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0846A - 경표면용 오염방지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경표면용 오염방지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0846A
KR20010100846A KR1020010015635A KR20010015635A KR20010100846A KR 20010100846 A KR20010100846 A KR 20010100846A KR 1020010015635 A KR1020010015635 A KR 1020010015635A KR 20010015635 A KR20010015635 A KR 20010015635A KR 20010100846 A KR20010100846 A KR 20010100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ether
acid
oil
vinyl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5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노마사토
나카지마히로시
스즈키아야코
미야케히로시
Original Assignee
다카하시 미치나오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하시 미치나오,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하시 미치나오
Publication of KR20010100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084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3Solv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세정효과 뿐만 아니라, 세정표면으로 오염물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함께 보유한, 플라스틱, 스텐레스, 홀로, 타일, 유리, 도자기 등의 경표면, 특히 욕실, 부엌싱크대의 세정, 오염방지용으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경표면용 오염방지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기 (A)성분 및 하기 (B)성분을 함유하고, 또 (A)성분/(B)성분이 1/1.25~1/100(질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표면용 오염방지세정제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A)성분: (a)음이온성기 함유 바닐계 단량체, (b)양이온성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 (c)비이온성 비닐계 단량체로 이루어지며, (a)/(b)=80/20~20/80(질량비), (c)/[(a)+(b)+(c)]=0~50(질량%)인 공중합 고분자.
(B)성분: 계면활성제.

Description

경표면용 오염방지세정제 조성물{ANTI-GRIME DETERGENT COMPOSITION FOR HARD SURFACE}
본 발명은 높은 세정효과와 함께, 세정표면으로 오염물질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보유한, 플라스틱, 스테인레스, 홀로, 타일, 유리, 도자기 등의 경표면, 특히 욕실, 세면대, 부엌의 싱크대의 세정, 오염방지용으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경표면용 오염방지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의 욕조, 바닥, 벽, 천정, 배수구, 거울 및 세면기, 의자 등의 용구류나 세면대, 부엌의 싱크대, 계수관 상부, 또한, 화장실의 변기, 변기의자 등의 플라스틱(강화 플라스틱, 인조대리석을 포함), 스텐레스, 홀로, 타일, 유리, 도자기 등으로 이루어진 경표면에는 그 사용장 바닥면에 따라서 다양한 오염물이 부착되어 있다.
예를 들어, 욕실의 경우는 단백질 등의 질소함유 화합물, 유리지방산, 글리세리드류, 지방산 금속염 등이 있고, 세면대의 경우는 지방산 금속염 등이 있으며, 부엌의 싱크대, 작업대 상부에는 조리시나 뒷처리정돈시에 식용유나 식재로부터 비롯된 기름때 등이 있고, 또한 화장실에는 변뇨 등의 배설물에 의한 오염이 있다.
또한, 이러한 경표면은 항상 수도물 등과 반복적으로 접촉, 건조되기 때문에, 수도물로부터 발생하는 규산찌꺼기나 탄산찌꺼기가 국소적으로 농축되어 부착되고, 일반적으로 워터스폿(water-spot) 혹은 물때라고 불리는 오염물이 된다.
이러한 오염물에 대해서는, 다양한 세정제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지만 종래의 세정제 조성물의 효과는, 단순히 오염물의 제거를 목적으로 한 것이었고, 표면의 개질에 의한 세정후의 경표면으로의 오염물의 부착방지효과, 혹은 완전히 방지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는 오염물의 부착을 경감시키는 효과를 부여하며, 재세정할 경우에 다시 청소해야 하는 노력과 빈도를 경감시킨다는 점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되어있지 않다.
한편, 일본국 특허공개 소 51-83608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 2-269200호 공보, 동 5-279696호 공보, 특허공표 평 8-510276호 공보 등에는 아미노실록산 등과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 음이온, 비이온, 특정한 술포베타인 등을 함유하는 것, 알킬글리코시드와 특정한 베타인 등을 함유하는 것, 비이온, 특정한 음이온 중합체를 포함하는 액체혼합물 등에 의해 세정후의 경표면으로 오염물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현하는 것이 확인된 세정제 조성물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보에 개시되는 세정제조성물에서도 오염물 부착방지효과, 효과의 지속성 등이 충분한 수준이라고 말할 수 없고, 특히 욕실이나 부엌의 싱크대 등과 같이 세정조작후에 헹굼처리를 행하거나, 설비특성때문에 반복적으로 수돗물에 접촉되는 표면에서는 효과의 지속성의 면에서 만족할 수 있는 정도가 되지 않고, 실제로 청소의 노력을 저감시키는 정도까지는 도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과제가 있다.
또한, 일본국 특허공개 소 62-260895호 공보에는 특정한 양성고분자 화합물과 계면활성제를 병용함으로써, 플라스틱표면 등의 청정화와 동시에, 대전방지 마무리를 행하지 않은 진공중의 티끌과 먼지 등의 부착을 제어하고, 또한 거울에 사용한 경우에는 서리를 방지하는 효과를 보유하는 액체청정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액체청정제는 처리표면으로의 양성 고분자화합물의 흡착력이 충분하지 않고, 욕실이나 부엌의 싱크대 등과 같이 세정조작후에 헹굼처리를 행하거나, 설비의 특성때문에 수돗물에 반복적으로 접촉되는 표면에서는 효과의 지속성의 면에서 만복할 수 있는 정도로 되지 않으며, 욕실이나 싱크대 등의 각종의 오염에 대한 오염방지 효과도 만족스럽지 않다는 점에서 과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대전방지 및 서리방지효과의 발현에는 양성고분자 화합물을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등량 이상으로 사용하는 것이 그 특징이며, 보다 고가인 양성 고분자화합물을 많이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점에서 경제적으로도 유리하지 않다.
특히, 세정대상이나 부착되는 오염물의 종류, 또는 포립(泡立)성능과의 균형을 맞추기위해서 계면활성제를 약 1% 이상 필요로 하는 세정제의 경우에는, 보다 많은 양성 고분자화합물을 첨가할 필요가 있으며, 경제적으로 유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양성 고분자화합물로부터 비롯한 더러움의 발생이나 불필요한 점도상승 등이 발생하고, 상품으로서의 외관, 사용시 편리함 등의 측면에서 만족할 수 없다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 및 현상을 감안하여, 이것을 해소하도록 하는 것이며,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고 높은 세정효과를 보유하며 또 세정조작후에 헹굼처리를 행하거나, 설비의 특성때문에 수돗물에 반복적으로 접촉하는 표면에서도 충분한 오염물 부착방지 효과를 함께 보유하고 있으며, 플라스틱, 스텐레스, 홀로, 타일, 유리, 도자기 등의 각종 경표면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경표면용 오염방지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의 과제 등을 해소하기 위해서, 세정대상 표면의 충분한 친수화, 또는 친수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인 각종 유성오염물의 부착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마찬가지로 친수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수돗물의 국소적인 농축으로 인한 물방울의 형성을 제어하여 워터스폿 오염물의 부착을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예의연구를 거듭한 결과, 음이온성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 양이온성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 및 비이온성 비닐계 단량체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몰비 및 중량비 등을 특정함과 동시에, 이들에 특히 특정의 바람직한 배합제를 다시 배합함으로써, 상기 목적의 충분한 오염물 부착방지효과를 함께 보유한, 플라스틱, 스텐레스, 홀로, 타일, 유리, 도자기 등의 각종 경표면에 적합하게 사용가능한 경표면용 오염방지세정제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의 경표면용 오염방지세정제 조성물은 다음의 (1)~(3)으로 이루어진다.
(1) (A) (a)음이온성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 (b)양이온성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 (c)비이온성 비닐계 단량체로 이루어지며, (a)/(b)=80/20~20/80(몰비), (c)/[(a)+(b)+(c)]=0~50(질량%)인 공중합 고분자, 및
(B)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또 상기 (A)성분/(B)성분이 1/1.25~1/100(질량비)인 경표면용 오염방지세정제 조성물.
(2) (A)(a)음이온성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 (b)양이온성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 (c)비이온성 비닐계 단량체로 이루어지며, (a)/(b)=80/20~20/80(몰비), (c)/[(a)+(b)+(c)]=0~50(질량%)인 공중합 고분자, 및
(C)금속이온봉쇄제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경표면용 오염방지세정제 조성물.
(3) (A)(a)음이온성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 (b)양이온성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 (c)비이온성 비닐계 단량체로 이루어지며, (a)/(b)=80/20~20/80(몰비), (c)/[(a)+(b)+(c)]=0~50(질량%)인 공중합 고분자, 및
(D)용제를 함유하는 경표면용 오염방지세정제 조성물.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경표면용 오염방지세정제 조성물은 [1] 제1발명으로, 하기 (A)성분 및 하기 (B)성분을 함유하고, 또 (A)성분/(B)성분이 1/1.25~1/100(질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2] 제2발명으로, 하기 (A)성분 및 하기 (C)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3] 제3발명으로, 하기 (A)성분 및 하기(D)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성분:(a)음이온성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 (b)양이온성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 (c) 비이온성 비닐계 단량체로 이루어지며, (a)/(b)=80/20~20/80(몰비), (c)/[(a)+(b)+(c)=0~50(질량%)인 공중합 고분자.
(B)성분: 계면활성제
(C)성분: 금속이온 봉쇄제 또는 그 염
(D)성분: 용제
본 발명의 제1발명~제3발명(이하, 간단히 「본 발명」이라고 함)에서, (A)성분은 a)음이온성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 (b)양이온성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 c)비이온성 비닐계 단량체로 이루어지며, 이 (a)/(b)는 80/20~20/80(몰비)이고, 또 (c)/[(a)+(b)+(c)]는 0~15(질량%, 이하 간단히 「%」라고 함)인 공중합 고분자가 사용된다.
이 (A)성분에서 a)음이온성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는 분자내에 1개 이상의 음이온성기를 갖는 것이기만 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음이온성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비닐술폰산, 아릴술폰산, 메타릴술폰산, 스티렌술폰산 등의 술폰산류,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인산 등의 카르복실산류, 또는 그 염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닐기를 보유하는 카르복실산류 또는 그 염,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음이온성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는 1종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b)양이온성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는 분자내에 1개 이상의 양이온성기를 갖는 것이기만 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양이온성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I) 및 (II)로 표시되는 비닐계 단량체를 들 수 있다.
[식중, R1은 H 또는 메틸기를 표시하고, Y는 산소원자 또는 NH기를 표시하며, A는 탄소수 1~8의 직쇄 또는 분기상 알킬기를 표시하는데, 이것은 수산기를 1개 이상 포함하여도 좋다. R2, R3는 H 또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표시한다.]
[식중, R4는 H 또는 메틸기를 표시하고, Z는 산소원자 또는 NH기를 표시하며, B는 탄소수 1~8의 직쇄 또는 분기상 알킬기를 표시하는데, 이것은 수산기를 1개 이상 포함하여도 좋다. R5, R6, R7은 H 또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표시하고, X-는 염을형성하는 염소, 브롬 등의 짝이온을 표시한다.]
상기 일반식(I) 및 (II)로 표시되는 비닐계 단량체로는, 구체적으로 아크릴산-N,N-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산-N,N-디에틸아미노에틸, 아크릴산-N,N-디프로필아미노에틸, 메타크릴산-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산-N,N-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산-N,N-디프로필아미노에틸 등의 아크릴산-N,N-디알킬아미노알킬, 메타크릴산-N,N-디알킬아미노알킬 및 이들의 할로겐화 알킬에 의한 4급화물 등, 또한, N-[(N,N-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아미드, N-[(N,N-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N-[(N,N-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N-[(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아미드, N-[(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N-[(N,N-디에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등의 N-[(N,N-디알킬아미노)알킬]아크릴아미드, N-[(N,N-디알킬아미노)알킬]메타크릴아미드 및 이들의 할로겐화 알킬에 의한 4급화물 등이 있고, 상기 할로겐화 알킬로는 예를 들어, 염화메틸, 염화에틸, 브롬화메틸, 브롬화에틸, 요오드화메틸, 벤질클로라이드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N,N-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클로라이드염, 메타크릴산-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클로라이드염 등이다.
이러한 양이온성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는 1종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c)비이온성 비닐계 단량체는 이온성기를 보유하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탄소수 1~30의 직쇄 또는 분기쇄상의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류 및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류,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등이 있다.
바람직한 것은, 물에 불용성인 비이온성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이며, 예를 들어, 탄소수 2~30의 직쇄 또는 분기쇄상의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류 및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류,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등이 있으며, 그 구체예로는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프로필, 아크릴산부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프로필, 메타크릴산부틸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한 「수불용성」이라는 것은, 25℃에서 물에 대한 용해도가 2% 이하인 것을 말한다.)
이러한 비이온성 비닐계 단량체는 1종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A)성분의 공중합 고분자는 상기 a), b)의 2구성 단위, 또는 a), b) 및 c)의 3구성단위로 이루어진 것이며, 각 구성단위 a), b), c)는 각각 1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조합시킨 것이어도 좋다.
또한, a), b), c)의 각 단량체의 구성비는 (a)/(b)=80/20~20/80(몰비)이며, 바람직하게는 70/30~25/75(몰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40~30/70(몰비)이고, 또 전체 단량체 중에서 차지하는 c)의 비율, 즉 (c)/[(a)+(b)+(c)]가 0~50(%), 바람직하게는 0.01~30(%),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5(%)로 할 필요가 있다.
상기 a)와 b)의 비가 80/20~20/80의 범위 밖으로 되는 경우에는, 공중합 고분자가 처리표면에 충분하게 흡착되지 않고, 만족할 수 있는 요염방지 효과가 얻어지지 않으며, 또한 c)가 50%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는, 친수성의 향상이 불충분하여만족스러운 오염방지 효과가 얻어지지 않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A)성분의 공중합 고분자는 그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용매로 물(예를 들어, 이온교환수)을 사용하고, 안정하게 공중합시키기 위해서 단량체혼합용액, 바람직하게는 혼합용액의 pH를 황산, 시트르산 등으로 6.0 이하로 조정한 단량체 혼합용액과 개시제 용액(과황산나트륨 등의 과산화물)의 각각을 연속적으로 중합용매에 적하하는 용액 라디칼중합, 중합온도 50~95℃, 중합시간 1~12시간 정도로 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성분의 공중합 고분자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는데, 그 배합량은 세정제 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0.01~10%, 바람직하게는 0.1~5%, 보다 바람직하게는 0.2~3%이다.
(A)성분의 배합량이 0.01% 미만이면 충분한 오염방지 효과 및 효과의 지속성이 얻어지지 않고, 또 10%를 초과하여 배합하여도 그 이상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아서 경제적이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발명에는 (B)성분으로 계면활성제가 사용된다. (B) 성분의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세정해야할 경표면에 부착되는 오염물에 대한 세정력, 포립성, 헹굼성, 피부에 대한 마일드성, 표본성 등의 요구되는 성능에 따라서 적당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의 대표예는, 다음의 (1)~(4)와 같다.
(1)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황산알킬염, 황산알킬폴리옥시에틸렌염, 알킬벤젠술폰산염, α-올레핀술폰산염, 지방산염, α-술폰산지방산염, 에테르카르복실산염, 인산알킬염, 인산알킬폴리옥시에틸렌염, 디알킬술포숙신산에스테르염, 술포숙신산알킬염, 알케닐숙신산염, N-아실아미노산염, N-아실메틸타우린산염 등이 있다. 이러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짝이온(양이온)은 알칼리금속이온, 알칼리토금속이온, 알칸올아민이온, 암모늄염이온 등이다.
(2)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알킬암모늄염, 벤잘코늄염, 벤젠토늄염, 피리디늄염, 이미다졸리늄염 등이다. 이러한 양이온성 게면활성제의 짝이온(음이온)은 할로겐이온이다.
(3) 양성 계면활성제
알킬카르복실베타인, 알킬술포베타인, 알킬히드록시술포베타인, 알킬아미드베타인, 이미다졸리늄베타인 등이다.
(4)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지방산폴리글리세린에스테르, 지방산자당에스테르, 지방산알칸올아미드, 알킬아민옥사이드, 아미드아민옥사이드 등이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단독이나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B)성분의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세정제 조성물 전 중량에 대하여 0.01~20%, 바람직하게는 0.1~15%,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0%이다.
(B)성분의 배합량이 0.01% 미만에서는 충분한 세정력이 얻어지지 않고, 또한 20%를 초과하여 배합하여도 그것 이상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아서 경제적이지 않다.
본 발명의 제1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A)성분의 공중합 고분자와, (B)성분의 계면활성제는 (A)/(B)가 1/1.25~1/100(질량비)의 비율, 바람직하게는 1/1.5~1/50(질량비)의 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1/2~1/30(질량비)의 비율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상기 (A)성분의 공중합 고분자의 비율이 (B)성분의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1/100(중량비)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오염방지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또한 1/1.25를 초과하여 배합하여도 그것 이상의 효과는 얻어지지 않아서 경제적이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발명은, 상기 (A)성분의 공중합 고분자와 함께, (C)성분으로 금속이온 봉쇄제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것이다.
(C)성분의 금속이온 봉쇄제 또는 그 염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유기카르복실산류, 아미노카르복실산류, 포스폰산류, 포스포노카르복실산류, 인산류 등이 있다.
유기카르복실산류로는, 예를 들어 초산, 아디핀산, 모노크롤초산, 옥살산, 숙신산, 옥시디숙신산, 카르복실메틸숙신산, 카르복실메틸옥시숙신산 등, 또한, 글리콜산, 디글리콜산, 유산, 주석산, 카르복실메틸주석산, 시트르산, 말산, 글루산 등의 히드록시카르복실산 물질을 들 수 있다.
아미노카르복실산류로는, 예를 들어 니트릴로트리초산, 이미노디초산,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초산, N-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초산, 에틸렌디아민테트라프로피온초산, 트리에틸렌테트라민헥사초산, 에틸렌글리콜디에테르디아민테트라초산, 디히드록시에틸이미노디초산, 시클로헥산-1,2-디아민테트라초산, 디엔콜산 등을 들 수 있다.
포스폰산류로는, 예를 들어 에탄-1,1-디포스폰산, 에탄-1,1,2-트리포스폰산,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 및 그 유도체, 1-히드록시에탄-1,1,2-트리포스폰산, 에탄-1,2-디카르복실-1,2-디포스폰산, 메탄히드록시포스폰산, 아미노트리메틸렌포스폰산 등을 들 수 있다.
포스포노카르복실산류로는, 예를 들어 2-포스포노부탄-1,2-디카르복실산, 1-포스포노부탄-2,3,4-트리카르복실산, α-메틸포스포노숙신산 등을 들 수 있다.
인산류로는, 오르쏘인산, 피롤린산, 트리폴리인산, 메타인산, 헥사메타인산, 피틴산 등의 축합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금속이온 봉쇄제는 산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고, 또 칼슘, 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과의 염,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등의 알칸올아민과의 염 등, 염기성물질과의 염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금속이온 봉쇄제 중에서는, 히드록시카르복실산류, 아미노카르복실산류, 또는 이러한 알칼리 금속류, 알칸올아민염이 바람직하다.
(C)성분의 배합량은 세정제 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0.01~15%, 바람직하게는 1~10%, 보다 바람직하게는 2~6%이다.
(C)성분의 배합량이 0.01% 미만에서는 세정력이 충분하지 않고, 또 15%를 초과하여 배합하여도 그것 이상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아서 경제적이지 않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A)성분의 공중합 고분자와, (C)성분의 금속이온 봉쇄제 또는 그 염은, 특별히 한정된 비율로 사용할 필요는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A)/(C)=1/0.01~1/100(질량비)의 비율, 바람직하게는 1/0.1~1/50(질량비)의 비율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발명에서는 상기 (A)성분의 공중합고분자와 함께, (D)성분으로 용제를 함유하는 것이다.
(D)성분의 용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III), (IV), (V)로 표시되는 용제나, 탄소수 4~12의 다가 알콜, 테르펜계 탄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R 8 -O-{(C 2 H 4 O)n(C 3 H 6 O)m}-R 9 (III)
(식중, R8, R9는 수소원자, 탄소수 2~8의 직쇄, 분기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 벤질기, 페닐기를 나타내며, n 및 m은 0~8의 정수를 표시하며, 둘다 0이 아니고 m, n중 어느 것도 0이 되지 않는 경우에, 옥시에틸렌기와 옥시프로필렌기는 임의로 배열된다.)
(식중, R10, R11은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표시한다.)
R 12 -O-C(CH 3 ) 2 CH 2 CH 2 OH (V)
(식중, R12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표시한다.)
상기 일반식(III)로 표시되는 용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디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이소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이소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렌글리콜모노이소부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에틸렌글리콜모노이소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s-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렌글리콜모노-s-부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에틸렌글리콜모노-s-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t-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렌글리콜모노-t-부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에틸렌글리콜모노-t-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펜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펜틸에테르, 펜타에틸렌글리콜모노펜틸에테르, 펜타에틸렌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모노펜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이소펜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이소펜틸에테르, 펜타에틸렌글리콜이소펜틸에테르, 펜타에틸렌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모노이소펜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시클로펜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시클로펜틸에테르, 펜타에틸렌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모노시클로펜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헥실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헥실에테르, 펜타에틸렌글리콜모노헥실에테르, 헥사에틸렌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모노헥실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1,3-디메틸부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1,3-디메틸부틸)에테르, 펜타에틸렌글리콜모노(1,3-디메틸부틸)에테르, 헥사에틸렌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모노(1,3-디메틸부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시클로헥실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시클로헥실에테르, 펜타에틸렌글리콜모노시클로헥실에테르, 헥사에틸렌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모노시클로헥실에테르, 테트라에텔렌글리콜모노헵틸에테르, 펜타에틸렌글리콜모노헵틸에테르, 헥사에틸렌글리콜모노헵틸에테르, 헵타에틸렌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모노헵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이소헵틸에테르, 펜타에틸렌글리콜모노이소헵틸부틸에테르, 헥사에틸렌글리콜모노이소헵틸에테르, 헵타에틸렌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모노이소헵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3-메틸-헥실)에테르, 펜타에틸렌글리콜모노(3-메틸-헥실)에테르, 헥사에틸렌글리콜모노(3-메틸-헥실)에테르, 헵타에틸렌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모노(3-메틸-헥실)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5-메틸-헥실)에테르, 펜타에틸렌글리콜모노(5-메틸-헥실)에테르, 헥사에틸렌글리콜모노(5-메틸-헥실)에테르, 헵타에틸렌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모노(5-메틸-헥실)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옥틸에테르, 펜타에틸렌글리콜모노옥틸에테르, 헥사에틸렌글리콜모노옥틸에테르, 옥타에틸렌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모노옥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1-메틸헵틸)에테르, 펜타에틸렌글리콜모노(1-메틸헵틸)에테르, 헥사에틸렌글리콜모노( 1-메틸헵틸)에테르, 옥타에틸렌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모노(1-메틸헵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렌헥실)에테르, 펜타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헥실)에테르, 헥사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헥실)에테르, 옥타에틸렌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모노(2-에틸헥실)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벤질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벤질에테르 등이 있다.
이러한 용제중에서도,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이소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s-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 노-t-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렌글리콜모노-t-부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에틸렌글리콜모노-t-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펜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이소펜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시클로펜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1,3-디메틸부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시클로헥실에테르, 펜타에틸렌글리콜모노(3-메틸-헥실)에테르, 헥사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헥실)에테르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IV)로 표시되는 용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존, 1,3-디에틸-2-이미다졸리디논이 있다.
또한, 상기 일반식(V)로 표시되는 용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3-메톡시-3-메틸부탄올, 3-에톡시-3-메틸부탄올 등이 있다.
그리고, 탄소수 4~12의 다가 알콜로는, 예를 들어 이소프로필렌글리콜,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이 있다.
또한, 테르펜계 탄화수소로는, 예를 들어 식물 방향유에 포함되는 모노테펜계 탄화수소 또는 세스키테르펜계 탄화수소가 있다. 모노테르펜계 탄화수소로는, 예를 들어 오렌지유, 레몬유 등에 포함되는 D- 또는 L-리모넨, 테레빈유 등에 포함되는 α- 또는 β-피넨 등이 있으며, 세스키테르펜계 탄화수소로는, 예를 들어 종자유, 클로버유, 카난가(cananga)유에 포함되는 카리오필렌, 세돌렌 등이 있다. 또한, 오렌지유, 테레빈유 등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용제는 단독이나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D)성분의 배합량은 세정제 조성물 전 중량에 대하여, 0.1~30%, 바람직하게는 1~20%, 보다 바람직하게는 4~10%이다.
(D)성분의 배합량이 0.1% 미만에서는, 세정력이 충분하지 않고 또 20%를 초과시켜 배합하여도 그 이상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아서 경제적이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3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A)성분의 공중합 고분자와, 상기 (D)성분의 용제는 특별히 한정된 비율로 사용할 필요는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A)/(D)가 1/0.5~1/100(질량비)의 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1/2~1/50(질량비)의 비율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경표면용 오염방지세정제 조성물은 상기한 대로, ① 상기 (A)성분과 (B)성분과의 조합, ② 상기 (A)성분과 (C)성분과의 조합, 및 ③ 상기 (A)성분과 (D)성분과의 조합이 있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①형태의 조합에 (C)성분 및/또는 (D)성분을 더 배합한 것, 상기 ②형태의 조합에 상기 (B)성분 및/또는 (D)성분을 더 배합한 것, 및 상기 ③형태의 조합에 상기 (B)성분 및/또는 (C)성분을 배합하여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성분 이외에 필요에 따라 다른 임의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하게 배합할 수 있다.
임의성분으로, 향료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향료성분으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지방족 탄화수소, 테르펜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 등의 탄화수소류, 지방족 알콜, 테르펜알콜, 방향족 알콜 등의 알콜류, 지방족 에테르, 방향족 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지방족 옥사이드, 테르펜계 옥사이드 등의 옥사이드류, 지방족 알데히드, 테르펜계 알데히드, 수소화방향족 알데히드, 티오알데히드, 방향족알데히드, 지방족 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류, 지방족 케톤, 테르펜 케톤, 수소화 방향족 케톤, 지방족 환상 케톤, 비벤젠계 방향족 케톤, 방향족케톤 등의 케톤류, 아세탈류, 케탈류, 페놀류, 페놀에테르류, 지방산, 테르펜계 카르복실산류, 수소화방향족 카르복실산, 방향족 카르복실산 등의 산류, 산아마이드류, 지방족 락톤, 대환상 락톤, 테르펜계락톤, 수소화방향족 락톤, 방향족 락톤 등의 락톤류, 지방족에스테르, 푸란계 카르복실산족 에스테르, 지방족 환상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시클로헥실카르복실산족 에스테르, 테르펜계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방향족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류, 니트로머스크류, 니트릴, 아민, 피리딘류,키놀린류, 피롤, 인돌 등의 질소함유 화합물 등의 합성향료 및 동물, 식물로부터 취한 천연향료가 있다.
그것의 구체적인 성분을 각각 열거한다면, 다음과 같다. 알데히드C8~C20, 아니스알데히드, 아세탈R, 아세트페논, 아세틸아세트렌, 아드키날, 아릴아밀글리콜레이트, 아릴시클로헥산프로피오네이트, 알파머스콘, 베타머스콘, 델타다머스콘, 암브레트리드, 암브록산, 아밀신나믹알데히드, 아밀신나믹알데히드디메틸아세탈, 아밀바레리아네이트, 아밀살리실레이트, 이소아밀아세테이트, 이소아밀살리실레이트, 아니스알데히드, 오우란티올, 아세틸유게놀, 백단올, 벤질아세테이트, 벤질알콜, 벤질벤조에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베르가밀아세테이트, 보닐아세테이트, 부틸부티레이트, 바라타샤리부틸시클로헥산올, 바라타샤리부틸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벤즈알데히드, 벤질포메이트, 카리오필렌, 카시메란, 세드로인버, 세드릴알데히드, 세드롤, 세레스트리드, 신나믹알콜, 신나믹알데히드, 시스쟈스몬, 시트랄, 시트랄디메틸아세탈, 시트라살, 시트로네랄, 시트로네롤, 시트로네릴아세테이트, 시트로네릴포메이트, 시트로네릴니트릴, 시클라세트, 시클라멘알데히드, 시클라플로프, 샤론, 쿠마린, 신나밀아세테이트, 디에틸프탈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 감마데카락톤, 델타C6~C13락톤, 디메틸벤질카비놀, 디히드로쟈스몬, 디히드로리나롤, 디히드로밀세놀, 디메톨, 디밀세톨, 디페닐옥사이드, 에틸와닐린, 유게놀, 후루이데이트, 펜틸알콜, 페닐에틸페닐아세테이트, 갈락소리드, 감마C6~C13락톤, 게라니올, 게라닐아세테이트, 게라닐포메이트, 게라닐니트릴, 헤딘온, 헤리오날, 헤리오트로핀, 시스-3-헥산알, 시스-3-헥세닐아세테이트, 헥실신나믹알데히드, 헥실살리실레이트, 히야신스디메틸아세탈, 하이드로트로픽알콜, 히드록시시트로네랄, 하콜린, 인돌, 이오논, 이소보닐아세테이트, 이소시클로시트랄, 이소E-스퍼, 이소유게놀, 이소노닐아세테이트, 이소부틸키놀린, 쟈스말, 쟈스모락톤, 쟈스모피란, 코아본, 릭스트랄, 리리알, 라임옥사이드, 리모넨, 리나롤, 리나롤옥사이드, 리나릴아세테이트, 리랄, 만자네이트, 마이욜, 멘사닐아세테이트, 멘조네이트, 메틸안스라닐레이트, 메틸유게놀, 알파메틸이오논, 베타메틸이오논, 감마메틸이오논, 메틸이소유게놀, 메틸라벤더케톤, 메틸살리실레이트, 뮤게알데히드, 무골, 머스크TM-II, 머스크781, 머스크C14, 머스크T, 머스크케톤, 머스크티베틴, 머스크모스콘, 미락알데히드, 메틸페틸아세테이트, 네롤, 네릴아세테이트, 노피르사세테이트, 노피르알콜, 네오베르가메이트, 옥모스No.1, 오리폰, 옥시페닐론, 파라크레졸메틸에테르, 펜타리트, 페닐에틸알콜, 페닐에틸아세테이트, 알파피넨, 루버푸란, 파티온, 로즈페논, 로즈옥사이드, 산다로아, 산데라, 산타렉스, 백단올, 스티라릴아세테이트, 스티라릴프로피오네이트, 타피네올, 타피닐아세테이트, 테트라하이드로리나롤, 테트라하이드로리나릴아세테이트, 테트라하이드로구라니올, 테트라하이드로게라닐아세테이트, 토나리드, 트라세오라이드, 트리푸랄, 티몰, 와닐린, 베라모스, 베르독스, 야라야라, 아세틸유게놀, 아니스유, 베이유, 보이스드로즈유, 카난가유, 카루다몬유, 카시아유, 시다우드유, 오렌지유, 맨드린유, 탠저린유, 바실유, 너트맥유, 시트로네라유, 크루브유, 코리안더유, 에레미유, 유칼립투스유, 펜넬유, 칼바남유, 제라늄유, 히바유, 쟈스민유, 라반진유, 라벤더유, 리모넨유, 레몬구라스유, 라임유, 네로리유, 옥모스유, 오코티아유, 오렌지유, 버츄리유, 페퍼민트유, 페리아유, 미곡유, 파인유, 로즈유, 로즈마리유, 장뇌유, 호우유, 클라리세이지유, 백단향유, 스피아민트유, 스파이크라벤더유, 스타-아니스유, 타임유, 통카유, 송진유, 바닐라유, 페티파유, 이란이란유, 그레이프후르츠유, 벤조일, 페루발삼유, 토루발삼유, 네덜란드 수선화유, 머스크팅크, 가스트리움팅크, 시페트팅크, 앰버글리스팅크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향료성분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을 조합시켜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중에, 0%~0.5%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저온하나 고온하에서의 액성을 보존하기 위해서 배합되는 저급알콜, 저급알킬벤젠술폰산이나 그 염, 에틸렌글리콜 등의 하이드로드롭제, pH 조정제, 살균제, 방부제 및 곰팡이 방지제, 색소, 산화방지제, 증점제, 소포제, 자외선흡수제, 가용화제 등도 적당하게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임의성분으로 사용되는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세정제로 사용되는데,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라면, 어느 것이어도 상관없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경표면용 오염방지세정제 조성물은 안전성, 피세정물에 대한 영향 측면에서 pH6~8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오염방지세정제 조성물은 종래의 각종 세정제와 동일한 사용법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한 조작은 필요없다. 즉, 본 경표면용 오염방지세정제 조성물을 세정대상면에 대하여 도포, 분사 또는 분무 등으로 접촉시키고, 그대로 방치한다. 이 세정제를 접촉시킨후, 수도물 등으로 헹구거나, 또한 세정제를 접촉시킨후, 스펀지, 브라인, 수세미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문질러 세정한 다음, 수도물 등으로 헹구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경표면용 오염방지세정제 조성물은, 상기한 대로 ① 상기 (A)성분과 (B)성분을 함유시킴으로써, ② 상기 (A)성분과 (C)성분을 함유시킴으로써, 그리고 ③ 상기 (A)성분과 (D)성분을 함유시킴으로써 제조되는 것이며, 이들은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고, 높은 세정효과를 보유함과 아울러, 세정조작후에 헹굼처리를 행하거나, 설비의 특성으로부터 반복하여 수돗물에 접촉하는 표면에서도 충분한 오염물 부착방지효과를 함께 보유하여, 플라스틱, 스텐레스, 홀로, 타일, 유리, 도자기 등의 각종 경표면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73 및 비교예1~48]
하기 표1에 표시한 각 단량체, (a)/(b)의 몰비 및 (c)의 양을 각각 변동시켜서 실시예에 사용되는 (A)성분의 공중합고분자 및 비교예에 사용되는 (A)성분 이외의 공중합 고분자를 각 용액라디칼 중합에 의해 제조하였다.
하기 표2~4에 표시한 각 조성으로 제조한 제1발명으로 되는 실시예1~25 및 비교예1~16의 각 조성물, 또는 하기 표5~7에 표시한 각 조성으로 제조한 제2발명으로 되는 실시예26~49 및 비교예17~32의 각 조성물, 및 하기 표8~10에 표시한 각 조성으로 제조된 제3발명으로 되는 실시예50~73 및 비교예33~48의 각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 시험법 및 측정법으로, 세정력 시험, 오염방지성 시험, 접촉각 저하능 측정을 행하였다. 또한, 각 조성물의 배합단위는 질량%이며, 각 조성물의 전량은 100질량%이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서도 하기 표2~표10에 표시한다.
[세정력시험]
(욕조오염물에 대한 세정력시험)
청정한 욕조용 FRP(섬유강화 플라스틱)제 테스트 피스(3 ×15cm)를 일반가정의 욕조내측벽면 상부에 고정한 다음, 성인남성 1명, 성인여성 1명, 초등학교 남학생 2명이 각각 2회 입욕(1일에 1회 입욕하고, 2일간 반복하였다. 그 사이, 목욕물은 교체하지 않고 다시 끓여서 사용하였다.)하여, 오염물을 부착시켰다. 욕조오염물이 부착된 테스트 피스를 충분하게 건조시킨 다음, 오염방지 세정제 조성물(원액)을 전면이 젖도록 스프레이하고, 우레탄 스펀지를 사용하여 약 20g/㎠의 하중을 걸어주면서 5회 왕복하여 문지르고, 수도물(15℃)로 헹궈서 씻어내었다. 충분하게 건조시킨 다음, 테스트 피스의 오염물의 제거상태를 하기 측정기준으로 시각판정하였다.
(세면기 오염물에 대한 세정력 시험)
일반 가정의 욕실에서 2개월동안 사용하고, 비누거품 오염물이 부착된 폴리프로필렌제의 세면기에, 오염방지세정제 조성물(원액)을 5g 함침시킨 우레탄제의 스펀지를 사용하고, 약 20g/㎠의 하중을 걸어주면서 10회 왕복하여 문질러주고, 수돗물(15℃)로 헹궈서 씻어주었다. 충분하게 건조시킨 다음, 세면기 표면의 오염물의 제거상태를 하기 판정기준으로 시각판정하였다.
(부엌싱크대 오염물에 대한 세정력 평가)
일반가정의 부엌싱크대 내측벽면에 청정한 스텐레스제 테스트 피스(3 ×10cm)를 고정하고, 그 상태대로 1주간 방치하였다. 그 사이, 일반적인 식기세탁 등의 작업을 행하여, 오염물을 부착시켰다. 부엌싱크대 오염물이 부착된 테스트 피스를 충분하게 건조시킨 다음, 오염방지세정제 조성물(원액)을 전면이 젖도록 스프레이하고, 우레탄 스펀지를 사용하여 약 20g/㎠의 하중을 걸어주면서 5회 왕복하여 문질러주고, 수돗물(15℃)로 헹궈서 씻어주었다. 충분하게 건조시킨 다음, 테스트피스 표면의 오염물의 제거상태를 하기 판정기준으로 시각판정하였다.
각 세정력 시험의 판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5점: 오염물 제거효과가 대단히 양호
4점: 오염물 제거효과가 양호
3점: 오염물 제거가 균일하지 않음
2점: 오염물의 제거효과가 약간 있는 정도
1점: 오염물 제거효과가 전혀 없음
(2) 오염방지성 시험1
(욕조오염방지성 시험)
청정한 욕조용 FRP제 테스트 피스(5 ×15cm)에 오염방지세정제를 0.5㎖도포하고, 우레탄 스펀지를 사용하여 약 10g/㎠의 하중을 걸어주면서 전면을 문지르고 나서, 수도물(5L/분, 25℃)로 20분간 헹군후, 자연건조시켰다. 이 테스트 피스를 일반가정의 욕조내측벽면 상부에 고정하고, 성인남성 1명, 성인여성 1명, 초등학교남학생 2명이 각각 2회 입욕(1일에 1회 입욕하고, 2일간 반복하였다. 그 사이, 목욕물은 교체하지 않고 다시 끓여서 사용하였다.)한 다음, 자연건조하여 테스트 피스 표면으로의 오염물의 부착상태를 이하기준으로 시각판정하였다.
(욕실벽 오염방지성시험)
청정한 욕실용 염화비닐동판제 테스트 피스(5 ×15cm)에 오염방지세정제를 0.5㎖ 도포하고, 우레탄 스펀지를 사용하여 약 10g/㎠의 하중을 걸어주면서 전면을 문지르고 나서, 수도물(5L/분, 25℃)로 20분간 헹군후, 자연건조시켰다. 이 테스트 피스를 일반가정의 욕실벽에 고정하고, 성인남성 1명, 성인여성 1명, 초등학생 남학생 2명의 가족이 1주일간 입욕(1일에 각각 1회 입욕)한 다음, 자연건조하여 테스트 피스 표면으로의 오염물의 부착상태를 이하기준으로 시각판정하였다.
(부엌싱크대 오염방지성시험)
청정한 스텐레스제 테스트 피스(5 ×15cm)에 오염방지세정제를 0.5㎖ 도포하고, 우레탄 스펀지를 사용하여 약 10g/㎠의 하중을 걸어주면서 전면을 문지르고 나서, 수돗물(5L/분, 25℃)로 20초간 헹군 후, 자연건조시켰다. 이 테스트 피스를 일반가정의 부엌싱크대 측벽면에 고정하고, 1주일간 방치하였다. 그 사이, 일반적인 식기세척 작업 등을 행하였다. 시험기간이 종료된 후, 자연건조하여, 테스트 피스 표면으로의 오염물의 부착상태를 이하의 기준으로 시각판정하였다.
각 오염방지성 시험의 판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 오염물이 부착되지 않음.
O: 오염물이 거의 부착되지 않음.
×: 확실하게 오염물이 부착하였음.
(3) 오염방지성시험2
(워터-스폿형성방지 시험)
각 재질로 이루어진 청정한 테스트 피스(욕조용 FRP, 욕조용 인조대리석, 욕조용 스텐레스, 타일, 폴리염화비닐수지, 폴리프로필렌수지, 부엌싱크대용 스텐레스, 각 10cm ×10cm)에, 오염방지 세정제를 0.5㎖ 도포하고, 우레탄 스펀지를 사용하여 약 10g/㎠의 하중을 걸어주면서 전면을 문지르고 나서, 수돗물(5L/분)로 20초간 헹구었다. 그런 다음, 각 테스트 피스를 수평으로 두어 자연건조시켰다. 그리고, 건조후 다시 수도물(5L/분, 25℃)로 10초간 전면이 물에 젖도록 처리한 다음,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자연건조시켰다. 또한, 이 조작을 9회 반복하였다(수돗물에서의 처리는 모두 합하여 10회). 모든 조작이 종료된 후, 각 테스트 피스의 워터스폿의 형성상태를 하기 판정기준으로 시각판정하였다.
워터스폿형성방지 시험의 판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 워터스폿은 형성되지 않음.
O: 워터스폿이 약간 형성되었음.
×: 워터스폿이 형성되었음.
(4) 접촉각 저하능 판정
각 재질로 이루어진 청정한 테스트 피스(욕조용 FRP(섬유강화 플라스틱), 욕조용 인조대리석, 욕조용 스텐레스, 욕조용 홀로, 폴리염화비닐수지, 폴리프로필렌수지, 부엌싱크대용 스텐레스, 각 10cm ×10cm)에, 오염방지 세정제를 0.5㎖ 도포하고, 우레탄 스펀지를 사용하여 약 10g/㎠의 하중을 걸어주면서 전면을 문지르고 나서, 수돗물(5L/분, 40℃)로 20초간 헹군 후, 자연건조시켰다. 그리고, 건조후 다시 수도물(5L/분, 40℃)로 20초간 헹구고, 자연건조하는 이러한 조작을 9회 반복하였다(수돗물에서의 처리는 모두 합하여 10회). 모든 조작이 종료된 후, 각 테스트 피스에 대하여 접촉각 측정기(KYOWA INTERFACE SCIENCE사 제품, FACE CA-W150)을 사용하여 이온교환수에 대한 접촉각(25℃)을 측정하고, 처리표면의 친수화 효과의 지속성을 확인하였다.
하기 표4, 표7 및 표10에는 각 테스트 피스에 대하여, 처리전의 접촉각의 값에서 각 오염방지세정제로 처리한 후의 접촉각의 값을 뺀 차를 수치로 표시한다. 마이너스 값이 크면 클수록 친수성이 향상된 것을 나타낸다.
상기 표1~10의 결과로부터 확실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범위가 되는 각 필수성분을 함유하는 실시예1~73, 즉, (A)성분의 공중합 고분자와 (B)성분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실시예1~25, (A)성분의 공중합 고분자와 (C)성분의 금속이온 봉쇄제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실시예26~49, 및 (A)성분의 공중합 고분자와 (D)성분의 용제를 함유하는 실시예50~73은, 각각 세정력, 오염방지성의 어느 것도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처리표면의 친수화 효과가 우수하고, 물에 반복하여 접촉한 경우에도 효과의 지속성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의 각 필수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조성물이 되는 비교예1~48에서는, 세정력과 오염방지성을 동시에 만족하지 않고, 또한 처리표면의 친수화 효과도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의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높은 세정력을 보유할 뿐만 아니라, 충분한 오염물 부착방지효과를 아울러 보유하고 있는, 플라스틱, 스텐레스, 홀로, 타일, 유리, 도자기 등의 각종 경표면에 바람직하게 사용가능한 오염방지세정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Claims (3)

  1. (A) (a)음이온성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 (b)양이온성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 (c)비이온성 비닐계 단량체로 이루어지며, (a)/(b)=80/20~20/80(몰비), (c)/[(a)+ (b)+(c)]=0~50(질량%)인 공중합 고분자, 및
    (B)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또 상기 (A)성분/(B)성분이 1/1.25~1/100(질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표면용 오염방지세정제 조성물.
  2. (A)(a)음이온성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 (b)양이온성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 (c)비이온성 비닐계 단량체로 이루어지며, (a)/(b)=80/20~20/80(몰비), (c)/[(a)+ (b)+(c)]= 0~50(질량%)인 공중합 고분자, 및
    (C)금속이온봉쇄제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표면용 오염방지세정제 조성물.
  3. (A)(a)음이온성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 (b)양이온성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 (c)비이온성 비닐계 단량체로 이루어지며, (a)/(b)=80/20~20/80(몰비), (c)/[(a)+ (b)+(c)]=0~50(질량%)인 공중합 고분자, 및
    (D)용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표면용 오염방지세정제 조성물.
KR1020010015635A 2000-03-27 2001-03-26 경표면용 오염방지세정제 조성물 KR200101008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86997 2000-03-27
JP2000086997A JP3677675B2 (ja) 2000-03-27 2000-03-27 硬表面用防汚洗浄剤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846A true KR20010100846A (ko) 2001-11-14

Family

ID=18603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5635A KR20010100846A (ko) 2000-03-27 2001-03-26 경표면용 오염방지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677675B2 (ko)
KR (1) KR2001010084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599B1 (ko) * 2002-11-29 2011-01-12 시바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동종 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직물 연화제조성물
KR101014357B1 (ko) * 2002-11-29 2011-02-15 시바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동종 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0153B2 (ja) * 2002-02-22 2009-02-25 花王株式会社 硬質表面用防汚洗浄剤
US7544649B2 (en) 2002-02-22 2009-06-09 Kao Corporation Antifouling detergent for hard surfaces
JP3617838B2 (ja) * 2003-01-28 2005-02-09 花王株式会社 液体洗浄剤組成物
DE602004003676T2 (de) * 2003-01-28 2007-10-11 Kao Corp. Flüssiges waschmittel
FR2851572B1 (fr) * 2003-02-20 2007-04-06 Rhodia Chimie Sa Composition nettoyante ou rincante pour surfaces dures
CN102388122B (zh) * 2009-03-20 2016-08-10 汽巴公司 用于清洁组合物的快速干燥型两性聚合物
JP6231364B2 (ja) * 2013-11-29 2017-11-15 花王株式会社 硬質表面用処理剤組成物
JP6188556B2 (ja) * 2013-11-29 2017-08-30 花王株式会社 硬質表面用処理剤組成物
JP6193102B2 (ja) * 2013-11-29 2017-09-06 花王株式会社 硬質表面用液体処理剤組成物
JP6640055B2 (ja) * 2016-08-31 2020-02-05 ライオン株式会社 食器洗い用液体洗浄剤
JP6887726B2 (ja) * 2017-05-26 2021-06-16 花王株式会社 硬質表面用液体洗浄剤組成物
JP7186409B2 (ja) * 2019-08-26 2022-12-09 国立大学法人富山大学 微粒子吸着防止ポリマ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9498A (ja) * 1987-02-02 1988-08-05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溶液
JP3347250B2 (ja) * 1995-12-20 2002-11-20 花王株式会社 トイレ用防汚洗浄剤組成物
ATE504314T1 (de) * 1999-05-26 2011-04-15 Rhodia Polymere, zusammensetzungen sowie verfahren zur verwendung als schäume, waschmittel, duschreiniger und koagulierungsmittel
JP2001181601A (ja) * 1999-12-27 2001-07-03 Lion Corp 防汚組成物
JP2001181354A (ja) * 1999-12-28 2001-07-03 Lion Corp カチオン性ポリマー
DE10027638A1 (de) * 2000-06-06 2001-12-13 Basf Ag Verwendung von kationisch modifizierten, teilchenförmigen, hydrophoben Polymeren als Zusatz zu Spül-, Reinigungs- und Imprägniermitteln für harte Oberfläch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599B1 (ko) * 2002-11-29 2011-01-12 시바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동종 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직물 연화제조성물
KR101014357B1 (ko) * 2002-11-29 2011-02-15 시바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동종 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271094A (ja) 2001-10-02
JP3677675B2 (ja) 200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1309B2 (ja) 食器洗浄機用洗浄剤組成物
EP1594945B1 (fr) Composition nettoyante ou rincante pour surfaces dures
JP5179168B2 (ja) 食器洗浄機用液体洗浄剤組成物
EP2406364B1 (en) Cleaner composition
KR20010100846A (ko) 경표면용 오염방지세정제 조성물
JPH10512612A (ja) シャワー設備すすぎ洗浄用水性組成物及びシャワー設備を清浄に保持する方法
JP2004502829A (ja) 硬質面クリーニング方法
JP5957247B2 (ja) 硬質表面用処理剤組成物
JP2004059806A (ja) 硬表面用洗浄剤組成物
JP2023115378A (ja) 表面平滑化剤
JP2003238991A (ja) 硬質表面用防汚洗浄剤
JP2008535981A (ja) 液体硬表面清浄化組成物
JP2020196810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EP2470635A1 (en) Hard surface cleaning composition
JPH0461916B2 (ko)
JP6990071B2 (ja) 硬質表面用液体洗浄剤組成物
JP7214369B2 (ja) 衛生陶器用の摩擦抵抗低減剤
JP3396069B2 (ja) 塩素ガスの発生を抑止した酸性洗浄剤
JP2005008702A (ja) 浴室用洗浄剤組成物
JP4698009B2 (ja) 浴室用硬表面洗浄剤組成物
JP2001187895A (ja) 洗浄剤組成物
JP7471200B2 (ja) 浴室用液体洗浄剤
JP2005008703A (ja) 硬質表面の防カビ方法
JP5798961B2 (ja) 浴室用液体洗浄剤
JP2002097492A (ja) 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