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3922A - 워크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워크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3922A
KR20010083922A KR1020017005118A KR20017005118A KR20010083922A KR 20010083922 A KR20010083922 A KR 20010083922A KR 1020017005118 A KR1020017005118 A KR 1020017005118A KR 20017005118 A KR20017005118 A KR 20017005118A KR 20010083922 A KR20010083922 A KR 20010083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work
belt
groov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5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카와가즈히로
고바야시겐지
Original Assignee
쇼지 고메이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지 고메이,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지 고메이
Publication of KR20010083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392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electric or electromagne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2Measures preceding sorting, e.g. arranging articles in a stream orientat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7Measurements
    • G05B2219/37208Vision, visual inspection of workpie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반송벨트(201)에 V자형 홈(201a)을 형성하고, V자형 홈(201a)에 워크(1)를 얹어놓아 반송하면서 워크(1)의 치수 및 인접 2면(1c,1d)을 제 1 카메라(203)로 검사한다. 더욱이 반송벨트(201)에는 반전벨트(205)가 맞닿고, 반전벨트(205)에도 동일하게 V자형 홈(205a)이 형성되고, 워크(1)는 반송벨트(201)와 반전벨트(205)에 끼워지지되면서 반송벨트(201)로부터 반전벨트(205)에 연속적으로 반전 옮겨놓게 되고, 반전된 워크(1)는 인접하는 다른 2면(1e, 1f)을 제 2 카메라(207)로 검사처리한다. 검사후, 측정프로브(233)로 콘덴서용량의 측정을 행하고 완료후 일정수량씩 계수카운트하여, 벌크케이스(303)에 충전한다.

Description

워크 검사장치{WORK INSPECTION APPARATUS}
종래의 워크 검사장치로서는, 일본 특원평9-315566호공보에 기재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장치는, 6면체 워크의 끝면을 검사하는 장치이고, 워크를 파지하는 다수의 제 1 오목부가 외주에 형성된 제 1 원판과, 이 제 1 원판에 대하여 직교하여 배치되고, 제 1 오목부의 워크를 받아서 파지하는 다수의 제 2 오목부가 외주에 형성된 제 2 원판을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제 1 원판의 바깥쪽으로는 워크의 3면을 검사하는 제 1 끝면 검사카메라가 설치되고, 제 2 원판의 바깥쪽으로는 워크의 나머지 3면을 검사하는 제 2 끝면 검사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보기재의 워크 검사장치에 있어서는, 워크를 원판에 형성된 오목부에 파지하여 검사하기위해, 워크를 원판에 삽일할 때 및 원판에서 배출할 때에 원판의 회전을 그 때마다 정지시키지 않으면 안되고, 그때문에, 워크를 고속으로 반송하면서 검사하는 것은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워크 검사장치에 있어서, 워크의 검사속도를 보다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워크의 단면을 검사하는 워크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워크 검사장치의 측면도,
도 2는 워크 검사장치의 평면도,
도 3은 워크의 사시도,
도 4는 워크를 반송하는 모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워크를 카메라로 검사하는 공정의 단면도,
도 6은 워크를 반송벨트 및 반전벨트에 의해 끼워 지지하고 반전하는 모양을 도시하는 도 1의 Ⅱ-Ⅱ 사시단면도,
도 7은 반송벨트의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반송벨트의 제 2 실시형태와 반전벨트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반송벨트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워크 검사장치의 측면도,
도 11은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반송벨트를 워크와 함께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반송벨트를 워크와 함께 도시한 평면도,
도 13(a)는 도 12의 상류측(S)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3(b)는 도 12의 하류측(P) 위치 및 제 1 카메라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 및
도 14는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불량품 배출부 및 양품 적출부를 설명하기위해 모식적으로 표현한 단면도.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반송벨트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워크를 얹어놓아 반송하고, 상기 워크의 노출면을 촬상하여 검사하도록 워크 검사장치를 구성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2개의 반송벨트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워크를 얹어놓아 반송하고, 그 반송방향 하류측으로 향해서 상기 간극을 점차 폭이 좁게 하고, 상기 워크의 자세를 교정가능하게 설치하였다.
또한, 상기 반송벨트에 일부 맞닿는 반전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반전벨트에는 상기 홈에 대향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워크를 상기 반송벨트에서 상기 반전벨트로 옮겨 실으므로서 워크를 반전시키도록 하였다.
상기 반송벨트를 진동시키는 진동수단을 설치하므로서, 반송벨트상에 얹은 워크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상기 홈은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반송벨트에 얹어놓은 워크의 노출면을 촬상하는 제 1 카메라와, 상기 반전벨트에 의해 반전시킨 워크의 노출면을 촬상하는 제 2 카메라를 설치하도록 하였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의 하류측에는, 해당 각 카메라의 검사로 불량이라고 판정된 워크를 배출가능한 불량품 배출부가 각각 설치되고, 이 불량품 배출부는, 상기 워크를 압축공기의 뿜기에 의해 배출가능하게 설치되어있다 라는 구성을 채용하였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의 검사에 합격한 양품의 워크를 워크충전부로 보내는 양품적출부를 구비하고, 이 양품적출부는, 상기 워크를 압축공기의 뿜기에 의해 배출가능하게 설치된다 라고하는 구성도 채용하였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반송벨트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워크를 얹어 반송하고, 상기 워크의 노출면을 촬영하여 검사하는 워크 검사장치로서, 상기 반송벨트를 진동시키는 진동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워크는 단면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홈의 폭은 상기 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홈의 깊이는, 상기 워크를 상기 홈에 얹어놓은 때에 상기 워크의 각부(角部)가 홈의 바닥부에 접촉하지않는 정도의 치수를 가지도록 구성되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워크 검사장치(10)를 도시하고, 이 장치에 의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워크(1)(세라믹 칩 콘덴서)의 치수 및 4개의 끝면(1c, 1d, 1e, 1f)을 검사한다. 워크(1)는, 예를들면 1mm×0.5mm×0.5mm정도의 6면체로서, 대향하는 2면(1a,1b)이 전극이다. 본 발명의 워크 검사장치(10)는, 카메라(203, 207)로 워크(1)의 치수나 몰드부분(유전체부(誘電體部))의 손상·변색·타격흔적의 유무를 검사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워크 검사장치(10)는, 워크(1)를 정렬공급하는 워크공급부(100)와, 워크(1)의 치수검사 및 전극이외의 나머지의 4면의 품질을 검사하는 워크검사부(200)와, 검사를 종료한 워크(1)의 수량을 계수하고, 계수한 워크(1)를 케이스에 채우는 워크충전부(300)로 구성되어 있다.
워크공급부(100)에는, 부품피더(101)가 배치되어 있다. 이 부품피더(101)의볼부(ball部)에 투입된 다수의 워크(1)는 스파이럴위의 반송홈에 의해 정렬반송되면서, 반송로(103)에 1개씩 공급된다. 부품피더(101)로서는, 예를들면, 일본 특개평5-286549호공보에 기재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워크(1)는 전극(1a,1b)이 반송방향의 전후의 위치에 오도록, 부품피더(101)에 의해 반송로(103)로 압출되고, 워크검사부(200)로 보내진다.
워크검사부(200)는, 워크(1)를 반송하는 엔드리스의 반송벨트(201)와, 반송벨트(201) 위를 반송하는 워크(1)를 촬상하는 제 1 카메라(203)와 반송벨트(201)에 맞닿는 반전벨트(205)와, 반전벨트(205)상에 있는 워크(1)를 촬상하는 제 2 카메라(207)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벨트(201)는 구동풀리(209)와, 종동풀리(211), 텐션풀리(213)사이에 걸리고, 구동풀리(209)는 모터(215)에 의해 회전된다.
반송벨트(201)의 반송면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V자홈(201a)이 반송벨트(201)의 반송방향(도 4의 좌로부터 우방향)을 따라서 반송벨트(201)의 중앙에 엔드리스로 형성되어있다. 워크(1)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전극(1a,1b)을 전후로 하여 반송로(203)로부터 V자홈(201a)에 점차 얹어놓여진다. 이 때 V자홈(201a)의 홈면에 워크(1)의 끝면(1e, 1f)이 맞닿아 얹어놓여지고, 대향하는 다른 끝면(1c, 1d)이 노출된다. 이 노출된 끝면(1c, 1d)이 제 1 카메라(203)에 의해 촬상된다. 이 제 1 카메라(203)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해, 워크(1)의 외관치수 및 끝면(1c, 1d)의 갈라짐, 상처, 변색 및 은(銀) 페이스트의 비산 등이 화상처리되어 검사된다.
제 1 카메라(203)의 상류측에는, 워크(1)의 통과를 검출하는 포토센서(207)가 배치되고, 포토센서(217)의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제 1 카메라(203)의 촬영타이밍이 결정되고, 워크(1)의 치수 및 검사면(1c,1d)의 화상처리가 된다. 또한, 제 1 카메라(203)의 하류측에는 흡입노즐(219)이 배치되고, 제 1 카메라(203)의 검사로 불량으로 판정된 워크(1)가 흡입노즐(219)에 의해 흡인되어 배출된다.
풀리(209)에는, 반전벨트(205)(도 1)가 걸려있다. 반전벨트(205)에는 반송벨트(201)에 형성되어 있는 V자형 홈과 동일한 V자형 홈(201a)이 형성되고, 도 5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워크(1)를 끼우도록 반송벨트(201)에 일부 맞닿아 있다. 즉, 도 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반송벨트(201)와 반전벨트(205)는 풀리(209)의 원주의 대략 반원주에 걸쳐서 맞닿아 있고, 반전벨트(205)는, 복수의 풀리(221,222)에 걸리고, 풀리(222)가 구동모터(도시생략)에 의해 반송벨트(201)와 동기하여 회전구동된다. 워크(1)는, 반송벨트(201)의 V자홈(201a)과 반전벨트(205)의 V자홈(201a)에 끼워넣어지면서, 풀리(209)로 대략 180도 회전되면 동시에 반송벨트(201)로부터 반전벨트(205)로 받아 넘겨진다. 반전벨트(205)에 있어서는, 반송벨트(205)의 V자홈(201a)으로 반전옮겨실린 워크(1)의 끝면(1e, 1f)이 노출되도록 된다. 풀리(209)의 하측의 주변가장자리 부근에는, 스크레이퍼(225)가 배치되어 워크(1)가 반송벨트(201)에 재차 되돌아오지않도록 규제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워크(1)는 확실히 반전벨트(205)로 옮겨 실린다.
스크레이퍼(225)의 하류측에는, 제 2 카메라(207)가 배치되고, 이 제 2 카메라(207)에 의해, 워크(1)의 치수 및 끝면(1e, 1f)의 갈라짐, 손상, 변색 및 은 페이스트의 비산 등이 검사, 화상처리된다. 또한, 제 2 카메라(207)의 촬영타이밍은, 제 1 카메라(203)와 동일하게 그 상류측에 설치된 포토센서(도시생략)에 의해 워크(1)를 검출하고 화상처리후, 제 2 카메라(207)의 하류측에 설치된 흡인노즐(227)에 의해, 불량품은 흡인되고 배출된다.
반전벨트(205)의 하류끝에는, 슈트(229)가 배치되고, 이것에 의해 워크(1)는 반전벨트(205)로부터 픽업롤러(231)로 옮겨 실린다. 픽업롤러(231)에는 원주면에 다수의 오목부(231a)가 형성되고, 슈트(229)를 따라서 흘러온 워크(1)는 오목부(231a)에 1개씩 수용된다. 픽업롤러(23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최상위에 있는 워크(1)는 측정프로브(233)에 의해 워크(1)의 콘덴서용량의 측정이 1개씩 행해지고, 불량품은 흡인노즐(235)에 의해 흡인되어 배출된다. 검사를 합격한 워크(1)는, 다음의 워크충전부(300)로 이송된다.
워크충전부(300)는, 워크(1)를 일정수량씩 축적하여 낙하하는 호퍼(301)와, 호퍼(301)로부터 낙하하는 워크를 수용하는 벌크케이스(303)와, 벌크케이스(303)를 반송하는 반송벨트(305)와 벌크케이스(303)에 바코드 라벨(325)을 부착하는 라벨러(323)를 구비하고 있다. 픽업롤러(321)와 호퍼(301) 사이에, 계수호퍼(307, 309)가 배치되고, 계수호퍼(307,309)는 연결판(311)으로 연결되고, 실린더(313)에 의해 전환가능하게 되어있다. 또한, 각 계수호퍼(307,309)는, 각각의 호퍼의 하면에 도시하지않은 셔터를 구비하고 있다.
워크(1)는, 먼저 계수카운터용 센서(302)에 의해 소정수의 워크(1)의 수량을 카운트하여, 계수호퍼(307)에 축적되어 소정의 개수로 되면 도시하지않은 셔터가 개방되어 워크(1)가 호퍼(301)로 낙하된다. 이것이 벌크케이스(303)의 1케이스분의워크(1)의 수량으로 된다. 이때 픽업롤러(231)의 회전은 일시 정지하고, 실린더(313)가 구동되어 계수호퍼(309)가 픽업롤러(231)의 바로 아래로 이동하고, 그 후 픽업롤러(231)가 다시 회전하여 워크(1)가 센서(302)에 의해 소정수 계수되어 계수호퍼(309)에 축적된다.
벌크케이스(303)는 반송벨트(305)로 반송되고, 센서(315)로 벌크케이스 셔터(303a)(벌크케이스의 덮개)가 닫혀있는 것을 확인한 후 호퍼(301)의 충전노즐(301a)로 반송된다. 충전노즐(301a)의 바로아래에 있어서는 위치결정 암(317)이 벌크케이스(303)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그 후 벌크케이스 셔터 개폐장치(319)에 의해 벌크케이스 셔터(303a)를 열고 대기시켜, 충전노즐(301a) 끝부의 도시하지않은 셔터를 열으므로써 벌크케이스(303)의 1케이스분의 소정량의 워크(1)를 호퍼(301)로부터 낙하시켜서 벌크케이스(303)에 충전하고, 그 후 벌크케이스 셔터(303a)를 벌크케이스셔터 개폐장치(319)의 작동에 의해 닫힌다. 완료후 위치결정 암(317)을 개방하여 반송벨트(305)로 벌크케이스(303)를 하류측(도 1에서 좌로부터 우방향)으로 반송하고, 도중에, 센서(321)에 의해 벌크케이스 셔터(303a)가 닫히고 있는 것을 확인한다. 다음에 라벨러(323)에 의해 벌크케이스(303)측면에 바코드 라벨러325)가 부착되고, 벌크케이스(303)는 더 하류측으로 반송되고 소정의 포장을 하고 출하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장치에 의하면, 워크(1)를 반송벨트(201) 및 반전벨트(205)로 형성된 V자형 홈(201a)에 얹어놓인채 워크치수 및 끝면(1c, 1d, 1e, 1f)의 4면을 2대의 카메라로 검사할 수 있으므로, 워크(1)를 효율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반송벨트(201)와 반전벨트(205)에 형성된 V자형 홈(201a)에 의해 워크(1)를 끼워 지지하면서 연속적으로 반전시킬 수 있으므로, 워크(1)의 위치어긋남이 없이 고속반전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워크치수 및 끝면(1c~1f)을 고속화상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V자형 홈(201a)은, 상이한 치수의 워크(1)에 대응시키기 위해서, 상이한 치수로 합치한 V자형 홈(201a)을 동일의 반송벨트(201) 및 반전벨트(205)에 복수열 엔드리스로 형성하고, 반송로(103)를 그 워크사이즈에 합치하는 V자형 홈으로 전환하도록해도 좋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V자형 홈(201a)을 벨트의 반송방향을 따라서 형성하였으나, 그것에 한정되지않고, V자형 홈을 벨트의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홈의 형상은 V자형에 한정되지않고, 단면 반원형상 등, 다른 형상이라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포장형태로서 벌크케이스 충전포장에 관하여 설명하였는데, 그것에 한정되지않고, 종이 또는 플라스틱제의 캐리어 테이프에 워크(1)를 소정간격으로 부착하여 워크(1)를 공급하는 캐리어 테이프포장으로 해도 좋다.
도 7 및 도 8은 반송벨트의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반송벨트(202)에는 단면 직각형상의 홈(202a)이 형성되고, 이 홈(202a)에는 단면 사각형(실시예에서는 정사각형)의 워크(1)가 얹어놓인다. 홈(202a)의 폭(W)은 워크(1)의 단면 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d)보다 짧고, 홈(202a)의 깊이는, 워크(1)를 홈(202a)에 끼웠을 때 그 각부(1g)가 홈(202a)의 바닥(202b)에 닿지않는 정도의 치수를 가진다. 따라서, 워크(1)를 홈(202a)에 얹어놓으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워크(1)의 측면(1e,1f)이 홈(202a)의 가장자리부(202c,202d)에 각각 점접촉한다.
반송벨트(202)는, 벨트받이(204)로 지지되고, 벨트받이(204)위를 이동한다. 벨트받이(204)에는, 모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바이브레이터(진동장치)(206)가 연결되어있다. 이 바이브레이터(206)에 의해 반송벨트(202)가 진동되기 때문에, 워크(1)가 도 7의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지게 얹어놓인 경우에도 벨트(202)의 진동에 의해 워크(1)의 자세가 도 7의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대략 좌우대칭으로 되도록 교정되고, 워크(1)의 끝면(1c,1d)은 카메라(203)에 의해 균등하게 촬영할 수 있다.
상기 바이브레이터(206)는, 도 1의 장치에 부착되어도 워크(1)의 자세를 교정하는 효과를 발휘하는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구성과 조합시켜 사용함으로써 높은 효과를 얻는다. 즉, 도 7에 도시하는 홈(202a)은, 그 2개의 가장자리부(202c,202d)에 의해 워크(1)의 끝면(1e,1f)과 각각 점접촉하고, 그 각부(1g)는 홈(202a)의 바닥부(202b)에 접촉하지않으므로, 바이브레이터(206)에 의해 반송벨트(202)를 진동시키면, 그 진동에 의해 워크(1)의 자세는 용이하게 좌우대칭으로 되도록 교정된다.
워크(1)는 카메라(203)에 의해 촬영된 후, 도 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반송벨트(202)와 이미 설명한 반전벨트(205A)에 의해 끼워넣어지면서, 반전된다. 이 반전방법은 상기 설명과 동일하다.
도 9는 다른 반송벨트(208,210)의 예를 도시하고, 반송벨트의 홈으로서는,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반원형의 홈(208a),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단면 V자형의 홈(210a)을 사용해도 좋다. 요컨대, 워크(1)를 홈에 끼웠을 때 워크(1)의 각부(1g)가 홈의 바닥부에 접촉하지 않으면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0~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하게 한다. 이 제 3 실시형태는, 반송방향으로 적어도 2열로 설치되는 반송벨트(240,241)의 사이에 워크(1)를 끼워 지지하면서 반송하는 것에 특징을 가짐과 동시에, 불량품의 배출 및 양품의 적출을 압축공기의 뿜기에 의해 행해지는 것에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도 10에는,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워크검사장치(20)의 개략도가 도시되어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워크검사장치(20)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워크 검사장치(10)(도 1)의 구성에 대하여, 2열의 반송벨트(240,241)에 워크(1)를 끼워넣으면서 반송하는 구조로 되어있는 점에서 상위한 외에, 제 1 및 제 2 카메라(203,207)로 불량으로 판정된 워크(1)를 압축공기의 뿜기에 의해 배출하는 제 1 및 제 2 불량품 배출부(249,250)와, 검사에 합격한 양품을 압축공기의 뿜기에 의해 워크 충전부(300)에 이송하는 양품 적출부(255)를 구비하고 있는 점이 상위하다. 또한,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구성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상기 반송벨트(240, 241)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방향 상류측(도 12의 좌측)에서 그 하류측(도 12의 우측)으로 향해 점차 간극 즉 상호 이간폭 이간폭(W)이 좁아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각 반송벨트(241, 242)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호 이간폭(W)은, 그 반송방향 상류측(S) 위치(부품피더 워크정렬부재(104)의 선단의 워크 옮겨싣기부(105)부분)에서 하류측(P) 위치(제 1 카메라 (203)상류측 근방)를 향해서 점차 폭이 좁아지게 된다. 여기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방향 최상류측(S) 위치에 있어서 이간폭(W1)은, 워크(1)의 각부(1g)를 비닥부(245a)에 접촉시키지 않고, 워크(1)의 각 끝면(1d, 1e)이 각 벨트(240, 241)의 내측 상부각(240a, 241a)사이에 걸리기가능한 이간폭(W1)이면 된다. 환언하면, 반송방향 최상류측(S) 위치에서는, 이간폭(W)이 워크(1)의 단면사각형의 대각선 길이(d)보다도 약간 좁게 되는 한편, 반송방향 최하류측(P) 위치(도 13(b))에서는, 이간폭(W2)이 상기 상류측(S) 위치의 이간폭(W1)보다 좁게 되어 있다. 이때문에, 반송방향 최상류측(S) 위치(워크 옮겨싣기부(105)부분)에서는, 워크공급부(100)로부터의 워크(1)를 반송벨트(240, 241)로 공급 옮겨싣기 쉽게 됨과 동시에, 반송방향을 따라서 상호 이간폭(W)이 영역(L) 사이에서 점차 좁아짐과 동시에,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설치된 바이브레이터(206)(진동장치)에 의해 반송벨트(240, 241)를 진동시키고, 반송에 수반하여 워크(1)의 자세를 서서히 좌우대칭으로 교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바이브레이터(206)는, 반송벨트(240, 241)의 회전과 동기하여 있고, 이것에 의해, 워크(1)의 자세의 교정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불량품 배출부(249,250)는, 제 1 및 제 2카메라(203,207)의 하류측에 각각 2개소씩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양품 적출부(255)는, 제 2 불량품 배출부(250)의 하류측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1 및 제 2 불량품 배출부(249,250), 및 양품 적출부(255)가 각각 2개소씩 설치되어있는 것은, 만일 해당하는 워크(1)를 각 상류측에서 취출할 수 없는 경우에, 하류측에서 워크(1)를 확실히 취출하도록 하기위한 보조장치이다. 또한, 제 1 및 제 2 불량품 배출부(249, 250), 및 양품 적출부(255)는, 반송벨트(240,241) 혹은 반전벨트(205)로 반송되는 워크(1)의 상방에서 진행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가로지르는 관로(259)(도 14)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불량품 배출부(249)에 있어서 관로(259)는, 반송벨트(240,241)의 상방위치에, 워크(1)가 통과가능한 크기의 개구부(261)가 형성되어 있고, 동일하게, 제 2 불량품 배출부(250) 및 양품 적출부(255)에 있어서 관로(259)에도, 동일한 개구부(26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로(259)에는, 도시생략한 압축공기 발생장치(컴프레서 등)에서 압축공기(A)가 보내오도록 되어 있다. 또한, 그 압축공기(A)는, 제어회로(도시생략)에 의해 제어되고, 배관(259A)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A)를 소직경관로(259B)에 의해 더 압축되어 대직경관로(259C)로 분사함으로써, 개구부(261)에 부압을 발생시키고, 그 부압에 의해 개구부(261)에 생기는 흡인력으로 워크(1)를 흡인하고, 개구부(261)로부터 대직경관로(259)내에 도입되고, 각 반송벨트(240,241) 또는 반전벨트(205)밖으로 배출 또는 적출되도록 되어 있다. 즉, 제 1 불량품 배출부(249)에서는, 어느 워크(1)가 제 1 카메라(203)의 검사로 불량으로 판정되면, 워크(1)의 이송속도에 맞추어 시프트된 타이밍으로 소직경관로(259B)로부터 압축공기(A)가 대직경관로(259C)내로 분사되고, 그것에 의해, 개구부(261)에 부압(흡인력)을 발생하고, 개구부(261)에 위치하는 불량으로 판정된 워크(1)를 대직경관로(259C)내로 도입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 1 카메라(203)의 검사로 불량으로 판정된 워크(1)는, 압축공기(A)가 뿜어지지않고, 그대로 하류측의 제 2 카메라(207)방향으로 반송된다. 또한, 제 2 불량품 배출부(250)에서는, 도중 반전벨트(205)로 대략 180도 반전된 워크(1)의 이면에 대하여, 제 1 카메라(203)와 동일한 검사가 제 2 카메라(207)에서 행해지고, 그 결과, 불량으로 판정된 워크(1)에 대해서만, 상기한 제 1 불량품 배출부(249)와 동일한 동작으로 대직경관로(259C)내에 워크(1)를 도입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양품 적출부(255)에서는, 관로(259)내에 거의 항상 압축공기(A)가 보내오도록 되어 있고, 제 2의 불량품 배출부(250)에서 배출되지 않았던 워크(1)를 모두 적출하여 호퍼(301)(도 10)에 공급하도록 되어있다. 이하, 도 10에 있어서, 도 1과 동일부호의 구성부분은, 도 1과 동일동작이 반복해서 행해지고, 소정 수의 워크(1)를 카운트하여, 벌크케이스(303)에 충전하고, 더욱이, 소정의 라벨을 부착기 밖으로 배출한다.
또한, 상기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반전벨트(205)도, 워크(1)를 끼워넣기 가능한 2열의 벨트에 의해 구성해도 좋고,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홈부를 가지는 벨트에 의해 구성해도 물론 좋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워크(1)를 세라믹 팁 콘덴서로 하였는데, 팁저항 등의 6면체이라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벨트에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워크를 얹어놓아 워크 끝면의 2면을 동시에 검사하도록 하고, 더욱 홈이 부착된 반전벨트에 의해 워크를 끼워 지지하여 연속적으로 반전하기로 하였으므로, 종래의 간헐 반전방식에 비하여, 검사를 고속화할 수 있다.
또, 2개의 벨트의 간격에 워크를 얹어놓아 반송하고, 그 반송방향 하류측으로 향해서 점차 폭이 좁아지고, 더욱 벨트를 진동시키면서 반송하였으므로, 워크반송에 수반하여 워크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를들면, 세라믹팁 콘덴서 등의 워크노출면을 촬상하여 양부를 판단하는 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9)

  1. 반송벨트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워크를 얹어놓아 반송하고, 상기 워크의 노출면을 촬상하여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검사장치.
  2. 적어도 2개의 반송벨트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워크를 얹어놓아 반송하고, 그 반송방향 하류측으로 향해서 상기 간극을 점차 폭이 좁게 하고, 상기 워크의 자세를 교정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검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벨트에 일부 맞닿는 반전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반전벨트에는 상기 홈 또는 간극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워크를 상기 반송벨트로부터 상기 반전벨트로 옮겨 싣는 것에 의해 워크를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검사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벨트를 진동시키는 진동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검사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V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검사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벨트에 얹어놓인 워크의 노출면을 촬상하는 제 1 카메라와, 상기 반전벨트에 의해 반전시킨 워크의 노출면을 촬상하는 제 2 카메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검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의 하류측에는, 해당 각 카메라의 검사에서 불량으로 판정된 워크를 배출가능한 불량품 배출부가 각각 설치되고, 이 불량품 배출부는, 상기 워크를 압축공기의 뿜기에 의해 배출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검사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의 검사에 합격한 양품의 워크를 워크 충전부로 이송하는 양품 적출부를 구비하고, 이 양품 적출부는, 상기 워크를 압축공기의 뿜기에 의해 배출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검사장치.
  9. 반송벨트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워크를 얹어놓아 반송하고, 상기 워크의 노출면을 촬상하여 검사하는 워크 검사장치로서, 상기 반송벨트를 진동시키는 진동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워크는 단면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홈의 폭은 상기 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홈의 깊이는, 상기 워크를 상기 홈에 얹어놓았을 때에 상기 워크의 각부가 홈의 바닥부에 접촉하지않을 정도의 치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검사장치.
KR1020017005118A 1999-11-22 2000-11-21 워크 검사장치 KR200100839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31185 1999-11-22
JP33118599 1999-11-22
JP2000069130 2000-03-13
JP2000-69130 2000-03-13
JP2000-255685 2000-08-25
JP2000255685A JP2001327929A (ja) 1999-11-22 2000-08-25 ワーク検査装置
PCT/JP2000/008213 WO2001038013A1 (fr) 1999-11-22 2000-11-21 Dispositif d'inspection de pie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922A true KR20010083922A (ko) 2001-09-03

Family

ID=27340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5118A KR20010083922A (ko) 1999-11-22 2000-11-21 워크 검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2001327929A (ko)
KR (1) KR20010083922A (ko)
CN (1) CN1322155A (ko)
IL (1) IL144414A0 (ko)
MX (1) MXPA01004151A (ko)
WO (1) WO20010380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5261A (ja) * 2004-06-03 2005-12-15 Tokyo Giken Kogyo Kk ワーク検査装置
JP2009216698A (ja) * 2008-02-07 2009-09-24 Camtek Ltd 対象物の複数の側面を画像化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CN101858728B (zh) * 2009-04-08 2013-03-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量测设备及量测方法
JP4883510B2 (ja) * 2010-06-04 2012-02-22 凌和電子株式会社 コンベア反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検査装置
EP2670538A1 (en) * 2011-02-02 2013-12-11 Laitram, LLC System and method for grading articles and selectively mixing graded articles
CN102519982B (zh) * 2011-12-29 2014-07-16 东莞市精研自动化机械有限公司 电容产品外观检测方法及实施该方法的检测机
CN102602698B (zh) * 2012-03-06 2014-01-01 姚汉章 一种羽毛球毛片自动翻正送毛装置
CN102658958B (zh) * 2012-05-08 2014-06-18 汕头市宏盛体育用品有限公司 羽毛球毛片自动送料方法及设备
CN102914263B (zh) * 2012-10-17 2015-01-21 广州市佳铭工业器材有限公司 基于多相机图像拼接的工件自动检测设备
CN103350072B (zh) * 2013-07-12 2015-05-20 江南大学 一种虫蚀葵花籽分选装置
CN103884651B (zh) * 2014-04-14 2016-08-17 北京大恒图像视觉有限公司 一种全自动瓶盖质量检测系统
JP6497049B2 (ja) * 2014-12-04 2019-04-10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パーツフィーダ用画像処理装置及びパーツフィーダ
CN104438146B (zh) * 2014-12-18 2017-02-01 益阳市和天电子有限公司 一种生产电容用的自动检测、分类装置
JP6598820B2 (ja) * 2017-06-07 2019-10-30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搬送装置、搬送方法および検査システム
JP6687867B2 (ja) * 2018-10-26 2020-04-28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パーツフィーダ用画像処理装置及びパーツフィーダ
JP2020203236A (ja) * 2019-06-14 2020-12-24 日東工業株式会社 電子部品計数装置
CN110987051A (zh) * 2019-12-18 2020-04-10 东阳汉林传感器有限公司 一种传感器质量检测分料设备
KR102431822B1 (ko) * 2020-09-16 2022-08-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다면 관측 컨베이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딥러닝 기반 불량 검출 방법
CN112775010B (zh) * 2020-12-21 2023-02-07 北京京磁电工科技有限公司 用于钕铁硼磁体的自动检测系统及方法
CN112520341B (zh) * 2020-12-28 2022-04-26 东莞市林洋机械设备有限公司 玻璃盘全检机输送带90度扭转上料机构
CN114371177A (zh) * 2021-12-03 2022-04-19 桂林芯隆科技有限公司 一种dfb激光器芯片表面缺陷的检测方法及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3184U (ko) * 1975-12-16 1977-06-21
JPS61211209A (ja) * 1985-03-14 1986-09-19 Kanebo Ltd 被搬送物検査装置
JPS62266408A (ja) * 1986-05-15 1987-11-19 Chiyuushiyou Kigyo Jigyodan ねじ検査機用搬送装置
JPH01134608U (ko) * 1988-03-07 1989-09-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1004151A (es) 2002-06-21
WO2001038013A1 (fr) 2001-05-31
IL144414A0 (en) 2002-05-23
CN1322155A (zh) 2001-11-14
JP2001327929A (ja) 2001-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83922A (ko) 워크 검사장치
JP3105752B2 (ja) 偏平物品の側面検査装置、偏平物品の搬送装置及びそれらを用いた偏平物品の外観検査装置
JP4362239B2 (ja) 小物品の計数供給装置
TWI429485B (zh) A part sorting device and an electronic component characteristic checking and sorting device using the same
JP6669451B2 (ja) ワーク移送装置
JP2585133B2 (ja) 部品外観選別装置
JP3822859B2 (ja) 搬送装置
JP3515435B2 (ja) ワーク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EP2755006A1 (en) Container liquid leak inspection device
KR20070089051A (ko) 워크 반송 시스템
JPH08168727A (ja) 小物物品の検査装置
KR20150109305A (ko) 반도체 패키지 핸들러
WO2000003211A1 (fr) Trieuse ponderale
JP2004226101A (ja) ワーク検査システム
JP2000283924A (ja) ワーク検査方法および装置
EP1411347B1 (en) Appearance inspection machine for flat tablets
JP2018117949A (ja) 錠剤印刷装置
JP2008308302A (ja) ワークの検査装置
JP2000097865A (ja) 錠剤の外観検査装置
JP4176390B2 (ja) 搬送装置
JP2002243654A (ja) 製品検査装置及び該製品検査装置を用いた製品検査方法
JP4050942B2 (ja) 外観検査装置
JP2000337843A (ja) 外観検査装置
JP2006320779A (ja) 扁平錠剤の外観検査装置
JP4152128B2 (ja) 直方体物品の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