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2252A -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과 이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이용되는 콘트롤러, 타겟 및 소비자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과 이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이용되는 콘트롤러, 타겟 및 소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2252A
KR20010092252A KR1020007010471A KR20007010471A KR20010092252A KR 20010092252 A KR20010092252 A KR 20010092252A KR 1020007010471 A KR1020007010471 A KR 1020007010471A KR 20007010471 A KR20007010471 A KR 20007010471A KR 20010092252 A KR20010092252 A KR 20010092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arget
protocol
messag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0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5749B1 (ko
Inventor
야나가와요시후미
이이츠카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14532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85016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04948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253463A/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2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2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7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117Interconnection of audio or video/imag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대용량 데이터를 효율좋고 신속하게 또한 확실하게 전송함과 동시에 타겟이 무엇을 송신한 것인지를 용이하게 콘트롤러가 판단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이러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용의 콘트롤러 및 타겟이다.
이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메시지를 송신하는 콘트롤러, 수신한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타겟, 콘트롤러와 타겟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개시자를 구비하고, 또한,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으로서, 기기내에는 콘트롤러와 타겟 중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이 존재하고 있고, 타겟은 여러개의 프로토콜중의 한쪽에서 있는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수신한 메시지에 따라서, 다른쪽인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송신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과 이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콘트롤러, 타겟 및 소비자{NETWORK CONTROL SYSTEM, AND CONTROLLER, TARGET AND CONSUMER FOR USE IN THE NETWORK CONTROL SYSTEM}
최근, TV 화면상에 기기의 기능을 나타내는 화면 표시용 데이터나 문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그래픽스나 아이콘을 표시하고, 이것을 TV의 원격 조정 장치(원격 조정 장치)에 의해 선택 조작하는 것에 의해 기기의 제어를 실행하는 기기 제어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다. 또, IEEE 1394-1995를 이용해서 디지털 방식의 디지털 VTR등의 디지털 기기를 접속하고, 영상/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도 등장하고 있다.
그래서, 이하에 이와 같은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종래의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는 AVC 시스템은 각 AV 기기가 각 AV 기기를 전환하여 접속하는 일 없이 다른 AV 기기와 쌍방향 패킷 통신 방식으로 균등한 통신기회를 주기적으로 부여받는 직렬 버스에 의해 접속되는 것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직렬 버스로서는 예를 들면 IEEE 1394 규격의 디지털 인터페이스 등이 이용된다.
각 AV 기기는 각각 독자의 화면 표시용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그래픽 표시기능을 갖는 콘트롤러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이 화면 표시용 데이터를 콘트롤러로 송신한다.
화면 표시용 데이터를 수신한 콘트롤러는 이 화면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한다. 또, 콘트롤러가 화면 표시용 데이터를 리드할 때에는 콘트롤러는 AV 기기에 대해서 리드 커맨드를 발행하고, AV 기기로부터의 응답으로서 원하는 데이터를 리드한다. 여기서, 원하는 데이터가 각 AV 기기내의 버퍼량보다 큰 경우에는 콘트롤러가 반복해서 리드 커맨드를 발행하여 남은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콘트롤러는 접속되어 있는 AV 기기의 표시에 필요한 데이터를 문의하는 기능과 AV 기기로부터의 화면 표시용 데이터에 따른 표시 화면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AV 기기에는 화면 표시용 데이터를 축적하는 기록 매체와 콘트롤러로부터의 화면 표시용 데이터의 문의에 대해서 적절한 화면 표시용 데이터를 선택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AVC 시스템의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서는 화면 표시용 데이터를 각 디바이스(장치)(AV 기기)에 의해 보관해 두고, 콘트롤러(텔레비전 수상기)로부터의 표시요구에 따라서 출력하는 것에 의해 각 장치(AV 기기) 독자의 그래픽을 콘트롤러의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러한 종래의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하나로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제 09-149325 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있고,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방식으로서는 마찬가지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제 10-290238 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는 AV 기기가 대용량의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는 AV 기기의 버퍼량에 따라 반복해서 커맨드를 발행할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오버헤드(over head)가 커지고, 또 전송로의 전송효율이 나빠지고, 그 결과 데이터 전송 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아이콘 데이터 등의 대용량 데이터를 효율좋고 신속하게 또한 확실하게 전송함과 동시에 타겟이 자발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도 타겟이 무엇을 송신했는지를 용이하게 콘트롤러가 판단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이러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용의 콘트롤러, 타겟 및 소비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서는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상기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콘트롤러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 중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 상기 타겟 및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개시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 및 상기 개시자가 확립한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겟은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수신한 메시지에 따라서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아이콘 등의 대용량 데이터에 대해서 적절한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전송 효율이 좋고 신속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2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서는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콘트롤러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 중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 상기 타겟 및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개시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 및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시자는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 사이에 사전에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을 확립하고,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타겟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때에는 상기 콘트롤러는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 요구를 실행하고, 상기 타겟은 상기 데이터 요구에 따라서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제어 코드와 대용량 데이터의 전송에 대해서 필요에 따라 각각 적절한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낭비가 적고 양호한전송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 데이터의 전송과 제어 코드가 동일한 프로토콜에 혼재하지 않으므로 양자의 구별이 용이하게 되고, 또 콘트롤러 및 타겟에서의 처리를 간소화할 수 있어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3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서는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과 상기 메시지를 송신함과 동시에 타겟과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콘트롤러 중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 및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타겟에 대해서 사전에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을 확립하고,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타겟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때에는 상기 콘트롤러는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 요구를 실행하고, 상기 타겟은 상기 데이터 요구에 따라서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아이콘 등의 대용량 데이터에 대해서 적절한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전송 효율이 좋고 신속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4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서는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콘트롤러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 중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 상기 타겟 및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개시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 및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시자는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 사이에 미리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한 상기 커넥션을 확립하고, 상기 타겟이 상기 콘트롤러로 데이터를 자발적으로 송신할 때에는 상기 타겟은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전송 효율이 좋고 신속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됨과 동시에 타겟이 자발적으로 데이터를 콘트롤러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아이콘 등의 대용량 데이터를 적절한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할 수 있고 이것을 콘트롤러가 용이하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5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서는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과 상기 메시지를 송신함과 동시에 상기 타겟과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콘트롤러 중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 및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타겟에 대해서 미리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한 상기 커넥션을 확립하고, 상기 타겟이 상기 콘트롤러로 데이타를 자발적으로 송신할 때에는 상기 타겟은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전송 효율이 좋고 신속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됨과 동시에 간단한 구성으로 타겟이 자발적으로 데이터를 콘트롤러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아이콘 등의 대용량 데이터를 적절한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할 수 있고 이것을 콘트롤러가 용이하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6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서는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상기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콘트롤러,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을 내포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 상기 타겟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비자 및 상기 타겟과 상기 소비자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개시자 중의 어느 1개 이상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 상기 타겟 및 상기 소비자와 상기 개시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 및 상기 커넥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할 때에는 상기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타겟내의 커넥션 관리수단이 상기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의 출력을 상기 제 2 프로토콜의 상기 커넥션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아이콘 등의 대용량 데이터에 대해서 적절한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전송 효율이 좋고 신속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또, 개시자가 타겟 내부의 내부 커넥션을 연장할 필요가 없어져 타겟이 내부 커넥션의 접속을 자유롭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각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의 응답성에 따라 타겟이 내부 커넥션을 전환하고 데이터 전송을 실행할 수 있게 되어 타겟을 원하는 성능으로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또,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 타겟 내부의 내부 커넥션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여러개의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1개의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을 공유할 수 있고, 제 2 프로토콜에서 필요로 되는 버퍼나 플러그 등의 자원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타겟의 구성을 간단화할 수 있고 또 타겟 내부의 처리를 간소화할 수 있으므로, 타겟의 부담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여러개의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을 갖는 타겟을 제어하는 경우에도 커넥션은 1개로 좋으므로, 콘트롤러의 구성 및 처리도 간결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새로운 기능을 갖는 장치가 등장해도 이 타겟이면 용이하게 지시에 따라서 할 수 있고, 소비자 및 콘트롤러도 용이하게 이 타겟을 서포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7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서는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단수 또는 여러개의 콘트롤러,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을 내포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 상기 타겟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비자 및 상기 타겟과 상기 소비자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개시자 중의 어느 1개 이상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 상기 타겟, 상기 소비자 및 상기 개시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 및 상기 커넥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겟은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의 출력원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이 시스템에 이용하는 타겟은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의 출력원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커넥션상으로 송신하므로, 소비자는 이 정보에 의해 흘러 온 데이터의 소성(素性)의 구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간결한 구성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확실하게 수신하고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동일한 종류의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여러개 존재하는 경우나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을 여러개의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공유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도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송신원을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8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서는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콘트롤러,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타겟, 상기 타겟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비자 및 상기 타겟과 상기 사용자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개시자 중의 어느 1개 이상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 상기 타겟, 상기 소비자 및 상기 개시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 및 상기 커넥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소비자내의 송신지 정보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상기 타겟로 송신하고, 상기 타겟은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커넥션상으로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수신한 상기 송신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송신된 송신지 정보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으로 전송하므로, 데이터소성을 이해하지 않더라도 기계적으로 적절한 내부 기능 제어 수단으로 배송할 수 있고, 유사한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여러개 존재하는 경우나 제 2 프로토콜을 여러개의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공유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송신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9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서는 영상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상기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콘트롤러,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을 내포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 상기 타겟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비자 및 상기 타겟과 상기 소비자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개시자 중의 어느 1개 이상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 상기 타겟, 상기 소비자 및 상기 개시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 및 상기 커넥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트롤러는 원하는 상기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의 데이터 입출력 장소를 나타내는 플러그측으로(앞으로)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타겟은 상기 플러그측의 상기 메시지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했으므로, 콘트롤러가 타겟의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의 데이터입출력 장소를 나타내는 플러그측으로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메시지를 송신하고, 타겟은 이 메시지에 따라 동작하는 것에 의해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과 메시지의 관련을 명확하게 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상을 흐르는 데이터와 메시지의 대응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플러그에 대해서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이 플러그를 이용해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콘트롤러를 타겟이 취사(取捨) 선택하는 것이나 특정 콘트롤러로부터의 제어만을 허가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타겟 내부의 내부 커넥션의 접속 또는 절단은 플러그가 실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 콘트롤러 자체가 타겟 내부의 커넥션을 확립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구조가 간결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10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서는 청구의 범위 제 1항 내지 청구의 범위 제 9 항 중의 어느 1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한 데이터 전송의 확인 처리를 실행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제 2 프로토콜에서의 데이터 전송의 확인이나 재송요구를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제 2 프로토콜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확실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전송로뿐만 아니라, 콘트롤러내나 타겟내에서의 에러에 의해 정상적인 전송을 실행할 수 없었던 경우에도 이와 같이 직접 송신원과 수신지에서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서 이들 에러를 검출할 수 있어 정상적인 전송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11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서는 청구의 범위 제 1항 내지 청구의 범위 제 9 항 중의 어느 1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하는 데이터는 버전 정보를 갖고, 상기 버전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데이터의 버전 관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하는 데이터는 버전 정보를 갖고 상기 버전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데이터의 버전 관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콘트롤러가 항상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버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콘트롤러가 항상 최신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이나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 나아가서는, 콘트롤러가 데이터를 캐싱(caching)할 때 타겟내에서의 상태변화에 의해 기능 일람내의 정보가 변화했는지의 여부 등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어 캐싱을 유효하고 또한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12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서는 청구의 범위 제 1 항 내지 청구의 범위 제 9 항 중의 어느 1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하는 데이터는 상기 콘트롤러에 대해서 사용자로의 강제통지를 지시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하는 데이터는 사용자로의 강제통지를 지시하는 GUI 데이터로 했기 때문에, 타겟내에서의 이상이 발생했을 때 사용자에 대해서 GUI에 의한 경고 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정확하게 또한 신속하게 타겟의 상태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13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서는 청구의 범위 제 1 항 내지 청구의 범위 제 9 항 중의 어느 1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하는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하는 데이터는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타겟이 자발적으로 또는 콘트롤러의 지시에 따라서 타겟이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송신한 데이터를 콘트롤러가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하는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타겟이 송신하는 데이터의 상세를 상기 데이터의 실(實)데이터부를 체크하기 전에 사전에 확인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콘트롤러가 표시 불가능한 것은 수취하지 않는 것이나 수신하더라도 즉시 폐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콘트롤러내의 메모리 등의 자원을 유효하게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14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서는 청구의 범위 제 13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식별 정보, 사이즈 정보 및 데이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속성 정보는 식별 정보, 사이즈 정보 및 데이터부를 갖는 것에 의해서, 식별 정보에 의해 오브젝트를 식별하고 사이즈 정보에 의해 데이터의 단락을 명확화할 수 있어, 처리를 간단하게 하고 또한 고속화할 수 있다. 이러한 형식으로 속성 정보를 공통화하는 것에 의해 각종 오브젝트에 대한 처리가 간단하게 되고 새로운 속성 정보에 대한 대응도 용이하게 된다. 또, 여기서, 몇개의 속성 정보를 세트(조)로 하여 1개의 속성 정보로서 처리하도록 구성해도 좋고,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15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서는 청구의 범위 제 1 항 내지 청구의 범위 제 9 항 중의 어느 1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하는 데이터는 오브젝트를 단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하는 데이터는 오브젝트를 단위로 하는 것에 의해, 기능 단위나 표시 단위마다 큰 데이터를 몇 개의 오브젝트로 나누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전송시의 에러에 강하게 됨과 동시에 콘트롤러나 타겟의 전송에 대한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16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서는 청구의 범위 제 15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하는 데이터의 속성 정보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오브젝트와 속성 정보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에 의해, 콘트롤러는 동일한 처리에서 오브젝트와 속성 정보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콘트롤러의 처리를 경감시켜 처리를 고속화할 수 있다. 또, 각종 오브젝트나 속성 정보로의 대응이 간단하게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17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서는 청구의 범위 제 15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식별 정보, 사이즈 정보 및 데이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오브젝트는 식별 정보, 사이즈 정보 및 데이터부를갖는 것에 의해서, 식별 정보에 의해 오브젝트를 식별하고 사이즈 정보에 의해 데이터의 단락을 명확화할 수 있어 처리를 간단하게 하고 또한 고속화할 수 있다. 이러한 형식으로 데이터를 공통화하는 것에 의해 각종 오브젝트에 대한 처리가 간단하게 되고 새로운 오브젝트에 대한 대응도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18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서는 청구의 범위 제 15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데이터부에 속정 정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오브젝트는 데이터부에 속성 정보를 갖는 것에 의해, 속성 정보를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게 되어 속성 정보의 처리를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19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콘트롤러는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콘트롤러로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 중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이 개시자 또는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확립되고,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 및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서포트하고,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커넥션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대용량의 데이터에 대해서도 전송효율이 좋고 신속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되는 콘트롤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20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콘트롤러는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콘트롤러로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 중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이 개시자 또는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확립되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 및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서포트하고,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 요구를 실행하고, 상기 데이터 요구에 따라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커넥션상에서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제어 코드와 대용량 데이터의 전송에 대해서 필요에 따라서 각각 적절한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게 되어, 낭비가 적고 양호한 전송 효율을 얻는 콘트롤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21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콘트롤러는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콘트롤러로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 중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이 개시자 또는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확립되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 및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트롤러에 있어서, 상기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서포트하고, 상기 타겟에 대해서 미리 상기 커넥션을 확립하고, 데이터를 수신할 때에는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 요구를 실행하고, 상기 데이터 요구에 따라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커넥션상에서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아이콘 등의 대용량 데이터에 대해서 적절한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전송 효율이 좋고 신속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콘트롤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22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콘트롤러는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콘트롤러로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 중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이 개시자 또는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확립되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 및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트롤러에 있어서, 상기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서포트하고, 상기 타겟이 자발적으로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커넥션상으로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전송 효율이 좋고 신속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콘트롤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23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콘트롤러는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콘트롤러로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 중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이 개시자 또는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확립되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 및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서포트하고, 상기 타겟에 대해서 미리 상기 제 2 프로토콜의 상기 커넥션을 확립하고, 상기 타겟이 자발적으로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커넥션상으로 자발적으로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전송 효율이 좋고 신속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콘트롤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24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콘트롤러는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하는 콘트롤러로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상기 콘트롤러,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타겟, 상기 타겟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비자 및 상기 타겟과 상기 소비자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개시자 중의 어느 1개 이상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 및 상기 커넥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커넥션상으로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수신한 상기 송신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기 타겟, 상기 콘트롤러, 상기 소비자 및 상기 개시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소비자내의 송신지 정보를 나타내는 송신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상기 타겟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이 콘트롤러를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하면,데이터 소성을 이해하지 않더라도 기계적으로 적절한 내부 기능 제어 수단으로 배송할 수 있고, 유사한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여러개 존재하는 경우나 제 2 프로토콜을 여러개의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공유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송신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25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콘트롤러는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상기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하는 콘트롤러로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상기 콘트롤러,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을 내포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 상기 타겟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비자 및 상기 타겟과 상기 소비자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개시자 중의 어느 1개 이상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 및 상기 커넥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원하는 상기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의 데이터 입출력 장소를 나타내는 플러그측의 상기 메시지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타겟, 상기 콘트롤러, 상기 소비자 및 상기 개시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콘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으로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이 콘트롤러를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하면,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과 메시지의 관련을 명확하게 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상을 흐르는 데이터와 메시지의 대응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플러그에 대해서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이 플러그를 이용해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콘트롤러를 타겟이 취사 선택하는 것이나 특정 콘트롤러로부터의 제어만을 허가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타겟 내부의 내부 커넥션의 접속 또는 절단은 플러그가 실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 콘트롤러 자체가 타겟 내부의 커넥션을 확립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구조가 간결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26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타겟은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취급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타겟으로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 중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이 개시자 또는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확립되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 및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겟에 있어서,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서포트하고,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수신한 메시지에 따라서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대용량의 데이터에 대해서도 전송효율이 좋고 신속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히게 되는 타겟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27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타겟은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취급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타겟으로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 중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이 개시자 또는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확립되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 및 상기 커넥션상으로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겟에 있어서,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서포트하고,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의한 상기 콘트롤러로부터의 데이터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제어 코드와 대용량 데이터의 전송에 대해서 필요에 따라서 각각 적절한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게 되어, 낭비가 적고 양호한 전송 효율을 얻는 타겟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28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타겟은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취급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타겟으로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 중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이 개시자 또는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확립되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 및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겟에 있어서,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갖고,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자발적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전송 효율이 좋고 신속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타겟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29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타겟은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취급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상기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타겟으로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콘트롤러,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을 내포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상기 타겟, 상기 타겟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비자 및 상기 타겟과 상기 소비자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개시자 중의 어느 1개 이상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 상기 타겟, 상기 소비자 및 상기 개시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 및 상기 커넥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겟에 있어서, 상기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할 때에는 상기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타겟내의 커넥션 관리 수단이 상기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의 출력을 상기 제2 프로토콜의 상기 커넥션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개시자가 타겟 내부의 내부 커넥션을 연장할 필요가 없게 되어 타겟이 내부 커넥션의 접속을 자유롭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각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의 응답성에 따라 타겟이 내부 커넥션을 전환하여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타겟을 원하는 성능으로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또,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 타겟 내부의 내부 커넥션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여러개의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1개의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을 공유할 수 있고, 제 2 프로토콜에서 필요로 되는 버퍼나 플러그 등의 자원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타겟의 구성을 간단화할 수 있고 또 타겟 내부의 처리를 간소화할 수 있으므로, 타겟의 부담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신기능을 갖는 장치가 등장하더라도 이 타겟이면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30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타겟은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취급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타겟으로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콘트롤러,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을 내포하는 상기 타겟, 상기 타겟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비자 및 상기 타겟과 상기 소비자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개시자 중의 어느 1개 이상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 상기 타겟, 상기 소비자 및 상기 개시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 및 상기 커넥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겟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의 출력원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이 타겟을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하면, 이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소비자는 흘러 온 데이터의 소성의 구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간결한 구성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확실하게 수신하고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동일한 종류의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여러개 존재하는 경우나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을 여러개의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공유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도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송신원을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31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타겟은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취급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타겟으로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콘트롤러, 상기 메시지에 따른처리를 실행하는 상기 타겟, 상기 타겟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비자 및 상기 타겟과 상기 소비자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개시자 중의 어느 1개 이상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 및 상기 커넥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소비자내의 송신지 정보를 나타내는 송신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상기 타겟으로 송신하는 상기 콘트롤러, 상기 타겟, 상기 소비자 및 상기 개시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타겟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커넥션상으로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수신한 상기 송신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이 타겟을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하면, 데이터 소성을 이해하지 않더라도 기계적으로 적절한 내부 기능 제어 수단으로 배송할 수 있고, 유사한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여러개 존재하는 경우나 제 2 프로토콜을 여러개의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공유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송신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32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타겟은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취급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상기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타겟으로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콘트롤러,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을 내포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상기 타겟, 상기 타겟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비자 및 상기 타겟과 상기 소비자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개시자 중의 어느 1개 이상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 및 상기 커넥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원하는 상기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의 데이터 입출력 장소를 나타내는 플러그측으로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상기 콘트롤러, 상기 타겟, 상기 소비자 및 상기 개시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타겟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의 상기 메시지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이 타겟을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하면,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과 메시지의 관련을 명확하게 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상을 흐르는 데이터와 메시지의 대응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또, 플러그에 대해서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이 플러그를 이용해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콘트롤러를 타겟이 취사 선택하는 것이나 특정 콘트롤러로부터의 제어만을 허가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타겟 내부의 내부 커넥션의 접속 또는 절단은 플러그가 실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 콘트롤러 자체가 타겟 내부의 커넥션을 확립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구조가 간결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33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소비자는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취급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소비자으로서, 상기 기기내에, 상기 소비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콘트롤러,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타겟 및 상기 타겟과 상기 소비자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개시자 중의 어느 1개 이상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 상기 타겟, 상기 소비자 및 상기 개시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 및 상기 커넥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비자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서 상기 커넥션상으로 상기 타겟이 송신하는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의해서 상기 콘트롤러로부터 수신한 상기 소비자내의 송신지 정보를 나타내는 송신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33 항에 관한 소비자에 의하면, 데이터를 수신한 소비자가 소비자 내부의 어떤 내부 기능 제어 수단으로데이터를 전송하면 좋은지를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판정할 수 있고, 데이터 소성을 이해하지 않더라도 기계적으로 적절한 내부 기능 제어 수단으로 배송할 수 있고, 유사한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여러개 존재하는 경우나 제 2 프로토콜을 여러개의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공유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송신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기기를 접속해서 이루어지는 오디오 비디오 컴퓨터 시스템(Audio Video Computer System, 이하 「AVC시스템」이라 한다.)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이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하는 타겟, 콘트롤러, 소비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면상에 그래픽스, 문자 등에 의해 사용자의 기기 조작을 지원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이하「GUI」라고 한다.)를 생성하는 것 등을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대용량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1예를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중의 타겟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중의 콘트롤러의 블럭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개시자가 있는 경우의 시스템 구성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개시자가 없는 경우의 시스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기능일람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프로토콜의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콘트롤러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타겟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전송 확인시의 프로토콜의 설명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표시요소의 구성도,
도 10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속성 정보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표시 데이터의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기능일람의 1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콘트롤러의 화면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기능일람의 구성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1예를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중의 타겟의 블럭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중의 콘트롤러의 블럭도,
도 18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개시자가 있는 경우의 시스템 구성도,
도 18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개시자가 없는 경우의 시스템 구성도,
도 18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소비자를 포함한 시스템 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커넥션을 연장한 콘트롤러와 타겟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커넥션을 연장한 콘트롤러와 여러개의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을 갖는 타겟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커넥션을 연장한 여러개의 콘트롤러와 여러개의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을 갖는 타겟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프로토콜의 설명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콘트롤러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타겟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1예이며, 반드시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 기술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는 AVC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영상/음향/정보 기기에 의한 구성이 고려된다. 또한, 본 명세서중에서 기술하는 타겟이라는 것은 제어 대상을 의미하고, 콘트롤러라는 것은 이 제어 대상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소비자라는 것은 타겟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며, 개시자라는 것은 타겟과 소비자 사이로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을 연장하는 것이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영상/음향/정보 기기를 일괄해서 「기기」라고 칭하지만, 이 기기에는 프린터나 미니 디스크 등과 같은 현존하는 영상/음향/정보 기기뿐만 아니라 장래 개발되어 출현할 이들 분야에 관련된 기기도 전부 포함한다. 또한, 1개의 기기내에 타겟, 콘트롤러, 소비자 및 개시자가 임의의 조합으로 공존해도 좋고, 어느 1개만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 1개의 기기내에 여러개의 콘트롤러, 여러개의 타겟, 여러개의 소비자, 여러개의 개시자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 기기는 전송로상의 1개의 노드에 대응하는 것이며, 1개의 케이싱내에 여러개의 노드를 갖도록 장치를 구성해도 좋다.
또한, 1개의 기기내에 여러개의 타겟이 있는 경우나 다른 기능을 갖는 경우, 타겟, 콘트롤러, 소비자, 개시자 중 여러개를 갖는 경우 등에 있어서, 이하 설명하는 타겟, 콘트롤러, 소비자, 개시자의 각 구성요소는 다른 기능이나 수단과 겸용하고 있어도 좋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중에 있어서의 플러그라는 것은 데이터를 입 출력하는 입구(포트)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론적인 플러그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이 플러그는 각각 플러그번호를 갖고, 이 플러그번호로 각각을 구별하도록 구성된다. 또, 이들 플러그번호는 I/O(Input/Output) 어드레스 등에 1대 1로 대응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제 1 실시예)
우선, 본 발명에 관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는 AVC 시스템의 네트워크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간단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한 시스템 구성의 1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21)은 텔레비전, (22)는 텔레비전용의 원격 조정 장치, (23)은 퍼스널 컴퓨터(이하,「PC」라고 한다.), (31)은 기록재생 가능한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이하,「DVD」라고 한다.), (32)는 디지털 비디오방식(이하,「DV 방식」이라고 한다.)의 디지털 VTR(이하,「DVC」라고 한다.), (33)은 VHS방식의 디지털 VTR(이하,「DVHS」라고 한다.), (34)는 DV 방식의 디지털 무비(이하,「DVC 무비」라고 한다.), (35)는 CS 디지털 방송 등의 세트 톱 박스(이하,「STB(set top box)」라고 한다.)이다. 그리고, 이들 기기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송로(1)에 의해서 접속되어 AVC 시스템으로 된다.
텔레비전(21)은 콘트롤러와 타겟(여기서는 지상파 튜너와 비디오 모니터이다.)으로 이루어지는 기기로서, 원격 조정 장치(22)를 이용해서 사용자는 표시/기능 선택 수단(14)에 지시를 부여한다.
PC(23)은 콘트롤러와 타겟(여기서는 전화선과 인터페이스를 취하는 모뎀과 비디오모니터 등임)으로 이루어지는 기기로서, 키보드나 마우스 등을 이용해서 사용자는 표시/기능 선택 수단(14)에 지시를 부여한다.
이 텔레비전(21)과 PC(23)은 타겟과 콘트롤러가 일체로 된 기기로서 정의된다. 그리고, 기기내의 타겟 기능 중 다른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후술하는 기능일람(8)에 기록하지만, 기기내의 콘트롤러부의 기능 데이터베이스(13)에는 자신의 기능은 등록하지 않는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콘트롤러의 설명에있어서 기술한다.
또, 텔레비전(21)이나 PC(23)을 각 타겟과 콘트롤러로 이루어지는 기기로서 정의하고, 기기내의 각 타겟에 대해서 기능일람(8)을 갖고, 역시 후술하는 기기내의 콘트롤러의 기능 데이터 베이스(13)에 기기내의 각 기능일람(8)을 등록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DVD(31) 및 DVC 무비(34)는 AV 데이터를 기록재생 가능한 타겟이다. 또, DVC(32), DVHS(33)은 AV 데이터를 기록재생 가능한 타겟과 디지털 방송 튜너 기능을 갖는 타겟으로 이루어지는 기기이다. 그리고, STB(35)는 CS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튜너기능을 갖는 타겟이다.
여기서, DVD(31), DVC(32), DVHS(33), DVC 무비(34), STB(35)를 타겟으로 했지만, 기기의 크기가 작더라도 액정 패널 등에 의해 다른 타겟을 조작할 수 있는 환경을 실현하고, 또, 터치 패널이나 원격 조정 장치 등에 의해 사용자가 다른 타겟의 기능을 선택하는 등의 조작을 할 수 있는 것이면 이들 기기를 콘트롤러와 타겟을 포함하는 기기로 해도 좋다.
또, 여기에서 예로 든 AVC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기는 콘트롤러로서의 처리기능을 포함함과 동시에 기기용의 원격 조정 장치를 갖고, 표시 및 음성만을 아날로그 결선 등에 의해 모니터에 표시시키고, 사용자는 이 화면을 보면서 기기의 원격 조정 장치에 의해 조작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때 이 기기는 콘트롤러와 타겟을 포함하는 기기로 해도 좋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되는 AVC 시스템의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타겟에 대해서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중의 타겟의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타겟의 구성 및 각 구성부재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1)은 전송로, (2)는 패킷 송수신 수단, (3)은 동기 데이터송수신 수단, (4)는 타겟 신호 처리 수단, (5)는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 (6)은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 (7)은 기기 구성 정보, (8)은 기능일람, (9)는 기기 내부 제어 수단이며, (15)는 기능일람(8)의 일부가 배치된 리라이트 불가능한 메모리 영역(ROM), (16)은 기능일람(8)의 일부가 배치된 리라이트 가능한 메모리 영역(RAM), (17)은 기능 정보 관리 수단, (18)은 제 2 프로토콜 송신 수단이다.
전송로(1)에 대해서 설명하면, 이것은 예를 들면 IEEE 1394 규격(IEEE 1394-1995 및 이것과 호환성이 있는 상위 규격)에 의해 정해진 직렬 버스(1394 버스)이다. 또, 여기서 전송로(1)은 반드시 1394 버스일 필요는 없고, ATM, 인터넷이나 적외선 전송 등의 전송로를 이용해도 좋다.
다음에, 패킷 송수신 수단(2)에 대해서 기술하면, 이것은 전송로(1)과의 물리적,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취함과 동시에 버스 사용권의 조정, 동기 전송용 사이클 제어 등도 실행한다. 또, 패킷 송수신 수단(2)는 전송로(1) 상의 패킷을 수신지에 따라서 취사 선택하여 수신하는 것이나 전송로(1)상으로의 패킷의 송신을 실행한다.
다음에, 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3)에 대해서 기술하면, 이것은 송신시에는 전송 레이트의 관리(데이터의 분할)나 헤더의 부가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1394버스의 AV 프로토콜(IEC61883) 규격을 사용하는 경우는 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3)에 의해 CIP(Common Isochronous Packet) 헤더의 부가를 실행한다. 반대로, 데이터를 수신할 때에는 수신 패킷을 올바른 순서로 재배열하여 헤더의 제거 등을 실행한다.
다음에, 타겟 신호 처리 수단(4)에 대해서 기술하면, 이것은 동기 데이터를 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3)에서 수취하고 타겟에 따른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이 타겟이 DVC 등의 기록 재생 기기이면, 동기 데이터를 예를 들면 자기테이프 등의 기록미디어에 기록한다. 또, 타겟 신호 처리 수단(4)는 기록미디어, 방송파 등에서 동기 데이터를 추출하고, 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3)으로 송신하는 것도 실행한다.
다음에,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5)에 대해서 기술하면, 이것은 전송로(1)에 따른 비동기 데이터의 트랜잭션(transaction)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1394 버스의 경우는 리드 트랜잭션, 라이트 트랜잭션, 록 트랜잭션 처리 등을 실행한다. 여기서,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5)는 소프트웨어로 구성해도 좋다. 여기서, 이들 트랜잭션 중에서 리드 요구 등의 요구나 리드 응답 등의 응답 등에 대해서 승인 신호(acknowledge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해도 좋지만, 본 명세서중에서는 이 승인 신호는 생략해서 설명한다.
다음에,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6)에 대해서 기술하면, 이것은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5)에서 수취한 비동기 데이터(메시지)를 처리하고, 이 타겟내의 적절한 구성요소로 전달함과 동시에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콘트롤러에 응답한다.
여기서, 제 1 프로토콜로서 AV 프로토콜(IEC61883) 규격의 FCP 및 1394 TA(1394 Trade Association)에서 논의되어 있는 AV/C 커맨드(Audio/Video Control Digita1 Interface Command Set)를 사용하는 경우는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6)은 수신 메시지에서 타겟내에서 유효한 메시지로의 변환 및 수신 메시지에 대한 제 1 프로토콜에 따른 적절한 응답을 실행하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면,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6)은 수취한 메시지가 데이터의 요구이면 그 유효성을 판정하고, 유효하다면 콘트롤러로 상기 메시지를 이해했다고 응답하고, 동시에 기기 내부 제어 수단(9)에 이 데이터 요구에 상당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지시를 내리도록 동작한다.
또,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6)은 비동기 데이터(메시지)를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때, 타겟내에 있어서 유효한 메시지에서 제 1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메시지로 변환함과 동시에 그 응답을 대기하여 해석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그리고, 이 경우, 콘트롤러에서 기기 구성 정보(7)의 리드를 요구받았을 때,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5)는 수취한 요구에 따라서 기기 구성 정보(7)에 기록된 정보를 콘트롤러로 송출하도록 동작한다.
여기서,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5)와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6)은 1개의 수단으로서 구성해도 좋다.
다음에, 기기 구성 정보(7)에 대해서 기술하면, 이것은 기기의 구성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다. 기술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ISO/IEC13213:1994 규격으로 표시되는 CSR(Command and Status Registers) 아키텍쳐의 구성(configuration) ROM에 의해 표시되는 규칙에 따른 기술로 할 수 있다. 1394 버스를 이용하는 경우는 버스 매니저나 등시 동작을 서포트하고 있는지 아닌지 등의 기기가 대응하는 버스의 정보나 AV 프로토콜을 서포트하고 있는지 아닌지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유닛 디렉토리, 그리고 이 기기의 식별자인 고유 ID 등을 이 기기 구성 정보(7)은 갖고 있다. 또, 기기 구성 정보(7)내에는 타겟의 정보도 기재되어 있다.
이 타겟 정보라는 것은 예를 들면 타겟이 서포트하는 프로토콜이나 커맨드의 종별이나 타겟의 타입을 코드화한 타겟 타입, 타겟의 버전 정보 등을 기록한 것이다.
그리고, 타겟 타입이라는 것은 예를 들면 VTR인지 STB인지 등의 이 타겟의 기능의 개요를 알 수 있는 정보로서, 이것에 예를 들면 1394 TA에서 의론되어 있는 AV/C Digita1 Interface Command Set(AV/C-CTS)의 서브유닛 형식(subunit type)으로 표시되는 코드나 문자열로 나타내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타겟의 정보로서는 상술한 것 이외에 후술하는 기능 일람(8)의 특징을 나타내는 정보를 갖는 것도 가능하고, 이 기능 일람(8)의 서포트 레벨이나 사이즈 등을 독자 정보로서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해 두면, 콘트롤러가 기능일람(8)의 정보를 리드하기 전에 콘트롤러 자체가 예를 들면 서포트할 수 있는 레벨의 것인지의 여부, 얼마만큼의 메모리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지 등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불필요한 전송을 없앨 수 있어 적합하다.
또, 타겟의 정보로서, 타겟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정보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로서, 타겟의 명칭을 문자열로 표시한 타겟명이나 제조업자가 제품의 형식번호를 문자열로 표시한 모델명, 타겟의아이콘 등의 타겟을 나타내는 정지 화상 오브젝트 등을 갖는 것이 고려된다.
다음에, 기능일람(8)에 대해서 기술하면, 이것은 상술한 타겟의 조작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정보인 조작 화면 정보, 즉 타겟의 기능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의 일람이다. 이 기능일람(8)중에는 타겟의 조작 화면을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오브젝트가 포함된다. 그리고, 이 오브젝트에는 오브젝트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예를 들면, ID 번호나 오브젝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오브젝트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면, 우선 오브젝트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면 타겟은 임의의 문자, 숫자 등을 식별 정보로서 이용해도 좋고, 이들 문자, 숫자의 의미 부여도 타겟 독자의 것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식별 정보를 타겟이 부여할 때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어 좋다.
또, 오브젝트로서는 텍스트 데이터나 정지 화상 데이터 등의 표시 데이터, 표시 데이터와 그 속성 정보 등을 도시한 표시 부품, 몇개의 표시 부품의 집합인 그룹, 표시 부품이나 그룹 등의 표시 요소의 집합으로서 조작이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서 메뉴로서 이용하는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또, 표시 부품이라는 것은 기기의 조작버튼 등의 정지 화상 데이터, 기능 등을 나타내는 텍스트 데이터, 효과음 등의 오디오 데이터, 정지 화상 데이터나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코드 등의 표시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속성 정보 등을 갖고 있어도 상관없다.
오브젝트의 정보로서는 표시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오브젝트, 표시 부품이나 표시 요소의 리스트, 각종 헤더 정보나 독자 정보 등의 속성 정보 및 식별 정보가 있다.
각 오브젝트는 리스트형식의 계층화 구조를 갖는 것으로 하고, 이하, 본 명세서중에서는 각 데이터 오브젝트나 리스트 자신을 총칭해서 오브젝트라고 부르기로 한다. 단, 각 오브젝트는 반드시 리스트 구조를 취할 필요는 없고, 식별 정보 등으로 구별되는 것이면 데이터 오브젝트만으로 또는 속성 정보와 데이터 오브젝트로 구성해도 좋다.
이들 정보로 이루어지는 기능 일람(8)의 정보는 전송로(1)상의 콘트롤러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기능 정보 관리 수단(19)를 경유해서 제 2 프로토콜 처리 수단(18),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5) 등을 거쳐서 콘트롤러로 전송된다.
이 기능일람(8)은 ROM(15)와 RAM(16)에 배치되고, ROM(15)에는 타겟 고유의 것으로서 빈번히 리라이트할 필요가 없는 정보, 즉 기기의 조작 버튼을 나타내는 정지 화상 데이터 등의 오브젝트가 기억된다. 또한, 이 ROM(15)는 플래쉬 ROM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플래시 ROM으로 한 경우 기기의 기능 자체를 리라이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좋다.
또, 이 기능일람(8)이 배치된 RAM(16)에는 전송로(1)상의 콘트롤러나 기기 내부 제어 수단(9)가 필요에 따라서 기능 정보 관리 수단(17)을 경유해서 오브젝트를 라이트한다. 여기서, 라이트되는 정보는 콘텐츠 정보나 동작 상태 정보 등이다.
이 콘텐츠 정보라는 것은 예를 들면 STB 등의 방송을 수신하는 타겟의 경우에는 현재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 타이틀, 타이틀 화면, 테마음악, 개요, 출연자 등의 프로그램 정보이며, DVD 등의 정보를 기록하는 타겟의 경우에는 타이틀, 타이틀 화면, 테마음악, 개요, 출연자 등의 DVD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의미한다.
또. 동작 상태 정보라는 것은 예를 들면 VTR의 경우에는 재생중, 되감기중, 녹화 예약중 등의 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 부품 등의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또, 이 타겟을 사용하고 있는 콘트롤러의 식별 정보 등의 네트워크 제어에 필요한 정보나 녹화 예약의 일시와 채널 번호 등을 RAM(16)에 라이트해도 좋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타겟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라는 것은 여기에서 설명한 콘텐츠 정보와 동작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예를 들면, VTR의 재생 버튼과 같이 버튼이 눌려진 경우의 정지 화상과 떨어진(버튼이 눌려 있지 않은) 경우의 정지 화상 등의 각 표시 부품의 상태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기능 정보 관리 수단(17)에 대해서 기술하면, 이것은 예를 들면 ID나 오브젝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인 오브젝트의 식별 정보와 ROM(15) 또는 RAM(16)의 어드레스의 변환 및 각 오브젝트의 관리를 실행하는 것이다. 또, 단 어드레스의 변환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표시 부품이 리라이트되어 데이터 사이즈가 커지고 원래의 어드레스 영역에 라이트할 수 없을 때에는 새로운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등의 작업도 실행한다.
따라서, 전송로(1)상의 콘트롤러, 기기 내부 제어 수단(9),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6)에서 오브젝트의 식별 정보에 따라 기능 정보 관리 수단(17)이 각각의 오브젝트를 리드, 라이트할 수 있다.
또, 각 오브젝트 등의 어드레스를 미리 알고 있는 경우에는 ROM(15) 또는RAM(16)의 어드레스를 이용해서 오브젝트를 리드, 라이트해도 좋다. 또, 이들을 조합시켜 표시 부품 등을 리드, 라이트하는 것도 가능하고, 오브젝트의 식별 정보로 나타내어지는 표시 부품내의 상대 어드레스에 의해서 표시 부품을 리드, 라이트해도 좋다.
또, 기능 정보 관리 수단(17)은 신규로 오브젝트가 추가되었을 때에는 이 오브젝트에 대해서 다른 오브젝트와 중복되지 않는 식별 정보를 부여하고, 오브젝트가 소거되었을 때에는 이 오브젝트의 식별 정보를 무효로 하는 등의 오브젝트의 식별 정보의 관리를 실행한다.
또, 기능 정보 관리 수단(17)은 타겟 자신에 의해서 오브젝트가 변경되었을 때 변경된 오브젝트를 콘트롤러로 자발적으로 송신하기 때문에, 콘트롤러가 변화할 가능성이 있는 오브젝트를 항상 감시할 필요가 없어 콘트롤러의 처리를 저감할 수 있고, 시시각각 변화하는 상태(status) 정보나 콘텐츠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에 대해서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기능 정보 관리 수단(17)에 타겟내의 특정 범위의 정보가 변화했을 때 콘트롤러로 통지하는 통지 범위를 마련하면, 콘트롤러가 임의의 시점에 있어서 원하지 않는 데이터가 타겟으로부터 통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콘트롤러가 이들의 처리를 실행할 필요가 없어지고, 그 결과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적합하다.
또, 변경된 오브젝트를 콘트롤러로 자발적으로 송신하는 대신에, 변경한 오브젝트의 식별 정보만을 송신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콘트롤러는 변경한 오브젝트의 식별 정보를 이용해서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변경한 오브젝트의 송신요구를 전송하고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변화한 오브젝트를 얻게 된다.
다음에, 기기 내부 제어 수단(9)에 대해서 기술하면, 이것은 이 타겟의 내부 기구 등을 포함하는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6)이 수취한 데이터가 타겟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 코드이면,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6)의 지시에 의해 이 제어 코드에 따른 동작을 실행시킨다.
또, 기기 내부 제어 수단(9)은 콘트롤러로부터의 데이터 요구에 포함되는 통지 범위의 정보를 처리한다. 여기서, 콘트롤러로부터의 데이터 요구에 포함되는 통지 범위라는 것은 타겟내의 상태나 기능이 변화했을 때 타겟이 어느 범위에 있어서 변화를 통지하는가의 범위를 의미한다. 그리고, 콘트롤러가 원하는 범위가 콘트롤러로부터의 데이터 요구에 포함되는 통지 범위로서 지정된다. 즉, 기능 내부 제어 수단(9)는 콘트롤러로부터의 데이터 요구에서 통지 범위의 정보를 취득하고, 타겟내의 상태나 기능이 변화했을 때 이 통지 범위내의 변화만을 제 2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콘트롤러로 통지하는 것이다. 또, 통지 범위로서 기능일람(8) 전체 즉 기능일람(8)에 포함되는 모든 정보, 또는 기능일람(8)의 구성요소 즉 패널단위, 표시 부품단위 등의 오브젝트 단위를 지정할 수 있다. 또, 여러개의 콘트롤러가 존재할 때에는 각각의 콘트롤러의 통지 범위에 따라서 통지 범위에 변화한 상태나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콘트롤러에 대해서만 변화를 통지한다.
또한, 통지 범위로서 기능일람(8) 전체 또는 기능일람(8)의 구성요소로 했지만, 예를 들면 기능일람(8) 전체와 타겟의 정보를 포함한 타겟 전체를 통지 범위로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기기 내부 제어 수단(9)은 상술한 동작 이외에, 기능 일람(8)내의 정보의 버전 관리도 실행한다. 즉, 이 버전 관리를 실행하는 위한 버전 번호는 카운터를 이용해서 생성되는 것이지만, 기능 정보 관리 수단(17)에 의해서 기능 일람(8)내의 RAM(16)에 기재되어 있는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기기 내부 제어 수단(9)은 버전 정보 생성 수단(18)내의 카운터를 인크리먼트하는 작업도 실행한다.
이 카운터값 등에 의해 표시되는 버전 정보에는 기능 일람(8)의 버전을 나타내는 기능 일람 버전 정보와 기능 일람(8)내의 구성요소, 예를 들면 기능 메뉴, 표시 부품, 데이터 오브젝트 등의 버전을 나타내는 요소 버전 정보가 포함된다.
또, 콘트롤러에서 타겟내의 데이터 요구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보내졌을 때, 타겟에서 콘트롤러로 전송되는 데이터중에 이 데이터에 대응한 버전 정보가 포함되므로, 콘트롤러는 항상 수신한 데이터의 버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콘트롤러가 항상 최신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더 나아가서는 콘트롤러가 데이터를 캐싱할 때 타겟내에서의 상태 변화에 따라서 기능일람(8)내의 정보가 변화했는지의 여부 등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어 캐싱을 유효하고 또한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다.
다음에, 이 타겟으로 이용하는 제 2 프로토콜에 대해서 설명하면, 제 2 프로토콜은 제 1 프로토콜과 다른 프로토콜로서, 송신원과 수신지 사이로 커넥션을 연장한 후 데이터의 송신을 실행하고, 각 데이터 송신 전체에 대해서는 응답을 되돌려 보내지 않는 것이다.
예를 들면, 송신원과 수신지 사이에서 정보를 교환해서 데이터를 라이트하는 어드레스나 일연속으로 라이트하는 버퍼 사이즈 등의 송신 방법을 정하여 커넥션을 연장하고, 1394의 라이트 트랜잭션을 여러회 연속해서 실행해서 데이터를 수신지에 라이트하고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1394 TA에서 의론되어 있는 비동기 직렬 버스 커넥션(Asynchronous Seria1 Bus Connections)이 있다.
또, 그 이외에 이 타겟에 의해 이용하는 것이 고려되는 제 2 프로토콜로서, IEEE 1394-1995 사양으로 등시적(Isochronous) 전송방식 등을 이용해서 전송되는 스트림 데이터가 있다. 여기서, 스트림 데이터는 오디오나 비디오 신호 등의 데이터이며, 이 오디오나 비디오의 스트림 데이터에 GUI 데이터로서 예를 들면 비트 맵 데이터 등을 오버래이(overlay)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GUI 데이터라는 것은 예를 들면 소위 아이콘이나 정지 화상 애니메이션, JPEG나 BMP로서 알려지는 비트 맵 포맷의 데이터나 효과음 등에 이용되는 AIFF 오디오 포맷의 데이터 등 다양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프로토콜 송신 수단(18)은 이 제 2 프로토콜의 타겟측에 있어서의 처리 즉 송신원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서, 기능 정보 관리 수단(17)에서 기능일람(8)의 정보를 수취하고,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5)를 경유하여 데이터의 송신을 실행하는 것이다. 또한, 커넥션의 접속/절단 처리는 기기 내부 제어 수단(9)이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6) 및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5)를 경유하여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실행한다.
이와 같은 각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타겟의 콘트롤러로부터의 요구에 의한 동작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타겟이 전송로(1)에 접속된 경우나 콘트롤러가 전송로(1)에 접속된 경우, 콘트롤러는 우선 타겟의 기기 구성 정보(7)를 리드하고, 타겟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기기의 종류나 GUI 정보의 유무 등의 소재를 확인하고 리드한다. 또,기기 구성 정보(7)는 기능일람(8)의 어드레스 정보를 갖는 것이나 존재만을 나타내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콘트롤러는 타겟 사이로 제 2 프로토콜용의 커넥션을 연장한다. 그리고, 콘트롤러는 타겟에 대해서 기능일람(8)내의 오브젝트 즉 패널이나 표시 부품 등을 요구하는 데이터 요구를 발행하고, 기능일람(8)의 정보를 취득한다. 이 때, 콘트롤러는 기능일람(8)의 일부 예를 들면 표시 부품만을 요구하는 커맨드를 발행하고, 표시 부품과 이 ID만을 취득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타겟이 콘트롤러에서 제어 코드와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수취한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서 이 제어 코드와 사용자의 조작 정보로 나타내어지는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타겟의 기능을 나타내는 표시 부품 등의 오브젝트에 대해서이 오브젝트의 제어 코드가 사용자의 조작 정보인 「선택」과 함께 콘트롤러에서 타겟으로 송신되어 온 경우에는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5)은 이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기기 내부 제어 수단(9)에 지시를 내린다. 또, 오브젝트의 제어 코드로서는 오브젝트의 식별 정보 예를 들면 표시 부품의 식별 정보 등이 이용된다.
이와 같이 콘트롤러로부터의 GUI 정보의 요구에 대해서 타겟은 기능일람(8)의 정보를 제시하는 것만으로 좋아 타겟의 부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타겟의 각 기능에 대해서 표준화 단체(團體) 등으로 커맨드를 규정할 필요가 없어 현재 상정할 수 없는 새로운 기능을 갖는 타겟이라도 용이하게 전송로(1)을 경유해서 신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상 설명한 타겟에 있어서, 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3), 타겟 신호 처리 수단(4) 등의 구성요소는 타겟의 기능에 따라서 임의로 구성해도 좋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이 존재하지 않아도 좋다. 또, 각 수단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중 어느 하나로 구성해도 좋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타겟에서는 사용자의 조작 정보와 오브젝트의 제어 코드에 의해 타겟의 기능을 특정했지만, 사용자의 조작으로서 「선택」 이외가 인정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오브젝트의 제어 코드만으로 타겟의 기능을 특정할 수 있게 되므로, 타겟은 제어 코드만으로 타겟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전송하는 패킷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좋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타겟에서는 제어 코드를 오브젝트의 식별 정보로 했지만, 이 제어 코드는 타겟이 임의로 설정해도 좋고, 예를 들면 타겟의 기능의 종류별로 붙인 번호와 종류마다의 직렬 번호로 구성해도 좋고, 타겟 내부에서 이용하는 독자의 제어 코드를 이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타겟내의 각 기능의 실장이 용이하게 되어 바람직하다.
다음에, AVC 시스템의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콘트롤러에 대해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중의 콘트롤러의 블럭도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20)은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 (10)은 콘트롤러 신호 처리 수단, (12)는 기능 일람 관리 수단, (13)은 기능 데이터 베이스, (14)는 표시/기능 선택 수단, (19)는 제 2 프로토콜 송신 수단이다.
이하, 이들 구성 부품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겠지만, 도 3에 있어서 도 2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콘트롤러 신호 처리 수단(10)에 대해서 기술하면, 이것은 동기 데이터를 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3)에서 수취하고, 이 콘트롤러에 따른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이 콘트롤러가 비디오 모니터 등의 영상을 표시할 능력이 있는 기기이면, 동기 데이터 예들 들면 MPEG2의 스트림 등을 복호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
다음에,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20)에 대해서 기술하면, 이것은 패킷 송수신 수단(2)에서 신규 타겟의 접속이나 기존 타겟의 분리 등 전송로(1)상의 타겟의 정보를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5)을 경유해서 수취하고, 후술하는 표시/기능 선택 수단(14)로 전달한다. 또, 제 2 프로토콜용의 커넥션의 접속/절단이나 타겟을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의 송수신을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20)에 의해서 제 1 프로토콜로 실행한다.
기능 데이터 베이스(13)는 리라이트가능한 메모리 공간에 배치되고, 타겟에서 수취한 기능 일람(8)을 데이터 베이스로서 구성한 것이며, 이 데이터 베이스를 후술하는 기능 일람 관리 수단(12)을 이용하여 검색하는 것에 의해서 각 타겟의 정보나 각 기능의 정보 등의 오브젝트 및 이들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이 오브젝트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표시 부품, 사용자가 이 표시 부품을 조작했을 때에 표시할 표시 부품이나 송신할 제어 코드 등을 꺼내는(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능 데이터 베이스(13)은 반드시 기능 일람(8)의 모든 정보를 항상 가질 필요는 없고, 필요한 부분만을 유지한다고 해도 좋다.
여기서, 콘트롤러와 타겟을 동일한 기기내에서 구성하는 경우, 이 기기내의 타겟의 기능을 다시 콘트롤러에 지시할 필요는 없고, 또 기기 내부의 제어는 기기 내부 제어 수단(9)에서 직접 실행하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타겟은 다른 콘트롤러가 사용하기 위한 기능 일람(8)을 갖지만, 이 기능 일람(8)을 콘트롤러의 기능 데이터 베이스(13)에 등록할 필요는 없다. 또, 콘트롤러와 타겟을 동일한 기기내에서 구성하는 경우, 기능 일람(8)은 그 소재(所在)를 기기 구성 정보(7)에 기재해 둠과 동시에 미리 기능 데이터 베이스(13)에 등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프로토콜 송신 수단(19)은 제 2 프로토콜의 콘트롤러 측에 있어서의 처리 즉 수신원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서, 타겟의 기능 일람(8) 등을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5)를 경유해서 수취하고 후술하는 기능 일람 관리 수단(12)으로 전달한다. 또한, 커넥션의 접속/절단 처리는 기기 내부 제어 수단(9)이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20) 및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5)를 경유해서 제 1 프로토콜로실행한다.
다음에, 기능 일람 관리 수단(12)에 대해서 기술하면, 이것은 전송로(1)상의 타겟에서 수취한 기능 일람(8)의 정보를 관리하는 것이다.
이 정보 관리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우선, 비동기 데이터 처리 수단(5)에서 신규 타겟이 접속되었다는 정보를 수취했을 때에는 이 신규 타겟의 기능 일람(8)의 정보를 리드하도록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5)에 지시를 발행한다(보낸다).
다음에, 신규 타겟의 기능 일람(8)의 정보와 이 버전 정보가 리드되었을 때에는 이 기능 일람(8)을 기능 데이터 베이스(13)에 등록함과 동시에, 기능 일람(8)의 버전 정보를 기능 일람(8)과 관련지어(관련시켜) 기억한다.
여기서, 버전 정보의 기억지는 기능 데이터 베이스(13)내에 기능 일람(8)과 동시에 기억해도 좋고, 기능 일람 관리 수단(12)이 기억하여 관리해도 좋다. 또, 기능 일람(8)내의 구성요소가 요소 버전 정보와 동시에 리드되었을 때는 이 구성요소와 요소 버전 정보를 관련지어 콘트롤러의 기능 일람(8)내에 기억한다. 또한, 요소 버전 정보는 기능 일람 관리 수단(12) 등이 기억하여 관리해도 좋다.
또, 전송로(1)상의 기존 타겟이 분리되었다는 등의 정보를 수취했을 때에는 기능 일람 관리 수단(12)은 기능 데이터 베이스(13)에서 해당하는 기능 일람(8)을 삭제한다.
여기서, 기존타겟이 분리되었을 때에 해당 타겟의 기능 일람(8)을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콘트롤러내의 기억 수단에 보관하도록 구성하고, 재차 이 타겟이 접속되었을 때에는 타겟의 식별자 등에 의해 이 타겟을 인식하고, 콘트롤러내의 기억 수단에서 기능 일람(8)을 리드하여 기능 데이터 베이스(13)에 등록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해 두면, 접속 기기의 등록을 신속히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콘트롤러내의 기능 일람(8)은 타겟내의 기능 일람(8)과 완전히 동일한 형식일 필요는 없고,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면 좋다. 더 나아가서는, 전송로(1) 상에서 제 2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된 형식일 필요는 없다.
다음에, 표시/기능 선택 수단(14)에 대해서 기술하면, 이것은 콘트롤러의 화면상에 제 2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수신한 타겟의 GUI 정보나 기능의 GUI 정보 등을 나타내는 표시 부품 예들 들면 영상 정보, 음성 정보, 문자 정보 등을 표시하고, 이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타겟 및 기능의 선택이나 각 기능의 실행 지시 등을 제 1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또, 표시/기능 선택 수단(l4)은 콘트롤러 신호 처리 수단(10)에서 수취한 데이터 예를 들면 영상이나 음성 데이터나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20) 또는 제 2 프로토콜 송신 수단(19)에서 수취한 데이터를 표시/재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GUI정보 등은 콘트롤러 신호 처리 수단(10)에서 수취한 영상 데이터에 오버레이 표시하도록 구성해도 좋고, GUI정보 표시 화면과 영상 데이터의 표시 화면을 사용자의 지시 등에 따라서 전환해서 표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표시/기능 선택 수단(14)은 기능 일람 관리 수단(12)로 지시를 발행하여 기능 일람(8)을 검색하고, 전송로(1)상의 타겟이나 타겟의 기능을 나타내는 표시부품 예들 들면 타겟명, 기능명이나 표시용 정지 화상 등을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러한 각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콘트롤러의 동작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타겟을 나타내는 표시 부품을 선택하면, 기능 일람(8)에서 이 타겟의 패널(메뉴)을 리드하여 표시 화면상에 표시한다.
다음에, 사용자가 패널중에서 기능을 나타내는 표시 부품을 선택하면, 기능 일람(8)에서 얻은 이 표시 부품에 대응하는 제어 코드와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20) 등을 통해서 발행한다. 표시/기능 선택 수단(14)은 이 제어 코드와 사용자의 조작 정보에 대한 타겟의 응답을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20)을 경유해서 수취한다.
또,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타겟에서 오브젝트의 변경 통지, 예들 들면 변경한 오브젝트의 전송을 받았을 때는 이 변경된 오브젝트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의 타겟의 상태 등에 대해서 최신의 GUI를 표시 화면상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버전 정보를 이용하여 오브젝트를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타겟에서 버전 정보를 부가하여 오브젝트가 송신된 경우에는 콘트롤러는 버전 정보를 체크하고, 버전 정보가 갱신되어 있을 때에만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하면 좋다.
이와 같이, 콘트롤러가 동작하는 것에 의해 타겟이 여러개의 콘트롤러로 기능 일람의 정보를 배송하고 있는 경우, 특정 콘트롤러의 제약 예를 들면 메모리량 등에 따라서 이 특정 콘트롤러가 동일 버전의 데이터를 원한(요구한) 경우에도 불필요한 동작을 할 필요가 없어 처리를 간단하게 또한 화면 갱신이 적은 양호한 표시를 실행할 수 있으므로 좋다.
또, 콘트롤러는 반드시 타겟의 각 기능을 이해할 필요는 없고, 예들 들면 현재 상정할 수 없는 바와 같은 신기능을 갖는 타겟에 대해서도 콘트롤러는 이 신기능에 대한 표시 부품을 기능 일람(8)에서 꺼내어(취출해서) 화면상에 표시해서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표시 부품에 의해 사용자가 신기능을 이해하여 이 기능을 선택한 경우에는 콘트롤러의 표시/기능 선택 수단(14)는 기능 일람(8)을 참조하여 이 신기능에 대응하는 제어 코드를 얻고, 이 제어 코드와 사용자의 조작을 타겟에 대해서 발행하여 타겟에 의해 이 신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을 취하는 것에 의해, 현재 상정할 수 없는 신기능이라도 사용자가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3), 콘트롤러 신호 처리 수단(10) 등의 구성요소는 콘트롤러의 기능에 따라 임의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 콘트롤러의 기능에 따라서 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3), 콘트롤러 신호 처리 수단 (10) 등의 구성요소를 생략하는 것도 고려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프로토콜이 이용하는 커넥션의 접속/절단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제 2 프로토콜에서 이용하는 커넥션의 접속/절단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4a는 개시자가 있는 경우, 도 4b는 개시자가 없는 경우이며, 도면중 (40)은 개시자, (41)은 콘트롤러, (42)는 타겟이다.
또, 커넥션(connection)이라는 것은 전송로(1)상을 흐르는 데이터에 대해서 논리적으로 구성된 정보 전송용의 경로로서, 타겟이나 콘트롤러는 여러개의 커넥션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때, 각 커넥션은 논리적인 플러그 번호나 포트번호 등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어드레스 등을 지정하고, 이 플러그번호나 포트번호 등에 의해 각 커넥션을 구별한다.
우선, 개시자가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a에 있어서, 개시자(40)이 콘트롤러(41)과 타겟(42) 사이에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을 연장한다. 이 커넥션에 있어서, 제 2 프로토콜에서 흐르는 데이터의 송신원은 타겟(42), 수신지는 콘트롤러(4l)이다.
개시자(40)은 콘트롤러(41)에서 커넥션에 필요한 정보, 예들 들면 접속 가능한 버퍼의 어드레스 등의 콘트롤러의 자원 정보 등을 취득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타겟(42)에 대해서 커넥션으로의 접속을 시도한다. 이것이 성공했을 때에는 개시자(40)는 콘트롤러(41)에 대해서 커넥션으로의 접속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해서, 콘트롤러(4l)와 타겟(42) 사이에 커넥션을 확립한다.
또한, 커넥션을 절단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개시자(40)는 콘트롤러(41)를 커넥션에서 절단하고, 다음에 타겟(42)을 커넥션에서 절단한다. 이것이 성공했을 때에는 개시자(40)는 콘트롤러(4l)가 커넥션용으로 확보하고 있던 자원의 해방을 실행한다.
다음에, 개시자가 없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b에 있어서, 콘트롤러(41)가 콘트롤러(41)와 타겟(42) 사이에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을 연장한다. 이 커넥션에 있어서 제 2 프로토롤에서 흐르는 데이터의 송신원은 타겟(42), 수신지는 콘트롤러(41)이다. 즉, 도 4a에 있어서의 개시자를 콘트롤러가 겸무하고 있다.
콘트롤러(41)는 콘트롤러(41) 자신의 커넥션에 필요한 정보 예들 들면 접속 가능한 버퍼의 어드레스 등의 자원 정보 등을 취득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타겟(42)에 대해서 커넥션으로의 접속을 시도한다. 이것이 성공했을 때에는 콘트롤러(41)은 콘트롤러(41) 자신에 대해서 커넥션으로의 접속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해서, 콘트롤러(41)과 타겟(42) 사이에 커넥션을 확립한다.
또, 커넥션을 절단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콘트롤러(41)는 자신을 커넥션에서 절단하고, 다음에 타겟(42)을 커넥션에서 절단한다. 이것이 성공했을 때에는 콘트롤러(41)는 자신이 커넥션용으로 확보하고 있던 자원의 해방을 실행한다.
또한, 이 커넥션의 확립 방법은 제 2 프로토콜에 의존하기 때문에, 제 2 프로토콜에 적절한 방법으로 개시자가 커넥션을 연장하면 좋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능 일람(8)의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간단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기능 일람(8)으로서, 패널을 1개 갖는 경우의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 이 도 5에서는 패널, 그룹 및 표시 부품을 일괄해서 표시 요소로 기재하고 있다.
패널은 타겟내의 GUI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리스트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그룹은 패널내의 표시 요소의 집합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1차원 배열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또한, 그룹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이것을 생략할 수도 있다. 그룹을 생략한 경우는 패널 리스트에 직접 표시 부품의 식별 정보를 기재해도 좋다.
표시 부품은 아이콘이나 버튼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표시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갖고 있어도 좋다. 표시 데이터는 정지 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등의 표시 부품의 실(實)데이터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 기능 일람은 여러개의 패널을 갖고 있어도 좋다.
여기서, 패널, 그룹, 표시 부품, 표시 데이터를 총칭하여 오브젝트(object)라고 부른다. 각 오브젝트는 1차원의 배열로 이루어지고, 배열의 각 요소로서 식별 정보와 데이터부 즉 속성 정보 또는 실데이터를 갖는다. 이 속성 정보 중에 다른 오브젝트의 식별 정보를 기재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때 각 오브젝트는 리스트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오브젝트는 각각의 오브젝트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갖지만, 이 식별 정보는 식별자로서의 ID번호, 오브젝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타입(형태) 정보 등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들에 의해 오브젝트가 특정된다.
또, 오브젝트는 속성 정보도 갖지만, 각 오브젝트내의 속성 정보는 각각의 속성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갖고, 이 식별 정보는 식별자로서의 ID번호, 속성의 종류를 나타내는 타입 정보 등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들에 의해 각 속성 정보를 특정한다.
그밖에, 오브젝트는 독자 정보도 갖지만, 이 각 오브젝트의 독자 정보는 오브젝트 고유의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들 들면, 오브젝트의 버전 정보, 오브젝트의 크기를 나타내는 사이즈 정보, 오브젝트의 배치 정보, 폰트 사이즈 등의 정보이다. 그리고, 이들 독자 정보는 속성 정보로서, 각 오브젝트내에 기재된다.
또, 참조지 즉 표시요소나 표시 부품의 식별 정보는 오브젝트간의 링크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것에 의해, 패널이나 그룹의 집합체를 나타내고 있다. 또, 표시 부품은 표시 데이터로의 링크를 갖는 것에 의해, 여러개의 표시 부품이 동일한 표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참조지의 식별 정보는 속성 정보로서 취급하고, 식별 정보에 의해 구별된 속성 정보의 1개로서 참조지 정보를 갖는다.
또한, 콘트롤러 및 타겟내의 기능 일람(8)의 물리적/논리적 구성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반드시 취할 필요는 없고, 콘트롤러와 타겟에서 동일내용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면 그 구성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들 들면 기능 일람(8)내의 각 부품은 반드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링크를 물리적으로 가질 필요는 없고, 각 오브젝트 단위로 콘트롤러에서 액세스할 수 있으면 좋다.
이와 같이, 참조지의 식별 정보나 독자 정보 등을 동일한 포맷으로 속성 정보로서 일괄하는 것에 의해, 콘트롤러가 실행하는 처리를 공통화할 수 있어 프로그램의 코드 사이즈를 작게 또한 처리를 간단하게 할 수 있으므로 좋다. 또, 기능 일람의 데이터를 작성할 때에도 디버그나 변경, 작성이 용이하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기능 일람은 리스트 형식이 아니라 표 형식이나 사전 형식 등으로 구성해도 좋다.
또, 타겟은 다른 오브젝트와 마찬가지로 여러개의 패널을 갖고 있어도 좋고, 콘트롤러가 기능 정보를 리드할 때에 원하는 패널을 지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패널은 1개의 메인 패널과 여러개의 서브 패널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메인 패널의 참조지를 나타내는 속성 정보중에 서브메뉴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표시 부품을 기재하면 좋다. 이 때, 표시 부품은 정지 화상이나 텍스트 데이터 등에 의해 참조지의 서브메뉴를 나타낸다. 그리고, 콘트롤러상에서 사용자가 이 표시 부품을 선택했을 때에는 콘트롤러는 참조지의 서브메뉴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 서브메뉴로서는 예들 들면 타겟내의 일부의 기능을 나타내는 조작 메뉴,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헬프 메뉴, 타겟내의 콘텐츠 정보만을 모은 콘텐츠 메뉴, 편집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편집 메뉴, 타겟의 설정을 실행하기 위한 설정 메뉴 등이 고려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콘트롤러와 타겟의 동작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관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설명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개시자가 없는 경우 즉 콘트롤러가 개시자를 겸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타겟이 전송로(1)에 접속된 경우, 이 전송로(1)상에 있는 콘트롤러는 버스 리세트 신호 등에 의해 신규 타겟을 인식하고, 기능 일람 관리 수단(12)의 지시에 따라서 신규 타겟에서 전송로(1)을 통해서 먼저 기기 구성 정보(7)내에 기재된 타겟의 정보를 리드하고, 다음에 타겟 자신을 나타내는 예를 들면 텍스트 오브젝트, 정지 화상 오브젝트 등의 데이터 오브젝트를 리드하고, 그리고 이들을 콘트롤러의 기능 데이터 베이스(13)내에 등록한다.
이 때, 표시/기능 선택 수단(14)은 기능 일람 관리 수단(12)을 통해서 기능 데이터 베이스(13)를 참조하고, 타겟 자신을 나타내는 데이터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이 콘트롤러에 접속되어 있는 타겟의 일람을 표시한다.
다음에,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의 포인팅 기능, 예들 들면 십자키 등에 의해 타겟의 정지 화상 오브젝트를 선택한 경우, 표시/기능 선택 수단(14)은 기능 일람 관리 수단(12)에 타겟의 GUI 정보를 요구하고, 타겟의 패널(메뉴)을 리드하여 콘트롤러내의 기능 일람(8)에 기억한다.
이 때, 우선 콘트롤러는 제 2 프로토콜에서 필요한 콘트롤러내의 자원을 확보하고, 도 6에 도시한 메시지 통신(101) 즉 커넥션의 접속요구를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타겟으로 송신한다. 다음에, 타겟은 커넥션으로의 접속이 가능한지 불가능한지를 확인하고, 가능하면 커넥션에 접속한다. 그리고, 메시지 응답(111)에 의해 타겟이 승낙한 것을 확인하면, 콘트롤러는 자신을 커넥션에 접속하여 커넥션이 확립된다.
다음에, 콘트롤러는 메시지 송신(102)에 의해 데이터의 전송 요구를 타겟으로 송신한다. 이 메시지 송신(102)은 콘트롤러가 타겟과 정보를 일치시키고자 하는 범위를 나타내는 통지 범위의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송신에 대한 응답으로서 타겟은 1차 응답(112)을 되돌려 보냄과 동시에,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기능 일람(8)중의 패널(메인 메뉴)의 데이터를 콘트롤러로 송신한다.
여기서, 통지 범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콘트롤러가 타겟에 통지해 두면, 콘트롤러가 현재 표시하고 있지 않는 정보 등의 주목하고 있지 않은 정보에 대해서 타겟은 콘트롤러에 변경 통지를 실행하지 않으므로, 콘트롤러가 현재 시점에서 불필요한 데이터를 송부하고 처리를 강제로 시키는 일이 없어져 콘트롤러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바람직하다.
또, 이 메시지 응답(112)에는 통지 범위에 따른 버전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 때, 콘트롤러는 타겟의 기능 일람의 버전 정보를 기능 일람을 리드하기 전에 취득할 수 있고, 콘트롤러가 이미 캐싱(caching)하고 있는 것과 동일하면 재차 리드할 필요는 없고 즉 전송되어 온 데이터를 버리면 좋게 된다. 즉, 콘트롤러에서 불필요한 데이터 갱신이나 화면 갱신을 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에게 있어 사용하기 편리한 표시 화면을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콘트롤러의 처리를 간단화할 수 있다. 또,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보내는 데이터는 기능 일람(8)의 전체의 데이터이라도 좋고, 메시지 송신(102)에 의해 지정된 패널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해서, 콘트롤러는 패널의 전체 데이터를 취득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 또한, 통지 범위는 메시지 송신(101)에 의해 타겟으로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 메시지 응답(111)은 타겟의 기능 일람의 버전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때, 콘트롤러는 메시지 송신(102)를 송신하기 전에 타겟의 기능 일람의 버전 정보를 취득할 수 있고, 콘트롤러가 이미 캐싱하고 있는 것과 동일하면 재차 리드할 필요는 없어 이것을 전송하는 시간을 생략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전송량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좋다.
다음에,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리모콘)의 상하 좌우를 나타내는 십자 키 등에 의한 원격 제어 장치의 포인팅 기능 등에 의해서, 예들 들면 타겟의 재생기능을 나타내는 표시 부품을 선택한 경우, 표시/기능 선택 수단(14)은 타겟이 부가된 표시 부품의 식별 정보를 제어 코드로서 사용자의 조작 정보, 예들 들면 「선택」과 함께 타겟으로 송신한다. 즉, 원격 제어 장치의 상하 좌우를 나타내는 십자 키에 의해 표시 부품상으로 커서를 이동시키고, 「선택」버튼을 누른 후에 커서를 표시 부품에서 떼어낸 경우라도 이 표시 부품의 식별 정보(제어 코드)와 사용자의 조작 정보(「선택」)를 메시지 송신(103)으로서 타겟으로 송신한다.
또, 더욱 상세한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타겟으로 보내는 것도 가능하고, 원격 제어 장치이나 포인팅 타겟의 조작에 의해 표시 부품에 대해서 「누른다」, 「뗀다」, 「2회 누른다」 등의 조작이 실행된 경우, 이들 조작 정보를 타겟으로 보내는 것도 가능하며, 더욱 상세한 조작 정보로서, 예들 들면 원격 제어 장치의「1」이라는 버튼이 눌러졌다 등과 같은 원격 제어 장치의 조작 정보 자체를 직접 보내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자의 조작 정보는 코드화하여 표시 부품의 식별 정보와 동시에 보내도 좋고, 각각을 1개의 커맨드(오퍼런드는 표시 부품의 식별 정보 등의 제어 코드)로서 보내도 좋다.
또한, 표시 부품에 대해서 선택의 조작밖에 허가하지 않는 등의 경우에는 타겟에 대해서 표시 부품의 제어 코드(식별 정보)만을 송신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처리를 단순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송로(1)의 트래픽(통화량)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조작 요구의 응답으로서 메시지 응답(113)에서는 메시지 송신(103)이 타겟에서 수령되었는지 거부되었는지 서포트하지 않고 있는지 등의 응답을 되돌려 보낸다.
또한, 이 메시지 응답(113)에 버전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때, 메시지 송신(103)에 따라서 기능 일람내의 데이터가 변화하는가의 여부를 다음의 데이터 요구를 실행하기 전에 또는 타겟이 자발적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알 수 있어 미리 콘트롤러 내부에서 화면 갱신 등의 준비가 가능해지고, 더 나아가서는 사용자에게 있어 보기 쉬운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좋다.
다음에, 타겟내의 상태가 변화하여 타겟내의 기능 메뉴 리스트, 표시 부품 리스트, 데이터 오브젝트 등의 오브젝트가 변화했을 때, 타겟은 제 2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자발적으로 변화한 데이터(표시 부품)를 타겟으로 송신한다. 여기서, 변화한 데이터(표시 부품)는 1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개의 표시 부품이 한번에 변화했을 때는 여러개의 표시 부품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변경한 데이터의 송신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것뿐만 아니라, 타겟 내부의 상태가 변화했을 때에도 자발적으로 변경된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여기서는 송신하는 것은 표시 부품 단위로 설명했지만, 변화한 속성 정보만을 송신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변화한 표시 부품의 식별 정보와함께 변화한 속성 정보만을 보내게 된다. 마찬가지로, 표시 데이터만이 변화한 경우에는 표시 데이터만을 콘트롤러로 송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변화한 속성 정보나 표시 데이터만을 송신하는 것에 의해서, 전송할 데이터량을 저감할 수 있어 응답성을 개선시켜 타겟 및 콘트롤러의 처리를 경감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 통지 범위로서 패널 단위를 지정하고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서 표시할 메뉴가 변화한 경우, 타겟은 새로운 패널을 콘트롤러로 송신함과 동시에, 신패널내의 정보가 변화한 경우만 콘트롤러에 타겟의 정보의 변화의 통지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효율좋게, 즉 적은 기억 영역으로 상태변화 정보를 콘트롤러가 취득할 수 있게 되어 바람직하다. 이것은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표시 부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기능 일람 관리 수단(12)은 이 변화한 표시 부품의 데이터를 해당하는 기능 일람(8)에 라이트(기록)하고 갱신하고, 표시/기능 선택 수단(14)은 갱신된 기능 일람을 표시한다.
콘트롤러가 타겟의 기능 일람(8)의 표시를 종료했을 때에는 콘트롤러는 커넥션에서 자신을 절단하고, 메시지 통신(104)(커넥션 절단 요구)을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타겟으로 송신한다.
타겟은 커넥션으로의 절단이 타당한지 타당하지 않은지를 확인하고, 타당하면 커넥션으로의 접속을 절단한다.
메시지 응답(114)에 의해 타겟이 승낙한 것을 확인하면, 콘트롤러는 자신이 확보하고 있던 제 2 프로토콜에서 필요한 콘트롤러내의 자원을 해방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커넥션의 접속은 콘트롤러가 타겟의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할 때에 실행하는 것으로 했지만, 타겟의 전원이 들어가 있는 동안에는 항상 커넥션을 확립하는 것이나 콘트롤러가 접속된 타겟의 일람 등의 GUI 정보를 표시할 때에 커넥션을 연장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커넥션의 절단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하는 데이타의 식별 정보 또는 속성 정보중에 사용자로의 강제 통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고, 콘트롤러가 이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에는 강제적으로 화면 표시 또는 오디오(음성) 재생을 실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예들 들면 녹화 예약의 중복 등의 타겟에서 불허가의 조작이 이루어졌을 때나 VTR의 테이프가 얽히는 것 등과 같이 타겟내에서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 사용자에 대해서 경고나 지시를 영상이나 음성 등의 GUI 정보에 의해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사용자가 정확히 타겟의 상황을 신속하게 알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하는 데이터로서 화면 일부 또는 전체의 비트 맵, 텍스트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OSD(On Screen Data)를 구성하고, 콘트롤러가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콘트롤러의 화면상에서의 배치위치는 콘트롤러가 결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는 화면의 크기나 애스펙트비 등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크기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메시지 응답에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는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의 버전 정보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에 의해,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가 적절한 데이터인지 아닌지를 판정할 수 있으므로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를 모두 취득할 필요가 없어지고, 더 나아가서는 콘트롤러의 처리를 간소화할 수 있어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 버전 정보의 특정 값에 의미를 갖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버전 정보의 값이「0」일 때에는 이 표시 부품은 불변인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정보를 추가하지 않고 불변의 표시 부품과 가변의 표시 부품을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콘트롤러의 처리를 간단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정보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바람직하다.
다음에, 콘트롤러의 송수신 동작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통신시 등의 에러 처리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콘트롤러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도 7a는 제 1 프로토콜에 관한 동작, 도 7b는 제 2 프로토콜에 관한 동작을 설명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흐름은 콘트롤러상에서 평행하게 동작한다.
도 7a에 있어서, 콘트롤러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의 메뉴 버튼을 누르는 등의 콘트롤러 내부의 요구에 의해, 타겟에 대해서 제 2 프로토콜용의 커넥션을 처리(501)에서 확립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타겟의 GUI를 표시시키기 위해서, 처리(502)에서 타겟에 대해서 데이터의 요구를 메시지 송신한다. 이 데이터의 요구에 대한 응답을 처리(503)에서 대기하고 타겟으로부터 승인통지를 수취한 후, 처리(504)에서 사용자의 조작을 검출한다.
사용자가 콘트롤러상의 조작 화면에 대해서 조작을 실행하고 이 조작을 타겟에 통지하는 경우에는 처리(502)에서, 예들 들면 오브젝트의 식별 정보와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타겟으로 송신한다.
한편, 사용자의 조작이 없었던 경우, 처리(505)에서 종료 판정을 실행하고,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 콘트롤러가 타겟의 GUI 정보를 표시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는 처리(506)에서 커넥션을 절단한다. 한편, 계속해서 타겟의 GUI 정보를 콘트롤러가 표시하는 경우 등에는 처리(504)에서 타겟으로 전달할 사용자의 조작을 체크한다.
도 7b에 도시되는 동작 흐름은 콘트롤러가 도 7a의 처리(501)에서 커넥션이 확립된 후에 개시되는 것이다. 우선, 처리(510)에서 제 2 프로토콜에 의한 데이터의 수신을 체크한다. 여기서,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는 처리(511)에서 버전번호를 체크하고, 신규 리드 또는 버전 정보가 다른 경우에는 콘트롤러내의 유지 데이터를 처리(512)에서 갱신함과 동시에 처리(513)에서 버전 정보를 갱신하고, 처리(514)에서 화면 표시를 갱신한다. 또한, 버전 정보가 동일한 경우, 처리(512)∼(514)를 스킵하여 화면 표시를 변경하지 않는다.
처리(514)에서 화면 표시를 갱신한 후 및 처리(510)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지 않을 때는 처리(515)에서 종료 판정을 실행하고,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 콘트롤러가 이 타겟의 GUI 정보를 표시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는 이 동작 흐름을 종료한다. 한편, 계속해서 이 타겟의 GUI 정보를 콘트롤러가 표시하는 경우 등에는 처리(510)에서 데이터의 수신을 대기한다. 또한, 처리(510)과 처리(515)는 동시에 종료 판정을 실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다음에, 타겟의 송수신 동작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통신시 등의 에러 처리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타겟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우선, 타겟은 콘트롤러가 커넥션을 확립하는 것을 처리(601)에서 대기하고, 커넥션이 확립된 후 처리(602)에서 콘트롤러로부터의 메시지의 유무를 체크한다. 메시지가 오고 있지 않을 때는 처리(603)에서 타겟 내부의 상태를 체크하고, 상태가 변화해 있지 않을 때는 처리(611)에서 종료 판정을 실행한다. 콘트롤러에 의한 커넥션의 절단이나 콘트롤러에서 메시지에 의한 종료통지를 수신한 경우 등에는 이 동작 흐름을 종료한다. 한편, 계속하는 경우에는 처리(602)로 되돌아간다.
처리(602)에서 메시지가 오고 있을 때에는 이 메시지가 무엇을 의도하는 것인지를 판정하고, 각 메시지에 따라서 처리(604) 및 처리(609)에서 타겟의 상태, 타겟이 이 기능을 서포트하고 있는지 등을 고려하고, 이 메시지의 실행 가능성에 따라서 메시지 응답을 콘트롤러로 송신한다. 수신 메시지가 데이터 요구일 때에는 처리(605)에서 실행 가능성을 판단고, 가능하면 승낙의 응답을 콘트롤러로 보냄과 동시에, 처리(606)에서 기능 일람을 작성 또는 기존의 기능 일람이 있는 경우에는 기존의 기능 일람을 처리(608)에서 콘트롤러로 송신한다. 한편, 실행 불가능한 경우에는 실행거부 등의 메시지를 콘트롤러로 보낸다.
마찬가지로, 처리(603)에서 타겟 내부의 상태가 변화했을 때에는 처리(607)에서 기능 일람을 갱신하고, 처리(608)에서 기능 일람을 콘트롤러로 송신한다.
또, 예들 들면 오브젝트의 식별 정보와 사용자의 조작 정보 등 수신한 메시지가 데이터 요구가 아닐 때에는 각각의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처리(609)에서 실행한다. 이 처리(609)에서 실행 가능성을 판정하고, 실행가능하면 승낙의 메시지응답을 콘트롤러로 송신하고, 처리(610)에서 이 메시지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실행 불가능한 경우에는 실행 거부 등의 메시지를 콘트롤러로 보낸다.
또한, 여기서는 종료 판정은 처리(611)에서 실행하는 것으로 했지만, 콘트롤러로부터의 커넥션 절단 메시지나 GUI 표시 종료 메시지 등을 수신한 경우에는 처리(610)에서 종료 처리를 실행하고, 이 동작 흐름을 종료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2 프로토콜에 의한 데이터 전송 확인시의 처리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프로토콜에 의한 데이터 전송 확인시의 처리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6에 있어서, 메시지 송신(102)에서 데이터(201)까지의 전송에 있어서의 전송 데이터의 확인 처리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도 6과 동일한 전송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콘트롤러는 메시지 송신(102)에 의해서 데이터 요구를 실행하고, 그 응답으로서 메시지 응답(112)에 의해 타겟은 승낙했다는 취지를 콘트롤러로 되돌려보낸다. 그리고, 타겟은 데이터(201)에 의해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예들 들면 기능 일람을 제 2 프로토콜로 송신한다.
이 때, 전송로, 타겟 또는 콘트롤러에서 전송 에러가 발생하여 데이터(201)에 의해 전송한 데이터가 정확하게 콘트롤러로 보내지지 않았을 때, 콘트롤러는 타임아웃, 데이터의 패리티 체크나 사이즈 체크 등에 의해 제 2 프로토콜로 정상적인 전송이 실행되지 않았을 가능성을 검출한다.
다음에, 콘트롤러는 타겟에 대해서 메시지 송신(105)에 의해 타겟이 정상으로 제 2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출력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타겟은 제 2 프로토콜에 의한 데이터 전송이 정상으로 종료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정상종료하고 있을 때에는 승낙의 메시지 응답을, 정상 종료하고 있지 않을 때는 상황에 따른 에러의 응답을 메시지 응답(115)에 의해 회신한다.
메시지 응답(115)에 의해 송신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되돌아 왔을 때, 송출 에러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돌아왔을 때 등에는 콘트롤러는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송신한 데이터가 분실 또는 전송 시에 에러가 발생했다고 인식하고, 메시지(122)에 의해 재차 데이터를 요구한다. 타겟은 이 데이터 요구를 받아 메시지응답(132)에 의해 승낙한 것을 전달하고, 제 2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210)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를 재차 송출한다.
또하, 타겟으로부터의 제 2 프로토콜에 의한 데이터 송신에 대해서 콘트롤러는 항상 메시지 송신에 의해 상황을 확인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타겟이 자발적으로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도 콘트롤러가 부정한 데이터를 검출했을 때는 마찬가지로 제 1 프로토콜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확인/재송 요구를 실행하면 좋다.
이와 같이, 제 2 프로토콜에 의한 데이터 전송의 확인이나 재송 요구를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제 2 프로토콜에 의한 데이터 전송을 확실히 실행할 수 있게 되고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좋다.
또, 전송로뿐만 아니라 콘트롤러내나 타겟내에서의 에러에 의해 정상적인 전송을 실행할 수 없었던 경우라도 이와 같이 직접 송신지와 수신지에서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이들 에러를 검출할 수 있고 정상적인 전송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 요소의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a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표시 요소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여기서, (50)은 표시요소, (51)는 표시 부품의 식별 정보, (52)는 표시 부품의 사이즈 정보, (53)은 제 1 속성의 식별 정보, (54)는 제 1 속성의 사이즈 정보, (55)는 제 1 속성 정보 데이터, (56)은 제 2 속성의 식별 정보, (57)은 제 2 속성의 사이즈 정보, (58)은 제 2 속성 정보 데이터이다. 또한, 도 10a중, 여기서는 횡방향 16비트로 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요소의 식별 정보는 표시 요소의 ID 번호나 종류를 나타내는 타입 정보 등으로 이루어지고, 이 표시 요소가 무엇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 요소의 사이즈 정보는 이 표시 요소의 속성 정보 전체 즉 속성부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바이트 수로 표시된다.
속성부는 이 표시 요소의 속성을 기재하는 부분으로서, 속성에는 표시 요소의 크기, (화소 수)나 위치 정보(화소 수) 등을 포함하고, 표시 요소가 패널이나 그룹인 경우에는 링크를 갖는 오브젝트의 식별 정보도 포함한다. 그리고, 이들 정보 즉 각 속성의 식별 정보, 각 속성의 사이즈 정보, 각 속성의 속성 정보 데이터는 동일한 형식으로 표시된다. 또, 각 속성 정보의 순번은 임의이며, 각 속성은 식별 정보에 의해 구별된다.
속성의 식별 정보는 속성의 ID 번호나 종류를 나타내는 타입 정보 등으로 이루어지고, 속성이 무엇인지를 식별하는 것이다.
속성의 사이즈 정보는 이 속성의 속성 정보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들 들면 바이트 수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표시 요소, 즉 패널, 그룹 또는 표시 부품은 동일한 데이터 포맷을 갖고 있고, 식별 정보 및 사이즈 정보 뒤에 1개 또는 여러개의 속성 정보가 배열되어 있다. 또, 각 속성 정보도 표시 요소와 동일한 데이터 포맷을 갖고 있다.
이상과 같이, 각 표시 요소로 데이터 포맷을 통일시키는 것에 의해, 콘트롤러의 처리를 간소화할 수 있어 처리를 고속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디버그가 용이하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또, 각 표시 요소와 각 속성 정보에서 데이터 포맷을 통일시키는 것에 의해, 콘트롤러의 처리를 통일시킬 수 있어 처리를 고속화/간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처리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의 작성이 용이하게 되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10b에 대해서 설명하면, 이것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속성 정보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우선, 속성의 사이즈 정보는 식별 정보의 일부에 조립되고, 사이즈 정보의 필드(예들 들면 4비트)로 이 속성 정보의 크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사이즈 정보 필드에 1이 라이트된 경우에 속성 정보의 크기는 1워드(16비트)를 의미하고, 2가 라이트된 경우에는 2워드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식별 정보의 일부의 필드를 이용하여 사이즈 정보를 기재하는 것에 의해서, 속성 정보 데이터가 작은 속성 정보에 대해서 데이터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기능 일람중에 1개의 큰 사이즈의 속성 정보가 있는 경우, 속성의 사이즈 정보(53) 등을 그것에 맞게 크게 할(예들 들면 4바이트) 필요가 있지만, 이 때 대다수의 작은 사이즈의 속성 정보에 대해서는 도 10b에 도시한 방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작은 사이즈의 속성 정보의 데이터량을 저감할 수 있어 메모리량을 절약할 수 있다.
또, 사이즈 정보 필드로 나타내는 사이즈의 단위를 크게 하는 것에 의해, 다소 큰 데이터라도 이 형식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속성의 사이즈 정보(54) 등을 없앨 수가 있다.
또한, 여기서 콘트롤러 내부 및 타겟 내부에서 이들 데이터를 이 데이터 포맷 그대로 기억할 필요는 없고, 전송시의 데이터 포맷으로서 통일되어 있으면 좋다. 물론, 전송로(1)상을 전송할 때에는 이 데이터 포맷으로 기재된 데이터에 대해서 패킷 분할이나 헤더 부가 등이 실행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 데이터의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표시 데이터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여기서, (60)은 표시 데이터, (61)은 표시 데이터의 식별자, (62)는 표시 데이터의 사이즈 정보, (63)은 실데이터이다.
표시 데이터의 식별 정보는 표시 데이터의 ID 번호나 종류를 나타내는 타입 정보 등으로 이루어지고, 이 표시 데이터가 무엇인지를 식별하는 것이다.
표시 데이터의 사이즈 정보는 표시 데이터의 실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바이트 수로 표시된다. 또한, 여기서 식별 정보나 사이즈 정보의 비트수는 표시 요소의 그것과 달라도 좋다.
실데이터는 표시 데이터의 실제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부분으로서, 비트맵의 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프로그램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또한, 예들 들면 이들 비트맵의 종류나 크기 등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는 표시 부품의 속성 정보로서 기재된다. 또, 도 10과 도 11에 있어서는 데이터 구성이 식별정보→사이즈 정보→식별 정보→사이즈 정보…의 순으로 되어 있지만, 이 순번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사이즈 정보→식별 정보→사이즈 정보…와 같은 순번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능 일람의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능 일람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13은 콘트롤러에서의 패널의 표시예이다.
도 12에 있어서, 기능 일람내의 1개의 패널은 VTR의 메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표제, 타이틀화면, 더 나아가서는 배경 정보나 크기 등의 독자 정보와 그룹으로의 링크 즉 그룹의 식별 정보를 속성 정보중에 갖는다. 이 그룹은 기능이나 표시에 따른 표시 부품의 집합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들 들면 콘텐츠, 데크부, 튜너부의 3개의 그룹이다.
이 그룹은 그룹의 크기, 배치나 배경 정보 등의 독자 정보와 표시 부품으로의 링크 즉 표시 부품의 식별 정보를 속성 정보중에 갖고, 표시 부품으로의 링크는 이 그룹에 속하는 표시 부품을 지시한다.
여기서, 표시 부품은 아이콘, 버튼, 슬라이더, 체크박스, 텍스트 엔트리 등을 표시하기 위한 부품이며, 독자 정보로서 표시 부품의 크기, 배치, 상태 정보, 변수 정보 등과 표시 데이터로의 링크(표시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속성 정보중에 갖는다. 또한, 예들 들면 슬라이더, 체크 박스나 텍스트 엔트리와 같은 표시 부품은 표시 데이터를 갖지 않고, 그 특징, 기능이나 동작을 표시 부품으로서 표시하고, 그 표시는 콘트롤러에 의존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표시 데이터는 정지 화상 데이터, 동화상,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프로그램 데이터 등의 데이터로서, 패널, 그룹 또는 표시 부품의 표시 데이터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에, 이러한 패널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간단히 설명한다.
도 13은 상술한 패널을 표시한 경우의 1예이다. 여기서, 각 그룹은 콘트롤러의 화면상에 표시하지 않는다. 물론, 각 그룹을 그룹의 표제 및 타이틀화면 등과 함께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콘트롤러의 패널 구성예의 그 밖의 예를 도 14에 도시한다.
여기서, 패널은 1개의 비트맵 데이터를 임의로 분할한 표시 부품의 집합으로서 구성된다. 화면 부분 데이터(701), (702), (703), (704)는 이 패널을 나타내는 1장의 비트맵 데이터를 분할한 것이며, 각각이 표시 부품으로서 패널에 이들의 표시 부품의 식별 정보를 갖는다.
사용자의 조작이나 타겟내의 상태변화에 따라 어느 1개의 표시 부품의 표시 데이터(화면 부분 데이터)가 변화한 경우, 이 표시 부품 단위로 타겟은 콘트롤러에 변화를 통지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변화를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패널을 나타내는 1장의 비트맵 데이터를 여러개로 분할했지만, 패널을 나타내는 1장의 비트맵 데이터만으로 패널을 구성해도 좋고, 사용자의 조작이나 타겟내의 상태 변화에 따라 타겟이 데이터를 보낼 때에 많은 데이터를 보낼 필요가 있지만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 본 실시예에서는 콘트롤러는 화면 표시를 실행하는 것으로 했지만, 화면 표시를 실행하는 표시 수단을 콘트롤러나 타겟과는 별도로 갖고, 사용자가 이 표시 수단의 화면 표시를 보고 콘트롤러에 대해서 원격 제어 장치 등에 의해 조작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이 경우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여기서, 표시 수단은 콘트롤러나 타겟과 동일 기기내에 있어도 좋고 다른 기기이어도 좋다.
또,이 때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콘트롤러가 아니라 표시 수단이 수신해서 화면상에 배치하고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콘트롤러가 수신해서 표시 수단의 화면 사이즈 등에 맞게 배치를 실행하고 표시 수단에 적합한 크기, 애스펙트비 등의 비트맵 데이터를 작성하고 표시 수단에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송신하여 표시 수단이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제 2 실시예)
다음에,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타겟과는 다른 동작을 하는 타겟을 구비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는 AVC 시스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간단히 설명한다.
도 15는 시스템 구성의 1예이지만, 이 도 15에 있어서 (1541)은 텔레비전, (1542)는 텔레비전용의 원격 제어 장치, (1543)은 PC, (31)은 기록 재생 가능한 DVD, (32)는 DV 방식의 DVC, (33)은 VHS 방식의 DVHS, (34)는 DV 방식의 DVC 무비, (35)는 CS 디지털 방송 등의 STB이다. 그리고, 이들 기기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송로(1)에 의해서 접속되어 AVC 시스템의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우선, 이들 부재에 대해서 설명하겠지만,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부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에 이용한 도 1과 마찬가지의 번호를 붙이고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텔레비전(1541)은 콘트롤러와 소비자와 타겟(여기서는 지상파 튜너와 비디오모니터이다)으로 이루어지는 기기로서, 원격 제어 장치(1542)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에 지시를 인가하고 다른 타겟에서 얻은 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PC(1543)은 콘트롤러와 소비자와 타겟(여기서는 전화선과 인터페이스를 취하는 모뎀과 비디오 모니터 등임)으로 이루어지는 기기로서, 키보드나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으로 지시를 인가하고 다른 타겟에서 얻은 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또한, 이 텔레비전(1541)과 PC(1543)은 타겟과 콘트롤러와 소비자가 일체로 된 기기로서 정의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DVD(31), DVC(32), DVHS(33), DVC 무비(34), STB(35)를 타겟으로 했지만, 기기의 크기가 작더라도 터치 패널이나 원격 제어 장치 등에 의해 사용자가 다른 타겟의 기능을 선택하는 등의 조작을 할 수 있는 것이면 이들 기기를 콘트롤러와 타겟을 포함하는 기기로 해도 좋다. 또, 액정 패널 등에 의해 다른 타겟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환경을 실현하거나, 다른 타겟으로부터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소비자를 포함하는 기기로 해도 좋다.
또, 여기에서 예로 든 AVC 시스템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는 소비자 및 콘트롤러로서의 처리 기능을 포함함과 동시에 기기용의 원격 제어 장치를 갖고, 표시 및 음성만을 아날로그 결선 등에 의해 모니터에 표시시키고 사용자는 이 화면을 보면서 기기의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조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이 때 이 기기는 콘트롤러와 타겟을 포함하는 기기로 해도 좋다.
또, 소비자를 포함하는 기기로서는 프린터나 텔레비전 등과 같이 데이터를 인쇄하거나 표시하는 등 출력하는 기기 및 데이터 포맷을 변환하여 다른 기기로 전송하는 바와 같은 모뎀이나 브릿지, 루터, 게이트웨이 등의 기기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네트워크의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본 실시예에 관한 타겟에 대해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6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타겟의 블럭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 도 16에 있어서 (1)은 전송로, (2)는 패킷 송수신 수단, (3)은 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 (1604)는 타겟 신호 처리 수단, (5)는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 (1606)은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 (7)은 기기 구성 정보, (1618)은 제 2 프로토콜 송신 수단, (1620)은 커넥션 관리 수단, (1621)은 제 1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 (1622)는 제 2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 (1623)은 제 3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다. 또한,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의 수는 임의이어도 좋고,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1개 또는 여러개 존재해도 좋고 또 이것을 전혀 갖지 않는 타겟이 존재하는 것도 고려된다. 여기서는 3개 존재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또, 여기서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은 타겟, 콘트롤러 또는 소비자 중의 기능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타겟내에 존재하는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을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라고 한다.
이하, 타겟을 구성하는 각 부재에 대해서 설명하겠지만, 이들 부재에 대해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부재는 도 2와 마찬가지의 번호를 붙이고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타겟 신호 처리 수단(1604)은 동기 데이터를 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3)에서 수취하고 타겟에 따른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예들 들면, 이 타겟이 DVC 등의 기록 재생 기기이면, 동기 데이터에 대해서 자기 테이프 등의 기록 미디어에 기록하기 위한 포맷 변환, 전송로용 암호의 복호, 데이터 압축 형식의 변경, 디코드 등의 신호 처리를 실행하고, 커넥션 관리 수단(1620)의 지시에 따라서 각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으로 송신한다.
또, 타겟 신호 처리 수단(1604)은 제 1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1621),제 2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1622), 제 3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1623)에서 기록 미디어, 방송파 등의 동기 데이터를 꺼내어(취출해서) 포맷 변환 등을 실행하고, 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3)으로 송신하는 것도 실행한다.
여기서, 타겟 신호 처리 수단(1604)은 동기 데이터의 신호의 전환만을 실행하도록 구성해도 좋고, 이 때 타겟 신호 처리 수단(1604)은 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에서 얻은 동기 데이터를 커넥션 관리 수단(1620)의 지시에 따라서 적절한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에 전달한다. 그리고, 각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1621), (1622), (1623)내에서 이 데이터에 대해서 포맷 변환이나 데이터 압축형식의 변경 등의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마찬가지로, 각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내에서 포맷 변환 등의 신호 처리가 실행된 데이터를 타겟 신호 처리 수단(1604)는 커넥션 관리 수단(1620)의 지시에 따라서 선택하고, 동기 데이터로서 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으로 출력한다.
제 1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1621)은 타겟내의 1개의 기능 단위이며 예들 들면 타겟이 VTR인 경우에 튜너와 데크의 2개의 기능 단위로 이루어지고, 각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은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 외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동작하고 각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실현한다. 제 2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1622), 제 3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162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이들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 및 콘트롤러 내부에 있는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을 총칭하여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1606)이 수취한 데이터가 임의의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 코드이면,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1606)은 이 데이터가 나타내는 내부 기능 제어 수단에 대해 이 제어 코드에 따른 동작을 실행시킨다. 제 2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1622), 제 3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 (162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이들 제 1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 (1621), 제 2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1622), 제 3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1623)의 정보는 후술하는 커넥션 관리 수단(1620)의 지시에 따라서 제 2 프로토콜 송신 수단(1618),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5) 등을 거쳐 콘트롤러로 전송된다. 또한, 여기서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1621), (1622), (1623)과 제 2 프로토콜 송신 수단(1618) 사이에 타겟 내부에서 임의의 프로토콜에 의해 커넥션을 형성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커넥션 관리 수단(1620)은 타겟 내부의 커넥션의 관리를 실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1606)이 수취한 데이터가 전송로(1)에서 수신한 동기 데이터를 제 1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1621)으로 전송할 것을 지시하는 메시지였으면, 타겟 내부에서 타겟 신호 처리 수단(1604)에 의해 수신한 동기 데이터를 제 1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1621)로 보내도록 지시한다. 또, 각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를 소비자에게 송신할 때에는 각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에 따라서 커넥션 관리 수단(1620)은 이 타겟 내부 기능제어 수단의 출력을 수취하도록 제 2 프로토콜 송신 수단(1618)으로 지시를 발행한다.
따라서, 커넥션 관리 수단(1620)은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1606)의 지시에 따라서 제 1, 제 2, 제 3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1621), (1622), (1623)중 적절한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과 타겟 신호 처리 수단(1604)의 커넥션을 연장하고,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이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과 제 2 프로토콜 송신 수단(1618) 사이에 커넥션을 연장한다.
이와 같이 해서, 각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제 2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출력하고자 할 때, 자동적으로 타겟 내부의 데이터의 흐름(커넥션)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타겟의 콘트롤러로부터의 요구에 의한 동작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여기서, 콘트롤러와 소비자는 동일한 기기내에 존재하고, 내부에서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콘트롤러와 소비자는 별개(각각 독립된) 기기에 존재해도 좋다.
우선, 타겟이 전송로(1)에 접속된 경우나 콘트롤러가 전송로(1)에 접속된 경우, 콘트롤러는 우선 타겟의 기기 구성 정보(7)를 리드하고, 타겟에 관한 정보 예들 들면 기기의 종류나 GUI 정보의 유무 등을 확인하여 리드한다.
다음에, 콘트롤러(개시자)는 타겟과 소비자 사이에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을 연장한다. 이들의 커넥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콘트롤러는 타겟에 대해서 패널이나 표시 부품 등의 GUI정보를 요구하는 데이터 요구를 발행하고, 그정보를 제 2 프로토콜을 이용한 커넥션에 의해 소비자에게 전송한다. 또한, GUI 정보중의 특정 표시 부품만을 요구하는 커맨드를 발행하고, 표시 부품과 이 ID만을 전송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해서, 콘트롤러(소비자)는 수신한 표시 부품을 화면에 표시하는 것 등이 가능하다.
또, 타겟이 콘트롤러에서 제어 코드와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수취한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 이 제어 코드와 사용자의 조작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타겟의 기능을 나타내는 표시 부품 등에 대해서 이 표시 부품의 식별 정보가 사용자의 조작 정보인「선택」과 함께 콘트롤러에서 타겟으로 송신되어 오는 경우에는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5)는 이 표시 부품이 나타내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기기 내부 기능 제어 수단(9)에 지시를 발행한다. 또한, 표시 부품의 제어 코드로서는, 예를 들면 표시 부품의 식별 정보 등이 이용된다.
이와 같이, 콘트롤러로부터의 GUI 정보의 요구에 대해서 타겟은 디바이스의 정보를 제시하는 것만으로 좋아 타겟의 부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타겟 내부의 각 디바이스에 대해서 표준화 단체 등에 의해 커맨드를 규정할 필요가 없고, 현재 상정할 수 없는 신기능을 갖는 디바이스라도 용이하게 전송로(1)를 경유해서 이 신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 설명한 타겟에 있어서 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3) 및 타겟 신호 처리 수단(1604)은 본 발명의 필수 구성요소가 아니므로, 타겟의 기능에 따라 임의로 구성해도 좋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이 존재하지 않아도 좋다. 즉,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동기 데이터를 받는 것으로 했지만, 이 동기 데이터는 경우에 따라서는 받지 않아도 좋다. 또, 각 수단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중의 어느것으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콘트롤러와 소비자는 별개의 기기에 존재해도 좋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콘트롤러에 대해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7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콘트롤러의 블럭도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1730)은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 (1710)은 콘트롤러 신호 처리 수단, (1719)는 제 2 프로토콜 송신 수단, (1725)는 제 1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 (1726)은 제 2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 (1727)은 제 3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다. 또한,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의 수는 임의이어도 좋고 또는 존재하지 않아도 좋다. 여기서는 3개 존재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또, 여기서는 소비자는 콘트롤러와 동일 기기내에 존재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별개의 기기에 존재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이하, 콘트롤러를 구성하는 이들 각 부품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겠지만, 도 17에 있어서 도 16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콘트롤러 신호 처리 수단(1710)은 동기 데이터를 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3)에서 수취하고, 이 콘트롤러에 따른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이 콘트롤러가 비디오 모니터 등의 영상을 표시할 능력이 있는 기기이면, 동기 데이터 예들 들면 MPEG2의 스트림 등을 복호하고, 커넥션 관리 수단(1620)의 지시에 따라서 화면 표시를 실행하는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으로 송신하며, 이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화면상에 표시한다. 반대로,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에서 수취한 데이터에 대해서 포맷 변환이나 스트림의 압축 또는 신장 등의 신호 처리를 실행하고 동기 데이터 송신 수단(3)으로 송신한다.
여기서, 콘트롤러 신호 처리 수단(1710)은 동기 데이터의 신호의 전환만을 실행하도록 구성해도 좋고, 이 때 콘트롤러 신호 처리 수단(1710)은 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에서 얻은 동기 데이터를 커넥션 관리 수단(1620)의 지시에 따라서 적절한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으로 전달한다. 마찬가지로, 각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내에서 포맷 변환 등의 신호 처리가 실행된 데이터를 콘트롤러 신호 처리 수단(1604)는 커넥션 관리수단(1620)의 지시에 따라 선택하고, 동기 데이터로서 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으로 출력한다.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1730)은 앞서 기술한 타겟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것이다. 단, 이 콘트롤러에서는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1730)은 앞서 기술한 타겟내의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아니라, 제 1, 제 2, 제 3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1725), (1726),(1727)과 접속하고 있다.
제 2 프로토콜 송신 수단(1719)은 제 2 프로토콜의 소비자측에 있어서의 처리, 즉 수신원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서, 타겟 내부의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의 데이터를 제 2 프로토콜을 이용한 커넥션상에서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5)를 경유해서 수취하고, 후술하는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으로 전달한다. 또한, 제 2 프로토콜에 있어서의 커넥션의 접속/절단 처리는 커넥션 관리 수단(1620)이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1730) 및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 수단(5)을 경유해서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실행한다.
제 1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1725), 제 2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1726), 제 3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1727) 등의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은, 예들 들면 기기 제어용의 어플리케이션이나 편집용의 어플리케이션 등의 각종 어플리케이션이나 화면 표시, 인쇄 등의 기능을 실현하는 기능단위로서, 콘트롤러(소비자)는 이들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으로의 데이터를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수신한다. 수신하는 데이터는, 예들 들면 표시의 지시나 인쇄의 지시 등이다. 그리고, 이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은 예들 들면 콘트롤러의 화면상에 제 2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수신한 타겟의 GUI 정보 등을 나타내는 표시 부품을 표시하고, 이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타겟 및 기능의 선택 등을 제 1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또, 콘트롤러 신호 처리 수단(1710)에서 수취한 데이터나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1730) 또는 제 2 프로토콜 수신 수단(1719)에서 수취한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재생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으로 했지만, 이들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은 소비자 내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콘트롤러의 동작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타겟을 나타내는 표시 부품을 선택하면, 타겟내의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여기서는 제 1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1621)으로 해 둔다)에서 이 타겟의 GUI 정보를 리드하고 표시 화면상에 표시한다.
다음에, 사용자가 GUI 정보중에서 기능을 나타내는 표시 부품을 선택하면,제 1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1621)에서 얻은 이 표시 부품에 대응하는 제어 코드와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1730) 등을 통해서 발행한다.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여기서는 제 1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1725)로 한다)는 이 제어 코드와 사용자의 조작 정보에 대한 타겟의 응답을 GUI 정보로서 제 2 프로토콜 수신 수단(1719)를 경유해서 수취한다.
또,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타겟에서 GUI 정보의 변경 통지, 예들 들면 변경한 GUI 정보의 전송을 받았을 때에는 이 변경된 디바이스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따라서, 현시점에서의 타겟의 상태 등에 대해서 최신의 GUI를 표시 화면상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프로토콜이 이용하는 커넥션의 접속/절단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8은 제 2 프로토콜에서 이용하는 커넥션의 접속/절단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8a는 개시자 및 소비자가 독립된 기기인 경우, 도 18b는 개시자가 독립된 기기인 경우, 도 18c는 개시자 및 소비자가 콘트롤러와 동일 기기내에 존재하는 경우이며, 도면중 (1840)은 개시자, (1841)은 콘트롤러, (1842)는 타겟, (1843)은 소비자이다.
또한, 커넥션이라는 것은 전송로(1)상을 흐르는 데이터에 대해서 논리적으로 구성된 정보전송용의 경로로서, 타겟이나 소비자는 여러개의 커넥션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때, 각 커넥션은 논리적인 플러그 번호나 포트 번호 등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어드레스 등을 지정하고, 이 플러그 번호나 포트 번호 등에 의해 각 커넥션을 구별한다.
도 18a는 개시자, 콘트롤러, 타겟, 소비자가 각각 독립된 기기에 존재하는 경우의 예로서, 타겟과 소비자 사이에 개시자가 연장하는 커넥션이 존재한다.
우선, 개시자(1840)가 콘트롤러(1841)와 소비자(1843) 사이에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을 연장한다. 이 커넥션에 있어서, 제 2 프로토콜에서 흐르는 데이터의 송신원은 타겟(1842), 수신지는 소비자(1843)이다.
개시자(1840)는 콘트롤러(1841)에서 커넥션에 필요한 정보, 예들 들면 접속 가능한 버퍼의 어드레스 등의 콘트롤러의 자원 정보 등을 취득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타겟(1842)에 대해서 커넥션으로의 접속을 시도한다. 이것이 성공했을 때에는 개시자(1840)는 소비자(1843)에 대해서 커넥션으로의 접속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해서, 콘트롤러(1841)와 소비자(1843) 사이에 커넥션을 확립한다.
또, 커넥션을 절단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개시자(1840)는 소비자(1843)을 커넥션에서 절단하고, 다음에 타겟(1842)을 커넥션에서 절단한다. 이것이 성공했을 때에는 개시자(1840)는 소비자(1843)가 커넥션용으로 확보하고 있던 자원의 해방을 실행한다.
따라서, 이 때 콘트롤러(1841)는 타겟(1842)과 소비자(1843) 사이의 커넥션의 확립/절단에는 관계하지 않는다.
도 18b는 개시자, 콘트롤러, 타겟이 각각 독립된 기기에 존재하는 경우의 예로서, 소비자는 콘트롤러와 동일 기기내에 존재한다. 여기서, 타겟과 콘트롤러 사이에 개시자가 연장하는 커넥션이 존재한다.
이 커넥션에 있어서, 제 2 프로토콜에서 흐르는 데이터의 송신원은 타겟(1842), 수신지는 콘트롤러(1841)이다.
개시자(1840)는 콘트롤러(1841)에서 커넥션에 필요한 정보, 예들 들면 접속 가능한 버퍼의 어드레스 등의 콘트롤러의 자원 정보 등을 취득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타겟(1842)에 대해서 커넥션으로의 접속을 시도한다. 이것이 성공했을 때에는 개시자(1840)는 콘트롤러(1841)에 대해서 커넥션으로의 접속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해서, 콘트롤러(1841)와 타겟(1842) 사이에 커넥션을 확립한다.
또, 커넥션을 절단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개시자(1840)는 콘트롤러(1841)를 커넥션에서 절단하고, 다음에 타겟(1842)을 커넥션에서 절단한다. 이것이 성공했을 때에는 개시자(1840)는 콘트롤러(1841)가 커넥션용으로 확보하고 있던 자원의 해방을 실행한다.
다음에, 도 18c는 콘트롤러, 타겟이 각각 독립된 기기에 존재하는 경우의 예로서, 개시자 및 소비자는 콘트롤러와 동일 기기내에 존재한다. 여기서, 타겟과 콘트롤러 사이에 개시자가 연장하는 커넥션이 존재한다.
여기서, 콘트롤러(1841)가 콘트롤러(184l)와 타겟(1842) 사이에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을 연장한다. 이 커넥션에 있어서, 제 2 프로토콜에서 흐르는 데이터의 송신원은 타겟(1842), 수신지는 콘트롤러(1841)이다. 즉, 도 18b에 있어서의 개시자를 콘트롤러가 겸무하고 있다. 콘트롤러(1841)는 콘트롤러(1841) 자신의 커넥션에 필요한 정보 예들 들면 접속 가능한 버퍼의 어드레스 등의 자원 정보 등을 취득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타겟(1842)에 대해서 커넥션으로의 접속을 시도한다.이것이 성공했을 때에는 콘트롤러(1841)는 콘트롤러(1841) 자신에 대해서 커넥션으로의 접속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해서, 콘트롤러(1841)와 타겟(1842) 사이에 커넥션을 확립한다.
또, 커넥션을 절단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콘트롤러(1841)는 자신을 커넥션에서 절단하고, 다음에 타겟(1842)을 커넥션에서 절단한다. 이것이 성공했을 때에는 콘트롤러(1841)는 자신이 커넥션용으로 확보하고 있던 자원의 해방을 실행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8c의 모델에 의해서 설명하지만, 그 밖의 모델이라도 마찬가지로 실현가능하고 또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여기서 미리 말해 둔다.
또한, 이 커넥션의 확립 방법은 제 2 프로토콜에 의존하므로, 제 2 프로토콜에 적절한 방법으로 개시자가 커넥션을 연장하면 좋다.
도 19는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실행할 때의 데이터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플러그라는 것은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입구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론적인 플러그이며, 예들 들면 각 플러그는 각각 플러그번호를 갖고 이 플러그번호에 의해 각각을 구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타겟의 플러그는 제 2 프로토콜 송신 수단(1618)에, 콘트롤러의 플러그는 제 2 프로토콜 수신 수단(1719)내에 존재한다.
우선, 도 1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트롤러(개시자)는 미리 타겟과 콘트롤러(소비자) 사이에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을 확립해 둔다. 이 때, 이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은 타겟의 플러그와 콘트롤러(소비자)의 플러그 사이에 만들어진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겟 내부의 각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에는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플러그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타겟에 대해서 콘트롤러에 의해 제 1 프로토콜로 임의의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에 대해서 데이터의 출력요구가 이루어지면, 타겟내의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1606)은 그 명령에 따른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에 대해서 데이터의 출력 명령을 발행한다. 명령에 따라서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은 자신의 플러그에서 데이터를 출력할 준비를 실행한다. 여기서, 출력할 데이터를 검색하고 해당 데이터의 존재를 확인한 후,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은 명령에 대해서 알았다는 취지의 응답을 되돌려 보냄과 동시에, 커넥션 관리 수단(1620)에 대해서 타겟내의 내부 접속(내부 커넥션), 즉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의 플러그로 출력되는 데이터를 타겟의 플러그로 송신하도록 지시를 발행한다.
커넥션 관리 수단(1620)은 다른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하고, 타겟 내부의 데이터의 흐름(내부 커넥션)을 확립한다.
여기서, 타겟 내부의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하는 프로토콜은 임의이며, 예들 들면 임의의 버퍼로의 데이터 라이트 제어에 의해 실행해도 좋다.
다음에, 타겟의 플러그는 콘트롤러의 플러그와 제 2 프로토콜을 이용한 커넥션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타겟의 플러그로 출력된 데이터는 제 2 프로토콜 송신 수단(1618)에 의해 제 2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콘트롤러 여기서 타겟 내부의 데이터송수신을 실행하는 프로토콜은 임의이며, 예들 들면 임의의 버퍼로의 데이터 라이트 제어에 의해 실행해도 좋다.
다음에, 타겟의 플러그는 콘트롤러의 플러그와 제 2 프로토콜을 이용한 커넥션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타겟의 플러그로 출력된 데이터는 제 2 프로토콜 송신 수단(1618)에 의해 제 2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콘트롤러의 플러그로 송신된다. 콘트롤러의 플러그가 수신한 데이터는 제 2 프로토콜 수신 수단(1719)에 의해 수신되고, 콘트롤러내의 커넥션 관리 수단(1620)의 지시에 따라서 각각 적절한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으로 전송한다.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데이터의 전송을 종료했을 때에는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의 지시에 따라서 커넥션 관리 수단(1620)이 타겟내의 내부 접속(내부 커넥션)을 절단한다. 따라서, 다른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데이터를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타겟과 콘트롤러 사이의 커넥션상으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여러개 있는 경우의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실행할 때의 데이터의 흐름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 경우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도 19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콘트롤러(개시자)는 미리 타겟과 콘트롤러(소비자) 사이에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을 확립해 둔다. 이 때,이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은 타겟의 플러그와 콘트롤러(소비자)의 플러그 사이에 만들어진다.
또, 타겟 내부의 각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에는 제 2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플러그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타겟에 대해서 콘트롤러에 의해 제 1 프로토콜로 제 1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에 대해서 데이터의 출력요구가 이루어지면, 타겟내의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1606)은 제 1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에 대해서 데이터의 출력 명령을 발행한다. 명령에 따라서 제 1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은 자신의 플러그에서 데이터를 출력할 준비를 실행하고, 출력할 데이터를 검색하여 해당 데이터의 존재를 확인한 후, 각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은 명령에 대해서 알았다는 취지의 응답을 되돌려 보낸다. 동시에, 커넥션 관리 수단(1620)에 대해서 타겟내의 내부 커넥션의 접속요구를 발행한다.
이 때, 제 2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에 대해서도 콘트롤러에서 데이터의 출력요구가 온 경우, 마찬가지로 해서 명령에 따라 제 2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은 자신의 플러그에서 데이터를 출력할 준비를 하고, 커넥션 관리 수단(1620)에 대해서 내부 커넥션의 접속요구를 발행한다.
여기서, 동시에 제 1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과 제 2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상으로의 데이터의 전송요구를 커넥션 관리 수단(1620)에 실행한 경우, 커넥션 관리 수단은 미리 결정된 우선순위로 데이터의 전송을 허가하고 내부 커넥션을 접속한다. 그리고, 우선순위가 높은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 출력이 종료한 후, 이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과의 내부 커넥션을 절단하고 다른쪽의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과 내부 커넥션을접속해서 이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전송을 실행한다.
이 때, 우선 순위는 신속한 응답이 요구되는 내부 기능 제어 수단에 대해서는 높은 우선 순위를 마련한다. 따라서, GUI 정보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대해서 신속하게 응답해야 할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한번 전송을 실행한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은 우선순위를 낮게 하는 등 다이나믹하게(동적으로) 변화하도록 우선 순위를 부가해도 좋고, 데이터를 보낼 수 없는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을 없애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콘트롤러가 이 우선순위를 지정하도록 구성해도 좋고, 콘트롤러의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최적한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그 데이터의 송신원을 나타내는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의 식별 정보를 갖고 있고, 콘트롤러는 이 정보를 이용하여 커넥션상으로 흘러 온 데이터를 구별한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확실하게 수신하여 구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에 대한 내부 커넥션의 접속/절단에 대한 우선 순위의 관리는 플러그가 실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도 21은 송신지가 여러개 있는 경우의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할 때의 데이터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포트라는 것은 플러그내의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이론적인 장소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각 포트는 1대 1로 다른 포트와 접속된다. 따라서, 1개의 플러그는 동일한 데이터가 입출력하는 입구를 나타내고, 포트는 플러그내에서 각 상대측(상대편)과 접속되어 있는 장소를 나타내며, 예들 들면 각 포트는 각각 포트번호를 갖고, 이 포트번호에 의해 각 접속지를 구별하도록 구성된다.
우선, 도 19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콘트롤러(개시자)는 미리 타겟과 콘트롤러(소비자) 사이에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을 확립해 둔다. 이 때, 이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은 타겟의 플러그와 콘트롤러(소비자)의 플러그 사이에 만들어진다. 이 때, 각 상대측에 대해서는 각각 1개의 포트가 할당된다. 여기서, 도 21에서는 여러개의 콘트롤러가 존재하고, 각 콘트롤러가 이와 같이 해서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을 확립한다. 여기서, 각 포트는 상대와 1대 1로 대응하고,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논리적인 입구를 나타내며, 예들 들면 각 상대측용의 버퍼의 어드레스와 1대 1로 대응한다.
또, 타겟 내부의 각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에는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플러그가 마련되어 있지만, 상대측을 명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포트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타겟에 대해서 콘트롤러에 의해 제 1 프로토콜로 제 1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에 대해서 데이터의 출력요구가 이루어지면, 타겟내의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1606)은 제 1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에 대해서 데이터의 출력 명령을 발행한다. 명령에 따라서 제 1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은 자신의 플러그에서 데이터를 출력할 준비를 하고, 출력할 데이터를 검색하여 해당 데이터의 존재를 확인한 후, 각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은 명령에 대해서 알았다는 취지의 응답을 되돌려 보낸다. 동시에, 커넥션 관리 수단(1620)에 대해서 타겟내의 내부 커넥션의 접속 요구를 발행한다. 여기서, 커넥션 관리 수단(1620)은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로 데이터의 전송을 허가하고 내부 커넥션을 접속한다.
다음에, 타겟의 플러그는 콘트롤러의 플러그와 제 2 프로토콜을 이용한 커넥션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므로, 타겟의 플러그로 출력된 데이터는 제 2 프로토콜 송신 수단(1618)에 의해 제 2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콘트롤러의 플러그로 송신된다. 여기서, 각 플러그는 포트를 갖고 있으므로, 유효한 포트 전부에 대해서 동일한 데이터가 송신된다.
따라서, 콘트롤러는 콘트롤러의 플러그내의 포트에서 제 2 프로토콜 수신 수단(1719)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하고, 콘트롤러내의 커넥션 관리 수단(1620)의 지시에 따라서 각각 적절한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으로 전송한다.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데이터의 전송을 종료했을 때에는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은 타겟내의 내부 접속(내부 커넥션)을 절단한다. 따라서, 다른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데이터를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타겟과 콘트롤러 사이의 커넥션상으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여러개의 콘트롤러에 대해서 동일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콘트롤러는 타겟에 대해서 목적으로 하는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에서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명령을 보내는 것만으로 좋고, 종래와 같이 콘트롤러 자체가 타겟 내부의 커넥션을 확립할 필요가 없고, 콘트롤러는 타겟의 상세한 구성에 관한 정보를 가질 필요가 없다. 또, 필요할 때에만 내부 커넥션을 접속하므로, 타겟과 콘트롤러 사이의 커넥션을 여러개의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공유할 수 있어 타겟의 구성이 간결한 것으로 됨과 동시에, 제 2 프로토콜에서 필요로 되는 버퍼나 플러그 등의 자원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 소비자와 타겟 사이에서 한번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을 연장해 두면, 소비자나 타겟내에서 새로운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생성된 경우나 기존의 내부 기능 제어 수단과 새로운 데이터 전송이 필요하게 된 경우 등이라도 새롭게 커넥션을 확립할 필요가 없고 기존의 커넥션을 공유해서, 데이터의 전송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처리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구성해 두면, 여러개 존재하는 콘트롤러에 대해서 타겟 내부의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에서 동일한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이더라도, 모두 타겟의 플러그를 중계하여 정보의 송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타겟 내부에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을 마련하여 두는 것에 의해 타겟의 플러그나 버퍼 등의 자원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타겟의 구조를 간결한 것으로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콘트롤러와 타겟의 동작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2는 본 실시예에 관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콘트롤러와 타겟 사이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설명한 도면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개시자가 없는 경우, 즉 콘트롤러가 개시자를 겸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여기서는 GUI 정보의 전송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지만, 전송하는 데이터는 GUI 정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타겟이나 콘트롤러가 디지털 스틸 카메라인 경우에는 정지 화상 데이터이어도 좋고 프린터인 경우에는 인쇄 데이터이라도 좋다. 더 나아가서는 동화 데이터, 음성 데이터, 프로그램 데이터, 데이터 베이스 정보 등의 임의의 파일 데이터 등이라도 좋다. 우선, 타겟이 전송로(1)에 접속되면, 이 전송로(1)상에 있는 콘트롤러는 버스 리세트 신호 등에 의해 신규 타겟을 인식하고, 신규 타겟에서 전송로(1)을 통과하여 우선 기기 구성 정보(7)내에 기재된 타겟의 정보를 리드하고, 타겟이 무엇인지, 어떠한 프로토콜을 서포트하고 있는지 등을 인식한다. 다음에, 타겟이 제 1 프로토콜을 서포트하고 있는 경우, 이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어떠한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을 갖고 있는지를 문의하고, GUI 정보를 서포트하는 제 1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1621)(제 2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1622), 제 3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1623)이어도 좋다)을 검출한다. 타겟내에서 이들의 처리는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1606)이 실행하고, 콘트롤러내에서는 제 1 프로토콜 처리 수단(1606)이나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실행한다. 또한,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이들의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콘트롤러내의 어플리케이션의 1개인 제 1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1725)(제 2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1726), 제 3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1727)이어도 좋다)이 타겟의 GUI 정보를 표시할 때에는 우선 콘트롤러는 제 2 프로토콜에서 필요한 콘트롤러내의 자원을 확보하고, 도 22에 도시한 메시지 통신(2101) 즉 커넥션의 접속 요구를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타겟으로 송신한다. 다음에, 타겟은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으로의 접속이 가능한지 불가능한지를 확인하고, 가능하면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에 접속한다. 그리고, 메시지 응답(2111)에 의해 타겟이 승낙한 것을 확인하면, 콘트롤러는 자신을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에 접속하여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이 확립된다.
다음에, 제 1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1725)이 타겟의 GUI 정보를 요구할 때에는 제 1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1725)이 제 1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1621) 측(앞)으로 메시지 송신(2102)에 의해 데이터의 전송요구를 타겟으로 송신한다. 이 메시지 송신(2102)은 콘트롤러가 타겟과 정보를 일치시키고자 하는 범위를 나타내는 통지 범위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제 1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1621)이 승낙한 경우에는 이 송신에 대한 응답으로서 타겟은 1차 응답(2112)을 되돌려 보낸다. 그리고, 제 1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1621)은 제 2 프로토콜에 의한 데이터 송신요구를 커넥션 관리 수단(1620)으로 송신하고, 커넥션 관리 수단(1620)은 제 1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1621)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을 이용하여 콘트롤러로 송신한다.
또한, 이 메시지 응답(2112)에는 통지 범위에 따른 버전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해서, 콘트롤러는 GUI 정보의 데이터를 취득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
다음에,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의 상하 좌우를 나타내는 십자 키 등에 의한 원격 제어 장치의 포인팅 기능 등에 의해서, 예를 들면 타겟의 재생 기능을 나타내는 표시 부품을 선택한 경우, 제 1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1725)은 타겟이 부가된 표시 부품의 식별 정보를 제어 코드로서 사용자의 조작 정보, 예들 들면 「선택」과 함께 타겟으로 송신한다. 즉, 이 표시 부품의 식별 정보(제어 코드)와 사용자의 조작 정보(「선택」)를 메시지 송신(2103)으로서 타겟내의 제 1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1621)로 송신한다. 또, 더욱 상세한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타겟으로 보내는 것도 가능하고, 재차의 데이터 요구를 실행하는 것도 고려된다.
여기서, 사용자의 조작 정보는 코드화하여 표시 부품의 식별 정보와 함께 보내도 좋고, 각각을 1개의 코맨드(오퍼런드는 표시 부품의 식별 정보 등의 제어 코드)로서 보내도 좋다.
다음에, 조작 요구의 응답으로서 메시지 응답(2113)에서는 메시지 송신(2103)이 타겟에서 수령되었는지, 거부되었는지,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지와 같은 응답을 되돌려 보낸다.
다음에, 타겟내의 상태가 변화하고 타겟내의 GUI 정보의 표시 부품이 변화했을 때, 타겟내의 제 1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1621)은 제 2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자발적으로 변화한 데이터(표시 부품)를 콘트롤러로 송신한다. 즉, 제 1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1621)내의 데이터가 변화했을 때에는 제 1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1621)이 커넥션 관리 수단(1620)에 대해서 제 2 프로토콜에 의한 데이터 전송 요구를 송신한다. 따라서, 커넥션 관리 수단(1620)은 제 1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1621)이 출력하는 데이터를 타겟의 플러그로 출력하고, 제 2 프로토콜 송신 수단(1618)이 커넥션상으로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송출한다.
또, 콘트롤러가 타겟내에서 정보가 변화한 경우의 통지범위로서 메뉴단위를 지정하고,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서 표시할 메뉴가 변화한 경우에는 타겟에 몇개의 표시 부품을 포함하는 새로운 메뉴를 콘트롤러로 송신함과 동시에, 신메뉴내의 정보가 변화한 경우에만 콘트롤러에 타겟의 정보의 변화의 통지를 실행한다. 이것은 메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표시 부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은 이 변화한 표시 부품의 데이터를 해당하는 부분에 라이트하고 갱신하며,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은 갱신된 기능 일람을 표시한다.
콘트롤러가 타겟의 디바이스의 표시를 종료했을 때에는 콘트롤러는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에서 자신을 절단하고, 메시지 통신(2104)(커넥션 절단요구)을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타겟으로 송신한다.
타겟은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의 절단이 타당한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타당하면 커넥션으로의 접속을 절단한다.
메시지 응답(2114)에 의해 타겟이 승낙한 것을 확인하면, 콘트롤러는 자신이 확보하고 있던 제 2 프로토콜에서 필요한 콘트롤러내의 자원을 해방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커넥션의 접속은 콘트롤러가 타겟의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할 때에 실행하는 것으로 했지만, 타겟의 전원이 들어가 있는 동안에는 항상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을 확립하는 것이나, 콘트롤러가 GUI 정보를 요구할 때마다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을 연장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콘트롤러 내부기능 제어 수단의 요구에 따라 개시자가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을 연장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그리고, 커넥션의 절단에 관해서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이다.
또, 타겟 내부의 커넥션은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나 타겟에 마련되어 있는 플러그가 타겟내의 내부 커넥션을 연장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그리고, 타겟내의 내부 커넥션의 절단에 관해서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메시지 응답(2112)와 제 2 프로토콜에 의한 데이터 전송(2201)의 순서는 임의이며, 데이터 전송(2201)이 시작된 후 메시지 응답(2112)를 되돌려 보내도 좋다. 즉, 데이터 요구를 나타내는 메시지는 데이터의 출력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데이터의 전송을 보증하지 않아도 좋다. 데이터의 전송을 보증하는 경우에는 이 데이터를 수신한 콘트롤러(또는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가 요구한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수신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재차 데이터 요구를 실행할 것인지 타겟(또는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내의 상황을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문의하거나 커넥션의 체크를 실행하고, 필요에 따라서 재차 요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해서, 간단한 구성으로 돌발적인 에러에 대해서도 대응가능하여 데이터를 확실하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콘트롤러와 소비자가 별개의 기기에 존재하는 경우, 콘트롤러는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소비자에 대해서도 메시지(수신요구)를 송신한다. 따라서, 소비자는 정확하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었을 때에는 완료를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를 콘트롤러로 되돌려 보내고, 수신시에 에러가 발생했을 때에는 에러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콘트롤러로 되돌려 보낸다(회신한다). 그리고, 콘트롤러는 정확하게 데이터가 전송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타겟으로의 상태 문의, 커넥션의 체크 등을 실행하며, 필요하면 재송 요구를 타겟에 대해 실행하고 재차 수신 요구를 소비자에 대해서 실행한다. 이와 같이, 에러 체크를 소비자가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했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 간단한 방법으로 확실하게 에러를 검출하여 에러 회복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GUI 정보를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하는 것으로 했지만,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하는 데이터로서 정지 화상 파일 데이터, 화면 일부 또는 전체의 비트맵, 텍스트 데이터, OSD(On Screen Data), 음성 파일 데이터 등 임의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콘트롤러는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으로 했지만, 콘트롤러는 수신 데이터를 인쇄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으며, 임의로 사용하는 것으로 해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에, 콘트롤러의 송수신 동작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통신시 등의 에러 처리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은 콘트롤러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도 23a는 제 1 프로토콜에 관한 동작, 도 23b는 제 2 프로토콜에 관한 동작을 설명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한 흐름은 콘트롤러상에서 평행하게 동작한다.
도 23a에 있어서, 콘트롤러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의 메뉴 버튼을 누르는 등의 콘트롤러 내부의 요구에 의해, 타겟에 대해서 제 2 프로토콜용의 커넥션을 처리(2501)에서 확립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타겟의 GUI를 표시시키기 위해, 처리(2502)에서 타겟에 대해서 데이터의 요구를 메시지 송신한다. 이 데이터의 요구에 대한 응답을 처리(2503)에서 대기하고 타겟에서 승인 통지를 수취한 후, 처리(2504)에서 사용자의 조작을 검출한다.
사용자가 콘트롤러상의 조작 화면에 대해서 조작을 실행하고, 이 조작을 타겟에 통지하는 경우에는 처리(2502)에서, 예들 들면 오브젝트의 식별 정보와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타겟으로 송신한다.
한편, 사용자의 조작이 없었던 경우, 처리(2505)에서 종료 판정을 실행하고,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 콘트롤러가 타겟의 GUI 정보를 표시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처리(2506)에서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을 절단한다. 한편, 계속해서 타겟의 GUI 정보를 콘트롤러가 표시하는 경우 등에는 처리(2504)에서 타겟으로 전달할 사용자의 조작을 체크한다. 또한, 처리(2504)는 1예로서, 이것을 실행할 필요는 없으며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3b에 도시되는 동작 흐름은 콘트롤러가 도 23a의 처리(2501)에서 커넥션이 확립된 후에 개시되는 것이다. 우선, 처리(2510)에서 제 2 프로토콜에 의한 데이터의 수신을 체크한다. 여기서,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에 처리(2514)에서 화면 표시를 갱신한다.
처리(2514)에서 화면 표시를 갱신한 후 및 처리(2510)에서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았을 때에는 처리(2515)에서 종료 판정을 실행하고,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 콘트롤러가 이 타겟의 GUI 정보를 표시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이 동작 흐름을 종료한다. 한편, 계속해서 이 타겟의 GUI 정보를 콘트롤러가 표시하는 경우 등에는 처리(2510)에서 데이터의 수신을 대기한다. 또한, 처리(2510)와 처리(2515)는 동시에 종료 판정을 실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다음에, 타겟의 송수신 동작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통신시 등의 에러 처리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24는 타겟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우선, 타겟은 콘트롤러가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을 확립하는 것을 처리(2601)에서 대기하고, 커넥션이 확립된 후에는 처리(2602)에서 콘트롤러로부터의 메시지의 유무를 체크한다. 메시지가 오고 있지 않을 때에는 처리(2603)에서 타겟 내부의 상태를 체크하고, 상태가 변화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처리(2611)에서 종료 판정을 실행한다. 콘트롤러에 의한 커넥션의 절단이나 콘트롤러에서 메시지에 의한 종료 통지를 수신한 경우 등에는 이 동작 흐름을 종료한다. 한편, 계속하는 경우에는 처리(2602)로 되돌아간다.
처리(2602)에서 메시지가 오고 있을 때에는 이 메시지가 무엇을 의도하는 것인지를 판정하고, 각 메시지에 따라서 처리(2604) 및 처리(2609)에서 타겟의 상태, 타겟이 이 기능을 서포트하고 있는지 등을 고려하고, 이 메시지의 실행 가능성에 따라서 메시지 응답을 콘트롤러로 송신한다.
수신 메시지가 데이터 요구일 때에는 처리(2605)에서 실행 가능성을 판단하고, 가능하면 승낙의 응답을 콘트롤러로 보냄과 동시에, 처리(2606)에서 데이터 (기능 일람)를 작성 또는 기존의 데이터(기능 일람)가 있는 경우에는 기존의 데이터(기능 일람)를 준비하고, 처리(620)에서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과 타겟의 플러그 사이의 내부 커넥션을 접속하고, 처리(2608)에서 데이터(기능 일람)를 콘트롤러로 송신하고, 송신 종료후 처리(2621)에서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과 타겟의 플러그 사이의 내부 커넥션을 절단한다. 한편, 실행 불가능한 경우에는 실행 거부 등의 메시지를 콘트롤러로 보낸다.
마찬가지로, 처리(2603)에서 타겟 내부의 상태가 변화했을 때에는 처리(2607)에서 데이터(기능 일람)를 갱신하고, 처리(620)에서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과 타겟의 플러그 사이의 내부 커넥션을 접속하고, 처리(2608)에서 데이터(기능 일람)을 콘트롤러로 송신하며, 송신 종료후 처리(2621)에서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과 타겟의 플러그 사이의 내부 커넥션을 절단한다.
또, 예들 들면 표시 부품의 식별 정보와 사용자의 조작 정보 등 수신한 메시지가 데이터 요구가 아닐 때에는 각각의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처리(2609)에서 실행한다. 이 처리(2609)에서 실행 가능성을 판정하고, 실행 가능하면 승낙의 메시지 응답을 콘트롤러로 송신하고, 처리(2610)에서 이 메시지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실행 불가능한 경우에는 실행 거부 등의 메시지를 콘트롤러로 보낸다.
또한, 여기서는 종료 판정은 처리(2611)에서 실행하는 것으로 했지만, 콘트롤러로부터의 커넥션 절단 메시지나 GUI 표시 종료 메시지 등을 수신한 경우에는 처리(2610)에서 종료 처리를 실행하고 이 동작 흐름을 종료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여기서는 기능 일람을 갖는 타겟을 대상으로 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타겟이 갖는 데이터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에 의해,아이콘 등의 대용량 데이터에 대해서 적절한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전송효율이 좋고 신속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또, 타겟내에 커넥션 관리 수단과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의 요구에 따라서 커넥션 관리 수단이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의 출력과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 사이의 내부 커넥션을 접속하는 것에 의해서, 1개의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타겟내에 존재하는 경우는 물론 여러개의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타겟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개시자가 타겟 내부의 내부 커넥션을 연장시킬 필요가 없어지고, 타겟이 내부 커넥션의 접속을 자유롭게 실행할 수 있게 되고, 각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의 응답성에 따라 타겟이 내부 커넥션을 전환하여 데이터 전송을 실행할 수 있게 되고, 타겟을 원하는 성능으로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또, 필요할 때에 필요한 만큼 타겟 내부의 내부 커넥션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여러개의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1개의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을 공유할 수 있고, 제 2 프로토콜에서 필요로 되는 버퍼나 플러그 등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타겟의 구성을 간단화할 수 있으며 또 타겟 내부의 처리를 간소화할 수 있으므로, 타겟의 부담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소비자 및 콘트롤러는 타겟의 상세한 구성에 관한 정보를 가질 필요가 없고, 여러개의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을 갖는 타겟을 제어하는 경우라도 커넥션은 1개이면 좋으므로 콘트롤러의 구성 및 처리도 간결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신기능을 갖는 디바이스가 등장해도 이 타겟이면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고, 소비자 및 콘트롤러도 용 이하게 이 타겟을 서포트할 수 있다.
또, 콘트롤러와 소비자를 겸용하는 것에 의해, 콘트롤러와 소비자에서 공통인 수단이나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밀접한 관계에 있는 메시지와 데이터의 관련지음이 용이하게 되어, 버퍼 등의 메모리나 처리를 간소화할 수 있고 또 구조가 간결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콘트롤러가 타겟의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의 데이터 입출력 장소를 나타내는 플러그 측으로(플러그측을 향해)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메시지를 송신하고 타겟은 이 메시지에 따라 동작하는 것에 의해서,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과 메시지의 관련을 명확히 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상을 흐르는 데이터와 메시지의 대응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플러그에 대해서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서, 이 플러그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데이터를 취급하는 콘트롤러를 타겟이 취사(取捨) 선택하는 것이나 특정 콘트롤러로부터의 제어만을 허가하는 것, 더 나아가서는 타겟을 제어할 수 있는 콘트롤러를 타겟이 한정하는 배타 제어도 용이하게 된다. 또, 타겟 내부의 내부 커넥션의 접속 또는 절단은 플러그가 실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 콘트롤러 자체가 타겟 내부의 커넥션을 확립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구조가 간결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으로 할 수 있다.
또, 콘트롤러와 소비자가 겸용되고 있으므로, 콘트롤러와 소비자에서 공통인 수단이나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버퍼 등의 메모리나 처리를 간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용의 플러그 측으로 메시지에 따라 동작하는 것에 의해서 콘트롤러의 지시와 출력된 데이터의 관련을 명확화하는 것이나 배타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었던 경우 등의 에러처리를 간단화할 수 있고, 한층 더 구조가 간결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여러개의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타겟내에 존재하는 경우, 여러개의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은 각각의 플러그에 대해서 데이터를 출력하고, 각각의 플러그에 대해서 각 내부 기능 제어 수단측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여 완전히 동시 동작 가능한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을 갖는 타겟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여러개의 콘트롤러에서 임의의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제어되는 경우, 각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은 자신의 자원 등에 따라서 임의의 개수의 콘트롤러로부터의 제어밖에 접수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도 용이하게 되어 간단하게 배타 제어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의 플러그는 출력 플러그로서 설명했지만 입력 플러그라도 좋고, 예들 들면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콘트롤러에서 수신 지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취한 경우에는 우선 커넥션 관리 수단(1620)이 제 1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1621)의 요구에 따라서 타겟의 플러그와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의 입력 플러그 사이의 내부 커넥션을 확립한다. 그리고, 타겟의 플러그가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에서 데이터를 수취하고, 이 데이터를 타겟의 플러그에서 타겟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의 입력 플러그가 수신하도록 구성해도 좋고,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마찬가지로, 콘트롤러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출력 플러그를 갖도록 구성해도 좋고,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은 간단한 구성으로 아이콘 데이터 등의 대용량 데이터를 효율좋고 신속하게 또한 확실하게 전송함과 동시에, 타겟이 자발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라도 타겟이 무엇을 송신한 것인지를 용 이하게 콘트롤러가 판단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또 해당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용의 콘트롤러, 타겟 및 소비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에 관해서 매우 유용하다.

Claims (33)

  1.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상기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콘트롤러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 중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 상기 타겟 및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개시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과,
    상기 개시자가 확립한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겟은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수신한 메시지에 따라서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2.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콘트롤러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 중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 상기 타겟 및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개시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과,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시자는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 사이에 사전에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을 확립하고,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타겟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때에는 상기 콘트롤러는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 요구를 실행하고,
    상기 타겟은 상기 데이터 요구에 따라서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3.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과
    상기 메시지를 송신함과 동시에 타겟과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콘트롤러 중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과,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타겟에 대해서 사전에 제 2 프로토콜의 커넥션을 확립하고,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타겟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때에는 상기 콘트롤러는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 요구를 실행하고,
    상기 타겟은 상기 데이터 요구에 따라서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4.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콘트롤러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 중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 상기 타겟 및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개시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과,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시자는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 사이에 미리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한 상기 커넥션을 확립하고,
    상기 타겟이 상기 콘트롤러로 데이터를 자발적으로 송신할 때에는 상기 타겟은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5.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과
    상기 메시지를 송신함과 동시에 상기 타겟과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콘트롤러 중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과,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타겟에 대해서 미리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한 상기 커넥션을 확립하고,
    상기 타겟이 상기 콘트롤러로 데이타를 자발적으로 송신할 때에는 상기 타겟은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6.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상기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콘트롤러,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을 내포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
    상기 타겟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비자와,
    상기 타겟과 상기 소비자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개시자 중의 어느 1개 이상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 상기 타겟 및 상기 소비자와 상기 개시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과,
    상기 커넥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할 때에는
    상기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타겟내의 커넥션 관리수단이 상기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의 출력을 상기 제 2 프로토콜의 상기 커넥션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7.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콘트롤러,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을 내포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
    상기 타겟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비자와,
    상기 타겟과 상기 소비자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개시자 중의 어느 1개 이상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 상기 타겟, 상기 소비자 및 상기 개시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과,
    상기 커넥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겟은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의 출력원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8.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콘트롤러,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타겟,
    상기 타겟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비자와,
    상기 타겟과 상기 사용자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개시자 중의 어느 1개 이상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 상기 타겟, 상기 소비자 및 상기 개시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과,
    상기 커넥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소비자내의 송신지 정보를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상기 타겟로 송신하고,
    상기 타겟은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커넥션상으로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수신한 상기 송신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9.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상기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콘트롤러,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을 내포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
    상기 타겟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비자와,
    상기 타겟과 상기 소비자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개시자 중의 어느 1개 이상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 상기 타겟, 상기 소비자 및 상기 개시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과,
    상기 커넥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트롤러는 원하는 상기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의 데이터 입출력 장소를 나타내는 플러그측으로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타겟은 상기 플러그측의 상기 메시지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한 데이터 전송의 확인 처리를 실행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하는 데이터는 버전 정보를 갖고,
    상기 버전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데이터의 버전 관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12.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하는 데이터는 상기 콘트롤러에 대해서 사용자로의 강제통지를 지시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13.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하는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식별 정보, 사이즈 정보 및 데이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15.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하는 데이터는 오브젝트를 단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하는 데이터의 속성 정보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식별 정보, 사이즈 정보 및 데이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데이터부에 속성 정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19.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콘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 중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이 개시자 또는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확립되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과,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서포트하고,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커넥션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콘트롤러.
  20.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콘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 중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이 개시자 또는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확립되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과,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서포트하고,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 요구를 실행하고,
    상기 데이터 요구에 따라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커넥션상에서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콘트롤러.
  21.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콘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 중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이 개시자 또는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확립되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과,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서포트하고,
    상기 타겟에 대해서 미리 상기 커넥션을 확립하고,
    데이터를 수신할 때에는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 요구를 실행하고,
    상기 데이터 요구에 따라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커넥션상에서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콘트롤러.
  22.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콘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 중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이개시자 또는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확립되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과,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서포트하고,
    상기 타겟이 자발적으로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커넥션상으로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콘트롤러.
  23.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콘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 중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이 개시자 또는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확립되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과,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서포트하고,
    상기 타겟에 대해서 미리 상기 제 2 프로토콜의 상기 커넥션을 확립하고,
    상기 타겟이 자발적으로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커넥션상으로 자발적으로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콘트롤러.
  24.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하는 콘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상기 콘트롤러,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타겟,
    상기 타겟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비자와,
    상기 타겟과 상기 소비자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개시자 중의 어느 1개 이상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과,
    상기 커넥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커넥션상으로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수신한 상기 송신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기 타겟, 상기 콘트롤러, 상기 소비자 및 상기 개시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소비자내의 송신지 정보를 나타내는 송신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상기 타겟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콘트롤러.
  25.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상기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하는 콘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상기 콘트롤러,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을 내포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
    상기 타겟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비자와,
    상기 타겟과 상기 소비자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개시자 중의 어느 1개 이상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과,
    상기 커넥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원하는 상기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의 데이터 입출력 장소를 나타내는 플러그측의 상기 메시지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타겟, 상기 콘트롤러, 상기 소비자 및 상기 개시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콘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으로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콘트롤러.
  26.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타겟에 있어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 중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이 개시자 또는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확립되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과,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겟에 있어서,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서포트하고,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수신한 메시지에 따라서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타겟.
  27.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타겟에 있어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 중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이개시자 또는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확립되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과,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겟에 있어서,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서포트하고,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의한 상기 콘트롤러로부터의 데이터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타겟.
  28.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타겟에 있어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타겟 중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타겟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이 개시자 또는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확립되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과,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겟에 있어서,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갖고,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를 자발적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타겟.
  29.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상기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타겟에 있어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콘트롤러,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을 내포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상기 타겟,
    상기 타겟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비자와,
    상기 타겟과 상기 소비자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개시자 중의 어느 1개 이상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 상기 타겟, 상기 소비자 및 상기 개시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과,
    상기 커넥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겟에 있어서,
    상기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이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할 때에는
    상기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타겟내의 커넥션 관리 수단이 상기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의 출력을 상기 제 2 프로토콜의 상기 커넥션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타겟.
  30.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타겟에 있어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콘트롤러,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을 내포하는 상기 타겟,
    상기 타겟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비자와,
    상기 타겟과 상기 소비자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개시자 중의 어느 1개 이상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 상기 타겟, 상기 소비자 및 상기 개시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과,
    상기 커넥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겟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커넥션상으로 데이터의 출력원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타겟.
  31.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타겟에 있어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콘트롤러,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상기 타겟,
    상기 타겟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비자와,
    상기 타겟과 상기 소비자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개시자 중의 어느 1개 이상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과,
    상기 커넥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소비자내의 송신지 정보를 나타내는 송신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상기 타겟으로 송신하는 상기 콘트롤러, 상기 타겟, 상기 소비자 및 상기 개시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타겟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커넥션상으로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수신한 상기 송신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타겟.
  32.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상기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타겟에 있어서,
    상기 기기내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콘트롤러,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을 내포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상기 타겟,
    상기 타겟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비자와,
    상기 타겟과 상기 소비자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개시자 중의 어느 1개 이상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과,
    상기 커넥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원하는 상기 내부 기능 제어 수단의 데이터 입출력 장소를 나타내는 플러그측으로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상기 콘트롤러, 상기 타겟, 상기 소비자 및 상기 개시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타겟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의 상기 메시지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타겟.
  33.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 중의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소비자에 있어서,
    상기 기기내에,
    상기 소비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수 또는 여러개의 콘트롤러,
    상기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타겟과,
    상기 타겟과 상기 소비자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커넥션을 확립하는 개시자 중의 어느 1개 이상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적어도
    상기 콘트롤러, 상기 타겟, 상기 소비자, 상기 개시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여러개의 프로토콜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과 상기 메시지 송신에 대한 응답인 메시지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프로토콜과,
    상기 커넥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비자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의해서 상기 커넥션상으로 상기 타겟이 송신하는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의해서 상기 콘트롤러로부터 수신한 상기 소비자내의 송신지 정보를 나타내는 송신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소비자.
KR1020007010471A 1999-01-22 2000-01-21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과 이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이용되는 콘트롤러, 타겟 및 소비자 KR1003457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1453299A JP3850160B2 (ja) 1999-01-22 1999-01-22 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及びターゲット
JP99-14532 1999-01-22
JP99-49488 1999-02-26
JP11049488A JP2000253463A (ja) 1999-02-26 1999-02-26 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及びこの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に用いるターゲット、コントローラ、並びにコンシューマ
PCT/JP2000/000307 WO2000044146A1 (fr) 1999-01-22 2000-01-21 Systeme de gestion de reseau, controleur, cible et consommateur destines a etre utilises dans ledit systeme de gestion de reseau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252A true KR20010092252A (ko) 2001-10-24
KR100345749B1 KR100345749B1 (ko) 2002-07-27

Family

ID=2635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0471A KR100345749B1 (ko) 1999-01-22 2000-01-21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과 이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이용되는 콘트롤러, 타겟 및 소비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80399B1 (ko)
EP (1) EP1071255A4 (ko)
KR (1) KR100345749B1 (ko)
CN (1) CN1148041C (ko)
WO (1) WO20000441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9128B1 (en) 1995-06-07 2004-07-2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Electronic television program guide schedule system and method with data feed access
WO1999004561A1 (en) 1997-07-21 1999-01-28 E-Guid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and recording control interfaces
CN1867068A (zh) 1998-07-14 2006-11-22 联合视频制品公司 交互式电视节目导视系统及其方法
US6898762B2 (en) 1998-08-21 2005-05-24 United Video Properties, Inc. Client-server electronic program guide
US7650621B2 (en) 2000-10-11 2010-01-19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torage of data on servers in an on-demand media delivery system
JP4683587B2 (ja) 2000-10-31 2011-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及び方法
JP4484353B2 (ja) 2000-10-31 2010-06-1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JP3601712B2 (ja) 2001-01-19 2004-12-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移動通信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データ通信方法
AR032904A1 (es) 2001-02-21 2003-12-03 United Video Properties Inc Disposicion y metodo para guias interactivas de programas con caracteristicas de grabacion de videos personales
JP2002304333A (ja) * 2001-04-03 2002-10-18 Sony Corp 伝送方法及び伝送装置
KR100425313B1 (ko) * 2001-12-11 2004-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증을 통한 텔레비젼 환경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CN100433669C (zh) * 2002-08-19 2008-11-1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家庭网络系统中的控制装置和方法
US7493646B2 (en) 2003-01-30 2009-02-1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s with digital video recording and adjustable reminders
JP2004343526A (ja) 2003-05-16 2004-12-02 Pioneer Electronic Corp 通信装置、通信方法並びに通信用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録媒体
TWI261195B (en) * 2004-02-25 2006-09-01 Via Tech Inc Optical drive control chip capable of transmitting command messages in advance and transmission method thereof
US20110035036A1 (en) * 2008-04-17 2011-02-10 Pioneer Corporatio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network system
US10063934B2 (en) 2008-11-25 2018-08-28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Reducing unicast session duration with restart TV
US9166714B2 (en) 2009-09-11 2015-10-20 Veveo, Inc. Method of and system for presenting enriched video viewing analytics
US9014546B2 (en) 2009-09-23 2015-04-21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detecting users within detection regions of media devices
JP4857406B1 (ja) * 2010-06-25 2012-01-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制御装置およびスクリプト変換方法
US8898723B2 (en) 2010-08-20 2014-11-25 Sony Corporation Virtual channel declarative script binding
US8942543B1 (en) 2010-10-06 2015-01-27 Verint Video Solutions Inc. Systems, methods, and software for improved video data recovery effectiveness
US9100324B2 (en) 2011-10-18 2015-08-04 Secure Crossing Research & Development, Inc. Network protocol analyzer apparatus and method
JP5874443B2 (ja) * 2012-03-01 2016-03-02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これらの制御方法ならびに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CN103885413B (zh) * 2014-03-19 2017-02-15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家电设备管理的方法、系统和设备
US10700950B2 (en) 2014-04-15 2020-06-30 Splunk Inc. Adjusting network data storage based on event stream statistics
US10693742B2 (en) 2014-04-15 2020-06-23 Splunk Inc. Inline visualizations of metrics related to captured network data
US9923767B2 (en) 2014-04-15 2018-03-20 Splunk Inc. Dynamic configuration of remote capture agents for network data capture
US9838512B2 (en) 2014-10-30 2017-12-05 Splunk Inc. Protocol-based capture of network data using remote capture agents
US11281643B2 (en) 2014-04-15 2022-03-22 Splunk Inc. Generating event streams including aggregated values from monitored network data
US10360196B2 (en) 2014-04-15 2019-07-23 Splunk Inc. Grouping and managing event streams generated from captured network data
US10462004B2 (en) 2014-04-15 2019-10-29 Splunk Inc. Visualizations of statistics associated with captured network data
US9762443B2 (en) 2014-04-15 2017-09-12 Splunk Inc. Transformation of network data at remote capture agents
US11086897B2 (en) 2014-04-15 2021-08-10 Splunk Inc. Linking event streams across applications of a data intake and query system
US10127273B2 (en) 2014-04-15 2018-11-13 Splunk Inc. Distributed processing of network data using remote capture agents
US10366101B2 (en) 2014-04-15 2019-07-30 Splunk Inc. Bidirectional linking of ephemeral event streams to creators of the ephemeral event streams
US10523521B2 (en) 2014-04-15 2019-12-31 Splunk Inc. Managing ephemeral event streams generated from captured network data
US9596253B2 (en) 2014-10-30 2017-03-14 Splunk Inc. Capture triggers for capturing network data
US20160127180A1 (en) * 2014-10-30 2016-05-05 Splunk Inc. Streamlining configuration of protocol-based network data capture by remote capture agents
US10334085B2 (en) 2015-01-29 2019-06-25 Splunk Inc. Facilitating custom content extraction from network packets
US20160258640A1 (en) * 2015-03-04 2016-09-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Wall module with close range communication
CN109359064B (zh) * 2018-10-25 2021-06-01 遨博(北京)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机器人系统中相关设备间的通信方法及装置
CN109660613B (zh) * 2018-12-11 2021-10-22 网宿科技股份有限公司 文件传输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45828C (zh) 1993-07-30 2009-09-30 佳能株式会社 控制连接到网络的网络设备的控制设备及其控制方法
US5668809A (en) * 1993-10-20 1997-09-16 Lsi Logic Corporation Single chip network hub with dynamic window filter
US5872784A (en) * 1993-10-20 1999-02-16 Lsi Logic Corporation High speed single chip digital video network apparatus
JPH09149325A (ja) 1995-11-21 1997-06-06 Sony Corp グラフイック表示データ分散型avシステム
US5787259A (en) * 1996-03-29 1998-07-28 Microsoft Corporation Digital interconnects of a PC with consumer electronics devices
JP3735942B2 (ja) 1996-06-04 2006-01-1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電子機器
US6088739A (en) * 1996-06-28 2000-07-1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object clustering
JP3612696B2 (ja) 1996-12-18 2005-01-1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US5867484A (en) * 1997-01-31 1999-02-02 Intellect Network Technologies Switchable multi-drop video distribution system
JPH10285664A (ja) 1997-04-08 1998-10-23 Kenwood Corp Avシステム
JP3658919B2 (ja) 1997-04-15 2005-06-15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情報伝送方法
DE69834391T2 (de) 1997-04-24 2006-09-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Datentransferverfah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71255A4 (en) 2003-03-19
CN1148041C (zh) 2004-04-28
EP1071255A1 (en) 2001-01-24
KR100345749B1 (ko) 2002-07-27
US7080399B1 (en) 2006-07-18
CN1297640A (zh) 2001-05-30
WO2000044146A1 (fr) 2000-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5749B1 (ko)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과 이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이용되는 콘트롤러, 타겟 및 소비자
KR100460219B1 (ko)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KR100570326B1 (ko) 전자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0407187C (zh) 用于联网装置中的导航的用户接口方法和系统
US8321576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data transfer controlling data transfer among a plurality of equipments connected to a network and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thereof
US2002000354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devices via a MMI
JP3850160B2 (ja) 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及びターゲット
EP2387198A1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gateway device, and program
JPH11249709A (ja) 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バイス並びにコントローラ
JPH11328081A (ja) 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及びデバイス
EP1491051A2 (en)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nd enabling the selection and mixing of multiple streams of audio/video data from multiple sources within a receiving device allowing external control
US20100053472A1 (en) Image content transmitting server,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content transmitting method, and image displaying method
JP2001045575A (ja) 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に用いるデバイス並びにコントローラ
JP2000253463A (ja) 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及びこの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に用いるターゲット、コントローラ、並びにコンシューマ
JP3952053B2 (ja) 接続管理プログラム
JP2000333269A (ja) GUI(GraphicalUserInterface)駆動型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及びGUI駆動型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に用いるデバイス並びにコントローラ
JPH11177588A (ja) 電子機器及びデータ通信方法
JPH11341472A (ja) 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及びデバイス
US20020075416A1 (en) Remote controll system
US8037201B2 (en) Content holder uni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00332801A (ja) 仮想avネットワーク構築装置、及び仮想avネットワーク構築方法、並びに仮想avネットワーク構築方法に関するプログラムを記載した記録媒体
EP1328134A1 (en) Controlled device in network apparatus, controlling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WO2011158804A1 (ja) 制御装置、コンテンツ処理システム、遠隔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5063069A (ja) 被制御装置、リモート制御装置及びリモート制御システム
JP3594552B2 (ja) ディジタルビデ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