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6578A - 수전작업기 - Google Patents

수전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6578A
KR20010096578A KR1020010010259A KR20010010259A KR20010096578A KR 20010096578 A KR20010096578 A KR 20010096578A KR 1020010010259 A KR1020010010259 A KR 1020010010259A KR 20010010259 A KR20010010259 A KR 20010010259A KR 20010096578 A KR20010096578 A KR 20010096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lever
elevating
valv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5582B1 (ko
Inventor
고지마사치유키
야기사와도시오
Original Assignee
미쯔이 고오헤이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1489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9902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77706A external-priority patent/JP3538591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 고오헤이,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미쯔이 고오헤이
Publication of KR20010096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5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A01B51/02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propelled by a mo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Abstract

유압장치를 통하여 이앙기의 모식부장치 등의 작업장치를 자동승강제어하도록 구성한 수전작업기에 있어서, 작업 주행중에는 오버슈트가 발생되기 어려운 상승 속도 설정하에서 안정된 자동승강제어가 행해짐과 동시에, 논두렁 옆 등에서는 작업장치를 충분한 속도로 신속하게 강제 상승시키는 것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접지센서(SF)의 변위에 의거하여 작업장치(4)를 논바닥(T)에 대하여 설정높이로 유지시키는 승강밸브(60)를 조작하는 승강레버(66)가 적어도 식부위치에 있을 때, 이 승강밸브(60)의 상승위치측으로의 작동을 규제하는 상승한계 설정기구(102)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수전작업기{WORKING VEHICLE FOR PADDY FIELD}
본 발명은 이앙기나 직파기 등의 수전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승강 자유롭게 구비된 모식부장치나 파종장치 등의 작업장치의 승강구조에 특징을 갖는 수전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수전작업기의 대표예인 이앙기는, 모식부장치(작업장치의 1예)를 유압장치를통하여 구동승강 자유롭게 장비하고, 모식부장치에 구비된 접지센서와, 미션케이스에 구비한 모식부장치 승강용 승강밸브를 기계적으로 연동연결하고, 접지압 변동에 따르는 접지센서의 변위에 의거하여 승강밸브를 작동시켜서, 모식부장치를 논바닥에 대하여 설정높이로 유지시키는 기계식 자동승강제어기구를 장비한다. 이와 함께 운전부에 구비한 승강레버를, 승강밸브를 접지센서의 변위에 의거하여 작동시키는 작업위치(식부위치 및 하강위치)와, 승강밸브를 강제적으로 상승위치까지 조작하는 상승위치에 걸쳐 전환조작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자동승강제어기구에 있어서는, 모식부장치의 승강속도는 승강밸브의 개방정도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최대개방정도가 크게 설정되어 있으면 자동승강제어중에 있어서 접지센서가 크게 변위할 때에 밸브개방정도가 크게 되어 승강속도도 빨라지고, 제어의 오버슈트가 발생하여 제어의 안정성 저하가 염려된다. 특히, 상승작동에 있어서 오버슈트가 발생하면 과잉상승에 의해 모식부장치가 뜨게 되고, 극단적으로 얕게심어지거나 뜨는 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밸브의 최대개방정도를 좀 작게 조정해 두면, 승강속도가 억제되어 식부작업중의 상기 결함이 발생되기 어렵다.
그러나, 제어의 안정성을 중시하여 밸브의 최대개방정도를 작게 규제해 두면, 논두렁 옆에서의 기체방향 전환 등에 있어 승강레버를 인위조작하여 모식부장치를 크게 상승시킬 경우, 상승속도가 늦어 작업성이 저하된다. 그래서, 실제는 이득 사정을 고려하여 밸브의 최대개방정도를 미리 조절설정해 두고 있다. 즉, 승강제어에 있어서는 좀 빠른 승강속도가 되고, 인위승강에 있어서는 좀 늦은 승강속도가 초래되는 최대밸브 개방정도가 설정되어 있고, 승강제어와 인위승락의 각 경우에 있어서 만족할 속도 설정은 되지 않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같은 점에 착안하여 행해진 것으로, 작업주행중에는 오버슈트가 발생되기 어려운 상승속도 설정하에 안정된 자동승강제어가 행해짐과 동시에, 논두렁옆 등에서는 충분한 속도로 신속하게 강제상승되도록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승용형 이앙기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승용형 이앙기의 전체 평면도,
도 3은 모식부(苗植付)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모식부장치의 중앙 정지(整地) 플로트 부근의 일부 절결측면도,
도 5는 중앙정지 플로트 부근의 정면도,
도 6a는 모식부장치 하강상태에 있어서의 선긋기 마커 조작부의 측면도,
도 6b는 모식부장치 상승상태에 있어서의 선긋기 마커 조작부의 측면도,
도 7은 선긋기 마커 조작부의 평면도,
도 8은 승강레버와 이와 관련된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9는 승강레버와 각각의 기구와의 연계도,
도 10은 승강레버 부근의 측면도,
도 11은 승강레버가 「중립」위치에 있는 상태의 승강레버 기부의 측면도,
도 12는 승강레버가 「식부」위치에 있는 상태의 승강레버 기부의 측면도,
도 13은 승강레버의 기부 부근 횡단평면도,
도 14는 승강레버의 기부 부근 횡단평면도,
도 15는 레버 안내부의 평면도,
도 16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승강조작 계통도,
도 17은 승강조작부의 측면도,
도 18은 승강조작부의 횡단평면도,
도 19는 식부상태의 승강레버와 승강밸브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0은 하강상태의 승강레버와 승강밸브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측면도, 그리고
도 21은 상승상태의 승강레버와 승강밸브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작업장치(모식부장치) 5: 유압실린더(유압장치)
20: 주 변속레버(변속조작수단, 강세상승조작구)
60: 승강밸브 66: 승강레버
85,120: 제어용 작동부재 102,132: 맞닿음 볼트(상승한계 설정기구)
SF: 접지센서 T: 논바닥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수전작업기는 청구항 1기재에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승강밸브 자체의 최대개방정도를 크게 설정해 두면 승강레버 상승위치로 조작할 때는 상승한계 설정기구의 맞닿음 기능이 해제되므로 충분한 밸브개방정도 하로 신속한 상승작동을 행할 수 있다. 또, 승강레버를 작업위치로 조작한 작업시에는, 상승한계설정기구가 기능하므로 이때에는 승강밸브의 최대개방정도가 승강밸브 자체가 갖는 절대적 최대개방정도보다 작게 규제된다. 따라서, 가령 접지센서의 변위에 의거하여 승강밸브가 상승측으로 조작되더라도 상승속도는 늦게 억제된 것이 되고, 오버슈트가 발생되기 어려운 안정된 제어가 실행된다.
따라서, 작업주행중에는 오버슈트가 발생되기 어려운 상승속도 설정하에서 안정된 자동승강제어가 행해짐과 동시에, 논두렁 옆 등에 있어서는 충분한 속도로신속하게 강제상승시킬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수 있다.
상기 상승한계 설정기구는 가령 청구항 2기재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같이 구성하면 기계적인 맞닿음 구조만으로 제어밸브 작동을 맞닿음 규제 및 규제해제하는 기구를 설치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가령 청구항 3기재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의 구성에 청구항 4기재의 구성을 구비하면, 상기 상승한계 설정기구가 설정여하에 불구하고, 또, 승강레버가 상승위치 이외의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이 승강레버를 상승위치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포장조건에 응한 승강속도를 얻을 수 있으면서도 소기의 승강레버의 상승위치로의 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수전작업기는 청구항 5기재와 같은 백업구조를 위한 구성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강제상승 조작구가 승강레버의 위치유지기구에 연계되고, 운전자가 이 조작구를 원터치 조작하는 것만으로 위치유지가 해제되고, 승강레버가 상승위치로 강제적으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승강밸브가 강제적으로 상승상태로 전환되고, 모식부장치(작업장치)가 자동적으로, 또한 신속하게 상승한다. 따라서, 가령 후진시에 정지 플로트 후부를 논바닥에 돌입시키거나, 논두렁에 부딪히는 폐단이 미연에 회피된다.
상기 구성에 더하여 청구항 6기재와 같이, 상기 강제상승 조작구를 주 변환레버에 의해 구성하고, 이 주 변속레버를 후진역으로 조작함으로써 모식부 장치가 자동적으로 상승하도록 구성하면 운전자 손앞에 있어 신속한 조작이 가능한 변속조작수단(주 변속레버)을 강제상승조작구로 겸용화할 수 있다. 또, 이같은 겸용화에 의해 후진전환조작시에는 필연적으로 작업장치(모식부장치)가 강제상승하기 때문에 상기 폐단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특징구성,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설명을 판독하면 이해될 것이다.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수전작업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수전작업기의 대표예인 이앙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에는 5줄기식(條植) 시방으로 구성된 승용형 이앙기의 측면 및 평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 승용형 이앙기에는 조향 자유로운 좌우 한 쌍의 전륜(1)과 조형 불능인 좌우 한 쌍의 후륜(2)을 구비한 4륜 구동형 주행기체(3)의 후부에, 5줄기식 시방의 모식부장치(4)가 유압실린더(5)에 의해 구동되는 사련(四連)링크기구(6)를 통하여 승강 자유롭게 연결됨과 동시에, 5줄기 시방의 시비(施肥)장치(7)가 장비되어 있다.
주행기체(3)를 구성하는 기체프레임(8)의 앞부에는 전륜(1)을 축 지지한 미션케이스(9)가 연결고정된다. 기체프레임(8)의 후부에는 후륜(2)을 축지지한 후부전동케이스(10)가 롤링자유롭게 지지된다. 또, 미션케이스(9)로부터 전방으로 뻗은 전(前)프레임(11)에는 엔진(12)이 수평방향으로 탑재되고, 보닛(13)으로 덮여있다. 상세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나, 엔진(12)의 출력은 무단계의 전후진 변속이가능한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HST)로 되는 주 변속장치(14)에 의해 변속되고, 뽑아낸 변속동력이 미션케이스(9)에 입력되어 주행계 동력과 작업계 동력으로 분기된다. 주행계 동력은 다시 기어식 부 변속장치(도시생략)로 고저 2단으로 변속된 후, 전륜(1)과 후륜(2)에 전달된다. 또, 분기된 작업계 동력 중의 정전(正轉) 동력만이 식부클러치(작업클러치; 15) 및 주간(株間) 변속장치(도시생략)를 통하여 모식부장치(4)에 축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기체프레임(8)의 상부에는 기체 전체길이에 걸쳐 스텝(16)을 구비함과 동시에, 스텝(16)의 후부가 후방 상방으로 만곡되어 좌우의 후륜(2)의 상방에 걸친 펜더부(16a)가 형성되어 있다. 또, 펜더부(16a)의 중앙부에는 센터커버(17)가 돌출 설치되고, 이 센터커버부(17)상에 운전좌석(18)이 설치되어 있다. 보닛(13)의 후부에는 전류조향용 스티어링핸들(19), 주 변속장치(14)를 조작하는 주 변속레버(변속조작수단 및 강제상승조작구의 1예; 20), 각종 스위치류, 각종 표시램프류, 메터 등이 배치된다. 센터커버(17)의 좌측 곁에는 부변속레버(21)가 배치되어 있다. 또, 스텝(16)이 보닛(13)의 좌우옆쪽 곁에까지 뻗어 기체 앞부로부터의 승강통로(16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승강통로(16b)의 외측에는 예비모를 복수단으로 얹어 놓아 수용하는 예비모 재치대(22)가 배치되어 있다.
모식부장치(4)는 5줄기분의 모를 얹어 놓아 좌우에 설정 스트로크로 왕복 수평 이동되는 모재치대(25), 모재치대(25)의 하단으로부터 식부클릭(26)에 의해 1주분씻씩 모를 잘라내어 포장에 식부해가는 5조(組)의 회전식 식부기구(27), 식부부위를 정지하는 3개의 정지플로트(28)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비장치(7)는 운전좌석(18)과 모식부장치(4) 사이에 있어서 주행기체(3)상에 탑재되어 있고, 분립상 비료를 저장하는 비료 호퍼(31), 이 비료호포(31)내의 비료를 설정량씩 퍼내는 퍼내기 기구(32), 퍼낸비료를 공급호스(33)를 통하여 모식부장치(4)의 각각의 정지플로트(28)에 구비된 작구기(作溝器;34)에 공기 이송하는 전동팬(35) 등을 구비하고 있다. 퍼내기 기구(32)는 미션케이스(9)로부터 후부 전동케이스(10)에 후륜구동용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축(36)도중에 설치한 동력 뽑아내기 케이스(37)를 통하여 뽑아낸 동력으로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모식부장치(4)에는 각 파이프형상으로 구성된 옆으로 긴 식부레이임(41)이 옆걸기되어 있다. 이 식부프레임(41)의 중앙 부근에는 미션케이스(9)에서 뽑아낸 작업용 동력이 전동축(42)을 통하여 전달되는 피드 케이스(43)가 지지된다. 또, 식부프레임(41)에는 3개의 식부케이스(44)가 후향으로 오버행 모양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식부케이스(44)의 후단에 상기 식부기구(27)가 각각 장비되어 있다.
또, 피드케이스(43)에는 모재치대(25)를 일정 스트로크로 왕복이동시키는 수평이송 구동기구, 모재치대(25)에 재치된 모를 하방 꺼내기부를 향하여 수직이송하는 모이송벨트(45)를 모재치대(25)의 수평이동 스트로크 엔드마다 작동시키는 수직이동 구동기구 등이 구비된다. 피드케이스(43)에서 뽑아낸 동력은 수평방향 전동축을 통하여 각각의 식부케이스(44)의 기단에 전달되고, 식부케이스(44)내의 도시생략의 체인전동기구에 의해 각각의 식부기구(27)가 구동되게 되어 있다.
모식부장치(4)는 사련 링크기구(6)의 후단하부의 전후축심(a)주위에 롤링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모식부장치(4)를 전동모터를 이용하여 롤링조작하는 롤링구동부(47)가 링크기구(6)의 후단상부에 구비되어 있다. 모식부장치(4)의 좌우방향의 경사각도를 검출하는 롤링센서(48)가 전후축심(a)의 상방 근방에 위치하여 모식부장치(4)에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주행기체(3)가 좌우로 경사되더라도 롤링센서(48)의 검출정보에 의거하여 롤링구동부(47)를 작동시켜서 모식부장치(4)를 기체경사방향과 역방향으로 경동조작하여 좌우수평으로 유지하는 자동롤링제어가 행해진다.
도 1에 도시된 같이, 모식부장치(4)의 좌우에는 선긋기 마커(51)가 구비되어 있다. 이 선긋기 마커(51)는 식부 행정에서의 주행중에 다음의 식부 행정에 있어서 기체주행의 기준이 되는 지표선을 논바닥(T)에 긁어서 형성한다. 이 선긋기 마커(51)는 선단을 논바닥(T)에 돌입시키도록 진동하강된 선긋기 작용자세와, 기립된 격납자세에 걸쳐 기복요동 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선긋기 작용자세로 도복가압되어 있다. 이 기복조작은 이하와 같이 하여 모식부장치(4)의 승강에 연동하여 행해진다.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복 가압된 좌우의 선긋기 마커(51)는 릴리즈 와이어로 되는 조작와이어(52)의 당기기 조작에 의해 격납자세로 기립되도록 되어 있고, 각각의 조작와이어(52)의 내부 전단이 주행기체(3)의 후부에 배치된 좌우한 쌍의 조작암(53)의 일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 조작암(53)은 사련 링크기구(6)의 기부를 지지하도록 기체프레임(8)의 후부에 세워 설치된 수직벽 프레임부(8a)에 브라킷(50)을 통하여 수평방향 지지점(b)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조작암(53)의 상방 연출부(延出部)가 사련 링크 기구의 상부링크(6a)와 일체 요동하는 차내기암(54)의 요동궤적내에 위치하고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련 링크기구(6)가 하강하고 있을 때는 차내기암(54)에서 벗어난 조작암(53)은 자유상태이고, 선긋기 마커(51)는 선긋기 작용자세로 가압도복되어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련 링크기구(6)가 상승작동하면 차내기암(54)이 조작암(53)을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차내기 요동함으로써 조작와이어(52)가 인출조작되어 선긋기 마커(51)가 선긋기 작용자세에서 격납자세로 강제 기립되도록 되어 있다.
또, 각각의 조작암(53)의 앞쪽 근방에는 격납자세로 강제기립된 선긋기 마커(51)를 걸어 고정하는 로크암(55)이 배치되어 있다. 이 로크암(55)을 수직방향 지지점(c)을 중심으로 좌우요동가능함과 동시에, 스프링(56)에 의해 로크방향으로 요동가압되어 있다. 조작암(53)이 선긋기 마커 격납위치까지 요동되면 로크암(55)의 선단에 구비한 롤러부(55a)가 조작암(53)의 배부(背部)에 들어가 걸어맞춤하여 조작암(53)의 복귀요동을 저지한다. 이와 같이 조작암(53)이 로크암(55)에 의해 걸림유지된 상태에서는 사련 링크기구(6)가 하강하여 차내기암(54)이 도 6a중에 도시된 위치로 복귀하더라도 좌우의 조작암(53)은 선긋기 마커 격납위치에 계속 유지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선긋기 마커(51)를 선긋기 작용자세로 하는데는 마커 격납위치에 있는 조작암(53)의 로크를 해제할 필요가 있고, 그것을 위한 조작구조가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도 7도 아울러 참조하면, 기체프레임(8)의 후부에 세워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수직벽 프레임(8a)에 걸쳐 단면형상 역 L자형의 로크해제조작바(57)가 좌우 슬라이드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이 로크 해제 조작바(57)는 그 좌우에 외부 끼움 장착한 스프링(58)에 의해 좌우 슬라이드의 중립위치로 가압 유지된다. 이 로크해제조작바(57)의 좌우에는 조작편(57a)이 좌우의 각각의 로크암(55)에 기체내측에서 맞닿음 가능하게 고착되어 있다. 로크해제바(57)를 좌 또는 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하고, 한쪽 조작편(57a)으로 한쪽의 로크암(55)을 기체내측으로부터 맞닿음 가압하여 스프링(58)에 저항하여 수직방향 지지점(c) 주위에 요동시킴으로써 조작암(53)과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해제 조작바(57)를 그 우단에 구비한 조작부재(57b)를 통하여 인위적으로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좌우 어느 한 선긋기 마커(51)를 선택하여 선긋기 작용자세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 선택조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 도 8∼도 15를 참조하면서 승강밸브(60)의 조작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승강밸브(60)는 미션케이스(9) 위에 장착되어 있고, 이 승강밸브(60)에는 사련 링크기구(6)를 통하여 모식부장치(4)를 승강작동시키는 유압실린더(5)가 접속되어 있다. 이 승강밸브(60)를 운전자의 인위 사령정보에 의거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모식부장치(4)를 임의로 승강시킬수 있다. 또, 모식부장치(4)의 논바닥(T)에 대한 높이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승강밸브(60)를 작동제어함으로써 모식부장치(4)를 논바닥(T)에 추종시켜서 자동승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하, 이같은 승강작동을 행하기 이위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기체 프레임(8)의 후부에 세워 설치한 좌우의 수직벽프레임부(8a)내, 기체 우측의 수직벽프레임부(8a)의 외면에는 판금제의 브라킷(61)이 고정되어 있다. 이 브라킷(61)과 수직벽프레임부(8a)에 걸쳐 부착한 보스부(62)에 지지축(63)이 수평축심(d) 주위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장착됨과 동시에, 이 지지축(63)에 조작암(가동부재의 1예; 64)과 조작판(65)이 고착되어 있다. 이 조작판(65)에서 외측으로 돌출 설치한 절출편(65a)에 승강레버(66)가 그 중간개소에서 돌출 설치한 지지점축부(66a)를 통하여 상기 수평축심(d)과 직교하는 전후향 축심(e) 주위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장착되고, 이로써 승강레버(66)가 조작암(64) 및 조작판(65)과 함께 수평축심(d) 주위에 전후요동가능, 또한 조작판(65)에 대하여 전후향 축심(e) 주위에 수평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조작암(64)의 전방 연출단과 수직벽 프레임(8a)에 걸쳐 가스 스프링(67)이 가설되고, 이 가스 스프링(67)의 신장력에 의해 승강레버(66)가 기체후방(도 10의 반시계방향)을 향하여 요동가압됨과 동시에, 조작판(65)의 하측외주에는 3개의 오목부(65b)와 1개의 계단부(65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판(65)의 하방개소에는 브라킷(61)에 지지점(f) 주위로 상하요동가능하게 장착된 위치결정암(68)이 설치됨과 동시에, 이 위치결정암(68)을 지지점부에 구비한 비틀림 스프링(69)에 의해 조작판(65)측으로 요동가압되어 있고, 승강레버(66)의 전후요동에 따라 위치결정 암(68)에 장비한 디텐트 롤러(70)가 3개의 오목부(65b)와 1개의 계단부(65c)의 어느 하나에 계입(係入) 또는 맞닿음함으로써 승강레버(66)를 「식부」,「하강」,「중립」 및 「상승」의 4개의 조작위치에 안정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조작판(65)의 앞부에는 부분원호상 긴구멍(71)을 통하여 연결한 조작로드(72)가 하방으로 연출되고, 이 로드(72)가 기체프레임(8)에 지지점(g) 주위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피벗지지한 중계 링크(73)에 긴구멍(74)을 통하여 연결됨과 동시에, 이 중계 링크(73)에서 기체전방으로 연출한 로드(75)가 미션케이스(9)내의 작업전동계에 조립한 상기 식부클러치(15)의 조작레버(76)에 연동연결되어 있다.
또, 도 9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킷(61)과 수직벽 프레임부(8a)에 걸쳐 지지축(81)이 수평축심(h) 주위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관통 장착됨과 동시에, 이 지지축(81)의 기체 안쪽단부에 고착한 제 1 밸브조작레버(82)와 상기 승강밸브(60)를 맞닿음 조작하는 맞닿음 조작레버(83)가 로드(84)로 연동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도 9는 승강밸브(60)의 스풀(60a)이 「중립」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스풀(60a)은 이 위치에서 후방(도 9에는 좌측)으로 돌출변위함으로써 「하강」작동하고, 전방(도 9에는 우측)으로 퇴입 변위함으로써 「상승」작동하도록 설정됨과 동시에 내장한 스프링(60b)에 의해 항상 돌출측(즉 「하강」측)을 향하여 가압되어 있다.
또, 지지축(81)의 기체외방측 단부에는 제 2 밸브조작레버(제어용 작동부재의 1예; 85)가 제 1 밸브조작레버(82)와 일체로 회전운동가능하게 고착되어 있다. 제 2 밸브조작레버(85)의 상단부 후면에는 승강레버(66)와 일체로 요동하는 조작암(64)의 하단부(64a)가 대향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도 9 및 도 10은 승강레버(66)가 「중립」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이때, 조작암(64)의 하단부(64a)가 제 2 밸브조작레버(85)의 상단부를 후방으로부터 맞닿음 지지하여 승강밸브(60)를 「중립」으로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 「중립」위치로부터 승강레버(66)를 기체후방의 「상승」위치로 조작하면, 이에 따른 조작암(64)의 반시계방향으로의 요동에 의해 제 2 밸브조작레버(85)를 통하여 제 1 밸브조작레버(82)가 시계방향으로 요동되고, 이에 따라 로드(84)가 후방으로 당겨서 승강밸브(60)의 스풀(60a)이 스프링(60b)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강제적으로 「상승」측으로 압입조작되게 되어 있다.
또, 승강레버(66)를 「상승」위치로 조작하여 모식부장치(4)를 강제상승시킬 경우는, 모식부장치(4)가 상한 가까이의 소정 높이까지 상승되면 사련 링크기구(6)에 있어서의 하부링크(6b)와 상기 조작판(65)에 걸쳐 장착한 피드백용 로드(77)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승」위치의 승강레버(66)가 「중립」위치까지 가압복귀되어 승강밸브(60)가 「중립」으로 복귀되고, 상승구동이 자동적으로 정지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승강레버(66)가 「중립」위치 및 「상승」위치에 있을 때는 제 2 밸브조작레버(85)의 요동이 조작암(64)에 의해 맞닿음 규제되기 때문에, 승강밸브(60)의 스풀(60a)은 「중립」및「상승」으로 규제된다. 한편, 승강레버(66)가 「식부」위치 및「하강」위치에 있을 때는 조작암(64)이 제 2 밸브조작레버(85)로부터 이격되므로 제 2 밸브조작레버(85)의 요동규제가 해제되고, 승강밸브(60)의 스풀(60a)은 「상승」으로부터「하강」의 전범위에서 자유로 변위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승강레버(66)가「식부」위치 및 「하강」위치에 있을때는 승강밸브(60)에 연동연결된 제 2 밸브조작레버(85)는 모식부장치(4)의 논바닥(T)에 대한 높이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자동승강 제어하기 위한 제어용 작동부재로서 기능한다. 이하에 그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논바닥(T)에 대한 모식부장치(4)의 높이 검출에는 병렬배치된 3개의 정지플로트(23)내, 중앙의 것이 접지센서(SF)로서 이용된다. 이 접지센서(SF)는 그 후부가 플로트 지지점축(91)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하여 오버행 형상으로 연출된 플로트 지지암(92)의 선단에, 지지점(i) 주위에 상하요동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앞부가 굴신링크(93)를 통하여 식부프레임(41)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접지센서(SF) 앞부에는 지지점(j) 주위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연결한 센서링크(94)가 상승되어 센서링크(94)의 중간부가 식부프레임(41)의 고정 브라킷(41a)에 장착고정한 지지부재(95)에 상하긴구멍(96) 및 핀(97)을 통하여 상하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센서링크(94)의 상단에는 릴리즈 와이어로 이루어진 센서와이어(98)의 외부와이어(98b) 후단이 연결됨과 동시에, 센서 와이어(98)의 내부와이어(98a) 후단이 상기 핀(97)에 연결되어 있다. 또, 센서링크(94)의 상단과 상기 핀(97)에 걸쳐 센서스프링(99)이 장착되고, 이 센서스프링(99)의 장력으로 센서링크(94)가 하방으로 끌어내려 가압됨으로써 접지센서(SF)의 앞부가 논바닥(T)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센서와이어(98)는 주행기체(3)측으로 연출되고, 그 외부와이어(98b) 전단이 후기하는 감도조절부의 와이어 지지부재(100)에 연결지지됨과 동시에, 그 내부와이어(98a) 전단이 상기 제 2 밸브조작레버(85)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이하와 같은 자동승강제어가 행해진다.
[중립제어상태]
모식부장치(4)가 논바닥(T)에 대하여 소정범위내의 높이에 있으면 접지센서(SF)에 작용하는 접지압이 기준치 범위내에 있고, 접지센서(SF)의 앞부에 작용하는 상하방향으로의 힘이 밸런스되고, 접지센서(SF)는 소정의 기준자세로 유지된다. 이때, 승강밸브(60)는 「중립」에 있다.
[상승제어]
모식부장치(4)가 논바닥(T)에 대하여 침하하기 시작하면, 접지센서(SF)에 작용하는 접지압이 기준치 범위보다 커지고, 접지센서(SF)는 후부 지지점(i) 주위에 상방요동하고, 위치고정핀(97)에 대하여 센서링크(94)가 센서스프링(99)의 장력에 저항하여 상방으로 변위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센서와이어(98)의 내부와이어(98a)가 인출된다. 이에 따라 제 2 밸브조작레버(85)의 하단이 후방요동으로 변위되고, 승강밸브(60)가 상승측으로 전환되고, 접지압이 기준치 범위내로 복귀하여 상기 중립제어상태로 복귀하기까지 모식부장치(4)의 상승제어가 실행된다.
[하강제어]
모식부장치(4)가 논바닥(T)에 대하여 부상하기 시작하면 접지센서(SF)에 작용하는 접지압이 기준치범위보다 작게되고, 접지센서(SF)는 후부의 지지점(i) 주위에 하방 요동하고, 위치고정핀(97)에 대하여 센서링크(94)가 하방으로 변위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센서와이어(98)의 내부와이어(98a)가 이완된다. 이에 따라 승강밸브(60)의 스풀(60a)이 내장스프링(60b)에 의해 「하강」측으로 전환되고, 접지압이 기준치 범위내로 복귀하여 상기 중립제어상태로 복귀하기 까지 모식부장치(4)의 하강제어가 실행된다.
상기 상승제어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에 의해 모식부장치(4)의 상승속도가 변경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작암(64)의 앞부에는 지지축(101)이 수평방향으로 돌출 설치됨과 동시에 이 지지축(101)에 로크너트(102a)를 통하여 출퇴조절 자유롭게 맞닿음 볼트(102; 상승한계 설정기구의 1예)가 장착되어 있다. 이 맞닿음 볼트(102)는 승강레버(66)가 「상승」위치, 「중립」위치 및 「하강」위치에 있을 때는 제 2 밸브조작레버(85)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떨어진 위치에 있어, 제 2 밸브조작레버(85)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운동에 제약을 주는 일이 없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레버(66)가 「식부」위치로 조작되어 있으면, 맞닿음 볼트(102)의 선단이 제 2 밸브조작레버(85)의 상단 전면에 접근한 상태가 되고, 센서와이어(98)의 인장작동에 의해 제 2 밸브조작레버(85)가 승강밸브(60)를 「상승」측으로 조작하는 방향(도 12에서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되었을 때에 그 최대작동위치를 맞닿음 규제하기가 가능해진다. 즉, 승강레버가 「식부」위치에 있을 때는 제 2 밸브조작레버(85)와 맞닿음 볼트(102)의 맞닿음에 의해 승강밸브(60)의 상승측으로의 변위한계(최대조작위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내로 규제된다.
여기서, 로크너트(102a)에 의해 맞닿음 볼트(102)를 진퇴조절하면, 승강밸브(60)의 「상승」측으로의 최대조작위치(즉, 승강밸브(60)가 「상승」측으로 전환될 때의 최대개방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승제어에 있어서의모식부장치(4)의 상승제어속도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트 지지점축(91)에서는 식부깊이 조절레버(103)가 연출되어 있고, 이 식부깊이 조절레버(103)를 상하요동조절하면, 플로트 지지점축(91)을 통하여 모든 플로트지지암(92)이 상하로 요동조절되고, 각각의 정지플로트(29)의 후부지지점(i)이 상하로 위치변경되어 식부깊이가 조절된다. 이 경우, 센서와이어 연결용의 상기 핀(97)을 구비한 지지부재(95)는 지지점(m) 주위에 요동 자유롭게 됨과 동시에, 지지부재(95)와 식부깊이 조절레버(103)가 링크(104)를 통하여 연동연결되어 있다. 가령, 식부깊이 조절레버(103)가 상방으로 조작되어 정지플로트(29)의 후부지지점(i)이 내려지고, 식부깊이가 얕은 쪽으로 조절되면, 이에 연동하여 지지부재(95)가 도 4의 반시계방향으로 요동되고, 상기 핀(97)이 정지플로트(29)의 후부지지점(i)의 내려진 양과 같은 만큼 내려지고, 제어중립시에 있어서의 접지센서(SF)의 기준자세가 식부깊이 조절에 불구하고 일정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레버 조작부위에는 상기 승강조작을 위한 여러 구조외에 승강에 관련되는 각종 구조가 구비되어 있고, 이하, 각각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승강제어의 감도조절구조]
상기 센서와이어(98)의 외부와이어(98b)를 연결지지한 와이어 지지부재(100)는, 정상상태에서는 지지점(k)을 중심으로 전후요동가능하게 배치된 감도조절레버(105)와 일체요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감도조절레버(105)를 전방으로 요동조절하면 센서와이어(98)의 외부와이어(98b) 전단이 후방으로 변위되고, 제어중립시에 있어서의 내부와이어(98a)의 기체측에서의 인출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진다. 따라서, 접지센서(SF)측에 있어서는 고정핀(97)에 대한 내부와이어(98a)의 인출길이가 상대적으로 단축되고, 핀(97)에 대하여 센서링크(94)가 내려감으로써 제어중립시에 있어서의 접지센서(SF)는 조절 전보다 앞쪽이 내려가는 자세가 된다. 또, 센서스프링(99)의 장력도 작아지고, 접지센서(SF)는 작은 접지압 변동으로도 상하운동되기 쉬워지고, 검출감도가 민감해진다. 따라서, 논바닥(T)이 부드러울수록 감도조절레버(105)를 중앙의 표준위치에서 전방으로 조절하여 민감한 검출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감도조절레버(105)를 후방으로 요동조절하면 센서와이어(98)의 외부와이어(98b) 전단이 전방으로 변위되고, 제어중립시에 있어서의 내부와이어(98a)의 기체측에서의 인출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진다. 따라서, 접지센서(SF)측에 있어서는 고정핀(97)에 대한 내부와이어(98a)의 인출길이가 길어지고, 핀(97)에 대하여 센서링크(94)가 상승함으로써 제어중립시에 있어서의 접지센서(SF)는 조절 전보다 앞쪽이 올라가는 자세가 된다. 또, 센서스프링(99)의 장력도 커지고, 접지센서(SF)는 큰 접지압변동으로도 상하운동하기 어려워지고, 검출감도가 둔감해진다. 따라서, 논바닥(T)이 딱딱할수록 감도조절레버를 중앙의 표준위치보다 후방으로 조절하여 둔감한 검출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도조절레버(10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레버(66)와 함께 상기 센터커버(17)의 우측 옆에 배치한 레버안내판(106)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감도조절레버(105)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구멍(107)의 한쪽에 형성한노치(108)로의 걸림에 의해 7단계로 감도조절이 행해지게 되어 있다.
또, 도 11∼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도조절레버(105)와 일체로 요동하는 와이어 지지부재(100)는 설정 이상의 힘이 앞쪽방향으로 작용하면 감도조절레버(105)에 대하여 전방으로만 지지점(K) 주위로 요절(腰折) 요동 가능하도록 초기 변형된 비틀림 스프링(109)을 통하여 감도조절레버(105)에 일정자세로 유지되어 있다. 센서와이어(98)가 후방으로 당겨져서 상승제어가 되는 경우, 제 2 밸브조작레버(84)가 작동한계에 도달한 후, 다시 센서와이어(98)가 후방으로 당겨지면, 와이어 지지부재(100)가 비틀림 스프링(109)에 저항하여 전방으로 요절이동하여 승강밸브 조작계에 무리가 걸리는 것을 저지하게 되어 있다.
[작업용 클러치 조작구조]
도 9를 참조하면, 식부클러치(15)는 승강레버(66)와 일체로 요동하는 조작판(65)에 상기와 같이 링크 연계되어 있으므로, 승강레버(66)가 「상승」위치, 「중립」위치 및 「하강」위치에 있을 때는 식부클러치(15)가 오프 조작되고, 승강레버(66)가 「식부」위치에 있을 때에만 식부클러치(15)가 온조작된다. 또, 식부클러치(15)는 일정한 회전 위상에서만 오프조작 되는 정위치 정지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승강레버(66)가 「식부」위치로 조작되었을 때에 반드시 클러치 오프 위상에 있다고는 한정할 수 없고, 클러치 오프 위상에서 벗어난 위상으로부터 「식부」위치로 조작될 때는 중계링크(73)의 긴구멍융통(74)에 의해 조작스트로크가 일단 흡수되고, 클러치 오프 위상이 된 시점에서 중계링크(73)가 스프링(111)에 의해 당김 조작되어 식부클러치(15)가 실제로 오프조작되도록 되어 있다.
또, 조작판(65)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출된 조작로드(72)의 하단은 상기 중계링크(73)와 동지지점(g)에서 회전운동 가능한 제 2 중계링크(112)에 융통 없이 연결됨과 동시에, 이 제 2 중계링크(112)와 상기 동력 뽑아내기 케이스(37)에 구비된 시비클러치(38)가 로드(39)로 연동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식부클러치(15)와 동일하게 승강레버(66)가 「상승」위치, 「중립」위치 및 「하강」위치에 있을 때는 시비클러치(38)가 오프 조작되고, 승강레버(66)가 「식부」위치에 있을 때에만 시비클러치(38)가 온 조작되도록 연계되어 있다.
[승강제어안내구조]
레버안내판(106)에 형성된 승강레버(66)의 가이드구멍(121)은 「상승」위치로부터「하강」위치에 걸친 직선경로부(121a)와, 「식부」위치에 있어서의 광폭구멍부(121b)가 연속형성됨과 동시에, 「하강」위치로부터 광폭구멍부(121b)와의 사이의 옆한쪽에 돌출부(122)가 형성된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승강레버(66)가 상기 직선경로부(121a)에 위치하고 있는 동안은 레버안내판(106) 하방에 부착한 판스프링(123)에 의해 승강레버(66)가 상기 돌출부(122) 존재측에 가압안내되어 있다. 즉, 「상승」위치 또는 「중립」위치로부터 「식부」위치를 향하여 조작할 때, 승강레버(66)가 돌출부(122)와의 맞닿음에 의해 일단 「하강」위치에 받아내고, 의식적으로 승강레버(66)를 수평이동시켜서 돌출부(122)를 넘은 후, 「식부」위치로 이행조작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공중에 있는 모식부장치(4)를 논바닥(T)으로 내려서 식부작업을 행할 경우, 승강레버(66)가 「상승」위치 또는 「중립」위치로부터 단번에 「식부」위치로 조작되면, 모식부장치(4)가 아직 접지되기 전에 식부클러치(1)가 온되어 모가 흩어지게 되지만, 상기와 같이 식부클러치(15)가 온되지 않은 「하강」위치로 일단 조작하여 모식부장치(4)를 논바닥(T)까지 하강한 것을 확인한 다음 「식부」위치로 조작함으로써 모를 공중에서 꺼내어 흐트러지게 하는 상기 결함을 회피할 수 있는 것이다.
[선긋기 마커 선택구조]
승강레버(66)는 지지점(e)으로부터 하방까지 연출되어 있고, 승강레버(66)가 「식부」위치까지 조작되면 레버연출부(66b)가 로크해제 조작바(57) 우단에 구비된 조작부재(57b)에 전방에서 걸어맞춤하고, 승강레버(66)를 광폭구멍부(121b)로 좌방 또는 우방으로 이동조작함으로써 레버연출부(66b)에 걸어맞춤 연결된 로크해제 조작바(57)가 좌우 역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되고, 이에 따라, 승강레버(66)가 수평조작된 측의 선긋기 마커(51)에 대한 격납로크가 해제되는 것이다.
[롤링제어 견제구조]
상기브라킷(61)의 외측면에는 승강레버(66)가 「중립」위치 또는 「상승」위치에 있을 때, 조작암(64)의 원호형상 하단부에 의해 가압조작되는 제 1 스위치(SW1)와, 승강레버(66)가 「식부」위치에 있을 때, 조작암(64)의 하단부에 의해 가압조작되는 제 2 스위치(SW2)가 장비되어 있고, 제 1 스위치(SW1)가 조작되면 모식부장치(4)의 롤링제어를 담당하는 롤링구동부(47) 작동이 견제저지되고, 공중에 있는 모식부장치(4)가 불 필요하게 롤링제어되는 것을 저지하게 되어 있다. 또, 제 2 스위치(SW2)가 조작되지 않는 동안은 스티어링핸들(19) 근원쪽에 구비된 패널의 식부 클러치 온 망각 표시램프가 점등 작동하고, 승강레버(66)가 「식부」위치로 조작되어 제 2 스위치(SW2)가 가압조작되면, 표시램프가 소등하게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승강레버와 함께 작동하는 가동부재는 상승한계 설정기구의 기능을 전환하는 부재임과 동시에 승강레버의 위치검출을 위한 부재로서도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부품의 겸용화에 의한 구조의 간소화에 유효하게 된다.
[백업구조]
승강레버(66)를 각각의 조작위치에 유지하는 위치결정암(68)과, 스티어링핸들(19) 좌측옆에 배치한 주 변속레버(20)가 조작와이어(24)로 연계되어 있고, 주 변속레버(20)가 후진역으로 조작되면, 조작와이어(24)가 당겨져서 위치결정암(68)이 스프링(69)에 저항하여 끌어내리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레버(66)가「식부」위치,「하강」위치, 또는「중립」위치에 있는 상태로 주 변속레버(20)가 후진역으로 조작되면, 위치결정암(68)이 끌어내려지게 되어 디텐트 롤러(70)에 의한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위치결정기능이 해제된 승강레버(66)는 가스 스프링(67)에 의해 「상승」위치까지 가압요동작동하고, 모식부장치(4)가 자동적으로 상승된다. 이에 따라, 후진시에 정지플로트(28)의 후부를 논바닥(T)에 돌입시키거나 논두렁에 부딪히는 일이 미연에 회피된다.
제 2 실시형태
이하, 도 16∼2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것과 공통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공통부호를 부기하여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양 실시형태의 주된 상위점은 첫째, 제어용 작동부재가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단일부재(제 2 밸브조작레버(85))로 구성되어 있었음에 비하여 제 2 실시형태는 이 제어용 작동부재를 2부재의 요동링크(120)로서 구성한 점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요동링크(120)는 승강레버(66)의 조작에 연동하는 레버연계부(120a)와 접지센서(SF)의 접지압에 의거한 변위에 기인한 내부와이어(19a)의 압인작용에 연동하는 조정부(120b)로 분할되고, 후기의 융통수단을 구성한다. 둘째는, 제 2 실시형태는 맞닿음 볼트(상승한계 설정기구의 1예; 132)가 이 조정부(120b)에 맞닿게 된다.
도 16∼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자동승강제어수단은 릴리즈와이어 이용의 센서와이어(19)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센서와이어(19)의 내부와이어(19a)는 접지센서(SF; 도 1)가 중립자세로부터 상승지령자세로 요동했을 때는 인발되고, 접지센서(SF)가 중립자세로부터 하강지령자세로 요동했을때는 이완된다. 상기 제어용 작동부재(120)는 내부와이어(19a)에 의해 잡아당겨져서 제 1 좌우향 축심(P1) 주위의 한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 제어용 작동부재(120)에는 승강밸브(60)의 조작암(83)이 로드(75)를 통하여 연동연결되어 있다. 조작암(83)은 제어용 작동부재(20)의 한방향으로의 요동에 의해 제 2 좌우향 축심(P2) 주위에 요동하고, 이에 따라, 승강밸브(60)의 스풀(60a)을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승위치로 가압 이동시킨다.
즉, 모식부장치(4)가 논바닥에 대하여 설정범위의 높이에 있으면,접지센서(SF)에 작용하는 접지압이 기준치 범위에 있어 접지센서(SF)가 중립자세로 유지되고, 승강밸브(60)는 중립상태로 유지된다. 그같은 중립상태로 모식부장치(4)가 논바닥에 대하여 설정범위를 넘어서 낮아지면, 접지센서(SF)에 작용하는 접지압이 기준치 범위보다 커지게되어, 접지센서(SF)가 상승지령자세로 요동하고, 센서와이어(19)의 내부와이어(19a)가 끌어당겨진다. 이에 따라, 승강밸브(60)의 스풀(60a)이 상승위치로 가압이동되고, 접지압이 기준치범위내로 복귀하여 상기 중립상태로 복귀하기까지 모식부장치(4)의 상승제어가 실행된다. 한편, 상기 중립상태로 모식부장치(4)가 논바닥에 대하여 설정범위를 넘어서 높아지면, 접지센서(SF)에 작용하는 접지압이 기준치 범위보다 작아지고, 접지센서(SF)가 하강지령자세로 요동하여 센서와이어(19)의 내부와이어(19a)가 이완된다. 이에 따라, 승강밸브(60)의 스풀(60a)이 하강위치로 가압력으로 이동하고 접지압이 기준치범위내로 복귀하여 상기중립상태로 복귀하기 까지 모식부장치(4)의 하강제어가 실행된다.
도 17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레버(66)는 「작업위치」와,「중립위치」와 「하강위치」사이에서 전환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작업위치」에서는 접지센서(SF)의 변위에 의거하여 승강밸브(60)의 작동이 허용된다. 이 「작업위치」에는 식부클러치(15)를 오프상태로 하여 모식부장치(4)를 승강하는 「하강위치」와 식부클러치(2a)를 온 작동시켜서 모식부장치(4)를 승강하는 「식부위치」가 포함된다.
상기 승강레버(66)의 기단부에는 조작암(64)이 장착되고, 「중립위치」에서는 이 조작암(64)에 부착설치된 돌기(64b)에 의해 요동링크(120)를 가압작용하여 승강밸브(60)를 강제적으로 중립상태로 조작한다. 「상승위치」에서는 상기 요동링크(120)에 돌기(64b)로 가압작용하여 승강밸브(60)를 강제적으로 상승상태로 조작한다.
조작판(65)은 승강레버(66)와 일체로 요동가능하게 구성되고, 그 둘레부에 복수의 오목부(65b)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디텐트기구는 위치결정암(68)의 디텐트롤러(70)가 이들 오목부(65b)의 어느 하나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춤함으로써 승강레버(66)를 상기 각각의 위치에 유지한다.
상기 상승한계 설정기구는 요동링크(120)에 맞닿아 이 요동링크(120)의 상승측으로의 요동을 규제하는 맞닿음 볼트(122)에 의해 구성된다. 이에 따라, 승강밸브(60)의 상승측으로의 변위한계가 조정되고, 상승시에 있어서의 유압실린더(15)로의 압유공급량이 조정되고, 이로써 모식부장치(4)의 상승속도가 조정된다. 이 맞닿음 볼트(122)의 로크너트(123)로부터의 돌출량(고정부와의 나사결합량)을 조절함으로써 맞닿음 위치를 요동링크(120)의 요동방향으로 변경조정가능하다.
상기 융통수단은 요동링크(120)를 상기 승랑레버(18)에 연통하는 가동부재(64)의 돌기(64b)에 의한 가압작용을 받는 레버연계부(120a)와, 상기 맞닿음 볼트(132)에 맞닿음과 동시에 상기 내부와이어(19a)에 연동하는 조정부(120b)로 분할하여 구성된다. 레버연계부(120a)와 조정부(120b)에는 닿기부(130a,130b)가 배분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들 닿기부는 레버연계부(120a)의 조정부(120b)에 대한 설정자세로부터 상승방향으로의 요동을 허용하나, 설정자세로부터 하강방향으로의 요동을 맞닿음에 의해 저지한다. 레버연계부(20a)는 스프링(126)에 의해 상기 설정자세로 요동자세되어 있다.
승강밸브(60)가 상기 상승한계 설정기구로 설정된 범위한계에 위치하고 있을때는 승강레버(66)가 상승위치측으로의 작동이 규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실시형태에서는 융통수단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레버(66)가 「식부위치」(도 19)나 「하강위치」(도 20)에 있어서 규제상태에 있더라도 레버연계부(120a)를 스프링(126)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승위치」(도 21)측으로 요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밸브(60)가 상승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해진다. 이는, 요동링크(120)가 2부재의 요절 링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승강레버(66)의 조작에 연동하는 레버연계부(120a)쪽이 조정부(120b)에서 한방향(볼트에서 이간되는 방향, 도면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상대요동가능한 것에 의한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승한계 설정기구에 의해 승강밸브(66)의 상승한계가 어떻게 설정되어 있어도 승강레버(66)를 상승위치로 조작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승강밸브(60)를 상승상태로 하여 그 모식부장치(4)의 상승속도를 최대로 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다음에 다른 실시형태를 열거한다.
(1) 제 1 ·제 2 실시형태 모두 백업구조에 관하여, 승강레버(66)를 상승위치로 강제적으로 전환하는 수단을 주 변속레버(20)로 구성하고 있으나, 레버 대신 버튼, 스위치 등, 다른 구성을 채용하여도 된다. 또, 이같은 강제전환수단은 운전자가 신속히 조작한 것인 한, 반드시 변속계통으로 설치할 필요도 없고, 승강레버의 위치유지기구에 연동연결된 다른 계통으로 설치하여도 되고, 또는 모식부장치(작업장치)의 강제상승조작 전용의 독립계통으로 설치하여도 된다.
(2)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상승한계 설정기구를 승강레버(66)와 함께 작동하는 조작암(가동부재의 1예; 64)에 제 2 밸브조작레버(제어용 작동부재의 1예; 85)에 대향하는 맞닿음 볼트(102)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반대로, 제 2 밸브조작레버(85)에 맞닿음 볼트(102)를 구비하여 승강레버(66)와 함께 작동하는 가동부재에 대향시키도록 구성하여도 동등한 기능을 발휘한다.
(3)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센서와이어(98)에 연계된 제 2 밸브조작레버(85)를 제어용 작동부재로 하고 있으나, 승강밸브(60)에 링크연계된 제 1 밸브조작레버(82)를 제어용 작동부재로 이용하기도 가능하다. 또, 제 1 밸브조작레버(82)에 연동연계로된 로드(84)나 승강밸브(60)를 조작하는 맞닿음 조작레버(83)를 제어용 작동부재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4)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맞닿음 볼트(132)를 요동링크(제어용 작동부재의 1예; 120)에 작용시켜서 승강밸브(60)의 상승한계를 조정하게 하였으나 승강밸브(60)에 직접 작용하여 상승한계를 조정하게 하여 실시하여도 된다.
청구항 1기재의 구성에 따르면, 승강밸브 자체의 최대개방정도를 크게 설정해 두면 승강레버 상승위치로 조작할 때는 상승한계 설정기구의 맞닿음 기능이 해제되므로 충분한 밸브개방정도 하로 신속한 상승작동을 행할 수 있다. 또, 승강레버를 작업위치로 조작한 작업시에는, 상승한계설정기구가 기능하므로 이때에는 승강밸브의 최대개방정도가 승강밸브 자체가 갖는 절대적 최대개방정도보다 작게 규제된다. 따라서, 가령 접지센서의 변위에 의거하여 승강밸브가 상승측으로 조작되더라도 상승속도는 늦게 억제된 것이 되고, 오버슈트가 발생되기 어려운 안정된 제어가 실행된다.
따라서, 작업주행중에는 오버슈트가 발생되기 어려운 상승속도 설정하에서 안정된 자동승강제어가 행해짐과 동시에, 논두렁 옆 등에 있어서는 충분한 속도로 신속하게 강제상승시킬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수 있다.
상기 상승한계 설정기구는 가령 청구항 2기재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같이 구성하면 기계적인 맞닿음 구조만으로 제어밸브 작동을 맞닿음 규제 및 규제해제하는 기구를 설치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가령 청구항 3기재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의 구성에 청구항 4기재의 구성을 구비하면, 상기 상승한계 설정기구가 설정여하에 불구하고, 또, 승강레버가 상승위치 이외의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이 승강레버를 상승위치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포장조건에 응한 승강속도를 얻을 수 있으면서도 소기의 승강레버의 상승위치로의 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수전작업기는 청구항 5기재와 같은 백업구조를 위한 구성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강제상승 조작구가 승강레버의 위치유지기구에 연계되고, 운전자가 이 조작구를 원터치 조작하는 것만으로 위치유지가 해제되고, 승강레버가 상승위치로 강제적으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승강밸브가 강제적으로 상승상태로 전환되고, 모식부장치(작업장치)가 자동적으로, 또한 신속하게 상승한다. 따라서, 가령 후진시에 정지 플로트 후부를 논바닥에 돌입시키거나, 논두렁에 부딪히는 폐단이 미연에 회피된다.
상기 구성에 더하여 청구항 6기재와 같이, 상기 강제상승 조작구를 주 변환레버에 의해 구성하고, 이 주 변속레버를 후진역으로 조작함으로써 모식부 장치가 자동적으로 상승하도록 구성하면 운전자 손앞에 있어 신속한 조작이 가능한 변속조작수단(주 변속레버)을 강제상승조작구로 겸용화할 수 있다. 또, 이같은 겸용화에 의해 후진전환조작시에는 필연적으로 작업장치(모식부장치)가 강제상승하기 때문에 상기 폐단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Claims (6)

  1. 수전용 작업장치(4);
    상기 작업장치(4)를 승강 구동 가능한 유압장치(5);
    상기 작업장치(4)에 구비되고, 논바닥(T)과의 접지압 변동에 의해 변위하는 접지센서(SF);
    상기 접지센서(SF)에 기계적으로 연동연결되고, 이 접지센서(SF)의 상기 변위에 의거하여 작동하고, 상기 유압장치(5)를 통하여 상기 작업장치(4)를 상기 논바닥(T)에 대하여 설정 높이로 유지시키는 자동승강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승강밸브(60); 및
    상기 접지센서(SF)의 변위에 의거한 상기 승강밸브(60)의 작동을 허용하는 식부위치와, 이 승강밸브(60)를 강제적으로 상승상태로 조작하는 상승위치에 걸쳐 전환조작가능한 승강레버(66);
    를 구비한 수전작업기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승강레버(66)가 상기 식부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승강밸브(60)의 상승측으로의 변위한계를 설정하는 상승한계 설정기구(102,13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작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센서(SF)에 연동연결되어 변위하는 제어용 작동부재(85)와, 상기 승강레버(66)와 함께 작동하는 가동부재(64)와의 사이에 상기 상승한계 설정기구(102)가 설치되고,
    이들 제어용 작동부재(85)와 가동부재(64)가 접근함으로써 상기 상승한계 설정기구(102)가 상기 제어밸브(60)의 작동을 맞닿음 규제하여 이 제어밸브(60)의 상기 변위한계를 설정하고, 또한,
    이들 제어용 작동부재(85)와 가동부재(64)가 이간함으로써 상기 상승한계 설정기구(102)의 맞닿음 규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작업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작동부재(85)가 상기 상승한계 설정기구(102)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승강밸브(66)의 상기 변위한계가 설정되어 상기 승강레버(66)의 상기 상승위치로의 작동이 규제됨과 동시에, 이 제어용 작동부재(85)가 상기 상승한계 설정기구(102)로부터 이간함으로써 상기 변위한계가 설정해제되어 상기 승강레버(66)의 상기 상승위치로의 작동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작업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밸브(60)가 상기 상승한계 설정기구(132)에 의해 설정된 상기 변위한계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상기 승강레버(66)의 상기 상승위치로의 작동을 허용하는 융통수단(120a,120b)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작업기.
  5. 수전용 작업장치(4);
    상기 작업장치(4)를 승강 구동 가능한 유압장치(5);
    상기 작업장치(4)에 구비되어 논바닥(T)과의 접지압 변동에 의해 변위하는 접지센서(SF);
    상기 접지센서(SF)에 기계적으로 연동연결되고, 이 접지센서(SF)의 상기 변위에 의거하여 작동하고, 상기 유압장치(5)를 통하여 상기 작업장치(4)를 상기 논바닥(T)에 대하여 설정높이로 유지시키는 자동승강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승강밸브(60);
    상기 접지센서(SF)의 변위에 의거한 상기 승강밸브(60)의 작동을 허용하는 식부위치와, 이 승강밸브(60)를 강제적으로 상승상태로 조작하는 상승위치에 걸쳐 전환조작 가능한 승강레버(66); 및
    수전작업기의 주행속도를 제어하는 변속조작수단(20)을 구비한 수전작업기에 있어서,
    강제상승 조작구가 설치되고, 이 강제상승조작구에 의해 상기 승강레버(66)가 그 위치유지가 해제되어 상기 상승위치에 강제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작업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상승조작구가 상기 변속조작수단으로서의 주 변속레버(20)이고, 이 주 변속레버(20)가 후진역으로 조작되었을 때에 상기 승강레버(66)가 상기 상승위치에 강제적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작업기.
KR10-2001-0010259A 2000-04-17 2001-02-28 수전작업기 KR1003755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14898A JP2001299024A (ja) 2000-04-17 2000-04-17 水田作業機
JP2000-114898 2000-04-17
JP2000277706A JP3538591B2 (ja) 2000-09-13 2000-09-13 水田作業機
JP2000-277706 2000-09-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578A true KR20010096578A (ko) 2001-11-07
KR100375582B1 KR100375582B1 (ko) 2003-03-15

Family

ID=26590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259A KR100375582B1 (ko) 2000-04-17 2001-02-28 수전작업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75582B1 (ko)
CN (1) CN1230062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238B1 (ko) * 2006-12-26 2009-10-27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농작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734B1 (ko) * 2002-09-13 2005-11-08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승용형 무논 작업기
JP4803383B2 (ja) * 2006-12-26 2011-10-26 井関農機株式会社 走行車両
JP4950691B2 (ja) * 2007-02-14 2012-06-13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クタ
CN102037804A (zh) * 2010-10-11 2011-05-04 哈尔滨市农业机械化研究所 耕整地机具土壤耕整深度自动测定同步显示装置
JP5668723B2 (ja) * 2012-05-24 2015-02-12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CN102356709B (zh) * 2011-09-28 2013-07-03 常州亚美柯机械设备有限公司 农田作业机
JP2013203359A (ja) * 2012-03-29 2013-10-07 Kubota Corp 水田作業機
CN109937658A (zh) * 2019-03-15 2019-06-28 西安鸣士机电开发有限公司 一种可智能作业的插秧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406A (ja) * 1996-07-12 1998-02-03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水田作業車における油圧制御用リンク機構
JPH1052122A (ja) * 1996-08-08 1998-02-24 Kubota Corp 乗用型田植機
JP3318226B2 (ja) * 1997-04-18 2002-08-26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238B1 (ko) * 2006-12-26 2009-10-27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농작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5582B1 (ko) 2003-03-15
CN1230062C (zh) 2005-12-07
CN1318277A (zh) 2001-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5248B2 (ja) 苗移植機
JP5308075B2 (ja) 水田作業機
KR100375582B1 (ko) 수전작업기
KR101196463B1 (ko) 작업기
JP5063302B2 (ja) 移植機
CN109068582B (zh) 插秧机
JP4532763B2 (ja) 乗用田植機
JP2008253231A (ja) 走行車体
JP2008295366A (ja) 苗移植機
JP2008301761A (ja) 作業車体のローリング装置
JP3880254B2 (ja) 田植機
JP2013201920A (ja) 水田作業機
JPH0324004Y2 (ko)
JP2725100B2 (ja) 水田作業車輌における制御装置
JP2001299024A (ja) 水田作業機
JP3509619B2 (ja) 田植機
JP3538581B2 (ja) 水田作業車
JP3433488B2 (ja) 苗移植機の昇降制御装置
JP2002101713A (ja) 水田作業機
JP2520184B2 (ja) 歩行型水田作業機
JP3538566B2 (ja) 水田作業機
JP2001086820A (ja) 水田作業機
JPS61187710A (ja) 水田用農作業機の作業機昇降制御装置
JP2003079212A (ja) 田植機
JPS58209909A (ja) 田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