄 알킬옥시기 및 이소프로필옥시기, sec-부톡시기 및 t-부톡시기 등의 측쇄 알킬옥시기가 예시되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콕시기의 할로겐 원자의 예로서는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가 예시된다. X의 탄소수 7 내지 12의 아르알킬옥시기의 예로서는 벤질옥시기, 펜에틸옥시기, 페닐프로필옥시기, 나프틸옥시기 등이 예시되며 바람직하게는 벤질옥시기가 예시된다.
R5또는 R6의 할로겐 원자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가 예시된다. R5또는 R6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의 저급 알킬기의 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및 n-부틸기 등의 직쇄 알킬기 및 이소프로필기, sec-부틸기 및 t-부틸기 등의 측쇄 알킬기가 예시되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의 할로겐 원자의 예로서는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가 예시된다. R5또는 R6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에스테르화될 수 있는 카복실기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및 n-부틸기 등의 직쇄 알킬기 및 이소프로필기, sec-부틸기 및 t-부틸기 등의 측쇄 알킬기가 예시된다. R2또는 R2의 할로겐 원자, 모르폴리노기, 페닐피페라지닐기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에스테르화될 수 있는 카복실기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저급 알콕시기의 알콕시기의 예로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필옥시기 및 n-부톡시기 등의 직쇄 알킬옥시기 및 이소프로필옥시기, sec-부톡시기 및 t-부톡시기 등의 측쇄 알킬옥시기가 예시되며 치환기로 되는 할로겐 원자의 예로서는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가 예시되며 치환기로 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에스테르화될 수 있는 카복실기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및 n-부틸기 등의 직쇄 알킬기 및 이소프로필기, sec-부틸기 및 t-부틸기 등의 측쇄 알킬기가 예시된다.
Z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의 저급 알킬기의 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및 n-부틸기 등의 직쇄 알킬기 및 이소프로필기, sec-부틸기 및 t-부틸기 등의 측쇄 알킬기가 예시되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의 할로겐 원자의 예로서는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가 예시된다. Z의 탄소수 2 내지 5의 알케닐기의 예로서는 알릴기, 프로페닐기, 이소프로페닐기, 부테닐기 등이 예시된다.
Z의 치환될 수 있는 아르알킬기의 아르알킬기의 예로서는 탄소수 7 내지 12의 아르알킬기, 바람직하게는 벤질기, 펜에틸기, 페닐프로필기, 나프틸에틸기가 예시된다. 치환될 수 있는 아르알킬기의 바람직한 치환기의 예로서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에스테르화될 수 있는 카복실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1급 아민으로 아미드화되는 카보닐기, 카복실산 또는 아미노산으로 아미드화될 수 있는 아미노기 및 저급 알콕시카보닐기로 치환될 수 있는 구아니디노기가 예시된다.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에스테르화될 수 있는 카복실기의 저급 알킬기의 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및 n-부틸기 등의 직쇄 알킬기 및 이소프로필기, sec-부틸기 및 t-부틸기 등의 측쇄 알킬기가 예시된다. 1급 아민으로 아미드화되는 카보닐기의 1급 아민의 예로서는 바람직하게는 메틸아민, 에틸아민, 이소프로필아민, 카복실메틸아민 등의 쇄상 또는 카복실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아민, 아닐린, 나프틸아민 등의 단환 또는 다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아민, 아미노피리딘, 아미노피롤 등의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릭기를 갖는 아민이 예시된다. 카복실산 또는 아미노산으로 아미드화될 수 있는 아미노기의 카복실산의 예로서는 피발산, 석신산 등의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족 모노카복실산 또는 지방족 디카복실산이 예시되며 아미노산의 예로서는 L-아스파라긴산, α-O-t-부틸-N-t-부톡시카보닐-L-아스파라긴산 등의 카복실기가 에스테르화될 수 있는 아미노기가 아미드화될 수 있는 아미노산이 예시된다. 저급 알콕시카보닐기로 치환될 수 있는 구아니디노기의 예로서는 구아니디노기, 2,3-비스-t-부톡시카보닐구아니디노기 등의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5의 저급 알콕시카보닐기로 치환될 수 있는 구아니디노기가 예시된다.
Z의 치환될 수 있는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릭 알킬기의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릭 알킬기의 예로서는 2-티에닐메틸기, 2-티에닐에틸기 등의 티에닐알킬기, 2-푸르푸릴메틸기, 2-푸르푸릴에틸기 등의 푸르푸릴알킬기, 2-피리딜메틸기, 3-피리딜메틸기, 4-피리딜메틸기, 4-피리딜에틸기 등의 피리딜알킬기, 5-피리미디닐메틸기 등의 피리미디닐알킬기, 2-피라지닐메틸기 등의 피라지닐알킬기, 3-피리다지닐메틸기 등의 피리다지닐알킬기, 5-테트라졸릴메틸기 등의 테트라졸릴알킬기, 4-이소티아졸릴메틸기, 5-이소티아졸릴메틸기 등의 이소티아졸릴알킬기, 5-티아졸릴메틸기 등의 티아졸릴알킬기, 5-옥사졸릴메틸기 등의 옥사졸릴알킬기 및 4-이소옥사졸릴메틸기, 5-이소옥사졸릴메틸기 등의 이소옥사졸릴알킬기가 예시된다.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사이클릭 알킬기의 바람직한 치환기의 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및 카복실메틸기, 카복실에틸기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카복실 저급 알킬기가 예시된다.
Z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에스테르화될 수 있는 카복시메틸기의 저급 알킬기의 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및 n-부틸기 등의 직쇄 알킬기 및 이소프로필기, sec-부틸기 및 t-부틸기 등의 측쇄 알킬기가 예시된다.
Z의 1급 또는 2급 또는 환상 아민으로 아미드화되는 카보닐메틸기의 1급 아민의 예로서는 바람직하게는 메틸아민, 에틸아민, 이소프로필아민, 카복실메틸아민 등의 쇄상 또는 카복실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아민, 사이클로헥실아민 등의 단환식 포화 탄화수소기를 갖는 아민, 아닐린, 벤질아민, 나프틸아민 등의 단환 또는 다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아민 및 아미노피리딘, 아미노메틸피리딘, 아미노피롤, 아미노피리미딘, 아미노인돌, 아미노퀴놀린 등의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릭기를 갖는 아민이 예시되며 당해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릭기를 갖는 아민은 이의 환 위에
1)수산기,
2)기 -OPO(OH)2
3)아미노기,
4)옥소기,
5)할로겐 원자,
6)메틸기, 에틸기, 이소프로필기, t-부틸기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에스테르화될 수 있는 카복실기,
7)메틸기, 에틸기, 이소프로필기, t-부틸기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에스테르화될 수 있는 카복실기로 치환될 수 있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필옥시기 및 t-부톡시기 등의 직쇄 또는 측쇄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콕시기 또는,
8)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프로필기, sec-부틸기, t-부틸기 등의 직쇄 또는 측쇄의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등의 치환기를 하나 이상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8)의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의 바람직한 치환기로서는,
a)메틸기, 에틸기, 이소프로필기, t-부틸기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에스테르화될 수 있는 카복실기,
b)메틸기, 에틸기, 이소프로필기, t-부틸기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에스테르화된 카복실기로 N-치환될 수 있는 피페라지닐기,
c)모르폴리노기,
d)카복실산 또는 아미노산으로 아미드화될 수 있는 아미노기가 예시된다. 상기 d)의 카복실산 또는 아미노산으로 아미드화될 수 있는 아미노기의 카복실산의 예로서는 피발산, 석신산 등의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족 모노카복실산 또는 지방족 디카복실산이 예시되며 아미노산의 예로서는 L-아스파라긴산, α-O-t-부틸-N-t-부톡시카보닐-L-아스파라긴산, β-O-t-부틸-N-t-부톡시카보닐-L-아스파라긴산 등의 카복실기가 에스테르화될 수 있는 아미노기가 아미드화될 수 있는 아미노산이 예시된다. 또한,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릭기를 갖는 아민은 이의 환 위의 질소원자가 메틸기, 에틸기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또는 카복실메틸기, 아세트산 t-부틸기 등의 에스테르화될 수 있는 카복실 저급 알킬기로 치환될 수 있다.
Z의 1급 또는 2급 또는 환상 아민으로 아미드화되는 카보닐메틸기의 2급 아민의 예로서는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등의 디저급 알킬아민이 예시된다. Z의 1급 또는 2급 또는 환상 아민으로 아미드화되는 카보닐메틸기의 환상 아민의 예로서는 피롤리딘, 피페리딘이 예시된다.
Z의 치환될 수 있는 아릴카보닐메틸기의 아릴카보닐메틸기의 예로서는 페닐카보닐, 메틸기, 나프틸카보닐메틸기가 예시되며 바람직한 치환기의 예로서는 수산기, 니트로기,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 등의 할로겐 원자,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프로필기, sec-부틸기, t-부틸기 등의 직쇄 또는 측쇄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필옥시기, n-부톡시기, 이소프로필옥시기, sec-부톡시기 및 t-부톡시기 등의 직쇄 또는 측쇄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콕시기가 예시된다.
Z의 치환될 수 있는 아르알킬옥시메틸기의 아르알킬옥시메틸기의 예로서는 벤질옥시메틸기, 펜에틸옥시메틸기, 나프틸에틸옥시메틸기 등의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13의 아르알킬옥시메틸기가 예시되며 바람직한 치환기의 예로서는 수산기, 니트로기,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 등의 할로겐 원자,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프로필기, sec-부틸기, t-부틸기 등의 직쇄 또는 측쇄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필옥시기, n-부톡시기, 이소프로필옥시기, sec-부톡시기 및 t-부톡시기 등의 직쇄 또는 측쇄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콕시기가 예시된다.
또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예로서는 염산염 및 질산염 등의 산 부가염, 나트륨염 및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이 예시된다.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퀴나졸린 유도체는 예를 들면, 하기에 기재된 합성법(A) 또는 (B)에 따라 합성할 수 있다.
합성법(A)
화학식(I-1)
(여기서, 환 A는 상기와 동일하며, R1'는 보호기로 보호될 수 있는 R1이며, R2'는 보호기로 보호될 수 있는 R2이며, R3'는 보호기로 보호될 수 있는 R3이며, R1, R2및 R3은 상기와 동일하다)의 화합물에
화학식(I-2)
(여기서, X'는 보호기로 보호될 수 있는 X이며, X는 상기와 동일하다)의 안트라닐산 유도체,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6-199839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반응시켜
화학식(I-3)
(여기서, 환 A, R1', R2', R3'및 X'는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의 설포닐우레아 유도체를 수득하고 축합제, 예를 들면, 1,1'-카보닐디이미다졸(이하, CDI라고 약칭한다)을 사용하여 퀴나졸린환을 폐환시키고 필요에 따라 R1, R2, R3또는 X의 보호기를 탈보호하여 합성한다. 본 반응에서 R1, R2또는 R3이 하이드록실기, 아미노기 또는 카복실산기를 함유하는 기인 경우, R1, R2또는 R3은 필요에 따라 벤질옥시카보닐기, t-부톡시카보닐기, 벤질기, 알릴기, t-부틸기 등의 보호기로 보호될 수 있다. 또한, X가 수산기 또는 아미노기인 경우, 필요에 따라 벤질옥시카보닐기, t-부톡시카보닐기, 벤질기, 알릴기, t-부틸기 등의 보호기로 보호될 수 있다.
본 반응에 사용하는 화학식(I-1)의 화합물로서는 시판되는 것이거나 공지된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유럽 특허 0269141호 명세서에 기재된 합성법에 따라 대응하는 설폰아미드 유도체로부터 클로로설포닐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여 합성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알릴옥시카보닐메틸벤젠설포닐이소시아네이트, 4-알릴옥시카보닐메틸벤젠설포닐이소시아네이트, 4-알릴옥시벤젠설포닐이소시아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반응에 사용하는 화학식(I-2)의 안트라닐산 유도체로서는 시판되는 것이거나 공지된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트라닐산, 4-클로로안트라닐산, 4-메톡시안트라닐산, 5-클로로안트라닐산, 4-하이드록시안트라닐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I-3)의 설포닐우레아 유도체로부터 퀴나졸린환을 폐환시키는 반응은 비양성자성의 용매, 예를 들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등의 에테르계 용매, 염화메틸렌 등의 할로겐계 용매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을 사용하여 -50℃ 내지 50℃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실온에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폐환반응에는 통상적인 탈수축합제, 예를 들면, CDI,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DCC)및 유연(類緣)카보디이미드 화합물, 혼합 산무수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탈보호반응은 통상적으로 산 또는 알칼리에 의한 가수분해, 환원 및 산화 등의 적절한 통상적인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합성법(B)
화학식(I-4)
(여기서, 환 A, R1', R2'및 R3'는 상기와 동일하다)의 화합물과
화학식(I-5)
(여기서, X'은 상기와 동일하며, Ph는 페닐기이며, R4는 카복실기의 보호기이며, 구체적으로는 가수분해 또는 수소화분해에 의해 탈리되는 기이며 카복실기와 일체가 되어 에스테르기를 형성할 수 있는 기,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또는 벤질기이다)의 안트라닐산 유도체, 예를 들면, 1,8-디아자비사이클로[5,4,O]-7-운데센(이하, DBU라고 약칭한다)을 사용하여 축합시켜
화학식(I-6)
(여기서, 환 A, R1', R2', R3', R4및 X'는 상기와 동일하다)을 수득하고 알칼리로 가수분해하거나 수소화 분해에 의해 화학식(I-3)의 대응하는 카복실산으로 유도한 다음, 합성법(A)과 동일하게 퀴나졸린환을 폐환시켜 필요에 따라 R1, R2, R3및 X의 보호기를 탈보호함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본 반응에서 R1, R2또는 R3이 하이드록실기, 아미노기 또는 카복실산기를 함유하는 기인 경우, R1, R2또는 R3은 필요에 따라 벤질옥시카보닐기, t-부톡시카보닐기, 벤질기, 알릴기, t-부틸기 등의 보호기로 보호될 수 있다. 또한, X가 수산기 또는 아미노기인 경우, 필요에 따라 벤질옥시카보닐기, t-부톡시카보닐기, 벤질기, 알릴기, t-부틸기 등의 보호기로 보호될 수 있다.
본 반응에 사용하는 화학식(I-4)의 화합물로서는 시판되는 것이거나 공지된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3-하이드록시벤젠설폰아미드, 2-아미노벤젠설폰아미드, 3-아미노벤젠설폰아미드, 4-아미노벤젠설폰아미드, (±)-2-(4-아미노설포닐페닐)부티르산, 3-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4-클로로벤젠설폰아미드, 4-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3-클로로벤젠설폰아미드, 4-아미노-3,5-디클로로벤젠설폰아미드, 3-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4-메틸벤젠설폰아미드,
4-t-부톡시카보닐-3-하이드록시벤젠설폰아미드, 3-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4-t-부톡시카보닐벤젠설폰아미드, 4-t-부톡시카보닐-3-하이드록시벤젠설폰아미드, 3-t-부톡시카보닐-4-하이드록시벤젠설폰아미드, 3-아세트아미드-4-메톡시벤젠설폰아미드, 3-(3-아미노설포닐)페닐아크릴산 t-부틸에스테르, 3-아미노-4-메톡시벤젠설폰아미드,
4-메톡시-3-메틸설포닐아미노벤젠설폰아미드, 3-카복시-4-하이드록시-2-나프탈렌설폰아미드, 4-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3-t-부톡시카보닐벤젠설폰아미드, (±)-3-t-부톡시카보닐-2-옥소-1H,3H-퀴놀린-7-설폰아미드, (±)-2-t-부톡시카보닐-3-옥소-1,4-벤조옥사진-6-설폰아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반응에서 사용하는 화학식(I-5)의 안트라닐산 유도체로서는 시판하거나 공지 또는 공지된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4-클로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메틸, 4-클로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에틸, 4-클로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벤질, 5-클로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메틸, 5-클로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에틸,
5-클로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벤질, 4-메톡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메틸, 4-메톡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에틸, 4-메톡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벤질, 4-하이드록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메틸, 4-하이드록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에틸, 4-하이드록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벤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I-4)의 화합물과 화학식(I-5)의 안트라닐산 유도체를 축합시켜 화학식(1-6)의 설포닐우레아 유도체를 수득하는 반응은 비양성자계의 용매, 예를 들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등의 에테르계 용매, 염화메틸렌 등의 할로겐계 용매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을 사용하여 -50℃ 내지 50℃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실온에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축합반응에 사용하는 염기로서는 DBU 등의 유기 강염기,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등의 무기 염기 또는 수소화나트륨 등의 금속 염기를 사용할 수 있다.
수득된 화학식(I-6)의 설포닐우레아 유도체를 알칼리 가수분해 또는 수소화 분해하여 화학식(I-3)의 설포닐우레아 유도체를 수득하는 반응에서는 통상적인 에스테르의 가수분해 조건, 수소화 분해조건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반응은 반응에 관여하지 않는 관능기를 보호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보호기의 종류에 따라 화학 환원 등의 통상적인 탈보호반응을 사용하여 탈보호되며 예를 들면, 보호기가 t-부틸기, t-부톡시카보닐기인 경우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사용하여, 알릴인 경우에는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O) 등의 팔라듐 촉매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화학식 I에서 R1이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지방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방향환 카복실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 방향환 카복실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인 화합물은 화학식 I에서 R1이 아미노기인 화합물과 카복실산, 카복실산 염화물, 카복실산 무수물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아실화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화학식 I에서 R1이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칸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방향환 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 방향환 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인 화합물은 화학식 I에서 R1이 아미노기인 화합물과 설폰산, 설폰산 염화물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설포닐화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II의 화합물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국제공개공보 W0 97/11941호에 기재된 바와 같다.
얻어진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재결정이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통상적인 정제방법에 따라 정제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공정에 의해 얻어진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각각 여러가지 산 또는 염기와 반응시킴으로써 염으로 변환할 수 있다.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염으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산으로서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질산, 황산, 인산과 같은 무기산 및 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락트산, 말레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아세트산, 아디프산, 팔미트산, 탄닌산과 같은 유기산을 들 수 있다.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염으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염기로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리튬 및 수산화칼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에는 비대칭 중심을 갖는 것도 함유되어 있으며 각각 라세미체로부터 한가지 이상의 방법에 의해 한쪽의 광학활성체를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광학활성 칼럼에 의한 방법
(2)광학활성인 산 또는 염기에 의해 염으로 변환하여 재결정하는 방법
(3)상기(1) 및 (2)를 조합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화합물은 하기 실시예 3, 8, 10, 11, 12 및 18의 방법에 따라 이형성 염증반응을 나타내는 피부염 및 반복하여 항원에 노출됨으로써 야기되는 피부염의 병의 용태의 예방 및 개선작용의 평가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이형성 염증반응을 나타내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제, 이형성 염증반응을 나타내는 피부염의 지발상의 개선제 및 반복하여 항원에 노출됨으로써 야기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합물을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배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투여법에 대응하는 제형으로 제조하여 사용하면 양호하다. 예를 들면, 경구투여에는 캡슐제, 정제, 과립제, 세립제, 시럽제, 건조 시럽제 등의 제형이 예시되며 비경구 투여에는 주사제 이외에 좌약, 질좌약 등의 좌제, 분무제 등의 경비 투여제, 연고, 경피 흡수성 테이프 등의 경피 흡수제가 예시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임상 투여량은 증상, 중증도, 연령, 합병증의 유무 등에 따라 상이하며 또한 제제에 따라서 상이하지만 경구투여의 경우에는 유효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 성인 한사람당 1 내지 100Ommg, 비경구 투여의 경우에는 경구투여의경우의 10분의 1량 내지 2분의 1량을 투여하면 양호하다. 이들 투여량은 환자의 연령, 증상 등에 따라 적절하게 증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키마제 억제제는 단독 그대로 다른 유효성분과 배합하지 않고 투여할 수 있지만 적용 질환, 증상, 합병증 등을 고려하여 다른 유효성분을 배합하여 의약 제제로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이들과 다른 유효성분의 병용도 할 수 있다. 다른 유효성분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단독에서의 효과 발현 최소량, 부작용 발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치료에 있어서 키마제 억제제를 단독으로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제제 및 다른 유효성분과 함께 함유하는 제제, 병용 요법의 선택은 환자의 연령, 증상 등에 따라 의사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독성은 낮으며 5주 나이의 수컷 마우스에 대한 경구투여후 24시간에서의 급성 독성치 LD50은 1g/kg 이상이다. 이러한 값은 예상되는 임상 용량의 50배 이상이며 이들 화합물의 안전성은 높다고 판단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은 이형성 염증반응을 나타내는 피부염이나 반복 항원에 노출됨으로써 야기되는 피부염에 대하여 이러한 병의 용태의 진전을 억제하며 환자의 일상생활의 질을 높이도록 하고 부작용이 없으며 안전한 예방 또는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등은 아토피성 피부염이 이형성 염증반응을 나타내며 또한 이의 지발(遲發)상의 반응이 병의 용태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에 착안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키마제 억제제가 이형성 피부의 염증반응에서 지발상 반응에 대하여 개선작용을 나타내며 반복여 항원에 노출됨으로써 야기되는 피부염에 대하여도 효과적인 것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키마제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이형성 염증반응을 나타내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또한, 키마제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형성 염증반응을 나타내는 피부염의 지발상 반응의 개선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시 키마제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반복 항원에 노출됨으로써 야기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또한, 지발상 반응을 개선하는 양의 키마제 억제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하여 이루어진 이형성 염증반응을 나타내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하기에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이들 실시예로 한정하는 것이 아닌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서는 이형성 염증반응을 나타내는 피부염의 마우스의 모델을 사용하여 키마제 억제제의 억제효과를 기재함으로써 키마제 억제제의 유용성을 제시한다. 또한,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에서는 이형성 염증 반응을 나타내는 피부염에서 키마제의 관여를 추가로 지지하는 증거로서 사람 키마제를 마우스의 귓바퀴에 접종함으로써 이형성 염증반응을 나타내는 피부염이 유기되는 것을 제시하며 실시예 7 및 실시예 8에서 이러한 이형성 피부염에서 키마제의 작용 메커니즘을 해석한 결과를 기재한다.
한편, 실시예 9 내지 실시예 12에서는 우선 반복하여 항원에 노출됨으로써 야기되는 피부염의 모델로서 합텐 반복 도포 피부염을 채택하고 본 모델을 해석하는 동시에 본 모델에서 키마제 억제제의 효과를 기재함으로써 키마제 억제제의 유용성을 실증한다. 또한,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환자로서는 반복하여 알레르기 유발 항원에 노출됨으로써 비만세포가 탈과립반응을 반복하고 있다고 생각되므로 실시예 13 내지 실시예 15에서는 이러한 탈과립반응이 반복되는 경우의 피부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사람 키마제를 반복하여 귓바퀴에 접종함으로써 야기되는 피부염을 해석하고 또한 실시예 16 내지 17에서 이러한 키마제 투여에 따른 피부염 야기의 작용 메커니즘의 하나로서 비만세포에 대한 주요한 사이토카인인 SCF의 발현에 대한 영향을 검토한 결과를 기재한다. 또한 실시예 18에서는 반복하여 항원에 노출됨으로써 야기되는 피부염의 2번째의 모델로서 자연발병 피부염(NC/Nga) 마우스를 사용하고 본 모델의 피부 증상에 대한 키마제 억제제의 효과를 기재한다.
제조예 1:7-클로로-3-(3-하이드록시벤젠설포닐)-2,4(1H,3H)-퀴나졸린디온(화합물1)의 합성:
합성법(B)에 따라 938mg(5.42mmol)의 3-하이드록시벤젠설폰아미드를 40ml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 용해하고 892μl(5.96mmol)의 1,8-디아자비사이클로[5,4,0]-7-운데센(이하, DBU라고 약칭한다)을 적가한다. 반응액을 실온에서 15분 교반한 다음, 1.66g(5.42mmol)의 4-클로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메틸을 가하여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다. 반응액에 과잉의 물을 주입한 다음, 염산 산성으로 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물,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농축한다. 수득된 조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0% 내지 5% 메탄올/디클로로메탄)로 정제하고 1.23g(수율 59%)의 4-클로로-2-[[(3-하이드록시벤젠설포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벤조산메틸(성상: 무색 비결정, PMR(δppm, DMS0­d6): 3.91(3H,s), 7.02(1H,m), 7.09(1H,m), 7.34(1H,t), 7.57(2H,m), 7.89(1H,d), 8.38(1H,d), 1O.94(1H,s))를 수득한다. 계속해서 수득된 1.23g(3.2mmol)의 설포닐우레아체를 20ml의 메탄올에 용해하며 10ml의 2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적가한다. 반응액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한 다음, 과잉의 물을 가하고 나서 염산 산성으로 한다. 교반하여 석출된 결정을 여과하여 취하고 건조하여 992mg의 카복실산체의 조생성물을 수득한다.
수득된 조생성물을 50ml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이하, THF라고 약칭한다)에 용해하고 빙냉하에 434mg(2.68mmol)의 CDI를 가하여 30분 동안 교반한다. 반응액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여 물,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다음, 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수득한다. 조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아세트산에틸: n­헥산= 1:2)로 정제하여 230mg(수율 20%: 2공정)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한다. 성상: 무색 결정, 융점: >200℃(분해), PMR(δppm, DMS0­d6):7.12(2H, s), 7.24(1H, d), 7.48(1H, t), 7.58(2H, s), 7.85(1H, d), 10.28(1H, s), 11.63(1H, s).
제조예 2: 3-(2-아미노벤젠설포닐)-7-클로로-2,4(1H,3H)-퀴나졸린디온(화합물2)의 합성:
2.7g(15.7mmol)의 2-아미노벤젠설폰아미드와 4.8g(15.7mmol)의 4-클로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메틸로부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3.2g(수율 58%: 3공정)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한다. 성상: 무색 결정, 융점: >200℃(분해), PMR(δppm, DMS0­d6): 6.46(2H, s), 6.65(1H, t), 6.81(1H, d), 7.12(1H, s), 7.23(1H, d), 7.34(1H, t), 7.76(1H, d), 7.86(1H, d).
제조예 3: 7-클로로-3-(2-메틸설포닐아미노벤젠설포닐)-2,4(1H,3H)-퀴나졸린디온(화합물3)의 합성:
22mg(O.06mmol)의 화합물2을 200μl의 피리딘에 용해하고 11.6μl(0.15mmol)의 메탄설포닐클로라이드를 적가하여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다. 반응액에 과잉의물을 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1N 염산 수용액, 포화 식염수로 세정한 다음,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수득한다. 조생성물을 디에틸에테르로부터 결정화하여 16mg(O.04mmol)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한다. 성상: 무색 결정, 융점: >200℃(분해), PMR(δppm, DMS0­d6): 3.61(3H, s), 7.10(1H, d), 7.20(1H, d), 7.74(1H, d), 7.82-7.90(4H, m), 8.34(1H, d), 11.70(1H, s).
제조예 4: 3-(4-아미노벤젠설포닐)-7-클로로-2,4(1H,3H)-퀴나졸린디온(화합물4)의 합성:
2.7g(15.7mmol)의 4-아미노벤젠설폰아미드와 4.8g(15.7mmol)의 4-클로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메틸로부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7.9g(수율 94%)의 2-[[(4-아미노벤젠설포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4-클로로벤조산메틸을 수득한다. 성상: 무색 비결정, PMR(δppm, DMS0­d6): 3.59(3H, s), 5.37(2H, s), 6.45(2H, d), 6.83(1H, dd), 7.41(2H, d), 7.81(1H, d), 8.66(1H, d), 9.64(1H, s).
계속해서 수득된 7.9g(14.8mmol)의 설포닐우레아체로부터 동일하게 하여 4.3g(수율 83%: 2공정)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한다. 성상: 무색 결정, 융점: >200℃(분해), PMR(δppm, DMS0­d6): 6.39(2H, s), 6.63(2H, d), 7.09(1H, s), 7.22(1H, d), 7.76(2H, d), 7.83(1H, d), 11.51(1H, s)
제조예 5: 3-(3-카복시메틸벤젠설포닐)-7-클로로-2,4(1H,3H)-퀴나졸린디온(화합물 5)의 합성:
합성법(A)에 따라 100ml의 무수 THF에 3.27g(11.6mmol)의 3-알릴옥시카보닐메틸벤젠설포닐이소시아네이트를 용해한 다음, 1.98g(11.5mmol)의 4-클로로안트라닐산을 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액을 빙수로 냉각하고 1.87g(11.5mmol)의 CDI를 가하여 빙냉하에 30분 동안 교반한다. 반응액에 과잉의 물을 주입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세정, 건조, 농축하여 조생성물로 하고 소량의 아세트산에틸로 결정화하여 2.Og(수율 40%)의 3-(3-알릴옥시카보닐메틸벤젠설포닐)-7-클로로-2,4(1H,3H)-퀴나졸린디온으로 한다.
수득된 알릴체를 100ml의 포름산-THF(1:9) 혼합액에 용해하여 700mg의 트리페닐포스핀을 가한다. 반응 용기를 차광하여 반응계 내를 질소로 치환하여 700mg의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을 가하여 차광하에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다.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여 수득된 고체를 염화메틸렌으로 세정하고 1.47g(수율 81%)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한다. 성상: 무색 결정, 융점: >200℃(분해), PMR(δppm, DMS0­d6): 3.76(2H, s), 7.13(1H, s), 7.24(1H, d), 7.61-7.69(2H, m), 7.86(1H, d), 8.05(2H, s), 12.50(1H, br).
제조예 6:3-(4-카복시메틸벤젠설포닐)-7-클로로-2,4(1H,3H)-퀴나졸린디온(화합물6)의 합성:
1.10g(3.95mmol)의 4-알릴옥시카보닐메틸벤젠설포닐이소시아네이트 678mg(3.95mmol)의 4-클로로안트라닐산으로부터 제조예5와 동일하게 하여 657mg(수율 38%)의 3-(4-알릴옥시카보닐벤젠설포닐)-7-클로로-2,4(1H,3H)-퀴나졸린디온을 수득하고 이중에서 538mg(1.24mmol)으로부터 동일하게 342mg의 표제 화합물(수율 70%)을 수득한다. 성상: 무색 결정, 융점: >200℃(분해), PMR(δppm, DMS0­d6): 3.75(2H, s), 7.13(1H, s), 7.23(1H, d), 7.61-7.69(2H, m), 7.86(1H, d), 8.05(2H, s), 12.07(2H, br).
제조예 7: (±)-2-{4-[(7-클로로-2,4(1H,3H)-퀴나졸린-3-일)설포닐]페닐}부티르산(화합물7)의 합성:
1.02g(3.41mmol)의 (±)-2-(4-아미노설포닐페닐)부티르산 tert-부틸과 1.O4g(3.41mmol)의 4-클로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메틸로부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1.46g(수율 84%)의 2-[([4-[1-(t-부톡시카보닐)프로필]벤젠설포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4-클로로벤조산메틸(성상: 무색 비결정, PMR(δppm, CDCl3): 0.89(3H,t), 1.38(9H,s), 1.69­1.76(1H,m), 2.03­2.10(1H,m), 3.42(1H,t), 3.94(3H,s), 7.04(1H,d), 7.47(2H,d), 7.93(1H,d), 8.01(2H,d), 8.45(1H,br), 11.04(1H,br))을 수득한다. 계속해서 4.3ml(8.6mmol)의 2N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카복실산 1.43g으로 하고 463mg(2.86mmol)의 CDI를 사용하여 970mg(수율 71%: 2공정)의 (±)-2-{4-[(7-클로로-2,4(1H,3H)-퀴나졸린-3-일)설포닐]페닐}부티르산 t-부틸 에스테르를 수득한다.
또한 수득된 부틸에스테르체를 5ml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하여 5ml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가하여 실온에서 40분 동안 교반한다. 반응액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수득된 조생성물을 소량의 디에틸에테르로 세정하고 820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한다(수율 96%). 성상: 무색 결정, 융점: >200℃(분해), PMR(δppm, DMS0­d6): 0.84(3H, t), 1.67-1.75(1H, m), 1.98-2.05(1H, m), 3.62(1H, t), 7.11(1H, s), 7.24(1H, d), 7.61(2H, d), 7.86(1H, d), 8.13(2H, d), 11.62(1H, s).
제조예 8: 3-(3-아미노-4-클로로벤젠설포닐)-7-클로로-2,4(1H,3H)-퀴나졸린디온(화합물 8)의 합성:
1.0g(2.93mmol)의 3-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4-클로로벤젠설폰아미드와 1.18g(2.93mmol)의 4-클로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벤질에스테르로부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1.43g(수율 78%)의 2-{[(3-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4-클로로벤젠설포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4-클로로벤조산벤질에스테르(성상: 무색 비정질, PMR(δppm, DMSO-d6): 5.19(2H, s), 5.36(2H, s), 7.21(1H, dd), 7.34-7.48(10H, m), 7.72-7.76(2H, m), 7.97(1H, d), 8.25(1H, d), 8.30(1H, d), 9.53(1H, s), 10.30(1H, s))를 수득했다.
이중에 1.38g(2.20mmol)을 50ml의 THF에 용해하고, 200mg의팔라듐-탄소(10%)를 가하고, 수소 기류하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하여 팔라듐-탄소를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하 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수득했다. 수득된 조생성물을 50ml의 THF에 용해하고, 얼음 냉각하 356mg(2.20mmol)의 CDI를 가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560mg(수율 66%: 2 공정)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했다. 성상: 무색 결정, 융점: >200℃(분해), PMR(δppm, DMSO-d6): 6.00(2H, s), 7.12(1H, s), 7.26(2H, t), 7.48(1H, d), 7.66(1H, s), 7.86(1H, d), 11.76(1H, br).
제조예 9: 3-(4-아미노-3,5-디클로로벤젠설포닐)-7-클로로-2,4(1H,3H)-퀴나졸린디온 (화합물 9)의 합성:
1.06g(4.40mmol)의 4-아미노-3,5-디클로로벤젠설폰아미드 1.34g(4.40mmol)의 4-클로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메틸로부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905mg(수율 44%)의 2-{[(4-아미노-3,5-디클로로벤젠설포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4-클로로벤조산메틸(성상: 무색 비정질, PMR(δppm, DMSO-d6): 3.87(3H, s), 6.59(2H, br), 7.22(1H, dd), 7.72(2H, s), 7.93(1H, d), 8.24(1H, d), 10.17(1H, s))를 수득했다.
계속해서 수득된 905mg(2.0mmol)의 설포닐우레아체로부터 동일하게 하여 660mg(수율 82%: 2 공정)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했다. 성상: 무색 결정, 융점: >200℃(분해), PMR(δppm, DMSO-d6): 6.80(2H, s), 7.12(1H, s), 7.24(1H, d),7.86(1H, d), 7.92(2H, s), 11.63(1H, br).
제조예 10: 3-(3-아미노-4-메틸벤젠설포닐)-7-클로로-2,4(1H,3H)-퀴나졸린디온(화합물 10)의 합성:
960mg(3.00mmol)의 3-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4-메틸벤젠설폰아미드와 1.14g(3.00mmol)의 4-클로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벤질에스테르로부터 제조예 8과 동일하게 하여 1.14g(수율 62%)의 2-{[(3-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4-메틸벤젠설포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4-클로로벤조산벤질에스테르(성상: 무색 비정질, PMR(δppmn, DMSO-d6): 2.30(3H, s), 5.17(2H, s), 5.36(2H, s), 7.20(1H, dd), 7.33-7.48(11H, m), 7.63(1H, d), 7.97(1H, d), 8.11(1H, s), 8.25(1H, s), 9.27(1H, s), 10.30(1H, s), 12.20(1H, br))를 수득했다.
계속해서 수득된 1.14g(1.87mmol)의 설포닐우레아체로부터 동일하게 하여 190mg(수율 27%: 2 공정)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했다. 성상: 무색 결정, 융점: >200℃(분해), PMR(δppm, DMSO-d6): 2.12(3H, s), 5.47(2H, s), 7.12(1H, s), 7.16-7.25(3H, m), 7.38(1H, s), 7.85(1H, d), 11.58(1H, s).
제조예 11: 3-[(3-카복시메틸아미노페닐)설포닐]-7-클로로-2,4(1H,3H)-퀴나졸린디온 (화합물 11)의 합성:
1.62g(5.65mmol)의 3-t-부톡시카보닐메틸아미노벤젠설폰아미드와1.73g(5.65mmol)의 4-클로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메틸로부터 제조예 7과 동일하게 하여 209mg(수율 9%: 4 공정)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했다. 성상: 무색 결정, 융점: >200℃(분해), PMR(δppm, DMSO-d6): 3.86(2H, s), 6.88(1H, s), 7.12(1H, s), 7.24(1H, d), 7.30-7.38(3H, m), 7.86(1H, d), 11.61(1H, br).
제조예 12: 3-(3-아미노벤젠설포닐)-7-클로로-2,4(1H,3H)-퀴나졸린디온(화합물 12)의 합성:
3.5g(12.9mmol)의 3-t-부톡시카보닐아미노벤젠설폰아미드와 3.9g(12.8mmol)의 4-클로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메틸로부터 제조예 7과 동일하게 하여 2.2g(수율 49%: 4 공정)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했다. 성상: 무색 결정, 융점: >200℃(분해), PMR(δppm, DMSO-d6): 5.72(2H, s), 6.87(1H, d), 7.12(1H, s), 7.23-7.27(2H, m), 7.33(1H, s), 7.86(1H, d), 11.61(1H, s).
제조예 13: 2-{3-[(7-클로로-2,4(1H,3H)-퀴나졸린디온-3-일)설포닐]페닐아미노카보닐}프로피온산(화합물 13)의 합성:
100mg(0.28mmol)의 화합물 12를 5ml의 THF에 용해하고, 100mg(1.0mmol)의 무수 석신산을 가하여 3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하 농축하여 수득된 조생성물을 아세트산에틸-디에틸에테르로 결정화하여 120mg(수율 96%)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했다. 성상: 무색 결정, 융점: 187-188℃, PMR(δppm, DMSO-d6): 2.54(2H,d), 2.59(2H, d), 7.12(1H, s), 7.24(1H, d), 7.59(1H, t), 7.80(1H, d), 7.86(1H, d), 7.96(1H, d), 8.41(1H, s), 10.40(1H, s), 11.63(1H, br), 12.10(1H, br).
제조예 14: 3-{3-[(7-클로로-2,4(1H,3H)-퀴나졸린디온-3-일)설포닐]페닐}아크릴산(화합물 14)의 합성:
1.54g(5.44mmol)의 3-(3-아미노설포닐)페닐아크릴산 t-부틸에스테르와 1.66g(5.44mmol)의 4-클로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메틸로부터 제조예 7과 동일하게 하여 2.18g(수율 81%)의 2-({[3-(3-t-부톡시-3-옥소-1-프로페닐)벤젠설포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4-클로로벤조산메틸(성상: 무색 비정질, PMR(δppm, CDCl3): 1.53(9H, s), 3.95(3H, s), 6.46(1H, d), 7.05(1H, d), 7.55(1H, m), 7.57(1H, d), 7.72(1H, m), 7.93(1H, m), 8.04(1H, m), 8.27(1H, s), 8.46(1H, d), 11.05(1H, br))을 수득했다.
계속해서 수득된 2.18g(4.4mmol)의 설포닐우레아체로부터 동일하게 하여 698mg(수율 37%: 3 공정)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했다. 성상: 무색 결정, 융점: >200℃(분해). PMR(δppmn, DMSO-d6): 6.65(1H, d), 7.12(1H, s), 7.25(1H, d), 7.69(1H, d), 7.72(1H, t), 7.87(1H, d), 8.12(2H, q), 8.37(1H, s), 11.64(1H, s).
제조예 15: 4-[(7-클로로-2,4(1H,3H)-퀴나졸린디온-3-일)설포닐]살리실산(화합물15)의 합성:
1.0g(3.66mmol)의 4-t-부톡시카보닐-3-하이드록시벤젠설폰아미드와 1.12g(3.66mmol)의 4-클로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메틸로부터 제조예 7과 동일하게 하여 1.79g(수율 100%)의 2-{[(4-t-부톡시카보닐-3-하이드록시벤젠설포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4-클로로벤조산메틸(성상: 무색 비정질, PMR(δppm, DMSO-d6): 1.57(9H, s), 3.87(3H, s), 7.14(1H, d), 7.40-7.45(2H, m), 7.85(1H, d), 7.92(1H, d), 8.32(1H, d), 10.13(1H, s), 10.82(1H, s))을 수득했다.
계속해서 수득된 1.78g(3.66mmol)의 설포닐우레아체로부터 동일하게 하여 370mg(수율 25%: 3 공정)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했다. 성상: 무색 결정, 융점: >200℃(분해), PMR(δppm, DMSO-d6): 7.13(1H, s), 7.26(1H, d), 7.69(1H, d), 7.87(1H, d), 8.01(1H, d), 11.67(1H, s).
제조예 16: 4-[(7-클로로-2,4(1H,3H)-퀴나졸린디온-3-일)설포닐]살리실산 모노나트륨염(화합물 16)의 합성:
50mg(0.13mmol)의 화합물 15를 약 1ml의 THF에 현탁하고 126㎕의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적하하였다. 용액이 균일하게 된 것을 확인하고 30ml의 물을 가하여, 동결 건조하여 비정질상의 표제 화합물 52mg을 정량적으로 수득했다. 성상: 무색 비정질, PMR(δppm, CD3OD): 7.11(1H, s), 7.19(1H, d), 7.58(1H, d), 7.63(1H, s), 7.92(1H, d), 8.03(1H, d).
제조예 17: 4-[(7-클로로-2,4(1H,3H)-퀴나졸린디온-3-일)설포닐]안트라닐산(화합물 17)의 합성:
2.84g(6.99mmol)의 3-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4-t-부톡시카보닐벤젠설폰아미드와 2.67g(6.99mmol)의 4-클로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벤질에스테르로부터 제조예 8과 동일하게 하여 3.74g(수율 77%)의 2-{[(3-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4-t-부톡시카보닐벤젠설포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4-클로로벤조산벤질에스테르(성상: 무색 비정질, PMR(δppm, DMSO-d6): 1.54(9H, s), 5.19(2H, s), 5.34(2H, s), 7.05(1H, m), 7.34-7.58(10H, m), 7.60(1H, d), 7.90(1H, d), 7.98(1H, d), 8.50(1H, br), 8.62(1H, s), 10.00(1H, br), 10.41(1H, s))를 수득했다.
계속해서 수득된 3.74g(5.39mmol)의 설포닐우레아체로부터 동일하게 하여 690mg(수율 30%: 2 공정)의 4-[(7-클로로-2,4(1H,3H)-퀴나졸린디온-3-일)설포닐]안트라닐산 t-부틸에스테르로 하고, 이것을 동일한 탈부틸화 반응을 실시함으로써, 503mg(수율 84%)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했다. 성상: 무색 결정, 융점: >200℃(분해), PMR(δppm, DMSO-d6): 7.14(1H, s), 7.18(1H, d), 7.25(1H, d), 7.59(1H, s), 7.87(1H, d), 7.89(1H, d), 11.62(1H, s).
제조예 18: 4-[(7-클로로-2,4(1H,3H)-퀴나졸린디온-3-일)설포닐]안트라닐산 모노나트륨염(화합물 18)의 합성:
50mg(0.13mmol)의 화합물 17을 약 1ml의 THF에 현탁하고 126㎕의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적하하였다. 용액이 균일하게 된 것을 확인하고 30ml의 물을 가하여, 동결 건조하여 비정질상의 표제 화합물 52mg을 정량적으로 수득했다. 성상: 무색 비정질, PMR(δppm, DMSO-d6): 7.11-7.22(3H, m), 7.37(1H, s), 7.83(1H, d), 7.91(1H, d).
제조예 19: 3-(4-하이드록시벤젠설포닐)-7-클로로-2,4(1H,3H)-퀴나졸린디온(화합물 19)의 합성:
1.50g(7.03mmol)의 4-알릴옥시벤젠설포닐이소시아네이트와 1.2g(7.03mmol)의 4-클로로안트라닐산으로부터 제조예 5와 동일하게 하여 1.5g(수율 53%)의 3-(4-알릴옥시벤젠설포닐)-7-클로로-2,4(1H, 3H)-퀴나졸린디온을 수득했다. 이중에 500mg(1.27mmol)으로부터 동일하게 405mg의 표제 화합물(수율 90%)을 수득했다. 성상: 무색 결정, 융점: >200℃(분해), PMR(δppml, DMSO-d6): 6.98(2H, d), 7.11(1H, s), 7.23(1H, d), 7.85(1H, d), 8.00(2H, d), 11.25(1H, br).
제조예 20: 4-[2,4(1H,3H)-퀴나졸린디온-3-일)설포닐]살리실산(화합물 20)의 합성:
618mg(2.26mmol)의 4-t-부톡시카보닐-3-하이드록시벤젠설폰아미드와 613mg(2.26mmol)의 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메틸에스테르로부터 제조예 17과 동일하게 하여 792mg(수율 78%)의 2-{[(4-t-부톡시카보닐-3-하이드록시벤젠설포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벤조산메틸(성상: 무색 비정질, PMR(δppm, CDCl3): 1.60(9H,s), 3.97(3H, s), 7.09(1H, t), 7.49-7.52(2H, m), 7.65(1H, d). 7.90(1H, d), 8.01(1H, dd), 8.33(1H, d), 10.98(1H, s), 11.18(1H, s))을 수득했다.
계속해서 수득된 790mg(1.75mmol)의 설포닐우레아체로부터 동일하게 하여 100mg(수율 8%: 3 공정)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했다. 성상: 무색 결정, 융점: >200℃(분해), PMR(δppm, DMSO-d6): 7.13(1H, d), 7.22(1H, t), 7.63-7.69(3H, m), 7.87(1H, d), 8.01(1H, d) 11.57(1H, s).
제조예 21: 5-[7-클로로-2,4(1H,3H)-퀴나졸린디온-3-일)설포닐]살리실산(화합물 21)의 합성:
320mg(1.17mmol)의 3-t-부톡시카보닐-4-하이드록시벤젠설폰아미드와 447mg(1.17mmol)의 4-클로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벤질에스테르로부터 제조예 17과 동일하게 하여 611mg(수율 93%)의 2-{[(3-t-부톡시카보닐-4-하이드록시벤젠설포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4-클로로벤조산벤질에스테르(성상: 무색 비정질, PMR(δppm, CDCl3): 1.62(9H, s), 5.35(2H, s), 7.01-7.05(2H, m), 7.37-7.41(5H, m), 7.96(1H, d), 8.10(1H, dd), 8.46-8.48(2H, m), 10.99(1H, s), 11.66(1H, s))를 수득했다.
계속해서 수득된 611mg(1.09mmol)의 설포닐우레아체로부터 동일하게 하여 114mg(수율 33%: 3 공정)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했다. 성상: 무색 결정, 융점: >200℃(분해), PMR(δppm, DMSO-d6): 7.11(1H, s), 7.19(1H, d), 7.24(1H, d),7.86(1H, d), 8.20(1H, d), 8.56(1H, s), 11.57(1H, s).
제조예 22: 3-(3-아세타미드-4-메톡시벤젠설포닐)-7-클로로-2,4(1H,3H)-퀴나졸린디온(화합물 22)의 합성:
500mg(2.19mmol)의 3-아세타미드-4-메톡시벤젠설폰아미드 836mg(2.19mmol)의 4-클로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벤질에스테르로부터 제조예 8과 동일하게 하여 812mg(수율 70%)의 2-{[(3-아세틸아미노-4-메톡시벤젠설포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 -4-클로로벤조산벤질에스테르(성상: 무색 비정질, PMR(δppm), DMSO-d6): 2.12(3H, s), 3.93(3H, s), 5.36(2H, s), 7.20(1H, d), 7.24(1H, d), 7.36-7.48(5H, m), 7.69(1H, d), 7.96(1H, d), 8.24(1H, s), 8.67(1H, s), 9.39(1H, s), 10.25(1H, s), 12.11(1H, br))를 수득했다.
계속해서 수득된 611mg(1.09mmol)의 설포닐우레아체로부터 동일하게 하여 250mg(수율 39%: 2 공정)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했다. 성상: 무색 결정, 융점: >200℃(분해), PMR(δppm, DMSO-d6): 2.12(3H, s), 3.95(3H, s), 7.12(1H, s), 7.23(1H, d), 7.30(1H, d), 7.85(1H, d), 7.89(1H, d), 8.80(1H, s), 9.42(1H, s), 11.59(1H, br).
제조예 23: 3-(3-아미노-4-메톡시벤젠설포닐)-7-클로로-2,4(1H,3H)-퀴나졸린디온(화합물 23)의 합성:
400mg(1.40mmol)의 3-t-부톡시카보닐아미노-4-메톡시벤젠설폰아미드 533mg(1.40mmol)의 4-클로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벤질에스테르로부터 제조예 17과 동일하게 하여 86mg(수율 16%: 4 공정)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했다. 성상: 무색 결정, 융점: >200℃(분해), PMR(δppmn, DMSO-d6): 3.81(3H, s), 7.26-7.37(5H, m), 7.77(1H, s), 7.90(1H, d), 7.94(1H, d), 11.73(1H, s).
제조예 24: 7-클로로-3-(4-메톡시-3-메틸설포닐아미노벤젠설포닐)-2,4(1H,3H)-퀴나졸린디온(화합물 24)의 합성:
500mg(1.89mmol)의 4-메톡시-3-메틸설포닐아미노벤젠설폰아미드와 722mg(1.89mmol)의 4-클로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벤질에스테르로부터 제조예 8과 동일하게 하여 888mg(수율 83%)의 2-({[(4-메톡시-3-메틸설포닐아미노)벤젠설포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4-클로로벤조산벤질에스테르(성상: 무색 비정질, PMR(δppm, DMSO-d6): 2.12(3H, s), 3.93(3H, s), 5.36(2H, s), 7.20(1H, d), 7.24(1H, d), 7.36-7.48(5H, m), 7.69(1H, d), 7.96(1H, d), 8.24(1H, s), 8.67(1H, s), 9.39(1H, s), 10.25(1H, s), 12.11(1H, br))를 수득했다.
계속해서 수득된 880mg(1.55mmol)의 설포닐우레아체로부터 동일하게 하여 620mg(수율 85%: 2 공정)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했다. 성상: 무색 결정, 융점: >200℃(분해), PMR(δppm, DMSO-d6): 3.04(3H, s), 3.94(3H, s), 7.11(1H, s), 7.23(1H, d), 7.34(1H, d), 7.86(1H, d), 7.99(1H, d), 8.10(1H, s).
제조예 25: 4-[7-클로로-2,4(1H,3H)-퀴나졸린디온-3-일)설포닐]-1-하이드록시-2-나프틸산(화합물 25)의 합성:
323mg(1.00mmol)의 3-t-부톡시카보닐-4-하이드록시-1-나프탈렌설폰아미드와 381mg(1.00mmol)의 4-클로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벤질에스테르로부터 제조예 17과 동일하게 하여 447mg(수율 73%)의 4-({[(2-벤질옥시카보닐-5-클로로아닐리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1-하이드록시-2-나프탈렌카복실산 t-부틸에스테르(성상: 무색 비정질, PMR(δppm, DMSO-d6): 1.66(9H, s), 5.34(3H, s), 6.98(1H, d), 7.35-7.48(5H, m), 7.66(1H, m), 7.81(1H, m), 7.89(1H, d), 8.37(2H, m), 8.44(1H, s), 8.71(1H, d), 10.02(1H, br), 12.52(1H, br))를 수득했다.
계속해서 수득된 445mg(0.72mmol)의 설포닐우레아체로부터 동일하게 하여 56mg(수율 18%: 3 공정)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했다. 성상: 무색 결정, 융점: >200℃(분해), PMR(δppm, DMSO-d6): 7.08(1H, s), 7,20(1H, d), 7.63(1H, t), 7.77(1H, t), 7.84(1H, d), 8.42(1H, d), 8.51(1H, d), 8.75(1H, s), 11.57(1H, s).
제조예 26: 5-[7-클로로-2,4(1H,3H)-퀴나졸린디온-3-일)설포닐]안트라닐산(화합물 26)의 합성:
834mg(2.05mmol)의 4-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3-t-부톡시카보닐벤젠설폰아미드와 783mg(2.05mmol)의 4-클로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벤질에스테르로부터 제조예 17과 동일하게 하여 1.18g(수율 83%)의 2-{[(4-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3-t-부톡시카보닐벤젠설포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4-클로로벤조산벤질에스테르(성상: 무색 비정질, PMR(δppm, CDCl3): 1.56(9H, s), 5.22(2H, s), 5.37(2H, s), 7.04(1H, dd), 7.33-7.42(10H, m), 7.97(1H, d), 8.14(1H, d), 8,45(1H, d), 8.60(1H, d), 8.65(1H, d), 11.01(1H, s), 11.11(1H, s))를 수득했다.
계속해서 수득된 1.17g(1.69mmol)의 설포닐우레아체로부터 동일하게 하여 404mg(수율 60%: 3 공정)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했다. 성상: 무색 결정, 융점: >200℃(분해), PMR(δppm, DMSO-d6): 6.89(1H, d), 7.11(1H, s), 7.23(1H, d), 7.85(1H, d), 7.98(1H, d), 8.51(1H, s), 11.51(1H, s),
제조예 27: 4-[(7-메톡시-2,4(1H,3H)-퀴나졸린디온-3-일)설포닐]안트라닐산(화합물 27)의 합성:
500mg(1.23mmol)의 3-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4-t-부톡시카보닐벤젠설폰아미드와 460mg(1.22mmol)의 4-메톡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벤질에스테르로부터 제조예 17과 동일하게 하여 15mg(수율 3.1%: 4 공정)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했다. 성상: 무색 결정, 융점: >200℃(분해), PMR(δppm, DMSO-d6): 3.82(3H, s), 6.58(1H, s), 6.80(1H, d), 7.16(1H, d), 7.56(1H, s), 7.80(1H, d), 7.90(1H, d), 11.49(1H, s).
제조예 28: (±)-7-[7-클로로-2,4(1H,3H)-퀴나졸린디온-3-일)설포닐]-2-옥소-1H,3H -퀴놀린-3-카복실산(화합물 28)의 합성:
400mg(1.23mmol)의 (±)-3-t-부톡시카보닐-2-옥소-1H,3H-퀴놀린-7-설폰아미드와 468mg(1.23mmol)의 4-클로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벤질에스테르로부터 제조예 17과 동일하게 하여 649mg(수율 86%)의 8-({[(2-벤질옥시카보닐-5-클로로아닐리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2-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3-퀴놀린카복실산 t-부틸에스테르(성상: 무색 비정질, PMR(δppm, CDCl3): 1.32(9H, s), 3.18-3.30(2H, m), 3.54(1H, m), 5.35(2H, s), 6.85(1H, m), 7.00(1H, m), 7.35-7.39(5H, m), 7.87-7.96(3H, m), 8.47(1H, m), 8.78(1H, br), 10.92(1H, br))를 수득했다.
계속해서 수득된 640mg(1.04mmol)의 설포닐우레아체로부터 동일하게 하여 258mg(수율 55%: 3 공정)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했다. 성상: 무색 결정, 융점: >200℃(분해), PMR(δppm, DMSO-d6): 3.23-3.31(2H, m), 3.59(1H, t), 7.07(1H, d), 7.12(1H, s), 7.25(1H, d), 7.86(1H, d), 7.96(1H, d), 7.98(1H, d), 10.84(1H, s), 11.60(1H.s).
제조예 29: (±)-6-[(7-클로로-2,4(1H,3H)-퀴나졸린디온-3-일)설포닐]-3-옥소-1,4-벤조옥사진-2-카복실산(화합물 29)의 합성:
300mg(0.91mmol)의 (±)-2-t-부톡시카보닐-3-옥소-1,4-벤조옥사진-6-설폰아미드와 349mg(0.91mmol)의 4-클로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벤질에스테르로부터 제조예 17과 동일하게 하여 417mg(수율 74%)의 5-({[(2-벤질옥시카보닐-5-클로로아닐리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2-카복실산 t-부틸에스테르(성상: 무색 비정질, PMR(δppm, DMSO-d6): 1.29(9H, s), 5.37(2H, s), 5.42(2H, s), 7.19-7.26(2H, m), 7.37-7.57(7H, m), 7.97(1H, d), 8.25(1H, d), 10.27(1H, s), 11.25(1H, s), 12.22(1H, br))를 수득했다.
계속해서 수득된 417mg(0.68mmol)의 설포닐우레아체로부터 동일하게 하여 100mg(수율 32%: 3 공정)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했다. 성상: 무색 결정, 융점: >200℃(분해), PMR(δppmn, DMSO-d6): 5.47(1H, s), 7.11(1H, s), 7.24(1H, d), 7.29(1H, d), 7.76(1H, s), 7.78(1H, d), 7.86(1H, d), 11.25(1H, s), 11.62(1H, s).
제조예 30: 4-[(7-하이드록시-2,4(1H,3H)-퀴나졸린디온-3-일)설포닐]안트라닐산(화합물 30)의 합성:
620mg(1.53mmol)의 3-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4-t-부톡시카보닐벤젠설폰아미드와 550mg(1.51mmol)의 4-하이드록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벤질에스테르로부터 제조예 17과 동일하게 하여 25mg(수율 4%: 4 공정)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했다. 성상: 무색 결정, 융점: >200℃(분해), PMR(δppm, DMSO-d6): 6.48(1H, s), 6.61(1H, d), 7.14(1H, d), 7.51(1H, s), 7.70(1H, d), 7.90(1H, d), 10.80(1H,s), 11,39(1H, s).
제조예 31: 4-[(7-클로로-2,4(1H,3H)-퀴나졸린디온-3-일)설포닐]-2-N-프로피오닐안트라닐산(화합물 31)의 합성:
840mg(1.86mmol)의 화합물 17을 8ml의 1,4-디옥산에 용해하고 240㎕(2.79mmol)의 염화프로피오닐를 적하한 후, 6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과잉의 물을 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수득된 유기층을 세정, 건조, 농축하여 4-[(7-클로로-2,4(1H,3H)-퀴나졸린디온-3-일)설포닐]-2-N-프로피오닐안트라닐산 t-부틸에스테르의 조생성물로 하였다. 수득된 조생성물을 3ml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중에서,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수득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정하여 400mg(수율 48%: 2 공정)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했다. 성상: 무색 결정, 융점: >200℃(분해), PMR(δppm, DMSO-d6): 1.10(3H, t), 2.45(2H, dd), 7.11(1H, s), 7.24(1H, d), 7.85(1H, d), 7.88(1H, d), 8.17(1H, d), 9.18(1H, s), 11.07(1H, s), 11.63(1H, s).
제조예 32: 4-[(6-클로로-2,4(1H,3H)-퀴나졸린디온-3-일)설포닐]안트라닐산(화합물 32)의 합성:
300mg(0.74mmol)의 3-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4-t-부톡시카보닐벤젠설폰아미드와 310mg(0.81mmol)의 5-클로로-2-N-페녹시카보닐안트라닐산벤질에스테르로부터 제조예 17과 동일하게 하여 75mg(수율 26%: 4 공정)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했다. 성상: 무색 결정, 융점: >200℃(분해), PMR(δppm, DMSO-d6): 7.13-7.20(2H, m), 7.56(1H, s), 7.72(1H, d), 7.82(1H, s), 7.90(1H, d), 11.68(1H, s).
제조예 33: 4-[(7-클로로-2,4(1H,3H)-퀴나졸린디온-3-일)설포닐]-2-N-메탄설포닐안트라닐산(화합물 33)의 합성:
200mg(0.44mmol)의 화합물 17로부터 제조예 3과 동일하게 하여 81mg의 4-[(7-클로로-2,4(1H,3H)-퀴나졸린디온-3-일)설포닐]-2-N-메탄설포닐안트라닐산 t-부틸에스테르를 수득하고, 이것을 사용하여 동일한 탈부틸화 반응을 실시하고, 53mg(수율 25%: 2 공정)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했다. 성상: 무색 결정, 융점: >200℃(분해), PMR(δppm, DMSO-d6): 3.24(3H, s), 7.11(1H, s), 7.25(1H, d), 7.85-7.91(2H, m), 8.23(1H, d), 8.39(1H, s), 11.05(1H, br), 11.70(1H, s).
제조예 34: 3-(3-아미노벤젠설포닐)-7-클로로-2,4(1H,3H)퀴나졸린디온메탄설폰산염 (화합물 34)의 합성:
2.15g(6.10mmol)의 화합물 12를 65ml의 THF에 용해하고, 0.4ml의 메탄설폰산을 적하하였다. 이 용액에 200ml의 에테르를 가하여 석출한 침전을 여과 취득하여, 2.59g(수율 95%)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했다. 성상: 무색 비정질, PMR(δppm, DMSO-d6): 2.35(3H, s), 6.98(1H, d), 7.12(1H, m), 7.25(1H, m), 7.34(2H, s),7.43(1H, m), 7.86(1H, s), 11.64(1H, s).
제조예 35: 7-클로로-3-[4-(피라졸-3-일)벤젠설포닐]-2,4(1H,3H)-퀴나졸린디온염산염(화합물 35)의 합성:
합성법(B)에 따라서, 5.65g(25.34mmol)의 4-(피라졸-3-일)벤젠설폰아미드를 60ml의 THF에 용해하고, 7.8ml(52.16mmol)의 DBU를 적하하였다. 반응액을 실온에서 10분간 교반한 후, 8.5g(27.86mmol)의 4-클로로-2-페녹시카보닐아미노벤조산메틸을 가하여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400mg(0.131mmol)의 4-클로로-2-페녹시카보닐아미노벤조산메틸을 또한 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과잉의 시트르산 수용액을 가한 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여 농축하였다. 농축 잔사에 메탄올을 가하여, 교반하여 생긴 결정을 여과 취득하여, 10.49 g의 조생성물을 수득했다.
상기에서 수득된 조생성물 10.49g을 45ml의 메탄올에 현탁하고, 90ml의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가하였다. 반응액을 60℃에서 40분간 교반한 후에, 석출물을 여과 분별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메탄올을 증류 제거한 후, 수득된 물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세정하였다. 수성층을 염산 산성으로 하여 석출한 결정을 여과 취득하였다. 여과액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여 농축하였다. 농축 잔사와 상기에서 여과 취득한 결정을 합쳐 THF-아세트산에틸-헥산으로부터 재결정하고, 7.70g(수율:2 공정 72%)의 N-[4-(피라졸-3-일)벤젠설포닐]-N'-(2-카복실-5-클로로페닐)우레아(성상: 무색 결정, 융점: 129-132℃, PMR(δppm, DMSO-d6): 6.81(1H, d), 7.02(1H, dd), 7.78(1H, s), 7.89-7.92(3H, m), 7.96(2H, d), 8.24(1H, s), 10.57(1H, br)를 수득했다.
수득된 우레아체 3.0g(7.14mmol)을 60ml의 THF에 용해하고, 얼음 냉각하에서 1.2g(7.40mmol)의 CDI를 가하여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고, 시트르산 수용액, 포화 식염수, 0.5M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포화 식염수로 순차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수득했다. 조생성물을 아세트산에틸로부터 재결정하고 1.93g(수율: 67%)의 7-클로로-3-[4-(피라졸-3-일)벤젠설포닐]-2,4(1H,3H)-퀴나졸린디온(성상: 무색 결정, 융점: 124-126℃(분해), PMR(δppmn, CDCl3-CD3OD): 6.73(1H, s), 7.09(1H, s), 7.16(2H, d), 7.48(1H, s), 7.66(1H, s), 7.9-8.1(3H, m), 8.32(2H, d))을 수득했다.
상기에서 수득된 퀴나졸린체 545mg(1.35mmol)을 35ml의 THF에 용해하고, 0.4ml의 4M 염산의 1,4-디옥산 용액을 적하하였다. 이 용액에 20ml의 에테르를 가하여 석출한 결정을 여과 취득하여 572mg(수율: 96%)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했다. 성상: 무색 결정, 융점: >200℃(분해), PMR(δppm, DMSO-d6): 6.91(1H, d), 7.15(1H, d), 7.24(1H, dd), 7.84(1H, d), 7.86(1H, d), 8.01(2H, d), 8.17(2H, d), 11.7(1H, s).
실시예 1: 피검 화합물의 키마제 억제 활성의 검토
사람 심장 키마제는 우라다 등의 방법(J. Biol. Chem., 1990,265,22348)에 따라서 정제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키마제에 대한 억제 활성은 이하와 같이 측정하였다. 정제한 효소 용액을 0.1M 트리스염산 완충액(pH=7.5), 1M 염화나트륨, 및 0.01% Triton X-100으로 적당한 농도로 희석하여 효소 용액으로 하고, Suc-Ala-Ala-Pro-Phe-MCA(펩타이드겐큐쇼)의 10mM 디메틸설폭시드(이하 DMSO라 약기한다) 용액을 사용시에 0.1M 트리스염산, 1M 염화나트륨, 0.01% Triton X-100으로 20배 희석하여 기질 용액으로 하였다.
5㎕의 피검 시료의 DMSO 용액에 30℃에서 보온한 효소 용액 75㎕를 혼합하고, 30℃에서 10분간 사전 항온 처리(preincubation)를 실시하였다. 그 후, 피검 시료·효소 혼합 용액에 30℃에서 보온한 기질 용액 20㎕을 혼합하고, 30℃에서 항온 처리를 실시하였다. 10분후, 30% 아세트산 50㎕를 가하여 효소 반응을 정지하고, 생성한 AMC의 량을 형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동시에 피검 시료 대신에 5㎕의 DMSO를 가하여 동시에 반응을 실시하여, 맹검으로 하였다. 키마제 억제 활성을 맹검의 값을 기준으로 산출하고, 또한 억제율, 50% 억제 농도(IC50)를 산출하였다.
대표적인 화합물에 관해서, 이의 IC50값을 표 1에 나타낸다.
제조예 번호 IC50값(μM)
1 0.36
2 0.14
8 0.035
10 0.17
12 0.44
13 0.3
16 0.84
17 0.14
18 0.14
21 0.34
22 0.3
24 0.32
27 4.0
29 1.7
32 1.5
34 0.36
실시예 2: 아스카리스 유발 마우스 이형성 피부염 모델의 피부 반응의 경시 변화
아스카리스 유발 이형성 피부염은 이미 보고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서 유기(誘起)하였다(Folia Pharmacol Jap 112, 221, 1998). 즉, 8주 나이의 BALB/c 마우스(니혼 찰즈리바)의 복강내에, 아스카리스 추출액(800μg/ml, 코스모바이오사제)과 아람 생리 식염수 현탁액(16mg/ml)의 등량 혼합액을 0.5ml 투여함으로써 감작을 시행하고, 그 2주간후에, 아스카리스 추출액(1mg/ml) 10㎕을 우측 귓바퀴에 표피내 투여하였다. 귓바퀴에 야기된 부종의 평가는 아스카리스 추출액의 표피내 투여의 직전(n=3), 및 투여의 1시간후(n=4), 2시간후(n=4), 4시간후(n=4), 6시간후(n=4), 16시간후(n=4), 및 24시간후(n=4)에, 피부 뚫기용 펀치(직경 6mm, 후쿠이기고쇼가이샤제)를 사용하여 양쪽 귀로부터 귓바퀴 조각을 펀칭하여 그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실시하여, 오른쪽 귀의 귓바퀴 조각 중량으로부터 왼쪽 귀의 귓바퀴 조각 중량을 뺀 무게를 부종(mg)으로서 나타내었다.
아스카리스 추출액으로 감작한 마우스의 귓바퀴에 동일한 항원액을 표피내 투여함으로써 이형성 피부염이 야기된다(도 1). 1상째의 반응은 1시간후에 피크를 나타내고, 또한 2상째의 반응은 16시간후에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아스카리스 유발 마우스 이형성 피부염 모델에 있어서의 키마제 억제제의 효과
실시예 2에 기재한 방법에 따라서 피부염을 유기하고, 아스카리스 추출액의 귓바퀴에의 표피내 투여 1시간후(n=6) 및 16시간후(n=8)에, 실시예 2와 동일하게 귓바퀴 부종의 측정을 실시하여 피부염에 대한 피검 물질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키마제 억제제로서는 화합물 34을 사용하고, 대조약으로서 디펜히드라민(항히스타민제, 시그마사제) 및 프렌드니졸론(스테로이드제, 나카라이데스크사제)을 사용하였다. 어느 쪽의 피검약도 0.5%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를 포함하는 생리 식염수에 현탁하여, 아스카리스 추출액의 표피내 투여 60분전에 복강내 투여하였다. 한편, 아스카리스 추출액으로 감작을 실시한 마우스의 귓바퀴에 생리 식염수를 표피내 투여한 군을 대조로 하였다(n=3).
결과
키마제 억제제(화합물 34)를 복강내에 투여한 결과, 아스카리스 추출액에 의해서 야기된 이형성 피부염의 1시간째의 반응(즉시상(卽時相) 반응), 및 16시간째의 반응(지발상 반응)은 어느 쪽도 투여량 의존적으로 억제되어, 50mg/kg의 용량에 있어서 통계학적인 유의차가 확인되었다(도 2A). 50mg/kg에서의 억제율은, 즉시상 반응에서 약 41%, 지발상 반응에서 약 45%였다(모두 p<0.01, Dunnett's test). 아토피성 피부염에 유효하게 되는 프렌드니졸론은, 즉시상 반응에 대하여는 거의 무효이지만, 지발상 반응을 30mg/kg의 용량으로 강하게 억제하였다(억제율은 67%)(도 2B). 한편, 디펜히드라민은 즉시상 반응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지만(억제율은 79%), 지발상 반응에 대하여는 거의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도 2C).
이상, 이형성 염증 반응을 나타내는 알레르기성 피부염 모델에 있어서, 키마제 억제제가 억제 작용을 나타내었기 때문에, 알레르기성 이형성 피부염에 있어서의 키마제의 관여 및 본 피부염에 대한 키마제 억제제의 유용성이 나타났다. 특히, 항히스타민제나 항알레르기제가 거의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고 되어 있는 지발상 반응을, 스테로이드제와 동일하게 유의적으로 억제하였기 때문에, 아토피성 피부염에 있어서의 키마제 억제제의 유용성이 나타났다. 이형성 피부 반응에 있어서의 키마제의 중요성을 더욱 확인할 목적으로, 이하의 실시예 4 내지 6에서는 사람 키마제를 마우스의 귓바퀴에 접종함으로써 유발되는 피부 병태를 해석하였다.
실시예 4: 사람 키마제 단회 투여에 의한 피부염 유기 작용
시험에는 유전자 재조합형의 사람 키마제를 사용하였다. 유전자 재조합형 사람 키마제는 이미 보고되어 있는 세린형 프로테아제 생산법(BiochemBiophys Acta 1350, 11, 1997)에 준하여 발현 및 정제를 실시함으로써 취득하였다. 즉, 우선 성숙형 사람 키마제를 암호화하는 cDNA(79-756)(J Biol Chem 266, 17173, 1991)를 PCR법에 의해서 증폭하고, 이 PCR 산물을 사람 트립신 II의 시그날 배열 및 엔테로키나제의 절단 부위를 포함하는 영역(23 아미노산)과 동시에 pDE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구축된 사람 키마제 발현 플라스미드는 CHOdhfr-세포에 트랜스펙션하고, 유전자 도입된 세포는 이미 보고된 방법(Arch Biochem Biophys 307, 133, 1993)에 의해 선별하였다. 수득된 세포의 배양 상청액 중에 분비된 사람 키마제와 트립신의 융합 단백질은 HiTrap 헤파린 컬럼(Amersham Pharmacia Biotech사제)을 사용하여 농축한 후, 엔테로키나제(Invitrogen사제)를 작용시킴으로써, 사람 성숙형 키마제를 생성시켰다. 사람 성숙형 키마제는 헤파린(Heparin) 5PW 컬럼(Tosoh Corp사제)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정제된 키마제는 SDS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 전기영동법으로 검정한 결과, 33-36kDa의 광범위한 단일 밴드로서 동정되었다. 또한 이의 효소 활성을 0.1M TRIS/HCl 완충액(pH 8.0) 속에서 1mM Suc-Ala-A1a-Pro-Phe-MCA(Peptide Institute사제)를 기질로 하여 측정한 결과, 유리한 MCA의 형광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키마제 활성을 동정할 수 있었다.
다음에 키마제의 피부염에 있어서의 역할을 조사할 목적으로, 상기의 재조합형 사람 키마제(이하 사람 키마제라 약기한다)(0.1mg/ml) 20㎕를 BALB/c 마우스(니혼 찰즈리바사)의 한 쪽의 귓바퀴에 표피내 투여하여, 귓바퀴의 부종 반응의 경시 변화를 실시예 2에 기재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N=3 내지 4). 한편, 비만세포의 염증성 매개체인 히스타민을 동일하게 표피내 투여하고, 이의 경시 변화를 사람 키마제 투여의 경우와 비교하였다. 히스타민(Sigma-Aldrich사제)은 생리 식염수에 용해하여(0.25mg/ml) 사용하였다.
결과
도 3A에 나타내는 것같이, 사람 키마제(2.0μg/귀)를 마우스 귓바퀴에 투여함으로써, 실시예 2의 경우에 나타낸 알레르기성 피부염 반응에 유사하는 이형성 부종 반응이 야기되었다. 즉, 1상째의 피부 반응은 키마제 투여후 빠르게 유기되어, 30분 내지 1시간후에 피크에 달하였다. 또한 2상째의 피부 반응은 6시간후에 피크를 나타내고, 적어도 24시간 지속하였다. 한편, 히스타민을 접종한 경우에도 빠른 부종 반응이 유발되었지만, 이 피부 반응은 키마제를 접종한 경우와 대조적으로 야기 20시간후에는 완전히 소실하였다(도 3B). 사람 키마제 유발 피부염에 대한 키마제의 용량의 영향을 조사한 바, 1상째(1시간후)의 반응은 용량 의존적이고, 검토한 키마제량 중에서는 2.0μg/귀에서 최대의 반응이 관찰되었다(도 4A). 한편, 2상째(16시간후)의 반응에서는 0.5μg/귀와 1.0μg/귀에서의 반응은 동일한 정도이지만, 1상째의 반응과 같이 2.0μg/귀에서 최대 반응이 얻어졌다(도 4B).
이상, 사람 키마제를 마우스에 표피내 투여함으로써 피부염이 야기되고, 이의 경시 변화가 아토피성 피부염의 급성 모델인 항원 유발 이형성 피부염의 그것에 유사한 것이 나타났기 때문에, 이형성 피부염에 있어서의 키마제의 관여가 나타났다.
실시예 5: 키마제 단회 투여에 의하여 야기되는 피부염에 있어서의 키마제 활성의 관여
실시예 4에서 나타낸 사람 키마제에 의해서 야기되는 피부염에 키마제의 효소 활성이 관여하는지 여부를 검토할 목적으로, 열처리에 의해서 효소 활성을 소실시킨 사람 키마제의 작용을 조사하였다. 사람 키마제의 열처리는 0.1mg/ml의 사람 키마제 용액을 50℃에서 2시간 항온 처리한 후, 100℃에서 5분 펄펄 끓임으로써 실시하였다. 또한 사람 키마제(2.0μg/귀)의 마우스 귓바퀴에의 투여는 실시예 4에 기재한 방법에 의해 실시하고, 피부염 평가는 야기 1시간후에 실시하였다.
사람 키마제를 열처리한 결과, 사람 키마제에 의해서 야기되는 부종 반응은 완전히 소실하였다(p<0.01 vs 무처리 키마제 투여군, Student's t-test, N=4)(도 5). 이 결과는 사람 재조합형 키마제에 의해서 야기되는 피부염에 키마제 활성이 필수인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6: 키마제 단회 투여에 의하여 야기되는 피부염의 조직학적 해석
이형성 피부염에 있어서의 키마제의 관여를 더욱 상세히 조사할 목적으로, 키마제에 의해서 야기되는 피부염의 병리 조직학적인 해석을 붙여, 실시예 2에서 나타낸 이형성 피부염과 비교하였다. 각각의 피부염은, 실시예 2 및 실시예 4에 기재한 방법에 따라서 유기하였다(사람 키마제의 투여량은 2.0μg/귀). 양쪽 모델에 있어서의 1시간후 및 24시간후의 귓바퀴를 포르말린 고정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파라핀 절편을 제작하였다. 절편은 헤마톡실린과 에오신을 사용하여 염색후, 현미경 관찰 및 사진 촬영을 실시하였다. 한편, 음성 대조로서 정상 BALB/c 마우스의 귓바퀴 절편을 사용하였다.
키마제 피부염 야기의 1시간후의 절편(도 6D)에서는 정상 마우스의 귓바퀴 절편(도 6A)에 비교하여 현저한 비후가 관찰되었지만, 백혈구의 침윤이라는 관점에서는 양자에 차위(差違)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렇지만 도 6E에 나타내는 것같이, 키마제 야기 24시간후의 절편에서는 현저한 세포의 침윤이 관찰되었다. 이 키마제 피부염에서 나타낸 조직상 변화의 패턴은 아스카리스 유발 이형성 피부염 모델의 그 것(도 6B, C)에 극히 유사하고 있었다. 즉, 조직의 비후는 1시간째에서 현저하지만, 세포 침윤은 24시간후의 절편에서만 관찰되었다. 이상, 키마제에 의해서 야기되는 피부염이 병리 조직학적인 해석에 있어서도 항원에 의해서 유발되는 이형성 피부염에 유사한 것이 나타났다.
이하의 실시예 7 및 실시예 8에 있어서, 키마제에 의해서 야기되는 피부염의 작용 기작에 관해서 해석을 실시하여, 이형성 피부염에 있어서의 키마제의 역할을 조사하였다.
실시예 7: 마우스 세포 결손 마우스에 있어서의 사람 키마제 유발 피부염
키마제가 래트 복강 비만세포에 대하여 탈과립 반응을 야기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는 점에서(J. Immunol. 136, 3812, 1986), 키마제에 의해서 야기되는 피부염이 비만세포로부터의 염증성 매개체 유리를 통하여 일어나고 있을 가능성이 생각되었기 때문에, 비만세포를 가지지 않는 변이 마우스(Blood 52, 447-425, 1978)를 사용하여, 키마제 유발 피부염에 있어서의 비만세포의 관여를 검토하였다. 한편, 비만세포 결손(WBB6F1-W/WV) 마우스 및 이의 대조 마우스(WBB6F1-+/+)는 모두 일본 SLC사로부터 입수하였다. 키마제 피부염은 사람 키마제(2.0μg/귀)를 표피내 투여함으로써 야기하고, 실시예 4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1시간후 및 16시간후에 있어서의 부종 반응을 평가하였다.
도 7A 및 7B에 나타내는 것같이, 비만세포 결손(WBB6F1-W/WV) 마우스라도, 1시간후(도 7A) 및 16시간후(도 7B)에 있어서 대조 마우스(WBB6F1-+/+)와 같은 정도의 피부 반응이 관찰되었다. 이 결과, 키마제는 비만세포의 유무에 관계하지 않고, 이형성 피부 반응을 야기하는 것이 나타났다.
실시예 8: 사람 키마제의 사람 다핵 백혈구에 대한 유주 촉진 작용
실시예 6에서는 사람 키마제 유발 피부염의 2상째의 반응에서 현저한 백혈구 침윤이 관찰되는 것이 나타났다. 키마제의 백혈구 침윤 유도의 작용 기작을 조사할 목적으로, 시험관내에서의 사람 키마제의 다핵 백혈구(PMN)의 유주(遊走)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PMN은, 건강한 정상인에 의하여 헤파린 채혈한 혈액에 1/5량의 6% 덱스트란 용액을 가하여 37℃에서 1시간 정치후, 이의 상청액을 Ficoll-Paque(아머샴파마시아바이오테그사제)에 중층(重層)하여 원심함으로써 분리하였다. 또한 PMN의 유주능은 48홀제 케모탁시스 챔버(Neuro Probe사제)를 사용하여, 문헌(생물약과학 실험 강좌 12, 315, 히로가와쇼덴)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즉, 챔버의 홀의 하실에 사람 키마제(200-800nM) 또는 fMLP(N-포밀-L-메티오닐-L-류실-L-페닐알라닌, Sigma-Aldrich사제)(10nM)을 포함하는 배지를 넣고, 상실과 하실의 사이를 폴리카보네이트제의 필터(구멍 직경 5μm)(Neuro Probe사제)로 칸막이 하였다. 상실에 PMN(1×106/ml)을 넣어 37℃에서 1시간 배양한 후, 필터를 고정, 염색하여, 막내의 세포수를 현미경하(400배)에서 계측하였다(생물약과학 실험 강좌 12, 315). 한편, 세포 염색에는 헤마칼라액(머크사제)을 사용하였다. 본 시험에서 키마제 억제제의 효과를 조사하는 실험에서는 키마제 억제제(화합물 18 또는 화합물 34)를 디메틸설폭시드에 용해하고, 사람 키마제 첨가의 직전에 사람 키마제와 같이 챔버의 하실에 추가하였다. 그 때의 디메틸설폭시드의 최종 농도는 1%가 되도록 화합물 농도를 조제하였다.
도 8A에 나타내는 것같이, 사람 키마제는 사람 PMN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인 유주 촉진 활성을 나타내고, 400nM 이상의 농도에 있어서 통계학적인 유의차가 확인되었다(p<0.05, Dunnett's test). 사람 키마제는 200-400nM의 농도에 있어서 10nM의 fMLP와 같은 정도의 유주 촉진 활성를 나타내었기 때문에, fMLP의 약 1/30 정도의 활성을 갖고 있는 것이 추측되었다. 이 사람 키마제의 사람 PMN 유주 촉진 작용은, 키마제 억제제인 화합물 18 및 화합물 34에 의해서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도 8B). 이들의 결과는 키마제가 다핵 백혈구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이의 유주능을 높이는 것을 시사함과 동시에, 이의 작용에 효소 활성이 관여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상, 항원 야기에 의해서 비만세포로부터 방출되는 키마제를 외부로부터 마우스 귓바퀴에 투여함으로써 이형성 피부염의 병태를 야기할 수 있는 점(실시예 4 내지 6)에서, 키마제가 이형성을 나타내는 피부 반응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나타내는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 또한 실시예 7 및 8로부터는 키마제가 이형성 피부 반응에 관여하는 그 기작도 분명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형성 염증 반응인 아스카리스 유발 이형성 피부염에서 키마제 억제제의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실시예 2 및 실시예 3)
다음에, 반복하여 항원에 노출되는 것에 의해 야기되는 피부염의 모델로서 마우스의 합텐 반복 도포 피부염 모델을 사용하고, 본 모델을 해석함과 동시에 본 모델에게 있어서의 키마제 억제제의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9: 합텐 반복 도포 마우스 피부염 모델에 있어서의 귓바퀴 비후 증가의 경시 변화
합텐으로서 디니트로플루오로벤젠(DNFB)을 사용하고, 이미 보고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서 피부염을 야기하였다(J. Pharmacol. Exp. Ther. 283, 321, 1997). 즉, 8주 나이의 자성 C3H/HeN 마우스(니혼 클레아)(n=7)의 우측 귓바퀴에, 아세톤/올리브 오일 용액(3:1)에 용해한 0.15% DNFB(25㎕)를 7일 마다 6회 반복 도포하였다. 각 회의 합텐 도포의 때에, 도포 직전과 도포의 1시간후, 6시간후, 24시간후 및 48시간후의 귓바퀴 두께를 마이크로미터(Digimatic Indicator, Mitsutoyo사제)로 측정하여, 1회째의 합텐 도포전의 귓바퀴 두께에 대한 증가량을 구하였다. 한편,DNFB를 포함하지 않은 아세톤/올리브 오일 용액(3:1)을 동일하게 도포한 군을 대조로 하였다. 또한, 상기와 별도의 시험에 있어서, 3회째의 합텐 도포의 직전에 귓바퀴를 절제하여, 이미 보고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서, 피부의 키마제 형태 활성을 측정하고(n=3), DNFB를 포함하지 않은 아세톤/올리브 오일 용액(3:1)을 도포한 마우스(n=2)의 활성과 비교하였다.
DNFB를 도포함으로써 일과성의 피부 반응이 야기되고, 이 일과성의 피부 반응은 도포의 회수가 증가할 때마다 서서히 커진다(도 9). DNFB의 반복 도포에 의해서, DNFB에 대한 반응성의 증가에 추가하여, 도포전의 귓바퀴 두께(기초치)도 점차로 증가하였다. 예를 들면, 도포 개시 5주째에 있어서는 도포 직전의 귓바퀴 두께는 1회째의 도포전의 귓바퀴에 비교하여 약 240μm 증가하고 있다(도 9). DNFB를 포함하지 않은 용제만을 도포한 대조군에서는 귓바퀴 비후는 어느 쪽의 시점에서도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3회째의 합텐 도포의 직전에 귓바퀴의 키마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DNFB를 포함하지 않은 용제만을 도포한 대조군에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키마제 형태 활성이 확인되었다(p<0.05, student's t-test)(도 10). 이상, 합텐인 DNFB를 마우스의 귓바퀴에 반복 도포함으로써, 키마제 활성의 증가와 동시에 현저한 일과성의 피부 반응에 추가하여, 지속적인 피부 비후가 유도되는 것이 나타났다.
실시예 10 합텐 반복 도포 마우스 피부염 모델에 있어서의 키마제 억제제의 효과
실시예 9에 기재한 방법에 따라서 피부염을 야기하고(n=7), 실시예 9와 동일하게 귓바퀴 두께의 측정을 실시함으로써 피부염에 대한 피검 물질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피검 물질로서는 키마제 억제제 3 화합물(화합물 18, 화합물 34, 화합물 35)과 대조약으로서 스테로이드제인 프렌드니졸론(나카라이데스크사제)를 사용하였다. 한편, 피검 물질은 실시예 3과 동일하게 0.5%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를 포함하는 생리 식염수(HPC/식염수)에 현탁하고, 10mg/kg 또는 50mg/kg의 용량으로 합텐 도포 개시 직전으로부터 1일 1회, 매주 5일간 연일, 실험 종료까지 복강내에 투여하였다. 또한, 동일하게 DNFB의 도포를 실시하여, 피검 물질의 대신에 HPC/생리 식염수를 투여한 군을 대조로 하였다.
프레드니졸론은 본 모델에 있어서의 피부염을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도 11A). 한편, 키마제 억제제도 합텐 도포에 의한 일과성의 피부 반응을 특히 4주째 이후(합텐 초회(初回) 도포의 3주간후 이후)에서 현저하게 억제하였다(도 11B-D). 예를 들면, 화합물 35는 4 내지 6주째(합텐 초회 도포의 3주간후 이후)에 있어서 50mg/kg으로 합텐 도포후, 1시간, 6시간, 24시간, 48시간에 있어서의 귓바퀴 두께 증가가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p<0.05, Dunnett's test). 또한 화합물 34에서도 50mg/kg에서 5주째 이후(합텐 초회 도포의 4주간후 이후)에 있어서 동일하게 야기 1 내지 48시간후의 피부 반응이 유의적으로 억제되고, 10mg/kg에서는 5주째(합텐 5회 도포후)의 1, 24, 48시간후와 6주째(합텐 6회 도포후)의 1시간후에 유의한 억제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화합물 18에 있어서는 50mg/kg에서 4, 5주째(합텐 4회 도포후 및 5회 도포후)의 야기 1 내지 24시간후의 반응과, 6주째(합텐 6회 도포후)의 1 내지 48시간후의 반응이 유의적으로 억제되어, 10mg/kg에서도 6주째(합텐 6회 도포후)의 야기 1 내지 48시간후 등에서 유의한 효과가 얻어졌다.
이상, 키마제 억제제에 의한 합텐 반복 도포 마우스 피부염 모델에 있어서의 부종 억제 효과가 확인되었다.
실시예 11: 합텐 반복 도포 마우스 피부염 모델에 있어서의 피부 호산구 증가에 대한 키마제 억제제의 효과
실시예 10의 시험에 있어서의 피부 호산구 침윤에 대한 키마제 억제제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즉, 6회째의 합텐 도포의 48시간후에 각 마우스의 귓바퀴를 포르말린 고정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파라핀 절편을 제작하였다. 절편은, 호산구를 특이적으로 염색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는 퍼스트그린(Fluka사제)(Current Protocol in Imuunology, Wiley Interscience)을 사용하여 염색하였다. 즉, 탈파라핀 조작을 실시한 절편을 100% 메탄올로 1분간 고정한 후, 70% 에탄올에 0.2%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한 퍼스트그린으로 30분간 염색을 실시하였다. 호산구의 계측은 현미경하, 400배의 시야에서 무작위로 10시야를 선택하고, 접안 렌즈에 장착한 그리드를 사용하여 단위면적당의 세포수를 세었다. 키마제 억제제로서는 화합물 18, 화합물 34를 사용하고, 실시예 10에 기재된 방법으로 투여하였다. 또한, DNFB를 포함하지 않은 아세톤/올리브 오일 용액(3:1)을 도포한 군을 비야기 대조군으로 하여, DNFB의 도포를 실시하여, 피검 물질의 대신에 HPC/식염수를 투여한 군을 키마제 억제제 투여군의 대조로 하였다.
도 12에 나타내는 것같이, 피부 호산구 수는 합텐의 반복 도포에 의해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대조군의 약 22배, p<0.01, Student's t-test). 키마제 억제제(화합물 18)를 투여한 결과, 이 호산구 증가는 화합물 18의 투여량 의존적으로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 즉, 10mg/kg 및 50mg/kg에서의 억제율은 각각, 37.1% 및 60.5%였다. 화합물 34도 이러한 호산구 증가에 대하여, 통계학적인 유의차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용량 의존적인 억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 키마제 억제제가 합텐 반복 도포 모델에 있어서의 피부 호산구 증가를 억제하는 것이 시사되었다.
실시예 12: 합텐 반복 도포 마우스 피부염 모델에 있어서의 피부 비만세포수 증가에 대한 키마제 억제제의 효과
실시예 10의 시험에 있어서의 피부 비만세포 증가에 대한 키마제 억제제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합텐을 6회 도포한 48시간후에 각 마우스의 귓바퀴를 포르말린 고정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파라핀 절편을 제작하였다. 절편은 톨루이딘블루법에 의해 비만세포를 염색한 후, 현미경하(×400), 각 절편은 10시야의 비만세포수를 계측하고, Kitagaki 등의 방법(J. Invest. Dermatol, 105, 749, 1995)에 준하여 피부 비만세포 밀도를 측정하였다. 키마제 억제제로서는 화합물 18, 화합물 34를 사용하고, 실시예 10에 기재된 방법으로 투여하였다. 또한, DNFB를 포함하지 않은 아세톤/올리브 오일 용액(3:1)을 도포한 군을 비야기 대조군으로 하여, DNFB의 도포를 실시하여, 피검 물질의 대신에 HPC/식염수를 투여한 군을 키마제 억제제 투여군의 대조로 하였다.
도 13에 나타내는 것같이, 피부 비만세포 밀도는 합텐 도포에 의해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지만(비야기군의 약 2.5배), 키마제 억제제(화합물 18 및 화합물 34)를 투여한 결과, 이 비만세포 밀도 증가는 양쪽 화합물 모두 어느 쪽의 용량에 있어서도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 화합물 18의 억제율은 10mg/kg에서 약 57%, 50mg/kg에서 약 64%, 화합물 34의 억제율은 10mg/kg에서 약 37%, 50mg/kg에서 약 51%였다. 도 14에는 대표적인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도 14A는 비야기 마우스의 귓바퀴, 도 14B는 DNFB를 도포한 마우스에 HPC/식염수를 투여한 마우스의 귓바퀴(DNFB 6회 도포의 48시간후), 그리고 도 14C는 DNFB를 도포한 마우스에 화합물 34를 투여한 마우스의 귓바퀴(DNFB 6회 도포의 48시간후)를 나타낸다. 이상, 키마제 억제제가 합텐 반복 도포 모델에 있어서의 피부 비만세포수 증가를 억제하는 것을 판명하였다.
실시예 13: 사람 키마제 빈회(頻回) 투여에 의한 피부염 유기 작용
반복하여 항원(알레르기 유발 항원)에 노출되는 피부염에 있어서의 키마제의 역할을 조사하기 위해서, 사람 키마제를 마우스 귓바퀴에 반복하여 표피내 투여하였다. 사람 키마제의 투여 방법은 실시예 4에 기재한 방법에 따라 주 1회 실시하고(2.0μg/귀/투여), 각 회의 키마제 투여의 직전과 투여의 1시간후, 6시간후, 24시간후 및 48시간후의 귓바퀴 두께를 마이크로미터(Digimatic Indicator, Mitsutoyo사제)로 측정하여, 1회째의 키마제 투여전의 귓바퀴 두께에 대한 증가량을 구하였다. 또한, 실시예 5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열처리를 한 키마제를 조제하여, 그 효과를 동시에 검토하였다.
사람 키마제를 마우스 귓바퀴에 표피내 투여함으로써 일과성의 피부 반응이 야기되었다. 키마제에 대한 반응성은 키마제 투여가 1 내지 3회의 사이는 거의 같은 정도이지만, 4 또는 5회 투여함으로써 증폭되었다(도 15). 사람 키마제를 열처리한 경우에는 일과성의 반응은 확인되지 않고, 또한 이 불활화 키마제를 반복하여 투여한 경우에도 전혀 피부 반응은 검출되지 않았다(도 15). 이것은, 관찰된 피부 반응이 키마제의 효소 활성에 유래하는 것, 및 키마제를 4 내지 5회 투여하였을 때에 보이는 피부 반응의 증폭 현상이, 마우스에 이종 단백질을 투여한 것에 의한 것이 아닌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14: 사람 키마제 빈회 투여의 피부 호산구 수에 대한 효과
사람 키마제를 마우스 귓바퀴에 반복하여 표피내 투여하여 피부 호산구 수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사람 키마제의 마우스 귓바퀴에의 반복 투여는 실시예 13에 기재한 방법에 따라서 실시하고, 피부 호산구 수의 계측은 실시예 11에 기재한 방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한편, 대조로서 생리 식염수를 반복하여 투여한 귓바퀴 조직을 사용하였다.
도 16에 나타내는 것같이, 2.0μg의 사람 키마제를 1회 투여한 24시간후의 귓바퀴에 있어서는 생리 식염수를 투여한 귓바퀴에 비교하여, 호산구 수가 약 7.6배로 증가하였다(p<0.01, Student's t-test). 사람 키마제를 또한 1주간 간격으로 합계 4회 투여하고, 그 1주간후에 동일하게 피부 호산구 수를 계측한 바, 호산구수는 더욱 증가하여 생리 식염수 투여군의 약 21배였다(p<0.01, Student's t-test). 이상, 키마제가 피부 호산구 수를 증가시켜, 이의 증가율이 키마제의 노출 빈도에 의존할 가능성이 나타났다.
실시예 15: 사람 키마제 빈회 투여의 피부 비만세포수에 대한 효과
사람 키마제를 마우스 귓바퀴에 반복하여 표피내 투여하여 피부 비만세포수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사람 키마제의 반복 투여는 실시예 13에 기재한 방법에 따라서 실시하여, 키마제 투여의 1주간후에 실시예 12에서 기재한 방법, 또는 피부 히스타민 함량을 측정하는 방법에 의해 피부 비만세포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피부 히스타민 함량의 측정은, 귓바퀴를 절제후 20mM TRIS-HCl 완충액(pH=7.5) 속에서 균질화하고, 이의 추출액을 원심(10.000rpm, 10분)한 상청액 중의 히스타민량을 ELISA키트(의학생물학연구소제)를 사용하여 정량함으로써 실시하였다. 한편, 대조로서 생리 식염수를 반복하여 투여한 귓바퀴 조직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2에서 기재한 방법에 따라서 피부 비만세포수의 변화를 관찰한 바, 사람 키마제 투여에 의해서 비만세포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보였다. 그렇지만 세포수 증가는 반드시 현저하지 않았다. 이 피부 비만세포수의 증가를 보다 객관적으로 또한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조직의 비만세포수의 지표인 피부 히스타민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7에 나타내는 것같이, 사람 키마제를 4회 투여한 1주간후에 있어서, 피부 히스타민 함량이 생리 식염수 투여군에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부터, 비만세포 유래의 키마제가비만세포 자신에 작용한다고 하는 양(포지티브)의 피드백 기구의 존재가 시사되었다.
실시예 16: 사람 키마제 투여의 간세포 인자(SCF)에 대한 효과
사람 키마제를 투여하였을 때에 피부의 비만세포수가 증가하는 그 작용 기작을 명확히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비만세포의 분화 증식 인자로서 공지되어 있는 간세포 인자(SCF)(Blood 90, 1345, 1997)의 발현을 면역 조직 염색법에 의해 해석하였다. 실시예 4에 기재한 방법에 의해 사람 키마제(2.0μg/귀)를 마우스 귓바퀴에 투여하여, 1시간후, 6시간후, 및 24시간후의 귓바퀴를 채취하여, 일정한 방법에 따라서 5μm의 동결 조직 절편을 제작하였다. 대조로서 정상 마우스의 귓바퀴 절편을 사용하였다. 면역 조직 염색으로서는 1차 항체로서 항마우스 SCF 염소 IgG(R&D Systems사제)를 사용하고, PAP키트(DAKO사제)에 의해 검출을 실시하였다. 또한 네거티브 컨트롤로서 SCF 항체의 대신에 정상 염소 IgG(Vector laboratories사제)를 사용하였다. 또한 면역 염색 종료후, 통상적인 방법(염색법의 전부, 의치약출판)에 따라 메틸그린(와코준야쿠제)을 사용한 핵 염색을 실시하였다.
정상 마우스 귓바퀴에서는 표피 각질층 주변에 강한 발색이 관찰되었다(도 18A). 한편, 1차 항체로서 항 SCF 항체의 대신에 정상 염소 IgG를 사용한 경우에는 전혀 발색은 보이지 않고, 각질층에 있어서의 발색이 특이적인 것이 나타났다. 한편, 키마제를 투여한 마우스의 귓바퀴에서는 각질층 주변의 염색은 투여후의 시간 의존적으로 약해져, 24시간후의 귓바퀴에서는 거의 발색이 보이지 않았다(도 18B).
실시예 17: 사람 키마제의 사람 케라티노사이트에 있어서의 SCF 발현에 대한 효과
사람 키마제의 시험관내에서의 사람 정상 케라티노사이트의 SCF 발현에 대한 효과를 검토하였다. 사람 정상 케라티노사이트는 Cell Applications사에서 입수하였다. 배양한 케라티노사이트를 비효소 세포 분해 완충액(GJBC0 BRL사제)에 의해서 채취하여, PBS에서 3회 세정후, 106/50㎕의 세포 농도로 조제하여, 사람 키마제를 가하여 37℃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키마제의 반응은 소 태아 혈청(FCS)을 최종 농도가 10%가 되도록 첨가함으로써 정지시킨 후, 원심에 의해서 세포를 제거한 상청액 중의 SCF를 ELISA키트(PeproTecb사제)에 의해 정량하였다. 또한 키마제의 케라티노사이트에 대한 세포 상해성을 세포독성 검출 키트(Roche Molecular Biochemicals사제)를 사용하여 락테이트데하이드로게나제(LDH) 유리를 지표로 하여 조사하였다.
도 19에 나타내는 것같이, 사람 케라티노사이트를 사람 키마제 존재하에서 10분간 항온 처리함으로써 키마제의 농도 의존적으로 SCF 유리가 촉진되었다. 사람 키마제 비존재하에서 10분간 항온 처리한 경우의 SCF 유리량은 항온 처리하지 않은 경우와 거의 같은 정도였다. 한편, 상청액 중의 LDH 유리는 본 조건에서는 거의 변화하지 않고, 사람 키마제에 의한 SCF 유리가 세포 상해에 의한 것이 아닌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 사람 키마제가 사람 케라티노사이트의 막 결합형 SCF에 작용하여, 유리형 SCF를 방출시키는 것이 시험관내에서 나타났다.
SCF는 스플라이싱의 차이에 의해 SCF248과 SCF220의 2종의 분자가만들어진다(Blood 90, 1345, 1997). SCF248은 일단, 세포질막 단백질로서 합성된 후, 어떠한 단백질 분해 효소에 의해서 프로세싱을 받아 유리형 SCF가 되어 세포외로 방출된다. 한편, SCF220은 효소에 의해서 분해되는 부위를 결실하고 있기 때문에, 막 단백질로서만 기능한다(Blood 90, 1345, 1997). Longley 등은, 건강한 정상인의 피부의 SCF는 주로 표피의 케라티노사이트의 세포막상에 발현하고 있지만, 피부 비만세포 증다를 병발하는 피부염에서는 세포상의 SCF의 발현이 보이지 않게 되어, SCF는 진피 중이나 케라티노사이트의 세포 간극에 검출된다고 하는 데이터를 나타냈다(N. Engl. J. Med. 328, 1302, 1993). 또한 SCF220과 SCF248의 양쪽을 과잉 발현시킨 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는 피부 비만세포수 증가가 관찰되지만, SCF220만을 과잉 발현시킨 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는 이러한 현상은 보이지 않았다(J. Exp. Med. 187, 1565, 1998). 이들의 지견은, 막 결합형과 유리형의 SCF에서는 병태 생리학적인 역할이 다르고, 특히 유리형 SCF가 피부 비만세포수 증가와 밀접하게 관련하는 것을 시사한다. 실제로 유리형 SCF를 사람의 피부에 투여함으로써 피부의 비만세포수가 증가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J. Exp. Med. 183, 2681, 1996).
Longley 등은 또한, 사람 키마제가 막 결합형 SCF를 절단하여 유리형 SCF로 변환하는 것을 보고하고 있다(Proc. Natl. Acad. Sci. USA, 94, 9017, 1997). 실시예 16에서 얻어진 결과는 이 Longley 등의 데이터를 생체내에서 증명한 전혀 신규의 지견이고, 실시예 17의 결과는 사람 세포를 사용하여 나타낸 최초의 데이터이다. 또한, 이 실시예 16 내지 17의 결과는 실시예 15에서 나타낸 키마제 투여에 의한 피부 비만세포수 증가나 실시예 12에서 나타낸 키마제 억제제에 의한 피부 비만세포수 증가 억제 작용의 작용 기작을 설명하는 데이터라고 말할 수 있다.
이상, 항원 야기에 의해서 비만세포로부터 방출되는 키마제를 인공적으로 외부에서 마우스 귓바퀴로 반복 투여함으로써 투여 회수의 증가와 동시에 피부 반응이 증폭된다는 점(실시예 13)으로부터, 키마제가 반복하여 항원에 노출되는 것에 의해 야기되는 피부염에서 중요한 역할을 나타내는 것이 분명하게 되고, 또한 합텐 반복 도포 피부염에서의 피부의 호산구나 비만세포의 증가를 키마제 억제제가 억제하고(실시예 11 내지 12) 키마제 투여에 의해 피부의 호산구나 비만세포가 증가한다는 것(실시예 14 내지 15)으로부터, 키마제가, 알레르기 반응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호산구나 비만세포의 수를 제어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 그리고, 반복하여 항원에 노출되는 점에 의해 야기되는 피부염의 모델인 합텐 반복 도포 피부염 모델에서 키마제 억제제가 피부염의 병태를 개선하는 것이 나타났다.(실시예 9 내지 10)
다음에, 반복하여 항원에 노출되는 것에 의해 야기되는 피부염의 2번째의 모델로서 자연 발증 피부염(NC/Nga) 마우스에 대한 키마제 억제제의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18: 자연 발증 피부염(NC/Nga) 마우스에 대한 키마제 억제제의 효과
NC/Nga 마우스의 번식 및 사육은 기보(Progress in Medicine 19, 1201,1999)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일본 찰스리버사에서 입수한 공기 중 미생물 제어(Specific Patogen Free, 이하 SPF)하에서 사육한 5주 나이의 NC/Nga 마우스를 6주 나이부터, 히로시마대학 생물생산학부에서 번식시킨 NC/Nga 마우스와 혼합시켜, 15주 나이까지 SPF가 아닌 통상 환경하에서 번식시킨 후, 실험에 제공하게 하였다. 시험은 통상 환경하에서 실시하였다. 피검 물질(화합물 18)은 음용수에 섞어, 150mg/kg/일에서 연일 35일간 제공하여(N=7), 기보(Progress in Medicine 19, 1201, 1999)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즉, 우선 투여 개시 35일후에 있어서, ① 소파(搔破) 행동, ② 부종, ③ 발적·출혈, ④ 탈모·궤양, ⑤ 건조의 5항목에 관해서 0 내지 2로 점수화하여 이의 총합을 구하는 것으로 피부의 외관 소견을 판정하였다. 그 후, 귓바퀴 및 등 피부를 포르말린 고정후, 파라핀 포매(包埋)를 실시하고, 귓바퀴 표본은 헤마톡실린·에오신법, 톨루이딘블루법, 또는 콩고레드법(Stain Technol 56, 323, 1981)으로, 또한 등 피부는 톨루이딘블루법 또는 콩고레드법으로 염색하여 조직학적인 해석을 실시하였다.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을 실시한 귓바퀴 절편은, ① 표피의 두께, ② 진피의 두께, ③ 세포 침윤의 3개의 항목에 관해서 0 내지 3의 4단계에서 조직 변화를 판정하여 그 점수의 총합으로 나타내는 것에 의해 평가하였다. 또한 톨루이딘블루 염색 및 콩고레드 염색에 의한 표본은, 각각 비만세포 및 호산구의 계수에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등 피부의 호산구는 400배의 현미경 시야에 있어서, 그 이외에 관해서는 200배의 시야에서 어느 것이나 합계 5시야의 세포를 계수하여 그 총수로서 나타내었다.
도 20A 및 20B에 나타내는 것같이, 시험 개시시(15주 나이)에 있어서는 대조군과 키마제 억제제(화합물 18) 투여군으로 이의 피부 증상의 점수에 차이가 보이지 않았지만(도 20A), 키마제 억제제를 제공한 35일후에서는 피부염 점수가 대조군에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Mann-Whitney test)(도 20B). 동일하게, 귓바퀴의 조직 소견 점수도 키마제 억제제의 투여에 의해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도 21, p<0.05, Mann-Whitney test). 한편, 귓바퀴 피부(도 22A) 및 등 피부(도 22B)의 비만세포수를 계측한 결과, 어느 쪽의 표본에서도 키마제 억제제 투여에 의한 유의한 억제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동일하게 귓바퀴 피부(도 23A) 및 등 피부(도 23B)의 호산구 수는 모두 키마제 억제제에 의해서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것이 나타났다.
이상, 공기중의 미생물을 제어하지 않는 환경하에서, 공기중의 항원(알레르기 유발 항원)에 반복하여 노출되는 것에 의해 발증한다고 생각되고 있는 자연 발증의 아토피성 피부염 모델에 있어서, 키마제 억제제가 이의 피부의 외관 소견, 피부의 조직 소견을 개선하여, 비만세포 호산구 침윤을 억제하였기 때문에, 반복하여 항원에 노출되는 것에 의해 야기되는 피부염에 대한 키마제 억제제의 유용성이 나타났다.
제제예 1: 정제의 제조
100.0g의 화합물 1을 미세 결정 셀룰로스 22.5g 및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2.5g과 혼합하고, 단발적 타정기로써 타정하여, 1정중 200mg의 화합물 1을 함유한직경 9mm, 중량 250mg의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과립제의 제조
30g의 화합물 1을 유당 265g 및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5g과 잘 혼합하고, 혼합물을 압축 정형한 후, 분쇄, 정립(整粒)하고, 체로 분별하여 20 내지 50메시의 양호한 10% 과립제를 수득했다.
제제예 3: 직장 좌제의 제조
위텝졸 H-15(다이너트노벨사제)를 가온 융해하고, 이것에 화합물 1을 농도 12.5mg/ml가 되도록 가하고, 균일하게 혼화하고, 이어서 이것을 직장 좌제용 금형에 2ml씩 주입하고 냉각하여 1제 중에 25mg의 화합물 1을 함유하는 직장용 좌제를 수득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키마제 억제제가 이형성 피부의 염증 반응 또는 이의 지발상 반응을 개선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의 동물질환 모델의 하나인 합텐 반복 도포 피부염의 피부 비후에 대하여 유효하여,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은, 이형성 염증 반응을 나타내는 피부염이나 항원에 반복하여 노출됨으로써 야기되는 피부염의 병태를 유효하게 예방 및/또는 치료할 수 있다.

Claims (16)

  1. 키마제 억제제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이형성 염증 반응을 나타내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제.
  2. 제1항에 있어서, 이형성 염증 반응을 나타내는 피부염이 아토피성 피부염인 예방 또는 치료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키마제 억제제가 화학식 I의 퀴나졸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예방 또는 치료제.
    화학식 I
    상기식에서,
    환 A는 아릴환을 나타내고,
    R1은, 수산기, 아미노기 또는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7 내지 10의 저급 아르알킬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지방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방향환 카복실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 방향환 카복실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칸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방향환 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 방향환 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또는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2 내지 4의 저급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2및 R3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할로겐 원자, 수산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콕시기, 아미노기,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아미노기,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7 내지 10의 저급 아르알킬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지방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방향환 카복실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 방향환 카복실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칸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방향환 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 방향환 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또는 카복실산기를 나타내거나,
    환 A가 벤젠환인 경우에는 R1과 R2는 이의 치환하는 벤젠환과 일체가 되어,카복실산으로 치환될 수 있는 축합 헤테로환을 형성할 수 있고, 당해 축합 헤테로환상의 탄소 원자는 카보닐기를 형성할 수 있고, 이 때 R3는 상기한 바와 같고,
    X는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수산기, 아미노기 또는 니트로기를 나타낸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키마제 억제제가 화학식 II의 퀴나졸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예방 또는 치료제.
    화학식 II
    상기식에서,
    환 B는 벤젠환, 피리딘환, 피롤환 또는 피라졸환을 나타내고,
    m은 0, 1 또는 2를 나타내고,
    Y는 수산기, 니트로기, 할로겐 원자,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2의 아르알킬옥시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Y는 치환하는 벤젠환과 일체가 되어 나프탈렌환 또는 퀴놀린환을 형성하는 기를 나타내고,
    R5및 R6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피라졸릴기, 테트라졸릴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에스테르화될 수 있는 카복실기, 또는 할로겐 원자, 모르폴리노기, 페닐피페라디닐기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에스테르화될 수 있는 카복실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콕시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환 B가 벤젠환인 경우, R5및 R6는 치환하는 벤젠환과 일체가 되어 나프탈렌환 또는 퀴놀린환을 형성하는 기를 나타내고,
    Z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5의 알케닐기, 치환될 수 있는 아르알킬기, 치환될 수 있는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릭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에스테르화될 수 있는 카복시메틸기, 1급 또는 2급 또는 환상 아민으로 아미드화되어 있는 카보닐메틸기, 치환될 수 있는 아릴카보닐메틸기, 또는 치환될 수 있는 아르알킬옥시메틸기를 나타낸다.
  5. 키마제 억제제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이형성 염증 반응을 나타내는 피부염의 지발상(遲發相) 반응의 개선제.
  6. 제5항에 있어서, 이형성 염증 반응을 나타내는 피부염이 아토피성 피부염인 개선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키마제 억제제가 화학식 I의 퀴나졸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개선제.
    화학식 I
    상기식에서,
    환 A는 아릴환을 나타내고,
    R1은, 수산기, 아미노기 또는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7 내지 10의 저급 아르알킬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지방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방향환 카복실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 방향환 카복실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칸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방향환 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 방향환 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또는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2 내지 4의 저급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2및 R3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할로겐 원자, 수산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콕시기, 아미노기,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아미노기,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7 내지 10의 저급 아르알킬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지방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방향환 카복실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 방향환 카복실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칸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방향환 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 방향환 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또는 카복실산기를 나타내거나,
    환 A가 벤젠환인 경우에는 R1과 R2는 치환하는 벤젠환과 일체가 되어, 카복실산으로 치환될 수 있는 축합 헤테로환을 형성할 수 있고, 당해 축합 헤테로환상의 탄소 원자는 카보닐기를 형성할 수 있고, 이 때 R3는 상기한 바와 같고,
    X는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탄소수 l 내지 4의 저급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수산기, 아미노기 또는 니트로기를 나타낸다.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키마제 억제제가 화학식 II의 퀴나졸린 유도체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개선제.
    화학식 II
    상기식에서,
    환 B는 벤젠환, 피리딘환, 피롤환 또는 피라졸환을 나타내고,
    m은 0, 1 또는 2를 나타내고,
    Y는 수산기, 니트로기, 할로겐 원자,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2의 아르알킬옥시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Y는 치환하는 벤젠환과 일체가 되어 나프탈렌환 또는 퀴놀린환을 형성하는 기를 나타내고,
    R5및 R6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피라졸릴기, 테트라졸릴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에스테르화될 수 있는 카복실기, 또는 할로겐 원자, 모르폴리노기, 페닐피페라디닐기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에스테르화될 수 있는 카복실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콕시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환 B가 벤젠환인 경우, R5및 R6는 치환하는 벤젠환과 일체가 되어 나프탈렌환 또는 퀴놀린환을 형성하는 기를 나타내고,
    Z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5의 알케닐기, 치환될 수 있는 아르알킬기, 치환될 수 있는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릭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에스테르화될 수 있는 카복시메틸기, 1급 또는 2급 또는 환상 아민으로 아미드화되어 있는 카보닐메틸기, 치환될 수 있는 아릴카보닐메틸기, 또는 치환될 수 있는 아르알킬옥시메틸기를 나타낸다.
  9. 키마제 억제제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반복하여 항원에 노출됨으로써 야기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제.
  10. 제7항에 있어서, 반복하여 항원에 노출됨으로써 야기되는 피부염이 아토피성 피부염인 예방 또는 치료제.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키마제 억제제가 화학식 I의 퀴나졸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개선제.
    화학식 I
    상기식에서,
    환 A는 아릴환을 나타내고,
    R1은, 수산기, 아미노기 또는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7 내지 10의 저급 아르알킬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지방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방향환 카복실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 방향환 카복실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칸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방향환 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 방향환 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또는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2 내지 4의 저급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2및 R3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할로겐 원자, 수산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콕시기, 아미노기,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아미노기,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7 내지 10의 저급 아르알킬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지방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방향환 카복실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 방향환 카복실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칸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방향환 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 방향환 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또는 카복실산기를 나타내거나,
    환 A가 벤젠환인 경우에는 R1과 R2는 그 치환하는 벤젠환과 일체가 되어, 카복실산으로 치환될 수 있는 축합 헤테로환을 형성할 수 있고, 당해 축합 헤테로환상의 탄소 원자는 카보닐기를 형성할 수 있고, 이 때 R3는 상기한 바와 같고,
    X는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수산기, 아미노기 또는 니트로기를 나타낸다.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키마제 억제제가 화학식 II의 퀴나졸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개선제.
    화학식 II
    상기식에서,
    환 B는 벤젠환, 피리딘환, 피롤환 또는 피라졸환을 나타내고,
    m은 0, 1 또는 2를 나타내고,
    Y는 수산기, 니트로기, 할로겐 원자,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2의 아르알킬옥시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Y는 치환하는 벤젠환과 일체가 되어 나프탈렌환 또는 퀴놀린환을 형성하는 기를 나타내고,
    R5및 R6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피라졸릴기, 테트라졸릴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에스테르화될 수 있는 카복실기, 또는 할로겐 원자, 모르폴리노기, 페닐피페라디닐기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에스테르화될 수 있는 카복실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콕시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환 B가 벤젠환인 경우, R5및 R6는 치환하는 벤젠환과일체가 되어 나프탈렌환 또는 퀴놀린환을 형성하는 기를 나타내고,
    Z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5의 알케닐기, 치환될 수 있는 아르알킬기, 치환될 수 있는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릭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에스테르화될 수 있는 카복시메틸기, 1급 또는 2급 또는 환상 아민으로 아미드화되어 있는 카보닐메틸기, 치환될 수 있는 아릴카보닐메틸기, 또는 치환될 수 있는 아르알킬옥시메틸기를 나타낸다.
  13. 지발상 반응을 개선하는 양의 키마제 억제제 및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이형성 염증 반응을 나타내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이형성 염증 반응을 나타내는 피부염이 아토피성 피부염인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키마제 억제제가 화학식 I의 퀴나졸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화학식 I
    상기식에서,
    환 A는 아릴환을 나타내고,
    R1은 수산기, 아미노기 또는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7 내지 10의 저급 아르알킬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지방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방향환 카복실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 방향환 카복실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칸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방향환 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 방향환 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또는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2 내지 4의 저급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2및 R3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할로겐 원자, 수산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콕시기, 아미노기,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아미노기,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7내지 10의 저급 아르알킬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지방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방향환 카복실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 방향환 카복실산으로 아실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칸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방향환 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카복실산기로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 방향환 설폰산으로 설포닐화된 아미노기 또는 카복실산기를 나타내거나,
    환 A가 벤젠환인 경우에는 R1과 R2는 그 치환하는 벤젠환과 일체가 되어, 카복실산으로 치환될 수 있는 축합 헤테로환을 형성할 수 있고, 당해 축합 헤테로환상의 탄소 원자는 카보닐기를 형성할 수 있고, 이 때 R3는 상기한 바와 같고,
    X는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수산기, 아미노기 또는 니트로기를 나타낸다.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키마제 억제제가 화학식 II의 퀴나졸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화학식 II
    상기식에서,
    환 B는 벤젠환, 피리딘환, 피롤환 또는 피라졸환을 나타내고,
    m은 0, 1 또는 2를 나타내고,
    Y는 수산기, 니트로기, 할로겐 원자,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2의 아르알킬옥시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Y는 치환하는 벤젠환과 일체가 되어 나프탈렌환 또는 퀴놀린환을 형성하는 기를 나타내고,
    R5및 R6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피라졸릴기, 테트라졸릴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에스테르화될 수 있는 카복실기, 또는 할로겐 원자, 모르폴리노기, 페닐피페라디닐기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에스테르화될 수 있는 카복실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콕시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환 B가 벤젠환의 경우, R5및 R6는 치환하는 벤젠환과 일체가 되어 나프탈렌환 또는 퀴놀린환을 형성하는 기를 나타내고,
    Z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5의 알케닐기, 치환될 수 있는 아르알킬기, 치환될 수 있는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릭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에스테르화될 수 있는 카복시메틸기, 1급 또는 2급 또는 환상 아민으로 아미드화되어있는 카보닐메틸기, 치환될 수 있는 아릴카보닐메틸기, 또는 치환될 수 있는 아르알킬옥시메틸기를 나타낸다.
KR1020017013473A 2000-02-22 2001-02-22 키마제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의 예방또는 치료제 KR200101093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50504 2000-02-22
JP2000050504 2000-02-22
PCT/JP2001/001323 WO2001062294A1 (fr) 2000-02-22 2001-02-22 Medicaments preventifs ou therapeutiques contenant des inhibiteurs de chymase en tant que principe actif, pour traiter des dermatit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356A true KR20010109356A (ko) 2001-12-08

Family

ID=18572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3473A KR20010109356A (ko) 2000-02-22 2001-02-22 키마제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의 예방또는 치료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7618977B2 (ko)
EP (1) EP1192950B1 (ko)
KR (1) KR20010109356A (ko)
CN (1) CN1245979C (ko)
AT (1) ATE333897T1 (ko)
AU (1) AU3413601A (ko)
CA (1) CA2368382A1 (ko)
DE (1) DE60121695T2 (ko)
ES (1) ES2269347T3 (ko)
HU (1) HUP0201282A3 (ko)
WO (1) WO20010622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3413401A (en) 2000-02-22 2001-09-03 Daiichi Asubio Pharma Co., Ltd. Preventive or therapeutic drugs for fibrosis containing chymase inhibitors as the active ingredient
DE60126199T2 (de) 2000-02-22 2008-02-28 Asubio Pharma Co., Ltd. Therapeutische behandlung von eosinophilie durch verwendung von chymase-inhibitoren als aktive bestandteile
US7361767B2 (en) * 2003-11-14 2008-04-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N-sulfonyldicarboximide containing tethering compounds
AU2005310490B2 (en) 2004-12-02 2012-01-19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7-membered ring compou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medicinal use thereof
US8071307B2 (en) 2005-04-04 2011-12-06 Asubio Pharma Co., Ltd. Method of detecting relative risk for the onset of atopic dermatitis by gen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analysis
CN101495463B (zh) 2006-05-31 2012-08-15 第一三共株式会社 7-元环化合物、其制备方法和药物用途
WO2015067651A1 (de) * 2013-11-08 2015-05-14 Bayer Pharma Aktiengesellschaft Substituierte uracile als chymase inhibitoren
AU2017416068A1 (en) 2017-05-24 2019-10-31 The Provost, Fellows, Foundation Scholars, And Other Members Of Board, Of The College Of The Holy And Undivided Trinity Of Queen Elizabeth Near Dublin Novel compounds and uses
US11639503B2 (en) * 2017-11-30 2023-05-02 Ribomic Inc. Anti-chymase aptamer and use for sam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4654A (en) * 1985-08-14 1987-08-04 American Cyanamid Company 3-heteroalkyl-2,4-quinzaolinediones
IL79249A (en) * 1986-06-26 1992-02-16 Makhteshim Chem Works Ltd Herbicidal compositions containing haloalkylthioquinazoline di(thi)ones and some new such compounds
JP2832923B2 (ja) * 1990-07-13 1998-12-09 吉富製薬株式会社 スチリル化合物およびその医薬用途
IE913473A1 (en) * 1990-10-15 1992-04-22 Fujisawa Pharmaceutical Co Quinazoline derivatives and their preparation
US5199279A (en) 1991-08-13 1993-04-06 Reynolds Martin M Drum contact freezer system and method
JPH05294930A (ja) * 1992-04-21 1993-11-09 Yoshitomi Pharmaceut Ind Ltd スチリル化合物
EP0644892A1 (en) 1992-06-12 1995-03-29 Pfizer Inc. Inhibitors of angiotensin i chymase(s) including human heart chymase
CZ291264B6 (cs) 1993-05-12 2003-01-15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Kondenzované bicyklické pyrimidinony, fungicidní prostředek a způsob potlačování padlí travního
ES2155134T3 (es) * 1994-07-29 2001-05-01 Suntory Ltd Derivados de imidazolidina y su utilizacion.
KR100400639B1 (ko) 1995-04-27 2003-12-31 미쯔비시 웰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복소환식아미드화합물및그의의약용도
US5596111A (en) 1995-06-05 1997-01-21 North Dakota State University Method for 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WO1997011941A1 (en) 1995-09-28 1997-04-03 Suntory Limited Quinazoline derivatives and use thereof
MXPA99002203A (es) 1996-09-06 2003-09-15 Nippon Kayaku Kk Nuevos derivados de acetamida e inhibidores de proteasa.
JPH1087493A (ja) * 1996-09-18 1998-04-07 Shionogi & Co Ltd セフェム系化合物を含有するキマーゼ阻害剤
JPH10101666A (ja) * 1996-10-02 1998-04-21 Shionogi & Co Ltd 新規ベンゾオキサシクロトリデシン化合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EP0940400A4 (en) 1996-10-25 2002-10-02 Mitsubishi Pharma Corp NOVEL HETEROCYCLIC AMIDE COMPOUNDS AND THEIR USE FOR MEDICINAL PURPOSES
JPH10245384A (ja) * 1997-03-05 1998-09-14 Teijin Ltd 新規トリアジンスルホン誘導体
WO1999041277A1 (fr) 1998-02-17 1999-08-19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Nouveau derive d'acetamide et son utilisation
IL140862A (en) 1998-07-15 2005-05-17 Teijin Ltd Thiobenzimidazol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KR20010089168A (ko) 1998-08-21 2001-09-29 도리이 신이치로 퀴나졸린 유도체 및 이의 약제학적 용도
JP2000247908A (ja) * 1999-03-01 2000-09-12 Welfide Corp かゆみ抑制剤
EP1142586B1 (en) 1999-11-01 2007-04-25 Daiichi Asubio Pharma Co., Ltd. Use of chymase inhibitors against vascular lipid deposition
DE60126199T2 (de) 2000-02-22 2008-02-28 Asubio Pharma Co., Ltd. Therapeutische behandlung von eosinophilie durch verwendung von chymase-inhibitoren als aktive bestandteile
AU3413401A (en) 2000-02-22 2001-09-03 Daiichi Asubio Pharma Co., Ltd. Preventive or therapeutic drugs for fibrosis containing chymase inhibitors as the active ingredi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P0201282A3 (en) 2003-02-28
DE60121695D1 (de) 2006-09-07
US20020183339A1 (en) 2002-12-05
US20100029695A1 (en) 2010-02-04
ATE333897T1 (de) 2006-08-15
US7618977B2 (en) 2009-11-17
CN1245979C (zh) 2006-03-22
HUP0201282A2 (hu) 2002-12-28
AU3413601A (en) 2001-09-03
EP1192950B1 (en) 2006-07-26
CA2368382A1 (en) 2001-08-30
CN1366460A (zh) 2002-08-28
EP1192950A1 (en) 2002-04-03
WO2001062294A1 (fr) 2001-08-30
DE60121695T2 (de) 2007-08-30
EP1192950A4 (en) 2003-01-22
ES2269347T3 (es) 2007-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29695A1 (en) Method of treating dermatitis comprising administering a chymase inhibitor
US7994159B2 (en) c-Kit kinase inhibitor
US20020161010A1 (en) Quinazoline derivatives as medicaments
TWI705815B (zh) 用於治療補體相關疾病之組合物及治療方法
CA2664335A1 (en) Rho kinase inhibitors
JP6502919B2 (ja) アミドピリジンオール誘導体またはその薬剤学的に許容可能な塩、及びそれ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薬学組成物
WO2017148406A1 (zh) 嘧啶类七元环化合物、其制备方法、药用组合物及其应用
US6500835B2 (en) Preventive or therapeutic drugs for fibrosis containing chymase inhibitors as the active ingredient
US6867214B1 (en) Quinazolin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applications thereof
JP5965387B2 (ja) Tsh受容体用のインバースアゴニストおよびニュートラルアンタゴニスト
KR20010100004A (ko) 키마제 억제 물질을 함유하여 이루어진 혈관 지질 침착방지제
CN115286583B (zh) 一种含二苯基氨基嘧啶类化合物、制备及其作为HDACs酶抑制剂的应用
US6677344B2 (en) Chymase inhibitor for the treatment of eosinophilia
TW201602086A (zh) 作為抗癌藥物之芳基胺取代的喹喔啉
KR20220152549A (ko) 약제로서 유용한 적어도 하나의 카복시기, 설포기 또는 아미도기를 갖는 2,5- 또는 2,6-이치환된 하이드로퀴논 유도체
CN111108083B (zh) 氨基亚甲基环己烷1,3-二酮化合物的用途
AU2006201254A1 (en) Medicament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rmatitis having chymase inhibitor as effective ingredient
JP2020524659A (ja) 化合物
KR20230071841A (ko) RORα의 활성자로서의 신규한 티오우레아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WO2023119320A1 (en) A preparation of quinazolinediones and use thereof
CN115073442A (zh) 含双硫键化合物、及其制法和药物组合物与用途
AU2006201291A1 (en) Medicamen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involving an increase in eosinophils chymase inhibitor as effective ingredi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