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5101B1 - 발전기등 통전시험용 간이형 부하저항기 - Google Patents

발전기등 통전시험용 간이형 부하저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5101B1
KR100205101B1 KR1019950040029A KR19950040029A KR100205101B1 KR 100205101 B1 KR100205101 B1 KR 100205101B1 KR 1019950040029 A KR1019950040029 A KR 1019950040029A KR 19950040029 A KR19950040029 A KR 19950040029A KR 100205101 B1 KR100205101 B1 KR 100205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resistors
load
fram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0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8593A (ko
Inventor
도요시 곤도
Original Assignee
도요시 곤도
가부시키 가이샤 다쓰미료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시 곤도, 가부시키 가이샤 다쓰미료키 filed Critical 도요시 곤도
Priority to KR1019950040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5101B1/ko
Publication of KR970028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8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1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20Modifications of basic electric elements for use in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Structural combinations of such elements with such instruments
    • G01R1/203Resistors used for electric measuring, e.g. decade resistors standards, resistors for comparators, series resistors, shu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s Of Circuit Breakers, Generators, And Electric Motors (AREA)

Abstract

목적 : 본 발명은, 제조코스트가 싸고 또는 휴대운반에 편리하며, 시험조작 취급이 간단하고 또한 안전성에 뛰어난 발전기 등 통전시험용 간이형 부하저항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성 : 본 발명은, 네모꼴 형상으로 틀을 짠 각 프렝임(13)과, 상기 각 프레임(13)내에 평행간격을 두고 여러개 장착되는,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는 기본체(1)와 그 기본체(1)의 외주 긴쪽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여러개 장착되며, 기본체(1) 외주로부터 바깥측으로 대략 고리형상으로 펼쳐나오는 펼쳐나옴편(2…)와 상기 기본체(1)내부에 설치되는 저항용 소재(3)와 그 저항용 소재(3)와 상기 기본체(1)의 내벽과의 사이에 충전된 절연부재(4)와, 상기 기본체(1) 양단부와 그 기본체(1) 양단부로부터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저항용소재(3)에 접속된 접속용 단자(5)와의 사이에 개재된 절연부재(6)를 가지는 부하저항기용 저항체(10)와, 상기 여러개의 부하저항기용 저항체(10…)가 이웃하는 접속용 단자(5…)서로를 접속해서 형성한 저항체회로(12)와, 대략 네모꼴 형상을 이루는 본체 프레임(11)내에 상기 여러개의 저항체회로(12…)를 여러단 혹은 여러개의 열로 하여 짜 넣고, 또한 각각 이웃하는 저항체회로(12,12)에 있어서는, 그 저항체 회로(12…)의 부하저항기용 저항체(10…)서로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여 형성한 저항체 회로군(30)과, 그 저항체 회로군(30)이 설치되는 케이스(31)와, 상기 저항체 회로군(30)의 근방 위치에 인접된 냉각용팬(24)과, 상기 케이스(31)의 전면부에 장착된 캐스터(35…)와, 상기 냉각팬(24)의 외측에 장착된 틀 형상 보강제(33)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발전기등 통전시험용 간이형 부하저항기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부하저항기용 저항체의 개략구성 설명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저항체회로의 개략구성 설명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개략구성 설명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저항체회로의 개략구성 설명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3저항체회로의 개략구성 설명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저항체회로의 개략구성 설명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개략구성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본체 2 : 펼쳐나오기 편
3 : 저항용 소재 4 : 절연부재
5 : 출력단자 6 : 절연부재
10 : 부하저항기용 저항제 11 : 본체프레임
12 : 저항체 회로 13 : 각 프레임
14 : 접속부재 24 : 냉각팬
30 : 저항체 회로군 31 : 케이스
33 : 틀형상 보강재 34 : 전환스위치
35 : 캐스터
본 발명은, 예를들면 발전기의 통전시험에 부하저항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간단히 휴대운반할 수 있고, 또한 조작이 간단하여 누구나 신속히 통전시험할 수 있는 발전기등 통전시험용 간이형 부하저항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발전기의 통전시험에 사용되는 부하저항기로서는, 일반적으로 물을 저항체로서 사용한 물 저항기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물저항기는, 대량의 물을 필요로 함과 동시에, 장치가 대형화되며, 또한 시험조작에 시간이 걸린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 시험동작중에 저항체로서 사용하는 물은, 상기와 같이 대량이 필요하므로, 순환시켜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미 사용한 물을 불순물이 많이 혼합되어 있으므로, 사용한 물을 여과하여 사용하지 않으면 않되고, 그 때문에 설비도 복잡화되며, 또한 코스트도 높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발전기의 부하저항기로서 물을 사용하지 않는 타이프의 이른바 통전시험에 사용되는 저항수를 물이 아닌 금속제의 부재로 구성한 발전기등 통전시험용 부하저항기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더욱이, 휴대 운반이 편리하고, 간단히 조작할 수 있는 발전기등 통전시험용 간이형 부하저항기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이며, 제조코스트가 싸고, 또한 운반에 편리하여 시험조차 취급이 간단하고도 또한 안정성이 뛰어난 발전기등 통전 시험용 간이형 부하저항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네모꼴 형상으로 틀이 짜여진 각(角)프레임(13)과, 상기 각 프레임(13)내에 평행간격을 두고 여러개 장착되는,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는 기본체(1)와 그 기본체(1)의 외주 긴쪽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여러개 장착되고, 기본체(1) 외주로부터 바깥측으로 대략 고리형상으로 펼쳐나오는 펼쳐나옴편(2…)와, 상기 기본체(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저항용 소재(3)와 그 저항용 소재(3)와 상기 기본체(1)의 내벽과의 사이에 충전된 절연부재(4)와 상기 기본체(1)의 양단부와 그 기본체(1)의 양단부로부터 바깥측에 배치되고, 상기 저항용 소재(3)에 접속된 접속용 단자(5)와의 사이에 개재된 절연부재(6)를 가지는 부하저항기용 저항체(10)와, 상기 여러개의 부하저항기용 저항체(10…)가 이웃하는 접속용 단자(5…)서로를 접속해서 형성한 저항체회로(12)와, 대략 네모꼴 형상을 이루는 본체프레임(11)내에 상기 여러개의 저항체회로(12…)를 여러단 혹은 여러개 열로 하여 짜넣고, 또한 각각 이웃하는 저항체 회로(12,12)에 있어서는, 그 저항체 회로(12…)의 부하저항기용 저항체(10…)서로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여 형성한 저항체 회로군(30)과, 그 저항체 회로군(30)이 설치되는 케이스(31)와, 상기 저항체 회로군(30)의 근방 위치에 인접된 냉각용 팬(24)과, 상기 케이스(31)의 저면부에 장착된 캐스터(35…)와, 상기 냉각팬(24)의 바깥측에 장착된 틀 형상 보강재(33)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발전기등 통전시험용 간이형 부하저항기에서는, 제조가 간단하고, 또한, 부하저항기에 사용시 발전기의 발전시험에서의 시험조작을 누구나 간단하게 행할 수가 있으며, 더구나 휴대운반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그 절연대책도 충분하므로, 안전하게 발전기등의 통전시험(부하시험)을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따라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발전기등 통전시험용 부하저항기에 사용되는 부하저항기용 저항체(10)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1도에서 부호 1은 기본체를 나타낸다. 그 기본체 1은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며, 통상은 대략 1미터정도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기본체(1)의 외주 긴쪽 방향에는 대략 7밀리미터 정도의 간격을 두고 기본체(1) 외주에 대략 고리형상으로 펼쳐 나오는 여러개의 펼쳐나옴편(2…)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기본체(1) 내부에는 전열선등의 저항용 소재(3)가 배치되고, 이 저항용 소재(3)에 통전되며, 그 부하저항기용 저항체(10)를 통해서 발전기등이 정상적으로 발전되고 있는지 여부의 통전시험이 행하여지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한 여러개의 펼쳐나옴편(2…)은, 이 저항용 소재(3)에 통전하였을 때에 생기는 열을 방열하는 기능을 다한다.
여기에서, 저항용 소재(3)의 양단은, 기본체(1)의 양측단에 설치된 접속용 단자(5,5)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저항용 소재(3)와 기본체(1)의 내벽과의 사이에는 통전되는 저항용 소재(3)와 기본체(1)를 절연시키기 위하여, 대략 분말형상으로 구성된 절연부재(4)가 충전되어 있다.
또한, 제1도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저항용 소재(3)에 접속된 접속용 단자(5,5)와 기본체(1)의 양단부 사이에는 절연부재(6)가 개재되어 있다.
이상에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사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부하저항기용 저항체(10)는, 통상, 예컨대 제2도, 제3도에서와 같이, 부하저항기 내에 여러개(102개 정도)가 설치되어서 사용된다.
그리고, 이 부하저항기용 저항체(10)는, 1개당 예로서, 정격 전압 116V, 정격용량 1.67KW, 절연내력 1500V/1분간 등의 규격으로 구성되며, 400V 혹은 200V의 이른바 저압용 발전기의 통전시험에 여러개 사용되게 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저항체회로(12)는 제2도에서 알 수 있듯이, 우선 4각 형상의 각 프레임(13)내에 위에 설명한 부하저항기용 저항체(10…)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여러개(본 실시예에서는 9개 정도)장착되어 있으나, 그중의 여러개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즉, 하나의 저항체회로(12)에서 가령 400V의 전압에 견딜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2개의 부하저항기용 저항체(10,10)가 필요하게 되며, 그 2개의 부하 저항기용 저항체(10,10)를 직렬 접속하기 위하여 이들 접속용 단자(5,5) 서로를 접속부재(14)로 접속하는 것이다.
그 저항체 회로(12)의 전개예를 제4도에 도시한다. 이 제4도에 도시하는 회로형태에서는, 시험말 발전기가 3상 교류 타이프이므로 이에 맞추어 3상 교류타입로하고, 합계 6개의 부하저항기용 저항체(10…)를 사용하여 하나의 저항체 회로(12)를 구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각 프레임(13)속에 장착된 9개중, 6개로 하나의 저항체회로(12)가 구성되게 된다.
이에 의하여, 하나의 해당저항체회로(12)에서 400V의 전압으로 약 10KW의 용량의 것을 통전시험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이와 같이 각종의 저항체회로(12)의 형태가 구성, 결정되고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10KW의 용량의 것이 3개회로(여기에서는 앞서 설명과 같이 1개 회로에 6개가 필요하게 되므로, 합계 부하저항기용 저항체(10)수는 18개, 따라서 각 프레임(13)에는 9개 장착되어 있으므로, 2열의 각 프레임(13,13)이 필요하게 된다.), 20KW용량의 것이 6개 회로(여기에서는 1개 회로에 12개 필요하므로, 합계부하 저항기용 저항체(10)의 수는 72개, 따라서 8열의 각 프레임(13…)이 필요하게 된다.) 5KW 용량의 것이 2개회로(이 부하저항기용 저항체(10)로서는, 정격전압 116V, 정격용량 0.833KW, 절연내력 1500V/1분간의 규격의 것이 준비되고, 그 부하저항기용 저항체(10)는 12개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2열의 각 프레임이 필요하게 된다.)설치되게 된다.
또한, 제4도에서 도시하는 2점 쇄선과 같이, 또 제6도에서 도시하는 파선과 같이 결선하면, 제5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은 회로 구성으로 할 수가 있으며, 200V의 전압으로 이루어지는 발전기의 통전시험에 대응할 수 있는 저항체회로(12)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체프레임(11)내에 여러개 열의 각 프레임(13…)이 짜넣어져서 저항체회로군(30)이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제3도에서 알 수 있듯이, 도면이 향하여 좌측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두 번째에 설치된 각 프레임(13)은, 가장 외측의 열에 위치하는 각 프레임(13)에 장착된 9개의 부하저항기용 저항체(10…)의 대략 중간위치에 위치하도록, 즉, 각각 엇갈려서 위치하도록 여러개 장착되어 있다.
이것은 각 부하저항기용 저항체(10…)에 전류가 흐르면, 상당한 고온으로 발열하기 때문에, 냉각팬(24)에 의하여 그 부하저항기용 저항체(10…)의 냉각작업이 행하여져야만 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냉각팬(24)에 의한 냉각작업이 효율적으로 행하여지도록 하기 위하여, 이른바 복수설치된 부하저항기용 저항체(10…)가 서로 엇갈리게 해서, 바람이 잘 맞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앞서의 설명과 같이 여러개의 부하저항기용 저항체(10…)를 장착한 각 프레임(13)은 본체프레임(11)속에 여러 단 혹은 여러개 열이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예로서 10KW정도 용량의 것에서부터 160KW정도 용량의 발전기 시험이 가능하게 된다. 이들 용량이 다른 발전기의 시험을 할 때에는, 마그네트 스위치(도시생략)등을 전환하는 전환스위치(34…)의 조작에 의해서 행하면 된다.
그런데, 냉각팬(24)은 상기 저항체 회로군(30)을 구성하는 여러개의 부하 저항기용 저항체(10…)를 효율적으로 냉각하도록 그 저항체 회로군(30)에 인접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 케이스(31)의 저면부에는 캐스터(35…)가 여러개 장착되어, 용이하게 이동, 운반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팬(24)의 외측에 네모꼴 형상으로 돌출하는 틀형상 보강재(33)가 설치되고, 이 틀형상 보강재(33)를 저면부로하여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시험을 행하는 장소에 따라서는, 냉각팬(24)에 의한 송품을 가로측 방향(수평방향)으로 보낼 수 없는 장소도 있으며, 그러한 장소에서는 냉각팬(24)을 아래측에 되도록 설치하여 송풍방향을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이상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물을 전연 필요로 하지 않는, 이른바 건식타이프의 발전기등 통전시험용의 부하저항기를 싼값으로 제공 가능하며, 또한 시험조작 취급도 간단하고 안정성이 뛰어난 발전기등 통전시험용의 부가저항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원통형상인 기본체(1)와, 그 기본체(1)의 외주 긴 쪽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여러개 장착되고, 기본체(1) 외주로부터 바깥쪽으로 고리형상으로 펼쳐나오는 펼쳐나옴편(2…)으로 구성된 부하저항기용 저항체를 포함하는 통전시험용 간이형 부하저항기에 있어서, 상기 기본체(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저항용 소재(3)와, 그 저항용 소재(3)와 상기 기본체(1)의 내벽과의 사이에 충전된 절연부재(4)와, 상기 기본체(1)의 양단부와, 그 기본체(1)의 양단부로부터 바깥측에 배치되고, 상기 저항용 소재(3)에 접속된 접속용 단자(5)와의 사이에 개재된 절연부재(6)를 가지며, 네모꼴 형상으로 틀을 짠 각 프레임(13)내에 평행간격을 두고 여러개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여러개의 부하저항기용 저항체(10…)와 이웃하는 접속용 단자(5…)서로를 접속하여 형성한 저항체회로(12)를 네모꼴 형상을 이루는 본체프레임(11)내에 여러단 또는 여러개의 열로 하여 짜 넣고, 각각 이웃하는 저항체회로(12,12)에 있어서는 그 저항체회로(12…)의 부하저항기용 저항체(10…)서로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여서 형성한 저항체 회로군(30)과, 그 저항체 회로군(30)이 설치되는 케이스(31)와, 상기 저항체회로군(30)의 근방위치에 인접된 냉각용 팬(24)과, 상기 케이스(31)의 저면부에 장착된 캐스터(35…)와, 상기 냉각팬(24)의 바깥측에 장착된 틀 형상 보강재(33)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등 통전시험용 간이형 부하저항기.
KR1019950040029A 1995-11-07 1995-11-07 발전기등 통전시험용 간이형 부하저항기 KR100205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0029A KR100205101B1 (ko) 1995-11-07 1995-11-07 발전기등 통전시험용 간이형 부하저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0029A KR100205101B1 (ko) 1995-11-07 1995-11-07 발전기등 통전시험용 간이형 부하저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8593A KR970028593A (ko) 1997-06-24
KR100205101B1 true KR100205101B1 (ko) 1999-06-15

Family

ID=19433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0029A KR100205101B1 (ko) 1995-11-07 1995-11-07 발전기등 통전시험용 간이형 부하저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51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300Y1 (ko) * 2017-06-07 2018-09-13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과부하 차단기의 작동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휴대용 과부하 테스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300Y1 (ko) * 2017-06-07 2018-09-13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과부하 차단기의 작동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휴대용 과부하 테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8593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12040C2 (ru) Испыт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ухой нагрузки
JP5265264B2 (ja) 乾式負荷試験装置
US2874317A (en) Electrical machines and change-over plates therefor
AR007335A1 (es) Motor electrico que comprende al menos un devanado y planta electrica de alto voltaje que comprende uno o mas de dichos motores
US7645145B2 (en) Composite plug and electric circuit system
CN101926025A (zh) 具有均匀直流环境的便携式电源组
RU2554604C1 (ru) Машина для испытаний под нагрузкой
JP3718875B2 (ja) 発電機通電試験用簡易型負荷抵抗器
JPH0915307A (ja) 発電機等通電試験用負荷抵抗器
KR100205101B1 (ko) 발전기등 통전시험용 간이형 부하저항기
US6078171A (en) Dry type load resistor for testing generators or the like
KR100215225B1 (ko) 발전기등통전 시험용 부하 저항체 및 저항기
US3632915A (en) High-current electrical switching unit enclosed by a housing of spaced conductive bars and removable insulating plates
ATE55518T1 (de) Stator mit supraleitenden dreiphasenwicklungen.
US3452271A (en) Apparatus for testing relays for operability,continuity and leakage
US3378764A (en) Electrical continuity and short circuit testing device employing illuminated indicators
WO2016181680A1 (ja) 負荷試験装置、負荷試験装置のキャップ
US3273053A (en) Multiple connected transformer
JPH0915308A (ja) 負荷抵抗器用抵抗体
US4174509A (en) Furnace transformer having a low-voltage internally-connected delta winding
JP3445014B2 (ja) 同軸回転切換接触器を備えたインパルス電圧発生器
US3029579A (en) Selector switch mechanism
IT9019947A1 (it) Cablaggio modulare in macchine lavastoviglie per uso domestico
US3334289A (en) Cascaded voltage balancing circuit
US3746928A (en) Dual-voltage transformer with coordinated fu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