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0219B1 -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0219B1
KR100460219B1 KR10-2000-7006792A KR20007006792A KR100460219B1 KR 100460219 B1 KR100460219 B1 KR 100460219B1 KR 20007006792 A KR20007006792 A KR 20007006792A KR 100460219 B1 KR100460219 B1 KR 100460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ata
screen
controller
screen display
transmission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6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4777A (ko
Inventor
야나가와요시후미
스즈키세이이치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24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4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2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a format for calling an appliance service function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117Interconnection of audio or video/imag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1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aving fewer capabilities than the client, e.g. thin client having less processing power or no tuning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31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 or external card, e.g. to detect processing problems in a handheld device or the failure of an external record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15/00Data processing: presentation processing of document, operator interface processing, and screen saver display processing
    • Y10S715/961Operator interface with visual structure or function dictated by intended use
    • Y10S715/965Operator interface with visual structure or function dictated by intended use for process control and configuration
    • Y10S715/969Network layout and operatio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디바이스는 그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화면표시데이터와 그 식별정보를 갖고, 컨트롤러는 화면요구(101)를 발행하여 이 화면표시데이터 등을 화면정보(111)로서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하며, 컨트롤러는 이 화면표시데이터 등을 사용하여 조작화면을 표시하고 조작화면에 대하여 조작이 이루어지면 그 조작정보와 화면표시데이터의 식별정보를 디바이스에 조작요구(241)로서 보내고 디바이스는 이 조작요구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며, 이에 의해 디바이스에서의 화면표시데이터가 변화되면 디바이스는 변화후의 화면표시데이터 등을 화면정보(121)로서 컨트롤러에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제어시스템{NETWORK CONTROL SYSTEM}
최근, TV(Television) 화면상에 기기의 기능을 나타내는 화면표시용 데이터나 문자 등으로 이루어진 그래픽스(아이콘)를 표시하고, 이 그래픽스를 TV의 리모콘으로 선택조작하고, 기기의 제어를 실시하는 기기제어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다. 또한, IEEE1394-1995를 사용하여 DVC(디지털비디오카셋트)등의 디지털 기기를 접속하여 영상/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도 등장하고 있다.
종래의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으로서는 일본 특개평9-14932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하에 종래의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AV기기는 IEEE1394 규격 등의 디지털 인터페이스와 같이 각 AV 기기가 전환 접속 없이, 다른 AV기기와 쌍방향 패킷 통신방식으로 균등한 통신기회를 주기적으로 받을 수 있는 시리얼버스로 접속된다.
여기에서, 각 AV기기는 독자의 화면표시용 데이터를 스스로 저장하고 있고 그래픽 표시기능을 가진 컨트롤러(텔레비젼 수상기)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이 화면표시용 데이터를 컨트롤러로 송신하고, 컨트롤러는 이 화면표시용 데이터를 표시한다. 또한, 컨트롤러는 접속되어 있는 AV기기의 표시에 필요한 데이터를 문의하는 기능과, AV기기로부터의 화면표시용 데이터에 기초한 표시화면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AV기기에는 화면표시용 데이터를 축적하는 기록매체와, 컨트롤러로부터의 화면표시용 데이터의 문의에 대하여 적절한 화면표시용 데이터를 선택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서는 화면표시용 데이터를 각 디바이스(AV기기)에 보관해 두고, 컨트롤러(텔레비젼 수상기)로부터의 표시요구에 따라서 출력함으로써 각 디바이스(AV기기) 독자의 그래픽을 컨트롤러 화면상에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는 디바이스가 내부의 상태변화에 의해 조작화면의 표시를 변경할 때, 디바이스로부터 컨트롤러로 디바이스의 상태의 변화를 통지할 수 없고, 컨트롤러 내의 표시화면정보와 디바이스 내의 표시화면정보에 부정합을 발생시키고, 사용자에게 올바르게 기기의 조작정보를 제공할 없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디바이스 내부의 상태변화에 의해 조작화면의 표시가 변경되었을 때에, 신속하게 컨트롤러로 이 상태변화를 통지할 수 있고, 확실하게 컨트롤러와 디바이스가 동일한 상태정보를 공유할 수있음과 동시에, 통신로의 전송부하가 작은 네트워크 제어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상에 접속된 기기의 조작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실시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면상에 그래픽스, 문자 등에 의해 사용자의 기기 조작을 지원하는 그래픽컬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사용한 기기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인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서의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
도 4a, 도 4b, 도 4c는 제 1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로부터 컨트롤러에 보내지는 화면정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의 프로토콜 설명도,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컨트롤러에서 표시되는 조작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의 프로토콜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로부터 컨트롤러에 보내어지는 화면정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컨트롤러에서 표시되는 조작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디바이스의 버전관리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디바이스의 버전관리부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에서의 버전정보의 설명도,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의 프로토콜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서의 컨트롤러에서 표시되는 조작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제 3 실시형태에서의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의 프로토콜 설명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로부터 컨트롤러에 보내어지는 화면정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제 4 실시형태에서의 컨트롤러에서 표시되는 조작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제 4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의 컨트롤러에서 표시되는 조작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로부터 컨트롤러에 보내어지는 화면정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및
도 20은 제 5 실시형태에서의 컨트롤러에서 표시되는 조작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1 국면은 제 1 및 제 2 기기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제 1 기기에 포함되는 컨트롤러가 전송로를 통하여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기기이고,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데이터와 상기 화면표시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갖고,
화면표시데이터와 식별정보를 전송로를 통하여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컨트롤러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화면표시데이터 및 식별정보를 수신하며,
조작화면을 화면표시데이터를 사용하여 표시수단에 표시하고, 조작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조작을 표시하는 조작정보와 식별정보를 전송로를 통하여 디바이스에 송신함으로써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국면은 제 1 및 제 2 기기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제 1 기기에 포함되는 컨트롤러가 전송로를 통하여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기기이고,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데이터와 상기 화면표시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구비하고,
화면표시데이터와 식별정보를 전송로를 통하여 컨트롤러에 송신하며,
컨트롤러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화면표시데이터 및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조작화면을 화면표시데이터 및 식별정보를 사용하여 표시수단에 표시하고,
조작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조작을 표시하는 조작정보와 식별정보를 전송로를 통하여 디바이스에 송신함으로써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국면에 의하면 화면표시데이터를 식별정보로 구별함으로써 컨트롤러가 디바이스로 보내는 사용자의 조작정보가 어떤 화면표시데이터에 대한 것인지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디바이스가 인식할 수 있고, 디바이스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국면에 의하면 컨트롤러는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도시한 화면표시데이터를 관리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는 조작정보를 디바이스에 송신하지만, 디바이스의 기능이나 조작의의미(조작과 디바스이스의 기능과의 관계 등)을 파악할 필요는 없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화면표시데이터나 조작정보 등)는 컨트롤러에서 관리 및 처리되지만, 디바이스의 제어에 직접적으로 관계하는 제어정보(디바이스의 기능을 나타내는 정보나 디바이스의 기능과 조작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 등)는 디바이스에서 관리 및 처리된다. 이 때문에, 컨트롤러에서의 처리가 감소됨과 동시에, 컨트롤러로부터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의 종류가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국면에 의하면 컨트롤러는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화면표시데이터 및 그 식별정보를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하고, 그를 사용하여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해, 현재 생각해 낼 수 없는 신기능을 가진 디바이스에서도, 그 신기능에 대응하는 화면표시데이터를 컨트롤러에 보내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이 신기능을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사용자가 이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 3 국면은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국면에서,
식별정보는 화면표시데이터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국면에 의하면 컨트롤러가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하는 식별정보에 버전정보가 포함되므로, 컨트롤러는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정보의 변화를 검출하고, 이에 의해 다른 컨트롤러로부터의 지시나 디바이스내의 자발적인 변화를 위해 디바이스의 상태가 변화된 것을 용이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화면표시데이터의 버전정보가 조작정보와 함께 디바이스에 보내지므로, 디바이스는 어떤 조작화면에 대한 조작인지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의도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국면에 의하면 컨트롤러가 디바이스로부터 화면표시데이터를 수신했을 때 그 버전정보를 체크하고, 버전정보가 올바르게 갱신되어 있는 경우에만 조작화면의 표시를 갱신함으로써 동일한 화면표시데이터가 복수회 송신되어 온 경우에서의 컨트롤러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국면은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국면에 있어서,
조작정보는 조작화면상의 조작위치를 도시한 조작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국면에 의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디바이스에 보내지는 조작정보에, 조작화면상의 조작위치를 표시하는 조작위치정보가 포함되므로, 조작화면에 대한 조작에서 소망의 조작위치를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직접적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조작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 5 국면은 제 1 및 제 2 기기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제 1 기기에 포함되는 컨트롤러가 전송로를 통하여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기기이고,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로 이루어진 화면표시데이터를 갖고,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전송로를 통하여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컨트롤러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수신하고,
조작화면을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사용하여 표시수단에 표시하며,
조작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그 조작을 표시하는 조작정보를 전송로를 통하여 디바이스에 송신함으로써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국면에 의하면 화면분할에 의해 화면표시데이터를 복수의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로 구성함으로써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국면은 본 발명의 제 5 국면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화면표시데이터가 변화되었을 때에는 화면표시데이터 중 변화된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컨트롤러는 변화된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수단에 표시된 조작화면을 갱신한다.
본 발명의 제 6 국면에 의하면 디바이스의 내부상태의 변화 등에 의해 디바이스의 화면표시데이터가 변화되었을 때에 변화된 표시요소가 속하는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만이 컨트롤러에 송신되므로, 화면표시가 변화되었을때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데이터량이 감소되고 디바이스나 컨트롤러에서의 처리도 간단화된다.
본 발명의 제 7 국면은 본 발명의 제 5 국면에서,
디바이스는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식별하는 식별정보인 부분화면식별정보를 갖고,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와 함께 부분화면식별정보를 전송로를 통하여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컨트롤러는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와 함께 부분화면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8 국면은 본 발명의 제 7 국면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화면표시데이터가 변화되었을 때에 화면표시데이터 중 변화된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와 상기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부분화면식별정보를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컨트롤러는 변화된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와 상기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부분화면식별정보를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부분화면 표시데이터 및 부분화면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표시수단에 표시된 조작화면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8 국면에 의하면 디바이스의 화면표시데이터가 변화되었을 때, 변화된 표시요소가 속하는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와 함께 그 부분화면식별정보도 컨트롤러에 송신되므로, 컨트롤러는 변화된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고, 화면표시데이터가 변화되었을 때의 조작화면의 표시의 갱신등의 처리의부담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제 9 국면은 본 발명의 제 7 국면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조작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와 상기 조작에 대응하는 부분화면식별정보를 전송로를 통하여 디바이스에 송신함으로써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9 국면에 의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조작정보와 함께 그 조작에 대응하는 부분화면식별정보가 디바이스에 송신되므로, 디바이스에 보내지는 조작정보가 어떤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에 대한 것인지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디바이스가 인식할 수 있고, 디바이스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 10 국면은 본 발명의 제 7 내지 제 9 국면 중 어느 것에 있어서,
부분화면식별정보는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0 국면에 의하면 디바이스의 화면표시데이터가 변화되었을 때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와 함께 컨트롤러에 보내지는 부분화면식별정보는 버전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컨트롤러는 상기 버전정보에 의해 조작화면의 오표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조작에 대응하는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버전정보가 조작정보와 함께 디바이스에 보내지므로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조작내용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의도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1 국면은 본 발명의 제 7 내지 제 9 국면 중 어느 것에 있어서,
화면표시에서의 하나의 표시요소는 복수의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표시부분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분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을 한다.
본 발명의 제 11 국면에 의하면 조작화면에서의 어느 하나의 표시요소가 변화되는 경우에는 그 표시요소가 속하는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만이 디바이스로부터 컨트롤러로 보내어지고, 복수의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보낼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화면표시가 변화되었을 때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데이터량이 감소되고, 디바이스나 컨트롤러에서의 처리도 간단화된다.
본 발명의 제 12 국면은 본 발명의 제 7 내지 제 9 국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화면표시 중 사용자의 조작단위에 대응하는 표시요소는 복수의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표시부분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2 국면에 의하면 사용자의 조작단위에 대응하는 표시요소는 복수의 부분화면표시 데이터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표시부분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분 내에 배치되므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조작정보와 함께 그 조작에 대응하는 부분화면식별정보가 디바이스에 송신되었을 때, 디바이스는 그 부분화면식별정보에 의해 사용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3 국면은 제 1 및 제 2 기기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제 1 기기에 포함되는 컨트롤러가 전송로를 통하여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기기이고,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데이터와 조작화면에 오버랩 표시하기 위한 오버랩 표시 데이터를 구비하고,
화면표시데이터 및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전송로를 통하여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컨트롤러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화면표시데이터 및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수신하고,
조작화면을 화면표시데이터를 사용하여 표시수단에 표시함과 동시에 표시수단에 표시된 조작화면에 대하여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사용하여 오버랩 표시를 실시하고,
조작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를 전송로를 통하여 디바이스에 송신함으로써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4 국면은 본 발명의 제 13 국면에 있어서,
오버랩 표시데이터는 조작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의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를 표시하기 위한 커서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5 국면은 본 발명의 제 14 국면에 있어서,
커서정보는 조작화면에서의 커서의 위치를 도시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6 국면은 본 발명의 제 14 국면에 있어서,
커서정보를 커서의 형상을 도시한 형상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6 국면에 의하면 커서의 형상정보의 설정에 의해, 커서의 의장을 조작화면에서의 각 표시요소의 의장에 적합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 17 국면은 본 발명의 제 14 국면에 있어서,
커서정보는 커서의 크기를 나타내는 크기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한다.
본 발명의 제 17 국면에 의하면 커서 크기 정보의 설정에 의해 커서의 크기를 조작화면에서의 각 표시요소의 크기에 적합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 18 국면은 본 발명의 제 14 국면에 있어서,
커서정보는 커서의 색을 도시한 색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8 국면에 의하면 커서의 색정보의 설정에 의해 커서의 의장을 조작화면에서의 각 표시요소의 의장에 적합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8 국면에 의하면, 디바이스가 상정한 GUI를 표현할 수 있고, GUI의 작성자의 의도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제 19 국면은 본 발명의 제 14 국면에 있어서,
커서정보는 사용자에게 허가되는 조작을 나타내는 허가정보를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9 국면에 의하면 조작자에 의해 조작이 실시되었을 때에는, 그 조작이 허가된 조작인지 아닌지를 커서정보내의 허가정보에 의해 판정함으로써 허가되지 않는 조작이 지시된 경우에는 디바이스로 조작정보를 송신하지 않고 컨트롤러 내에서 에러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 20 국면은 본 발명의 제 13 국면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오버랩 표시데이터에 대응하는 표시부분이 변화되었을 때,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컨트롤러는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오버랩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수단에 표시된 조작화면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0 국면에 의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오버랩 표시 데이터만이 변화되는 경우에는 그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오버랩 표시 데이터를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화면표시데이터는 컨트롤러에는 보내어지지 않는다. 컨트롤러는 보내어져 온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사용하여 조작화면에 대한 오버랩 표시를 갱신한다. 따라서, 오버랩 표시데이터에 의해 예를 들어 커서의 표시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데이터의 전송량이 적어도 되고, 커서 이동의 조작에 대한 응답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 21 국면은 제 1 및 제 2 기기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제 1 기기에 포함되는 컨트롤러가 전송로를 통하여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기기이고,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데이터와 상기 화면표시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구비하고,
화면표시데이터와 식별정보를 전송로를 통하여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컨트롤러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화면표시데이터 및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조작화면을 화면표시데이터를 사용하여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2 국면은 제 1 및 제 2 기기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제 1 기기에 포함되는 컨트롤러가 전송로를 통하여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기기이고,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데이터와 상기 화면표시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구비하고,
화면표시데이터와 식별정보를 전송로를 통하여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컨트롤러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화면표시데이터 및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조작화면을 화면표시데이터 및 식별정보를 사용하여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3 국면은 제 1 및 제 2 기기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제 1 기기에 포함되는 컨트롤러가 전송로를 통하여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으로서,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기기이고,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데이터와 조작화면에 오버랩 표시하기 위한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구비하고,
화면표시데이터 및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전송로를 통하여 컨트롤에 송신하고,
컨트롤러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화면표시데이터 및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수신하고,
조작화면을 화면표시데이터를 사용하여 표시수단에 표시함과 동시에, 표시수단에 표시된 조작화면에 대하여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사용하여 오버랩 표시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4 국면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제 1 기기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컨트롤러에 의해 전송로를 통하여 제어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제 2 기기로서,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기기이고,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데이터와 상기 화면표시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구비하고,
화면표시데이터 및 식별정보를 전송로를 통하여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는, 화면표시데이터의 식별정보와 사용자의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식별정보 및 조작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5 국면은 제 2 기기와 전송로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전송로를 통하여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제 1 기기로서,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기기이고,
컨트롤러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화면표시데이터와 상기 화면표시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조작화면을 화면표시데이터를 사용하여 표시수단에 표시하고,
조작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와 식별정보를 전송로를 통하여 디바이스에 송신함으로써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6 국면은 본 발명의 제 24 국면에 있어서,
조작정보는 조작화면상의 조작위치를 도시한 조작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7 국면은 본 발명의 제 25 국면에 있어서,
조작정보는 조작화면상의 조작위치를 도시한 조작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8 국면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제 1 기기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컨트롤러에 의해 전송로를 통하여 제어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제 2 기기로서,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기기이고,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로 이루어진 화면표시데이터를 구비하고,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전송로를 통하여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는 사용자의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조작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9 국면은 제 2 기기와 전송로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전송로를 통하여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제 1 기기로서,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기기이고,
컨트롤러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도시하는 복수의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수신하고,
조작화면을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사용하여 표시수단에 표시하고,
조작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를 전송로를 통하여 디바이스에 송신함으로써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0 국면은 본 발명의 제 28 국면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화면표시데이터가 변화되었을 때, 화면표시데이터 중 변화된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컨트롤러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1 국면은 본 발명의 제 29 국면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디바이스의 화면표시데이터가 변화되었을 때, 화면표시데이터 중 변화된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수단에 표시된 조작화면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2 국면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제 1 기기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컨트롤러에 의해 전송로를 통하여 제어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제 2 기기로서,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기기이고,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데이터와 조작화면에 오버랩 표시하기 위한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구비하고,
화면표시데이터 및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전송로를 통하여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는 사용자의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조작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3 국면은 제 2 기기와 전송로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전송로를 통하여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제 1 기기로서,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기기이고,
컨트롤러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도시한 화면표시데이터와 조작화면에 오버랩 표시하기 위한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수신하고,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화면표시데이터를 사용하여 표시수단에 표시함과 동시에, 표시수단에 표시된 조작화면에 대하여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사용하고 오버랩 표시를 실시하고,
조작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를 전송로를 통하여 디바이스를 송신함으로써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4 국면은 제 1 및 제 2 기기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고, 제 1 기기에 포함되는 컨트롤러가 전송로를 통하여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서의 제어방법으로서,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데이터와 상기 화면표시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컨트롤러에 송신하는 스텝,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화면표시데이터를 사용하고, 컨트롤러에 있어서 조작화면을 표시하는 스텝, 및
조작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와 식별정보를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디바이스에 송신함으로써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스텝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5 국면은 제 1 및 제 2 기기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고, 제 1 기기에 포함되는 컨트롤러가 전송로를 통하여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서의 제어방법으로서,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데이터와 상기 화면표시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컨트롤러에 송신하는 스텝,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화면표시데이터 및 식별정보를 사용하여 컨트롤러에서 조작화면을 표시하는 스텝, 및
조작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와 식별정보를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디바이스에 송신함으로써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6 국면은 제 1 및 제 2 기기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고, 제 1 기기에 포함되는 컨트롤러가 전송로를 통하여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서의 제어방법으로서,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화면 표시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컨트롤러에 송신하는 스텝,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사용하여 컨트롤러에서 조작화면을 표시하는 스텝, 및
조작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를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디바이스에 송신함으로써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7 국면은 제 1 및 제 2 기기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고, 제 1 기기에 포함되는 컨트롤러가 전송로를 통하여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서의 제어방법으로서,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데이터와 조작화면에 오버랩 표시하기 위한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컨트롤러에 송신하는 스텝,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화면표시데이터 및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사용하고, 컨트롤러에 있어서, 조작화면을 표시함과 동시에, 표시된 조작화면에 대하여 오버랩 표시데이터에 기초하는 오버랩 표시를 실시하는 스텝, 및
조작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를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디바이스에 송신함으로써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8 국면은 제 1 및 제 2 기기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영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고, 제 1 기기에 포함되는 컨트롤러가 전송로를 통하여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서의 제어방법으로서,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데이터와 상기 화면표시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컨트롤러에 송신하는 스텝과,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화면표시데이터를 사용하고, 컨트롤러에 있어서 조작화면을 표시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9 국면은 제 1 및 제 2 기기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고, 제 1 기기에 포함되는 컨트롤러가 전송로를 통하여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서의 제어방법으로서,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데이터와 상기 화면표시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컨트롤러에 송신하는 스텝과,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화면표시데이터 및 식별정보를 사용하여 컨트롤러에 있어서 조작화면을 표시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0 국면은 제 1 및 제 2 기기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고, 제 1 기기에 포함되는 컨트롤러가 전송로를 통하여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서의 제어방법으로서,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데이터와 조작화면에 오버랩 표시하기 위한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컨트롤러에 송신하는 스텝과,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화면표시데이터 및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사용하고, 컨트롤러에 있어서, 조작화면을 표시함과 동시에 표시된 조작화면에 대하여 오버랩 표시데이터에 기초하는 오버랩 표시를 실시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첨부의 도면에 따라서 이것을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중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중의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도 1, 도 2를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 중에서 설명하는 디바이스라는 것은 제어대상이고 컨트롤러는 이 제어대상을 제어하는 것을 말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컨트롤러는 그래픽 표시기능을 갖는 비디오 모니터 등의 표시수단과 사용자가 비디오 모니터 등의 화면을 보아 조작하기 위한 마우스나 키보드, TV용 리모콘 등의 조작수단으로 이루어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나의 기기 내에 디바이스와 컨트롤러가 공존해도 좋고 어느 한쪽만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기기는 전송로 상의 하나의 노드에 대응하는 것이고, 하나의 통체 내에 복수의 노드를 갖도록 장치를 구성해도 좋다. 또한, 컨트롤러와 비디오 모니터는 별도의 기기이어도 좋고 이 사이의 접속은 임의이고, 아날로그 접속이어도 좋고 본 실시형태에 나타낸 전송로를 사용해도 좋다.
<1.1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디바이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는, 패킷 송수신부(2), 동기 데이터 송수신부(3), 디바이스 신호처리부(4),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부(5), 디바이스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6), 기기구성정보(7), 정보관리부(18) 및 화면표시데이터 생성부(20)를 구비하고 있고, 패킷 송수신부(2)는 전송로(1)에 접속되어 있다.
전송로(1)는 예를 들어 IEEE 1394규격(IEEE 1394-1995 및 이와 호환성이 있는 상위규격)으로 정해진 시리얼버스(1394 버스)이다. 또한, 전송로(1)는 반드시 1394 버스일 필요는 없고 ATM이나, 이서네트, 적외선 전송 등의 전송로를 사용해도 좋다.
패킷 송수신부(2)는 전송로(1)와의 물리적 및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취함과 동시에, 버스의 사용권의 조정(調停), 동기전송용 사이클 제어 등도 실시한다. 또한, 패킷 송수신부(2)는 전송로(1)상의 패킷을 수신처에 따라서 취사 선택하여 수신하는 것이나, 전송로(1) 상으로 패킷의 송신을 실시한다.
동기 데이터 송수신부(3)는 송신시에는 전송레이트의 관리(데이터의 분할)나 헤더의 부가를 실시한다. 예를 들어 1394 버스의 AV 프로토콜(IEC 61883) 규격을사용하는 경우에는 동기 데이터 송수신부(3)에서 CIP(Commom Isochronous Packet) 헤더의 부가를 실시한다. 반대로, 데이터를 수신할 때에는 수신패킷을 올바르게 차례로 바꾸어 나열하고, 헤더의 제거등을 실시한다.
디바이스 신호처리부(4)는 동기 데이터를 동기 데이터 송수신부(3)로부터 수취하고 디바이스에 따른 신호처리를 실시한다.
예를 들어 이 디바이스가 디지털 VTR 등의 기록재생기기이면, 동기 데이터를 기록미디어(예를 들어 자기 테입)으로 기록한다. 또한, 디바이스 신호처리부(4)는 기록 미디어, 방송파 등으로부터 동기 데이터를 추출하고 동기 데이터 송수신부(3)으로 송신한다.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부(5)는 전송로(1)의 프로토콜에 따른 비동기 데이터의 트랜잭션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고, 예를 들어 1394 버스의 경우에는 리드(read) 트랜잭션, 라이트(write) 트랜잭션, 록(lock) 트랜잭션 처리등을 실시한다. 여기에서,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부(5)는 소프트 웨어로 구성해도 좋다.
디바이스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6)는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부(5)로부터 수취한 비동기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 디바이스내의 적절한 구성요소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6)가 수취한 비동기 데이터가 제어코드와 사용자의 조작정보이면, 그 유효성을 판정하고, 유효하면 기기내부 제어부(9)로 이 제어코드와 사용자의 조작정보에 상당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지시를 내린다. 여기에서, 정보관리부(18)로 제어코드와 사용자의 조작정보를 전달한다고 해도, 이 때 정보관리부(18)는 이 유효성을 판정하고, 유효하면 이것이 나타내는 기능의 실행을기기내부 제어부(9)로 지시한다.
또한, 컨트롤러로부터 기기구성정보(7)를 요구받았을 때 디바이스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6)는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부(5) 등을 경유하여 수취한 요구에 따라서 기기구성정보(7)에 기록된 정보를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부(5)등을 경유하여 컨트롤러로 송출한다. 또한, 디바이스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6)는 기기내부 제어부(9)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내의 구성요소로부터 비동기 데이터를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부(5)로 송출한다. 여기에서,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부(5)와 디바이스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6)는 하나의 유닛으로서 구성해도 좋다.
기기구성정보(7)는 기기의 구성정보를 도시한 것이고, 예를 들어 ISO/IEC13213:1994 규격으로 나타내는 CSR(Command and Status Registers) 아키텍쳐의 컨피규레이션 ROM으로 나타나는 규칙에 따라 기술된 것이고, 1394 버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버스매니저 등시 동작을 서포트하고 있는가라는, 이 기기가 대응하는 버스의 정보, AV 프로토콜을 서포트하고 있는가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유닛 디렉토리, 이 기기의 식별자인 유니크 ID 등을 갖는다.
정보관리부(18)는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으로서 컨트롤러의 표시수단의 화면에 표시할 내용을 나타내는 비트맵 데이터(이하 「화면표시데이터」라고 함)를 컨트롤러로 송신할 때, 화면표시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화면표시데이터에 부가하여 송신한다. 또한, 기기내부 제어부(9)의 지시에 따라서 화면표시데이터 생성부(20)에 화면표시데이터의 갱신을 지시한다.
이 식별정보는 이 디바이스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기기특유의 유니크 ID)나 버전정보 등이다. 예를 들어 식별정보가 버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정보관리부(18)는 화면표시데이터의 버전관리를 실시하고, 카운터를 사용하여 구성되며, 기기내부 제어부(9)에 의해 화면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정보관리부(18) 내의 카운터를 인크리먼트한다. 여기에서, 이 카운터는 충분한 비트길이를 가진 유한비트길이의 무한 순회카운터이고, 최대값을 인크리먼트하면 최소값이 된다. 이 카운터의 비트길이는 임의이지만, 동일한 카운터값에서 다른 화면표시데이터를 나타내지 않도록 적어도 컨트롤러가 제어권이나 상태변화의 구독권을 갖는 시간내에, 이 카운터값이 한바퀴 돌지 않도록 충분한 비트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면표시데이터를 컨트롤러가 판독할 때에도 화면표시데이터와 함께 이 카운터값이 컨트롤러에 판독되고, 이 카운터값은 판독된 화면표시데이터의 버전정보를 나타낸다. 이에 의해 컨트롤러가 버전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화면표시데이터 생성부(20)는 상기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화면표시데이터(예를 들어 비트맵 형식의 화면표시데이터)를, 기기내부 제어부(9)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디바이스의 상태 및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생성한다. 여기에서, 화면표시데이터 생성부(20)가 생성하는 화면표시데이터는 컨트롤러의 1화면에 표시되는 화면표시데이터이고, 이 화면크기는 디바이스와 컨트롤러에서 통신하고, 또는 규격 등으로 미리 정해진 것, 또한 화면정보의 헤더 등에 기재된 것이다. 이 화면표시데이터를 사용하여 표시되는 조작화면에는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나 콘텐츠 정보, 동작상태정보 등이 나타난다.
여기에서, 제어정보는 예를 들어 VTR의 경우에는 VTR의 조작패널(재생버튼, 정지버튼, 녹화버튼 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콘텐츠 정보라는 것은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정보로서, STB(set-top box)의 경우에는 현재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정보, 즉, 프로그램 타이틀, 타이틀 화면, 테마음악, 개요, 출연자 등의 정보이고, DVD 장치의 경우에는 그 기록매체인 디스크에 기록된 콘텐츠를 나타내는 정보, 즉 타이틀, 타이틀 화면, 테마음악, 개요, 출연자 등의 정보이다. 또한, 이 동작상태정보라는 것은 예를 들어 VTR의 경우에는 기기의 동작상태(재생중, 되감기 중, 녹화예약중)을 나타내는 표시부품 등의 표시요소(「오브젝트」라고도 불리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이 디바이스를 사용하고 있는 컨트롤러의 식별정보 등의 네트워크 제어에 필요한 정보나 녹화예약의 일시와 채널번호 등을 여기에 기록해도 좋다.
기기내부제어부(9)는 이 디바이스의 내부의 기구 등을 포함하는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고, 디바이스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6)가 수취한 데이터가 디바이스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코드이면, 디바이스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6)의 지시에 의해 이 제어코드에 따른 동작을 실시하게 한다. 또한, 디바이스 내부의 상태 변화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화면표시데이터의 갱신을, 정보관리부(18)를 경유하여 화면표시데이터 생성부(20)에 지시한다.
또한, 컨트롤러로부터의 요구 등에 대한 디바이스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된다. 디바이스가 전송로(1)에 접속되었을 때나, 컨트롤러가 전송로(1)에 접속되었을 때에는 컨트롤러는 우선 디바이스의 기기구성정보(7)를 판독하고 이 디바이스가화면표시데이터를 갖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디바이스에 대하여 GUI 정보를 요구하고, 화면표시데이터 생성부(20)로부터 화면표시데이터를 판독한다.
그 후, 디바이스는 컨트롤러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정보를 수취했을 때에는 상황에 따라서 이 조작정보에서 나타나는 처리를 실시한다.
여기에서, 컨트롤러가 화면표시데이터를 사용하여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동안,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 "선택"의 조작정보(이하, 「조작정보 "선택"」이라고 함)이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어 온 경우에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부(5)는 이 조작을 기기내부 제어부(9)로 전달하고, 기기내부 제어부(9)는 화면표시데이터의 상태에 따라 디바이스의 각 구성요소에 지시를 내린다. 예를 들어 커서가 재생버튼상에 표시되는 화면표시데이터를 디바이스가 컨트롤러로 송신하고, 컨트롤러가 이 화면표시데이터를 표시하고 있을 때에, 사용자가 "선택" 조작을 실시한 경우, 디바이스는 이 사용자의 조작정보 "선택"을 수취하고, 기기내부 제어부(9)는 화면표시데이터 또는 이 화면표시데이터를 작성하는 기초가 된 디바이스의 상태로부터, 이 사용자의 조작이 "재생"을 지시하는 것을 인식하고, 디바이스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지시를 내리고, 재생동작을 개시하게 한다.
또한, 이 때 사용자의 조작정보와 함께 사용자가 조작을 실시했을 때 컨트롤러가 표시하고 있던 화면표시데이터의 식별정보를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그 조작이 어떤 화면표시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인지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후에 디바이스 내에서 디바이스의 상태가 변했으므로(예를 들어 화면표시데이터가 완전히 다른 것으로 변한 경우), 이 사용자의 조작이 무효, 또는 다른 기능의 제어를 의미하게 된 경우에도 용이하게 판정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디바이스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이 디바이스 내의 정보의 변화에 의해 무효가 된 경우, 디바이스는 화면표시데이터를 갱신하여, 사용자에 조작이 무효가 된 것을 알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컨트롤러로부터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정보의 요구에 대하여 디바이스는 화면표시데이터의 정보를 제시하는 것만으로 좋고, 디바이스의 부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의 각 기능에 대하여 표준화 단체 등으로 명령을 규정할 필요가 없고, 현재 상정할 수 없는 신기능을 가진 디바이스에서도 그 신기능에 대응하는 화면표시 데이터를 컨트롤러에 보내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전송로(1) 경유로 이 신기능을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사용자가 이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정보와 화면표시데이터에 의해 디바이스의 기능을 특정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여기에서 동기 데이터 송수신부(3), 디바이스 신호처리부(4) 등의 구성요소는 디바이스의 기능에 따라서 임의로 구성해도 좋고 없어도 좋다. 또한, 각 부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 웨어 중 어느 것으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정보는 코드화하여 디바이스로 보내어도 좋다. 또한, 화면정보의 전송과 사용자의 조작정보는 반드시 동일한 전송로에서 송수신할 필요는 없고 화면정보를 케이블을 사용한 1394 버스에서 전송하고, 조작정보를 적외선으로 전송해도 좋다.
<1.2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컨트롤러>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중의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 컨트롤러는 컨트롤러 신호처리부(10), 컨트롤러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11), 화면표시데이터 관리부(12), 표시/기능선택부(14) 및 화면표시데이터 유지부(2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2에서 도 1에 도시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컨트롤러 신호처리부(10)는 동기데이터를 동기데이터 송수신부(3)로부터 수취하고, 이 컨트롤러에 맞는 신호처리를 실시한다. 예를 들어, 이 컨트롤러가 비디오 모니터 등의 영상을 표시하는 능력이 있는 기기이면 동기 데이터(예를 들어 MPEG2의 스트림)을 복호하고, 화면상에 표시한다.
컨트롤러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11)는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부(5)로부터 수취한 비동기데이터를 처리하고, 이 컨트롤러 내의 적절한 구성요소에 전달한다. 또한, 컨트롤러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11)는 패킷 송수신부(2)로부터 신규 디바이스의 접속이나, 기존의 디바이스의 제거 등, 전송로(1) 상의 디바이스의 정보나, 디바이스의 화면표시데이터 등을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부(5)를 경유하여 수취하고, 화면표시 데이터 관리부(12)에 전달한다. 또한, 컨트롤러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11)는 표시/기능선택부(14)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컨트롤러 내의 구성요소로부터 비동기 데이터를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부(5)로 송출한다. 여기에서,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부(5)와 컨트롤러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11)는 하나의 유닛으로서 구성해도 좋다.
컨트롤러와 디바이스를 동일한 기기내에서 구성하는 경우에, 이 기기내의 디바이스의 화면표시데이터는 기기내부 제어부(9)에서 작성되므로, 이 기기는 그 디바이스의 화면표시데이터는 가지지만, 이 기기내의 화면표시데이터 관리부(12)는 그 디바이스의 화면표시데이터를 관리하지 않아도 좋고 관리해도 좋다. 또한, 컨트롤러와 디바이스를 동일한 기기내에서 구성하는 경우, 컨트롤러 신호처리부(10)와 디바이스 신호처리부(4), 컨트롤러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11)와 디바이스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6)는 각각 동일한 것으로서 구성해도 좋다.
화면표시데이터 관리부(12)는 전송로(1)상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취한 화면표시데이터의 정보를 관리하는 것이고, 컨트롤러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11)로부터 신규 디바이스가 접속되었다는 정보를 수취했을 때에는 이 신규 디바이스의 화면표시데이터의 정보를 판독하도록 컨트롤러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11)로 지시를 내린다. 또한, 디바이스가 신규로 접속되었을 때 이 신규 디바이스가 컨트롤러를 검색하고, 컨트롤러에 대하여 자발적으로 화면표시데이터를 송신해도 좋다.
다음에, 신규 다비이스의 화면표시데이터와 상기 버전정보가 판독되었을 때에는 이 화면표시데이터를 화면표시데이터 유지부(21)에 유지함과 동시에, 화면표시데이터의 식별정보를 화면표시데이터와 관련지어 화면표시데이터 관리부(12)가 기억한다. 여기에서 이 식별정보는 판독된 버전정보를 포함한다. 이 식별정보는 화면표시데이터 유지부(21) 내에 화면표시 데이터와 함께 기억되도록 해도 좋고, 화면표시데이터 관리부(12)가 이 식별정보를 기억하여 관리해도 좋다. 또한, 전송로(1) 상의 기존의 디바이스의 제거 등의 정보를 수취했을 때에는 화면표시데이터유지부(21)로부터 해당하는 화면표시데이터를 삭제한다. 또한, 컨트롤러내의 화면표시데이터는 디바이스 내의 화면표시데이터와 완전히 동일한 형식일 필요는 없고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면 좋다.
표시/기능선택부(14)는 컨트롤러의 화면상에 디바이스의 기능이나 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품(영상/음성/문자정보 등)을 포함하는 화면표시데이터를 사용자에게 통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디바이스 및 기능의 선택이나 각 기능의 실행지시 등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 표시/기능선택부(14)는 화면표시데이터 관리부(12)에 지시를 내려 화면표시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에 의해 얻어진 화면표시데이터를 사용하여 전송로(1)상의 임의의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컨트롤러의 화면상에 표시한다. 또한, 표시/기능선택부(14)는 컨트롤러 신호처리부(10)로부터 수취한 데이터(예를 들어, 영상이나 음성데이터)나, 컨트롤러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11)로부터 수취한 데이터를 표시/재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화면표시데이터는 컨트롤러 신호처리부(10)로부터 수취한 영상데이터에 오버레이 표시하도록 해도 좋고, 화면표시데이터와 영상데이터의 표시화면을 사용자의 지시 등에 의해 전환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화면표시데이터의 배경을 트랜스페어런트로 하고, 화면표시데이터의 배경에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컨트롤러가 표시하고 있는 화면에 대하여 사용자가 예를 들어 리모콘의 선택 버튼을 누르는, 우측방향 화살표 버튼을 누르는 등의 조작을 실시한 경우, 표시/기능선택부(14)는 이 화면표시데이터의 식별정보와 이 사용자의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를 컨트롤러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11) 등을 통하여 발행한다.
표시/기능 선택부(14)는 식별정보와 사용자의 조작정보에 대한 디바이스의 응답을, 갱신된 화면표시데이터로서 컨트롤러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11)를 경유하여 수취하고 화면표시데이터 관리부(12)에서 식별정보를 관리하여, 화면표시데이터 유지부(21) 내의 상당하는 화면표시데이터를 갱신한다. 또한, 화면표시데이터 관리부(12)는 이 응답인 화면표시데이터에 부가된 식별정보에 버전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버전정보를 체크하고 버전정보가 올바르게 갱신되어 있는 경우에만, 화면표시데이터 유지부(21)에서 유지하고 있는 화면표시데이터를 갱신한다. 이에 의해, 동일한 화면표시데이터가 복수회 송신되어 온 경우에, 컨트롤러가 유지하고 있는 화면표시데이터를 갱신할 필요가 없어지고 부하를 작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컨트롤러는 반드시 디바이스의 각 기능을 이해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현재 상정할 수 없는 신기능을 갖는 디바이스에 대해서도 컨트롤러는 이 신기능에 대한 표시요소(예를 들어 버튼)를 포함하는 화면표시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표시요소에 의해 사용자가 신기능을 이해하고, 이 기능을 선택한 경우에는 컨트롤러의 표시/기능선택부(14)는 이 사용자의 조작정보를 디바이스에 대하여 송신하고, 디바이스에서 이 신기능을 실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을 취함으로써 현재 상정할 없는 신기능이어도 사용자가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동기 데이터 송수신부(3)나 컨트롤러 신호처리부(10) 등의 구성요소는 컨트롤러의 기능에 따라서 임의로 구성해도 좋고 없어도 좋다.
<1.3 제 1 실시형태의 시스템 구성>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은 텔레비전 수신기(텔레비전)(21), 텔레비전용 리모콘(22), 퍼스널 컴퓨터(PC)(23), 재녹화 가능한 DVD(31), DV방식의 디지털 VTR(DVC)(32), VHS방식의 디지털VTR(DVHS)(33), DV방식의 디지털 무비(DVC빔)(34) 및 CS 디지털 방송 등의 셋업박스(STB)(35)를 구비하고 있고, 이것을 총칭하여 영상/음향/정보기기라고 한다.
이 영상/음향/정보기기는 전송로(1)에 의해 접속되어 하나의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을 구성한다(이와 같은 시스템은 「AVC시스템」이라고 부른다). 또한, 영상/음향/정보기기는 상기 기기만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영상, 음향, 정보의 각 분야에서의 현행기기(예를 들어 프린터나 미니디스크 등) 및 이후 나오는 기기 전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의 시스템에 있어서, 텔레비전(21)은 컨트롤러와 디바이스(지상파 튜너, 비디오 모니터)로 이루어진 기기이고, 사용자는 리모콘(22)을 사용하여 표시/기능선택부(14)에 지시를 내린다. PC(23)는 컨트롤러와 디바이스(전화선과의 인터페이스를 취하는 모뎀, 비디오 모니터 등)로 이루어진 기기이고, 키보드나 마우스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는 표시/기능 선택부(14)에 지시를 내린다.
여기에서 텔레비전(21)이나 PC(23)는 디바이스와 컨트롤러가 일체가 된 기기로서 정의되고, 기기내의 디바이스의 조작화면내, 다른 기기로부터 사용할 수 있는 조작화면을 다른 컨트롤러로 송신하고, 기기내의 컨트롤러부의 화면표시데이터 유지부(21)에는 자신의 화면표시데이터는 등록하지 않는다. 또한, 텔레비전(21)이나PC(23)를 각 디바이스와 컨트롤러로 이루어지는 기기로서 정의하고, 기기내의 각 디바이스에 대하여 화면표시데이터를 갖고 기기내의 컨트롤러의 화면표시데이터 유지부(21)에, 기기내의 각 기능 테이블(8)을 등록해도 좋다.
여기에서, DVD(31) 및 DVC 무비(34)는 음향 및 영상 데이터(이하 「AV 데이터」라고 함)을 기록 재생 가능한 디바이스이다. 또한, DVC(32), DVHS(33)는 AV 데이터를 기록재생 가능한 디바이스와 디지털 방송 튜너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로 이루어지는 기기이다.
그리고, STB(35)는 CS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튜너기능을 갖는 디바이스이다.
여기에서, DVD(31), DVC(32), DVHS(33), DVC 무비(34), STB(35)는 디바이스로 했지만, 작아도 액정패널 등에서 다른 디바이스를 조작할 수 있는 환경을 실현하고, 터치패널이나 리모콘 등으로 사용자가 다른 디바이스의 기능을 선택하는 등의 조작을 할 수 있는 것이면, 컨트롤러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기기로서도 좋다. 또한, 이 기기는 컨트롤러로서의 처리기능을 포함함과 동시에 기기용 리모콘을 갖고, 표시 및 음성만을 아날로그 결선등으로 모니터에 표시하게 하고, 사용자는 이 화면을 보면서 기기의 리모콘으로 조작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이 기기는 컨트롤러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기기로 해도 좋다.
<1.4 제 1 실시형태에서의 화면표시데이터>
도 4a∼도 4c는 본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로부터 컨트롤러에 보내지는 화면정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a는 식별정보로서 ID를 사용한 화면정보를, 도 4b는 식별정보에 버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의 화면정보를, 도 4c는 식별정보로서 버전정보를 사용하는 경우의 화면정보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4a에 도시한 화면정보는 각각의 화면표시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ID)를 갖는다. 이와 같이, 화면표시데이터를 식별자로 구별함으로써 컨트롤러가 디바이스로 보내는 사용자의 조작정보가 어떤 화면표시 데이터에 대한 것인지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디바이스가 인식할 수 있고, 디바이스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b에 도시한 화면정보는 각각의 화면표시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ID) 및 버전정보를 식별정보로서 갖는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VTR이고, 데크부와 튜너부에서 별도의 조작화면을 갖는 경우, 각 조작화면에 대하여 식별자를 갖고, 각 조작화면내의 변화에 따라서 버전정보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화면표시데이터를 식별자와 버전정보로 구별함으로써 컨트롤러가 디바이스로 보내는 사용자의 조작정보가 어떤 화면표시데이터에 대한 것인지를 디바이스가 분류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확실하게 디바이스가 인식할 수 있고 디바이스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디바이스 내에서의 화면표시데이터의 관리도 용이해진다. 또한, 컨트롤러는 전송로 등의 문제에 의해 디바이스가 동일한 화면표시데이터를 재송신한 경우에도 용이하게 이것을 판별할 수 있고, 불필요한 화면갱신을 실시하지 않아도 좋으므로 처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c에 도시한 화면정보는 각각의 화면표시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ID)를 가지지 않고, 식별정보로서 버전정보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화면표시데이터가 변화할 때마다 차례로 변화하는 값을 식별정보로서 사용함으로써 컨트롤러가 디바이스로 보내는 사용자의 조작정보가 어떤 화면표시데이터에 대한 것인지를 컨트롤러 및 디바이스가 용이하게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컨트롤러가 현재 어떤 화면표시데이터를 표시하고 있는지, 컨트롤러의 화면과 디바이스의 화면표시데이터에서 어느정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디바이스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는 전송로 등의 문제에 의해,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화면표시데이터의 결락이나 재송신이 발생하는 경우에, 그 결락이나 재송신 주기를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고 그 결락의 상태에 따라서 처리를 변경하는 것이나 재송신 주기를 고려하여 화면표시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사용하기 쉬운 표시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화면정보는 화면표시데이터의 형태(예를 들어 비트맵 데이터의 형식)를 나타내는 타입정보, 분할화면표시데이터인지의 여부나 버전정보를 갖는지의 여부 등을 나타내는 속성정보, 및 화면표시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내는 크기정보 등을 헤더부분에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컨트롤러에 판독된 후의 화면정보의 물리적/논리적 구성은 디바이스 내의 화면정보와 반드시 동일한 형식일 필요가 없고, 적어도 컨트롤러가 갖고 있는 화면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화면표시에 유효한 정보가, 디바이스 내의 그것과 동일하면 좋다. 즉, 화면정보는 반드시 도 4a∼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은 헤더 등을 물리적으로 가질 필요는 없고, 헤더 등의 정보를 컨트롤러가 관리할 수 있으면 좋다.
<1.5 제 1 실시형태의 제어동작>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의 프로토콜 설명도이다. 이하, 이것을 사용하여 컨트롤러 및 디바이스의 제어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신규의 디바이스(200)가 전송로(1)에 접속된 경우, 이 전송로(1) 상에 있는 컨트롤러(100)는 예를 들어 1394버스이면 버스 재설정 등으로 신규 디바이스(200)를 인식하고, 화면표시데이터 관리부(12)의 지시에 의해 전송로(1)를 통하여 우선 디바이스(200)에 대하여 화면요구(101)를 발행한다. 화면요구(101)가 발행된 디바이스(200)는 이 응답으로서, 화면정보(111)로서의 화면표시데이터 및 식별정보를 송출하고 컨트롤러(100)는 화면정보(111)를 판독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00)의 화면표시데이터 관리부(12)는 이 화면표시데이터를 판독등록하고, 컨트롤러(100)의 화면표시데이터 유지부(21)에 기억한다.
여기에서, 신규 디바이스(200)가 전송로(1) 상에 접속되었을 때, 디바이스(200)가 자발적으로 화면표시데이터를 컨트롤러(100)로 송신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디바이스(200)가 신규로 전송로(1)상에 접속되었을 때, 컨트롤러(100)와 디바이스(200)로 통신을 실시하고, 화면표시데이터의 송신방법을 선택하고, 이후 이 방법에 기초하여 디바이스(200)가 화면표시데이터를 컨트롤러(100)로 송신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컨트롤러(100)에 판독된 화면표시데이터는 각 디바이스(200) 고유의 유니크 ID 등과 식별정보로 구별되고, 예를 들어 각 디바이스(200)마다 엔트리를 가진 리스트 구조 또는 디렉토리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화면표시데이터의 유지형태는임의이다.
컨트롤러(100)의 표시/기능선택부(14)는 화면표시 데이터 관리부(12)를 통하여, 화면표시데이터 유지부(21) 내의 화면표시데이터를 참조하여 표시화면상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사용자가 이 컨트롤러(100)에 접속되어 있는 별도의 디바이스(200)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고 싶은 경우, 예를 들어 리모콘의 표시전환버튼 등으로, 차례로 컨트롤러(100)에 접속되어 있는 디바이스(200)의 화면표시데이터를 표시화면상에 표시하게 하고, 소망의 디바이스(200)의 조작화면을 도시한 화면표시데이터를 표시하게 한다.
여기에서, 컨트롤러(100)가 특정의 디바이스(200)의 화면표시데이터를 표시하는 경우, 표시/기능선택부(14)는 화면표시데이터 관리부(12)로, 디바이스(200)의 유니크 ID 등을 사용하고, 이 디바이스(200)의 화면표시데이터를 요구하고 화면표시데이터 관리부(12)는 화면표시데이터 유지부(21) 내의 화면표시데이터로부터 이 디바이스(200)의 화면표시데이터를 검색하고, 표시/기능선택부(14)로 송신한다. 표시/기능선택부(14)는 이 화면표시데이터를 표시화면상에 표시한다.
단, 표시/기능선택부(14)가 갖고 있는 전송로(1)에 접속된 디바이스(200)가 접속된 디바이스를 도시한 디바이스 일람에는 있지만, 이 디바이스(200)의 화면표시데이터가 화면표시데이터 유지부(21)에 없는 경우, 화면표시데이터 관리부(12)는 도 5에 도시한 화면요구(101)를 디바이스(200)로 코멘드로서 송신한다. 이 응답으로서 디바이스(200)는 화면정보(111)를 돌려 보내고, 이 화면응답(111)에는 디바이스(200)의 조작화면 등을 나타내는 화면표시데이터와 이 화면표시데이터의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이 식별정보는 식별자(ID)나 버전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 버전정보는 화면표시데이터의 버전을 나타내고, 화면이 갱신될 때마다 버전정보가 갱신된다.
또한, 디바이스 일람은 전송로(1)에 접속된 디바이스(200)의 변화정보(추가/제거를 알리는, 예를 들어 버스재설정 신호)에 따라서, 표시/기능선택부(14)가 전송로(1)를 검색하고, 접속되어 있는 디바이스(200)를 검출하고 작성하는 것이다.
또한, 디바이스(200)는 이 화면정보(111)로서 디바이스(200) 내의 식별정보만을 회신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이 때 컨트롤러(100)는 또한 디바이스(200)로부터 화면표시데이터의 본체를 판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컨트롤러(100)가 화면표시데이터를 캐시하고 있는 경우 등에 있어서, 과거에 송신한 것과 동일한 화면을 디바이스(200)가 송신하고 싶은 경우에는 컨트롤러(100)에 화면표시데이터 본체를 보낼 필요가 없고, 전송하는 데이터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전송로의 부하나 컨트롤러(100) 및 디바이스(200)의 처리를 간단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화면표시데이터 관리부(12)에 의해 디바이스(200)의 화면표시데이터가 판독된다. 따라서, 표시/기능선택부(14)는 화면표시데이터 관리부(12)를 사용하여, 이 컨트롤러(100) 내의 화면표시데이터 유지부로부터 소망의 화면표시데이터를 판독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에 의해 화면상에 임의의 디바이스(200)의 화면표시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사용자가 리모콘의 버튼 등을 조작한 경우, 표시/기능선택부(14)는 조작한 버튼의 종류 및 조작(예를 들어 "누름", "해제", "선택한다")와 이 화면표시데이터의 식별정보를 디바이스(200)로 송신한다. 즉, 리모콘이 상하좌우를 나타내는 각 화살표키를 구비한 경우에,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우측방향 화살표키가 눌러지고 나서 컨트롤러(100)는 조작정보("우측 화살표키"와 "누름")과 디바이스(200)로부터 얻은 이 화면표시데이터의 식별정보를, 조작요구(241)로서 디바이스(200)로 송신한다. 따라서, 디바이스(200)는 어떤 조작화면에 대한 조작인지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고 올바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00)에서 표시된 조작화면에 대하여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200)에 의해 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디바이스(200)에 보내어지는 조작정보에는 마우스 등의 조작위치를 도시한 정보(이하 「조작위치정보」라고 함)가 포함된다. 이 경우, 디바이스(200)는 보내져 온 식별정보와 조작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조작정보로부터 어떤 조작화면에 대한 어떠한 조작인지를 인식하고, 그 인식결과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마우스 등의 조작에 의해 디바이스(200)를 제어하는 구성에 의하면, 조작화면상의 소망의 위치에 커서를 직접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조작요구(241)로서 조작정보만을 디바이스(200)로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이 때 디바이스(200)는 어떠한 조작화면에 대한 조작인지를 확실하게는 파악할 수 없지만, 처리를 간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송로의 트래픽을 감소킬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조작정보는 코드화하여 식별정보와 함께 보내어도 좋고, 각각을 하나의 코멘드(오퍼랜드는 화면표시데이터의 ID 등의 제어코드)로서 보내어도 좋다. 또한, 화면표시데이터에 대하여 선택의 조작밖에 허가하지 않는 버튼의 경우 등에는 디바이스(200)에 대하여 이 버튼을 나타내는 제어코드만을 송신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처리를 단순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송로(1)의 트래픽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디바이스(200) 내의 상태가 변화하고 디바이스(200) 내의 화면표시데이터가 변화되었을 때, 디바이스(200)는 자발적으로 화면정보(121)를 되돌린다. 이 화면정보(121) 내에는 식별정보와 화면표시데이터가 포함되고 이 구성은 도 4a∼도 4c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또한, 화면정보(121)가 화면요구(101)에 대한 2차 응답이 되도록 디바이스(200)를 구성해도 좋고, 이 때 컨트롤러(100)는 2차 응답을 수취한 후 다시 화면요구를 발행한다. 그리고, 화면표시데이터가 변화되어 있지 않으면, 2차 응답후의 화면요구에 대한 1차응답에는 식별정보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화면정보를 송신하지 않아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요구와 코멘드의 대응이 명확해지고, 디바이스(200)의 처리를 간소화할 수 있다.
화면정보(121)는 예를 들어 VTR의 재생중에 테이프가 종단까지 실시되었으므로 자동적으로 되감기가 시작된 경우에서, 디바이스(200)가 조작화면의 표시를 되감기중을 나타내는 표시로 변경할 때 사용된다. 또한, 조작화면의 버튼의 누름 해제라는 조작에 대한 조작화면상의 정지화면의 변경(볼록표시로부터 오목표시로) 등에 화면정보(121)를 사용해도 좋다.
컨트롤러(100) 내의 화면표시 데이터가 갱신된 후에는 화면표시데이터 관리부(12)가 표시/기능 선택부(14)로 화면표시의 갱신을 지시하고, 표시/기능선택부(14)는 화면을 갱신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도시한 각 요구/응답 등 이외에도 컨트롤러(100)와 디바이스(200) 사이에서 통신을 실시해도 좋고,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예를 들어 각 요구나 응답에 대하여, 상대방이 수취한 것을 확인하기 위한 인식신호를 반송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은 순서에 의해 항상 디바이스(200)의 상태를 컨트롤러(100)가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은 컨트롤러의 표시화면상에 표시된 조작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디바이스로부터 보내어져 오는 화면표시데이터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표시(500)가 VTR의 조작화면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이 화면표시(500)에는 조작대상의 디바이스가 VTR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요소와, 콘텐츠 정보로서의 2개의 타이틀화면과, 제어정보로서의 되감기, 재생, 빨리감기, 일시정지, 정지 및 녹화의 각 버튼과, 채널의 업 및 다운의 각 버튼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프로토콜에서는 조작요구(241)로서 조작정보와 화면표시데이터의 식별정보가 컨트롤러(100)로부터 디바이스(200)로 보내어지지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요구(241)에서의 식별정보 대신 버전 정보를 사용해도 좋다. 이 버전정보에 의해 어떠한 조작화면에 대한 조작인지를 디바이스(200)가 판정하고, 도 5에 도시한 프로토콜을 사용한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b,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정보의 일부로서 화면표시데이터의 버전정보가 디바이스로부터 컨트롤러에 보내어지는 경우, 디바이스의 상태정보의 변화를 버전정보에서 컨트롤러로 통지할 수 있고, 컨트롤러로부터의 조작정보가 어떠한 화면표시데이터에 대한 것인지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으므로, 디바이스가 자신의 상태정보를 임의의 때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컨트롤러가 디바이스의 상태정보의 변화를 검출하고 나서 이 상태정보를 받아들일 때까지의 기간에도, 디바이스는 자신의 상태정보를 변화시켜도 좋고, 디바이스는 상태정보의 변화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버퍼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처리가 간단해짐과 동시에 기억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바이스의 화면표시데이터의 갱신시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디바이스의 임의의 화면표시데이터를 컨트롤러가 항상 파악할 때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화상이 변화됨으로써 침입자를 감시하는 감시 시스템이나 원격지에서 동작하고 있는 디바이스의 상황의 파악을 목적으로 하는 시스템에도 본 발명은 유효하다.
<1.6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도시한 화면표시데이터와 화면표시데이터의 식별정보를 갖고, 컨트롤러는 디바이스로부터 화면표시데이터와 식별정보를 판독하고, 식별정보에 버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식별정보에 의해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정보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컨트롤러는 다른 컨트롤러로부터의 지시나 디바이스 내의 자발적인 변화를 위해 디바이스의 상태가 변화된 것을 용이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디바이스의 상태를 올바르게 반영한 조작정보를 컨트롤러가 용이하고 확실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어떤 조작화면에 대한 조작인지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컨트롤러는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도시한 화면표시데이터를 관리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는 조작정보를 디바이스에 송신하지만, 디바이스의 기능이나 조작의 의미(조작과 디바이스의 기능의 관계 등)을 파악할 필요는 없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화면표시데이터나 조작정보 등)은 컨트롤러에서 관리 및 처리되지만, 디바이스의 제어에 직접적으로 관계하는 제어정보(디바이스의 기능을 나타낸 정보나, 디바이스의 기능과 조작의 관계를 나타낸 정보등)은 디바이스에서 관리 및 처리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컨트롤러에서의 처리가 감소된다.
<2.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디바이스 및 컨트롤러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도 1 및 도 2 참조).
<2. 1 제 2 실시형태에서의 화면정보>
도 8은 본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로부터 컨트롤러에 보내어지는 화면정보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면정보는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화면표시데이터를 복수로 분할한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부분화면정보로 구성되고, 각 부분화면정보는 리스트 형식을 갖고 각종 헤더정보나 속성정보를 가진다. 단, 각 부분화면정보는 반드시 리스트 구조를 취할 필요는 없고 부분화면정보가 각각 독립하여 존재해도 좋고, 화면정보집합 리스트는 없어도좋다.
도 8에 도시한 화면정보(53)는 화면정보집합 리스트(70)와, 부분화면정보(61,62,63)로 구성된다. 화면정보(53)에서의 헤더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화면정보집합 리스트(70)는 화면정보(53)에 대응하는 식별자와 복수의 메뉴엔트리로 이루어지고, 각 메뉴엔트리에는 화면정보(53)에서의 각 부분화면정보(61∼63) 내의 각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식별자가 설정되어 있다.
각 부분화면정보(61∼63)는 헤더와 버전정보와 배치정보와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는 화면정보(53)에 대응하는 조작화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분화면의 표시를 위해 비트맵 데이터이다. 헤더 및 버전정보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배치정보는 화면정보(53)에 대응하는 조작화면에 대하여 어디에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배치할지 지정하는 정보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컨트롤러의 표시화면에 표시되는 조작화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조작화면은 4개의 부분화면표시(501,502,503,504)로 구성된다. 따라서,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화면표시데이터는 그 4개의 부분화면표시에 각각 대응하는 4개의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로 이루어진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에게 있어 하나의 의미를 나타내는 표시요소를 가로지르지 않도록, 화면표시데이터를 복수의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로 분할하고 있다.
<2.2 제 2 실시형태에서의 버전관리>
도 10은 디바이스에서의 정보관리부(18) 중 화면표시데이터 버전관리를 실시하는 부분(이하 「버전관리부」라고 함)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버전관리부는 화면표시버전정보 생성부(91)와, 갱신화면표시판정부(92)와, 복수의 부분화면 표시버전정보 유지부(95,96,9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버전관리부에서 화면표시버전 정보 생성부(91)는 화면표시데이터 생성부(200)에서 생성되는 화면표시데이터의 버전관리를 실시하는 것으로, 카운터를 사용하여 구성되고 화면표시데이터 생성부(20)에서 생성되는 화면표시데이터가 정보관리부(18)에 의해 변경될 때마다, 화면표시 갱신정보를 기기내부 제어부(9)로부터 얻어, 카운터를 인크리먼트한다. 이 카운터는 충분한 비트길이를 갖는 유한비트길이의 무한 순회 카운터이고, 최대값을 인크리먼트하면 최소값이 된다. 여기에서, 이 카운터의 비트길이는 임의이지만, 동일한 카운터값에서 다른 화면표시데이터를 나타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컨트롤러가 제어권이나 상태변화의 구독권을 갖는 시간내에, 디바이스가 이 카운터값이 일순 하지 않도록 충분한 비트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갱신화면 표시판정부(92)는 기기내부 제어부(9)로부터 얻은 화면표시 갱신정보를 사용하고 어떤 부분화면 표시데이터가 변화되었는지를 검출하고, 해당하는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부분화면표시버전정보 유지부에, 갱신된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버전정보를 기억하게 한다.
제 1 부분화면표시버전정보 유지부(95)는 그 디바이스를 위한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화면표시데이터를 구성하는 어떤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버전정보를 유지한다. 이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이하 「제 1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라고 한다)의 버전정보는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한 부분화면정보(61)에서의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버전정보, 즉 부분화면정보(61)를 구성하는 버전정보이다.
제 2 부분화면표시버전정보 유지부(96)는 그 디바이스를 위한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화면표시데이터를 구성하는 상기 제 1 부분화면 표시데이터 이외의 다른 어떤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버전정보를 유지한다. 이 제 2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버전정보는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한 부분화면정보(62)에서의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버전정보, 즉 부분화면정보(62)를 구성하는 버전정보이다.
제 3 부분화면표시버전정보 유지부(97)는 그 디바이스를 위한 조작화면을 도시한 화면표시데이터를 구성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화면 표시데이터 이외의 다른 어떠한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버전정보를 유지한다. 이 제 3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버전정보는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한 부분화면정보(63)에서의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버전정보, 즉 부분화면정보(63)를 구성하는 버전정보이다.
도 11은 디바이스의 정보관리부(18)에서의 버전 관리부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버전관리부에서는 디바이스가 기동되면, 우선 화면표시버전 정보생성부(91)가 모든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버전정보를 초기화, 예를 들어 「0」으로 설정한다(스텝S701). 다음에, 화면표시데이터가 변화할 때까지 대기하고(스텝 S702), 화면표시데이터가 변화되면 화면표시버전정보 생성부(91)가, 카운터를 인크리먼트함으로써 화면표시데이터의 버전정보를 갱신한다(스텝(S703)). 인크리먼트된 카운터의 값은 갱신후의 화면표시버전번호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갱신화면표시판정부(92)가 화면표시갱신정보를 사용하여 어떤 부분화면 표시데이터가 변화되었는지를 검출하고, 해당하는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부분화면표시버전정보 유지부에,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버전정보를 갱신시킨다. 즉, 해당하는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버전정보에, 화면표시버전정보생성부(91)의 인크리먼트된 카운터의 값인 화면표시버전번호를 대입한다(스텝(S704)). 이와 같이 하여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버전정보가 갱신된 후에는 버전관리부에 의한 일련의 처리의 종료가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스텝(S705)), 종료가 지시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S702)으로 돌아가고, 상기 일련의 처리(스텝(S702∼S705))를 반복한다. 디바이스(200)에 전원이 들어가 있는 동안에는 이 일련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S705)에서 종료가 지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이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예를 들어 제 2 부분화면 표시데이터가 변화되었을때, 상기 버전관리부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우선, 화면표시버전 정보생성부(91)는 제 2 부분화면 표시데이터가 변화된 것을 나타내는 화면표시갱신정보를 기기내부 제어부(9)로부터 얻어, 화면표시버전정보생성부(91)의 카운터를 인크리먼트함으로써 화면표시데이터의 버전정보를 갱신하다. 갱신화면판정부(92)는 이 화면표시갱신정보에 의해 변화된 표시요소가 제 2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에 속하는 것을 검출하고, 제 2 부분화면표시버전정보유지부(96)에,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버전정보를 갱신시킨다.
도 12는 화면표시데이터 및 각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버전정보의 변화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화면표시데이터는 제 1∼제 3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로부터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초기상태에서는 모든 버전정보는 초기화되어 있다. 즉, 화면표시버전번호 및 각 부분화면표시버전번호는 「0」으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2 부분화면표시데이터에 속하는 표시요소가 변화되었다고 하면, 화면표시버전정보 생성부(91)의 카운터가 인크리먼트되고, 화면표시버전번호가 「1」로 설정됨과 동시에, 제 2 부분화면표시버전번호도 「1」로 설정된다. 다음에, 제 3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에 속하는 표시요소가 변화되었다고 하면, 상기 카운터가 다시 인크리먼트되고 화면표시버전번호 및 제 3 부분화면표시버전번호가 함께 「2」로 설정된다. 이 때, 제 2 부분화면표시버전번호는 「1」의 상태이다. 그 후, 제 2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에 속하는 표시요소가 다시 변화되면 상기 카운터가 또한 인크리먼트되고, 화면표시버전번호 및 제 2 부분화면표시버전번호가 모두 「3」으로 설정된다. 즉, 제 2 부분화면표시버전번호가 「2」가 되는 상태는 존재하지 않았던 것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어떤 표시요소가 변화되면, 화면표시버전정보생성부(91)의 카운터가 인크리먼트되고, 화면표시버전번호 및 변화된 표시요소가 속하는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버전번호가 인크리먼트 후의 카운터값으로 갱신된다.
<2.3 제 2 실시형태의 제어동작>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의 프로토콜 설명도이다. 이하, 이것을 사용하여 컨트롤러 및 디바이스의 제어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제어동작 이외의 동작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신규의 디바이스(200)가 전송로(1)에 접속되면, 이 전송로(1)상의 컨트롤러(100)는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게, 신규 디바이스(200)에 대하여 화면요구(101)를 발행한다. 이 응답으로서 신규 디바이스(200)는 화면정보(111b)를 송출하고 컨트롤러(100)는 이 화면정보(111b)를 판독한다. 이 때디바이스(200)로부터 송출되는 화면정보(111b)는 도 8에 도시한 화면정보 집합리스트(70)를 포함하는 화면정보(53)이다. 단, 화면정보집합 리스트(70)를 사용하지 않고 모든 부분화면정보를 화면정보(111b)로서 송출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사용자가 컨트롤러(10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의 조작화면 보다 그 디바이스(200)에 대한 조작을 실시하면,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게, 컨트롤러(100)는 그 조작화면을 도시한 화면표시데이터의 식별정보와 그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를 조작요구(241)로서 디바이스(200)에 송신한다. 이 때, 식별정보로서 버전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다음에, 그 디바이스(200)내의 상태가 변화하고 그 디바이스(200) 내의 화면표시데이터가 변화되었을 때, 그 디바이스(200)는 자발적으로 부분화면정보(121b)를 컨트롤러(100)에 송신한다. 이 부분화면정보(121b)는 제 1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200)로부터 컨트롤러(100)에 송신되는 화면정보(121)와는 달리, 변화된 표시요소가 속하는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와 그 식별정보로 이루어진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면표시데이터가 변화되었을 때, 화면표시데이터 대신 변화된 표시요소가 속하는 부분화면 표시데이터가 컨트롤러(100)에 보내어진다. 이 부분화면정보(121b)를 수취한 컨트롤러(100)에서는 화면표시데이터 관리부(12)가 화면표시데이터 유지부(21)에 유지되어 있는 각 부분화면 표시데이터 중, 부분화면정보(121b)의 식별정보로 나타나는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부분화면정보(121b)의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로 갱신하고,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와 함께 화면표시데이터 유지부(21)에 유지되어 있는 버전정보도 갱신한다.
<2.4 제 2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있어 하나의 의미를 나타내는 표시요소를 가로지르지 않도록, 화면표시데이터가 복수의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로 분할된다. 따라서, 하나의 표시요소가 변화된 경우에 복수의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보낼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화면표시가 변화되었을 때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데이터량이 감소되고 디바이스나 컨트롤러에서의 처리도 간단화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마다 식별자가 설치되어 있고, 화면표시데이터가 변화되었을 때에는 변화된 표시요소가 속하는 부분화면 표시데이터가 그 식별자와 함께 컨트롤러에 보내어지므로, 변화된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특정이 용이해진다. 또한, 이 때 그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버전정보도 함께 컨트롤러에 보내어지므로, 컨트롤러는 이 버전정보에 의해 오표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면표시데이터의 분할방법은 디바이스 내의 정보변화에 의해 디바이스가 화면표시데이터를 변화시킬 때마다 달라도 좋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항상 디바이스로부터 보내어져 오는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재구축하고, 1장의 화면표시데이터를 만들고 이것을 화면표시데이터 유지부(21)에 기억하고, 디바이스로부터 갱신된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화면표시데이터 유지부(21)에 유지한 화면표시데이터에 덮어쓰기 표시하여 화면표시데이터를 갱신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디바이스는 임의의 위치의 임의의 크기의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컨트롤러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전송량, 컨트롤러 및 디바이스의 처리를 간단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때 사용자의 조작에 대해서 컨트롤러는 화면표시데이터의 버전정보를 사용자의 조작정보와 함께 디바이스로 보낸다.
<3. 제 3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인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디바이스 및 컨트롤러의 구성도 제 1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도 1 및 도 2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화면정보의 구성은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고(도 8 참조),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도시하는 화면표시데이터는 복수의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는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에 의한 화면표시데이터를 복수의 부분표시데이터로 분할할 때의 분할방법이 제 2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컨트롤러의 표시화면에 표시되는 조작화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는 사용자의 1회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표시요소마다 즉 조작단위마다 생성되고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되는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와, 이 부분화면 표시데이터가 표시하는 표시요소의 기초가 되는 표시를 나타내는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로부터, 화면표시데이터가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한 조작화면은 조작단위에 대응하는 복수의 부분화면표시(511∼520)와, 이 부분화면표시(511∼520)의 기초가 되는 부분화면표시(510)(이하 「베이스 화면표시」라고 함)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14의 조작화면을 도시한 화면표시데이터는 이 부분화면표시(511∼520 및 510)에 각각 대응하는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복수의 부분화면표시(511∼520)에 대응하는 조작단위로서의 표시요소는 부분화면표시(510)상 즉 베이스화면표시상에 오버랩 표시된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의 프로토콜 설명도이다. 이하, 이것을 사용하여 컨트롤러 및 디바이스의 제어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제어동작 이외의 동작에 대해서는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컨트롤러(100)로부터 디바이스(200)에 대하여 화면요소(101)가 발행되고, 그 응답으로서 디바이스(200)로부터 컨트롤러(100)에 화면정보(111b)가 보내어진 후, 사용자가 컨트롤러(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디바이스(200)에 대한 조작을 실시하면, 컨트롤러(100)는 디바이스(200)에 대하여 조작요구(241c)를 발행한다. 이 조작요구(241c)의 발행에 의해 사용자의 조작의 대상이 된 표시요소가 속하는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식별정보와 그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가, 컨트롤러(100)로부터 디바이스(200)에 보내어진다. 즉, 본 실시형태의 조작요소(241c)에서는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화면표시데이터의 식별정보를 대신하여, 조작에 대응하는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식별정보가 디바이스(200)로 보내어지고, 이 점에서 본 실시형태는 제 2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화면에 표시되는 각 조작단위는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와 1 대 1로 대응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요구(241c)를 수취한 디바이스(200)에서는 조작요구(241c)에 포함되는,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식별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200)에서는 조작요구(241c)로서 수취한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식별정보와 조작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6)가 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조작단위와 조작정보에 상당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지시를 기기내 제어부(9)에 실행하고, 기기내 제어부(9)는 이 지시에 기초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그 후, 디바이스(200) 내의 상태가 변화되고 그 디바이스(200)내의 화면표시데이터가 변화되었을 때 디바이스(200)는 자발적으로 부분화면정보(121b)를 컨트롤러(100)에 송신한다. 이 부분화면정보(121b)는 제 2 실시형태와 동일, 변화된 표시요소가 속하는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와 그 식별정보로 이루어진다. 이 부분화면정보(121b)를 수취한 컨트롤러(100)는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부분화면 표시데이터 및 그 버전정보를 갱신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화면표시데이터가 조작단위마다 분할되어 있으므로, 디바이스(200)는 조작요구(241c)로서 컨트롤러(100)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식별정보에 의해 사용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조작단위를 가로지르지 않도록 화면표시데이터가 부분화면데이터로 분할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분할이 조작단위마다가 아니어도 디바이스(200)에 의한 조작의 인식은 용이해진다. 이 경우,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식별정보만으로는 조작을 반드시 특정할 수 없지만, 그 식별정보에 의해 조작의 종류를 한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어떤 표시요소가 변화된 경우에는 그 표시요소가속하는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에 대응하는 부분화면정보만이 디바이스(200)로부터 컨트롤러(100)에 보내어지므로,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화면표시가 변화되었을 때 컨트롤러(100)로 전송하는 데이터량이 감소된다.
또한, 사용자로 조작위치를 나타내는 커서를 컨트롤러가 독자적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커서의 이동에 관해서는 컨트롤러가 관리할 수 있고 디바이스 내의 처리의 간소화 및 전송량의 감소를 실시하는 것이나 사용자의 조작에 대한 응답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 제 4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인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디바이스 및 컨트롤러의 구성도 제 1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도 1 및 도 2 참조).
도 16은 본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로부터 컨트롤러로 보내어지는 화면정보(54)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화면정보(54)는 화면정보집합 리스트(71)와 본체 화면정보(65)와 커서표시부품정보(80)로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위치를 나타내는 커서표시부품이 조작화면상에 오버랩 표시되고, 조작화면자체는 본체 화면정보(65)에 커서표시부품은 커서표시부품정보(80)에 각각 대응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화면정보(65)는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비트맵 데이터로서의 화면표시데이터와, 화면표시데이터의 식별자 등을 포함하는 헤더와, 화면표시데이터의 버전정보로 이루어진다. 커서표시부품정보(80)는 커서표시부품을 나타내는 비트맵 데이터로서의 커서데이터와, 커서데이터의 식별자 등을 포함하는 헤더와, 커서 데이터의 버전정보와, 커서의 위치를 도시한 위치정보로 이루어진다. 화면정보집합 리스트(71)는 커서표시부품을 포함한 광의의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화면표시데이터(광의의 화면표시데이터)의 식별자 등을 포함하는 헤더와, 본체 화면정보(65)로의 데이터 엔트리와, 커서표시부품정보(80)로의 데이터 엔트리로 이루어지고, 본체 화면정보(65)로의 데이터 엔트리로서 조작화면자체를 나타내는 화면표시데이터의 식별자가 커서표시부품정보(80)로의 데이터 엔트리로서 커서데이터의 식별자가 각각 설정되어 있다.
도 17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컨트롤러의 표시화면에 표시되는 조작화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조작화면자체의 화면표시(500) 상에 커서 표시부품(600)이 오버랩 표시되어 있다. 또한, 커서표시부품(600)을 포함한 광의의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광의의 화면표시데이터는 화면표시(500) 및 커서표시부품(600)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로 이루어진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조작화면에서의 커서의 위치는 화면표시(500)의 좌측 위쪽을 원점으로 하는 좌표값(X좌표 및 Y좌표)에 의해 표현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의 프로토콜은 기본적으로는 도 13에 도시한 제 2 실시형태의 프로토콜과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면요구(101)에 대한 응답으로서 디바이스(200)로부터 컨트롤러(100)로 보내어지는 화면정보(111b)는 도 16에 도시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본체 화면정보(65) 및 커서표시부품정보(80)는 각각, 제 2 실시형태에서의 다른 부분화면표시정보에 대응한다. 이와 같은 화면정보를 수취한 컨트롤러(100)는 표시화면에 본체 화면정보(65)의 화면표시데이터를 사용하여 조작화면을 표시하고, 또한 커서표시부품정보(80)의 커서데이터 및 위치정보를 사용하여 커서표시부품을 조작화면상에 오버랩 표시한다.
또한, 컨트롤러(100)로부터 조작요구(241)가 발생되었을 때에는 화면표시데이터의 식별정보와 함께 조작정보가 디바이스(200)에 보내어지지만, 이 조작정보는 커서의 조작위치를 도시한 조작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 조작위치정보는 조작화면에서의 X좌표 및 Y좌표로 이루어진다.
조작요구(241)의 발생후에서 디바이스(200) 내의 상태가 변화되고 그 디바이스(200)내의 화면표시데이터가 변화되었을 때,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그 디바이스(200)는 자발적으로 부분화면정보(121b)를 컨트롤러(100)에 송신한다. 이 때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서의 이동에 대해서는 도 16에 도시한 커서표시부품정보(80)만을 컨트롤러(100)에 보낸다. 이것을 수취한 컨트롤러(100)는 그 커서표시부품정보(80)에 포함되는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조작화면에 대한 커서표시부품의 오버랩 표시를 갱신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커서이동의 조작에 대한 응답속도가 향상된다.
또한, 커서의 비트맵 데이터는 화면요구에 대한 최초의 응답(화면정보(111b))에서만 송신하고, 그 후의 화면정보에는 커서의 비트맵 데이터는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고, 이에 의해 처리가 간단해짐과 동시에 전송량을 감소시키는 것이나 응답성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커서를 도시한 비트맵 데이터를 디바이스로부터 송신하지 않고, 커서의 비트맵 데이터는 컨트롤러가 독자적으로 결정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때 커서의 이동 등에서 디바이스는 화면정보로서 갱신된 커서의 위치정보만을 송신하면 좋고 처리가 간단해짐과 동시에 전송량을 감소시키는 것이나 응답성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1 제 4 실시형태의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조작화면자체는 하나의 화면표시데이터로 나타나지만, 제 2 실시형태와 같이 조작화면을 복수의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로 나타내도록 해도 좋다. 도 18은 조작화면을 복수의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로 나타낸 경우의 본 실시형태의 조작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조작화면은 4개의 부분화면표시(501,502,503,504)로 이루어지고, 이 조작화면에 겹쳐 커서표시부품(601)이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면정보(54)에서의 본체 화면정보(65)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복수의 부분화면표시정보로 치환하는 것이 된다. 또한, 커서표시부품정보도 부분화면표시정보의 한종류로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커서표시부품정보의 구성은 도 16에 도시한 커서표시부품정보(80)와 동일하다. 단, 커서표시부품정보에서의 위치정보는 도 16에 도시한 예에서는 조작화면에서의 좌표로 나타나 있었지만, 이 경우에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서표시부품(601)이 오버랩 표시되어 있는 부분화면표시(502)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즉, 부분화면표시(502)의 좌측 상측을 원점으로 하는 좌표값(상대 X좌표 및 상대 Y좌표)에 의해 커서의 위치정보가 표현된다.
상기와 같이 화면표시데이터가 복수의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로 이루어진 경우에서의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의 프로토콜은 기본적으로는 도 15에 도시한 제 3 실시형태의 프로토콜과 동일하다. 이 경우에서 사용자가 커서로 조작을 했을 때에 컨트롤러(100)로부터 디바이스(200)에 대하여 조작요구(241c)가 발행되고, 이 때 디바이스(200)에 보내어지는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식별정보에는 커서데이터의 식별정보도 포함된다.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한 예의 경우에는 부분화면표시(502)의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식별정보와 함께 커서표시부품(601)의 커서데이터의 식별정보도 디바이스(200)에 보내진다. 디바이스(200)는 조작요구(241c)로서 수취한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식별정보(커서데이터의 식별정보를 포함)와 조작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능을 실행한다.
그 후, 디바이스(200) 내의 상태가 변화되고 상기 디바이스(200) 내의 화면표시데이터가 변화되었을 때, 디바이스(200)는 자발적으로 부분화면정보(121b)를 컨트롤러(100)에 송신한다. 사용자에 의한 커서의 이동조작에 기초하는 조작요구(241c)가 컨트롤러(100)로부터 발행된 경우, 조작화면에서 변화되는 것은 커서표시부품의 위치뿐이므로, 커서표시부품정보를 포함하는 부분화면정보(121b)만이 컨트롤러(100)에 보내어진다. 이것을 수취한 컨트롤러(100)는 그 커서표시부품정보에 포함되는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조작화면상에 커서표시부품을 오버랩 표시한다.
<5. 제 5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인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디바이스 및 컨트롤러의 구성도 제 1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도 1 및 도 2 참조).
도 19는 본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로부터 컨트롤러로 보내어지는 화면정보(55)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화면정보(55)는 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화면정보집합리스트(71)와 본체화면정보(65)와 커서표시부품정보(81)로 구성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서표시부품이 조작화면상에 오버랩 표시된다. 화면정보(55) 중 화면정보집합 리스트(71)와 본체 화면정보(65)는 그 내부의 구성도 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커서표시부품정보(81)는 식별자 등을 포함하는 헤더, 버전정보 및 위치정보를 갖고 있는 점에서는 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하지만, 커서표시부품을 나타내는 비트맵 데이터로서의 커서데이터 대신 커서표시부품의 형상, 크기 및 색을 도시한 정보를 갖고, 또한 조작허가정보를 갖고 있는 점에서 제 4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여기에서 조작허가정보는 사용자에 허가되는 조작의 종류를 도시한 정보이고, 예를 들어 현시점의 커서위치로부터 이동가능한 방향이 상하좌우의 4방향 중 상부 우측의 방향뿐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도 20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컨트롤러의 표시화면에 표시되는 조작화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조작화면자체를 도시한 화면표시(500)의 상에 커서표시부품(601)이 오버랩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화면표시(500) 상에 커서표시부품(601)이 오버랩 표시된 것을 광의의 조작화면으로 하면, 이 광의의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화면표시데이터(광의의 화면표시데이터)는, 화면표시(500) 및 커서표시부품(601)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로 이루어진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도 20에 도시한 예에서는 커서표시부품의 형상은 조작단위를 둘러싸는 사각형이지만, 원형 등의 다른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서표시부품을 나타내는 비트맵 데이터는 존재하지 않고, 커서표시부품의 형상, 크기 및 색은 커서표시부품정보(81)에 포함되는 정보에 의해 결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의 프로토콜은 기본적으로는 도 13에 도시한 제 2 실시형태의 프로토콜과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면요구(101)에 대한 응답으로서 디바이스(200)로부터 컨트롤러(100)로 보내어지는 화면정보(111b)는 도 19에 도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본체 화면정보(65) 및 커서표시부품정보(81)는 각각 제 2 실시형태에서의 다른 부분화면표시정보에 대응한다. 이와 같은 화면정보를 수취한 컨트롤러(100)는 표시화면에 본체 화면정보(65)의 화면표시데이터를 사용하여 조작화면을 표시하고, 또한 커서표시부품정보(81)의 형상, 크기 및 색의 정보 및 위치정보를 사용하여 커서표시부품을 조작화면 상에 오버랩 표시한다.
컨트롤러(100)가 화면정보(111b)를 수취한 후, 조작자가 컨트롤러(10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의 조작화면에서 디바이스(200)에 대한 조작을 실시하면, 컨트롤러(100)는 그 조작화면을 도시하는 화면표시데이터의 식별정보와 그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를 조작요구(241)로서 디바이스(200)에 송신한다. 단, 조작요구(241)의 송신전에 컨트롤러(100)가 화면정보(111b)로서 수취한 커서표시부품정보(81)에서의 조작허가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조작이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도록 해도 좋다. 이 체크의 결과, 그 조작이 허가되지 않는 것일 때에는 조작요구(241)를 송신하지 않고 컨트롤러(100) 내에서 에러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불필요한 처리를 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한 콘텐츠(1)에 커서가 있는 경우, 리모콘의 좌측방향 화살표키에 의한 조작을 무효로 하거나, 사용자가 리모콘의 선택키를 누름·해제했을 때, "누름", "해제"가 아니고, "선택"을 사용자의 조작정보로서 디바이스로 보내도록 규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디바이스의 처리를 간소화할 수 있다.
조작요구(241)의 발행후에서 디바이스(200) 내의 상태가 변화되고 그 디바이스(200) 내의 화면표시데이터가 변화되었을 때, 그 디바이스(200)는 자발적으로 화면표시데이터 중 변화된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화면정보(121b)를 컨트롤러(100)에 송신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커서표시부품이 변화된 경우에는 도 19에 도시한 커서표시부품정보(81)만을 컨트롤러(100)로 보낸다. 이것을 수취한 컨트롤러(100)는 그 커서표시부품정보(81)에 포함되는 위치정보 및 형상, 크기 및 색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조작화면 상에 커서표시부품을 오버랩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커서표시부품이 변화되는 경우, 디바이스는 화면표시데이터 등의 비트맵 데이터를 컨트롤러에 보낼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조작에 대한 응답성이 향상된다. 또한, 커서표시부품정보(81)에 포함되는 형상, 크기 및 색을 나타내는 정보의 설정에 의해, 커서표시부품의 의장을 조작화면에서의 각 표시요소의 의장에 적합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타>
이상에서 설명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전송로(1)에 접속되는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취급하는 기기이지만,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어느 것도 직접적으로는 관계하지 않는 기기, 예를 들어 에어콘 등이 컨트롤러(100)의 제어대상의 기기(디바이스)로서 전송로(1)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고, 이와 같은 기기가 접속된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상에 접속된 기기의 조작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실시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으로, 특히 화면상에 그래픽스, 문자 등에 의해 사용자의 기기조작을 지원하는 그래피컬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사용한 기기제어시스템, 예를 들어 복수의 AV기기가 IEEE1394 규격의 시리얼버스 등의 전송로에서 접속된 시스템에서 GUI를 갖는 기기가 전송로를 통하여 다른 기기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적합하다.

Claims (40)

  1. 제 1 및 제 2 기기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1 기기에 포함되는 컨트롤러가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기기이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데이터와 상기 화면표시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갖고,
    상기 화면표시데이터와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화면표시데이터 및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조작화면을 상기 화면표시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고,
    상기 조작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와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의 화면표시 데이터가 변화했을 때에 변화한 화면표시 데이터 및 식별정보를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송신되어 온 상기 변화한 화면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화면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2. 제 1 및 제 2 기기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1 기기에 포함되는 컨트롤러가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기기이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데이터와 상기 화면표시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갖고,
    상기 화면표시데이터와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화면표시데이터 및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조작화면을 상기 화면표시데이터 및 상기 식별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고,
    상기 조작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와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의 화면표시 데이터가 변화했을 때에 변화한 화면표시 데이터 및 식별정보를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송신되어 온 상기 변화한 화면표시 데이터 및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화면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화면표시데이터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정보는 상기 조작화면상의 조작위치를 나타내는 조작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5. 제 1 및 제 2 기기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1 기기에 포함되는 컨트롤러가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기기이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로 이루어지는 화면표시데이터를 갖고,
    상기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조작화면을 상기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고,
    상기 조작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화면표시데이터가 변화되었을 때, 상기 화면표시데이터 중 변화된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변화된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상기 조작화면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식별하는 식별정보인 부분화면 식별정보를 갖고,
    상기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와 함께 상기 부분화면 식별정보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와 함께 상기 부분화면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화면표시데이터가 변화되었을 때 상기 화면표시데이터 중 변화된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와 해당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부분화면 식별정보를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변화된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와 해당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부분화면 식별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부분화면 표시데이터 및 부분화면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상기 조작화면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해당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와 상기 조작에 대응하는 부분화면 식별정보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네트워크 제어시스템.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화면 식별정보는 상기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11.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면표시에서의 하나의 표시요소는 상기 복수의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표시부분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12.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면표시 중 사용자의 조작단위에 대응하는 표시요소는 상기 복수의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표시부분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13. 제 1 및 제 2 기기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1 기기에 포함되는 컨트롤러가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기기이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데이터와 상기 조작화면에 오버랩 표시하기 위한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화면표시데이터 및 상기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화면표시데이터 및 상기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조작화면을 상기 화면표시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상기 조작화면에 대하여 상기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사용하여 오버랩 표시를 실시하고,
    상기 조작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 표시데이터는 상기 조작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의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를 표시하기 위한 커서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정보는 상기 조작화면에서의 상기 커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정보는 상기 커서의 형상을 나타내는 형상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정보는 상기 커서의 크기를 나타내는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정보는 상기 커서의 색을 나타내는 색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정보는 사용자에게 허가되는 조작을 나타내는 허가정보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오버랩 표시데이터에 대응하는 표시부분이 변화되었을 때, 상기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오버랩 표시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상기 조작화면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21. 제 1 및 제 2 기기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1 기기에 포함되는 컨트롤러가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기기이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데이터와 상기 화면표시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갖고,
    상기 화면표시데이터와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화면표시데이터 및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조작화면을 상기 화면표시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의 화면표시 데이터가 변화했을 때에 변화한 화면표시 데이터 및 식별정보를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송신되어 온 상기 변화한 화면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화면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22. 제 1 및 제 2 기기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1 기기에 포함되는 컨트롤러가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기기이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데이터와 상기 화면표시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화면표시데이터와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화면표시데이터 및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조작화면을 상기 화면표시데이터 및 상기 식별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의 화면표시 데이터가 변화했을 때에 변화한 화면표시 데이터 및 식별정보를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송신되어 온 상기 변화한 화면표시 데이터 및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화면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23. 제 1 및 제 2 기기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1 기기에 포함되는 컨트롤러가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기기이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데이터와 상기 조작화면에 오버랩 표시하기 위한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갖고,
    상기 화면표시데이터 및 상기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화면표시데이터 및 상기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조작화면을 상기 화면표시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상기 조작화면에 대하여 상기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사용하여 오버랩 표시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24.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제 1 기기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제어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제 2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기기이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데이터와 상기 화면표시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갖고,
    상기 화면표시데이터 및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는, 화면표시데이터의 식별정보와 사용자의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식별정보 및 조작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화면표시 데이터가 변화했을 때에 변화한 화면표시 데이터 및 식별정보를 자발적으로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25. 제 2 기기와 전송로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제 1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기기이고,
    상기 컨트롤러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화면표시데이터와 상기 화면표시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조작화면을 상기 화면표시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고,
    상기 조작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와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변화한 화면표시 데이터 및 식별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면, 수신한 화면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화면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정보는 상기 조작화면상의 조작위치를 나타내는 조작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정보는 상기 조작화면상의 조작위치를 나타내는 조작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28.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제 1 기기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제어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제 2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기기이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로 이루어진 화면표시데이터를 갖고,
    상기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는 사용자의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조작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29. 제 2 기기와 전송로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제 1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기기이고,
    상기 컨트롤러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복수의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조작화면을 상기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고,
    상기 조작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화면표시데이터가 변화되었을 때, 상기 화면표시데이터 중 변화된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화면표시데이터가 변화되었을 때, 상기 화면표시데이터 중 변화된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부분화면 표시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상기 조작화면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32.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제 1 기기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제어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제 2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기기이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데이터와 상기 조작화면에 오버랩 표시하기 위한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화면표시데이터 및 상기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는 사용자의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조작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33. 제 2 기기와 전송로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제 1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기기이고,
    상기 컨트롤러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화면표시데이터와 상기 조작화면에 오버랩 표시하기 위한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상기 화면표시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상기 조작화면에 대하여 상기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사용하여 오버랩 표시를 실시하고,
    상기 조작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를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34. 제 1 및 제 2 기기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고, 상기 제 1 기기에 포함되는 컨트롤러가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데이터와 상기 화면표시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는 스텝,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상기 화면표시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컨트롤러에서 상기 조작화면을 표시하는 스텝,
    상기 조작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와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스텝,
    상기 디바이스에서의 화면표시 데이터가 변화했을 때에 변화한 화면표시 데이터 및 식별정보를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는 스텝, 및
    상기 컨트롤러에서, 송신되어 온 상기 변화한 화면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화면을 갱신하는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서의 제어방법.
  35. 제 1 및 제 2 기기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고, 상기 제 1 기기에 포함되는 컨트롤러가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데이터와 상기 화면표시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는 스텝,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상기 화면표시데이터 및 상기 식별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컨트롤러에서 상기 조작화면을 표시하는 스텝,
    상기 조작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와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스텝,
    상기 디바이스에서의 화면표시 데이터가 변화했을 때에 변화한 화면표시 데이터 및 식별정보를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는 스텝, 및
    상기 컨트롤러에서, 송신되어 온 상기 변화한 화면표시 데이터 및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화면을 갱신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서의 제어방법.
  36. 제 1 및 제 2 기기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고, 상기 제 1 기기에 포함되는 컨트롤러가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화면 표시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는 스텝,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상기 부분화면 표시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컨트롤러에서 상기 조작화면을 표시하는 스텝, 및
    상기 조작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를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서의 제어방법.
  37. 제 1 및 제 2 기기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고, 상기 제 1 기기에 포함되는 컨트롤러가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데이터와 상기 조작화면에 오버랩 표시하기 위한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는 스텝,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상기 화면표시데이터 및 상기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컨트롤러에서 상기 조작화면을 표시함과 동시에 표시된 상기 조작화면에 대하여 상기 오버랩 표시데이터에 기초하는 오버랩 표시를 실시하는 스텝, 및
    상기 조작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를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서의 제어방법.
  38. 제 1 및 제 2 기기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고, 상기 제 1 기기에 포함되는 컨트롤러가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데이터와 상기 화면표시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상기 화면표시데이터를 사용하고, 상기 컨트롤러에서 상기 조작화면을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디바이스에서의 화면표시 데이터가 변화했을 때에 변화한 화면표시 데이터 및 식별정보를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컨트롤러에서, 송신되어 온 상기 변화한 화면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화면을 갱신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텝에서의 제어방법.
  39. 제 1 및 제 2 기기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고, 상기 제 1 기기에 포함되는 컨트롤러가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데이터와 상기 화면표시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상기 화면표시데이터 및 상기 식별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컨트롤러에서 상기 조작화면을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디바이스에서의 화면표시 데이터가 변화했을 때에 변화한 화면표시 데이터 및 식별정보를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컨트롤러에서, 송신되어 온 상기 변화한 화면표시 데이터 및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화면을 갱신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서의 제어방법.
  40. 제 1 및 제 2 기기가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영상, 음향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고, 상기 제 1 기기에 포함되는 컨트롤러가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제 2 기기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조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데이터와 상기 조작화면에 오버랩 표시하기 위한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상기 화면표시데이터 및 상기 오버랩 표시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컨트롤러에서 상기 조작화면을 표시함과 동시에, 표시된 상기 조작화면에 대해 상기 오버랩 표시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버랩 표시를 실시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서의 제어방법.
KR10-2000-7006792A 1998-10-20 1999-10-19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KR100460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779298A JP3852892B2 (ja) 1998-10-20 1998-10-20 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
JP10-297792 1998-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4777A KR20010024777A (ko) 2001-03-26
KR100460219B1 true KR100460219B1 (ko) 2004-12-08

Family

ID=17851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6792A KR100460219B1 (ko) 1998-10-20 1999-10-19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44886B1 (ko)
EP (1) EP1041851A4 (ko)
JP (1) JP3852892B2 (ko)
KR (1) KR100460219B1 (ko)
CN (1) CN1287763A (ko)
WO (1) WO20000242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0877B2 (ja) * 2000-01-11 2011-03-30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システム
JP4652584B2 (ja) * 2001-01-25 2011-03-16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479238B2 (en) 2001-05-14 2013-07-02 At&T Intellectual Property Ii, L.P. Method for content-based non-linear control of multimedia playback
JP4102270B2 (ja) * 2003-08-21 2008-06-18 シャープ株式会社 機器制御画面構成出力装置及び機器
KR20060111502A (ko) * 2003-11-13 2006-10-27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일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전단부
JP2005182456A (ja) * 2003-12-19 2005-07-07 Canon Inc 情報表示装置及び情報表示方法
JP4540377B2 (ja) * 2004-03-25 2010-09-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Ui表示装置及びui表示方法
US20060004834A1 (en) * 2004-06-30 2006-01-05 Nokia Corporation Dynamic shortcuts
US7292963B2 (en) * 2004-10-29 2007-11-06 Sap Aktiengesellschaft Aggregating sensor data
KR100752630B1 (ko) * 2005-07-11 2007-08-30 주식회사 로직플랜트 저속통신망과 저사양 개인용통신단말기에 최적화된 컴퓨터원격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7065944A (ja) * 2005-08-31 2007-03-15 Hitachi Ltd 計算機情報の表示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0736094B1 (ko) * 2006-02-17 200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기기의 상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JP4247694B2 (ja) * 2007-02-01 2009-04-0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90156251A1 (en) * 2007-12-12 2009-06-18 Alan Cannistraro Remote control protocol for media systems controlled by portable devices
RU2519527C2 (ru) * 2008-04-21 2014-06-10 Тифенбах Контрол Системс Гмбх Экр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US20100011135A1 (en) * 2008-07-10 2010-01-14 Apple Inc. Synchronization of real-time media playback status
US9716774B2 (en) 2008-07-10 2017-07-25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syncing a user interface on a server device to a user interface on a client device
USD633908S1 (en) 2010-04-19 2011-03-08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9300938B2 (en) 2010-07-22 2016-03-29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mapping between video ranges of image data and display
USD680125S1 (en) 2010-11-16 2013-04-16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TWI442312B (zh) * 2011-04-20 2014-06-21 Wistron Corp 加速更新畫面之顯示方法
USD728612S1 (en) 2012-09-07 2015-05-05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5843S1 (en) 2013-06-10 2016-05-10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WO2015012309A1 (ja) * 2013-07-23 2015-01-29 シャープ株式会社 配信装置、配信方法、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530077A (zh) * 2013-08-14 2014-01-22 南通腾启电子商务有限公司 计算机管理系统信息
USD733744S1 (en) 2013-10-21 2015-07-07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43443S1 (en) * 2013-10-22 2015-11-17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9419S1 (en) 2014-09-01 2017-06-13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73510S1 (en) 2015-06-05 2016-12-06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75649S1 (en) 2015-09-08 2017-01-03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13243S1 (en) 2015-09-08 2018-03-20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62954S1 (en) 2016-09-06 2022-09-06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93512S1 (en) 2018-09-10 2020-08-18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37858S1 (en) 2019-05-31 2021-12-07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37295S1 (en) 2020-02-03 2021-11-30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49186S1 (en) 2020-06-21 2022-04-19 Apple Inc. Display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0666A (ja) * 1996-12-26 1998-09-11 Hitachi Ltd 情報機器、情報機器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情報機器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8104B2 (ja) * 1989-11-08 1999-08-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共有資源管理法方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5283861A (en) * 1990-08-31 1994-02-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mote control of a local processor console
US5261044A (en) * 1990-09-17 1993-11-09 Cabletron Systems, Inc. Network management system using multifunction icons for information display
JP3106495B2 (ja) * 1990-11-21 2000-11-06 ソニー株式会社 ホームバス制御装置
JPH0744477A (ja) * 1993-07-30 1995-02-14 Canon Inc マルチメディア機器の制御システム
CN1113302C (zh) 1993-07-30 2003-07-02 佳能株式会社 通过通信线路控制设备的控制器和方法
JPH09149325A (ja) 1995-11-21 1997-06-06 Sony Corp グラフイック表示データ分散型avシステム
JPH09218815A (ja) * 1996-01-31 1997-08-19 Toshiba Corp ネットワーク通信機能を持つ情報機器及び同機器における情報アクセス方法
JP3735942B2 (ja) * 1996-06-04 2006-01-1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電子機器
US5883621A (en) * 1996-06-21 1999-03-16 Sony Corporation Device control with topology map in a digital network
US6691150B1 (en) 1996-12-26 2004-02-10 Hitachi, Ltd. Information device, information device system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device system
US7103834B1 (en) * 1997-06-25 2006-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 home network auto-tree builder
CA2331705C (en) * 1998-05-07 2007-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and device command and control in a network
CN1269116A (zh) * 1998-05-13 2000-10-0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网络控制系统、控制器及设备
JP2001069580A (ja) * 1999-08-31 2001-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v機器コントロール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0666A (ja) * 1996-12-26 1998-09-11 Hitachi Ltd 情報機器、情報機器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情報機器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52892B2 (ja) 2006-12-06
CN1287763A (zh) 2001-03-14
EP1041851A1 (en) 2000-10-04
WO2000024222A1 (en) 2000-04-27
JP2000125366A (ja) 2000-04-28
US6844886B1 (en) 2005-01-18
EP1041851A4 (en) 2005-07-06
KR20010024777A (ko) 2001-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0219B1 (ko)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US7080399B1 (en) Network control system, and controller, target and consumer for use in the network control system
KR100560549B1 (ko) 디지털 버스를 통해서 주변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텔레비전 장치
US6745252B1 (en) Network control system, controller, and device
KR100230281B1 (ko) 프로그램 번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과 프로그램 번호 전송 및 수신방법
US6839071B1 (en)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from first and second devices
JP5275272B2 (ja) ターゲット装置の制御方法
US6684110B1 (en) Control system, apparatus, and method in which display characteristics of an operation panel are changeable
JP2002215483A (ja) 機器制御システム並びに、機器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コントローラ及びデバイス
JP3850160B2 (ja) 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及びターゲット
JPH11249709A (ja) 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バイス並びにコントローラ
US7310808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nd enabling the selection and mixing of multiple streams of audio/video data from multiple sources within a receiving device allowing external control
JPH11328081A (ja) 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及びデバイス
AU762427B2 (en) Device interoperability utilizing bit-mapped on-screen display menus
WO2000001191A1 (fr) Systeme de commande de reseau et procede correspondant
JP2001045575A (ja) 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に用いるデバイス並びにコントローラ
JPH11341472A (ja) 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及びデバイス
JP2000333269A (ja) GUI(GraphicalUserInterface)駆動型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及びGUI駆動型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に用いるデバイス並びにコントローラ
JP2000253463A (ja) 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及びこの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に用いるターゲット、コントローラ、並びにコンシューマ
KR20010070220A (ko)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것에 이용하는 컨트롤러와디바이스
MXPA00004942A (es) Interoperabilidad de dispositivo que utiliza menus de despliegue en pantalla con mapa de b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