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0220A -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것에 이용하는 컨트롤러와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것에 이용하는 컨트롤러와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0220A
KR20010070220A KR1020000067800A KR20000067800A KR20010070220A KR 20010070220 A KR20010070220 A KR 20010070220A KR 1020000067800 A KR1020000067800 A KR 1020000067800A KR 20000067800 A KR20000067800 A KR 20000067800A KR 20010070220 A KR20010070220 A KR 20010070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time interval
information
remote control
predetermined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7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나가와요시후미
이이츠카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0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022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117Interconnection of audio or video/imag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3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 H04N21/42215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by measuring the time interval during which a key is pressed, e.g. for inputting sequences of digits when selecting a televis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26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1/42227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the keys being reprogrammable, e.g. soft keys
    • H04N21/42228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the keys being reprogrammable, e.g. soft keys the reprogrammable keys being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keys on the remote control device itsel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04N7/106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for domestic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이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은 네트워크 접속된 제어 대상 디바이스와 리모컨이 부착된 컨트롤러로 이루어진다. 이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는 리모컨의 조작에 대해서 네트워크를 전송시키는 메시지의 전송 시간 간격을 나타내는 소정의 시간 간격이 정해져 있다. 조작자가 리모컨을 조작하면 컨트롤러는 수신한 리모컨 신호로부터 어느 버튼을 어떻게 조작했는지를 나타내는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로 변환하고 그 시간 간격에 근거하여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한편, 디바이스는 그 메시지를 수신하여 그 시간 간격에 근거하여 조작 정보를 취득해서 소망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것에 이용하는 컨트롤러와 디바이스{NETWORK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네트워크 접속된 음향 기기, 영상 기기, 정보 기기 등을 제어하기 위해 그 네트워크를 통해서 실행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것에 이용하는 컨트롤러와 디바이스(device)에 관한 것이다.
최근, 텔레비전과 네트워크 접속된 각종 기기를 제어하는 데 있어서, 각각의 기기의 기능을 데이터나 문자 등을 포함하는 그래픽스나 아이콘을 사용해서 텔레비전 화면상에 표시하고, 이것을 텔레비전의 리모컨(remote control)으로 선택 조작해서 실행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나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이용해서 디지털 VTR 등의 디지털 기기를 텔레비전과 접속하고, 그것들과 영상·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 시장에 등장해 왔다. 이러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는 음향 기기, 영상 기기, 정보 기기(이후, AVC 시스템이라 함)는 각각이 쌍 방향 패킷 통신방식으로 균등한 통신 기회가 주기적으로 얻어지는 시리얼 버스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각 기기는 이제는 전환해서 접속할 필요가 없어졌다. 이 시리얼 버스로서는 예를 들어 IEEE 1394-1995 규격의 디지털 인터페이스 등이 이용된다. 이 경우, 각 AV 기기는 각각 독자의 화면 표시용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저장하고 있고, 그래픽 표시 화면을 갖는 컨트롤러의 역활을 하는 텔레비전이나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적절한 데이터를 선택해서 컨트롤러로 송신한다. 한편, 컨트롤러는 필요한 화면 표시용 데이터를 요구하는 기능과 기기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화면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종래의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하나가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평성 9-149325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 리모컨을 이용한 종래의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서는 제어 대상인 기기의 리모컨으로부터 컨트롤러를 향해 송신하고, 컨트롤러가,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주문(custom) 코드를 네트워크상의 기기[역주: 복수 개]의 주문 코드와 비교하고, 주문 코드가 일치한 기기에 대해서 리모컨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송신 데이터 패킷 내에 삽입해서 송신한다. 즉, 임의의 기기를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다른 기기의 리모컨을 이용해서 제어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하나로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성 10-155188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서는 리모컨이 부착된 기기의 주문 코드를 이용해서 각 기기를 식별하고 있다. 이 주문 코드는 신호 규격에 따라서 리모컨의 송신 신호 중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그 신호를 수신하는 측의 기기가 그 규격에 준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아 각 기기를 원활하게 제어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와 같은 기능을 갖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것에 이용하는 컨트롤러와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1> 각 기기의 리모컨의 사양이나 신호 규격이 다르더라도 네트워크 접속된 기기를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2> 리모컨의 하나의 조작 부품이 조작 시간 간격에 따른 복수의 기능을 갖는 경우에도 컨트롤러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된 기기를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의 컨트롤러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의 디바이스의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VC 시스템의 네트워크 시스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동작을 도시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로부터 조작되는 경우의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대한 설계상의 유의점을 도시한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 리모컨 조작 판정 수단의 동작의일례를 도시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 리모컨 데이터 처리 수단의 동작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 리모컨 데이터 처리 수단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와 디바이스 사이의 메시지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 화면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 화면 정보의 표시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와 디바이스 사이의 메시지 및 데이터의 흐름을 도시한 설명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 화면 정보의 다른 표시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으로서 전환 디바이스(pointing device)를 이용한 경우의 설명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으로서 컨트롤러의 GUI를 이용한 경우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패킷 송수신부
5 :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부
9 : 표시/기능 선택 애플리케이션
11 : 컨트롤러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
17 : 컨트롤러 리모컨 수신부
18 : 컨트롤러 리모컨 조작 판정부
19 : 컨트롤러 리모컨 데이터 처리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은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1. 리모컨을 갖는 컨트롤러와 제어 대상인 기기(이후, 제어 대상 디바이스라고 함)를 구비한다.
리모컨을 조작했을 때에 네트워크 전송로를 거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전송 시간 간격으로서 미리 소정의 시간 간격을 규정한다.
컨트롤러는 리모컨의 조작에 의해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그 조작이 상기 디바이스로 전달되어야 할 조작인 경우에 그 신호를 그 조작에 관한 정보(이후, 조작 정보라 함)를 포함하는 메시지로 변환하고, 소정의 시간 간격에 근거하여 판정·처리를 실시해서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그 디바이스는 그 소정의 시간 간격에 근거하여 수신한 메시지에서 취득한 조작 정보에 따라 동작한다.
2. 제어 대상 디바이스는 그 조작 화면 정보를 컨트롤러로 제공하고, 컨트롤러는 그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
3. 하나의 조작 부품이 조작 시간 간격에 따라 복수의 기능을 갖는 리모컨을 갖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제어 대상 디바이스가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서 상기 조작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4. 리모컨으로의 조작으로서 사용자가 리모컨상의 조작 부품을 누른 것을 나타내는 "프레스(누름;press)"와 누름 해제를 나타내는 "릴리스(해제;release)"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5. 조작 정보로서, 사용자가 리모컨의 조작 부품을 누른 것을 나타내는 "프레스"와 누름 해제를 나타내는 "릴리스"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6. 조작 정보는 사용자가 조작한 리모컨의 조작 부품을 특정하는 정보(이후, 조작 부품 특정 정보라 함)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7. 소정의 시간 간격이 리모컨에서 수신한 신호의 판정을 실행하는 시간 간격(이후, 리모컨 신호 판정 시간 간격 또는 판정 시간 간격이라 함)보다 길게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8. 제어 대상 디바이스가 소정의 시간 간격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판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9. 제어 대상 디바이스가 리모컨에 대한 조작이 리모컨상의 조작 부품의 일회 누름인지 긴 누름인지를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서 판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10. 컨트롤러가, 리모컨에 대한 조작에 따라서 복수의 메시지를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송신하고, 제 1 메시지의 응답을 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나서 제 2 메시지를 송신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11. 리모컨 신호 판정 시간 간격이 소정의 시간 간격보다 긴 경우, 컨트롤러는 리모컨으로부터의 조작 정보를 수신한 후 제 1 메시지를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송신하고, 소정의 시간 간격 이내에 제 2 메시지를 그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12. 컨트롤러가 조작 부품 특정 정보에 따라서 리모컨으로부터 수신한 조작 정보를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송신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경우에 그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작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의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각 기기의 리모컨의 제품 사양 및 신호 규격이 다르더라도 전송로상에 접속된 제어 대상인 기기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2> 제어 대상인 기기의 리모컨에 의해서는 조작할 수 없는 기능이나 컨트롤러의 리모컨에는 구비되어 있지 않은 기능이라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것에 이용하는 컨트롤러와 디바이스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는 AVC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영상·음향·정보 기기(이후, 단지 기기[역주: apparatus] 또는 디바이스라 함)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기"[역주: apparatus]와 "디바이스"[역주: device]를 용어로 하고, 예를들면, "기기는 컨트롤러와 디바이스를 포함한다"와 같이 구분해서 사용한다.
텔레비전(21)은 컨트롤러와 디바이스(지상파 튜너, 비디오 모니터)로 이루어지는 기기이고, 리모컨(22)를 이용해서 사용자는 도 1에 도시한 표시/기능 선택 애플리케이션(9)(후술)에 지시를 내린다. 퍼스널 컴퓨터(23)은 컨트롤러와 디바이스(전화선에 접속된 모뎀, 비디오 모니터 등)로 이루어지고,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9)에 지시를 내린다.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31) 및 디지털 비디오 카세트 카메라(34)는 오디오 비디오(AV) 데이터의 기록 재생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이다. 디지털 비디오(DV)방식의 디지털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DVC)(32)와 VHS방식의 디지털VTR(DVHS)(33)은 AV 데이터의 기록 재생 기능과 디지털 방송 튜너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이다. 셋 톱 박스(STB)(35)는 통신위성(Communication Satellite)(CS) 디지털 방송 튜너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이다.
여기서, 텔레비전(21)이나 퍼스널 컴퓨터(23)은 컨트롤러와 디바이스가 일체로 된 기기 또는 분리된 기기 중의 어느 쪽으로 정의해도 좋다.
또, 앞에서는 디바이스(31)∼(35)는 단순한 디바이스로 했다. 그러나, 디바이스(31)∼(35)가 액정 패널, 터치 패널, 리모컨 등에 의해 다른 디바이스의 기능을 선택하는 등의 조작을 할 수 있으면, 컨트롤러와 디바이스의 양쪽을 포함하는 기기라고 정의해도 좋다. 또, 이들은 컨트롤러로서의 처리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리모컨을 갖고, 아날로그 결선(結線) 등에 의해 화상 및 음성만을 모니터에 표시하게 하면서 리모컨에 의해 조작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이 기기는 컨트롤러와 디바이스의 양쪽을 포함하는 기기로 해도 좋다.
요컨대, 하나의 기기 내에 컨트롤러와 디바이스가 공존해도 되고, 어느 한쪽만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 본 출원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제어의 대상으로 되고, 컨트롤러는 이 제어 대상으로 되는 "디바이스"를 제어한다. 또, 기기와 디바이스에는 프린터나 미니 디스크 등과 같은 현존하는 영상 기기, 음향 기기, 정보 기기뿐만 아니라, 장래 개발되어 출현할 이들의 분야에 관련된 기기도 모두 포함한다. 또, 기기와 디바이스는 전송로 상의 하나의 노드에 대응하는 것이다. 기기의 하나의 하우징 내에 복수의 노드를 갖도록 구성해도 무방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컨트롤러의 블록도이며, 이하 블록마다 설명해 간다.
1.컨트롤러 리모컨(16)은 컨트롤러용의 리모컨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을 적외선, 무선, 유선(예를 들어, RS232에 준거한 버스) 등에 의해 컨트롤러 내부의 수신부(17)로 송신한다. 또한, 리모컨 신호의 송신은 하나의 리모컨과 하나의 컨트롤러 사이의 전송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2. 컨트롤러 리모컨 수신부(17)은 리모컨(16)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판정부(18)로 송신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리모컨 신호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은 전송로의 전송 프로토콜과는 다르지만, 동일해도 무방하다.
3. 컨트롤러 리모컨 조작 판정부(18)는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검출해서 처리부(19)로 송신한다. 이 조작 정보에는 적어도 사용자가 어떠한 조작 동작을 했는지를 나타내는 액션(action) 정보와 사용자가 조작한 예를 들어 조작버튼 등의 조작 부품을 특정하는 조작 부품 특정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4. 컨트롤러 리모컨 데이터 처리부(19)는 판정부(18)로부터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수취하고, 처리부(11)이나 애플리케이션(9)로 지시를 전송한다. 우선, 처리부(19)는 수신한 조작 정보 중에 포함되는 조작 부품 특정 정보로부터 이 조작 정보를 애플리케이션(9)로 송신해야 하는지 디바이스로 송신해야 하는지를 애플리케이션(9)의 설정에 따라서 판정한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9)는 리모컨(16)에 있는 조작 부품 중의 예를 들어 상하 좌우 버튼과 선택버튼 등의 몇개에 대해서는 디바이스로 조작 정보를 송신하고, 그 밖의 것에 대해서는 애플리케이션(9) 자신이처리하도록 설정을 실행한다.
이 설정은 리모컨(16)이 갖고 있는 조작 부품의 종류, 디바이스가 서포트하는 조작 부품의 종류, 컨트롤러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GUI 등에 의존해서 결정된다.
또, 이 설정은 컨트롤러가 작성한 GUI를 통해서 애플리케이션(9)가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실행하는 것으로 해도 되고,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메시지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조작 정보를 애플리케이션(9)로 송신하는 경우, 처리부(19)는 조작 정보를 애플리케이션(9)로 송신한다. 한편, 이 조작 정보를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경우에는 조작 부품 특정 정보와 액션 정보를 처리부(11)로 송신한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9)는 이 메시지(비동기 데이터)에 특정 식별 코드(연산 코드;operation code)를 부가하여 전송로(1)상으로 송출하도록 처리부(11)에 의뢰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액션 정보는 적어도 조작 부품을 누른 것을 의미하는 "프레스"와 조작 부품을 누름 해제를 의미하는 "릴리스"의 2종류의 액션으로 이루어지고, 조작 부품 특정 정보로서는 적어도 "상""하""좌""우""선택"의 5개의 조작 부품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조작 부품 특정 정보로서, 채널 번호 등을 지시하기 위한 "1""2""3"이나 조작 화면을 선택하기 위한 "메인 메뉴"나 "설정 메뉴", 조작 화면의 조작을 지시하기 위한 "페이지 업(page up)"이나 "페이지 다운(page down)"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 이들 조작 부품의 의미는 일의적으로 정해져 있지 않아도 좋고,예를 들어 컨트롤러가 표시하고 있는 조작 화면 등에 따라서,"상"버튼이 커서의 상측방향 이동이 아니고 음량 업(증가)을 의미하고 있어도 좋다.
5. 전송로(1)은 IEEE 1394 규격(IEEE 1394-1995 및 이것과 호환성이 있는 상위 규격)에 의해 정해진 시리얼 버스(1394 버스)이다. 이 1394 버스는 시분할 등의 방법으로 동기 데이터 및 비동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동기 데이터는 시분할 등의 방법으로 분할된 복수의 채널을 이용해서 전송할 수 있고, 그 각 채널의 대역은 개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송로(1)은 다른 시리얼 버스, ATM, 이더넷(ether net)이나 적외선 전송 등의 전송로라도 좋다.
6. 패킷 송수신부(2)는 전송로(1)과의 물리적 및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형성함과 동시에 버스 사용권의 조정이나 동기 전송용의 사이클 제어 등도 실행한다. 또, 송수신부(2)는 전송로(1)상의 패킷을 수신처에 따라 취사 선택해서 수신하거나 전송로(1)상으로 패킷을 송신한다.
7.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부(5)는 전송로(1)의 프로토콜에 따른 비동기 데이터의 트랜잭션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1394 버스의 경우는 리드 트랜잭션[역주: read transaction], 라이트 트랜잭션[역주: write transaction]. 록 트랜잭션[역주: lock transaction] 처리 등을 샐힝하고, 또 비동기 데이터의 송 수신 프로토콜의 처리를 실행한다. 메시지 등의 비동기 데이터의 송수신 프로토콜의 일례로서, AV 프로토콜(IEC61883) 규격의 FCP 및 1394 Trade Association (1394TA)에 의해 논의된 오디오/비디오 컨트롤 디지털 인터페이스 커맨드 세트(Audio/Video Control Digital Interface Command Set)이 있다. 이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부(5)는 소프트웨어로 구성해도 좋다.
8. 컨트롤러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11)은 이하와 같은 동작을 실행한다.
<1> 송수신부(5)로부터 수취한 메시지 등의 비동기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 컨트롤러내의 적절한 구성요소로 전달한다.
<2> 컨트롤러가 대용량 전송방식의 프로토콜을 서포트하는 경우, 논리적 또는 물리적인 입출력구를 나타내는 플러그의 설정 등을 실행한다. 이 경우, 컨트롤러는 메시지와는 별도로, 송수신부(5)를 이용해서 조작 화면의 정보와 같은 대 용량의 비동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 방식의 일례로서, 1394 TA에서 논의된 AV/C 호완성 동기 시리얼 버스 접속(Compatible Asynchronous Serial Bus Connections)이 있다.
<3> 패킷 송수신부(2)로부터 신규 디바이스의 접속이나 기존 디바이스의 분리 등 전송로(1)에 접속된 디바이스의 정보나 디바이스의 조작 화면의 정보 등을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부(5)를 경유해서 수신하고, 애플리케이션(9)로 전달한다.
<4> 애플리케이션(9)로부터의 지시 또는 처리부(19)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컨트롤러내의 구성 요소로부터 메시지 등의 비동기 데이터를 송수신부(5)로 송출한다.
통상의 경우에는 메시지나 대용량 데이터 전송방식 등으로 수신한 디바이스의 조작 화면 정보는 애플리케이션(9)에 의해 컨트롤러의 화면상에 표시된다. 또, 컨트롤러는 조작 화면 정보를 일체 표시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조작 화면 대신에 예를 들어 음성 볼륨의 업(up) 등, 오디오나 비디오 등의 조작 화면 정보를포함하지 않는 스트림 데이터의 변화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디바이스의 동작을 통지할 수도 있다.
또, 조작 화면 정보는 항상 컨트롤러의 화면상에 표시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서 컨트롤러가 표시하거나 또는 디바이스가 표시를 지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 조작 화면 정보는 스트림 데이터에 중첩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고, 컨트롤러가 독자적으로 작성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처리부(11)는 송수신부(5) 또는 처리부(19)와 각각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해도 좋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컨트롤러가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 등의 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의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는 도 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동기 데이터 송수신부(3)는 송신 시에는 데이터의 분할 등 전송레이트의 관리나 헤더의 부가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1394 버스의 AV 프로토콜(IEC61883) 규격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송수신부(3)에 의해 CIP(common Isochronous Packet)헤더의 부가를 실행한다. 반대로, 수신시에는 수신 패킷을 정확한 순서로 재배열하고, 헤더의 제거 등을 실행한다.
컨트롤러 신호 처리부(10)는 동기 데이터를 송수신부(3)로부터 수취하고, 이 컨트롤러에 따른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이 컨트롤러가 비디오 모니터 등의 영상 표시 기기이면, 동기 데이터(예를 들어, MPEG2의 스트림 등)를 복호하고, 애플리케이션(9)을 이용해서 화면상에 표시한다.
또, 처리부(11)는 컨트롤러가 스트림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디바이스 대신에 동기 데이터용의 대역이나 채널 확보, 설정, 또 필요에 따라서 동기 데이터의 논리적 또는 물리적인 입출력구를 나타내는 플러그의 설정 등을 실행하고, 컨트롤러는 디바이스에서 수신한 스트림 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단, 이 경우, 조작 화면 정보는 이 스트림 데이터에 중첩되어 있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따라서,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조작 화면 정보를 컨트롤러의 화면상에 표시하고, 이것을 보면서 사용자가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대상 디바이스의 앞면 패널에 의해서만 조작이 가능하고 리모컨에 의해서는 조작이 불가능한 기능이나 컨트롤러의 리모컨에는 조작 부품이 없는 기능이라도 사용자가 지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은 본 실시예의 컨트롤러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다음에 디바이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디바이스의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는 도 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1. 디바이스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6)는 이하와 같은 동작을 실행한다.
<1>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부(5)로부터 수취한 비동기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 디바이스내의 적절한 구성요소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처리부(6)가 수취한 비동기 데이터가 특정 식별 코드(연산 코드)를 가질 때, 처리부(6)는 이 비동기 데이터의 내용을 인식하여 디바이스 리모컨 데이터 처리부(15)로 조작 정보를 전달한다.
처리부(15)는 수신한 조작 정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처리부(6)에 지시를 내리고, 그것을 받아서 처리부(6)은 응답 메시지를 작성하여 송수신부(5)를 경유해서 전송로(1)상으로 응답 메시지를 송출한다.
여기서, 제어 대상 디바이스가 이 비동기 데이터를 송신한 컨트롤러 이외의 컨트롤러로부터의 예약되어 있지 않고 또한 이 조작 정보를 서포트하고 있는 경우에만 처리부(15)는 승낙을 나타내는 응답을 컨트롤러로 되돌려보내도록 처리부(6)에 지시를 내린다. 이 승낙을 나타내는 응답은 디바이스가 컨트롤러로부터의 조작 정보를 접수하였다는 것만을 나타내고, 그 조작 정보대로 동작하는지의 여부를 묻지 않도록 해 둔다. 이렇게 해서, 무효한 조작이더라도 디바이스가 동작하지 않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무효하다는 것을 인식시킬 수 있어 종래의 기기의 리모컨과 마찬가지의 조작 감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그 밖의 식별 코드를 갖는 비동기 데이터에 대해서는 처리부(6)는 이들의 유효성을 판정해서 유효하면 이들이 나타내는 기능의 실행을 기기 내부 제어부(8)에 지시한다.
<2> 컨트롤러에서 기기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기기 구성 정보(7)을 요구받았을 때, 송수신부(5) 등을 경유해서 수취한 요구에 따라서 기기 구성 정보(7)에 기록된 정보를 송수신부(5) 등을 경유해서 컨트롤러로 송출한다. 또, 처리부(6)은 컨트롤러로부터 이 디바이스의 조작 화면 정보를 요구받았을 때 송수신부(5) 등을 경유해서 수취한 요구에 따라서 제어부(8) 내에서 작성 또는 유지하고 있는 조작 화면 정보를 송수신부(5) 등을 경유해서 컨트롤러로 송출한다.
<3> 제어부(8)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비동기 데이터를 디바이스내의 구성 요소로부터 송수신부(5)로 송출하는 것도 실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8)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디바이스가 자발적으로 조작 화면 정보를 컨트롤러로 송출한다.
<4> 메시지의 전송과는 별도의 대용량 전송방식의 프로토콜을 서포트하는 경우, 이 방식에 이용하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인 입출력구를 나타내는 플러그의 설정 등도 실행한다.
또한, 디바이스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6)은 디바이스 리모컨 데이터 처리부(15) 또는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부(5)와 각각 하나의 부로서 구성해도 좋다. 또, 조작 화면 정보는 비동기 데이터로서 전송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스트림 데이터에 중첩시켜 동기 데이터로서 컨트롤러로 송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2. 기기 구성 정보(7)의 기술 방법은 예를 들어 ISO/IEC 13213-1994 규격으로 표시되는 CSR(Command and Status Registers) 아키텍쳐의 컨피규레이션(configuration) ROM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규칙에 따라 실행할 수 있다. 전송로(1)에 1394 버스를 이용하는 경우, 이 정보(7)은 예를 들어 (i) 버스 매니져[역주: bus-manager]나 아이소크로너스[역주: isochronous] 동작을 서포트하고 있는지 여부와 같은 기기가 대응[역주: manage]하는 버스의 정보나 (ii) 예를 들어 AV 프로토콜을 서포트하고 있는지 여부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유닛 디렉토리나 (iii) 이 기기의 식별 정보인 고유 ID 등을 포함한다.
3. 기기 내부 제어부(8)은 디바이스의 조작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 디바이스의 조작 화면 정보는 화면 전체 또는 일부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화면 비트 맵으로 해도 되고, 비디오 움직임 화상과 같은 스트림 데이터로서 갖고 있어도 된다. 또, 이 조작 화면 정보는 디바이스의 조작에 필요한오브젝트와 이 오브젝트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ID 등)로 구성되는 표시 데이터인 것으로 해도 좋다. 이들의 조작 화면 정보는 각각 적절한 방법으로 컨트롤러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화면 비트 맵이나 오브젝트로 이루어지는 표시 데이터의 경우, 미리 컨트롤러의 플러그와 디바이스의 플러그 사이에 대용량 데이터 전송용의 커넥션(connection:결선)을 설정하고, 이 커넥션상으로 대용량 데이터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화면 비트 맵을 전송한다. 스트림 데이터의 경우는 미리 동기 데이터용의 커넥션을 설정하고, 이 커넥션상으로 스트림을 전송한다.
또한, 디바이스의 조작 화면 정보는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디바이스는 조작 화면 정보를 갖지 않고 컨트롤러로 조작 화면 정보를 전혀 전송하지 않도록 구성하더라도 상관없다..
이상, 도 1 및 도 2에 의해 컨트롤러와 디바이스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각각의 리모컨(16, 12), 리모컨 수신부(17, 13)(도 4 참조), 리모컨 조작 판정부(18, 14), 리모컨 데이터 처리부(19, 15),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11), 및 디바이스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는 각각 동일한 처리를 실행한다. 따라서, 각각, 동일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도 4는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 등의 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본 실시예의 디바이스의 블럭도이다. 이 도 4에 있어서, 도 1 및 도 3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디바이스 신호 처리부(4)는 동기 데이터를 동기 데이터 송수신부(3)로부터 수취하고, 디바이스에 따른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이 디바이스가 디지털 VTR 등의 기록 재생 기기이면, 동기 데이터를 기록 미디어(예를 들어, 자기테이프)에 기록한다. 또, 처리부(4)는 기록 미디어, 방송파 등으로부터 동기 데이터를 취출하여 송수신부(3)에 송신하는 것도 실행한다.
디바이스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6)는 동기 데이터용의 대역이나 채널의 확보, 설정을 실행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동기 데이터의 논리적 또는 물리적인 입출력구를 나타내는 플러그의 설정 등도 실행한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스트림 데이터를 컨트롤러에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소정의 시간 간격을 규정한 경우의 컨트롤러의 동작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6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컨트롤러 리모컨 수신부(17)는 컨트롤러 리모컨(16)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판정부(18)로 전송한다. 여기서, 리모컨(16)으로부터의 적외선 신호는 사용자의 조작 정보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조작한 리모컨(16)상의 조작 부품(예를 들어, 버튼)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사용자가 그 조작 부품을 누르고 있는 동안 일정 시간 간격마다 사용자가 조작 부품(예를 들어, 버튼)을 누르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온(on)"의 신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모컨이 "온" 신호를 연속해서 발신할 때의 시간 간격을 리모컨 신호 송신 시간 간격이라고 하고, 리모컨 조작 판정부가 리모컨으로부터의 조작 정보를 체크하는 시간 간격을 리모컨 신호 판정 시간 간격이라고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러 및 디바이스에 대해서 리모컨 신호 송신 시간 간격과 리모컨 신호 판정 시간 간격은 동등한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동등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컨트롤러의 경우, 송신 시간 간격 및 판정 시간 간격은 컨트롤러가 독자적으로 정한 것이며, 반드시 다른 컨트롤러나 디바이스의 송신 시간 간격이나 판정 시간 간격과 동등하다고는 할 수 없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이 컨트롤러 리모컨 신호 판정 시간 간격은 소정의 시간 간격을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컨트롤러 리모컨 조작 판정부(18)는 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타임 카운터 기능을 갖고, 리모컨 판정 시간 간격마다 사용자의 조작을 판정한다.
우선, 조작 판정부(18)는 수신부(17)로부터 임의의 조작 부품(예를 들어, 버튼)에 대한 "온" 신호를 수신하면, 리모컨(16)상의 어느 조작 부품이 눌려졌는지를 이 신호에 의해 판정하고, 이 조작 부품의 상태를 "릴리스"에서 "프레스"로 이행시켜 이 상태 변화를 처리부(19)로 전달한다.
다음에, 임의의 "온" 신호가 오고 나서 판정 시간 간격 후에 다음의 "온" 신호가 오지 않았을 때에는 판정부(18)은 사용자가 컨트롤러 리모컨(16)상의 이 조작 부품을 누름 해제 했다고 판정하여, 이 조작 부품의 상태를 "프레스"에서 "릴리스"로 이행시켜 처리부(19)로 전달한다.
한편, 판정 시간 간격 후에 다음의 "온" 신호가 왔을 때에는 판정부(18)은 사용자가 컨트롤러 리모컨(16)상의 이 조작 부품을 누른 상태 그대로라고 판정하여 "프레스"의 상태를 유지하여 처리부(19)로 전달한다.
또한, 판정부(18)은 컨트롤러 리모컨(16)이 "온" 신호를 발신하는 시간 간격보다 다소의 시간 여유를 부가한 시간 간격으로 "프레스", "릴리스"의 판정을 실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단, 이 시간 간격은 소정의 시간 간격 이내일 필요가 있다.
또, 판정부(18)이 "릴리스"라고 판정한 후 다음의 "프레스"를 판정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은 컨트롤러 리모컨을 언제 조작할 것인가와 같은 사용자의 의지에 관계되기 때문에, 판정 시간 간격과는 관계가 없다.
컨트롤러 리모컨 데이터 처리부(19)는 판정부(18)로부터, 사용자가 조작한 조작 부품을 특정하는 조작 부품 특정 정보와 그 조작 부품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후, 상태 정보라 함)를 취득하고, 이 조작 부품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컨트롤러 내에서 처리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에는 조작 부품마다 컨트롤러 내에서 처리해야 하는지, 대상으로 되는 디바이스로 송신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조작 부품 일람표를 이용한다.
처리부(19)는 컨트롤러 내에서 처리해야 하는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9)로 조작 부품 특정 정보와 그 조작 부품의 상태 정보를 전달한다. 한편, 제어 대상의 디바이스로 송신해야 하는 경우에는 송신해야 할 디바이스의 식별자, 조작 부품 특정 정보 및 조작 부품의 최신의 상태 정보를 그 조작 부품의 상태가 변화할 때마다 처리부(11)로 전달하고 해당 디바이스로의 메시지의 발행을 의뢰한다.
또한, 이 표는 애플리케이션(9)에 의해 설정되어 있고, 조작 정보의 송신처의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조작 부품마다가 아니고예를 들어 "상", "하", "좌", "우" 및 "선택"을 하나의 그룹으로 해서 그룹마다 조작 정보의 송신처를 나타내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이 표는 컨트롤러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11)에 의해 컨트롤러 외부에서 설정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디바이스가 디바이스 리모컨으로부터 조작 정보를 수신한 경우의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7에 있어서, 도 4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디바이스 리모컨 수신부(13)은 디바이스 리모컨(12)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디바이스 리모컨 조작 판정부(14)로 전송한다. 여기서, 리모컨(12)로부터의 신호는 사용자의 조작 정보로 이루어지고, 리모컨(12)의 조작 부품 특정 정보와 함께 사용자가 그 조작 부품을 누르고 있는 동안 사용자가 조작 부품을 누르고 있음을 나타내는 "온" 신호를 일정 시간 간격마다 수신부(13)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디바이스의 리모컨 신호 송신 시간 간격과 디바이스의 리모컨 신호 판정 시간 간격은 컨트롤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정의된다. 디바이스의 리모컨 신호 판정 시간 간격은 디바이스측에서 독자적으로 정한 것으로서, 반드시 다른 컨트롤러나 다른 디바이스의 리모컨 신호 판정 시간 간격과 동일하다고는 할 수 없지만, 적어도 상술한 소정의 시간 간격보다 작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리모컨(12)는 적외선, 무선, 유선 등의 부에서 신호를 송신하고, 이들의 부 및 전송 방법은 컨트롤러의 그것과 달라도 좋다.
디바이스 리모컨조작 판정부(14)는 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시간 카운터 기능을 갖고, 리모컨 신호 판정 시간 간격마다 사용자의 조작을 판정한다. 우선, 판정부(14)는 수신부(13)로부터 "온" 신호를 수신하면, 디바이스 리모컨(12)상의 어떤 조작 부품이 눌려졌는지를 이 신호에 의해 판정하고, 이 조작 부품의 상태를 "릴리스"에서 "프레스"로 이행시키고 이 상태 변화를 디바이스 리모컨 데이터 처리부(15)로 전달한다. 다음에, 임의의 "온"신호가 오고 나서 판정 시간 간격 후에 다음의 "온" 신호가 오지 않았을 때에는 판정부(14)는 사용자가 리모컨(12)상의 이 조작 부품을 누름 해제라고 판정하고, 이 조작 부품의 상태를 "프레스"에서 "릴리스"로 이행시켜 처리부(15)로 전달한다. 한편, 판정 시간 간격 후에 다음의 "온" 신호가 왔을 때에는 판정부(14)는 사용자가 리모컨(12)상의 이 조작 부품을 누른 상태 그대로라고 판정하고, "프레스"의 상태를 유지하여 처리부(15)로 전달한다.
또한, 판정부(14)는 리모컨(12)이 "온" 신호를 발신하는 시간 간격보다 다소의 시간여유를 부가한 시간 간격을 리모컨 신호 판정 시간 간격으로 "프레스", "릴리스"의 판정을 실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판정부(14)가 "릴리스"라고 판정한 후 다음의 "프레스"를 판정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은 컨트롤러 리모컨을 언제 조작할 것인가와 같은 사용자의 의지에 관계되기 때문에, 판정 시간 간격과는 관계가 없다.
디바이스 리모컨 데이터 처리부(15)는 판정부(14)로부터 조작 부품 특정 정보와 조작 부품의 상태 정보를 취득하고, 조작 부품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디바이스 내에서 처리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에는 조작 부품마다 디바이스 내에서 처리해야 하는지, 대상으로 되는 디바이스로 송신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조작 부품 일람표를 이용한다. 디바이스 내에서 처리해야 하는 경우에는처리부(15)는 조작 부품 특정 정보와 조작 부품의 상태 정보를 기기 내부 제어부(8)로 전달한다. 제어부(8)은 그들을 수신하고 이들의 정보에 따른 동작을 실행한다. 이 동작이란 재생(play)이나 정지(stop) 등과 같은 디바이스의 기능의 실행이나 채널 설정 등과 같은 디바이스의 각종 설정, 그리고 커서 이동 등과 같은 디바이스의 조작 화면 정보의 변경 등이다. 여기서, 제어부(8)은 이 조작 부품이 1회 눌려졌는지/길게 눌려졌는지의 판정을 판정 시간 간격에 근거하여 실행한다. 즉, 이 조작 부품의 "프레스"의 상태가 판정 시간 간격 이내이면 1회 누름이라고 간주하여 1회 누름의 동작을 실행하고, 판정 시간 간격 이상이면 길게 누름이라고 판정하여 길게 누름 시의 동작을 실행한다. 이 판정 시간 간격은 소정의 시간 간격과 동일하거나 또는 긴 시간 간격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 리모컨의 판정 시간 간격을 소정의 시간 간격보다 작게 함으로써, 디바이스 리모컨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해서도 디바이스는 정확하게 1회 누름을 판정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조작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른 디바이스로 송신해야 하는 경우에는 송신해야 할 디바이스의 식별자, 조작 부품 특정 정보, 그 조작 부품의 최신의 상태 정보를 그 조작 부품의 상태가 변화할 때마다 처리부(6)으로 전달하고, 해당 디바이스로 메시지의 발행을 의뢰한다.
또한, 조작 부품 일람표는 제어부(8)에 의해 설정되어 있지만, 처리부(6)에 의해 디바이스 외부에서 설정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이 표는 조작 부품에 대한 조작 정보를 송신해야 할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또 조작 부품마다가 아니고, 예를 들어 "상", "하", "좌", "우" 및 " 선택"을 하나의 그룹으로하여 그룹마다 조작 정보의 송신처를 나타내도록 구성해도 좋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디바이스가 컨트롤러로부터의 리모컨 조작 정보를 수신한 경우의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에 있어서, 도 4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디바이스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6)가 컨트롤러 리모컨(16)(도 1 참조)에 의해 실행된 조작을 전송로(1)로부터의 메시지로서 수신한 경우, 처리부(6)는 이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조작 정보를 처리부(15)로 전달한다.
디바이스 리모컨 데이터 처리부(15)는 이 조작 정보에 의해 조작 부품을 특정하고 이 조작 부품의 상태를 검출한다. 처리부(15)는 처리부(6)로부터 "프레스"를 포함하는 조작 정보를 수신했을 때에는 이 조작 부품의 상태를 "프레스"로 설정하고, "릴리스"를 포함하는 조작 정보를 수신했을 때에는 이 조작 부품의 상태를 "릴리스"로 설정한다. 이 경우, "프레스"후, 타임아웃(time out) 시간을 지나도 "릴리스"가 오지 않은 경우에는 전송로(1) 등에서 "릴리스"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소실된 것으로 간주하고, 이 조작 부품의 상태를 "릴리스"로 한다. 따라서, 음량의 업/다운 등의 지시를 컨트롤러 리모컨(16)을 이용해서 실행하는 경우에도 음량이 지나치게 커지는 일 없이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컨트롤러 리모컨(16)을 계속 누르고 있는 경우에는 컨트롤러는 타임아웃 시간 간격 이내에 계속해서 "프레스"를 나타내는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여기서, 타임아웃 시간 간격은 소정의 시간 간격보다 크게 설정한다.
기기 내부 제어부(8)은 조작 부품 특정 정보와 상태 정보를 처리부(15)에서 수신하고, 이들에 따른 동작을 실행한다. 여기서, 제어부(8)은 이 조작 부품이 1회 눌려졌는지/길게 눌려졌는지의 판정을 판정 시간 간격에 따라서 실행한다. 즉, 이 조작 부품의 "프레스"의 상태가 판정 시간 간격 이내이면 1회 누름이라고 간주하여 1회 누름의 동작을 실행하고, 판정 시간 간격 이상이면 긴 누름이라고 판정하여 긴 누름시의 동작을 실행한다. 이 판정 시간 간격은 소정의 시간 간격과 동일하거나 또는 긴 시간 간격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1회 누름인 경우의 동작은 음량의 1단계 업이고, 긴 누름시의 동작은 음량의 연속 업이며, 또, 1회 누름의 경우의 동작은 연속 고속 재생이며, 긴 누름시의 동작은 조작 부품을 누르고 있는 동안만의 고속 재생 등이다. 따라서, 1회 누름인 경우, 컨트롤러의 메시지 발행 간격을 소정의 시간 간격 이내로 하는 것에 의해, 디바이스는 정확하게 1회 누름을 판정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조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제어 대상인 기기의 리모컨을 사용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의 감각으로 컨트롤러의 리모컨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6, 도 7 및 도 8에서는 컨트롤러 리모컨 및 디바이스 리모컨으로부터의 "온" 신호 1회로 1회 누름 판정을 실행하는 것으로 했지만, 여러회의 "온" 신호에 의해 1회 누름을 판정해도 좋고, 그 경우에도 소정의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여기서는 조작 부품은 리모컨상의 버튼으로서 설명했지만, 리모컨의 조작 부품으로서 버튼 뿐만 아니라, 슬라이더, 다이얼, 트랙볼 등의 조작 부품에 대해서도 이동 방향이나 이동 개시/정지 등을 나타내는 액션 정보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실현 가능하고,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리모컨에서 컨트롤러 또는 디바이스로의 신호 전송 방식은 임의이며, 사용자의 조작 정보(액션 정보와 조작 부품 특정 정보)를 통지할 수 있기만 하면 좋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의 디바이스의 동작에 있어서, 설계상의 유의점이 있으므로, 이하에 간단히 설명해 둔다.
도 9는 디바이스가 컨트롤러로부터의 리모컨 조작 정보를 수신한 경우의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있어서, 도 8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디바이스 리모컨 데이터 처리부(15)는 전송로(1)로부터의 메시지를 디바이스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6)에서 수신하고, 이 메시지에 포함되는 조작 정보에 의해 조작 부품을 특정하여 이 조작 부품의 상태를 검출한다. 여기서, 처리부(6)로부터 "프레스"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수신했을 때에는 이 조작 부품의 상태를 "프레스"로 설정하고, "릴리스"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수신했을 때에는 이 조작 부품의 상태를 "릴리스"로 설정한다. 기기 내부 제어부(8)는 디바이스 리모컨 데이터 처리부(15)로부터 조작 부품 특정 정보와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이들에 따른 동작을 실행한다.
만일, 컨트롤러의 메시지 발행 간격이 조작 부품의 1회 누름임에도 불구하고 디바이스의 1회 누름/긴 누름 판정을 실행하는 판정 시간 간격보다 긴 경우, 디바이스는 긴 누름이라고 판정하고 이 조작 부품의 긴 누름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해 버린다. 도 8 등의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바람직하지 못한 동작은 소정의 시간 간격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없앨 수 있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컨트롤러 리모컨 조작 판정부의 동작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이 판정부의 종료 처리 및 여기서 처리되는 조작 부품 특정 정보에 관해서는 생략하고 있다.
단계(301)에 있어서, 컨트롤러 리모컨 조작 판정부(18)는 변수의 초기화를 실행한다. 여기서, tr은 타임 카운터의 값이며 초기값으로서 0을 설정한다. 이 타임 카운터의 값은 시간이 변화함에 따라 증가하고, 여기서는 사용자가 조작 부품을 누름 해제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의 계측에 이용한다. 또, State는 이 조작 부품의 상태를 나타내며, State=1인 경우는 조작 부품이 눌려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State=0인 경우는 조작 부품이 누름 해제 상태를 나타낸다.
단계(302)에 있어서, 컨트롤러 리모컨 수신부(17)로부터의 입력을 체크한다.
컨트롤러 리모컨 수신부(17)에서 "온"의 입력이 있었을 때에는 단계(304)에서 State를 1로 하고 이 조작 부품의 상태를 "프레스"의 상태로 한다. "온"의 입력이 없을 때에는 단계(303)에서 타임아웃 판정을 실행한다. 단계(303)에서는 이 시점에서의 타임 카운터의 값이 판정 시간 간격 tr0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작은 경우에는 단계(302)로 되돌아간다.
또, 단계(303)에서 타임 카운터의 값 tr이 tr0보다 클 때에는 단계(305)에서 State를 0으로 하고 이 조작 부품의 상태를 "릴리스"로 한다.
단계(304) 및 단계(305)의 처리가 종료한 후, 단계(306)에서 타임아웃 카운터의 값 tr을 0으로 하고 단계(302)로 되돌아간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흐름도는 일례이며, 이 이외의 방법에 의해 컨트롤러 리모컨 조작 판정부(18)의 동작을 실현해도 좋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컨트롤러 리모컨 데이터 처리부의 동작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 이 처리부의 종료 처리 및 여기서 처리되는 조작 부품 특정 정보에 관해서는 생략하고 있다.
우선, 단계(311)에 있어서, 컨트롤러 리모컨 데이터 처리부(19)는 판정부(18)로부터의 입력인 조작 부품의 상태 정보(State)가 1("프레스")로 되는 것을 대기한다.
조작 부품의 상태 정보가 "프레스"로 된 후, 단계(312)에서 사용자의 조작 정보로서 "프레스" 및 조작 부품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발행하고 그것을 송신하도록 컨트롤러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11)에 의뢰한다.
그 후, 단계(313)에서 처리부(19)는 판정부(18)로부터의 입력인 조작 부품의 상태 정보(State)가 0("릴리스")으로 되는 것을 대기한다. 조작 부품의 상태 정보가 "릴리스"로 된 후, 단계(314)에서 사용자의 조작 정보로서 "릴리스" 및 조작 부품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발행하고 그것을 송신하도록 처리부(11)에 의뢰한다.
그 후, 단계(311)로 되돌아가 이 처리를 반복한다.
단, 조작 부품의 상태가 변화한 경우에 있어서의, 처리부(19)의 처리 시간의 오차, 판정부(18)의 처리 시간의 오차 및 컨트롤러 리모컨 신호 판정 시간 간격의 합은 소정의 시간 간격보다 작게 되도록 설정해 둘 필요가 있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컨트롤러 리모컨 데이터 처리부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로서, "프레스"와 "릴리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사이의 시간 간격이 소정의 시간 간격을 초과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유효하다. 단, 이 처리부의 종료 처리 및 여기서 처리되는 조작 부품 특정 정보에 관해서는 생략하고 있다. 또, 도 1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단계(311)에 있어서, 처리부(19)는 판정부(18)로부터의 입력인 조작 부품의 상태 정보(State)가 1("프레스")로 되는 것을 대기한다.
조작 부품의 상태 정보가 "프레스"로 된 후, 단계(312)에서 사용자의 조작 정보로서 "프레스" 및 조작 부품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발행하고 그것을 송신하도록 컨트롤러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11)에 의뢰한다. 그 후, 단계(315)에 있어서, 타임 카운터의 값 tb를 0으로 설정한다. 이 타임 카운터의 값은 시간이 변화함에 따라 증가하고, 여기서는 메시지의 발행 시간 간격을 계측하는 데 이용한다.
그리고, 단계(313)에서 처리부(19)는 판정부(18)로부터의 입력인 조작 부품의 상태 정보(State)가 0("릴리스")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조작 부품의 상태 정보(State)가 0이 아니면, 단계(316)에서 타임 카운터의 값 tb가 소정의 시간 간격 tb0보다 큰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단계(316)에서 타임 카운터의 값 tb가 소정의 시간 간격 tb0보다 작거나 또는 동일할 때, 단계(313)으로 되돌아가 이들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 단계(313)에서 조작 부품의 상태 정보(State)가 0("릴리스")일 때 또는 단계(316)에서 타임 카운터의 값 tb가 소정의 시간 간격 tb0보다 큰 경우에는 단계(314)로 이행한다.
단계(314)에서는 사용자의 조작 정보로서 "릴리스" 및 조작 부품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처리부(11)에 의뢰한다. 그리고, 단계(317)에 있어서, 타임 카운터의 값 tr이 컨트롤러 리모컨 신호 판정 시간 간격보다 커질 때까지 대기하고, 그 후, 단계(311)로 되돌아가 이 처리를 반복한다.
이와 같이 처리부(19)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조작 정보로서 "프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 이후에 소정의 시간 간격 이내에 "릴리스"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게 되고, 처리부(19)의 처리 시간의 오차, 판정부(18)의 처리 시간의 오차 및 컨트롤러 리모컨 신호 판정 시간 간격의 합이 소정의 시간 간격보다 커지는 경우나 설계상의 상황에 따라 컨트롤러 리모컨 신호 판정 시간 간격이 소정의 시간 간격보다 커지는 경우에 대해서도 원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긴 누름보다도 중요한 조작을 하는 경우가 많은 1회 누름을 디바이스가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컨트롤러와 디바이스 사이의 메시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3 및 도 1에 있어서, 우선, 컨트롤러 리모컨(16)상의 조작 부품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졌을 때, 컨트롤러는 컨트롤러 리모컨 데이터 처리부(19)의 지시에 따라서 컨트롤러 비동기 데이터 처리부(11)이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부(5) 및 패킷 송수신부(2)를 이용하여 전송로상으로 메시지(103)을 송신한다.
이 메시지(103)에는 조작 부품 특정 정보와 조작 부품에 대한 조작 "프레스"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가 사용자의 조작 정보로서 포함된다. 디바이스가 이 메시지(103)을 수신했을 때, 이 메시지(103)에 대한 응답(113)을 컨트롤러로 되돌려 보낸다.
다음에, 리모컨(16)상의 조작 부품이 누름 해제되었을 때, 마찬가지로 해서 컨트롤러는 처리부(19)의 지시에 따라서 처리부(11)이 전송로상으로 메시지(104)를 송신한다. 디바이스가 이 메시지(104)를 수신했을 때, 이 메시지(104)에 대한 응답(114)를 컨트롤러로 되돌려 보낸다.
여기서, 사용자가 조작 부품의 1회 누름을 한 경우, 컨트롤러는 응답(113)을 수신하고 나서 메시지(104)를 소정의 시간 간격 이내에 송신한다.
또, 디바이스는 응답(113)을 송신한 후, 소정의 시간 간격 이상의 판정 시간 간격으로 1회 누름인지/긴 누름인지를 판정한다.
또한, 메시지의 패킷에 대한 응답은 생략하고 있지만, 메시지(103, 113, 104, 114)의 각각에 대해서 정상으로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 패킷이 송신되도록 구성해도 상관없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작 화면 정보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15는 컨트롤러에서의 조작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 있어서, 조작 화면 정보내의 하나의 패널은 VTR의 메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표제, 타이틀 화면, 더 나아가서는 배경 정보나 크기 등의 독자 정보와 그룹으로의 링크 즉 그룹의 식별 정보를 속성 정보중에 갖는다. 이 그룹은 기능이나 표시에 따른 표시 부품의 집합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콘텐츠, 데크부, 튜너부의 3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그룹은 그룹의 크기, 배치나 배경 정보 등의 독자 정보와 표시 부품으로의 링크 즉 표시 부품의 식별 정보를 속성 정보중에 갖는다. 이 표시 부품으로의 링크는 이 그룹에 속하는 표시 부품을 나타낸다.
또, 표시 부품은 아이콘, 버튼, 슬라이더, 체크 박스(check box), 텍스트 엔트리 등의 부품으로서, 독자 정보로서 표시 부품의 크기, 배치, 상태 정보, 변수 정보 등과 표시 데이터로의 링크(표시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속성 정보중에 갖는다.
또, 표시 데이터는 패널, 그룹 또는 표시 부품의 표시 데이터로서, 정지 화상 데이터, 움직임 화상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프로그램 데이터 등의 데이터이다.
또한, 슬라이더, 체크 박스나 텍스트 엔트리와 같은 표시부품은 표시 데이터를 갖지 않기 때문에 그의 특징, 기능이나 동작을 표시 부품으로서 나타내고, 그 표시는 컨트롤러에 의존하도록 구성해도 좋고, 표시 데이터는 정지 화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나 텍스트 데이터 등의 기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코드 등으로 구성해도 좋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 화면 정보는 리스트 형식의 계층화 구조를 갖는 것으로 했지만, 반드시 리스트 형식일 필요는 없으며, 표형식, 디렉토리 형식 등의 방법으로 실현해도 좋고, 더 나아가서는 계층 구조를 갖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조작 화면 정보의 표시예로서, 여기서, (40)은 컨트롤러의 화면이다. 컨트롤러의 화면(40)에는 도 14에 도시한 패널이 각 표시 부품의 속성 정보에 따라서 표시된다.
도 16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작 화면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의 수순의 일례로서, 메시지의 송수신과 다른 프로토콜에 의해 조작 화면 정보의 전송을 실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이후, 메시지의 송수신을 실행하는 프로토콜을 제 1프로토콜이라 하고, 조작 화면 정보의 송수신을 실행하는 프로토콜을 제 2 프로토콜이라 함)
1. 디바이스가 전송로(1)에 접속된 경우,이 전송로(1)(도 1 참조)상에 있는 컨트롤러는 버스 리세트 신호 등에 의해 신규 디바이스를 인식하고, 애플리케이션(9)의 지시에 의해 신규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로(1)을 통해서 기기 구성 정보(7)(도 2 참조)내에 기록된 디바이스의 정보를 판독한 후, 이 디바이스 자신을 나타내는 데이터 오브젝트 예를 들어 텍스트 오브젝트, 정지화상 오브젝트 등을 판독하고, 그리고 이들을 애플리케이션(9)내에 등록한다. 애플리케이션(9)는 그 데이터 오브젝트를 이용해서 이 컨트롤러에 접속되어 있는 디바이스의 일람을 표시한다.
다음에, 사용자가 리모컨 등의 조작에 의해 디바이스의 정지 화상 오브젝트를 선택한 경우, 애플리케이션(9)는 디바이스의 조작 화면 정보를 요구하고, 디바이스의 패널(메뉴)을 판독하여 기억한다.
이 때, 우선 컨트롤러는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필요한 컨트롤러 내의리소스(resourse)를 확보하고, 도 16에 도시한 메시지 송신(101) 즉 커넥션 요구를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그 다음에, 디바이스는 커넥션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가능하면 커넥션한다.
컨트롤러가 메시지 응답(111)에 의해 디바이스가 승낙한 것을 확인하면, 컨트롤러는 자신을 커넥션해서 켜넥션이 확립하게 된다.
2. 컨트롤러는 메시지 송신(102)에서 데이터의 전송 요구를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이 송신에 대한 응답으로서, 디바이스는 메시지 응답(112)를 되돌려 보냄과 동시에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조작 화면 정보 예를 들어 패널(메인 메뉴)의 데이터를 데이터(201)로서 컨트롤러로 송신한다.
여기서, 통지 범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컨트롤러가 디바이스에 통지해 두면, 컨트롤러가 현재 표시하고 있지 않은 정보 등의 주목하고 있지 않은 정보에 대해서 디바이스는 컨트롤러로 변경 통지를 하지 않으므로, 컨트롤러가 현재 시점에서 불필요한 데이터를 보내 버리게 되고 처리를 강요당하는 일이 없어져 컨트롤러의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해서, 컨트롤러는 패널의 전체 데이터를 취득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
3. 사용자가 리모컨의 조작 부품을 누른 경우, 예를 들어 상하 좌우를 나타내는 십자 버튼 등을 누른 경우, 처리부(19)는 사용자의 조작 정보로서 이 조작 부품 특정 정보와 이 조작 부품의 상태 정보 "프레스"를 메시지 송신(103)으로서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이 응답으로서 메시지 응답(113)이 디바이스에서 컨트롤러로 송신된다.
이 응답은 통상 메시지가 정상으로 수신된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디바이스가 이 조작대로 동작하는지의 여부는 디바이스가 판단한다. 한편, 사용자가 리모컨의 이 조작 부품을 누름 해제한 경우, 처리부(19)는 사용자의 조작 정보로서 이 조작 부품 특정 정보와 액션 정보"릴리스"를 메시지 송신(104)로서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이 응답으로서 메시지 응답(114)가 디바이스에서 컨트롤러로 송신된다. 통상, 이 응답은 정상으로 수신된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디바이스가 이 조작대로 동작하는지의 여부는 디바이스가 판단한다.
4. 디바이스내의 상태가 변화하여 디바이스내의 조작 화면 정보가 변화되었을 때, 디바이스는 제 2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자발적으로 변화된 데이터(예를 들어, 조작 화면 정보내의 표시 부품)을 데이터(202)로서 컨트롤러로 송신한다.
변화된 데이터가 하나가 아니라 복수의 표시 부품이 한번에 변화된 경우에는 복수의 표시 부품을 송신할 수 있다. 또, 변경한 데이터의 송신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실행될 뿐만 아니라 디바이스 내부의 상태가 변화된 경우에는 변경된 데이터는 자발적으로 송신된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임의의 타이밍에서 조작 화면 정보를 갱신하여 컨트롤러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5. 애플리케이션(9)는 갱신된 조작 화면 정보를 표시한다.
컨트롤러가 디바이스의 조작 화면 정보의 표시를 종료했을 때에는 컨트롤러는 커넥션에서 자신을 절단하여 메시지 송신(105)(커넥션 절단요구)을 제 1 프로토콜에 의해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디바이스는 커넥션으로의 절단이 타당한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타당하면 커넥션을 절단한다. 메시지 응답(115)에 의해 디바이스가 승낙한 것을 확인하면, 컨트롤러는 자신이 확보하고 있던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필요한 컨트롤러내의 리소스를 해방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커넥션은 컨트롤러가 디바이스의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할 때에 실행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디바이스의 전원이 들어가 있는 동안에는 항상 커넥션을 확립해도 좋다. 또, 컨트롤러가 접속된 디바이스의 일람 등의 GUI 정보를 표시할 때에 커넥션을 확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커넥션의 절단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 2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하는 데이터의 식별 정보 또는 속성 정보중에 사용자로의 강제 통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고, 컨트롤러가 이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에는 강제적으로 화면 표시 또는 오디오 재생을 실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녹화 예약의 중복 등의 디바이스에 의해 허가되지 않은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나 VTR의 테이프가 엉키는 것 등과 같이 디바이스내에서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사용자에 대해서 경고나 지시를 영상이나 음성 등의 GUI 정보로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상황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알아차릴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데이터로서, 화면의 일부 또는 전체의 비트 맵, 텍스트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OSD(On-Screen Display) 데이터를 구성하고, 컨트롤러가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컨트롤러의 화면상에서의 배치 위치는 컨트롤러가 결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는 화면의 크기나 애스펙트비 등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크기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또, 이 데이터는 조작 화면 정보의 전체의 데이터라도 좋고, 메시지 송신(102)에 의해 지정된 패널로 해도 좋다. 물론, 조작 화면 정보는 하나의 패널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도 무방하다.
메시지 응답(112, 113, 114)에는 버전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 때, 컨트롤러는 디바이스의 조작 화면 정보의 버전 정보를 조작 화면 정보 그 자체를 판독하기 전이나 다음의 데이터를 요구하기 전에, 또 디바이스가 자발적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취득할 수 있어, 재차 판독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컨트롤러에 의해 데이터 갱신이나 화면 갱신을 할 필요가 없어 컨트롤러의 처리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보기 쉬운 표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버전 정보의 특정 값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버전 정보의 값이「0」일 때에는 이 표시 부품은 불변인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즉, 정보를 추가하는 일 없이 불변의 표시 부품과 가변의 표시 부품을 처리할 수 있어 컨트롤러의 처리를 간단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정보량을 저감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도 16에서는 송신하는 데이터는 표시 부품 단위로 설명했지만, 변화된 속성 정보만을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변화된 표시 부품의 식별 정보와 함께 변화된 속성 정보만을 보내게 된다. 마찬가지로, 표시 데이터만이 변화된 경우에는 표시 데이터만을 컨트롤러로 송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변화된 속성 정보나 표시 데이터만을 송신함으로써 전송하는 데이터량을 저감할 수 있고, 응답성을 개선하여 디바이스 및 컨트롤러의 처리를 경감할 수 있으므로, 이것도 바람직하다.
도 15는 조작 화면 정보의 표시예로서 도 14에서 설명한 패널을 도시한 일례이다. 여기서는 각 그룹은 컨트롤러의 화면상에 표시하지 않았지만, 그룹의 표제 및 타이틀 화면 등과 함께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도 17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작 화면의 다른 예이다. 여기서, 조작 화면 정보는 비트 맵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OSD(On-Screen Display)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채널번호를 나타내는 "110"의 문자가 배경을 투과색으로 한 비트 맵 데이터로서 디바이스에서 컨트롤러로 보내지고, 컨트롤러는 디바이스에서 수신하고 있는 스트림 데이터 등에 오버래이(overlay)해서 컨트롤러의 화면(40)에 표시한다.
또한, 컨트롤러는 조작 화면 정보를 얻은 디바이스와는 별도의 디바이스로부터의 스트림 데이터를 화면(40)에 표시하고 있는 경우, 표시하고 있는 스트림 데이터를 조작 화면 정보를 송신한 디바이스의 스트림 데이터로 전환하고, 이 스트림 데이터에 오버래이해서 조작 화면 정보를 표시해도 상관없고, 전환하지 않고 조작 화면 정보를 표시해도 상관없다.
또, 조작 화면 정보의 송신 방법은 컨트롤러와 디바이스 사이에서 실행되는 메시지를 이용해서 송신해도 좋고, 메시지와는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실행해도 좋다. 또, 디바이스가 스트림 데이터에 조작 화면 정보를 중첩시키고 컨트롤러는 이 중첩된 스트림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컨트롤러는 조작 화면 정보를 일체 표시하지 않아도 좋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 화면 정보는 시각(visual) 데이터인 것으로 했지만, 오디오 데이터인 것으로 해도 좋고,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 정보에 포함되는 조작 부품 특정 정보로서 음량 업/다운 등을 정의하고 이들을 수신한 디바이스는 오디오의 음량을 높이거나/낮추도록 해도 좋다.
도 18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작 화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컨트롤러 내의 애플리케이션(9)는 리모컨(16)의 기능을 GUI로서 화면(40)상에 표시하고, 사용자는 마우스를 이용해서 마우스 포인터(42)를 움직이고, 마우스(51)상의 조작 부품(예를 들어, 버튼)을 이용해서 이 화면(40)상에 표시된 리모컨(16)을 조작한다. 이 사용자의 조작 정보는 리모컨 신호 대신에 컨트롤러 내부에서 전송되어 수신부(17), 조작 판정부(18), 처리부(19)로 순서대로 전달되고, 도 6 등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처리된다.
이와 같이, 리모컨(16)은 통상의 리모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마우스나 트랙볼 등의 전환디바이스(pointing device)와 GUI를 이용해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컨트롤러가 제공하는 GUI는 디바이스의 기능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컨트롤러 자신의 기능이나 다른 디바이스의 기능 등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 화면상에 스트림 데이터나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조작 화면 정보가 함께 표시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도 19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작 화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컨트롤러내의 애플리케이션(9)는 디바이스가 서포트하는 기능중 컨트롤러리모컨(16)에 없는 기능을 GUI로서 화면(40)상에 표시하고, 사용자는 마우스를 이용해서 이 화면상에 표시된 GUI와 리모컨(16)을 사용하여 디바이스의 모든 기능을 조작할 수 있다.
여기서, 리모컨(16)과 화면(40)상의 GUI는 하나의 컨트롤러 리모컨으로 간주할 수 있고, 이들 사이의 전환을 예를 들어 리모컨(16)상의 전환 버튼에 의해 지시한다. 즉, 미리, 애플리케이션(9) 등이 이 전환 버튼에 대한 조작을 애플리케이션(9)로 전달하도록 처리부(19)에 등록해 둔다. 사용자가 이 전환 버튼을 눌렀을 때, 이 사용자의 조작 정보는 수신부(17), 조작 판정부(18), 처리부(19)로 순서대로 전달되고, 또, 애플리케이션(9)에 통지된다.
이 통지를 받은 애플리케이션(9)는 예를 들어 GUI를 화면(40)상에 표시하고이 GUI 중의 표시 부품에 커서를 표시함과 동시에, 처리부(19)가 리모컨(16)상의 상하 좌우 버튼 및 선택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자신(애플리케이션(9))에 전달하도록 설정한다.
사용자는 리모컨(16)상의 상하 좌우 버튼으로 커서를 이동시키고, 선택 버튼으로 커서가 있는 표시 부품을 조작한다. 이 조작 정보는 애플리케이션(9)로 통지되고, 애플리케이션(9)는 이 조작 정보중 사용자의 액션 정보와 GUI(43)에 의해 커서가 지시하고 있는 표시 부품에 대응하는 조작 부품을 특정하는 정보를 처리부(19)로 송신하고, 처리부(19)는 이들 정보를 조작 정보로서 포함하는 메시지를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처리부(11)에 의뢰한다.
또, 재차 사용자가 이 전환 버튼을 눌렀을 때에는 애플리케이션(9)는 예를들어 GUI를 화면(40)에서 소거하고, 처리부(19)가 컨트롤러 리모컨(16)의 상하 좌우 버튼 및 선택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디바이스로 전달하도록 설정한다.
이와 같이, 컨트롤러 리모컨(16)과 동시에 컨트롤러가 작성한 GUI를 이용해서 디바이스의 제어를 실행할 수도 있고, 컨트롤러 리모컨에 없는 디바이스의 기능도 컨트롤러의 리모컨에 의해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 애플리케이션이 지시한 조작 부품 특정 정보에 따라서 그 정보를 디바이스로 송신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렇게 해서, 컨트롤러의 리모컨상의 조작 부품만으로는 지시할 수 없는 기능을 디바이스가 갖는 경우에도 이들의 기능에 대한 GUI를 컨트롤러가 제공할 수 있어 이들의 기능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 디바이스의 조작 화면 정보를 표시하는 애플리케이션과 그 밖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컨트롤러 상에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 각 애플리케이션마다 각각 적절한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취득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정확하게 디바이스로 조작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윈도우 시스템와 같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전환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컨트롤러가 제공하는 GUI는 디바이스의 기능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컨트롤러 자신의 기능이나 다른 디바이스의 기능 등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화면상에는 스트림 데이터나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조작 화면 정보가 함께 표시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컨트롤러와 디바이스를 실현할 수 있다.
1. 각 기기의 리모컨의 제품 수단 및 신호 규격이 다르더라도 전송로상에 접속된 제어 대상인 기기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2. 제어 대상인 기기의 리모컨에 의해서는 조작할 수 없는 기능이나 컨트롤러의 리모컨에는 구비되어 있지 않은 기능이라도 사용자가 지시할 수 있다.
3. 조작 시간 간격에 따라 지시하는 기능이 다른 리모컨을 조작하는 경우에도, 하나의 조작 부품이 복수의 기능을 갖는 경우에도, 또 하나의 조작 부품에 대한 조작을 완료하기 전에 다른 조작 부품을 조작한 경우에도 정확하게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4. 컨트롤러와 디바이스에 의해 1회 누름/긴 누름을 판정하는 시간 간격이 다른 경우에 있어서도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조작 부품에 대한 1회 누름/긴 누름 등의 조작을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5. 시간 간격을 정확하게 규정할 수 있어 기기 사이에서 준수해야 할 시간 간격이 명확하게 되기 때문에, 각 제조업자 사이에서 호환성이 높은 기기를 만들 수 있다.
6. 컨트롤러의 리모컨 신호 판정 시간 간격을 제조상의 제약 등으로 소정의 시간 간격보다 작게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도 디바이스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7. 컨트롤러의 리모컨의 조작 부품만으로는 지시할 수 없는 기능을 디바이스가 갖는 경우에도 이들의 기능에 대한 GUI를 컨트롤러가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이것을 이용해서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 컨트롤러 상에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도 각 애플리케이션마다 각각 적절한 조작 정보를 취득할 수 있어 정확하게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러는 화면 표시를 실행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화면 표시를 실행하는 표시부를 컨트롤러나 디바이스와는 별도로 갖고, 사용자가 이 표시부의 화면 표시를 보고 컨트롤러에 대해서 리모컨 등에 의해 조작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이 경우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29)

  1. 음향, 영상 및 정보에 관한 데이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복수의 기기가 전송로를 거쳐서 네트워크 구성된 오디오 비디오 컴퓨터 시스템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은,
    a) 리모컨을 갖는 컨트롤러와,
    b)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바이스를 구비하되,
    (Ⅰ) 상기 리모컨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대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전송 간격을 나타내는 소정의 시간 간격이 규정되고,
    (Ⅱ)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해서 상기 조작에 관한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로 변환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에 근거한 판정·처리를 실시해서 상기 디바이스로 송신하고,
    (Ⅲ)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에 근거하여 상기 조작 정보에 대응한 동작을 실행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2. 음향, 영상 및 정보에 관한 데이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복수의 기기가 전송로를 거쳐서 네트워크 구성된 오디오 비디오 컴퓨터 시스템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은,
    a) 리모컨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컨트롤러와,
    b)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바이스를 구비하되,
    (Ⅰ) 상기 리모컨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대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전송 간격을 나타내는 소정의 시간 간격이 규정되고,
    (Ⅱ)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의 조작 화면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에 제공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 화면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고,
    (Ⅲ)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해서 상기 조작에 관한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로 변환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에 근거한 판정·처리를 실시해서 상기 디바이스로 송신하고,
    (Ⅳ)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에 근거하여 상기 조작 정보에 대응한 동작을 실행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3. 음향, 영상 및 정보에 관한 데이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복수의 기기가 전송로를 거쳐서 네트워크 구성된 오디오 비디오 컴퓨터 시스템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은,
    a) 조작하는 시간 간격에 따라서 복수의 기능을 실행하는 조작 부품을 갖는 리모컨을 갖는 컨트롤러와,
    b)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바이스를 구비하되,
    (Ⅰ) 상기 리모컨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대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전송 간격을 나타내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규정하고,
    (Ⅱ)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해서 상기 조작에 관한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로 변환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에 근거한 판정·처리를 실시해서 상기 디바이스로 송신하고,
    (Ⅲ)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에 근거하여 상기 조작 정보에 대응한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복수의 기능 중의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4. 제 1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은 리모컨상의 조작 부품을 누르는 것과 누름 해제한 것 중의 어느 하나인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5. 제 1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리모컨상의 조작 부품을 누른 것을 나타내는 단어"프레스"와 누름 해제를 나타내는 단어"릴리스"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6. 제 1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조작한 상기 리모컨의 조작 부품을 특정하는 조작 부품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7. 제 1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은 리모컨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판정을 실행하는 시간 간격보다 긴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8. 제 1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조작을 판정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9. 제 1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조작이 상기 리모컨의 조작 부품의 1회 누름인지 긴 누름인지를 판정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10. 제 1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복수의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로 송신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은 제 1 상기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응답을 수신하고 나서 제 2 상기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11. 제 1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리모컨 신호 판정 시간 간격이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보다 긴 경우, 상기 리모컨으로부터의 조작 정보를 수신한 후에 상기 제 1 상기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로 송신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 이내에 제 2 상기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12. 음향, 영상 및 정보에 관한 데이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복수의 기기가 전송로를 거쳐서 네트워크 구성된 오디오 비디오 컴퓨터(AVC) 시스템에 이용되고(역주 :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관함) 또한 리모컨을 갖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 대상인 디바이스로서,
    상기 디바이스는,
    a) 리모컨 신호 수신부와,
    b) 상기 리모컨 신호 수신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의 내용을 판정하는 리모컨 조작 판정부를 구비하되,
    (Ⅰ) 상기 리모컨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대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전송 간격을 나타내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규정하고,
    (Ⅱ)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한 상기 조작에 관한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와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에 근거하여 상기 조작 정보에 대응한 동작을 실행하는 디바이스.
  13. 음향, 영상 및 정보에 관한 데이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복수의 기기가 전송로를 거쳐서 네트워크 구성된 오디오 비디오 컴퓨터 시스템에 이용되고(역주 :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관함) 또한 리모컨을 갖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 대상인 디바이스로서,
    상기 디바이스는,
    a) 리모컨 신호 수신부와,
    b) 상기 리모컨 신호 수신부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의 내용을 판정하는 리모컨 조작 판정부를 구비하되,
    (Ⅰ) 상기 디바이스는 자신의 조작 화면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에 제공하고,
    (Ⅱ) 상기 리모컨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대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전송 간격을 나타내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규정하고,
    (Ⅲ)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한 상기 조작에 관한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와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에 근거하여 상기 조작 정보에 대응한 동작을 실행하는 디바이스.
  14. 음향, 영상 및 정보에 관한 데이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복수의 기기가 전송로를 거쳐서 네트워크 구성된 오디오 비디오 컴퓨터 시스템에 이용되고(역주 :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관함) 또한 조작하는 시간 간격에 따라 복수의 기능을 실행하는 조작 부품을 갖는 리모컨을 갖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 대상인 디바이스로서,
    상기 디바이스는,
    a) 리모컨 신호 수신부와,
    b) 상기 리모컨 신호 수신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의 내용을 판정하는 리모컨 조작 판정부를 구비하되,
    (Ⅰ) 상기 리모컨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대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전송 간격을 나타내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규정하고,
    (Ⅱ) 상기 컨트롤러에서 수신한 상기 조작에 관한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에 대해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른 판정·처리를 실시하고, 상기 조작 정보에 대응한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복수의 기능 중의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 디바이스.
  15. 제 12 내지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정보는 상기 리모컨의 조작 부품을 누른 것을 나타내는 단어"프레스"와 누름 해제를 나타내는 단어"릴리스"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6. 제 12 내지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조작한 상기 리모컨의 조작 부품을 특정하는 조작 부품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7. 제 12 내지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조작의 판정을 실행하는 디바이스.
  18. 제 12 내지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상기 조작이 상기 리모컨의 조작 부품의 1회 누름인지 긴 누름인지를 판정하는 디바이스.
  19. 음향, 영상 및 정보에 관한 데이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복수의 기기가 전송로를 거쳐서 네트워크 구성된 오디오 비디오 컴퓨터 시스템에 이용되고(역주 :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관함) 또한 제어 대상인 디바이스를 구비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컨트롤러로서,
    상기 컨트롤러는,
    a) 리모컨과,
    b) 상기 리모컨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 신호 수신부를 구비하되,
    (Ⅰ) 상기 리모컨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대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전송 간격을 나타내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규정하고,
    (Ⅱ)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리모컨 신호 수신부에 의해서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작에 관한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로 변환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에 근거하여 상기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컨트롤러.
  20. 음향, 영상 및 정보에 관한 데이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복수의 기기가 전송로를 거쳐서 네트워크 구성된 오디오 비디오 컴퓨터 시스템에 이용되고(역주 :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관함) 또한 제어 대상인 디바이스를 구비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컨트롤러로서,
    상기 컨트롤러는,
    a) 리모컨과,
    b) 상기 리모컨으로부터의 신호를 취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되,
    (Ⅰ) 상기 디바이스의 조작 화면 정보를 표시하고,
    (Ⅱ) 상기 리모컨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대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전송 간격을 나타내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규정하고,
    (Ⅲ)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서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작에 관한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로 변환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에 근거하여 상기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컨트롤러.
  21. 음향, 영상 및 정보에 관한 데이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복수의 기기가 전송로를 거쳐서 네트워크 구성된 오디오 비디오 컴퓨터(AVC) 시스템에 이용되고(역주 :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관함) 또한 제어 대상인 디바이스를 구비한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리모컨을 갖는 컨트롤러로서,
    상기 컨트롤러는,
    a) 조작하는 시간 간격에 따라 복수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조작 부품을 갖는 리모컨과,
    b) 상기 리모컨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 신호 수신부를 구비하되,
    (Ⅰ) 상기 리모컨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대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전송 간격을 나타내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규정하고,
    (Ⅱ)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리모컨 신호 수신부에 의해서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작에 관한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로 변환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에 근거하여 상기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컨트롤러.
  22. 제 19 내지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은 상기 사용자가 리모컨상의 조작 부품을 누르는 것과 누름 해제한 것 중의 어느 하나인 컨트롤러.
  23. 제 19 내지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리모컨상의 조작 부품을 누른 것을 나타내는 단어"프레스"와 누름 해제를 나타내는 단어"릴리스"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컨트롤러.
  24. 제 19 내지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조작한 상기 리모컨의 조작 부품을 특정하는 조작 부품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컨트롤러.
  25. 제 19 내지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은 리모컨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판정을 실행하는 시간 간격보다 긴 컨트롤러.
  26. 제 19 내지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복수의 상기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로 송신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은 제 1 상기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응답을 수신하고 나서 제 2 상기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을 나타내는 컨트롤러.
  27. 제 19 내지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 신호 판정 시간 간격이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보다 긴 경우, 상기 리모컨으로부터의 조작 정보를 수신한 후에 제 1 상기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로 송신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 이내에 제 2 상기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컨트롤러.
  28. 음향, 영상 및 정보에 관한 데이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복수의 기기가 전송로를 거쳐서 네트워크 구성된 오디오 비디오 컴퓨터 시스템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은,
    a) 리모컨을 갖는 컨트롤러와,
    b)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 대상인 디바이스를 구비하되,
    (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리모컨의 조작 부품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신한 상기 조작에 관한 조작 정보로부터 취득한 상기 조작 부품을 특정하는 조작 부품 특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조작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 송신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디바이스로 송신하고,
    (Ⅱ)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조작 정보에 대응한 동작을 실행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29. 음향, 영상 및 정보에 관한 데이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복수의 기기가 전송로를 거쳐서 네트워크 구성된 오디오 비디오 컴퓨터 시스템에 이용되고(역주 :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관함) 또한 제어 대상인 디바이스를 구비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컨트롤러로서,
    상기 컨트롤러는,
    a) 조작 부품을 갖는 리모컨과,
    b) 상기 리모컨으로부터의 신호를 취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서 수신한 상기 리모컨의 조작 부품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관한 조작 정보로부터 취득한 상기 조작 부품을 특정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조작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 송신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컨트롤러.
KR1020000067800A 1999-11-16 2000-11-15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것에 이용하는 컨트롤러와디바이스 KR200100702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25094 1999-11-16
JP32509499A JP2001145175A (ja) 1999-11-16 1999-11-16 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に用いるデバイス並びにコントロー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220A true KR20010070220A (ko) 2001-07-25

Family

ID=18173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800A KR20010070220A (ko) 1999-11-16 2000-11-15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것에 이용하는 컨트롤러와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102486B1 (ko)
JP (1) JP2001145175A (ko)
KR (1) KR20010070220A (ko)
DE (1) DE60019237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035B1 (ko) * 2006-02-11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트 유저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기반 네트워크 시스템 및그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580A (ko) * 2001-06-26 2003-01-06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통합 리모콘 장치 및 방법
JP4805861B2 (ja) * 2007-02-20 2011-11-02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ワンセグデータ放送受信装置、ワンセグデータ放送受信方法、およびワンセグデータ放送受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JP6160929B2 (ja) * 2012-08-07 2017-07-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機器制御方法、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18125A1 (de) * 1992-06-02 1993-12-09 Tadicom Deutschland Gmbh Fernsteuereinrichtung für ein Bildschirmgerät
US5488357A (en) * 1993-01-06 1996-01-30 Sony Corporation Remote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eature starting method and controlling method for audio/visual system
JPH06351070A (ja) * 1993-06-08 1994-12-22 Sony Corp 遠隔操作装置及び遠隔操作システム
US6038625A (en) * 1998-01-06 2000-03-14 Sony Corporation Of Japa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device identification mechanism within a consumer audio/video networ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035B1 (ko) * 2006-02-11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트 유저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기반 네트워크 시스템 및그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02486A2 (en) 2001-05-23
JP2001145175A (ja) 2001-05-25
EP1102486B1 (en) 2005-04-06
DE60019237D1 (de) 2005-05-12
EP1102486A3 (en) 2003-05-07
DE60019237T2 (de) 200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34467B2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制御装置
KR100460219B1 (ko)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JP5036098B2 (ja) ディジタルバスを介して周辺電子装置を制御するディジタルテレビジョン装置
US6957396B2 (en) Graphic user interface for digital networks
KR100230281B1 (ko) 프로그램 번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과 프로그램 번호 전송 및 수신방법
US8286204B2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020040474A1 (en) Video processing device
US6684110B1 (en) Control system, apparatus, and method in which display characteristics of an operation panel are changeable
WO2000044146A1 (fr) Systeme de gestion de reseau, controleur, cible et consommateur destines a etre utilises dans ledit systeme de gestion de reseau
WO1999059374A1 (fr) Systeme de commande de reseau, unite de commande et dispositif associe
US7310808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nd enabling the selection and mixing of multiple streams of audio/video data from multiple sources within a receiving device allowing external control
EP1096453A2 (en) Remote-control system
JPH11328081A (ja) 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及びデバイス
JP5002637B2 (ja) 電子機器
KR20010070220A (ko)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것에 이용하는 컨트롤러와디바이스
JP2001045575A (ja) 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に用いるデバイス並びにコントローラ
JPH11341472A (ja) 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及びデバイス
JP2001298676A (ja) 映像再生装置、映像表示装置、及び操作制御システム並びに操作制御方法
JP2000333269A (ja) GUI(GraphicalUserInterface)駆動型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及びGUI駆動型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に用いるデバイス並びにコントローラ
JP2006093798A (ja) 接続管理プログラム
EP134542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peripheral consumer electronic device
EP1328134A1 (en) Controlled device in network apparatus, controlling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JPH09326814A (ja) 通信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電子機器
JP4652584B2 (ja) 制御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2366459A (ja) Avネットワーク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