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6811A - 락 드리프트를 방지하는 지연동기루프 및 이를 구비하는반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락 드리프트를 방지하는 지연동기루프 및 이를 구비하는반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6811A
KR20030056811A KR1020010087112A KR20010087112A KR20030056811A KR 20030056811 A KR20030056811 A KR 20030056811A KR 1020010087112 A KR1020010087112 A KR 1020010087112A KR 20010087112 A KR20010087112 A KR 20010087112A KR 20030056811 A KR20030056811 A KR 20030056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delay
phase
control signa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7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일원
김규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7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6811A/ko
Publication of KR20030056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681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6Tim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DRAM의 모드별 공급전압의 변화에 무관하게 안정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DLL이 개시된다. 외부클락에 동기된 내부클락을 발생하는 DLL은 상기 외부클락의 위상과 상기 내부클락의 위상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상응하는 지연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위상비교기; 상기 지연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클락을 소정시간 지연시킨 제어클락을 출력하는 지연회로; 및 보조지연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클락을 소정시간 지연시킨 상기 내부클락을 출력하는 보조 지연회로를 구비한다. 상기 DLL은 동작모드의 변화에 따른 락 드리프트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DLL은 동작모드의 변화에 무관하게 데이터 클락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락 드리프트를 방지하는 지연동기루프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Delay locked loop for protecting lock drift and semiconduc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락 드리프트 방지를 위한 보조 지연회로를 구비하는 지연동기루프(delay locked loop; 이하 'DLL'라 한다.) 및 DLL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DLL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레지스터 컨트롤방식의 DLL(register controlled DLL)은 주 지연회로(10), 위상비교기(20), 보상 지연기(30) 및 출력버퍼(40)를 구비한다. DLL(100)은 외부클락(EXT_CLK)에 동기된 내부클락(INT_CLK)을 발생하는 회로이다.
주 지연회로(10)는 외부클락(EXT_CLK)을 소정시간 지연시켜 내부클락 (INT_CLK)을 출력한다. 보상 지연기(30)는 내부클락(INT_CLK)을 출력버퍼(40)의 지연시간만큼 지연시킨다.
위상비교기(20)는 보상 지연기(30)의 출력클락의 위상과 외부클락(EXT_CLK)의 위상을 비교하여, 보상 지연기(30)의 출력클락의 위상과 외부클락(EXT_CLK)의 위상이 일치하도록 주 지연회로(10)의 지연시간을 제어한다. 따라서 외부클락 (EXT_CLK)의 위상과 내부클락(INT_CLK)의 위상이 일치하는 로크(lock)상태에서, 출력버퍼(40)는 내부클락(INT_CLK)에 응답하여 입력데이터(DIN)를 수신하여 외부클락 (EXT_CLK)에 동기된 데이터(DATA)를 출력한다.
도 2는 종래의 DLL의 락 포인트의 변화에 따른 DLL의 트레킹 포인트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DLL(100)은 최소 뱅뱅지터(minimum bang-bang jitter)를 갖기 위하여 분주된 클락을 사용하여 락킹(locking)을 하게된다.
따라서 공정(process), 사용전압(voltage), 온도(temperature)의 변화 또는 DRAM의 모드별 공급전압의 변화에 따라 DLL(100)의 락 포인트(lock point)가 갑자기 변하는 경우, 락 포인트(lock point)를 찾기 위한 DLL의 트레킹 포인트 (tracking point)는 느리게 변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제1동작모드(DRAM의 프리차지 모드 또는 리프레쉬 모드)에서 제2동작모드(DRAM의 데이터 기입모드, 독출모드)로 변하는 경우, 즉 락 포인트(lock point)가 갑자기 변하는 경우, DLL의 트레킹 포인트(tracking point)와 락 포인트 (lock point)와의 차이('락 드리프트'라 한다.)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공정, 사용전압, 온도의 변화 또는 DRAM의 모드별 공급전압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락 드리프트를 방지할 수 있는 DLL 및 DLL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기술적인 과제는 공정, 사용전압, 온도의 변화 또는 DRAM의 모드별 공급전압의 변화에 무관하게 안정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DLL 및 DLL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DLL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종래의 DLL의 락 포인트의 변화에 따른 DLL의 트레킹 포인트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LL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LL의 락 포인트의 변화에 따른 DLL의 트레킹 포인트의 변화를 나타낸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외부클락에 동기된 내부클락을 발생하는 동기신호발생회로는 상기 외부클락의 위상과 상기 내부클락의 위상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상응하는 지연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위상비교기; 상기 지연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클락을 소정시간 지연시킨 제어클락을 출력하는 지연회로; 및 보조지연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클락을 소정시간 지연시킨 상기 내부클락을 출력하는 보조 지연회로를 구비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외부클락에 동기된 내부클락을 발생하는 동기신호발생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발생회로는 상기 외부클락의 위상과 상기 내부클락의 위상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상응하는 지연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위상비교기; 상기 지연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클락을 소정시간 지연시킨 제어클락을 출력하는 지연회로; 및 보조지연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클락을 소정시간 지연시킨 상기 내부클락을 출력하는 보조 지연회로를 구비한다.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제어회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보조지연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외부클락에 동기된 내부클락을 발생하는 동기신호발생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발생회로는, 상기 외부클락의 위상과 상기 내부클락의 위상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상응하는 지연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위상비교기; 상기 지연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클락을 소정시간 지연시킨 제어클락을 출력하는 지연회로; 및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모드에 상응하는 보조지연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클락을 소정시간 지연시킨 상기 내부클락을 출력하는 보조 지연회로를 구비한다.
상기 동작모드는 프리차지 모드, 리프레쉬 모드, 데이터 기입 모드 또는 데이터 독출 모드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LL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LL의 락 포인트의 변화에 따른 DLL의 트레킹 포인트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DLL(200)은 전압제어지연회로(210), 위상 비교기(phase detector; 220), 보조지연회로(230), 제어회로(240), 출력버퍼(250) 및 보상 지연기(260)를 구비한다. DLL(200)은 외부클락에 동기된 내부클락을 발생하는 동기신호 발생회로의 일예이다.
전압제어지연회로(210)는 지연제어신호(DCS)에 응답하여 외부클락(EXT_CLK)을 소정시간(td) 지연시킨 제어클락(DCLK)을 보조지연회로(230)로 출력한다.
제어회로(240)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동작모드를 나타내는 모드선택신호 (MSC)에 응답하여 보조지연제어신호(ADCS)를 보조지연회로(230)로 출력한다. 상기 동작모드는 제1동작모드와 제2동작모드로 구분되며, 제1동작모드는 DRAM을 프리차지 하기 위한 프리차지 모드, DRAM을 리프레쉬 하기 위한 리프레쉬 모드를 구비하며, 제2동작모드는 메모리 셀들로 데이터를 기입하기 위한 데이터 기입모드와 메모리 셀들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한 데이터 독출모드를 구비한다.
보조지연회로(230)는 보조지연제어신호(ADCS)에 응답하여 제어클락(DCLK)을 소정시간 지연시킨 내부클락(INT_CLK)을 출력한다. 보조지연회로(230)의 지연시간은 제1동작모드와 제2동작모드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고, 또한, 프리차지 모드, 리프레쉬 모드, 데이터 기입모드와 데이터 독출모드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모드선택신호(MSC)가 프리차지 모드인 경우, 제어회로(240)는 프리차지 모드에 상응하는 보조지연제어신호(ADCS)를 보조지연회로(230)로 출력한다. 보조지연회로(230)는 보조지연제어신호(ADCS)에 응답하여 제어클락(DCLK)을 소정 시간지연시킨 내부클락(INT_CLK)을 출력한다.
또한, 모드선택신호(MSC)가 데이터 기입모드인 경우, 제어회로(240)는 데이터 기입모드에 상응하는 보조지연제어신호(ADCS)를 보조지연회로(230)로 출력한다. 보조지연회로(230)는 보조지연제어신호(ADCS)에 응답하여 제어클락(DCLK)을 소정 시간지연시킨 내부클락(INT_CLK)을 출력한다.
즉, 보조지연회로(230)는 각 동작모드에 상응하여 발생되는 보조지연제어신호(ADCS)에 응답하여 제어클락(DCLK)을 각각 다르게 지연시킨 내부클락(INT_CLK)을 각각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LL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모드를 미리 감지하여 락 포인트의 변화에 무관하게 락 드리프트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동작모드의 변화에 무관하게 안정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보상지연기(260)는 내부클락(INT_CLK)을 수신하여 내부클락(INT_CLK)을 출력버퍼(40)의 지연시간(tc)만큼 지연시킨다.
위상비교기(220)는 보상 지연기(30)의 출력클락의 위상과 외부클락(EXT_CLK)의 위상을 비교하여, 보상지연기(230)의 출력클락의 위상과 외부클락(EXT_CLK)의 위상을 일치시키기 위한 지연제어신호(DCS)를 주 지연회로(210)로 출력한다. 전압제어지연회로(210)는 지연제어신호(DCS)에 응답하여 외부클락(EXT_CLK)의 지연시간을 제어한다. 따라서 외부클락(EXT_CLK)의 위상과 내부클락(INT_CLK)의 위상이 일치하는 로크(lock)상태에서, 출력버퍼(250)는 내부클락(INT_CLK)에 응답하여 입력데이터(DIN)를 수신하여 외부클락(EXT_CLK)에 동기된 데이터(DATA)를 출력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모드가 제1동작모드에서 제2동작모드로 변하는 경우, 제어회로(240)는 제2동작모드에 상응하는 보조지연 제어신호(ADCS)를 보조지연회로(230)로 출력하므로, 보조지연회로(230)는 보조지연제어신호(ADCS)에 응답하여 제어클락(DCLK)의 지연시간을 제어한다.
따라서 공급전압이 VDD에서 (VDD-α)로 변하는 경우, 락 드리프트(lock drift)는 도 2의 경우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됨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LL은 고속 클락동기회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LL 및 상기 DLL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동작모드의 변화에 따른 락 드리프트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LL 및 상기 DLL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동작모드의 변화에 무관하게 데이터 클락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외부클락에 동기된 내부클락을 발생하는 동기신호발생회로에 있어서,
    상기 외부클락의 위상과 상기 내부클락의 위상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상응하는 지연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위상비교기;
    상기 지연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클락을 소정시간 지연시킨 제어클락을 출력하는 지연회로; 및
    보조지연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클락을 소정시간 지연시킨 상기 내부클락을 출력하는 보조 지연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신호발생회로.
  2. 외부클락에 동기된 내부클락을 발생하는 동기신호발생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발생회로는,
    상기 외부클락의 위상과 상기 내부클락의 위상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상응하는 지연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위상비교기;
    상기 지연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클락을 소정시간 지연시킨 제어클락을 출력하는 지연회로; 및
    보조지연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클락을 소정시간 지연시킨 상기 내부클락을 출력하는 보조 지연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제어회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보조지연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4. 외부클락에 동기된 내부클락을 발생하는 동기신호발생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발생회로는,
    상기 외부클락의 위상과 상기 내부클락의 위상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상응하는 지연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위상비교기;
    상기 지연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클락을 소정시간 지연시킨 제어클락을 출력하는 지연회로; 및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모드에 상응하는 보조지연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클락을 소정시간 지연시킨 상기 내부클락을 출력하는 보조 지연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는 프리차지 모드, 리프레쉬 모드, 데이터 기입 모드 또는 데이터 독출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KR1020010087112A 2001-12-28 2001-12-28 락 드리프트를 방지하는 지연동기루프 및 이를 구비하는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300568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112A KR20030056811A (ko) 2001-12-28 2001-12-28 락 드리프트를 방지하는 지연동기루프 및 이를 구비하는반도체 메모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112A KR20030056811A (ko) 2001-12-28 2001-12-28 락 드리프트를 방지하는 지연동기루프 및 이를 구비하는반도체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811A true KR20030056811A (ko) 2003-07-04

Family

ID=32214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7112A KR20030056811A (ko) 2001-12-28 2001-12-28 락 드리프트를 방지하는 지연동기루프 및 이를 구비하는반도체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68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8821B2 (en) 2005-08-23 2008-08-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error compensation and a memory control device adapted for error compens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5131A (ja) * 1998-06-11 1999-12-24 Fujitsu Ltd Dll回路
JP2000059210A (ja) * 1998-08-14 2000-02-25 Fujitsu Ltd 外部負荷を考慮したdll回路
KR20010091534A (ko) * 2000-03-16 2001-10-23 윤종용 마스터-슬레이브 구조를 갖는 지연동기루프 회로
JP2001298362A (ja) * 2000-04-11 2001-10-26 Nec Corp Dll回路、それを使用する半導体装置及び遅延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5131A (ja) * 1998-06-11 1999-12-24 Fujitsu Ltd Dll回路
JP2000059210A (ja) * 1998-08-14 2000-02-25 Fujitsu Ltd 外部負荷を考慮したdll回路
KR20010091534A (ko) * 2000-03-16 2001-10-23 윤종용 마스터-슬레이브 구조를 갖는 지연동기루프 회로
JP2001298362A (ja) * 2000-04-11 2001-10-26 Nec Corp Dll回路、それを使用する半導体装置及び遅延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8821B2 (en) 2005-08-23 2008-08-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error compensation and a memory control device adapted for error compen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6166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lay control in synchronization circuits
US6693472B2 (en) Method and circuit for adjusting the timing of output data based on an operational mode of output drivers
US6930524B2 (en) Dual-phase delay-locked loop circuit and method
US66182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skew compensating a clock signal and for capturing a digital signal using the skew compensated clock signal
US6759911B2 (en) Delay-locked loop circuit and method using a ring oscillator and counter-based delay
US7116143B2 (en) Synchronous clock generator including duty cycle correction
US7227809B2 (en) Clock generator having a delay locked loop and duty cycle correction circuit in a parallel configuration
US6812760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arison and compensation of delay variations between fine delay and coarse delay circuits
US8072249B2 (en) Clock jitter compensated clock circuits and methods for generating jitter compensated clock signals
KR10054393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어드레스 및 데이터 억세스타임을 고속으로 하는 제어 및 어드레스 장치
US20070035336A1 (en) Clock generating circuit with multiple modes of operation
US7629822B2 (en) Delay locked loop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divided clock therein
US7154311B2 (en) Delay locked loop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locking method thereof
US7068084B2 (en) Delay locked loop capable of compensating for delay of internal clock signal by variation of driving strength of output driver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030056811A (ko) 락 드리프트를 방지하는 지연동기루프 및 이를 구비하는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30087743A (ko) 비트 구성에 상관없이 데이터 출력시간이 일정한 동기식반도체 장치 및 데이터 출력시간 조절 방법
KR100422583B1 (ko) 반도체기억장치용 위상비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26122A (ko) 셀프 리프레쉬 탈출 시간 및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지연동기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