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6267A - 지폐수납방출고 - Google Patents

지폐수납방출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6267A
KR20010106267A KR1020010027112A KR20010027112A KR20010106267A KR 20010106267 A KR20010106267 A KR 20010106267A KR 1020010027112 A KR1020010027112 A KR 1020010027112A KR 20010027112 A KR20010027112 A KR 20010027112A KR 20010106267 A KR20010106267 A KR 20010106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anknotes
stock
bills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8582B1 (ko
Inventor
카토우리이치
노미야마아키라
이와다신지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토무
Publication of KR20010106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5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2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 B65H1/025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with controlled positively-acting mechanical devices for advancing the pile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6Auxiliary devices for retaining articles in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83/00Combinations of piling and depiling operations, e.g. performed simultaneously, of interest apart from the single operation of piling or depiling as such
    • B65H83/02Combinations of piling and depiling operations, e.g. performed simultaneously, of interest apart from the single operation of piling or depiling as such performed on the same pile or stack
    • B65H83/025Combinations of piling and depiling operations, e.g. performed simultaneously, of interest apart from the single operation of piling or depiling as such performed on the same pile or stack onto and from the same side of the pile or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 Conveyance By Endless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수납방출고에 관한 것으로서 지폐를 다수매 수납한 상태와 지폐의 유통상태에 의해 구겨지거나 찢어진 일본엔지폐뿐아니라 외국지폐등 종이 질이 상이한 지폐를 정렬된 상태로 안정하게 유지하는 수납 방출동작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계원이 수납부에 지폐를 장진하는 조작성이 좋은 지폐수납방출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폐수납방출고는 스톡·분리기구와 누름판 구동기구를 구비하여 누름판구동기구에 연동하여 분리·스톡가이드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수단 및 누름판과 하부지폐 지지부재의 구동력 연결해제수단 및 누름판 록수단과 스톡·분리기구를 하측에 수납방출고를 향하여 위치하는 것이 가능한 수납식의 스탠드를 구비한 구성이다.

Description

지폐수납방출고{BILL RECEIVING/DISPENSING BOX}
본 발명은 일반이용자가 카드와 통장등을 사용하여 현금을 직접 입금하는 지폐입출금기(예를들면 금융기관등에서 사용되는 ATM)에 관한 것으로 또한 입금지폐를 출금지폐로서 활용하는 환류형(還流型)의 지폐입출금기에 이용되는 지폐수납방출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금융기관등에서 사용되는 환류형의 ATM에 있어서의 지폐입출금기에서는 직렬위치형의 지폐수납방출고가 일반적으로 채용되어 입금지폐의 수납 출금지폐의 방출 및 장치에서의 지폐의 자동회수, 장치로의 지폐의 자동장진, 장치내의 현금보유고를 확정하는 자동정밀조사등에 공급되었다. 한편, 장치전체를 비교적 간소한 반송계로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설치면적을 변경하지 않고 지폐수납방출고의 개수를 증설가능한 장점에 의해 병렬위치형의 지폐수납방출고를 복수단 적층하는 방식도 제안되고 있다.
예를들면 일본국특개평10-188074호공보 기재의 예에서는 병렬위치형의 지폐수납방출고를 채용한 지폐입출금기의 구성이 나타나고 있다.
ATM등의 보급에 따라서 지폐입출금기는 종래의 기능과 성능을 확보하면서 보다 소형, 저코스트, 사용의 편리에 대한 필요가 점점 필요해진다. 한편, 취급지폐는 국내에서의 외국지폐의 취급의 증가와 국외에서의 지폐입출금기의 필요가 높아짐에 따라서 일본엔지폐뿐아니라 외국 지폐도 취급가능한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들 지폐입출금기에 탑재되는 지폐수납방출고는 보다 소형으로 저코스트화를 위한 기구의 간소화와 함께 신뢰성, 조작성의 향상을 위하여 다음의 사항을 충분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지폐수납방출고는 지폐를 2000매 ~ 3000매의 다수매를 수납한 상태에서 수납, 방출동작하는 사항, 지폐의 유통상태에 의해 발생하는 구겨지거나 찢어지는 지폐와 다른재질의 외국지폐등의 지폐수납, 방출동작의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상기를 위해서는 (1) 수납된 각종 다수매의 지폐를 정렬된 상태에서 안정하게 유지한다. (2) 분리동작시에는 수납된 지폐를 확실하게 분리기구부에 인도하여 1매씩 분리하여 나누어 방출한다.(3) 스톡동작시에는 기존에 수납되어 잇는 지폐를 스톡기구부에서 떨어진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톡하는 지폐의 수납공간을 확보하여 정렬하여 집적한다. (4) 계원이 수납부에 지폐를 장진할 때 세트한 지폐가 쓰러지거나 비뚤어지지 않도록 정렬하여 세트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상기 종래예에서는 장치의 신뢰성, 특히 다수매의 지폐와 유통상태에서의 악조건의 지폐의 동작시의 신뢰성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았었다.
본 발명은 다수매의 지폐와 유통상태에서 악조건의 지폐라도 안정한 분리 스톡동작이 가능한 또는 계원이 수납부에 지폐를 장진하는 조작성이 양호한 지폐수납방출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지폐수납방출고는 특별히 수납방출고의 외부의 지폐반송로에 접속되어 지폐를 상기 지폐수납방출고에 수납하고 또한 상기 지폐수납방출고에서 분리하는 스톡·분리기구와 적층한 지폐의 스톡·분리기구와 반대측을 지지하여 지폐분리시에는 지폐를 상기 스톡·분리기구측으로 구동하고 지폐스톡시에는 지폐를 상기 스톡·분리기구로부터 떨어지게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측으로 구동되는 누름판을 갖는다. 적층한 지폐의 스톡·분리기구측과 맞붙여 접착하고 지폐분리시에는 지폐를 상기 스톡·분리기구로 유도하는 위치에 이동하여 지폐스톡시에는 지폐를 상기 스톡·분리기구로부터 멀어지게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위치에 이동하는 지폐가이드를 갖는다. 지폐분리시에는 적층한 지폐를 스톡·분리기구에 눌러부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누름판에 연동하여 상기 지폐가이드를 상기 스톡분리구에 유도하는 위치에 이동하고, 지폐스톡시에는 적층한 지폐를 스톡·분리기구로부터 멀어지도록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측으로 구동되는 누름판에 연동하여 상기 지폐가이드를 상기 스톡·분리기구로부터 멀어지도록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위치에 이동하도록 누름판 및 지폐가이드를 연동하는 구동하는 누름판·지폐가이드 연동구동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도 1 은 지폐입출금기구를 실장한 현금자동취급장치의 개관사시도이다.
도 2 는 현금자동취급장치의 제어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지폐입출금기구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 은 지폐입출금기구의 제어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 는 도 1에 나타나는 현금자동 취급장치의 조작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 은 리사이클고의 측면도(분리동작시)이다.
도 7 은 리사이클고의 측면도(스톡동작시)이다.
도 8 은 리사이클고의 측면도(계원조작시)이다.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101 : 현금자동취급장치 102 : 카드 명세표 처리기구
105 : 고객조작부 20a : 지폐슬롯트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현금자동취급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현금자동취급장치(101)의 상부내부에는 카드·명세표처리기구(102)와 고객조작부(10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현금자동취급장치(101)의 하부내부에는 지폐를 처리하는 지폐입출금기(1)를 구비하고 있고 전면에 지폐슬로트(20a)가 설치되어 있다. 이 현금자동취급장치(101)는 카드, 지폐, 명세표를 매체로 하여 이용자의 예금, 지불, 이체등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장치의 제어관계를 나타내는 제어블록도이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현금자동취급장치(101)에 구비되있는 카드·명세표처리기구(102), 지폐입출금기(1) 및 고객조작부(105)는 본체제어부(107)와 접속되어 있고 본체제어부(107)의 제어로 필요한 동작을 실행한다.
도 3은 도 1의 현금자동취급장치중에 본 발명에 관한 지폐입출금기(1)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지폐입출금기(1)는 이용자가 지폐의 투입·반출을 실행하는 입출금구(20)와 지폐의 판별을 실행하는 지폐판별부(30)와 입금한 지폐를 취급완료하는 동안 일단 수납하는 일시보관고(40)와 입금시 취급이 성립한 지폐를 수납하여 그 지폐를 출금에 필요한 2개의 리사이클고(80)와 입출금에 필요하지 않은 지폐를 수납하는 리젝트고(60), 리사이클고(80)에 보충하는 지폐와 리사이클고(80)에서 회수한 지폐를 수납하는 장진·회수고(81)와 지폐판별부(30)를 통하는 입출금구(20), 일시보관고(40), 리젝트고(60), 리사이클고(80), 장진·회수고(81)에 대해서 지폐를 반송하는 지폐반송로(50)와 미도시의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리사이클고(80), 장진·회수고(81)가 본 발명을 적용한 지폐수납방출고이고 또한 약2500매의 수납공간을 확보하여 스톡·분리기구를 내장하고 있다. 장진·회수고(81)는 리사이클고(80)에 대해서 후 기술하는 장진리젝트부를 추가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어부(35)는 장치의 본체제어부(107)와 접속되어 본체제어부(107)에서의 지령 및 지폐입출금기(1)의 상태검출에 따라서 지페입출금기(1)의 제어를 실행하고, 또한 지폐입출금기(1)의 상태를 필요에 따라서 본체제어부(107)에 보낸다. 지폐입출금기(1)안에는 각 유니트(입출금구(20), 지페판별부(30), 일시보관고(40), 지폐반송로(50), 리젝트고(60), 리사이클고(80), 장진·회수고(81))의 구동모터와 전자솔레노이드와 센서가 접속되어 취급에 응하여 센서로 상태를 감시하면서 엑츄에이터를 구동제어한다.
지폐입출금기(1)의 반송로기구로서는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입출금구(20), 지폐판별부(30), 일시보관고(40)와 지폐반송로(50)로 구성되는 상부반송기구(1a)와 리젝트고(60), 리사이클고(80), 장진·회수고(81) 및 각 수납고의 전면에 배치하는 개폐가능한 반송로(90)로 구성되는 하부지폐기구(1b)로 구성된다.
이상의 구성의 지폐입출금기(1)는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현금자동취급장치(101)의 하측내부에 실장된다. 장치타입에 의해 전면조작형이나 후면조작형을 채용할 수 있고 상기에 의해 다소구성이 달라진다. 도 5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계원이 장치전면에서 조작하는 타입의 전면조작형장치에서는 장치의 앞문(101c)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앞문(101c)을 열어서 지폐입출금기(1)의 개폐반송로(90)을 열면 각각에 손잡이가 달린 수납고가 나타난다. 계원은 그 손잡이를 이용하여 수납고를 인출하고 지폐의 보충과 회수 그외의 보안작업등의 조작이 가능하다.
한편 도 5b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계원이 장치후면에서 조작하는 타입의 후면조작형장치에서는 장치의 후문(101d)을 개폐할 수 있도록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문(101d)을 열면 각각에 손잡이가 달린 수납고가 나타난다. 계원은 손잡이를 이용하여 각 수납고를 인출하고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유니트(입출금구(20), 지폐판별부(30), 일시보관고(40), 리젝트고(60), 리사이클고(80), 장진·회수고(81)의 수납부는 일본엔지폐의 취급뿐아니라 수치가 다른 외국지폐까지 폭넓게 취급하도록 지폐의 단변수치를 약 100mm, 장변수치를 약200mm를 확보하여 반송부(지폐판별부(3), 일시보관고(4), 지폐반송로(5))의 폭은 약 220mm을 확보하고 있다.
다음으로 지폐입출금기구(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입금취급시에는 이용자가 입금한 지폐를 계수(計數)하는 입금계수동작과 계수한 금액에 대한 이용자의 확인입력후 금종별로 개별수납고에 수납하는 입금수납동작과 별개로한다. 이용자의 확인입력시 취소를 선택한 경우에는 취소반환동작을 실행한다.
입금계수동작시 입출금구(20)에 투입된 지폐는 한매씩 분리되어 지시선(501a, 501b)을 통하여 지폐판별부(30)에서 지폐의 금종, 진위가 판정된다. 판별이 가능한 지폐는 전환게이트(503)를 전환하여 지시선 501c에서 501d, 501e의 방향으로 반송되어 일시보관고(40)에 일단 수납된다. 지폐판별부(30)에서 판별이 불가능한 지폐와 한쪽으로 쏠리거나 지폐간의 간격이 이상상태인 입금리젝트지폐는 일시보관고(40)에는 삽입되지 않고 전환게이트(503)를 전환하여 지시선 501f를 통과하여 입출금구(20)에 수납되어 이용자에 반환된다.
입금수납시에는 일시보관고(40)에서 입금계수시와는 반대순서로 반대방향으로 지시선 501e, 501d에 송출되거 501c, 501b와 반송되어 지폐판별부(30)를 통과하여 전환게이트(502)를 도시한 502b방향으로 전환하여 501i, 901a를 경유하여 리사이클고(80), 리젝트고(60)중 어느 하나에 전환게이트(903)를 도시하는 903b방향으로 전환지정한 수납고에 수납한다. 취소반환시에는 전환게이트(503)의 전환하여 지시선 501e, 501g, 501h에 반송되어 입출금구(20)에 수납하여 이용자에 반환된다.
출금취급시에는 리사이클고(80)의 각 금종별 금고에서 소정의 매수씩 반복하여 반출하고 지시선 901c, b, a, 501i와 경유하여 지폐판별부(30)에서 금종을 판별하고 전환게이트(503)에서 분기시켜서 입출금구(20)에 수납하여 이용자에지불된다. 지폐판별부(30)에서 판별불가능한 출금리젝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 지폐는 전환게이트(503)를 전환하여 일시보관고(40)에 입금계수시와 동일한 형태로 일단 수납한다. 불충분한 지폐는 리사이클고(80)에서 추가하여 반복반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장진·회수고(81)를 이용하여 일시보관고(40)를 경유하여 리사이클고(80)와의 사이에서 장진, 회수동작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장진동작은 계원이 리사이클고(80)에 금종별로 세트하고 싶은 지폐를 개별로 세트하는 것이 아니라 장진·회수고(81)에 일괄하여 세트하고 장치내에서 자동적으로 리사이클고(80)에 수납하는 동작이다. 우선, 장진계수동작으로 장진·회수고(810에서 반복반출된 지폐는 901a, 501i, 501b를 경우하여 지폐판별부(30)에서 금종을 판별하고 일단 일시보관고(40)에 수납한다.
다음으로 장진수납동작에서 일시보관고(40)에서 순차로 방출하고 동일한 지폐반송로를 역으로 경유하여 금종별로 지정리사이클고(80)에 수납한다. 장진·회수고(81)에 일괄하여 세트한 지폐매수가 일시보관고(40)에 수납가능한 매수보다 많은 경우는 장진계수, 장진수납동작을 반복한다. 또한, 장진계수시에 금종이 판별이 불가능했던 장진 리젝트지폐는 전환게이트(505)를 도시하는 505b방향으로 전환게이트(506)를 전환하여 501j, 904b를 경유하여 장진·회수고(81)의 후부(後部)의 장진리젝트수납부에 수납한다.
회수동작은 리사이클고(80)가 과밀하게 되었을때등에 계원이 개별로 리사이클고에서 지폐를 골라내지 않고 자동적으로 리사이클고(80)에서 소정매수가 장진·회수고(81)에 회수수납하는 동작이다. 장진동작과 반대루트로 이동하는 동작이며리사이클고(80)에서 일단 일시보관고(40)에 수납하고 다음으로 일시보관고(40)에서 장진·회수고(81)에 회수한다.
이하, 지폐입출금기구(1)에 적용되는 리사이클고(지폐수납방출고)(8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도 6에서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리사이클고(80)는 지폐의 수납과 분리반복반출이 가능한 금고이고 도 3의 지폐입출금기구(1)에 2개로 실장되어 있고 도 6, 도 7, 도 8에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은 지폐의 수납동작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은 분리동작시의 상태, 도 8은 리사이클고(80)의 지폐입출금기구(1)에서 분리되는 수납부의 지폐를 제거할 때 및 수납부에 지폐를 장진할 때(계원조작시)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 리사이클고(80)는 금종외로 실장한 구동원(841)(피드모터 또는 스텝모터)에서 기어를 매개로 하여 회전구동되는 스톡·피드롤러(801), 픽업롤러(811)와 종속동작회전하는 버퍼업롤러(802)와 수납방향으로 회전하고 반복반출방향에는 회전하지 않는 게이트롤러(803), 게이트롤러(803)와 동일축상에 있는 가요성(可撓性)의 투입부재가 방사상태로 배치된 브러쉬롤러(804) 및 분리시와 스톡시에 가동하는 분리·스톡가이드(805)(지폐가이드)로 주요구성되고 지폐의 스톡및 분리기구를 갖는다.
리사이클고(80)의 다른 레이아웃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바닥판(808), 누름판(806)과 바닥판(808)보다 상면에서 지폐하면을 지지하도록 걸쳐진 바닥면평행벨트(807)와 분리·스톡가이드(805)로 둘러싸인 수납공간에 지폐는 수납된다. 또한, 수납부의 상부의 분리·스톡가이드(805)의 근방에 분리·스톡가이드(805)의 상부와 조립되도록 배치된 상부 지폐지지부재(812)와 수납부의 하부에 배치된 게이트롤러(803)의 근방에 배치된 하부지폐지지부재(미도시의 부호 849근방에 존재한다)에 의해 수납완료지폐의 상하단부를 지지한다.
이들의 수납공간내를 가동하는 누름판(806), 바닥면평행벨트(807), 상부지폐 지지부재(812), 하부지폐 지지부재, 분리·스톡가이드(805)는 금고외에 실장하는 구동원(842)(누름판모터 : 스텝모터)에서 축(843)에 접속되고 기어 벨트등을 매개하여 구동되는 누름판 모터 구동 기구를 구성한다. 누름판(806)은 리사이클고(80)의 수납공간의 측면에 전후방향으로 걸쳐진 타이밍벨트(844)에 고정되어 지시선 855방향, 즉 리사이클고(80)의 전후방향(도면에서는 좌우방향)으로 구동된다.
상부지폐 지지부재(812)는 타이밍벨트(844)의 전방측의 축(845)에서 기어(846), 타이밍벨트(847)를 매개로 지지선 855b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분리·스톡가이드(805)는 스톡·피드롤러(801)의 회전축에 요동이 자유롭게 지시되어 타이밍벨트(844)의 전방측의 축(845)에 토크 리미터(Torque Limiter)를 삽입한 기어를 매개로 도 6, 도 7에 나타나는 위치간을 이동한다. 바닥면평행벨트(807)는 구동원(842)의 구동력이 축(843)에서 기어를 매개하여 축(848)에 전달구동된다. 하부지폐지지부재는 바닥면 평행벨트(807)의 전방측의 도르래(849)와 일체로 구성되고 지지선 855a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지폐의 상하단을 지지하는 상부지폐지지부재(812)는 지폐의 장변방향으로 2개소, 동일한 형태로 하부지폐지부재는 4개소에 각각 배치되고 누름판 모터(842)에 의해 누름판(806), 바닥면벨트(807)와 연동하여 지폐의 집적방향, 또는 반집적(분리)방향으로 증속구동된다.
상기 기술의 리사이클고(80)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나는 수납동작시에 있어서 도 3의 전환게이트(903)가 도시하는 903b와 같이 전환한다. 상기에 의해 리사이클고(80)에 수납되는 지폐는 지폐반송로(지시선(901b))에서 지시선 902b와 같이 분기된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나는 회전하는 스톡·피드롤러(801)와 버퍼업 롤러(802)간에 지폐가 보내진다. 또한, 스톡·피드롤러(801)와 스톡방향으로 회전하는 게이트롤러(803)간에 지폐가 투입된다. 스톡·피드롤러(801)와 게이트롤러(803)간에 투입된 지폐는 분리·스톡가이드(805)에 따라서 수납되어 도 6의 삼각형태의 스톡공간(891)에 수납된다. 수납된 지폐의 하단을 회전하는 브러쉬롤러(804)가 집적방향으로 쓸려나가는 것에 의해 후속의 지폐의 관여를 방지한다. 또한, 상부 지폐지지부재(812)와 하부지폐지지부재에 의해 수납완료 지폐의 상하단부를 지지하고 누름판(806)측에 그 수납완료의 지폐를 쓸어낸다. 상기에 의해 스톡·피드롤러(801)와 게이트롤러(803)로부터 리사이클고(80)에 연속하여 수납되는 지폐의 직립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하부지폐 지지부재는 도르래형태가 아닌 벨트형태이어도 좋다.
누름판(806)과 바닥면벨트(807)는 일체가 되어 수납공간내를 가동하고 수납지폐의 증가에 따라서 반송된 진입지폐와 수납지폐끼리 관여하지 않도록 수납지폐를 분리·스톡가이드(805)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제어된다. 수납되는 지폐의 매수의 증가는 투과센서(지폐잔류검출센서)(888a, 888b)에 의해 감시하고 소정시간이상의 연속다크를 검출하면 상기 기술의 이동제어를 정지한다. 이때 상부지폐지지부재(812)는 시계방향으로 하부지폐지지부재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수납완료지폐의 상하단부를 지지하고 누름판(806)측으로 투입하면서 지폐의 직립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분리·스톡가이드(805)는 스톡·피드롤러(801)의 회전축에 요동이 자유롭게 지시되고 타이밍벨트(843)의 전방측의 축(845)에 토크 리미터를 삽입한 기어(861)를 매개로 하여 구동력을 받고 있다. 상기에 의해 도 6에 나타나는 위치를 유지하고 있고 도 6의 삼각형태의 스톡공간(891)을 확실하게 형성하고 상기 기술의 상부지폐 지지부재(812), 하부지폐 지지부재에 의한 수납완료지폐의 지지작용을 확실하게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누름판(806)과 일체로 바닥면벨트(807)가 구동되면 미도시의 연결축이 회전하고 하부지폐지지부재의 이동속도(지시선 855a)는 바닥면벨트(807)의 이동속도(지시선 855)보다도 도르래(849)의 반경비율만 증속되는 것이 된다. 동일한 형태로 상부지폐 지지부재(812)의 이동속도(지지선 855b)도 미도시의 기구에 의해 바닥면벨트(807) 보다도 증속구동된다. 이와 같이 지폐수납시에 상부지폐지지부재(812) 및 하부지폐 지지부재를 바닥면벨트(807) 즉 누름판(806)의 1.2 ~ 1.3배 정도의 속도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수납지폐에 압축력이 작용하고 안정한 직립상태에서 연속수납동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압축작요에 의해 집적지폐의 여분의 팽창을 방지하고 지폐의 수납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에 나타나는 분리동작시(도 6의 상태에서 도 7의 상태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분리·스톡가이드(805)는 스톡·피드롤러(801)의 회전축에 요동이 자유롭게 지시되어 있다. 따라서 분리·스톡가이드(805)는 타이밍벨트(843)의 전방측의 축(845)에 토크리미터를 삽입한 기어(846)를 매개로 구동력을 받고 도 7에 나타나는 위치로 이동한다. 누름판(806)과 바닥면벨트(807)는 일체가 되어 수납공간내를 가동하고 반복반출지폐가 픽업롤러(811)에 소정의 압력이 걸리도록 수납지폐를 이동시킨다. 픽업롤러(811)에 눌려부착된 지폐는 회전하는 스톡·피드롤러(801)에서 송출하고 반복반출방향에는 회전하지 않는 (내장한 1방향 크러치의 작용에 의한)게이트롤러(803)에서 2매반송을 방지하면서 도 3의 지시선 902b의 방향으로 한매씩 반송된다. 그 때 전환게이트 903b의 방향으로 전환되고 지시선 901b, 901c의 방향으로 반송된다.
또한, 분리동작 후 다음 수납동작시(도 7의 상태에서 도 6의 상태로)에는 분리·스톡가이드(805)는 스톡·피드롤러(801)의 회전축에 요동이 자유롭게 지시되고 타이밍벨트(844)의 전방측의 축(845)에 토크리미터를 삽입한 기어(846)를 매개하여 구동력을 받는다. 상기에 의해 도 6에 나타나는 위치로 분리·스톡가이드(805)가 이동한다. 누름판(806)과 바닥면벨트(807)는 일체가 되어 미도시의 금고외의 구동원에 의해 수납공간내를 가동하고 투과센서(지폐잔류검출센서)(888a, 888b)에 의해 감시하고 도 6의 삼각형태의 스톡공간(891)을 형성하고 다음의 수납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누름판구동기구에 의한 상기 기술과 같은 작용은 예를들면 수납하는 지폐의 용량이 500매정도의 소량인 경우와 지폐의 유통정도가 좋은 새로운 지폐의 경우에는 누름판(806)만 가동하면 좋다. 그러나 지폐의 용량이 본 실시예와 같이 2000매~3000매의 대용량으로 새로운 지폐가 안닌 유통정도가 나쁜 구겨지거나 손상이 있어 강성이 낮고 적층상태가 유연하기 때문에 직립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지폐를 취급하는 경우에는 바닥면 평행벨트(807) 상부지폐 지지부재(812) 하부지폐 지지부재, 분리·스톡가이드(805)의 지지작용이 유효해진다.
도 8은 리사이클고(80)에 대해서 계원에 의한 조작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사이클고(80)의 바닥면에 수납식으로 실장한 스탠드(833)를 내고 미도시의 바닥면에 대해서 약 20° 기울인 상태로 한다. 리사이클고(80)의수납부의 천정판(810)과 일체로 이루어진 상부뚜껑(831)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다. 그리고 누름판(806)을 수납부의 최후방의 위치에 수동으로 후퇴시켜 누름판록(832)로 잠금상태로 한다. 이 때 도 6, 7에 나타난 누름판모터(842)와의 접속은 해제되어 있고 누름판(806)을 용이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부뚜껑(831)을 열린상태로 하는 것과 연동하여 축(848)이 아래측으로 이동하고 축(843)과의 접속이 멀어진다. 따라서 누름판(806)을 이동시켜도 바닥면평행벨트(807)와 하부지폐 지지부재(849)는 구동되지 않는다. 또한, 상부뚜껑(831)을 열린상태로 하는 것과 연동하여 기어(845), 타이밍벨트(847)와의 접속도 멀어지고 누름판(806)을 이동시켜도 상부지폐 지지부재(812)는 구동되지 않는다. 상기에 의해 2000~3000매의 다수매의 지폐에서도 이상없이 정렬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작원은 양손조작으로 쉬운 조작력으로 확실하게 누름판(806)을 조작할 수 있고 장진, 반출동작이 가능한다.
다음으로 작은사이즈의 지폐의 길이방향의 정렬성과 수납치수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리사이클고(80)는 취급하는 최대사이즈의 지폐에 응하여 설계하고 작은사이즈지폐의 각종 금종에도 공용가능하면 저코스트의 리사이클고(80)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외국지폐는 지폐사이즈가 금종에 의해 장변, 단변방향이 크게 다르기 때문에 안정한 지폐의 연속 수납동작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리사이클고(80)에 이하의 기구를 부가하면 또한 효과를 얻는다. 제 1의 기구는 수납지폐의 상단, 즉 단변방향의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810)(천정판)이고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금종(단변수치)에 따라서 상부지폐 지지부재(812)와 일체로 상하방향으로 조정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2점쇄선(810a)의 위치에 조정한다. 상기에 의해 단변방향의 불일치를 해소가능하다.
제 2의 기구로서 수납지폐의 장변방향에 맞추어서 수납공간의 측벽위치가 조정가능하게 한다. 상기에 의해 상기의 장변방향의 불일치를 해소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기구가 취급하는 매체는 지폐외에 유가증권, 복권, 티켓, 자기앞수표, 카드등의 지엽류에서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폐의 용량이 2000매~3000매의 대용량에서 새로운 지폐뿐아니라 유통정도가 나쁜 구겨짐과 손상이 있는 강성이 낮고 적층상태가 유연하기 때문에 직립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지폐에 있어서도 (1) 정렬된 상태에서 안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2) 분리동작시에 수납된 지폐를 확실하게 분리기구부에 인도하여 1매씩 분리하여 반복반출하는 것이 가능하다.또한 (3)스톡동작시에 이미 수납되어 있는 지폐를 스톡기구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톡하는 지폐의 수납공간을 확보하고 정렬하여 집적하는 것이 가능 하다. 또한, (4)계원이 수납부에 지폐를 장진할 때 설정한 지폐가 넘어지거나 기울어지거나 하지 않고 정렬하는 세트가 가능하다. 상기에 의해 조작성이 좋은 고신뢰도의 지폐입출금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지폐를 적층하여 수납하는 지폐수납방출고에 있어서,
    지폐를 상기 지폐수납방출고에 수납하고 또한 상기 지폐수납방출고에서 분리하는 스톡·분리기구와,
    상기 스톡·분리기구는 반대측에 적층한 지폐를 지지하고, 지폐분리시에는 지폐를 상기 스톡·분리기구측에 구동하고, 지폐스톡시에는 지폐를 상기 스톡·분리기구로부터 멀리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측에 구동하는 누름판과,
    적층한 지폐의 상기 스톡·분리기구측과 접하고, 지폐분리시에는 지폐를 상기 스톡·분리기구에 인도하는 위치에 이동하고, 지폐스톡시에는 지폐를 상기 스톡·분리기구에 인도하는 위치에 이동하며 또한 지폐를 스톡하는 경우 상기 누름판은 적층한 지폐를 상기 스톡·분리기구에서 멀어지게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측에 이동하면서 상기 누름판에 연동하여 상기 지폐가이드를 상기 스톡·분리기구에서 멀어지게 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위치에 이동하도록 상기 누름판 및 지폐가이드를 연동하여 구동하는 구동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수납방출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지폐를 분리하는 경우 상기 스톡·분리기구에 눌러 부착된 지폐는 상기 스톡·분리기구의 구동에 의해 상기 지폐수납방출고의 외부의 반송로로 반복반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수납방출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지폐를 스톡하는 경우 상기 스톡·분리기구에서 반송되는 지폐는 형성된 상기 수납공간을 향하여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수납방출고.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톡·분리기구는 회전구동되는 스톡·피드롤러와 픽업롤러와 종속회전하는 버퍼업롤러와 지폐의 수납방향으로만 회전하는 게이트롤러와 상기 게이트롤러와 동일축상에 배치되는 지폐의 투입부재가 방사형으로 배치된 브러쉬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수납방출고.
  5. 청구항 4에 있어서,
    지폐를 분리하는 경우 상기 픽업롤러와 상기 스톡·피드롤러와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픽업롤러에 눌러부착된 지폐를 송출하고 상기 게이트롤러에서 2매 일시 송출을 방지하면서 상기 지폐수납방출고외의 반송로로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수납방출고.
  6. 청구항 4에 있어서,
    지폐를 스톡하는 경우 상기 스톡·피드롤러와 상기 버퍼업롤러간에 반송되는 지폐는 상기 스톡·피드롤러와 상기 게이트롤러와의 회전에 의해 형성된 상기 수납공간내에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수납방출고.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롤러는 수납된 지폐의 하단을 집적방향으로 향하여 끌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수납방출고.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톡·분리기구를 구동하는 다른 구동기구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구동기구와 상기 다른 구동기구는 각각 독립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수납방출고.
  9. 이용자가 지폐의 투입 또는 반출을 실행하는 입출금구와,
    지폐의 판별을 실행하는 판별부와,
    지폐를 직립상태로 수평방향으로 적층하여 수납하는 지폐수납방출고를 구비하는 지폐의 입출금을 실행하는 입출금기에 있어서,
    상기 지폐수납방출고는,
    상기 지폐수납방출고의 외부의 지폐반송로에 접속되고, 지폐를 상기 지폐수납방출고에 수납하고 또는 상기 지폐수납방출고에서 분리하는 스톡·분리기구와,
    상기 스톡·분리기구는 반대측에 적층한 지폐를 지지하고 지폐의 동작에 응하여 이동하는 누름판과,
    상기 적층한 지폐의 상기 스톡·분리기구측과 접하여 지폐의 동작에 응하여 이동하는 것으로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지폐가이드와,
    상기 적층한 지폐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지폐 지지부재와,
    상기 적층한 지폐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폐 지지부재와,
    지폐의 분리동작 또는 스톡동작에 응하여 상기 스톡·분리기구를 구동하는 제 1 구동부과, 상기 누름판과 지폐가이드와 상부지폐 지지부재와 하부지폐 지지부재를 구동하는 제 2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수납방출고.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입출금구에서 입금된 지폐를 상기 지페수납방출고에 수납하는 경우,
    상기 누름판은 상기 제 2 구동부에 의해 상기 스톡·분리기구로부터 멀어지도록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수납방출고.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싱기 입출금구로부터 입금된 지폐를 상기 지폐수납방출고에 수납하는 경우,
    상기 상부지폐 지지부재와 하부지폐 지지부재는 상기 제 2 구동부에 의해 수납된 지폐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지지하여 수납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수납방출고.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폐 지지부재와 하부지폐 지지부재는 상기 제 2 구동부에 의해 수납완료의 지폐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지지하여 수납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수납방출고.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입출금구에서 입금된 지폐를 상기 수납방출고에 수납하는 경우,
    상기 지폐가이드는 상기 스톡·분리기구에서 멀어지게 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수납방출고.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폐수납방출고의 지폐를 상기 입출금구에서 출금하는 경우,
    상기 지폐가이드는 수납된 지폐를 상기 스톡·분리기구에 인도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수납방출고.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폐수납방출고의 지폐를 상기 입출금구에서 출금하는 경우,
    상기 상부지폐 지지부재와 상기 하부지폐 지지부재는 수납된 지폐를 상기 스톡·분리기구측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수납방출고.
  16.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톡·분리기구는 회전하는 스톡·피드롤러와 한쪽방향만으로 회전하는 게이트롤러와 수납된 지폐를 반복반출하는 픽업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수납방출고.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입출금구에서 입금 된 지폐를 상기 지폐수납방출고에 수납하는 경우,
    상기 스톡·피드롤러와 상기 게이트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지폐수납방출고내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지폐를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수납방출고.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지폐수납방출고에 수납된 지폐를 상기 입출금구에서 출금하는 경우,
    상기 픽업롤러에 접촉하는 지폐를 상기 스톡·피드롤러 방향으로 반복반출하고, 상기 게이트롤러에서 지폐의 2매 일시송출을 방지하고, 반복반출된 지폐를 상기 스톡·피드롤러에 의해 상기 지폐수납방출고외의 반송로에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수납방출고.
  19. 지폐를 수납하고 또한 지폐를 분리하는 스톡·분리기구와,
    상기 스톡·분리기구와 반대측에 적층된 지폐를 지지하고, 이동이 가능한 누름판과,
    수납된 지폐의 반출 또는 수납부로의 지폐의 장진시에 상기 누름판을 상기지폐수납방출고내의 상기 스톡·분리기구와 반대측의 위치에서 고정가능한 누름판 잠금수단과,
    상기 지폐수납방출고를 향하여 위치하는 것이 가능한 수납식의 스탠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수납방출고.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개폐가 가능한 상부뚜껑을 또한 구비하고,
    계원조작원이 상기 상부뚜껑을 열면 상기 누름판으로 연동하는 다른 요소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지폐수납방출고.
KR10-2001-0027112A 2000-05-19 2001-05-18 지폐수납방출고 KR1003685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52745A JP3977982B2 (ja) 2000-05-19 2000-05-19 紙幣収納放出庫及び紙幣入出金機
JP2000-152745 2000-05-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267A true KR20010106267A (ko) 2001-11-29
KR100368582B1 KR100368582B1 (ko) 2003-01-24

Family

ID=18658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112A KR100368582B1 (ko) 2000-05-19 2001-05-18 지폐수납방출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6533261B2 (ko)
JP (1) JP3977982B2 (ko)
KR (1) KR1003685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580B1 (ko) * 2003-12-30 2005-11-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입출금기의 일시저장장치
KR100610998B1 (ko) * 2004-06-08 2006-08-1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입금기의 입금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45309A (ko) * 2014-10-17 2016-04-2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5924A (en) * 1959-06-25 1961-03-21 Dyson & Sons Adjustable lift fork mounting
JP3977982B2 (ja) * 2000-05-19 2007-09-19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収納放出庫及び紙幣入出金機
JP4044281B2 (ja) * 2000-12-21 2008-02-06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3959706B2 (ja) * 2001-03-01 2007-08-15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3846695B2 (ja) * 2001-07-30 2006-11-15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自動取引装置
JP2003085616A (ja) * 2001-09-11 2003-03-20 Fujitsu Ltd 紙葉処理装置
GB0205275D0 (en) * 2002-03-06 2002-04-17 Rue De Int Ltd Currency bill recycling machine
JP3931112B2 (ja) * 2002-06-05 2007-06-13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自動取引装置、および自動取引装置のお釣り出金方法。
JP4292012B2 (ja) * 2003-02-10 2009-07-0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装置
US7077397B2 (en) * 2003-10-21 2006-07-18 Emc Document Technologies, Inc. High capacity document sheet processor
KR100572859B1 (ko) * 2003-12-26 2006-04-24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방법 및 장치
JP4631391B2 (ja) * 2004-10-27 2011-02-1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入出金装置
US7140608B2 (en) * 2004-10-28 2006-11-28 International Currency Technology Corporation Bill box for bill acceptor
US7611045B1 (en) * 2005-06-03 2009-11-03 Diebold Self-Service Systems Division Of Diebold, Incorporated Enclosure for automated banking machine
JP4713231B2 (ja) * 2005-06-15 2011-06-29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JP4768329B2 (ja) * 2005-06-17 2011-09-07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装置
JP2006350921A (ja) * 2005-06-20 2006-12-28 Toshiba Corp 紙葉類処理装置
JP2007034522A (ja) * 2005-07-25 2007-02-08 Oki Electric Ind Co Ltd 自動釣銭機および自動補充回収機
EP1911711B1 (en) * 2005-08-05 2012-06-06 Glory Ltd. Sheet container/feeder
US20080116032A1 (en) * 2005-08-22 2008-05-22 International Currency Technologies Corporation Single-bill output control of a bill dispenser
ITTO20060093A1 (it) * 2006-02-10 2007-08-11 Cts Cashpro Spa Apparecchiatura per immagazzinare in modo ordinato banconote e/o carte e simili
ITBO20060112A1 (it) * 2006-02-14 2006-05-16 Gd Spa Metodo e dispositivo per l'alimentazione di fogli ad una macchina utilizzatrice.
CA2539866A1 (en) * 2006-03-16 2007-09-16 Crane Canada Co. Flat banknote dispenser
JP2007323130A (ja) * 2006-05-30 2007-12-13 Laurel Seiki Kk 紙幣処理装置
KR100789636B1 (ko) * 2006-06-22 2007-12-2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스택롤러 및 스택가이드의 위치감지장치 및 그 방법
JP5089138B2 (ja) * 2006-11-09 2012-12-05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4368888B2 (ja) * 2006-12-15 2009-11-1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収納庫および紙葉類取扱装置
KR101148423B1 (ko) * 2007-04-09 2012-05-21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
ITTO20070723A1 (it) * 2007-10-12 2009-04-13 Cts Cashpro Spa Modulo di ricezione ed erogazione banconote per apparecchiature di deposito e prelevamento automatico di banconote
US8146804B2 (en) * 2007-12-21 2012-04-03 Nautilus Hyosung Inc. Cash transaction machine
US8047428B2 (en) * 2007-12-28 2011-11-01 Nautilus Hyosung Inc. Cash transaction machine
DE102008018935A1 (de) * 2008-04-15 2009-10-22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Einzelblatthandhabungsvorrichtung zur Eingabe und zur Ausgabe von rechteckigen Einzelblättern, insbesondere von Banknoten, in einen bzw. aus einem Behälter
JP5169612B2 (ja) * 2008-08-18 2013-03-2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JP5564915B2 (ja) * 2009-11-30 2014-08-0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KR101094499B1 (ko) * 2010-08-03 2011-12-20 엘지엔시스(주) 금융자동화기기
US8479910B2 (en) * 2010-08-26 2013-07-09 Ncr Corporation Removable media container
US9346639B2 (en) 2011-12-02 2016-05-24 Lg Cns Co., Ltd. Medium storage box, medium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JP5518923B2 (ja) * 2012-03-06 2014-06-1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紙幣出金装置
CN102760322B (zh) * 2012-06-18 2014-08-20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撕裂及褶皱券类数据采集装置
CN102819892B (zh) 2012-08-09 2014-07-23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柜员循环一体机及其钞票堆叠装置
CN103177504B (zh) 2013-03-29 2015-09-23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纸币处理设备及其循环钞箱机构
FR3011233B1 (fr) * 2013-09-30 2015-09-04 Solystic Module de stockage avec des fonctions d'empilage et de depilage
CN104063949A (zh) * 2014-06-11 2014-09-24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纸张类处理装置
US10115260B2 (en) * 2015-06-29 2018-10-30 Revolution Retail Systems, LLC Method for a banknote recycler to self-audit
CN105118149A (zh) * 2015-08-19 2015-12-02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纸张类处理装置及自动交易装置
RU2677599C2 (ru) * 2016-05-17 2019-01-17 Атек Ап Ко., Лтд. Финанс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CN106023426B (zh) * 2016-06-30 2018-11-27 梧州学院 一种纸币展平分拣计数装置
JP6786947B2 (ja) * 2016-08-10 2020-11-18 富士電機株式会社 金銭処理装置
CN106373259B (zh) * 2016-09-08 2022-10-11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钞箱、自助金融设备及钞票处理方法
TWI601681B (zh) * 2017-02-17 2017-10-11 鴻發國際科技股份有限公司 文件儲存組件
CN108460894A (zh) * 2018-04-03 2018-08-28 中山百佳金合电子科技有限公司 硬币自循环模块
CN113053022B (zh) * 2021-03-30 2022-08-30 恒银金融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银行多用途金融设备的工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8425B2 (ja) * 1988-03-18 1998-03-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紙幣取扱装置
US5000322A (en) * 1988-05-31 1991-03-19 Laurel Bank Machines Co., Ltd. Bill receiving and dispensing machine
JPH0295627A (ja) * 1988-09-30 1990-04-06 Omron Tateisi Electron Co 紙葉類の繰出・集積装置
JP2949301B2 (ja) * 1990-07-23 1999-09-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紙葉類収納箱及び紙葉類取扱い装置
US5335899A (en) * 1992-10-01 1994-08-09 Roll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sheet feeding pressure
JPH06183577A (ja) * 1992-12-18 1994-07-05 Toyo Commun Equip Co Ltd 紙葉類自動払い出し装置
GB9303093D0 (en) * 1993-02-16 1993-03-31 Rue Inter Innovation De Ab Sheet stacking and processing apparatus
DE19547292A1 (de) * 1995-12-19 1997-06-26 Aeg Electrocom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Zwischenstapeln von Sendungen
JP3365540B2 (ja) * 1996-12-24 2003-01-1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JP3685612B2 (ja) 1996-12-26 2005-08-2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収納箱及び現金自動取引装置
GB9718798D0 (en) * 1997-09-05 1997-11-12 Ncr Int Inc Document feeding apparatus
JP3518280B2 (ja) 1997-10-06 2004-04-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紙幣入出金機
EP1378869B1 (en) * 1997-10-06 2014-08-06 Hitachi-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Leaflets handling apparatus
TW438708B (en) * 1997-10-08 2001-06-07 Asahi Seiko Co Ltd Card element delivering device
JP3865171B2 (ja) 1998-02-06 2007-01-10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2000002783A (ja) 1998-06-15 2000-01-07 Mitsubishi Heavy Ind Ltd 建屋の三次元免震構造
KR100330326B1 (ko) 1998-10-12 2002-04-01 가나이 쓰토무 지폐 입출금 장치
JP3631928B2 (ja) * 1999-09-30 2005-03-23 富士通株式会社 紙葉類繰り出しユニットおよび紙葉類取り扱い装置
JP3977982B2 (ja) * 2000-05-19 2007-09-19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収納放出庫及び紙幣入出金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580B1 (ko) * 2003-12-30 2005-11-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입출금기의 일시저장장치
KR100610998B1 (ko) * 2004-06-08 2006-08-1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입금기의 입금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45309A (ko) * 2014-10-17 2016-04-2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68689B2 (en) 2009-08-04
US6533261B2 (en) 2003-03-18
US20060012101A1 (en) 2006-01-19
US6942207B2 (en) 2005-09-13
KR100368582B1 (ko) 2003-01-24
US20020014736A1 (en) 2002-02-07
JP2001331844A (ja) 2001-11-30
US20030173183A1 (en) 2003-09-18
JP3977982B2 (ja) 200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8582B1 (ko) 지폐수납방출고
KR100323490B1 (ko) 지폐류 취급장치의 수납고
KR100351172B1 (ko) 지폐입출금기
JP3815651B2 (ja) 紙幣入出金機
KR100492203B1 (ko) 지폐 입출금 장치
JPH01237791A (ja) 紙幣取扱い装置
JP4325886B2 (ja) 紙幣入出金機
JP5153530B2 (ja) 紙幣入出金機
JPH11110607A (ja) 紙幣入出金機
JP2009048664A (ja) 自動取引装置
JP4423344B2 (ja) 自動取引装置
JP4845905B2 (ja) 紙幣入出金機
JP4292180B2 (ja) 自動取引装置
JP4110183B2 (ja) 紙幣収納放出庫
KR100372586B1 (ko) 지폐 입출금기
JP5498516B2 (ja) 紙幣入出金機
JP5498549B2 (ja) 紙幣入出金機
JP2006190333A (ja) 紙幣入出金機
JPH0511236Y2 (ko)
JP2023034937A (ja) 媒体処理装置
JP4866405B2 (ja) 紙幣入出金機
JP4310304B2 (ja) 自動取引装置
JPH0672590A (ja) 紙幣処理装置
KR20170110430A (ko)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JPH11339099A (ja) 紙幣入出金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