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1534A - 마스터-슬레이브 구조를 갖는 지연동기루프 회로 - Google Patents

마스터-슬레이브 구조를 갖는 지연동기루프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1534A
KR20010091534A KR1020000013348A KR20000013348A KR20010091534A KR 20010091534 A KR20010091534 A KR 20010091534A KR 1020000013348 A KR1020000013348 A KR 1020000013348A KR 20000013348 A KR20000013348 A KR 20000013348A KR 20010091534 A KR20010091534 A KR 20010091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ay
control signal
external clock
signal
gene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3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0568B1 (ko
Inventor
김규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13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568B1/ko
Priority to US09/808,024 priority patent/US6388485B2/en
Publication of KR20010091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5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16Indirect frequency synthesis, i.e. generating a desired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using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18Indirect frequency synthesis, i.e. generating a desired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using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using a frequency divider or counter in the loop
    • H03L7/183Indirect frequency synthesis, i.e. generating a desired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using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using a frequency divider or counter in the loop a time difference being used for locking the loop, the counter counting between fixed numbers or the frequency divider dividing by a fixed number
    • H03L7/187Indirect frequency synthesis, i.e. generating a desired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using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using a frequency divider or counter in the loop a time difference being used for locking the loop, the counter counting between fixed numbers or the frequency divider dividing by a fixed number using means for coarse tuning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loop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0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the loop being adapted to provide an additional control signal for use outside the loop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 H03L7/0812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 H03L7/0814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the phase shifting device being digitally controll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 H03L7/0812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 H03L7/0816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the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being connected to a common inpu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 H03L7/0812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 H03L7/081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the controlled phase shifter comprising coarse and fine delay or phase-shifting means

Abstract

마스터-스레이브 구조를 갖는 지연동기루프(DLL) 회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DLL 회로는 마스터 지연 루프 및 슬레이브단을 구비한다. 마스터 지연 루프는 외부 클럭을 소정의 지연 시간으로 지연하여, 궁극적으로 외부 클럭에 위상 동기되는 궤환 신호를 발생한다. 슬레이브단은 외부 클럭을 동일한 지연 시간으로 지연하여 내부 클럭을 발생한다. 마스터 지연 루프는 위상 비교기, 지연 제어부, 지연부 및 보상 지연부로 구현된다. 슬레이브단은 저역 필터와 슬레이브 지연부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DLL 회로에서, 마스터 지연 루프는 다수의 지연부가 직렬로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슬레이브단은 저역 필터와 슬레이브 지연부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DLL 회로에 의하여, 로킹 상태에서의 내부 클럭의 고주파 위상 잡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스터-슬레이브 구조를 갖는 지연동기루프 회로{Delay-locked loop circuit having master-slave structure}
본 발명은 전자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 클럭을 수신하여 내부 클럭을 발생하는 지연동기루프(Delay Locked Loop : 이하 'DLL'이라 함)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동기식 반도체 장치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외부 클럭에 동기되어 동작한다. 따라서, 외부 클럭을 수신하여 외부 클럭에 위상이 동기되거나 또는 외부 클럭의 위상보다 약간 앞서는 내부 클럭을 발생하는 회로가 요구된다. 이러한 내부 클럭 발생 회로중의 하나로서 많이 사용되는 회로가 DLL 회로이다.
일반적인 DLL 회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상 비교기(12), 지연 제어부(14), 지연부(16) 및 보상지연부(compensation delay part, 18)로 구현된다.
위상 비교기(12)는 외부 클럭(ECLK)과 궤환 신호(FB)의 위상을 비교하여, 위상 차이에 대응하는 검출 신호(DS)를 발생한다. 지연 제어부(14)는 검출 신호(DS)를 수신하여, 지연부(16)에서의 지연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지연 제어 신호(DCON)를 발생한다. 지연부(16)는 외부 클럭(ECLK)을 수신하여, 지연 제어 신호(DCON)에 따라 외부 클럭(ECLK)을 지연 시간으로 지연하여 내부 클럭(ICLK)을 발생한다. 내부 클럭(ICLK)은 보상 지연부(18)에서 다시 소정의 지연 시간으로 지연되어 궤환 신호(FB)로 출력된다. 출력된 궤환 신호(FB)는 외부 클럭(ECLK)과의 비교를 위하여 위상 비교기(12)로 입력된다. 상기의 동작은 반복하여 이루어지며, 궤환 신호(EB)와 외부 클럭(ECLK)이 위상 동기되면, DLL 회로는 로킹(locking) 상태가 된다. 그러면, 보상 지연부(18)에 설정되어 있는 지연 시간에 따라 외부 클럭(ECLK)에 완전히 동기되거나, 또는 외부 클럭(ECLK) 보다 약간 앞서는 내부 클럭(ICLK)이 지속적으로 발생된다.
그런데, 통상의 DLL 회로(10)에서는 지연 제어 신호(DCON)에 따라 지연부(16)의 지연 시간이 계속 변경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내부 클럭(ICLK)의 위상이 계속하여 미세하게 변한다. 그 이유는 외부 클럭(ECLK)과 궤환 신호(FB)의 위상을 비교하여 지연 시간을 증감시킨 결과가 통상적으로 1~2 클럭 주기 뒤에 궤환 신호(FB)로 반영되어 나타나기 때문이다. 내부 클럭(ICLK)의 위상이 조금씩 변하는 현상은 로킹(locing)이 완료된 후에도 계속하여 나타난다.
도 2는 도 1의 DLL 회로(10)에서의 지연 제어 신호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인데, 지연 제어 신호(DCON)가 디지털 코드인 경우이다. 지연 제어 신호(DCON)는 점점 증가하여 목표치(target)에 근접한다. 목표치는 완전한 동기가 이루어진 이상적인(ideal) 경우의 지연 제어 신호(DCON)의 값이다. 그런데, 지연 제어 신호(DCON)는 목표치에 근접된 이후에도 계속 조금씩 증감을 반복한다. 따라서, 반복적인 위상의 변화가 나타난다. 이러한 반복적인 위상의 변화는 내부 클럭(ICLK)의 위상 오차나 고주파 잡음으로 나타나게 되어, DLL 회로의 특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통상의 DLL 회로(10)에서 지연 제어부(14)에 저역 필터(low pass filter)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저역 필터는 지연 제어 신호(DCON)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다. 도 2에서, 그래프 LDCON이 지연 제어 신호(DCON)를 저역 필터링(low pass filtering)한 신호를 나타낸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저역 필터링한 지연 제어신호(LDCON)는 지연 제어 신호(DCON)에 비하여 완만하다. 따라서, 지연 시간과 내부 클럭(ICLK)의 위상도 좀 더 완만하게 변한다. 그러나, 지연 시간이 조금씩 계속하여 변하는 현상이 완전히 없어지지는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DLL 회로에서는 지연 제어 신호의 계속적인 증감에 따라, 로킹 상태에서도 내부 클럭의 위상이 계속하여 변경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로킹 상태에서 내부 클럭의 위상 잡음을 최소화하는 지연동기루프(DLL)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통상의 지연동기루프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지연동기루프 회로에서의 지연 제어 신호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연동기루프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지연동기루프 회로에서의 지연 제어 신호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연동기루프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지연동기루프 회로에서의 지연 제어 신호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연동기루프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 클럭을 수신하여 내부 클럭을 발생하는 지연동기루프(DLL) 회로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DLL 회로는 상기 외부 클럭을 소정의 지연 시간으로 지연하여, 궁극적으로 상기 외부 클럭에 위상 동기되는 궤환 신호를 발생하는 마스터 지연 루프; 및 상기 외부 클럭을 상기 지연 시간으로 지연하여 상기 내부 클럭을 발생하는 슬레이브단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슬레이브단은 상기 마스터 지연 루프의 상기 지연 시간을 제어하는 지연 제어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슬레이브 지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저역 필터; 및 상기 슬레이브 지연 제어 신호에 의하여, 상기 외부 클럭을 상기 지연 시간으로 지연하여, 상기 내부 클럭을 발생하는 슬레이브 지연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DLL 회로는 상기 외부 클럭을 소정의 제1 및 제2 지연 시간으로 지연하여, 궁극적으로 상기 외부 클럭에 위상 동기되는 궤환 신호를 발생하는 마스터 지연 루프; 및 상기 외부 클럭이 상기 제1 지연 시간으로 지연된 신호를 상기 제2 지연 시간으로 지연하여, 상기 내부 클럭을 발생하는 슬레이브단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슬레이브단은 상기 마스터 지연 루프의 상기 제2 지연 시간을 제어하는 지연 제어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슬레이브 지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저역 필터; 및 상기 슬레이브 지연 제어 신호에 의하여, 상기 외부 클럭이 상기 제1 지연 시간으로 지연된 신호를 상기 제2 지연 시간으로 지연하여, 상기 내부 클럭을 발생하는 슬레이브 지연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각 도면을 통하여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신호와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 및 참조 번호로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L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디지털 방식의 DLL 회로(30)가 도시된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DLL 회로(30)는 마스터 지연 루프(32) 및 슬레이브단(34)을 구비한다.
마스터 지연 루프(32)는 외부 클럭(ECLK)을 소정의 지연 시간(TD)으로 지연하여, 궁극적으로 외부 클럭(ECLK)에 위상 동기되는 궤환 신호(FB)를 발생한다. 슬레이브단(34)은 외부 클럭(ECLK)을 지연 시간(TD)으로 지연하여, 내부 클럭(ICLK)을 발생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슬레이브단(34)은 저역 필터(342) 및 슬레이브 지연부(344)를 구비한다.
도 3의 DLL 회로(30)의 마스터 지연 루프(32)는 구체적으로 위상 비교기(322), 지연 제어부(324) 및 제1 디지털 지연부(326)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마스터 지연 루프(32)는 보상 지연부(328)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슬레이브단(34)의 저역 필터(342)는 디지털 필터이며, 슬레이브 지연부(344)도 제1 디지털 지연부(324)와 마찬가지로 디지털 방식의 지연부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도 3에서의 슬레이브 지연부(344)는 제2 디지털 지연부라고 지칭된다.
도 3의 DLL 회로(30)에서의 각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기술된다.
마스터 지연 루프(32)의 위상 비교기(322)는 외부 클럭(ECLK)과 궤환 신호(FB)의 위상을 비교하여, 외부 클럭(ECLK)과 궤환 신호(FB)의 위상 차이에 대응하는 검출 신호(DS)를 발생한다. 지연 제어부(324)는 검출 신호(DS)를 수신하여 제1 지연 제어 신호(DCON1)를 발생한다. 제1 디지털 지연부(326)는 제1 지연 제어신호(DCON1)에 의하여, 외부 클럭(ECLK))을 지연 시간(TD)만큼 지연한다. 보상 지연부(328)는 제1 디지털 지연부(326)의 출력 신호를 보상 시간(TC)만큼 더 지연하여 궤환 신호(FB)를 발생한다.
슬레이브단(34)의 디지털 필터(342)는 제1 지연 제어 신호(DCON1)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제2 지연 제어 신호(DCON2)를 발생한다. 제2 디지털 지연부(344)는 제2 지연 제어 신호(DCON2)에 의하여 외부 클럭(ECLK)을 지연 시간(TD)만큼 지연하여 내부 클럭(ICLK)를 발생한다. 여기서, 제2 지연 제어 신호(DCON2)는 제2 디지털 지연부(344), 즉 슬레이브 지연부를 제어하는 슬레이브 지연 제어 신호라 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DLL 회로에서의 제1 및 제2 지연 제어 신호(DCON1, DCON2)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를 참조하여, 도 3의 DLL 회로(30)의 전체적인 동작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DLL 회로(30)가 동작을 시작하면, 위상 비교기(322)는 외부 클럭(ECLK)과 궤환 신호(FD)의 위상을 비교하여, 위상차에 해당하는 검출 신호(DS)를 발생한다. 검출 신호(DS)는 일반적으로 두 신호 중의 어느 신호의 위상이 빠른가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를 나타내는 펄스(pulse) 신호이다. 그리고, 검출 신호(DS)가 증가 신호이면, 제1 지연 제어 신호(DCON1)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지연 시간(TD)이 더 길어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제1 지연 제어 신호(DCON1)는 디지털 코드로서, 다수의 비트로 구성되는 이진 코드(binary code)일 수 있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DLL 회로(30)의 동작 초기에는, 제1 지연 제어신호(DCON1)는 소정의 목표치(target)가 될 때까지 계속하여 증가한다. 여기서, 목표치란, 외부 클럭(ECLK)과 궤환 신호(ICLK)가 정확하게 위상 동기된다고 가정할 때의 제1 지연 제어 신호(DCON1)의 값이다. 따라서, 제1 지연 제어 신호(DCON1)가 양자화(quantization)된 디지털 코드가 아니라 아날로그 신호라고 가정한 값이다. 만약, 제1 지연 지연 제어 신호(DCON1)가 목표치를 초과하면, 감소되도록 조절된다. 그러나, 제1 지연 제어 신호(DCON1)는 양자화된 디지털 코드이므로, 목표치와 정확하게 일치하기 어렵다. 따라서, 목표치를 사이에 두고 계속하여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게 된다.
한편, 제1 지연 제어 신호(DCON2)를 저역 필터링(low pass filtering)한 제2 지연 제어 신호(DCON2)는 도 4에서 보듯이, 제1 지연 제어 신호(DCON1)에 비하여 완만하게 변한다. 여기서, 디지털 필터(342)는 제2 지연 제어 신호(DCON2)가 제1 지연 제어 신호(DCON1)에 비해 소정의 기준치 이상의 차이가 날 때에만, 제2 지연 제어 신호(DCON2)를 제1 지연 제어 신호(DCON1)에 가깝도록 변화시키는 일종의 판단 로직(decision logic)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필터(342)는 제2 지연 제어 신호(DCON2)가 제1 지연 제어 신호(DCON1)에 비해 '2'이상의 코드값 차이가 날 때에만 제2 지연 제어 신호(DCON2)를 증가 또는 감소하는 로직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연 제어 신호(DCON1)가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더라도, 제2 지연 제어 신호(DCON2)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으면, 제2 지연 제어 신호(DCON2)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통상의 마스터 지연 루프에 저역 필터와 슬레이브지연부를 갖는 슬레이브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고주파의 위상 잡음이 없는 내부 클럭(ICLK)을 얻을 수 있다. 이 때의 내부 클럭(ICLK)은 외부 클럭(ECLK)에 비해 보상지연부(328)의 지연 시간(TC)만큼 위상이 빠르다. 만약, 보상지연부(328)의 지연 시간(TC)이 '0'이라면, 외부 클럭(ECLK)와 내부 클럭(ICLK)의 위상은 완전히 동기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DLL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아날로그 방식의 DLL 회로(50)가 도시된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DLL 회로(50)는 마스터 지연 루프(52) 및 슬레이브단(54)을 구비한다.
마스터 지연 루프(52)와 슬레이브단(54)은 도 3의 마스터 지연 루프(32) 및 슬레이브단(34)과 각각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슬레이브단(54) 또한 도 3의 슬레이브단(34)와 마찬가지로, 저역 필터(542) 및 슬레이브 지연부(544)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도 5의 DLL 회로(50)는 아날로그 방식이다. 따라서, 도 3의 DLL 회로와 달리, 도 5의 DLL 회로(50)의 마스터 지연 루프(52)는 위상 비교기(522), 지연 제어부(524) 및 제1 전압 제어 지연부(526)로 구현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마스터 지연 루프(52)는 도 3의 DLL 회로(30)에서처럼, 보상 지연부(528)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슬레이브단(54)의 저역 필터(542)는 아날로그 필터이며, 슬레이브 지연부(544)도 제1 전압 제어 지연부(526)와 마찬가지로 아날로그 방식의 지연부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도 3에서의 슬레이브 지연부(544)는 제2 전압 제어 지연부라고 지칭된다.
도 5의 DLL 회로(50)에서의 각 구성요소는 도 3의 DLL 회로(5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 5의 DLL 회로(50)는 아날로그 방식이므로, 도 3의 디지털 방식의 DLL 회로(30)와 비교하여 볼 때, 지연 제어 방식, 지연 방식 등 기능을 수행하는 방식이 다르다. 즉, 도 5의 제1 지연 제어 신호(DCON1)는 도 3의 코드 형식의 제1 지연 제어 신호와 달리 아날로그 신호이다. 그리고, 제1 전압 제어 지연부(526)도 도 3의 제1 디지털 지연부(326)와 달리, 제1 지연 제어 신호(DCON1)의 전압에 의해 지연 시간(TD)이 조절된다.
도 6은 도 5의 DLL 회로(50)에서의 제1 및 제2 지연 제어 신호(DCON1, DCON2)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를 참조하여, 도 5의 DLL 회로(50)의 전체적인 동작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DLL 회로(50)의 동작 초기에는, 제1 지연 제어 신호(DCON1)는 외부 클럭(ECLK)과 궤환 신호(FB)가 동기될 때까지 계속하여 증가한다. 증가할 때의 경사(slope)는 지연 제어부(524)의 이득(gain)에 따라 다르다. 그리고, 경사는 동기 시간(locking time)에 큰 영향을 미친다. 아날로그 방식의 DLL 회로의 지연 제어부로는 일반적으로 전하 펌프(pump)가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전하 펌프의 이득(gain)에 따라 경사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도 6에서, 선 DCON1a는 전하 펌프의 이득이 큰 경우이다. 이 경우, 동기 시간이 빠르다. 그러나, 동기 후에도 증가와 감소가 반복되는 리플(ripple)이 나타나며, 리플의 크기가 비교적 크다. 리플을 적게 하기 위하여, 전하 펌프의 이득이 작게 될 수 있다. 선 DCON1b는 전하 펌프의 이득이 작은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리플(ripple)의 크기가 적지만, 이에 반해 동기 시간이 길다.
한편, 제1 지연 제어 신호(DCON1)를 저역 필터링(low pass filtering)한 제2 지연 제어 신호(DCON2)는 도 5에서 보듯이, 동기 시간도 빠르면서 동기 후의 리플도 없앨 수 있다. 선 DCON2a, DCON2b는 모두 선 DCON1a를 저역 필터링한 경우이다. DCON2a는 1차(1st order) 저역 필터를 통과한 신호이고, DCON2b는 고차(high order) 저역 필터를 통과한 경우이다. 이를 참조하면, DCON2a의 경우, 증가시의 경사가 완만하여 동기 시간이 DCON1a에 비해 비교적 길지만, 리플이 없다. 반면, DCON2b의 경우는 리플도 없으며 동기 시간이 빠르지만, 고차 저역필터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아날로그 필터(542)의 차수 등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동기 시간과 고주파 잡음을 동시에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DLL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DLL 회로(70)는 마스터 지연 루프(72) 및 슬레이브단(74)을 구비한다.
마스터 지연 루프(72)는 외부 클럭(ECLK)을 소정의 제1 및 제2 지연 시간(TD1, TD2)으로 지연하여, 궁극적으로 외부 클럭(ECLK)에 위상 동기되는 궤환 신호(FB)를 발생한다. 슬레이브단(74)은 외부 클럭(ECLK)이 제1 지연 시간(TD1)으로 지연된 신호를 제2 지연 시간(TD2)으로 더 지연하여, 내부 클럭(ICLK)을 발생한다.
도 7의 DLL 회로(70)의 구성은 도 3의 DLL 회로(30) 및 도 5의 DLL 회로(50)의 구성과 유사하다. 다만, 도 7의 DLL 회로(70)에서 마스터 지연 루프(72)는 다수의 지연부가 직렬로 연결된 계층적 구조를 가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계층적 구조를 가지는 DLL 회로는, 일반적으로 지연 시간 간격이 비교적 큰 코오스(coarse) 지연부와 지연 시간 간격이 미세한 미세(fine) 지연부가 직렬로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도, 설명의 편의상, 마스터 지연 루프(72)는 2개의 지연부가 직렬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한다.
그러므로, 마스터 지연 루프(72)는 위상 비교기(722), 지연 제어부(724), 제1 및 제2 지연부(726, 727)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지연부(726)가 코오스(coarse) 지연부이고, 제2 지연부(727)은 미세 지연부이다. 그리고, 마스터 지연 루프(72)는 보상 지연부(728)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및 제2 지연부(726, 727)은 모두 디지털 방식일 수도 있고, 모두 아날로그 방식일 수도 있으며, 디지털-아날로그 혼합 구성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가능한 모든 조합으로 지연부들을 구성할 수 있으며, 지연부의 수도 2개로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한 일이다.
지연제어부(724)는 코오스 지연부(726)과 미세 지연부(727)을 각각 제어하는 제1 및 제2 지연 제어 신호(DCON1, DCON2)를 발생한다. 코오스 지연부(726)는 제1 지연 제어 신호(DCON1)에 따라 외부 클럭(ECLK)를 제1 지연 시간(TD1)으로 지연하여, 지연 신호(SDEL)을 발생한다. 미세 지연부(727)는 제2 지연 제어 신호(DCON2)에 따라 지연 신호(SDEL)을 제2 지연 시간(TD2)로 지연하여, 보상지연부(728)로 입력되는 신호를 발생한다.
슬레이브단(74)은 저역 필터(742)와 슬레이브 지연부(74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역 필터(742)는 제2 지연 제어 신호(DCON2)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슬레이브 지연 신호(DCON3)를 발생한다. 슬레이브 지연부(744)는 슬레이브 지연 신호(DCON3)에 따라, 지연 신호(SDEL)를 제2 지연 시간(TD2)으로 지연하여, 내부 클럭(ICLK)을 발생한다.
도 7의 DLL 회로(70)와 같은 계층적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마스터-슬레이브 구조로 인하여 면적 및 전력 소모가 증가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즉, 코오스/미세 지연부 중에서 미세 지연부 만을 중복하고, 코오스 지연부는 공유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DLL 회로에 의하여, 로킹 상태에서의 내부 클럭의 고주파 위상 잡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10)

  1. 외부 클럭을 수신하여 내부 클럭을 발생하는 지연동기루프(DLL) 회로에 있어서,
    상기 외부 클럭과 궤환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상기 외부 클럭과 상기 궤환 신호의 위상 차이에 대응하는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위상 비교기;
    상기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지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지연 제어부;
    상기 제1 지연 제어 신호에 의하여 상기 외부 클럭을 소정의 지연 시간만큼 지연하여, 궁극적으로 상기 궤환 신호를 발생하는 제1 디지털 지연부 ;
    상기 제1 지연 제어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제2 지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디지털 필터; 및
    상기 제2 지연 제어 신호에 의하여 상기 외부 클럭을 상기 지연 시간만큼 지연하여, 상기 내부 클럭을 발생하는 제2 디지털 지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동기루프(DLL) 회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동기루프 회로는
    상기 제1 디지털 지연부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지연 시간으로 지연하여, 상기 궤환 신호를 발생하는 보상 지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지연동기루프 회로.
  3. 외부 클럭을 수신하여 내부 클럭을 발생하는 지연동기루프(DLL) 회로에 있어서,
    상기 외부 클럭과 궤환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상기 외부 클럭과 상기 궤환 신호의 위상 차이에 대응하는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위상 비교기;
    상기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지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지연 제어부;
    상기 제1 지연 제어 신호의 전압에 의하여 상기 외부 클럭을 소정의 지연 시간만큼 지연하여, 궁극적으로 상기 궤환 신호를 발생하는 제1 전압 제어 지연부 ;
    상기 제1 지연 제어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제2 지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아날로그 필터; 및
    상기 제2 지연 제어 신호의 전압에 의하여 상기 외부 클럭을 상기 지연 시간만큼 지연하여 상기 내부 클럭을 발생하는 제2 전압 제어 지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동기루프(DLL) 회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동기루프 회로는
    상기 제1 전압 제어 지연부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지연 시간으로 지연하여, 상기 궤환 신호를 발생하는 보상 지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지연동기루프 회로.
  5. 외부 클럭을 수신하여 내부 클럭을 발생하는 지연동기루프(DLL) 회로에 있어서,
    상기 외부 클럭과 궤환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상기 외부 클럭과 상기 궤환 신호의 위상 차이에 대응하는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위상 비교기;
    상기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제1 및 제2 지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지연 제어부;
    상기 제1 지연 제어 신호에 의하여 상기 외부 클럭을 소정의 제1 지연 시간만큼 지연하여, 지연 신호를 발생하는 코오스 지연부;
    상기 제2 지연 제어 신호에 의하여 상기 지연 제어 신호를 소정의 제2 지연 시간 만큼 지연하여, 궁극적으로 상기 궤환 신호를 발생하는 미세 지연부;
    상기 제2 지연 제어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제3 지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저역 필터; 및
    상기 제3 지연 제어 신호에 의하여 상기 지연 신호를 상기 제2 지연 시간만큼 지연하여, 상기 내부 클럭을 발생하는 슬레이브 지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동기루프(DLL) 회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동기루프 회로는
    상기 제2 지연부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지연 시간으로 지연하여, 상기 궤환 신호를 발생하는 보상 지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지연동기루프 회로.
  7. 외부 클럭을 수신하여 내부 클럭을 발생하는 지연동기루프(DLL) 회로에 있어서,
    상기 외부 클럭을 소정의 지연 시간으로 지연하여, 궁극적으로 상기 외부 클럭에 위상 동기되는 궤환 신호를 발생하는 마스터 지연 루프; 및
    상기 외부 클럭을 상기 지연 시간으로 지연하여 상기 내부 클럭을 발생하는슬레이브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동기루프 회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단은
    상기 마스터 지연 루프의 상기 지연 시간을 제어하는 지연 제어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슬레이브 지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저역 필터; 및
    상기 슬레이브 지연 제어 신호에 의하여, 상기 외부 클럭을 상기 지연 시간으로 지연하여, 상기 내부 클럭을 발생하는 슬레이브 지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동기루프 회로.
  9. 외부 클럭을 수신하여 내부 클럭을 발생하는 지연동기루프(DLL) 회로에 있어서,
    상기 외부 클럭을 소정의 제1 및 제2 지연 시간으로 지연하여, 궁극적으로 상기 외부 클럭에 위상 동기되는 궤환 신호를 발생하는 마스터 지연 루프; 및
    상기 외부 클럭이 상기 제1 지연 시간으로 지연된 신호를 상기 제2 지연 시간으로 지연하여, 상기 내부 클럭을 발생하는 슬레이브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동기루프 회로.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단은
    상기 마스터 지연 루프의 상기 제2 지연 시간을 제어하는 지연 제어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슬레이브 지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저역 필터; 및
    상기 슬레이브 지연 제어 신호에 의하여, 상기 외부 클럭이 상기 제1 지연 시간으로 지연된 신호를 상기 제2 지연 시간으로 지연하여, 상기 내부 클럭을 발생하는 슬레이브 지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동기루프 회로.
KR1020000013348A 2000-03-16 2000-03-16 마스터-슬레이브 구조를 갖는 지연동기루프 회로 KR100640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348A KR100640568B1 (ko) 2000-03-16 2000-03-16 마스터-슬레이브 구조를 갖는 지연동기루프 회로
US09/808,024 US6388485B2 (en) 2000-03-16 2001-03-15 Delay-locked loop circuit having master-slave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348A KR100640568B1 (ko) 2000-03-16 2000-03-16 마스터-슬레이브 구조를 갖는 지연동기루프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534A true KR20010091534A (ko) 2001-10-23
KR100640568B1 KR100640568B1 (ko) 2006-10-31

Family

ID=19655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3348A KR100640568B1 (ko) 2000-03-16 2000-03-16 마스터-슬레이브 구조를 갖는 지연동기루프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388485B2 (ko)
KR (1) KR100640568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811A (ko) * 2001-12-28 2003-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락 드리프트를 방지하는 지연동기루프 및 이를 구비하는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30083227A (ko) * 2002-04-19 2003-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정확한 코오스 락킹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코오스 락제어회로와 이를 구비하는 지연동기 루프회로, 및 코오스락 제어방법
KR100779381B1 (ko) * 2006-05-15 2007-11-2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감소된 면적을 가지는 dll과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메모리 장치 및 그 락킹 동작 방법
KR100850285B1 (ko) * 2007-01-11 2008-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연고정루프회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859834B1 (ko) * 2007-06-28 2008-09-2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지연 고정 루프와 그의 구동 방법
KR100895511B1 (ko) * 2007-05-10 2009-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Dll패스를 가지는 반도체 칩 패키지 및 그에 따른dll클럭신호 공유방법
KR100915817B1 (ko) * 2007-10-09 2009-09-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Dll 회로
US7602224B2 (en) 2007-05-16 2009-10-13 Hynix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device having delay locked loop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7701274B2 (en) 2007-02-16 2010-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lay locked loop for controlling delay time using shifter and adder and clock delaying method
KR101041941B1 (ko) * 2008-10-17 2011-06-1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대차용 보빈의 자동록킹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2253B1 (en) * 1997-12-16 2001-08-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ost-filtered recirculating delay-locked loop and method for producing a clock signal
US7805628B2 (en) * 2001-04-02 2010-09-28 Credence Systems Corporation High resolution clock signal generator
KR100415193B1 (ko) * 2001-06-01 2004-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내부클럭 발생방법 및 내부클럭발생회로
US7245540B2 (en) * 2001-06-05 2007-07-17 Micron Technology, Inc. Controller for delay locked loop circuits
US6901013B2 (en) 2001-06-05 2005-05-31 Micron Technology, Inc. Controller for delay locked loop circuits
US6774686B2 (en) * 2001-09-28 2004-08-10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minimizing jitter using matched, controlled-delay elements slaved to a closed-loop timing reference
US6580304B1 (en) * 2002-03-28 2003-06-17 M/A-Com,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troducing signal delay
KR100468727B1 (ko) * 2002-04-19 2005-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연 동기 루프의 지연 라인 제어 회로
US6728163B2 (en) * 2002-08-23 2004-04-27 Micron Technology, Inc. Controlling a delay lock loop circuit
KR100532415B1 (ko) * 2003-01-10 200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돌발지터 정보를 차단할 수 있는 동기루프 회로 및 이의돌발지터 정보 차단방법
KR100515071B1 (ko) * 2003-04-29 2005-09-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디엘엘 장치
KR100543460B1 (ko) * 2003-07-07 2006-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연동기루프회로
US7855584B2 (en) * 2003-12-09 2010-12-21 St-Ericsson Sa Low lock time delay locked loops using time cycle suppressor
US7795934B2 (en) 2003-12-11 2010-09-14 Micron Technology, Inc. Switched capacitor for a tunable delay circuit
US7202707B2 (en) * 2003-12-19 2007-04-10 Broadcom Corporation High frequency binary phase detector
DE102004004091B4 (de) * 2004-01-27 2008-07-03 Qimonda Ag Vorrichtung zur Verwendung bei der Synchronisation von Taktsignalen, sowie Taktsignal-Synchronisationsverfahren
US7091760B1 (en) 2004-02-25 2006-08-15 Altera Corporation DLL with adjustable phase shift using processed control signal
US20070096787A1 (en) * 2005-11-03 2007-05-03 United Memories, Inc. Method for improving the timing resolution of DLL controlled delay lines
CN102664623B (zh) * 2012-05-09 2015-02-18 龙芯中科技术有限公司 数字延迟装置
US9148157B2 (en) * 2014-01-30 2015-09-29 Sandisk Technologies Inc. Auto-phase synchronization in delay locked loops
US9520864B2 (en) 2014-06-06 2016-12-13 Qualcomm Incorporated Delay structure for a memory interface
CN111446962B (zh) * 2020-04-03 2023-12-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时钟信号产生电路、时钟信号产生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22206A1 (en) 1994-02-15 1995-08-17 Rambus, Inc. Delay-locked loop
JP3561792B2 (ja) * 1995-09-06 2004-09-02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クロック発生回路
JP3335537B2 (ja) * 1996-11-19 2002-10-21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JP3840731B2 (ja) * 1997-03-21 2006-11-01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KR100234729B1 (ko) * 1997-08-27 1999-12-15 김영환 디지탈 디엘엘 회로
JP3901297B2 (ja) * 1997-09-09 2007-04-04 富士通株式会社 Dll回路及びそれを利用した半導体記憶装置
JP3717289B2 (ja) * 1997-10-20 2005-11-16 富士通株式会社 集積回路装置
JP3763673B2 (ja) * 1998-06-11 2006-04-05 富士通株式会社 Dll回路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811A (ko) * 2001-12-28 2003-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락 드리프트를 방지하는 지연동기루프 및 이를 구비하는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30083227A (ko) * 2002-04-19 2003-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정확한 코오스 락킹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코오스 락제어회로와 이를 구비하는 지연동기 루프회로, 및 코오스락 제어방법
KR100779381B1 (ko) * 2006-05-15 2007-11-2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감소된 면적을 가지는 dll과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메모리 장치 및 그 락킹 동작 방법
US7542358B2 (en) 2006-05-15 2009-06-02 Hynix Semiconductor Inc. DLL with reduced size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DLL and locking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KR100850285B1 (ko) * 2007-01-11 2008-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연고정루프회로 및 그의 제어방법
US7701274B2 (en) 2007-02-16 2010-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lay locked loop for controlling delay time using shifter and adder and clock delaying method
KR100895511B1 (ko) * 2007-05-10 2009-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Dll패스를 가지는 반도체 칩 패키지 및 그에 따른dll클럭신호 공유방법
US7602224B2 (en) 2007-05-16 2009-10-13 Hynix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device having delay locked loop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0859834B1 (ko) * 2007-06-28 2008-09-2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지연 고정 루프와 그의 구동 방법
KR100915817B1 (ko) * 2007-10-09 2009-09-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Dll 회로
US7893738B2 (en) 2007-10-09 2011-02-22 Hynix Semiconductor Inc. DLL circuit
KR101041941B1 (ko) * 2008-10-17 2011-06-1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대차용 보빈의 자동록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88485B2 (en) 2002-05-14
US20010022524A1 (en) 2001-09-20
KR100640568B1 (ko) 2006-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568B1 (ko) 마스터-슬레이브 구조를 갖는 지연동기루프 회로
US6704381B1 (en) Frequency acquisition rate control in phase lock loop circuits
KR100437611B1 (ko) 혼합형 지연 록 루프 회로
KR100301043B1 (ko) 지연동기루프의위상비교기및지연동기방법
US6683478B2 (en) Apparatus for ensuring correct start-up and phase locking of delay locked loop
KR101089862B1 (ko) 지연 락 루프 초기화 회로
US5892380A (en) Method for shaping a pulse width and circuit therefor
JP4667196B2 (ja) 位相調整回路
KR100818729B1 (ko) 지연 동기 루프 회로 및 클럭 신호 발생 방법
JPH04364609A (ja) クロック同期のための遅延ロックループ回路
US6320424B1 (en) Method of providing and circuit for providing phase lock loop frequency overshoot control
US20060017512A1 (en) Circuit for detecting phase errors and generating control signals and PLL using the same
US6967536B2 (en) Phase-locked loop circuit reducing steady state phase error
KR100234729B1 (ko) 디지탈 디엘엘 회로
KR100423620B1 (ko) 입력 클럭에 대하여 일정한 위상차를 갖는 클럭을출력하는 pll 회로
US6239632B1 (en) Method, architecture and/or circuitry for controlling the pulse width in a phase and/or frequency detector
US7079615B2 (en) Expanded comparator for control of digital delay lines in a delay locked loop or phase locked loop
KR100272524B1 (ko) 전하펌프위상동기루프
KR200188170Y1 (ko) 클럭 발생기
CN113890534A (zh) 一种自加速锁定锁相环
KR20050032827A (ko) 주파수 검출기를 갖는 지연고정루프
JP2010074562A (ja) Pll回路
KR20060075008A (ko) 반도체 기억 소자에서의 지연 고정 루프 및 그의 제어 방법
JPH0653829A (ja) オーバーサンプリングa/d変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