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799B1 - 다단 배전반의 열 배출 및 방진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단 배전반의 열 배출 및 방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799B1
KR102164799B1 KR1020180172742A KR20180172742A KR102164799B1 KR 102164799 B1 KR102164799 B1 KR 102164799B1 KR 1020180172742 A KR1020180172742 A KR 1020180172742A KR 20180172742 A KR20180172742 A KR 20180172742A KR 102164799 B1 KR102164799 B1 KR 102164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at
cover
heat dissipation
switch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2292A (ko
Inventor
임창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80172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799B1/ko
Priority to CN201910925496.6A priority patent/CN111384678B/zh
Priority to US16/593,627 priority patent/US10923890B2/en
Publication of KR20200082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6Boxe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02B1/565Cooling; Ventilation for cabinet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배전반의 열 배출 및 방진 시스템은 배전반 외함에 마련되는 복수의 격실; 상기 복수의 격실에 각각 복수로 구비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에는 열 방출을 위한 배출구가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단 배전반의 열 배출 및 방진 시스템{Heat Exhaust and Dustproof System of Multi Stage Distrbuting Board}
본 발명은 다단 배전반의 열 배출 및 방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반 내부의 열 방출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방수, 방진 기능이 우수한 다단 배전반의 열 배출 및 방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전력계통의 감시, 제어 및 보호를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로서, 배전반에는 발전소 및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하여 차단기, 변류기 등 여러 전기 기기가 수납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배전반 내부에서 단락이나 지락, 절연 파괴 등에 의해 아크(Arc)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배전반 내부에 고온, 고압의 아크 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배전반은 이와 같은 사고에 의해 발생하는 고온, 고압의 아크 가스를 신속하게 외부로 방출하여 배전반의 전력 기기 및 인명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배전반은 외부의 이물질의 침입을 차단하여 내부 기기의 안정적인 운전을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IEEE C37.20.2에 따른 고압배전반 시험 항목에 있어서도, 온도시험, 내아크 시험 및 IP(Ingress Protection) 시험이 있다. 온도시험은 고압배전반 내에 고압, 고용량의 전류가 흐르면서 발생되는 열에 대한 내부 온도를 규정하고 있다. 내아크 시험은 고압배전반 내에 모의 단락사고를 일으켜 발생되는 아크가 고압배전반 외부로 원활히 방출될 수 있는 구조인지 확인하는 시험이다. IP시험은 IP등급에 따라 다양한 시험이 있으며, 일정 크기의 고체 또는 액체로부터 보호될 있도록 한다.
따라서, 배전반에는 아크 가스가 배출되는 경로를 구성하기 위해, 덕트가 설치된다. 배전반의 내부에서 발생한 아크 가스는 배전반에 마련된 배출구나 도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배전반에는 분진이나 이물질 또는 수분이 침입할 수 없도록 방수, 방진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특히, 다단으로 차단기실이 설치되는 다단 배전반은 그 구조가 복잡하므로 이와 같은 열방출 및 방수, 방진 기능은 더욱 면밀히 검토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종래기술에 따른 다단 배전반 구조가 나타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배전반(1)은 하단에 마련되는 제1 차단기실(first Circuit Breaker Compartment)(2)과 상단에 마련되는 제2 차단기실(second Circuit Breaker Compartment)(3), 그리고, 제1 차단기실(2)과 제2 차단기실(3)의 후방에 마련되는 모선실(Busbar Compartment, Mid Compartment)(4)과 케이블실(Cable Compartment)(5) 등으로 구성된다. 제1 차단기실(2)과 제2 차단기실(3)의 중간에는 저전압기기실(6, Low Voltage Compartment)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배전반에는 아크와 열이 배출될 수 있도록 덮개(Flap)(7)가 마련된다. 덮개(7)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아크 발생시에 그 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아크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덮개(7)는 평상시에는 덮여있으므로 열 방출에 있어서 불리한 구조이다. 즉, 각 차단기실(2,3)이 덮개(7)에 의해 밀폐되므로 내부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기 어려워서 내부 온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규격 IEEE C37.20.2의 온도성능을 확보하기 어렵다.
한편,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배전반에 있어 열 배출을 위해 상기 덮개(7)가 구비되는 대신에 개방부가 형성된 배전반이 있다. 이 경우에는 평상시 열 방출 기능에는 효과적이지만 방수, 방진 기능은 미흡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정상상태에서 효과적인 열 방출 및 방수, 방진 기능을 갖는 다단 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배전반의 열 배출 및 방진 시스템은 배전반 외함에 마련되는 복수의 격실; 상기 복수의 격실에 각각 복수로 구비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에는 열 방출을 위한 배출구가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격실은 제1단에 설치되는 제1 격실과 제2단에 설치되는 제2 격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격실과 제2 격실의 사이에 설치되고, 양측면에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열 배출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격실은 각각 상부의 상판, 측부의 양 측판, 후면부의 터미널판, 하부의 크래들판 및 전면부의 격실 도어로 둘러싸인 제1 영역; 상기 상판, 상기 양 측판, 후면부의 후면판, 하면부의 하판 및 전면부의 상기 터미널판으로 둘러싸인 제2 영역, 그리고, 상부의 상기 크래들판, 상기 양 측판, 후면부의 상기 터미널판, 하면부의 상기 하판 및 전면부의 상기 격실 도어로 둘러싸는 제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덮개 중에서 상기 제1 격실의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형성되는 덮개는 상기 열 배출실에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는 상기 덮개의 일부에 형성되는 방열홀과 상기 방열홀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일단이 상기 방열홀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타단이 상기 방열홀의 타측에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는 상기 크래들판, 터미널판, 후면판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판과 후면판에 형성되는 상기 배출구는 상기 커버부가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커버부의 개구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의 길이는 상기 방열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다단 배전반의 열 배출 및 방진 시스템에 의하면 정상상태에서 각 덮개에 배출구가 마련되어 효과적으로 열 방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는 각 패널에도 마련되어 열 배출에 효과적이다.
또한, 아크 발생시에는 덮개가 개방되어 아크 압력과 열을 단시간 내에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덮개에 형성된 방열홀은 커버부에 의해 가려지므로 외부의 이물질이나 수분의 침입이 최소화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다단 배전반의 내부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배전반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배전반에 적용되는 차단기실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배출구 부분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다단 배전반의 열 배출 및 방진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배전반의 열 배출 및 방진 시스템은 배전반 외함(11)에 마련되는 복수의 차단기실(circuit breaker compartment)(12,13); 상기 복수의 차단기실(12,13)에 각각 복수로 구비되는 덮개(flap)(43,44);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43,44)에는 열 방출을 위한 배출구(50,51)가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배전반의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배전반에 적용되는 차단기실의 사시도이다.
배전반의 외함(enclosure, cabinet)(11)을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외함(11)은 복수 개의 격실로 구획된다. 이러한 예로 배전반의 외함(11)은 차단기실(Circuit Breaker Compartment))(12,13), 저압기기실(Low Voltage Compartment)(14), 모선실(Busbar Compartment, Mid Compartment)(15) 및 케이블실(Cable Compartment)(16)을 포함할 수 있다.
다단 배전반은 2개 이상의 단에 각각 마련되는 차단기실(12,13)을 포함한다. 외함(11)의 제1단(하단)에 설치된 차단기실을 제1 차단기실(first Circuit Breaker Compartment)(12)이라 하고, 제2단(상단)에 설치되는 차단기실을 제2 차단기실(13)이라고 하기로 한다. 제1 차단기실(12)과 제2 차단기실(13)에는 차단기와 크래들이 각각 수용된다. 차단기와 크래들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각 격실을 차단기실이나 저압기기실 등으로 구체적으로 표현하였으나, 각 격실은 이외에 다른 용도로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제1 차단기실과 제2 차단기실을 일반적으로 표현하는 경우에는 제1 격실, 제2 격실이라고 할 수 있다.)
제1 차단기실(12)과 제2 차단기실(13) 사이에는 저압기기실(14)이 마련된다. 이때, 저압기기실(14)은 제1 차단기실(12) 및 제2 차단기실(13)의 길이(전후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저압기기실(14)에는 저압용 기기나 계기용 변압기나 변류기 또는 부속 기기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차단기실(12)과 제2 차단기실(13)의 후방에는 모선실(bus bar compartment)(15)과 케이블실(cable compartment)(16)이 순차적으로 마련된다.
제1 차단기실(12)과 제2 차단기실(13)의 사이의 중간단에는 열 배출실(또는 제1 아크 유도실)(20)이 마련된다. 열 배출실(20)은 저압기기실(14)과 같은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열 배출실(20)은 저압기기실(14)과 모선실(15)의 사이에 마련된다. 이는 열 배출실(20)이 차단기(미도시)의 후방에 배치되는 터미널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열 배출실(20)은 전방에 설치되는 저압기기실(14), 하방에 설치되는 제1 차단기실(12), 상방에 설치되는 제2 차단기실(13)에 접하게 된다.
열 배출실(20)의 좌,우 측면은 개방된다. 즉, 열 배출실(20)의 좌,우 측면에는 각각 개방부(2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열 배출실(20)은 열과 아크 가스가 유입될 뿐 아니라 좌,우 측방으로 흐를 수 있는 통로가 된다. 만일, 배전반이 다수개 병렬로 배치되는 경우(열반이라고 하기도 한다) 이 열 배출실(20)을 통해 열이나 아크 가스가 흘러나가게 된다.
차단기실(12,13)을 살펴보기로 한다. 각 차단기실의 구조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제1 차단기실(12)을 대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제1 차단기실(12)은 다수개의 패널(판)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단기실(12)은 상부에 배치되는 상판(Upper Panel)(31), 양 측면에 배치되는 측판(32), 하부에 배치되는 하판(33), 후면에 배치되는 후면판(34), 중간에 배치되 는 터미널판(35)과 크래들판(36)을 포함한다. 여기서, 터미널판(35)은 후면판(34)의 전방에 배치되고, 각 상의 터미널 부싱(38)이 고정된다. 또한, 크래들판(36)은 하판(33)의 상방에 배치되고, 차단기(미도시) 및 크래들(미도시)을 지지한다.
한편, 전면에는 차단기실 도어(37)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차단기실 도어(37)를 열고 차단기 및 트래들을 수납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제1 차단기실(12)에서 상판(31), 양 측판(32), 터미널판(35), 크래들판(36) 및 차단기실 도어(37)가 둘러싸는 제1 영역(A)이 좁은 의미의 차단기실이 될 수 있다. 제1 영역에는 차단기 및 크래들이 수납되는 공간이다. 따라서, 제1 영역은 아크가 직접적으로 발생 가능한 공간이다. 또한 열이 발생하는 곳이다.
제1 차단기실(12)에서 상판(31), 양 측판(32), 후면판(34), 하판(33) 및 터미널판(35)로 둘러싸인 제2 영역(B)은 내부 터미널(예를 들면, 크래들의 터미널)과 외부 터미널(예를 들면, 전원 터미널 또는 부하 터미널)이 접속되고 배치되는 공간이다. 따라서, 각 터미널에서 발생하는 열이 잔류하는 공간이다.
제1 차단기실(12)에서 크래들판(36), 양 측판(32), 터미널판(35), 하판(33) 및 차단기실 도어(37)가 둘러싸는 제3 영역(C)은 크래들의 부속 장치들이 배치되는 공간이다. 제3 영역에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서 발생하는 아크나 열의 영향을 받는 공간이다.
상판(31)에는 개방부(41,42)가 복수 개 형성되고 각 개방부(41,42)에는 덮개(43,44)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개방부(41,42)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43,44) 중에서 제1 영역에 설치되는 덮개를 제1 덮개(43)라고 하고, 제2 영역에 설치되는 덮개를 제2 덮개(44)라고 하기로 한다. 제1 덮개(43)와 제2 덮개(44)는 각각 상판(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제1 덮개(43)와 제2 덮개(44)는 힌지에 의해 회전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 덮개(43,44)에는 다수개의 배출구(50,51)가 형성된다. 배출구(50,51)는 복수의 행과 복수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배출구(50)는 상기 덮개(43)에 형성되는 방열홀(50a)과 상기 방열홀을 커버하는 커버부(50b)로 구성될 수 있다. 방열홀(50a)에 인접하여 일측으로 볼록한 형태의 커버부(50b)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커버부(50b)는 일단이 방열홀(50a)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타단이 방열홀(50a)의 타측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방열홀(50a)의 커버부(50b)는 각 방열홀(50a)마다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1 차단기실(12) 내부의 열이 방열홀(50a)과 커버부(50b)를 거쳐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와 같은 커버부(50b)와 방열홀(50a) 구조를 루버링(Louvering) 구조라고 칭하기도 한다.
각 덮개(43,44)에 배출구(50)가 형성되어 정상 상태에서는 내부의 열이 배출구(50)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고, 아크 발생시에는 각 덮개(43,44)가 개방되어 개방부(41,42)를 통해 아크가 외부로 빠져나간다.
한편, 상부에서 볼 때, 방열홀(50a)은 커버부(50b)에 의해 가려진다. 따라서, 외부의 분진이나 이물질이 침입은 최소한으로 차단된다. 또한, 각 덮개(43,44)에 형성되는 배출구(50,51)는 커버부(50b)로 인해 각 덮개(43,44)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고, 각 덮개(43,44)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커버부(50b)는 일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므로 열의 이동방향은 일측 방향으로 안내된다.
제1 영역의 열은 제1 덮개(43)의 제1 배출구(50)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고, 제2 영역의 열은 제2 덮개(44)의 제2 배출구(51)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간다. 즉, 제1 영역에서 발생하는 열과 제2 영역에서 발생하는 열이 모두 적절히 배출되는 배출로가 마련된다. (각 배출구를 구분하기 위해, 도면번호를 달리 하였으며, 각 배출구마다 도면에 별도로 표시하지는 않더라도, 방열홀은 첨자 a를 부기하고, 커버부는 첨자 b를 부기하여 구분 설명하기로 한다.)
크래들판(36)에는 후면판(34)에 인접하는 부분에 제3 배출구(52)가 복수 개 형성된다. 이때, 제3 배출구(52)의 커버부(52b)는 상방으로 볼록하도록 형성된다. 도한, 제3 배출구(52)의 커버부(52b)의 개구부는 후면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영역(A)의 하부에 잔류하는 열이 제3 영역(C)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터미널판(35)에는 터미널 부싱(38)의 하부에 제4 배출구(53)가 복수 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영역의 열이 제4 배출구(53)를 통해 제2 영역으로 유도된다. 제4 배출구(53)는 커버부(50b)의 개구부가 외측의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내부의 열이 외부를 향하기 유리하도록 형성되며, 외부의 이물질이 내부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한다.
후면판(34)에는 하부에 제5 배출구(54)가 마련된다. 제2 영역의 열이 제5 배출구(54)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간다. 또한, 제5 배출구(54)는 제4 배출구(53)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됨에 따라 제1 영역에서 제4 배출구(53)를 통해 빠져나온 열이 제5 배출구(54)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간다. 제5 배출구(54)는 커버부(54b)의 개구부가 외측의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내부의 열이 외부를 향하기 유리하도록 형성되며, 외부의 분진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한다.
하판(33)에는 제4 배출구(53)에 인접한 부분에 제6 배출구(55)가 형성된다. 제1 영역에서 제3 배출구(52)를 통해 빠져나온 열 및 제3 영역에 잔류하던 열이 제6 배출구(55)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간다.
제1 차단기실(12)에서 발생하는 열은 각 배출구(50~55)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의 열은 제1 배출구(50)를 통해 상방으로 배출되고, 제3 배출구(52) 및 제4 배출구(53)를 통해 하방 및 후방으로 빠져나간다.
제2 영역의 열은 제2 배출구(51)를 통해 상방으로 배출되고, 제5 배출구(54)를 통해 후방으로 빠져나간다.
제3 영역의 열은 제6 배출구(55)를 통해 하방으로 배출된다.
이때, 각 배출구(50~55)는 커버부(50b~55b)가 구비되어 외부의 이물질이나 분진의 침입이 최대한 억제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각 차단기실(12,13)이 다단 배전반에 적용된 것을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차단기실(12)은 배전반의 제1단(하단)에 설치되므로, 제1 영역(A)에서 제1 배출구(A50)를 통해 빠져나온 열 및 제2 영역(B)에서 제2 배출구(A51)를 통해 빠져나온 열은 열 배출실(20)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간다. 또한, 제3 영역(C)에서 제6 배출구(A55)를 통해 빠져나온 열은 하방으로 빠져나간다.
제2 차단기실(13)은 배전반의 제2단(상단)에 설치되므로, 제1 영역(A)에서 제1 배출구(B50)를 통해 빠져나온 열 및 제2 영역(B)에서 제2 배출구(B51)를 통해 빠져나온 열은 상방으로 빠져나간다. 또한, 제3 영역(C)에서 제6 배출구(B55)를 통해 빠져나온 열은 열 배출실(20)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간다. 여기서, 제1 차단기실(12)의 배출구와 제2 차단기실(13)의 배출구를 구분하기 위하여 각각 첨두어 A,B를 사용하였다.
각 차단기실(12,13)에서 제5 배출구(54)를 통해 빠져나온 열은 인접한 격실(예를 들면, 모선실)로 배출되어 각 차단기실(12,13)의 내부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출구에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커버부(50b)는 방열홀(50a)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방열홀(50a)을 완전히 커버할 뿐만 아니라, 커버부(50b)의 일단은 방열홀(50a)의 일측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방진 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다단 배전반의 열 배출 및 방진 시스템에 의하면 정상상태에서 각 덮개에 배출구가 마련되어 효과적으로 열 방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는 각 패널에도 마련되어 열 배출에 효과적이다.
또한, 아크 발생시에는 덮개가 개방되어 아크 압력과 열을 단시간 내에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덮개에 형성된 방열홀은 커버부에 의해 가려지므로 외부의 이물질이나 수분의 침입이 최소화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외함 12 제1 차단기실
13 제2 차단기실 14 저압기기실
15 모선실 16 케이블실
18,19 덮개 20 열 배출실
31 상판 32 측판
33 하판 34 후면판
35 터미널판 36 크래들판
41,42 개방부 43,44 덮개

Claims (10)

  1. 배전반 외함에 마련되는 복수의 격실;
    상기 복수의 격실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에는 열 방출을 위한 배출구가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격실은 제1단에 설치되는 제1 격실과 제2단에 설치되는 제2 격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격실과 제2 격실의 사이에 설치되고, 양측면에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열 배출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격실은 각각 상부의 상판, 측부의 양 측판, 후면부의 터미널판, 하부의 크래들판 및 전면부의 차단기실 도어로 둘러싸인 제1 영역; 상기 상판, 상기 양 측판, 후면부의 후면판, 하면부의 하판 및 전면부의 상기 터미널판으로 둘러싸인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덮개 중에서 상기 제1 격실의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형성되는 덮개는 상기 열 배출실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배전반의 열 배출 및 방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격실은 각각 상부의 상기 크래들판, 상기 양 측판, 후면부의 상기 터미널판, 하면부의 상기 하판 및 전면부의 상기 차단기실 도어로 둘러싸는 제3 영역을 더 포함하는 다단 배전반의 열 배출 및 방진 시스템.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덮개의 일부에 형성되는 방열홀과 상기 방열홀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다단 배전반의 열 배출 및 방진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일단이 상기 방열홀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타단이 상기 방열홀의 타측에서 이격되는 다단 배전반의 열 배출 및 방진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크래들판, 터미널판, 후면판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배전반의 열 배출 및 방진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판과 후면판에 형성되는 상기 배출구는 상기 커버부가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커버부의 개구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다단 배전반의 열 배출 및 방진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길이는 상기 방열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배전반의 열 배출 및 방진 시스템.
KR1020180172742A 2018-12-28 2018-12-28 다단 배전반의 열 배출 및 방진 시스템 KR102164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742A KR102164799B1 (ko) 2018-12-28 2018-12-28 다단 배전반의 열 배출 및 방진 시스템
CN201910925496.6A CN111384678B (zh) 2018-12-28 2019-09-27 多级配电箱的散热和防尘系统
US16/593,627 US10923890B2 (en) 2018-12-28 2019-10-04 Heat exhaust and dustproof system of multi-stage distributing 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742A KR102164799B1 (ko) 2018-12-28 2018-12-28 다단 배전반의 열 배출 및 방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292A KR20200082292A (ko) 2020-07-08
KR102164799B1 true KR102164799B1 (ko) 2020-10-13

Family

ID=71124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742A KR102164799B1 (ko) 2018-12-28 2018-12-28 다단 배전반의 열 배출 및 방진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23890B2 (ko)
KR (1) KR102164799B1 (ko)
CN (1) CN1113846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6462A1 (en) * 2021-09-07 2023-03-16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Electrical switchgear with improved coolin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1874A (ja) * 2000-11-14 2002-05-24 Fuji Electric Co Ltd 電力変換装置
KR200411963Y1 (ko) * 2006-01-11 2006-03-21 손석환 배전반의 방열장치
JP2007221878A (ja) 2006-02-15 2007-08-30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イッチギヤ
KR101570982B1 (ko) 2015-09-18 2015-11-23 주식회사 희성 배전반용 안전장치
US20170256922A1 (en) 2016-03-07 2017-09-07 General Electric Company Switchgear enclosure with interconnected exhaus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55287A (en) * 1931-02-06 1934-04-17 Ite Circuit Breaker Ltd Switchboard construction
US8451589B2 (en) * 2010-06-07 2013-05-28 Abd El & Larson Holdings LLC Multi-access switchgear assembly
KR101622445B1 (ko) * 2013-12-26 2016-05-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방압 통로 구조물이 구비된 배전반
CN205610041U (zh) * 2016-04-21 2016-09-28 象山艾尔沃特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散热防尘电力柜
CN206022984U (zh) * 2016-08-23 2017-03-15 珠海能超电气有限公司 一种高频开关电源电气柜
US10305262B2 (en) * 2016-09-26 2019-05-28 Bethel Idiculla Johnson Medium voltage switchgear enclos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1874A (ja) * 2000-11-14 2002-05-24 Fuji Electric Co Ltd 電力変換装置
KR200411963Y1 (ko) * 2006-01-11 2006-03-21 손석환 배전반의 방열장치
JP2007221878A (ja) 2006-02-15 2007-08-30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イッチギヤ
KR101570982B1 (ko) 2015-09-18 2015-11-23 주식회사 희성 배전반용 안전장치
US20170256922A1 (en) 2016-03-07 2017-09-07 General Electric Company Switchgear enclosure with interconnected exhaus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292A (ko) 2020-07-08
US10923890B2 (en) 2021-02-16
CN111384678B (zh) 2022-03-04
US20200212657A1 (en) 2020-07-02
CN111384678A (zh)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99189C (en) Arc resistant switchgear vertical exhaust system
US7952857B1 (en) Arc-resistant switchgear enclosure with ambient air ventilation system
CA2826844C (en) Arc-resistant switchgear enclosure with vent arrangement of a lower compartment
US8733855B2 (en) Arc resistant switchgear modular compartment for instrumentation and circuit breakers
US9117607B2 (en) Muffler for enhanced arc protection
KR102064422B1 (ko) 다단 배전반의 아크 배출 시스템
KR101636343B1 (ko) 금속폐쇄형 스위치기어
JP5275263B2 (ja) スイッチギヤシステム
KR101145723B1 (ko) 폐쇄배전반
KR102164799B1 (ko) 다단 배전반의 열 배출 및 방진 시스템
JP4988833B2 (ja)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KR102055151B1 (ko) 배전반
US20040026377A1 (en) Arc extinguisher with an attachment for low voltage switchgear
US11159000B2 (en) Front connected switchgear assembly having an integrated arc flash venting system
KR102160052B1 (ko) 배전반의 아크 배출 시스템
US11637415B2 (en) Arc ventilation system of distributing board
KR20200001522U (ko)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
WO2019224974A1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102638229B1 (ko)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
KR102648597B1 (ko) 배전반의 아크 배출 시스템
JP4519076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102467791B1 (ko) 주회로부 덮개를 갖는 회로 차단기
JPH10248123A (ja) 多段積載遮断器収納スイッチギヤ
KR100475073B1 (ko) 가스절연 배전반의 부싱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