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1914A - 건식부하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건식부하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1914A
KR20010101914A KR1020017009693A KR20017009693A KR20010101914A KR 20010101914 A KR20010101914 A KR 20010101914A KR 1020017009693 A KR1020017009693 A KR 1020017009693A KR 20017009693 A KR20017009693 A KR 20017009693A KR 20010101914 A KR20010101914 A KR 20010101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ance
load test
switching member
assemblies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9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6576B1 (ko
Inventor
곤도도요시
Original Assignee
곤도도요시
가부시키가이샤다쓰미료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곤도도요시, 가부시키가이샤다쓰미료키 filed Critical 곤도도요시
Publication of KR20010101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1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5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20Modifications of basic electric elements for use in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Structural combinations of such elements with such instruments
    • G01R1/203Resistors used for electric measuring, e.g. decade resistors standards, resistors for comparators, series resistors, shu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s Of Circuit Breakers, Generators, And Electric Motor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건식부하 시험장치(40)는, 편평형상으로 간격을 두고 병렬 설치되고 또한 단부에 있어서 직렬로 접속된 다수의 가늘고 긴 저항소자(rj)로 이루어지는 편평형상의 다수의 저항조립체(Ri, Si, Ti)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저항조립체(Ri, Si, Ti)를 평평면이 평행하게 되도록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병렬 설치함으로써, 상기 다단의 저항조립체(Ri, Si, Ti)의 저항소자(rj)가 대응하는 것끼리로 이루어지는 저항소자열이 다수 설치된 다단의 고전압 부하시험용 저항본체(57R, 57S, 57T)를 가진다. 또한, 건식부하 시험장치(40)는, 상기 저항소자열의 저항소자(rj)의 단부에 일단부가 각각 접속되어 스위칭부재열(SWai, SWbi)을 구성하는 복수의 다단의 제 1의 스위칭부재(SWaij, SWbij)와, 상기 스위칭부재열(SWai, SWbi)의 제 1의 스위칭부재(SWaij, SWbij)의 타단부끼리를 각각 접속시키는 다수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aj, Cbj)와, 상기 다수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aj, Cbj)의 몇개를 피시험용 전원(3상교류발전기(88))에 접속하는 하나의 진공차단기(고전압용 스위치)(86)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건식부하 시험장치{DRY LOAD TEST APPARATUS}
<자가용(自家用) 발전기의 부하시험의 필요성>
근년, 예를 들면 공장, 백화점, 전산빌딩, 의료기관, 상업빌딩 등의 전력을 필요로 하는 시설(건물)에 있어서는, 정전시에 있어서도 안정적으로 전력공급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이러한 전력을 필요로 하는 시설에 있어서는, 3상교류발전기 등의 자가용 발전기를 설치하여, 정전시에 자가용 발전기를 긴급히 가동시켜 시설내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정전시에 있어서도,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자가용 발전기는 상시 운전조작되는 것은 아니고, 어디까지나 긴급정전시에 한하는 것이고, 더구나 그 때에는 확실히 작동되는 것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자가용 발전기가 긴급 정전시에 정상적으로 운전될 수 있도록, 평소부터 정기적으로 부하시험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 자가용 발전기의 부하시험의 방법으로서는, 자가용 발전기를 실제로 가동시켜 전력을 생성하고, 공장 또는 백화점 내에서 실제로 전력을 사용하는 기기(실내의 조명, 쿨러 등의 전기기기)에 상기 생성된 전력을 공급하여 행하는 것이 최상이다. 그러나, 당해 부하시험이 장시간으로 되고, 더구나 십수회에 이르는 발전기전원의 온 오프 테스트, 또한 급격한 전력의 용량 업 시험도 있기 때문에, 실제로 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예를들면 실내의 조명, 쿨러 등의 전기기기)를 사용하여 부하시험을 행하는 것은 곤란하고, 시험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실제로는, 발전기의 용량에 알맞는 용량을 갖는 부하저항을 구비한 부하시험용의 저항장치를 사용하여, 자가용 발전기의 부하시험을 행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 현상이다.
<부하시험장치의 종래예>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자가용 발전기에는 3상교류발전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일본 특개평6-34725호 공보나 특개평7-43436호 공보 등에 개시된 건식 부하 시험장치에서는, 3상교류발전기의 R상, S상, T상에 대응하는 부하가 얻어지도록, 스타(star)결선한 3개의 고정저항 유닛이 사용되고 있다.
더구나, 이 각 고정저항 유닛은, 복수의 봉형상의 저항소자로 이루어지는 저항조립체를 구비함과 동시에, 복수의 저항소자의 조합으로 부하용량을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공보에 개시된 장치 이외에도, 부하시험을 위한 부하용량의 교체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9-15307호 공보, 일본 특개평9-15308호 공보, 일본 특개평9-15309호 공보 등에 개시된 것도 있다. 이들의 공보에 개시된 장치에서는, 복수의 봉형상의 저항소자로 이루어지는 저항조립체를 다수 준비하여, 이 다수의 저항조립체를 상하로 다단으로 배치함으로써, 이 다수의 저항조립체로부터 부하용 저항회로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다단의 저항조립체의 교체 조합에 의해, 부하용 저항회로의 저항치를 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부하시험용의 부하저항의 저항치를 선택하기 위한 교체 선택수단이 설치된 부하시험용 저항장치로서는, 예를들면 일본 특개2000-19231(P2000-19231A)호 공보에 개시된 것과 같은 것도 있다.
<이동타입의 3상교류발전기용 부하시험장치>
그런데, 3상교류발전기의 부하시험용의 저항장치에는, 공장이나 백화점, 펌프장, 병원 등에 상설하여 두는 상설타입과, 차량에 탑재하여 부하저항시험을 행할 때만 부하시험을 필요로 하는 시설까지 반송하여 사용하는 이동타입이 있다. 예를들면, 이 이동타입의 부하시험장치로서는, 도 50A(특개평9-15307호 공보 참조)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럭(1)의 하물대(2)상에 건식부하 시험장치(3)를 탑재한 것이 있다.
이 건식부하 시험장치(3)는, 하물대(2)상에 부착된 프레임(4)과, 프레임(4)상에 인접하여 부착된 R상, S상, T상용의 저항 유닛(5,6,7)을 가지고 있다. 이 각 저항 유닛(5,6,7)은 동일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저항 유닛(5,6,7)은, 도 5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4)상에 배열설치된 베이스틀(10)과, 프레임(4)과 베이스틀(10)사이에 장착된 방진고무(11)와, 프레임(4), 베이스틀(10), 방진고무(11) 및 고정볼트(12)와, 고정볼트(12)의 양단부에 나사부착된 고정너트(13,14)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각 저항 유닛(5,6,7)은, 베이스틀(10) 및 프레임(4)의 하방에 배치되고, 또한 프레임(4)에 부착된 전동팬(15)과, 베이스틀(10)상에 고정된 애자(절연부재)(16)와, 애자(16)상에 고정되고 또한 상하단이 개방되는 하우징(17)과, 전동팬(15)으로부터의 냉각풍을 하우징(17)에 유도하는 후드(18)를 가지고 있다. 이 하우징(17)은,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글로 형성된 6면체 형상의 프레임(18)의 측면개구를 절연판(19a,19b,19c,19d)으로 폐쇄한 것이다.
더욱이, 각 저항 유닛(5,6,7)은 하우징(17)내에 배열설치된 저항본체(20R,20S,20T)를 가지고 있다. 이 저항본체(20R,20S,20T)는, 상하로 다단으로 배열설치된 저항조립체(Ri,Si,Ti[i=1,2,3…n])를 가지고 있다. 이 저항조립체(Ri,Si,Ti)는,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상에 병렬 설치되고 또한 양단부가 절연판으로 유지된 복수의 봉형상의 저항소자(히터)(21)와, 복수의 저항소자(21)를 직렬로 접속하고 있는 도전성 접속편(22)을 가지고 있다.
더구나, 저항 유닛(5,6,7)의 저항조립체(Ri,Si,Ti)는, 도 52, 도 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전압스위치인 개별 진공차단기(vacuum circuit breaker : VCB)(Bi[i=1,2,3…n])를 통해서 고전압스위치인 메인 진공차단기(메인VCB)(MB)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다단의 저항조립체(Ri,Si,Ti)를 개별 진공차단기(개별 VCB(Bi))로ON·OFF되도록 함으로써, 3상교류발전기의 미세한 부하투입시험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3상교류발전기(23)의 부하저항 투입시험을 행하는 수순으로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최초로 3상교류발전기(23)의 운전을 개시하고, 다음에 메인 진공차단기(MB)를 ON조작한다. 다음에, 다수의 개별 진공차단기(개별 VCB)(Bi)의 몇개를 ON조작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3상교류발전기(23)의 발전능력에 대한 부하가 최초의 10분은 25%, 다음의 10분은 50%, 다음의 10분은 75%, 최후의 10분은 100%로 되도록, 10분마다 다수의 개별 진공차단기(개별VCB)(Bi)의 몇개를 ON·OFF조작한다. 이와 같이 소정시간마다 3상교류발전기(23)의 발전능력에 대한 부하의 비율을 변경하면서, 3상교류발전기(23)의 부하시험에 의한 데이터를 취함으로써, 3상교류발전기의 섬세한 부하투입시험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고액의 진공차단기(VCB)(Bi)는, 저항조립체(Ri,Si,Ti[i=1,2,3…n])마다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건식부하 시험장치의 대폭적인 가격상승을 초래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극간의 전위의 확보 및 내압 등을 고려하여 진공차단기(VCB)(Bi)와 저항조립체(Ri,Si,Ti[i=1,2,3…n])를 케이블로 접속하는 경우에, 이 접속케이블과 진공차단기(VCB)(Bi)와 배치간격(W)을 10센티미터이상 이격하여야 한다. 따라서 그 결과, 저항장치 자체가 극히 대형화 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소형으로, 부하저항 시험을 위한 부하저항의 저항치를 섬세하게 설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장치의 제조코스트를 저렴하게 할 수 있는 건식부하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교류발전기나 그 외의 전원 등의 전기부하시험에 사용되는 건식부하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서, 도 1A는 본 발명에 관한 건식부하 시험장치를 탑재한 트럭의 평면도, 도 1B는 도 1A의 측면도.
도 2는 도 1A, 도 1B에 도시한 장치 수납용의 박스틀을 단면으로 내부의 건식부하 시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3은 도 2의 건식부하 시험장치를 화살표(A)방향에서 본 개략 측면도.
도 4는 도 2의 건식부하 시험장치를 화살표(B)방향에서 본 개략 측면도.
도 5는 도 1~도 4의 건식부하 시험장치와 피시험용 전원의 일예를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
도 6은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비스듬히 본 부분사시도.
도 7에서 도 7A는 도 3, 도 4의 전동팬의 일부를 파단하여 도시한 저항유닛의 측면도, 도 7B는 도 7A의 절연판의 설명도.
도 8은 도 7A의 저항유닛과 스위칭부재의 관계를 도시하는 확대단면도.
도 9에서 도 9A는 도 8에 도시한 저항소자의 일부를 파단함과 동시에 상세히 도시한 설명도, 도 9B는 도 9A의 저항소자의 단부 확대구조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9C는 도 9A의 저항소자의 단부 유지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0은 도 1~도8의 건식부하 시험장치의 회로도.
도 11은 도 10의 부분확대 설명도.
도 12는 도 2의 화살표(A)방향에서 본 스위칭부재와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의 배치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3은 도 2의 화살표(B)방향에서 본 스위칭부재와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의 배치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4는 도 10의 저항조립체와 그 저항조립체의 저항소자를 단락하는 부재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5는 도 14의 저항조립체와 스위칭부재의 관계를 도시하는 부분확대 설명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스위칭부재의 정면도.
도 17은 도 16의 스위칭부재의 저면도.
도 18은 도 16의 스위칭부재의 종단면도.
도 19는 도 18의 스위칭부재의 작용 설명도.
도 20은 도 16의 스위칭부재의 접점유지 케이스의 평면도.
도 21은 도 18의 솔레노이드의 좌측면도.
도 22는 도 21의 평면도.
도 23은 도 16에 도시한 스위칭부재의 작동제어를 위한 개략 회로도.
도 24는 도 15에 도시한 스위칭부재의 제어회로도.
도 25는 도 14에 도시한 저항조립체의 저항소자의 접속예를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
도 26은 도 25의 부분확대 설명도.
도 27은 도 25의 접속에 의한 저항조립체의 저항치 설명도.
도 28은 도 14에 도시한 저항조립체의 저항소자의 다른 접속예를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
도 29는도 28의 부분확대 설명도.
도 30은 도 28의 접속에 의한 저항조립체의 저항치 설명도.
도 31은 도 14에 도시한저항조립체의 저항소자의 또 다른 접속예를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
도 32는 도 31의 부분확대 설명도.
도 33은 도 31의 접속에 의한 저항조립체의 저항치 설명도.
도 34는 도 15에 도시한 스위칭부재의 제어회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건식부하 시험장치의 개략 회로도.
도 36은 도 34의 부분확대 설명도.
도 37은 도 35의 스위칭부재의 제어회로도.
도 38은 도 35의 스위칭부재의 제어회로도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39는 도 16~도 18에 도시한 스위칭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0은 도 39의 저면도.
도 41은 도 16~도 18에 도시한 스위칭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2는 도 41의 스위칭부재의 에어 제어회로도.
도 43은 다른 건식부하 시험장치의 설명도.
도 44는 도 43의 우측면도.
도 45에서 도 4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관한 건식부하 시험장치의 일부를 파단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45B는 일부를 파단하여 도시한 도 45A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6은 도 45A의 건식부하 시험장치의 우측면도.
도 47은 도 46의 평면도.
도 48에서 도 48A는 본 발명의 저항유닛의 접속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48B는 도 48A의 저항유닛의 접속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49는 본 발명에 관한 건식부하 시험장치를 탑재한 트럭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0은 종래의 건식부하 시험장치를 탑재한 트럭의 측면도, 도 50A의 전동팬의 일부를 파단하여 도시한 저항유닛의 측면도.
도 51은 도 50의 저항조립체의 설명도.
도 52는 도 50의 저항조립체의 접속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53은 도 52의 저항조립체의 회로도.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청구항 1의 발명의 건식부하 시험장치는, 편평형상으로 간격을 두고 병렬 설치되고 또한 단부에서 직렬로 접속된 다수의 가늘고 긴 저항소자로 이루어지는 편평형상의 다수의 저항조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저항조립체를 편평면이 평행하게 되도록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병렬 설치함으로써, 상기 다단의 저항조립체의 저항소자가 대응하는 것 끼리로 이루어지는 저항소자열이 다수 설치된 다단의 고전압 부하시험용의 저항본체와, 상기 저항소자열의 저항소자의 단부에 일단부가 각각 접속되어 스위칭부재열을 구성하는 복수의 다단의 제 1의 스위칭부재와, 상기 스위칭부재열의 제 1의 스위칭부재열의 타단부 끼리를 각각 접속하는 다수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와, 상기 다수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의 몇개를 피시험용 전원에 접속하는 1개의 고전압용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몇개의 상기 저항소자열의 저항소자의 각 단부에 상기 제 1의 스위칭부재의 일단부가 각각 접속되어 스위칭부재열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모든 상기 저항소자열의 저항소자의 각 단부에 상기 제 1의 스위칭부재의 일단부가 각각 접속되고, 상기 각저항소자열에 대응하는 스위칭부재열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조립체간 도전부재끼리를 선택적으로 단락하는 단락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락수단은 제 2의 스위칭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재는 제 1, 제 2고정접점으로 일조의 복수의 고정접점쌍과 상기 각 고정접점쌍의 제 1, 제 2고정접점을 단속시키는 복수의 가동접점과,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 각 고정접점쌍의 제 1, 제 2고정접점에 대하여 진퇴구동하여 상기 각 고정접점쌍의 제 1, 제 2고정접점을 동시에 단속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제 1 고정접점끼리 및 제 2 고정접점끼리는 각각 서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조작패널과 제어회로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솔레노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자력에 의해 구동되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솔레노이드는 상기 가동접점과 그 구동방향과 대략 동일 직선상에 배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에어제어회로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액추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건식부하 시험장치는 건식 전기부하 시험장치를 의미하는 것이다. 즉, 건식부하 시험장치는, 발열하는 부하로서의 저항소자를 물로 냉각시키지 않고, 건조한 공기로 냉각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 건식부하 시험장치는 이 의미로 사용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을 도 1∼도 34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관한 이동식 건식부하 시험장치 즉 이동식 전기부하 시험장치의 평면도, 도 1(B)는 도 1(A)의 측면도이다.
[구성]
이 이동식 건식부하 시험장치는, 트럭(30)과 건식부하 시험장치(전기부하 시험장치)(40)를 가지고 있다. 이 트럭(30)은, 하물대(31)와, 하물대(31)상에 설치된 박스(32)를 가지고 있다. 이 박스(32)내에, 하물실(3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물실(33)내에 건식부하 시험장치(40)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건식부하 시험장치(40)의 개략구성>
이 건식 부하시험장치(40)는, 도 1(B), 도 2,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물실(33)내에 설치된 프레임(41)과, 프레임(41)상에 인접하여 전후로 배열설치된 R상, S상, T상용의 저항유닛(42, 43, 44)을 가지고 있다(도 1(A), 도 5, 도 6 참조). 이 각 저항유닛(42, 43, 44)은 동일의 구성으로 되어있다.
<각 저항유닛(42, 43, 44)>
각 저항유닛(42, 43, 44)은,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41)상에 배열설치된 베이스틀(45)과, 프레임(41)과 베이스틀(45)사이에 장치된 내열성이고 절연성의 방진절연고무(46)와, 방진절연고무(46)의 상하 양단에 눌어붙어 고착된 플레이트(47, 47)와, 플레이트(47, 47)와 일체로 설치되고 또한 프레임(41) 및 베이스틀(45)을 각각 관통하는 고정볼트(48, 48)와, 고정볼트(48, 48)의 양단부에 각각 나사부착된 고정너트(49, 49)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각 저항유닛(42, 43, 44)은, 베이스틀(45) 및 프레임(41)의 하방에 배치되고, 또한 프레임(41)에 부착된 전동팬(50)과, 베이스틀(45)상에 고정된 애자(절연부재)(51)와, 애자(51)상에 고정되고 또한 상하단이 개방되는 하우징(52)(도 6 참조)과, 전동팬(50)으로부터의 냉각풍을 하우징(52)에 유도하는 절연후드(53)를 가지고 있다. 이 하우징(52)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앵글로 형성된 6면체형상의 프레임(54)의 측면개구를 에폭시계의 내열성재료로 형성된 절연판(55a, 55b, 55c, 55d)등의 측부개구 폐쇄판으로 폐쇄한 것이다. 이 절연판(55a, 55b, 55c(도 6 참조), 55d)은 볼트·너트 등의 고정구(56)로 프레임(54)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절연판(55b, 55d) 등의 측부개구 폐쇄판은, 절연재료 이외의 내열불연재의 측부개구 폐쇄판을 대신할 수 있다. 이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판이나 철판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절연판(55a, 55c)에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부착구멍열(Hi[i=1,2,3…n])이 상하로 다단으로 등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구멍열(Hi)은, 좌우로 등피치로 배열된 다수의 부착구멍(hj[j=1,2,3…m])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착구멍열(Hi)은 22열(i=n=22), 부착구멍(hj)은 16열(j=m=16)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부착구멍(hj)은 16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부착구멍열(Hi)도 22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하의 부착구멍열(Hi)의 부착구멍(hj)은 좌우로 반피치 어긋나게하여 엇갈리게 설치되어 있다.
<각 저항유닛(42, 43, 44)의 저항본체>
더욱이, 각 저항유닛(42, 43, 44)은 도 2, 도 5,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52)내에 배열설치된 저항본체(57R, 57S, 57T)를 가지고 있다. 이 저항본체(57R, 57S, 57T)는, 부착구멍열(Hi)에 대응하여 상하로 다단으로 배열설치된 다수의 편평형상의 저항조립체(Ri, Si, Ti[i=1,2,3…n])를 가지고 있다(도 10, 도 11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부착구멍열(Hi)이 22열이므로, 저항조립체(Ri, Si, Ti)도 부착구멍열(Hi)에 대응하여 22단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1은, 저항조립체(Ri, Si, Ti)의 전체의 접속관계를 도시한 것이고, 도시의 편의상, 큰 부호만을 붙였다. 또한, 도 10의 저항조립체(Ri, Si, Ti)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저항조립체(Ri, Si, Ti)의 공통부분을 도 11에 확대하여 도시하고, 도 10에서는 도시의 관계상 붙일 수 없었던 부호를 도 11에 붙여 설명한다.
이 저항조립체(Ri, Si, Ti)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평형상(평면형상)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또한 양단부가 절연판에 유지된 복수의 봉형상의 저항소자(히터)(rj[j=1,2,3…m])와, 인접하는 복수의 저항소자(히터)(rj)를 단부에서 직렬로 접속하고 있는 도전성 접속편(58aj, 58bj-1[j=1,2,3…m/2])을 가지고 있다. 이 복수의 저항소자(히터)(rj)는, 부착구멍(hj)에 대응하여 배열되어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부착구멍(hj)에 대응하여 16개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의 부착구멍열(Hi)의 부착구멍(hj)은 좌우로 절반피치 어긋나게 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상하의 부착구멍열(Hi)의 부착구멍(hj)에 부착된 저항소자(rj)는 상호 좌우로 절반피치 어긋나서, 종방향의 저항소자(rj)는 지그재그로 배열되는 것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전동팬(50)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절연판(55a, 55b, 55c)사이에 공급되는 냉각풍은 상하의 부착구멍열(Hi)의 부착구멍(hj)에 부착된 저항소자(rj)에 효율적으로 닿아서 부착구멍열(Hi)의 저항소자(rj) 모두를 효율적으로 냉각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다단의 저항조립체(R1~Rn)의 각 도전성 접속편(58aj)은 상하로 일렬로 접속편열을 구성하고, 다단의 저항조립체(R1~Rn)의 각 도전성 접속편(58aj-1)은 상하로 일렬로 접속편열을 구성하고, 다단의 저항조립체(R1~Rn)의 각 저항소자(히터)(rj)는 상하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되어 저항소자열을 구성하고 있다.
(저항조립체(Ri, Si, Ti)의 저항소자)
이 저항소자(rj)는,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재료 또는 스테인레스 강 등으로 형성된 통체(59)와, 통체(59)의 외주에 고착된 방열핀(60)과, 통체(59)의 양단부내에 일단부가 동심으로 삽입된 봉형상 전극(61, 61)과, 봉형상 전극(61, 61)의 중간부 외주에 일체 또한 동심으로 고착된 절연체(절연부재)(62, 62)를 가지고 있다. 이 절연체(62)는, 세라믹스제의 절연 애자 등으로 이루어지고, 둘레면에 먼지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환형상 홈(6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항소자(rj)는, 통체(59)의 중앙에 배열설치되고 또한 봉형상 전극(61, 61)에 양단부가 접속된 저항선(니크롬선 등의 히터선)(63)과, 통체(59)의 내면과 봉형상 전극(61, 61)의 일단부 및 저항선(63)과의 사이에 충전된 마그네시아 등의 절연재료(절연부재)(64)와, 봉형상 전극(61)의 타단부에 나사부착된 고정너트(65, 65a)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도전성 접속편(58)은, 고정너트(65, 65a)사이에서 체결고정함으로써, 저항소자(rj)에 고정되어 있다.
더욱이, 도 9A,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체(59)의 단부와 봉형상 전극(61) 사이에 환형상 또는 통형상의 내열 코킹재(내열 실링재)(64a)를 끼워 부착하고, 절연체(절연부재)(62)로 눌러 붙이도록 하는 것으로, 내열 코킹재(64a)에 의해 절연체(64)내에 습기가 들어 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높은 전압에 견딜 수 있기 위해서, 절연체(62)의 길이는 예를 들면 약 10mm정도 또는 그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어, 도전성 접속편(58)과 통체(59) 사이의 절연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
이 통체(59)의 양단부 근방에는 내열성으로 탄성을 갖는 절연부재(66)가 고정되어 있다. 이 절연재료(66)는, 내열성이 있고 또한 탄성을 갖는 실리콘 고무(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연부재(66)의 중앙부에는, 환형상 부착홈(66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저항조립체(Ri, Si, Ti)의 저항소자(히터)(rj)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부착구멍열(Hi)의 부착구멍(hj)에 대응하여 배열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저항소자(히터)(rj)는 양단측의 절연부재(66, 66)를 절연판(55a, 55c)의 부착구멍(hj,hj)에 끼워맞춤하고, 절연부재(66, 66)의 환형상 부착홈(66a, 66a)에 절연판(55a, 55c)을 걸어맞춤함으로써, 절연판(55a, 55c)에 고정(유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내열성이 있고 또한 탄성을 갖는 절연부재(66)로 통체(59)를 절연판(55a, 55c)에 유지시킴으로써, 트럭의 이동시의 진동충격이 저항소자(rj)에 전해져서, 저항소자(rj)가 진동충격 등에 의해 파손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저항소자(rj)를 지지하는 절연판(55a, 55c)이 에폭시수지계의 비교적 내열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데, 절연부재(66)를 내열성이 있는 실리콘고무(합성수지) 등으로 형성하여, 저항소자(rj)의 열이 직접 절연판(55a, 55c)에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절연판(55a, 55c)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절연부재(66)를 내열성이 있고 또한 탄성이 있는 실리콘고무(합성수지) 등으로 형성하고 있는데,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건식부하 시험장치(40)를 트럭에 탑재하여 이동하지 않고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절연부재(66)를 도 9C와 같이 세라믹제의 절연애자(66')로 형성하여, 절연부재(66')로 절연판(55a, 55c)등을 유지하도록 해도 좋다.
<스위칭부재>
또한, 건식부하 시험장치(40)는 도 1, 도 2,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유닛(42, 43, 44)과 간격을 둔 상태에서, 저항유닛(42, 43, 44)을 끼운 위치에 배열 설치된 절연판(67, 68)을 가지고 있다(도 3, 도 4, 도 6 참조). 이 절연판(67, 68)은 저항유닛(42, 43, 44)의 배열방향으로 뻗어서, 저항유닛(42, 43, 44)의 측방 전체를 덮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절연판(67, 68)은, 하단부가 도시하지 않은 볼트·너트 등의 부착수단으로 프레임(41)에 부착되어 있다.
이 절연판(67, 68)의 저항유닛(42, 43, 44)측과는 반대측의 면(67a, 68a)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의 스위칭부재열(SWai, SWbi[i=1,2,3,…n])이 저항조립체(Ri, Si, Ti)에 대응하여 다단으로 배열 설치되어 있다(도 3, 도 4, 도 12, 도 13, 도 14 참조).
각 제 1의 스위칭부재열(SWai, SWbi)은 저항조립체(Ri,Si, Ti)의 저항소자(히터)(rj)의 절반분의 수의 제 1의 스위칭부재(SWaij, SWbij[j=1,2,3,…m/2])를 가지고 있다. 이 제 1의 스위칭부재(SWaij, SWbij)는 항상 개방접점을 가짐과 동시에, 절연판(67, 68)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스위칭부재(SWaij, SWbij)의 구조)
이 제 1의 스위칭부재(SWaij, SWbij)는, 도 16~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제 1의 스위칭부재(SWaij, SWbij)는 케이스(69)를 가지고 있다. 이 케이스(69)는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고전압에 견딜 수 있는 테프론 등의 절연재료성의 접점케이스(분할케이스)(70)와 고전압에 견딜 수 있는 테프론 등의 절연재료성의 솔레노이드케이스(분할케이스)(71)를 가지고 있다. 이 접점케이스(70)에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제 2의 고정접점(Pa, Pb)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접점쌍이 2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접점(Pa, Pa)은 접점케이스(70)의 일측에 나란히 설치되고, 고정접점(Pb, Pb)은 접점케이스(70)의 타측에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고정접점(Pa, Pa)과 고정접점(Pb, Pb)을 끼우는 위치에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료로 이루어지는 접점유지부재(72)가 고정접점(Pa, Pa)의 배열방향과 평행하게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접점이동부재(72)는 스프링(73)에 의해 길이방향의 한쪽(도 18~도 20의 좌방)으로 스프링가압되어 있다.
이 접점유지부재(72)에는 도 18,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좌우로 관통하는 접점이동 슬릿(72a, 72a)이 형성되고, 접점이동 슬릿(72a, 72a)의 끝벽의 한쪽에는 스프링유지용의 돌기(72b, 7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72b, 72b)에는 스프링(74, 74)의 일단부가 끼워맞춤 유지되고, 이 스프링(74, 74)의 타단부에는 판형상의 가동접점(M, M)의 중앙에 설치된 돌기(75, 75)가 끼워맞춤 유지되어 있다. 이 스프링(74, 74)은, 가동접점(M, M)을 접점이동 슬릿(72a, 72a)의 끝벽에 누르고 있다.
이 가동접점(M)의 양단 접점부는, 고정접점(Pa, Pb)에 대향되어 있다. 더구나, 가동접점판(M)의 양단 접점부는 스프링(73)의 스프링력에 의해 고정접점(Pa, Pb)으로부터 이반되어서, 접점(Pa, Pb)은 항상 개방접점으로 되어 있다. 또한, 고정접점(Pa, Pa)은 단자판(76)에 의해 접속되고, 고정접점(Pb, Pb)은 단자판(77)에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접점(Pa, Pa, Pb, Pb)이 어느 정도의 고전압에 견딜 수 있도록 되어있다.
솔레노이드케이스(71)의 개구부내에는 테프론 등의 고전압에 견딜 수 있는 베이스판(78a)이 배열 설치되어 있어, 이 베이스판(78a)은 케이스(70)내의 공간과 케이스(71)내의 공간을 고전압에 대하여 절연하고 있다. 이 솔레노이드케이스(71)내에는 베이스판(78a)에 고정한 솔레노이드 유지틀(78)이 고정되고, 이 솔레노이드 유지틀(78)에는 솔레노이드(S)가 구동수단으로서 부착되어 있다.
이 솔레노이드(S)는 솔레노이드 유지틀(78)에 고정되고 또한 접점유지부재(72)와 평행하게 뻗는 철심(79)과, 철심(79)에 감겨진 코일(솔레노이드본체)(80)과, 철심(79)에 대하여 진퇴회동 가능하게 솔레노이드 유지틀(78)에 유지된 가동철판(81)과, 테프론 등의 고전압에 견딜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고 또한 가동철판(81)에 고착된 절연 걸어맞춤판(81a)을 가지고 있다. 이 절연 걸어맞춤판(81a)은 가동철판(81)으로부터 하방으로 더 돌출되어 있어, 절연 걸어맞춤판(81a)의 선단(하단)부는 접점 유지부재(72)의 걸어맞춤 오목부(72b)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80)에는 리드선(82, 83)을 통해서 통전 제어회로(84)가 접속되어 있다.
이 리드선(82, 83)은, 접점케이스(70)에서 이격된 측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솔레노이드 케이스(71)로부터 외부로 끌려 나가고 있다. 이것에 의해, 고정접점(Pa, Pb)이나 가동접점(M)으로부터 리드선(82, 83)이 이격되도록 설정되므로, 고정접점(Pa, Pb)이나 가동접점(M)과 리드선(82, 83)의 내전압도가 향상된다.
그리고, 통전제어회로(84)에 의해 코일(80)에 통전되면, 가동철판(81)이 고정철심(79)에 자력(磁力)으로 흡인이동되어서, 고정철심(79)에 자착(磁着)되어, 솔레노이드(S)가 작동(ON)한 상태로 된다. 게다가, 이 흡인 이동에 의해 가동철판(81)과 일체로 이동하는 절연 걸어맞춤판(81a)이 접점 유지부재(72)를 스프링(73)의 스프링힘에 저항하여 도 18~도 20중, 우방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가동접점(M)이 고정접점(Pa, Pb)에 맞닿음(접촉)되고, 고정접점(Pa, Pb)이 도통(단락)되도록 되어 있다.
(스위칭부재(SWaij, SWbij)의 도전성 접속편으로의 접속)
또한, 제 1의 스위칭부재(SWaij)는 일단(고정접점(Pa))이 도전성 접속편(58aj)에 각각 접속되고, 제 1의 스위칭부재(SWbij)는 일단(고정접점(Pa))이 저항소자(r1)의 도전성 접속편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단부(F)에 접속되고, 나머지 제 1의 스위칭부재(SWbij)는 일단(고정접점(Pa))이 도전성 접속편(58bj-1)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
또한, 상하로 다단으로 배열 설치된 다수의 저항조립체(Ri, Si, Ti)의 제 1의 스위칭부재(SWaj)의 타단(고정접점(Pb))은,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 (Caj[j=1,2,3…m/2])에 각각 접속되고, 상호 도통되어 있다. 동일하게 상하로 다단으로 배열 설치된 다수의 저항조립체(Ri, Si, Ti)의 제 1의 스위칭부재(SWbj)의 타단(고정접점(Pa))은,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bj[j=1,2,3…m/2])에 각각 접속되어서, 상호 도통하고 있다. 또한, 다수의 저항조립체(Ri, Si, Ti)의 저항소자(rm)는 도전성 접속편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단부(E)는,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b(m/2)+1)에 접속되어, 상호 도통하고 있다.
<저항조립체(Ri, Si, Ti)의 접속관계>
저항조립체(Ri, Si, Ti)의 접속관계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어 있다. 이 도 14는 저항조립체(Ri, Si, Ti)를 동시에 도시하고 있으므로, 도 14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부호는 필요 최소한의 것을 붙여 설명하고, 상세한 설명은 도 15에서 설명한다. 또한, 도 14, 도 15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8에 도시한 절연판(67, 68)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이 저항조립체(Ri)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b(m/2)+1)는 배선(85R)을 통해서 메인의 진공차단기(VCB)(86)의 접점(86R1)에 접속되고, 저항조립체(Si)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b(m/2)+1)는 배선(85S)을 통해서 고전압용 스위치인 메인의 진공차단기(VCB)(86)의 접점(86S1)에 접속되고, 저항조립체(Ti)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b(m/2)+1)는 배선(85T)을 통해서 메인의 진공차단기(VCB)(86)의 접점(86T1)에 접속되어 있다. 이 진공차단기(VCB)(86)의 접점(86R2, 86S2, 86T2)은 배선(87R,87S, 87T)을 통해서 3상교류발전기(88)의 R, S, T상의 접점(88R, 88S, 88T)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위칭부재(SWaij, SWbij)와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aj, Cbj, Cb(m/2)+1)를 설치함으로써, 종래는 저항조립체(Ri, Si, Ti)의 각 단마다 진공차단기(VCB)에서 ON·OFF하고 있던 구조가 불필요하게 되고, 진공차단기(VCB)는 1개의 메인 진공차단기(VCB)(86)만으로 좋게 된다.
<부하전환 접속부재>
건식부하 시험장치(40)는, 저항조립체(Ri, Si, Ti)의 몇개의 저항소자(ri)를 단락시키는 단락수단을 가지고 있다. 이 단락수단으로서는, 단락용의 접속선(89, 89), 단락용의 접속선(90, 90, 90), 도전판(도전성 접속부재)(91, 91, 91) 및 상호 접속된 도전판(도전성 접속부재)(92, 92, 92)을 준비하여 둔다.
<통전제어회로(84)>
또한, 상술한 통전제어회로(84)에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전압부하시험용의 저압스위치(93), 고전압부하시험용의 고압스위치(94), 고전압부하시험용의 고압스위치(95)가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전원(96)이 전원스위치(97)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동팬(50)은 통전제어회로(84)에 의해 구동제어되도록 되어있다.
[작용]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의 건식부하 시험장치(40)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트럭(30)에 의해 건식부하 시험장치(40)를 부하시험을 행하는 현장까지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압부하시험의 대상으로 되는 전기기기로서 3상교류발전기(88)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로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각 저항유닛(42, 43, 44)에 설치된 저항본체(57R, 57S, 57T)는, 22단의 편평형상의 저항조립체(Ri, Si, Ti)를 가지고 있다. 게다가 저항조립체(Ri, Si, Ti)의 봉형상의 저항소자(ri)는 16개 설치되어 있다.
더구나, 상술한 스위칭부재열(SWai, SWbi)의 스위칭부재(SWaij, SWbij)는 각 8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스위칭부재(SWaij)의 솔레노이드본체인 코일(80)을 도 24의 S1~S8로 도시한 바와 같이 대응시켜, 스위칭부재(SWbij)의 솔레노이드본체인 코일(80)을 S9~S16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대응시켜 전압부하시험의 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압부하시험의 대상으로 되는 전기기기로서 3상교류발전기(88)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 3상교류발전기(88)를 건식부하 시험장치(40)의 저항본체(57R,57S,57T)에 도 5와 같이 접속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저전압 부하시험
예를 들면, 400V의 저전압 부하시험을 행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25,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항본체(57R)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b1~Cb(m/2)+1)를 도전판(91)으로 통전(단락)시키고, 저항본체(57S)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b1~Cb(m/2)+1)를 도전판(91)에 통전(단락)시킴과 동시에, 저항본체(57T)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b1~Cb(m/2)+1)를 도전판(91)에 통전(단락)시킨다.
이것에 의해, 3상교류발전기(88)의 R, S, T상에는, 도전성 접속편(58b1~58b(m/2)), 스위칭부재열(SWb1~SWbn)의 모든 스위칭부재(SWbij), 저항본체(57R, 57S, 57T)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b1~Cb(m/2)+1), 도전판(91), 배선(85R, 85S, 85T) 및 진공차단기(86)를 통해서 저항조립체(Ri, Si, Ti)의 저항소자(rj)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저항본체(57R)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a1~Cam/2)를 도전판(92)으로 통전(단락)시키고, 저항본체(57S)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a1~Cam/2)를 도전판(92)으로 통전(단락)시키고, 저항본체(57T)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a1~Cam/2)를 도전판(92)으로 통전(단락)시킨다. 이것에 의해, 저항본체(57R, 57S, 57T)를 구성하는 저항조립체(Ri, Si, Ti)의 저항소자(rj)는, 도전성 접속편(58ai~58a(m/2)),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a1~Cam/2), 스위칭부재열(SWa1~SWan)의 모든 스위칭부재(SWaij) 및 도전판(92)을 통해서 전압이 0으로 되는 중성점에 상호 접속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항조립체(Ri, Si, Ti)의 16개의 저항소자(rj)는 모두 병렬로 접속된 상태로 된다. 더구나, 3상교류발전기(88)의 R, S, T상에는, 모든 저항소자(rj)를 병렬로 접속하여 부하저항치를 작게 한 저항조립체(Ri,Si,Ti)(즉 저저항치의 저항소자본체(57R, 57S, 57T))가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접속에 있어서, 3상교류발전기(88)를 작동시키는 한편, 전원스위치(97)를 ON시켜서 통전제어회로(84)를 작동시킨다. 이 후, 저압용 스위치(93)를 ON시킨다. 이 ON조작에 의해 통전제어회로(84)는, 먼저 메인의 진공차단기(86)를 ON시킨 후, 스위칭부재(SWaij, SWbij)의 코일(80)(S1~S16)의 모두에 통전시켜서, 스위칭부재(SWaij, SWbij)의 모두를 ON시킨다.
이것에 의해, 3상교류발전기(88)로부터의 출력(전압, 전류)이 이 저항조립체(Ri, Si, Ti)의 저항소자(rj)에 입력되고, 부하시험이 개시된다. 이것에 의해, 저항조립체(Ri, Si, Ti)의 저항소자(rj)에 통전되어, 저항소자(rj)가 발열한다.
이때, 통전제어회로(84)는, 저항유닛(42, 43, 44)의 각 전동팬(50)을 작동시켜서, 각 전동팬(50)으로부터의 냉각풍을 저항유닛(42, 43, 44)의 하우징(52)에 송풍한다. 그리고, 이 냉각풍은, 저항유닛(42, 43, 44)의 저항소자(rj)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핀(60)의 주위를 흐를 때에 흡수하여, 저항소자(rj)를 냉각한 후, 하물실(33)을 형성하는 박스(32)의 도시하지 않는 배기구로부터 외부로 배기된다.
또한, 이 경우에도, 각 단의 스위칭부재(SWaij, SWbij)의 ON·OFF제어를 함으로써, 저항본체(57R, 57S, 57T)로부터 3상교류발전기(88)에 걸리는 부하저항치를 소정시간마다 예를들면 25%, 50%, 75%, 100%로 변화시켜서, 부하시험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편평형상의 저항조립체(Ri, Si, Ti)가 22단 설치되어 있으므로, 3상교류발전기(88)에 걸리는 부하저항치의 비율을 더 미세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5%, 10% 마다 부하시험을 행할 수도 있다.
(2) 3300V의 고전압 부하시험
예를 들면 3300V의 고전압 부하시험을 행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본체(57R)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b5)와 저항본체(57S)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b5)를 접속선(89)으로 접속하여 단락시키고, 저항본체(57S)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b5)와 저항본체(57T)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b5)를 접속선(89)으로 접속하여 단락시킨다. 또한, 각 저항본체(57R, 57S, 57T)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b1과 Cb(m/2)+1)를 접속선(90, 90, 90)으로 각각 접속하여 단락시킨다(도 29 참조).
이 상태에서는,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저항조립체(Ri, Si, Ti)의 각 16개의 저항소자(rj)는 절반분인 8개의 저항소자(rj)가 병렬로 접속된 값의 저항체(8r, 8r)를 2개 병렬로 접속하여, 병렬의 저항체(8r, 8r)의 일단측을스위칭부재(SWbi5) 및 접속선(89, 89)을 통해서 전압이 0으로 되는 중성점에 상호 접속된다.
또한, 3상교류발전기(88)의 R, S, T상에는, 저항본체(57R, 57S, 57T)의 각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b1과 Cb(m/2)+1)를 접속선(90, 90, 90), 배선(85R, 85S, 85T) 및 진공차단기(86)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3상교류발전기(88)의 R, S, T상에는, 병렬로 접속되어 저항치를 중간정도의 값으로 한 저항체(8r, 8r)를 갖는 저항조립체(Ri, Si, Ti)(즉 중저항치의 저항본체(57R, 57S, 57T))가 접속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은 접속에 있어서, 3상교류발전기(88)를 작동시키는 한편, 전원스위치(97)를 ON시켜서 통전제어회로(84)를 작동시킨다. 이 후, 고압용 스위치(94)를 ON시킨다. 이 ON조작에 의해 통전제어회로(84)는, 먼저 메인의 진공차단기(86)를 ON시킨 후, 스위칭부재(SWbi1, SWbi5)의 코일(80(S1, S5))에 통전시켜서, 스위칭부재(SWbi1, SWbi5)를 ON시킨다. 이것에 의해, 3상교류발전기(88)로부터의 출력(전압, 전류)이 이 저항조립체(Ri, Si, Ti)의 저항체(8r, 8r)에 입력되고, 부하시험이 개시된다. 이것에 의해, 저항체(8r, 8r)를 구성하는 각 저항소자(rj)에 통전되어, 저항소자(rj)가 발열한다.
이 때, 통전제어회로(84)는, 저항유닛(42, 43, 44)의 각 전동팬(50)을 작동시키고, 각 전동팬(50)으로부터의 냉각풍을 저항유닛(42, 43, 44)의 하우징(52)에송풍한다. 그리고, 이 냉각풍은, 저항유닛(42, 43, 44)의 저항소자(rj)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핀(60)의 주위를 흐를 때에 흡수하고, 저항소자(rj)를 냉각한 후, 하물실(33)을 형성하는 박스(32)의 도시하지 않은 배기구로부터 외부로 배기된다.
또한, 이 경우에도, 각 단의 스위칭부재(SWaij, SWbij)의 ON·OFF제어를 함으로써, 저항본체(57R, 57S, 57T)로부터 3상교류발전기(88)에 걸리는 부하저항치를 소정시간마다 예를들면 25%, 50%, 75%, 100%로 변화시켜서, 부하시험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편평형상의 저항조립체(Ri, Si, Ti)가 22단 설치되어 있으므로, 3상교류발전기(88)에 걸리는 부하저항치의 비율을 더 미세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5%, 10% 마다 부하시험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3) 6600V의 고전압 부하시험
예를 들면 6600V의 고전압 부하시험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저항조립체(57R, 57S, 57T)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b1, Cb1, Cb1)를 접속선(89, 89, 89)으로 각각 접속하여 단락시킨다(도 32 참조). 이것에 의해, 저항조립체(Ri, Si, Ti)의 각 저항소자(r16, r16, r16)는 스위칭부재(SWbi16, SWbi16, SWbi16) 및 접속선(89, 89)을 통해서 전압이 0으로 되는 중성점에 상호 접속된다.
또한, 3상교류발전기(88)의 R, S, T상에는, 저항본체(57R, 57S, 57T)의 각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b(m/2)+1)가 배선(90, 90, 90), 배선(85R, 85S, 85T) 및 진공차단기(86)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저항조립체(Ri, Si, Ti)는 16개의 저항소자(rj)의 모든 저항소자(rj)가 직렬로 접속되어, 저항치가 고저항으로 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3상교류발전기(88)의 R, S, T상에는, 모든 저항소자(rj)를 직렬로 접속한 고저항치의 저항조립체(Ri, Si, Ti)(즉 고저항치의 저항본체(57R, 57S, 57T))가 접속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은 접속에 있어서, 3상교류발전기(88)를 작동시키는 한편, 전원스위치(97)를 ON시켜서 통전제어회로(84)를 작동시킨다. 이 후, 고압용 스위치(95)를 ON시킨다. 이 ON조작에 의해 통전제어회로(84)는, 먼저 메인의 진공차단기(86)를 ON시킨 후, 스위칭부재(SWbi1)의 코일(80(S1))에 통전시켜서, 스위칭부재(SWbi1)를 ON시킨다. 이것에 의해, 3상교류발전기(88)로부터의 출력(전압, 전류)이 이 저항조립체(Ri, Si, Ti)의 저항소자(rj)에 통전되어, 저항소자(rj)가 발열한다.
이 때, 통전제어회로(84)는, 저항유닛(42, 43, 44)의 각 전동팬(50)을 작동시켜서, 각 전동팬(50)으로부터 냉각풍을 저항유닛(42, 43, 44)의 하우징(52)에 송풍한다. 그리고, 이 냉각풍은, 저항유닛(42, 43, 44)의 저항소자(rj)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핀(60)의 주위를 흐를 때에 흡수하여, 저항소자(rj)를 냉각한 후, 하물실(33)을 형성하는 박스(32)의 도시하지 않은 배기구로부터 외부로 배기된다.
또한, 이 경우에도, 각 단의 스위칭부재(SWaij, SWbij)의 ON·OFF제어를 함으로써, 저항본체(57R, 57S, 57T)로부터 3상교류발전기(88)에 걸리는 부하저항치를 소정시간마다 예를들면 25%, 50%, 75%, 100%로 변화시켜서, 부하시험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편평형상의 저항조립체(Ri, Si, Ti)가 22단 설치되어 있으므로, 3상교류발전기(88)에 걸리는 부하저항치의 비율을 더 미세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5%, 10% 마다 부하시험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부하시험은, 저전압 부하시험용의 저압스위치(93), 고전압 부하시험용의 고압스위치(94), 고전압 부하시험용의 고압스위치(95)를 ON조작했을 때에, 부하시험을 위한 프로그램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통전제어회로(84)에 의해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은, 통전제어회로(84)의 도시하지 않은 ROM 등의 기억수단에 미리 기억시켜 둘 수도 있고,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매체에 기록시켜 놓고, 부하검사 개시시에 통전제어회로(84)의 도시하지 않은 CPU에 판독시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변형예)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저전압 부하시험용의 저압스위치(93), 고전압 부하시험용의 고압스위치(94), 고전압 부하시험용의 고압스위치(95)를 ON조작했을 때에, 프로그램에 따라서 부하검사를 행하도록 하였는데,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S1~S8로 도시한 스위칭부재(SWaij)의 코일(80) 및 S9~S16에서 도시한 스위칭부재(SWaij)의 코일(80)에 대응시켜서, 각 단의 스위칭부재(SWaij, SWbij)의 ON·OFF조작용의 스위치(SW1~SW16)를 설치하고, 스위치(SW1~SW16)에 의해 S1~S16에서 도시한 코일(80)로의 통전제어를 각각 시키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진공차단기(86)도 스위치(98)로 ON·OFF조작할 수도 있다.
(기타)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저항조립체(Ri, Si, Ti)의 도전성 접속편(58a1~58a(m/2), 58a1~58a(m/2))(저항소자(rj)의 단부에 접속)의 모두에 스위칭부재(SWaij, SWbij)를 접속하고 있는데,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경우, 스위칭부재는 Cb1, Cb5, Cb(m/2)+1(m=16이므로 Cb9)에만 설치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2)
[구성]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는, 저전압 부하시험, 3300V의 전압 부하시험, 6600V의 고전압 부하시험을 행하기 전에는, 접속선(89, 90)이나 도전판(91, 92) 등을 사용하여 미리 저항조립체(Ri, Si, Ti)의 저항소자(ri)의 몇개를 수작업으로 접속(단락)시키도록 한 실시예를 도시하였는데,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선(단락수단)(99, 99)으로 직렬로 접속된 3개의 도전판(단락수단)(92)을 설치하고, 각 도전판(92)을저항본체(57R, 57S, 57T)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aj)에 단락수단인 제 2의 스위칭부재(SWcj[j=1, 2, 3…m/2])를 통해서 접속함과 동시에, 3개의 도전판(91)을 저항본체(57R, 57S, 57T)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aj)에 단락수단인 제 2의 스위칭부재(SWcj[j=1, 2, 3…m/2+1])를 통해서 접속한다(상세한 것은 도 36 참조). 또한, 단락수단인 제 2의 스위칭부재(SWcj, SWdj)는, 단락수단인 제 1의 스위칭부재(SWaij, SWbij)와 동일한 구성(도 16~도 23의 구성)의 마그넷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더구나, 제 1의 스위칭부재(SWaij, SWbij)의 열은 각 저항조립체(Ri, Si, Ti)마다 설치되어 다단으로 된다. 그러나, 제 2의 스위칭부재(SWcj, SWdj)는,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aj)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bj)를 단락시킬 수 있으면 되므로, 일렬만으로도 좋다.
또한, 저항본체(57R, 57S, 57T)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b1, Cb1, Cb1)끼리를 고전압스위치인 진공차단기(VCB)(100)로 서로 도통(단락)가능하게 접속하고, 저항본체(57R, 57S, 57T)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b5, Cb5, Cb5)끼리를 고전압스위치인 진공차단기(VCB)(101)로 서로 도통(단락)가능하게 접속함과 동시에 저항본체(57R, 57S, 57T)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b1, Cb1, Cb1과 Cb(m/2)+1, Cb(m/2+1), Cb(m/2)+1)[본 실시예에서는 m/2=8 이므로 Cb(m/2)+1=Cb9] 를 고전압스위치인 진공차단기(VCB)(102)로 접속한다.
또한, 제 2의 스위칭부재(SWcj)의 코일(80)을 S17∼S24로 하고, 제 2의 스위칭부재(SWdj)의 코일(80)을 S24∼S32로 하면, 이 솔레노이드(S17∼S32)도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전제어회로(84)에 의해 작동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24와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도 24에 붙인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작용]
(1) 저전압 부하시험
이와 같은 접속에 있어서, 예를 들면 400V의 저전압 부하시험을 행할 경우에는, 먼저 3상교류발전기(88)를 작동시키는 한편, 전원스위치(97)를 ON 시켜서 통전제어회로(84)를 작동시킨다.
그 후, 저압용 스위치(93)를 ON 시킨다. 이 ON조작에 의해 통전제어회로(84)는 먼저 메인의 진공차단기(86)를 ON 시킨 후, 저항본체(57R, 57S, 57T)를 구성하는 저항조립체(Ri, Si, Ti)의 스위칭부재(SWaij)의 코일(80)(S1∼S8)의 모두에게 통전시켜서, 스위칭부재(SWaij)를 ON시킴과 동시에, 저항본체(57R, 57S, 57T)를 구성하는 저항조립체(Ri, Si,Ti)의 스위칭부재(SWcj)의 코일(80)(S17∼S24)의 모두에게 통전시켜서 스위칭부재(SWcj)의 모두를 ON 시킨다.
이것에 의해 저항본체(57R, 57S, 57T)를 구성하는 저항조립체(Ri, Si, Ti)의 저항소자(rj)는 도전성 접속편(58a1∼58a(m/2)), 모든 스위칭부재(SWai1∼SWai(m/2)),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a1∼Cam/2), 스위칭부재(SWc1~SWcm/2)및 도전판(92)을 통하여 전압이 0으로 되는 중성점에 서로 접속된다.
게다가, 이것과 함께 통전제어회로(84)는, 저항본체(57R, 57S, 57T)를 구성하는 저항조립체(Ri, Si, Ti)의 스위칭부재(SWbij)의 코일(80)(S9∼S16)의 모두에게 통전시켜서, 스위칭부재(SWbij)의 모두를 ON 시킴과 동시에, 저항본체(57R, 57S, 57T)를 구성하는 저항조립체(Ri, Si, Ti)의 스위칭부재(SWdj)의 코일(80)(S25∼S32)의 모두에 통전시켜서, 스위칭부재(SWdj)의 모두를 ON시킨다.
이것에 의해 3상교류발전기(88)의 R, S, T상(相)에는 도전성 접속편(58b1~58b(m/2)), 스위칭부재열(SWb1~SWbn)의 모든 스위칭부재 (SWbij(SWbi1~SWbi(m/2))), 저항본체(57R, 57S, 57T)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b1~Cb(m/2)+1)), 스위칭부재(SWd1~SWd(m/2)+1) 및 도전판(91), 배선(85R, 85S, 85T), 및 진공차단기(86)을 통하여 저항조립체(Ri, Si, Ti)의 저항소자(rj)가 접속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조립체(Ri, Si, Ti)의 16개의 저항소자(rj)는 모두 병렬로 접속된 상태로 된다. 게다가 3상교류 발전기(88)의 R, S, T상에는 모든 저항소자(rj)를 병렬로 접속해서 부하저항치를 작게 한저항조립체(Ri, Si, Ti)(즉 저저항치의 저항본체(57R, 57S, 57T))가 접속되는 것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3상교류발전기(88)로부터의 출력(전압, 전류)이 이 저항조립체(Ri, Si, Ti)의 저항소자(rj)로 입력되고, 부하시험이 개시된다. 이것에 의해 저항조립체(Ri, Si, Ti)의 저항소자(rj)에 통전되어 저항소자(rj)가 발열한다.
이 때, 통전제어회로(84)는 저항유닛(42, 43, 44)의 각 전동팬(50)을 작동시켜서, 각 전동팬(50)으로부터의 냉각풍을 저항유닛(42, 43, 44)의 하우징(52)에 송풍한다. 그리고 이 냉각풍은 저항유닛(42, 43, 44)의 저항소자(rj)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핀(60)의 주위를 흐를 때에 흡수하여, 저항소자(rj)를 냉각한 후, 하물실(33)을 형성하는 박스(32)의 도시하지 않는 배기구로부터 외부로 배기된다.
또한, 이 경우에도 각 단의 스위칭부재(SWaij, SWbij)의 ON·OFF 제어를 함으로써, 저항본체(57R, 57S, 57T)로부터 3상교류발전기(88)에 걸리는 부하저항치를 소정시간마다 예를 들면 25%, 50%, 75%, 100%로 변화시켜서, 부하시험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편평형상의 저항조립체(Ri, Si, Ti)가 22단 설치되어 있으므로, 3상교류발전기(88)에 걸리는 부하저항치의 비율을 더 미세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5%, 10% 마다 부하시험을 행할 수도 있다.
(2) 3300V의 고전압 부하시험
예를 들면 3300V의 고전압 부하시험을 행할 경우에는 3상교류발전기(88)를 작동시키는 한편, 전원스위치(97)를 ON 시켜서 통전제어회로(84)를 작동시킨다.
이 후, 고압용 스위치(94)를 ON시킨다. 이 ON 조작에 의해 통전제어회로(84)는 먼저 메인의 진공차단기(86), 진공차단기(101)를 ON 시킨 후, 저항본체(57R, 57S, 57T)를 구성하는 저항조립체(Ri, Si, Ti)의 스위칭부재(SWbij)의 코일(80)(S5)에 통전하여 스위칭부재(SWbi5)를 ON시킨다. 이것에 의해 저항본체(57R, 57S, 57T)를 구성하는 저항조립체(Ri, Si, Ti)의 저항소자(rj)는 도전성 접속편(58b5), 스위칭부재(SWbi5),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b5) 및 진공차단기(101)를 통하여 전압이 0으로 되는 중성점에 서로 접속된다.
즉, 이 상태에서는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저항조립체(Ri, Si, Ti)의 각 16개의 저항소자(rj)는 절반분의 8개의 저항소자(rj)가 병렬로 접속된 값의 저항체(8r, 8r)를 2개 병렬로 접속하여, 병렬인 저항체(8r, 8r)의 일단측이 도전성 접속편(58b5), 스위칭부재(SWbi5),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b5) 및 진공차단기(101)를 통하여 전압이 0으로 되는 중성점에 서로 접속된다.
게다가, 이것과 함께 통전제어회로(84)는 진공차단기(102)를 ON시킴과 동시에, 저항본체(57R, 57S, 57T)를 구성하는 저항조립체(Ri, Si, Ti)의 스위칭부재(SWbij)의 코일(80)(S9)에 통전해서 각 저항조립체(Ri, Si, Ti)의 스위칭부재(SWbi1)를 ON시킨다.
이것에 의해, 3상교류발전기(88)의 R, S, T상에는 도전성접속편(58b1~58b(m/2)), 스위칭부재열(SWb1~SWbn)의 모든 스위칭부재(SWbi1), 저항본체(57R, 57S, 57T)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bi, Cb(m/2)+1)(=Cb9), 진공차단기(102), 도전판(91), 배선(85R, 85S, 85T) 및 진공차단기(86)를 통해서 저항조립체(Ri, Si, Ti)의 저항소자(rj)가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3상교류발전기(88)로부터의 출력(전압, 전류)이 이 저항조립체(Ri, Si,Ti)의 저항체(8r, 8r)에 입력되어, 부하시험이 개시된다. 이것에 의해, 저항체(8r, 8r)를 구성하는 각 저항소자(rj)에 통전되어, 저항소자(rj)가 발열한다.
또한, 이 경우에도, 각 단의 스위칭부재(SWaij, SWbij)의 ON·OFF 제어를 함으로써, 저항본체(57R, 57S, 57T)로부터 3상교류발전기(88)에 거는 부하저항치를 소정시간마다 예를 들면 25%, 50%, 75%, 100%로 변화시켜서 부하시험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편평형상의 저항조립체(Ri, Si, Ti)가 22단 설치되어 있으므로, 3상교류발전기(88)에 거는 부하저항치의 비율을 더 미세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5%, 10%마다 부하시험을 행할 수도 있다.
(3) 6600V의 고전압 부하시험
예를 들면, 6600V의 고전압 부하시험을 행할 경우에는 3상교류 발전기(88)를 작동시키는 한편, 전원스위치(97)를 ON 시켜서 통전제어회로(84)를 작동시킨다.
이 후, 고압용 스위치(95)를 ON 시킨다. 이 ON조작에 의해 통전제어회로(84)는 먼저 메인의 진공차단기(86), 진공차단기(100)를 ON 시킨후, 저항본체(57R, 57S, 57T)를 구성하는 저항조립체(Ri, Si, Ti)의 스위칭부재(SWbij)의 코일(80)(S1)에 통전하여 스위칭부재(SWbi1)를 ON 시킨다.
이것에 의해, 저항본체(57R, 57S, 57T)를 구성하는 저항조립체(Ri, Si, Ti)의 저항소자(rj)는 도전성 접속편(58b1), 스위칭부재(SWbi1),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b1) 및 진공차단기(100)를 통하여 전압이 0으로 되는 중성점에 서로 접속된다.
또한, 3상교류발전기(88)의 R, S, T상에는 저항본체(57R, 57S, 57T)의 각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Cb(m/2)+1)가 배선(90, 90, 90), 배선(85R, 85s, 85T) 및 진공차단기(86)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 상테에서는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저항조립체(Ri, Si, Ti)는 16개의 저항소자(rj)의 모든 저항소자(rj)가 직렬로 접속되어, 저항치가 고저항으로 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3상교류발전기(88)의 R, S, T상에는 모든 저항소자(rj)를 직렬로 접속한 고저항치의 저항조립체(Ri, Si, Ti)(즉 고저항치의 저항본체(57R, 57S, 57T))가 접속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은 통전제어회로(84)에 의한 제어동작에 의해, 3상교류발전기(88)로부터의 출력(전압, 전류)이 이 저항조립체(Ri, Si, Ti)의 저항소자(rj)에 통전되어, 저항소자(rj)가 발열한다.
이 때, 통전제어회로(84)는 저항유닛(42, 43, 44)의 각 전동팬(50)을 작동시켜, 각 전동팬(50)으로부터의 냉각풍을 저항유닛(42, 43, 44)의 하우징(52)에 송풍한다. 그리고, 이 냉각풍은 저항유닛(42, 43, 44)의 저항소자(rj)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핀(60)의 주위를 흐를 때에 흡수하고, 저항소자(rj)를 냉각한 후, 하물실(33)을 형성하는 박스(32)의 도시하지 않은 배기구로부터 외부로 배기된다.
또한, 이 경우에도 각단의 스위칭부재(SWaij, SWbij)의 ON·OFF제어를 함으로써 저항본체(57R, 57S, 57T)로부터 3상교류발전기(88)에 거는 부하저항치를 소정시간마다 예를 들면 25%, 50%, 75%, 100%로 변화시켜서 부하시험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편평형상의 저항조립체(Ri, Si, Ti)가 22단 설치되어 있으므로, 3상교류발전기(88)에 거는 부하저항치의 비율을 더 미세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5%, 10% 마다 부하시험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부하시험은 저전압 부하시험용의 저압스위치(93), 고전압 부하시험용의 고압스위치(94), 고전압 부하시험용의 고압스위치(95)를 ON조작했을 때에, 부하시험을 위한 프로그램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통전제어회로(84)에 의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은 통전제어회로(84)의 도시하지 않은 ROM 등의 기억수단에 미리 기억시켜 놓을 수도 있고, 하드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시켜놓고, 부하검사개시때에 통전제어회로(84)의 도시하지 않은 CPU에 판독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통전제어회로(84)는 저압용 스위치(93), 고압용 스위치(94), 고압용 스위치(95)를 ON 조작하는 것만으로, 저항본체(57R, 57S, 57T)의 저항조립체(Ri, Si, Ti)의 저항치를 자동적으로 설정하여 부하시험을 자동적으로 행한다. 이것에 의해, 복잡한 스위치의 전환을 간이 또한 신속하게 최적으로(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각 저항본체(57R, 57S, 57T)를 구성하는 다수단(多數段)(본 실시예에서는 22단)의 저항조립체(Ri, Si, Ti)마다 진공차단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진공차단기는 100, 101, 102로 도시된 3개가 증가되었을 뿐이므로, 자동화해도 장치가 대형화하는 일없고, 코스트도 거의 증가하는 일은 없다.
(변형예 1)
본 실시형태 2에서도, 저전압 부하시험용의 저압스위치(93), 고전압 부하시험용의 고압스위치(94), 고전압 부하시험용의 고압스위치(95)를 ON조작했을 때에 프로그램에 따라 부하검사를 행하도록 했는데,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38에 도사한 바와 같이, S1∼S8에 도시한 스위칭부재(SWaij)의 코일(80) 및 S9∼S16으로 도시한 스위칭부재(SWbij)의 코일(80)에 대응시켜서 각단의 스위칭부재(SWaij, SWbij)의 ON·OFF 조작용의 스위치(SW1∼SW16)을 설치하고, 스위치(SW1∼SW16)에 의해 S1∼S16으로 도시한 코일(80)으로의 통전제어를 각각 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진공차단기(86, 100, 101, 102)도 스위치(98, 98a, 98b, 98c)로 ON·OFF 조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변형예 2)
또한, 진공차단기(102)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즉, 고압용 스위치(94)를 ON조작했을 때, 통전제어회로(84)가 스위칭부재(SWd1, 및 SWd(m/2)+1)(=SWd9)를 ON조작하면, 진공차단기(102)를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자동화해도 진공차단기를 상술한 실시예보다 1개 삭감할 수 있으므로, 보다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형화가 도모된다.
(변형예 3)
이상 설명한 발명의 실시형태(1, 2)에서는 스위칭부재(SWaij, SWbij), 스위칭부재(SWcj, SWdj)등을 솔레노이드(S)와 가동접점(M)을 유지하는 접점유지부재(72)를 병렬 설치했는데,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80)과 코일(80)의 자력에 의해 구동되는 가동철판(액추에이터)(81)을 구비하는 솔레노이드(S)를 설치하고, 접점케이스(70)에 솔레노이드부착부(70a)를 설치하고, 솔레노이드(S)를 접점유지부재(72)에 대하여 가동접접(M)의 구동방향과 대략 동일직선상에 배열설치하여 솔레노이드부착부(70a)에 부착된 구성으로 해도 좋다(도 40 참조). 이 경우에는 고정접점(P1, P2)과 코일(80)의 거리는 방전하지 않을 정도 이격해서 설치된다. 솔레노이드(S)의리드선(82, 83)이 고정접점(P1, P2)과 이격된 측의 단부에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리드선(82, 83)과 고정접점(P1, P2) 사이에서의 방전방지대책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접점유지부재(72)는 솔레노이드(S)측의 선단부에 작은 구멍(72c)이 형성되고, 이 작은 구멍(72c)에 가동철판(81)이 걸어맞춤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80)에 통전하여 철심(9)에 자력을 발생시키면, 가동철판(81)이 철심(79)에 자력으로 흡인되어, 접점유지부재(72)가 도 39중 우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술한 발명의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가동접점(M, M)이 고정접점(Pa, Pa)끼리 및 고정접점(Pb, Pb)끼리를 ON시킨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접점유지부재(72)의 케이스(70)와 솔레노이드(S) 사이의 부분에 플랜지(F)를 설치함으로써, 솔레노이드(S)와 접점(M, Pa, Pb) 사이의 절연을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다. 더욱이, 접점유지부재(72)를 테프론 등으로 형성함으로써, 보다 고전압에 견딜 수 있게 된다. 이 점은 상술한 실시예나 후술하는 실시예의 모두에게 적용될 수 있다.
(변형예 4)
이상 설명한 발명의 실시형태(1, 2)에서는 스위칭부재(SWbaij, SWbij), 스위칭부재(SWcj, SWdj) 등을 솔레노이드(S)를 사용한 마그넷타입의 것을 사용한 예를 도시하였는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스위칭부재(SWaij, SWbij), 스위칭부재(SWcj, SWdj)를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에어식 스위치로 해도 좋다.
본 변형예에서는 스위칭부재(SWaij,SWbij), 스위칭부재(SWcj, SWdj)의 솔레노이드(S)로 바꾸어서 에어실린더(200)가 구동수단으로서 설치된다.
이 에어실린더(200)는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본체(201)와, 실린더본체(201)내에 배열설치된 피스톤(202)과, 피스톤(202)과 일체의 피스톤로드(203)를 갖는다. 그리고, 피스톤로드(203)는 접점유지부재(72)에 직열로 걸어맞춤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본체(201)에는 피스톤(202)에 의해 구획된 에어실(A, B)가 형성되있음과 동시에 에어실(A, B)에 각각 개구되는 포트(201a, 201b)가 형성되어 있다. 이 포트(201b)는 대기에 개방되어 있다. 이 에어실린더(200)는 에어제어회로(AC)에 의해 작동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이 에어제어회로(AC)는 에어컴프레서(204), 에어탱크(205) 및 전자밸브(206)를 갖는다. 그리고, 에어실린더(200)의 포트(201a)에는 에어컴프레서(204)가 에어탱크(205) 및 전자밸브(206)를 통하여 접속되고, 전자밸브(206)와 포트(201a)를 접속하는 배관(207)에는 전자밸브(208) 및 압력센서(209)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전자밸브(208)는 작동시에 에어실(A)을 대기로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압력센서(209)로부터의 압력검출신호는 연산제어회로(210)에 입력되고, 에어컴프레서(204), 전자밸브(206, 208)는 연산제어회로(210)에 의해 작동제어된다. 또한, 에어탱크(205)에는 압력센서(211)가 접속되고, 이 압력센서(211)로부터의 압력검출신호도 연산제어회로(210)에 입력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연산제어회로(210)는 에어컴프레서(204)를 작동시켜서 압축에어를 에어탱크(205)에 저류시킨다. 이것에 수반하여 압력센서(211)로부터의 압력이 소정치로 되면, 에어컴프레서(204)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연산제어회로(210)는 상술한 스위치(94, 95, 96) 등의 조작에 의해, 전자밸브(206)를 작동제어하여 열리게 한다. 이것에 의해 에어탱크(205)로부터 압축에어가 배관(207)을 통하여 실린더본체(201)의 에어실(A)로 안내된다. 이 압축에어는 피스톤(202)을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스프링(73)의 스프링힘에 저항하여 우방으로 이동시키고, 가동접점(M)을 고정접점(P1, P2)에 가압접촉시킨다. 그리고, 연산제어회로(210)는 압력센서(209)로부터의 압력검출신호가 소정치 이상이고, 또한 압력검출신호의 변화가 일정하게 되었을 때에, 전자밸브(206)를 폐쇄시킨다. 또한, 연산제어회로(210)는 스위칭부재(SWaij, SWbij), 스위칭부재(SWcj, SWdj)등이 부하시험에서 사용중, 압력센서(208)로부터의 압력이 소정치이하로 되면, 전자밸브(206)를 개방해서 재차 에어실(A)에 압축에어를 공급한다.
또한, 연산제어회로(210)는 부하시험이 종료되었을 때, 전자밸브(208)를 개방해서, 에어실(A)을 대기에 개방한다. 이것에 의해, 스프링(73)의 스프링힘에 의해 접점유지부재(72), 피스톤로드(203), 및 피스톤(202)이 도 42중 좌방으로 이동변위되게 하고, 에어실(A)의 에어가 전자밸브(208)를 통하여 대기로 배기되어, 가동접점(M)이 고정접점(P1, P2)으로부터 이격되게 한다.
이와 같은 에어실린더(200)를 스위칭부재(SWaij, SWbij), 스위칭부재(SWcj, SWdj) 등의 구동수단으로서 솔레노이드(S)로 바뀌어서 사용함으로써 스위칭부재(SWaij, SWbij), 스위칭부재(SWcj, SWdj) 등을 보다 안전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3]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3상교류발전기에 사용되는 타입의 건식부하 시험장치의 예를 도시했는데, 반드시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저항본체(57R, 57S, 57T)의 저항조립체(Ri, Si, Ti)의 하나만을 단체로 사용하여, 발전기나 배터리 등의 피시험용 전원의 전기부하시험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발명의 실시형태 4]
또한, 따로따로 설치된 저항유닛(42, 43, 44)을 병렬로 설치하고, 각 저항유닛(42, 43, 44)에 저항본체(57R, 57S, 57T)의 저항조립체(Ri, Si, Ti)를 각각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는데,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피시험용 전원의 전압이 고전압이더라도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저항조립체(Ri, Si, Ti)의 단수(段數)를 적게해서, 예를 들면 2∼3단으로 함과 동시에 도 43,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따로따로 설치된 저항유닛(42, 43, 44)을 상하로 조립하여 하나의 건식부하 시험장치(300)로 해도 좋다. 또한, 도 43, 도 44에서는 도시 편의상 저항조립체(Ri, Si, Ti)의 단수를 1단으로 하였는데, 실제로는 2∼3단으로 된다.
이 경우, 저항유닛(42, 43, 44)은 금속제의 상자형상의 프레임(301, 301, 301)을 각각 가지므로, 저항유닛(42, 43, 44)사이에 절연부재(302)를 배열설치할 필요가 있음과 동시에 프레임(301)과 저항조립체(Ri, Si, Ti) 사이에 있는 정도의 절연거리를 취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저항본체(57R, 57S, 57T) 사이의 간격이 크게되어 건식부하 시험장치(300)의 높이가 높게 되는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도 45A, 도 46,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본체(57R, 57S, 57T)의 저항조립체(Ri, Si, Ti)만을 조립한 건식부하 시험장치(400)로 해도 좋다. 이 건식부하 시험장치(400)는 측방의 4면과 상하의 2면이 개구되는 직방체형상(상자형상)의 금속제(예를 들면 철제)의 프레임(401)과 프레임(401)의 측방으로의 개구를 폐쇄하여 이루어지는 절연판(402~405)을 가진다. 그리고, 상하로 배열설치된 저항본체(57R, 57S, 57T)의 저항조립체(Ri, Si, Ti)는 절연판(402, 404) 사이에 건너서 가설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프레임(401)은 1개 이므로, 저항본체(57R, 57S, 57T) 사이의 간격을 도 43 및 도 44의 것보다 작게할 수 있다. 이 결과, 건식부하 시험장치(400)는 건식부하 시험장치(300)보다도 높이를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의 경우도, 도시의 편의상 저항조립체(Ri, Si, Ti)의 단수를 1단으로 했는데, 실제로는 2∼3단으로 된다.
더욱이, 절연판(403, 405)을 프레임(401)의 측면으로부터 떼어내서 프레임(401)의 절연판(402, 404) 사이에 위치하는 2개의 대향하는 측면을 개구시키고, 이 개구의 한쪽에 도 45B와 같이 전동팬(50)을 부착함과 동시에, 프레임(401)의 상하의 개구를 폐쇄하여 이루어진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전동팬(50)으로부터의 냉각풍이 화살표(401a)로 표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401)의 측면의 개구로부터 프레임(401)내로 유입하여 내부의 저항소자를 냉각한 후, 다른 측면의 개구로부터 배기된다. 이 구성으로 함으로써 건식부하 시험장치(400)의 높이를 더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건식부하 시험장치(400)를 소형의 트럭에 편입시킬 수도 있다. 또한, 설치장소에 따라서는 높이가 유지될 수 없는 장소에도 용이하게 설치된다. 또한, 전동팬(50)은 프레임(41)에 부착되어, 전동팬(50)으로부터 발생하는 냉각풍은 절연후드(hood)(53)를 통하여 화살표(401a)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401)의 측면의 개구로부터 프레임(401)내로 유입된다.
(기타 1)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R상의 저항유닛(42), S상의 저항유닛(43), T상의 저항유닛(44)을 1개씩 설치한 예를 도시했는데,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31∼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유닛(42, 43, 44)의 저항소자(ri)를 6600V를 위한 직렬접속으로 함과 동시에 이 직렬접속의 저항유닛(42, 43, 44)을 도 4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조 설치하여, 2조의 각 저항유닛(42, 42), 2조의 각 저항유닛(43, 43), 2조의 각 저항유닛(44, 44)을 도 4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직렬로 접속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13200V의 부하시험을 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 접속예는 1예로, 저항유닛(42, 43, 44)의 수량을 늘림으로써 부하시험이 가능한 전압을 높게 할 수 있다.
(기타 2)
상술한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는, 저항유닛(42, 43, 44)이 설치된 건식부하시험장치(40)를 트럭(30)에 적재해 놓고, 이 건식부하 시험장치(40)를 트럭(30)에 의해 전기부하시험을 행하는 현장까지 반송한 후, 건식부하 시험장치(40)를 트럭(30)에 탑재한 상태에서 전기부하시험을 행하도록 했는데,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R상, S상. T상에 대응하는 저항유닛(42, 43, 44)을 트럭(30)의 하물대에 착탈가능하게 적재해 놓는다. 그리고, 저항유닛(42, 43, 44)을 트럭(30)에 의해 전기부하시험을 행하는 현장까지 반송하여, 이 현장에서 트럭(30)으로부터 떼어내서 트럭으로부터 내린다. 이 후, 저항유닛(42, 43, 44)을 발명의 실시형태 1과 같은 구성으로 현장에 설치하여, 현장의 발전기 등의 전원의 전기부하시험을 개시한다. 또한, 도 45∼도 47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저항조립체(Ri, Si, Ti)를 1개만 도시했는데, 실제로는 몇개가 다단으로 설치된다. 게다가, 발명의 실시형태 1의 58j, Caj, Cbj등도 저항조립체(Ri, Sj, Tj)에 발명의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조립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그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따라서, 트럭(30)은 전기부하시험중, 현장에 놓아둘 필요가 없으므로, 다른 저항유닛(42, 43, 44)을 다른 현장으로 운반하거나, 다른 현장의 저항유닛(42, 43, 44)을 회수하거나 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 결과, 트럭(30)을 유효 또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의 발명의 건식부하 시험장치는, 편평형상으로 간격을 두고 병렬설치되고 또한 단부에 있어서 직렬로 접속된 다수의 가늘고 긴 저항소자로 이루어지는 편평형상의 다수의 저항조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저항조립체를 편평면이 평행하게 되도록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병렬설치함으로써, 상기 다단의 저항조립체의 저항소자의 대응하는 것끼리로 이루어지는 저항소자열이 다수 설치된 다단(多段)의 고전압 부하시험용의 저항본체와, 상기 저항소자열의 저항소자의 단부에 일단부가 각각 접속되어서 스위칭부재열을 구성하는 복수의 다단의 제 1의 스위칭부재와, 상기 스위칭부재열의 제 1의 스위칭부재열의 타단부끼리를 각각 접속하는 다수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와, 상기 다수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의 몇개를 피시험용 전원에 접속하는 1개의 고전압용 스위치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소형이고, 부하저항시험을 위한 부하저항의 저항치를 정하고 미세하게 설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장치의 제조코스트를 염가로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은 적어도 몇개의 상기 저항소자열의 저항소자의 각 단부에 상기 제 1의 스위칭부재의 일단부가 각각 접속되어 스위칭부재열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부품점수를 필요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모든 상기 저항소자열의 저항소자의 각단부에 상기 제 1의 스위칭부재의 일단부가 각각 접속되어서, 상기 각 저항소자열에 대응하는 스위칭부재열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다수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끼리의 접속(단락)시키기방식에 따라서 저항조립체의 저항치를 보다 미세하게 설정할 수 있다.
청구상 4의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끼리를 선택적으로 단락하는 단락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다수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끼리의 접속(단락)시키기방식에 따라서 저항조립체의 저항치를 보다 미세하게 설정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락수단은 제 2의 스위칭부재인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제 1, 제 2의 스위칭부재의 ON·OFF 조작에 의해 단락시키는 저항조립체의 조합을 간이하고 또한 신속히 선택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재는 제 1, 제 2 고정접점에서 1조의 복수의 고정접점쌍과 상기 각 고정접점쌍의 제 1, 제 2 고정접점을 단속시키는 복수의 가동접점과,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 각 고정접점쌍의 제 1, 제 2 고정접점에 대하여 진퇴구동하여 상기 각 고정접점쌍의 제 1, 제 2 고정접점을 동시에 단속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제 1 고정접점끼리 및 제 2 고정접점끼리는 각각 서로 접속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간이의 구조로 고전압에 사용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조작패널과 제어회로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솔레노이드인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조작패널의 조작에 의해 단락시키는 저항조립체의 조합을 간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자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자력에 의해 구동되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솔레노이드는 상기가동접점과 그 구동방향과 대략 동일직선상에 배열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코일과 고정접점 사이의 내전압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에어제어회로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에어실린더인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고정접점과 다른 부분과 내전압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Claims (9)

  1. 편평형상으로 간격을 두고 병렬 설치되고 또한 단부에서 직렬로 접속된 다수의 가늘고 긴 저항소자로 이루어지는 편평형상의 다수의 저항조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저항조립체를 편평면이 평행하게 되도록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병렬 설치함으로써, 상기 다단의 저항조립체의 저항소자가 대응하는 것끼리로 이루어지는 저항소자열이 다수 설치된 다단의 고전압 부하시험용의 저항본체와,
    상기 저항소자열의 저항소자의 단부에 일단부가 각각 접속되어 스위칭부재열을 구성하는 복수의 다단의 제 1의 스위칭부재와,
    상기 스위칭부재열의 제 1의 스위칭부재열의 타단부끼리를 각각 접속하는 다수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와,
    상기 다수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의 몇개를 피시험용 전원에 접속하는 1개의 고전압용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부하 시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몇개의 상기 저항소자열의 저항소자의 각 단부에 상기 제 1의 스위칭부재의 일단부가 각각 접속되어 스위칭부재열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부하 시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모든 상기 저항소자열의 저항소자의 각 단부에 상기 제 1의 스위칭부재의 일단부가 각각 접속되고, 상기 각 저항소자열에 대응하는 스위칭부재열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부하 시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조립체 사이 도전부재끼리를 선택적으로 단락하는 단락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부하 시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수단은 제 2의 스위칭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부하 시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재는 제 1, 제 2고정접점을 가진 일조의 복수의 고정접점쌍과, 상기 각 고정접점쌍의 제 1, 제 2고정접점을 단속시키는 복수의 가동접점과,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 각 고정접점쌍의 제 1, 제 2고정접점에 대하여 진퇴구동하여 상기 각 고정접점쌍의 제 1, 제 2고정접점을 동시에 단속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제 1 고정접점끼리 및 제 2 고정접점끼리는 각각 서로 접속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부하 시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조작패널과 제어회로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솔레노이드(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부하 시험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자력에 의해 구동되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솔레노이드는 상기 가동접점과 그 구동방향과 대략 동일 직선상에 배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부하 시험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에어제어회로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액추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부하 시험장치.
KR10-2001-7009693A 1999-12-02 2000-07-26 건식부하 시험장치 KR1005165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343801 1999-12-02
JP34380199 1999-1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914A true KR20010101914A (ko) 2001-11-15
KR100516576B1 KR100516576B1 (ko) 2005-09-22

Family

ID=18364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9693A KR100516576B1 (ko) 1999-12-02 2000-07-26 건식부하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653928B1 (ko)
EP (1) EP1156342B1 (ko)
KR (1) KR100516576B1 (ko)
CN (1) CN1220068C (ko)
AT (1) ATE341765T1 (ko)
AU (1) AU781869B2 (ko)
BR (1) BRPI0007931B1 (ko)
CA (1) CA2360817C (ko)
DE (1) DE60031095T2 (ko)
ES (1) ES2273712T3 (ko)
HK (1) HK1045731B (ko)
NO (1) NO320079B1 (ko)
RU (1) RU2212040C2 (ko)
TW (1) TW480341B (ko)
WO (1) WO200104081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300Y1 (ko) * 2017-06-07 2018-09-13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과부하 차단기의 작동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휴대용 과부하 테스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88822C (en) * 2003-06-03 2008-05-20 Kouken Company, Limited High-voltage resistor element
JP3853307B2 (ja) * 2003-07-08 2006-12-06 株式会社興研 乾式高圧負荷システム装置及び同装置の連鎖断線・アーク放電防止方法
JP4385007B2 (ja) * 2005-06-08 2009-12-16 株式会社興研 高圧負荷演算制御方法及び装置
US7282807B2 (en) * 2005-12-20 2007-10-16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a wind turbine
JP2007265995A (ja) * 2006-03-13 2007-10-1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低電圧範囲用の電力スイッチ及び低電圧電気モータ用の階段型回転速度調整装置
EP2228519B1 (de) 2008-06-12 2015-11-11 Siemens Aktiengesellschaft Physikalische Test-Vorrichtung für ein Inselkraftwerk und Inbetriebsetzung eines Inselkraftwerks
JP5265264B2 (ja) * 2008-07-18 2013-08-14 株式会社辰巳菱機 乾式負荷試験装置
WO2011115522A1 (ru) * 2010-03-15 2011-09-22 КИСЕЛЕВ, Александр Михайлович Модуль нагрузочный испытательный резистивный (балластный)
JP5211198B2 (ja) * 2011-06-09 2013-06-12 株式会社辰巳菱機 負荷システム
KR101413141B1 (ko) * 2013-01-21 2014-07-01 가부시키가이샤다쓰미료키 부하시험기
CN104062995A (zh) * 2013-03-08 2014-09-24 上海骏颉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磁控无功负载箱
WO2015075761A1 (ja) * 2013-11-20 2015-05-28 株式会社辰巳菱機 負荷試験装置
SG11201604709SA (en) * 2014-02-24 2016-07-28 Tatsumi Ryoki Co Ltd Load testing apparatus
KR101702424B1 (ko) * 2014-02-24 2017-02-03 가부시키가이샤다쓰미료키 부하 시험기 및 부하 시험기의 접속 절환부
TWI658280B (zh) * 2014-02-24 2019-05-01 日商辰巳菱機股份有限公司 負載測試機
CN105319517A (zh) * 2014-07-30 2016-02-10 中国广核集团有限公司 核电站应急电源设备的试验系统
JP5805905B1 (ja) 2015-05-11 2015-11-10 株式会社辰巳菱機 負荷試験装置、負荷試験装置のキャップ
CN105489327A (zh) * 2015-12-30 2016-04-13 丹东科亮电子有限公司 一种大功率、大电流、小体积复合型负载
CN106199092B (zh) * 2016-09-23 2019-04-05 广东志高暖通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组合式大功率电子负载装置
JP6974913B2 (ja) * 2016-11-30 2021-12-01 株式会社辰巳菱機 負荷試験システム
WO2019175953A1 (ja) * 2018-03-13 2019-09-19 株式会社辰巳菱機 負荷試験装置
US11800672B2 (en) * 2018-08-17 2023-10-24 Ls Electric Co., Ltd. Tower-shaped support device
JP7085790B2 (ja) * 2018-09-18 2022-06-17 株式会社辰巳菱機 負荷抵抗器
TWI752781B (zh) * 2020-12-31 2022-01-11 致茂電子股份有限公司 雷射二極體檢測系統及其檢測方法
US20240044983A1 (en) * 2021-01-25 2024-02-08 Tatsumi Ryoki Co., Ltd Load testing device
JP7490292B1 (ja) 2023-02-02 2024-05-27 株式会社辰巳菱機 負荷試験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382A (en) * 1894-08-14 Rheostat
US1002533A (en) * 1909-03-20 1911-09-05 Louis A De Mayo Resistance-box.
US1190780A (en) * 1913-03-01 1916-07-11 Cons Car Heating Co Electric heater.
US1217229A (en) * 1915-12-03 1917-02-27 Peter Smith Heater Company Electric air-heating system.
US1251507A (en) * 1916-09-08 1918-01-01 Wilbur A Gray Current-controlling mechanism for automobile-lights.
US1337826A (en) * 1917-08-23 1920-04-20 Homer L Dodge Rheostat
US1653070A (en) * 1925-04-20 1927-12-20 Smith Andrew Resistance-regulating apparatus for electric welding
US1709808A (en) * 1928-02-25 1929-04-16 Quern John Electric hot-air furnace
US2050220A (en) * 1935-06-06 1936-08-04 Monitor Controller Co Terminal for edge wound resistors
US2673957A (en) * 1951-07-06 1954-03-30 Joseph Weidenhoff Inc Shunt for low-voltage circuit testers
CA1192640A (en) * 1983-10-26 1985-08-27 Donald Reid Variable high-current electrical load bank with rapid adjustment over a wide range of currents
JPS61212778A (ja) * 1985-03-18 1986-09-20 Iseki Kaihatsu Koki:Kk 電動機の負荷電流監視装置
JPH06100640B2 (ja) * 1986-03-20 1994-12-12 西日本鉄道株式会社 三相交流発電機の負荷試験方法
US4775775A (en) * 1987-06-16 1988-10-04 Srtechnologies, Inc. Programmable electrical heater
JP2700195B2 (ja) 1990-09-04 1998-01-19 株式会社ノダ 防火ドア
JPH04282479A (ja) * 1991-03-12 1992-10-07 Meidensha Corp 発電機の負荷試験制御装置
JP2519165Y2 (ja) * 1991-03-26 1996-12-04 デンヨー株式会社 エンジン発電機の負荷試験用抵抗装置
JP2709227B2 (ja) * 1992-02-06 1998-02-04 株式会社辰巳菱機 負荷器セット
US5424588A (en) * 1992-04-07 1995-06-13 Cantor; Thomas L. Self-contained, portable compact load bank and testing method; compact load bank with improved power handling capability
JP2994144B2 (ja) 1992-07-21 1999-12-27 株式会社辰巳菱機 切り替え型負荷器セット
JP3155407B2 (ja) 1993-07-28 2001-04-09 株式会社辰巳菱機 自家用発電機の切り替え型試験装置
US5381088A (en) * 1993-10-12 1995-01-10 Tatsumi Corporation Change-over type of testing equipment for non-utility power generators or the like
JP3092839B2 (ja) * 1994-04-26 2000-09-25 東洋電機製造株式会社 定数測定設定機能付きインバータ装置
JP3718874B2 (ja) * 1995-06-30 2005-11-24 株式会社辰巳菱機 発電機通電試験用負荷抵抗器
JPH0915308A (ja) 1995-06-30 1997-01-17 Tatsumi Riyouki:Kk 負荷抵抗器用抵抗体
JP3718875B2 (ja) 1995-06-30 2005-11-24 株式会社辰巳菱機 発電機通電試験用簡易型負荷抵抗器
KR100215225B1 (ko) * 1995-11-07 1999-08-16 곤도도요시 발전기등통전 시험용 부하 저항체 및 저항기
US5949247A (en) * 1996-05-23 1999-09-07 Fremont/Dynamics Coporation Of Americ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esting and evaluating electric generator sets
KR100245255B1 (ko) * 1996-12-28 2000-02-15 에릭 발리베 차량용 발전기의 검사장치
JP4073550B2 (ja) 1998-07-06 2008-04-09 株式会社辰巳菱機 発電機通電試験用負荷抵抗器
JP3156157B2 (ja) * 1998-10-14 2001-04-16 財団法人関東電気保安協会 ユニット式発電機負荷試験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300Y1 (ko) * 2017-06-07 2018-09-13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과부하 차단기의 작동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휴대용 과부하 테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60817A1 (en) 2001-06-07
BRPI0007931B1 (pt) 2016-06-07
DE60031095D1 (de) 2006-11-16
ATE341765T1 (de) 2006-10-15
CN1220068C (zh) 2005-09-21
EP1156342A1 (en) 2001-11-21
HK1045731B (zh) 2007-05-04
NO320079B1 (no) 2005-10-17
ES2273712T3 (es) 2007-05-16
EP1156342A4 (en) 2005-03-09
NO20013648L (no) 2001-09-20
BR0007931A (pt) 2001-11-06
WO2001040817A1 (fr) 2001-06-07
NO20013648D0 (no) 2001-07-25
AU6315000A (en) 2001-06-12
CN1339113A (zh) 2002-03-06
KR100516576B1 (ko) 2005-09-22
EP1156342B1 (en) 2006-10-04
US6653928B1 (en) 2003-11-25
TW480341B (en) 2002-03-21
DE60031095T2 (de) 2007-06-06
RU2212040C2 (ru) 2003-09-10
AU781869B2 (en) 2005-06-16
HK1045731A1 (en) 2002-12-06
CA2360817C (en) 2007-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6576B1 (ko) 건식부하 시험장치
JP5265264B2 (ja) 乾式負荷試験装置
ES2625172T3 (es) Celda electroquímica y método para ajustar una pila de celdas electroquímicas
US20080152993A1 (en) Battery pack and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operating a battery module
RU2001124343A (ru) Испыт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ухой нагрузки
KR100723736B1 (ko)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및 동장치의 연쇄 단선 아크방전 방지 방법
JP2015040710A (ja) 負荷試験装置
RU2554604C1 (ru) Машина для испытаний под нагрузкой
KR20090040375A (ko) 복합 플러그 및 전기회로시스템
US20240044983A1 (en) Load testing device
JP2020169966A (ja) 負荷試験装置
US6833636B1 (en) Compact load bank for testing power systems
US6078171A (en) Dry type load resistor for testing generators or the like
JP5805905B1 (ja) 負荷試験装置、負荷試験装置のキャップ
WO2019176132A1 (ja) 負荷試験装置
KR20050043803A (ko) 고압 저항체 소자
EP0208241A1 (en) A heating unit
RU223195U1 (ru) На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13013864B (zh) 直流电源转接控制电路及具有其的直流电源转接柜
US3624581A (en) Supporting and insulating arrangement for electrical resistor or the like
JPH0744762Y2 (ja) 形状記憶バネアクチュエータ
KR100279499B1 (ko) 웨이퍼냉각및가열장치
US20100326801A1 (en) Electrical Switching Device
US6492819B1 (en) High voltage switch and switching process for impulse measurement
KR100205101B1 (ko) 발전기등 통전시험용 간이형 부하저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901

Effective date: 2005052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