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3736B1 -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및 동장치의 연쇄 단선 아크방전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및 동장치의 연쇄 단선 아크방전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3736B1
KR100723736B1 KR1020047021537A KR20047021537A KR100723736B1 KR 100723736 B1 KR100723736 B1 KR 100723736B1 KR 1020047021537 A KR1020047021537 A KR 1020047021537A KR 20047021537 A KR20047021537 A KR 20047021537A KR 100723736 B1 KR100723736 B1 KR 100723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resistor
phase
load system
system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1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5457A (ko
Inventor
케사후미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우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우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우켄
Publication of KR20050065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20Modifications of basic electric elements for use in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Structural combinations of such elements with such instruments
    • G01R1/203Resistors used for electric measuring, e.g. decade resistors standards, resistors for comparators, series resistors, shu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G01R31/42AC power suppl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Tests Of Circuit Breakers, Generators, And Electric Motors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 Discharg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및 동장치의 연쇄 단선 아크 방전 방지 방법으로서 3상저항체 회로의 복수조단위의 소용량 저압 저항 회로 소용량 구성 뱅크의 복수로 구성한 저압 뱅크와 3상저항체 회로의 복수조단위의 소용량 고압 저항 회로 소용량 구성 뱅크의 복수로 구성한 고압 뱅크를 고압 발전 장치에 병렬 접속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회로에 있어서 금속제 원통형상의 외상의 배열판보다 관통하여 걸쳐지는 양단 집합 부위에 발출 자유롭게 끼워삽입 고착한 고내압 절연 슬리브를 구비하는 저항체소자를 직렬로 접속 한 3상의 저항체열상을 합상집결하여 다른것과 공통 연접하지 않고 각 분리독립한 중성점으로 하는 Y에 결선 한 또는 각 상마다 결선점으로 하는 Δ로 결선 한 3상저항체 회로를 형성하여 연쇄 단선 및 아크 방전 및 내진성에 강한 컴팩트 구조의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및 동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의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및 동장치의 연쇄 단선 아크 방전 방지 방법{DRY-TYPE HIGH-VOLTAGE LOAD SYSTEM APPARATUS AND METHOD OF PREVENTING CHAIN BREAKING AND ARC DISCHARGE FOR USE THEREWITH}
본 발명은 주로 고압 발전 장치의 부하 특성 시험에 이용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및 동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3상 교류의 발전기 코일이나 부하의 결선은 고압 회로에서는 Y결선을 저압 회로에서는 Δ결선을 관습적으로 이용하고 고조파 처리 회로에 Y-Δ나 Δ-Y의 조합을 이용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런 종류의 건식 고압 저항 장치의 고압 저항 회로로서는 사용 전압 6600 V에 응하기 위하여 정격전압 400 V의 절연 내력 2000 V/1분간과 같은 고압용의 저항체 소자를 약 10개 전후 직렬로 접속 한 저항체열상을 Y결선 하는 3상저항체 회로의 복수를 병렬로 접속하여 소비 전력을 가감하고 전기적인 1상의 저항체 소자를 1기(一基)의 종형직각형 통박스에 약 150개 송풍기로 저항체 소자군을 냉각하여 방열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고 다음에 그 대표예를 제시한다.
일본국 특개평6-34725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7-43436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9-15307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9-15308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9-15309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0-19231호 공보
즉 종래 고압 발전 장치의 부하 특성 시험에 이용되는 고압 저항 장치에 도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인출 핀(9)을 가지는 저항체 소자(1')를 이용한 것이 이용되고 있었다. 동도에 부가하여 설명하면 2'는 원통형상의 외통이고 약 1 m의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3은 저항 발열선; 4는 전극봉이고 5'는 저항 발열선(3) 및 전극봉(4)과 외통(2')의 내벽 사이에 충전되고 봉단부재(6)로 밀봉된 절연물이다. 이 절연물(5')은 분말형상으로 구성되고 있어 외통(2')과 저항 발열선(3) 및 전극봉(4)을 절연 하는 역할을 갖는 것이다.
7은 접속용 단자이고 전극봉(4)의 외단 나사부(4a)에 나합 삽통한 너트(8,8)에서 양측을 끼여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접속용 단자(7)를 개재하여 서로 이웃이 이루어지는 다른 저항체 소자(1')와 접속된다. 9는 상기 한 바와 같이 인출 핀이고 저항 발열선(3)으로 흐르게 했을 때에 발해지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판의 기능을 완수하는 것이다. 인출 핀(9)은 외통(2')의 외주상 길이방향으로 약 7 mm의 간격으로 스파이럴형상으로 일체 성형 또는 장착되고 있다.
이 저항체 소자(1')는 사용 전압 6600 V에 응하기 때문에 정격전압 400 V 절연 내력 2000 V/1분간의 규격으로 되어 있다.
도 16에 상기 저항체 소자(1')를 직렬로 접속 한 1상의 저항체열상(10')을 나타낸다. 11은 접속 부재이고 서로 이웃이 이루어지는 저항체 소자(1')를 접속용 단자(7)를 대신해 접속한다. 12'는 사각 형상의 분해 가능한 직각형 통박스이고 상기 직각형 통박스(12')의 배열판(12a')에는 1O개의 저항체 소자(1')가 양단을 관통 걸쳐서 장착되고 저항체열상(10')이 형성되고 있다. 저항체열상(10')의 3상을 Y결선 해 후술의 3상저항체 회로가 구성된다.
도 17에 상기 고압 저항 장치(γa')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상기 고압 저항 장치(γa')에는 전술한 저항체열상(10')이 종(15) 다단열에 걸쳐서 수용되어 5개의 3상저항체 회로(17)를 병렬조 하여 1개의 소용량 고압 저항 회로(βa')를 형성하는 1 소용량 구성 뱅크(13')로 이루어진다.
이 때 저항체 소자(1')의 인출 핀(9)이 서로 서로 겹치지 않도록 인접하는 상하의 횡 각 단열의 저항체 소자(1')군이 다르게 어긋나게 배치되고 있다. 이것은 각 저항체 소자(1')가 통전 상태가 되면 상당한 고열이 발해지기 때문에 후술의 냉각 팬에 의해 아래로부터 풍냉각이 균일하게 행해지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
동 도안 15는 제 1 단자판으로서 시험해야 할 고압 발전 장치로부터 입력선 (16)이 접속이루어지는 것과 동시에 복수단 배치하여 걸쳐 놓은 각 Y결선의 3상저항체 회로(17)의 일단 3상과 접속선(18)로 접속되고 19는 제 2 단자판으로서 각 Y결선의 3상저항체 회로(17)의 타단 3상이 제로상이 되도록 접속선(20)으로 전체 3상저항체 회로(17)를 연결해 공통 중성점으로 하고 있다.
직각형 통박스(12')에 걸쳐 수장한 상기 소용량 구성 뱅크(13')에 전술의 냉각 팬(14')을 설치한 실시예를 도 18에 나타낸다. 동 도에 있어서 21은 방진고무이고 22는 직각형 통박스(12')를 장착 프레임(F)로부터 절연하는 절연 애자(도 17 참조)를 나타낸다. 이 절연 애자(碍子, 22)를 더 설치하는 것에 의해 직각형 통박스(12')전체의 절연성의 확보를 더 높이는 작용을 가지는 것이다. 도안에 23은 후드; 24'는 송풍기이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 5-215825호 공보에 나타내는 도 19의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회로(ε')는 복수의 소용량 구성 뱅크(13')에 의한 송풍기(24') 부착 고압 저항 장치(γa1'~γan')와 트랜스(25)를 개재하여 소용량 구성 뱅크(13')에 의한 하나의 송풍기(24) 부착의 가변 저압 저항 장치(26)를 고압 발전 장치(G)에 병렬 접속하여 각 송풍기(24') 부착의 소용량 고압 저항 회로(βa')는 직각형 통박스(12')마다 걸쳐수용된 송풍기(24') 부착의 소용량 구성 뱅크(13')로 구성된다.
그 때문에 도 20(a 및 b)에 나타내는 화물트럭(27)의 화물받이(27a)상으로 건식 고압부하시스템 장치(δ')를 설치하는 경우 늘어 ;는 인출 핀(9) 부착의 저항체 소자(1')군을 걸쳐수용하므로 직각형 통박스(12')의 크기에 비해서는 저항체 소자(1')군의 걸쳐수용 갯수가 적고 그 결과 복수의 소용량 구성 뱅크(13') (도안에서는 11기)로 소구분하여 많이 탑재 하지 않을 수 없었다. 필연적으로 화물트럭(27)도 대형화를 어쩔 수 없다. 도 19중 28은 부하 전환부 ; βb'는 소용량 저압 저항 회로 도 20a 중 29는 제어실 ; 30은 기계실이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건식의 소구분 소용량 구성 뱅크(13')를 많이 이용해 고압 발전 장치(G)의 부하 특성 시험을 실시한 결과 풍냉각의 소용량 구성 뱅크(13') 는 140 ℃의 고온이 되어 저항체 소자(1') 단체에서는 350 ℃ 내지 700 ℃의 온도를 가지는 것을 알았다.
이것은 저항체열상(10')에 배열되고 있는 고압용의 저항체 소자(1')의 인출 핀(9)이 상하로 겹쳐지지 않도록 상호 다르게 위치 하도록 배치해도 이 인출 핀(9)의 형상이 송풍기(24')에 의한 통풍의 저항이 되어 직각형 통박스(12') 안에 열이 깃들어 냉각 팬(14')의 냉각 작용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 고압용의 저항체 소자(1')에서는 상비나 상식으로 되어 있는 인출 핀(9)은 저압용의 저항체 소자에서는 지극히 유효하지만 다음에 기술하는 여러 가지의 폐해를 가져오는 것이 해명되지 않았다.
즉 인출 핀(9)이 통풍의 저항이 되기 때문에 상기 고압 저항 장치(γa')의 소용량 구성 뱅크(13')의 직각형 통박스(12') 안에서 난기류나 교란 기류가 기생 해 그 결과 진동을 일으킨다는 현상도 회피 할 수 없고 도 18에 나타내는 종래예에서는 이것을 방진고무(21)에 의해 직각형 통박스(12')의 장착 프레임(F)에 대한 진동 전달을 회피하고 있지만 직각형 통박스(12')자체의 진동은 그치지 않고 시험시의 위험성은 변함 없는 것이었다.
더구나 저항체 소자(1')의 외통(2') 안에 봉입된 절연물(5')은 분말형상이기 때문에 이 외력 진동에 의하여 이동 편향되어 균일한 두께로 피복이 불가능해지고 부분적으로 절연이 불충분하게 되어 절연 파괴의 발단이 이루어지는 폐해를 가질 뿐더러 절연 분말이기 때문에 가동중의 작열의 저항 발열선(3)도 용이하게 진동을 기생 해 단선하기 쉬워져 내열성이 부족한 결점을 가진다. 그것과도 관계없이 절연 파괴에 수반하는 아크 방전이나 연쇄 단선 사고를 종래는 운전 조작자의 조작 미스로 해결된 것이 많았던 이 고장 원인의 해명이 충분하게 이루어 지지 않았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상기 인출 핀(9)의 형상은 방열 작용을 위한 것이지만 끝이 날카롭기 때문에 고압이 되면 예리한 주변(9a, 9a)으로부터 코로나 방전을 초기 발생해 마지막에는 직각형 통박스(12')와의 사이나 병렬하는 3상저항체 회로(17) 상호의 저항체 소자(1')같은 종류의 인출 핀(9)간에 아크 방전을 발생해 절연 파괴를 일으키는 것이 수 년동안의 실험 결과 약간 알고 위험성을 수반하지 않고 부하 특성 시험을 실시하는 것은 종래의 저항체 소자(1')에서는 할 수 없는 것이었다.
아크 방전에 의해 직각형 통박스(12')와의 절연 파괴를 일으켰을 때의 안전책으로서 절연 유리(22)를 설치하고 있지만 고압 과전류의 빠져나갈 장소가 없기 때문에 고압 저항 장치(γa')전체가 소실 파괴해 버리는 위험이 있어 종업원도 이동중은 위험해서 접근하지 않았다.
그위에 각 단 어긋나게 배가된 인출 핀(9)에 덮혀지기 때문에 직각형 통박스(12') 윗쪽에서 내부의 전망이 나쁘게 보수 점검 정비상의 지장이 되어 부가하여 소실 또는 단선한 저항체 소자(1')만을 직각형 통박스(12')로부터 측면에 발출는 것은 인출 핀(9)에 방해되어 할 수 없기 때문에 가동 현장에서의 부분적인 저항체 소자(1') 교환은 불가능하고 하나하나 공장에 가지고 들어와 직각형 통박스(12')를 분해해 다른 저항체 소자(1')도 분리한 다음 부품 교환을 해야만 하기 때문에 부하 특성 시험을 중단 연기해야 했다.
이 아크 방전은 시험 운용을 단념한다(일본국 특개2000-19231호공보 P(3) 0013~14). 고압 저항 장치(γa')의 아크 방전에 의한 겹고장은 복수의 저항체 소자(1')와 전선(입력선(16) 접속선(18,20))류 및 금속제의 제 1 및 제 2 단자판(15, 19)이나 직각형 통박스(12')가 박살난 상태로 용해와 용접하고 절연 애자(22)는 연소되어 파괴된다
고장 초기 현상을 보기에도 고전압에서 사용하는 직각형 통박스(12')에 저항체 소자(1')를 약 150개 수납해 측면을 둘러싸기 때문에 들여다 볼 수 없고 내시경으로 심오한 것까지 관찰하기에도 고전압이 부착되어 있지 않고 탄 고압 저항 장치(γa')의 현물로는 냉각 부족에 의한 것인지 초기 고장으로부터 얼마 안되는 시간에 아크 방전에 도달한 것인지의 원인 해명은 지극히 어려운 과제였다.
여기서 고압 저항 장치(γa')에 있어서 3단씩 저항체열상(10')을 Y결선 하기 때문에 3상의 접속선(20)으로 중성점(N)을 제 2 단자판(19)로 공통 연접해 사용했을 때에 1개의 저항체 소자(1')의 단선이 미치는 연쇄 단선의 영향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연쇄 단선은 중성점(N)에 있어서 불평형전위를 발생해 고압 저항 장치(γa')의 능력을 저감한다.
여기서 3상 6600V 750 kW의 3상저항체 회로(17)는 1.67 kW의 저항체 소자(1')를 이용해 1상으로서는 저항체 소자(1')를 10개 직렬로 접속 한 저항체열상(10')을 15단열 병렬 접속하여 각 3상을 Y연결로 해 합계 450개와 같이 구성하고 있다. 이것을 도 21의 3상저항체 회로(17)의 등가 회로로 나타내면 도 22의 R상의 등 전위 배열과 도 23의 소용량 고압 저항 회로(βa')의 Y직렬 등가 회로와 같이 된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열상R-N간을 각종 고장상으로 상정해 건전열상의 S-N와 T-N의 변화를 음미한다. 저항체 소자(1')는 전원측의 3상의 전압과 부하의 3상병렬 저항값이 평형한 상태에서도 조속기(調速機) 시험과 같은 단속과 정격부하 운전과 같은 장시간 가열에 의해 저항값이 높은 것이나 냉각 조건과의 조합이 나쁜 것부터 빨리 열화 해 단선한다.
하나의 저항체 소자(1')가 단선한 저항체열상(10')은 그 1열이 기능하지 않게 된다(단선열상). 단선열상을 가지는 R열상의 병렬 저항값은 건전한 S와 T열상보다 커진다. 이 때문에 R-N간의 전압은 S-N와 T-N보다 일정한 원칙에 따라 높아진다. 등가 회로를 도 24중 R열상 1열단선; 도 25a의 단선과 전위 상승; 도 26의 이전위 배열에 각각 나타낸다. 6600/√3=3810 V가 6600√ 3/2=5715 V로 이루어진다.
이 전압 상승은 R열상내에 남겨진 건전열상 2~15번(#2~#15의 건전잔열상)의 저항체 소자(1')군의 발열을 증가하고 인접 병렬하는 2번째의 저항체 소자(1')의 단선을 유발한다. 그리고 3번째 4번째와 차례차례로 다른 저항체 소자(1')군의 전압 상승이 단선을 가속하고(연쇄 단선) R열상의 잔열상 2~15번이 기능하지 않게 될즈음 R-N간의 전압은 5715 V로 상승한다. 이 연쇄 단선은 소용량 고압 저항 회로(βa')일수록 빨리 R열상을 결상고압 저항 회로(βa')로 한다(도 25a 참조).
R결상의 3상 216 kW소용량 고압 저항 회로(βa')는 S-T간의 단상 375 kW로 이루어진다. 불평형 부하의 발생과 고압 저항 장치(γa')총체의 능력 저하(용량 부족)를 초래한다. 한편으로는 목표치에 따른 3상저항체 회로(17)의 조합수가 어려워 진다.
또 도 2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전위 상승은 R-N간의 합선에서도 발생하고 합선시의 R-N간의 전압은 0 V에 가까워진다. 이 때문에 건전열상의 S-N와 T-N의 전압은 6600 V 근처까지 상승한다. 이 전압 상승으로 건전열상S-N와 T-N의 저항체 소자(1')에도 연쇄 단선을 유발한다. 교류 내전압 2000 V/1분간의 저항체 소자(1')는 1분간을 넘으면 언제 절연 파괴하는가는 보장할 수 없는 것이다.
고압 저항 장치(γa')는 절연 애자(22)로 절연되고 있기 때문에 저항체 소자(1')나 접속용 단자(7)와 직각형 통박스(12') 사이에 아크 방전이 발생해도 지락계전기(地絡繼電器)나 과전류 계전기는 동작하지 않고 피해가 한층 더 커진다.
도 17에 나타내는 접속선(20)으로서 다른 3상저항체 회로(17)의 중성점(N)을 제 2 단자판(19)에서 공통 연접하면 결상한 3상저항체 회로(17)의 전위 상승이 다른 병렬하는 건전한 3상저항체 회로(17)에 파급한다. 휴지한 저항체열상(10')을 가지는 3상저항체 회로(17)와 병렬하는 건전한 3상저항체 회로(17)와도 이전위 배열하게 되고 여기에서도 인출 핀(9)이 방전 환경을 형성한다.
인출 핀(9)의 한 장 한 장의 형상은 축방향으로부터 보면 대략 원형이지만 측면으로부터는 얇은 평판의 외주변은 예리한 예리한 주변(9a, 도 15 참조)이 된다. 고전압에서는 예리한 선단 정도 방전하기 쉬운 성질을 갖고 인출 핀(9)의 예리한 주변(9a)은 방전하기 쉬운 영역을 형성한다. 소용량 고압 저항 회로(βa')에서는 방전 개시 전압을 내리는 역할을 완수해 아래와 같은 이전위 배열 때에 방전한다.
1열상을 직각형 통박스(12')의 각 단열로 한 고압 저항 장치(γa')는 고압 발전 장치(G)의 R열상을 제 1 단자판(15)에 접속하여 중성점(결선점, N)에 제 2 단자판(19)을 이용한다. 각단 1열의 저항체 소자(1')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1~10번(#1~#10)을 직렬로 접속 한 저항체열상(10')을 위에서 밑으로 1~15단열(#1~#15)을 병렬로 접속한다. 직렬하는 저항체 소자(1') 사이의 전위차는 건전할 때에 381 V차 병렬하는 저항체 소자(1')의 전위차는 0 V의 등 전위 배열이 되어 안정되어 있다(도 22 참조).
저항체열상(10')의 저항체 소자(1')가 1개 단선(만일 1단열 10번)하고 R측을 3810 V에 중성점(N)을 0 V로 해 전위 분포를 비교하면 R측의 3810 V나 1단열 1~9번 전부에 파급한다. 1단열 9번과 인접하는 저항체 소자(1') 사이에는 3174 V에 가까운 전위차를 일으키는 이전위 배열이 된다(도 26 참조). 덧붙여 저항체 소자(1')의 단선은 순서 5~6의 사이에 단선한다고는 할 수 없다.
아크 방전으로 용해 한 흔적으로부터 방전 개시점을 탐색하는 것은 어렵지만방전 초기는 코로나로부터 시작되는 것에 주목해 암실에서 전압을 순서대로 상승하면 코로나 방전을 관찰할 수 있다. 초기의 코로나 방전에서는 용해도 없는 방전단의 확인이 용이하다. 저항체 소자(1')옆에서는 인출 핀(9)의 예리한 주변(9a)의 단면의 형상이나 버(burrs)나 부착한 먼지가 방전 개시단이 된다. 상대쪽은 가까운 평판보다 멀어도 돌기물에 적합하게 방전하는 경향이 있다.
예리한 선단을 가지는 인출 핀(9)은 1개의 저항체 소자(1')의 단선으로 인하여 인출 핀(9)의 상호간에서도 방전한다. 이것에 연쇄해 저항체 소자(1') 양단의 접속용 단자(7)와 금속제의 외통(2') 사이에서도 방전한다. 직각형 통박스(12')에 절연 소재를 이용해도 이전위 배열에 의한 인출 핀(9)으로부터의 방전은 막을 수 없다.
종래형의 고압 저항 장치(γa')에서는 연약한 절연과 저항체열상(10')을 Y결선 한 3상저항체 회로(17) 동지의 중성점(N)을 공통 연접했을 때의 연쇄 단선 및 인출 핀(9)의 방전 특성이 저항체 소자(1')의 1개가 단선했을 때 차례로 파급하는 폐해를 해명할 수 없었다. 이들의 폐해에 의한 사고도 운전 조작의 조작 미스로 해결하는 경향에 있었다.
또 공통의 중성점(N)이 없는 Δ결선을 고압 저항 장치(γa')에 채용했을 경우 공통의 중성점(N)에 기인하는 연쇄 단선은 없지만 병렬하는 저항체 소자(1')같은 종류의 아크 방전에 의한 연쇄 단선이나 저항체 소자(1')와 배열판(12a') 사이의 아크 방전은 방지 할 수 없다.
또한 인출 핀(9) 부착의 저항체 소자(1') 채용에 의해 1 소용량 구성 뱅크(13')당 1개의 직각형 통박스(12')에 걸쳐수용 하지 않을 수 없고 필경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δ')에 대해 다수 소구분한 소용량 구성 뱅크(13')를 필요로 하고 소용량 구성 뱅크(13') 1기에 대해 송풍기(24')를 1개씩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어 이니셜 코스트(제작비) 및 런닝 코스트가 걸려 게다가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δ')를 수용 설치하는 설치형 공간이나 화물트럭(27)은 대형화해 전자에서는 대폭의 설치면적을 필요로 하고 또 후자에서는 현장까지 통행도폭이나 주차 스페이스가 제약된다.
여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다음에 기재한 바와 같다.
즉 본 발명의 제 1의 목적은 연쇄 단선 및 아크 방전에 강한 구성의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및 동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을 제공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의 목적은 고압 저항 회로 소자에 특수 구조의 컴팩트 저항체 소자를 채용한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및 동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을 제공 전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의 목적은 내근성 내아크성 내연쇄 단선을 가지는 고압 부하 시스템 회로를 구비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및 동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을 제공 전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의 목적은 컴팩트한 고압 부하 시스템 회로를 형성 가능한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및 동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을 제공 전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의 목적은 고압 뱅크와 저압 뱅크를 각각 2기의 종형직각형 통박스 또는 양자를 1기의 횡형직각형 통박스에 걸쳐 수장 가능하게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및 동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을 제공 전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6의 목적은 고압 부하 장치를 수용 설치하는 공간이나 수용 탑재하는 화물트럭을 소형화 가능한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및 동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을 제공 전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명세서 도면 특히 청구의 범위의 각 항의 기재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 장치는 상기 과제 해결에 맞게 변압기의 출력단에 분기 복수 병렬한 각 개폐기에 각각 병렬 접속하는 저압 3상저항체 회로의 복수 병렬조단위의 소용량 저압 저항 회로 뱅크의 복수로 구성한 저압 뱅크와 복수 병렬한 각 개폐기에 각각 병렬 접속하는 고압 3상저항체 회로의 복수 병렬조단위의 소용량 고압 저항 회로 뱅크의 복수로 구성한 고압 뱅크를 주개폐기를 개재하여 고압 발전 장치에 병렬 접속한 고압 부하 시스템 회로를 가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에 있어서 아크 방전과 관계되는 외주면 길이방향 스파이럴형상으로 연장하는 방열용 인출 핀이 없는 금속제 원통형상 외통의 각종 지지물로 지지를 받는 양단 집합 부위에 발출 자유롭게 끼워삽입 고착한 고내압 절연 슬리브를 구비하는 저항체 소자를 직렬로 복수 접속한 저항체열상을 Δ또는 서로 연접하지 않고 각 독립 분리한 중성결점으로 하는 Y 결선한 상기 3상저항체 회로를 형성하는 특징적 구성 수단을 강구한다.
본 발명 방법은 상기 과제의 해결에 맞게 변압기의 출력단에 분기 복수 병렬한 각 개폐기 및 복수배열한 각 개폐기에 각각 병렬 접속하는 3상저항체 회로의 복수 병렬조단위의 소용량 저압 또는 고압 저항 회로 뱅크의 복수로 각각 구성한 저압 뱅크와 고압 뱅크를 주개폐기를 개재하여 고압 발전 장치에 병렬 접속하는 고압 부하 시스템 회로를 가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에 맞게 아크 방전과 관련하는 외주면 길이방향 스파이럴형상으로 연재 하는 방열용 인출 핀이 없는 금속제 원통형상 외통의 각종 지지물로 지지를 받는 양단 집합 부위에 발출 자유롭게 끼워삽입 고착한 고내압 절연 슬리브를 구비하는 저항체 소자를 직렬로 복수 접속한 저항체열상을 Δ 또는 서로 연접하지 않고 각 독립 분리한 중성점으로 하는 Y 결선한 상기 3상저항체 회로로 함으로써 연쇄 단선이나 아크 방전을 억제한 특징적 구성 수법을 강구한다.
또한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말하면 상기 과제 해결에서는 본 발명이 다음에 열거하는 각각의 신규 특징적 구성 수단 또는 수법을 채용하는 것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즉 본 발명 장치의 제 1의 특징은 변압기의 출력단에 분기 복수 병렬한 각 개폐기에 각각 저압 3상저항체 회로를 복수 병렬조 한 소용량 저압 저항 회로 뱅크의 복수로 구성하는 저압 뱅크와 복수 병렬한 각 개폐기에 각각 고압 3상저항체 회로를 복수 병렬조 한 소용량 고압 저항 회로 뱅크의 복수로 구성하는 고압 뱅크를 주개폐기를 개재하여 고압 발전 장치에 병렬 접속한 고압 부하 시스템 회로를 가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압 3상저항체 회로 및 상기 고압 3상저항체 회로는 금속제 원통형상의 외통과 상기 금속제 원통형상 외통의 내단으로부터 각각 내삽입된 전극봉의 내단 상호간에 걸쳐서 설치한 나선 형상 저항 발열선과 상기 전극봉 및 상기 나선 형상 저항 발열선과 상기 금속제 원통형상 외통의 내벽면의 사이에 충전 인화절연물과 각종 지지물로 지지를 받는 상기 금속제 원통형상 외통의 양단 집합 부위에 발출 자유롭게 끼워 삽입 고착한 고내압절연슬리브를 구비하는 저항체 소자를, 직렬로 복수 접속하여 각각 3상의 저항체열상을 형성하고, 상기 3상의 저항체열상의 종단끼리를 합상집결하는 결선점 상호를 공통화하지 않고 고립화 단독 중성점으로 한 Y결선 하거나 또는 상기 3상의 저항체열상종단의 각각을 전력 케이블 배전 지선의 동상으로 각 별개 결선 하는 각 상 마다 결선점으로 한 Δ결선하여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방법의 제 2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장치의 제 1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고내압 절연 슬리브가 사용 전압에 따라 길이와 두께를 조정 자유롭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장치의 제 3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장치의 제 2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고내압 절연 슬리브는 교류 내전압 12 kW/mm1 분간의 소재를 이용한 두께 3 mm로 하면 36 kV/1분간에 가까운 절연 성능을 가지는 소결 세라믹인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장치의 제 4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장치의 제 2 또는 제 3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고내압 절연 슬리브가 두께를 3 mm 전후간으로 해 길이를 100 mm 전후간으로하여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장치의 제 5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장치의 제 1, 제 2 또는 제 3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저항체열상의 결선이 Y 또는 A에 각각 결선 해 상기 고압 뱅크 각 소용량 구성 뱅크의 상기 고압 3상저항체 회로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장치의 제 6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장치의 제 1, 제 2 또는 제 3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저항체열상의 결선이 Δ로 결선 해 저압 3상저항체 회로를 또한 Y에 결선 해 상기 고압 3상저항체 회로를 각각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장치의 제 7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장치의 제 1, 제 2 또는 제 3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저압 뱅크와 상기 고압 뱅크가 송풍기를 부설 한 2기의 종형직각형 통박스내에 전체의 상기 각 소용량 구성 뱅크의 전유 구역을 배분 구획 해 상기 각 구획내에 상기 각 소용량 구성 뱅크의 상기 저항체 소자군을 종 다행열을 이루어 양단을 관통 걸쳐 수용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장치의 제 8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장치의 제 1, 제 2 또는 제 3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저압 뱅크와 상기 고압 뱅크가 송풍기를 부설 한 1기의 횡형직각형 통박스내에 상기 각 소용량 구성 뱅크의 전유 구역을 배분 구획 해 상기 각 구획내에 상기 각 소용량 구성 뱅크의 상기 저항체 소자군을 횡 다단열을 이루어 양단을 관통하여 걸쳐 수용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장치의 제 9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장치의 제 7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종형 또는 횡형직각형 통박스가 직접 지락하여 섀시 그라운드(chassis ground)형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장치의 제 10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장치의 제 8의 특징에 있어서 의 상기 종형 또는 횡형직각형 통박스가 직접 지락하여 섀시 그라운드형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장치의 제 11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장치의 제 1, 제 2 또는 제 3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Y결선 고압 3상저항체 회로용 상기 저항체 소자가 381 V전후간, 1·67 kW전후간의 용량을 갖고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장치의 제 12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장치의 제 1, 제 2 또는 제 3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Δ결선 고압 소용량 3상저항체 회로용 상기 저항체 소자가 412.5 V 전후간, 1.74 kW 전후간의 용량을 갖고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장치의 제 13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장치의 제 1, 제 2 또는 제 3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Y결선 하는 상기 고압 3상저항체 회로의 상기 저항체열상이 사용 전압 6600 V에 대해 상기 저항체 소자를 10개 직렬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장치의 제 14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장치의 제 1, 제 2 또는 제 3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Δ결선 하는 상기 고압 3상저항체 회로의 상기 저항체열상이 사용 전압 6600 V에 대해 상기 저항체 소자를 16개 직렬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장치의 제 15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장치의 제 11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Y결선하는 고압 3상저항체 회로가 50.1 kW 전후간의 용량을 갖고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장치의 제 16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장치의 제 13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Y결선 하는 고압 3상저항체 회로가 50.1 kW전후간의 용량을 갖고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장치의 제 17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장치의 제 12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Δ결선하는 고압 3상저항체 회로가 83.52 kW 전후간의 용량을 갖고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장치의 제 18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장치의 제 14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Δ결선하는 고압 3상저항체 회로가 83.52 kW 전후간의 용량을 갖고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장치의 제 19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장치의 제 1, 제 2 또는 제 3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고압 뱅크가 상기 Y결선 하는 고압 3상저항체 회로를 5조 또는 10조 병렬 접속하여 형성한 소용량 고압 저항 회로를 각각 250 kW 전후간 또는 500 kW 전후간의 소용량 구성 뱅크로 하여 상기 250 kW 전후간 소용량 구성 뱅크 1개와 상기 500 kW 전후간 소용량 구성 뱅크 3개를 병렬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장치의 제 20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장치의 제 1, 제 2 또는 제 3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고압 뱅크가 상기 Δ결선 하는 고압 3상저항체 회로를 3조 또는 6조 병렬 접속하여 형성한 소용량 고압 저항 회로를 각각 250 kW 전후간 또는 500 kW 전후간의 소용량 구성 뱅크로 하여 상기 250 kW 전후간 소용량 구성 뱅크 1개와 상기 500 kW 전후간 소용량 구성 뱅크 3개를 병렬 구성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장치의 제 21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장치의 제 1, 제 2 또는 제 3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저압 뱅크가 상기 Δ결선 또는 Y결선 하는 저압 3상저항체 회로를 복수조병렬 접속하여 형성한 소용량 저압 저항 회로를 각각 62.5 kW 전후간 또는 125 kW 전후간의 소용량 구성 뱅크로 하여 상기 62.5 kW 전후간의 소용량 구성 뱅크 2개와 상기 125 kW 전후간의 소용량 구성 뱅크 1개를 병렬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장치의 제 22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장치의 제 1, 제 2 또는 제 3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물이 하단에 냉각 송풍구를 또한 상단에 방열배풍구를 각각 개구 한 섀시 그라운드형 직각형 통박스의 양측 배열판인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장치의 제 23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장치의 제 22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배열판이 상기 고내압 절연 슬리브가 발출자유롭게 관통삽입 하는 크기의 원형 지지구를 ; 종형직각형 통박스는 횡 각 단열 또는 횡형직각형 통박스는 종 각 행열배열 위치를 절반부씩 어긋나게 한 상하 또는 좌우 상호 어긋난형상으로 복수 다단열 또는 복수다행열로 관설 하여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장치의 제 24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장치의 제 23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저항체 소자가 상기 종형또는 횡형직각형 통박스의 양측 배열판에 개설하는 지지구에 상기 고내압 절연 슬리브를 관통하여 걸치고 상기 고내압 절연 슬리브에 외측 끼워삽입한 스프링홈 부착지륜에서 발출자유롭게 상기 지지구에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장치의 제 25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장치의 제 1, 제 2 또는 제 3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고압 부하 시스템 회로가 상기 주개폐기를 안에 끼워 상기 고압 발전 장치측 전력 케이블에 전압계를 또한 다른 한쪽편의 상기 뱅크측 전력 케이블에 과전류 계전기를 개재하여 전류계를 상호 병렬로 접속하고 또한 상기 전압계와 상기 전류계에 걸쳐서 전력계를 도결하는 한편 상기 발전 장치와 전압계간의 상기 전력 케이블에 지락 계전기를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장치의 제 26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장치의 제 7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2기의 종형직각형 통박스가 설치형공간내의 제어반 ; 계기판을 장착한 1단 외벽면 측에 변압기 ; 개폐기군을 장착설치하고 또한 개폐 도어를 설치한 계기실에 구분벽을 개재하여 인접하고 상기 각 종형직각형 통박스의 방열배풍구와 송풍기에 각각 대응 대향하는 천장 벽면 부위와 양측 벽면 부위에 각각 배기구와 개폐 자유로운 공기 투입구를 설치한 부하실에 수용장착 가설되어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장치의 제 27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장치의 제 8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1기의 횡형직각형 통박스가 설치형공간내의 일단 측에 상단에 제어반 ; 계기판을 또한 하단에 변압기 ; 개폐기군을 각각 장착설치 하여 설치한 상하단 각 실 에 구분벽을 개재하여 인접하고 상기 횡형직각형 통박스의 방열배풍구와 송풍기에 각각 대응 대향하는 타단측 개구 벽면 전체와 양측 벽면 부위에 각각 미늘창 형상 배기구와 공기 투입구를 설치한 부하실에 수용 장착가설되어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장치의 제 28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장치의 제 7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2기의 종형직각형 통박스가 화물 트럭 화물받이상에 걸쳐서 설치한 전천후형 밀폐 컨테이너내의 앞측으로부터 제어반 ; 계기판 ; 개폐 도어를 설치한 제어실의 구분벽에 이어서 설치한 변압기 ; 개폐기군을 장착설치하고 또한 개폐 도어를 설치한 기계실에 구분벽을 개재하여 인접하고 상기 각 종형직각형 통박스의 방열배풍구와 송풍기에 각각 대응 대향하는 천장 벽면 부위와 양측 벽면 부위에 각각 배기구와 개폐 자유로운 공기 투입구를 설치한 부하실에 수용 장착가설되어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시스템 장치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장치의 제 29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장치의 제 8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1기의 횡형직각형 통박스가 소형 화물 트럭 화물받이상에 걸쳐서 설치한 전천후식 소형 밀폐 컨테이너내의 앞측으로부터 제어반 ; 계기판 ; 개폐 도어 ; 변압기 ; 개폐기군을 장착설치하고 또한 개폐 도어를 설치한 제어실에 구분벽을 개재하여 인접하고 상기 횡형직각형 통박스의 방열배풍구와 송풍기에 각각 대응 대향하는 후측 개구 벽면 전체와 양측 벽면 부위에 각각 미늘창 형상 배기구와 개폐 자유로운 공기 투입구를 설치한 부하실에 수용 장착가설되어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방법의 제 1의 특징은 변압기의 출력단에 분기 복수 병렬한 각 개폐기에 각각 병렬 접속하는 저압 3상저항체 회로를 복수 병렬조 한 소용량 저압 저항 회로 뱅크의 복수로 구성한 저압 뱅크와 복수 병렬한 각 개폐기에 각각 병렬 접속하는 고압 3상저항체 회로의 복수 병렬조 한 소용량 고압 저항 회로 뱅크의 복수로 구성한 고압 뱅크를 주개폐기를 개재하여 고압 발전 장치에 병렬 접속한 고압 부하 시스템 회로를 가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에 있어서, 금속제 원통형상의 외통과 상기 금속제 원통형상 외통의 내단으로부터 각각 내 삽입된 전극봉의 내단 상호간에 걸쳐서 설치 한 나선(螺施) 형상 저항 발열선과 상기 나선 형상 저항 발열선과 상기 금속제 원통형상 외통의 내벽면의 사이에 충전되어 인화되어버린 절연물과 각종 지지물에서 지지를 받는 상기 금속제 원통형상 외통의 양단 집합 부위에 발출 자유롭게 끼워 삽입 고착한 고내압 절연 슬리브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지지물에 상기 고내압 절연 슬리브를 발출 자유롭게 끼워삽입 고착하는 저항체 소자를, 직렬로 복수 접속하여 각각 3상의 저항체열상을 형성하고, 상기 3상의 저항체열상의 종단끼리를 합상집결하는 결선점 상호를 공통화하지 않고 고립화 단독 중성점으로 한 Y결선 하거나 또는 상기 3상의 저항체열상종단의 각각을 전력 케이블 배전 지선의 동상으로 각 별개 결선 하는 각 상마다 결선점으로 한 Δ결선 하는 상기 저압 3상저항체 회로 및 상기 고압 3상저항체 회로로 함으로써 상기 저항체 소자와 상기 지지물간이나 병행하는 저항체 소자간 상호 아크 방전 및 상기 결선점을 개재시키는 연쇄 단선을 각각 방지하여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방법의 제 2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방법의 제 1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고내압 절연 슬리브가 사용 전압에 따라 길이와 두께를 조정 자유롭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방법의 제 3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방법의 제 2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고내압 절연 슬리브가 교류 내전압 12 kV/mm1 분간의 소재를 이용한 두께 3 mm로 하면 36 kV/1분간에 가까운 절연 성능을 가지는 소결 세라믹인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방법의 제 4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방법의 제 2 또는 제 3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고내압 절연 슬리브가 두께를 3 mm 전후간으로 해 길이를 100 mm 전후간으로서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방법의 제 5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방법의 제 1, 제 2 또는 제 3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물이 직각형 통박스의 양측 배열판에 있어서 등간격 병행으로 종 다행열 또는 횡 다단열로 인접열 동지가 어긋나는 형상이 되도록 상기 저항체 소자군의 양단부를 관통하여 걸쳐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방법의 제 6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방법의 제 1, 제 2 또는 제 3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Y결선 고압 3상저항체 회로가 381 V 전후간, 1.67 kW 전후간의 용량을 가지는 상기 저항체 소자를 이용해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방법의 제 7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방법의 제 1, 제 2 또는 제 3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Δ결선 고압 3상저항체 회로가 412.5 V 전후간, 1.74 kW 전후간의 용량을 가지는 상기 저항체 소자를 이용해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방법의 제 8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방법의 제 1, 제 2 또는 제 3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Y결선 하는 상기 고압 3상저항체 회로의 상기 저항체열상이 사용 전압 6600 V에 대해 상기 고압 저항체 소자를 10개 직렬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방법의 제 9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방법의 제 1, 제 2 또는 제 3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Δ결선 하는 상기 고압 3상저항체 회로의 각 저항체열상이 사용 전압 6600 V에 대해 상기 고압 저항체 소자를 16개 직렬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방법의 제 10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방법의 제 6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Y결선 하는 고압 3상저항체 회로가 50.1 kW 간의 용량을 갖고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방법의 제 11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방법의 제 8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Y결선 하는 고압 3상저항체 회로가 50.1 kW 간의 용량을 갖고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방법의 제 12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방법의 제 7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Δ결선 하는 고압 3상저항체 회로가 83.52 kW 전후간의 용량을 갖고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의 구성 채용에 있다.
본 발명 방법의 제 13의 특징은 상기 본 발명 방법의 제 9의 특징에 있어서의 상기 Δ결선 하는 고압 3상저항체 회로가 83.52 kW 전후간의 용량을 갖고 이루어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의 구성 채용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내압 절연 슬리브를 분해 분리한 저항체 소자의 일부 생략 수직 파단 측면도이다.
도 2는 전술 배열판에 양단을 관통하여 걸쳐 놓은 저항체 소자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수직 파단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장치예 1을 나타내고 섀시 그라운드형 직각형 통박스의 양측 배열판에 저항체 소자군의 양단을 관통하여 걸쳐 놓은 고압 저항 장치의 일부 파단 투시도이다.
도 4는 전술 고압 저항 장치에 있어서의 배열판에 양단을 관통하여 걸쳐 놓은 저항체 소자의 직렬 접속에 의한 저항체열상의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전술 3상의 저항체열상을 고립화 한 단독 중성점으로써 Y결선 한 3상저항체 회로의 종 병렬 상태설명도이다.
도 6은 전술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회로의 단선 결선도이다.
도 7은 전술 1기의 종형직각형 통박스에 고압 뱅크의 소용량 구성 뱅크 2개를 수용한 설명도이다.
도 8은 전술 다른 1기의 종형직각형 통박스에 고압 뱅크의 소용량 구성 뱅크 1개와 저압 뱅크의 소용량 구성 뱅크 3개를 수용한 설명도이다.
도 9a,b 및 c는 전술 2기의 종형직각형 통박스를 걸쳐 수용한 설치형 공간의 투시 평면도 동측면도 및 동배면도이다.
도 1Oa, b 및 c는 전술 화물트럭 화물받이상에 재치한 컨테이너내에 2기의 종형직각형 통박스를 걸쳐 수용한 이동형 차바퀴의 평면도 일부 투시 측면도 및 동배면도이다.
도 11a 및 b는 전술 1기의 횡형직각형 통박스를 걸쳐 수용한 설치형 공간의 투시 측면도 및 동배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장치예 2를 나타내고 섀시 그라운드형 직각형 통박스의 양측 배열판에 저항체 소자군의 양단을 관통하여 걸쳐 놓은 고압 저항 장치의 일부 파단 투시도이다.
도 13은 전술 Δ결선의 배열판에 양단을 관통하여 걸쳐 놓은 저항체 소자의 직렬 접속에 의한 저항체열상의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전술 3상의 저항체열상을 결선점 연결 부재로 Δ결선 한 3상저항체 회로의 종 병렬 상태설명도이다.
도 15는 종래예의 저항체 소자의 일부 생략 파단 측면도이다.
도 16은 전술 파단한 직각형 통박스 양측의 배열판으로의 양단 관통하여 걸쳐 놓은 저항체 소자의 직렬 접속하는 저항체열상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전술 고압 저항 장치의 개략 구성 경사면도이다.
도 18은 전술 고압 저항 장치에 냉각 팬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전술 고압 부하 시스템 회로의 단선 결선도이다.
도 20a 및 b는 전술 화물트럭 화물받이상에 재치한 컨테이너내에 다기의 종형직각형 통박스를 걸쳐 수용한 이동형 차축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1은 전술 Y결선의 3상저항체 회로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22는 전술 고압 저항 회로에 있어서의 R-N상의 등 전위 배열도이다.
도 23은 전술 고압 저항 장치의 Y직렬 등가 회로이다.
도 24는 전술 R열상 1열 단선했을 경우의 고압 저항 장치의 Y직렬 등가 회로이다.
도 25a 및 b는 전술 단선과 전위 상승 설명도 및 합선과 전위 상승 설명도이다.
도 26은 전술 R열상 1열 단선했을 경우의 고압 저항 회로에 있어서의 R-N상의 이전위 배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장치예 및 방법예를 설명한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 예의 설명에 앞서 장치예에 사용하는 저항체 소자예를 설명한다.
(저항체 소자예)
도 1은 고내압 절연 슬리브를 분해한 저항체 소자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수직 파단 측면도이고 도 2는 배열판에 양단을 관통하여 걸쳐 놓은 저항체 소자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수직 파단 측면도이다.
또한 저항체 소자예에서는 동일 부품은 동일 부호를 교부하고 데쉬(')가 없는 동일 부호는 종래 예의 대응 부품을 나타낸다. 이하 장치예 및 방법예도 마찬가지이다.
도안 1은 저항체 소자 ; 2는 금속제의 외통이고 표면을 매끄럽게 함으로써 방전을 발생 하기 어렵게 하는 형상과 스파이럴 인출 핀이 없더라도 방열 특성이 뛰어나는 요건을 만족하고 절연물(5)의 전보호 덮개 소재로서 외장 시스를 이용하고 있다. 3은 외통(2)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내 삽입한 전극봉(4, 4)의 내단 상호간에 걸쳐서 설치 한 코일 형상의 저항 발열선이다.
또한 5는 종래 예의 5'와 동일한 절연물이지만 분말형상의 것을 가열함으로써 인화 고형화해 외통(2)의 내벽과 도전성 금속의 전극봉(4,4) 및 저항 발열선(3)의 사이에 충전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절연물(5)은 외통(2)을 전극봉(4,4) 및 저항 발열선(3)으로부터 균등하게 절연 하는 역할을 완수하는 것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진동에너지를 흡수해 자기 보관 유지력이 약한 저항 발열선(3)을 확실히 고정 하는 작용 효과도 가지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 종래의 물건과 다르게 고형화되어 있으므로 외력 진동에 의해서도 절연물(5)이 치우치지 않고 확실한 절연을 기대할 수 있다. 7은 전극봉(4,4) 외 단부의 나사부(4a)에 삽통해 너트(8,8)에서 양측을 협착고정한 접속용 단자이다.
2a는 고내압 절연 슬리브이다. 고내압 절연 슬리브(2a)는 전기적인 내압 특성 내열성 내수성(옥외에서 시험이 행해질 때에 빗물등의 급냉에 의한 파괴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내하중성 및 내충격성이 뛰어난 소결 세라믹을 이용한다. 전기적 특성으로서 교류 내전압 12000 V/mm1 분간의 소재를 이용해 예를 들면 두께를 3 mm로 하면 36000 V/1분간에 가까운 절연 내력을 가지는 것을 제작할 수가 있다.
또 고내압 절연 슬리브(2a)의 형상은 원통형상이고 저항체 소자(1)의 외경을 예를 들면 12 mm로 하면 내경은 12.5 mm 정도이고 외경은 두께 3 mm로 했을 경우 18.5 mm정도로 이루어진다. 사용 전압에 따라 길이와 두께는 조정 자유롭게 형성된다.
또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표면의 더러움이나 습기에 의한 절연값의 저하를 고려해 배열판(12a)의 지지구(12b)의 관통 양측의 길이를 각각 50 mm정도로 한다.
또한 이들 수치는 어디까지나 일례이고 이들 수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동도안 31은 스프링홈 부착 스냅 링으로 발출 자유로운 고내압 절연 슬리브(2a)를 배열판(12a)의 지지구(12b)에 고착 하는 한편 32는 발출 자유로운 외통(2)을 고내압 절연 슬리브(2a)에 고착 하는 스프링홈 부착 스냅 링이 다.
12a는 배열판이고 종래 예의 저항체열상(10')을 나타내는 도 17에 있어서의 직각형 통박스(12')의 배열판(12a')에 대응하는 것이고 양단을 관통하여 걸쳐 놓은 저항체 소자(1)군을 접속하는 것에 의해 인출 핀(9)분 큰폭으로 작아진 후술의 3상저항체 회로를 형성할 때의 지지물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경량 컴팩트화된 저항체 소자(1)군을 걸쳐수납하는 후술의 직각형 통박스 자체가 적어도 1/3에 소형화된다.
(장치예 1)
상기 저항체 소자(1)를 사용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장치예 1을 도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직각형 통박스의 양측 배열판에 저항체 소자군의 양단을 관통하여 걸쳐 놓은 고압 저항 장치의 일부 파단 투시도; 도 4는 배열판에 양단을 관통하여 걸쳐 놓은 상기 저항체 소자의 직렬 접속에 의한 저항체열상의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5는 3상의 저항체열상을 고립화 한 단독 중성점(N1)으로 Y결선 한 3상저항체 회로의 도 7중 2점쇄선으로 둘러싼 부위를 확대한 종 병렬 상태 설명도 ; 도 6은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회로의 단선 결선도; 도 7은 1기의 종형직각형 통박스에 고압 뱅크의 소용량 구성 뱅크 2개을 수용한 설명도; 도 8은 다른 1기의 종형직각형 통박스에 고압 뱅크의 소용량 구성 뱅크 1개와 저압 뱅크의 소용량 구성 뱅크 3개를 수용한 설명도이다.
도 9a,b 및 c는 2기의 종형직각형 통박스를 걸쳐 수용한 설치형 공간의 투시 평면도 동측면도 및 동배면도 ; 도 1Oa,b 및 c는 화물트럭 화물받이상에 재치한 컨테이너내에 2기의 종형직각형 통박스를 걸쳐 수용한 이동형차량의 평면도 일부 투시 측면도 및 동배면도; 도 11a 및 b는 1기의 횡형직각형 통박스를 걸쳐 수용한 설치형 공간의 투시 측면도 및 동배면도이다. 도안 31은 고압 발전 장치(G)와 접속하는 R; S; T 3상의 배전선이다.
상기 도 3 및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장치예 고압 저항 장치(γa)에서는 저항체 소자(1)를 도 15와 같이 하단에 냉각 송풍구(12c)를 또한 상단에 방열배풍구(12d)를 각각 개구하여 양측의 배열판(12a)에 각 단배열 위치를 횡방향으로 상호절반부씩 어긋나게 한 상하 어긋난 형상으로 원형의 지지구(12b)를 복수 다단열에 관설 한 섀시 그라운드형 종형의 직각형 통박스(12)의 평행 하는 배열판(12a)의 지지구(12b)에 관통삽입한 고내압 절연 슬리브(2a)를 개재하여 양단을 관통하여 걸치고 상하에 인접하는 저항체 소자(1)의 2개 걸러 일단측의 접속용 단자(7)에 걸쳐서 또한 상기 일단측과는 상호 다르게 2개 걸러 타단측의 접속용 단자(7)에 걸쳐서 각각 각각 접속 부재(11)로 직렬 접속하여 R ; S ; T의 각 상의 저항체열상(10)을 열성 한다.
또 상기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장치에서는 R ; S ; T의 저항체열상(10)의 1번(#1)이 개방한 접속용 단자(7)와 대응하는 R ; S ; T의 전력 케이블의 각 배전선(33)을 접속선(34)으로 결선함과 함께 10번(#10) 동지의 개방한 접속용 단자(7)에 걸쳐서 중성점연결 부재(35)로 Y결선 도결하여 고립화 한 단독 중성점(N1)을 결성함으로써 3상저항체 회로(αa)를 형성한다.
상기 3상저항체 회로(αa)군을 전력 케이블 3상의 배전선(33)에 복수조병렬로 접속하여 소용량 고압 저항 회로(βa)를 얻는다. 3상저항체 회로(αa)동지의 단독 중성점(N1)은 공통 연접되지 않는다.
여기서 소용량 고압 저항 회로(βa)를 1 소용량 구성 뱅크(13)로 한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회로(ε)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회로(ε)는 변압기(TR)의 출력단을 분기 복수 병렬한 각 개폐기(S5~S7)에 각각 병렬 접속하는 3상저항체 회로(αa)를 복수 병렬조 한 소용량 저압 저항 회로(βb)의 소용량 구성 뱅크(13) No. 5~7의 복수로 구성하는 저압 뱅크(LB)와 복수 병렬한 각 개폐기(S1~S4)에 각각 병렬 접속하는 3상저항체 회로(αa)를 복수 병렬조 한 소용량 고압 저항 회로(βa)의 소용량 구성 뱅크(13) No.1~4의 복수로 구성하는 고압 뱅크(HB)를 주개폐기(CB)를 개재하여 고압 발전 장치(G)에 병렬 접속한 전기 회로 시스템을 구축한다.
또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회로(ε)는 주개폐기(CB)를 안에 끼워 한쪽측의 고압 발전 장치(G)측의 전력 케이블에 전압계(V)를 또한 타한쪽측의 변압기(TR)측의 전력 케이블에 과전류 계전기(OCR)를 개재하여 전류계(A)를 상호 병렬로 접속하는 한편 전류계(A)와 전압계(V)에 걸쳐서 전력계(W)를 도결하고 또한 고압 발전 장치(G)와 전압계(V)간의 전력 케이블에 지락 계전기(GR)를 접속한다.
고압 뱅크(HB)는 사용 전압 6600 V에서는 저항체열상(10)에 예를 들면 381V, 1.67 kW의 저항체 소자(1)를 10개 직렬 접속한 3열을 Y결선 한 3상저항체 회로(αa)로 해 중성점(N)을 단독 중성점(N1)으로 한다. 3상저항체 회로(αa)의 용량은 50.1 kW가 되어 10조 단위의 소용량 고압 저항 회로(βa)의 R ; S ; T를 배전선(33)에 병렬 접속하면 500 kW의 1 소용량 구성 뱅크(13)를 구성할 수 있다. 소용량 고압 저항 회로(βa)의 250 kW에서는 3상저항체 회로(αa)를 5조 병렬 접속한다.
저압 뱅크(LB)는 3상저항체 회로(αb)를 복수조병렬 접속하여 형성한 소용량 저압 저항 회로(βb)를 각각 예를 들면 62.5 kW소용량 구성 뱅크(13) 또는 125 kW소용량 구성 뱅크(13)으로 하여 2개의 62.5 kW소용량 구성 뱅크(13) No.6~7과 1개의 125 kW소용량 구성 뱅크(13) No. 5를 병렬 구성한다.
소용량 고압 저항 회로(βa)의 소용량 구성 뱅크(13) No.1~4와 소용량 저압 저항 회로(βb)의 소용량 구성 뱅크(13) No.5~7을 수용하는 직각형 통박스(12)는 송풍기(24)축 방향에 의해 종축형과 횡축형으로 구별할 수 있고 전자는 직각형 통박스(12)를 복수 배치한 대용량의 것으로 후자는 소형의 소용량에 이용한다. 배열판(12a) 전면의 4측을 배선로(P)로 한다. 개폐기(S1~S7); 주개폐기(CB)와 변압기(TR) 및 변성기류 및 제어반을 외판(큐비클)에 수납한 설치형을 도 9 ; 차량탑재형을 도 10에 각각 나타낸다.
<종형직각형 통박스>
그리고 대용량의 것으로 하여 종형의 직각형 통박스(12) 1기내의 하단에 소용량 구성 뱅크(13) No.1 상단에 소용량 구성 뱅크(13) No. 2의 각 500 kW를 수납한다(도 7 참조). 다른 1기의 종형의 직각형 통박스(12)내에는 고압 뱅크(HB) No. 3의 500 kW와 저압 뱅크(LB) No. 4,5,6,7의 250kW ; 125kW ; 62.5kW ; 62.5 kW를 수납한다(도 8 참조).
[설치형]
상기 2기의 종형의 직각형 통박스(12)는 컨테이너 형상의 설치형 공간(36)내의 제어반 ; 계기판을 장착한 외단 벽면 측에 변압기(TR)나 개폐기(S1~S7)군을 장착설치하고 또한 개폐 도어(37)를 설치한 기계실(38)에 구분벽(39)을 개재하여 인접하고 각 종형의 직각형 통박스(12)의 방열 배풍구(12d)와 송풍기(24)에 각각 대응하는 천장 벽면 부위와 양측 벽면 부위에 각각 배기구(36a)와 개폐 자유로운 공기 투입구(36b)를 설치한 부하실(40)에 수용 장착가설된다.
[차량탑재형]
2기의 종형의 직각형 통박스(12)는 화물 트럭(41)의 화물받이(41a)상에 걸쳐 설치한 전천후형 밀개컨테이너(42)내의 앞측으로부터 제어반 ; 계기판 ; 개폐 도어(43)를 설치한 제어실(44)의 구분벽(45)에 이어 설치한 변압기(TR)나 개폐기 (S1~S7)군을 장착설치하고 또한 개폐 도어(46)를 설치한 기계실(47)에 구분벽(48)을 개재하여 인접하고 각 종형의 직각형 통박스(12)의 방열배풍구(12d)와 송풍기(24)에 각각 대응 대향하는 천장 벽면 부위와 양측 벽면 부위의 각각 배기구(42a)와 개폐 자유로운 공기 투입구(42b)를 설치한 부하실(49)에 수용 장착가설된다.
<횡형직각형 통박스>
[설치형]
도 11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설치형 공간(50)내의 일단 측에 상단에 제어반 ; 계기판을 또한 하단에 변압기(TR)나 개폐기(S1~Sn, n은 자연수)나 개폐 도어를 각각 장착설치 하여 설치한 상하단 각 실(51,52)에 구분벽(53)을 개재하여 인접 하고 횡형의 직각형 통박스(12)의 방열배풍구(12d)와 송풍기(24)에 각각 대응 대향하는 타 단측의 개구(50a) 벽면 전체와 양측 벽면 부위에 각각 미늘창 형상의 배기구(54)와 개폐 자유로운 공기 투입구(50b)를 설치한 부하실(55)에 횡형의 직각형 통박스(12)가 1기 수용 장착가설된다.
[차량탑재형]
도시하지 않지만 소형 화물 트럭의 화물받이상에 걸쳐서 설치한 도 1Oa,b 및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전천후형 밀폐 컨테이너내의 앞측으로부터 제어반 ; 계기판 ; 개폐 도어를 설치한 제어실에 이어 설치한 변압기(TR)나 개폐기(S1~Sn)군을 장착설치하고 또한 개폐 도어를 설치한 기계실에 구분벽을 개재하여 인접하고 횡형의 직각형 통박스(12)의 방열배풍구와 송풍기(24)에 각각 대응 대향하는 후측의 개구 벽면 전체와 양측 벽면 부위에 각각 미늘창 형상의 배기구와 개폐 자유로운 공기 투입구를 설치한 부하실에 횡형의 통박스(12)의 1기를 수용 장착가설된다.
(방법예 1)
상기 장치예 1에 적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방법예 1을 설명한다.
고압 발전 장치(G)의 소비 전력을 가감하기 위해 조밀조정에는 고압 뱅크(HB)를 이용해 미조정에는 변압기(TR)를 개재시킨 저압 뱅크(LB)를 이용한다. 즉 고압 발전 장치(G)로부터 받아들이는 전력은 주개폐기(CB)를 거쳐 고압용의 개폐기 (S1~S4)로 고압 뱅크(HB)의 전원을 하고 고압용의 개폐기(S1~S4)에 병렬 접속한 변압기(TR)의 2차측 출력의 저압용의 개폐기(S5~S7)는 저압 뱅크(LB)의 전원을 한다.
본 방법예는 상기 구조를 가지는 저항체 소자(1)군과 각자 고립화 한 단독 중성점(N1)을 가지는 Y결선 한 3상저항체 회로(αa)군을 가지는 소용량 고압 저항 회로(βa)에 있어서 저항체 소자(1)의 1개가 단선해도 그 전기적 악영향은 단독 중성점(N1)정지가 되어 소속하는 3상저항체 회로(αa)내에 다른 인접하는 3상저항체 회로(αa)에 미치는 연쇄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어느 3상저항체 회로(αa)의 저항체 소자(1)가 만일 아크 방전이나 자연 열화에 의해 단선해도 방전 내성을 가지는 구조도 서로보완하여 3상저항체 회로(αa)내의 저항체열상(10)간의 저항체 소자(1)동지의 아크 방전도 억제되고 또한 고립화 한 단독 중성점(N1)의 덕분으로 병렬하는 다른 3상저항체 회로(αa)의 저항체 소자(1)와의 아크 방전도 억제되어 다른 3상저항체 회로(αa)에 연쇄 단선이 미치는 경우도 없고 안전하여 안정된 운전 제어가 확보되고 신뢰성이 높은 부하 시험이 보증된다.
저항체 소자(1)의 채용과 함께 소용량고·저압 저항 회로(βa,βb)의 컴팩트화도 서로 보완하여 2기의 종형의 직각형 통박스(12)내에 고압 뱅크(HB)와 저압 뱅크(LB) 전체를 수용 가능해져 송풍기(24)도 2대로 끝나게 되어 대폭적인 이니셜 페이먼트와 런닝 코스트를 저감하는 경제성이 풍부하고 설치형에서는 설치 면적과 용적이 종래의 1/3 차량탑재형에서는 차전차량의 소형화에 의해 현장까지의 통행 도로의 도폭에 제약을 받지 않아 기동성이 높다.
(장치예 2)
상기 저항체 소자(1)를 사용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장치예 2 를 도면에 도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직각형 통박스의 양측 배열판에 저항체 소자군의 양단을 관통하여 걸쳐 놓은 고압 저항 장치의 일부 파단 투시도 ; 도 13은 Δ결선의 배열판에 양단을 관통하여 걸쳐 놓은 상기 저항체 소자의 직렬 접속에 의한 저항체열상의 중앙 종단면도 ; 도 14는 3상의 저항체열상을 결선점연결 부재로 Δ결선 한 3상저항체 회로의 종 병렬 상태설명도이다.
본 장치예와 상기 장치예 1과의 차이는 R ; S ; T의 저항체열상(10)의 1번(#1)이 개방한 접속용 단자(7)와 대응하는 R ; S; T의 전력 케이블 각 배전지선(33')과 접속선(34)으로 결선함과 동시에 16번(#16)이 개방한 접속용 단자(7)는 접속된 또 한쪽의 전력 케이블의 각 배전 지선(33'')의 S ; T ; R에 결선점(N2) 연결 부재(56)로 결선 함으로써 3상저항체 회로(αb)를 형성한다.
그 때 예를 들면 412.5V ; 1.74 kW의 저항체 소자(1)를 16개 직렬 접속한 저항체열상(10)을 종 3 행열 단위로 Δ로 결선 해 예를 들면 용량 83.52 kW의 3상저항체 회로(αb)로 하고 3상저항체 회로(αb)를 3조 병렬해 예를 들면 250 kW소용량 구성 뱅크 1개 6조 병렬하고 예를 들면 500 kW소용량 구성 뱅크 3개의 각각 소용량 고압 저항 회로(βa)를 조성함으로써 고압 뱅크(HB)를 구성하여 저압 뱅크(LB)와 처음의 3상의 배전지선(33')과 3상의 배전 지선(33'') 사이에 병렬 도결접속하여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회로(ε)를 계통 장비 한 본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δ)를 구하는점 이외는 동일하게 구축된다.
또 저압 뱅크(LB)도 3상저항체 회로(αb)를 복수조병렬 접속하여 형성한 소 용량 저압 저항 회로(βb)를 각각 예를 들면 62.5 kW소용량 구성 뱅크(13) 또는 125 kW소용량 구성 뱅크(13)로 하여 2개의 62.5 kW소용량 구성 뱅크(13) No. 6~7과 1개의 125 kW소용량 구성 뱅크(13) No. 5를 병렬 구성하는 것도 상기 [설치형] 및 [차량탑재형]의 설치나 화물받이 탑재 구성도 동일하다.
(방법예 2)
상기 장치예 2에 적용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방법예 2를 설명한다.
본 방법예는 운전 조작도 상기 방법예 1과 같아 상기 특수 구조를 가지는 저항체 소자(1)군과 Δ결선 한 3상저항체 회로(αb)군을 가지는 소용량 고압 저항 회로(βa)에 있어서 저항체 소자(1)의 1개가 단선해도 그 전기적 악영향은 소속하는 3상저항체 회로(αb)내의 단선한 각 저항체열상(10)에 들어가고 다른 인접 병렬하는 저항체열상(10)이나 다른 3상저항체 회로(αb)에 미치는 결선점(N2)를 개재시키는 연쇄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어느 3상저항체 회로(αb)의 저항체 소자(1)가 만일 아크 방전이나 자연 열화에 의해 단선해도 방전 내성을 가지는 구조도 서로 보완하여 3상저항체 회로(αb)내의 저항체열상(10)간의 저항체 소자(1)동지의 아크 방전 단선도 억제되고 또한 다른 3상저항체 회로(αb)의 저항체 소자(1)와의 아크 방전도 억제되어 다른 3상저항체 회로(αb)에 연쇄 단선이 미치는 경우도 없고 안전하여 안정된 운전 제어가 확보되고 신뢰성이 높은 부하 시험이 보증된다.
(장치예 3)
본 장치예는 저압 뱅크(LB)의 소용량 저압 저항 회로(βb)를 병렬조 하는 3상저항체 회로(αb)에 Δ결선을 ; 고압 뱅크(HB)의 소용량 고압 저항 회로(βa)를 병렬조 하는 3상저항체 회로(αa)에 Y결선을 각각 조합 채용한다. 따라서 저압 뱅크(LB)에는 Δ결선으로 또한 고압 뱅크(HB)에는 Y결선으로 각각 상기 장치예 1의 고압 뱅크(HB)와 장치예 2의 저압 뱅크(LB) 에 적당한 구성을 채택한다.
(방법예 3)
상기 장치예 3에 적용하는 본 방법예는 저압 뱅크(LB)에는 상기 방법예 2의 저압 뱅크(LB)가 또는 고압 뱅크(HB)에는 상기 방법예 1의 고압 뱅크(HB)가 각각 대응 운전 제어된다.
이상 본 실시 형태 예의 대표적인 장치예 방법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상기 장치 예의 수단 및 상기 방법 예의 수법만으로 한정되는 것 만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해 전술의 효과를 가지는 범위내에 있어서 적당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 이다.
이상의 구성 채용에 의해 본 발명은 Y결선 한 3상저항체 회로의 저항체 소자 단선에 의해 불평형 전위가 된 각자 단독 중성점의 고립 분리 형태를 통해서는 병렬한 다른 3상저항체 회로의 단독 중성점으로부터의 상호 간섭에 의한 전기적 악영향을 미쳐지 않기 때문에 스스로 이런 종류의 연쇄 단선은 저지된다.
또 내절연성 내아크 방전성이 뛰어난 저항체 소자의 채용에 의해 동일 3상저항체 회로내에서의 병렬 저항체열상 상호의 저항체 소자동지의 아크 방전이나 병렬 하는 3상저항체 회로 상호의 저항체 소자동지의 아크 방전에 의한 연쇄 단선의 요인도 해소해 안정된 신뢰성 충실성의 높은 운전 조작과 가동을 확보 할 수 있다.
또한 단선한 저항체 소자는 고압 저항 장치의 배열판으로부터 스프링홈 부착 스냅 링을 제외하면 한개씩 발출하고 신규 저항체 소자와 교환 보수 가능하므로 현장에 있어서도 간단하고 행해지고 고압 저항 회로의 모든 단선 사고에도 대처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사용함에 관계하는 인출 핀이 없는 저항체 소자를 이용해 시험을 실시하면 고내압 절연 슬리브가 원통형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냉각 팬에 의한 통풍이 양호해 직각형 통박스내에 난류 교란류가 발생하지 않고 종래예에 비해 충분한 방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저항체 소자는 원통 형상이나 바람의 저항이 되지 않고 고압 저항 장치의 종형또는 횡형직각형 통박스의 최상부 또는 최후부까지 순조롭게 바람이 흐를 뿐더러 스파이럴형상의 인출 핀이 없기 때문에 위로부터 또는 나중에 직각형 통박스내의 전망도 뛰어나 스프링홈 부착 스냅 링을 제외하면 용이하게 각 저항체 소자는 직각형 통박스 밖으로 발출할 수 있으므로 가동 현장에서의 보수 점검 정비 보수에 지극히 매우 편리하다.
또 이것에 의해 직각형 통박스의 소형화가 증진 해 진동의 발생도 억제 당해 방진고무의 설치의 필요성은 없어져 섀시 그라운드형으로서 시험시의 위험성은 극도로 경감된다. 게다가 종래예의 인출 핀과 같은 돌기 형상의 예리한 주변 형상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절연 내력이 증가하고 절연 파괴의 위험성을 회피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저항체 소자에 외장 한 고내압 절연 슬리브로 지지물에 지지 설치하는 것으로 한층 더 절연 파괴를 저지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저항체 소자의 연쇄 단선과 아크 방전의 방지는 기재 그자체의 신뢰도를 높이는 것이지만 한편으로 작업자의 심적 부담을 경감하는 것을 최대의 효과로 이루어진다.
1기 또는 2기의 직각형 통박스에 고저압의 3상과 복수의 소용량 구성 뱅크를 수납할 수 있어 금속제의 배열판을 이용하는 특징은 이하의 부가 효과가 있다.
① 초기 고장은 지락(경고장)으로부터 시작되지만 금속제의 배열판은 용이하게 접지 하는 것이 가능하고 지락 계전기를 확실히 동작시켜 고장의 조기 검출과 해결에 의해 겹고장으로의 확대를 예방 할 수 있다.
② 인출 핀이 없는 저항체 소자의 인접 상하단 상호의 상호 배열은 저압에서는 냉각 효과가 향상지만 고압 회로로 배열 간격의 확대가 아크 방전의 방지 효과를 높인다.
③ 직각형 통박스와 송풍기의 수를 약 1/3으로 할 수 있어 소형 경량화되고 또한 단선한 저항체 소자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차량탑재형의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에서는 소형 경량화와 직각형 통박스를 절연 하는 애자와 방진고무가 불필요해지는 분이 직각형 통박스의 중심을 인하차량의 전도각을 크게 대전도각으로 할 수가 있다. 대전도각의 차량은 고속 주행에서의 선회와 험로에서의 전도 억제를 할 수 있고 높이도 내릴 수 있으므로 횡풍에 의한 좌우 흔들림도 적어진다.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운반은 때로는 편도 천 킬 로미터에 달해 운송 성능의 향상이 운전자의 심로 부담을 경감하는 효과가 얻을 수 있는 등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Claims (42)

  1. 변압기의 출력단에 분기 복수 병렬한 각 개폐기에 각각 저압 3상저항체 회로를 복수 병렬조 한 소용량 저압 저항 회로 뱅크의 복수로 구성하는 저압 뱅크와, 복수 병렬한 각 개폐기에 각각 고압 3상저항체 회로를 복수 병렬조 한 소용량 고압 저항 회로 뱅크의 복수로 구성하는 고압 뱅크를 주개폐기를 개재하여 고압 발전 장치에 병렬 접속한 고압 부하 시스템 회로를 가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압 3상 저항체 회로 및 상기 고압 3상 저항체 회로는, 금속제 원통형상의 외통과, 상기 금속제 원통형상 외통의 양단으로부터 내측으로 각각 삽입된 전극봉의 내측 단부에 상호 걸쳐서 설치한 나선 형상 저항 발열선과, 상기 전극봉 및 상기 나선 형상의 저항 발열선과 상기 금속제 원통형상 외통의 내벽면의 사이에 충전되어 인화되어버린 절연물과, 각종 지지물로 지지를 받는 상기 금속제 원통형상 외통의 양단 집합 부위에 발출이 자유롭게 끼워 삽입 고착한 고내압 절연 슬리브를 구비하는 저항체 소자를, 직렬로 복수 접속해서 각각 3상의 저항체열상을 형성하고, 상기 3상의 저항체열상의 종단끼리를 합상 집결하는 결선점 상호를 공통화하지 않고 고립화 단독 중성점으로 한 Y결선하거나 또는 상기 3상의 저항체열상 종단의 각각을 전력 케이블의 배전 지선의 동상으로 각 별개 결선하는 각 상마다 결선점으로 한 Δ결선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내압 절연 슬리브는,
    사용 전압에 따라 길이와 두께를 조정이 자유롭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내압 절연 슬리브는,
    교류 내전압 12 kV/mm1분간의 소재를 이용한 두께 3mm로 하면 36 kV/1분간에 가까운 절연 성능을 가지는 소결 세라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고내압 절연 슬리브는,
    두께를 3mm 전후간으로 하고 길이를 100 mm 전후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체열상의 결선은,
    Y 또는 Δ로 각각 결선 해 상기 고압 뱅크 각 소용량 구성 뱅크의 상기 고압 3상저항체 회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체열상의 결선은,
    Δ로 결선하여 저압 3상저항체 회로를 또한 Y로 결선하여 상기 고압 3상저항체 회로를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 뱅크와 상기 고압 뱅크는,
    송풍기를 부설한 2기의 종형직각형 통박스내에 전체의 상기 각 소용량 구성 뱅크의 전유 구역을 배분 구획하고 상기 각 구획내에 상기 각 소용량 구성 뱅크의 상기 저항체 소자군을 종 다행열을 이루어 양단을 관통하여 걸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 뱅크와 상기 고압 뱅크는,
    송풍기를 부설한 1기의 횡형직각형 통박스내에 상기 각 소용량 구성 뱅크의 전유 구역을 배분 구획해 상기 각 구획내에 상기 각 소용량 구성 뱅크의 상기 저항체 소자군을 횡 다단열을 이루어 양단을 관통하여 걸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종형직각형 통박스는
    직접 지락하여 섀시 그라운드형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횡형직각형 통박스는
    직접 지락하여 섀시 그라운드형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Y결선 고압 3상저항체 회로용 상기 저항체 소자는,
    381 V전후간, 1.67 kW전후간의 용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Δ결선 고압 소용량 3상저항체 회로용 상기 저항체 소자는,
    412.5 V전후간, 1.74 kW전후문의 용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Y결선하는 상기 고압 3상저항체 회로의 상기 저항체열상은,
    사용 전압 6600 V에 대해 상기 저항체 소자를 10개 직렬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Δ결선하는 상기 고압 3상저항체 회로의 상기 저항체열상은,
    사용 전압 6600 V에 대해 상기 저항체 소자를 16개 직렬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Y결선하는 고압 3상저항체 회로는,
    50.1 kW전후간의 용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Y결선하는 고압 3상저항체 회로는,
    50.1 kW전후간의 용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Δ결선하는 고압 3상저항체 회로는,
    83.52 kW 전후간의 용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Δ결선하는 고압 3상저항체 회로는,
    83.52 kW전후간의 용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1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뱅크는,
    상기 Y결선하는 고압 3상저항체 회로를 5조 또는 10조 병렬 접속하여 형성한 소용량 고압 저항 회로를 각각 250 kW 전후간 또는 500 kW 전후간의 소용량 구성 뱅크로 하여 상기 250 kW 전후간 소용량 구성 뱅크 1개와 상기 500 kW전후간 소용량 구성 뱅크 3개를 병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2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뱅크는,
    상기 Δ결선하는 고압 3상저항체 회로를 3조 또는 6조 병렬 접속하여 형성한 소용량 고압 저항 회로를 각각 250 kW 전후간 또는 500 kW 전후간의 소용량 구성 뱅크로 하여 상기 250 kW 전후간 소용량 구성 뱅크 1개와 상기 500 kW 전후간 소용량 구성 뱅크 3개를 병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2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뱅크는,
    상기 Δ결선 또는 Y결선하는 저압 3상저항체 회로를 복수조병렬 접속하여 형성한 소용량 저압 저항 회로를 각각 62.5 kW 전후간 또는 125 kW 전후간의 소용량 구성 뱅크로 하여 상기 62.5 kW 전후간의 소용량 구성 뱅크 2개와 상기 125 kW 전후간의 소용량 구성 뱅크 1개를 병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2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물은,
    하단에 냉각 송풍구를 또한 상단에 방열배풍구를 각각 개구한 섀시 그라운드형 직각형 통박스의 양측 배열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배열판은,
    상기 고내압 절연 슬리브가 발출자유롭게 관통삽입하는 크기의 원형 지지구를 종형직각형 통박스는 횡 각 단열 또는 횡형직각형 통박스는 종 각 행열배열 위치를 절반부씩 어긋나게 한 상하 또는 좌우 상호 어긋난 형상으로 복수 다단열 또는 복수 다행열로 관설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저항체 소자는,
    상기 종형 또는 횡형직각형 통박스의 양측 배열판에 개설하는 지지구에 상기 고내압 절연 슬리브를 관통하여 걸치고 상기 고내압 절연 슬리브에 외측 끼워 삽입한 스프링홈 부착지륜에 발출이 자유롭게 상기 지지구에 고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2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부하 시스템 회로는,
    상기 주개폐기를 안에 끼워 상기 고압 발전 장치측 상기 전력 케이블에 전압계를 또한 다른 한쪽측의 상기 뱅크측 상기 전력 케이블에 과전류 계전기를 개재하여 전류계를 상호 병렬로 접속하는 한편 상기 전압계와 상기 전류계에 걸쳐서 전력계를 도결하고 다른쪽 상기 발전 장치와 전압계간의 상기 전력 케이블에 지락 계전기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26.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2기의 종형직각형 통박스는,
    설치형공간내의 제어반이나 계기판을 장착한 1단 외벽면 측에 변압기나 개폐기군을 장착설치하고 또한 개폐 도어를 설치한 계기실에 구분벽을 개재하여 인접하고,
    상기 각 종형직각형 통박스의 방열배풍구와 송풍기에 각각 대응 대향하는 천장 벽면 부위와 양측 벽면 부위에 각각 배기구와 개폐 자유로운 공기 투입구를 설치한 부하실에 수용 장착가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27.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1기의 횡형직각형 통박스는
    설치형공간내의 일단 측에 상단에 제어반이나 계기판을 또한 하단에 변압기 나 개폐기군을 각각 장착하여 설치한 상하단 각 실에 구분벽을 개재하여 인접하고,
    상기 횡형직각형 통박스의 방열배풍구와 송풍기에 각각 대응 대향하는 타단측 개구 벽면 전체와 양측 벽면 부위에 각각 미늘창 형상 배기구와 공기 투입구를 설치한 부하실에 수용 장착가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2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2기의 종형직각형 통박스는,
    화물 트럭 화물받이상에 걸쳐서 설치한 전천후형 밀폐 컨테이너내의 앞측으로부터 제어반 ; 계기판 ; 개폐 도어를 설치한 제어실의 구분벽에 이어 설치한 변압기 ; 개폐기군을 장착 설치하고 또한 개폐 도어를 설치한 기계실에 구분벽을 개재하여 인접하고 상기 각 종형직각형 통박스의 방열배풍구와 송풍기에 각각 대응 대향하는 천장 벽면 부위와 양측 벽면 부위에 각각 배기구와 개폐 자유로운 공기 투입구를 설치한 부하실에 수용 장착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2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1기의 횡형직각형 통박스는,
    소형 화물 트럭 화물받이상에 걸쳐서 설치한 전천후식 소형 밀폐 컨테이너내의 앞측으로부터 제어반 ; 계기판 ; 개폐 도어 ; 변압기 ; 개폐기군을 장착설치하고 또한 개폐 도어를 설치한 제어실에 구분벽을 개재하여 인접하고 상기 횡형직각형 통박스의 방열배풍구와 송풍기에 각각 대응 대향하는 후측 개구 벽면 전체와 양측 벽면 부위에 각각 미늘창 형상 배기구와 개폐 자유로운 공기 도입구를 설치한 부하실에 수용 장착가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 템 장치.
  30. 변압기의 출력단에 분기 복수 병렬한 각 개폐기에 각각 병렬 접속하는 저압 3상저항체 회로를 복수 병렬조 한 소용량 저압 저항 회로 뱅크의 복수로 구성한 저압 뱅크와, 복수 병렬한 각 개폐기에 각각 병렬 접속하는 고압 3상저항체 회로의 복수 병렬조 한 소용량 고압 저항 회로 뱅크의 복수로 구성한 고압 뱅크를 주개폐기를 개재하여 고압 발전 장치에 병렬 접속한 고압 부하 시스템 회로를 가지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에 있어서,
    금속제 원통형상의 외통과, 상기 금속제 원통형상 외통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내측으로 삽입된 전극봉의 내단 상호간에 걸쳐서 설치한 나선 형상 저항 발열선과, 상기 나선 형상의 저항 발열선과 상기 금속제 원통형상 외통의 내벽면의 사이에 충전되어 인화되어버린 절연물과, 각종 지지물로 지지를 받는 상기 금속제 원통형상 외통의 양단 집합 부위에 발출이 자유롭게 끼워 삽입 고착한 고내압 절연 슬리브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지지물에 상기 고내압 절연 슬리브를 발출이 자유롭게 끼워 삽입 고착하는 저항체 소자를, 직렬로 복수 접속하여 각각 3상의 저항체열상을 형성하고, 상기 3상의 저항체열상의 종단끼리를 합상 집결하는 결선점 상호를 공통화하지 않고 고립화 단독 중성점으로 한 Y결선하거나 또는 상기 3상의 저항체열상 종단의 각각을 전력 케이블 배전 지선의 동상으로 각 별개 결선하는 각 상마다 결선점으로 한 Δ결선하는 상기 저압 3상저항체 회로 및 상기 고압 3상저항체 회로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저항체 소자와 상기 지지물간이나 병행하는 저항체 소자간 상호의 아크 방전 및 상기 결선점을 개재하는 연쇄 단선을 각각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
  31.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고내압 절연 슬리브는,
    사용 전압에 따라 길이와 두께를 조정이 자유롭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고내압 절연 슬리브는,
    교류내전압 12 kV/mm1 분간의 소재를 이용한 두께 3 mm로 하면 36 kV/1분간에 가까운 절연 성능을 가지는 소결 세라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
  33. 청구항 31 또는 32에 있어서,
    상기 고내압 절연 슬리브는,
    두께를 3 mm 전후간으로 하고 길이를 100 mm 전후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
  34. 청구항 30 내지 청구항 3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물은,
    직각형 통박스의 양측 배열판으로서 등간격 병행에 종 다행열 또는 횡 다단열에 인접열끼리가 어긋난 형상이 되도록 상기 저항체 소자군의 양단부를 관통하여 걸쳐 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
  35. 청구항 30 내지 청구항 3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Y결선 고압 3상저항체 회로는,
    381 V 전후간, 1.67 kW 전후간의 용량을 가지는 상기 저항체 소자를 이용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
  36. 청구항 30 내지 청구항 3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Δ결선 고압 3상저항체 회로는,
    412.5 V 전후간, 1.74 kW 전후간의 용량을 가지는 상기 저항체 소자를 이용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
  37. 청구항 30 내지 청구항 3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Y결선하는 상기 고압 3상저항체 회로의 상기 저항체열상은,
    사용 전압 6600 V에 대해 상기 고압 저항체 소자를 10개 직렬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
  38. 청구항 30 내지 청구항 3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Δ결선하는 상기 고압 3상저항체 회로의 각 저항체열상은,
    사용 전압 6600 V에 대해 상기 고압 저항체 소자를 16개 직렬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
  39.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Y결선하는 고압 3상저항체 회로는,
    50.1 kW 전후간의 용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
  40.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Y결선하는 고압 3상저항체 회로는,
    50.1 kW 전후간의 용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
  41.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Δ결선하는 고압 3상저항체 회로는,
    83.52 kW 전후간의 용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
  42.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Δ결선하는 고압 3상저항체 회로는,
    83.52 kW 전후간의 용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의 연쇄 단선·아크 방전 방지 방법.
KR1020047021537A 2003-07-08 2004-04-09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및 동장치의 연쇄 단선 아크방전 방지 방법 KR1007237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93358A JP3853307B2 (ja) 2003-07-08 2003-07-08 乾式高圧負荷システム装置及び同装置の連鎖断線・アーク放電防止方法
JPJP-P-2003-00193358 2003-07-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457A KR20050065457A (ko) 2005-06-29
KR100723736B1 true KR100723736B1 (ko) 2007-05-30

Family

ID=33562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1537A KR100723736B1 (ko) 2003-07-08 2004-04-09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및 동장치의 연쇄 단선 아크방전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7535126B2 (ko)
EP (1) EP1662263B1 (ko)
JP (1) JP3853307B2 (ko)
KR (1) KR100723736B1 (ko)
CN (1) CN100449324C (ko)
AT (1) ATE398289T1 (ko)
AU (1) AU2004254316B2 (ko)
CA (1) CA2488518C (ko)
DE (1) DE602004014389D1 (ko)
TW (1) TWI244555B (ko)
WO (1) WO20050037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3307B2 (ja) * 2003-07-08 2006-12-06 株式会社興研 乾式高圧負荷システム装置及び同装置の連鎖断線・アーク放電防止方法
JP4385007B2 (ja) 2005-06-08 2009-12-16 株式会社興研 高圧負荷演算制御方法及び装置
CN102736028B (zh) * 2012-05-31 2014-09-24 华北电力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移动式风电机组高低电压穿越测试装置
JP5889216B2 (ja) * 2013-01-18 2016-03-22 赤司電機株式会社 高電圧発電機負荷試験装置
KR101413141B1 (ko) * 2013-01-21 2014-07-01 가부시키가이샤다쓰미료키 부하시험기
US9070503B2 (en) * 2013-09-25 2015-06-30 Shun-Fu Technology Corp. Dry type economizer
TWI658280B (zh) * 2014-02-24 2019-05-01 日商辰巳菱機股份有限公司 負載測試機
KR101702424B1 (ko) * 2014-02-24 2017-02-03 가부시키가이샤다쓰미료키 부하 시험기 및 부하 시험기의 접속 절환부
SG11201604709SA (en) * 2014-02-24 2016-07-28 Tatsumi Ryoki Co Ltd Load testing apparatus
DE102015207484B4 (de) * 2015-04-23 2022-11-03 Carl Zeiss Microscopy Gmbh Hochspannungsversorgungseinheit und Schaltungsanordnung zur Erzeugung einer Hochspannung für ein Teilchenstrahlgerät sowie Teilchenstrahlgerät
WO2017017967A1 (ja) * 2015-07-29 2017-02-02 京セラ株式会社 検出装置、撮像装置、車両および検出方法
CN105489327A (zh) * 2015-12-30 2016-04-13 丹东科亮电子有限公司 一种大功率、大电流、小体积复合型负载
CN107086095B (zh) * 2017-06-22 2023-05-16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三研究所 一种电阻负载导流罩
CN108414811B (zh) * 2018-04-17 2023-11-10 东莞市慧眼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超高压信号隔离装置
US11800672B2 (en) * 2018-08-17 2023-10-24 Ls Electric Co., Ltd. Tower-shaped support device
CN109378177A (zh) * 2018-12-06 2019-02-22 四川星脉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油浸式变压器
JP7445275B2 (ja) * 2019-04-05 2024-03-07 有限会社テン・ワーク 負荷試験装置
US11231171B2 (en) 2019-04-26 2022-01-25 Van Straten Enterprises, Inc. Heater and electromagnetic illuminator heater
CN110208720A (zh) * 2019-06-26 2019-09-06 深圳市鼎泰佳创科技有限公司 电源的老化测试系统及方法
US20240044983A1 (en) * 2021-01-25 2024-02-08 Tatsumi Ryoki Co., Ltd Load testing device
CN112996350A (zh) * 2021-02-05 2021-06-18 方玄 一种具备高散热性的运动控制器
CN113281588B (zh) * 2021-04-28 2022-04-08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摆动喷雾冷却实验装置
JP7490292B1 (ja) 2023-02-02 2024-05-27 株式会社辰巳菱機 負荷試験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7523A (ja) * 1987-07-09 1990-02-16 Paul G Eidsmore 流量インジケータ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8952A (en) * 1969-06-05 1971-05-18 Escoa Fintube Corp Tubular electrical heating element with a segmented helical fin
GB1514789A (en) * 1975-12-16 1978-06-21 Liquifry Co Ltd Electrical heater
JPS57183701A (en) 1981-05-01 1982-11-12 Nippon Oil Co Ltd Novel adhesive composition for capturing small organism
JPH0128641Y2 (ko) * 1981-05-18 1989-08-31
US4977513A (en) * 1984-08-20 1990-12-11 Power Solutions, Inc. Circuit breaker current monitoring
US4621251A (en) * 1985-03-28 1986-11-04 North American Philips Corp. Electric resistance heater assembly
JPS6474569A (en) 1987-09-16 1989-03-20 Ricoh Kk Developing device for electrostatic latent image
JPH0619098Y2 (ja) * 1987-11-09 1994-05-18 大明電話工業株式会社 通信電源試験用疑似負荷装置
US5281908A (en) * 1992-03-10 1994-01-25 Tatsumi Corporation Loading device assembly
US5424588A (en) * 1992-04-07 1995-06-13 Cantor; Thomas L. Self-contained, portable compact load bank and testing method; compact load bank with improved power handling capability
JP2994144B2 (ja) * 1992-07-21 1999-12-27 株式会社辰巳菱機 切り替え型負荷器セット
JP3155407B2 (ja) 1993-07-28 2001-04-09 株式会社辰巳菱機 自家用発電機の切り替え型試験装置
CH690603A5 (it) * 1995-04-28 2000-10-31 Giancarlo Borsetto Dispositivo di connessione per lo smistamento di segnali elettrici.
JPH0915308A (ja) 1995-06-30 1997-01-17 Tatsumi Riyouki:Kk 負荷抵抗器用抵抗体
JP3718874B2 (ja) * 1995-06-30 2005-11-24 株式会社辰巳菱機 発電機通電試験用負荷抵抗器
JP3718875B2 (ja) 1995-06-30 2005-11-24 株式会社辰巳菱機 発電機通電試験用簡易型負荷抵抗器
JP3331930B2 (ja) * 1997-11-26 2002-10-07 船井電機株式会社 触媒等の被覆層を形成した発熱体の製造方法とこの発熱体を用いた電子式集塵器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4073550B2 (ja) * 1998-07-06 2008-04-09 株式会社辰巳菱機 発電機通電試験用負荷抵抗器
US6078171A (en) * 1998-08-21 2000-06-20 Tatsumi Corporation Dry type load resistor for testing generators or the like
ES2273712T3 (es) * 1999-12-02 2007-05-16 Tatsumi Corporation Aparato para prueba de carga de fuerza refrigerado por aire.
JP2001250646A (ja) * 2000-03-02 2001-09-14 Yazaki Corp アーク放電防止コネクタ及びアーク放電防止回路
JPWO2003017726A1 (ja) * 2001-08-13 2004-12-09 三洋熱工業株式会社 ヒータ
US6774509B2 (en) * 2002-01-30 2004-08-10 Defond Manufacturing Limited Electrical switch assembly
CA2488822C (en) * 2003-06-03 2008-05-20 Kouken Company, Limited High-voltage resistor element
JP3853307B2 (ja) * 2003-07-08 2006-12-06 株式会社興研 乾式高圧負荷システム装置及び同装置の連鎖断線・アーク放電防止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7523A (ja) * 1987-07-09 1990-02-16 Paul G Eidsmore 流量インジケータ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공개특허 특1992-7000487
국내 등록실용 0247523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44555B (en) 2005-12-01
ATE398289T1 (de) 2008-07-15
CA2488518A1 (en) 2005-01-08
CA2488518C (en) 2011-04-26
US7847439B2 (en) 2010-12-07
US7535126B2 (en) 2009-05-19
US20050231868A1 (en) 2005-10-20
US20100039212A1 (en) 2010-02-18
US20090289656A1 (en) 2009-11-26
KR20050065457A (ko) 2005-06-29
JP2005033863A (ja) 2005-02-03
CN100449324C (zh) 2009-01-07
EP1662263A1 (en) 2006-05-31
EP1662263A4 (en) 2006-08-16
JP3853307B2 (ja) 2006-12-06
TW200504379A (en) 2005-02-01
CN1697977A (zh) 2005-11-16
WO2005003796A1 (ja) 2005-01-13
AU2004254316B2 (en) 2007-05-17
DE602004014389D1 (de) 2008-07-24
AU2004254316A1 (en) 2005-01-13
US7884505B2 (en) 2011-02-08
EP1662263B1 (en) 200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3736B1 (ko) 건식 고압 부하 시스템 장치 및 동장치의 연쇄 단선 아크방전 방지 방법
US8482903B2 (en) Front accessible switchgear assembly
BRPI0915363B1 (pt) arranjo de teste para teste de tensão de impulso de componentes elétricos de alta tensão
EP2784527B1 (en) Load testing device
US11637414B2 (en) Three phase switchgear using single phase equipment in single casing
EP2405546B1 (en) Electrical switchgear
US20140118907A1 (en) Dielectric Insulated Capacitor Bank
KR20130115299A (ko)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용 스위치 패널 및 상기 스위치 패널을 구성하는 방법
US20210288475A1 (en) Front connected switchgear assembly having an integrated arc flash venting system
JP3808225B2 (ja) 変電設備ユニット
US6469270B1 (en) Gas insulated switchgear
JPH08340610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101173034B1 (ko) 고압전력용 일체형 수배전반
US7692113B2 (en) Switch assembly
US843266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witchgear panel
JP3653520B2 (ja) 乾式高圧抵抗装置及び同装置連鎖断線防止方法
ES2615103T3 (es) Sistema de distribución de energía con zonas funcionales que se pueden aislar individualmente
KR102164799B1 (ko) 다단 배전반의 열 배출 및 방진 시스템
KR101854149B1 (ko) 일체형 특고압 수전설비
US11657988B2 (en) Switchgear having a mounting base with an internal arc pathway
CN105305288A (zh) 具有分成封闭间隔的金属铠装配电装置
JPH0923518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SCHUBERT et al. Special Requirements on Surge Arrester Design for UHV AC Systems above 800 kV System Voltage R. GÖHLER, K.-H. WECK V. HINRICHSEN M. CLEMENS
JP2005011988A (ja) 乾式高圧抵抗装置及び同装置アーク放電防止方法
JPH03178511A (ja) 集合形変電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