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5299A -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용 스위치 패널 및 상기 스위치 패널을 구성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용 스위치 패널 및 상기 스위치 패널을 구성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5299A
KR20130115299A KR1020137015473A KR20137015473A KR20130115299A KR 20130115299 A KR20130115299 A KR 20130115299A KR 1020137015473 A KR1020137015473 A KR 1020137015473A KR 20137015473 A KR20137015473 A KR 20137015473A KR 20130115299 A KR20130115299 A KR 20130115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bar
switch
current
conductor section
b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5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발터 홀라우스
알렉산더 트뢰거
토비아스 하스
디터 퓌흐슬레
Original Assignee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filed Critical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Publication of KR20130115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2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2Layouts for duplicate bus-bar sel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5/00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 H02B5/06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gas-insul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5Switch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용 스위치 패널 (1) 은, 제 1, 제 2 및 제 3 전류 상을 위한 각각의 가스 절연 회로 차단기 (112, 212, 312) 를 포함하고, 회로 차단기는 x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각각의 경우에 제 1, 제 2 및 제 3 전류 상을 위한 하나의 스위치 단로기 (152, 252, 352) 를 포함하고, 스위치 단로기는 각각의 경우에 격리 간극 (154, 254, 354) 을 가지고, 격리 간극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제 1 전류 상의 제 1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및 제 2 전류 상의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 (274) 을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274) 은 x 방향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y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그리고 제 3 전류 상의 제 3 버스바 상 도체 섹션 (374) 을 연결하기 위한 버스바 연결부 (359)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용 스위치 패널 및 상기 스위치 패널을 구성하는 방법{SWITCH PANEL FOR HIGH-VOLTAGE SWITCHGEAR ASSEMBLY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ID SWITCH PANEL}
본 발명의 양태는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용, 특히 버스바 (busbar) 를 가지는 개폐기 조립체용 스위치 베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스위치 베이는 회로 차단기, 스위치 단로기 및 버스바 상 도체 (busbar phase conductor) 섹션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는 이와 같은 스위치 베이를 가지는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 및 고전압 설비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폐기 조립체는, 발전소로부터 최종 사용자로 전력을 운반하는 전력 시스템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개폐기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버스바와 스위치 베이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전력 시스템의 인입 라인 및 인출 라인, 예를 들어 크로스컨트리 라인을 스위칭가능하게 (switchably) 버스바에 결합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버스바를 스위칭가능하게 서로 결합하는데 사용된다.
개폐기 조립체는 스위칭될 다른 전압으로 세분된다. 이 경우에,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는 적어도 300 ㎸, 특히 적어도 420 ㎸ 의 정격 전압을 가지는 개폐기 조립체로 간주된다. 가스 절연 개폐기 조립체가 고전압 및 중전압에 자주 사용되는데, 여기에서 도체는 SF6 과 같은 불활성 가스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이 목적으로, 전기 부품은 불활성 가스를 위한 가스 영역을 규정하는 기밀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캡슐화).
전기 부품의 캡슐화에 기초하여,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는 2 가지 다른 유형으로 세분될 수 있는데: 한편으로 3 상 캡슐화 버스바를 가지는 한 가지 유형, 다시 말해서 모든 3 가지 전류 상을 위한 상 도체가 공통 캡슐화 가스 영역 내에 수용되는 유형, 및 다른 한편으로 단상 캡슐화 버스바를 가지는 유형, 다시 말해서 버스바의 개별 상 도체, 발생하는 일반적으로 3 가지 전류 상 각각을 위한 도체가 적어도 여러 군데에서 개별 캡슐화를 가져서, 하우징 섹션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유형.
개폐기 조립체의 각 유형 (3 상 또는 단상 캡슐화) 의 선택은 스위칭될 정격 전압에 의해 주로 미리 결정된다: 예를 들어, 단상 캡슐화 버스바를 가지는 개폐기 조립체는 대개 적어도 300 ㎸, 특히 적어도 420 ㎸의 정격 전압에 대개 사용되고: 단상 캡슐화는 발생하는 고전압의 매우 효과적인 차폐를 허용한다. 하지만, 버스바의 각각의 상 도체에 전용 하우징이 제공되어야 하므로, 단상 캡슐화 개폐기 조립체의 설계는 복잡하고 공간 소비적이다. 이 하우징은 또한 접지된 하우징 부분으로부터 도체의 충분한 분리를 허용하여서, 절연파괴 (electrical breakdown) 의 위험을 충분히 감소시키도록 특정 체적을 가져야 한다 .
특히 신흥 경제 지역에서 에너지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므로, 이 수요를 빠르게 충족시키기 위해서, 가능한 한 짧은 시간에 개폐기 조립체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특히 단상 캡슐화 버스바를 가지는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의 경우에, 이것은 어려운데 왜냐하면 이와 같은 개폐기 조립체는 전술한 대로 다수의 개별 부분으로 조립되어야 하고 그 후 종합적인 기능성 테스트를 받아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시간 소비적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단일 캡슐화 버스바를 가지는 이와 같은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는 또한 비교적 공간 소비적 구성을 가지고, 이용가능한 공간이 제한된 영역에서, 예를 들어 인구 밀집 지역 부근에서 가능한 한 많이 이런 공간 요구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끝으로, 개폐기 조립체에 가장 중요한 요건은 작동 안전성이고, 이것에 대해 어떤 것도 절충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배경기술에 대해 청구항 1 에 따른 스위치 베이, 청구항 18 에 따른 개폐기 조립체 및 청구항 19 에 따른 방법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추가 세부, 특징 및 유리한 개선은 종속항, 도면 및 그것의 상세한 설명에 나온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스위치 베이가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에 제공된다. 스위치 베이는, 각각의 경우에 제 1, 제 2 및 제 3 전류 상을 위한 하나의 버스바 상 도체를 가지는 버스바를 가진다. 스위치 베이는 각각의 경우에 제 1, 제 2 및 제 3 전류 상을 위한 가스 절연 회로 차단기를 포함하는데, 회로 차단기는 x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또한, 스위치 베이는 각각의 경우에 제 1, 제 2 및 제 3 전류 상을 위한 스위치 단로기를 포함하는데, 스위치 단로기는 각각 격리 간극을 가지고, 격리 간극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또한, 스위치 베이는 제 1 전류 상의 제 1 버스바 상 도체 섹션 및 제 2 전류 상의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을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은, x 방향에 대해 횡단하여 뻗어 있는, y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또한, 스위치 베이는 제 3 전류 상의 제 3 버스바 상 도체 섹션의 연결을 위한 버스바 연결부를 포함하는데, 제 1 및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 및 버스바 연결부는 각각의 전류 상의 스위치 단로기를 통하여 각각의 전류 상의 회로 차단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은, x 방향과 y 방향으로 뻗어 있고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의 중심을 포함하는 평면으로서 경계 평면을 규정하고, 3 개의 격리 간극 각각은 3 개의 회로 차단기를 향하는 경계 평면의 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의 설치를 위한 방법이 제안된다. 이 경우에, 설치 활동은 예를 들어 이와 같은 개폐기 조립체의 생산, 장비 설치 (equipment) 및/또는 수리를 또한 포함한다. 본 방법은,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를 위한 설치 장소로부터 물리적으로 멀리서 표준 운반 컨테이너에, 예비조립된 스위치 베이, 특히 본원에 기술한 임의의 스위치 베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고, 스위치 베이는 제 1 전류 상의 제 1 버스바 상 도체 섹션 및 제 2 전류 상의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을 가진다. 운반 상태에서, 스위치 베이, 특히 제 1 및 제 2 의 전류 상을 위한 버스바 상 도체 섹션 및 스위치 베이의 제 3 전류 상을 위한 버스바 연결부는 따라서 운반 컨테이너의 내부 높이 미만인 물리적 높이를 가진다. 또한, 본 방법은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를 위한 설치 장소까지 운반 컨테이너로 스위치 베이의 수송을 포함한다. 다수의 실시형태에서, 스위치 베이는 수송 중 불활성 가스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진다. 또한, 본 방법은 스위치 베이의 버스바 연결부로 제 3 전류 상의 제 3 버스바 상 도체 섹션의 연결을 포함하여서, 제 3 전류 상의 버스바 상 도체 섹션은 운반 컨테이너의 내부 높이보다 높은 물리적 높이를 가진다.
이 경우에, 2 개의 버스바 상 도체 섹션과 같은 수치상 세부사항은, 원칙적으로, 적어도 2 개의 버스바 상 도체 섹션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고; 따라서, 예를 들어, 2 개 초과의 버스바 상 도체 섹션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별 실시형태 및 일반적 유형의 유리한 양태는 도면을 참조로 다음 본문에 설명될 것이다. 이 경우에, 상이한 개별 특징들은 또한 생략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특징들과 조합될 수도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스위치 베이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a 내지 도 2c 는 도 1 에 나타낸 스위치 베이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 은 도 1 내지 도 2c 에 도시된 스위치 베이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스위치 베이 (1) 는 도 1 을 참조로 다음 본문에 설명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스위치 베이는, 스위치 베이가 적어도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회로 차단기, 하나의 스위치 단로기 및 하나의 버스바 상 도체 섹션 및/또는 예를 들어 3 개의 전류 상 각각을 위한 버스바 상 도체에 연결하기 위한 하나의 버스바 연결부를 포함하도록 규정된다. 스위치 베이는 아직 버스바에 연결될 필요는 없다.
도 1 에 도시된 스위치 베이 (1) 는 이중 버스바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이중 버스바는 각각 3 개의 상 도체를 가지는 제 1 버스바 및 제 2 버스바를 가진다. 이 상 도체는 3 상 전류의 각각의 전류 상을 지지하도록 설계된다. 스위치 베이 (1) 는 이 상 도체의 섹션을 포함하는데; 구체적으로 대응하는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274, 374) 을 가지는 각각의 버스바 모듈 (170, 270, 370) 이 제 1 버스바에 대해 도시된다. 대응하는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94, 294 (도 2b 참조), 394) 을 가지는 대응하는 버스바 모듈 (190, 290, 390) 이 마찬가지로 제 2 버스바에 대해 도시된다. 이 버스바 상 도체 섹션은 각각의 버스바 모듈에서 단상 캡슐화된다. 버스바 모듈 (190, 290, 390) 뿐만 아니라 버스바 모듈 (170, 270, 370) 은 각각의 버스바 상 도체의 추가 섹션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 (172, 272, 372, 192 (도 2a 참조), 292, 392) 를 가진다. 예로서, 다수의 이 연결부에 연결되는 버스바 상 도체의 추가 섹션이 도시되고: 예로서, 추가 상 도체를 가지는 모듈 (390') 은 버스바 모듈 (390) 의 연결부 (392) 에 연결된다. 모듈 (390') 은 결국 이와 같은 추가 모듈을 위한 추가 연결부 (392') 를 가진다.
스위치 베이 (1) 는 3 개의 전류 상 각각을 위한 대응하는 스위치 베이 부품 (100, 200 또는 300) 을 가지고, 이 스위치 베이 부품은 대응하는 전류 상의 버스바 상 도체에 결합될 수 있다. 스위치 베이 부품 (100, 200, 300) 은 이하 추가 설명되는 차이점 이외에는 서로 대체로 유사하다. 다음 본문에서는, 제 3 전류 상을 위한 스위치 베이 부품 (300) 이 먼저 설명될 것이다.
스위치 베이 부품 (300) 은, 회로 차단기가 배열된 회로 차단기 모듈 (310) 을 가진다. 또한, 회로 차단기 모듈 (310) 은 제 1 출구 (315) 및 제 2 출구를가지고, 여기에 연결편 (340) 이 연결된다. 2 개의 출구는 동일한 방향으로, 구체적으로 z 방향으로 향한다. 회로 차단기 모듈 (310) 은 스탠드 프레임 (318) 을 또한 가진다.
연결편 (340) 은 T자 형상이고 바닥 출구 (z 방향으로 향함) 및 2 개의 상호 대향한 측면 출구 (x 방향으로 향함) 를 가진다. 전술한 대로, 연결편 (340) 은 바닥 출구에 의하여 회로 차단기 모듈 (310) 의 대응하는 출구에 연결된다. 연결편 (340) 의 측면 출구 중 하나는 스위치 단로기 모듈 (350) 을 통하여 버스바 모듈 (370) 에 연결되고, 측면 출구 중 다른 하나는 스위치 단로기 모듈 (380) 을 통하여 버스바 모듈 (390) 에 연결된다. 회로 차단기 모듈 (310), 연결편 (340), 스위치 단로기 모듈 (350 또는 380) 및 각각의 버스바 모듈 (370 또는 390) 은 그것의 내부에 뻗어 있는 각각의 도체 섹션, 및 각각의 하우징 섹션을 가지는데, 각각의 하우징 섹션은 각각의 도체 섹션을 둘러싸는 유전체의 불활성 가스를 위한 각각의 가스 체적을 규정한다. 이 가스 체적은 본질적으로 폐쇄될 수 있고 또는 예를 들어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포스트형 절연체를 통하여 불활성 가스를 위한 인접한 모듈의 가스 체적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전류 상을 위한 2 개의 추가 스위치 베이 부품 (100, 200) 은 유사하게 설계되고, 전술한 설명이 또한 대응하여 그것에 적용된다. 3 개의 스위치 베이 부품 (100, 200, 300) 에 관한 추가 세부사항이 특히 도 2a 내지 도 2c 를 참조로 이하 추가 설명된다.
3 개의 회로 차단기 모듈 (110, 210, 310) 및 그 안에 제공된 회로 차단기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회로 차단기의 하나의 축선 (예를 들어 도 2a 에서 축선 (112a)) 으로서 x 방향을 규정한다. 회로 차단기 (110, 210, 310) 는 y 방향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어서, 회로 차단기 평면 (x-y 평면) 에 배열된다.
제 1 버스바의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274, 374) 은 또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그것이 배열되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y 방향을 규정한다. 본원에서 방향이라고 나타낸 것은 절대 위치를 나타낸 것이 아니고, 평행 이동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게다가, 제 2 버스바의 상 도체 섹션 (194, 294, 394) 은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y 방향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도 1 에 나타낸 스위치 베이 (1) 에서, x, y 및 z 방향은 서로 수직이므로 직교 좌표계 (Cartesian coordinate system) 를 형성한다. 하지만, 이것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변경된 실시형태에서, 이런 방향은 또한 서로에 대해 횡단할 수도 있고, 다시 말해서 평행하지 않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x, y 및 z 방향 중 적어도 2 개, 그리고 특히 모두 3 개가 서로 적어도 60°의 각도를 이루고, 그리고/또는 서로 수직이다.
도 2a 내지 도 2c 에서 보다 상세히 알 수 있는 것처럼,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94, 294, 394) 은 z 방향으로 상하 배열된다. 따라서, 버스바 상 도체 섹션, 더 정확히 말하면 그것의 중심 축선은 버스바 평면 (도 2b 에서 평면 (8a), 다시 말해서 y-z 평면) 에 배열된다. 하지만, 상 도체 섹션 (194, 294, 394) 의 다른 배열도 가능하다. 연결편 (140, 240, 340) 은 서로 동일하다.
도 2a 는, y 방향, 다시 말해서 제 1 상 도체 섹션 (174) 의 방향에 직각이고, 제 1 회로 차단기 모듈 (110) 의 중심을 통하여 뻗어 있는 단면 평면에서 스위치 베이 (1) 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제 1 스위치 베이 부품 (100) 은 도 2a 를 참조로 다음 본문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전술한 제 3 스위치 베이 부품 (300) 에 비슷하게, 제 1 스위치 베이 부품 (100) 은 또한 스탠드 프레임 (118) 을 구비한 회로 차단기 모듈 (110) 을 가진다. 스탠드 프레임 (118) 은 베이스 평면 (6) 을 규정하고, 스위치 베이 (1) 는 베이스 평면 (6) 위에 완전히 배열된다. 회로 차단기 모듈 (110) 은 회로 차단기 (112; 개략적으로 도시) 및 회로 차단기 하우징 (111) 을 가지는데, 이 하우징은 회로 차단기 (112) 의 기밀 캡슐화를 허용한다. 회로 차단기 (112) 는 격리 간극을 가진다. 본 문서에서, 격리 간극은, 스위치가 열렸을 때 스위치의 2 개의 단부 사이에 격리 간극을 형성하지만 스위치의 2 개의 단부 사이에 전기 연결부를 만들기 위해서 스위치를 닫음으로써 가동 스위칭 요소에 의해 브리지 (bridge) 될 수 있는 간극으로 규정된다. 회로 차단기 (112) 는 구동 모듈 (113) 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이 구동 모듈은 스위치를 열거나 닫기 위해서 가동 스위칭 요소를 움직일 수 있다. 회로 차단기 (112) 는, 예를 들어 회로 차단기의 가동 스위칭 요소의 이동 축선으로서 회로 차단기 축선 (112a) 을 규정한다. 이 회로 차단기 축선 (112a) 은 x 방향을 규정한다.
또한, 회로 차단기 모듈 (110) 은 격리 간극의 일측에 도체편 (114), 및 격리 간극의 타측에 추가 도체편 (116) 을 가진다. 도체편 (114) 은, 도체편 (114) 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치 베이 (1) 의 추가 모듈이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 (115) 로 이어진다. 이런 추가 모듈은, 예를 들어, 스위치 단로기 모듈, 접지 스위치 모듈, 변류기 모듈, 전압계 모듈, 제 2 버스바에 결합하기 위한 크로스베이 결합 모듈, (지면 하부 또는 지면 상부의) 외부 라인에 결합하기 위한 연결 모듈, 및/또는 이런 모듈들의 조합체일 수도 있다. 회로 차단기의 연결부 (115) 는 z 방향으로 향한다. 연결부 (115) 는 x-y 방향으로 놓여있는 연결 플랜지를 가진다. 회로 차단기 (112) 의 타측에 배열된 추가 도체편 (116) 은 연결부 (117) 로 이어지는데, 이것은 마찬가지로 z 방향으로 향하고 x-y 방향으로 뻗어 있는 연결 플랜지를 가진다. 도체편 (116) 은 절연체, 예를 들어 포스트형 또는 벌크헤드 (bulkhead) 절연체 (117a) 를 통과한다. 절연체 (117a) 는 연결부 (117) 와 동일한 평면 (x-y 평면) 에 배열된다.
연결편 (140) 은 회로 차단기 모듈 (110) 의 연결부 (117) 에 연결된다. 연결편 (140) 은 T자 형상이고, 회로 차단기 모듈 (110) 의 연결부 (117) 에 연결되는 바닥 출구 이외에 2 개의 상호 대향한 측면 출구 (148) 를 갖는다. 회로 차단기 모듈 (110) 의 도체 섹션 (116) 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체 섹션 (145) 을 갖는 전기 도체는 연결편 (140) 의 내부에 뻗어 있다. 도체편 (145) 은 노드점으로 이어지는데 이 노드점으로부터 추가 도체편 (146) 은 측면에서 연결편 (140) 의 측면 출구 (148) 로 이어진다. 따라서, 도체 섹션 (145, 146) 은 별 모양으로 노드점으로부터 각각의 측면 출구 (148) 및 바닥 출구로 연장된다. 연결편 (140) 은 또한 선택적 전압계를 가질 수도 있다.
측면 출구 (148) 는 z-y 평면에 뻗어 있는 플랜지 및 플랜지와 동일한 평면에 배열된 디스크형 절연체를 구비한다. 또한, 연결편 (140) 은 내부에 절연 가스를 유지하도록 그 내부를 기밀하게 폐쇄할 수 있는 하우징을 갖는다. 또한, T자형 연결편 (140) 은 선택적 변류기 (142) 를 가진다. 변류기 (142) 는 도체편 (145) 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 변류기 (142) 는 자기 유도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자기 코일을 포함한다. 변류기 (142) 는 하우징에 의해 규정된 가스 체적 외부에 배열될 수도 있다.
스위치 단로기 모듈 (150) 은 연결편 (140) 의 측면 출구 (148) 중 하나에 끼워진다. 스위치 단로기 모듈 (150) 의 하나의 입구 (158) 는, 구체적으로 측면 출구 (148) 에서 플랜지와 입구 (158) 에서 이것에 부합하는 플랜지 사이의 플랜지 연결부를 통하여 연결편 (140) 의 측면 출구 (148) 에 끼워진다. 스위치 단로기 모듈 (150) 은 격리 간극 (154) 을 구비한 스위치 단로기 (152) 를 갖는다. 격리 간극 (154) 의 일측은 도체 섹션, 예를 들어 도체 섹션 (146, 145) 을 통하여 회로 차단기 (112) 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격리 간극 (154) 의 타측은 버스바 연결부 도체 섹션 (156) 을 통하여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에 연결되는데, 이것은 이하 추가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은 스위치 단로기 (152) 를 통하여 회로 차단기 (112) 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 단로기 (152) 는 고정 접촉편 및 가동 접촉편을 가지고, 이것은 격리 간극 (154) 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스위치 단로기는 또한 2 개의 가동 접촉편을 가질 수도 있는데, 하나의 가동 접촉편은 격리 간극 (154) 의 2 개의 측면 각각을 위한 것이다. 가동 접촉편은 격리 간극 (154) 을 선택적으로 브리지하거나 분리하도록 움직일 수 있다. 격리 간극은 z 방향으로 뻗어 있다. 다수의 실시형태에서, z 방향은 심지어 격리 간극의 방향에 의해 규정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가동 접촉편은 또한 z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가동 접촉 요소의 이동 방향은 z 방향을 규정할 수 있다.
스위치 단로기 (152) 의 가동 접촉 요소는 회로 차단기 (112) 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격리 간극 (154) 측에 배열된다. 스위치 단로기 (152) 의 가동 접촉 요소는, 회로 차단기를 향하지 않는 격리 간극 (154) 측에 물리적으로 배열된다.
스위치 단로기 모듈 (150) 은 제 1 버스바 모듈 (170) 에 원활하게 병합된다. 다시 말해서, 스위치 단로기 모듈 (150) 과 제 1 버스바 모듈 (170) 은 서로 일체로 형성되고 공통 하우징을 갖는다. 공통 하우징은, 기밀하게 폐쇄될 수 있고 스위치 단로기 (152) 와 제 1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이 배열되는 내부 영역을 규정한다. 제 1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은 y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y 방향을 규정하고, 제 1 버스바 모듈 (170) 의 하우징 섹션 (171) 은 제 1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둘레에 원통형으로 적어도 여러 군데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회로 차단기 모듈 (110), 연결편 (140) 및 제 1 버스바 모듈 (170) 을 갖는 스위치 단로기 모듈 (150) 은 가스 영역 또는 복수의 가스 영역을 규정하는데, 이것은, 회로 차단기 (112) 로부터 제 1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까지, 불활성 가스에 의해 캡슐화된 연결부를 허용한다.
추가 스위치 단로기 및 버스바 모듈 (190) 은 연결편 (140) 의 추가 측면 출구에 배열되고 스위치 단로기 (182) 와 추가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94) 을 포함한다. 스위치 단로기 및 버스바 모듈 (190) 은 이미 전술한 대로 스위치 단로기 모듈 (150) 및 버스바 모듈 (170) 에 대응하게 설계된다.
또한, 도 2a 는 제 1 버스바의 제 2 및 제 3 전류 상 각각을 위한 대응하는 버스바 상 도체 섹션 (274, 374) 을 각각 구비한 제 2 버스바 모듈 (270) 및 제 3 버스바 모듈 (370) 을 나타낸다. 대응하는 버스바 상 도체 섹션을 구비한 선택적 버스바 모듈 (290, 390) 이 마찬가지로 제 2 버스바의 제 2 및 제 3 전류 상 각각에 대해 도시된다. 이 모듈은 도 2b 와 도 2c 를 참조로 보다 상세히 이하 추가 설명될 것이다.
경계 평면 (2) 은, x 방향 (다시 말해서 회로 차단기 축선 (112a) 과 평행) 및 y 방향 (다시 말해서 제 1 또는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274) 과 평행) 으로 뻗어 있고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 (274) 의 중심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규정된다. 격리 간극 (154) 은 경계 평면 (2) 에 대해 회로 차단기 (112) 측에 완전히 배열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격리 간극 (154) 은 또한 경계 평면 (2) 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그 결과 그것은 회로 차단기 (112) 를 향하는 경계 평면 (2) 의 측에 단지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하지만, 격리 간극 (154) 의 대부분이 회로 차단기 (112) 를 향하는 경계 평면 (2) 의 측에 배열되는 것이 유리한데, 특히 간극 길이의 적어도 70 % 까지 또는 심지어 적어도 90 % 까지가 회로 차단기 (112) 를 향하는 경계 평면 (2) 의 측에 배열된다. 이 배열의 장점은 이하 추가 설명될 것이다.
제 2 전류 상을 위해 의도된 스위치 베이의 제 2 부품 (200) 은 도 2b 를 참조하여 다음 본문에서 설명될 것이다. 이런 제 2 부품 (200) 은 도 2a 를 참조로 설명되었는 제 1 부품 (100) 과 대응하는 방식으로 설계되고, 2 로 시작하는 부품 (200) 의 도면 부호는 1 로 시작하는 부품 (100) 의 도면 부호에 대응한다. 이런 수정으로, 도면에서 볼 수 있고 이하 추가 설명될 차이점 이외에는 도 2a 의 설명이 도 2b 에 또한 적용된다.
도 1 에서 알 수 있듯이, 회로 차단기 (212) 는 제 1 전류 상을 위한 회로 차단기 (112) 에 평행하게 배열되고, 다시 말해서 축선 (212a) 은 마찬가지로 x 방향으로 연장된다. 회로 차단기 (212) 는 회로 차단기 (112) 에 대해 y 방향으로 오프셋된다 (도 1 참조). 부품 (200) 의 추가 모듈이 또한 부품 (100) 의 대응하는 모듈에 대해 y 방향으로 대응하여 오프셋된다. 연결편 (240), 스위치 단로기 모듈 (250) 및 제 2 버스바 모듈 (270) 은 회로 차단기 (212) 로부터 제 2 전류 상을 위한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 (274) 으로 뻗어 있는 도체를 위한 가스 절연 경로를 제공하고, 스위치 단로기 (252), 더 정확히 말하면 그것의 격리 간극 (254) 에 의해서만 분리될 수 있다. 출구 (248) 는 도 2a 에서 출구 (148) 와 동일한 높이 (다시 말해서 베이스 평면 (6) 으로부터 z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 에 배열되고, 대응하여, 연결편 (240) 의 도체 섹션 (245, 246) 사이의 노드점은 도 2a 에 나타낸 연결편 (140) 의 대응하는 노드점과 동일한 높이에 또한 배열된다.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 (274) 은 제 1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과 평행하게, 다시 말해서 y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 (274) 은 제 1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에 대해 z 방향으로 오프셋되게 배열된다. 따라서, 버스바 모듈 (170, 270 (및 370)) 은 y 및 z 방향으로 뻗어 있는 버스바 평면 (8a) 을 따라 배열된다. 보다 정확히 말하면, 2 개 (3 개)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274 (및 374)) 이 버스바 평면 (8a) 에 뻗어 있다.
(베이스 평면 (6) 위에서 z 방향으로) 연결편 (240) 의 출구 (248) 의 중심의 높이는 제 1 버스바 모듈 (170) 의 높이와 제 2 버스바 모듈 (270) 의 높이 사이에서 정확히 중심에 위치한다. 이것은, 도 2b 의 모듈 (250, 270) 이 x 축선을 중심으로 180°로 회전된 차이점만 가지고, 스위치 단로기 및 버스바 모듈 (250, 270) 이 도 2a 의 대응하는 모듈 (150, 170) 과 정확히 동일하게 설계되도록 허용한다. 제 1 전류 상 (도 2a 에서 모듈 (150, 170)) 및 제 2 전류 상 (도 2b 에서 모듈 (250, 270)) 을 위한 동일한 설계의 모듈의 사용은 다른 부품의 수를 줄이고, 그리하여 소수의 다른 부품으로 효율적인 생산 및 유지보수를 허용한다. 이것은 또한 동일한 연결편 (140, 240, 340) 의 사용에도 해당된다.
180°회전 때문에, 스위치 단로기 (252) 에서 가동 접촉 요소는 스위치 단로기 (152) 의 경우에서보다 격리 간극 (254) 의 타측에 공간적으로 배열되고: 스위치 단로기 (252) 에서, 가동 접촉 요소는 회로 차단기 (212) 를 향한 격리 간극 (254) 측에 배열된다. 보다 일반적으로, 스위치 단로기 (154) 와 스위치 단로기 (254) 는 서로 반대로 정렬되고, 특히 그것의 가동 접촉편은 각각의 격리 간극의 타측에 배열되고, 다시 말해서 스위치 단로기 (154, 254) 중 하나의 가동 접촉편은 회로 차단기를 향한 측에 배열되고, 스위치 단로기 (154, 254) 중 다른 하나의 가동 접촉편은 회로 차단기를 향하지 않은 측에 배열된다.
스위치 단로기 및 버스바 모듈 (250, 270) 에 대해 말한 것은, 스위치 단로기 (282) 및 제 2 버스바의 제 2 전류 상을 위한 버스바 상 도체 섹션 (294) 을 가지고, 연결편 (240) 의 제 2 측면 출구에 끼워지는 모듈 (290) 에 대응하여 또한 적용된다. 제 2 버스바에 대해서도, 버스바 모듈 (190, 290, 390), 더 정확히 말하면 그 안에 배열된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94, 294, 394) 이 z-y 방향으로 뻗어 있는 버스바 평면 (8b) 을 따라 배열된다.
회로 차단기 모듈 (도 2b 에서: 모듈 (210); 마찬가지로 또한 모듈 (110, 310)) 각각은 2 개의 전력 출구 (215, 217) 를 가진다. 출구 (215) 의 중심은 x 방향으로 출구 (217) 의 중심에 대해 2 배의 공통 거리 (m) 만큼, 다시 말해서 도 2b 에 나타낸 길이 (m) 의 2 배만큼 오프셋된다. 다수의 실시형태에서, 이 2 배의 거리 (m) 는 하나의 부품의 모듈 크기의 3 배이다. 예를 들어, 모듈 크기는 720 ㎜ 일 수도 있고, 2 배 거리 (m) 는 2,160 ㎜ 일 수도 있다.
다수의 실시형태에서, 버스바 평면 (8a) 은 출구 (217) 에 대해 x 방향으로 공통 거리 (m) 를 통하여, 출구 (215) 로부터 이격되게 오프셋된다. 따라서, 버스바 평면 (8a) 은 제 1 출구 (215) 로부터 m 의 거리에, 그리고 제 2 출구 (217) 로부터 3m 의 거리에 있다. 이 실시형태는, 예를 들어, 도 2a 내지 도 2c 에 나타낸 스위치 베이의 변형예에 대응하는데, 여기에서 비율은 도 2b 에서 m 으로 나타낸 3 개의 길이가 동일하도록 선택된다.
다수의 실시형태에서, 버스바 평면 (8b) 은 회로 차단기의 출구 (215, 217) 사이의 중심에, 각각의 경우에 m 의 거리에 배열된다. 이것은 출구 (217) 에 끼워진 부품과 동일한 부품을 사용해 예를 들어 결합 모듈을 위해 출구 (215) 와 제 2 버스바 (평면 (8b)) 사이에 연결부가 만들어지도록 또한 허용한다. 이런 중심 배열은 이중 버스바를 가지는 실시형태에서 특히 유리하다.
제 3 전류 상을 위해 의도된 스위치 베이의 제 3 부품 (300) 은 도 2c 를 참조하여 다음 본문에서 설명될 것이다. 이런 제 3 부품 (300) 은 도 2a 및 도 2b 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 1 및 제 2 부품 (100, 200) 에 대응하게 설계되고, 3 으로 시작하는 부품 (300) 의 도면 부호는 1 및 2 로 시작하는 부품 (100 및/또는 200) 의 도면 부호에 대응한다. 이런 수정으로, 도면에서 알 수 있고 이하 추가 설명될 차이점 이외에는, 도 2a 및 도 2b 에 관한 설명이 도 2c 에 또한 적용된다.
따라서, 회로 차단기 모듈 (310) 은 회로 차단기 모듈 (110, 210) 에 대응하게 설계되고, 회로 차단기 축선 (312a) 은 회로 차단기 축선 (112a, 212a) 에 평행하게, 다시 말해서 x 방향에 평행하게 뻗어 있다. 이 축선 (112a, 212a, 312a) 은 y 방향으로 동일한 양만큼 서로에 대해 오프셋된다 (도 1 참조). 연결편 (340) 은 또한 연결편 (140, 240) 에 대응하게 설계되고, 그것의 출구 (348) 는 제 1 및 제 2 전류 상 각각을 위한 대응하는 연결편의 출구 (248, 148) 와 z 방향으로 베이스 평면 (6) 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다. 게다가, 도체 섹션 (346, 345) 사이의 노드점은 도 2a 및 도 2b 에서 대응하는 노드점과 z 방향으로 베이스 평면 (6) 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고, 그 결과 이 노드점, 더 정확히 말하면 모두 3 개의 연결편 (140, 240, 340) 의 출구가 y 방향으로 뻗어 있는 직선을 따라 놓여있다.
스위치 단로기 모듈 (350) 은 출구 (348) 에 연결된다. 스위치 단로기 모듈은 격리 간극 (354) 을 갖는 스위치 단로기 (352) 를 포함한다. 이 스위치 단로기는 도 2b 에서 스위치 단로기 (252) 와 유사하게 설계되고, 특히, 스위치 단로기 (352) 의 가동 접촉편은 스위치 단로기 (252) 에서와 동일한 격리 간극 측에, 특히 회로 차단기 (312) 를 향한 격리 간극 (354) 의 측면에 물리적으로 배열된다. 다른 격리 간극 (154, 254) 처럼, 격리 간극 (354) 은 경계 평면 (2) 과 대향한 회로 차단기 (312) 측에 또한 배열된다.
격리 간극 (154, 254, 354) 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이런 평행하다는 표현은, 역평행 배열, 다시 말해서 요소가 180°로 회전한 것을 또한 포함한다. 따라서, 격리 간극 (354) 은 z 방향으로 배열된다.
부품 (100, 200) 을 구비한 상황과 달리, 부품 (300) 에서는, 스위치 단로기 모듈 (350) 이 버스바 모듈과 공동으로 설계되지 않는다. 이 대신에, 스위치 단로기 모듈 (350) 은 버스바 연결부 (359) 를 가진다. 버스바 연결부 (359) 는 z 방향으로 향한다. 또한, 버스바 연결부 (359) 는 x-y 평면에 놓여 있는 플랜지를 갖추고 있다. 도체 섹션 (356) 은 버스바 연결부 (359) 로 이어진다. 도체 섹션 (356), 및 따라서 버스바 연결부 (359) 는 스위치 단로기 (352) 를 통하여 회로 차단기 (312) 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버스바 모듈 (370) 은, 버스바 모듈 (370) 의 대응하는 연결부 (378) 에서, 구체적으로 버스바 연결부 (359) 의 플랜지와 이것에 부합하는 플랜지 사이의 플랜지 연결부를 통하여 버스바 연결부 (359) 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된다. 벌크헤드 절연체 (359a) 는 이 플랜지 사이에 배열된다. 벌크헤드 절연체 (259a) 는 회로 차단기를 향하지 않은 경계 평면 (2) 측에 배열되고, 경계 평면 (2) 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벌크헤드 절연체 대신에, 또한 포스트형 절연체를 사용할 수 있다.
버스바 모듈 (370) 은 제거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제 3 전류 상의 제 3 버스바 모듈 (370) 이 형성될 수 있도록 버스바 연결부 (359) 는 제 3 버스바 상 도체 섹션 (374) 의 연결부를 위해 설계되고, 제 3 버스바 모듈 (370) 에 제 3 버스바 상 도체 섹션 (374) 이 배열된다.
버스바 모듈 (370) 은, 제 3 전류 상을 위한 제 3 버스바 상 도체 섹션 (374), 및 버스바 상 도체 섹션 (374) 을 원통형으로 둘러싸는 하우징 섹션 (372) 을 포함한다. 또한, 버스바 모듈 (370) 은 버스바 상 도체 섹션 (374) 을 출구 (378) 에 연결하는 도체 섹션 (376) 을 포함하고, 출구 (378) 를 통하여 도체 섹션 (356) 과 전기 연결부를 만든다. 따라서, 도체 섹션 (276, 256) 은 버스바 상 도체 섹션 (372) 으로부터 스위치 단로기 (352) 로의 전기 연결부를 나타내고, 이 스위치 단로기를 통하여, 회로 차단기 (312) 로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한 전기 연결부를 만든다.
(버스바 연결부 (359) 와 버스바 모듈 (370) 의 대응하는 연결부 (378) 사이의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버스바 모듈 (370) 이 제거가능하다는 사실은, 스위치 베이의 수송에 주요한 장점을 가진다. 특히, 이것은 감소된 물리적 높이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에, 물리적 높이는 z 방향의 또는 회로 차단기가 배열되는 회로 차단기 평면에 직각인 방향의 높이로 규정되고: 더 정확히 말하면, 물리적 높이는 스위치 베이의 최저부로부터, 예를 들어 회로 차단기 배열체의 스탠드 프레임으로부터 또는 이 프레임에 의해 규정되는 베이스 평면 (6) 으로부터 측정된 스위치 베이의 높이이다. 이 경우에, 하향 (downward) 은 경계 평면 (2) 으로부터 회로 차단기까지 z 방향으로의 방향으로 규정된다.
제 3 버스바 모듈 (370) 이 끼워질 때, 스위치 베이의 물리적 높이는 이 모듈 (370) 에 의해 미리 정해진다. 섹션 (374) 이 제거될 때, 물리적 높이는 반대로 운반 높이 평면 (4) 과 베이스 평면 (6) 사이의 z 방향으로의 거리에 대응한다. 이런 감소된 물리적 높이는 제 2 버스바 모듈 (270) 및/또는 제 3 전류 상을 위한 버스바 연결부 (359) 에 의해 미리 정해진다. 이것은, 버스바 모듈 (370) (및 대응하여 추가 버스바 모듈 (390)) 이 제거될 때, 베이스 평면 (6) 과 운반 높이 평면 (4) 사이에 스위치 베이가 완전히 위치하기 때문이고: 스위치 베이의 모든 나머지 부분들, 특히 버스바 모듈 (270, 170) 및 스위치 단로기 모듈 (350) 이 이런 2 개의 평면 (6, 4) 사이에 배열된다. 버스바 모듈 (370) (및 390) 이 제거될 때, 스위치 베이는 운반 상태로 있고, 표준 운반 컨테이너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것의 내부 높이는 평면 (6, 4) 사이의 거리보다 크지 않다.
게다가, 버스바 모듈 (370) (및 390) 이 제거되거나 끼워지지 않았을 때, 제 3 전류 상을 위한 대응하는 스위치 단로기 (352) (및 382) 와 함께 스위치 단로기 모듈 (350) (및 380) 은 여전히 스위치 베이에 끼워져 있다. 이것은, 스위치 베이가 운반 컨테이너에 위치하는 운반 상태에 있을 때 이런 가동 부분이 또한 이미 끼워져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런 가동 부분은 더 이상 설치 장소에 끼워질 필요가 없지만, 심지어 수송 전에 조립 및 예비 시험이 수행될 수 있고, 이것은 설치 장소에서 끼움 및 시험을 위한 상당한 시간 절약과 연관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3 개의 격리 간극 (154, 254, 354) 각각은 경계 평면 (2) 아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보다 정확히 말하면: 3 개의 회로 차단기 (112, 212, 312) 를 향한 측에 배열된다). 결과적으로, 이것은 다음 본문에 설명되는 것처럼 작은 물리적 높이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버스바 모듈 (170, 270) 은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274) 다소 위에 위치한 영역으로 또한 연장된다. 예로서, 불활성 가스를 위한 가스 체적의 일부가 또한 이 영역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 3 버스바 상 도체가 제거되었을 때, 스위치 베이는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274) 에 의해 규정된 경계 평면 (2) 다소 위로 또한 연장된다. 부가적 높이는 발생하는 전압을 유전체로 (dielectrically) 격리하는데 필요한 거리에 적어도 대응한다. 이 거리에 대한 한 가지 측정치는, 제 2 버스바 모듈 (270) 의 원통형 하우징 섹션의 반경이다.
일반적으로, 스위치 (152, 252, 352) 는 격리 간극 (154, 254, 354) 위에 임의의 양의 부가적 공간을 또한 여전히 요구한다. 이런 부가적 공간은 각각의 스위치 접촉 및 그것의 유전층 격리에 요구된다. 게다가, 이 목적으로 요구되는 격리 간극 (154, 254, 354) 위의 부가적 최소 높이는, 크기 (order of magnitude) 면에서, 발생하는 전압의 효과적인 캡슐화에 필요한 거리에 대응한다.
3 개의 격리 간극 (154, 254, 354) 이 경계 평면 (2) 아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므로, 따라서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274) 의 유전층 격리를 위해 임의의 경우에 필요한 것보다 제 2 버스바 또는 경계 평면 (2) 위로 크게 더 크지 않은 물리적 높이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개폐기 조립체의 주요 가동 부분, 특히 스위치 단로기를 포함하는 운반 구성을 허용하지만, 그것의 물리적 높이, 또는 운반 높이 평면 (4) 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낮다.
다수의 실시형태에서, 운반 높이 평면 (4) 은 거리 (d; 제 1 및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274) 사이의 z 방향으로 거리, 도 2b 참조) 미만만큼 경계 평면 (2) 으로부터 분리된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운반 높이 평면 (4) 은 80 ㎝ 미만만큼 경계 평면 (2) 으로부터 분리된다.
도 3 은 운반 상태에서 스위치 베이를 도시한다. 보다 정확히 말하면, 도 3 은, 운반 상태에서 다시 말해서 제 3 버스바 모듈 (370, 390) 없이, 운반 유닛 (10), 하나의 운반 컨테이너 (13), 및 도 1 내지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위치 베이를 나타낸다. 도 3 의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2c 의 도면 부호에 대응하고, 따라서 그것의 설명을 위해 도 1 내지 도 2c 에 관한 대응하는 설명이 참조된다. 게다가, 기밀 부착부 (359b) 가 스위치 단로기 모듈 (350) 의 연결부 (359) 에 끼워지고, 예를 들어, 부착부 (359b; 도 2c 참조) 하부에 배열된 절연체 (359a) 가 파열되지 않으면서 불활성 가스가 스위치 단로기 모듈 (350) 에서 상승된 압력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부착부 (359b) 는 마찬가지로 절연체 (359a) 를 오염되지 않게 보호하고, 이런 식으로 오염물이 스위치 베이의 내부로 진입하는 가능성을 방지한다.
도 3 의 스위치 베이는, 스위치 단로기 (152, 252, 352) 및 회로 차단기 (112, 212, 312) 의 작동을 위해 구비된 구동 모듈 (113, 213, 313) 을 또한 갖는다. 운반 상태에서도, 구동 모듈 (113, 213, 313) 은, 그것이 작동할 준비가 되도록, 다시 말해서 구동 모듈과 스위치 단로기 또는 회로 차단기 사이에서, 작동에 필요한 모든 연결부, 예를 들어 전기적 및/또는 기계적 연결부가 연결되도록, 스위치 단로기 및 회로 차단기에 연결된다. 공통 구동 모듈 (113, 213, 313) 대신에, 다른 스위치 (회로 차단기 및 스위치 단로기) 에 별도의 구동 모듈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회로 차단기와 스위치 단로기 뿐만 아니라 스위치 베이의 다른 부품을 제어하기 위해서 제어 유닛이 작동할 준비가 되도록 제어 유닛이 또한 끼워지고 연결된다.
스위치 베이가 표준 운반 컨테이너 (13) 에 위치할 수 있도록 스위치 베이의 치수가 정해진다. 버스바 연결부 (359), 다시 말해서 제 3 버스바 모듈 (370) (및 390) 이 제거된 스위치 베이의 물리적 높이는 특히 270 ㎝ 미만이다. 270 cm 의 높이는 (대략적으로 290 cm 의 전체 외부 높이를 갖는 "높은 큐브 (high cube)" 유형의) 전형적 표준 운반 컨테이너의 내부 높이에 대략적으로 대응한다. 반면, 제 3 버스바 모듈 (370) 이 끼워진 스위치 베이의 물리적 높이는 270 ㎝ 를 초과한다.
도 3 의 스위치 베이는 운반 준비가 된 상태로 예비조립되어 있다: 이것은 스위치 베이가 필요하다면 표준 컨테이너로 단순히 삽입에 의해 운반될 수 있고 컨테이너가 멀리 운반될 수 있음을 의미하고;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 (버스바 모듈 (370, 390) 제외) 의, 작동 준비가 되도록 완전히 구성된, 스위치 베이에 대응하는, 스위치 베이의 작동을 위해 예상되는 것처럼 이미 존재하는 스위치 베이의 부분이 서로 끼워지는 것을 의미한다.
버스바 연결부 (359) 는 버스바 상 도체 섹션을 가지지 않고, 다시 말해서 그것은 버스바 상 도체 섹션을 가지지 않고, 버스바 상 도체 섹션은 그것에 연결되지 않고, 버스바 상 도체 섹션 (370) (및 390) 이 제거되었고, 연결부 (359) (및 389) 는 이런 의미에서 제거되었다.
운반 컨테이너 (13) 는 표준 운반 컨테이너이다. 표준 운반 컨테이너는 ISO 668 에 따라 전 세계에 걸쳐 표준화되어 있고, 화물 또는 해상 화물 컨테이너라고도 한다. 운반 컨테이너는 해양용으로 표준화되고, 그것은 따라서 쉽게 적재될 수 있다. 특히, 이와 관련해서 다음 표준, 한편으로는 대략적으로 6.1 m 의 길이 및 대략적으로 2.4 m 의 폭을 가지는 소위 TEU 컨테이너 (20 피트 등가의 컨테이너) 가 구현되었다. 추가 표준 컨테이너로는, 대략적으로 12.2 m 의 길이를 가지는 FEU ("40 피트 등가의 유닛") 컨테이너; 대략적으로 13.7 m 의 길이를 가지는 45 피트 등가 유닛 컨테이너; 뿐만 아니라 48 피트 그리고 심지어 53 피트 (길이: 16.15 m) 컨테이너가 있다. 이 컨테이너 (운반 컨테이너 또는 운반가능한 표준 컨테이너라고도 함) 는 또한 모두 TEU 컨테이너와 동일한 폭, 다시 말해서 대략적으로 2.4 m 를 가진다. 소위 정상 큐브의 실시형태에서, 운반가능한 표준 컨테이너는 대략적으로 2.6 m 의 높이를 가지고; 높은 큐브의 실시형태에서, 컨테이너는 대략적으로 2.9 m 의 높이를 가진다. 이것은 외부 치수이다. 내부 치수는 다소 더 작을 수도 있다. 특히, 컨테이너의 내부 높이는 컨테이너의 벽 두께 때문에 전술한 전체 높이보다 일반적으로 다소 더 작지만, 전체 높이는 내부 높이에 대한 최대 이론값으로 또한 가정될 수 있다. 전형적 내부 높이는 전체 높이보다 20 cm 작고, 다시 말해서 높은 큐브 컨테이너의 경우에 270 cm 이다. 이와 같은 표준 컨테이너를 사용한 선적은, 표준 컨테이너 선박에서 아무 문제없이 운반될 수 없는, 주문형 컨테이너의 선적보다 상당히 더 비용 효과적이다. 따라서, 운반 상태에 있을 때 스위치 베이의 물리적 높이, 다시 말해서 베이스 평면 (6) 과 이 베이스 평면 (6) 에 평행한 운반 높이 평면 (4) 사이의 거리가 290 cm 또는 270 cm (표준 운반 컨테이너의 최대 또는 전형적 내부 높이) 미만, 또는 심지어 260 또는 240 cm (TEU 컨테이너의 최대 또는 전형적 내부 높이) 미만인 것이 유리하다. 또한 (x-y 평면에서 또는 회로 차단기 축선에 직각인 방향으로) 폭이 2.4 m 미만인 것이 유리하다.
운반 높이 평면 (4) 은, 제 2 버스바의 높이, 다시 말해서 경계 평면 (2) 에 의해 주로 지배받는데: 이것은 도 3 과 도 2b 에서 쉽게 알 수 있듯이 운반 높이 평면 (4) 이 제 2 버스바를 위한 하우징 섹션의 적어도 반경만큼 이 경계 평면 (2) 보다 더 높기 때문이다. 하지만, 작동 중 발생하는 전압의 효과적인 차폐를 위해 임의의 최소 반경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 반경은 무한정 작게 선택될 수 없다.
스위치 단로기 (152, 252, 352; 도 2a 내지 도 2c 참조) 는 모두 3 개의 전류 상에 대해 또한 이미 운반 상태로 있는 것이 유리하다. 이것은, 스위치 단로기가 가동 부분이므로 이 스위치 단로기의 끼움이 광범위한 기능 테스트를 요구하고, 따라서 수송 전에도 이 기능 테스트가 수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가동 부분이 현장에서 더 이상 끼워질 필요가 없고 예비 테스트될 필요가 없지만 이것이 수송 전에도 수행될 수 있다는 사실은 현장에서 설치 시간을 상당히 단축시킨다.
작은 물리적 높이를 허용하기 위해서, 이런 스위치 단로기의 격리 간극이 회로 차단기를 향한 경계 평면 (2) 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것은 또한 물리적 높이, 다시 말해서 운반 높이 평면 (4) 의 높이를 또한 전술한 대로 낮게 유지하는데 기여한다.
도 3 에 도시된 운반 유닛 (10) 은 다음과 같이 전술한 이런 사항들을 고려한다: 운반 컨테이너 (13) 는 표준 컨테이너의 폭과 높이를 초과하지 않는 폭 (b) 과 높이 (h) 를 갖는 내부 체적 (12) 을 규정한다. 특히, 폭 (b) 은 2.4 m 미만이고, 높이는 2.9 m 미만 또는 심지어 2.6 m 미만이다. 운반 상태에서 스위치 베이는 운반 컨테이너 (13) 에 수용된다. 스위치 베이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연관된 회로 차단기를 가지는 3 개의 가스 절연 회로 차단기 모듈 (110, 210, 310) 을 포함한다. 또한, 운반 상태에서, 스위치 베이는, 제 1 및 제 2 전류 상을 위한 각각의 스위치 단로기 (152, 252, 352; 도 2a 내지 도 2c 참조) 및 버스바 모듈 (170, 270) 을 가지고, 각각의 전류 상을 위한 스위치 단로기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운반 상태에서, 스위치 베이는 제 3 전류 상을 위한 제 3 버스바 모듈의 연결을 위한 버스바 연결부 (359) 를 포함한다. 이 버스바 모듈 (도 2c 에서 모듈 (370)) 은, 하지만, 운반 상태에서 연결되지 않는다.
스위치 단로기 (152, 252, 352) 의 추가 세부사항 및 가능한 변경은 다음 본문에 설명될 것인데, 이것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보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면 부호는 단지 예시로서 제한되지 않는다). 스위치 단로기는 각각 회로 차단기 측에 접촉 요소를 가지고, 이 접촉 요소는 각각의 회로 차단기 (112, 212 또는 312) 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스위치 단로기는 각각 버스바 측에 접촉 요소를 가지는데, 이 접촉 요소는 버스바 연결부 도체 섹션 (156, 256, 356) 에 의하여 각각의 버스바 상 도체 섹션 또는 버스바 연결부 (174, 274 뿐만 아니라 359, 374) 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회로 차단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 요소는 가동 접촉 요소이다. 스위치 단로기 (152) 에서, 가동 접촉 요소는 회로 차단기를 향하지 않은 격리 간극 (154) 측에 배열된다. 스위치 단로기 (252, 352) 에서, 가동 접촉 요소는 회로 차단기를 향한 격리 간극 (254 또는 354) 측에 각각 배열된다. 하지만, 가동 접촉 요소의 다른 배열도 가능하다.
격리 간극 (152, 252, 352) 은 스위치 단로기 (150, 250, 350) 의 각각의 접촉 요소 사이에 위치한다. 이것은, 버스바 측에서의 접촉 요소를 향하여 회로 차단기 측에서의 접촉 요소의 방향으로서 각각의 격리 간극 및 따라서 각각의 스위치 단로기의 정렬을 규정한다. 특히, 스위치 단로기의 가동 접촉편의 이동 방향에 의해 정렬이 규정된다. 격리 간극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다시 말해서 이런 정렬 또는 축선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이 정렬은 결국 z 방향을 규정할 수 있는데, z 방향은 x 및 y 방향에 대해 횡단하여 뻗어 있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스위치 단로기 (152, 252, 352) 는 z 방향으로 정렬된다.
격리 간극 (154, 254, 354) 은 3 개의 회로 차단기 (112, 212, 312) 를 향한 경계 평면 (2) 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특히, 3 개의 격리 간극 (154, 254, 354) 각각의 중심은 3 개의 회로 차단기 (112, 212, 312) 를 향한 경계 평면 (2) 측에 배열된다. 특히, 3 개의 격리 간극 (154, 254, 354) 은, 3 개의 회로 차단기 (112, 212, 312) 를 향한 경계 평면 (2) 측에서 그 길이의 적어도 최대 70 % 로, 다수의 실시형태에서는 적어도 최대 90 % 로 배열된다.
제 1 스위치 단로기 (154) 는 제 1 버스바 모듈 (170) 에서 제 1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과 함께 배열된다. 제 2 스위치 단로기 (254) 는 제 2 버스바 모듈 (270) 에서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 (274) 과 함께 배열된다. 제 3 스위치 단로기 (354) 는 버스바 연결 모듈 (350) 에서 버스바 연결부 (359) 와 함께 배열된다.
버스바 상 도체 섹션 및 버스바 연결부의 다수의 다른 세부사항 및 가능한 변경은 다음 본문에 설명될 것인데, 이것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보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면 부호는 단지 예시로서 제한되지 않는다):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274) 및 적절하다면 섹션 (374) 각각은 각각의 상을 위한 자체 가스 영역을 구비한 자체 하우징을 가진다. 따라서,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274) 및 적절하다면 섹션 (374) 은 단상 캡슐화를 위해 설계된다. 하지만, 그것은 3 개의 상을 위한 공통 가스 영역을 가질 수도 있다.
대응하는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274 또는 374) 을 위한 버스바 모듈 (170, 270 및/또는 370) 의 하우징 섹션은 T자 형상으로 설계되는데, T자의 측면 암은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274 또는 374) 을 유지하고, T자의 바닥 암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버스바 연결부 도체 섹션 (156, 256 또는 356) 을 유지한다.
제 1 (제 2, 제 3)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은 제 1 (제 2, 제 3) 스위치 단로기 (152) 의 축선에 대해 x 방향으로 오프셋된다. 제 1 및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274) 은, x 및 y 방향에 대해 횡단하여 뻗어 있는 z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게 배열된다.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 (274) 은, z 방향으로, 제 3 전류 상 (359) 을 위한 버스바 연결부 하부에 (다시 말해서 회로 차단기를 향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2 개 (그리고 다수의 실시형태에서는 3 개)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274) (및 374) 은 z 및 y 방향으로 뻗어 있는 버스바 평면 (8a) 에 뻗어 있고, 보다 정확히 말하면 2 개 또는 3 개의 버스바 상 도체는 버스바 평면 (8a) 에 뻗어 있다.
제 1 및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274) 은 버스바 모듈 분리에 의해 z 방향으로 서로 분리되고, 제 3 버스바 상 도체 섹션 (374) 을 위해 의도된 위치는 버스바 모듈 분리에 의해 z 방향으로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 (274) 으로부터 분리된다.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 (274) 의 위치는 230 ㎝, 250 ㎝ 또는 270 ㎝ 미만의 물리적 높이를 갖는다. 제 3 버스바 상 도체 섹션 (374) 을 위해 의도된 위치는 230 ㎝, 250 ㎝ 또는 심지어 270 ㎝ 초과의 물리적 높이를 갖는다.
제 1 및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274) 은 버스바 평면 (8a) 에서 (중심 사이의) 거리 (d) 에 배열되고, 스위치 베이, 특히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 (274) 및 버스바 연결부 (359) 의 물리적 높이는 경계 평면 (2) 으로부터 이격되게 d 미만이다.
2 개의 버스바 상 도체 모듈 (170, 270) 은 개폐기 조립체에서 버스바 상 도체의 추가 섹션의 연결을 위한 각각의 버스바 플랜지 (172, 272) 를 가진다. 버스바 플랜지는 50 ㎝ 의 정확도 내에서 적어도 대략적으로 공통 평면 (x-z 평면) 에 놓여 있다.
버스바 연결부 (359) 는 회로 차단기 (112, 212, 312) 를 향하지 않는다. 버스바 연결부 (359) 는 y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 버스바 연결부 (359) 는 45° 이하, 특히 10° 이하의 차이를 가지고 x 및 y 방향에 대해 횡단하여 뻗어 있는 z 방향으로 특히 향한다.
버스바 연결부 (359) 는 제 3 전류 상을 위한 버스바 상 도체 외부에 배열된다. 버스바 연결부는 비연속적 출구이다.
버스바 연결부는 z 방향으로 배향되는 연결 플랜지를 가지는데, 연결 플랜지는 x 및 y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 배열된다. 게다가, 버스바 연결부 (359) 는 벌크헤드 절연체를 가진다. 벌크헤드 절연체는 회로 차단기를 향하지 않은 경계 평면 (2) 측에 배열되고, 다수의 실시형태에서, 경계 평면 (2) 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또한 벌크헤드 절연체 대신에 포스트형 절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버스바는 제 1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274, 374) 구비) 및 제 2 버스바 상 도체 (제 1, 제 2 및 제 3 전류 상 각각을 위한 섹션 (194, 294, 394) 구비) 를 갖는 이중 버스바이다. 스위치 베이는 또한 각각의 경우에 제 1, 제 2 및 제 3 전류 상을 위한 하나의 T자형 연결편 (140, 240, 340) 을 가지고, 각각은 바닥 출구, 제 1 측면 출구 및 이 제 1 측면 출구와 대향한 제 2 측면 출구를 가지고, 3 개의 연결편 (140, 240, 340) 각각은 각각의 바닥 출구를 통하여 회로 차단기 (112, 212, 312) 에 연결될 수 있고, 각각의 제 1 측면 출구를 통하여 제 1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274, 374) 에 연결될 수 있고, 각각의 제 2 측면 출구를 통하여 각각의 전류 상의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94, 294, 394) 에 연결될 수 있다.
모두 3 개의 T자형 연결편의 제 1 측면 출구 (더 정확히 말하면 그것의 중심) 는 제 1 직선을 따라 배열되고, 제 2 측면 출구, 더 정확히 말하면 그것의 중심은 제 2 직선을 따라 배열되는데, 다수의 실시형태에서 제 1 (및 제 2) 직선은 y 방향을 따라 뻗어 있다.
다수의 실시형태에서, 3 개의 연결편 각각은 각각의 노드점을 가지고, 이 노드점으로부터 전기 도체 섹션 (145, 146; 245, 246; 345, 346) 은 별 모양으로 각각의 측면 출구 및 각각의 바닥 출구로 연장되고, 모두 3 개의 T자형 연결편의 노드점은 다수의 실시형태에서 y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제 3 직선을 따라 뻗어 있다.
스위치 베이는 제 1 버스바 모듈 (170) 및 제 2 버스바 모듈 (270) 을 가지고, 제 1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은 제 1 버스바 모듈 (170) 에 배열되고,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 (274) 은 제 2 버스바 모듈 (270) 에 배열된다. 제 3 전류 상의 제 3 버스바 모듈 (370) 이 형성될 수 있도록 버스바 연결부 (359) 는 제 3 전류 상을 위한 제 3 버스바 상 도체 섹션 (374) 의 연결을 위해 설계되고, 제 3 버스바 모듈 (370) 에 제 3 버스바 상 도체 섹션 (374) 이 배열된다.
또한, 스위치 베이는 제 3 전류 상을 위한 제 3 버스바 상 도체 섹션 (374) 을 갖는다. 제 3 버스바 상 도체 섹션 (374) 은 제 1 및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274) 에 평행하게 배열되고, 버스바 연결부 (359) 에 연결되고, 그리고/또는 제 3 전류 상 (354) 의 스위치 단로기를 통하여 제 3 전류 상 (312) 을 위한 회로 차단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3 버스바 섹션은, 제 1 및 제 2 버스바 섹션과 비교해, 예를 들어 거리 (d) 만큼, z 방향으로 회로 차단기로부터 이격되게 오프셋된다. 다수의 실시형태에서, 3 개의 버스바 상 도체 섹션은 버스바 평면 (8a) 에 뻗어 있고, 서로 균일하게 분리된다.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274, 374) 은 수정된 실시형태에서 평면의 버스바 표면 (8a) 과 상이하게 또한 배열될 수도 있다. 예로서, 그 도체 섹션은 예컨대 원통형 표면 (도 8a 에서 원 세그먼트) 또는 L 모양의 구성으로 배열될 수도 있고, 섹션 (174, 274) 은 서로에 대해 x 방향으로 본질적으로 오프셋되게 배열되고, 섹션 (374) 은 그 섹션들에 대해 z 방향으로 오프셋된다.
스위치 베이의 다수의 추가 세부사항 및 가능한 변경은 다음 본문에 설명될 것이고: 스위치 베이는 예비 테스트되는데, 다시 말해서 스위치 베이는 그것이 이미 실질적으로 작동할 준비가 된 상태로 되었고, 이 상태에서 다수의 기능 테스트를 받는다. 스위치 베이는 전형적으로 1 바 초과, 예를 들어 적어도 1.5 바의 가스 압력에서 불활성 가스로 채워진다. 스위치 베이는 그것이 컨테이너로 운반될 수 있도록 배열된다. 스위치 베이는 적어도 400 ㎸, 예를 들어 420 ㎸ 의 작동 전압을 위해 설계된다. 스위치 베이는 3 개의 접지 스위치를 포함하는데, 3 개의 전류 상 각각에 대해 하나씩 제공되고, 접지 스위치는 예를 들어 스위치 단로기 모듈 (150, 250, 350) 에 수용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연결부 모듈 (140, 240, 340) 에 수용될 수 있는 능력을 가진다. 스위치 베이는 변류기 및/또는 전압계를 포함한다.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의 설치 방법은 다음 본문에 설명될 것이다. 이 경우에, 설치 프로세스는 생산, 개선 (upgrading), 수리 등과 같은 활동을 또한 포함한다.
먼저, 예비조립된 스위치 베이가 표준 운반 컨테이너에 제공된다. 이것은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를 위한 설치 장소로부터 물리적으로 멀리서 수행된다. 예를 들어, 스위치 베이는 제 1 전류 상의 제 1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및 제 2 전류 상의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 (274) 을 가지는 도 3 에 나타낸 스위치 베이일 수도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2c 참조). 운반 상태에서, 스위치 베이, 및 특히 제 1 및 제 2 의 전류 상을 위한 버스바 상 도체 섹션 및 스위치 베이의 제 3 전류 상을 위한 버스바 연결부 (359) 는 운반 컨테이너의 내부 높이 미만인 물리적 높이를 가진다. 스위치 베이의 예비 기능 시험이 수송 전에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 후, 스위치 베이는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를 위한 설치 장소까지 운반 컨테이너로 운반된다. 다수의 실시형태에서, 스위치 베이는 운반되는 동안 불활성 가스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진다.
그 후, 제 3 전류 상의 제 3 버스바 상 도체 섹션이 스위치 베이의 버스바 연결부에 연결되고, 그 결과 제 3 전류 상의 버스바 상 도체 섹션은 운반 컨테이너의 내부 높이보다 큰 물리적 높이를 가진다. 예로서, 이것은 도 1 에 도시된 스위치 베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다수의 실시형태에서, 제 1, 제 2 및/또는 제 3 버스바 상 도체 섹션은 그 후 개폐기 조립체에서 버스바 상 도체의 추가 섹션에 연결된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본원에 기술한 바와 같은 스위치 베이를 가지는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스위치 베이는 연결되어 있으면서 운반 컨테이너에 유지될 수 있고, 다시 말해서 적어도 회로 차단기와 스위치 단로기는 운반 컨테이너에 유지된다.

Claims (21)

  1.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용 스위치 베이 (1) 로서,
    상기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는 각각의 경우에 제 1, 제 2 및 제 3 전류 상의 하나의 버스바 상 도체 (busbar phase conductor) 를 구비한 버스바를 가지고,
    상기 스위치 베이는:
    - 각각의 경우에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전류 상을 위한 하나의 가스 절연 회로 차단기 (112, 212, 312) 를 포함하고, 회로 차단기들은 x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 각각의 경우에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전류 상을 위한 하나의 스위치 단로기 (152, 252, 352) 를 포함하고, 스위치 단로기들 각각은 격리 간극 (154, 254, 354) 을 가지고, 격리 간극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 상기 제 1 전류 상의 제 1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및 상기 제 2 전류 상의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 (274)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274) 은 상기 x 방향에 대해 횡단하여 뻗어 있는 y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 상기 제 3 전류 상의 제 3 버스바 상 도체 섹션 (374) 의 연결을 위한 버스바 연결부 (359)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274) 및 상기 버스바 연결부 (359) 는 각각의 상기 전류 상의 상기 스위치 단로기 (152, 252, 352) 를 통하여 각각의 상기 전류 상의 상기 회로 차단기 (112, 212, 312) 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 (274) 은, 상기 x 및 y 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 (274) 의 중심을 포함하는 평면으로서 경계 평면 (2) 을 규정하고, 3 개의 상기 격리 간극 (154, 254, 354) 각각은 3 개의 상기 회로 차단기 (112, 212, 312) 를 향하는 상기 경계 평면 (2) 의 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는,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용 스위치 베이.
  2. 제 1 항에 있어서,
    3 개의 상기 격리 간극 (154, 254, 354) 은, 3 개의 상기 회로 차단기 (112, 212, 312) 를 향하는 상기 경계 평면 (2) 의 측에 상기 격리 간극의 길이의 적어도 최대 70 %, 다수의 실시형태들에서는 적어도 최대 90 % 로 배열되는,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용 스위치 베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 간극 (154, 254, 354) 은 상기 x 및 y 방향에 대해 횡단하여 뻗어 있는 z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용 스위치 베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연결부 (359) 는 상기 x 및 y 방향에 대해 횡단하여 뻗어 있는 상기 z 방향으로 향하는,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용 스위치 베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연결부 (359) 는 벌크헤드 (bulkhead) 절연체를 가지고,
    상기 벌크헤드 절연체는 상기 회로 차단기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상기 경계 평면 (2) 의 측에 배열되는,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용 스위치 베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274) 은 상기 x 및 y 방향에 대해 횡단하여 뻗어 있는 상기 z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게 배열되는,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용 스위치 베이.
  7. 제 6 항에 있어서,
    2 개의 상기 버스바 상 도체 섹션은, 상기 z 및 y 방향으로 뻗어 있는 버스바 평면 (8a) 상에 뻗어 있는,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용 스위치 베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x, y 및 z 방향 중 적어도 2 개, 특히 모두 3 개의 방향은 서로 직각으로 뻗어 있는,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용 스위치 베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이중 버스바이고, 상기 버스바 상 도체 (174, 274, 374) 는 제 1 버스바 상 도체이고, 상기 이중 버스바는 각각의 경우에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전류 상 (194, 294, 394) 의 제 2 버스바 상 도체를 더 가지고,
    상기 스위치 베이는:
    각각의 경우에 바닥 출구, 제 1 측면 출구 및 상기 제 1 측면 출구에 대향한 제 2 측면 출구를 갖는, 각각의 경우에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전류 상의 하나의 T자형 연결편 (140, 240, 340) 을 더 가지고,
    3 개의 상기 연결편들 (140, 240, 340) 각각은, 각각의 상기 바닥 출구를 통하여 상기 회로 차단기로, 각각의 상기 제 1 측면 출구를 통하여 상기 제 1 버스바 상 도체로, 각각의 상기 제 2 측면 출구를 통하여 각각의 상기 전류 상의 상기 제 2 버스바 상 도체로 연결될 수 있고,
    모두 3 개의 상기 T자형 연결편의 상기 제 1 측면 출구들은 제 1 직선을 따라 배열되고, 다수의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제 1 직선은 상기 y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용 스위치 베이.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버스바 모듈 (170) 및 제 2 버스바 모듈 (270) 을 더 가지고,
    상기 제 1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은 상기 제 1 버스바 모듈 (170) 에 배열되고 상기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 (274) 은 상기 제 2 버스바 모듈 (270) 에 배열되고,
    상기 제 3 전류 상의 제 3 버스바 모듈 (370) 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버스바 연결부 (359) 는 상기 제 3 전류 상의 제 3 버스바 상 도체 섹션 (374) 을 연결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제 3 버스바 모듈 (370) 에 상기 제 3 버스바 상 도체 섹션 (374) 이 배열되는,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용 스위치 베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류 상 (154) 의 상기 스위치 단로기는 상기 제 1 버스바 모듈 (170) 에 배열되고, 상기 제 2 전류 상 (254) 의 상기 스위치 단로기는 상기 제 2 버스바 모듈 (270) 에 배열되고, 상기 제 3 전류 상 (354) 의 상기 스위치 단로기는 상기 버스바 연결부 (359) 와 함께 버스바 연결 모듈 (350) 에 배열되는,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용 스위치 베이.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류 상 (154) 의 상기 스위치 단로기 및 상기 제 2 전류 상 (254) 의 상기 스위치 단로기는 서로에 대해 반대로 정렬되는,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용 스위치 베이.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단로기 (152, 252, 352) 및 상기 회로 차단기 (112, 212, 312) 의 작동을 위한 구동 시스템 (113, 213, 313)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단로기 및 상기 회로 차단기가 작동할 준비가 되어 있도록 구동 모듈이 상기 스위치 단로기 및 상기 회로 차단기에 연결되는,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용 스위치 베이.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베이 (1) 는 운반 준비가 되도록 예비조립되고, 상기 스위치 베이가 특히 270 ㎝ 미만의 물리적 높이를 가지는 표준 운반 컨테이너 (13)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위치 베이의 치수가 정해지는,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용 스위치 베이.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연결부 (359) 는 상기 버스바 연결부에 연결되는 버스바 상 도체 섹션을 가지지 않는,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용 스위치 베이.
  16.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전류 상을 위한 제 3 버스바 상 도체 섹션 (374) 을 더 가지고,
    상기 제 3 버스바 상 도체 섹션 (374) 은, 상기 제 1 및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274) 에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버스바 연결부 (359) 에 연결되고, 상기 제 3 전류 상 (354) 의 상기 스위치 단로기를 통하여 상기 제 3 전류 상 (312) 의 상기 회로 차단기에 연결될 수 있는,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용 스위치 베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버스바 상 도체 섹션 (374) 은, 상기 버스바 연결부 (359) 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고, 270 ㎝ 초과의 물리적 높이를 가지는,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용 스위치 베이.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위치 베이 (1) 를 가지는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
  19.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의 설치 방법으로서,
    - 상기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를 위한 설치 장소로부터 물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표준 운반 컨테이너 내에, 예비조립된 스위치 베이 (1), 특히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위치 베이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스위치 베이는 제 1 전류 상의 제 1 버스바 상 도체 섹션 (174) 및 제 2 전류 상의 제 2 버스바 상 도체 섹션 (274) 을 가지는, 상기 스위치 베이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를 위한 상기 설치 장소까지 상기 운반 컨테이너 내의 상기 스위치 베이를 수송하는 단계; 및
    - 제 3 전류 상의 제 3 버스바 상 도체 섹션을 상기 스위치 베이의 버스바 연결부 (359) 에 연결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3 전류 상의 상기 버스바 상 도체 섹션이 상기 운반 컨테이너의 내부 높이보다 더 높은 물리적 높이를 갖게 하는, 상기 연결 단계를 포함하는,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의 설치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수송 단계 전에 상기 스위치 베이를 예비 기능 시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의 설치 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버스바 상 도체 섹션을 연결하는 단계 동안, 상기 스위치 베이는 상기 운반 컨테이너 내에 유지되는,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의 설치 방법.
KR1020137015473A 2010-11-16 2010-11-16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용 스위치 패널 및 상기 스위치 패널을 구성하는 방법 KR201301152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0/067593 WO2012065630A1 (de) 2010-11-16 2010-11-16 Schaltfeld für hochspannungsschaltanlage und verfahren zur errichtung desselb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299A true KR20130115299A (ko) 2013-10-21

Family

ID=44358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5473A KR20130115299A (ko) 2010-11-16 2010-11-16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용 스위치 패널 및 상기 스위치 패널을 구성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250487A1 (ko)
EP (1) EP2641309A1 (ko)
KR (1) KR20130115299A (ko)
CN (1) CN103329373A (ko)
MX (1) MX2013005390A (ko)
RU (1) RU2013127228A (ko)
WO (1) WO20120656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19906A1 (de) * 2012-10-31 2014-04-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altanlagenschaltfeld
DE102013007551A1 (de) * 2013-05-03 2014-11-06 Abb Technology Ag Gasisolierte Schaltanlagenanordnung
WO2016067349A1 (ja) * 2014-10-27 2016-05-06 三菱電機株式会社 ガス絶縁開閉装置
DE102016202057A1 (de) 2016-02-11 2017-08-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altanlage
DE102019104962B4 (de) * 2019-02-27 2024-02-15 Lisa Dräxlmaier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chaltbox, insbesondere einer hochvoltschaltbox, für ein elektrisch angetriebenes kraftfahrzeug und schaltbox
US20220416522A1 (en) * 2020-03-17 2022-12-29 Abb Schweiz Ag Switchgear assembly and switchgea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378973A (de) * 1960-07-14 1964-06-30 Bbc Brown Boveri & Cie Stahlblechgekapselte Hochspannungsschaltanlage
DE7113793U (de) * 1971-04-10 1971-09-30 Calor- Emag Elektrizitaets- Ag Im Gelände aufstellbare elektrische Schaltanlage
DE2259056A1 (de) * 1972-11-30 1974-06-06 Siemens Ag Metallgekapselte, druckgasisolierte hochspannungsschaltanlage
JPS51150043A (en) * 1975-06-18 1976-12-23 Hitachi Ltd Gas insulating switching device
JPS62144506A (ja) * 1985-12-17 1987-06-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
DE19716024B4 (de) * 1997-04-17 2007-01-18 Abb Schweiz Ag Metallgekapselte gasisolierte Schaltanlage
DE10119530A1 (de) * 2001-04-12 2002-11-07 Siemens Ag Hochspannungs-Leistungsschalter für eine druckgasisolierte Schaltanlage
FR2834138B1 (fr) * 2001-12-21 2004-11-12 Alstom Element de poste blinde articule au sol
JP2003199220A (ja) * 2001-12-26 2003-07-11 Hitachi Ltd 母線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ガス絶縁開閉装置
EP1569310A1 (de) * 2004-02-27 2005-08-31 ABB Technology AG Einphasig gekapselte, gasisolierte Schaltanlage
EP2003755B1 (en) * 2006-03-31 2016-03-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Gas insulated power apparatus
WO2007148374A1 (ja) * 2006-06-19 2007-12-2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ガス絶縁電力機器
JP4829021B2 (ja) * 2006-07-12 2011-11-30 株式会社東芝 ガス絶縁開閉装置
EP2047573A2 (en) * 2006-07-31 2009-04-15 Nxtphase T&D Corporation Sensors and sensing methods for three-phase, gas insulated devices
US7903394B2 (en) * 2006-12-21 2011-03-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Gas-insulated switchgear
DE102007047200A1 (de) * 2007-05-31 2008-12-04 Abb Technology Ag Hochspannungsschaltanlage
EP2216865B1 (en) * 2007-11-29 2017-12-2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Gas insulated switchgear
EP2234228B1 (en) * 2007-12-28 2014-07-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Gas-insulated switch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41309A1 (de) 2013-09-25
RU2013127228A (ru) 2014-12-27
WO2012065630A1 (de) 2012-05-24
MX2013005390A (es) 2013-07-29
CN103329373A (zh) 2013-09-25
US20130250487A1 (en) 201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85971C (zh) 封装式气体绝缘开关装置组件
US7679022B2 (en) Vacuum insulated switchgear
KR20130115299A (ko)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용 스위치 패널 및 상기 스위치 패널을 구성하는 방법
US7944680B2 (en) High-voltage switchgear
US8481881B2 (en) Electric circuit breaker and switchgear panel with circuit breaker
KR20060050325A (ko) 배전용 개폐장치
US7310220B2 (en) High voltage outdoor substation
US20200203936A1 (en) Three phase switchgear or control gear
KR20060042071A (ko) 가스절연개폐장치
US8525053B2 (en) Electrical switchgear
US9048637B2 (en) Gas-insulated switchgear
KR101463669B1 (ko) 전기 스위치기어 유닛을 위한 압축된 가스 절연된 조립체의 하우징
US20130201607A1 (en) Pressurised gas-insulated multi-phase control panel
JP2008283734A (ja)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およびその組立方法
CN101617450B (zh) 高压开关设备
US11482840B2 (en) Polyphase switchgear assembly
US6459569B1 (en) Switchgear
US7692113B2 (en) Switch assembly
US10038312B2 (en) High-voltage combined electrical apparatus
JP4896786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6190442B2 (ja) ガス絶縁スイッチギヤ
JP2007014079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7193925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US9876336B2 (en) Gas-insulated switching apparatus
JP5901857B1 (ja) ガス絶縁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